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향(Urheimat)은 독일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언어학에서 특정 언어족의 기원, 즉 최초로 사용된 지역을 의미한다. 원향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원시 언어의 어휘 재구성, 언어 이동 이론, 차용어 분석, 언어 분포 등이 사용된다. 주요 어족들의 원향은 인도유럽어족은 흑해 북동 해안,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타이완,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은 북동 아프리카, 우랄어족은 우랄 산맥 동쪽 등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언어의 지역적 변화, 언어 접촉, 고립어의 존재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원향 개념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교언어학 - 어족
    어족은 공통 조상어에서 파생되어 계통적으로 관련된 언어들의 집합으로, 비교언어학적 방법을 통해 분류되며, 언어 간섭, 차용, 고립어, 혼합어 등의 복잡성으로 인해 분류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인류 이동과 언어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비교언어학 - 고유어
    고유어는 특정 언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어휘를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객관주의적 및 주관주의적 접근 방식의 차이로 인해 정의와 분류 기준이 다양하며, 언어 순화 운동과 같은 사회적 요인과도 관련되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한 개념이다.
  • 조어 - 인도유럽조어
    인도유럽조어는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등 여러 유럽 및 인도 언어의 공통 조상어로 추정되는 재구된 언어이며, 문자 기록이 없어 후대 언어 비교를 통해 재구성되었고, 18세기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다양한 가설과 음운 변화 법칙을 통해 발전해왔다.
  • 조어 - 데네예니세이어족
    데네-예니세이어족은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을 묶어 제안된 가설적인 어족으로,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간 언어적 연속성을 시사하지만,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에 대한 논쟁으로 가설의 타당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 역사언어학 - 보상적 장음화
    보상적 장음화는 자음 탈락으로 인해 앞선 모음이 장음으로 변하는 음운 현상이다.
  • 역사언어학 - 언어계통론
    언어계통론은 언어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언어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비교언어학, 언어유형론, 분자인류학, 고고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협력하여 언어의 계통 분류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원향

2. 용어

Urheimatde는 Heimatde()에 접두사 Ur-de()을 더하여 만들어졌으며, 조어를 의미하는 Ursprachede(+)와 같은 구성이다. 다른 유럽 언어에서도 독일어를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19세기 후반부터 인도유럽어족의 고향에 관한 논의가 독일에서 활발했던 것을 반영한다.[1]

3. 원향 결정 방법

어떤 언어족의 원향을 결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 어휘 재구성: 원시 언어의 어휘, 특히 동식물 관련 용어를 바탕으로 원시 언어가 사용된 지리적, 생태적 환경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어휘 의미 변화의 가능성 때문에 결정적인 판정을 내리기 어렵다. 예를 들어, 과거 인도유럽어족의 원향을 찾기 위해 "너도밤나무"를 의미하는 어휘를 근거로 하는 연구가 활발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 언어 이동 이론: 에드워드 사피어가 제안한 이론으로, 언어적 다양성이 가장 높은 지역을 원향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언어적 다양성이 중대한 파괴 없이 지속적으로 진화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며, 최근의 이주 등으로 다양성이 사라지면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 차용어 분석: 다른 어족으로부터의 차용어를 분석하여 원향을 추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우랄어족인도유럽어족에서 차용된 오래된 단어가 많다는 사실은 두 어족의 원향이 서로 인접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언어 분포: 언어의 차이가 큰 지역은 그 언어가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는 방법이다.

3. 1. 어휘 재구성을 통한 방법

어떤 언어족의 원시 언어를 재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는 어휘, 특히 동식물 관련 용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원시 언어가 사용되었던 지리적, 생태적 환경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다. 다만, 기후와 동식물 분포가 선사 시대에 변화했음을 고려하여 원시 언어의 시간 깊이를 추정해야 한다.[1]

3. 2. 언어 이동 이론

에드워드 사피어가 처음 제안한 언어 이동 이론은 언어적 다양성이 가장 높은 지역이 언어족의 마지막 원향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1] 이 이론은 언어족의 내부 하위 그룹에 대한 확립된 관점을 전제로 하며, 고차 하위 그룹에 대한 다른 가정은 언어 원향에 대한 매우 상이한 제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시도어 다이언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확산 중심지로 뉴기니를 제안했다.[2] 언어 이동 이론은 언어적 다양성이 중대한 파괴 없이 지속적으로 진화할 때만 작동하며, 최근의 이주 등으로 다양성이 사라질 경우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3]

3. 3. 차용어 분석

다른 어족으로부터의 차용어는 언어 간의 접촉 및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차용어의 분포와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원향의 위치와 이동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우랄어족에는 인도유럽어족으로부터의 오래된 차용어가 많은 것을 근거로, 그 원향이 인도유럽어족이 사는 땅과 인접해 있었다는 설이 제기되었다(Proto-Uralic homeland hypotheses 참조).[1]

3. 4. 언어 분포

일반적으로 언어의 차이가 큰 지역에서는 그 언어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고 추정할 수 있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원향을 타이완으로 보는 근거 중 하나는 이 지역의 언어 분화가 매우 크다는 점이다. 반투어군의 원향이 카메룬 부근으로 여겨지는 것 역시 언어의 차이가 크다는 점이 근거 중 하나이다.[1]

4. 원향 개념의 한계

(단일하고 식별 가능한) 언어족의 "원향" 개념은 언어 발전의 순수한 계보적 관점을 함축한다. 이 가정은 종종 합리적이고 유용하지만, 언어는 지역적 변화에 취약하며, 기층 언어 또는 상위 언어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항상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1]

4. 1. 시간 깊이 (Time Depth)

충분한 시간이 흐르면 자연스러운 언어 변화로 인해 공통 조어의 흔적이 사라져 언어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어려워진다.[1] 역사 언어학에서 "시간 깊이"는 이러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표현이다.[1]

예를 들어, 신대륙의 언어는 아메리카 대륙의 정착 시기(약 2만 년에서 1만 5천 년 전)에 비교적 빠르게 생겨났지만, 1만 년 이상 지나면서 그 유전적 관계는 불분명해졌다. 호주 원주민 언어 역시 28개의 계통과 고립어로 나뉘며, 유전적 관계를 보이지 않는다.[3]

비교 언어학의 방법으로 재구성된 원향은 일반적으로 신석기 시대 또는 그 이후 시기의 분리 시간을 추정한다.

4. 2. 언어 접촉과 크리올화

언어는 지역적 변화와 기층 언어 또는 상위 언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일하고 식별 가능한) 언어족의 "원향" 개념은 언어 발전의 순수한 계보적 관점을 함축한다는 점에서 논리적 필연성이 떨어진다.[1]

언어 접촉은 언어 변화와 혼합을 야기하여 원향 추정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크리올 언어는 관련 없는 언어들의 혼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전적 계통보다는 크리올 형성 과정이 언어적 유사성을 설명한다.

4. 3. 고립어

고립어는 알려진 다른 언어와의 계통적 관계가 없어 원향을 추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고립어 역시 진화하므로, 알려지지 않은 원향이 존재할 수 있다.

5. 주요 어족의 원향

인도유럽어족인도유럽조어 원향에 대해서는 4000년 전 폰토스-카스피 스텝 지역을 상정하는 스텝설, 8000년 전 아나톨리아 지역을 상정하는 아나톨리아설, 캅카스 산맥 남부를 상정하는 아르메니아설 등이 있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타이완섬을 원향으로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알타이 제어는 대부분 중앙아시아 지역을 원향으로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 어족별 원향은 다음과 같다.

어족원향
인도유럽어족흑해 북동 해안(쿠르간 가설), 아나톨리아 반도(렌프루)
오스트로네시아어족타이완 (더 거슬러 올라가면 맞은편 중국 동남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아프리카 북동부
우랄어족랴오허 지역 등 동북아시아·중국 북부


5. 1. 서부 및 중앙 유라시아

유라시아에서 인도유럽어의 현재 분포(밝은 녹색)와 유력한 원시 인도유럽어의 고향(짙은 녹색)을 보여주는 지도


서부 및 중앙 유라시아 지역에는 인도유럽어족, 캅카스어족, 드라비다어족, 튀르크어족, 우랄어족 등이 분포해 있다.

5. 1. 1. 인도유럽어족

원시 인도유럽어의 고향의 위치는 수세기 동안 논쟁의 대상이었지만, 현재는 스텝 가설이 널리 받아들여져 기원전 5천년기 후반의 폰토스-카스피해 스텝 지역으로 추정하고 있다.[8] 주요 대안은 기원전 7천년기 초의 아나톨리아 지역을 고향으로 제시하는 아나톨리아 가설이다.[9]

5. 1. 2. 캅카스어족

카르트벨어, 북서캅카스어(압하스-아디게어족), 북동캅카스어(나흐-다게스탄어족)는 캅카스 지역 원주민의 언어군으로 추정된다.[8] 캅카스 언어, 특히 원시 카르트벨어와 원시 인도유럽어 사이의 광범위한 접촉 증거는 적어도 3~4천 년 전에는 이들이 근접한 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9]

5. 1. 3. 드라비다어족

드라비다어족은 현재 인도 남부에 집중되어 있지만, 더 북쪽 지역에 고립된 지점, 지명, 그리고 인도아리아어족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은 이 언어들이 한때 인도 아대륙 전역에서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9] 재구성된 원시 드라비다어의 식물 및 동물 용어는 드라비다어가 인도 원산이라는 생각을 뒷받침한다.[9] 북서부로부터의 이주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브라후이어의 위치, 해독되지 않은 인더스 문자와의 가설적 연관성, 그리고 엘람어와의 연관성 주장을 언급한다.[9]

5. 1. 4. 튀르크어족

튀르크어족은 오늘날 중국 북서부에서 유럽의 가장자리까지 뻗어 있는 지역에서 사용되지만, 원시 튀르크어의 기후, 지형, 식물, 동물, 생계에 관한 어휘 항목들은 기원전 6천 년경 알타이-사얀 지역 주변의 시베리아 남부 및 몽골의 타이가-스텝 지대를 고향으로 지목한다.[10] 몽골어족과의 초기 접촉 또한 이 지역을 가리킨다.[11] 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언어족의 대부분 확산은 이주보다는 언어 대체로 인해 발생했지만, 남부 시베리아-몽골 지역에서 기원한 공유 요소를 확인했다.[12]

5. 1. 5. 우랄어족

우랄어족의 고향은 우랄 산맥 동쪽, 오비 강과 예니세이 강 사이의 지역으로 추정된다. 우랄어 사용자는 유전적으로 그들의 이웃과 구별되지 않지만 시베리아 기원의 유전적 요소를 공유한다.[13][14][15]

5. 2. 동부 유라시아

동부 유라시아 지역에는 일본어족, 한국어족, 시노-티베트어족, 흐몽-미엔어족, 크라-다이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등이 분포한다.

일본어족은 기원전 700년에서 300년 사이에 한반도에서 야요이 문화의 벼농사를 짓던 사람들에 의해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어족은 통일 신라의 언어에서 유래했다. 시노-티베트어족의 기원과 시기는 황하 상류 및 중류 지역(약 4–8천 년 전), 중국 서남부 쓰촨성(약 9천 년 전), 인도 북동부(9–10천 년 전) 등으로 제안된다.

흐몽-미엔어족은 중국 남부의 양쯔강과 메콩강 사이 지역, 크라-다이어족은 중국 남부 해안 푸젠성 또는 광둥성,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인도 북부,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등이 기원지로 거론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타이완을 원향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5. 2. 1. 일본어족

대부분의 학자들은 일본어족이 기원전 700년에서 300년 사이에 한국에서 야요이 문화의 벼농사 농부들에 의해 북부 규슈로 전해졌으며, 그곳에서 일본 열도 전체로 퍼져나갔고, 다소 늦게는 류큐 열도로 전파되었다고 믿고 있다.[16][17] 현재는 사멸된 일본어가 몇 세기 후에도 한반도 중남부에서 사용되었다는 지명이 단편적으로 존재한다.

5. 2. 2. 한국어족

모든 현대 한국어족은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한반도 남쪽 2/3를 지배했던 통일 신라의 언어에서 유래했다.[18] 한반도의 초기 언어학적 역사에 대한 증거는 매우 희소하다.[19]

5. 2. 3. 시노-티베트어족

시노-티베트어족의 재구성은 다른 주요 어족에 비해 훨씬 덜 발전되어 있어, 상위 구조와 시간 깊이가 불분명하다.[22] 제안된 기원지와 시기는 다음과 같다.[23]

  • 황하 상류 및 중류 지역 (약 4–8천 년 전): 중국어와 나머지 언어 간의 최상위 분기 가설과 연관됨 (가장 유력)
  • 중국 서남부 쓰촨성 (약 9천 년 전): 중국어와 티베트어가 하위 분기를 형성한다는 가설과 연관됨
  • 인도 북동부 (최대 다양성 지역) (9–10천 년 전)

5. 2. 4. 흐몽-미엔어족

흐몽-미엔어족의 가장 유력한 기원지는 중국 남부의 양쯔강과 메콩강 사이 지역이지만, 이 언어 사용자들은 한족의 팽창으로 인해 중국 중부에서 이주했을 수 있다.[24]

5. 2. 5. 크라-다이어족

대부분의 학자들은 크라-다이어족의 기원지를 중국 남부, 아마도 해안 푸젠성 또는 광둥성으로 본다.[25]

5. 2. 6.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가장 오래된 어족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현재의 불연속적인 분포는 다른 어족들의 후기 도래로 인한 결과이다. 다양한 분파는 벼농사와 관련된 많은 어휘를 공유하지만, 금속과 관련된 어휘는 거의 없다.[26] 이 어족의 기원지 식별은 분화에 대한 진전 부족으로 인해 방해받고 있다. 주요 제안은 인도 북부(문다어족의 초기 분기를 가정하는 사람들이 선호), 동남아시아(최대 다양성 지역; 가장 유력), 중국 남부(중국어의 차용어 주장에 근거)이다.[27]

5. 2. 7.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언어들은 오세아니아 전체에 널리 퍼져있으나 타이완섬을 원향으로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8] 실제로 타이완섬의 오스트로네시아어들은 그 넓이에 비해 세부적인 언어분류를 보인다.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타이완이 원향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10개의 분파 중 9개가 그곳에서 발견되며, 타이완 외부에서 발견되는 모든 오스트로네시아어는 나머지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분파에 속하기 때문이다.[28]

5. 3. 북아메리카

에스키모-알류트어족, 나-데네어족과 예니세이어족, 알기어족, 유토-아즈텍어족이 북아메리카 지역에 분포했다.

5. 3. 1.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은 베링 해협 또는 알래스카 남서부 지역에서 기원했다.[29]

5. 3. 2. 나-데네어족과 예니세이어족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은 북아메리카의 나-데네어족과 시베리아 중부의 예니세이어족이 공통 조상을 공유한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이 어족의 추정된 고향은 중앙아시아,[30] 시베리아,[31] 또는 베링기아가 있지만, 현재로서는 이 질문을 해결할 충분한 증거가 없다.[33]

5. 3. 3. 알기어족

알기어족은 북아메리카의 태평양 연안에서 대서양 연안까지 분포한다. 원시 알기어는 컬럼비아 고원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곳에서 선위요트어와 선유록어 화자들은 캘리포니아 북부 해안으로 남서쪽으로 이동했고, 선원시 알곤킨어 화자들은 대평원으로 이동했는데, 이곳은 알곤킨어족의 분산 중심지였다.[34][35]

5. 3. 4. 유토-아즈텍어족

유토-아즈텍어족의 역사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원시 유토-아즈텍어의 고향을 미국과 멕시코 사이의 국경 지역, 즉 애리조나와 뉴멕시코의 고지대 지역과 멕시코 소노라주와 치와와주의 인접 지역(대략 소노라 사막에 해당)으로 본다. 원어는 약 5,000년 전 수렵 채집인들에 의해 사용되었을 것이다. 힐(2001)은 고향을 더 남쪽으로 보았는데, 원시 유토-아즈텍어 화자들이 메소아메리카의 옥수수 경작자들이었고, 대략 4,500년에서 3,000년 전 기간 동안 점차 북쪽으로 밀려나면서 옥수수 경작을 가져왔으며, 화자들의 지리적 확산은 언어적 통일성의 붕괴와 일치한다고 보았다.[36]

5. 4. 남아메리카

투피어족은 남아메리카의 원향 중 하나로 추정된다.

5. 4. 1. 투피어족

원시 투피어는 남아메리카 투피어족 언어의 재구된 공통 조상으로, 약 5,000년 전 과포레강과 아리푸아낭강 사이 지역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5. 5. 아프리카 및 중동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니제르콩고어족, 만데어족, 나일사하라어족, 중앙 수단어, 코에-콰디어족의 기원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한다.

5. 5. 1.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는 아프리카 외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분파이므로 북동 아프리카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기원으로 가장 유력하게 여겨진다. 인도유럽어족과의 어휘 비교를 바탕으로 한 대안 이론에서는 중동에서 신석기 시대의 확장을 제안한다.[38][39][40] 원시 아프리카아시아어는 기원전 8천년기에 분열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38] 원시 셈어는 기원전 4400년에서 7400년 사이에 근동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아카드어가 가장 초기에 알려진 분파를 대표한다.[41]

5. 5. 2. 니제르콩고어족

니제르콩고어족의 구성원과 하위 그룹에 대한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널리 받아들여지는 핵심 그룹에는 서아프리카에서 남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는 1000개 이상의 언어가 포함된다.[42] 기원은 서아프리카의 사바나 지대 어딘가로 추정되며, 반투족의 확산은 기원전 3000년경 중앙 아프리카의 열대 우림을 통해 시작되었다.[43]

5. 5. 3. 만데어족

발렌틴 비드린은 "만데어족의 기원은 기원전 4천년기 후반에 북위 16° 또는 심지어 18° 북쪽과 서경 3°에서 12° 사이의 사하라 사막 남부에 위치했다"고 결론 내렸다.[44] 현재는 모리타니 및/또는 서사하라 남부 지역이다.[45]

5. 5. 4. 나일사하라어족

차드, 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사이의 국경 지역을 홀로세가 시작될 무렵부터 나일사하라어족의 기원으로 유력하게 본다.[46]

5. 5. 5. 중앙 수단어족

바르 엘 가잘 지역 어딘가일 가능성이 높다.[47]

5. 5. 6. 코에-콰디어족

코에-콰디어족의 기원은 2,000년 이상 전 잠베지 계곡 중부였을 가능성이 높다.[48]

5. 6.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원향의 파마-늉간어족이 분포하며, 퀸즐랜드 서부 걸프 평원 지역에서 사용된다.[49]

5. 6. 1. 파마-늉간어족

퀸즐랜드 서부의 걸프 평원[49]

참조

[1] 서적 Time Depth in Historical Linguistics
[2] 간행물 The Human Genetic History of the Americas: The Final Frontier
[3] 간행물 The Human Genetic History of Oceania: Near and Remote Views of Dispersal
[4] 웹사이트 Global etymologies http://www.merrittru[...] 2007-09-28
[5] 학술지 Genetic Evidence for Complexity in Ethnic Differentiation and History in East Africa https://archive-ouve[...] 2009-11
[6] 학술지 Identifying the Creole Prototype: Vindicating a Typological Class 1998-12
[7] 간행물 Spreading the Word: The Issue of Diffusion among the Atlantic Creoles Westminster University Press
[8] 학술지 Languages of the Caucasus and contact-induced language change 2019-05-27
[9] 서적 Edge of Empires: A History of Georgia Reaktion Books 2019
[10] 서적 Studies on the Peoples and Cultures of the Eurasian Steppes Editura Academiei Române 2011
[11]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 Archaeological Data and Linguistic Hypotheses Routledge
[12] 학술지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2015-04-21
[13] 서적 The Quasquicentennial of the Finno-Ugrian Society https://www.sgr.fi/f[...] Finno-Ugrian Society
[14] 학술지 Genes reveal traces of common recent demographic history for most of the Uralic-speaking populations 2018-12
[15] 학술지 The Arrival of Siberian Ancestry Connecting the Eastern Baltic to Uralic Speakers further East 2019-05
[16] 서적 Proto-Japanese: Issues and Prospects John Benjamins
[17]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A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Korean Language SUNY Press
[20] 서적 The Global Prehistory of Human Migration Wiley
[21] 서적 Nationalism, Politics and the Practice of Archaeolog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학술지 What is Sino-Tibetan? Snapshot of a Field and a Language Family in Flux: Sino-Tibetan: a Snapshot 2008-05
[23] 학술지 Phylogenetic evidence for Sino-Tibetan origin in northern China in the Late Neolithic
[24] 서적 Past Human Migrations in East Asia Routledge 2008
[25] 서적 The Peopling of East Asia
[26] 서적 The Handbook of the Austroasiatic Languages BRILL
[27] 학술지 The Munda Maritime Hypothesis 2019-09-12
[28]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9] 웹사이트 Language Relationships https://www.uaf.edu/[...] 2020-11-19
[30] 학술지 The origin of the Na-Dene 1998-11-10
[31] 학술지 Archaeological Patterning in Northeast Asia and Northwest North America: An Examination of the Dene-Yeniseian Hypothesis 2010
[32] 학술지 Linguistic Phylogenies Support Back-Migration from Beringia to Asia 2014-03-12
[33] 학술지 Phylogenetic linguistic evidence and the Dene-Yeniseian homeland 2020-09-16
[34] 서적 Diachronic and typological perspectives on verbs John Benjamins
[35] 서적 California Indian Languag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6] 논문 Proto-Uto-Aztecan: A Community of Cultivators in Central Mexico? 2001
[37] 서적 The Indigenous Languages of South America: A Comprehensive Guide Walter de Gruyter 2012
[3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fric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39]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De Gruyter Mouton 2018
[40] 서적 The Encyclopedia of Global Human Migration Wiley 2013
[41] 논문 Bayesian phylogenetic analysis of Semitic languages identifies an Early Bronze Age origin of Semitic in the Near East 2009-08-07
[42] 간행물 Güldemann (2018)
[43] 서적 The Encyclopedia of Global Human Migration Wiley 2013
[44] 웹사이트 On the Problem of the Proto-Mande Homeland http://www.jolr.ru/f[...]
[45] 서적 Rice: Global Networks and New Histo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4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fric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47] 서적 The Archaeology of Africa: Food, Metals and Tow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5-22
[48] 서적 The Peopling of Africa: A Geographic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5-01
[49] 논문 The origin and expansion of Pama–Nyungan languages across Australia 2018-04
[50] 서적 比較言語学入門 岩波文庫
[51] 서적 気候の変化が言葉をかえた NHKブック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