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사의 그레고리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사의 그레고리오스는 4세기 카파도키아 출신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성인이다. 그는 삼위일체론, 신의 무한성, 보편 구원론, 기독교 인류학, 노예 제도 비판 등 다양한 신학 사상을 펼쳤으며,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372년 니사의 주교가 되었으며,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그의 저작으로는 《에우노미우스 반박》, 《마크리나의 생애》 등이 있으며,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그는 20세기 중반 이후 서구 신학계에서 재조명받았으며, 현대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해답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95년 사망 - 테오도시우스 1세
379년부터 395년까지 동로마 황제였던 테오도시우스 1세는 군인 출신으로, 기독교를 국교로 확립하고 고트족 문제를 해결하는 등 로마 제국의 종교적, 군사적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395년 사망 - 아우소니우스
아우소니우스는 4세기 로마 제국의 시인이자 학자로, 보르도 수사학 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황제 그라티아누스의 스승을 지냈고, 《모젤라》를 통해 모젤강의 풍경과 삶을 묘사하여 문학적 가치와 역사적 사료로서 평가받는다. - 335년 출생 - 마그누스 막시무스
4세기 후반 서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마그누스 막시무스는 브리타니아 주둔 로마군에 의해 추대되어 갈리아를 정복하고 서로마 황제로 인정받았으나, 이탈리아 지배를 시도하다 테오도시우스 1세에게 패배하여 처형되었으며, 이단 박해와 브리튼 및 브르타뉴 지역 역사, 웨일스 전설과 관련된 영웅적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 335년 출생 - 부생
부생은 오호십육국시대 전진의 황제로, 폭정으로 민심을 잃어 사촌 부견의 정변으로 살해당하고 여왕으로 폄하되었다. - 토카트주 출신 - 기적자 그레고리오스
기적자 그레고리오스는 3세기의 기독교 성직자이자 신학자로, 오리게네스의 제자로서 네오카이사레아의 주교가 되어 30년간 교회를 이끌며 삼위일체 교리를 옹호하고 기적을 행한 것으로 알려져 '타우마투르구스'라는 칭호로 불린다. - 토카트주 출신 - 엥긴 귀나이든
엥긴 귀나이든은 터키의 배우이자 각본가로, 미마르 시난 대학교 연극학과를 졸업 후 1997년 데뷔하여 영화와 텔레비전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사회 비판적인 시각과 메소드 연기 스타일로 인정받고 이스탄불 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하기도 했으나,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니사의 그레고리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경받는 교파 | 동방 정교회 가톨릭 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 |
칭호 | 카파도키아 교부 |
기념일 | 1월 10일 (동방 기독교) 하토르 26일 (콥트 기독교) 1월 10일 (가톨릭 일반 로마력 및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 3월 9일 (미국 성공회 성인 달력) 6월 14일, 마크리나와 함께 (ELCA) 7월 19일, 마크리나와 함께 (성공회) |
출생 | 335년경 |
출생지 | 로마 제국 카파도키아 네오카이사레아 (현재의 튀르키예 토카트 닉사르) |
사망 | 394년경 |
사망지 | 로마 제국 카파도키아 니사 (현재의 튀르키예 악사라이 오르타쾨이 하르만달르) |
기타 정보 | |
속성 | 해당 사항 없음 |
수호 성인 | 해당 사항 없음 |
2. 생애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카파도키아의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오스를 형으로, 마크리나를 누이로 두었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와는 친구 사이였다.[10][11] 사제가 된 후 아내 테오세비아(페오즈와)와 함께 자선 활동에 힘썼으며, 테오세비아는 여부제로 불리기도 했다. 아내가 사망한 후, 니사의 주교로 선출되었다.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아리우스파를 반박하고 삼위일체론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신의 무한성, 즉 삼위격의 개별적이고 무한한 상호 침투에 대한 신학을 확립했다.[28]
저서로는 서간, 누이 마크리나의 전기인 《마크리나전》, 《아가 강해》 등이 있다.
정교회 축일은 율리우스력 1월 10일(그레고리오력 1월 23일)이다.[10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335년경 폰토스의 네오카이사레아 도시 안이나 근처에서 태어난 카파도키아 그리스인이었다.[9][10] 그의 부모는 귀족 가문의 기독교인이었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에 따르면, 그의 어머니는 카이사레아의 엠멜리아였고, 그의 아버지는 웅변가인 바실리우스 (장로) 또는 그레고리우스였다.[10][11] 그의 형제자매 중에는 성녀 젊은 마크리나, 성 나우크라티우스, 성 세바스테의 베드로, 성 카이사레아의 바실이 있었다. 가족의 정확한 자녀 수는 역사적으로 논쟁의 대상이었는데, 성인행전의 5월 30일 주석은 처음에는 그들이 아홉 명이라고 언급했지만, 베드로를 열 번째 자녀로 묘사하기도 하였다. 그레고리우스 자신의 저작에서 모호함이 발생한 것은 한 아들이 유아기에 사망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12]그레고리우스의 부모는 그들의 신앙 때문에 박해를 받았는데, 그는 그들이 "그리스도를 고백했다는 이유로 재산을 몰수당했다"고 기록했다.[13] 그레고리우스의 아버지 쪽 할머니인 늙은 마크리나 역시 성인으로 존경받고 있으며,[14] 그의 외할아버지는 순교자였는데, 그레고리우스는 그를 로마 황제 막시미누스 2세의 박해 아래 "황제의 분노로 살해"되었다고 묘사했다.[13][15] 320년대에서 340년대 초 사이에, 그레고리우스의 아버지가 네오카이사레아에서 옹호자이자 웅변가로 활동하면서 가족은 재산을 다시 쌓았다.[16]
그레고리우스는 형 바실과는 대조적으로 조용하고 온순한 성격을 가졌다고 한다.[17] 그는 먼저 어머니 엠멜리아와 누나 마크리나에게서 집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가 받은 추가 교육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외경적 성인전에는 그가 아테네에서 공부한 것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이것은 아마도 그의 형 바실의 삶에 기초한 추측일 것이다.[18] 그는 아마도 카이사레아에서 공부를 계속하면서 고전 문학, 철학, 그리고 아마도 의학을 공부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19] 그레고리우스 자신은 자신의 유일한 스승이 바실, "바울, 요한, 그리고 나머지 사도들과 예언자들"이었다고 주장했다.[20]
형 바실과 나우크라티우스가 355년경부터 은둔자로 살았지만, 그레고리우스는 처음에는 웅변가로서 비교회적인 경력을 추구했다. 그러나 그는 독서자 역할을 했다.[19] 그는 이 기간 동안 테오세비아라는 여성과 결혼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녀는 때때로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숭배받는 집사 테오세비아와 동일시된다. 그러나 이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다른 평론가들은 집사 테오세비아가 그레고리우스의 자매 중 한 명이라고 주장한다.[21][22]
2. 2. 주교 서품과 활동
371년, 로마 황제 발렌스가 카파도키아를 두 개의 주로 분할하면서 교회 행정 구역에도 변화가 생겼다.[23] 372년, 그의 형 바실리우스의 지원을 받아 니사의 주교로 선출되었다. 초기에는 바실리우스와 상반된 입장을 취하기도 했으나, 대체로 형의 신학적 노선을 따랐다.[24]375년, 교회 재정 횡령 및 주교 서품 문제로 안키라에서 열린 시노드에서 재판을 받았으나, 탈출하여 도피 생활을 했다. 376년, 니사 시노드에서 면직되었으나,[25] 378년 황제 그라티아누스의 사면령으로 복직되었다. 같은 해 바실리우스가 사망하여, 니사의 상대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레고리우스는 형의 폰투스에서의 이전 책임을 많이 떠맡았다.[26]
379년, 안티오키아 공의회에 참석하여 멜레티우스 안티오키아의 추종자들을 파울리누스 안티오키아의 추종자들과 화해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27]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제2차 세계 공의회)에 참석하여 아리우스파를 반박하고 삼위일체론 정립에 기여했다.

공의회 이후 아라비아와 예루살렘 등지를 방문하여 교회 분쟁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29] 394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시노드에 참석한 기록이 있으나,[30] 정확한 사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31]
3. 신학 사상
그레고리오는 정통 삼위일체론 신학자로,[32] 플로티누스의 신플라톤주의에 영향을 받았고, 오리게네스를 따라 보편적 구원을 믿었다.[33] 그러나 독창적인 사상가였던 그레고리오는 분류가 어려우며, 그의 신학은 동방 정교회 신학자들과 서구 학계에서 논쟁의 대상이 된다.[32][34] 이는 그레고리오 저작에 체계적인 구조가 부족하고 용어의 불일치가 있기 때문이다.[35]
그레고리우스는 바실리우스를 따라 삼위일체를 "세 위격
그레고리우스는 기독교 보편주의의 초기 지지자로, 모든 인간이 결국 구원받을 것이라는 보편 구원론을 주장했다. 고린도전서 15장 28절과 빌립보서 2장 10절을 근거로, 모든 피조물이 최종적으로 신에게 복종하고 구원받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대교리문답'에서는 구원이 세례를 받은 자에게만 주어질 것이라고 제안하기도 하여 그의 보편 구원론은 논쟁 중이다.
인류학은 창조된 것과 창조되지 않은 것 사이의 존재론적 구분에 기초하며, 인간은 불멸의 영혼을 통해 신성함에 가까워질 수 있는 무한한 능력을 가진 존재로 보았다. 노예 제도를 죄악으로 규정하고 비판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으로, 모든 인간은 신의 형상으로 창조되었기에 자유롭고 평등하다고 주장했다.
그레고리오의 신학은 신플라톤주의, 특히 플로티노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지만, 직접적으로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들을 언급하지는 않는다. 일부 동방 정교회 신학자들은 그레고리오가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았다는 이론에 비판적이다.
3. 1. 삼위일체론
그레고리우스는 형 바실리우스를 따라 삼위일체를 "세 위격그레고리우스에 따르면, 삼위일체의 세 위격 간의 차이는 위격적 기원의 차이에 기인하며, 하나님의 삼위일체적 본성은 신성한 행위를 통해 드러난다(하나님의 행위의 통일성에도 불구하고).[38][39] 따라서 성자는 성부에게서 낳아졌고, 성령은 성부에게서 나왔으며, 성부는 창조주로서의 역할로 정의된다. 그러나 이 교리는 성자를 성부에게, 성령을 성자에게 종속설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로버트 젠슨은 그레고리우스가 신성의 각 구성원이 개별적인 우선순위를 가진다고 암시한다고 주장한다. 즉, 성자는 인식론적 우선순위, 성부는 존재론적 우선순위, 성령은 형이상학적 우선순위를 가진다.[40] 다른 논평가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웬나 루들로는 그레고리우스의 신학에서 인식적 우선순위는 주로 성령에게 있다고 주장한다.[41]
사회적 삼위일체론의 현대 지지자들은 종종 카파도키아인들의 삼위일체에 대한 역동적인 그림에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42] 그러나 그레고리우스를 사회적 삼위일체론자로 동일시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잘못된 것이다. 그의 신학은 하나님의 뜻의 통일성을 강조하며, 삼위일체의 정체성은 그들 간의 관계가 아닌 세 위격이라고 분명히 믿기 때문이다.[1]
3. 2. 신의 무한성
그레고리우스는 신이 무한하다고 주장한 최초의 신학자 중 한 명이었다. 신의 무한성에 대한 그의 주요 주장은 『에우노미우스를 반박하며』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신의 선함은 무한하며 신의 선함은 본질적이므로 신 또한 무한하다는 것이다.[43]그레고리우스는 무한한 신은 본질적으로 피조물의 유한한 마음으로는 이해할 수 없다고 믿었다. 그는 『모세의 생애』에서 "...어떤 이해 가능한 이미지에서 비롯된 모든 개념은, 대략적인 이해를 통해 신적 본성에 대해 추측함으로써 신의 우상을 구성하며 신을 선포하지 않는다."라고 적었다.[44] 따라서 그레고리우스의 신학은 무파적 신학이었다. 그는 신을 우리가 추측할 수 있는 것보다는 신이 아닌 것으로 정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5]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신의 무한성으로 인해 피조물은 결코 신에 대한 이해에 도달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인간은 현세와 내세 모두에서 도달할 수 없는 신에 대한 지식으로의 끊임없는 진보
3. 3. 보편 구원론
그레고리우스는 모든 인간이 결국 구원받을 것이라는 보편 구원론(ἀποκατάστασις)을 주장했다.[48][49] 일부 학자들은 그레고리우스가 보편적 부활만을 긍정했다고 해석하기도 하지만,[58] 그는 고린도전서 15장 28절("만유 안에 계실 것")[61]을 근거로, 모든 피조물이 최종적으로 신에게 복종하고 구원받을 것이라고 보았다.[48][49]그는 악인들은 정화의 과정을 거쳐 구원받을 것이며,[52] 심지어 악마들조차 구원받을 가능성을 시사했다.[60] '모세의 생애'에서 그는 이집트인들에게 어둠이 3일 후에 사라진 것처럼, 아마도 구원(ἀποκατάστασις)이 지옥(γέεννα)에서 고통받는 자들에게도 확대될 것이라고 썼다.[59]
빌립보서 2장 10절("하늘과 땅과 땅 아래 있는 모든 자가 예수의 이름 앞에 무릎을 꿇으리라")[62]에 대한 해석은 그의 신학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뒷받침한다.[60]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 본성의 일치로 인해 "모든 사람은 서로 연합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선과 교제를 이루게 될 것"이다.[50] 그리스도의 성육신, 죽음, 부활은 "인간 본성에 대한 완전한 구원"을 가져온다.[51]
그러나 '대교리문답'에서 그는 모든 인간이 부활할 것이지만, 구원은 세례를 받은 자에게만 주어질 것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63] 또한 그들의 열정에 이끌린 다른 사람들은 불로 정화된 후에 구원받을 수 있다고 진술한다.[63] 그는 사후 세계에 더 이상 악이 없을 것이라고 믿지만, 하나님께서 죄인을 영원히 정죄하실 수 있다는 믿음을 배제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할 수 있다.[64]
이러한 상반된 견해는 그의 저작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의 보편 구원론에 대한 해석은 여전히 논쟁 중이다.[65][66] 동방 정교회 신학자 마리오 바고스 박사는 "표면적으로 볼 때, 성인은 이 구절에서 자기 모순을 범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모순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은 성 그레고리오스 안에서 보편적 구원에 대한 모든 언급을 하나님께서 인류에 대한 의도의 표현으로 보는 것이다."라고 말한다.[68] 일라리아 라멜리 박사는 그레고리오스에게 자유 의지는 보편적 구원과 양립할 수 있다는 관찰을 했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은 결국 정화를 거쳐 선을 받아들일 것이기 때문이다.[65]
3. 4. 기독교 인류학
그레고리오스의 인류학은 창조된 것과 창조되지 않은 것 사이의 존재론적 구분에 기초한다. 인간은 물질적인 창조물이므로 제한적이지만, 불멸의 영혼을 통해 신성함에 더 가까워질 수 있는 무한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무한하다.[72] 그레고리우스는 영혼이 육체와 동시에 창조되었다고 믿었으며(이는 선재설을 믿었던 오리겐과 반대된다), 따라서 배아도 인격체라고 보았다. 그에게 인간은 신의 형상으로 창조되었기에 특별했다.[73] 인류는 자아 인식과 자유 의지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신인동형적이며, 자유 의지는 각 개인에게 실존적 힘을 부여한다. 그레고리우스에게 신을 무시하는 것은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었다.[74]그레고리우스는 ''아가''에서 인간의 삶을 마치 주인의 제자들이 그린 그림으로 비유했다. 제자들(인간의 의지)은 아름다운 색깔(덕목)로 주인의 작품(그리스도의 삶)을 모방하며, 따라서 인간은 그리스도의 반영이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75] 그는 동시대 대부분의 사상가들과는 달리 타락에서 위대한 아름다움을 보았는데, 아담의 죄로 인해 완벽한 두 인간으로부터 결국 수많은 인간이 생겨날 것이라고 보았다.[75]
3. 5. 노예 제도 비판
그레고리우스는 고대 세계에서 노예 제도 자체를 죄악으로 규정하고 비판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다.[76][77] 그는 모든 인간은 신의 형상으로 창조되었기에 자유롭고 평등하며, 노예 제도는 이러한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ἀδέσποτον|아데스포톤grc
: 주인이 없는 것
그는 플라톤의 덕 개념(‘주인이 없는 것’)을 사용하여 노예 제도의 부당함을 다음과 같이 논증했다.[78]
1. 각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이므로 자유롭다.
2. 모든 인간의 평등은 삼위일체의 평등을 반영한다.
3. 신성은 노예(δουλεία)와 지배(δυναστεία, κυριότης)로 나뉠 수 없는 것처럼, 인간의 본성 또한 나뉠 수 없다. 모든 피조물은 노예이지만, 오직 하나님의 노예일 뿐이다.
세네카는 잔혹한 노예 주인들을 비판하고 노예 주인들에게 친절하게 노예를 대할 것을 권고했지만, 스토아 학파는 노예제라는 제도 자체를 문제 삼지는 않았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고대 철학자들도 노예 제도를 지지했다.[79]
3. 6. 신플라톤주의와의 관계
그레고리오의 신학은 신플라톤주의, 특히 플로티노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80] 이들은 신의 실재가 인간에게 완전히 접근할 수 없으며, 영적인 여정을 통해서만 신을 볼 수 있다는 생각을 공유한다.[81]하지만 그레고리오는 자신의 저서에서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들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며,[82] 플로티노스와의 사상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그레고리오는 아름다움과 선이 동일하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플로티노스의 견해와 대조된다.[83]
일부 동방 정교회 신학자들은 그레고리오가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았다는 이론에 비판적이다.[85] 나프팍토스의 히에로테오스 대주교는 그레고리오가 세속적인 철학적 노력을 반대했다고 주장한다.[85]
4. 저작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의 저작은 라틴어 해설과 함께 원본 그리스어 "Gregorii Nysseni Opera"로 출판되었다.[104]
제목 |
---|
에우노미우스 반박(Contra Eunomium) |
마크리나의 생애 |
모세의 생애 |
아가 강해 |
인간 창조론 |
교리 대강화 |
주님의 기도 강해 |
행복에 대하여 |
서간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제2차 전세계 공의회)에서 아리우스파를 반박하여 삼위일체론 확립에 기여했다. 또한 신의 무한성(삼위격의 개별적 무한한 상호 침투)에 대한 신학을 확립했다.[104]
5. 유산 및 평가
니사의 그레고리오스는 인류학에서 창조된 것과 창조되지 않은 것 사이의 존재론적 구분을 바탕으로, 인간은 물질적 존재로 제한적이지만 불멸의 영혼을 통해 신성에 가까워질 수 있는 무한한 존재라고 보았다.[72] 그는 영혼이 육체와 동시에 창조된다고 믿었으며, 배아도 인격체라고 보았다.[73] 인간은 신의 형상으로 창조되었기에 특별하며, 자유 의지를 통해 실존적 힘을 가진다.[74] 그는 타락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했는데, 아담의 죄로 인해 수많은 인간이 생겨날 것이라고 보았다.[75]
그레고리오는 성인으로 존경받지만, 다른 카파도키아 교부들과 달리 교회 박사는 아니다. 그의 유물은 2000년까지 바티칸에 보관되어 있다가 일부가 그리스 정교회 성 그레고리오스 교회로 옮겨졌다.[88] 요한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는 ''인간 창조에 관하여''를 라틴어로 번역하는 등 그레고리오스의 영향력에 크게 기여했다.[89]
그의 작품은 20세기 중반까지 서방에서 학술적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90]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는 그의 작품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고 썼다.[91]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가 번역한 ''De opificio hominis''는 중세 시대에 널리 퍼졌으며,[92] 르네상스 인류학에 영향을 미쳤다.[92] 15세기 그리스 교부들의 작품 연구와 번역이 부활하면서 그의 작품 일부가 라틴어로 번역되었다.[93]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은 그레고리오스가 창조가 잠재적이라고 가르쳤다고 언급했다.[100] 앤서니 메러디스는 그레고리오스를 신비주의 신학의 발견자로 여겼다.[101] J. 케머런 카터는 그레고리오스를 4세기 폐지론자 지식인으로 평가했다.[102]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는 그레고리오스가 생각의 깊이 면에서 다른 교부들을 능가한다고 평가했다.[103]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의 완전한 작품은 "Gregorii Nysseni Opera"로 출판되었다. 다음은 주요 저작 목록이다.
권수 | 제목 | 출판년도 | ISBN |
---|---|---|---|
1 | Contra Eunomium libri I et II | 2002 | |
2 | Contra Eunomium liber III | 2002 | |
3/1 | Opera dogmatica minora, pars I | 1958 | |
3/2 | Opera dogmatica minora, pars II | 1987 | |
3/3 | Opera dogmatica minora, pars III - De Anima Et Resurrectione | 2014 | |
3/4 | Opera dogmatica minora, pars IV | 1996 | |
3/5 | Opera dogmatica minora, pars V | 2008 | |
4/1 | Opera exegetica In Genesim, pars I | 2009 | |
4/2 | Opera exegetica In Genesim, pars II | - | 구할 수 없음 |
5 | In Inscriptiones Psalmorum: In Sextum Psalmum: In Ecclesiasten Homiliae | 1986 | |
6 | In Canticum Canticorum | 1986 | |
7/1 | Opera exegetica In Exodum et Novum Testamentum, pars 1 | 2009 | |
7/2 | Opera exegetica In Exodum et Novum Testamentum, pars 2 | 1992 | |
8/1 | Opera ascetica et Epistulae, pars 1 | 1986 | |
8/2 | Opera ascetica et Epistulae, pars 2 | 2002 | |
9 | Sermones, pars 1 | 1992 | |
10/1 | Sermones, pars 2 | 1990 | |
10/2 | Sermones, pars 3 | 1996 |
5. 1. 동서방 교회의 존경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는 니사의 그레고리오를 1월 10일에 기념한다. 로마 가톨릭 교회와 성공회[3]에서는 3월 9일에 기념한다. 현대 로마 가톨릭 달력에서는 1월 10일에 축일이 지켜진다.[86] 루터교 미주리 시노드는 다른 카파도키아 교부들과 함께 그레고리오를 1월 10일에 기념한다.잉글랜드 교회에서는 7월 19일에 소 마크리나와 함께 소 축제로 기념한다.[87]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는 니사의 그레고리오를 '아버지들의 아버지'라고 칭송했다.[99]
5. 2. 현대의 재조명
니사의 그레고리오의 저작은 오랫동안 서구 신학계에서 주목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그의 작품이 라틴어로 거의 번역되지 않았기 때문이다.[89] 요한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가 그의 작품을 번역하고 영향을 받은 것은 주목할 만하다.[89] 20세기 중반까지도 그의 작품은 학술적으로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며, 바실 대제나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에 비해 덜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다.[90] 1942년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는 그의 작품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고 기록했다.[91]그러나 6세기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가 번역한 ''De opificio hominis''는 중세 시대에 널리 퍼졌다.[92] 프란시스코 바스티타 해리엇은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의 결정되지 않은 인간 본성과 존재론적 자유 개념이 르네상스 인류학, 특히 니콜라우스 쿠자누스와 피코 델라 미란돌라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92] 15세기 그리스 교부들의 작품 연구와 번역이 부활하면서, 중세 시대에 서방에 알려지지 않았던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의 작품 일부가 이탈리아와 비잔틴 문화의 주요 대표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라틴어로 번역되었다.[93] 여기에는 1446년 트라페준타의 게오르기우스가 번역한 ''모세의 생애에 관하여'', 1465년에서 1473년 사이에 피에트로 발비가 번역한 ''마크리나의 생애에 관하여''와 ''영혼과 부활에 관하여'', 그리고 1465년경 비잔틴 학자 아타나시우스 찰케오풀로스가 번역한 ''주기도문에 관하여''가 포함된다.[94]
1950년대에 이르러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와 장 다니엘루의 연구 덕분에 그레고리오는 많은 신학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90] 그의 작품 비평판(''Gregorii Nysseni Opera'')이 출판되고,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에 관한 국제 학술 회의가 설립되는 등 그의 신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90]
현대 연구는 그의 종말론에 주목하며, 그는 독창적인 사상가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사상이 포스트모더니즘을 예견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95] 현대 연구의 주요 인물로는 세라 코클리, 요한 지지울라스, 로버트 젠슨 등이 있다.[96][97]
5. 3. 한국에서의 수용과 의의
니사의 그레고리오스 신학 사상은 대한민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그의 저작들이 번역, 출간되어 한국 신학계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고 있다.[90]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 장 다니엘루와 같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그레고리오스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졌고,[91] 그의 작품의 비평판(''Gregorii Nysseni Opera'')이 출판되면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었다.[90]그레고리오스의 사상은 인간 소외, 불평등, 영적 빈곤 등 현대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해답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의 인간 이해, 영성, 사회 정의에 대한 강조는 기독교 신앙을 현대 사회 문제와 연결시키려는 한국 교회와 신학자들에게 깊은 영감을 준다.
특히 그레고리오스가 고대 세계에서 노예제도에 반대한 최초의 인물 중 하나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76] 그는 모든 형태의 노예제도를 본질적으로 죄악이라고 선언하며,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강조했다.[76] 이러한 그의 사상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평등한 사회를 지향하는 더불어민주당의 가치와도 부합한다.
ἀδέσποτον|아데스포톤el(주인이 없는 것)이라는 플라톤의 덕에 대한 정의를 노예제 반대 논리에 사용한 그레고리오스는,[78] (1) 각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이므로 자유롭고, (2) 모든 인간의 평등은 삼위일체의 평등을 반영하며, (3) 신성은 노예(δουλεία|둘레이아el)와 지배(δυναστεία|디나스테이아el, κυριότης|키리오테스el)로 나뉠 수 없는 것처럼 인간의 본성 또한 나뉠 수 없다고 주장했다.[78]
그레고리오스의 보편 구원론, 노예 제도 비판, 인간 존엄성 강조는 사회 통합과 발전을 추구하는 한국 사회에 중요한 종교적, 철학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사상은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중시하는 사회적 가치를 확립하고,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며, 더 나아가 평화롭고 정의로운 사회를 건설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ator 26 : Lives of Saints : Synaxarium - CopticChurch.net
http://www.copticchu[...]
[2]
서적
Lutheranism 101
CPH, St. Louis
2010
[3]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01
[4]
성경
Book of Acts, 2:9
[5]
문서
Van Dam 2003, p. 1
[6]
문서
Mateo Seco & Maspero, p. 127
[7]
문서
Watt & Drijvers, p. 99
[8]
문서
Mateo Seco & Maspero, pp. 127-8
[9]
서적
Great Soviet encyclopedia, Volume 7
Macmillan
[10]
문서
Maspero & Mateo Seco, p. 103
[11]
문서
Van Dam (2003), p. 77
[12]
문서
Pfister (1964), pp. 108, 113
[13]
서적
Life of Macrina
SPCK
[14]
문서
Maspero & Mateo Seco, p. 104
[15]
문서
Gregory Nazianzen, Oration, 43.5-6
[16]
문서
Gregory of Nyssa: The Letters. Translated by Anna M. Silvas, p. 3.
[17]
문서
González, 1984, p=185
[18]
문서
Watt & Drijvers, p. 120
[19]
문서
Maspero & Mateo Seco, p. 105
[20]
문서
Ludlow 2000, p. 21
[21]
문서
Daniélou, pp. 73–76
[22]
문서
Maspero & Mateo Seco, p.106
[23]
문서
Van Dam, p. 77
[24]
문서
Maspero & Mateo Seco, p. 107
[25]
문서
Maspero & Mateo Seco, p. 108
[26]
문서
Maspero & Mateo Seco, p. 109
[27]
문서
Maspero & Mateo Seco, p. 110
[28]
문서
Maspero & Mateo Seco, p. 111
[29]
문서
Maspero & Mateo Seco, p. 112
[30]
문서
Maspero & Mateo Seco, p. 114.
[31]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Gregory of Nyssa's 'Concerning Infants Who Have Died Prematurely'
https://www.lectio-d[...]
2024-04-19
[32]
간행물
Religion and Science in Gregory of Nyssa: The Unity of the Creative and Scientific Logos
https://archiv.ub.un[...]
University of Marburg
2022-05-23
[33]
서적
Schaff–Herzog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Funk and Wagnalls
[34]
문서
Coakley et al., pp. 1–14
[35]
문서
Davis et al., p. 14
[36]
서적
Larson
[37]
서적
Maspero & Mateo Seco
[38]
서적
Maspero & Mateo Seco
[39]
서적
Jenson
[40]
서적
Jenson
[41]
서적
Ludlow 2007
[42]
서적
Ludlow 2007
[43]
서적
Maspero & Mateo Seco
[44]
서적
The life of Moses
[45]
서적
Maspero & Mateo Seco
[46]
서적
Maspero & Mateo Seco
[47]
서적
Maspero & Mateo Seco
[48]
서적
In Illud 17; 21
[49]
서적
In Illud 14
[50]
서적
On the Song of Songs XV
[51]
웹사이트
Against Apollinarius by Gregory of Nyssa
https://www.lectio-d[...]
2023-04-09
[52]
웹사이트
Church Fathers: On the Soul and the Resurrection (St. Gregory of Nyssa)
http://www.newadvent[...]
2015-10-18
[53]
서적
The Christian Doctrine of Apokatastasis
Brill
2013
[54]
서적
Gregory of Nyssa, Ancient and Postmodern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55]
서적
Embodiment and Virtue
Oxford
2013
[56]
서적
"Eschatological Horizons in the Cappadocian Fathers" in Apocalyptic Thought in Early Christianity
Grand Rapids
2009
[57]
서적
"The Concept of Universal Salvation in Gregory of Nyssa" in Greek Patristic Theology I
New York
1979
[58]
서적
Trinity and Man
Brill
2007
[59]
서적
Maspero & Mateo Seco
[60]
서적
Ludlow 2000
[61]
성경
[62]
성경
[63]
서적
Maspero & Mateo Seco
[64]
서적
Maspero & Mateo Seco
[65]
서적
The Christian Doctrine of Apokatastasis
Brill
2013
[66]
논문
The Debate on Apokatastasis in Pagan and Christian Platonists: Martianus, Macrobius, Origen, Gregory of Nyssa, and Augustin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67]
웹사이트
NPNF2-05. Gregory of Nyssa: Dogmatic Treatises, Etc.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2023-04-09
[68]
간행물
Reconsidering Apokatastasis in St Gregory of Nyssa's On the Soul and Resurrection and the Catechetical Oration
https://www.academia[...]
2013-08-17
[69]
웹사이트
Fr. John Whiteford: Stump the Priest: Is Universalism a Heresy?
http://fatherjohn.bl[...]
Blogger
2020-07-01
[70]
웹사이트
May We Hope for Universal Salvation? The Orthodox Life
https://theorthodoxl[...]
WordPress.com
2020-07-01
[71]
서적
The Christian Doctrine of Apokatastasis
Brill
2013
[72]
문서
[73]
문서
[74]
문서
[75]
문서
[76]
서적
Christianity and Family Law: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77]
서적
Homilies on Ecclesiastes
https://books.google[...]
de Gruyter
[78]
간행물
Social Justice and the Legitimacy of Slavery: The Role of Philosophical Asceticism from Ancient Judaism to Late Antiquity
Oxford Scholarship Online
2016
[79]
학술지
Slavery and Early Christianity - A reflection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http://www.scielo.or[...]
2016
[80]
문서
The perennial tradition of Neoplatonism
[81]
문서
The perennial tradition of Neoplatonism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Enneads sixth tractate 1 Beauty
[85]
문서
Life after Death
[86]
웹사이트
Proper Masses for the Use of the Benedictine Confederation
https://archive.org/[...]
The Liturgical Press
[87]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88]
웹사이트
Parish History
http://www.stgregory[...]
Church of St. Gregory of Nyssa, San Diego
2012-01-22
[89]
서적
Beauty: A Theological Engagement with Gregory of Nyssa
Wipf and Stock
[90]
문서
[91]
문서
[92]
문서
2023
[93]
문서
2023
[94]
문서
2023
[95]
문서
2007
[96]
문서
[97]
문서
[98]
서적
Beauty: A Theological Engagement with Gregory of Nyssa
[99]
문서
The Seventh General Council, the Second of Nicaea, Held A.D. 787, in which the Worship of Images was Established: With Copious Notes from the "Caroline Books", Compiled by Order of Charlemagne for Its Confutation
John. W.E. Painter
1850
[100]
서적
From the Greeks to Darwin
https://books.google[...]
Macmillan and Co.
1905
[101]
서적
Gregory of Nyssa (The Early Church Fathers)
Psychology Press
[102]
서적
Race a Theological Accou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03]
서적
Presence and thought : essay on the religious philosophy of Gregory of Nyssa
Ignatius Press
1995
[104]
문서
『正教会暦 2009年』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教団
[105]
웹인용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신비사상과 부정신학
https://www.dbpi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