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 태초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태초신은 그리스 신화에서 우주의 시작을 설명하는 최초의 신들을 의미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는 카오스, 가이아, 타르타로스, 에로스를 주요 태초신으로 제시하며, 이들은 우라노스, 폰토스, 닉스 등 다른 신들을 낳아 세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외에도, 닉스는 밤의 여신으로 다양한 자녀를 두었으며, 다른 작가들과 철학자들은 각기 다른 태초신과 우주 생성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다. 이러한 태초신들은 우주의 근본적인 본질을 나타내며, 제우스와 올림포스 신들 이전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 - 올림포스 12신
    올림포스 12신은 그리스 신화에서 올림포스 산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제우스 중심의 주요 신들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구성원이 다소 다르지만, 크로노스와 레아의 자녀인 제1세대 신들과 제우스의 자녀인 제2세대 신들로 나뉘어 각자 고유한 영역과 특징을 가진다.
  • 그리스 신 - 카이로스
    카이로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결정적인 순간' 또는 '적절한 시기'를 뜻하며, 수사학에서는 설득력을 극대화하는 시기적절한 상황을,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인 소통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그리스 태초신
개요
종류그리스 신화의 태초신
성별남성 또는 여성, 또는 성별 없음
특징우주와 세계의 근원적인 힘과 존재를 의인화
주요 태초신
카오스텅 빈 공허, 혼돈의 상태
가이아대지, 모든 것의 어머니
타르타로스심연, 지하 세계의 깊은 곳
에로스사랑, 욕망, 창조적 힘
에레보스어둠, 지하 세계의 그림자
닉스
아이테르밝은 대기, 천상의 빛
헤메라
우라노스하늘
폰토스바다
오레아
오케아노스대양
테티스바다
파네스생식, 새로운 생명의 창조
아낭케필연, 운명

2.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Θεογονία|테오고니아grc)는 기원전 700년경에 쓰여진 그리스 신화의 창조 신화로,[1] 신들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헤시오도스는 무사들을 소환한 후, 세상은 네 존재의 자발적인 생성으로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먼저 카오스(혼돈)가 생겨났고, 그 다음에는 "모든 것의 영원히 확실한 기반"인 가이아(대지)가 생겨났으며, 땅의 깊은 곳에 "어두운" 타르타로스(저승)와 "죽지 않는 신들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에로스(사랑)가 생겨났다.[2]

카오스에서 에레보스(암흑)와 닉스(밤)가 나왔다. 그리고 닉스는 에레보스와의 결합으로 아이테르(빛)와 헤메라(낮)를 낳았다.[3] 가이아에서는 우라노스(하늘), 오레아(산), 그리고 폰토스(바다)가 나왔다.[4]

2. 1. 카오스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카오스는 최초로 존재한 존재이다. 카오스는 신이자 사물로 여겨지며, 일부 자료에서는 우주가 시작된 무한한 무(無)의 공허로 묘사된다.[5] 일부 기록에 따르면 카오스는 에로스, 닉스와 함께 최초로 존재했으며,[5] 다른 기록에서는 카오스가 우주에서 최초이자 유일한 존재였다고 한다. 일부 이야기에서는 카오스가 타르타로스 아래에 존재한다고 여겨진다.[5] 카오스는 어둠의 부모이다.[6]

2. 2. 가이아

가이아는 헤시오도스신통기에서 카오스 다음으로 두 번째로 형성된 존재였으며, 단성생식으로 우라노스를 낳았다. 우라노스는 나중에 가이아의 남편이자 그녀와 대등한 존재가 되었고, 바다와 높은 산을 낳았다.[7]

가이아는 어머니 대지의 모습이며 티탄의 어머니이자 그들이 존재하는 자리이기도 하다.[5] 가이아는 로마 여신 텔루스/테라에 해당한다. 우라노스가 가이아의 관여로 크로노스의 손에 거세당하는 이야기는 하늘과 땅이 분리된 이유를 설명하는 것으로 여겨진다.[8] 헤시오도스의 이야기에 따르면, 대지는 자신의 자식인 키클롭스타르타로스 깊숙한 곳에 숨긴 것에 대해 하늘에게 복수를 하려 했다. 가이아는 다른 자식들에게 가서 잔혹한 아버지에게 복수하는 것을 도와달라고 요청했고, 자식들 중 막내이자 "가장 무서운" 크로노스만이 이에 동의했다. 가이아는 우라노스에 대한 매복을 계획하여 크로노스를 숨기고 그에게 우라노스를 거세할 을 주었다. 그의 피가 땅에 떨어진 자리에 푸리에스, 기간테스, 멜리아데 님프를 포함한 괴물과 생물들이 자라났다.[9] 크로노스는 누이인 레아와 여섯 명의 자녀를 낳았고, 그들은 올림포스 신들이 되었다. 크로노스는 나중에 그의 아들 제우스에게 쫓겨났으며, 이는 그가 아버지에게 했던 방식과 매우 유사했다. 가이아는 오케아노스, 코이오스, 크리오스, 히페리온, 이아페토스, 테이아, 레아, 테미스, 므네모시네, 포이베, 테튀스, 크로노스 등 열두 명의 티탄의 어머니이다.[6]

신화의 후반부에서 우라노스는 크로노스를 저주하여 그의 아들(제우스)이 그를 쫓아낼 것이라고 했고, 이는 크로노스가 우라노스에게 했던 것과 같다. 이를 막기 위해 크로노스는 태어나는 자녀를 모두 삼켰다. 레아는 막내아들 제우스를 숨기는 데 도움을 요청했고, 가이아는 그녀의 고통을 듣고 크로노스에게 줄 아기 모양의 돌을 주었다. 제우스는 나중에 아버지를 물리치고 올림포스 신들의 지도자가 된다.

제우스가 왕위에 오른 후, 가이아는 타르타로스와 또 다른 아들 티폰을 낳았는데, 티폰은 제우스의 왕위에 도전하는 마지막 괴물이었다.[9]

우라노스와 가이아는 티탄, 키클롭스, 헤카톤케이레스의 세 부류의 자녀를 낳았다.

2. 3. 타르타로스

타르타로스헤시오도스가 언급한 원시 신[10]이자 티탄들이 갇힌 거대한 심연이다. 타르타로스는 감옥으로 여겨지지만, , , 잠, 죽음이 머무는 곳이며, 지하 세계의 뚜렷한 부분을 이루는 거대한 협곡으로도 상상된다. 헤시오도스는 티탄들이 타르타로스 바닥까지 떨어지는 데 9일이 걸렸다고 말하며, 심연이 얼마나 깊은지 묘사한다.[12] 일부 판본에서 타르타로스는 죽음, 스틱스, 에레보스가 거주하는 "안개 낀 어둠"[8]으로 묘사된다.

2. 4. 에로스

에로스그리스 신화에서 사랑의 신이며, 일부 설화에서는 부모 없이 최초로 생겨난 근원적인 존재 중 하나이다. 헤시오도스의 설화에서 에로스는 "모든 신과 인간의 마음과 지각 있는 생각을 정복하는 불멸의 신들 중 가장 아름다운 자"였다.[6]

2. 5. 닉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의 일부 변형에 따르면, 닉스(밤)는 검은 날개를 가지고 있다고 하며, 한 이야기에서는 에레보스에 알을 낳았고, 거기에서 에로스가 태어났다고 한다.[11] 헤시오도스의 이야기에 따르면 밤은 타르타로스에서 낮과 집을 공유하지만, 둘은 같은 시간에 집에 있는 법이 없다.[12] 그러나 일부 버전에서는 닉스의 집이 카오스와 타르타로스가 만나는 곳이며, 이는 카오스가 타르타로스 아래에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8]

2. 5. 1. 닉스의 자식들

닉스의 많은 자식들은 추상적인 개념의 의인화였다. 출처에 따라 닉스의 자식들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13][14][15]

그리스 이름로마 대응설명헤시오도스키케로히기누스
아이테르아이테르
아파테프라우스기만
데이모스메투스공포
돌로스?돌루스교활함
엘레오스미세리코르디아동정심
에피프론에피프론신중함
에리스디스콜디아불화
에로스큐피드사랑
에우프로시네에우프로시네쾌활함
게라스세넥투스노년
헤메라디에스
헤스페리데스헤스페리데스저녁의 님프
히브리스페툴란티아방종
힙노스솜누스수면
케르레툼운명
케레스테네브라에폭력적인 죽음
모이라이파르카이운명
모모스퀘렐라비난
모로스파툼파멸
네메시스인비덴티아보복
오이쥐스미세리아고통
오네이로이솜니아
필로테스아미키티아/그라티아사랑
포노스라보르고난
소프로시네콘티넨티아절제
스튁스스튁스증오
타나토스모르스죽음



히기누스는 에파푸스와 포르피리온도 닉스의 자식에 포함시켰다. 일부 기록에는 헤카테 (교차로와 마법)도 닉스의 자식으로 포함된다.[16][17]

아이테르, 헤메라, 에로스는 원시 신들 중 닉스의 유일한 자녀이다. 헤시오도스는 닉스와 에레보스가 함께 아이테르와 헤메라를 가졌다고 말하지만, 닉스는 다른 자녀들을 혼자 가졌다. 키케로와 히기누스는 닉스가 에레보스와 함께 모든 자녀를 가졌다고 말한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녹스는 하데스에 의해 푸리아이의 어머니라고 한다.[18]

일부 작가들은 닉스를 에오스의 어머니로 만들었는데, 새벽 여신인 에오스는 종종 닉스의 딸 헤메라와 혼동되었다.[19] 에오스의 아들 멤논이 트로이 전쟁 중에 죽었을 때, 에오스헬리오스(태양신)를 침울하게 만들고, 닉스에게 더 일찍 나와 그녀의 아들의 시신을 그리스 군대와 트로이 군대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수집해달라고 요청했다.[20]

3. 헤시오도스 이외의 신통기

고대 그리스인들은 원시 신의 기원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이야기 중 일부는 그리스 이전의 에게해 문화에서 물려받았을 가능성이 있다.[22]

3. 1. 호메로스의 신통기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는 오케아노스와 테튀스가 모든 신들의 부모라고 언급된다.[22]

3. 2. 다른 그리스 신통기

알크만(기원전 7세기)은 테티스를 최초의 여신이라고 불렀으며, 특징 없는 길 없는 공허 속에서 ''포로스''(길), ''테크모르''(표시), ''스코토스''(어둠)를 낳았다고 했다.[24][25]

오르페우스 시(기원전 530년경)는 닉스를 최초의 원리, 즉 ''밤''으로 삼았으며, 그녀의 자녀는 많았다. 오르페우스 전통에서 빛과 번식의 신비로운 오르페우스 신인 파네스는 때때로 에로스와 동일시되며, 우주의 최초 통치자로서 우주 알에서 부화했다.[26] 오르페우스 전통에는 아난케 "강제"와 크로노스 "시간"도 근원적인 신으로 포함된다.

아리스토파네스(기원전 446–386년경)는 그의 희곡 ''새''에서 닉스가 최초의 신이며, 그녀가 알에서 에로스를 낳았다고 썼다.

3. 3. 철학적 신통기


  • 페레키데스(페레퀴데스) (기원전 600–550년)는 그의 저서 《헤프타뮈키아(Heptamychia)》에서 모든 것보다 먼저 존재했고 항상 존재해 온 세 가지 신성한 원리가 있다고 기록했다.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자스''(Ζάς, 제우스), ''크토니에(Χθονίη, 대지), 그리고 ''크로노스''(Χρόνος, 시간).[27][28][29][30]
  • 엠페도클레스 (기원전 490–430년)는 모든 것을 구성하는 4원소, 즉 불, 공기, 물, 대지가 있다고 기록했다.[31] 그는 이 원소들로 우주를 엮어낸 두 신성한 힘, ''필로테스'' (사랑)와 ''네이코스'' (다툼)가 있다고 말했다.[32]
  • 플라톤 (기원전 428–347년)은 (《티마이오스》에서) 데미우르고스의 개념을 도입했는데, 데미우르고스는 이데아를 모델로 하여 우주를 창조했다.

4. 프로토게노이에 대한 해석

학자들은 호메로스헤시오도스의 시에 등장하는 태초신들의 의미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33] 태초신들이 티탄을 낳고, 티탄들이 올림푸스 신들을 낳기 때문에, 태초신들을 해석하는 한 가지 방법은 우주의 가장 깊고 근본적인 본질로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니 스트라우스 클레이는 호메로스의 시적 비전이 제우스의 통치에 집중되어 있지만, 헤시오도스의 태초신들에 대한 비전은 제우스와 올림푸스 신들을 맥락 속에 위치시킨다고 주장한다.[22] 마찬가지로, 베르낭은 올림푸스 신화가 "다양한 유형의 힘과 에너지를 구별함으로써 우주를 정돈하고 개념화하는 특정한 방식, 즉 분류 시스템"이라고 주장한다.[34] 그러나 올림푸스 신들이 있기 전에는 티탄과 태초신들이 있었다. 호메로스는 제우스가 명실상부한 왕이자 아버지이기 전의 더 격동적인 과거를 암시한다.[35]

미첼 밀러는 처음 네 명의 태초신들이 매우 중요한 관계 속에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그는 카오스타르타로스와 대지를 구별(분리, 나눔)하기 때문에 '분화'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36] 카오스가 헤시오도스에게 "가장 먼저" 존재하지만, 밀러는 타르타로스가 '미분화', 즉 무한의 우선성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미분화는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카오스는 최초의 '생각할 수 있는' 존재라는 점에서 "가장 먼저" 존재한다. 이런 방식으로, 카오스(분열의 원리)는 에로스(통합의 원리)의 자연스러운 반대 개념이다. 대지(빛, 낮, 깨어있음, 삶)는 타르타로스(어둠, 밤, 잠, 죽음)의 자연스러운 반대 개념이다. 이 넷은 다른 모든 티탄의 부모이다.

참조

[1] 서적 p. 21 https://books.google[...]
[2]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3]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4]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5] 논문 A 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Hesiod's Chaos 1983-07
[6] 서적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Brill
[7] 서적 Homer and Hesiod, Myth and Philosophy University Press of America
[8] 논문 The Dual Vision of "Theogony" 1965-Winter
[9] 논문 The Powers of the Primeval Goddess 1989-09
[10]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11] 논문 Aspects of Myth and Religion 1997
[12] 논문 Hesiod's Description of Tartarus ("Theogony" 721-819) 1999-Spring–Summer
[13] 문서 Hesiod Theogony 221
[14] 문서 Cicero De Natura Deorum 3.17
[15] 문서 Hyginus Preface
[16] 문서 Bacchylides Frag 1B
[17] 문서 Scholiast on Apollonius of Rhodes, Argonautica 3.467 with the Orphic hymns as the authority.
[18] 문서 Virgil, Aeneid https://www.perseus.[...]
[19] 문서 Quintus Smyrnaeus https://archive.org/[...]
[20] 문서 Philostratus of Lemnos, Imagines https://topostext.or[...]
[21] 문서 Hesiod Theogony 226
[22] 서적 The Politics of Olympus: Form and Meaning in the Major Homeric Hymns Bristol Classical Press 2006-05-26
[23] 서적 Iliad
[24] 문서 Alcman, Fragment 5 (from Scholia) = Oxyrhynchus Papyrus 2390.
[25] 서적 Greek Lyric II: Anacreon, Anacreontea, Choral Lyric from Olympis to Alcman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Phanes http://www.theoi.com[...]
[27] 서적 The Presocratic Philosophers: A Critical History with a Selection of Tex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12-29
[28] LotEP
[29]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archive.org/d[...] Boston, Little 1870
[30] 문서 Damascius. Difficulties and Solutions Regarding First Principles. 214.
[31] 간행물
[32] 서적 Myth and Philosoph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0-10-30
[33] 서적 Greek Mythology and Poetic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2-01-01
[34] 서적 Myth and Society in Ancient Greece https://books.google[...] Harvester Press 1980-01-01
[35] 웹사이트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 The Iliad by Homer http://classics.mit.[...] 2016-01-21
[36] 논문 "'First of all': On the Semantics and Ethics of Hesiod's Cosmogony - Mitchell Miller - Ancient Philosophy (Philosophy Documentation Center)" https://www.pdcnet.o[...] 2016-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