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모비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라모비체어는 12세기 중세 고지 독일어에서 파생된 언어로, 저지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리지아어, 폴란드어의 영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빌라모비체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나, 전쟁 이후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었다가 1956년에 해제되었다. 2007년 미국 의회 도서관에 언어로 등록되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지 독일어 - 이디시어
이디시어는 중세 고지 독일어를 기반으로 형성되어 히브리어, 아람어, 로망스어, 슬라브어 어휘를 흡수하며 발전한 유대인들의 언어로, 동유럽에서 번성했으나 20세기 이후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현재는 특정 공동체에서 사용되며 일부 국가에서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 고지 독일어 - 표준 독일어
표준 독일어는 여러 지역 작가들이 폭넓게 이해될 수 있도록 발전시킨 문어에서 기원했으며, 마르틴 루터의 성경 번역과 요한 크리스토프 고체트의 문법 교본이 표준화에 기여했고, 현재는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에서 국가별 변이 형태로 존재한다. - 게르만어파 - 게르만조어
게르만조어는 기원전 5세기에 성립된 게르만어파의 조상 언어이며, 게르만족의 이동과 함께 주변 언어에 영향을 주고 서게르만어군, 동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으로 분화되었다. - 게르만어파 - 고대 작센어
고대 작센어는 5세기경 작센인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고대 영어, 고대 프리지아어와 관련이 있고, 중세 저지 독일어로 진화했으며, 굴절어이며 헬리안트 등의 문학 텍스트가 존재한다. - 폴란드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폴란드의 언어 -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 시대 속어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다키아 지역에서 발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공용어이고,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를 가진 로망스어이다.
빌라모비체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비라모비체어 |
다른 이름 | 빌라모비안어 |
지역 | 폴란드, 실레시아주, 빌라모비체 |
사용자 | 빌라모비체인 |
사용자 수 | 20명 (2017년)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 게르만어파 - 서게르만어군 - 엘베 게르만어군 - 고지 독일어 - 중부 독일어 - 동중부 독일어 - 슐레지엔 독일어 - 빌라모비체어 |
문자 | 라틴 문자 |
조상 언어 | 인도유럽조어 - 게르만조어 - 고대 튀링겐 방언 |
ISO 639-3 | wym |
Glotto 코드 | wymy1235 |
Glottolog 참조 | Wymysorys |
언어 상태 | |
언어 생존 위협 | 심각한 위기 |
기타 정보 | |
관련 링크 | 빌라모비체어 উইকিঅভিধান |
2. 역사
빌라모비체어는 12세기 중세 고지 독일어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저지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리지아어, 폴란드어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빌라모비체인들은 13세기경 폴란드에 정착한 네덜란드, 독일 및 스코틀랜드 출신 이주자의 후손으로 보이나, 스스로는 독일과의 혈연적 유대관계를 거부하고 네덜란드인의 후손이라고 여겼다.
19세기에 언어학자 플로리안 비에식이 빌라모비체어의 정서법을 비롯한 문어 체계의 기틀을 갖추었고, 시 등 문학작품도 남겼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만 해도 빌라모비체에서는 입말로 늘 쓰이던 언어였다. 종전 후 이 지역 공산주의자들이 이 언어의 사용을 금지하다가, 1956년에 금지를 거두었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은 점차 폴란드어로 옮겨 갔으며, 특히 젊은 세대는 빌라모비체어를 전혀 말하지 못한다. 주민들의 광범위한 이중 언어 사용은 대부분의 지역 주민들이 독일로 강제 이주되는 것을 막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녀에게 언어를 가르치거나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을 중단했다.
2. 1. 기원과 정착
빌라모비체어는 12세기 중세 고지 독일어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저지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리지아어, 폴란드어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빌라모비체인들은 13세기경 폴란드에 정착한 네덜란드, 독일 및 스코틀랜드 출신 이주자의 후손으로 보이나, 스스로는 독일과의 혈연적 유대관계를 거부하고 네덜란드인의 후손이라고 여긴다(폴란드의 반독정서에 따른 자기방어기제로 보인다).[5][9][10][11] 많은 거주민들은 자신들이 플랑드르, 프리지아, 홀란드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다른 사람들은 자신들이 앵글로-색슨족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12]


역사적으로 독일어 방언 연속체에서 파생되었지만, 빌라모비체어는 표준 독일어와 상호 이해성이 없다.[13] 빌라모비체어 사용자는 폴란드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다른 서게르만어 고립 공동체와는 달리,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예: Halcnovian)이 사용되었지만, 스스로를 독일인으로 여기지 않았고 독일어가 아닌 폴란드어를 ''Dachsprache''로 사용했다.[14]
2. 2. 쇠퇴와 소멸 위기
12세기 중세 고지 독일어에서 갈라져 나온 빌라모비체어는 저지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리지아어, 폴란드어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빌라모비체인들은 13세기경 폴란드에 정착한 네덜란드, 독일 및 스코틀랜드 출신 이주자의 후손으로 보이나, 스스로는 독일과의 혈연적 유대관계를 거부하고 네덜란드인의 후손이라고 여긴다(폴란드의 반독정서에 따른 자기방어기제로 보인다).[5][9][10][11][12] 역사적으로 독일어 방언 연속체에서 파생되었지만, 빌라모비체어는 표준 독일어와 상호 이해성이 없다.[13]빌라모비체어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빌라모비체의 토착 언어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쇠퇴한 것으로 보인다. 1880년에는 도시 인구의 92%가 빌라모비체어를 사용했고, 1890년에는 72%, 1900년에는 67%, 1910년에는 다시 73%였다.[13] 빌라모비체어가 지역 학교에서 가르쳐졌지만, 1875년부터 오스트리아-헝가리 갈리시아의 대부분 학교에서 기본 교육 언어는 폴란드어였다.[13] 제2차 세계 대전과 독일 점령 기간 동안, 빌라모비체어는 나치 행정부에 의해 공개적으로 장려되었지만, 전쟁 후 상황이 바뀌었다. 지역 공산주의 당국은 어떤 형태로든 빌라모비체어 사용을 금지했다.[13][15] 1956년 이후 금지령이 해제되었지만, 빌라모비체어는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폴란드어로 점차 대체되었다.[13]
오늘날, 빌라모비체어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이 언어로 새로운 노래와 가사가 쓰여지고 있다. Hobbit. Hejn ȧn cyryk|호빗. 헤인 안 치릭wym이라는 연극은 J. R. R. 톨킨의 산문을 바탕으로 빌라모비체어로 쓰여졌으며, 2016년 2월 바르샤바 폴란드 극장 등에서 공연되었다.[16]
Tymoteusz Król의 제안에 따라, 미국 의회 도서관은 2007년 7월 18일에 빌라모비체어를 언어 목록에 추가했다.[17] 또한 국제 표준화 기구에 등록되어 ''wym'' ISO 639-3 코드를 받았다.[6][18] 2009년 유네스코 보고서에서 빌라모비체어는 "심각한 멸종 위기"이며 거의 멸종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7]
2. 3. 언어 보존 노력
빌라모비체어는 12세기 중세 고지 독일어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저지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리지아어, 폴란드어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만 해도 빌라모비체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쓰이던 언어였으나, 종전 후 이 지역 공산주의자들이 이 언어의 사용을 금지했다가 1956년에 금지를 철회하였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은 점차 폴란드어를 사용하게 되었고, 특히 젊은 세대는 빌라모비체어를 전혀 말하지 못하게 되었다.[13][15]19세기에 언어학자 플로리안 비에식이 빌라모비체어의 문자 체계의 기틀을 갖추었고, 시 등 문학작품도 남겼다.
오늘날 빌라모비체어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이 언어로 새로운 노래와 가사가 쓰여지고 있다. J. R. R. 톨킨의 산문을 바탕으로 빌라모비체어로 쓰여진 Hobbit. Hejn ȧn cyryk|호빗. 헤인 온 치릭wym이라는 연극은 2016년 2월 바르샤바 폴란드 극장 등에서 공연되었다.[16]
Tymoteusz Król의 제안으로, 미국 의회 도서관은 2007년 7월 18일에 빌라모비체어를 언어 목록에 추가했다.[17] 또한 국제 표준화 기구에 등록되어 ''wym'' ISO 639-3 코드를 받았다.[6][18] 2009년 유네스코 보고서에서 빌라모비체어는 "심각한 멸종 위기"이며 거의 멸종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7]
Wikimedia Polska 협회의 회원들도 이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를 구하는 데 참여했다. "빌라모비체" 프로젝트[19]의 일환으로, Józef Gara가 읽은 빌라모비체어 단어가 녹음되었고, Wiktionary의 빌라모비체어 사전이 보충되었다 (2018년, 사전은 7,000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었다).[20][21]



21세기 첫 10년 동안 몇몇 새로운 부흥 노력이 시작되었으며, 여기에는 비스와모비체어 사용자인 티모테우시 크롤이 주도했다. 그의 노력에는 학생 그룹과의 개인 수업, 언어 기록 수집, 표기법 표준화, 비스와모비체어 최초의 사전 편찬 등이 포함된다. 또한, 비스와모비체어 연구를 위한 통일된 학문 단체를 만들기 위해 바르샤바 대학교의 "Artes Liberales" 프로그램에 따라 Wymysiöeryśy Akademyj – Accademia Wilamowicziana 또는 WA-AW라는 새로운 프로젝트가 설립되었다.[22]
3. 알파벳
빌라모비체어 알파벳은 34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결합자모 ao가 하나의 자모인 것이 큰 특징이다. 일부 문자는 폴란드어에 영향을 받았다. 뷔미소리스어는 수세기 동안 주로 구어였다. 이 언어로 주요 문학 작품을 처음 쓴 작가인 플로리안 비에식 시대에 이르러서야 라틴 문자의 별도 버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비에식은 자신의 언어의 음성에 더 적합하다고 여겼던 일반적인 폴란드어 알파벳으로 대부분의 작품을 썼다.[13] 최근에는 지역 언어로 작품을 쓴 또 다른 작가인 요제프 가라(1929–2013)가 폴란드어를 기반으로 하여 라틴 문자를 활용하여 34개의 문자로 구성된 독자적인 뷔미소리스어 알파벳을 고안했다.
대문자 형태 (대문자 또는 자본 문자라고도 함) | |||||||||||||||||||||||||||||||||
---|---|---|---|---|---|---|---|---|---|---|---|---|---|---|---|---|---|---|---|---|---|---|---|---|---|---|---|---|---|---|---|---|---|
A | AO | B | C | Ć | D | E | F | G | H | I | J | K | Ł | L | M | N | Ń | O | Ö | P | R | S | Ś | T | U | Ü | W | X[23] | Y | Z | Ź | Ż | |
소문자 형태 (소문자 또는 작은 글자라고도 함) | |||||||||||||||||||||||||||||||||
a | ao | b | c | ć | d | e | f | g | h | i | j | k | ł | l | m | n | ń | o | ö | p | r | s | ś | t | u | ü | w | x[23] | y | z | ź | ż |
뷔미소리스어 정서법에는 별도의 문자로 취급되는 이중 문자 "AO"가 포함된다.
4. 음운
빌라모비체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 모음, 이중모음으로 구성된다.
colspan=2 rowspan=2| | 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후퇴 | 구개음화 | ||||||||
비음 | colspan=2| | ||||||||
파열음 | 무성음 | colspan=2| | |||||||
유성음 | colspan=2| | ||||||||
파찰음 | 무성음 | () | |||||||
유성음 | () | () | () | () | |||||
마찰음 | 무성음 | () | () | ||||||
유성음 | () | ||||||||
전동음 | colspan=2| | ||||||||
측음 | colspan=2| | ||||||||
접근음 | colspan=2|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 | () | |||
반고모음 | colspan=2| | ||||
중고모음 | colspan=2| | ||||
중모음 | colspan=2| | colspan=2| | |||
저중모음 | colspan=2| | ||||
개모음 | colspan=2| | colspan=2| |
4. 1. 자음
colspan=2 rowspan=2| | 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후퇴 | 구개음화 | ||||||||
비음 | colspan=2| | ||||||||
파열음 | 무성음 | colspan=2| | |||||||
유성음 | colspan=2| | ||||||||
파찰음 | 무성음 | () | |||||||
유성음 | () | () | () | () | |||||
마찰음 | 무성음 | () | () | ||||||
유성음 | () | ||||||||
전동음 | colspan=2| | ||||||||
측음 | colspan=2| | ||||||||
접근음 | colspan=2| |
- 유성 파열음, 치찰 마찰음 및 파찰음은 어말 위치에서 규칙적으로 무성음화되거나 무성음이 된다.
- 와 의 음은 화자에 따라 서로 바뀔 수 있다. 의 사용은 폴란드어의 영향으로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일반적으로 들리며, 역사적으로 게르만어에서는 성문 마찰음 이 일반적으로 들린다.
- 일련의 치경구개 및 치경구개 마찰음과 파찰음은 다양한 화자 사이에서 서로 바꿔서 들린다.
- 는 의 변이음으로 단어 종결 위치에서 들린다.
- 유성 파찰음 는 폴란드어 차용어에서만 들린다.
- 일련의 평평한 권설 치찰음 및 파찰음 도 폴란드어 차용어에서 치경구개 음 과 함께 서로 바뀌어 들린다.
- 순구개 접근음 은 영어보다 입술 둥글림 정도가 적으며, 폴란드어의 ''ł'' 의 발음과 더 유사하다.
4. 2. 모음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i | y | (ɨ) | (ʉ) | u |
반고모음 | ɪ | ʏ | colspan=2| | ||
중고모음 | e | ø | ɘ | o | |
중모음 | colspan=2| | ə | |||
저중모음 | ɛ | œ | colspan=2| | ɔ | |
개모음 | colspan="2" | | a | ɑ |
5. 어휘
빌라모비체어에서 철자 '''ł'''는 영어의 '''w'''로, 철자 '''w'''는 영어의 '''v'''로 발음된다.
빌라모비체어 | 독일어 | 네덜란드어 | 영어 |
---|---|---|---|
ałan | allein | alleen | alone |
ana, an | und | en | and |
bryk | Brücke | brug | bridge |
duł | dumm | dom | dull |
fuylgia | hören | horen | to hear (but cf. Dutch volgen and German folgen "to follow", which also mean "to understand, hear", also cf. eng "follow?" "understand") |
ganc | ganz | gans | entirely |
gyrycht | Gericht | gerecht | court (cf. German Recht "{legal} right" and English right) |
dyr hymół | Himmel | hemel | heaven |
łove | Liebe | liefde | love |
a mikieła | ein bisschen | een beetje | a bit (cf. Old English "micel") |
müter | Mutter | moeder | mother |
myttółt | Mitte | middel | middle |
nimanda | niemand | niemand | no one |
ny | nein | nee | no |
ödum | Atem | adem | breath (cf. Old English "ǽðm" and archaic German Odem) |
olifant | Elefant | olifant | elephant |
öwyt | Abend | avond | evening |
śraeiwa | schreiben | schrijven | to write (cf. English "scribe") |
syster | Schwester | zuster | sister |
śtaen | Stein | steen | stone |
trynkia | trinken | drinken | to drink |
uöbroz | Bild | beeld | picture (cf. Polish obraz and cognates in other Slavonic languages) |
wełt | Welt | wereld | world |
wynter | Winter | winter | winter |
zyłwer | Silber | zilver | silver |
zyjwa | sieben | zeven | seven |
sgiöekumt | wilkommen | welkom | welcome |
빌라모비체어는 12세기의 중세 고지 독일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폴란드어의 강한 영향을 받았고, 저지 독일어, 네덜란드어, 고대 영어, 프리지아어의 영향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5][9][10]
6. 현대의 빌라모비체어
빌라모비체어는 12세기 중세 고지 독일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폴란드어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저지 독일어, 네덜란드어, 고대 영어, 프리지아어의 영향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5][9][10] 빌라모비체 주민들은 13세기에 폴란드에 정착한 독일, 플랑드르, 스코틀랜드 이주민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11] 역사적으로 독일어 방언 연속체에서 파생되었지만, 표준 독일어와 상호 이해성은 없다.[13]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빌라모비체의 토착 언어였으나, 19세기 후반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다. 1880년에는 도시 인구의 92%가 사용했지만, 1910년에는 73%로 감소했다.[13] 제2차 세계 대전과 독일 점령 기간 동안 나치 행정부에 의해 공개적으로 장려되었지만, 전쟁 후 지역 공산주의 당국은 빌라모비체어 사용을 금지했다.[13][15] 이중 언어 사용 덕분에 대부분의 주민들은 독일로 강제 이주되는 것을 피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녀에게 언어를 가르치거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을 중단했다.[13] 1956년 금지령 해제 이후에도 빌라모비체어는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폴란드어로 대체되었다.
Wikimedia Polska 협회는 Józef Gara가 읽은 빌라모비체어 단어 녹음, Wiktionary 사전 보충 등 언어 보존에 참여했다.[19][20][21]
대부분의 주민들은 같은 성(Mozler, Rozner, Figwer, Biba, Foks, Sznajder)을 가지고 있어 별명(Fliöer-Fliöer, Hȧla-Mockja, 즉 플로리안, 플로리안의 아들 또는 마체이, 엘즈비에타의 아들)이 사용되었다.
6. 1. 언어 복원 노력
21세기 첫 10년 동안 티모테우시 크롤을 중심으로 비스와모비체어 부흥 노력이 시작되었다. 크롤의 노력에는 학생 그룹과의 개인 수업, 언어 기록 수집, 표기법 표준화, 비스와모비체어 최초의 사전 편찬 등이 포함된다.[22] 바르샤바 대학교의 "Artes Liberales" 프로그램에 따라 비스와모비체어 연구를 위한 통일된 학문 단체인 Wymysiöeryśy Akademyj – Accademia Wilamowicziana (WA-AW)라는 새로운 프로젝트도 설립되었다.[22]
6. 2. 국제적 인정
빌라모비체어는 12세기 중세 고지 독일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폴란드어의 강한 영향을 받았고, 저지 독일어, 네덜란드어, 고대 영어, 프리지아어의 영향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5][9][10] 빌라모비체 주민들은 13세기에 폴란드에 정착한 독일, 플랑드르, 스코틀랜드 이주민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11] 역사적으로 독일어 방언 연속체에서 파생되었지만, 빌라모비체어는 표준 독일어와 상호 이해성이 없다.[13]빌라모비체어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빌라모비체의 토착 언어였다. 19세기 후반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여, 1880년에는 도시 인구의 92%가 사용했지만, 1910년에는 73%로 감소하였다.[13] 제2차 세계 대전과 독일 점령 기간 동안, 나치 행정부에 의해 공개적으로 장려되었지만, 전쟁 후 지역 공산주의 당국은 빌라모비체어 사용을 금지했다.[13][15] 1956년 이후 금지령이 해제되었지만, 빌라모비체어는 폴란드어로 점차 대체되었다.
Tymoteusz Król의 제안으로, 미국 의회 도서관은 2007년 7월 18일에 빌라모비체어를 언어 목록에 추가했다.[17] 국제 표준화 기구에도 등록되어 ''wym'' ISO 639-3 코드를 받았다.[6][18] 2009년 유네스코 보고서에서 빌라모비체어는 "심각한 멸종 위기"이며 거의 멸종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7]
6. 3. 문화적 활용
빌라모비체어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빌라모비체의 토착 언어였으나, 19세기 후반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다. 1880년에는 도시 인구의 92%가 빌라모비체어를 사용했지만, 1910년에는 73%로 감소했다.[13] 제2차 세계 대전과 독일 점령 기간 동안, 나치 행정부는 빌라모비체어 사용을 장려했지만, 전쟁 후 지역 공산주의 당국은 사용을 금지했다.[13][15] 이중 언어 사용 덕분에 대부분의 주민들은 독일 강제 이주를 피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녀에게 언어를 가르치지 않았다.[13] 1956년 금지령 해제 이후에도 빌라모비체어는 폴란드어로 대체되었다.오늘날 빌라모비체어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이 언어로 새로운 노래와 가사가 쓰이고 있다. J. R. R. 톨킨의 산문을 바탕으로 빌라모비체어로 쓰여진 Hobbit. Hejn ȧn cyrykwym라는 연극은 바르샤바 폴란드 극장 등에서 공연되었다.[16]
미국 의회 도서관은 2007년 빌라모비체어를 언어 목록에 추가했고, 국제 표준화 기구는 ''wym'' ISO 639-3 코드를 부여했다.[17][6][18] 유네스코는 2009년 보고서에서 빌라모비체어를 "심각한 멸종 위기"로 분류했다.[17]
Wikimedia Polska 협회는 빌라모비체어 단어 녹음, Wiktionary 사전 보충 등 언어 보존에 참여했다.[19][20][21] 21세기에는 티모테우시 크롤을 중심으로 개인 수업, 언어 기록, 사전 편찬 등 부흥 노력이 시작되었다.[22] 또한, 비스와모비체어 연구를 위한 통일된 학문 단체를 만들기 위해 바르샤바 대학교의 "Artes Liberales" 프로그램에 따라 Wymysiöeryśy Akademyj – Accademia Wilamowicziana 또는 WA-AW라는 새로운 프로젝트가 설립되었다.[22]
7. 문학
주기도문 (wym):[24]
Ynzer Foter, dü byst ym hymuł,/Daj noma zuł zajn gywajt;/Daj Kyngrajch zuł dö kuma;/Daj wyła zuł zajn ym hymuł an uf der aot;/dos ynzer gywynłichys brut go yns hojt;/an fercaj yns ynzer siułda,/wi wir oj fercajn y ynzyn siułdigia;/ny łat yns cyn zynda;/zunder konst yns reta fum nistgüta./[Do Dajs ej z Kyngrajch an dy mocht, ans łowa uf inda.]/Amen|인저 포터, 뒤 비스트 임 히무,/다이 노마 줄 자인 기바이트;/다이 킹그라이히 줄 되 쿠마;/다이 뷜라 줄 자인 임 히무 안 우프 데어 아오트;/도스 인저 기뷘리히스 브루트 고 인스 호이트;/안 페르차이 인스 인저 슐다,/비 비어 오이 페르차인 이 인진 슐디기아;/니 와트 인스 친 진다;/준데어 콘스트 인스 레타 품 니스트귀타./[도 다이스 에이 스 킹그라이히 안 디 모흐트, 안스 워바 우프 인다.]/아멘wym
빌라모비체어로 된 자장가:
Śłöf maj buwła fest!/Skumma fremdy gest,/Skumma muma ana fettyn,/Z' brennia nysła ana epułn,/Śłöf maj Jasiu fest!|슈외프 마이 부브와 페스트!/스쿠마 프렘디 게스트,/스쿠마 무마 아나 페틴,/즈 브레니아 니슈와 아나 에푸운,/슈외프 마이 야슈 페스트!wym
참조
[1]
학술지
Awakening the Language and Speakers' Community of Wymysiöeryś
2017-11-10
[2]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Publishing
2015-04-11
[3]
간행물
Wörterbuch der deutschen Mundart von Wilamowice
https://upload.wikim[...]
Polish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4]
citation
wilamowicki czy wilamowski? – Poradnia językowa PWN
https://sjp.pwn.pl/p[...]
Polish Scientific Publishers PWN
2020-04-30
[5]
웹사이트
Wymysorys
https://www.ethnolog[...]
[6]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wym
http://www-01.sil.or[...]
[7]
서적
A Grammar of Wymysorys
https://slaviccenter[...]
Duke University
[8]
학술지
Awakening the Language and Speakers' Community of Wymysiöeryś
2017-11-10
[9]
논문
Some Considerations on the Origins of Wymysorys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Sydney
2012-11
[10]
간행물
Zarys gramatyczny współczesnego języka wilamowskiego
http://www.malopolsk[...]
[11]
citation
Język wilamowski pomoże zachować mowę Azteków
https://www.polskier[...]
Polskie Radio
2014-06-12
[12]
서적
A Grammar of Wymysorys
https://slaviccenter[...]
Duke University
[13]
문서
Wicherkiewicz, op. cit.
[14]
서적
Slovani od preloma 19. in 20. stoletja do danes: jezikovne, zgodovinsko-politične spremembe in književni doprinos (The Slavs from the Turn of 19th and 20th Centuries Until Now: Linguistic, Historical and Political Changes and Literature)
http://www.dlib.si/s[...]
Zveza društev Slavistično društvo Slovenije (Študentska sekcija)
2019
[15]
citation
Wpływ języka polskiego na zagrożony wymarciem wilamowski etnolekt wymysiöeryś
http://inne-jezyki.a[...]
[16]
웹사이트
Cykle i wydarzenia – Wydarzenia – Teatr Polski im. Arnolda Szyfmana w Warszawie
http://www.teatrpols[...]
2016-02-23
[17]
AV media
Wymysiöeryś – jeszcze mowa nie zginęła
https://www.youtube.[...]
Agencja Fotograficzna Fotorzepa, Rzeczpospolita
[18]
웹사이트
How I started to revitalize my language
http://www.revitaliz[...]
2016-08-14
[19]
citation
Wilamowice – Wikimedia Polska
https://pl.wikimedia[...]
pl.wikimedia.org
2018-11-03
[20]
citation
Świąteczne kolędowanie
https://mgok.wilamow[...]
Website of the Municipal and Communal Cultural Centre in Wilamowice
2018-11-03
[21]
citation
Józef Gara nagrodzony przez Wikimedia Polska – Blog Stowarzyszenia Wikimedia Polska
http://blog.wikimedi[...]
2018-11-03
[22]
웹사이트
Wymysorys Language
http://www.revitaliz[...]
[23]
문서
This letter is only used in proper names, even native ones – e.g. the surname Fox. The letters Q and V are not included in the alphabet because they only appear in non-native proper names.
[24]
문서
Ynzer Foter
https://www.wordproj[...]
[25]
문서
一文字と見な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