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르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르주는 아프가니스탄의 주로, 힌두쿠시 산맥 서쪽에 위치하며, 주도는 차그차란이다. 고대부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2세기 구르 왕조의 중심지였다. 현재는 아이마크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농업과 축산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도로는 미개발 상태이고, 차그차란 공항에서 카불 및 헤라트로 가는 항공편이 운항된다. 2001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탈레반의 재집권, 홍수 등의 사건을 겪었다. 자메의 첨탑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불교 - 박트리아
박트리아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타지키스탄 서부 일대에 해당하는 중앙아시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 동서양 문물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다양한 종교가 융성했던 곳이다. - 아프가니스탄의 불교 - 발흐
발흐는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고대 도시로, 인도-이란 민족이 건설한 최초의 도시 중 하나이며, 조로아스터교 중심지이자 실크로드 요충지로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의 영향을 받은 역사적인 도시이다. - 아프가니스탄의 주 - 바다흐샨주
바다흐샨주는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힌두쿠시 산맥과 파미르 고원에 걸쳐 타지키스탄, 중국, 파키스탄과 국경을 접하며, 타지크족이 주로 거주하고 다리어를 사용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아프가니스탄의 일부가 되었으나 2021년 탈레반에 함락되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주 - 판지시르주
판지시르주는 아프가니스탄 힌두쿠시 산맥의 판지시르 계곡에 위치하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무자헤딘의 거점이었고, 2004년 신설되었으며, 타지크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며, 7개의 구역으로 나뉘고 에메랄드와 은의 광맥으로 유명하다.
구르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지리적 구분 | 아프가니스탄의 주 |
![]() | |
![]() | |
![]() |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좌우명 | 해당사항 없음 |
![]() | |
주도 | 차그차란 |
주지사 | 아흐마드 샤 딘 도스트 |
부주지사 | Maulvi Shams Ullah Tariqat |
경찰서장 | Hanif Abada |
면적 | 36657.42km² |
인구 (2021년) | 777,882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통계 | 해당사항 없음 |
주요 언어 | 다리어, 파슈토어 |
시간대 | UTC+4:30 |
우편 번호 | 32XX |
ISO 코드 | AF-GHO |
일본어 정보 (참고) | |
주 이름 (일본어) | ゴール州 (고루 슈) |
주도 (일본어) | チャグチャラーン (차구차란) |
주지사 (일본어) | アブドゥル・カリム・ジハディヤール (아부두루 카리무 지하지야루) |
기타 정보 | |
공식 웹사이트 | 해당사항 없음 |
2. 어원
'고르'라는 지명은 고대 인도유럽어족에서 유래한 '산'을 뜻하는 단어에서 기원했다. 이 단어는 소그드어, 슬라브어파, 이란어파 등 여러 언어에 흔적을 남겼다. 폴란드어 표기 'gór-'은 고대 철자법을 보존하고 있다.
만데시는 고르의 산악 지역을 부르는 역사적인 이름이다.[5] 구르 왕조 시대에 이 지역은 완전히 이슬람화되었다. 12세기 이전에는 불교도, 조로아스터교도, 힌두교도 및 소수의 유대인이 살았다.
3. 역사
12세기 중반, 샨사바니 가문의 골 왕국은 독립을 달성했고, 기야스 웃 딘 무함마드 치세에 이르러 호라산에서 인도 아대륙에 이르는 광대한 골 왕조로 발전했다. 기야스 웃 딘은 헤라트를 새로운 거점으로 삼았지만, 본거지였던 골의 피로즈코에도 모스크(사원)와 마드라사(학교)를 건설하며 번영을 이끌었다. 자암의 첨탑은 이 시기 건축물 중 하나로 추정되지만, 피루즈쿠의 많은 건축물은 현재 폐허가 되었다.
몽골 제국 침입 이후, 몽골 주둔군의 후예로 여겨지는 모굴족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하자라인 역시 몽골계 민족으로 추정되나, 몽골어 사용 흔적은 없고 몽골로이드 형질이 뚜렷하다.
이후 티무르 왕조, 무굴 제국, 사파비 왕조 등의 지배를 거치며, 이 지역의 주요 주민은 튀르크계 출신으로 보이는 아이마크인으로 바뀌었다. 근대 이후 골인이라는 명칭은 사용되지 않으며, 페르시아어의 일종인 다리어가 널리 사용되면서 아이마크인과 모굴족 모두 다리어를 일상어로 사용하게 되었다.
3. 1. 고대
구르주에는 기원전 5000년경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남아있다. 리투아니아 고고학자들이 2007년과 2008년에 발견한 유적이 이를 뒷받침한다.[6] 차그차란 인근에서는 여러 성과 방어 요새 유적도 발견되었다.
구르주는 인더스 문명, 옥수스 문명, 간다라 왕국 등의 영향을 받았다. 이후 메디아 제국, 아케메네스 제국, 마케도니아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마우리아 제국, 그레코-박트리아 왕국, 파르티아 제국, 인도-그리스 왕국, 인도-스키타이 왕국, 쿠샨 제국, 인도-파르티아 왕국, 사산 제국 등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초기 몇 세기 동안 구르주에는 불교가 널리 퍼졌다. 하리루드 강변 절벽에는 불교 사원이 조성되었는데, 인공 동굴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당시 불교 승려들의 생활상을 보여준다.[7]
3. 2. 중세
7세기경 이슬람 세력이 진출하기 시작했으며, 라시둔 칼리파조, 당나라, 티베트 제국, 우마이야 칼리파조 등의 지배를 받았다. 11세기까지 이슬람화되지 않은 지역이 남아있었으나, 가즈나 왕조의 마흐무드에 의해 정복되면서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8]
여러 학자와 역사가들은 고르족의 이슬람 개종을 고르를 정복한 후 마흐무드 가즈니의 업적으로 돌린다.[9] 전통적인 무슬림 역사가들(에스타크리와 이븐 하우칼 등)은 가즈니 시대 이전에 고르의 비이슬람 지역이 존재했음을 증언하며, 이는 그 지역의 인구를 이슬람으로 개종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민하주-S-시라즈는 비무슬림과 무슬림 인구 사이의 갈등을 기록했다. 민하후-S 시라즈에 따르면, 아미르 수리는 마흐무드 가즈니에게 사로잡혀 아들과 함께 가즈니로 끌려갔고, 아미르 수리는 그곳에서 사망했다.[12]
1011년, 1015년, 1020년에 마흐무드와 마수드 1세가 모두 고르로 원정을 이끌고 토착 이교 대신 이슬람을 확립했다. 이후, 고르는 가즈나 제국의 종속국으로 여겨졌다.[15] '압드 아르 라시와 찬탈자 토그룰의 통치 기간 동안 고르와 가르치스탄은 자율성을 얻었다.[16]
12세기 구르 왕조의 발흥으로 전성기를 맞이했다. 구르 왕조는 호라산에서 인도 아대륙에 이르는 광대한 영역을 통치했으며, 수도 피로즈코(현재의 자메의 첨탑 부근)를 중심으로 번영했다.
13세기에는 골 왕조를 멸망시킨 호라즘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어서 호라즘 제국을 멸망시킨 몽골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골 왕조 시대에 아프가니스탄 서부에 흩어진 골인들은 헤라트에 쿠르트 왕조를 세우고, 몽골 제국의 이란 정권인 일 칸국에 복속하는 지방 정권이 되는 한편, 산악 지대에는 몽골의 주둔군이 들어갔다.
그 후, 쿠르트 왕조를 멸망시킨 티무르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3. 3. 근대
16세기 이후 무굴 제국과 사파비 왕조가 고르 지역을 두고 각축을 벌였다. 이후 호타크 왕조, 아프샤르 제국, 두라니 제국 등이 차례로 이 지역을 지배했다.[5] 19세기 말에는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에 편입되었다.[5] 20세기 들어 아프가니스탄 왕국,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국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등 여러 정권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5]
3. 4. 현대
2001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하미드 카르자이 행정부와 아슈라프 가니 행정부 시기 지역 군벌 간 갈등과 탈레반의 저항이 지속되었다.[17] 2004년 6월, 지역 민병대를 무장 해제하려는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계획에 반대한 압둘 살람 칸의 군대가 차크차란을 공격하여 18명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고, 주지사가 도주했다. 이후 협상을 통해 칸의 군대는 철수했다.[17]
2021년 탈레반의 재집권으로 국제적 지원이 중단되고, 경제난과 인도주의적 위기가 심화되었다.[26] 특히, 2021년 9월까지 반년 동안 17명의 어린이가 영양실조로 사망했다.[26] 2024년 5월에는 홍수로 인해 50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 자연재해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17]
4. 지리
구르주는 힌두쿠시 산맥의 끝자락에 위치해 있다. 해발 2,500m에 위치해 있으며, 11월부터 4월까지 폭설이 내려 험준한 고갯길이 자주 막힌다. 또한 여름에는 가뭄이 잦은 지역이기도 하다. 힌두쿠시 산맥의 서쪽 끝에 위치한 산악 지대로, 헬만드 강, Hari River, Afghanistan|하리 강영어(하리 루드, 테젠) 등 많은 강의 상류가 관통하는 계곡 지대와 분수령의 산맥이 이어진다. 서쪽에는 호라산 지방의 대도시 헤라트가 있으며, 동쪽으로 나가면 카불과 중앙아시아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 바미안이다.
5. 행정 구역
구르주에는 10개의 구(District)가 있으며, 주도는 차그차란이다.[24]
구 | 인구 | 면적 | 인구 밀도 | 비고 |
---|---|---|---|---|
차흐차란 | 132,537 | 6870km2 | 19 | 아이마크족 96%, 파슈툰족 2%, 하자라족 2% |
차르사다 | 30,956 | 1485km2 | 21 | 피로즈코히 아이마크족 50%, 하자라족 40%, 우즈베크족 10% |
다울라트 야르 | 47,442 | 1686km2 | 22 | 하자라족이 주류, 소수의 파르시반 (아이마크족) |
두 라이나 | 35,100 | 3246km2 | 13 | 파르시반 (아이마크족)이 주류 |
랄 와 사르장갈 | 336,500 | 3634km2 | 35 | 하자라족 100% |
마르갑 | 40,000 | 2930km2 | 7 | 타지크족이 주류 |
파사반드 | 92,900 | 5073km2 | 21 | 아이마크족 84%, 파슈툰족 11%, 하자라족 5% |
사가르 | 33,700 | 2404km2 | 16 | 파르시반 (아이마크족)이 주류, 소수의 파슈툰족 |
샤라크 | 58,200 | 4600km2 | 15 | 파르시반 (아이마크족) 100% |
타이와라 | 88,900 | 4030km2 | 26 | 파르시반 (아이마크족)이 주류, 소수의 하자라족 |
툴라크 | 58,192 | 2908km2 | 20 | 파르시반 (아이마크족)이 주류, 소수의 파슈툰족 및 우즈베크족 |
6. 주민
2020년 기준으로 구르 주의 총 인구는 약 764,472명이다.[21][22][23] 주요 민족은 다리어를 사용하는 수니파 아이마크족이며,[27] 동부 힌두쿠시 방면은 시아파를 믿는 하자라족의 거주지이다. 남부에는 몽골 제국 시대에 아프가니스탄으로 온 몽골인 군대의 후예로 알려진 모골족이 살고 있지만, 칸다하르 방면에서 아프가니스탄 최대 민족인 파슈툰족 유목민이 유입되고 있다.
7. 경제
농업과 축산업은 구르주의 주요 경제 활동이다. 유엔에 따르면, 많은 젊은이들이 헤라트나 이란에서 일자리를 찾아 주를 떠나야 했으며, 소수의 인구가 교사, 정부 관료, 카펫 직공, 목수, 재단사였다. 인구의 절반 이상은 소득 수준으로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할 수 없었다.[19] 아편 생산은 탈레반 철수 이후 지역 주민들이 더 경제적으로 수익성 있는 작물을 재배하여 소득을 늘리려 하면서 다시 증가했다.[19]
8. 교통
주도 차그차란에 있는 차그차란 공항에서 카불 국제공항과 헤라트 국제공항으로 가는 정기 항공편이 운항되었다(2014년 9월 기준).
구르주의 도로는 대부분 개발되지 않아 비포장 상태이고, 강을 건널 다리가 없는 곳도 많아 교통이 불편하다(2013년 기준).[18]
9. 보건
구르주 지역의 깨끗한 식수 사용 가구 비율은 2005년 14%에서 2011년 9%로 감소했다.[20] 숙련된 출산 도우미의 도움을 받은 출생 비율 또한 2005년 9%에서 2011년 3%로 감소하여,[20] 보건 환경이 열악함을 보여준다.
10. 교육
6세 이상 인구의 문맹률은 2005년 19%에서 2011년 25%로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6~13세 인구의 순 등록률은 28%에서 47%로 증가했다.[20]
구르 대학교는 구르 고등 교육 기관으로 처음 설립된 후 승격되었으며, 상당수의 여학생을 포함하여 약 500명의 학생이 있다. 피루즈코, 타예와라, 랄 지역에도 몇몇 교사 훈련 기관이 있다. 지난 10년 동안 고등학교 수가 증가했으며 대학 입학 시험(칸코르) 응시자 수는 수백 명에서 수천 명으로 급증했다. 여러 농업 및 기계 학교도 설립되었다. 구르주립 병원과 연계하여 NGO가 운영하고 공중 보건부 산하에 있는 간호 학교는 단 하나뿐이며, 이는 젊은 여성 고등학교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조산 및 간호 교육을 실시한다.
11. 문화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자암의 첨탑은 구르 왕조 시대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구르 왕조의 최전성기에 건설된 이 탑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첨탑이다. 이 외에도 고대 불교 유적 등 다양한 문화 유산이 남아있다.
12. 스포츠
축구, 배구, 농구, 테니스, 태권도, 가라테는 모두 구르주의 공식 스포츠이다. 2010년 7월, 고르 주 크리켓 팀이 창단되어 국내 토너먼트에 주를 대표하여 참가한다.[25]
참조
[1]
웹사이트
مولوی احمدشاه دین دوست، والی جدید غور تعیین شد خبرگزاری وطن 24
https://watan24.com/[...]
2021-11-02
[2]
뉴스
Afghan Teen, Sole Breadwinner for Family of 30, Waits Desperately to See if Taliban Will Help
https://gandhara.rfe[...]
[3]
트윗
2023-10-01
[4]
웹사이트
Estimated Population of Afghanistan 2021-22
https://www.nsia.gov[...]
National Statistic and Information Authority (NSIA)
2021-06-29
[5]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Volume 7
[6]
웹사이트
Province hides monuments some of which date back to 5000 BC
http://quqnoos.com/i[...]
2008-05-22
[7]
뉴스
Lithuanian archeologists make discovery in Afghanistan
http://www.baltictim[...]
The Baltic Times
2008-05-22
[8]
서적
Medieval India
[9]
서적
The history of Ind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10]
서적
The History of India, as Told by Its Historians
[11]
서적
The History of India as Told by Its Historians
[12]
서적
The History of India as Told by Its Own Historians
[13]
서적
S.A.A. Rizvi
http://www.oup.co.in[...]
[14]
서적
The Kingdom of Afghanistan: a historical sketch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01
[15]
서적
The Later Ghaznavid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7
[16]
서적
The Later Ghaznavids
[17]
웹사이트
Afghanistan floods: At least 50 killed as heavy rain returns
https://www.bbc.com/[...]
2024-05-19
[18]
Youtube
Discover Afghanistan - The Minaret of Jam
https://www.youtube.[...]
NATO Channel
2013-08
[19]
웹사이트
District Profile, UNHCR
http://www.aims.org.[...]
[20]
웹사이트
Archive, Civil Military Fusion Centre
https://www.cimicweb[...]
[21]
웹사이트
Estimated Population of Afghanistan 2020-21
https://www.nsia.gov[...]
Islamic Republic of Afghanistan, National Statistics and Information Authority
2021-06-06
[22]
웹사이트
Welcome - Naval Postgraduate School
http://www.nps.edu/P[...]
2017-12-01
[23]
웹사이트
Welcome - Naval Postgraduate School
http://www.nps.edu/P[...]
2017-12-01
[24]
웹사이트
http://www.fao.org/a[...]
2017-12-01
[25]
웹사이트
Ghor cricket team founded
http://www.afgcric.c[...]
2017-12-01
[26]
웹사이트
アフガニスタンで子ども餓死 中部で少なくとも17人
https://www.afpbb.co[...]
AFP
2021-10-06
[27]
웹사이트
Aimak, Ghor province
http://www.nps.edu/P[...]
アメリカ海軍大学院
2014-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