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점프 (시트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프는 1999년 SBS에서 방영된 시트콤이다. 최불암, 서경석, 구본승, 채림 등이 주요 출연진으로, 김선아, 고수, 조인성 등도 출연했다. 최불암은 하숙집 주인 역할을 맡았고, 서경석은 최불암의 아들 역할을, 구본승은 최불암의 조카 역할을 맡았다. 하숙생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다루었으나, 시청률 부진으로 인해 주요 출연진이 하차하고 새로운 출연진이 투입되는 등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방송 청춘시트콤 - 남자 셋 여자 셋
    남자 셋 여자 셋은 MBC에서 방영된 청춘 시트콤으로, 신동엽, 우희진, 홍경인, 이의정, 송승헌, 이제니 등이 출연하여 1996년 최고 시청률 36%를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다.
  • 문화방송 청춘시트콤 - 레인보우 로망스
    레인보우 로망스는 경호학과와 카페테리아를 배경으로 다양한 에피소드를 다룬 시트콤이며, 박희진, 김창완, 임은경, 서재경, 강은비, 김희철 등 다수의 출연진이 등장한다.
  • 서울특별시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 이태원 클라쓰 (드라마)
    박새로이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위해 이태원에 포차 '단밤'을 열고 장가 그룹에 맞서 사업을 키워나가는 이야기인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는 등장인물들의 복잡한 관계와 사회적 소수자 이야기, 그리고 원작 웹툰과는 다른 드라마만의 독창적인 스토리로 2020년 높은 시청률과 인기를 얻었다.
  • 서울특별시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 SKY 캐슬
    《SKY 캐슬》은 대한민국 상위 0.1%가 사는 SKY 캐슬에서 자녀의 명문대 진학을 위한 부유한 의사, 교수 부인들의 경쟁과 암투를 코믹하고 풍자적으로 그린 드라마로, 배우들의 열연, 세련된 연출, 사회 비판적인 스토리로 큰 인기를 얻어 JTBC 드라마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고 여러 국가에서 리메이크되었다.
  • 대학교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 - 허니와 클로버
    《허니와 클로버》는 도쿄 미술대학을 배경으로 가난한 미대생들의 사랑, 꿈, 성장 과정을 그린 우미노 치카의 만화 작품으로, 주요 인물들의 고민과 갈등, 엇갈리는 사랑과 우정, 미래에 대한 불안함 등을 현실적으로 묘사하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인기를 얻었고 코단샤 만화상을 수상했다.
  • 대학교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 - 내일은 사랑
    1992년부터 1994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청소년 드라마 《내일은 사랑》은 강현준과 박지수를 중심으로 고등학생들의 가정, 우정, 사랑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이병헌, 김정난 등 배우들의 연기력으로 주목받았으나 시청률 하락과 소재 고갈로 종영되었다.
점프 (시트콤)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르시트콤
방송 채널MBC
방송 기간1999년 5월 31일 ~ 2000년 2월 11일
방송 횟수164부작
방송 시간매주 평일 저녁 7시 5분
방송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제작진
기획송창의
연출송창의, 이민호, 여운혁
작가박민정, 한설희, 백지현
출연진
주연서경석
구본승
최불암
채림
조연최유라
김선아
홍진경
김경식
박혜정
맹세창
최상학

2. 등장인물



이름역할출생 연도출신 학교와 학과비고
김린린 케네디 게일1948년브라운 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출신1999년 3월부터 1년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쑨장 대학교 행정학과 미국인 교환교수
이한우빌헬름 요한 헤르만1954년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철학과 교수 출신1999년 3월부터 1년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쑨장 대학교 서구철학과 독일인 교환교수
김동석차봉이1957년한일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출신1999년 3월부터 1년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쑨장 대학교 산업공학과 한인 교환교수
오성식오성욱1960년제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출신1999년 3월부터 1년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쑨장 대학교 교육철학과 한인 교환교수
윤기원박상택1973년 대학교 국제정치외교학과 4학년독실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 1995년 9월부터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유학.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위빈 가톨릭 종합 기숙사(국제 기숙사)에서 학숙
임지은임수연1976년 대학교 국제정치외교학과 4학년독실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 1995년 3월부터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유학.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위빈 가톨릭 종합 기숙사(국제 기숙사)에서 학숙
김경식김경식1976년 3월 3일부산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5학번1996년 2월부터 1999년 2월까지 3년간 휴학, 1996년 9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서울 강서구 구청 공익근무요원 복무. 부산 사투리를 사용
이재황이재황1979년 3월 16일강원도 고성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9학번광현의 강원도 춘천고등학교 1년 선배이자 절친. 1998년 2월 강원도 춘천고등학교 졸업. 선아를 짝사랑.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1학년 1학기 수료 후 휴학, 충청남도 논산 지역 육군 사병 입대
김현정김현정1979년 3월 29일경기도 파주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8학번채림과 국민학교 동창. 1999년 8월 1년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 어학연수
박혜정박혜정1980년 3월 21일강원도 고성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9학번강원도 춘천여자고등학교 졸업. 광현의 여동생. 고수를 짝사랑
이정호이정호1979년 6월 26일강원도 고성 출생강원도 속초고등학교 졸업. 재황의 동갑내기 사촌 동생. 1999년 7월 20일 제주도 제주 지역 공군 사병 입대


2. 1. 주요 인물

2. 2. 최 교수네


  • '''최불암''' : 최불암 교수 역[1]
  • * '''이정훈''' : 1984년 45세 시절의 최불암 교수 역[1]

: 남자 하숙집 주인. 1940년 6월 20일 일제 강점기 경기도 양주 광적면 비암리 출생. 불교 신자. 서광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학사(1963년) 및 동 대학원 석·박사(1969년·1973년) 출신이며, 1968년 예비역 육군 사병 병장 출신이다. 대장간 대장장이 출신 경기도 양주 미가유기점(놋그릇 가게) 1954년도 창업주 故 최진동(1923~1978) 선생의 장남(故 이재순 여사의 소생)이다. 선친의 가업을 물려받지 않았으며 16세 때(1955년) 8살 터울의 동복 남동생 계남과 함께 어머니 상을 치른 후, 계남과 함께 아버지 故 최진동 선생과 계모(故 김지선) 슬하에서 자랐다. 25세 때(1964년) 계모상을 치른 후 1973년 예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74년 3월 16일 결혼 후 39세 때(1978년) 부친상을 치렀다. 1996년 9월 29일에 13년 연하 부인(故 박숭은 여사)을 먼저 상배하기도 하였다. 남들에게 지는 걸 싫어하며, 하숙생들이 단 하루라도 하숙비를 늦게 내면 화부터 낸다. 자유중화민국 타이베이(타이완)의 쑨장 대학교(무대예술학과)로 교환교수를 간다.[1]
: 최불암과 故 박숭은의 슬하 3남 중 장남. 1975년 3월 2일 서울 중랑구 중화동 출생. 불교 신자. 故 최진동 선생의 장손자.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4학번 출신. 1995년 2월부터 1999년 2월까지 4년간 휴학을 하였으며, 1995년 9월 11일부터 1998년 9월 11일까지 공군 사병 병장 전역하였다. 공군 일등병 복무 시절(1996년 9월 29일)에 모친상 비보를 받았다. 채림의 남자친구 역으로 나왔으나, 1년간 어학연수 과정으로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로 유학을 간다.[2]
: 최불암과 박숭은의 슬하 3남 중 차남. 서울 신남로 고등학교 1학년. 1983년 8월 25일 서울 중랑구 중화동 출생. 불교 신자. 공부는 싫어하면서 빨리 대학 갈 날 만을 기다리고 있다. 국어, 한문, 영어 성적은 80점대를 유지하는 중상위권이다. 아버지 최 교수와 동생 세창을 따라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에 유학한다.[3]
: 최불암과 박숭은의 슬하 3남 중 막내. 서울 신남로 초등학교 1학년. 1992년 3월 21일 서울 중랑구 중화동 출생. 불교 신자. 일명 빡빡이. 머리가 똑똑해서 공부를 잘하며, 오히려 상학을 가르쳐 줄 수 있는 정도이다. 아버지 최 교수와 둘째 형 상학을 따라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에 유학한다.

2. 3. 본승이네


: 불암의 남동생. 1948년 11월 1일 경기도 양주 광적면 비암리 출생. 불교에서 개신교로 개종. 대장장이 출신의 놋그릇 가게 창업주였던 故 최진동 선생의 차남(故 이재순 여사의 소생). 1971년 서광대학교 철학과 학사 학위 취득. 경기도 양평군 군청 예하 방위병 복무(1971년~1973년). 인천 소머리순대국밥집 바지사장. 결혼 후 6년 연하 부인과 슬하 외동아들 본승과 함께 인천 중구(신흥동)에 거주.[1]
: 최계남의 부인. 최본승의 어머니. 1954년 8월 23일 경기도 양평 옥천면 옥천리 출생. 인천 소머리순대국밥집 대표 업주. 불교 신자. 대장장이 출신의 놋그릇 가게 창업주였던 故 최진동 선생의 차자부(둘째며느리). 1974년 3월 18일 결혼 후 결혼 9년차이던 1983년 4월 중순에 부군 최계남 대표가 불교에 회의를 느껴 불교 신앙을 버리고 개신교 세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외동아들 본승과 함께 불교 신앙을 지킴. 1996년 9월 29일에 손윗동서 박숭은 여사를 상배한 시아주버님 최불암 교수를 시아주버님이시기 이전에 불교 교우라 여기고 지내며 시아주버님 최 교수와 함께 극진하고도 돈독한 신불(信佛) 관계를 유지.[1]
: 불암의 친조카. 계남과 해숙의 외동아들. 1975년 4월 25일 서울 마포구 아현동 출생. 불교 신자. 故 최진동 선생의 차손자. 경석의 동갑내기 사촌 남동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4학번으로 1994년 8월부터 1995년 8월까지 1년간, 그리고 1996년 2월부터 1996년 8월까지 6개월간, 두번씩 휴학을 하였으며 1999년 8월, 대학을 졸업하고 정균의 조교로 들어갔다가 그만두면서 제주도 서귀포 해군 수병 입대.[1]

2. 4. 유라네


  • '''최유라''' : 최유라 역(중도하차)
  • * '''김소이''' : 1989년 32세 시절의 최유라 역

: 불암과 계남의 이복 여동생. 여자 하숙집 주인. 불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한 신자. 유기점 창업주였던 故 최진동 선생의 막내딸(故 김지선 여사의 소생). 1958년 1월 9일 경기도 양주 은현면 선암리 출생으로 빠른 개띠생인데 만 6세(국민학교 1학년) 때 어머니 상을 치렀다. 1년 연하 부군(김준영)과 두 딸이 제주도 제주(제주 연동)에 있는 기러기 주말 부부 아내이다. 강자에겐 약하고 약자에겐 강해서 오빠인 불암에겐 아무 말 못하지만, 조카네들은 쥐잡듯이 괴롭힌다. 큰오빠 불암이 중화민국 타이베이에 교환교수를 떠나면서 그녀도 제주도 제주 지역으로 낙향한다.

  • '''길용우''' : 김준영 역(중도투입. 중도하차.)
  • * '''김승수''' : 1989년 31세 시절의 김준영 역

: 여자 하숙집 주인 최유라의 부군. 불암과 계남의 매제. 1959년 5월 31일생.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 경석과 본승과 상학과 세창의 고모부. 1년 연상녀 부인 최유라와 사이에 슬하 2녀(장녀 김강산, 차녀 김준희)를 두었다. 대한관광공사 제주도(제주)지사 파견 근무.

  • '''김지영''' : 김지영 역(중도투입. 중도하차.)

: 최유라의 친정 이모. 1937년 9월 24일 일제 강점기 조선국 충청북도 청주 출생. 최유라 친정 어머님 故 김지선(최불암과 최계남의 계모)의 친정 막내 누이동생. 최불암 교수와 최계남 대표에게 허울뿐인 이모뻘. 1988년 11월 16일 이후 제주도 제주 아라동 거주. 불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한 신자. 故 김호칙(친정아버지)의 슬하 3녀(장녀 故 김학선, 차녀 故 김지선, 3녀 김지영.) 중 막내로 출생. 상배 부군(故 고승복. 1990년 12월 6일 당시 향년 62세로 하세.)과 사이에 1남 3녀(4남매)를 두었다. 참고로 그녀의 친정 첫째 언니(최유라 친정 큰이모 故 김학선. 1986년 9월 24일 당시 향년 59세로 하세.)는 충청북도 충주 지역으로 출가하여 첫째 형부(故 지덕구. 1973년 4월 25일 당시 향년 48세로 하세.)와 사이에 2녀(두 딸)를 두었다.

2. 5. 김 교수네


  • 김정균 : 남자 하숙집 주인. 김정균 교수 역(중도투입).[1] 1959년 12월 18일생.[1] 장미나의 외삼촌이자 소위 딸바보 아빠.[1] 문화대학교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부산 북구 구청에서 방위병으로 복무(1982년 4월 12일~1984년 4월 12일)했다.[1] 1984년부터 1986년까지 2년간 무역회사 인턴 사원으로 근무하다가 퇴사, 1987년 문화대학교 대학원 방송연예학과 석사과정 1기로 입학하여 1989년 2월 예술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 1990년까지 1년간 미술학원 강사로 일하다가 그만두고 1991년 2월 대학원 연극영화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1995년 2월 예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 대학원 박사과정 신입생 시절(1991년 3월 16일) 서울한국전문대학 공업디자인학과 전문학사 출신 변소정과 결혼했다.[1]
  • * 최세환 : 1978년 20세 시절의 미술학과 1학년 김정균 역[1]
  • 변소정 : 은혜 엄마. 변소정 역(중도투입).[2] 1970년 6월 18일생.[2] 김정균의 아내.[2] 서울한국전문대학 공업디자인학과 전문학사 출신.[2]
  • 송은혜 : 김은혜 역(중도투입).[3] 1992년 12월 21일생.[3] 김정균의 딸.[3] 지수의 고종사촌 여동생이자 미나의 동갑내기 외사촌 여동생.[3]

2. 6. 수의사 양 원장네


  • 김세준 : 양세준 원장 역
  • ** 조재혁 : 1978년 20세 시절의 수의예과 1학년 양세준 역

: 미라의 아버지이자 수의사이다. 1959년 12월 13일에 태어났다. 서울 동작구(노량진동)에서 서울 영등포구(영등포동)로 이전한 서울문화동물병원 원장이다. 소위 딸바보 아빠로 불린다. 김정균 교수의 고교 동기 동창이다. 수의사 및 수의학 박사 신익수 전직 문화대 수의대 겸임교수의 옛 제자 출신으로, 문화대학교 수의과대학을 나온 후 제주도 북제주군 군청 방위병으로 복무했다(1984년 5월 13일~1986년 5월 13일). 1990년 2월에 수의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수의학과 본과 1학년 1학기 시절(1980년 3월 2일)에 이경실과 결혼했다.

  • 이경실 : 이경실 역
  • ** 박형선 : 1978년 22세 시절의 미술학과 3학년 이경실 역

: 여자 하숙집 주인이다. 미라의 어머니이자 정균의 대학교 같은 학과 2년 선배이다. 1957년 12월 8일에 태어났다. 2년 연하 남편 세준과는 반대로 미라에게 간섭이 심하고 잔소리가 거칠며, 주사가 심하다.
: 동물병원 간호사
: 동물병원 간호사
: 동물병원 사무장

  • 정재환 : 정홍순 역

: 동물병원 경리과 과장

2. 7. 하숙생들

이름역할출생 연도출신 학교와 학과비고
김린린 케네디 게일1948년브라운 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출신1999년 3월부터 1년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쑨장 대학교 행정학과 미국인 교환교수 (중도 투입, 중도 하차)
이한우빌헬름 요한 헤르만1954년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철학과 교수 출신1999년 3월부터 1년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쑨장 대학교 서구철학과 독일인 교환교수 (중도 투입, 중도 하차)
김동석차봉이1957년한일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출신1999년 3월부터 1년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쑨장 대학교 산업공학과 한인 교환교수 (중도 투입, 중도 하차)
오성식오성욱1960년제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출신1999년 3월부터 1년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쑨장 대학교 교육철학과 한인 교환교수 (중도 투입, 중도 하차)
윤기원박상택1973년 대학교 국제정치외교학과 4학년독실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 1995년 9월부터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유학.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위빈 가톨릭 종합 기숙사(국제 기숙사)에서 학숙 (중도 투입, 중도 하차)
임지은임수연1976년 대학교 국제정치외교학과 4학년독실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 1995년 3월부터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유학.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위빈 가톨릭 종합 기숙사(국제 기숙사)에서 학숙 (중도 투입, 중도 하차)
홍진경홍진경1978년 3월 6일경기도 평택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7학번본승을 짝사랑하여 하숙집에 자주 출입. 휴학 후 경기도 평택(고향)으로 낙향 (중도 하차)
양미라양미라1981년 2월 26일서울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9학번세준(수의사 양 원장)과 경실(이 여사)의 외동딸. 학교 방과 후 하숙집에 자주 출입 (중도 투입)
채림채림1979년 3월 28일경기도 파주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8학번경석의 애인이었으나 경석이 유학을 가면서 태영과 사귐
김선아김선아1979년 3월 5일경기도 가평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8학번하숙생 친구들 중에서 성적이 제일 안 좋으며 경식과 많이 엮임
박시은박시은1980년 5월 2일경기도 양평 출생, 문화대학교 미술학과 99학번, 1999년 8월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1학년 2학기 전과1996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경기도 의정부여자고등학교 3년 내내 경기도 양주 미가장학재단에서 후원한 미술 특기 장학생 출신. 전과 후 고수에게 첫눈에 반함 (중도 투입)
김경식김경식1976년 3월 3일부산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5학번1996년 2월부터 1999년 2월까지 3년간 휴학, 1996년 9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서울 강서구 구청 공익근무요원 복무. 부산 사투리를 사용
윤태영윤태영1977년 3월 13일경상북도 문경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6학번1998년 2월부터 1999년 2월까지 1년간 휴학. 얼굴이 긴 것이 콤플렉스 (중도 투입)
고수고수1980년 10월 16일충청남도 천안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9학번잘생긴 외모로 여학생들에게 인기 (중도 투입)
박광현박광현1980년 10월 11일강원도 고성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9학번1999년 2월 강원도 춘천고등학교 졸업. 경식과 함께 단신으로 불림 (중도 투입)
이재황이재황1979년 3월 16일강원도 고성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9학번광현의 강원도 춘천고등학교 1년 선배이자 절친. 1998년 2월 강원도 춘천고등학교 졸업. 선아를 짝사랑.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1학년 1학기 수료 후 휴학, 충청남도 논산 지역 육군 사병 입대 (중도 투입, 중도 하차)
김현정김현정1979년 3월 29일경기도 파주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8학번채림과 국민학교 동창. 1999년 8월 1년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 어학연수 (중도 하차)
박혜정박혜정1980년 3월 21일강원도 고성 출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9학번강원도 춘천여자고등학교 졸업. 광현의 여동생. 고수를 짝사랑
이정호이정호1979년 6월 26일강원도 고성 출생강원도 속초고등학교 졸업. 재황의 동갑내기 사촌 동생. 1999년 7월 20일 제주도 제주 지역 공군 사병 입대 (중도 투입, 중도 하차)


3. 조연

4. 하차 및 중도 투입된 배역 관련 정보


  • 최유라 : 중도 하차. 최불암의 이복 여동생이자 여자 하숙집 주인. 불교에서 가톨릭으로 개종. 제주도로 낙향.[1]
  • 길용우 : 김준영 역으로 중도 투입되었으나 중도 하차. 최유라의 남편. 가톨릭 신자. 대한관광공사 제주도 지사 파견 근무.[1]
  • 김지영 : 중도 투입되었으나 중도 하차. 최유라의 친정 이모. 가톨릭 신자.[1]
  • 김상국 : 중도 투입되었으나 중도 하차. 미란이 외숙부. 불교 신자. 타이완 가오슝으로 이주.[1]
  • 김성희 : 중도 투입되었으나 중도 하차. 이두희와 이미란의 외종사촌 누이동생. 불교 신자. 타이완 가오슝으로 이주.[1]
  • 김진수 : 중도 투입되었으나 중도 하차. 이두희와 이미란의 외종사촌 남동생. 불교 신자. 타이완 가오슝으로 이주 후 대한민국 서울에 입국하여 채림의 가정교사를 지냄.[1]
  • 박종관: 박재호 원장 역으로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개신교 신자. 인천 부평구에서 서예학원 원장을 지냄.[1]
  • 김수미: 김수미 대표 역으로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개신교 신자. 인천 부평구에서 설렁탕집 대표 업주를 지냄.[2]
  • 최철호: 박창경 역으로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개신교 신자. 문화대학교 동양철학과 조교 직원을 그만두고 타이완 타이베이로 유학.[3]
  • 김건호: 김건호 사무장 역으로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개신교 신자. 문화그룹 퇴사 후 박재호 원장의 서예학원에서 제1사무장 직위를 지냄.
  • 황혜영: 김채원 역으로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불교 신자. 서울(용산구)에서 영어학원 강사(차석강사 직급)를 지냄.
  • 이치우: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경기도 양주 미가장학재단 前 초대 이사장.
  • 조명남: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경기도 양주 미가장학재단 제2대 이사장.
  • 이원재: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미나 고모부. 1991년 2월 이후부터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소재 장현세탁소 대표 사업주.
  • 백일섭: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미나 작은할아버지. 해장국집 바지사장.
  • 박주아: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미나 작은할머니. 해장국집 업주.
  • 조민기: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해장국집 사장 장승국 대표 부부의 맏사위.
  • 임호: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해장국집 사장 장승국 대표 부부의 외동아들.
  • 최재원: 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해장국집 사장 장승국 대표 부부의 둘째사위.
  • 이진우 : 변상섭 역으로 중도 투입, 중도 하차. 경기도 파주 파주읍 파주리 소재 에이스 카 센터 대표 사업주.[3]
  • 이경아 : 유경자 역으로 중도 투입, 중도 하차. 변상섭의 아내.
  • 유현지 : 변지수 역으로 중도 투입, 중도 하차. 변상섭과 유경자의 딸.
  • 이경실: 서울 영등포 상하이 카페 주인 이미란 역으로 중도 하차.
  • 이재포: 서울 영등포 타이베이 유도관 대표 관장 이두희 역으로 중도 하차.

4. 1. 최 교수 일가 및 주변 인물 관련


  • 崔佛岩|최불암중국어(1940년 6월 20일 ~ )

: 남자 하숙집 주인. 일제 강점기 조선국 시대 말기 경기도 양주 광적면 비암리 출생. 불교 신자. 서광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학사(1963년) 및 동 대학원 석·박사(1969년·1973년) 출신. 1968년 예비역 육군 사병 병장 출신이며 대장간 대장장이 출신 경기도 양주시 미가유기점(놋그릇 가게) 1954년도 창업주 故 최진동(1923~1978) 선생의 장남. 16세 때(1955년) 8살 터울의 동복 남동생 계남과 함께 어머니 상을 치른 후 아버지 故 최진동 선생과 계모 슬하에서 성장, 25세 때(1964년) 계모상을 치름. 1973년 예술학 박사 학위 취득 후 1974년 3월 16일 결혼, 39세 때(1978년) 부친상. 1996년 9월 29일 13년 연하 부인(故 박숭은 여사)과 사별. 남들에게 지는 것을 싫어하며, 하숙생들이 하숙비를 늦게 내면 화를 낸다. 자유중화민국 타이베이(타이완) 쑨장 대학교(무대예술학과) 교환교수.[1]

  • 崔慶錫|최경석중국어(1975년 3월 2일 ~ )

: 최불암과 故 박숭은의 장남. 서울 중랑구 중화동 출생. 불교 신자. 故 최진동 선생의 장손자.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4학번. 1995년 2월부터 1999년 2월까지 4년간 휴학, 1995년 9월 11일부터 1998년 9월 11일까지 공군 사병 병장 전역. 공군 일등병 복무 시절(1996년 9월 29일) 모친상. 채림의 남자친구 역으로 출연, 중도에 1년간 어학연수 과정으로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유학.[1]

  • 崔相學|최상학중국어(1983년 8월 25일 ~ )

: 최불암과 박숭은의 차남. 서울 중랑구 중화동 출생. 불교 신자. 서울 신남로 고등학교 1학년. 공부는 싫어하면서 빨리 대학에 가기를 기다림. 국어, 한문, 영어 성적은 80점대를 유지하는 중상위권. 우연한 기회로 아버지 최 교수와 동생 세창을 따라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유학.[1]

  • 崔世昌|최세창중국어(1992년 3월 21일 ~ )

: 최불암과 박숭은의 막내아들. 서울 중랑구 중화동 출생. 불교 신자. 서울 신남로 초등학교 1학년. 일명 빡빡이. 머리가 똑똑해서 공부를 잘한다. 상학을 가르쳐 줄 수 있을 정도. 아버지 최 교수와 둘째 형 상학을 따라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유학.[1]

  • 崔繼南|최계남중국어(1948년 11월 1일 ~ )

: 최불암의 남동생.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 출생. 개신교 신자(원래 불교 신자). 故 최진동 선생의 차남. 1971년 서광대학교 철학과 학사 학위 취득. 경기도 양평군 군청 예하 방위병 복무(1971년~1973년). 인천 소머리순대국밥집 바지사장. 6년 연하 부인과 슬하 외동아들 본승과 함께 인천 중구(신흥동) 거주.[1]

  • 安海淑|안해숙중국어(1954년 8월 23일 ~ )

: 최계남의 부인. 최본승의 어머니.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옥천리 출생. 인천 소머리순대국밥집 대표 업주. 불교 신자. 故 최진동 선생의 차자부(둘째며느리). 1974년 3월 18일 결혼. 1983년 4월 중순 부군 최계남 대표가 불교에서 개신교로 개종했음에도 불구, 외동아들 본승과 함께 불교 신앙 유지. 1996년 9월 29일 손윗동서 박숭은 여사 상배 후 시아주버님 최불암 교수를 불교 교우로 여기며 돈독한 관계 유지.[1]

  • 崔本承|최본승중국어(1975년 4월 25일 ~ )

: 최불암의 친조카. 최계남과 안해숙의 외동아들. 서울 마포구 아현동 출생. 불교 신자. 故 최진동 선생의 차손자. 최경석의 동갑내기 사촌 남동생. 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94학번. 1994년 8월부터 1995년 8월까지, 1996년 2월부터 1996년 8월까지 두 번 휴학. 1999년 8월 대학 졸업 후 김정균의 조교로 들어갔다가 그만두고 제주도 서귀포 해군 수병 입대.[1]

  • 李萬純|이만순중국어(1937년 7월 15일 ~ )

: 최불암, 최계남 형제의 외종사촌 형. 일제 강점기 조선국 시대 경기도 용인 출생. 故 이재순(최불암, 최계남 형제의 어머니)의 친정 조카. 개신교 신자(원래 불교 신자). 1984년 10월 11일 이후 서울 중랑구 면목동 거주. 부인(배유림)과 사이에 2남 3녀(5남매).[1]

  • 柳明順|유명순중국어(1933년 9월 29일 ~ )

: 최불암의 처숙모. 일제 강점기 조선국 시대 경기도 광주 출생. 故 박숭은(최불암의 상배 부인)의 친정 숙모. 불교 신자. 1991년 8월 26일 이후 서울 서초구 방배동 거주. 상배 부군(故 박철진. 1992년 1월 2일, 68세)과 사이에 1남 2녀(3남매).[1]

  • 朴禮淑|박예숙중국어(1936년 11월 16일 ~ )

: 최불암의 처고모. 일제 강점기 조선국 시대 경기도 평택 출생. 故 박숭은(최불암의 상배 부인)의 친정 고모. 불교 신자. 1991년 3월 2일 이후 서울 송파구 송파동 거주. 상배 부군(故 이창선. 1991년 10월 10일, 69세)과 사이에 3남 3녀(6남매).[1]

  • 申益洙|신익수중국어(1942년 4월 20일 ~ )

: 최불암의 둘째 처외숙부. 서울 서원 동물병원 원장. 일제 강점기 조선국 시대 말기 경기도 화성 출생. 자동차 정비사 신수담 대표의 형. 故 박숭은(최불암의 상배 부인)의 친정 이복 외숙부. 한일대학교 수의과대학(1967년) 및 동 수의과대학원(1978년) 출신 수의사수의학 박사. 전직 문화대학교 수의과대학 겸임교수, 예비역 해군 일등병 전역. 불교 신자. 1991년 11월 18일 이후 서울 서초구 잠원동 거주. 부인(강하민)과 사이에 슬하 2남.[1]

  • 姜夏敏|강하민중국어(1950년 5월 20일 ~ )

: 최불암의 둘째(이복) 처외숙모. 신익수의 부인. 경상북도 문경 출생. 불교 신자.[1]

  • 申守淡|신수담중국어(1947년 12월 14일 ~ )

: 최불암의 막내 처외숙부. 서울 SJ 자동차 정비소 대표 사업주(자동차 정비사). 미군정 조선국 시대 말기 경기도 화성 출생. 신익수 수의사의 동생. 故 박숭은(최불암의 상배 부인)의 친정 막내 이복 외숙부. 대전실업초급대학 기계학과 전문학사 과정(1968년) 졸업, 예비역 공군 일등병 전역. 개신교 신자(원래 불교 신자). 1991년 11월 24일 이후 서울 송파구 잠실동 거주. 부인(김연진)과 사이에 2남 1녀(3남매).[1]

  • 李淑|이숙중국어(1956년 3월 22일 ~ )

: 최불암의 막내(이복) 처외숙모. 신수담의 부인. 충청남도 아산 출생. 개신교 신자.[1]

  • 金惠英|김혜영중국어(1956년 2월 29일 ~ )

: 장미나의 어머니. 김정균의 누나. 만12세 때 국민학교 졸업 후 중학교 중퇴, 고입 자격 및 고졸 학력 검정고시 합격. 주산 5급 자격증 보유.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상설 여의도 굴비가게 업주.[1]

  • 張良八|장양팔중국어(1956년 12월 3일 ~ )

: 장미나의 아버지. 김정균의 자형. 딸바보 아빠. 1남 4녀(5남매) 중 외동아들이자 둘째. 만13세 때 국민학교 졸업 후 중학교 중퇴, 고입 및 고졸 학력 검정고시 합격. 국민학교 1년 선배 김혜영과 결혼, 주산 5급 자격증 취득 후 상설 굴비가게 바지사장.[1]

  • 張美娜|장미나중국어(1992년 12월 15일 ~ )

: 최세창(최불암 교수 셋째아들)의 여자친구. 김정균 교수의 생질녀(조카딸). 여자에 관심없는 최세창이 유일하게 대화하는 여자아이이며, 다른 남자랑 놀면 최세창이 뭐라 한다.[1]

4. 2. 최유라 일가 및 주변 인물 관련


  • '''최유라''' : 최유라 역(중도하차)
  • * 김소이 : 1989년 32세 시절의 최유라 역

: 불암과 계남의 이복 여동생. 여자 하숙집 주인. 불교에서 이탈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 유기점 창업주였던 故 최진동 선생의 막내딸(故 김지선 여사의 소생)이다. 경기도 양주 은현면 선암리에서 1958년 1월 9일에 출생하였으며, 빠른 개띠생으로 만 6세(국민학교 1학년) 때 어머니 상을 치렀다. 1년 연하 부군(김준영)과 두 딸이 제주도 제주(제주 연동)에 있는 기러기 주말 부부 아내이다. 강자에겐 약하고 약자에겐 강해서 오빠인 불암에겐 아무 말 못하지만, 조카들은 쥐 잡듯이 괴롭힌다. 큰오빠 불암이 중화민국 타이베이에 교환 교수로 가게 되면서 제주도 제주 지역으로 낙향한다.[1]

  • '''길용우''' : 김준영 역(중도 투입. 중도 하차.)
  • * 김승수 : 1989년 31세 시절의 김준영 역

: 여자 하숙집 주인 최유라의 남편이자 불암과 계남의 매제이다. 1959년 5월 31일생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 신자이며, 경석, 본승, 상학, 세창의 고모부이다. 1년 연상녀 부인 최유라와 사이에 슬하 2녀(장녀 김강산, 차녀 김준희)를 두었다. 대한관광공사 제주도(제주) 지사에 파견 근무 중이다.[1]

  • '''김지영''' : 김지영 역(중도 투입. 중도 하차.)

: 최유라의 친정 이모. 1937년 9월 24일 일제 강점기 조선국 시대 충청북도 청주 출생. 최유라 친정 어머니 故 김지선(최불암과 최계남의 계모)의 친정 막내 누이동생으로, 최불암 교수와 최계남 대표에게는 허울뿐인 이모뻘이다. 1988년 11월 16일부터 제주도 제주 아라동에 거주 중이며, 불교에서 이탈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이다. 故 김호칙(친정아버지)의 슬하 3녀(장녀 故 김학선, 차녀 故 김지선, 3녀 김지영.) 중 막내로 태어났으며, 상배 부군(故 고승복. 1990년 12월 6일 당시 향년 62세로 별세.)과 사이에 1남 3녀(4남매)를 두었다. 친정 첫째 언니(최유라 친정 큰이모 故 김학선. 1986년 9월 24일 당시 향년 59세로 별세.)는 충청북도 충주 지역으로 출가하여 첫째 형부(故 지덕구. 1973년 4월 25일 당시 향년 48세로 별세.)와 사이에 2녀(두 딸)를 두었다.[1]

  • '''김상국''' : 김상국 역(중도 투입. 중도 하차.)

: 미란이 외숙부(이두희 전직 관장과 이미란 전직 대표의 외숙부)이다. 1934년 1월 31일 일제 강점기 조선국 시대 경상남도 부산 지역의 부잣집 자제로 태어났으며 불교 신자이다. 1983년 3월 9일, 부인(오상득)과 슬하 1남 3녀(4남매)와 함께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가오슝으로 이주하였다.[1]

  • '''김성희''' : 김성희 역(중도 투입. 중도 하차.)

: 이두희 전직 관장과 이미란 전직 대표의 외종사촌 누이동생. 김상국 내외 슬하 1남 3녀(4남매) 중 막내딸. 1969년 6월 9일 서울 마포구 아현동 출생으로 불교 신자이며 1983년 3월 9일, 중학교 2학년 시절 일가족과 함께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가오슝으로 이주하였다.[1]

  • '''김진수''' : 김진수 역(중도 투입. 중도 하차.)

: 이두희 전직 관장과 이미란 전직 대표의 외종사촌 남동생. 김상국 내외 슬하 1남 3녀(4남매) 중 막내아들. 1972년 4월 21일 서울 마포구 아현동 출생으로 불교 신자이다. 1983년 3월 9일, 국민학교 5학년 1학기 초 시절 일가족과 함께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가오슝으로 이주하였고, 1991년 2월 타이완(가오슝)에서 고등학교 졸업 후 1991년 3월 대한민국 서울에 입국하여 재수 끝에 1992년 2월 서울 한일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 입학하였다. 대학교 재학 시절 당시 중학교 1학년 시절(1992년 8월)부터 고등학교 1학년 시절(1995년 8월)까지였던 채림 양의 여름 방학 기간 가정교사를 3년간 지냈다.[1]

4. 3. 최 교수 손윗처남 박재호 일가 및 주변 인물 관련


: 최불암의 손윗처남으로 1946년 3월 25일생이다. 박예숙의 친정 조카이자 개신교 신자이며, 경석, 상학, 세창의 외숙부이다. 인천 부평구에서 서예학원 원장을 지냈다. 최불암 교수의 상배 부인 故 박숭은 여사는 바로 박재호 원장의 누이동생이다. 박재호 원장의 장인 故 김소천 선생은 생전 경기도 양주 미가유기점 제2대 업주 출신으로, 매제 최 교수 선친 故 최진동 선생과 생전에 같은 소학교 선후배 사이였으며 절친한 지인이었다.[1]
: 박재호의 부인으로 1948년 10월 8일생이다. 개신교 신자이며, 경석, 상학, 세창의 외숙모이다. 인천 부평구에서 설렁탕집 대표 업주를 지냈다. 1983년 4월 중순, 당시 38세 부군 박재호, 당시 중학교 1학년 외동아들 박창경, 당시 32세 친정 남동생 김건호, 당시 36세 동갑내기 아랫사돈 최계남과 함께 불교 신앙을 버리고 개신교 세례를 받았다.[2] 김수미 여사의 친정아버지 故 김소천(1924~1989) 선생은 최불암·최계남·최유라 3남매 선친 故 최진동(1923~1978) 선생에게 소학교 1년 후배였는데, 친정아버지 김소천 선생은 생전에 도자기 빚는 재야 도예가로 활동 중 선배 최진동 선생에게 놋그릇 가게를 인수받아 1968년에 경기도 양주 미가유기점 제2대 업주가 되었다. 훗날 16년이 지난 1984년에 경기도 양주 미가유기점을 모두 처분, 그 액수를 사회에 환원(경기도 양주 미가장학재단 창설) 후 도자기 빚는 경기도 양주 초야의 재야 도예가로 재복귀하였다.[2]
: 박재호 부부의 외동아들로 최불암 교수의 처조카이다. 1970년 4월 18일생이며, 개신교 신자이자 故 김소천 선생의 외손자이다. 경석, 상학, 세창의 외사촌 형이며, 본승의 고등학교 선배이다. 일명 '부평동 포청천'으로, 영어와 중국어를 할 줄 아는 대학 조교 직원이었다가, 문화대학교 동양철학과 조교 직원을 그만두고 타이완 타이베이로 유학을 떠난다.[3]

  • 김건호: 김건호 사무장 역(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 * 김명수: 1978년 27세 시절의 김건호 역.
  • * 최범호: 1983년 32세 시절의 김건호 역.

: 김수미의 친정 남동생이자 최불암 교수의 손윗처남인 박재호 원장의 손아랫처남이다. 1952년 6월 8일생이며, 개신교 신자이다. 대장간 대장장이 출신의 재야 도자기 도예가였던 故 김소천(1924~1989) 前 경기도 양주 미가유기점 제2대 업주의 슬하 1남 1녀 중 막내아들, 박창경의 외숙부이다. 청년 시절에 평발 증세로 병역 면제 조치를 받았다. 1973년 2월 15일 결혼하여 슬하 1남 2녀(3남매)를 두었다. 1976년 8월, 문화그룹 입사, 훗날 문화그룹 경영기획부 부장 직위 8년차에 재직 중이던 1996년 5월 31일에 사표를 제출하고, 서울(영등포구 문래동)과 인천(부평구 부평동)을 출퇴근하면서 자형 박재호 원장의 서예학원에서 제1사무장 직위를 지냈다. 부인과 사이에는 슬하 1남 2녀(3남매)를 두었는데, 초등학교 5학년(만 11세)짜리 막내딸(1988년 5월 29일생)이 미술 영재로 촉망받고 있다.

  • 황혜영: 김채원 역(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 * 하승리: 1978년 5세 시절의 김채원 역.
  • * 서지희: 1983년 10세 시절의 김채원 역.

: 김건호의 슬하 1남 2녀 중 장녀이자 첫째이다. 김수미의 친정 조카딸이며 1974년 3월 3일생이다. 불교 신자이자 故 김소천(1924~1989) 선생의 친손녀이다. 1997년 2월, 문화대학교 영어영문학과(학사)를 나온 후 서울(용산구)에서 영어학원 강사(차석강사 직급)를 지냈다.

  • 이치우: 이치우 역(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 경기도 양주 미가장학재단 前 초대 이사장이다. 예비역 해병대 중위 출신 중등교원(한문 교사)이며, 1983년 前 경기도 양주 양촌고등학교 교장 정년 퇴임.

  • 조명남: 조명남 역(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 경기도 양주 미가장학재단 제2대 이사장이다. 1990년 前 경기도 양주 와룡국민학교 교장 정년 퇴임하였으며, 이치우 前 이사장과는 교육학 석사 과정 동기이다.
: 미나 엄마이자 정균의 누나이다. 1956년 2월 29일생으로 만 12세 때 국민학교 졸업 후 중학교 중퇴, 고입 자격 및 고졸 학력 검정고시 합격하였다. 주판 5급 자격증을 취득 및 보유하였으며,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상설 여의도 굴비가게 업주이다.

  • 정대열: 장양팔 역.
  • * 김흥수: 1971년 16세 시절의 장양팔 역.
  • * 이규준: 1984년 29세 시절의 장양팔 역.

: 미나 아빠이자 정균의 자형이다. 소위 딸바보 아빠로, 1956년 12월 3일생, 1남 4녀(5남매) 중 외동아들이자 둘째이다. 만 13세 때 국민학교 졸업 후 중학교 중퇴, 고입 자격 및 고졸 학력 검정고시 합격하였다. 같은 국민학교 1년 선배 혜영과 결혼, 주판 5급 자격증 취득 및 보유 후 그 명성을 얻어 상설 굴비가게 바지사장을 지냈다.
: 최세창(최불암 교수 셋째아들)의 여자친구이자 김정균 교수의 생질녀(조카딸)이다. 1992년 12월 15일생으로, 여자에 관심없는 최세창이 유일하게 대화하는 여자아이이며, 딴 남자랑 놀면 세창이 뭐라 한다.

  • 이원재: 이재춘 역(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 * 안성민: 1984년 30세 시절의 이재춘 역.
  • * 선우재덕: 1991년 37세 시절의 이재춘 역.

: 미나 고모부로 1955년 3월 3일생이다. 장양팔의 매형이자 장승국의 조카사위이다. 결혼 후 슬하 1남 2녀(3남매)를 두었으며, 경기도 양주 지역에 거주하는 전직 목공소 지배인 출신이다. 1991년 2월 이후부터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소재 장현세탁소 대표 사업주이다.

  • 백일섭: 장승국 역(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 * 구보석: 1984년 41세 시절의 장승국 역.
  • * 하대경: 1991년 48세 시절의 장승국 역.

: 미나 작은할아버지로, 1944년 6월 11일 일제 강점기 조선국 시대 말기 강원도 춘천시 출생이다. 장양팔의 삼촌이자 해장국집 바지사장이며, 2년 연상의 부인 박 여사와 사이에 슬하 1남 3녀(4남매)를 두었다.

  • 박주아: 박주아 역(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 * 양희경: 1984년 43세 시절의 박주아 역.
  • * 권귀옥: 1991년 50세 시절의 박주아 역.

: 미나 작은할머니이자 장양팔의 숙모이며, 해장국집 업주이다.

  • 조민기: 공성곤 역(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 해장국집 사장 장승국 대표 부부의 맏사위이자 외국계 A 무역회사 전임이사, 장호술 대리의 자형이다.

  • 임호: 장호술 역(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 해장국집 사장 장승국 대표 부부의 외동아들이자 외국계 B 출판사 예하 대리, 장양팔 대표의 사촌 남동생이다.

  • 최재원: 차동진 역(중도 투입 및 중도 하차).

: 해장국집 사장 장승국 대표 부부의 둘째사위이자 외국계 S 증권회사 예하 과장, 장호술 대리의 매제이다.

4. 4. 홍 교수 일가 및 주변 인물 관련


  • 홍석천 : 홍석천 교수 역. 대학교수이며 전직은 단역 배우였다. 개띠 30세.[1] 별명이 낙지여서 낙지볶음을 가장 싫어한다.[1]
  • 박상면 : 박상면 역. 홍석천 교수의 외종사촌 남동생. 쥐띠 28세.[2] 인천 남구 소재 부동산 중개업 대표.[2]
  • 심혜진 : 홍유정 역. 홍석천 교수의 누나. 뱀띠 35세.[3] 인천 남구 소재 컴퓨터 수선 종합 세탁소 대표.[3]
  • 최항석 : 지두복 교수 역. 홍석천 교수의 자형. 인천전문대학 행정학과 교수.
  • 박지미 : 지미령 역. 지두복과 홍유정의 외동딸, 홍석천 교수의 생질녀. 1988년 8월 21일 인천 중구 북성동 출생. 인천미추홀초등학교 5학년.
  • 최재호 : 지진계 역. 홍석천 교수의 자형 지두복 교수의 아버지. 1936년 7월 15일 일제 강점기 조선 경기도 인천 제물포 부잣집 외동아들로 출생.
  • 조학자 : 용찬우 역. 홍석천 교수의 자형 지두복 교수의 어머니. 1935년 5월 28일 일제 강점기 조선 평안북도 중강 중강진 지역에서 부농가 집안의 외동딸로 출생, 7세 시절(1941년 2월 15일) 농토를 모두 판 친정 부모와 함께 일제 강점기 조선 경기도 인천 제물포 지역으로 이주.
  • 김석옥 : 박옥희 역. 홍유정 대표와 홍석천 교수의 어머니. 박상면과 박현숙의 고모, 정승호의 처고모. 1991년 9월 19일, 남편(故 홍대순)과 병으로 사별.
  • 최은숙 : 안상봉 역. 박상면과 박현숙의 어머니, 홍유정 대표와 홍석천 교수의 외숙모. 정승호의 장모. 1996년 10월 11일, 남편(故 박이준)과 병으로 사별.
  • 정승호 : 정승호 역. 박상면의 제주도 서귀포 천지동 거주 닭띠 43세 매제. 제주도 남제주 안덕면 화순리 지역에서 부농가 대농 집안의 후손으로 출생, 1999년 3월 14일, 17세 연하의 박현숙과 결혼.
  • 박현숙 : 박현숙 역. 박상면의 제주도 서귀포 천지동 거주 호랑이띠 26세 누이동생. 1999년 3월 14일, 17세 연상의 정승호와 결혼.

4. 5. 김 교수 손윗처남 변상섭 일가 및 주변 인물 관련


  • 이진우 : 변상섭 역 (중도 투입, 중도 하차)
  • * 김일웅 : 1988년 21세 시절 변상섭 역

: 미나의 외삼촌이자 정균의 손윗처남, 미나 어머니 변소정의 친오빠이다. 1968년 11월 26일에 출생하였다. 소위 '딸바보' 아빠로, 문화대학교 자동차공학과를 졸업하고 1991년 2월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1년 4월 25일부터 1993년 4월 25일까지 부산 동래구청에서 방위병으로 복무했다. 1994년부터 5년 남짓 카 센터에서 근무하였으며, 1996년 10월 19일부터 경기도 파주 파주읍 파주리 소재 에이스 카 센터 대표 사업주로 3년째 일하고 있다.[3]

  • 이경아 : 유경자 역 (중도 투입, 중도 하차)
  • * 홍은희 : 1988년 21세 시절 유경자 역

: 상섭의 아내로, 1968년 2월 19일생이다. 남편 상섭과 동갑이지만 생일이 10개월 빨라 연상이다. 1988년 2월 문화전문대학 산업디자인학과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8년 8월 15일, 당시 문화대학교 자동차공학과 2학년 재학생이던 변상섭과 결혼했다.

  • 유현지 : 변지수 역 (중도 투입, 중도 하차)

: 상섭과 유경자의 딸로, 1989년 12월 31일생이다. 경기도 파주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이다. 소정의 친정 조카딸이자 은혜의 외사촌 언니이다.

4. 6. 그 외 기타 관련


  • 이치우: 경기도 양주 미가장학재단 前 초대 이사장. 예비역 해병대 중위 출신으로, 1983년 경기도 양주 양촌고등학교 교장 정년 퇴임.[1]
  • 조명남: 경기도 양주 미가장학재단 제2대 이사장. 1990년 경기도 양주 와룡국민학교 교장 정년 퇴임. 이치우 前 이사장과는 교육학 석사 과정 동기.[2]
  • 문회원: 문화대학교 총장[3]
  • 안지환: 문화대학교 총장 전용 드라이버
  • 김기현: 1999년 10월 28일 이후부터 문화대학교 제1부총장
  • 이춘식: 1999년 10월 28일 이후부터 문화대학교 제2부총장
  • 박영지: 1999년 10월 28일 이후부터 문화대학교 제3부총장
  • 오승명: 서울 영등포 문래장 여관 대표 사업주.
  • 박소현: 서울 영등포 문래장 여관 오승명 대표의 아내.
  • 오태경: 서울 영등포 문래장 여관 대표 오승명 부부의 막내아들. 1983년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출생. 최상학(최 교수 차남)과는 서울 신남로고등학교 동기.
  • 주용만: 서울 중화요리 신길 대반점 대표 사업주.
  • 박영희: 서울 중화요리 신길 대반점 대표 사업주 주용만 요리사의 아내.
  • 주한울: 서울 중화요리 신길 대반점 대표 주용만 내외의 맏아들. 1983년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 출생. 최상학(최 교수 차남)과는 서울 신남로고등학교 동기.
  • 이경실: 서울 영등포 상하이 카페 주인 이미란 역으로 중도 하차.
  • 허영란: 1986년 당시 문화전문대 산업디자인학과 1학년 시절 21세의 이미란 역. 1966년 서울 출생.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유학 후 1992년 서울 문화대학교 공업미술학과 학사 학위 취득. 1999년 9월 서울 영등포 상하이 카페 폐업 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가오슝으로 재이주.
  • 이재포: 서울 영등포 타이베이 유도관 대표 관장 이두희 역으로 중도 하차.
  • 김관기: 1986년 당시 문화대 태권도학과 3학년 시절의 26세 이두희 역. 1960년 강원도 춘천 출생. 1987년 문화대학교 태권도학과 학사 학위 취득. 1999년 9월 서울 영등포 타이베이 유도관 폐업 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가오슝으로 재이주.
  • 김상국: 이미란의 외숙부. 1934년 일제 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부산 출생. 1983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가오슝 이주.
  • 김성희: 이두희와 이미란의 외종사촌 누이동생. 1969년 서울 마포구 아현동 출생. 1983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가오슝 이주.
  • 김진수: 이두희와 이미란의 외종사촌 남동생. 1972년 서울 마포구 아현동 출생. 1983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가오슝 이주. 1992년 서울 한일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입학. 채림의 가정교사 3년.
  • 트위스트 김: 이미란 외숙모의 친정 오빠. 1936년 일제 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부산 출생. 1983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가오슝 이주.
  • 서병돈: 오백돈(이미란 외숙부의 처갓댁 손윗처남)의 아들. 1982년 부산 출생. 1983년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가오슝 이주.
  • 이원재: 미나 고모부. 1955년생. 전직 목공소 지배인. 1991년 이후 경기도 양주 장흥면 교현리 소재 장현세탁소 대표 사업주.
  • 안성민: 1984년 30세 시절의 이재춘 역
  • 선우재덕: 1991년 37세 시절의 이재춘 역
  • 백일섭: 미나 작은할아버지. 1944년 일제 강점기 강원도 춘천 출생. 해장국집 바지사장.
  • 구보석: 1984년 41세 시절의 장승국 역
  • 하대경: 1991년 48세 시절의 장승국 역
  • 박주아: 미나 작은할머니. 해장국집 업주.
  • 양희경: 1984년 43세 시절의 박주아 역
  • 권귀옥: 1991년 50세 시절의 박주아 역
  • 조민기: 해장국집 사장 장승국 부부의 맏사위. 외국계 A 무역회사 전임이사.
  • 임호: 해장국집 사장 장승국 부부의 외동아들. 외국계 B 출판사 예하 대리. 장양팔 대표의 사촌 남동생.
  • 최재원: 해장국집 사장 장승국 부부의 둘째사위. 외국계 S 증권회사 예하 과장. 장호술 대리의 매제.
  • 이문수: 서울 노원구 상계주유소 대표 사업주.
  • 강인덕: 서울 노원구 상계주유소 지배인. 양지선(박탐희가 미술 교생 실습을 나간 서울 문화여자고등학교 2학년 양지선)의 아버지.
  • 송영웅: 최상학(최불암 교수 둘째아들)의 서울 신남로고등학교 1학년 시절 담임 교사(한문).
  • 김양욱: 최상학의 서울 신남로고등학교 1학년 시절 남자 국어 교사.
  • 채유미: 최상학의 서울 신남로고등학교 1학년 시절 여자 영어 교사.
  • 정준하: 최세창(최불암 교수 막내아들)의 서울 신남로초등학교 1학년 시절 담임 교사.
  • 전미선: 장미나(김정균 교수 조카딸)의 서울 신남로초등학교 1학년 시절 담임 교사.
  • 강경헌: 김은혜(김정균 교수 외동딸)의 서울 신남로초등학교 1학년 시절 담임 교사.
  • 김성훈: 킹카 브러더스 3. 1973년 경상남도 창원 출생. 1999년 당시 문화대학교 인문과학과 4학년.
  • 강현종: 킹카 브러더스 3. 1979년 경상남도 진해 출생. 1999년 당시 문화대학교 미술학과 2학년. 휴학 후 해군 수병 입대.
  • 조인성: 킹카 브러더스 3. 1980년 경상남도 마산 출생. 1999년 당시 문화대학교 섬유공학과 1학년. 휴학 후 공군 사병 입대.
  • 김채연: 킹카 브러더스 구성원 김수동의 누이동생. 1999년 당시 서광대학교 미술학과 4학년.
  • 신소미: 킹카 브러더스 구성원 강맹경의 누나. 1999년 당시 문화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원 간호사.
  • 신주리: 킹카 브러더스 구성원 조태구의 누나. 1999년 당시 한일대학교 철학과 4학년.
  • 홍기훈: 최불암 교수의 가택을 침입한 절도범 출신의 마약범.
  • 함신영: 홍성현을 검거하는 서울 송파 경찰지서 파출소 경관 1.
  • 김상엽: 홍성현을 검거하는 서울 송파 경찰지서 파출소 경관 2.
  • 서범식: 홍성현을 검거하는 서울 영등포 경찰지서 파출소 경관 1.
  • 문천식: 홍성현을 검거하는 서울 영등포 경찰지서 파출소 경관 2.
  • 송종호: 문화대학교 골프학과 3학년 휴학생. 대구 지역에 육군 사병 입대.
  • 소지섭: 문화대학교 골프학과 2학년 휴학생.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 프란시스코에 1년간 유학.
  • 강성민: 문화대학교 골프학과 1학년 휴학생.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 육군 사병 입대.
  • 백종헌: 문화대학교 해운공학과 3학년 휴학생. 제주도 제주 지역에 해병대 사병 입대.
  • 김철기: 문화대학교 항공공학과 3학년 휴학생.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 공군 사병 입대.
  • 주우: 1972년 부산 출생. 1999년 현재 서광대학교 산업공학과 4학년 재학생. 1995년 공군 사병 병장 제대.
  • 박희진: 주성덕의 애인. 1979년 경상남도 밀양 출생. 1999년 현재 서광대학교 금속공학과 2학년.
  • 정성호: 1976년 부산 출생. 1999년 현재 문화대학교 미술학과 4학년. 병역 미필자.
  • 허성수: 주재호의 애인. 1979년 경상남도 김해 출생. 1999년 현재 문화대학교 미술학과 2학년.
  • 강용석: 1979년 부산 출생. 서울한국전문대학 공업디자인학과 2학년 재학생. 1999년 현재 병역 미필자.
  • 홍세은: 주상철의 애인. 1979년 경상남도 남해 출생. 1999년 현재 서울한국전문대학 공업디자인학과 2학년.
  • 박탐희: 문화대학교 미술교육학과 4학년. 김선아(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2학년)의 국민학교 2년 선배.
  • 라윤경: 문화대학교 중국어학과 4학년. 김선아(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2학년)의 국민학교 2년 선배.
  • 한희: 문화대학교 음악교육학과 1학년. 김선아(문화대학교 연극영화학과 2학년)의 국민학교 1년 후배.
  • 구민지: 박탐희가 미술 교생 실습을 나간 서울 문화여자고등학교 2학년.
  • 염현희: 박탐희가 미술 교생 실습을 나간 서울 문화여자고등학교 2학년.
  • 고정민: 박탐희가 미술 교생 실습을 나간 서울 문화여자고등학교 2학년.
  • 권인선: 박탐희가 미술 교생 실습을 나간 서울 문화여자고등학교 2학년.
  • 김옥주: 박탐희가 미술 교생 실습을 나간 서울 문화여자고등학교 2학년.
  • 김영미: 박탐희가 미술 교생 실습을 나간 서울 문화여자고등학교 2학년. 김옥주 여학생의 사촌 누이동생.
  • 양지선: 박탐희가 미술 교생 실습을 나간 서울 문화여자고등학교 2학년.
  • 여현수: 양지선의 이종사촌 남동생. 서울 문화고등학교 2학년 재학.
  • 이세은: 안임경이 중국어 교생 실습을 나간 서울 신남로고등학교 2학년.
  • 이문수: 이세은 양의 아버지. 서울 노원구 상계주유소 대표 사업주.
  • 이진주: 이세은 양의 언니. 1999년 현재 한일대학교 철학과 4학년.
  • 이두일: 이세은 양의 삼촌.
  • 이지영: 이세은 양의 사촌 누이동생. 1999년 현재 서울 문화초등학교 4학년.
  • 윤정수: 케이블 ITN(이동 통합 네트워크) 인기 버라이어티 주간 예능 프로그램 '고백 통신' MC.
  • 성진우: 문화대학교 축제 초대 가수.
  • 원빈: 최본승(최불암 교수 친질)의 해군 수병 입대 동기. 1999년 당시 22세. 해인공업전문대학 휴학생. 농기계 수리공 및 하급 토목기사 자격증 취득.
  • 이 작품의 총 출연자 중 최고령 출연자는 유명순, 차고령 출연자는 김상국이다.

5. 트리비아

이 시트콤은 SBS 《카이스트》에 출연 중이던 채림을 스카우트하는 등 제법 의욕적으로 출발했으나[1] 전작 《남자 셋 여자 셋》의 리바이벌이란 지적을 받으며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2] 이 과정에서 홍진경을 중도하차시키는 대신 박광현 등을 투입시켰다.[2] 그럼에도 시청률이 오르지 않자 1999년 10월 18일 방송분부터 최불암, 서경석, 최유라, 최상학, 맹세창, 구본승 등을 해외 국가 대학 교환교수 연수, 해외 유학, 군 입대, 제주도 제주 낙향 등이라는 에피소드로써 하차시키고,[3] 이경실, 윤태영, 양미라, 고수 등을 투입시켰지만 결국 기대 이하의 성적에 그쳤다.

참조

[1] 뉴스 MBC'점프' 최불암 구본승등 빠진다 시청률 저조···이경실등 투입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7-03-30
[2] 뉴스 새얼굴 수혈로 드라마 살린다 https://web.archive.[...] 국제신문 2017-03-30
[3] 뉴스 [MBC 시트콤] 최불암, 시트콤 떠나다… 출연진 물갈이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7-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