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시아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시아 문자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발전한 문자 체계로, 고대 페르시아어 표기에서 시작하여 사산 왕조 시대에는 팔라비 문자를 사용했다. 7세기 이슬람의 페르시아 정복 이후 아랍 문자가 페르시아어 사용 지역에 도입되었고, 이후 페르시아어 표기에 아랍 문자가 널리 사용되었다. 페르시아 문자는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여러 언어, 쿠르드어, 발루치어, 파슈토어, 우르두어, 사라이키어, 펀자브어, 신드어, 카슈미르어 등에 사용되며, 과거에는 튀르크어군 언어에서도 사용되었다. 타지키스탄에서는 소련의 영향으로 키릴 문자가 도입되었으나, 타지크어에서 페르시아 문자 재도입을 촉구하는 움직임도 있었다. 페르시아 문자는 32개의 자음 문자로 구성되며, 아랍어 알파벳에는 없는 문자가 추가되었다. 페르시아어는 아랍어의 모음 부호를 차용하고, 동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컴퓨터 환경에서는 제로 폭 비결합 문자를 사용하여 단어를 구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시아어 - 이란 페르시아어
이란의 공식 언어인 이란 페르시아어는 파르시 외에 서페르시아어 등으로도 불리며, 페르시아어라는 명칭이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니고, 다리어, 타지크어와 관련 있으나 발음, 어휘, 문법 차이로 별개 언어로 취급된다. - 페르시아어 - 고대 페르시아어
고대 페르시아어는 기원전 6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사용된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 언어로, 비문 등을 통해 전해지며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식 언어였고, 독자적인 설형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언어적 기원이다. - 아랍 문자 - 자위 문자
자위 문자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해 14세기경 만들어져 말레이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브루나이 공식 문자이자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종교, 문화적으로 사용되는 문자 체계이다. - 아랍 문자 - 우르두 문자
우르두 문자는 13세기 이란에서 기원한 페르시아-아랍 문자의 변형으로, 나스타리크 서체로 쓰이는 아브자드 문자이며, 우르두어의 음운 체계를 반영하여 자모가 추가되었고, 38개의 자음과 여러 모음을 표기하며,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파키스탄과 여러 국가에서 사용된다. - 아브자드 - 원시 가나안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유래된 초기 알파벳 문자 체계로, 페니키아 문자와 원시 히브리 문자의 조상이며, 다수의 자음 문자로 구성되어 후대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아브자드 - 페니키아 문자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1세기 중반경 가나안 지역에서 발생한 2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소 문자로, 지중해 전역에 퍼져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기여하고 정보 접근의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현대 문자 체계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페르시아 문자 | |
---|---|
페르시아 문자 | |
![]() | |
기본 정보 | |
유형 | 아브자드 |
사용 시기 | 기원전 7세기경 ~ 현재 |
다른 이름 | |
사용 언어 | 페르시아어 |
계통 1 | 이집트 상형문자 |
계통 2 | 원시 시나이 문자 |
계통 3 | 페니키아 문자 |
계통 4 | 아람 문자 |
계통 5 | 나바테아 문자 |
계통 6 | 아랍 문자 |
파생 문자 | 쿠르드-아랍 문자 오스만 튀르크 문자 샤무키 문자 우르두 문자 |
문자 | |
로마자 표기 | p, ch, zh, g, v |
국제 음성 기호 | /p/, /tʃ/, /ʒ/, /ɡ/, /v/ |
참고 | |
참고 | /zaβɑn/ (고대 페르시아어) /zæbɒn/ (현대 페르시아어) |
2. 역사
페르시아어는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등에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이다. 7세기 이슬람의 페르시아 정복 이후, 기존에 사용되던 문자 대신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문자 체계가 도입되어 페르시아어를 표기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9세기 사만 토후국 시기에 더욱 발전하였다.[3][4][5]
페르시아 문자는 아랍 문자에서 직접 유래했지만, 페르시아어의 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일부 문자가 추가되었고, 아랍어와 발음이나 형태가 다른 문자도 존재한다. 또한, 독자적인 서체인 '''나스타리크체'''가 발달하기도 했다.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어는 아나톨리아의 셀주크 제국,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티무르 제국, 무굴 제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넓은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우르두어, 오스만 터키어 등 여러 언어가 페르시아 문자의 영향을 받아 자신들의 문자 체계를 형성했다.
한편, 20세기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 아래 있던 타지키스탄에서는 문자 개혁이 이루어져 현재 키릴 문자에 기반한 타지크 알파벳을 사용하고 있다.[13][14][15][16]
2. 1. 페르시아어 표기의 역사
페르시아어는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등에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이다. 현재 사용되는 페르시아 문자가 채택되기 이전에는 다른 문자 체계가 사용되었다.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에는 고대 페르시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쐐기 문자가 사용되었고, 사산 왕조 시대에는 아람 문자에서 유래한 팔라비 문자로 "중세 페르시아어"(팔라비어)를 표기했다.7세기 이슬람 세력의 페르시아 정복과 사산 왕조의 멸망 이후, 아랍 문자가 페르시아어 사용 지역에 도입되었다. 아랍어가 정부와 종교 기관의 주요 언어가 되면서 아랍 문자의 사용이 확산되었고, 많은 아랍어 어휘가 페르시아어로 유입되었다.[3] 8세기 타히르 왕조와 사만 토후국이 페르시아어 표기에 아랍 문자를 공식적으로 채택했으며, 9세기에는 사파르 왕조가 이를 이어받아 기존의 팔라비 문자를 점차 대체했다. 특히 9세기 사마니드 왕조 치하에서 페르시아 문자는 더욱 발달하여 그레이터 코라산 지역에서 우세한 문자 체계가 되었으며,[3][4][5] 일반적으로 아랍 문자를 사용한 페르시아어 표기는 이 시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페르시아 문자는 아랍 문자에 기반하지만, 페르시아어의 음운 체계에 맞춰 일부 문자가 추가되었으며, 아랍어와 발음, 자형, 용법이 다른 문자도 존재한다. 또한 페르시아 문자를 위한 독자적인 서체로 '''나스타리크체'''가 발달하였다(이슬람 서예 참조).
페르시아어는 아나톨리아에서 셀주크 투르크 이후,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에서는 티무르 제국과 무굴 제국의 공용어로 사용되면서 그 영향력을 넓혔다. 이러한 영향으로 우르두어, 오스만 터키어 등 아랍 문자를 채택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많은 언어들이 페르시아 알파벳을 문자 체계의 기반으로 삼았다. 오늘날에도 페르시아 알파벳의 확장된 형태는 쿠르드어, 발루치어, 파슈토어, 우르두어(고전 힌두스타니어에서 유래), 사라이키어, 펀자브어, 신드어, 카슈미르어 등 다양한 인도-이란어군 언어 표기에 사용된다. 과거 튀르크어군 언어들 사이에서도 페르시아 알파벳 사용이 일반적이었으나, 현재는 이란 내에서 사용되는 아제르바이잔어, 투르크멘어, 카슈카이어, 차하르마할리 튀르크어, 칼라지어 등에 주로 국한된다. 중국 서부의 위구르어는 주목할 만한 예외이다.
중앙아시아 식민지 시대 동안,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 아래 페르시아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의 문자 체계가 개혁되었다. 이 결과 오늘날 타지키스탄에서는 키릴 문자에 기반한 타지크 알파벳이 사용되고 있다.
2. 2. 페르시아 문자의 영향
페르시아어는 아나톨리아에서 셀주크 투르크 이후,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에서는 티무르 제국과 무굴 제국의 공용어로 사용되면서 문화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우르두어와 오스만 터키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가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았다.특히 다양한 페르시아 제국의 영향력 아래, 아랍 문자를 받아들인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많은 언어들은 페르시아 알파벳을 자신들의 문자 체계의 기초로 사용하게 되었다. 오늘날에도 페르시아 알파벳을 변형하고 확장한 형태가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다.[3][4][5]
- 인도-이란어군 언어: 쿠르드어, 발루치어, 파슈토어, 우르두어 (고전 힌두스타니어에서 유래), 사라이키어, 펀자브어, 신드어, 카슈미르어 등.
- 튀르크어군 언어: 과거에는 튀르크계 언어들 사이에서도 페르시아 알파벳 사용이 널리 퍼져 있었으나, 현대에는 주로 이란 내에서 사용되는 아제르바이잔어, 투르크멘어, 카슈카이어, 차하르마할리 튀르크어, 칼라지어 등 일부 언어에 한정된다. 중국 서부의 위구르어는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계속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외 사례이다.
한편, 20세기 소비에트 연방 시절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는 문자 개혁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페르시아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의 문자 체계가 변경되었으며, 그 결과 오늘날 타지키스탄에서는 페르시아어 방언인 타지크어를 표기하기 위해 키릴 문자 기반의 타지크 알파벳을 사용하고 있다.
2. 3. 타지키스탄의 문자 개혁
중앙아시아가 러시아 제국 및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지배를 받던 시기, 타지키스탄을 포함한 지역의 언어들은 정부 주도의 문자 개혁을 겪었다. 이는 러시아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궁극적으로 오늘날 타지키스탄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 기반의 타지크 알파벳으로 이어졌다. 1930년대 후반, 키릴 문자가 공식적으로 도입되어 기존에 사용되던 문자들을 대체하였다.[13][14][15][16]1989년, 타지크인들의 민족주의가 성장하면서 타지크어를 국가의 공용어로 지정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타지크어를 페르시아어와 공식적으로 동일시하며, 타지크어 명칭 뒤에 페르시아어의 원래 이름인 '파르시(Farsi)'를 병기하도록 했다. 또한,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점진적으로 다시 도입할 것을 촉구했다.[17][18][19][20][21][22][23][24][25][26][27][28]
페르시아 문자는 교육 및 일부 공공 영역에 도입되기도 했으나, 1993년 타지키스탄 이슬람 르네상스당이 금지되면서 문자 전환은 더뎌졌다. 1999년에는 국어 관련 법률에서 '파르시'라는 명칭이 삭제되고 다시 '타지크어'로만 불리게 되었다. 현재 사실상의 표준 문자는 타지크어 키릴 문자이며, 페르시아 문자를 읽을 수 있는 인구는 매우 적은 수준이다.
3. 문자
페르시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문자 체계로,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하여 페르시아어의 특징에 맞게 일부 수정 및 확장되었다. 현대 페르시아어 알파벳은 총 32개의 자모로 구성되며, 아랍어에 없는 페르시아어 고유의 소리를 나타내기 위한 문자들이 추가되었다. 페르시아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 내려가는 필기체이며, 대부분의 자모는 단어 내에서의 위치(단독, 어두, 어중, 어말)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6] 일부 문자는 뒤따르는 문자와 연결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하지만, 일부 문자의 형태나 발음 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페르시아 문자는 다양한 서체로 표현될 수 있으며, 특히 나스타리크체는 페르시아 서예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3. 1. 자모

현대 페르시아어 알파벳은 함자(ء)를 제외하고 32개의 자모로 구성된다. 페르시아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 내려가며, 문자 간 연결을 위한 결합형이 발달되어 있다. 이 문자는 필기체이기 때문에, 자모의 모양은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독립형), 단어의 처음(어두형), 중간(중간형), 끝(어말형)에 따라 달라진다.[6]
페르시아 알파벳은 페니키아 알파벳에서 유래한 22개의 자음과 페르시아어 고유의 음가를 표기하기 위해 추가된 4개의 자음(پ|페fa, چ|체fa, ژ|제fa, گ|가프fa), 그리고 아랍어 차용어 표기를 위한 자음들을 포함하여 총 32개이다.
자모의 이름은 대부분 아랍어에서 사용되는 이름에 기반하지만 페르시아어식 발음을 따른다. 예를 들어 아랍어에서 '타'(taa')로 끝나는 이름은 페르시아어에서 '테'(te)로 발음된다. 유일하게 이름이 같은 경우는 '헤'(he)인데, 이는 ح|헤fa와 ه|헤fa 모두에 해당한다. 구별이 필요할 때는 전자를 '헤 호티'(ح|ḥē-ye ḥottīfa), 후자를 '헤 하와즈'(ه|hē-ye havvazfa) 또는 '헤 두 눈'(ه|hā-ye do-češmfa, 중간 자모 형태 ـهـ|헤fa를 가리킴)으로 부르기도 한다.
페르시아어에는 아랍어 차용어 표기에 주로 사용되는 8개의 자음(ث|세fa, ح|헤fa, ذ|잘fa, ص|사드fa, ض|자드fa, ط|타fa, ظ|자fa, ع|에인fa)이 있다. 이 자음들은 페르시아어 고유어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발음도 페르시아어 음운 체계에 맞게 변형되었다. 예를 들어, 아랍어의 인두음 /ħ/(ح)과 /ʕ/(ع)은 각각 /h/(ه)와 /ʔ/(ء)으로 발음되고, 강조음 /sˤ/(ص), /dˤ/(ض), /tˤ/(ط), /zˤ/(ظ)은 각각 /s/(س، ث), /z/(ز، ذ), /t/(ت)으로 발음된다. 이 때문에 페르시아어에서는 /s/ 소리를 내는 글자가 3개(ث|세fa, س|신fa, ص|사드fa), /z/ 소리를 내는 글자가 4개(ذ|잘fa, ز|제fa, ض|자드fa, ظ|자fa), /t/ 소리를 내는 글자가 2개(ت|테fa, ط|타fa), /h/ 소리를 내는 글자가 2개(ح|헤fa, ه|헤fa) 존재한다.
다음은 페르시아어 알파벳 32개 자모와 그 변형 형태이다.
# | 페르시아어 명칭 (페르시아어) | 음역 | IPA | 유니코드 | 문맥에 따른 형태 | |||
---|---|---|---|---|---|---|---|---|
어말 | 중간 | 어두 | 독립 | |||||
0 | همزه|함제fa | hamze[7] | 성문 폐쇄음 /ʔ/ | U+0621 | (연결되지 않음) | ءfa | ||
U+0623 | ـأfa | أfa | ||||||
U+0626 | ـئfa | ـئـfa | ئـfa | ئfa | ||||
U+0624 | ـؤfa | ؤfa | ||||||
1 | الف|알레프fa | alef | /ɒ/, /æ/, /aː/ 등 (모음 역할) | U+0627 | ـاfa | اfa | ||
2 | ب|베fa | be | /b/ | U+0628 | ـبfa | ـبـfa | بـfa | بfa |
3 | پ|페fa | pe | /p/ | U+067E | ـپfa | ـپـfa | پـfa | پfa |
4 | ت|테fa | te | /t/ | U+062A | ـتfa | ـتـfa | تـfa | تfa |
5 | ث|세fa | se | /s/ | U+062B | ـثfa | ـثـfa | ثـfa | ثfa |
6 | جیم|짐fa | jim | /d͡ʒ/ | U+062C | ـجfa | ـجـfa | جـfa | جfa |
7 | چ|체fa | če | /t͡ʃ/ | U+0686 | ـچfa | ـچـfa | چـfa | چfa |
8 | ح|헤fa (ḥē-ye ḥottī) | he | /h/ | U+062D | ـحfa | ـحـfa | حـfa | حfa |
9 | خ|헤fa | xe | /x/ | U+062E | ـخfa | ـخـfa | خـfa | خfa |
10 | دال|달fa | dāl | /d/ | U+062F | ـدfa | دfa | ||
11 | ذال|잘fa | zāl | /z/ | U+0630 | ـذfa | ذfa | ||
12 | ر|레fa | re | /r/ | U+0631 | ـرfa | رfa | ||
13 | ز|제fa | ze | /z/ | U+0632 | ـزfa | زfa | ||
14 | ژ|제fa | že | /ʒ/ | U+0698 | ـژfa | ژfa | ||
15 | سین|신fa | sin | /s/ | U+0633 | ـسfa | ـسـfa | سـfa | سfa |
16 | شین|쉰fa | šin | /ʃ/ | U+0634 | ـشfa | ـشـfa | شـfa | شfa |
17 | صاد|사드fa | sād | /s/ | U+0635 | ـصfa | ـصـfa | صـfa | صfa |
18 | ضاد|자드fa | zād | /z/ | U+0636 | ـضfa | ـضـfa | ضـfa | ضfa |
19 | طا|타fa | tā | /t/ | U+0637 | ـطfa | ـطـfa | طـfa | طfa |
20 | ظا|자fa | zā | /z/ | U+0638 | ـظfa | ـظـfa | ظـfa | ظfa |
21 | عین|에인fa | 'eyn | /ʔ/ (어두), /æ/, /ɒː/ 등 (모음 역할) | U+0639 | ـعfa | ـعـfa | عـfa | عfa |
22 | غین|게인fa | ġeyn | /ɣ/ ~ /ɢ/ | U+063A | ـغfa | ـغـfa | غـfa | غfa |
23 | ف|페fa | fe | /f/ | U+0641 | ـفfa | ـفـfa | فـfa | فfa |
24 | قاف|가프fa | qâf | /ɣ/ ~ /ɢ/ (현대 페르시아어), /q/ (일부 방언 및 고전어) | U+0642 | ـقfa | ـقـfa | قـfa | قfa |
25 | کاف|카프fa | kâf | /k/ | U+06A9 | ـکfa | ـکـfa | کـfa | کfa |
26 | گاف|가프fa | gâf | /ɡ/ | U+06AF | ـگfa | ـگـfa | گـfa | گfa |
27 | لام|람fa | lâm | /l/ | U+0644 | ـلfa | ـلـfa | لـfa | لfa |
28 | میم|밈fa | mim | /m/ | U+0645 | ـمfa | ـمـfa | مـfa | مfa |
29 | نون|눈fa | nun | /n/ | U+0646 | ـنfa | ـنـfa | نـfa | نfa |
30 | واو|와우fa | vâv | /v/, /uː/, /o/, /ow/ (페르시아어) /w/, /uː/, /oː/, /aw/ (다리어) | U+0648 | ـوfa | وfa | ||
31 | ه|헤fa (hē-ye havvaz) | he | /h/, 또는 어말에서 /e/, /a/ | U+0647 | ـهfa | ـهـfa | هـfa | هfa |
32 | ی|예fa | ye | /j/, /iː/, /eː/, /ɒː/ (페르시아어) /j/, /iː/, /eː/, /aj/ (다리어) | U+06CC | ـیfa | ـیـfa | یـfa | یfa |
글자 순서는 아랍 문자와 거의 같지만, و|와우fa(v)와 ه|헤fa(h)의 순서가 반대이다. 아랍 문자의 ك|카프ar(k)와 ي|야ar(y)의 독립형(및 어말형)은 페르시아어에서는 시각적으로 약간 다른 형태인 ک|카프fa와 ی|예fa로 쓴다. 특히 ی|예fa는 아랍어의 ي|야ar와 달리 어말형과 독립형에서 아래의 점 두 개를 생략한다.
문맥별 형태 및 비결합 문자알파벳의 다른 글자들과 달리 7개의 문자(و|와우fa, ژ|제fa, ز|제fa, ر|레fa, ذ|잘fa, د|달fa, ا|알레프fa)는 왼쪽에 오는 글자와 연결되지 않는다. 이 7개 문자는 단어의 처음에 올 때(어두형)와 단독으로 쓰일 때(독립형) 형태가 같고, 단어의 중간이나 끝에 올 때(중간형, 어말형)는 오른쪽에 오는 글자와만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ا|알레프fa가 '여기'(اینجا, injâ)와 같이 단어의 처음에 오면 독립형과 같은 اfa 형태가 사용된다. '오늘'(امروز, emruz)이라는 단어에서는 중간에 오는 ر|레fa가 앞의 م|밈fa과 연결된 어말 형태(ـرfa)를 취하고, 그 뒤의 و|와우fa는 ر|레fa와 연결되지 않으므로 독립형(وfa)을 취한다. 마지막의 ز|제fa 역시 앞의 و|와우fa와 연결되지 않아 독립형(زfa)으로 쓰인다.
아랍 알파벳과의 차이점 요약
- 추가된 문자: 페르시아어 고유의 음 /p/, /t͡ʃ/, /ʒ/, /ɡ/를 표기하기 위해 پ|페fa, چ|체fa, ژ|제fa, گ|가프fa 4개 문자가 추가되었다. 이 문자들은 각각 기존 아랍 문자 ب|베fa, ج|짐fa, ز|제fa, ک|카프fa에 점이나 선을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이 문자들의 정확한 도입 시기는 불분명하나, گ|가프fa가 가장 늦게 고안된 것으로 추정된다.
- 발음 변화: 아랍어에는 있지만 페르시아어에는 없는 음가를 가진 문자들(ث|세fa, ح|헤fa, ذ|잘fa, ص|사드fa, ض|자드fa, ط|타fa, ظ|자fa, ع|에인fa, ق|가프fa)은 페르시아어에서 다른 음가로 발음된다. و|와우fa는 아랍어의 /w/ 대신 /v/로 발음된다.
- 형태 변화: ک|카프fa와 ی|예fa는 아랍어의 해당 문자와 독립형 및 어말형의 형태가 다르다. 특히 ی|예fa는 독립형/어말형에서 점 두 개를 생략한다.
특수 형태 및 합자페르시아 문자에는 기본적인 32개 자모 외에 특정 환경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특수 형태와 합자가 있다.
이름 | 발음 | IPA | 유니코드 | 어말 | 중간 | 어두 | 독립 | 주석 |
---|---|---|---|---|---|---|---|---|
알레프 마다 (alef madde) | â | /ɒː/ | U+0622 | ـآfa | — | آfa | آfa | 단어 처음에 /ɒː/ 소리가 날 때 사용된다. 어말 형태는 드물다. |
헤 예 (he ye) | -eye / -eyeh | /[eje]/ | U+06C0 | ـۀfa | — | — | ۀfa | 에자페(ezafe) 표기 등에 사용되며, ـهٔfa 형태로 쓰이기도 한다. 지역/방언에 따라 ـهیfa 조합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
람 알레프 (lâm alef) | lâ | /lɒː/ | U+0644 + U+0627 | ـلاfa | — | — | لاfa | ل|람fa과 ا|알레프fa가 연속될 때 사용되는 필수 합자이다. |
함자(ء)는 독립적인 문자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성문 폐쇄음 /ʔ/를 나타내거나 모음 표기를 위해 다른 문자(ا|알레프fa, و|와우fa, ی|예fa) 위에 표기되기도 한다(각각 أfa, ؤfa, ئfa).
역사적으로 사용된 문자초기 신페르시아어에는 유성 양순 마찰음 /β/를 나타내는 문자 ڤ|베fa가 있었으나, 이 음이 /b/로 변화하면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어 زڤان|zaβānfa은 현대 페르시아어에서 زبان|zabānfa('언어')이 되었다.[8]
음소 | 독립 형태 | 어말 형태 | 중간 형태 | 어두 형태 | 명칭 |
---|---|---|---|---|---|
/β/ | ڤfa | ـڤfa | ـڤـfa | ڤـfa | βe |
또한, گ|가프fa의 초기 형태로 ݣfa가 옛 문헌에서 발견되기도 한다.[2]
음소 | 독립 형태 | 어말 형태 | 중간 형태 | 어두 형태 | 명칭 |
---|---|---|---|---|---|
/ɡ/ | ݣfa | ـݣfa | ـݣـfa | ڭـfa | gâf |
유니코드페르시아 문자를 위한 유니코드 블록은 아랍 문자와 공유되며, 페르시아어 고유 문자인 پ|페fa(U+067E), چ|체fa(U+0686), ژ|제fa(U+0698), گ|가프fa(U+06AF)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란의 국장으로 사용되는 الله|알라fa의 양식화된 기호(☫, U+262B)와 이란 리알 통화 기호(﷼, U+FDFC)도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다.[9][10][11]
3. 2. 아랍 문자와의 차이
페르시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만, 7세기 이슬람교도의 페르시아 정복 이후 점차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페르시아어를 표기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페르시아어의 음운 체계에 맞게 아랍 문자가 일부 변형되었으며, 아랍 문자와는 다른 특징들이 나타났다.문자 추가아랍어에는 없지만 페르시아어에 존재하는 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4개의 문자가 추가되었다. 이 문자들은 기존 아랍 문자의 형태를 변형하여 만들어졌으며, 보통 변형의 기반이 된 문자 뒤에 배열된다.
문자 | پfa | چfa | ژfa | گfa |
---|---|---|---|---|
음가 (IPA) | p | t͡ʃ | ʒ | ɡ |
기반 문자 (참고) | بfa (b) | جfa (j) | زfa (z) | کfa (k) |
이 추가 문자들의 정확한 사용 시작 시기는 불분명하다. 초기 페르시아어 문헌에서는 پfa 대신 بfa를, چfa 대신 جfa를, ژfa 대신 زfa를, گfa 대신 کfa를 사용하기도 했다. 특히 گfa는 사파비 왕조 시대 문헌에서도 표기되지 않은 경우가 있어, 4개 문자 중 가장 늦게 정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발음 차이아랍 문자를 차용했지만, 일부 문자의 발음은 페르시아어 고유의 음운 체계에 따라 달라졌다. 대표적으로 وfa (vāv)는 아랍어에서는 w 소리를 내지만, 페르시아어에서는 주로 v 소리를 낸다. (다만 모음으로 쓰일 때는 uː, o, ow 등의 소리를 낸다.)
또한, 현대 페르시아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아랍어 고유의 발음을 가진 문자들은 다른 페르시아어 음가로 대체되었다. 이로 인해 같은 소리를 내는 문자가 여러 개 존재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s 소리는 ثfa, سfa, صfa 세 문자로 표기될 수 있고, z 소리는 ذfa, زfa, ضfa, ظfa 네 문자로 표기될 수 있다. 아랍어 차용어 표기에는 원래 아랍어 철자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문자 | ثfa | حfa | ذfa | صfa | ضfa | طfa | ظfa | عfa | قfa | وfa |
---|---|---|---|---|---|---|---|---|---|---|
아랍어 발음 (IPA) | θ | ħ | ð | sˤ | dˤ | tˤ | zˤ / ðˤ | ʕ | q | w |
페르시아어 발음 (IPA) | s | h | z | s | z | t | z | ʔ | ɢ / ɣ | v / uː / o / ow |
페르시아어에는 아랍어와 달리 인두음화된 발음이 없다.[6]
자형 차이일부 문자는 아랍 문자와 기본적인 골격은 같지만, 세부적인 형태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히 كar (kāf)와 يar (yāʾ) 문자의 독립형과 어말형은 페르시아어에서 각각 کfa와 یfa 형태로 쓰인다. 아랍어의 كar는 페르시아어 کfa보다 더 꺾인 형태를 가지며, 아랍어 يar는 어말이나 독립형에서 아래에 점 두 개를 찍지만 페르시아어 یfa는 점 없이 쓴다.
문자 순서페르시아 문자의 기본적인 배열 순서는 아랍 문자와 거의 동일하지만, وfa (vāv)와 هfa (he)의 순서가 아랍 문자와 반대로 되어 있다. 즉, 아랍어에서는 'هـ (h)' 다음에 'و (w)'가 오지만, 페르시아어에서는 'و (v)' 다음에 'ه (h)'가 온다.
문자 명칭문자의 이름은 대부분 아랍어 명칭을 따르지만, 페르시아어식 발음으로 읽는다. 예를 들어, 아랍어에서 'ā'로 끝나는 문자 이름(예: باء|bāʾar)은 페르시아어에서 'ē'로 바꾸어 بے|bēfa처럼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단, طا|ṭāfa, ظا|ẓāfa는 예외). 아랍어 이중모음 'ay'는 'ey'로 발음된다 (예: عين|ʿaynar → عین|ʿeynfa).
هfa (he)와 حfa (ḥe)는 페르시아어에서 모두 'hē'로 발음되어 혼동될 수 있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هfa는 'hē havvaz' 또는 'hā-ye do-češm' ('두 눈 달린 헤'), حfa는 'hē ḥottī' 또는 'ḥā-ye jimi' ('짐(جfa) 모양 헤') 등으로 구별하여 부르기도 한다.[6]
서체페르시아 문자는 아랍 문자의 서체와 다른 독자적인 서체를 발전시켰다. 특히 '''나스타리크체'''는 페르시아 문학 작품 필사 등에 널리 사용되며 페르시아 서예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슬람 서예 문서 참조)
3. 3. 보조 기호
(완전 모음 표기된 텍스트)(페르시아어)
(라틴 문자 표기)
(페르시아어 / 다리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