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웅 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웅 도시는 군사적 공로를 인정받아 특별한 칭호를 받은 도시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1942년 처음 사용되었으며, 1945년 5월 1일 이오시프 스탈린의 명령으로 레닌그라드, 스탈린그라드, 세바스토폴, 오데사에 예포를 쏘도록 한 것이 최초의 공식적인 사용례이다. 1965년 소련 최고평의회 칙령으로 칭호가 공식 도입되었으며, 소련,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등지에 위치한 12개의 도시가 영웅 도시로 지정되었다. 러시아는 2005년 군사 영광 도시 칭호를 도입했고, 2022년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하르키우 등 6개 도시에 우크라이나 영웅 도시 칭호를 수여했다. 이 외에도 유고슬라비아, 중국, 쿠바, 이탈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유사한 칭호를 부여하고 있다.

2. 역사

'영웅 도시'라는 용어는 1942년 프라우다 기사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1945년 5월 1일 이오시프 스탈린의 명령 제20호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6] 이 명령에서는 레닌그라드, 스탈린그라드, 세바스토폴, 오데사를 영웅 도시로 명명하고 이들 도시에서 예포를 쏠 것을 지시했다.

독소전쟁 발발 20주년인 1961년 6월 22일, 키예프에 '영웅 도시' 칭호와 레닌 훈장이 수여되었고, 키예프 방어전 포장도 함께 수여되었다.

독소전쟁 승전 20주년인 1965년 5월 8일, 소련 최고평의회 칙령을 통해 '영웅 도시' 칭호가 공식적으로 제도화되었다. 이날 레닌그라드, 스탈린그라드, 키예프, 세바스토폴, 오데사가 공식적으로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으며,[17] 모스크바는 영웅 도시, 브레스트 요새는 영웅 요새 칭호를 받았다.[16]

이후 추가적으로 영웅 도시 칭호를 받은 도시는 다음과 같다.



영웅 도시 칭호 수여는 1988년에 중단되었다.

2005년 러시아 국가두마는 '군사 영광 도시' 칭호를 도입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2. 1. 목록 확장 의견

주러시아 아제르바이잔 대사 폴라드 뷜뷜오글루는 바쿠를 영웅 도시 목록에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18] 그는 바쿠가 영웅 도시 칭호를 받는 것이 "굉장히 합당하다"라고 하였으며, "중요한 사회정치적 행위"일 뿐만 아니라 "낮과 밤으로 일하다가 목숨을 잃은 사람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18] 역사학자 예핌 피보바르(Yefim Pivovar)는 독립국가연합 차원에서 바쿠와 타슈켄트 등에 영웅 도시 칭호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 2020년 러시아 국가두마 의원 드미트리 사벨리예프는 영웅 도시 확장을 지지했다.[20]

3. 영웅 도시 목록

영웅 도시 칭호를 받은 도시는 총 12개이며, 현재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에 위치해 있다. 크림반도케르치세바스토폴은 2014년 이후 러시아의 실질적인 지배하에 있다.[2]

"영웅 도시"라는 용어는 1942년 초 프라우다 기사에서 유래되었다. 이 칭호가 처음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1945년 5월 1일로, 이오시프 스탈린은 최고 사령관 명령 제20호를 발령하여 "영웅 도시 레닌그라드, 스탈린그라드, 세바스토폴, 오데사"에서 예포를 쏘도록 명령했다.[2]

1961년 6월 22일, "영웅 도시"라는 용어는 키이우에 레닌 훈장을 수여하는 칙령에서 사용되었다. 1965년 5월 8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의 칙령에 의해 이 칭호가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 같은 날 레닌그라드(상트페테르부르크), 볼고그라드(구 스탈린그라드), 키이우, 세바스토폴, 오데사가 영웅 도시로 지정되었고, 모스크바는 영웅 도시, 브레스트는 영웅 요새로 선포되었다.[3]

이후 1973년 9월 14일 케르치노보로시스크,[2] 1974년 6월 26일 민스크,[2] 1976년 12월 7일 툴라,[2] 1985년 5월 6일 무르만스크스몰렌스크[2] 가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1988년 이 상의 수여는 공식적으로 중단되었다.

3. 1. 러시아

Город-Геройru[2]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소전쟁에서 뛰어난 활약을 한 도시에 수여된 명예 칭호이다.

도시수여 날짜
상트페테르부르크(레닌그라드)1965년 5월 8일
볼고그라드(스탈린그라드)1965년 5월 8일
모스크바1965년 5월 8일
노보로시스크1973년 9월 14일[2]
툴라1976년 12월 7일[2]
무르만스크1985년 5월 6일[2]
스몰렌스크1985년 5월 6일[2]



3. 2. 우크라이나



오데사, 키이우(키예프)는 1965년 5월 8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의 칙령에 의해 영웅 도시 칭호가 공식적으로 도입되면서 지정되었다.[3] 케르치, 세바스토폴은 1973년 9월 14일에 영웅도시로 지정되었다.[2] 케르치와 세바스토폴은 2014년부터 러시아의 실질적인 지배 상태에 있다.

3. 3. 벨라루스

4. 각 영웅 도시의 주요 전투

"영웅 도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소전쟁에서 뛰어난 용맹을 보여준 도시에 수여된 명예 칭호이다. 각 도시에서 벌어진 주요 전투는 다음과 같다.

도시주요 전투 및 사건
레닌그라드 (현 상트페테르부르크)레닌그라드 공방전 (900일 가까이 지속, 수많은 시민들이 기아, 추위, 포격으로 사망)
스탈린그라드 (현 볼고그라드)스탈린그라드 전투 (독소전쟁의 전환점, 치열한 시가전 끝에 소련군 승리)
모스크바모스크바 전투 (소련군, 독일군의 진격 저지 및 반격 성공)
오데사오데사 전투 (73일 동안 독일군과 루마니아군에 맞서 싸움)
세바스토폴세바스토폴 포위전 (끈질긴 저항, 도시 함락)
키예프키예프 전투 (대규모 포위로 큰 피해, 독일군 진격 지연)
노보로시스크1942년 독일 공세에 맞선 중요 거점
케르치크림 반도 동쪽 항구 도시, 여러 차례 격전 끝에 해방
민스크독일군에 포위되어 큰 피해, 소련 파르티잔 활동 중심지
툴라툴라 전투 (독일군 공격 저지, 모스크바 방어 기여)
무르만스크은여우 작전 (독일군과 핀란드군의 점령 시도 실패)
스몰렌스크스몰렌스크 전투 (독일군 진격 지연, 모스크바 방어 시간 확보)
브레스트 요새독일군 기습 공격에 맞선 영웅적 저항



4. 1. 브레스트 요새

브레스트 요새 기념비


벨라루스 브레스트에 위치한 요새는 1965년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1] 이 요새는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의 비밀 부록에 따라 소련과 나치 독일 사이에 새로 설정된 국경 바로 옆에 위치해 있었다.[1] 1941년 6월 22일 추축국이 침공했을 때 요새는 경고를 거의 받지 못했으며, 소련 국경 수비대와 침공하는 독일 중앙군 집단 간의 최초의 주요 전투가 벌어진 장소가 되었다.[1]

독일 포병은 요새를 심하게 포격했고, 보병을 투입하여 빠르게 점령하려 했으나 실패하여 독일군은 장기간의 포위를 시작했다.[1] 브레스트 수비대는 지원군이 끊기고 음식, 물, 탄약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순간까지 싸우고 반격을 가했다.[1] 독일군은 탱크, 최루 가스, 화염 방사기를 동원했다.[1] 독일군이 막대한 사상자를 내면서 대부분의 파괴된 요새를 점령한 후에도 지하에서 전투가 계속되었다.[1]

전투는 6월 29일에야 끝났다.[1] 그 무렵 실제 전선은 이미 수백 킬로미터 동쪽으로 이동했다.[1] 요새가 공식적으로 점령된 후에도, 살아남은 소수의 수비병들은 지하실에 숨어 몇 달 동안 독일군을 괴롭혔다.[1]

4. 2. 레닌그라드 (상트페테르부르크)

레닌그라드 영웅 도시 오벨리스크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알려진 레닌그라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가장 큰 인명 피해를 겪은 도시 중 하나이다. 발트해 연안의 고전 및 바로크 건축물로 유명한 레닌그라드는 전쟁 전 인구가 300만 명에 달했다. 1941년 8월, 독일군은 도시 남쪽 외곽에 도달했고, 핀란드군은 1940년 겨울 전쟁에서 잃었던 도시 북서쪽 카렐 지협을 탈환했다.[15]

1941년 9월 8일, 레닌그라드는 육상 접근이 완전히 차단되었다. 핀란드만도 봉쇄되어, 라도가호를 가로지르는 생명의 길만이 유일한 외부 연결 통로였다. 그러나 핀란드 지휘부는 스비리 강을 넘어 호수 남쪽 해안선을 점령하라는 독일의 요청을 거부했다. 소련군의 강력한 저항으로 도시 점령이 어렵다고 판단한 독일군은 레닌그라드 포위전을 통해 도시를 굶겨 말살하려 했다. 곧 시민들은 전기, 수도, 난방 공급이 중단되었다. 1941~42년 겨울, 모든 대중교통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1942년 도시 전차가 재개되었다 (다른 대중교통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운행되지 못했다).[15]

포위 첫 겨울, 수천 명의 레닌그라드 시민이 얼어 죽거나 굶어 죽었다. 이들은 집에서, 침대에서, 혹은 거리에서 쓰러져 죽었다. 독일군은 지속적으로 도시에 포격을 가했다. 872일간의 포위에도 도시는 항복하지 않았다. 겨울철 라도가호가 얼면, 생명의 길이 열려 소련군 점령 지역에서 트럭으로 식량과 물자를 수송하고 시민들을 대피시켰다. 그러나 이 수송 행렬은 독일군의 포격과 공습에 끊임없이 공격받았다.[15]

1944년 1월, 소련군이 포위를 풀었을 때, 레닌그라드 시민 100만 명 이상이 기아, 추위, 독일군 포격으로 사망했다. 레닌그라드 방어 및 구호 과정에서 30만 명의 군인도 희생되었다. 레닌그라드는 1965년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으며, 이 칭호를 받은 최초의 도시였다.[15]

4. 3. 스탈린그라드 (볼고그라드)

볼고그라드는 과거 스탈린그라드 시의 현재 이름이다. 1942년 7월부터 1943년 2월까지 벌어진 스탈린그라드 전투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선의 전환점을 만들었다. 이 전투의 치열함과 규모는 독소 전쟁의 격렬함을 잘 보여준다.[15]

독일군의 맹렬한 폭격으로 수천 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도시는 폐허가 되었다. 독일군이 다가오자 도시 무기 공장의 노동자들은 방어하는 병사들에게 직접 무기와 탄약을 전달하기 시작했고, 결국 스스로 전투를 계속했다. 더욱 많은 소련군이 적의 포화 속에서 볼가강을 건너 도시로 투입되었다. 독일의 전차 우세는 도시 전투의 잔해 속에서 무용지물이 되었다. 거리, 건물, 계단에서 벌어진 치열한 육탄전은 수개월 동안 계속되었다. 붉은 군대는 전략 예비군을 모스크바에서 볼가강 하류로 이동시키고, 소련 전역에서 가용한 모든 항공기를 스탈린그라드 지역으로 이동시켰다.

독일군은 결국 동부 전선에 배치된 전체 병력의 4분의 1을 잃었고, 이 패배로부터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다. 양측의 총 사상자는 200일 동안 거의 200만 명으로 추산된다. 볼고그라드는 1965년에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4. 4. 오데사

오데사 포위전은 1941년 8월 초, 현재 우크라이나에 위치한 흑해 항구 도시인 오데사가 독일군과 함께 싸우는 루마니아군에 의해 공격과 포위를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도시 방어를 위한 치열한 전투는 10월 16일까지 73일 동안 지속되었으며, 이날 남은 소련군과 15,000명의 민간인이 해상으로 철수했다.[1] 그러나 도시의 카타콤에서는 유격전이 계속되었다.[1] 오데사는 1965년에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1]

4. 5. 세바스토폴

소련의 흑해 항구 도시인 세바스토폴은 크림반도의 강력한 요새였다. 독일군과 루마니아군은 북쪽에서 도시 외곽으로 진격하여 1941년 10월 30일에 공격을 시작했다.[15] 도시 점령에 실패한 추축국 군대는 포위 공격과 집중 포격을 시작했으며, 여기에는 Mörser Karl 자주 박격포와 거대한 슈베러 구스타프 철도포와 같은 특이한 무기가 사용되었다. 1941년 12월에 시작된 추축국의 두 번째 공세 역시 소련 육군과 해군의 격렬한 저항으로 실패했다. 결국 도시는 1942년 6월에 함락되었으며, 1944년 5월의 격렬한 전투 끝에 해방되었다. 세바스토폴은 1965년에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15]

4. 6. 모스크바

모스크바 전투는 1941년 10월부터 1942년 1월까지 독일군의 모스크바 점령 시도를 저지하고 반격에 성공한 전투이다.

1941년, 독일 침략군은 소련 수도의 문 앞에서 첫 번째 패배를 겪었다. 독일 중앙 집단군의 진격은 1941년 11월 말, 모스크바 외곽에서 멈춰 섰다. 당시 소련 정부는 대피했지만, 요시프 스탈린은 도시에 남아 있었다. 시민들은 거리에서 방어 진지를 구축하는 것을 도왔다. 지하철역은 독일 공습 시 대피소를 제공했다.

도시 방어를 지휘한 게오르기 주코프 장군은 근접 전투 전술을 주로 도시 접근로의 현지 지휘관들에게 맡기고, 시베리아에서 도착한 신규 병력을 집중하여 최종적인 반격을 준비했다. 소련의 반격은 1941년 12월 5일과 6일에 시작되었다. 유난히 혹독한 겨울의 혹한 속에서, 무장 스키 부대를 포함한 소련군은 지쳐 있는 독일군을 모스크바에서 멀리 몰아내고 1942년 1월 7일에 그들의 위치를 굳혔다.[1] 이 전투에서의 승리는 소련 국민들에게 중요한 사기 진작을 제공했다. 모스크바는 1965년에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1]

모스크바 영웅 도시 기념비

4. 7. 키예프

2010년 키이우의 공산주의 별이 있는 영웅 도시 고속도로 표지판.


오늘날 우크라이나의 수도는 1941년 여름, 역사상 가장 큰 포위전이 벌어진 장소였다. 독일군이 7월 7일 공세를 시작했을 때, 키이우 지역에 집중된 소련군은 방어를 명령받았고 돌파는 금지되었다. 포위망에 대한 방어는 치열했다. 수천 명의 민간인이 자원하여 도시 방어를 도왔다. 결국 키이우는 9월 19일에 함락되었다. 포위망이 붕괴되었을 때 60만 명 이상의 소련군이 포로로 잡혔다. 이어진 저항은 독일의 ''전격전'' 계획을 효과적으로 방해했다. 그러나 군사적 측면에서 이 전투는 독일군에게는 큰 승리였고, 소련에게는 재앙이었다. 이 전투는 사기에 큰 영향을 미쳤고, 아돌프 히틀러는 이 승리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전투라고 칭찬했다.

독일의 키이우 점령 기간 동안 수십만 명의 민간인이 강제 노동으로 살해되거나 추방되었다. 소련군이 서쪽으로 진격하여 독일군을 밀어내면서 1943년 11월 6일 도시를 해방시키면서 키이우는 다시 격전지가 되었다. 키이우는 1965년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4. 8. 노보로시스크

노보로시스크흑해 동부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1942년 독일의 하계 공세에 대한 요새 역할을 했다.[1] 1942년 8월부터 9월 중순까지 도시 안팎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져 독일군에게 점령되었다.[1] 그러나 소련군은 만의 동쪽 부분을 계속 점유하여 독일군이 항구를 보급품 수송에 사용하는 것을 막았다.[1]

4. 9. 케르치

케르치는 크림 반도 동쪽에 있는 항구 도시로, 크림 반도와 남부 러시아 본토를 가르는 해협에 교두보를 형성했다. 1941년 11월 치열한 전투 끝에 독일에 점령되었다.[15] 1941년 12월 30일, 소련군은 해상 상륙 작전을 통해 도시를 탈환했다. 1942년 5월, 독일군은 다시 도시를 점령했지만, 소련의 게릴라 부대는 1942년 10월까지 도시 근처 절벽에서 저항했다. 1943년 10월 31일, 또 다른 소련 해상 상륙이 시작되었다. 대부분 파괴된 도시는 1944년 4월 11일에 해방되었다. 케르치는 1973년에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15]

4. 10. 민스크

1941년 6월 말, 오늘날 벨라루스의 수도인 민스크는 진격해 온 독일군에 의해 포위되었다.[15] 거대한 포위망에 갇힌 소련군은 필사적으로 진지를 방어했지만, 7월 9일 저항이 무너졌고, 30만 명 이상의 소련군 병사가 포로로 잡혔다.[15] 이후 3년간의 점령 기간 동안 독일군은 도시 안팎에서 약 40만 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15] 민스크 지역은 적 후방에서 소련 파르티잔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15] 민스크는 1974년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15]

4. 11. 툴라

1941년 10월 24일부터 12월 5일 사이에 모스크바 남쪽에 위치한 중요한 군수 산업 도시 툴라는 모스크바 지역에서 소련의 저항을 무너뜨리기 위한 독일군의 공격 목표가 되었다. 그러나 요새화된 이 도시는 굳건히 버텨냈고, 모스크바 방어전과 그 이후의 반격전 동안 남부 측면을 확보했다. 툴라는 1976년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15] 툴라 전투는 1941년 10월부터 12월까지 모스크바 남쪽의 주요 군수 도시 툴라를 방어하여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한 전투이다.

4. 12. 무르만스크

무르만스크는 콜라 반도에 위치하며, 노르웨이핀란드 국경과 가깝고, 전략적으로 중요한 항구이자 공업 도시였다. 이곳은 겨울에도 얼지 않는 북부 해안의 유일한 소련 항구였으며, 남쪽으로의 물자 수송에 필수적이었다. 독일군(독일군 지휘 하에 핀란드인 800명 포함)은 1941년 6월 29일 무르만스크를 상대로 공세를 시작했다. 18만 개 이상의 수류탄과 인화성 포탄이 도시에 쏟아졌다. 그러나 툰드라에서의 치열한 소련군의 저항과 여러 차례의 소련군 반격으로 추축군의 돌파는 불가능했다. 추축군은 1941년 10월 말, 무르만스크를 점령하거나 카렐리야 철도를 끊는 데 실패하면서 공격을 중단했다. 무르만스크는 1985년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4. 13. 스몰렌스크

모스크바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스몰렌스크는 1941년 여름에 치열한 전투를 겪었다. 독일군 육군 집단 중앙의 기갑 사단은 1941년 7월 10일에 스몰렌스크 지역의 소련군을 포위하기 위한 공세를 시작했다. 소련군의 저항은 강력했고 여러 차례의 반격이 수행되었다. 소련군은 심지어 독일군의 포위를 일시적으로 돌파하여 포위망 밖으로 병력을 대피시키는 데 성공했다. 전투는 9월 초에 끝났다. 격렬한 전투로 인해 모스크바를 향한 독일군의 전반적인 진격이 상당히 지연되어, 동쪽의 방어선을 강화할 수 있었다. 스몰렌스크는 1985년에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5. 비슷한 칭호

소련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제2차 세계 대전 및 기타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도시에 유사한 칭호를 수여했다.



이 외에도 여러 국가 및 도시들이 특정한 사건이나 전쟁에서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영웅 도시"와 유사한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

국가도시칭호 수여 배경칭호 및 기타 사항
우크라이나하르키우, 체르니히우, 마리우폴, 헤르손, 호스토멜, 볼노바하, 부차, 이르핀, 미콜라이우, 오흐티르카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우크라이나 영웅 도시 칭호 수여
중화인민공화국우한|우한중국어
크로아티아부코바르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 부코바르 전투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최악의 피해, 스탈린그라드와 비교
쿠바산티아고데쿠바쿠바 독립 전쟁, 미국-스페인 전쟁, 쿠바 혁명
인도네시아수라바야1945년 수라바야 전투인도네시아 독립 혁명 당시 최초의 주요 전투
이탈리아여러 도시무공 금메달 수여
몰타1942년 몰타 섬에 조지 십자훈장 수여
포르투갈프라이아 다 비토리아프라이아 만 전투"승리의 해변"
포르투갈앙그라두에로이즈무프라이아 만 전투"영웅의 앙그라"
스페인사라고사제1차 카를로스 전쟁 동안 신코마르사다"Siempre Heroica"(항상 영웅적)
베트남호찌민시, 하노이베트남 전쟁
유고슬라비아베오그라드, 자그레브, 류블랴나, 노비사드, 프릴레프, 프리슈티나, 드바르, 체티네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반파시스트 저항 운동인민 영웅 훈장과 "영웅 도시" 칭호
튀르키예가지안테프, 카흐라만마라슈, 샨르우르파독립 전쟁에서 외세 침략에 대한 저항 운동가지안테프는 1921년 "가지"(투르크-이슬람식 "참전 용사"), 카흐라만마라슈는 1973년 "카흐라만"("영웅"), 샨르우르파는 1984년 "산르"("영광스러운")로 칭해짐. 이들 도시는 모두 이스티클랄 마달라시("독립 훈장")를 수여받음.


5. 1. 러시아

2005년 러시아에는 군사 영광 도시(Город воинской славыru) 칭호가 도입되어 45개 도시가 이 칭호를 받았다.[21] 같은 해 4월 5일, 러시아 연방의 국가 두마는 이 칭호 도입에 관한 법률을 1차 심의에서 통과시켰다.[8] 오룔, 르제프, 옐냐, 보로네시, 뱌지마 등이 후보로 거론되었다.

2020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산업 시설에서 군수 및 민간 제품을 중단 없이 생산한 기록이 있는 도시에 수여하는 노동 용맹 도시(City of Labour Valour영어) 칭호가 제정되었다.[9] 현재 20개 도시가 이 칭호를 보유하고 있다.[22]

5. 2. 친러 미승인 국가

조지아에서 분리독립한 압하지야남오세티야는 각각 1992년 압하지야 전쟁과 남오세티야 전쟁 당시 조지아군을 격퇴시킨 도시를 영웅 도시로 지정했다. 압하지야에서는 트크바르첼리와 Gudauta|구다우타영어가 Hero of Abkhazia|압하지야 영웅 훈장영어과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2009년 11월 23일 남오세티야 대통령 조례를 통해 수도 츠힌발리가 Battle of Tskhinvali|츠힌발리 전투영어 당시 시민과 방위군이 보여준 용기, 인내, 영웅적 행위로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칭호 수여식 조례는 용기와 국가 통합의 날 행사에서 발표되었다.[23]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은 2017년 8월 도네츠크시에 영웅 도시 칭호를 수여하였다.[24]

5. 3. 우크라이나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하르키우, 체르니히우, 마리우폴, 헤르손, 호스토멜, 볼노바하 시에 우크라이나 영웅 도시 칭호(우크라이나 영웅 칭호와 연관됨)를 수여했다.[12][13] 그 후, 부차, 이르핀, 미콜라이우, 오흐티르카 시에도 이 칭호가 추가로 수여되었다.[14]

5. 4. 기타 국가



유고슬라비아 '''류블랴나''' (현재 슬로베니아 수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군 점령에 격렬하게 저항하여 1955년 요시프 브로즈 티토로부터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콜롬비아 카르타헤나: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 전쟁 중인 1815년 2월, 파블로 모리요가 이끄는 스페인군에 포위되었지만 121일간 격렬한 전투 끝에 함락되었다. 시몬 볼리바르는 후에 "영웅 도시" 칭호를 부여했다.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 앙그라두에로이즈무 (영웅의 만): 1829년 스페인 침공을 물리친 것으로 이 이름을 얻었다.

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of Contemporary Russi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웹사이트 Hero Cities still victorious and heroic, despite squabble http://english.pravd[...] Pravda.ru 2015-05-08
[3] 서적 Большая Школь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Руссика". История России. 20 в https://books.google[...] ОЛМА Медиа Групп
[4] 웹사이트 Polad Bulbuloglu: Giving Hero City status to Baku would be important socio-political act - Azvision.az https://azvision.az/[...]
[5] 웹사이트 Efim Pivovar, Mikhail Mukhin: "Baku should get the status of a hero city" https://vestnikkavka[...]
[6] 웹사이트 Russian MP urged to give Baku the title "Hero City" https://www.turan.az[...] 2020-07-03
[7] 웹사이트 Фото. С обелиска на площади Победы демонтировали изображения Ленина https://bzh.life/gor[...] 2022-04-25
[8] 서적 Russia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Quest for Stabil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9] 웹사이트 Часть 1 статьи 1 Федерального закона от 01.03.2020 № 41-ФЗ "О почетном звани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ород трудовой доблести"" http://publication.p[...] 2020-04-16
[10] 웹사이트 Цхинвал Город – Герой https://south-osseti[...]
[11] 웹사이트 Глава ДНР Александр Захарченко присвоил Донецку звание "Город-герой" http://gorod-donetsk[...] 2017-08-28
[12] 웹사이트 Zelensky gives the honorary title 'Hero City' to Kharkiv, Chernihiv, Mariupol, Kherson, Hostomel, and Volnovakha https://kyivindepend[...] 2022-03-06
[13] 웹사이트 Zelensky awards Hero City title to Kharkiv, Chernihiv, Mariupol, Kherson, Hostomel and Volnovakha https://ua.interfax.[...]
[14] 웹사이트 Zelensky gives four cities honorary title of 'Hero City' and seven National Guard service members 'Hero of Ukraine' title. https://kyivindepend[...] 2022-03-24
[15] 문서 ロシアの実効支配下にある
[16] 웹인용 Hero Cities still victorious and heroic, despite squabble http://english.pravd[...] 프라우다 2015-05-08
[17] 서적 Большая Школь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Руссика". История России. 20 в https://books.google[...] ОЛМА Медиа Групп
[18] 웹인용 Polad Bulbuloglu: Giving Hero City status to Baku would be important socio-political act - Azvision.az https://azvision.az/[...]
[19] 웹인용 Efim Pivovar, Mikhail Mukhin: "Baku should get the status of a hero city" https://vestnikkavka[...] 2022-02-14
[2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turan.az[...] 2022-02-14
[21] 서적 Russia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Quest for Stabil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2] 웹인용 Часть 1 статьи 1 Федерального закона от 01.03.2020 № 41-ФЗ "О почетном звани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ород трудовой доблести"" http://publication.p[...] 2020-04-16
[23] 웹인용 Цхинвал Город – Герой https://south-osseti[...]
[24] 웹인용 Глава ДНР Александр Захарченко присвоил Донецку звание "Город-герой" http://gorod-donetsk[...] 2020-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