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은 1780년대부터 포트 잭슨 지역에서 백인 정착민과 원주민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된 혼성어인 포트 잭슨 피진 영어에서 시작되었다. 노던 준주에서 발전하여 1908년경 크리올화 과정을 거쳐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로 정립되었다. 문법의 단순화와 어휘의 증가를 특징으로 하며, 로퍼 강 미션과 호주 원주민의 토지 권리 문제, 선교사들의 활동 등이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1970년대까지 영어의 방언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호주 원주민 언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구린지 크리올, 라이트 왈피리 등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영어, 중국어, 원주민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문법은 영어의 단순화된 형태를 띠고, 고유한 음운론과 철자법을 사용한다. 셰익스피어, 왈칭 마틸다 등 다양한 작품이 번역되었고, 미디어에서도 활용되며, 성경 번역도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언어 - 노퍽어
    노퍽어는 핏케언 섬 주민들이 노퍽섬으로 이주한 후 영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2004년 노퍽 아일랜드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나 현재는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영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비슬라마
    비슬라마는 바누아투에서 사용되는 크리올어로, 영어 어휘와 멜라네시아어 문법이 결합되었으며 19세기 피진에서 기원하여 20세기 초 바누아투의 링구아 프랑카가 되었고, 사전 출판을 통해 표준화되어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 영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피진어
    피진어는 19세기 초 서태평양에서 영어 기반으로 발생하여 상인과 노동자 사이의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솔로몬 제도에서 공용어 지위를 갖게 된 언어이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
언어 정보
언어 이름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
다른 이름크리올어, 로퍼 리버 크리올어
사용 국가오스트레일리아
사용 지역노던 준주 로퍼 리버, 캐서린 지역, 응쿠르;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주 킴벌리; 퀸즐랜드 주 걸프 컨트리, 케이프 요크 반도 남부
모어 화자 수 (2021년)7,478명
제2 언어 화자 수 (1991년)10,000명
민족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분류
어족크리올
어파영어 크리올
계통태평양
조상 언어포트 잭슨 피진 영어
조상 언어2노던 준주 피진 영어
언어 코드
ISO 639-3rop
글롯톨로그krio1252
AIATSISP1
링구아52-ABB-ca (변종: 52-ABB-caa ~ -caf)
방언
방언 종류로퍼 리버 크리올
바밀리 크리올
바클리 크리올
피츠로이 밸리 크리올
데일리 리버 크리올
문자 체계
문자영어 알파벳 기반의 크리올 알파벳

2. 역사

크리올의 시초인 혼성어 포트 잭슨 피진 영어는 1780년대부터 기록되었으며, 포트 잭슨 주변의 백인 정착민과 지역 원주민 간의 의사 소통에 사용되었다.[4] 1870년 다윈이 설립되면서 노던 준주 정착이 성공했고, 영어와 중국어 사용자들의 유입으로 포트 잭슨 피진 영어를 기반으로 한 혼성어가 준주 전역에서 개발되었다. 1900년경에는 노던 준주 피진 영어(NTPE)로 발전했고, 1908년까지 크리올화되어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이 되었다.[5] 이 과정에서 어휘가 대폭 증가하고 언어의 문법이 복잡해졌으나, 1908년 이후에도 많은 사람들이 NTPE를 계속 사용했다.[6]

크리올화는 로퍼 강 선교회(응구쿠르)에서 먼저 일어났는데, 그곳에 목축장이 세워지고 읍이 개발되었다. 당시 호주 원주민과 유럽인 간의 관계는 긴장되었고 종종 폭력적이었다. 원주민들은 그들의 땅을 맹렬히 방어했지만, 결국 목축 회사가 그 지역의 상당 부분을 인수하면서 정착민들이 토지 통제권을 장악했다.

재정착과 호주 원주민의 토지 권리는 거의 호주 원주민 집단 학살에 가까운 수준으로 진행되었으며, 급격한 사회적 변화를 초래했기 때문에 크리올 발전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1908년 성공회 선교사들의 공동체가 로퍼 강 지역에 설립된 것도 크리올 발달의 또 다른 요인이었다.

크리올은 1970년대까지 영어의 방언으로 여겨져 언어로 인정받지 못했다. 2013년 4월, 조시 페러는 서호주 의회에서 처음으로 크리올과 기자를 모두 사용하여 연설했다.[7]

2. 1. 포트 잭슨 피진 영어

혼성어인 포트 잭슨 피진 영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780년대부터 발견되었으며, 이 혼성어는 포트 잭슨 주변의 백인 정착민과 지역 원주민 간의 의사 소통에 사용되었다.[4]

2. 2. 노던 준주 피진 영어 (NTPE)

포트 잭슨 피진 영어(PJPE)는 1900년경 널리 사용되고 잘 이해되는 노던 준주 피진 영어(NTPE)로 발전했다.[5] 1908년까지 NTPE는 크리올화되어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로 발전했으나, NTPE를 사용하던 모든 사람들이 전환하지는 않았다.[5][6]

2. 3. 크리올화

혼성어인 포트 잭슨 피진 영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780년대부터 발견되었으며, 이 혼성어는 포트 잭슨 주변의 백인 정착민과 지역 원주민 간의 의사 소통에 사용되었다.[4] 1870년 다윈이 설립되면서 정착이 성공했고, 그 후 영어와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유입되었다. 두 집단과 지역 원주민 간의 의사 소통을 위해 포트 잭슨 피진 영어(PJPE)를 기반으로 한 혼성어가 준주 전역에서 개발되었다. 1900년경에는 PJPE가 널리 사용되고 잘 이해되는 노던 준주 피진 영어(NTPE)로 발전했다. 그리고 1908년까지 NTPE는 크리올화되어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로 발전했다.[5]

이러한 크리올화 과정은 로퍼 강 미션(응구쿠르)에서 먼저 일어났는데, 그곳에 목축장이 세워지고 읍이 개발되었다.

그 기간 동안 호주 원주민과 유럽인 간의 관계는 긴장되었고 종종 폭력적이었다. 원주민들은 그들의 땅을 맹렬히 방어했지만, 결국 목축 회사가 그 지역의 상당 부분을 인수하면서 정착민들이 토지 통제권을 장악했다. 정착민들은 원주민으로부터 토지를 완전히 장악하려는 의지를 굳히고 이를 위한 캠페인을 벌였다.

재정착과 호주 원주민의 토지 권리는 거의 호주 원주민 집단 학살에 가까운 수준으로 진행되었으며, 급격한 사회적 변화를 초래했기 때문에 크리올의 발전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크리올 발달의 또 다른 요인은 1908년 성공회 선교사들의 공동체가 로퍼 강 지역에 설립된 것이었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모국어를 사용하는 8개의 서로 다른 원주민 민족 집단에서 약 200명의 사람들이 모였지만, 이 집단의 성인 구성원들은 빈번한 회의와 의식으로 인해 다국어를 구사했다. 이 집단 출신의 아이들은 영어로 교육을 받았고, 이는 공용어의 사용을 필요로 했다. 이 공동체의 아이들은 영어적 특징을 그들의 공동체 전체에 퍼뜨렸다.

선교사와 원주민 간의 관계는 우호적이었지만, 선교사들이 크리올의 발전에 책임이 있지는 않았다. 사실, 그들은 표준 영어를 미션의 공식 언어로 도입하려고 시도했으며, 원주민 아이들은 수업과 선교사들과의 대화에서 이 언어를 사용했지만, 크리올은 여전히 번성했다.

2. 4. 언어 인정

포트 잭슨 피진 영어는 1780년대부터 기록되었으며, 포트 잭슨 주변의 백인 정착민과 지역 원주민 간의 의사소통에 사용된 혼성어이다.[4] 1900년경 노던 준주 피진 영어(NTPE)로 발전했고, 1908년에는 크리올화되어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이 되었다.[5]

크리올은 1970년대까지 영어의 방언으로 여겨져 언어로 인정받지 못했다. 2013년 4월, 조시 페러는 서호주 의회에서 처음으로 크리올과 기자를 모두 사용하여 연설했다.[7]

3. 언어학적 특징

크리올 문법은 영어의 단순화된 버전으로, 단어가 일반적으로 하나의 형태만 가지며, 단어 순서와 새로운 단어 추가를 통해 추가적인 의미를 도출하는 분석적 문법이다.[8]

형태론, 통사론, 음운론, 철자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어의 음운 체계는 영어와 유사하지만, 일부 자음과 모음에서 차이를 보인다. 철자법은 영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하지만, 음소와 문자가 일대일 대응되는 음성 철자법을 사용한다.[11]

3. 1. 형태론 및 통사론

크리올 문법은 일반적으로 영어의 단순화된 버전으로, 단어가 보통 하나의 형태만 가지며, 단어 순서와 새로운 단어 추가를 통해 의미를 더하는 분석적 문법이다.[8]

크리올은 SVO 어순을 사용한다. 소유주와 소유물의 순서는 다양하며, 소유주-소유물과 소유물-소유물이 같은 비율로 나타난다. 동사-목적어 부사와 부사-동사-목적어의 비율도 같다.[8] 어순은 굴절이나 주어-목적어 접사 또는 동사보다 의미를 명확히 하는 데 더 많이 사용된다.[9]

크리올 대명사는 1인칭, 2인칭, 3인칭을 구분하며, 단수, 복수, 1인칭의 포함 및 배타 이중 복수를 구분한다. 또한 주어, 목적어, 독립 대명사, 명사 수식 소유격을 구분한다. 재귀 대명사와 상호 대명사도 있다.[10]

rowspan="2" |단수이중복수
포함배타포함배타
1인칭miyunmimindubalawimibala
2인칭yuyundubalayundubalayubalayubala
3인칭imdubaladubalaolabatolabat

[6]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에서는 영어에서 유래한 많은 방향 용어들이 동사에 붙는 접미사로 바뀌었다. 구체적인 접미사는 방언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비슷하다.[8]

크리올 접미사번역예시번역
anon (위에)putiman놓다
apup (위로)klaimap올라가다
(a)ranaround (주변에)lukaran둘러보다
(a)weiaway (멀리)ranawei도망가다
atout, at (밖으로, ~에)kamat나오다
bekback (뒤로)ranbek되돌아가다
dandown/over (아래로/넘어져)nakimdan넘어뜨리다
oba/ovaover (넘어)guwoba넘어가다
of/op/apoff (떨어져)gidof내리다


3. 2. 음운론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어에는 5개의 이중 모음 /ei/, /ai/, /ou/, /oi/, /au/가 있다.[10]

3. 3. 철자법

크리올 알파벳은 영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하지만, 어떤 문자와 이중 문자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해당 문자와 이중 문자에 대한 규칙도 다르다. 크리올의 각 음소는 여러 다른 철자를 사용하여 동일한 소리를 낼 수 있는 영어 철자법과는 달리, 하나의 문자로만 만들 수 있다. 또한 크리올은 영어와 달리 단어가 소리에 맞춰 철자되는 음성 철자법을 사용한다.[11]

크리올 알파벳은 21개의 문자를 포함한다. 11개의 자음 이중 문자, 5개의 모음 이중 문자 및 5개의 구두점으로 구성되어 있다.[11]

종류내용
문자A, B, D, E, F, G, H, I, J, K, L, M, N, O, Q, R, S, T, U, W, Y
자음 이중 문자Ly, Ng, Ny, Rd, Rl, Rn, Rr, Rt, Sh, Th, Tj
모음 이중 문자Ai, Au, Ei, Oi, Ou
구두점마침표 (.), 쉼표 (,), 물음표 (?), 느낌표 (!), 따옴표 (" ")


4. 방언

크리올 방언에는 로퍼 강 크리올(로퍼 강 피진), 노던 준주 바룽가 지역의 바미일리 크리올, 바클리 크리올, 피츠로이 계곡 크리올, 데일리 강 크리올 등이 있다.[2] 이 중 로퍼 강과 바룽가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 가장 잘 기록되어 있다.[12]

크리올은 후기 크리올 연속체의 방언에서 호주 원주민 영어와 더 유사한 방언과 그렇지 않은 방언으로 아크로렉트 스펙트럼을 보인다. 헤비 크리올은 호주 원주민 언어에서 더 많은 단어를 차용하고, 더 분화된 단어 순서와 음운론을 가진다. 라이트 크리올은 영어 접미사가 더 많고, 덜 분화된 음운론을 가지며, 원주민 단어 대신 영어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13]

라이트 크리올 vs 헤비 크리올
라이트 크리올헤비 크리올영어
hedgabarra머리 (head)
graulgula으르렁거리다/꾸짖다 (growl/tell off)
daibdirwu다이빙하다 (dive)
hosishojij말 (horses)



크리올은 노던 준주 캐서린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지역별 변종 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일부 사용자는 자신의 언어를 고유한 이름으로 부르는 것을 선호하지만, 변종들은 상당히 유사하다. 마리 라이드웬은 이러한 차이를 미국 영어영국 영어의 차이에 비유한다.

로퍼 강(응쿠르) 크리올은 바룽가에서도 사용되며, 데일리 강(노던 준주) 지역에서도 상호 이해 가능성이 있는 변종이 사용되지만, 데일리 강 사용자는 자신들을 크리올 사용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4. 1. 구린지 크리올

구린지어와 크리올어를 혼합하여 만든 구린지 크리올이라는 크리올어가 있는데, 이는 노던 준주 빅토리아 강 지역의 구린지 주민들이 크리올어와 구린지어를 광범위하게 혼용하여 형성되었다.[14]

4. 2. 라이트 왈피리

라자마누 마을 주민들은 크리올어, 영어, 왈피리어를 빠르게 혼용하여 라이트 왈피리라는 또 다른 크리올어를 형성하였다.[15]

5. 어휘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은 영어를 주요 기여 언어로 하지만, 중국식 잉글리시 피진 및 알라와, 마라, 응갈라크간, 완다랑, 망가라이, 응간디, 눙구부유, 자워인, 달라본, 렘바르응가, 바른갈라, 자민중, 응가린이만, 와르다만, 왈마자리, 자루, 미리우웅, 기자 등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의 영향도 받았다.[10]

6. 사회적 위상

크리올은 1970년대까지 영어의 방언으로 여겨져 언어로 인정받지 못했다.[7] 크리올어는 다른 많은 원주민 언어와 달리 화자 대부분이 30세 미만으로, 언어 상태가 건강하다. 크리올어 화자의 99%는 호주 원주민이며, 다른 집단은 0.8%에 불과하여 공동체 내에서만 사용되는 내부자 언어임을 보여준다. 크리올어 화자는 주로 구두로 언어를 사용하며 문해율이 낮지만, 크리올어 문해력을 높이고 크리올어로 된 새로운 작품을 만들거나 기존 작품을 번역하는 등 문해력 및 미디어 사용 확대를 위한 단체와 계획이 있다.[16][17]

크리올어에 대한 인식은 다양하다. 어떤 이들은 크리올어가 자체 언어라는 것을 부인하며, 단순히 영어를 잘 구사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다른 이들은 크리올어가 다른 오래된 원주민 언어를 침해하는 위협으로 간주하는 반면, 어떤 이들은 크리올어를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지원한다. 크리올어에 대한 정부 지원은 제한적이며, 호주의 바룬가와 응구쿠르에 단 두 개의 이중 언어 교육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바룬가의 프로그램은 폐쇄되었다. 두 프로그램 모두 크리올어를 매체이자 연구 대상으로 성공적으로 포함시켰다.[17][16][18]

7. 미디어 활용

성경 박물관에 전시된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어 성경() 사본


셰익스피어, 왈칭 마틸다와 같은 많은 유명 작품들이 크리올어로 번역되었고, 다양한 책들이 크리올어로 출판되었다. ABC를 비롯한 여러 단체에서 크리올어로 뉴스를 제작하고 있으며, 온라인에는 크리올어 비디오, 텍스트, 언어 학습 자료 등이 있다. 위키미디어 재단위키미디어 인큐베이터에서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어 위키백과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7. 1. 성경 번역

2007년 5월 5일, 노던 준주 캐서린에서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어 성경 첫 완전판이 출판되었다.[1] 번역 작업에는 29년 이상이 소요되었으며, 검증된 크리올어 사용자, 개신교 성직자 곰불리 우루마라,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학회 전문가들이 참여했다.[1]

크리올어 성경은 호주 원주민 언어로 번역된 최초의 완전판 성경이다.[1] 이 성경 출판은 성경 공회, 루터교 성경 번역자, 교회 선교 협회, 성공회, 위클리프 성경 번역 선교회, 호주 원주민 언어 학회의 합작 사업이었다.[1]

8. 샘플 텍스트

창세기 1:1-2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20][18]영어[21][18]
오라이트, 롱타임 웬 갓 빈 스타트 메이김밧 에브리징, 노모 에니징 빈 지단. 임빈 지스 에니웨이, 노모 가람 에니징. 오니 스트롱발라 워다 빈 고란 고란 에브리웨이, 엔 임빈 브라블리 닥발라, 엔 데트 스피릿 블랑가 갓 빈 무바밧 온탑 랑가 데트 워다.rop태초에 하나님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 땅은 형태가 없고 비어 있었으며, 깊은 곳의 표면은 어둠에 덮여 있었고, 하나님의 영이 물 위를 맴돌고 있었다.
웬 올라 비기니 둔 크리올 라 스쿨, 임 앨범 알라밧 지단 스트롱발라. 라 룬 33 알라밧 빈 둠 프로파일, 블라 달림 위 "후 유?". 라 룸 12, 알라밧 빈 드로드로밧 알라밧 페밀리 엔 라이림단 와니 데이 굴럼 알라밧 가다 크리올우리 크리올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자신에 대해 강하게 느끼도록 돕는다. 33호실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크리올 프로필을 작성하고 있으며, 12호실에서는 크리올로 모든 라벨이 있는 훌륭한 가족 초상화를 그렸다.


참조

[1] 웹사이트 Cultural diversity: Census https://www.abs.gov.[...] 2021
[2] 간행물 e25
[3] 서적 The Atlas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 Structures Oxford
[4] 서적 Kriol - An Australian Language Resource
[5] 논문 Northern Territory Pidgin English: A Lexical Study https://www.jbe-plat[...] 1988-01-01
[6] 서적 NORTHERN TERRITORY PIDGINS AND THE ORIGIN OF KRIOL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7] 웹사이트 Indigenous languages in Australian parliaments https://aiatsis.gov.[...] 2024-10-08
[8] 웹사이트 APiCS Online - https://apics-online[...] 2024-08-17
[9] 서적 Papers in Pidgin and Creole Linguistics 1978
[10] 웹사이트 APiCS Online - Survey chapter: Kriol https://apics-online[...] 2024-06-26
[11] 서적 Work Papers of Sil-Aab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ustralian Aborigines Branch
[12] 서적 Kriol structure dataset https://apics-online[...]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4-08-17
[13] 서적 Referring Expressions and Referential Practice in Roper Kriol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14] 웹사이트 UQ eSpace https://espace.libra[...] 2024-08-17
[15] 웹사이트 A New Language Spoken By Just 350 People Has Evolved In Australia's Outback https://www.iflscien[...] 2024-09-15
[16] 웹사이트 APiCS Online - Survey chapter: Kriol https://apics-online[...] 2024-06-26
[17] 웹사이트 2021 Census: Kriol a growing language - Meigim Kriol Strongbala https://meigimkriols[...] 2024-08-15
[18] 웹사이트 While many Indigenous languages are disappearing, one has more speakers than ever https://www.sbs.com.[...] 2024-08-15
[19] 간행물 From the beginning to Proverbs 2004
[20] 웹사이트 The Holy Bible in the Kriol language of Australia https://ebible.org/p[...]
[21]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Genesis 1:1-2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024-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