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의 세속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튀르키예의 세속주의는 오스만 제국의 탄지마트 개혁에서 시작되어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 이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에 의해 강력하게 추진되었다. 케말주의는 종교를 공적 영역에서 분리하고 국가의 엄격한 통제하에 두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튀르키예 헌법은 세속 공화국임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정부 하에서 세속주의는 약화되었고, 2016년 쿠데타 이후 이슬람 원리주의가 발흥하는 모습을 보였다. 튀르키예의 세속주의는 종교의 자유를 제한하고 특정 종교를 우대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종교 단체의 정치 참여는 금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속주의 - 세속화
세속화는 종교의 영향력 감소와 비종교적 가치 증가를 의미하며, 사회, 문화, 종교적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합리성과 과학 발달, 사회 분화 등이 영향을 미치며, 서구 사회를 중심으로 논의되지만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다양한 비판도 존재한다. - 세속주의 - 자유주의 신학
자유주의 신학은 19세기 기독교 신앙을 당시 지성적 흐름에 맞게 재해석하려던 신학 운동으로, 과학적 발견과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성경 무오류설을 거부하고 역사비평을 통해 성경을 해석하며, 인간 이성과 경험을 중시하고 예수의 윤리적 가르침에 초점을 맞추며 사회정의와 평등을 강조했으나 보수적 신학으로부터 비판받았고 대한민국에서는 주류 신학으로 자리잡지 못했다.
튀르키예의 세속주의 | |
---|---|
개요 | |
유형 | 정치 이념 |
목표 | 종교와 국가의 분리 |
상세 정보 | |
튀르키예어 명칭 | (라이클리크) |
정의 | 튀르키예에서 세속주의는 국가가 종교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해야 함을 의미하며, 종교적 신념의 자유를 보장함. 또한 종교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방지하고, 교육 및 법률 시스템을 종교적 교리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역사적 배경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에 의해 도입 오스만 제국의 종교 중심 통치에서 벗어나 서구식 근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원칙으로 채택됨. |
주요 특징 | 국가와 종교의 분리 종교적 자유 보장 교육 제도의 세속화 법률의 세속화 종교 단체에 대한 국가의 감독 |
논란 및 비판 | 일부 보수적인 집단은 세속주의가 종교적 가치를 훼손한다고 주장하며 비판함. 정부의 종교 정책에 대한 논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
관련 기관 | (튀르키예 종교청) |
참고 자료 | 영어 위키백과: 튀르키예의 세속주의 일본어 위키백과: 라이클리크 튀르키예 종교청 (url=https://web.archive.org/web/20080108071157/http://www.diyanet.gov.tr/english/tanitim.asp?id=13) PROF. DR. 뷜렌트 다베르의 "Secularism in Turkey" (url=https://web.archive.org/web/20190322031719/http://www.atam.gov.tr/dergi/sayi-11/secularism-in-turkey) |
관련 문서 | |
관련 정보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케말주의 튀르키예 튀르키예의 종교 |
2. 역사
튀르키예의 세속주의, 즉 라이클릭(Laikliktr)의 역사는 오스만 제국의 탄지마트 개혁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제2차 입헌 시대에 이르러 중요한 발전을 이루었다. 오늘날 튀르키예 세속주의의 형태는 아타튀르크의 개혁을 통해 완성되었다.
라이클릭 원칙은 케말주의가 확립된 1937년 이후 현재까지 튀르키예 공화국의 중요한 헌법 원칙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현행 제3공화국 헌법인 1982년 헌법에서도 계승되고 있다[70][71]。 이 헌법은 종교의 자유(제24조 제1항)와 국가의 비종교성(제24조 제4항 및 제5항)을 명시하고 있다[70]。 만약 정당이 라이클릭 원칙에 위배되는 활동의 중심이 될 경우, 헌법재판소의 최종 판결에 따라 해산될 수 있다(제68조).
튀르키예 헌법 제68조에서 볼 수 있듯이, 국가뿐만 아니라 국민에게도 라이클릭 원칙 준수 의무를 부과하여 이 원칙을 강력하게 보호하고자 한다[70]。 튀르키예 헌법재판소는 라이클릭에 대해 다음과 같은 4가지 원칙을 일관되게 제시해왔다[70]。
# 종교가 국가의 사항을 지배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원칙을 승인한다.
# 종교가 개인의 정신적 행위에 관한 종교적 신념의 영역에서 차별받지 않는 무제한의 자유를 승인하도록 종교를 헌법적 보장 아래 둔다.
# 종교가 개인의 정신적 행위를 넘어 사회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 및 태도에 관한 영역에서 공공 질서, 안전 및 이익을 보호할 목적으로 한계를 설정하고, 종교의 남용 및 악용을 금지한다.
# 국가가 공공 질서 및 권리의 보호자로서 종교적 권리 및 자유에 관한 감독 권한을 승인한다.
1989년의 스카프 사건 판결에서 헌법재판소는 라이클릭 원칙을 근대 문명, 실증주의, 민주주의 등 고도의 차원을 가진 원칙으로 규정하고 "국가의 비종교성"을 훨씬 넘어선 의미를 부여했다[70]。 즉, 라이클릭 원칙이 국가의 근대화와 깊이 관련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70]。
2. 1. 오스만 제국 시대
튀르키예의 세속주의 역사는 오스만 제국의 탄지마트 개혁에서 시작하여 제2차 입헌 시대에 중요한 발전을 이루었다. 현재의 세속주의 형태는 이후 아타튀르크의 개혁을 통해 완성되었다.13세기에 성립된 오스만 제국은 술탄이 통치하는 이슬람 국가였다. 술탄은 무슬림이었으며, 제국의 법은 이슬람 법전인 샤리아와 다양한 문화적 관습에 기초했다. 1517년부터 술탄은 전 세계 수니파 무슬림의 지도자인 칼리프의 지위도 겸했다. 사회 시스템은 밀레트 제도를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밀레트 제도는 제국 내 비무슬림 공동체에게 상당한 정도의 종교적, 문화적 자율성을 부여하면서도 오스만 제국의 행정, 경제, 정치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도록 했다.[6] 지역의 종교 및 문화 관련 문제는 해당 공동체가 자체적으로 결정하도록 허용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지배 엘리트는 유럽 열강과의 경쟁 심화와 제국 내 민족주의의 부상으로 인해 밀레트 시스템의 효율성이 떨어지자, 입법, 군사, 사법 시스템을 포함한 국가 체제를 근대화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영토를 효과적으로 통치할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개혁의 초기 시도로, 술탄 셀림 3세는 1792년 새로운 군사 부대인 니잠-이 제디드를 창설하고 최초의 세속 군사 학교를 설립했다. 본격적인 개혁은 19세기 탄지마트 시대로 이어졌다. 탄지마트 개혁은 비무슬림 시민의 평등한 지위 보장, 의회 설립, 배교에 대한 처벌 폐지,[7] 제국 헌법 제정 및 오스만 신민의 권리 성문화 등 세속주의적 요소를 다수 포함하는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이러한 개혁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의 패배는 오스만 제국의 멸망으로 이어졌고, 승전한 연합국에 의해 제국은 분할되었다.
2. 2. 튀르키예 공화국 시대
튀르키예 공화국의 창립자이자 초대 대통령인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1881–1938)는 튀르키예 근대화를 위해 "케말주의"로 알려진 개혁과 정책을 추진했다. 케말주의는 "공화주의, 민족주의, 포퓰리즘, 세속주의, 혁명주의, 국가주의"라는 "6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했다.[8] 케말주의적 세속주의는 단순히 종교를 국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넘어, 정치, 법학, 교육, 사회 등 모든 공적 영역에서 종교의 영향을 배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9][10] 이는 공공 영역에서 종교적 상징을 없애고 종교를 국가의 엄격한 통제 하에 두는 방식으로 나타났다.[11][12] 주간 휴일은 금요일에서 일요일로 변경되었고, 달력은 이슬람력에서 그레고리력으로, 문자는 아랍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바뀌었다.[13][8]공화국 수립 과정에서 국가의 미래를 논의한 주요 세력은 이슬람 개혁주의자와 서구주의자였다.[6] 이들은 근대화라는 공동 목표를 공유했으며,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이러한 공통점을 바탕으로 아타튀르크의 개혁으로 알려진 정책들을 신속하게 추진했다.
개혁의 첫 단계는 튀르키예 국민에게 대의 민주주의를 통해 국민 주권을 행사할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터키 대국민 의회는 공화국 선포 이전인 1922년 11월 1일에 입헌 군주제를 폐지했다. 이후 의회는 튀르키예 독립 전쟁(1919-1923) 기간 동안 제정된 법률들을 통해 기존의 이슬람 법 체계를 대체해 나갔으며, 이는 1921년 터키 헌법 제정으로 구체화되었다. 1923년 10월 29일 공화국이 수립된 후에도 칼리프 제도는 잠시 유지되었으나, 1924년 새로운 헌법이 통과되면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당시 헌법은 칼리프 제도를 폐지하면서 동시에 이슬람을 공화국의 공식 종교로 명시하기도 했다. 튀르키예 의회는 "칼리프 제도는 정부와 공화국의 의미와 개념에 본질적으로 내재되어 있으므로 칼리프 직위는 폐지된다"고 법률로 명시했다.[14]
이러한 정치적 변화에 이어 사회 전반에 걸친 개혁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1924년 3월 3일에는 교육을 통합하고 세속적인 교육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여러 종교 단체가 폐쇄되었다. 1925년 11월 30일에는 종교 수도원과 데르비시 교단이 폐쇄되었다. 또한 여성의 권리 신장에도 주목하여, 1931년에는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하고 1934년 12월 5일에는 공직에 선출될 권리를 부여했다. 1937년 2월 5일, 튀르키예 헌법에 laïcité|라이시테프랑스어(세속주의) 원칙을 명시하는 수정안이 통과되면서, 정부와 종교 문제의 완전한 분리를 목표로 한 개혁은 제도적으로 완성되었다.
2. 3. 에르도안 정부 시대 (2003-현재)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총리(현 대통령)가 이끄는 이슬람주의 성향의 정의개발당(AKP) 정부 하에서 튀르키예의 세속주의는 약화되고 이슬람주의 경향이 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튀르키예 헌법은 개인에게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모든 종교 단체를 정부 관리 하에 두며, 정당이 특정 종교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지만, 보수 정당을 중심으로 종교를 정치에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무스타파 아키욜과 같은 관찰자에 따르면, 2007년부터 에르도안 정부는 "수백 명의 세속주의자 장교와 그들의 민간 동맹"을 투옥했으며, 2012년까지 기존의 세속주의 수호 세력을 권력에서 제거하고 그 자리를 AKP 및 귈렌 운동 지지자들로 교체했다.[15] 이러한 변화는 2016년 튀르키예 쿠데타 미수 사건 이후 에르도안 정권의 개헌과 맞물려 더욱 가속화되었다.
2016년 4월, 당시 터키 국회의장 이스마일 카흐라만은 터키가 "무슬림 국가"이므로 세속주의 대신 종교적 헌법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6] 이는 새로운 헌법 초안 작성을 담당하는 국회의장의 발언이라는 점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전통적으로 터키에서 이슬람의 종교적 영향력을 통제하고 제한하는 역할을 했던 디야네트의 기능 또한 에르도안 정부 하에서 변화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데이비드 레페스카, 스반테 코넬 등은 디야네트의 역할이 이전과 거의 반대가 되었다고 지적한다.[17] 규모가 크게 확대된 디야네트는 특정 보수적인 이슬람 해석을 장려하며, "집에서 개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 서양 신년 축하, 복권, 문신" 등을 금지하는 파트와를 발표하고,[18] 이러한 "터키식 이슬람"을[17] 해외에까지 전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19][20]
교육 분야에서도 AKP 정부는 "독실한 세대를 육성"한다는 명목 하에 이슬람화 정책을 추진했으며,[21][22] 이 과정에서 세속주의적 가치를 지지하는 많은 시민들이 일자리를 잃거나 학업을 중단하는 어려움을 겪었다.[23]
2016년 터키 쿠데타 시도는 에르도안 정부에게 세속주의 세력을 더욱 약화시킬 기회를 제공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쿠데타 시도를 "신의 선물"이라고 칭하며,[24] 이를 빌미로 대대적인 숙청을 단행했다. 숙청 대상은 쿠데타 주도 세력으로 지목된 귈렌 운동 추종자들이 주를 이루었지만,[25] 이전 숙청에서 제외되었던 세속주의자들도 포함되었다.[26] 일각에서는 터키에서 세속주의가 약화된 배경에 사회주의 확산을 우려한 기업가들이 이슬람 가치를 자본주의 체제 유지에 유리한 도구로 여겼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28]
한편, 터키 내에서 세속주의에 대한 지지가 약화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강화되고 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29][30][31] 에르도안 대통령이 "종교적인 청소년을 키우고 싶다"고 발언했을 때, 여러 정당의 정치인들은 이를 터키의 가치를 저버리는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2,000명 이상의 시민들이 "모든 배경의 사람들이 세속주의에 대한 확고한 믿음으로 연합하여, 종교적이고 보수적인 청소년을 키우겠다는 당신의 발언이 매우 충격적이고 위험하다고 생각한다"는 내용의 청원에 서명했다. 친정부 성향의 신문조차 "아무도 이 사회를 종교적인 사회로, 또는 그 반대로 바꿀 권리가 없다"는 기사를 게재하기도 했다. 실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터키 국민 다수는 세속 국가 유지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터키 경제 사회 연구 재단(TESEV) 조사에서는 터키인의 9%만이 종교 국가를 지지한다고 밝혔으며,[29] 2015년 메트로폴 여론조사에서는 터키 국민의 80% 이상이 세속 국가 유지를 지지했고, 심지어 정의개발당(AKP)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다수가 세속 국가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2]
3. 헌법 규정
튀르키예 공화국의 헌법은 튀르키예 공화국을 세속적이고 민주적인 공화국으로 규정하며, 그 주권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고 명시하고 있다. 주권은 튀르키예 국민에게 있으며, 국민은 단원제 의회인 터키 대국민 의회를 통해 주권을 행사한다. 현행 1982년 헌법은 라이클릭(Laiklik, 세속주의) 원칙을 중요한 가치로 삼고 있으며, 이는 1937년 아타튀르크의 케말주의 개혁 이후 확립된 원칙을 계승한 것이다.[70][71]
헌법의 주요 세속주의 관련 규정은 다음과 같다.[70]
- 제2조 (공화국의 특성): "튀르키예 공화국은 사회의 평화, 국민적 연대와 정의를 존중하며, 아타튀르크 민족주의에 충실하고, 헌법 서문에 명시된 기본 원칙에 입각한 민주적, 세속적, 사회적인 법치 국가이다."
- 제4조 (개정 불가 조항): 헌법 제1조의 국가 형태(공화국), 제2조의 공화국 특성(민주적, 세속적, 사회적 법치 국가 등), 제3조의 국가 통합성(언어, 국기, 국가, 수도)에 관한 규정은 개정될 수 없으며, 개정을 제안할 수도 없다. 이는 세속주의, 사회 평등, 법 앞의 평등, 공화제 정부 형태, 공화국과 터키 국민의 불가분성이라는 건국 원칙의 불가침성을 선언하는 것이다.
- 제24조 (종교와 양심의 자유): 모든 개인에게 종교의 자유와 양심의 자유를 보장한다(제1항). 그러나 종교 및 도덕 교육은 국가의 감독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제4항), 누구도 국가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법적 기본 질서를 부분적으로라도 종교 규칙에 근거하게 하거나, 종교 또는 종교 감정을 정치적 또는 개인적 이익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한다(제5항). 이는 종교 단체가 정부의 관리를 받아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 제68조 (정당 규제): 정당의 강령과 활동은 민주적이고 세속적인 공화국의 원칙에 위배되어서는 안 되며(제4항), 정당이 이러한 세속주의 원칙에 반하는 활동의 중심이 될 경우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해산될 수 있다.
이처럼 튀르키예 헌법은 국가뿐만 아니라 국민에게도 라이클릭 원칙 준수 의무를 부과하며 이를 강력하게 보호하고자 한다.[70] 튀르키예 헌법재판소는 라이클릭 원칙을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일관되게 해석해왔다.[70]
# 종교가 국가 운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 개인의 신앙과 정신적 영역에서의 종교 활동은 헌법적 보장 아래 차별 없이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 종교가 개인의 정신적 영역을 넘어 사회적 행위에 영향을 미칠 경우, 공공질서, 안전, 이익 보호를 위해 제한될 수 있으며, 종교의 남용 및 악용은 금지된다.
# 국가는 공공질서와 권리 보호자로서 종교적 권리와 자유에 대한 감독 권한을 가진다.
특히 1989년의 스카프 착용 관련 판결에서 헌법재판소는 라이클릭 원칙을 단순히 국가의 비종교성을 넘어 근대 문명, 실증주의, 민주주의와 관련된 고차원적인 원칙으로 규정하며, 국가의 근대화와 깊이 연관된 가치로 해석하였다.[70]
4. 사회에 미친 영향
튀르키예 헌법은 개인의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모든 종교 단체를 정부 관리하에 두며 정당이 특정 종교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을 금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보수 정당에서는 종교를 정치에 이용하려는 경향을 보여왔다. 튀르키예 헌법 재판소는 공화국의 세속적 원칙을 훼손하려는 시도를 이유로 여러 정당을 해산시킨 바 있다. 대표적으로 1998년 복지당과 2001년 미덕당이 이슬람주의 활동을 이유로 해산되었으며, 1925년 진보 공화당 역시 같은 이유로 해산된 첫 사례였다.
이러한 강력한 세속주의 원칙은 여성들이 교육, 고용, 재산 소유뿐만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자유 측면에서 더 많은 기회를 갖도록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39] 하지만 공공장소에서의 히잡 착용 문제는 튀르키예 사회에서 오랫동안 뜨거운 논쟁거리였으며, 이는 종교의 자유와 세속주의 원칙 사이의 긴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자세한 내용은 #히잡 논란 참조)
한편,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정부 들어 세속주의 원칙이 약화되고 이슬람주의 경향이 강화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2007년 튀르키예 대통령 선거에서 이슬람주의 배경을 가진 압둘라 귈이 후보로 지명되면서 논란이 일었으며,[33][34] 에르도안 총리는 정부 기관과 학교에서의 히잡 착용 금지에 반대하며 기존의 세속적 전통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36] 이러한 움직임은 2007년 케말주의와 국가 세속주의를 지지하는 대규모 공화국 시위를 촉발하는 배경이 되기도 했다.[36] 2016년 튀르키예 쿠데타 시도 이후 에르도안 정권의 개헌과 더불어 세속주의 약화 및 이슬람 원리주의 발흥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튀르키예 정부는 Diyanet İşleri Başkanlığı|디야넷 이실레리 바샨르기tr(종교청)를 통해 주류 하나피 학파 수니파 이슬람을 직접 관리한다. 종교청은 모든 모스크를 감독하고 이맘을 공무원으로 임명 및 교육하며 종교 활동 내용을 승인한다.[41] 이러한 국가의 직접적인 종교 관리는 특정 종파(수니파)에 편중되어 국가의 중립성 원칙에 어긋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알레비파 등 비수니파 집단이나 일부 비정부 수니파 단체들은 이러한 상황에 불만을 표하기도 한다.
또한, 튀르키예 시민의 신분증에 종교가 명시되는 점은[40] 세속주의 원칙과 모순되며 국가가 개인의 종교를 감시하는 형태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튀르키예 군대는 전통적으로 세속주의의 수호자를 자처하며, 이를 국가 건립의 핵심 원칙으로 간주해왔다. 이 때문에 군대는 세속적 정치 질서 유지를 명분으로 여러 차례 정치에 개입하기도 했다.[68]
4. 1. 히잡 논란
튀르키예의 강력한 세속주의 원칙은 공공장소에서의 히잡 착용을 둘러싼 오랜 논쟁을 낳았다. 이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정부 기관과 학교에서 히잡 착용을 금지한 정책에서 비롯되었으며,[36] 이후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정부는 이러한 제한 조치 완화를 시도하며 세속적 전통에 도전한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36]1982년, 튀르키예 정부는 공공 부문에서 일하는 여성의 히잡 착용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59] 이 금지는 교사, 변호사, 국회의원 및 기타 국영 시설 종사자에게 적용되었으며, 점차 비국영 기관으로 확대되었다. 당국은 학교 행사나 공공 수영장에 자녀를 동반하는 어머니들 사이에서도 히잡 착용 금지를 시행하려 했으며, 이를 준수하지 않은 여성 변호사나 언론인은 공공건물 출입이 제한되기도 했다. 1999년에는 새로 선출된 미덕당 소속 메르베 카바크치 의원이 히잡을 착용했다는 이유로 국회에서 의원 선서를 하지 못하는 사건이 발생하며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튀르키예 헌법은 종교적 근거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지만, 정부 건물, 학교, 대학교 등에서는 남녀 모두 종교적 머리 가리개나 상징적 의복 착용을 법으로 금지해왔다.[37] 이러한 금지 조치는 2005년 11월 10일 유럽 인권 재판소의 대법원에서 ''레이라 샤힌 대 튀르키예'' 사건 판결을 통해 합법적인 것으로 인정받았다.[38]
히잡 착용 금지는 여성들의 사회 활동에 실질적인 제약으로 작용했다. 히잡을 착용한 여성들은 공공 부문에서 징계를 받거나 일자리를 잃는 경우가 있었으며, 휴먼 라이츠 워치(HRW)는 2005년 말 행정 최고 법원이 교사가 직장 밖에서 히잡을 착용했다는 이유만으로 학교 승진 자격이 없다고 판결한 사례를 보고했다. 민간 부문에서도 많은 기업이 히잡 착용한 여성 고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었고, 병원 내에서도 히잡 착용이 금지되었다. 일부에서는 히잡 착용 여성이 구직이나 임금 협상에서 어려움을 겪는다고 지적하기도 했으나, 반대로 보다 전통적인 지지층을 가진 일부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히잡 착용 여성을 의도적으로 고용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외출 시 가리개 착용 여부 [61] | ||
---|---|---|
답변 | 1999 | 2012 |
아니오, 착용하지 않습니다 | 47.3% | 66.5% |
예, 히잡을 착용합니다 | 33.4% | 18.8% |
예, 튀르반을 착용합니다 | 15.7% | 11.4% |
예, 차르샤프를 착용합니다 | 3.4% | 0.1% |
응답 없음/해당 없음 | 0.3% | 2.2% |
튀르키예 경제사회연구재단(TESEV)의 2007년 조사에 따르면, 튀르키예 여성의 약 62%가 어떤 형태로든 머리 스카프를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5][66][67] 위의 표는 다른 조사의 결과를 보여주며, 시간에 따른 착용 방식의 변화를 나타낸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총리가 이끄는 정의개발당(AKP) 정부는 히잡 규제 완화를 추진하며 세속주의 진영과 갈등을 빚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2007년 봄, 케말주의와 국가 세속주의 이상을 지지하는 대규모 평화 집회인 공화국 시위를 촉발하는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36] 2008년 2월 9일, 튀르키예 의회는 대학교 내에서 히잡 착용 금지를 해제하는 내용의 헌법 개정안을 승인했다. 그러나 같은 해 6월 5일, 튀르키예 헌법 재판소는 해당 개정안이 국가의 공식적인 세속주의 원칙에 위배된다며 무효 판결을 내렸다. 최고 법원의 결정에 항소는 불가능했지만, 정부는 법원의 권한을 약화시키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2022년,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공무원, 학교, 대학교에서 여성이 히잡을 착용할 권리를 헌법에 명시하는 개정안을 국민투표에 부쳐 결정하자고 제안했다.[60] 이는 튀르키예 사회에서 세속주의 원칙과 종교의 자유 사이의 긴장이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5. 비판
튀르키예 헌법은 개인에게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며, 모든 종교 단체는 정부의 관리를 받아야 하고 어떠한 정당도 종교의 입장을 대변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여러 정책들은 이러한 세속주의 원칙과 어긋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에르도안 정권 이후 세속주의가 약화되고 이슬람주의가 강화되는 경향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2016년 튀르키예 쿠데타 시도 이후 개헌 등을 통해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아타튀르크의 케말주의 이념은 오스만 칼리프 제도를 폐지하고 이슬람을 국교에서 제외했으며, 샤리아 법을 폐지하고 종교청(디야네트)을 설립하여 종교가 정부 업무에 간섭하는 것을 막으려 했다.[42] 하지만 현재 튀르키예 정부의 여러 정책은 이러한 세속주의 원칙과 상충된다는 비판을 받는다.
튀르키예 신분증에는 개인의 종교가 명시되어 있어, 국가가 개인의 종교적 신념을 감시하는 형태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정부 기관인 종교청(디야네트)[42]은 모든 튀르키예 시민에게서 걷은 세금으로 운영되지만, 오직 수니파 이슬람만을 재정적으로 지원한다. 다른 모든 종교는 재정적으로 자립해야 하며, 운영 과정에서 여러 행정적 어려움에 직면한다.[43]
자파리파(주로 아제르바이잔인) 무슬림과 알레비-베크타쉬(주로 투르크멘인) 신자들은 세금을 통해 수니파 모스크와 이맘의 급여를 지원하지만, 정작 자신들의 예배 장소(제메비 등)는 국가로부터 어떠한 지원도 받지 못하며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튀르키예는 로잔 조약(1923)을 통해 비무슬림 소수민족의 시민적, 정치적, 문화적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유대인만을 종교적 소수민족으로 인정하며, 이들에게조차 조약상의 모든 권리를 완전히 보장하지는 않는다. 알레비-베크타쉬나 자파리파 무슬림,[44] 가톨릭, 개신교 신자들은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종교 | 추정 인구 | 토지 수용 조치[45] | 헌법 또는 국제 조약을 통한 공식 인정 | 예배 장소 및 종교 관련 인력에 대한 정부 재정 지원 |
---|---|---|---|---|
이슬람 – 수니파 | 5,200만~6,400만 명 (70~85%) | 없음 | 헌법(136조)에 명시된 디야네트 통해 승인[46] | 디야네트를 통해 승인[47] |
시아파 – 베크타쉬 | 1,100만~1,900만 명 (15~25%) | 예[44] | 없음 (1826년 베크타쉬 테케 폐쇄)[44][48][49] | 없음[47] |
시아파 – 알레비 | 없음.[49] 제메비(예배 장소)는 공식 인정을 받지 못함. | |||
시아파 – 자파리 | 300만 명 (4%)[51] | 없음[49] | 없음[47] | |
시아파 – 알라위파 | 30만~35만 명[52] | 없음[49] | 없음[47] | |
유대교 | 20,000 | 예[45] | 로잔 조약 (1923)을 통해 승인[49] | 없음[47] |
기독교 – 개신교 | 5,000 | 없음[49] | 없음[47] | |
기독교 – 라틴 가톨릭 | 35,000[53] | 없음[49] | 없음[47] | |
기독교 – 그리스 가톨릭 | 예[45] | 로잔 조약 (1923)을 통해 승인[49] | 없음[47] | |
기독교 – 동방 정교회 – 그리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 3,000-4,000[54] | 예[45] | 로잔 조약 (1923)을 통해 승인[49] | 없음[47] |
기독교 – 동방 정교회 – 안티오키아 정교회 (안티오키아 정교회) | 18,000[55] | 없음[49] | 없음[47] | |
기독교 – 오리엔트 정교회 – 아르메니아인 (콘스탄티노폴리스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청) | 57,000-80,000[56][57] | 예[45] | 로잔 조약 (1923)을 통해 승인[49] | 없음[47] |
기독교 – 칼데아 기독교인 (아르메니아인) | 3,000 | 예[45] | 로잔 조약 (1923)을 통해 승인[49] | 없음[47] |
기독교 – 시리아 정교회 및 가톨릭 교회 | 15,000 | 예[45] | 없음[49] | 없음[47] |
야지디 | 377 | 없음[49] | 없음[47] |
10만 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한 디야네트는 막대한 규모와 예산을 바탕으로 '국가 안의 국가'처럼 운영된다는 비판을 받는다.[58] 2013년 디야네트의 예산은 46억튀르키예 리라를 넘어 중앙 정부 부처 중 16번째로 큰 규모였다.
참조
[1]
웹사이트
Turkey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US)
2008-07-24
[2]
웹사이트
Secularism in Turkey
https://web.archive.[...]
PROF. DR. BÜLENT DAVER
2019-03-21
[3]
간행물
Diyanet as a Turkish Foreign Policy Tool: Evidence from the Netherlands and Bulgaria
https://www.academia[...]
[4]
간행물
Turkey's Diyanet under AKP rule: from protector to imposer of state ideology?
http://repository.lo[...]
[5]
webarchive
Basic Principles, Aims And Objectives
http://www.diyanet.g[...]
2008-01-08
[6]
웹사이트
Secularism: The Turkish Experience
https://web.archive.[...]
2013-09-28
[7]
웹사이트
The Tanzimat: Secular Reforms in the Ottoman Empire
http://faith-matters[...]
2011-10-07
[8]
간행물
Secularism and the Muslim World: An Overview July 2017 Authors
https://www.research[...]
2017-07
[9]
문서
Secularism and secularization in the Arab world
2007
[10]
문서
A Poststructuralist to ideology and foreign policy: Kemalism in Turkish foreign policy discourse
2008
[11]
문서
Turkey: Islam and laicism between the interests of state, politics and society
2007
[12]
문서
Can secularism hinder democracy? The Turkish experiment
2012
[13]
문서
Secularism and Islam: the building of modern Turkey
2005
[14]
웹사이트
Hilafetin İlgasına ve Hanedanı Osmaninin Türkiye Cumhuriyeti Memaliki Haricine Çıkarılmasına Dair Kanun - Vikikaynak
https://tr.wikisourc[...]
[15]
뉴스
Who Was Behind the Coup Attempt in Turkey?
https://www.nytimes.[...]
2016-07-22
[16]
뉴스
Secularism must be removed from constitution, Turkey's Parliament Speaker says
https://www.milliyet[...]
2016-04-27
[17]
간행물
Turkey Casts the Diyanet
https://www.foreigna[...]
2015-05-17
[18]
웹사이트
The Rise of Diyanet: the Politicization of Turkey's Directorate of Religious Affairs
http://www.turkeyana[...]
turkeyanalyst.org
2015-10-09
[19]
뉴스
Is Erdogan signaling end of secularism in Turkey?
https://web.archive.[...]
2015-04-29
[20]
간행물
Diyanet as a Turkish Foreign Policy Tool: Evidence from the Netherlands and Bulgaria
http://repository.lo[...]
2018-09
[21]
웹사이트
Turkish students up in arms over Islamization of education
http://www.al-monito[...]
Al-Monitor
2016-06-20
[22]
웹사이트
Erdogan pens education plan for Turkey's 'devout generation'
http://www.al-monito[...]
Al-Monitor
2016-06-29
[23]
웹사이트
Turkey's 'devout generation' project means lost jobs, schools for many
http://www.al-monito[...]
Al-Monitor
2016-10-13
[24]
뉴스
Coup Was 'Gift From God' for Erdogan Planning a New Turkey
https://www.bloomber[...]
2016-07-17
[25]
간행물
From 'Diaspora by Design' to Transnational Political Exile: The Gülen Movement in Transition
[26]
웹사이트
Leftists, Kemalists suspended from posts for being Gülenists, says CHP report {{!}} Turkey Purge
http://turkeypurge.c[...]
[27]
간행물
Turkish secularism and Islam under the reign of Erdoğan
2019-02-18
[28]
뉴스
Turkey's journey from secularism to Islamization: A capitalist story
http://www.yourmiddl[...]
2016-05-23
[29]
뉴스
Secularism in Turkey: Stronger than Ever?
https://www.brooking[...]
2012-04-10
[30]
뉴스
Turkey is becoming more secular, not less
http://www.al-monito[...]
2015-03-02
[31]
웹사이트
Secular rally targets Turkish PM
http://news.bbc.co.u[...]
2007-04-14
[32]
웹사이트
Türkiye'nin Nabzı: Din, Şiddet ve Özgürlük [Pulse of Turkey: Religion, Violence and Freedom]
http://www.metropoll[...]
2015-01
[33]
뉴스
In Turkey, a Sign of a Rising Islamic Middle Class
https://www.nytimes.[...]
2007-04-25
[34]
뉴스
Turkey 'must have secular leader'
http://news.bbc.co.u[...]
2007-04-24
[35]
뉴스
Ruling Party in Turkey Wins Broad Victory
https://www.nytimes.[...]
2007-07-23
[36]
뉴스
Secular rally targets Turkish PM
http://news.bbc.co.u[...]
2008-08-05
[37]
뉴스
The Islamic veil across Europe
http://news.bbc.co.u[...]
2006-12-13
[38]
웹사이트
Leyla Şahin v. Turkey
http://www.echr.co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2008-08-21
[39]
서적
Religion and Politics in Turkey
https://books.google[...]
Routledge
[40]
웹사이트
State ID cards
http://www.nvi.gov.t[...]
General Directorate of Population and Citizenship Matters, Ministry of the Interior
[41]
서적
World Survey of Religion and the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T.C. Diyanet İşleri Başkanlığı, Namaz Vakitleri, Duyurular, Haberler
http://www.diyanet.g[...]
Diyanet.gov.tr
2013-09-28
[43]
간행물
Religions de Turquie, religions des Turcs: nouveaux acteurs dans l'Europe élargie
L'Harmattan
[44]
문서
The World of the Alevis: Issues of Culture and Identity
[45]
뉴스
Le gouvernement turc va restituer des biens saisis à des minorités religieuses
http://www.la-croix.[...]
La-Croix.com
2013-09-28
[4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urkey (in Turkish)
http://www.tbmm.gov.[...]
[4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obtic.org/Dos[...]
2013-10-02
[48]
웹사이트
Les Janissaires (1979) de Vincent Mansour Monteil : JANISSAIRE
http://janissaire.ha[...]
Janissaire.hautetfort.com
2013-09-28
[49]
웹사이트
Les minorités non musulmanes en Turquie : "certains rapports d'ONG parlent d'une logique d'attrition"
http://ovipot.hypoth[...]
Observatoire de la Vie Politique Turque(Ovipot.hypotheses.org)
2013-09-28
[50]
학술지
Persée
http://www.persee.fr[...]
Persee.fr
2013-09-28
[51]
문서
Rapport Minority Rights Group Bir eşitlik arayışı: Türkiye’de azınlıklar Uluslararası Azınlık Hakları Grubu 2007 Dilek Kurban
[52]
웹사이트
Dünyada ve Türkiye'de NUSAYRİLİK
http://www.psakd.org[...]
psakd.org
2013-09-28
[53]
서적
Il secolo del martirio
Mondadori
[54]
뉴스
Foreign Ministry: 89,000 minorities live in Turkey
http://www.todayszam[...]
2008-12-15
[55]
웹사이트
The Greeks of Turkey, 1992-1995 Fact-sheet
http://www.hr-action[...]
[56]
웹사이트
Tarihte Ermeniler
http://www.bolsohays[...]
Armenians of Istanbul
2007-01-04
[57]
뉴스
Türk Ermenisiz, Ermeni Türksüz olmaz!
http://www.taraf.com[...]
2008-08-31
[58]
서적
La politique turque en question: entre imperfections et adaptations
https://books.google[...]
L'Harmattan
2013-09-28
[59]
웹사이트
KAMU KURUM VE KURULUŞLARINDA ÇALIŞAN PERSONELİN KILIK VE KIYAFETİNE DAİR YÖNETMELİK
https://www.mevzuat.[...]
1982-07-16
[60]
웹사이트
Turkey {{!}} Location, Geography, People, Economy, Culture, & History {{!}} Britannica
https://www.euronews[...]
2023-05-10
[61]
서적
Religion, Society and Politics in a Changing Turkey
http://research.saba[...]
TESEV publications
2021-07-27
[62]
뉴스
The New York Times
2008-02-19
[63]
뉴스
Washington Post
2008-02-26
[64]
간행물
MERO
2008-04
[65]
뉴스
Head scarves to topple secular Turkey?
http://www.timesonli[...]
2007-04-23
[66]
뉴스
Headscarf war threatens to split Turkey
http://www.timesonli[...]
2007-05-06
[67]
뉴스
Head scarves to topple secular Turkey?
http://www.salon.com[...]
2007-04-23
[68]
웹사이트
Turkey {{!}} Location, Geography, People, Economy, Culture, & Histo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3-02
[69]
논문
トルコの政教分離に関する憲法学的考察――国家の非宗教性と宗教的中立性の観点から―
https://doi.org/10.1[...]
[70]
논문
トルコにおけるライクリッキの原則と憲法裁判所
https://doi.org/10.1[...]
[71]
문서
1982年憲法は、[[1980年]]の「[[9月12日クーデター]]」によって成立した軍事政権によって制定された憲法。[[1983年]]に民政移管がなされた(トルコ第三共和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