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불임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제 불임화는 개인 또는 집단의 동의 없이 불임 시술을 강요하는 행위로, 우생학적, 인구 통제, 또는 차별적 목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우생학의 영향으로 스위스, 독일, 미국 등에서 정신 질환자, 유전병 환자 등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특히 나치 독일은 유전병자 자손 예방법을 통해 대규모 강제 불임화를 자행했다. 일본 또한 국민우생법과 우생보호법을 통해 강제 불임화를 시행했다.
20세기 이후에는 인구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구 통제 정책의 일환으로 방글라데시, 중국 등에서 강제 불임화가 시행되었으며, 소수 집단, 장애인, 트랜스젠더 등을 대상으로 한 강제 불임화는 인권 침해 논란을 야기했다.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은 강제 불임화를 반인도적 범죄로 규정하고 있으며, 조그자카르타 원칙과 이스탄불 협약은 트랜스젠더의 법적 성별 변경 조건으로 불임 수술을 강요하는 것을 금지한다. 현대 사회에서도 트랜스젠더, 장애인에 대한 강제 불임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생식 권리, 자기 결정권 침해로 이어진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임화 - 화학적 거세
화학적 거세는 성욕 감퇴를 위해 항남성호르몬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성범죄자 치료 및 호르몬 의존성 암 치료에 사용되며, 부작용과 윤리적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불임화 - 불임수술
불임수술은 영구적인 피임을 목적으로 여성에게는 난관 결찰술, 난관 절제술, 자궁 절제술 등이, 남성에게는 정관 결찰술과 거세 등이 시행되는 다양한 시술을 포괄하며, 수술 외적인 방법들도 연구되고 있고 개인의 건강, 가족 계획, 사회경제적 요인 및 인권 문제와도 관련된다. - 우생학 - 인종위생
인종위생은 인종의 유전적 형질 개량을 통해 사회 전체의 건강을 증진하려는 유사과학적 이론 및 실천으로, 특정 인종의 우월성 주장과 차별을 정당화하여 심각한 인권 침해를 초래한 바 있으며, 현대에는 비과학적인 개념으로 여겨지지만 차별적 형태로 잔존하고 있다. - 우생학 - 과학적 인종주의
과학적 인종주의는 17세기부터 시작되어 신체적 특징과 지능을 근거로 인종 간의 우열을 주장하며, 19세기 다윈의 진화론과 결합하여 사회적 불평등을 정당화하고, 20세기 초 우생학, 지능 검사와 결합하여 차별적인 정책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과학계에서 거부되었다. - 간성과 의학 - 존 머니
존 머니는 성과학자로서 성 정체성 및 성 역할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고 관련 용어를 만들었으나, 데이비드 라이머 사례 연구의 오류로 인해 논란을 낳고 트랜스젠더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 - 간성과 의학 - 키메라 (유전학)
키메라는 한 개체 내에 유전형이 다른 세포와 조직이 함께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생명과학 분야에서 발생 기작 연구 등에 활용되고 인간 키메라의 경우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강제 불임화 | |
---|---|
정의 | |
강제 불임 | 국가 또는 정부 기관이 개인의 의사에 반하여 불임을 강제하는 행위 |
역사적 배경 | |
유래 | 우생학 운동과 관련 |
주요 시행 국가 | 미국 스웨덴 나치 독일 일본 캐나다 |
대상 | |
주요 대상 집단 | 장애인 정신 질환자 빈민 특정 인종 또는 민족 범죄자 |
법적 근거 및 절차 | |
법적 근거 | 우생학 관련 법률 또는 공중 보건 관련 법률 |
절차 | 정부 기관의 명령 또는 법원의 판결 |
윤리적 문제 | |
주요 논쟁점 | 개인의 자기 결정권 침해 신체적 자유 침해 인간 존엄성 침해 사회적 차별 심화 |
비판 | 인권 침해 행위로 강하게 비판받음 |
국제적 시각 | |
국제법 | 국제인권법 위반 강제 불임은 반인도적 범죄로 간주될 수 있음 |
국제 사회 | 강제 불임 정책은 심각한 인권 침해로 간주되어 국제 사회에서 비난받음 국제 인권 단체들은 강제 불임 중단을 촉구 |
현대적 관점 | |
현재 상황 |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으로 간주되나,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시행되는 사례가 있음 |
사회적 영향 | 피해자들에게 심각한 정신적, 육체적 후유증을 남김 |
2. 역사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 단종은 우생학에 의해 세계적으로 행하였으며, 1892년 스위스에서 민족위생학의 관점에서 정신장애 여성에게 단종수술이, 1897년 독일에서 유전병 여성의 단종수술(난관절제)이 행하여졌다.[224]
1920년에는 형법학자 카를 빈딩과 정신과의 알프레트 보헤가 "살 가치가 없는 생명의 근절의 허용"을 발의해 불치의 자가 죽음으로의 의사를 표명한 경우나 빈사의 중상을 입은 의식이 없는 환자는 안락사가 인정되어야 하고 의사표명을 할 수 없는 "불치의 치매자"에 대해서는 "그들의 생명 자체가 무목적으로 가족에게도 사회에게도 무겁기 때문에" 가족이나 후견인이 신청하는 의사와 법률가로부터 인정된다면 살해를 가능케 했다.
1923년에는 유전학자 에르빈 바우어, 오이겐 피셔/Eugen Fischer영어, 프리츠 렌츠/Fritz Lenz영어 공저 "인류유전학과 민족위생학 개설"에서 열등한 유전자의 배제가 민족위생에 있어 최선이라며 렌츠는 장애인의 "번식"은 안락사보다 단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며 히틀러나 나치스에 영향을 주고 "나치 우생학의 바이블"로 불렸다. 렌츠는 1931년 "인종위생학에 대한 국민사회주의의 입장"에서 "나치는 인종위생학을 그 강령의 핵심 요구로 대표하는 최초의 정당"이라고 칭찬했다.[225][224]
2. 1. 우생학과 민족위생학
19세기 말부터 20세기에 걸쳐 우생학은 인류의 유전적 형질 개선을 명분으로 강제 불임화를 정당화하는 주요 논리로 작용했다.[224][219] 1892년 스위스에서 정신장애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단종 수술이 시행되었고, 1897년 독일에서도 유전병 여성에게 난관 절제 수술이 시행되었다.[224][219]1920년 독일에서는 형법학자 카를 빈딩과 정신과 의사 알프레트 보헤가 "살 가치가 없는 생명의 근절의 허용"을 발의하여, 불치병 환자의 안락사와 더불어 "불치의 치매 환자"의 살해를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24][219] 이들은 "불치의 치매 환자"의 생명이 무목적이며 가족과 사회에 짐이 된다고 주장했다.[224][219]
1923년 유전학자 에르빈 바우어, 오이겐 피셔/Eugen Fischer영어, 프리츠 렌츠/Fritz Lenz영어는 공저 "인류유전학과 민족위생학 개설"에서 열등한 유전자의 배제가 민족위생에 있어 최선이라고 주장했다.[225][224][219] 렌츠는 장애인의 "번식"은 안락사보다 단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는 히틀러와 나치스에 영향을 주어 "나치 우생학의 바이블"로 불렸다.[225][224][219][217] 렌츠는 1931년 "인종위생학에 대한 국민사회주의의 입장"에서 "나치는 인종위생학을 그 강령의 핵심 요구로 대표하는 최초의 정당"이라고 칭찬했다.[225][224][219][218]
2. 2. 단종법
1907년 미국의 인디애나주에서 세계 최초로 단종법이 제정된 이후 여러 주에서 유사한 법률이 제정되었다.[219] 독일에서는 1933년 7월 14일 유전병자손예방법이 제정되어 강제 불임화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219] 이는 세계 대공황으로 인한 독일 경제 악화의 결과, 복지 삭감을 배경으로 1932년 프로이센 단종법안이 제출되었으나, 히틀러 내각 성립 후 폐안된 뒤 성립된 것이다.단종 대상자는 유전병 환자와 중증 알코올 중독 환자였다.[219] 유전병에는 선천성 정신 박약, 정신 분열병, 조울증, 유전성 간질, 유전성 무도병(헌팅턴병), 유전성 전맹, 유전성 농아, 중증의 유전성 신체 기형이 포함되었다.
2. 3. 20세기 이후의 강제 불임화
인구 계획은 인구 성장률을 인위적으로 변경하는 행위이다. 역사적으로 인구 계획은 대개 정부의 명령에 의해 인구의 출생률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시행되었으며, 이는 높은 또는 증가하는 수준의 빈곤, 환경 문제, 종교적 이유, 그리고 인구 과잉과 같은 요인에 대한 대응으로 수행되었다.[13] 1977년 교과서 ''Ecoscience: Population, Resources, Environment''에서 저자 폴 에를리히와 앤 에를리히, 그리고 존 홀드렌은 강제 불임화를 포함하여 인구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논의한다.[14] 이 책은 홀드렌이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의 과학기술 담당 대통령 보좌관으로 임명되면서 언론의 주목을 다시 받았으며, 주로 교과서의 스캔본을 온라인에 게시한 보수 논평가들의 비판을 받았다.[15]1960년대 인도에서 자녀가 셋 이상인 남성에 대한 정관 수술 제안,[16] 둘째 또는 셋째 아이 출산 후 여성 불임화, 제거 가능한 장기 불임화 형태로서의 피임 임플란트, 여성당 특정 자녀 수를 할당하는 면허 시스템,[17] 특정 자녀 수를 갖는 경제 및 할당량 시스템,[18] 그리고 식수나 식량원에 살균제를 첨가하는 방안 등 여러 형태의 강제 불임화가 언급되었지만, 저자들은 그러한 살균제가 존재하지 않으며 개발 중이지도 않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19] 저자들은 이러한 정책의 대부분은 실제로 시행되지 않으며, 시도된 적도 없고, 대부분은 "대부분의 사회에서 용납될 수 없는 상태로 남을 것"이라고 언급한다.[19]
인구 과잉 논쟁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인구 통제 정책은 폴 R. 에를리히와 앤 에를리히가 저술하여 인구 과잉으로 인한 주요 사회적 격변을 예측한 책인 ''인구 폭탄''에서도 논의되었다.[21] 강제 불임화를 포함하여 출산율을 낮추려는 시도가 인구 과잉을 줄이려는 이러한 움직임의 결과로 나타났다.[21] 강압적이고 학대적인 인구 통제 정책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건강, 정치적 결과를 계속해서 초래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강제 불임화와 같은 강압적인 정책에 굴복했던 인구 집단이 현재의 가족 계획 이니셔티브에 대한 지속적인 불신을 갖게 된 것이다.[22] 1994년 카이로에서 열린 국제 인구 개발 회의에서 인구 통제에서 생식 권리로의 전환이 시작되었고, 현대의 생식 정의 운동이 시작되었다.[23][24] 그러나 강제 불임화 관행을 포함한 새로운 형태의 인구 통제 정책은 전 세계적인 문제이며, 생식 권리와 정의에 관한 문제이다.[25]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2002년-2015년에 걸쳐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양성 반응을 보인 임산부에게 출산 시 강제 불임 수술이 시행되었다. 여성들은 제왕 절개에 의한 출산 직전에 불임 수술을 승인하는 서명에 강요당하는 등 피해를 입었다. 후에 국내 단체가 젠더 평등 위원회에 소송을 제기했고, 2020년, 동 위원회가 보고서를 정리하면서 표면화되었다.[220]
3. 나라별 강제 불임화
3. 1. 미국
미국은 강제 불임화를 합법화한 최초의 국가로, 1907년 인디애나주에서 최초의 단종법이 제정되었다.[224][142] 진보 시대(~1920) 동안 미국은 우생학적 목적으로 강제 불임 시술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시행했다.[137] 토머스 C. 레너드(Thomas C. Leonard)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는 미국의 우생학 및 불임 시술이 경제적 논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설명한다.[138]
프로그램 책임자들은 우생학 지지자였으며, 20세기 전반기에 전국적으로 프로그램을 옹호했다. 우생학은 정신적, 신체적 장애가 유전적 원인이라는 것과 이러한 가설이 사회 공학의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고 가정했다. 우생학적 사고는 "정신 지체자"는 아이를 낳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었다.[139] 미국 불임 시술 프로그램의 주요 대상은 지적 장애인과 정신 질환자였지만, 청각 장애인, 시각 장애인, 간질 환자, 신체 기형자도 대상이 되었다. 당시에는 부도덕하거나 미혼 상태에서 임신을 했다는 이유로 "지능이 낮은" 여성들이 시설로 보내지는 경우가 많았다. 범죄를 대상으로 한 불임 시술은 교도소 및 기타 교정 시설에서 이루어졌다.[140] 결국, 미국에서 주 강제 불임 시술 프로그램에 따라 33개 주에서 65,000명이 넘는 개인이 불임 시술을 받았다.[141]
1897년 미시간주에서 처음으로 강제 불임 시술 법안이 도입되었지만 통과되지 못했다. 펜실베이니아주 주의회 의원들은 불임 시술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주지사가 거부했다. 인디애나주는 1907년에 불임 시술 법안을 제정한 최초의 주가 되었으며,[142] 1909년에는 캘리포니아주와 워싱턴주가 그 뒤를 이었다.[143] 다른 여러 주에서도 이 법안을 따랐지만, 와이오밍주(1934년)에서처럼 무산될 정도로 논란이 많았다.[143] 1920년대에 우생학자들은 복지 의존 사슬을 끊고 비백인 시민의 인구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남부의 흑인 여성과 서남부의 라틴계 여성에게 특히 관심을 보였다.[144][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 독일의 집단 학살 정책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우생학과 불임 시술 프로그램에 대한 여론이 부정적으로 바뀌었지만, 1970년대까지 일부 주에서는 상당수의 불임 시술이 계속되었다. 오리건주 우생학 위원회는 1983년까지 존재했으며,[147] 마지막 강제 불임 시술은 1981년에 발생했다.[148] 캘리포니아주는 다른 어떤 주보다 훨씬 많은 불임 시술을 했으며, 모든 불임 시술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 캘리포니아 불임 시술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E. S. 고스니(E. S. Gosney)와 폴 포페노(Paul Popenoe)에 의해 책 형태로 제작되어 널리 배포되었으며, 아돌프 히틀러 정권은 대규모 강제 불임 시술 프로그램의 실현 가능성을 증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149]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주지사들은 과거 프로그램에 대해 공개적으로 사과했다. 그러나 불임 시술을 받은 사람들에게 보상하겠다고 제안한 사람은 거의 없었는데, 이는 살아있는 사람이 거의 없고 그들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이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최소한 하나의 보상 사례인 ''Poe v. Lynchburg Training School & Hospital''(1981)이 불임 시술법이 위헌이라는 이유로 법원에 제기되었다. 이 법은 소송 제기 당시 더 이상 효력이 없었기 때문에 기각되었다. 그러나 청원인들은 많은 경우에 환자에게 수술에 대해 알려야 한다는 법 자체의 규정이 실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부 보상을 받았다.[150]
1956년에 불임 시술법이 책으로 남아 있던 27개 주는 다음과 같다. 애리조나주, 캘리포니아주, 코네티컷주, 델라웨어주, 조지아주, 아이다호주, 인디애나주, 아이오와주, 캔자스주, 메인주, 미시간주, 미네소타주, 미시시피주, 몬태나주, 네브래스카주, 뉴햄프셔주, 노스캐롤라이나주, 노스다코타주, 오클라호마주, 오리건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사우스다코타주, 유타주, 버몬트주, 버지니아주, 워싱턴주,[151] 웨스트버지니아주 및 위스콘신주.[152]
2011년 1월, 노스캐롤라이나주 우생학 위원회의 승인 하에 강제 불임 시술 피해자에 대한 보상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었다. 베브 퍼듀 주지사는 2010년에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의해 강제로 불임 시술을 받은 피해자에게 정의를 제공하고 보상하기 위해" NC 불임 시술 피해자 정의 재단을 설립했다.[153] 2013년 노스캐롤라이나주는 1929년부터 1974년까지 불임 시술을 받은 7,600명에게 2015년 6월부터 1,000만 달러를 지출하여 보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54]
아이를 키우는 비용을 지불할 수 없다는 것은 법원이 강압적이거나 강제적인 불임 시술을 명령하는 이유가 되었다. 2014년 6월, 버지니아주 판사는 아동 학대로 보호 관찰 중인 남성이 더 많은 아이를 갖기 전에 일곱 자녀를 부양할 수 있어야 한다고 판결했으며, 이 남성은 정관 절제술을 받기로 동의했다.[155] 2013년, 오하이오주 판사는 10만 달러에 가까운 양육비 미납금을 빚지고 있는 남성에게 보호 관찰 조건으로 "여성을 임신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합리적인 노력을 기울이라"고 명령했다.[156] 케빈 마이랄드는 양육비 의무를 충족시키는 것을 재생산할 권리의 조건으로 하는 것은 지불할 가능성이 없는 남성에 대한 "건설적 불임 시술"에 해당한다고 썼다.[157]
2021년 7월 19일, 캘리포니아 주 예산에 서명된 새로운 조항에 따라, 캘리포니아 주립 시설에서 적절한 동의 없이 불임 시술을 받은 수천 명의 사람들에게 보상을 제공할 것이라고 보고되었다.[158]
2020년, 4개의 비영리 단체가 미국 조지아주에 있는 사설 교도소인 미국 이민 구금 센터가 여성들에게 강제로 불임 시술을 했다고 고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 의사가 이민세관집행국에 의해 구금된 여성들에게 승인되지 않은 의료 시술을 했다고 한다.[160] 던 우튼은 간호사이자 전 직원이다. 그녀는 높은 비율의 불임 수술이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여성과 라틴 아메리카에서 흔히 사용되는 다양한 토착 언어를 사용하는 여성에게 행해졌다고 주장했다. 우튼은 이 센터가 이러한 수술에 대한 적절한 동의를 얻지 못했거나, 의료 절차에 대해 여성에게 거짓말을 했다고 말했다. 40명 이상의 여성들이 이러한 학대를 문서화하기 위해 서면 증언을 제출했다.[161]
2020년 9월, 멕시코는 6명의 멕시코 여성들이 동의 없이 불임 시술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후, 구금 센터에서 불법 이민자에게 행해진 의료 절차에 대해 미국 당국에 더 많은 정보를 요구했다. 멕시코 외무부는 영사관 직원이 센터에 구금된 18명의 멕시코 여성들을 인터뷰했으며, 그 중 누구도 "자궁 절제술을 받았다고 주장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다른 여성은 산부인과 수술을 받았다고 말했지만, 그녀가 그 절차에 동의했다는 것을 뒷받침할 만한 기록은 그녀의 구금 파일에 없었다.[162]
프로젝트 사우스, 조지아 구금 감시, 조지아 라틴 아메리카 인권 연합, 사우스 조지아 이민자 지원 네트워크는 구금된 이민자와 간호사를 대신하여 정부에 불만을 제기했다.
미국 하원 의원 프라밀라 자야팔은 적어도 17명의 여성이 "가장 혐오스러운 인권 침해"라고 부르는 불필요한 산부인과 시술을 받았다는 의혹에 대한 긴급 조사를 요구했다.[163]
미국의 우생학은 정신 지체인을 표적으로 삼는 방향으로 확산되었다. 미국 전역의 불임 시술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1927년 미국 대법원의 ''벅 대 벨'' 판결은 예외였다. 이 판결은 지적 장애인을 위한 버지니아의 한 시설 환자에 대한 강제 불임 시술을 미국 헌법에 따라 지지했다.[164] 그 판결 이후, 미국에서 62,000명 이상의 사람들, 대부분 여성들이 불임 시술을 받았다.[165] 연간 불임 시술 건수는 1942년 또 다른 대법원 사건인 ''스키너 대 오클라호마'' 판결까지 증가했다. 이 판결은 헌법의 평등 보호 조항을 위반하는 경우 범죄자에 대한 불임 시술을 금지함으로써 법적 상황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즉, 불임 시술을 시행할 경우, 화이트칼라 범죄자를 예외로 할 수 없다는 것이다.[166] 그러나 이 사건은 ''벅 대 벨''에서 내려진 판결을 직접적으로 뒤집지는 않았다.[167]
미국 산부인과 학회(ACOG)는 정신적 장애가 불임 시술을 거부할 이유가 아니라고 본다. ACOG의 의견은 정신적으로 제한된 환자에게 불임 시술을 원하는 경우 "의사는 환자의 가족, 대리인 및 기타 간병인과 상담해야 한다"는 것이다.[168] 2003년, 더글러스 디에케마는 학술지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의 제9권에서 "생식 결정 능력, 자녀를 양육할 능력 또는 결혼에 대한 유효한 동의를 제공할 능력을 유지하는 정신 지체인에게는 강제 불임 시술을 해서는 안 된다"고 적었다.[169] ''의학 윤리 저널''(Journal of Medical Ethics)은 1999년 기사에서 의사들이 스스로 동의할 수 없는 정신적으로 제한된 사람들의 불임 시술 요청에 정기적으로 직면한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는 불임 시술은 "필요한 상황"이고 "불임 시술의 이점이 단점보다 클 때"만 이루어져야 한다고 권고했다.[170]
''미국 생명 윤리 저널''(American Journal of Bioethics)은 2010년 기사에서 애슐리 치료법에 사용된 개입이 미래의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171] 이러한 개입은 부모의 요청과 의사의 지침에 따라 정신적, 신체적 장애가 있는 아이의 자궁 절제술 및 유방 싹의 외과적 제거를 포함했다.[172] 치료법 지지자들은 이것이 장애인을 성폭행, 원치 않는 임신, 월경의 어려움으로부터 보호한다고 주장한다.[173] 이러한 개입은 원치 않는 침해를 피할 수 있는 개인의 헌법적 권리를 침해한다는 주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주에서 여전히 합법적이다.[173]
우생학적 목적 외에도 불임화는 성범죄자, 동성애자로 확인된 사람, 또는 지나치게 자위 행위를 한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에게 징벌적 조치로 사용되었다.[174] 미국에서 우생학에 근거한 강제 불임화를 처음으로 시행한 캘리포니아는 1909년 불임화법에 따라 모든 수감자를 불임 처리했다.[174] 지난 40년 동안, 판사들은 특히 아동 학대/위험 사건에서 피임약을 사용하거나 불임 수술을 받으려는 사람들에게 더 가벼운 처벌(예: 징역형 대신 집행유예)을 제시했다.[175] 이와 관련하여 가장 유명한 사례 중 하나는 아동 학대 혐의로 7년 징역형을 선고받은 여성 존슨에게 집행유예와 노플랜 사용에 동의할 경우 감형을 제안한 ''People v. Darlene Johnson'' 사건이다.[176]
아동 학대 사건 외에도 일부 정치인들은 공적 지원을 받는 여성에 대해 복지 혜택 유지를 위한 요건으로 노플랜 사용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제안했다.[176] 앞서 언급했듯이, 일부 판사는 노플랜 사용에 동의하는 여성에게 징역형 대신 집행유예를 선고했으며, 다른 법원 사건에서는 아동 학대 사건 이후 부모가 자녀에 대한 양육권을 회복할 때까지 출산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일부 법학자 및 윤리학자들은 이러한 관행이 본질적으로 강압적이라고 주장한다.[176] 또한, 이러한 학자들은 이러한 관행을 19세기와 20세기 초의 우생학 정책과 연관시키면서, 이러한 관행이 가난한 사람들을 표적으로 삼았을 뿐만 아니라, 특히 흑인 여성을 포함하여 미국 내 소수 여성과 가족에게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강조한다.
1970년대 후반, 강제 및 강압적인 불임화의 역사를 인정하고 지속적인 우생학/인구 통제 노력을 방지하기 위해, 미국 연방 정부는 정부 지원 불임 시술에 대한 표준화된 정보 동의 절차 및 특정 자격 기준을 시행했다.[177]
비록 공식적인 우생학 법률은 더 이상 일상적으로 시행되지 않고 정부 문서에서 삭제되었지만, 오늘날에도 미국의 기관에서 생식 강압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2011년, 탐사 보도 뉴스에서는 2006년에서 2011년 사이에 캘리포니아 주 교도소 2곳의 여성 수감자 148명이 적절한 정보 동의 없이 불임 시술을 받았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178] 2014년 9월, 캘리포니아는 수감자의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 응급 의료 상황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교정 시설에서의 불임 시술을 금지하는 법안 SB 1135를 제정했다.[179]

3. 2. 독일
1932년 프로이센 단종법이 제출되었지만, 히틀러 내각 성립 이후 폐기되었다. 이후 유전병 자손 예방법(Gesetz zur Verhütung erbkranken Nachwuchses)으로 성립되어 강제 불임화가 시행되었다.[224]단종 대상자는 유전병자와 중증의 알코올 중독자였다.[224] 유전병에는 선천성 정신박약, 정신분열병, 조울병, 유전성 간질, 유전성 무도병(헌팅턴병), 유전성 전맹, 유전성 농아, 중도의 유전성 신체기형이 포함되었다.[224][219]

아돌프 히틀러가 국회의사당 방화령과 1933년 수권법으로 독일 국가에 대한 사실상의 법적 독재 권력을 얻은 후, 1933년 7월 유전병 자손 예방법을 통과시켰다.[75][76] 이 법에 따라 200개 이상의 우생학 법원이 특별히 설립되었고, 모든 의사는 지적 장애, 정신 질환 ( 조현병 및 조울증 포함), 간질, 맹인, 청각 장애, 또는 신체 기형으로 간주되는 환자를 보고해야 했으며, 보고되지 않은 환자에 대해서는 엄격한 금전적 벌칙이 부과되었다. 알코올 중독 또는 헌팅턴병을 앓는 사람도 불임 시술을 받을 수 있었다.[77][78][79] 1937년부터는 400명의 혼혈 "라인란트 사생아"도 불임 시술을 받았다.[77][78][79]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40만 명 이상이 불임 시술을 받았다.[81]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많은 나치들은 이 문제에 대한 자신들의 행동을 정당화하며 미국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지적했다. 나치는 T-4 안락사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다른 많은 우생학에서 영감을 얻은 나치의 인종 정책을 가지고 있었다.[81]
3. 3. 일본
일본에서는 1940년 국민우생법이 제정되어 유전성 질환자 등을 대상으로 강제 불임화가 시행되었다.[99] 1941년부터 1945년 사이에 435건의 단종이 행해졌으며,[99] 1915년부터 시작된 한센병 환자에 대한 우생수술은 나병 예방법에 의해 강제 격리와 함께 임신중절 및 단종이 강요되었다.[97] 특히, 간호사에 의해 수술이 이루어지기도 했으며, 공표된 것만으로도 남성 2300명 이상, 여성 1252명이 단종을 받았는데, 이는 강제 격리된 환경에서의 동의가 유효한지에 대한 문제를 야기했다.[97]1948년 제정된 우생보호법은 유전성 질환뿐만 아니라 한센병, "유전성 이외의 정신병, 정신박약"을 가진 환자에게도 단종을 허용했다.[101] 1949년부터 1994년 사이에 1만 6천 건의 강제 우생수술이 이루어졌으며, 이 중 70%가 여성이었다.[97] 동의에 의한 우생수술은 80만 건 이상이었다.[97] 우생보호법 제3조는 본인 또는 배우자의 유전성 질환, 한센병, 임신 또는 분만이 모체의 생명에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등에 대해 본인 및 배우자의 동의를 얻어 우생수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97]
1996년 모체보호법으로 개정되면서 강제 우생수술 관련 조항이 삭제되었지만,[236] 1997년에는 16520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본인 혹은 가족의 동의 없이 불임수술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236] '여성의 신체와 의료를 생각하는 모임' 등 17개 민간단체는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후생대신에게 강제 불임 수술 피해자에 대한 사죄와 보상을 요구하는 요망서를 제출했다.[236] 2018년 1월에는 강제 불임 수술 피해자가 센다이 지방재판소에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으며, 당시 우생보호법에 의해 진행된 불임수술은 총 25,000여 건이었으며, 이 중 동의 없는 강제 불임 수술은 총 16,475건에 달했다.[237][238]
히로히토 천황 치세 초기, 일본 정부는 정신 지체, 장애, 유전 질환 등을 가진 사람들의 수를 줄이는 정책을 장려했다.[99][96] 1907년, 1931년, 1953년의 ''나병 예방법''은 환자들을 요양소에 격리하고 강제 낙태와 불임 시술을 허용했으며,[97] 식민지 조선의 ''나병 예방 조례''에 따라 한국인 환자들도 고된 노동에 시달렸다.[98] 고노에 후미마로 정부는 1940년에 "국가 우생학법"을 공포하여 1945년까지 454명의 일본인에게 불임 시술을 시행했다.[99] ''우생학 보호법''(1948)은 범죄를 저지를 "유전적 경향"이 있는 범죄자, 유전 질환 환자, 정신 질환자 등에게 불임 시술을 강제할 수 있도록 했다.[101]
2019년 초, 일본 대법원은 성전환자가 생식기를 제거해야 한다는 요건을 유지했지만,[102][103][104] 2023년 10월, GID법의 강제 불임 시술 조항은 위헌 판결을 받았다.[107] 2024년 7월, 일본 최고재판소는 1948년 우생학 보호법이 위헌이라고 판결하고, 해당 법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에 대한 20년의 공소 시효를 폐지했다.[108][109]
3. 4. 한국
3. 4. 1. 일제강점기
한국에서의 강제 불임화는 일제강점기에 관련 사례가 있다.1935년 여수에서 한센인에 대한 단종이 시작되었으며, 이것은 한국 국내에서 한센인을 대상으로 한 강제 불임화의 시작이었다. 1936년 소록도의 소록도갱생원에서는 부부동거의 조건으로 단종수술이 이루어졌는데, 이를 거부할 경우 폭행과 협박, 감금이 뒤따랐으며, 소록도 이외의 각 지역의 한센인 요양소 및 정착촌도 비슷했다.[226]
일제 강점기 시기에 이루어진 강제 불임화는 법률적 근거 없이 이루어진 것으로,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되고, 한반도의 분단이 시작된 1945년 이후에도 이루어졌다.
3. 4. 2. 대한민국
모자보건법은 1973년에 제정되었으며, 이 법에는 유전적 질환이나 전염성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의사의 판단에 따라 강제 불임 수술을 허용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조항에 따라 강제 불임 수술이 시행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조항은 1999년에 모자보건법 개정을 통해 삭제되었다.3. 4.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의 강제 불임화에 대한 내용은 현재 알려진 바가 없다.3. 5. 기타 국가
방글라데시는 인구 조절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가 운영하는 민간 불임 시술 프로그램을 오랫동안 운영해 왔으며, 주로 가난한 여성과 남성을 대상으로 한다.[31] 정부는 난관 수술을 받도록 설득된 여성과 정관 절제술을 받도록 설득된 남성에게 2,000 방글라데시 타카(18달러)를 제공하고, 여성에게는 사리, 남성에게는 쿠르타를 불임 시술을 받는 동안 입도록 제공한다.[31] 불임 시술을 받도록 설득한 추천인은 300 방글라데시 타카(2.70달러)를 받는다.[31] 1977년의 연구에 따르면, 당시 인센티브가 1.10달러에 불과했을 때, 남성의 40%에서 60%가 지급되는 금액 때문에 정관 절제술을 선택했다.[34] 1982년 12월 16일, 방글라데시의 군사 통치자 중장 후세인 무함마드 에르샤드는 방글라데시 여성과 남성을 위한 2년 간의 대규모 불임 시술 프로그램을 시작했다.[36] 한 인구 조절 전문가는 이를 '세계 최대의 불임 시술 프로그램'이라고 불렀다.[37] 방글라데시는 출산 조절을 장려하려는 노력이 실패한 후, 로힝야족 난민 캠프에 불임화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다.[47] 지구 가족계획 당국은 난민들 사이에서 콘돔 사용을 꺼린다는 보고 속에 단지 549개의 콘돔 묶음을 배포하는 데 성공했고, 캠프 내 남성에게는 정관 수술, 여성에게는 난관 수술(난관 결찰술)을 제공하는 계획을 승인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47]1970년대에서 80년대 동안 미국 정부는 브라질에서 가족 계획 캠페인을 후원했지만, 당시 브라질에서는 불임 시술이 불법이었다.[68] 2018년 상파울루에서는 마약 거래 혐의로 체포된 8명의 자녀를 둔 어머니에 대해 강제 불임 시술을 청구했고, 판사는 불임 시술에 찬성하는 판결을 내렸다.[51][52][53]
중국은 1978년 한 자녀 정책을 시작했지만, 국제앰네스티와 같은 단체들은 이미 한 자녀 할당량을 채운 사람들에게 강제 불임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비난했다.[54] 2016년 이후, 중국은 두 자녀 정책을 허용했다.[57] 2019년부터 신장에서 강제 불임화에 대한 보고가 나오기 시작했다.[58][59][60] 2020년에는 대규모 강제 불임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계속되었다.[61][62] 이러한 조치는 때때로 이 지역에서 진행 중인 위구르족 학살의 일부로 특징지어지기도 한다.
체코슬로바키아는 1973년부터 일부 로마 여성에 대한 불임 시술 정책을 시행했다.[64] 77헌장 운동의 반체제 인사들은 1977~78년에 이러한 관행을 집단 학살로 규탄했지만, 1989년 벨벳 혁명까지 계속되었다.[65]
콜롬비아의 인구 정책 개발은 1964년부터 1970년까지의 기간에 시작되었으며, 2005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피임 사용률 중 하나인 76.9%를 기록했다.[82] 1980년대 콜롬비아에서 불임 수술은 경구 피임약 다음으로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임신 예방 방법이었다.[82]
1929년부터 1967년까지 덴마크에서 11,000명이 불임 시술을 받았으며, 이 중 절반 정도는 본인의 의지에 반하여 시술을 받았다.[69] 강제 불임 시술 프로그램은 당시 덴마크에서 우생학이 유행함에 따라 "주로 정신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69] 1960년대와 1970년대 동안 수천 명의 그린란드 이누이트 여성과 소녀들이 동의 없이 자궁 내 장치(IUD)를 삽입받았다.[70] 2014년 6월 11일까지 덴마크에서는 법적인 성전환을 위해서는 불임 수술이 필수적이었다.[71][72][73]
과테말라는 가족 계획 프로그램에 저항한 국가 중 하나로, 2000년까지 라틴 아메리카에서 피임 사용률이 가장 낮은 국가 중 하나였다.[82] 1980년대에, 과테말라의 대주교는 미국 국제 개발처(USAID)가 여성들을 동의 없이 대량 불임 시술을 했다고 비난했지만,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지지한 위원회는 이 주장이 허위라고 결론 내렸다.[82]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인도에서 일어난 인도 비상사태는 정부의 권력 남용 및 인권 침해를 초래했다.[83] 1976년 8월 6일, 마하라슈트라 주는 셋째 아이 출산 이후 남녀의 강제 불임 시술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제정했다.[84] 당시 총리인 인디라 간디의 아들인 산제이 간디는 실패로 끝난 이 프로그램에 큰 책임이 있었다.[83] 불임 시술 정책은 여전히 인도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주로 불임 수용소로 몰려드는 원주민과 저소득층 여성을 대상으로 한다.[88] 2016년 9월, 인도 대법원은 연방 정부에 향후 3년 이내에 '불임 시술 캠프'를 폐지하고 주 정부에도 이를 따르도록 지시했다.[91] 강제 불임 시술은 또한 인도의 장애인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였다.[91]
2000년대 후반, 이스라엘 언론은 장기 지속형 피임제인 데포-프로베라 주사가 에티오피아 유대인 이민자들에게 강제로 투여되었다고 보도했다.[94] 에티오피아계 유대인 여성들은 3개월마다 주사를 맞도록 협박당하거나 속았다고 진술했다.
케냐에서는 HIV 감염 여성에 대한 강제 불임 시술이 바이러스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믿었다.[110] 2012년, "선택의 박탈(Robbed of Choice)"이라는 제목의 보고서가 분노를 불러일으켰다.[110][111]
나이지리아에서는 지적 장애가 있는 어린 소녀들이 비자발적 불임 시술을 받기 쉽다.[113] 현재 자발적이지 않은 불임 시술을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법률은 없다.[113]
멕시코의 시민 사회 단체들은 지난 몇 년 동안 HIV 감염 여성들로부터 강제 불임 수술을 받았다는 수많은 증언을 받았다.[114]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멕시코, 니카라과에서 작성된 보고서에 따르면, HIV에 감염된 여성들 중 임신 당시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이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경우, 강제 또는 강요된 불임 수술을 경험할 가능성이 6배 더 높았다.[115]
페루에서,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1990년부터 2000년까지 재임)은 국가 인구 프로그램의 결과로 집단 학살과 반인륜적 범죄 혐의를 받았다.[116][117] 2002년 7월, 보건부 장관이 명령한 최종 보고서는 1995년과 2000년 사이에 331,600명의 여성이 불임 시술을 받았으며, 25,590명의 남성이 정관 절제술을 받았음을 밝혔다.[118]
정신신경내부시설에 러시아의 법적 미성년자가 거주할 수 없고, 내부시설 환자가 자녀와 함께 생활할 수 있는 시설이 없기 때문에, 거의 모든 임산부는 정신신경내부시설에서 낙태를 겪는다. 낙태 과정에서 정신신경내부시설 환자는 종종 강제 불임 시술을 받는다.[123]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HIV 양성 여성들이 본인의 동의 없이, 때로는 알지도 못한 채 강제 불임 시술을 받았다는 여러 건의 보고가 있었다.[124] 2002년-2015년에 걸쳐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양성 반응을 보인 임산부에게 출산 시 강제 불임 수술이 시행되었다.[220]
스웨덴의 우생학 프로그램은 1934년에 제정되었고 1976년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128] 2000년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21,000명이 강제 불임 시술을 받았고, 6,000명은 '자발적' 불임 시술을 강요받았으며, 추가로 4,000건의 사례는 그 성격을 파악할 수 없었다고 추정한다.[128] 2012년 12월까지 스웨덴 법은 트랜스젠더 개인에게 법적 서류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불임 시술을 받도록 강요했다.[132]
1911년 내무부 장관으로 재직하던 윈스턴 처칠은 정신 지체가 있는 사람들의 강제 불임화를 지지했다.[134] 2015년 특정 사례에서 영국의 보호 법원은 6명의 자녀를 둔 IQ 70의 여성이 안전을 위해 불임 시술을 받아야 한다고 판결했다.[136]
2012년 기준, 강제적이고 강압적인 불임 시술은 우즈베키스탄에서 두 명 또는 세 명의 자녀를 둔 여성에게 적용되는 현재 정부 정책이다.[191][192][193][194][195] 강제 불임 시술, 자궁 절제술, 자궁 내 장치 삽입에 대한 보고는 2005년에 처음 나타났다.[191][192][193][198]
우생학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북유럽 국가와 그 외 거의 모든 프로테스탄트 국가에서 시행되었다. 특히 적극적인 불임화 정책을 시행했던 다른 국가로는 노르웨이,[206][207][205] 핀란드,[208][209][210][211] 에스토니아,[212] 스위스,[213][214] 아이슬란드,[215]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의 일부 국가들이 있다.
4. 관련 법률
1998년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 제7조에 따라 본인 또는 배우자의 동의 없이 인간에 대한 단종 또는 불임 수술을 시행하는 것은 "반인도적 범죄" 중 하나로 규정되었다.[221] 2021년 6월 현재, 123개 국가가 조약에 가입했다.
2006년 11월 채택된 성적 지향 및 성 정체성에 관한 국제 인권법에 관한 조그자카르타 원칙 제3조에서는 트랜스젠더의 법적 성별 변경 조건에 불임 수술을 강요받지 않아야 함을 명시했으며, 유럽 평의회도 2010년에 동 원칙에 따라 법적 성별 변경에 수술 조건을 두지 않도록 권고했다.[222] 또한 2011년 유엔 인권 이사회의 권고에서도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법정 성별과 이름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불임 수술을 강요하지 않도록 명시했다. 이를 받아들여 2012년 5월 아르헨티나에서 법적 성별 변경과 관련하여 수술 조건이 철폐되었으며, 스웨덴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도 유사한 법 개정 성립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3년 2월 1일, 유엔 인권 이사회의 고문 및 잔혹, 비인도적 및 품위 침해 대우와 형벌에 관한 유엔 특별 보고관은 특히 정신 장애인에 관한 학대, 단종, 여성 할례를 포함한 의학적 남용과 성적 지향 및 성 정체성에 기인하는 의학적 남용을 언급하며, 독일과 스웨덴 법원의 판결도 인용하여 성별 변경에 불임 수술이나 성전환 수술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신체의 불가침성을 침해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223]
4. 1. 국제법
1998년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 규정 제7조는 강제 불임을 인도에 반한 죄 중 하나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형사재판소의 관할로 규정되어 있다.[239][240] 광범위하거나 체계적인 강제 불임 시술은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에 의해 반인륜적 범죄로 인정받고 있다.[27][28] 그러나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은 관할권을 배제하는 국가에 포함되어 보편적 관할권을 가지지 않는다.[29] 본인 또는 배우자의 동의 없이 인간에 대한 단종 또는 불임 수술을 시행하는 것은 1998년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 제7조에 따라 "반인도적 범죄" 중 하나로 규정되었다.[221] 2021년 6월 현재, 123개 국가가 조약에 가입했다.2011년 이스탄불 협약(Istanbul Convention) 제39조에 의하여 강제불임은 금지[241]되어 있으며, 이스탄불 협약은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강제 불임 시술을 금지하고 있다(제39조).[26]
2006년 11월 채택된 성적 지향 및 성 정체성에 관한 국제 인권법에 관한 조그자카르타 원칙 제3조에서는 트랜스젠더의 법적 성별 변경 조건에 불임 수술을 강요받지 않아야 함을 명시했으며, 유럽 평의회도 2010년에 동 원칙에 따라 법적 성별 변경에 수술 조건을 두지 않도록 권고했다.[222] 또한 2011년 유엔 인권 이사회의 권고에서도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법정 성별과 이름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불임 수술을 강요하지 않도록 명시했다. 2013년 2월 1일, 유엔 인권 이사회의 고문 및 잔혹, 비인도적 및 품위 침해 대우와 형벌에 관한 유엔 특별 보고관은 특히 정신 장애인에 관한 학대, 단종, 여성 할례를 포함한 의학적 남용과 성적 지향 및 성 정체성에 기인하는 의학적 남용을 언급하며, 독일과 스웨덴 법원의 판결도 인용하여 성별 변경에 불임 수술이나 성전환 수술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신체의 불가침성을 침해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223]
4. 2. 나라별 법률
과거 강제 불임화의 근거가 되었던 법률들은 대부분 폐지되었거나 관련 조항이 삭제되었다. 독일의 유전병자손예방법(:de:Gesetz zur Verhütung erbkranken Nachwuchses) 제1조 제1~2항은 1933년 제정된 법률로 유전병자의 자손이 중도(中度)의 질환을 가질 우려가 있다고 예상되는 경우 불임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한민국의 모자보건법 제15조는 1973년 제정 당시 제9조였다가 1986년 전부 개정된 법률에 의해 제15조로 바뀌었으며, 1999년에 폐지되었다. 해당 조항은 의사가 환자를 진단한 결과 유전을 방지하기 위해 불임수술을 행하는 것이 공익상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보건복지부장관에게 보고하고, 보건복지부장관은 의사를 지정하여 해당 환자에게 불임수술을 받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 조항에 따른 강제 불임수술 관련 보고는 1975년에 있었지만, 실제 강제 불임수술은 이루어진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의 모체보호법 제4조 ~ 제13조는 1996년까지 존재한 조항으로, 당시 우생보호법이라는 이름으로 시행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조항에 따른 강제 불임수술이 이루어졌다.이스탄불 협약은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강제 불임 시술을 금지하고 있다(제39조).[26] 광범위하거나 체계적인 강제 불임 시술은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에 의해 반인륜적 범죄로 인정받고 있다.[27][28] 다만,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은 국제형사재판소의 관할권을 배제하는 국가에 포함되어 보편적 관할권을 가지지 않는다.[29]
5. 현대의 강제 불임화 문제
5. 1. 트랜스젠더와 강제 불임화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 성별 정정을 위한 조건으로 불임 수술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 트랜스젠더의 인권 침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74] 이는 요그야카르타 원칙에 위배되는 것으로 비판받고 있다. 핀란드는 2023년 4월 3일까지 성별을 법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성인에게 강제 불임화를 요구했다.[74]5. 2. 장애인과 강제 불임화
장애인, 특히 지적 장애인에 대한 강제 불임화는 여전히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으며, 이는 장애인의 자기 결정권과 생식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로 간주된다.[113]아이슬란드에서는 2019년 이후 의학적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비동의 강제 불임 시술이 금지되었으나, 자궁 절제술은 예외로 하고 난관 결찰술과 난관 수술적 차단 절차만을 다룬다. 또한, 장애인의 동의에 대한 언급도 없다. 2023년 3월에는 심각한 인지 장애를 가진 20세 딸의 비정상적인 월경 주기를 이유로 어머니가 자궁 절제술을 승인한 사례가 있었다.[112]
가나, 나이지리아, 탄자니아의 법률은 환자에게 의도된 이점이 의료 종사자에게 법적 결과와 관련이 없는 의료 행위를 허용한다. 나이지리아 형법은 "환자의 상태와 사건의 모든 상황을 고려할 때 수술의 수행이 합리적인 경우, 환자를 위해 선의와 합리적인 주의 및 기술로 수술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한다.[112] 나이지리아에서는 지적 장애가 있는 어린 소녀들이 비자발적 불임 시술의 대상이 되기 쉬우며, 이를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법률은 없다. 아프리카 인권 및 민족 권리 위원회는 비자발적 불임 시술이 평등, 비차별, 존엄성, 자유 및 신체의 안전에 대한 권리를 침해한다고 선언했다.[113] 나이지리아에서 비자발적 불임 시술은 지적 장애가 있는 소년들보다 소녀들에게 더 흔하며, 다른 장애에 비해 지적 장애인에게 더 흔하다. 이는 친척들이 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경제적 이유나 지적 장애가 있는 자녀를 가질 위험 때문에 임신을 막기 위한 목적이 주된 이유로 꼽힌다.[113]
미국의 우생학은 정신 지체인을 표적으로 삼는 방향으로 확산되었다. 1927년 미국 대법원의 ''벅 대 벨'' 판결은 지적 장애인을 위한 버지니아 시설 환자에 대한 강제 불임 시술을 미국 헌법에 따라 지지했다.[164] 이 판결 이후, 미국에서 62,000명 이상의 사람들, 대부분 여성들이 불임 시술을 받았다.[165] 1942년 ''스키너 대 오클라호마'' 판결은 범죄자에 대한 불임 시술을 금지했지만, ''벅 대 벨'' 판결을 직접 뒤집지는 않았다.[166][167]
미국 산부인과 학회(ACOG)는 정신적 장애가 불임 시술을 거부할 이유가 아니라고 보며, 의사는 환자의 가족, 대리인 및 기타 간병인과 상담해야 한다고 권고한다.[168] 더글러스 디에케마는 2003년 논문에서 생식 결정 능력, 자녀 양육 능력 또는 결혼에 대한 유효한 동의를 제공할 능력을 유지하는 정신 지체인에게는 강제 불임 시술을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169] ''의학 윤리 저널''(Journal of Medical Ethics)은 1999년 기사에서 불임 시술은 "필요한 상황"이고 "불임 시술의 이점이 단점보다 클 때"만 이루어져야 한다고 권고했다.[170]
''미국 생명 윤리 저널''(American Journal of Bioethics)은 2010년 기사에서 애슐리 치료법에 사용된 개입이 미래의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171] 이러한 개입은 부모의 요청과 의사의 지침에 따라 정신적, 신체적 장애가 있는 아이의 자궁 절제술 및 유방 싹의 외과적 제거를 포함했다.[172] 치료법 지지자들은 이것이 장애인을 성폭행, 원치 않는 임신, 월경의 어려움으로부터 보호한다고 주장한다.[173]
5. 3. 소수 집단과 강제 불임화
특정 인종, 민족, 종교 집단, 또는 HIV 감염인 등 소수 집단을 대상으로 한 강제 불임화는 차별과 억압의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12] 20세기 초, 우생학 운동의 일환으로 여러 국가에서 강제 불임화 프로그램이 시행되었으며, 나치 독일의 프로그램이 가장 대표적인 사례이다.[5] 1970년대에는 인구 통제 프로그램이 "제3세계"에 집중되어 빈곤 지역의 과잉 인구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4]2014년 5월, 세계 보건 기구(WHO)를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는 공동 성명을 통해 강제 불임화의 폐지를 촉구했다.[12] 이 보고서는 여성, 특히 HIV 감염 여성, 원주민 및 소수 민족 여성, 장애인, 인터섹스, 트랜스젠더 등 다양한 집단에 대한 강제 불임화 문제를 지적했다.[12] 특히 원주민 및 소수 민족 여성은 "성별, 인종 및 민족에 근거한 부당한 고정 관념"에 직면하며,[12] 미국에서는 복지 수혜자 어머니의 강제 불임 시술에 대한 의사 동의율이 높았고, 복지 중단 위협도 존재했다.[9] 장애인의 경우, 특히 지적 장애가 있는 여성은 자신의 성적 및 생식적 선택에 대한 통제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았다.[10] 인터섹스 개인은 종종 "성 정상화" 치료의 일환으로 본인 또는 부모의 사전 동의 없이 불필요한 수술을 받았다.[12] 트랜스젠더 개인은 성별 긍정 치료 및 성별 표기 변경의 전제 조건으로 불임 시술을 강요받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요그야카르 원칙에 위배된다.[11]
6. 강제 불임화에 대한 비판과 논쟁
6. 1. 인권 침해
6. 2. 우생학적 논리의 문제점
6. 3. 인구 통제 정책의 윤리성
인구 계획은 인구 성장률을 인위적으로 변경하는 행위이다.[13] 역사적으로 인구 계획은 정부 주도로 출생률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시행되었으며, 빈곤, 환경 문제, 종교적 이유, 인구 과잉 등에 대한 대응으로 수행되었다.[13]1977년 교과서 ''Ecoscience: Population, Resources, Environment''에서 폴 에를리히, 앤 에를리히, 존 홀드렌은 강제 불임화를 포함한 다양한 인구 과잉 해결 수단을 논의했다.[14] 1960년대 인도에서 자녀가 셋 이상인 남성에 대한 정관 수술 제안,[16] 둘째 또는 셋째 아이 출산 후 여성 불임화, 피임 임플란트, 여성당 특정 자녀 수를 할당하는 면허 시스템 등이 언급되었다.[17] 식수나 식량원에 살균제를 첨가하는 방안도 언급되었지만, 저자들은 그러한 살균제가 존재하지 않으며 개발 중이지도 않다는 것을 분명히 밝혔다.[19]
인구 과잉에 대한 우려는 폴 R. 에를리히와 앤 에를리히의 저서 ''인구 폭탄''에서도 논의되었다.[21] 이러한 우려가 커지면서 강제 불임화를 포함하여 출산율을 낮추려는 시도가 나타났다.[21] 이러한 강압적 인구 통제 정책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건강, 정치적 결과를 초래했다.[22] 특히 강제 불임화와 같은 정책에 굴복했던 인구 집단은 현재의 가족 계획 이니셔티브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었다.[22]
1980년대와 1990년대 여성 건강 운동에 의해 인구 통제 정책이 비판받았으며, 1994년 카이로에서 열린 국제 인구 개발 회의에서 인구 통제에서 생식 권리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23][24] 그러나 강제 불임화 관행을 포함한 새로운 형태의 인구 통제 정책은 여전히 전 세계적인 문제이며, 생식 권리와 정의에 관한 문제이다.[25]
7. 결론 및 향후 과제
참조
[1]
웹사이트
Women and Global Human Rights
http://www2.webster.[...]
2016-10-29
[2]
서적
Population and Reproductive Rights: Feminists Perspectives from the South
https://books.google[...]
Zed Books Ltd
[3]
서적
Pregnancy and Power: A Short History of Reproductive Politic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4]
서적
Matters of Choice: Puerto Rican Women's Struggle for Reproductive Freedom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5]
서적
A Polish Doctor in the Nazi Camps: My Mother's Memories of Imprisonment, Immigration, and a Life Rema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6]
뉴스
24 Countries in Europe Require Sterilization of Trans People
https://tgeu.org/24-[...]
2022-01-04
[7]
웹인용
Despite Bans, Disabled Women Are Still Being Sterilized in Europe
https://www.nytimes.[...]
2024-04-03
[8]
뉴스
UN Report: Forced Sterilization of Trans People "is Torture"
https://transequalit[...]
2022-01-04
[9]
서적
Dear Sister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10]
간행물
Sterilization of 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ttps://eprints.mdx.[...]
Sage Publications
[11]
웹사이트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A/HRC/22/53)
http://www.ohchr.org[...]
Ohchr.org
2013-10-28
[12]
웹사이트
Eliminating forced, coercive and otherwise involuntary steriliza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4-07-14
[13]
웹사이트
Interact Worldwide Downloads
http://www.populatio[...]
Interact Worldwide
[14]
웹사이트
The Inconvenient Truth About Population Control, Part 2; Science Czar John Holdren's Endorsement of Involuntary Sterilization
http://www.evolution[...]
2016-10-03
[15]
웹사이트
Holdren's Controversial Population Control Past
https://prospect.org[...]
2020-08-25
[16]
뉴스
The forgotten roots of India's mass sterilization program
https://www.washingt[...]
2020-08-25
[17]
간행물
Marketable licenses for babies: Boulding's proposal revisited
1975-03
[18]
간행물
Communications
1970-06
[19]
웹사이트
The Human Predicament: Finding a Way Out
https://www.foxnews.[...]
[20]
웹사이트
Glenn Beck claims science czar John Holdren proposed forced abortions and putting sterilants in the drinking water to control population
https://www.politifa[...]
2020-08-25
[21]
웹사이트
The Book That Incited a Worldwide Fear of Overpopulation
https://www.smithson[...]
2020-08-25
[22]
서적
Reproductive rights and wrongs : the global politics of population control
Haymarket Books
[23]
뉴스
A Post-Colonial Feminist Critique of Population Control Policies -
https://muhi.org.au/[...]
2020-08-25
[24]
웹사이트
Feminist Perspectives on Population Issues
https://www.encyclop[...]
2020-08-25
[25]
간행물
A feminist exploration of 'populationism': engaging contemporary forms of population control
2019-04-03
[26]
웹사이트
Council of Europe Convention on preventing and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https://rm.coe.int/1[...]
2017-08-07
[27]
서적
Dying Alive – A Legal Assessment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Burma
The Netherlands Ministry for Development Co-Operation
2005-04
[28]
웹사이트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ttp://legal.un.org/[...]
legal.un.org
2012-07-13
[29]
웹사이트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19-12-01
[30]
간행물
Forced Sterilization and Mandatory Divorce: How a Majority of Council of Europe Member States' Laws Regarding Gender Identity Violate the Internationally and Regionally Established Human Rights of Trans* People
https://lawcat.berke[...]
2015
[31]
웹사이트
পরিবার পরিকল্পনা {{!}} উত্তরখান ইউনিয়ন {{!}} উত্তরখান ইউনিয়ন
http://uttarkhanup.d[...]
2017-11-11
[32]
간행물
Acceptability of male sterilization in Bangladesh: its problems and perspectives
https://www.popline.[...]
2017-11-12
[33]
간행물
Vasectomy—safe and simple
https://www.popline.[...]
2017-11-12
[34]
간행물
A Follow-up of Vasectomy Clients in Rural Bangladesh
1979-01-01
[35]
뉴스
Bangladesh's Midwives Promote Birth Control
https://www.washingt[...]
2017-11-12
[36]
뉴스
The Bangladesh government plans a mass voluntary sterilization of...
https://www.upi.com/[...]
2017-11-11
[37]
뉴스
Impoverished Bangladesh plans sterilization program
https://www.upi.com/[...]
2017-11-11
[38]
문서
Miles and Shiva 1993
[39]
웹사이트
BANGLADESH Healthcare in Bangladesh: only sterilization and vasectomies are free
http://www.asianews.[...]
2017-11-12
[40]
웹사이트
স্থায়ী জন্মনিয়ন্ত্রণ পদ্ধতির সেবা
https://www.nhd.gov.[...]
2017-11-12
[41]
논문
Sterilization in Bangladesh: mortality, morbidity, and risk factors
1982-08
[42]
논문
Sterilization-attributable deaths in bangladesh
1982-04
[43]
논문
Deaths from contraceptive sterilization in bangladesh: rates, causes, and prevention
1982-11
[44]
논문
"[Children and bankers in Bangladesh]"
1991-06
[45]
웹사이트
Global Liveability Ranking 2015 –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http://www.eiu.com/p[...]
2017-11-12
[46]
뉴스
Dhaka 2nd least liveable city in the world
http://www.thedailys[...]
2017-11-12
[47]
뉴스
Bangladesh to offer sterilisation to Rohingya in refugee camps
https://www.theguard[...]
2017-11-12
[48]
뉴스
Bangladesh 'plans to offer to sterilise Rohingya Muslims' as refugee population grows
https://www.independ[...]
2017-11-12
[49]
서적
Matters of Life and Longing: Female Sterilisation in Northeast Brazil
Museum Tusculanum Press
[50]
서적
Reproductive and Sexual Rights: A Feminist Perspective
Routledge
[51]
논문
Voluntary and Compulsory Sterilization in Brazil and the Reproductive Rights of Women
https://riviste.unig[...]
2019-07-10
[52]
웹사이트
Court-ordered sterilization investigated in Brazil
https://apnews.com/a[...]
2021-04-08
[53]
웹사이트
Who decides over Janaina's body? A case of forced sterilization in Brazil
https://www.opendemo[...]
2021-04-08
[54]
뉴스
Thousands at risk of forced sterilization in China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2-04-09
[55]
뉴스
China acts on forced abortion
http://news.bbc.co.u[...]
BBC
2012-04-09
[56]
웹사이트
Enforcement of One-Child Policy Targets 'The Rich and Famous' in Zhangzhou, China
https://www.forbes.c[...]
2017-09-29
[57]
웹사이트
Neo-Malthusianism and Coercive Population Control in China and India: Overpopulation Concerns Often Result in Coercion
https://www.cato.org[...]
2021-04-09
[58]
뉴스
A Million People Are Jailed at China's Gulags. I Managed to Escape. Here's What Really Goes on Inside
https://www.haaretz.[...]
2019-10-17
[59]
뉴스
'Deeply disturbing' footage surfaces of blindfolded Uyghurs at train station in Xinjiang
https://www.abc.net.[...]
2019-09-23
[60]
뉴스
TikTok's owner is helping China's campaign of repression in Xinjiang, report finds
https://www.washingt[...]
2019-11-28
[61]
웹사이트
China cuts Uighur births with IUDs, abortion, sterilization
https://apnews.com/2[...]
2020-07-01
[62]
웹사이트
Pompeo calls report of forced sterilisation of Uighurs 'shocking'
https://www.aljazeer[...]
2020-08-11
[63]
웹사이트
Uyghur Genocide Shows Urgency of Combating Neo-Malthusianism
https://www.cato.org[...]
2021-04-09
[64]
뉴스
Sterilized Roma accuse Czechs
http://news.bbc.co.u[...]
BBC
2007-03-12
[65]
뉴스
For Gypsies, Eugenics is a Modern Problem – Czech Practice Dates to Soviet Era
http://newsdesk.org/[...]
Newsdesk
2006-06-12
[66]
간행물
Final Statement of the Public Defender of Rights in the Matter of Sterilisations Performed in Contravention of the Law and Proposed Remedial Measures
http://www.ochrance.[...]
Czech government
2005
[67]
서적
Against the Odds: Colombia's Role in the Family Planning Revolution
World Bank Publisher
[68]
서적
Reproductive Rights and Wrongs: The Global Politics of Population Control
Haymarket Books
[69]
뉴스
Denmark to investigate its involuntary sterilization program
https://apnews.com/a[...]
1997-08-29
[70]
뉴스
Inuit Greenlanders demand answers over Danish birth control scandal
https://www.bbc.com/[...]
2022-11-05
[71]
뉴스
OVERBLIK: Transkønnedes kamp mod lovgivningen
https://www.avisen.d[...]
avisen.dk
2018-08-09
[72]
웹사이트
Denmark Ends Forced Sterilisation for Sex Change
https://www.ndtv.com[...]
2022-01-04
[73]
웹사이트
Denmark Ends Forced Sterilization Of Transgender People
https://www.queerty.[...]
2014-06-13
[74]
뉴스
Finland to allow gender reassignment without sterilisation
https://www.reuters.[...]
reuters.com
2023-05-08
[75]
웹사이트
Eugenics Courts Named in Reich. The Montreal Gazette. January 3, 1934.
https://news.google.[...]
2017-08-15
[76]
웹사이트
The Montreal Gazette - Google News Archive Search
https://news.google.[...]
[77]
서적
Racial hygiene: Medicine under the Nazi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78]
웹사이트
The Pittsburgh Press - Google News Archive Search
https://news.google.[...]
[79]
간행물
From Kraepelin to Karadzic: Psychiatry's Long Road to Genocide
https://www.research[...]
2012
[80]
웹사이트
The connection between American eugenics and Nazi Germany, James Watson :: DNA Learning Center
http://www.dnalc.org[...]
2014-02-05
[81]
문서
Hitler: A Profile in Power
[82]
서적
Guatemala: The Pioneering Days of the Family Planning Movement
World Bank Publications
2007
[83]
뉴스
The Indira enigma
http://www.hinduonne[...]
Frontline
2006-07-28
[84]
서적
India's Family Planning Programme Policies, Practices and Challenges
Taylor & Francis
2016
[85]
뉴스
A generation of lost manhood
http://timesofindia.[...]
2015-06-26
[86]
뉴스
Relying on Hard and Soft Sells India Pushes Sterilization
New York Times
2011-06-22
[87]
뉴스
India's dark history of sterilisation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4-08
[88]
논문
In the name of reproductive rights: race, neoliberalism and the embodied violence of population policies
https://eprints.bbk.[...]
2019-12-16
[89]
뉴스
Male involvement and contraceptive methods for men
http://www.malecontr[...]
Frontline
2006-07-28
[90]
웹사이트
Sterilization: The Standard Choice in India
https://web.archive.[...]
2021-04-08
[91]
웹사이트
Mistreatment and Coercion: Unethical Sterilization in India
https://hrln.org/upl[...]
[92]
논문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India: Provisions, Promises and Reality
https://digitalcommo[...]
2023-02-28
[93]
뉴스
Forced Sterilization of Disabled Women in India: A Tale of Lost Autonomy
https://blogs.lse.ac[...]
2024-04-03
[94]
뉴스
Ethiopian women in Israel 'given contraceptive without consen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2-28
[95]
뉴스
Israel Admits Ethiopian Women Were Given Birth Control Shots
https://www.haaretz.[...]
Haaretz
2013-01-27
[96]
서적
Ethical Issues of Molecular Genetics in Psychiatry
http://www.bioethics[...]
Springer-Verlag
1991
[97]
뉴스
Hansen's sanitarium were houses of horrors
http://search.japant[...]
2005-01-28
[98]
뉴스
Korean Hansens patients seek redress
http://search.japant[...]
2004-02-26
[99]
웹사이트
국민優生法
http://www.res.otemo[...]
[100]
웹사이트
"「旧優生保護法下における優生手術及び人工妊娠中絶等に対する補償立法措置に関する意見書」, 2018, 日本弁護士連合会"
https://www.nichiben[...]
[101]
웹사이트
SOSHIREN / 資料・法律−優生保護法
http://www.soshiren.[...]
Soshiren.org
2012-07-13
[102]
뉴스
Japan says transgender people must be sterilised
https://www.economis[...]
2019-03-20
[103]
뉴스
Japan urged to lift sterilization requirement for transgender recognition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Online
2019-03-20
[104]
논문
"A Really High Hurdle": Japan's Abusive Transgender Legal Recognition Process
https://www.hrw.org/[...]
2019-03-19
[105]
웹사이트
Japan: Compelled Sterilization of Transgender People
https://www.hrw.org/[...]
2022-01-04
[106]
웹사이트
Japan's Supreme Court upholds transgender sterilization requirement
https://www.nbcnews.[...]
2019-01-25
[107]
웹사이트
Transgender Ruling Is Step Forward for L.G.B.T.Q. Rights in Japan
https://www.nytimes.[...]
2023-10-25
[108]
뉴스
Japan's top court says forced sterilisation unconstitutional
https://www.bbc.com/[...]
2024-07-03
[109]
뉴스
Top court rules old eugenic law unconstitutional, orders redress
https://www.asahi.co[...]
2024-07-03
[110]
웹사이트
High Court of Kenya to Address Forced Sterilization of HIV-Positive Women and Collection of Names of People Living With HIV
https://www.hhrjourn[...]
2015-07-16
[111]
웹사이트
Kenya, Forced Sterilization, & Women with HIV
https://fxb.harvard.[...]
2015-07-21
[112]
논문
The world's laws concerning voluntary sterilization for family planning purposes
1974
[113]
간행물
Informed Choice and Female Sterilization in South Asia and Latin America
https://www.cambridg[...]
2018-11
[114]
서적
El Estado como "aparato reproductor" de violencia contra las mujeres. Violencia contra las mujeres y tortura u otros malos tratos en ámbitos de salud sexual y reproductiva en América Latina y el Caribe
Amnesty International Publications
[115]
서적
El Estado como "aparato reproductor" de violencia contra las mujeres. Violencia contra las mujeres y tortura u otros malos tratos en ámbitos de salud sexual y reproductiva en América Latina y el Caribe
Amnesty International Publications
[116]
뉴스
Mass sterilization scandal shocks Peru
http://news.bbc.co.u[...]
2002-07-24
[117]
간행물
Making the Case for Genocide, the Forced Sterilization of Indigenous Peoples of Peru
https://digitalcommo[...]
2020-09-04
[118]
웹사이트
Stérilisations forcées des Indiennes du Pérou
http://www.monde-dip[...]
2004-05
[119]
웹사이트
USAID Testimony: House International Relations Committee, Subcommittee on International Operations and Human Rights, 2/25/98
http://www.usaid.gov[...]
USAID
[120]
웹사이트
Thousands of Forced Sterilization Cases Reopened in Peru
http://impunitywatch[...]
2011-11-14
[121]
뉴스
Peru forced sterilisations case reaches key stage
https://www.bbc.com/[...]
2021-03-01
[122]
웹사이트
Forced sterilizations: Fujimori should go to court in Peru
https://thecanadian.[...]
2021-12-12
[123]
뉴스
ПНИ — это смесь больницы и тюрьмы
https://www.kommersa[...]
2016-04-04
[124]
간행물
'I feel like half a woman all the time': The impacts of coerced and forced sterilisations on HIV-positive women in South Africa
[125]
뉴스
Dozens of HIV-positive S. African women forcibly sterilized
https://abcnews.go.c[...]
[126]
뉴스
Forced sterilisation in South Africa: They removed my uterus
https://www.bbc.com/[...]
2020-02-27
[127]
잡지
Report: South African Hospitals 'Forcibly' Sterilized Women With HIV
https://time.com/579[...]
[128]
웹사이트
Steriliseringsfrågan i Sverige 1935–1975
2000
[129]
서적
Från politik till praktik: de svenska steriliseringslagarna 1935–1975
Almqvist & Wiksell International
[130]
뉴스
SWEDEN STERILIZED THOUSANDS OF 'USELESS' CITIZENS FOR DECADES
https://www.washingt[...]
1997-08-29
[131]
웹사이트
Forced Sterilization for Transgender People in Sweden
https://www.motherjo[...]
[132]
뉴스
Transgender People in Sweden No Longer Face Forced Sterilization
https://newsfeed.tim[...]
2013-01-14
[133]
웹사이트
Sweden announces to pay compensation to trans people
https://tgeu.org/swe[...]
2017-03-28
[134]
웹사이트
Churchill and Eugenics
http://www.winstonch[...]
[135]
웹사이트
Eugenics in Britain
https://www.english-[...]
2024-02-14
[136]
뉴스
Mother of six 'can be sterilised' – court ruling
https://www.bbc.com/[...]
2015-02-04
[137]
간행물
Eugenics And Its Relevance To Contemporary Health Care
[138]
간행물
Retrospectives: Eugenics and Economics in the Progressive Era
https://www.princeto[...]
[139]
간행물
Eugenic Ideas, Political Interests, and Policy Variance: Immigration and Sterilization Policy in Britain and the U.S
https://www.research[...]
2017-07
[14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Alexandra Minna Stern, Ph.D. of University of Michigan in Spanish newspaper El País published on 12 July 2013
http://sociedad.elpa[...]
[141]
서적
In the name of eugenics: Genetics and the uses of human heredity
Knopf
1985-04-12
[142]
논문
Williams et al v. Smith, 131 NE 2 (Ind.), 1921
http://www.bioethics[...]
[143]
서적
Dying for Joe McCarthy's Sins: The Suicide of Wyoming Senator Lester Hunt
WordsWorth
[144]
서적
Fit to Be Tied: Sterilization and Reproductive Rights in America, 1950–1980
Rutgers University Press
[145]
간행물
A 1970 Law Led to the Mass Sterilization of Native American Women. That History Still Matters
https://time.com/573[...]
2020-03-27
[146]
서적
Latinas in the United States: A Historical Encyclopedia
[147]
웹사이트
Proclamation of Human Rights Day, and apology for Oregon's forced sterilization of institutionalized patients
http://archivedwebsi[...]
2002-12-02
[148]
뉴스
State will admit sterilization past
https://news.google.[...]
Portland Oregonian
2002-11-15
[149]
문서
On California sterilizations and their connection to the Nazi program, see: Stefan Kühl, The Nazi connection: Eugenics, American racism, and German National Socialis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Alexandra Stern, Eugenic nation: faults and frontiers of better breeding in modern Americ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and Wendy Kline, Building a better race: gender, sexuality, and eugenics from the turn of the century to the baby boom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150]
웹사이트
Poe v. Lynchburg Training School and Hospital, 518 F. Supp. 789 (W.D. Va. 1981)
http://law.justia.co[...]
[151]
웹사이트
RCW 9.92.100: Prevention of procreation
http://app.leg.wa.go[...]
2018-04-07
[152]
웹사이트
Note that this is not a comprehensive list of states which had sterilization laws on the books at any given time (some states had their laws overturned in courts very early on) nor an indication of when states' laws were active (some ceased to be used much earlier)
http://www.toolan.co[...]
Toolan.com
2012-07-13
[153]
웹사이트
Office for Justice for Sterilization Victims
http://www.steriliza[...]
North Carolina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154]
뉴스
North Carolina offers $10 million for victims of forced-sterilization program
https://www.foxnews.[...]
Fox News
2013-08-03
[155]
웹사이트
VA Man Agrees to Get Vasectomy as Part of Plea Deal
http://insider.foxne[...]
2014-10-16
[156]
웹사이트
'Stop Having Kids!': Judge Orders Man Owing $100K in Child Support Payments to Quit Procreating
http://insider.foxne[...]
Fox News Insider
2014-10-16
[157]
논문
Serial Paternity
http://web.law.colum[...]
2016-10-29
[158]
웹사이트
Survivors of California's forced sterilizations: 'It's like my life wasn't worth anything'
http://www.theguardi[...]
2022-01-04
[159]
웹사이트
Independent Lens {{!}} Belly of the Beast {{!}} Season 22 {{!}} Episode 4
https://www.pbs.org/[...]
2022-01-04
[160]
웹사이트
ICE detainees' alleged hysterectomies recall a long history of forced sterilizations {{!}} University of Toronto Mississauga
https://www.utm.utor[...]
2020-10-02
[161]
웹사이트
More immigrant women say they were abused by Ice gynecologist
http://www.theguardi[...]
2021-02-03
[162]
웹사이트
Mexico demands the US for answers on alleged migrant hysterectomies
https://www.theyucat[...]
2021-01-24
[163]
웹사이트
Mexico demands the US for answers on alleged migrant hysterectomies
https://www.theyucat[...]
2022-01-04
[164]
웹사이트
Buck v. Bell
https://www.law.corn[...]
2017-06-27
[165]
서적
Fit to be Tied: Sterilization and Reproductive Rights in America, 1950–1980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5-08-14
[166]
웹사이트
Eugenic Sterilization Laws
http://www.eugenicsa[...]
[167]
웹사이트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reedom from Involuntary Sterilization
https://disabilityju[...]
2014-03-11
[168]
논문
ACOG Committee Opinion No. 371: Sterilization of Women, Including Those with Mental Disabilities
[169]
논문
Involuntary sterilization of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An ethical analysis
[170]
논문
Sterilization of incompetent mentally handicapped persons: a model for decision making
[171]
웹사이트
Ashley Revisited: A Response to the Critics | Bioethics.net
http://www.bioethics[...]
2013-03-27
[172]
웹사이트
The "Ashley Treatment", Towards a Better Quality of Life for "Pillow Angels"
http://pillowangel.o[...]
2014-10-16
[173]
웹사이트
Involuntary Sterilization of Disabled Americans: An Historical Overview
https://www.abclawce[...]
2018-11-06
[174]
논문
Legalised non-consensual sterilisation – eugenics put into practice before 1945, and the aftermath. Part 2: Europe
http://eprints.bourn[...]
2019-12-16
[175]
논문
NOTE: COMPULSORY CONTRACEPTION AS A CONDITION OF PROBATION: THE USE AND ABUSE OF NORPLANT
1992
[176]
논문
THE LEGAL RIGHTS OF THE POOR AND MINORITY TO HAVE FAMILIES: JUDGES AS FAMILY PLANNERS, THE VILIFICATION OF THE POOR, AND DESTRUCTION OF THE BLACK FAMILY
2007-05
[177]
논문
Federally Funded Sterilization: Time to Rethink Policy?
2012-10
[178]
웹사이트
Sterilization Abuse in State Prisons
https://www.huffpost[...]
2013-07-23
[179]
웹사이트
SB 1135
http://leginfo.legis[...]
CA Gov
2014-09-17
[180]
논문
Puerto Rico: a Case Study of Population Control
1977-01-01
[181]
논문
Puerto Rico and Birth Control
1968-05
[182]
웹사이트
Forced Sterilization in Puerto Rico " Family Planning
https://stanford.edu[...]
2017-07-25
[183]
웹사이트
Puerto Rico Revisited " Family Planning
https://stanford.edu[...]
2017-07-25
[184]
간행물
Abortion in Puerto Rico: The limits of colonial legality
https://www.tandfonl[...]
1997-05-01
[185]
논문
Agency And Constraint: Sterilization And Reproductive Freedom Among Puerto Rican Women In New York City
1993
[186]
서적
Reproducing Empire: Race, Sex, Science, and U.S. Imperialism in Puerto Ric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187]
서적
Colonialism, Catholicism, and Contraception: A History of Birth Control in Puerto Rico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83
[188]
논문
Population Control by Sterilization: The Cases of Puerto Rican and Mexican-Origin Women in the United States
2009–2010
[189]
서적
SB-1190 – Eugenics Sterilization Compensation Program
https://leginfo.legi[...]
State of California
2019-02-18
[190]
논문
The Role of Sterilization in Controlling Puerto Rican Fertility
1969-11
[191]
뉴스
BBC News: Uzbekistan's policy of secretly sterilizing women
https://www.bbc.co.u[...]
BBC
2012-04-12
[192]
간행물
Crossing Continents: Forced Sterilization in Uzbekistan
http://www.bbc.co.uk[...]
BBC
2012-04-12
[193]
뉴스
Uzbeks Face Forced Sterilization
http://www.themoscow[...]
The Moscow Times
2010-03-10
[194]
뉴스
Uzbekistan's policy of secretly sterilising women
https://www.bbc.com/[...]
2012-04-12
[195]
뉴스
Uzbekistan's policy of secretly sterilising women
https://www.bbc.co.u[...]
2012-04-12
[196]
간행물
Shadow Report: UN Committee Against Torture
http://www2.ohchr.or[...]
United Nations
2007-11
[197]
간행물
Press Release: Committee Against Torture Hears Response of Uzbekistan
http://www.unhchr.ch[...]
United Nations
2007-10-12
[198]
간행물
Birth Control by Decree in Uzbekistan
http://iwpr.net/repo[...]
IWPR Institute for War & Peace Reporting
2005-11-18
[199]
뉴스
Uzbek women accuse state of mass sterilization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0-07-17
[200]
간행물
Uzbekistan: Presidential Decree on Birth Rate Leads to Increased Sterilization | EurasiaNet.org
http://www.eurasiane[...]
2011-11-14
[201]
간행물
Our Kids: EU Parliamentarians Applaud MCH Project in Uzbekistan
http://www.ourkids.u[...]
2010-10-28
[202]
웹사이트
Doctors in Uzbekistan Say Government Forcibly Sterilizing Women
http://www.theworld.[...]
Theworld.org
2012-04-12
[203]
웹사이트
2010 Human Rights Report: Uzbekistan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1-04-08
[204]
뉴스
"Akhborot" censors Karimov
http://www.ozodlik.o[...]
2012-05-17
[205]
웹사이트
Sterilization in Norway - a dark chapter?
https://www.eurozine[...]
2003-04-09
[206]
웹사이트
Norway passes Sterilization Law
http://eugenicsarchi[...]
[207]
논문
Sterilization Under the Swastika: The Case of Norway
https://www.jstor.or[...]
2007
[208]
문서
Eugenics And the Welfare State: Sterilization Policy in Denmark, Sweden, Norway, and Finland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005
[209]
웹사이트
Finland
http://eugenicsarchi[...]
[210]
논문
Sterilization in Finland: From eugenics to contraception
https://www.scienced[...]
1997-12-01
[211]
웹사이트
Trans people in Finland are still being forcibly sterilised
https://www.palatina[...]
2020-07-05
[212]
논문
Forced sterilization of women as discrimination
2017-07-14
[213]
논문
Eugenics in Switzerland before and after 1945 – a Continuum?
https://www.jstor.or[...]
2012
[214]
웹사이트
New laws to compensate victims of forced sterilisation
https://www.swissinf[...]
2002-03-13
[215]
논문
Forced sterilization of women as discrimination
[216]
문서
大辞林 第三版.デジタル大辞泉.
[217]
서적
『優生学と人間社会』
講談社
2000
[218]
간행물
Die Stellung des Nationalsozialismus zur Rassenhygiene
1931
[219]
문서
佐野1998
[220]
웹사이트
남 아프리카, HIV양성의 여성에게 강제 불임 수술 "인권 침해"라고 보고서 지적
https://www.afpbb.co[...]
AFP
2020-02-26
[221]
웹사이트
https://www.mofa.go.[...]
[222]
웹사이트
Discrimination on the ground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http://assembly.coe.[...]
[223]
간행물
Report of the Special Repporteur on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gment (A/HRC/22/53)
http://www.ohchr.org[...]
[224]
문서
佐野1998
[225]
간행물
Die Stellung des Nationalsozialismus zur Rassenhygiene
1931
[226]
뉴스
'[단독] 사법부, 1세기만에 소록도 찾는다…특별 재판 진행'
http://www.yonhapnew[...]
2016-05-29
[227]
웹사이트
모자보건법(법률 제2514호)
http://www.law.go.kr[...]
[228]
웹사이트
모자보건법 시행령(대통령령 제6713호)
http://www.la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229]
뉴스
「天倫」이냐「優生」이냐 「遺傳性질환 강제不姙施術명령」┈각계 反響을 알아보면
http://newslibrary.n[...]
1975-03-08
[230]
뉴스
장애우시설의 강제불임사건 대안 차지가 우선이다
http://www.cowalknew[...]
1999-09-01
[231]
뉴스
충남 정심원 75년에도 강제 불임시술 의혹
https://news.naver.c[...]
1999-08-20
[232]
웹사이트
모자보건법(법률 제5859호)
http://www.law.go.kr[...]
[233]
간행물
불법.강제 불임수술 실태와 대책에 관한 조사보고서
http://heorum.com/zb[...]
1999-08-19
[234]
뉴스
"장애인 강제불임수술 자행"
https://news.naver.c[...]
1999-08-19
[235]
뉴스
"장애인 강제불임수술 관이 주도"
https://news.naver.c[...]
1999-08-22
[236]
뉴스
日, 지난해까지 1만6천명에게 강제불임수술 실시
https://news.naver.c[...]
1997-09-17
[237]
뉴스
'[이슈추적]“나라가 망친 내 인생 돌려 달라” 40~90년대 국가에 강제로 불임수술 당한 일본인들의 절규'
http://news.joins.co[...]
2018-04-08
[238]
뉴스
'[이슈추적]“나라가 망친 내 인생 돌려 달라” 40~90년대 국가에 강제로 불임수술 당한 일본인들의 절규'
http://news.joins.co[...]
2018-04-08
[239]
웹사이트
Dying Alive - A Legal Assessment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Burma
http://www.ibiblio.o[...]
2005-04
[240]
웹인용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ttp://legal.un.org/[...]
legal.un.org
[241]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rm.coe.int/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