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겐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겐족은 성경에 언급된 씨족으로, 유다 왕국 남쪽에 정착했다. 겐족은 대장장이와 연관되어 왔으며, '겐'이라는 이름은 '대장장이'를 뜻하는 아람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겐족은 이스라엘 민족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으며, 모세의 장인이 겐족 출신이었다는 기록이 있다. 겐족 가설은 야훼 신앙이 미디안을 통해 전파되었다는 주장을 담고 있으며, 초기 야훼 시가 이를 뒷받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디안 - 비느하스
    비느하스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페오르 사건 당시 짐리와 코즈비를 죽여 역병을 막고 야훼로부터 세습 제사장직을 약속받았으며, 미디안 전투를 이끌고 제단 건축 오해 사건 해결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유대교 문화에서 위선자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되거나 엘리야와 동일시되기도 하며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숭배받는다.
  • 미디안 - 시나이산
    시나이산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장소로 여겨지는, 알칼리성 화강암과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북쪽에는 성 카타리나 수도원이, 정상에는 모스크와 예배당이 있다.
  • 히브리어 성경의 민족 - 아모리인
    아모리인은 기원전 3천 년기 후반부터 2천 년기 중반까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에서 활동한 셈족 계통의 민족으로, '마르투'로도 불리며 메소포타미아로 이주하여 왕국을 건설하고 함무라비 왕을 배출하기도 했으며, 이들의 언어는 북서셈어족에 속한다.
  • 히브리어 성경의 민족 - 에돔
    에돔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에서의 후손이 세운 고대 왕국이자 민족으로, 붉은 땅을 특징으로 하는 사해 남단에서 아카바만까지의 산악 지대에 위치했으며, 이스라엘과의 전쟁, 유다 왕국의 속국, 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한 쇠퇴, 나바테아인에게 밀려 이두매 사람이 된 후 유대 사회에 통합되어 로마 시대 이후 역사 속에서 사라졌고, 구리 채굴 산업을 기반으로 국가신 카우스를 섬겼다.
겐족
킨족
민족 정보
민족명킨족
로마자 표기Qini
히브리어קֵינִי
영어Kenite
거주 지역고대 레반트
관련 민족미디안인, 레갑족
역사 및 종교적 중요성
성경 속 위치킨족은 성경에 등장하는 유목 민족임.
종교야훼 신앙 (일부)
다른 신앙 존재 가능성
모세의 장인모세의 장인 이드로는 킨족 출신으로 여겨짐.
야훼와의 관계킨족은 야훼를 숭배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스라엘과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음.
재야 판관재야 판관은 킨족 출신으로 여겨짐.
사회 및 문화
생활 방식유목 생활을 하며, 금속 가공 기술이 뛰어났던 것으로 보임.
혈통킨족의 정확한 혈통은 불분명하나, 다양한 부족과 연관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됨.
여성헤벨의 아내 야엘은 이스라엘을 위해 용감하게 행동한 여성으로 묘사됨.
관련 성경 구절
구약성경사사기 1:16
사사기 4:11
사무엘상 15:6
기타킨족은 성경의 여러 곳에서 언급되며, 이스라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짐.

2. 어원

'겐'이라는 이름은 카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대장장이'라는 뜻과도 관련이 있다.[50][51]

קֵינִי|qēnihe는 קַיִן|qayinhe에서 파생된 부칭이다. 독일동양학자 빌헬름 게세니우스는 이 이름이 아담과 이브의 아들인 카인과 동일한 이름인 카인에서 유래되었다고 보았다.[5] 그러나 이것은 겐족의 고유 언어로 된 이름을 고대 히브리어로 음역하거나 음성으로 표기한 것일 수도 있다.

קַיִן|qayinhe은 창이나 찌르개를 의미할 수 있으며,[6] קוֹנֵן|qonēn|치다he에서 파생되었다.[7] ''Qonēn''은 악기에서 음을 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며, 성경 후기에는 애가, 비가와 같이 슬픈 노래를 뜻하는 명사가 되었고, 나중에는 장례식에서 노래하거나 통곡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7]

다른 학자들은 이 이름을 "대장장이"라는 용어와 연관시켰다. 아치볼드 헨리 세이스는 겐족이라는 이름이 대장장이를 의미하는 아람어 단어와 동일하며, 이는 히브리어 קַיִן|qayinhe "창"의 동족어라고 주장했다.[39]

2. 1. 가인의 후손

겐 족속은 카인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이들은 카인처럼 유목 생활을 했다. 겐 족속은 금속 세공인이었고, 창세기에는 카인의 후손이 금속 세공 기술을 발명했다고 기술되어 있다.[35] 성경 이야기에 따르면, 이스라엘이 겐족을 통해 야훼 신앙을 받아들였다. 카인이 아벨을 살해한 죄로 야훼에 의해 광야로 추방된 직후 아담과 이브의 새 아들 셋의 자손 시대에 사람들이 처음으로 야훼의 이름을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일부 성서 학자들은 겐족이 신화 속의 카인의 후손이라고 추정했다.[35] 독일의 동양학자 빌헬름 게제니우스는 이 이름이 카발라에 따라 (신비적으로) 카인 (קַיִן ''Qayin'')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했다.[5]

독일의 동양학자 발터 벨츠는 카인과 아벨의 이야기가 원래 형제 살해가 아니라, 신의 자식 살해에 관한 신화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벨츠는 창세기 4장 1절을 해석하면서, 하와는 아담에게서 카인을, 또 다른 남자, 즉 야훼에게서 둘째 아들 아벨을 낳았다고 보았다. 따라서 하와는 고대 시대의 성스러운 여왕, 즉 어머니 여신에 비유된다. 그 결과, 야훼는 아벨의 제물에는 관심을 보이지만, 카인의 제물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카인이 아벨을 죽인 후, 야훼는 자신의 아들을 살해한 카인에게 인간에게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잔혹한 벌, 즉 추방을 선고한다.

벨츠는 이것이 겐족의 기원 신화라고 믿었는데, 겐족은 유다 남쪽 경계에 정착하여 결국 유다 지파들 사이로 재정착했다. 그는 이 신화의 목적이 유다의 유목민과 정착민 사이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것이 분명하다고 보았으며, 가축을 키우며 사는 사람들(농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목축업자)이 야훼의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했다.[36]

로널드 헨델은 이스라엘인들이 겐족을 카인과 연결시켜 그들에게 "수치스럽고 폭력적인 조상의 기원"을 부여했다고 믿는다.[37]

2. 2. 대장장이와의 연관성

'겐'이라는 이름이 '대장장이'를 뜻하는 아람어 단어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56] 아치볼드 헨리 세이스에 따르면, '겐족' 또는 ''Qéní'' 라는 이름은 '창'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Qayin''의 동족어인 대장장이를 의미하는 아람어 단어와 동일하다.[56] 이는 겐족이 대장장이 부족이었음을 시사한다.[39]

여러 학자들은 성경의 언급, '겐족'이라는 이름과 대장장이와의 어원적 연관성에 대한 제안, 그리고 기타 증거를 바탕으로, 겐족을 구리 세공과 금속 세공과 연관시키려 했다.[40][41][42]

3. 역사적 정체성

겐족은 유다 왕국 남쪽 경계에 정착한 씨족으로 성경에 여러 차례 언급된다. 로마의 히폴리투스는 234년 그의 "연대기"에서 중앙 아라비아의 Kinaidokolpitai를 성경의 겐족과 동일시하는 것으로 보인다.[9]

현대 자료에서는 겐족을 그들의 문화와 종교를 가나안으로 전파한 기술적으로 진보된 유목 대장장이로 묘사하기도 한다. 1894년 B. D. 스타데가 겐족이 떠돌아다니는 대장장이였다는 주장을 처음 제시한 이후 널리 퍼졌다.[10] 다만, 이러한 견해는 1800년대 중반 독일에서 시작되었으며, 고대 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 또는 아랍어 자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1988년, 메인데르트 디이크스트라는 시나이 반도의 금속 광산에 있는 고대 비문에서 "겐족의 족장"(''rb bn qn'')에 대한 언급을 찾아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11]

3. 1. 성경 기록

겐족은 성경유다 왕국의 남쪽 경계에 정착한 것으로 언급된 씨족이다. 사무엘기 상 30:29에서 다윗 시대에 겐족은 유다 지파 사이에 정착했다.

예레미야(Jeremiah) 35:7-8에서 레갑 족속은 농업을 절대 금지하는 텐트 거주자로 묘사되지만, 다른 겐족은 도시 거주자로 묘사된다.

3. 2. 고고학적 증거

텔 아라드 등지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겐족의 존재와 그들의 문화를 뒷받침한다. 호르바트 우자 유적지 발굴 결과, 유다 왕국 시대에 네게브에 겐족 집단이 존재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25] 이 유적지에는 인물상이나 기타 조각상이 없는데, 이스라엘 역사가 나다브 나아만은 이를 겐족 정착민들이 무상징주의를 실천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장한다.[26] 텔 아라드의 상부 및 하부 지역은 1962년부터 1984년까지 루스 아미란과 요하난 아하로니에 의해 18시즌 동안 발굴되었다.[27][28] 철기 시대의 수자원 시스템에 대한 추가 발굴이 8시즌 동안 진행되었다.[29]

4. 성경 속의 겐족

겐 족속은 가인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가인처럼 유목 생활을 했으며 금속 세공인이었다. 창세기에는 가인의 후손이 금속 세공을 발명했다고 기술되어 있다.[1] 성경 이야기는 이스라엘이 겐족을 통해 야훼 신앙을 받아들였다는 것에 부합하는데, 가인이 아벨을 살해한 죄로 야훼에 의해 광야로 추방된 직후 아담과 이브의 새 아들 셋의 자손 시대에 사람들이 처음으로 야훼의 이름을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십보라와 그녀의 자매, 산드로 보티첼리의 그림


이드로의 딸들, 테오필 함멜 그림, c. 1850


모세는 애굽 사람을 죽인 후 광야로 도망쳤는데, 그곳에서 미디안 족속의 제사장 이드로를 만났다. 모세는 이드로의 딸 십보라와 결혼하여 가족이 되었고, 이드로의 양떼를 돌보았다. 출애굽 후 이드로는 모세에게 조언을 했고, 모세는 호밥에게 가나안으로 함께 갈 것을 제안했으나, 호밥은 거절했지만 동행한 것으로 보인다.[57] 민수기 10:29에 따르면 이드로는 "미디안 땅의 제사장"이었고 미디안에 거주했다. 많은 학자들은 "겐 족속"과 "미디안 족속"이라는 용어가 (적어도 성경의 일부에서) 서로 바꿔서 사용되거나, 겐 족속이 미디안 족속의 부족 집단을 형성했을 것이라고 믿는다.

겐 족속은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가나안으로 여정을 떠났고, 발람은 겐 족속에 대해 그들이 존속할 것이며, 언젠가 앗수르에 노예로 끌려갈 것이라고 예언했다.[12]

4. 1. 족장 시대

창세기 15:18-21에는 아브라함 시대에 겐족이 가나안과 그 주변 지역에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1]

4. 2. 출애굽 시대

모세의 장인 이드로는 겐 족속이자 미디안 제사장이었으며[57],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으로 가는 여정에 동행했다.[12]

4. 3. 가나안 정복 시대

텔 아라드


모세가 죽은 후, 여호수아는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고 가나안을 침략하여 가나안 중부의 상당 부분을 정복했다. 여호수아가 죽자 유다 지파시므온 지파는 가나안 남부를 정복하기 위해 행동을 개시하여, 베섹 전투(현재의 입지크)에서 가나안인과 브리스 족속을 물리쳤다. 유다가 예루살렘과 드빌을 포위한 후, 판관기 1장 16절에 따르면 이드로의 겐 족속 후손들은 "종려나무 성읍(상부 아라바의 소알 또는 다마르로 보인다[18])에서 유다 백성과 함께 나와 유다 광야의 백성과 함께 네게브의 아라드 근처에서 살았다."[18]

4. 4. 사사 시대

유다 남방에 거주하던 겐 사람들은 게데스에 장막을 쳤다. 하솔의 군대가 패하자 시스라는 겐 사람 헤벨의 아내 야엘의 장막으로 피신했다. 이는 하솔의 왕 야빈과 헤벨 가정이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야엘은 시스라를 환대했고, 시스라가 잠들자 그의 관자놀이에 말뚝을 박아 죽였다.[58]

4. 5. 통일 왕국 시대

사울 왕은 겐족에게 아말렉 족속에게서 피하라고 권고했으며[59], 이후 다윗 왕은 아말렉 족속에게서 얻은 전리품 일부를 겐족에게 보냈다.[12] קֵינִי|겐he 족속과 이스라엘 사람들은 우호적인 관계였다.[60]

4. 6. 분열 왕국 시대

레갑의 아들 여호나답은 예후와 함께 아합 가문을 멸하고 바알을 섬기는 신당을 불사랐다. 여호나답이 레갑 자손의 규례를 정했다.[61] 이후 앗수르가 북이스라엘을 멸망시키자 남유다로 내려온 것으로 보인다. 그후에 느부갓네살이 유다를 치러오자 어쩔 수 없이 예루살렘에 머물게 되었다.

5. 겐족 가설

겐족 가설은 야훼 신앙이 미디안에서 기원했으며, 겐족을 통해 이스라엘에 전해졌다는 이론이다.

겐족은 가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겐 사람들은 가인처럼 유목 생활을 했다. 겐족은 금속 세공인이었고, 창세기에는 가인의 후손이 금속 세공을 발명했다고 기술되어 있다. 성경 이야기는 이스라엘이 겐족을 통해 야훼 신앙을 받아들였다는 것에 부합하게 가인이 아벨을 살해한 죄로 야훼에 의해 광야로 추방된 직후 아담이브의 새 아들 의 자손 시대에 사람들이 처음으로 야훼의 이름을 부르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5. 1. 초기 야훼 신앙

초기 야훼 신앙 관련 성경 구절들은 야훼가 남쪽 땅(미디안, 에돔)에서 왔다고 묘사하며, 이는 겐족 가설을 뒷받침한다.[49] 신명기 33:2, 사사기 5:4, 하박국 3:3, 3:7, 이사야 63:1에서 야훼는 유다 왕국 남쪽 땅에 명시적으로 거주한다고 나타난다. 이 구절들에서 야훼는 미디안과 에돔 땅에서 나오신 것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보스라, 세일 산, 바란 산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 때로는 "남쪽"을 의미하는 데만에서 온 것으로 묘사된다.

최근 Blenkinsopp(2008)는 "이 가설이 관련 문학 및 고고학 데이터에 대해 현재 이용 가능한 최상의 설명을 제공한다"고 결론지었다. 테베스(2021)는 남부 레반트와 북부 아라비아의 성경 외적 증거에 초점을 맞추며 가나안에 대한 "미디안" 영향을 기원전 10세기에서 6세기 동안 진행된 문화 전승 과정으로 제시한다.[49]

5. 2. 가설의 발전과 비판

프리드리히 빌헬름 길라니가 제안한 겐족 가설에 따르면, 야훼는 역사적으로 미디안 신이었고, 모세의 장인과 미디안의 연관성은 히브리인들에 의한 미디안 숭배의 역사적 채택을 반영한다.[43][44][45] 모세는 이드로의 신 야훼에 대한 개념을 이스라엘의 신 엘 샤다이와 동일시했다.[43]

겐족 가설은 히브리인들이 겐족을 통해 미디안인들에게서 야훼 숭배를 채택했다고 가정한다. 이 견해는 1862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길라니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이후 1872년 네덜란드 종교 학자 코르넬리스 틸레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안되었다. 그리고 독일의 비판적인 학자 베른하르트 슈타데에 의해 더 완전히 제안되었고, 독일 신학자 카를 부데에 의해 더 완벽하게 정리되었다.[46] 독일 셈족 학자 헤르만 구테, 헤릿 빌데부어, H. P. 스미스, 조지 아론 바턴은 이 가설을 받아들였다.[47] 또 다른 이론은 지역 부족 연합이 시나이산에서 일신교 의식과 연결되었다는 것이다.[48]

초기 Yahwistic 시는 겐족 가설을 뒷받침한다. 다섯 차례에 걸쳐 야훼는 성서에 나오는 유다 왕국 남쪽 땅에 명시적으로 거주한다. 이 구절은 신명기 33:2, 사사기 5:4, 하박국 3:3, 3:7, 이사야 63:1이다. 각 구절은 야훼가 미디안과 에돔 땅에서 나오신 것으로 묘사하며 때로는 보스라, 세일 산, 바란 산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 때로는 신이 말 그대로 "남쪽"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인 데만에서 온 것으로 묘사된다.

보다 최근에 Blenkinsopp(2008)는 이용 가능한 증거를 재검토하여 "이 가설은 관련 문학 및 고고학 데이터에 대해 현재 이용 가능한 최상의 설명을 제공한다"고 결론지었다. 테베스(2021)는 남부 레반트와 북부 아라비아의 성경 외적 증거에 초점을 맞추며 가나안에 대한 "미디안" 영향을 기원전 10세기에서 6세기 동안 진행된 문화 전승 과정으로 제시한다.[49]

참조

[1] 논문 Nations and Super-Nations of Canaan https://tobias-lib.u[...] 2018-04
[2] 논문 Who were the Kenites? https://www.research[...]
[3] 웹사이트 Cinites.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8-12-27
[4] 웹사이트 '#7017' http://www.bluelette[...]
[5] 웹사이트 '#7014' http://www.bluelette[...] 2014-02-22
[6] 웹사이트 '#7013' http://www.bluelette[...]
[7] 웹사이트 '#6969' http://www.bluelette[...]
[8] 간행물 Sayce, Archibald Henry (1845–1933)
[9] 논문 "Des Kinaidokolpites dans un ostracon grec du désert oriental (Égypte)" https://www.persee.f[...]
[10] 논문 "Three Assumptions About the Kenites" https://doi.org/10.1[...]
[11] 서적 Wünschet Jerusalem Frieden: Collected Communications to the XII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Jerusalem 1986 Peter Lang
[12] 웹사이트 Kenites https://www.jewishen[...]
[13] 웹사이트 Blue Letter Bible - H189 'ĕvî - Strong's Hebrew Lexicon https://www.bluelett[...]
[14] 웹사이트 Blue Letter Bible - H7552 reqem - Strong's Hebrew Lexicon https://www.bluelett[...]
[15] 웹사이트 Blue Letter Bible - H2354 ḥûr - Strong's Hebrew Lexicon https://www.bluelett[...]
[16] 웹사이트 Blue Letter Bible - H7254 reḇaʿ - Strong's Hebrew Lexicon https://www.bluelett[...]
[17] 웹사이트 Blue Letter Bible - H6698 ṣaûār - Strong's Hebrew Lexicon https://www.bluelett[...]
[18] 간행물 Kenite http://www.jewishvir[...] Gale Group
[19] 문서 Moran, p.xxxiv
[20] 웹사이트 The Amarna Tablets https://m.tau.ac.il/[...] Tel Aviv University 2019-01-13
[21] 논문 “An Old Babylonian Letter from Hazor with Mention of Mari and Ekallātum.”
[22] 서적 The fortifications of ancient Israel and Judah, 1200-586 BC https://www.worldcat[...] Osprey 2010
[23] 웹사이트 Midianite Pottery https://www.bible.ca[...]
[24] 문서 B. Rothenberg & J. Glass, 'The Midianite Pottery', in J.F.A. Sawyer & D.J.A. Clines (eds.) Midian, Moab and Edom: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Late Bronze and Iron Age Jordan and North-West Arabia, JSOT Supl. 24, Sheffield: JSOT Press., 1983, 65-124; P.J. Parr, 'Pottery of the Late Second Millennium B.C. from North West Arabia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in D.T. Potts (ed.) Araby the Blest. Studies in Arabian Archaeology, The Carsten Niebhur Institute of Ancient Near Eastern Studies Pub. 7, Copenhagen: Museum Tusculanum Press, 1988, 73-89; ibid. 'Qurayya', in Anchor Bible Dictionary, vol. 5, 1992, 594-596; J.M. Tebes, 'Pottery Makers and Premodern Exchange in the Fringes of Egypt: An Approximation to the Distribution of Iron Age Midianite Pottery', Buried History 43 (2007), 11-26.
[25] 논문 A New Look at the Epigraphic Finds from Horvat 'Uza https://www.academia[...]
[26] 서적 Not Only History: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in Honor of Mario Liverani Eisenbrauns
[27] 논문 "Excavations at Tel Arad: Preliminary Report on the First Season, 1962"
[28] 논문 "Excavations at Tel Arad: Preliminary Report on the Second Season, 1963."
[29] 논문 "Tel 'Arad: Final Report."
[3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31] 논문 The Midianite-Kenite Hypothesis Revisited and the Origins of Judah
[32] 문서 Joseph Blenkinsopp, op. cit., pp. 132-133.
[33] 웹사이트 online http://www.archives.[...] 2012-04-26
[34] 문서 "The rise of Yahwism: role of marginalised group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retoria 2024-04-03
[35]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36] 서적 Gott und die Götter biblische Mythologie 1990
[37] 서적 Remembering Abraham: Culture, Memory, and History in the Hebrew Bible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8] 서적 Encyclopedia of the Bible and its reception Walter de Gruyter
[39] 백과사전 Kenites http://www.ccel.org/[...]
[40] 웹사이트 YHWH: The Original Arabic Meaning of the Name - TheTorah.com https://www.thetorah[...]
[41] 문서 YHWH: Origin of a desert God, Robert Miller II
[42] 웹사이트 Metallurgy, the Forgotten Dimension of Ancient Yahwism | Bible Interp https://bibleinterp.[...]
[43] 문서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1985
[44] 문서 "Some scholars, on the strength of Ex., xviii, go even so far as to assert that it was from Jethro that the Israelites received a great portion of their monotheistic theology." Catholic Encyclopedia
[45] 논문 The Midianite-Kenite Hypothesis Revisited and the Origins of Judah 2008
[46] 문서 Joseph Blenkinsopp, op. cit., pp. 132-133.
[47] 문서 George Aaron Barton (1859–1942), US Bible scholar and professor of Semitic languages. online Archived 2012-04-26 at the Wayback Machine
[48] 간행물 "The rise of Yahwism : role of marginalised groups" WorldCat website University of Pretoria 2010
[49] 논문 The Archaeology of Cult of Ancient Israel’s Southern Neighbors and the Midianite-Kenite Hypothesis 2021
[50] 문서 Strong's Concordance #7017
[51] 문서 Strong's Concordance #7014
[52] 문서 Strong's Concordance #7014 #7017
[53] 문서 Strong's Concordance #7014
[54] 문서 Strong's Concordance #6969
[55] 문서 Strong's Concordance #7013
[56] 백과사전 Kenites
[57] 성경 사사기 1:16
[58] 성경 사사기 4:22
[59] 성경 사울이 겐 사람에게 이르되 아말렉 사람 중에서 떠나 가라 그들과 함께 너희를 멸하게 될까 하노라 이스라엘 모든 자손이 애굽에서 올라올 때에 너희가 그들을 선대하였느니라 이에 겐 사람이 아말렉 사람 중에서 떠나니라
[60] 성경 사사기 1:16
[61] 성경 그들이 이르되 우리는 포도주를 마시지 아니하겠노라 레갑의 아들 우리 선조 요나답이 우리에게 명령하여 이르기를 너희와 너희 자손은 영원히 포도주를 마시지 말며 너희가 집도 짓지 말며 파종도 하지 말며 포도원을 소유하지도 말고 너희는 평생 동안 장막에 살아라 그리하면 너희가 머물러 사는 땅에서 너희 생명이 길리라 하였으므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