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표도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표도감은 우표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으로, 우표의 역사, 가치, 종류, 발행 국가 및 발행처, 온라인 도감 등을 포함한다. 최초의 우표도감은 1861년 프랑스에서 발행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형태와 내용으로 발전해왔다. 우표도감은 우표의 가격, 발행 정보 등을 제공하며, 수집가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국가 및 출판사에서 우표도감을 발행하며, 온라인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우표도감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표 - 우표 수집
우표 수집은 1840년 페니 블랙 발행과 함께 시작되어 역사, 지리, 주제 등 다양한 이유로 우표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우표학의 한 분야이다. - 우표 - 보통우표
보통우표는 우편 요금 지불을 위해 각국에서 지속적으로 발행하는 우표로, 초기 우편 요금 증빙 목적에서 점차 회화적인 도안과 미적 감각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으며, 국왕이나 대통령 초상, 산업, 풍경, 문화유산 등 다양한 디자인이 활용된다. - 수집 - 우취
우취는 우표와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취미로, 우표 발행 과정, 우편 제도, 우편 역사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며, 국제우취연맹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우취 단체와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 수집 - 우표
우표는 우편 요금 선납 증표로, 1840년 영국 페니 블랙 발행 이후 우편 제도 혁신을 가져왔으며, 다양한 종류와 디자인으로 발행되어 문화, 역사, 정치적 메시지를 담는 수집 대상이자 외교적 논쟁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우표도감 |
---|
2. 우표도감의 역사
세계 최초의 우표도감은 1861년 프랑스에서 등장했으며, 이듬해인 1862년에는 영국[1][2][3]과 미국[4]에서도 최초의 도감이 발행되는 등 여러 나라로 확산되었다. 초기의 도감들은 주로 우표상의 가격 목록표 성격이 강했지만, 우취가 발전함에 따라 발행일, 색상 변화 등 우표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담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도감은 수집가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고, 도감에 등재되지 않은 우표는 수집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향이 생기면서 합법적인 우표를 정의하는 역할도 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우표도감도 등장하였다.
한국 최초의 우표도감은 1948년 이창성이 편집한 《해방 후의 조선우표》라는 책이다. 이후 대한우표회, 한국우취연합, 한국우표상협회(한국우표문화협회), 부산우취회, 우문관 등 여러 단체와 개인에 의해 우표도감이 발행되었으나, 현재는 주로 우문관과 한국우표상협회 두 곳에서 발행하고 있다.
2. 1. 초기 우표도감

최초의 우표도감은 프랑스의 오스카 베르거-레브라울( Oscar Berger-Levraultfra)이 1861년 9월 17일 발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고향인 스트라스부르에서 서적상을 운영하며 초기 우취 활동을 병행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그는 우표 수집에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여, 1861년 9월 17일에 우표와 우편 스테이셔너리 목록을 담은 출판물을 제작했다. 이 출판물은 제목 없이 내용만 있었고 사진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평판 인쇄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1861년까지 전 세계에서 발행된 것으로 알려진 973개의 우표를 수록했으며, 가까운 지인들에게 배포할 목적으로 40~50부 정도만 한정적으로 인쇄되었다. 이 도감의 사본 중 하나는 대영박물관에, 다른 하나는 미국 스미소니언 국립 우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사진이 포함된 최초의 대중적인 우표도감은 프랑스의 알프레드 포티크( Alfred Potiquetfra)가 1861년 12월에 발행한 것이다. 포티크는 앞서 발행된 베르거-레브라울의 목록을 기반으로 내용을 편집하면서, 기존의 오류를 수정하고 누락된 우표 발행일 등의 정보를 보완했다. 이 도감은 '세계 각국에서 발행된 우표의 도감'( Catalogue des timbres-poste crées dans les divers états du globefra)이라는 제목으로 파리에서 출간되었으며, 총 1080개의 우표와 132개의 우편 스테이셔너리를 수록했다.
영국 최초의 우표도감은 1862년에 프레데릭 부티( Frederick Bootyeng)[1], 마운트 브라운( Mount Browneng)[1], 그리고 존 에드워드 그레이( John Edward Grayeng) 박사[2][3]에 의해 발행되었다. 미국 최초의 도감은 같은 해인 1862년 존 윌리엄 클라인( John William Klineeng)이 A.C. 클라인이라는 필명으로 발간한 《The Stamp Collector's Manual》이다.[4]
이 시기에 발행된 초기 도감들은 주로 우표상들이 사용하는 가격 목록표의 성격이 강했다.
2. 2. 일본의 우표도감
일본 최초의 일본 우표 도감은 1895년(메이지 28년) 도쿄의 교통상회가 발행한 『일본 우편 우표류 목록』으로 여겨진다. 당시에는 일본인 우표 수집가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외국인 수집가를 대상으로 하여 해설은 일본어와 영어로 함께 표기되었다[11]。러일 전쟁 무렵부터 당시 유행했던 엽서 붐의 영향으로 일본인 사이에서도 우표 수집이 취미로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최초의 일본인용 우표 도감으로 도쿄의 와다 상회가 발행한 『대일본 우권록』이 나왔다(초판 발행 연도는 불명확하며, 신판은 1907년(메이지 40년)에 발행됨)[11]。
1916년(다이쇼 5년), 일본 최초의 우취 단체인 "유락회"는 잡지 『유락』 2권 9호(특별호)로 『대일본 우편 우표류 감』(통칭 『류감』)을 발행했다. 이 도감은 처음으로 미사용 우표와 사용된 우표의 평가액을 기재하여,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우표 도감으로 평가받는다. 이 도감은 1931년(쇼와 6년) 개정 증보 제5판(통산 제6판)까지 발행되었다[11]。
초기의 우표 도감들은 모두 세로쓰기 방식이었으나, 1930년(쇼와 5년) 10월 일본 유권상 조합이 발행한 『대일본 우편 우표 표준형록』에서 처음으로 가로쓰기 방식이 채택되었다. 또한, 이 도감은 보통 우표와 기념 우표로 크게 나누는 분류법을 처음으로 도입했다[11]。
1941년(쇼와 16년)에는 잡지 『우표 취미』 창간 10주년을 기념하여 우표 취미사에서 『일본 우편 우표 명감』이 발행되었다. 이 도감은 1950년(쇼와 25년)에 『일본 우편 우표 명감』이라는 이름으로 재발행되어 1967년(쇼와 42년) 제6판까지 간행되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6년(쇼와 21년) 12월에는 다나카 상회에서 미즈하라 아키라가 편집한 영문 카탈로그 『Standard Catalogue of Japanese Stamps』가 발행되었고, 1948년에는 오사카의 국제 우표 수집 클럽에서 『일본 우편 우표 총람』이 발행되었다. 이들 도감에서는 보통 우표를 시리즈별로, 기념 우표와 특수 우표는 세트별로 묶는 새로운 분류 방식이 채택되었다[11]。
일본 우취 협회는 미즈하라 아키라가 편집한 『일본 우편 우표 표준형록』을 1950년 말 간행된 1951년판부터 1953년 말 간행된 1954년판까지 발행했으며, 1954년 말에는 『컬렉터스 카탈로그 일본 우표편』을 간행했다[11]。 이러한 노력은 현재 발행되는 『일본 우표 전문 카탈로그』와 『벚꽃 일본 우표 카탈로그』로 이어지며 발전해왔다.
현재 일본에서 발행되는 주요 우표 도감은 다음과 같다.
- 벚꽃 일본 우표 카탈로그 - 간행: 일본 우취 출판, 편집 발행: 일본 우취 협회
- 일본 우표 카탈로그 - 편: 일본 우편 우표상 협동조합[10].
- 과거 명칭은 『일본 우편 우표 형록』이다. 1949년부터 1953년까지는 간사이 우편 우표상 조합이, 1951년부터는 도쿄 우편 우표상 조합이 발행했다. 1957년(쇼와 32년) 발행된 1958년판부터 전일본 우편 우표상 조합(현: 일본 우편 우표상 협동조합)이 발행하게 되었다. 1969년(쇼와 44년) 10월 발행된 1970년판부터 A5 크기의 전면 컬러 인쇄로 변경되었다[11]。
- 일본 우표 전문 카탈로그 (일전) - 간행: 일본 우취 출판
3. 우표도감의 가치 산정 및 구분
우표 도감에 표시된 가격(도감액)을 정하는 방식에는 실지가와 참고가 두 가지가 있다. 실지가는 우표가 실제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반영하는 반면, 참고가는 이름 그대로 참고용 가격이다. 따라서 참고가를 기준으로 거래할 때는 시대나 상황에 맞게 가격을 조절해야 한다.
우표 도감은 내용에 따라 크게 총괄 도감과 특성화 도감으로 나눌 수 있다. 두 도감은 세부 정보의 양과 깊이에서 차이가 크다.
- 총괄 도감: 각 우표의 기본적인 설명을 주로 담는다. 우표의 에러(오류), 버라이어티(변종), 실체(우표 자체), 초일봉투(FDC), 사용된 우표(소인), 명판(플레이트 블록) 등의 가격 정보가 포함된다. 주로 자신만의 앨범이나 스톡북에 우표를 채우려는 일반적인 수집가에게 유용하다.
- 특성화 도감: 특정 국가나 특정 기간의 우표에 대한 거의 모든 정보를 상세하게 다룬다. 우표의 모든 변종과 미묘한 차이까지 학습하고 수집하려는 전문적인 수집가를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한 우표의 가능한 모든 형태를 모으려는 수집가에게는 총괄 도감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997년에 발행된 스캇 카탈로그의 경우, 1847년부터 1996년까지 다룬 총괄 도감(General Catalogueeng)은 74페이지 분량이었지만, 같은 시기를 다룬 특성화 도감(Specialized Catalogueeng)은 170페이지가 넘었다.
일반적으로 발행 부수가 더 많은 특성화 도감에는 시장 가격을 반영한 실지가가 실리고, 발행 부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총괄 도감에는 참고가가 실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총괄 도감은 주로 각국의 우표 목록을 다루지만, 특성화 도감은 우편엽서나 우편봉투 같은 우편 스테이셔너리, 수입증지, 그리고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 우표 등 정부에서 발행한 다양한 자료까지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이 부분을 흔히 "Back of the book" (줄여서 BOB)이라고 부른다. 한국의 대표적인 우표 도감인 《한국우표도감》은 이러한 총괄 도감과 특성화 도감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4. 우표도감의 종류
세계적으로 발행되는 수많은 우표 도감은 그 수록 범위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 전 세계 도감: 지구 상에서 발행되는 모든 우표를 총망라하여 수록하는 도감이다.
- 국가별/지역별 도감: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발행된 우표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도감이다. 이는 다시 해당 국가의 모든 우표를 다루는 총괄 도감과 특정 시대나 종류의 우표만을 깊이 있게 다루는 특성화 도감으로 나눌 수 있다.
- 테마별 도감: 동물, 스포츠, 예술 등 특정 주제(테마)를 중심으로 관련 우표만을 모아 수록하는 특성화 도감이다.
각 도감에는 우표의 발행일, 발행 부수, 인쇄 방법, 도안 설명, 액면가, 수집 시장에서의 평가액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가 담겨 있다. 또한, 겉보기에는 같아 보이는 우표라도 용지, 천공, 워터마크, 발행 시기에 따른 인쇄나 명판의 차이점 등 세부적인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 수집 목적과 깊이에 따라 적절한 도감을 선택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4. 1. 발행 국가/지역별
우표 도감은 수록 범위에 따라 전 세계 모든 우표를 다루는 것과 특정 국가 또는 지역의 우표만을 다루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4대 우표 도감은 다음과 같다. 이들은 매년 수천 종의 신규 우표 정보를 추가하고 가격 변동을 반영하는 방대한 작업을 수행하며, 인쇄본 외에도 소프트웨어나 온라인 형태로도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 스캇(Scott) - 미국 기반. 인쇄본 및 온라인 제공. 미국 우표에 대한 전문 카탈로그도 발행한다.
- 밋헬(Michel) - 독일 기반. 인쇄본, 소프트웨어, 온라인 제공. 독일 우표에 대한 전문 카탈로그도 발행한다.
- 스탠리 기븐스(Stanley Gibbons) - 영국 기반. 인쇄본 및 온라인 제공.
- 이베르 엣 테일러(Yvert et Tellier) - 프랑스 기반. 인쇄본만 제공.
대부분의 국가는 자국 우표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도감을 발행한다. 이는 보통 해당 국가의 우표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우표 관련 회사, 출판사, 또는 우표상 협회 등에서 발행한다. 우정 당국에서 직접 발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세한 정보보다는 초보 수집가를 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한국우표도감》(우문관 발행)과 《대한민국우표도감》(한국우표상협회 발행)이 대표적이다. 《대한민국우표도감》은 2006년판을 마지막으로 발행이 중단되었던 《한국우표가격도록》(한국우표문화협회 등 발행)의 명맥을 이어 2015년에 사실상 복간된 것이다. 《한국우표도감》은 참고가 방식으로 도감 가격을 산정한다. 이 외에도 KPC(한국 우표 카탈로그) 등이 있다.
주요 국가별 우표 도감은 다음과 같다.
국가/지역 | 카탈로그명 | 비고 |
---|---|---|
그리스 | Hellas / Hermes / Vlastos | 키프로스 우표 포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South African Stamp Colour Catalogue | International Philatelic Service 발행 |
네덜란드 | NVPH / Zonnebloem | NVPH는 네덜란드 우표상협회 발행. Zonnebloem은 구 네덜란드 식민지 포함. |
노르웨이 | Norgeskatalogen | |
뉴질랜드 | Auckland City Stamps / Campbell-Paterson | |
덴마크 | AFA | |
독일 | 밋헬(Michel) | 세계적 도감이면서 독일 전문 도감 역할. Philex는 유럽 각국 및 UN 제네바/빈 사무국 우표 포함. |
룩셈부르크 | Prifix | 연간 도감 |
리히텐슈타인 | Müller / 춤슈타인(Zumstein) | 스위스 우표 포함 |
마셜 제도 | Official Marshall Island Postage Stamp Catalogue | |
말레이시아 | MSC Catalog | 브루나이, 싱가포르 포함 |
멕시코 | ||
몰타 | JB 카탈로그 (Malta Stamps & Postal History, The J.B. Catalogue) | |
미국 | 스캇(Scott) / Brookman / 민쿠스(Minkus) | 스캇은 세계적 도감이면서 미국 전문 도감 역할. Brookman은 캐나다, UN 뉴욕 본부, 테마 우표 포함. |
벨기에 | Belgique Catalogue Officiel de Timbres Poste / Officieele Belgische Postzegelcatalogus | 동일 카탈로그의 프랑스어/네덜란드어 명칭 |
브라질 | Catalogo de Selos do Brasill (RHM)[6] | Rolf Harald Meyer 사 발행 |
브루나이 | MSC Catalog |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포함 |
스칸디나비아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등) | 파시트(Facit) / DAKA | 파시트는 스웨덴에서 발행(영어 사용). 파로스 제도, 그린란드, 올란드 제도, 구 데니쉬 웨스트 인디스 포함. |
스페인 | Edifil / 안필(Anfil) / Filabo / 돔필(Domfil) | Edifil은 구 스페인 식민지 포함. 돔필은 테마 우표 전문. |
스위스 | 춤슈타인(Zumstein) / 아에로필(Aerophil) / Müller / SBK / Schweizer Briefmarken Katalog / Suisse, Catalogue de Timbres | 춤슈타인(1909년~)은 리히텐슈타인 포함, 독일어/프랑스어판 발행. 아에로필은 항공 봉피 전문. Müller는 리히텐슈타인 포함. SBK는 독일어/프랑스어판 발행. |
싱가포르 | MSC Catalog |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포함 |
아일랜드 | Hibernian Specialised Catalog | |
영국 | 스탠리 기븐스(Stanley Gibbons) / John Barefoot | 스탠리 기븐스는 세계적 도감이면서 영국 전문 도감 역할. John Barefoot은 수입인지 전문. |
오스트레일리아 | Brusden-White (Australian Commonwealth Specialists' Catalogue, ACSC) / The Australisian Stamp Catalogue | |
오스트리아 | Austria Netto Katalog (ANK) | |
우크라이나 | Marka Ukrainy | |
이스라엘 | BALE | |
이탈리아 | Sassone / Bolaffi / CEI / Italiano Catalogo Enciclopedico / Unificato | Sassone, Bolaffi는 구 이탈리아 식민지 포함. |
인도 | Phila India - Manik[5] | |
일본 | 사쿠라(Sakura, さくら일본어) / JSCA (ru) / JSDA (ru) / Japanese Stamp Specialized Catalog / Japanese Postage Stamp Catalog (日本切手カタログ일본어) | 사쿠라는 일본우취협회 발행으로 가장 많이 사용됨. |
중국 | 마(Ma) / 찬(Chan) / 양(Yang) | 양 카탈로그는 홍콩에서 발행. |
체코 | Pofis | 슬로바키아 포함 |
캐나다 | Unitrade Specialized Catalogue of Canadian Stamp / Newfoundland Specialized Stamp Catalogue / Brookman | Newfoundland...는 뉴펀들랜드주 전문. Brookman은 미국 발행. |
키프로스 | Hermes / Vlastos | 그리스 우표 포함 |
태국 | Thai Postage Stamps Catalogue | |
터키 | 이스필라(Isfila) / Pulko | |
페루 | 라미(Lamy) | |
포르투갈 | Afinsa | 구 포르투갈 식민지, 포르투갈어 사용 아프리카 국가 포함 |
포클랜드 제도 | Falkland Islands & Dependencies Specialised Stamp Catalogue | 스웨덴 발행 |
폴란드 | 피셔(Fischer) / Ruch | |
프랑스 | 이베르 엣 테일러(Yvert et Tellier) / 세레스(Cérès) / Dallay / Lollini | 이베르는 세계적 도감이면서 프랑스 전문 도감 역할. Lollini는 테마 우표 전문. |
핀란드 | LAPE | 올란드 제도, 에스토니아 포함 |
필리핀 | ABDA | |
하와이주 | Hawai'i Postage Stamp Catalog | Enelani 사 발행 |
헝가리 | ||
홍콩 | 양(Yang) | 중국, 마카오 포함 |
4. 2. 테마별
우표도감은 수록 범위에 따라 전 세계 모든 우표, 특정 국가나 지역의 우표, 그리고 특정 주제나 소재를 다루는 테마별 도감으로 나눌 수 있다. 테마별 우표도감은 동물, 식물, 스포츠, 역사적 인물, 특정 사건 등 정해진 주제(테마)에 맞춰 발행된 우표만을 모아 놓은 특성화된 도감을 의미한다.아래는 대표적인 테마별 또는 특정 주제에 특화된 우표도감의 예시이다.
발행 국가 | 도감 이름 | 주요 테마 및 특징 |
---|---|---|
스페인 | Domfilspa | 치즈, 공룡, 스포츠, 열차 등 다양한 테마 우표를 전문적으로 다룬다. |
프랑스 | Lollinifra | 프랑스에서 발행되는 테마틱 우표 도감이다. |
스위스 | Aerophildeu | 전 세계의 항공 봉피(우편물)를 다루는 특성화 도감이다. |
미국 | Brookmaneng | 미국, 캐나다, 국제연합 우표와 더불어 테마 우표 섹션을 포함하고 있다. |
이 외에도 특정 지역(예: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우표를 다루는 파시트(Facitswe), 포클랜드 제도와 속주 우표를 다루는 Falkland Islands & Dependencies Specialised Stamp Catalogueeng)이나 특정 종류(예: 영국의 수입인지를 다루는 John Barefooteng)만을 다루는 특성화된 도감들도 존재한다.
5. 주요 우표도감 발행 국가 및 발행처
세계적으로 수많은 우표도감이 발행되고 있으며, 이들은 수록 범위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전 세계에서 발행되는 모든 우표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도감, 둘째는 특정 국가의 우표만을 전문적으로 수록하는 도감, 셋째는 특정 테마(예: 동물, 스포츠, 예술 등)를 중심으로 우표를 모아 소개하는 특성화 도감이다.
특히 스콧(Scott), 미셸(Michel), 스탠리 기븐스(Stanley Gibbons), 이베르 에 텔리에(Yvert et Tellier)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대표적인 우표도감으로 꼽힌다. 이들 도감은 방대한 분량과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전 세계 우표 수집가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이들 도감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전 세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 일본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자국의 우표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국가별 우표도감을 발행하고 있다. 이러한 도감들은 보통 해당 국가의 우표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우표 관련 회사, 출판사, 또는 우표상 협회 등에서 발행한다. 각 국가별 도감에 대한 상세한 목록과 설명은 대한민국, 일본, 기타 국가 섹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우정 당국이 직접 카탈로그를 발행하기도 하지만, 이는 주로 경험이 적은 초보 수집가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 전문적인 우표 정보가 상세히 제공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5. 1. 전 세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우표도감은 다음 4가지이다. 이 도감들은 전 세계에서 발행되는 우표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스콧(Scott): 미국에서 발행되며, 인쇄본과 온라인으로 제공된다.
- 미셸(Michel): 독일에서 발행되며, 인쇄본, 소프트웨어, 온라인 형태로 제공된다.
- 스탠리 기번스(Stanley Gibbons): 영국에서 발행되며, 인쇄본과 온라인으로 제공된다.
- 이베르 에 텔리에(Yvert et Tellier): 프랑스에서 발행되며, 인쇄본으로만 제공된다.
이러한 카탈로그를 매년 업데이트하는 것은 방대한 작업인데, 매년 수천 개의 새로운 우표가 발행되고 모든 우표의 가격 변동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출판사들은 보통 우표 딜러나 경매 데이터를 통해 가격을 추정한다.
또한, 이들 주요 카탈로그 출판사들은 특정 국가의 우표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담은 전문 서적을 별도로 발행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셸은 독일 전문 카탈로그를, 스콧은 미국 전문 카탈로그를 발행한다.
5. 2.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우표목록으로는 《한국우표도감》(우문관 발행)과 《한국우표가격도록》(한국우표문화협회 등 발행)이 있다. 《한국우표도감》은 참고가 방식으로 도감액을 산정한다. 《한국우표가격도록》은 2006년판 이후 발행이 중단되었으나, 2015년에 《대한민국우표도감》(한국우표상협회 발행)이라는 이름으로 사실상 복간되었다.5. 3. 일본
: 이전 명칭은 『일본 우편 우표 형록』이다. 1949년부터 1953년까지는 간사이 우편 우표상 조합이, 1951년부터는 도쿄 우편 우표상 조합이 발행했다. 1957년 발행된 1958년판부터 전일본 우편 우표상 조합(현: 일본 우편 우표상 협동조합)이 발행하기 시작했다. 1969년 10월에 발행된 1970년판부터 A5 크기의 전체 컬러로 변경되었다[11].
- 일본 우표 전문 카탈로그 (일전) - 발행: 일본 우취 출판
5. 4. 기타 국가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자국의 우표만을 수록하는 도감을 발행하며, 보통 해당 국가의 우표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우표 관련 회사나 출판사에서 발행한다. 주요 국가별 우표 도감은 다음과 같다.도감 이름 | 발행 국가 / 주요 대상 | 비고 | |||||||||||||||||||||||||
---|---|---|---|---|---|---|---|---|---|---|---|---|---|---|---|---|---|---|---|---|---|---|---|---|---|---|---|
Afinsa | 포르투갈 | 구 포르투갈 식민지, 포르투갈어 사용 아프리카 국가 포함 | |||||||||||||||||||||||||
ABDA | 필리핀 | ||||||||||||||||||||||||||
아에로필(Aerophil) | 스위스 | 전 세계 항공 봉피 도감 | |||||||||||||||||||||||||
AFA | 덴마크 | ||||||||||||||||||||||||||
Australian Commonwealth Specialists Catalogue(ACSC) | 오스트레일리아 | ||||||||||||||||||||||||||
Auckland City Stamps | 뉴질랜드 | ||||||||||||||||||||||||||
안필(Anfil) | 스페인 | ||||||||||||||||||||||||||
Austria Netto Katalog(ANK) | 오스트리아 | ||||||||||||||||||||||||||
Anders Backman | 스웨덴 | 러시아 투바 공화국, 채널 제도 우표 도감 | |||||||||||||||||||||||||
The Australisian Stamp Catalogue | 오스트레일리아 | ||||||||||||||||||||||||||
BALE | 이스라엘 | ||||||||||||||||||||||||||
Bolaffi | 이탈리아 | 구 이탈리아 식민지 포함 | |||||||||||||||||||||||||
Belgique Catalogue Officiel de Timbres Poste | 벨기에 | ||||||||||||||||||||||||||
Brookman | 미국 | 미국, 캐나다, 국제 연합 뉴욕 본부, 테마 우표 도감 | |||||||||||||||||||||||||
Brusden-White(Australian Commonwealth Specialists' Catalogue) | 오스트레일리아 | ||||||||||||||||||||||||||
Campbell-Paterson | 뉴질랜드 | ||||||||||||||||||||||||||
Catalogo de Selos do Brasill | 브라질 | 출판사 이름(Rolf Harald Meyer)을 따 RHM이라고도 함 | |||||||||||||||||||||||||
CEI | 이탈리아 | ||||||||||||||||||||||||||
세레스(Cérès) | 프랑스 | ||||||||||||||||||||||||||
DAKA | 스칸디나비아 국가 | ||||||||||||||||||||||||||
Dallay | 프랑스 | ||||||||||||||||||||||||||
돔필(Domfil) | 스페인 | 치즈, 공룡, 스포츠, 열차 등 테마별 특성화 도감 | |||||||||||||||||||||||||
파시트(Facit) | 스웨덴 | 스칸디나비아 전 국가(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파로 제도, 그린란드, 올란드 제도, 구 데니쉬 웨스트 인디스(현재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대상. 영어로 발행. | |||||||||||||||||||||||||
Fischer | 폴란드 | ||||||||||||||||||||||||||
Falkland Islands & Dependencies Specialised Stamp Catalogue | 스웨덴 | 포클랜드 제도 및 속주 우표 도감 | |||||||||||||||||||||||||
Filabo | 스페인 | ||||||||||||||||||||||||||
Hawai'i Postage Stamp Catalog | 하와이주 | Enelani 사 발행 | |||||||||||||||||||||||||
Hermes | 그리스, 키프로스 | ||||||||||||||||||||||||||
Hibernian Specialised Catalog | 아일랜드 | ||||||||||||||||||||||||||
이스필라(Isfila) | 터키 | ||||||||||||||||||||||||||
Italiano Catalogo Enciclopedico | 이탈리아 | ||||||||||||||||||||||||||
Japanese Stamp Specialized Catalog | 일본 | ||||||||||||||||||||||||||
Japanese Postage Stamp Catalog ({{lang|ja|日本切手カタログ|} | }) || 일본 ||
플랫폼 | 특징 | 보유 우표 수 (2024년 5월 29일 기준) |
---|---|---|
Colnect | 테마, 연도, 국가별 분류, 무료, 가격 정보 제공 | 1,432,751개 |
FindYourStampsValue | 전 세계 우표, 키워드 및 사진 검색, 유료 멤버십 | 144,383개 |
Freestampcatalogue | 전 세계 우표, 테마 목록 제공 | 246,479개 |
Italian Stamps Catalog | 이탈리아 우표 중심, Italiano|이탈리아어ita 웹사이트 | 25,249개 |
StampData | 무료, 가격 정보 미제공 | 748,921개 |
New Zealand Online Catalog | 뉴질랜드 우표 중심 (테마, 연도, 액면가별 분류) | 정보 없음 |
Stamps of the World Wiki | 위키 형식, 무료, 가격 정보 미제공 | 27,757 페이지 (382,414개 이미지 포함) |
StampWorld | 무료, 가격 정보 제공 | 840,739개 |
이 외에도 위키북스 세계 우표 카탈로그 등이 있다. 위에 언급된 우표 수는 2024년 5월 29일에 각 웹사이트에서 확인된 정보이다.
참조
[1]
서적
Stamp Collecting: A guide to modern philately
Stanley Gibbons
1983
[2]
서적
A hand catalogue of postage stamps for the use of collectors
https://books.google[...]
Robert Hardwicke
1862
[3]
간행물
Early Postage Stamp Catalogs
Stamps
1946-07-13
[4]
논문
John William Kline America's First Philatelic Author
Philatelic Literature Review
1993
[5]
문서
Phila India 2011-12 Guide Book
PHILATELIA, KOLKATA, INDIA
[6]
웹사이트
RHM (Brazil)
https://www.oselo.co[...]
oselo.com.br
2024-05-11
[7]
웹사이트
National Postal Museum Library Collections
https://archive.wiki[...]
2023-07-22
[8]
기사
One famous Belgian!
Stamp Magazine
2008-05
[9]
웹사이트
日本郵趣協会 - 外国切手カタログ
http://yushu.or.jp/c[...]
日本郵趣協会
2017-11-16
[10]
웹사이트
JSDA 日本郵便切手商協同組合編
http://jsda-tokyo.jp[...]
日本郵便切手商協同組合
2017-11-16
[11]
잡지기사
特集・カタログの愉しみ 日本切手カタログ100年の歩み
日本郵趣協会
199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