부대찌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대찌개는 군부대를 뜻하는 '부대'와 찌개를 결합한 한국의 찌개 요리이다. 한국 전쟁 이후 미군 부대에서 나온 햄, 소시지 등의 식재료와 고추장을 활용하여 만들어졌으며, 경기도 의정부시, 동두천시, 양주시, 평택시, 전라북도 군산시 등 미군 부대 주둔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꿀꿀이죽을 대체하며 대중화되었고, 현재는 라면 사리, 다양한 재료를 첨가하여 한국인의 위안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의정부식과 송탄식으로 나뉘며, '존슨탕'이라는 변형도 존재한다. 부대찌개는 한국의 역사적 배경과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며, 문화적 유산과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한국 음식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퓨전 요리 - 김치버거
김치버거는 엉클조스 햄버거에서 처음 개발된 비교적 새로운 종류의 햄버거이다. - 한국의 퓨전 요리 - 코리언 타코
코리언 타코는 타코에 한국식 재료를 활용한 음식으로, 2000년대 후반 미국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하여 푸드 트럭 코기 코리안 BBQ를 통해 인지도를 높였다. - 스팸 요리 - 스팸 무스비
스팸 무스비는 하와이에서 유래하여 밥 위에 구운 스팸을 올리고 김으로 감싼 음식으로, 사탕수수 농장 노동자들의 도시락으로 인기를 얻어 하와이 향토 음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는 여러 지역에서 판매된다. - 스팸 요리 - 스팸 프리터
스팸 프리터는 2000년대 초 대한민국에서 스팸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 현상을 지칭하며, 정보 접근성 저해 및 사이버 범죄 악용으로 사회적 불안을 증폭시켜 소비자 권익 보호와 표현의 자유 균형 및 개인 정보 보호 중요성을 일깨우고 스팸 예방 및 관리 기술과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미치는 현상으로 평가받는다.
부대찌개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군대찌개, 매운 소시지 스튜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불확실, 의정부시 가능성 있음 |
국가별 요리 | 한국 요리 |
창시자 | 불명 |
연도 | 1950년대 |
종류 | 찌개 |
코스 | 불명 |
제공 | 불명 |
주 재료 | 햄, 핫도그, 스팸, 구운 콩, 김치, 인스턴트 라면, 고추장, 아메리칸 치즈 |
부 재료 | 불명 |
변형 | 불명 |
1인분 | 불명 |
열량 | 불명 |
단백질 | 불명 |
지방 | 불명 |
탄수화물 | 불명 |
혈당 지수 | 불명 |
비슷한 음식 | 불명 |
기타 | 불명 |
한국어 이름 | |
한글 | 부대찌개 |
한자 | 部隊찌개 |
로마자 표기 | budae-jjigae |
매큔-라이샤워 표기 | pudae-tchigae |
어원 | |
관련 장소 | |
장소 | 의정부 부대찌개 거리 |
2. 명칭
"부대"(budae|부대한국어)는 군부대를 가리킨다.[1] ''찌개''(jjigae|찌개한국어)는 국보다 걸쭉하고 재료가 더 많은 일종의 찌개를 의미한다.[2][3]
한국 전쟁 이후, 한국은 식량 부족을 겪었다. 이에 경기도 동두천시, 양주시, 의정부시, 평택시, 전라북도 군산시 등 미군 부대 주둔 지역에서, 미군과 관련된 일을 하던 한국인들이 핫도그나 깡통 햄(스팸 등)을 이용해 고추장과 함께 찌개를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미군이 먹다 남긴 음식이나 몰래 빼낸 보급품을 재료로 사용했기 때문에 '부대찌개'라는 이름이 붙었다.[53]
이름은 "부대찌개",[4][5] "군대찌개",[6][7] "매운 소시지 찌개",[8] "소시지 찌개"로 번역된다.[9]
서울특별시용산구 이태원 등에서는 존슨탕(johnseuntang|존슨탕한국어)이라고 불리는 부대찌개와 비슷한 음식을 맛볼 수 있다.[52]
3. 역사
이후 부대찌개는 한국에서 꾸준히 인기를 얻었으며, 현대에는 라면사리를 첨가하기도 한다. 특히 휴전선 인접 지역인 의정부시는 미국 육군 군사 기지가 많아 부대찌개로 유명하며, "의정부하면 부대찌개"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평택시 역시 미국 공군 군사 기지가 많아 부대찌개로 유명하다.[53]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식당들이 독창적인 재료와 조리법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2022년 압구정동의 한 식당에서는 토마토 수프를 육수로 사용하기도 했다.[20] 1973년에 개업한 경기도 의정부시의 한 식당은 국물 없는 부대찌개인 부대고기한국어 볶음을 판매한다.[20] 일부에서는 짠맛, 저장성, 품질이 낮다고 여겨지는 재료를 제외하거나 대체하기도 하며,[24][17][25][11] 채식주의자를 위한 부대찌개도 존재한다.[15]
20세기는 한반도에 격동의 시기였다. 1945년, 한국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에서 해방되었지만,[26] 한국인들은 착취를 당했다.[12]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약 70만~80만 명의 한국인이 일본으로 이주하여 노예와 같은 조건에서 일했다.[27] 한국의 분단과 한국 전쟁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12][28][30] 전쟁으로 인해 인구의 약 10%가 사망하고 경제와 사회가 크게 붕괴되었다.[29][17] 당시 많은 한국인들은 생존을 위해 국제 원조에 의존했다.[30][31][12]
많은 외국 제품은 한국인에게 합법적으로 판매되지 않았고, 일부는 1987년까지 관세로 인해 가격이 비쌌다.[24] 박정희 정부 시절에는 스팸과 같은 음식을 밀수하는 행위가 사형에 처해질 수 있는 범죄였다.[32] 이를 피하기 위해 물품은 기지 밖으로 밀수되었고,[24][10] 통조림은 긴 유통 기한과 맛 때문에 특히 귀하게 여겨졌다.[24] 이러한 물품 거래를 전문으로 하는 양키시장|Yangki-sijang한국어이라고 불리는 암시장이 형성되었다.[24][33][31]
3. 1. 기원
한국 전쟁 당시, 미군과 관련된 일을 하던 한국 사람들이 경기도 동두천시, 양주시, 의정부시, 평택시, 전라북도 군산시 등 미군 부대 주둔 지역에서 핫도그나 깡통에 든 햄(예를 들어 스팸)을 고추장과 함께 찌개로 만들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미군이 먹다 남거나 미군의 보급품을 몰래 빼낸 음식을 재료로 사용하였다.[53] 휴전선 인접 지역인 의정부시는 미국 육군 군사 기지가 많이 있어 부대찌개로 유명하며, '의정부하면 부대찌개'라는 말도 있다. 평택시도 미국 공군 군사 기지가 많아 부대찌개로 유명하다.[53]
이 요리의 변형으로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도 있다. 서울 용산구에서 개발된 부대찌개의 한 형태는 1966년 대한민국 방문 당시 이 요리를 즐겼다고 알려진 린든 B. 존슨의 이름을 따서 존슨탕(존슨탕|Jonseuntang한국어)이라고 불린다.[10][11][21] 존슨이 이 요리를 먹었던 식당인 바다식당(바다식당|badasigdang한국어)은 여전히 존슨탕을 대표 메뉴로 제공한다.[22][23] 존슨탕에서는 김치를 일반 배추 잎으로 대체하고 라면 사리를 넣지 않으며, 치즈는 요청 시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포함된다.[5]
의정부식과 송탄식이 있는데,[5][37] 의정부식은 보리 기반의 ''고추장''을 사용하며, 더 걸쭉하고 매운 국물을 낸다고 묘사된다. 송탄식은 배추를 주요 재료로 사용한다.[37]
사회언어학자 양민호에 따르면, 이 요리는 한국 전쟁의 초기 궤적을 따라 북쪽에서 처음 만들어져 남쪽으로 전파되었다고 한다.[5] 원산지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는 의정부,[39][5] 평택,[13][5] 문산,[24][17][31] 그리고 동두천 등이 있다.[31][10]
원조 발명가로 주장하는 사람 중 한 명은 탈북자 허기숙이다. 허씨는 의정부에서 어묵 노점을 운영하며, 인근 군부대에서 얻은 고기를 요리해 달라는 사람들을 종종 만났다. 그녀는 처음에는 단순히 고기를 볶았지만, 결국 김치, 라드, 야생 참기름을 넣은 찌개로 발전시켰다.[40] 허씨는 1960년 오뎅식당을 열었는데,[11][40] 표면적으로는 어묵을 판매했지만, 부대찌개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로 인해 세관의 분노를 사 여러 차례 재료를 압수당하고 벌금을 물기도 했다.[4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한 기사에서는 이 요리가 1960년대와 1970년대 공장 노동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고 주장한다.[10] 1963년에는 인스턴트 라면이 대한민국 시장에 진출했고, 결국 부대찌개에도 들어가게 되었다.[5][38]
3. 2. 꿀꿀이죽과의 관계
한국 전쟁 당시 및 그 이후, 미군 부대에서 나온 잔반 등을 끓여 만든 '꿀꿀이죽'(꿀꿀이죽|돼지죽한국어)은 부대찌개의 전신으로 여겨진다.[31][12][34] 'UN 스튜' (유엔탕|유엔한국어)라고도 불렸다.[7][35] 꿀꿀이죽은 지역에 따라 조리법과 재료가 달랐는데, 부산 방어선 지역에서는 버터, 통조림 파인애플, 양배추, 양파, 아메리칸 치즈, 때로는 고기 조각(부대고기) 등을 넣어 만들었다.[12][31] 이 부산식 꿀꿀이죽은 돼지국밥의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36]
당시에는 라면이 한국에 들어오기 전이라 꿀꿀이죽에는 라면이 들어가지 않았다.[37][5] 삼양라면을 창립한 전중윤은 꿀꿀이죽의 낮은 품질을 삼양라면 창립 이유 중 하나로 들었다.[38] 그는 꿀꿀이죽을 먹을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을 위해 라면 가격을 의도적으로 낮게 책정했다고 한다.[38]
꿀꿀이죽은 담배 꽁초, 이쑤시개, 휴지 등 먹을 수 없는 이물질이 섞여 나오는 경우가 있어 위생 문제가 심각했다.[12][24][34] 2010년, 이시연은 캠프 헨리에서 일하던 어린 시절, 군목에게 음식 쓰레기에 이물질을 넣지 말아 달라고 부탁했던 일화를 회상했다.[34]
이처럼 꿀꿀이죽은 낮은 품질에도 불구하고, 많은 한국인들은 이마저도 살 여유가 없을 정도로 가난했다.[34] 1963년 꿀꿀이죽 한 그릇 가격은 5KRW이었다.[38] 꿀꿀이죽은 1960년대 중반까지, 경제 상황이 다소 나아질 때까지 이어졌다.[36][38]
부대찌개는 꿀꿀이죽과 달리 신선한 재료와 다양한 양념을 사용하여 맛과 영양을 개선한 음식으로 발전하였다.
3. 3. 현대의 부대찌개
1987년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이루면서, 부대찌개는 생존 음식을 넘어 한국인의 소울 푸드로 자리 잡았다. 현재 부대찌개는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으로 발전하여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사랑받는 음식이 되었다.
다양한 식당에서 독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자체적인 요리 방식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22년에는 압구정동의 한 식당에서 토마토 수프를 육수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20] 1973년에 개업한 경기도 의정부시의 한 식당은 "수프 없는 부대찌개한국어"라고 묘사되는 부대고기한국어 볶음을 판매한다.[20]
서울 용산구에서 개발된 부대찌개의 한 형태는 1966년 대한민국 방문 당시 이 요리를 즐겼다고 알려진 린든 B. 존슨의 이름을 따서 존슨탕(존슨탕|Jonseuntang한국어)이라고 불린다.[10][11][21] 존슨이 이 요리를 먹었던 식당인 바다식당(바다식당한국어)은 여전히 존슨탕을 대표 메뉴로 제공한다.[22][23] 존슨탕에서는 김치를 일반 배추 잎으로 대체하고 라면 사리를 넣지 않는다. 치즈는 요청 시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포함된다(일부 식당의 경우). 또한, 많은 부대찌개 식당에서는 테이블에서 요리를 조리하지만, 존슨탕은 이미 조리된 상태로 제공된다.[5]
부대찌개에는 의정부식과 송탄식이 있다.[5][37] 의정부식은 보리 기반의 ''고추장''을 사용하며, 더 걸쭉하고 매운 국물을 낸다고 묘사된다. 송탄식은 배추를 주요 재료로 사용한다.[37]
일부에서는 짠맛, 저장성, 품질이 낮다고 여겨지는 재료를 제외하거나 대체하기도 한다.[24][17][25][11] 이 요리의 비건(채식주의자) 버전도 존재한다.[15]
부대찌개는 현재 국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2015년 앤서니 보데인: 언노운 파츠(Anthony Bourdain: Parts Unknown)의 한 에피소드에서 보데인은 언론인 앤더슨 쿠퍼에게 이 요리를 "필요가 맛의 어머니라는 고전적인 예"라고 묘사했다.[41][11] 보데인은 이후 2016년 저서 ''Appetites: A Cookbook''에서 이 요리를 소개했다.
한국관광공사가 2016년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20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부대찌개는 한국에서 가장 좋아하는 음식으로 가장 자주 꼽혔다.[31] 2019년, 미슐랭 가이드는 이 요리를 "한국에서 꼭 먹어봐야 할 요리" 목록에 포함시켰다.[43][11]
미국 내 여러 식당에서 이 요리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는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한옥 (Han Oak) 레스토랑과 뉴욕 시의 단지 (Danji) 레스토랑이 포함된다.[11] 이 요리는 중국 베이징과 일본 도쿄의 일부 식당에서도 제공된다.[10]
부대찌개는 2017년 요식업자들에 의해 북한으로 유입되어 그곳에서 인기 있는 요리가 되었다. 2024년, 북한은 부대찌개와 함께 떡볶이를 식당에서 판매하는 것을 금지했는데, 이는 이 요리들이 남한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44]
4. 종류
4. 1. 의정부식 부대찌개
맑은 육수를 사용하고 소시지와 햄을 적당히 넣어 김치 맛과 잘 어우러져 개운하고 시원한 맛을 낸다.[11] 의정부식은 보리 기반의 ''고추장''을 사용하며, 더 걸쭉하고 매운 국물을 낸다고 묘사된다.[37]탈북자 허기숙은 의정부에서 어묵 노점을 운영하며, 인근 군부대에서 얻은 고기를 요리해 달라는 사람들을 종종 만났다. 그녀는 처음에는 단순히 고기를 볶았지만, 결국 김치, 라드, 야생 참기름을 넣은 찌개로 발전시켰다.[40] 1960년 허기숙은 오뎅식당을 열었는데,[11][40] 표면적으로는 어묵을 판매했지만, 부대찌개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로 인해 세관의 분노를 사 여러 차례 재료를 압수당하고 벌금을 물기도 했다.[40] 이 식당은 인근에 여러 경쟁 업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긴 줄이 늘어서는 것으로 알려졌다.[40][11] 허기숙은 2014년에 사망했지만, 이 식당은 2020년 6월까지 운영되었다.[11]
4. 2. 송탄식 부대찌개
햄과 소시지를 넉넉하게 넣고 치즈를 첨가하여 맛이 진하다.[5][37] 배추를 주요 재료로 사용한다.[37]4. 3. 존슨탕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주둔한 미군 부대를 중심으로 발달한 부대찌개의 한 형태를 '''존슨탕'''이라고 부른다.[55] ‘존슨탕’이라는 명칭은 1966년 린든 B. 존슨 미국 대통령의 방한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56]존슨탕은 서울에서만 볼 수 있고, 사골로 국물을 내고 라면과 김치가 들어가지 않는 등 부대찌개와 구별된다.[56] 존슨이 이 요리를 먹었던 식당인 바다식당은 여전히 존슨탕을 대표 메뉴로 제공한다.[22][23] 존슨탕은 김치를 일반 배추 잎으로 대체하고 라면 사리를 넣지 않으며, 가공 치즈는 요청 시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포함된다(일부 식당의 경우). 또한, 많은 부대찌개 식당에서는 테이블에서 요리를 조리하지만, 존슨탕은 이미 조리된 상태로 제공된다.[5] 이태원 등에서 볼 수 있는 존슨탕은 가공 치즈를 넣어 서양식의 진한 맛을 내지만, 인스턴트 라면을 넣지 않고, 가게에서 완성된 요리를 만들어 내놓는다는 차이가 있다.[52]
5. 재료 및 조리법
부대찌개는 대한민국에서 키트 형태로 판매되어 다른 나라로 수출된다.[11] 다양한 식당에서 독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자체적인 요리 방식을 개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22년에는 압구정동의 한 식당에서 토마토 수프를 육수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대찌개는 들어가는 재료와 조리법에 따라 의정부식과 송탄식으로 나뉜다.[5][37] 의정부식은 보리 기반의 고추장을 사용하여 더 걸쭉하고 매운 국물을 내는 반면, 송탄식은 배추를 주요 재료로 사용한다.[37] 1973년에 개업한 의정부시의 한 식당은 "수프 없는 부대찌개"라고 묘사되는 부대 고기 볶음을 판매하기도 한다.[20]
서울 용산구에서는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의 이름을 딴 존슨탕(존슨탕|Jonseuntang한국어)이라는 부대찌개도 맛볼 수 있다.[10][11][21] 존슨탕은 김치 대신 일반 배추 잎을 사용하고 라면 사리를 넣지 않으며, 치즈는 기본적으로 포함된다. 또한, 많은 부대찌개 식당에서는 테이블에서 직접 조리하지만, 존슨탕은 이미 조리된 상태로 제공된다.[5]
일부에서는 짠맛, 저장성, 품질이 낮다고 여겨지는 재료를 제외하거나 대체하기도 하며,[24][17][25][11] 채식주의자를 위한 부대찌개도 존재한다.[15]
5. 1. 재료
sagol-yuksu|사골육수한국어 등 생선, 고기 또는 뼈를 우려낸 육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0][11][5] 일반적인 재료로는 햄,[12][10] 소시지,[10][13] 런천 미트(예: 스팸)[13][10], 구운 콩,[12][10] 김치,[12][13][10] 인스턴트 라면 면,[13] 라면에 들어있는 매운 맛 조미료,[10] 당면,[31] 고추장,[13][10] 비엔나 소시지,[10] 베이컨,[12] 두부,[10] 돼지고기,[10] 다진 쇠고기, 만두, 마카로니,[12] 떡,[13][10] 아메리칸 치즈,[13] 모짜렐라 치즈,[13] 미나리, 파,[10] 고추,[10] 마늘, 옥수수,[10] 호박,[10] 버섯,[10] 제철 채소 등이 있다.[14] 스팸이나 비슷한 런천 미트는 종종 이 요리의 핵심 재료로 묘사된다.[10]육수에 고춧가루나 김치 등으로 매운맛을 더하고, 돼지고기, 배추, 호박 등의 채소, 두부, 떡, 햄, 소시지, 통조림 런천 미트, 인스턴트 라면 등을 넣어 끓인다.
전문점에서는 인스턴트 라면을 처음부터 넣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고 마지막에 "마무리"로 넣는 가게도 있으며, 특히 본고장인 의정부시의 맛집에서는 마무리로 넣는 경우가 많다.
5. 2. 조리법
부대찌개는 매우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찌개 국물은 맹물로 만들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사골육수|사골 육수한국어와 같은 생선, 고기 또는 뼈를 우려낸 육수를 선호한다.[10][11][5] 일반적인 재료에는 햄,[12][10] 소시지,[10][13] 런천 미트(예: 스팸),[13][10] 구운 콩,[12][10] 김치,[12][13][10] 인스턴트 라면 면,[13] 라면에 들어있는 매운 맛 조미료,[10] 당면,[31] 고추장,[13][10] 비엔나 소시지,[10] 베이컨,[12] 두부,[10] 돼지고기,[10] 다진 쇠고기, 만두, 마카로니,[12] 떡,[13][10] 아메리칸 치즈,[13] 모짜렐라 치즈,[13] 미나리, 파,[10] 고추,[10] 마늘, 옥수수,[10] 호박,[10] 버섯, 그리고 제철 채소 등이 있다.[14] 스팸이나 비슷한 런천 미트는 종종 이 요리의 핵심 재료로 묘사된다.[10]
이 요리는 채식주의자용 또는 동물성 제품으로 만들 수 있는 육수 또는 국물을 기반으로 한다.[4][15] 양념장은 고추장한국어과 간장, 설탕 등 다른 조미료를 포함한다.[4] 잘게 썰린 재료와 면을 육수에 넣고 끓이는데, 면을 액체가 끓기 전 또는 후에 넣는 것에 따라 차이가 있다.[4][16]

여러 사람이 냄비를 함께 나눠 먹는 경우가 많다.[19] 식당에서는 기본 재료가 함께 제공되며, 추가 요금을 내면 더 많은 재료를 추가할 수 있다.[40][11] 재료의 저렴한 가격, 레시피의 유연성, 그리고 조리의 용이함이 칭찬받았다.[17][18][19]
육수에 고춧가루나 김치 등으로 매운맛을 더하고, 돼지고기 등의 고기, 배추나 호박 등의 채소, 두부와 떡, 햄이나 소시지, 통조림 런천 미트, 인스턴트 라면 등을 넣어 끓인다.
전문점에서는 인스턴트 라면을 처음부터 넣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고 마지막에 "마무리"로 넣는 가게도 있으며, 특히 본고장인 의정부시의 숨겨진 맛집에서는 마무리로 넣는 경우가 많다. 처음부터 넣으면 한국의 매운 라면에 채소나 런천 미트 등의 재료를 넣고 만드는 것과 큰 차이가 없어진다.
6. 문화적 유산 및 논란
부대찌개는 한국 전쟁의 아픔과 가난을 극복하고, 미군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탄생한 음식이라는 점에서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다. 일부에서는 부대찌개가 미군 제국주의의 잔재라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24][17][32] 2005년 멀티미디어 예술 작품 ''BooDaeChiGae''는 C-레이션 통 안에 비디오를 전시했는데, 이 비디오는 부대찌개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주었고, 오디오는 미군 기지에서 쓰레기를 먹고 살았던 한국전쟁 생존자의 이야기였다.[45]
2020년, 카탈리나 스탄시우는 "한국인의 트라우마 이야기가 부대찌개|budaejjigae한국어 한 그릇을 통해 구현된다"고 썼다.[32] 2014년, 인류학자 그레이스 M. 초는 다음과 같이 썼다.
이러한 복합적인 감정은 부대찌개의 이름을 바꾸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서울 북쪽에 위치하고 많은 군 기지가 있는 도시인 의정부는 부대찌개|budae-jjigae한국어로 유명하다. 1998년 이후, 의정부 부대찌개 거리가 생겼다.[37][39][46] 1999년, 지방 정부는 이 요리의 이름을 의정부찌개|Uijeongbu-jjigae한국어 ("의정부 찌개")로 변경하려 했고, 거리의 이름도 그에 따라 변경하려 했다. 새로운 이름은 인기를 얻지 못했고, 거리의 이름은 결국 다시 바뀌었다.[39]
하지만 부대찌개는 한국의 근현대사를 상징하는 음식으로서, 한국인의 정체성과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선일보에 기고한 정동현은 이 음식을 서구 문화의 요소를 차용하지만 한국적인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그룹 방탄소년단에 비유했다.[20] 2017년, 의정부 시장은 이 요리를 한미 관계의 은유로 사용했다.[48]
2020년, 부대찌개를 제공하고 최초로 미슐랭 스타를 받은 한국 식당의 셰프 후니 김은 젊은 한국인들이 이 요리에 대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udae Jjigae: The Korean Army Base Stew That Became A Comfort Food
https://www.tastingt[...]
2022-10-22
[2]
웹사이트
Korean Soups: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Guk, Tang, Jjigae and Jeongol?
https://guide.michel[...]
2017-04-25
[3]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Spicy, Funky World of Korean Soups and Stews
https://www.seriouse[...]
2022-07-28
[4]
웹사이트
Budae-jjigae (Army Base Stew) recipe by Maangchi
https://www.maangchi[...]
2014-10-20
[5]
논문
https://www.kci.go.k[...]
2022
[6]
웹사이트
Budae Jjigae (Army Stew)
https://mykoreankitc[...]
2016-02-27
[7]
웹사이트
[Seoul Food Alley] 'Army stew' represents tumultuous mid-20th century history
https://www.koreaher[...]
2019-05-08
[8]
논문
Perception of common Korean dishes and foods among professionals in related fields
https://synapse.kore[...]
2012-12-31
[9]
보도자료
http://www.korean.go[...]
2014-05-02
[10]
웹사이트
https://folkency.nfm[...]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1]
웹사이트
How a South Korean comfort food went global
https://www.bbc.com/[...]
2020-06-10
[12]
뉴스
Life post-June 25, 1950
https://koreatimes.c[...]
2010-06-24
[13]
뉴스
The Korean Comfort Food at the Intersection of War and Peace
https://pdx.eater.co[...]
Vox Media
2017-03-03
[14]
웹사이트
budae-jjigae
http://www.hansik.or[...]
[15]
웹사이트
Vegan Korean Army Base Stew (Budae-jjigae)
https://thelittleveg[...]
2021-07-12
[16]
웹사이트
Budae Jjigae (Army Base Stew)
https://food52.com/r[...]
2019-01-22
[17]
웹사이트
Budae Jjigae
https://asianinspira[...]
2018-07-13
[18]
뉴스
How to make two-step spicy Korean army stew
https://www.irishtim[...]
2019-11-15
[19]
웹사이트
[ICONIC FOOD] Spicy stew comes straight from base: Korean staple budae jjigae has a short history, but is steeped in tradition
https://koreajoongan[...]
2019-04-29
[20]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2022-10-09
[21]
뉴스
From Trash to Delicious Treasure
http://times.hankook[...]
2004-12-30
[22]
웹사이트
Spam, franks and other presidential ingredients
https://koreajoongan[...]
2004-12-30
[23]
웹사이트
Bada Shikdang
https://www.timeout.[...]
2015-07-25
[24]
뉴스
Eating military base stew
https://contexts.org[...]
2014-08-22
[25]
웹사이트
When My Grandmother Fled North Korea, She Left Behind Army Base Stew
https://food52.com/b[...]
2019-01-24
[26]
웹사이트
The Economic History of Korea
https://eh.net/encyc[...]
[27]
웹사이트
Koreans in Japan
http://spice.fsi.sta[...]
[28]
논문
Development Delayed: U.S. Economic Policy in Occupied Korea, 1945—1948
https://www.jstor.or[...]
2001
[29]
논문
The War's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https://www.jstor.or[...]
1993
[30]
웹사이트
From Miracle to Maturity: The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https://www.hks.harv[...]
[31]
웹사이트
https://news.koreada[...]
2016-10-04
[32]
서적
Food, Nutrition and the Media
Springer Nature
2020-08-03
[33]
웹사이트
https://www.ohmynews[...]
2020-11-11
[34]
웹사이트
http://monthly.chosu[...]
2010-06-08
[35]
웹사이트
戰時 피란수도 부산(釜山), 70년 전의 흔적을 찾아서
http://monthly.chosu[...]
2020-09-13
[36]
웹사이트
https://www.busan.co[...]
2023-07-25
[37]
간행물
2018-05-31
[38]
웹사이트
https://www.newsis.c[...]
2023-07-25
[39]
뉴스
Uijeongbu restaurant owners take pride in army base stew
https://koreatimes.c[...]
2013-04-01
[40]
뉴스
Smart Mouth: The Korean stew that "M*A*S*H" made
https://www.washingt[...]
2023-07-23
[41]
웹사이트
Korean cooking with Anderson Cooper and Anthony Bourdain
https://www.cnn.com/[...]
2023-07-24
[42]
서적
Appetites: A Cookbook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23-07-25
[43]
웹사이트
The Must-Eat Dishes in South Korea
https://guide.michel[...]
2023-07-23
[44]
웹사이트
North Korea bans 2 South Korean dishes
https://www.rfa.org/[...]
2024-11-29
[45]
서적
Haunting the Korean Diaspora: Shame, Secrecy, and the Forgotten War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2023-07-25
[46]
뉴스
Food map: Eat your way around Korea
http://edition.cnn.c[...]
2012-04-12
[47]
서적
Cold War Cosmopolitanism: Period Style in 1950s Korean Cinema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3-07-25
[48]
웹사이트
http://monthly.chosu[...]
2023-07-25
[49]
논문
Tasting the "Forgotten War": Korean/American Memory and Military Base Stew
https://muse.jhu.edu[...]
2018
[50]
서적
KOREA Magazine May 2017
https://books.google[...]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2023-07-25
[51]
웹사이트
부대찌개
https://folkency.nfm[...]
한국国立民俗博物館
2023-05-26
[52]
웹사이트
존슨탕을 아시나요? 미군부대 앞서 시작된 부대찌개 사촌기사입력
http://www.tvreport.[...]
TV report
2013-04-13
[53]
웹인용
부대찌개
https://folkency.nfm[...]
2018-12-14
[54]
웹사이트
의정부 부대찌개 vs 송탄 부대찌개
http://gnews.gg.go.k[...]
[55]
웹사이트
존슨탕을 아시나요? 미군부대 앞서 시작된 부대찌개 사촌
http://www.tvreport.[...]
2011-04-28
[56]
영상인용
제12회 - 존슨탕을 아시나요
https://tv.kakao.com[...]
교통방송
2013-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