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의 기념물은 부산광역시가 지정한 문화유산으로,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있는 유적, 유물, 건축물, 자연물 등을 포함한다. 1972년 처음 지정된 이래, 연산동 고분군, 만덕사지, 동래읍성지 등 다양한 유형의 기념물이 지정되었으며, 2023년 11월 기준으로 64개의 기념물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문화유산 -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는 건축물, 서적, 회화, 조각, 공예품 등 다양한 종류를 포함하며, 동래부 동헌, 충렬사, 범어사 대웅전, 장안사 대웅전 등이 주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부산광역시의 문화유산 - 부산광역시의 민속문화재
    부산광역시의 민속문화재는 부산 지역의 역사, 종교,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1999년부터 총 19건이 지정되었으며 갑주, 군복, 불교 의식구, 민간 신앙 유적 등 다양한 유형의 문화재를 포함한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념물 - 충청북도의 기념물
    충청북도의 기념물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있는 도내 문화재로서 사당, 묘소, 유적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현재 151개가 지정되어 있고, 일부는 지정 해제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념물 - 경상북도의 기념물
    경상북도 기념물은 경상북도 내에 있는 자연유산과 역사적 기념물을 포함하는 문화재로, 제1호부터 제200호까지 지정되어 있으며 일부는 정보 부족 또는 지정 해제로 상세 정보가 누락되어 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한자釜山廣域市記念物
히라가나ふざんこういきしきねんぶつ
가타카나プサンクァンヨクシ キニョムムル
로마자 표기Busan Gwangyeoksi Ginyeommul

2. 역사

번호등록명소재지관리자
제001호괴정동패총사하구
제002호연산동고분군연제구연제구
제003호만덕사지북구북구
제004호배산성지연제구연제구
제005호동래읍성지동래구동래구
제006호구포왜성북구북구
제007호부산진지성동구동구
제008호좌수영성지수영구수영구
제009호윤공단사하구사하구
제010호정공단동구정공단보존회
제011호송공단동래구동래구
제012호이십오의용단수영구수영고적민속보존회
제013호임진동래의총동래구동래구
제014호온정개건비동래구동래구
제015호금정산성복설비금정구금정구
제016호래주축성비동래구동래구
제017호약조제찰비남구부산광역시립박물관
제018호척화비남구부산광역시립박물관
제019호부산진지성서문 및 성곽우주석동구동구
제020호정운공순의비사하구사하구
제021호동래남문비남구부산광역시립박물관
제022호오륙도남구남구
제023호유엔묘지남구유엔관리소
제024호에덴공원사하구사하구
제025호용두산공원중구중구
제026호금강공원동래구동래구
제027호몰운대사하구사하구
제028호태종대영도구영도구
제029호신선대남구남구
제030호송도해수욕장서구서구
제031호해운대해수욕장해운대구해운대구
제032호올림픽공원부산진구부산진구
제033호이섭교비동래구동래구
제034호천성진성강서구강서구
제035호가덕도척화비강서구강서구
제036호가덕도자생동백나무군락강서구강서구
제037호장안사대웅전기장군기장군
제038호기장알봉수대기장군기장군
제039호기장향교기장군향교재단
제040호기장읍성기장군기장군
제041호기장척화비기장군기장군
제042호노포동고분군금정구금정구
제043호생곡동가달고분강서구강서구
제044호범방동패총강서구강서구
제045호해운대석각해운대구
제046호해운대동백섬해운대구
제047호김해죽도왜성강서구
제048호기장죽성리왜성기장군기장군
제049호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중구부산광역시
제050호기장죽성리의 해송기장군기장군
제051호부산지방기상청중구기상청
제052호사처석교비남구부산광역시
제053호임시수도대통령관저서구부산광역시
제054호정과정유적지수영구수영구
제055호부산진일신여학교동구대한예수교장로회
제056호영도대교영도구부산광역시
제057호망산도·유주암강서구강서구
제058호기장동부리의 느티나무기장군기장군


2. 1. 지정 및 해제

번호등록명소재지관리자
제001호괴정동패총사하구
제002호연산동고분군연제구연제구
제003호만덕사지북구북구
제004호배산성지연제구연제구
제005호동래읍성지동래구동래구
제006호구포왜성북구북구
제007호부산진지성동구동구
제008호좌수영성지수영구수영구
제009호윤공단사하구사하구
제010호정공단동구정공단보존회
제011호송공단동래구동래구
제012호이십오의용단수영구수영고적민속보존회
제013호임진동래의총동래구동래구
제014호온정개건비동래구동래구
제015호금정산성복설비금정구금정구
제016호래주축성비동래구동래구
제017호약조제찰비남구부산광역시립박물관
제018호척화비남구부산광역시립박물관
제019호부산진지성서문 및 성곽우주석동구동구
제020호정운공순의비사하구사하구
제021호동래남문비남구부산광역시립박물관
제022호오륙도남구남구
제023호유엔묘지남구유엔관리소
제024호에덴공원사하구사하구
제025호용두산공원중구중구
제026호금강공원동래구동래구
제027호몰운대사하구사하구
제028호태종대영도구영도구
제029호신선대남구남구
제030호송도해수욕장서구서구
제031호해운대해수욕장해운대구해운대구
제032호올림픽공원부산진구부산진구
제033호이섭교비동래구동래구
제034호천성진성강서구강서구
제035호가덕도척화비강서구강서구
제036호가덕도자생동백나무군락강서구강서구
제037호장안사대웅전기장군기장군
제038호기장알봉수대기장군기장군
제039호기장향교기장군향교재단
제040호기장읍성기장군기장군
제041호기장척화비기장군기장군
제042호노포동고분군금정구금정구
제043호생곡동가달고분강서구강서구
제044호범방동패총강서구강서구
제045호해운대석각해운대구
제046호해운대동백섬해운대구
제047호김해죽도왜성강서구
제048호기장죽성리왜성기장군기장군
제049호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중구부산광역시
제050호기장죽성리의 해송기장군기장군
제051호부산지방기상청중구기상청
제052호사처석교비남구부산광역시
제053호임시수도대통령관저서구부산광역시
제054호정과정유적지수영구수영구
제055호부산진일신여학교동구대한예수교장로회
제056호영도대교영도구부산광역시
제057호망산도·유주암강서구강서구
제058호기장동부리의 느티나무기장군기장군


2. 2. 유형별 현황

부산광역시의 기념물은 유형별로 그 현황이 다양하다. 연산동 고분군, 만덕사지, 배산성지, 동래읍성지, 구포왜성, 부산진지성, 좌수영성지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유적들이 많이 있다.

윤공단, 정공단, 송공단, 이십오의용단, 임진동래의총 등 임진왜란과 관련된 장소들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온정개건비, 금정산성복설비, 래주축성비, 약조제찰비, 척화비, 부산진지성 서문 및 성곽우주석, 정운공순의비, 동래남문비 등 비석과 관련된 기념물도 다수 존재한다.

몰운대, 신선대 등 자연경관과 관련된 기념물도 있다.

천성진성, 가덕도 척화비, 가덕도 자생 동백나무 군락, 장안사 대웅전, 기장 읍성, 기장 척화비, 노포동 고분군, 생곡동 가달 고분, 범방동 패총, 해운대 동백섬, 김해 죽도 왜성, 기장 죽성리 왜성,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 기장 죽성리의 해송, 부산지방기상청, 사처석교비, 임시수도 대통령 관저, 정과정 유적지, 부산진일신여학교, 영도대교, 망산도·유주암, 기장 동부리의 느티나무 등 다양한 유형의 기념물들이 지정되어 있다.

3. 목록

nullwikitext

3. 1. 제1호 ~ 제10호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1호 괴정동 패총은 도시화로 유적이 훼손되어 1978년 11월 3일 지정 해제되었다. 제2호 연산동 고분군은 사적 제539호로 승격되어 2017년 6월 30일 해지되었다. 제3호 만덕사지는 부산 북구 만덕1동 30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1972년 6월 26일 지정되었다. 제4호 배산성지는 부산 연제구 연산동 산38-1 일원에 위치하며, 1972년 6월 26일 지정되었다.[1] 제5호 동래읍성지는 부산 동래구 복천동, 안락동, 명륜동, 칠산동, 명장동 일대에 위치하며, 1972년 6월 26일 지정되었다. 제6호 구포왜성은 부산 북구 덕천1동 산93번지에 위치하며, 1972년 6월 26일 지정되었다. 제7호 부산진성은 부산 동구 자성로 99 (범일동)에 위치하며, 1972년 6월 26일 지정되었다. 제8호 경상좌수영성지는 부산 수영구 망미동, 광안동 일대에 위치하며, 1972년 6월 26일 지정되었다. 2014년 9월 3일 좌수영성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9호 윤공단은 부산 사하구 윤공단로 112 (다대동)에 위치하며, 1972년 6월 26일 지정되었다. 제10호 정공단은 부산 동구 정공단로 23 (좌천동, 정공단)에 위치하며, 1972년 6월 26일 지정되었다.

3. 2. 제11호 ~ 제20호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11호 송공단은 동래구 동래시장길 27 (복천동)에 위치하며, 1972년 6월 26일에 지정되었다. 제12호 25의용단(25義勇壇)은 수영구 수영동 362번지에 있으며, 수영고적민속보존회에서 관리하고 1972년 6월 26일에 지정되었다. 제13호 임진동래의총은 동래구 우장춘로 157-67 (온천동)에 위치하며, 동래구에서 관리하고 1972년 6월 26일에 지정되었다. 제14호 온정개건비는 동래구 금강로124번길 23-17 (온천동)에 위치하며, 동래구에서 관리하고 1972년 6월 26일에 지정되었다.

제15호 금정산성 부설비는 금정구 장전2동 482번지에 위치하며, 금정구에서 관리하고 1972년 6월 26일에 지정되었다. 2014년 9월 3일에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16호 내주축성비는 동래구 복천동 3-2에 위치하며, 동래구에서 관리하고 1972년 6월 26일에 지정되었다. 제17호 약조제찰비는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에 위치하며,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서 관리하고 1972년 6월 26일에 지정되었다. 제18호 척화비는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에 위치하며,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서 관리하고 1972년 6월 26일에 지정되었다.

제19호 부산진성 서문 성곽우주석은 동구 자성로 99 (범일동)에 위치하며, 부산광역시 동구에서 관리하고 1972년 6월 26일에 지정되었다. 2014년 9월 3일에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20호 정운공 순의비는 사하구 다대동 산144에 위치하며, 사하구에서 관리하고 1972년 6월 26일에 지정되었다. 2014년 9월 3일에 명칭이 변경되었다.

3. 3. 제21호 ~ 제30호

동래 남문비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1호 '''동래 남문비'''(東萊 南門碑)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있다. 1972년 6월 26일 지정되었다.

3. 4. 제31호 ~ 제40호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33호 이섭교비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에 있다.[1] 1739년(영조 15)에 세워진 다리 건설 기념비이다.[1]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34호 천성진성은 부산 강서구 천성동에 위치한 성곽이다.[1] 조선 시대 수군 진영으로, 가덕도 왜성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되었다.[1]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35호 가덕도 척화비는 부산 강서구 성북동에 위치한 비석이다.[1] 흥선대원군의 쇄국 정책을 보여주는 역사적 유물이다.[1]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36호 가덕도 동백군락은 부산 강서구 대항동에 위치한 동백나무 군락지이다.[1]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38호 기장 아이봉수대는 부산 기장군 장안읍 효암리에 있는 봉수대이다.[1] 조선 시대 군사 통신 시설로, 임진왜란 때 중요한 역할을 했다.[1]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39호 기장향교는 부산 기장군 기장읍 교리에 위치한 향교이다.[1]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으로, 유교 교육과 인재 양성을 담당했다.[1]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0호 기장읍성은 부산 기장군 기장읍에 위치한 성곽이다.[1] 조선 시대 읍성으로,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되었다.[1]

3. 5. 제41호 ~ 제50호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1호 기장 척화비1996년 5월 25일에 지정되었으며, 용암초등학교 내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9월 3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2호 노포동 고분군1996년 5월 25일에 지정되었으며, 금정구 노포동 142-1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9월 3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3호 생곡동 가달고분군은 1996년 5월 25일에 지정되었으며, 강서구 생곡동 산93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9월 3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4호 범방동 패총1996년 5월 25일에 지정되었으며, 강서구 범방동 195-1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9월 3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5호 해운대 석각1999년 3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해운대구 우1동(동백섬 내)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9월 3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6호 해운대 동백섬은 1999년 3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해운대구 우동 783-1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9월 3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7호 김해 죽도왜성1999년 3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강서구 죽림동 787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9월 3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8호 기장 죽성리왜성1999년 3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601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9월 3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9호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은 일제 강점기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부산지점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2001년 5월 16일에 지정되었으며, 부산 중구 대청동2가 24-2,8,9,10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9월 3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50호 기장 죽성리 해송2001년 5월 16일에 지정되었으며, 기장군 기장읍 두호2길 20 (죽성리)에 위치하고 있다. 2014년 9월 3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3. 6. 제51호 ~ 제60호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1호는 부산지방기상청으로 부산 중구 대청동1가 9-305에 위치하며 기상청이 관리한다. 1934년 건립된 부산지방기상청 청사는 일제 강점기 근대 건축 기술과 재료, 디자인 등을 잘 보여주는 건물로, 등록문화재 제593호로 지정되었다. 2001년 10월 17일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2호는 사처석교비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위치하며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이 관리한다. 사처석교는 조선 숙종 24년(1698)에 동래부사 이세복이 가설한 다리로, 동래부에서 경주로 가는 길목에 위치했다. 비석은 사처석교의 건설 경위와 참여 인원 등을 기록하고 있으며, 1704년에 건립되었다. 2001년 10월 17일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3호는 임시수도 대통령관저였으나, 2018년 11월 6일 사적 546호로 승격되어 해제되었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4호는 정과정 유적지로 부산 수영구 망미동 산6-2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수영구가 관리한다. 정과정 유적지는 고려시대 문신 정과 정서가 유배 생활을 하며 정과정곡을 지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2003년 5월 6일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5호는 부산진일신여학교로 부산 동구 좌천동 768-1번지에 위치하며 (재)대한예수교장로회경남노회유지재단이 관리한다. 부산진일신여학교는 호주 선교사들이 설립한 근대식 여성 교육 기관으로, 3·1 운동 당시 부산 지역 만세 운동을 주도한 곳 중 하나이다. 2003년 5월 2일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6호는 영도대교로 부산 영도구 대교동1가에 위치하며 부산광역시가 관리한다. 영도대교는 1934년 개통된 대한민국 최초의 연륙교이자 유일한 도개교로, 일제 강점기 부산의 상징적인 건축물 중 하나였다. 2006년 11월 25일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7호는 망산도·유주암으로 부산 강서구 송정동 산188일원에 위치하며 강서구청이 관리한다. 망산도는 조선시대 수군이 왜적의 침입을 감시하던 곳이며, 유주암은 임진왜란이순신 장군이 함선을 정박하고 쉬어갔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바위이다. 2008년 4월 2일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8호는 기장동부리회화나무로 부산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16번지에 위치하며 기장군이 관리한다. 수령이 약 300년으로 추정되는 이 회화나무는 기장읍성의 동문 안쪽에 위치하며, 마을의 수호목 역할을 해왔다. 2008년 12월 16일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9호는 기장산성으로 부산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대라리, 철마면 안평리 일원에 위치한다. 기장산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된 산성으로, 임진왜란기장 지역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12년 5월 17일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60호는 동래부 동헌으로 부산 동래구 명륜로112번길 61에 위치하며 동래구청이 관리한다. 동래부 동헌조선시대 동래부의 관아 건물로,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1870년대에 중건된 것이다. 2013년 5월 8일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3. 7. 제61호 ~ 제64호

동래향교


금정산 금샘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61호는 동래향교이다. 1972년 6월 26일 지정되었다. 동래구 동래로 103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래향교에서 관리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62호는 금정산 금샘이다. 2013년 9월 25일에 지정되었으며 금정구 범어사로 244 (청룡동, 계명암)에 위치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63호는 금곡동 율리 바위그늘유적이다. 2013년 9월 25일에 지정되었으며 부산 북구 금곡동 산24에 위치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64호는 충장공 정발 전망비이다. 2015년 10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부산 동구 정공단로 23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 동구에서 관리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