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 Wi-Fi 커넥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닌텐도 Wi-Fi 커넥션은 2005년 11월 마리오 카트 DS 출시와 함께 시작된 닌텐도 DS 및 Wii용 온라인 서비스였다. 이 서비스는 이와타 사토루 사장의 지휘하에 개발되었으며, 온라인 멀티플레이, 온라인 리더보드, 다운로드 가능한 콘텐츠 등을 제공했다. 닌텐도 Wi-Fi 커넥션은 친구 코드 시스템을 활용하여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구축했으며, 닌텐도 Wi-Fi 스테이션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도 접속할 수 있었다. 2014년 5월 20일 서비스가 종료되면서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는 게임들의 온라인 기능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었지만, Wiimmfi와 같은 팬 부활 서비스를 통해 일부 기능이 복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닌텐도 DS - 닌텐도 DS 라이트
닌텐도 DS Lite는 닌텐도에서 출시한 휴대용 게임기로, 밝아진 화면과 가벼워진 무게, 디자인 변경 등을 특징으로 하며, 2006년 출시되어 높은 인기를 얻었고 9386만 대가 판매되었다. - 닌텐도 DS - 닌텐도 Wi-Fi USB 커넥터
닌텐도 Wi-Fi USB 커넥터는 닌텐도 DS나 Wii를 무선 LAN 환경에서 인터넷에 연결하는 USB 형태의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로, 독점적인 인증 방식과 운영체제 지원 문제 등으로 비판받다 단종되었다. - Wii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는 인피니티 워드와 슬레지해머 게임즈가 공동 개발하고 액티비전이 배급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제3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블라디미르 마카로프를 추적하는 소프와 프라이스의 이야기를 다루며 싱글 플레이어 캠페인, 멀티플레이어, 협동 모드를 제공한다. - Wii - Wii웨어
Wii웨어는 닌텐도 Wii 콘솔을 위한 디지털 다운로드 서비스로, 2008년부터 2019년까지 운영되었으며, 다양한 게임을 Wii 포인트를 사용하여 구매하고 Wii 본체 또는 SD 카드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제공되었다. - 와이파이 - OpenWrt
OpenWrt는 무선 라우터와 같은 임베디드 장치용 리눅스 기반 자유 소프트웨어 펌웨어로, opkg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통한 기능 확장과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며 LEDE 포크 프로젝트와의 재통합을 거쳐 발전해왔다. - 와이파이 -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와이파이 얼라이언스는 와이파이 기술의 상호 운용성 확보 및 표준 준수를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산업 협회로서, Wi-Fi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무선 LAN 장비의 상호 운용성을 테스트하고 무선 통신 기술의 혁신을 주도한다.
닌텐도 Wi-Fi 커넥션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서비스 정보 | |
이름 | 닌텐도 Wi-Fi 커넥션 |
원어 명칭 | 닌텐도 Wi-Fi 커넥션 (ニンテンドーWi-Fiコネクション) |
![]() | |
개발사 | 닌텐도 |
종류 | 네트워크 서비스 |
서비스 시작일 | 2005년 11월 14일 (미국), 2005년 11월 23일 (일본) |
서비스 종료일 | 2014년 5월 20일 |
서비스 상태 | 서비스 종료, 비공식적으로 부활 |
지원 플랫폼 | Wii 닌텐도 DS 닌텐도 DS 라이트 닌텐도 DSi 닌텐도 DSi XL Wii U (Wii 모드) 닌텐도 3DS (DS 게임) |
운영체제 | Wii 시스템 소프트웨어 DSi 시스템 소프트웨어 |
공식 웹사이트 | www.nintendowfc.com (보관된 페이지) |
2. 역사
닌텐도는 이전에도 패밀리 컴퓨터의 패미콤 트레이드, 슈퍼 패미컴의 새턴뷰, 닌텐도 64의 64DD를 이용한 랜드넷, 게임보이와 휴대 전화를 연동한 모바일 어댑터 GB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시도했었다. 하지만 하드웨어 성능의 한계, 복잡한 설정, 부족한 인터넷 인프라, 이용료 부담 등의 문제로 충분한 이용자 수를 확보하지 못하고 단기간에 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서비스는 게임기의 무선랜 기능을 이용하여 전 세계의 사용자와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했다. 무선 인터넷 환경이 갖춰진 곳이라면 어디서든 이용 가능했으며, 와이파이 커넥션을 지원하는 게임 패키지에는 파란색 마크가 표시되었다. 붉은색 마크가 있는 게임은 온라인 플레이 외에 추가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도 제공했다. 최대 4명까지 함께 플레이할 수 있었으며, 친구, 같은 국가 사용자, 또는 전 세계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대를 선택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게임은 대전 기능을 중심으로 지원했지만, 일부 게임에서는 채팅이나 음성 대화 기능도 이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와타 사토루가 사장으로 취임한 후 닌텐도는 닌텐도 DS의 특징과 당시 보급되던 PC 및 광대역 환경을 활용하여 새로운 온라인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닌텐도의 오하라 타카오[大原 隆夫]는 과거 온라인 전략의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새로운 시스템의 성공을 위해 해결해야 할 네 가지 주요 장벽으로 어려운 설정 절차, 신규 사용자의 심리적 장벽, 다른 플레이어로부터의 불쾌한 경험 가능성, 그리고 비용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따라 "간단하고, 안전하며, 무료"라는 세 가지 핵심 원칙을 세웠다.[1]
2005년 11월 14일, 마리오 카트 DS의 출시와 함께 닌텐도 Wi-Fi 커넥션 서비스가 시작되었다.[1] 닌텐도는 서비스 보급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였다.
# 점포에 설치된 DS 스테이션에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온라인 게임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 가정에서도 Windows XP나 Windows Vista가 설치된 PC와 광대역 환경만 있으면 접속할 수 있는 USB 형태의 Wi-Fi 커넥터 기기를 개발하여 출시했다.
# 가정용 무선 LAN 공유기에도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AOSS와 같은 간편 설정 기능을 소프트웨어에 탑재했다.
# 친구 코드를 교환한 사용자끼리만 플레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온라인상의 문제 발생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높였다.
# 닌텐도가 제작하는 게임의 온라인 플레이는 원칙적으로 무료로 제공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서비스 시작 4개월 만에 100만 명 이상의 고유 사용자가 290만 건의 접속을 기록했으며,[1] 2006년 2월 10일에는 순 이용자 수 85만 명, 누적 접속 횟수 2000만 회를 돌파했다고 발표하며[73] 성공적인 출발을 알렸다. 닌텐도는 온라인 플랫폼의 성공이 닌텐도 DS 전체의 상업적 성공에도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1] 2006년 10월 16일에는 NetFront 브라우저를 닌텐도 DS 소프트웨어 개발용 미들웨어 세트에 채용하여, 향후 브라우저 기능이 포함된 소프트웨어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74]
닌텐도 Wi-Fi 커넥션은 이후 Wii의 온라인 기능의 기반이 되었으며,[1] Wii 사용자만을 위한 유료 다운로드 콘텐츠(DLC)인 'Pay & Play' 서비스도 도입되었다. 하지만 2007년 10월, 이와타 사장은 Wii의 인터넷 접속률이 광대역 보급률에 비해 아직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하며, 기술적·심리적 장벽 해소와 버추얼 콘솔, Wii웨어 등을 통한 소프트웨어 확충을 과제로 제시했다.[75]
서비스는 매주 화요일 오후 4시부터 8시까지 정기 점검을 위해 중단되기도 했다. Wi-Fi 커넥션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는 대부분 2012년 말까지 출시되었으며, 2013년 이후로는 신규 지원 타이틀이 거의 나오지 않았다. (드래곤 퀘스트 X Wii 버전 등 일부 예외는 존재했다.)
결국 2014년 5월 20일 오후 11시를 기점으로 닌텐도 DS 및 Wii용 닌텐도 Wi-Fi 커넥션 서비스는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다만, 액티비전이나 UBI SOFT 등 일부 서드파티 개발사의 게임 중 자체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는 서비스 종료 이후에도 한동안 온라인 플레이가 가능하기도 했다.
3. 특징
닌텐도는 와이파이 커넥션을 활용한 Wii 사용자 전용 다운로드 가능 콘텐츠인 '''Pay & Play'''를 도입하기도 했다.
서비스 운영 당시 매주 화요일 오후 4시부터 8시까지는 서버 점검으로 인해 접속이 불가능했다.
닌텐도 Wi-Fi 커넥션은 누구나 쉽게 연결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며,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닌텐도 DS에서는 최대 16명, Wii에서는 최대 32명의 플레이어를 지원했으며, 기본적인 기능으로는 전 세계 매치메이킹, 리더보드, 토너먼트 등이 있었다. 친구 간 연결을 통해 추가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었다.
서비스 개발 배경에는 당시 닌텐도 사장이었던 이와타 사토루의 철학이 있었다. 그는 누구나 안심하고 부담 없이 서비스를 즐길 수 있기를 바랐으며, 기존 온라인 게임의 부정적인 이미지와 높은 진입 장벽을 낮추고자 했다.[67] 이를 위해 닌텐도는 '*간단・안심・무료*'라는 세 가지 원칙을 중요하게 여겼다.[68] 닌텐도는 과거 패밀리 컴퓨터의 패미콤 트레이드, 슈퍼 패미컴의 새턴뷰, 닌텐도 64의 랜드넷, 게임보이의 모바일 어댑터 GB 등 여러 온라인 사업을 시도했으나, 하드웨어 성능 한계, 복잡한 설정, 부족한 인프라, 이용료 부담 등의 문제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와타 사토루 체제의 닌텐도는 닌텐도 DS의 특징과 DS 스테이션, 보급된 PC 및 광대역 환경을 활용하여 새로운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했다. 서비스 보급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였다.
# DS 스테이션 내부에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하여 매장에서 쉽게 온라인 게임을 체험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가정에서 Windows XP 또는 Windows Vista PC와 광대역 환경만 있으면 접속 가능한 기기 개발 및 출시.
# AOSS 등 간편 접속 기능을 소프트웨어에 탑재하여 쉬운 무선 LAN 설정 지원.
# 친구끼리만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온라인상의 문제 발생을 억제.
# 닌텐도 제작 타이틀의 온라인 기능은 원칙적으로 무료 제공.
이러한 노력 덕분에 서비스 시작 3개월 만인 2006년 2월 10일까지 순 이용자 수 85만 명, 누적 접속 횟수 2,000만 회를 기록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73] 또한, 2006년 10월에는 NetFront 브라우저가 닌텐도 DS 소프트웨어 개발용 미들웨어로 채택되어, 브라우저 기능을 갖춘 게임 개발이 가능해졌다.[74]
하지만 닌텐도 DS의 성공적인 네트워크 접속률과 달리, Wii의 인터넷 접속률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이와타 사토루는 2007년 10월 컨퍼런스에서 이를 지적하며 기술적·심리적 장벽 해소와 소프트웨어 확충을 과제로 제시했다.[75] 이후 버추얼 콘솔 및 Wii웨어 서비스 등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보강했다.
Wi-Fi 커넥션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는 대부분 2012년 말까지 출시되었으며, 2013년 이후로는 신규 지원 타이틀이 나오지 않았다. 드래곤 퀘스트 X의 Wii 버전이나 액티비전, UBI SOFT가 개발한 일부 해외 게임들은 예외적으로 자체 서버를 사용하여 Wi-Fi 커넥션 서비스 종료 후에도 한동안 온라인 플레이가 가능했다.시스템 Wii 닌텐도 DSi/DSi XL 닌텐도 DS/라이트 계정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게임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커뮤니케이션 온라인 상점 Wii 숍 채널 닌텐도 DSi 숍 엔터테인먼트 상업 닌텐도 채널 닌텐도 존 인터넷 탐색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DS 브라우저는 별도로 판매되며 DSi에서는 지원되지 않음 로열티 프로그램 클럽 닌텐도 기타 유틸리티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시스템 업데이트 Wii 시스템 업데이트 닌텐도 DSi 시스템 업데이트
닌텐도 Wi-Fi 커넥션 서비스는 2014년 5월 20일 23시에 종료되어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서비스 종료 이전에 이미 일부 서비스 및 앱은 운영이 중단되었다.
'''2014년 5월 20일 이전에 중단된 주요 서비스 및 앱:'''3. 1. 친구 코드
닌텐도 Wi-Fi 커넥션을 사용하는 각 게임은 고유한 12자리 친구 코드를 생성한다. 이 코드를 친구와 교환하고 서로 등록하면, 특정 친구와 쉽게 온라인 게임을 함께 즐길 수 있다.
이 친구 코드는 해당 게임의 복사본 식별자와 닌텐도 DS 또는 Wii 본체의 닌텐도 Wi-Fi 커넥션 ID를 조합하여 만들어진다.[5] 따라서 같은 게임이라도 다른 기기에서 플레이하거나, 다른 게임 복사본을 사용하면 새로운 친구 코드가 생성된다. 게임 데이터를 모두 삭제해도 친구 코드는 변경된다. 친구가 되려면 서로의 코드를 각자의 게임에 추가해야 하며, 두 사람 모두 온라인 상태일 때 친구로 최종 인증된다.
닌텐도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친구 코드 시스템을 도입했다. 만약 게임을 중고로 판매하더라도 구매자가 판매자를 사칭할 위험이 없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닌텐도 DS 기기를 교체해야 할 경우, 이전 기기의 닌텐도 Wi-Fi 커넥션 ID를 새 기기로 무선 전송하여 기존 친구 코드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되었다.
친구 코드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흔히 사용되는 '화면 이름'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2020년에 유출된 내부 문서에 따르면, 닌텐도는 동일한 화면 이름을 가진 사용자 간의 혼란이나, 화면 이름을 쉽게 추측하여 개인 정보가 침해될 가능성을 우려하여 12자리 숫자 코드를 선택했다.[6]
등록된 친구 사이에서는 게임 내 추가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친구끼리만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 설정 게임 매치, 협동 플레이 모드, 친구 목록 확인, 게임 내 텍스트 채팅이나 음성 채팅 기능 등이 제공되었다.
일부 Wii 게임에서는 친구 코드 대신 16자리의 'Wii 번호'를 사용하기도 했다. 이는 WiiConnect24 기능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 간에 데이터를 수동적으로 공유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멀티플레이 기능이 필요한 경우 등 상황에 따라 Wii 번호와 12자리 친구 코드를 모두 사용하는 게임도 있었다.
모든 게임이 친구 코드를 필수로 요구한 것은 아니었다. 특정 게임은 친구 코드 없이도 온라인 플레이가 가능했지만, 특정 친구와 함께 플레이하려면 친구 코드가 필요했다. 예를 들어, 놀러 오세요 동물의 숲과 같은 게임은 온라인상의 괴롭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친구 코드를 교환한 플레이어끼리만 통신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 반면, 마리오 카트 DS나 테트리스 DS처럼 친구 코드가 없어도 불특정 다수와 대전할 수 있는 게임도 존재했다.
4. 연결 방법
닌텐도 Wi-Fi 커넥션은 닌텐도 DS 시리즈나 Wii와 같은 게임기를 인터넷에 연결하여 다른 플레이어와 함께 게임을 즐기거나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였다. 이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는 가정에 설치된 무선랜 (Wi-Fi) 환경을 이용하는 것이다. ADSL이나 광섬유 같은 광대역 인터넷 접속 환경과 무선랜 라우터(액세스 포인트)가 있다면, 각 게임기의 네트워크 설정을 통해 Wi-Fi 커넥션에 접속할 수 있었다. Wii의 경우, 무선랜 연결 외에도 별도로 판매되는 USB 이더넷 어댑터를 사용하여 유선으로 인터넷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했다.[82]
둘째는 무선랜 환경이 없는 사용자를 위한 방법으로, 닌텐도 Wi-Fi USB 커넥터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이 USB 장치를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Windows XP 또는 Vista 필요)에 꽂으면, 컴퓨터가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여 닌텐도 DS나 Wii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69][70]
셋째는 외부에 설치된 공공 핫스팟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닌텐도는 DS 스테이션, 닌텐도 존(주로 맥도날드 매장 내), FREESPOT 등 다양한 공공 무선랜 서비스 제공 지점을 마련하여 사용자들이 외부에서도 쉽게 Wi-Fi 커넥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또한, 여러 통신사와의 제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무료 접속 포인트를 제공했다.
각 기기별 구체적인 접속 설정 방법, 지원하는 보안 규격(WEP, WPA, WPA2 등), USB 커넥터의 상세한 사용법, 국가별 공공 핫스팟 목록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 관련 하위 항목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무선 인터넷
닌텐도 Wi-Fi 커넥션은 닌텐도 DS, 닌텐도 DSi, Wii 등 게임기의 무선랜 기능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서비스이다. 닌텐도는 독자적인 Wi-Fi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호환되는 기기를 사용해야 한다.[82]=== 닌텐도 DS / DSi ===
닌텐도 DS는 802.11b 무선 어댑터를 내장하고 있어, 802.11b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캡티브 포털을 사용하는 공용 핫스팟은 닌텐도 DS 브라우저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하다.
닌텐도 DSi 출시 이전 기기나 게임은 보안 프로토콜로 WEP만 지원했다. WEP는 당시에도 보안 취약성이 지적되었으므로, 게임 외 다른 인터넷 통신을 함께 이용한다면 멀티 보안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었다. 닌텐도 DSi부터는 WEP 외의 보안 프로토콜(예: WPA, WPA2)도 지원 가능하게 되었으나, 이는 DSi 전용으로 제작되거나 온라인 지원이 향상된 게임에 한정되었다. DSi의 기본 온라인 연결 설정은 DS와 동일하며, 이는 닌텐도 3DS에서도 마찬가지였다.
=== Wii ===
Wii는 802.11b/g 무선 어댑터를 내장하고 있다. 다만, 액세스 포인트가 1Mbit/s 및 2Mbit/s의 802.11(레거시 모드) 기본 속도를 광고해야만 접속이 가능하여, 실질적으로는 802.11b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필요했다.[47] 보안 방식으로는 WEP, WPA(TKIP 또는 CCMP 사용), WPA2(CCMP 사용)를 지원한다. 시스템 업데이트 3.0부터는 AOSS도 지원하여 간편 설정이 가능해졌다. Wii 본체에는 최대 3개의 네트워크 설정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내장된 이더넷 포트는 없지만, 닌텐도나 타사에서 판매하는 USB 이더넷 어댑터를 사용하여 유선 LAN으로도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 Wii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자세한 방법은 '''Wii#인터넷 연결''' 항목을 참조할 수 있다.
=== 접속 환경 및 방법 ===

가정에서 닌텐도 Wi-Fi 커넥션을 이용하려면 ADSL이나 광섬유 같은 광대역 인터넷 접속 환경과 무선랜 라우터(액세스 포인트)가 필요하다. ISDN으로도 접속은 가능하나, 속도가 매우 느리고 서버 부하를 유발하여 다른 플레이어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만약 집에 무선 라우터가 없더라도, Windows XP나 Windows Vista가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와 광대역 인터넷 환경이 있다면, 닌텐도 Wi-Fi USB 커넥터나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있는 USB 무선 LAN 어댑터를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하여 접속할 수 있다.[69][70]
버팔로의 AOSS나 NEC 액세스테크니카 제품의 간편 무선 시작(일본판 한정) 기능을 지원하는 라우터를 사용하면 버튼 하나로 간편하게 접속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외부에서는 DS 스테이션(닌텐도 Wi-Fi 스테이션), 닌텐도 존, FREESPOT과 같은 공공 무선 LAN 서비스나 스마트폰의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닌텐도 Wi-Fi 스테이션이나 FREESPOT은 별도 설정 없이 접속 가능하며, 닌텐도 존은 뷰어의 안내에 따라 접속한다. 그 외의 공공 무선 LAN은 접속이 불가능하거나 별도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 공공 접속 장소 ===
닌텐도는 여러 기업과 제휴하여 공공장소에서 Wi-Fi 커넥션 접속 포인트를 제공했다.
- '''일본''': DS 스테이션 내 닌텐도 Wi-Fi 스테이션 1,000곳, FREESPOT 3,000곳, 닌텐도 존 (주로 맥도날드) 약 2,600곳에서 서비스를 제공했다.
- '''미국''': 6,000곳의 맥도날드 매장에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되었다.
- '''영국''': 초고속 인터넷 접속 환경 보급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을 고려하여, BT Openzone 및 The Cloud와 제휴하여 장난감 가게, 역, 카페, 도서관, 호텔 등 7,500곳 이상에 접속 포인트를 설치했다.
4. 2. 닌텐도 Wi-Fi USB 커넥터

닌텐도 Wi-Fi USB 커넥터는 별도로 판매되었던 닌텐도 DS 및 Wii용 주변기기이다. 집에 무선 LAN 환경이 없거나 호환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들이 닌텐도 Wi-Fi 커넥션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사용 방법은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USB 포트에 커넥터를 꽂는 방식이었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Windows XP 또는 Windows Vista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가 필요했다.[69][70] 광대역 인터넷 접속 환경이 필수는 아니었지만, 지연 시간을 줄이기 위해 권장되었다. ID와 비밀번호는 커넥터 내부적으로 자동 생성되어 별도의 복잡한 설정 과정 없이 비교적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방식은 닌텐도 Wi-Fi 커넥션을 이용하는 동안 컴퓨터 전원을 항상 켜두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닌텐도 Wi-Fi USB 커넥터는 닌텐도 온라인 스토어 등에서 판매되었으나,[48][49] 이후 법적인 문제로 인해 단종되었다.[50] 단종 이후에는 이를 대체하는 공식 닌텐도 Wi-Fi 네트워크 어댑터나 다른 회사에서 만든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51]
4. 3. 닌텐도 Wi-Fi 스테이션/닌텐도 존
닌텐도는 닌텐도 DS 사용자들이 외부에서도 쉽게 닌텐도 Wi-Fi 커넥션에 접속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했다. 대표적으로 공공장소에 설치된 닌텐도 Wi-Fi 스테이션과 닌텐도 존이 있다.
닌텐도 Wi-Fi 스테이션은 닌텐도가 백화점이나 상점 등에 설치한 무선 접속 기기이다.[83] 이 기기 근처에서는 별도의 설정 없이 닌텐도 DS로 닌텐도 Wi-Fi 커넥션에 접속할 수 있었다. 특정 게임의 경우, DS 스테이션(닌텐도 Wi-Fi 스테이션)에 접속하여 새로운 아이템을 얻는 것도 가능했다. 일본 내에서는 약 1,000곳에 설치되어 운영되었으며, 전국의 가전 양판점, 종합 슈퍼마켓, 완구점 등에 설치된 DS 스테이션의 DS 전용 액세스 포인트 형태로 이용할 수 있었다.
닌텐도 존 역시 공공장소에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이었다. 닌텐도 존 뷰어의 지시에 따라 접속할 수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맥도날드(맥에서 DS) 약 2,600개 매장에서 지원했다.
이 외에도 공공 무선 랜 서비스인 FREESPOT을 통해서도 접속이 가능했다. FREESPOT 역시 별도의 접속 설정이 필요 없었으며, 일본 내 약 3,000곳에서 서비스를 제공했다.
닌텐도는 사용자들이 더 많은 장소에서 무료로 접속할 수 있도록 여러 국가에서 핫스팟 제공업체와 협력했다.
- 미국: 2005년 웨이포트 주식회사(Wayport, Inc.)와 계약하여 맥도날드 레스토랑에서 접속을 제공했으나[52], 이 계약은 갱신되지 않았다. 이후 미국 내 6,000곳의 맥도날드 매장에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되었다.
- 캐나다: 2005년 10월 팻포트(FatPort)와 파트너십을 맺고 무료 핫스팟을 구축했다.[53]
- 유럽: 총 25,000개의 핫스팟 설치를 목표로 했으며, 영국에서는 더 클라우드(The Cloud) 및 BT 오픈존(BT Openzone)과의 협력을 통해 7,500개 이상의 핫스팟을 역, 카페, 도서관, 호텔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했다.[54][55]
- 호주: 2005년 11월 EB 게임즈(EB Games), 마이어(Myer), 딕 스미스(Dick Smith Powerhouse) 매장을 시작으로 26개의 핫스팟을 설치했으며, 2007년 4월에는 텔스트라(Telstra) 무선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호텔, 공항, 스타벅스, 맥도날드 등 1,000개 이상의 핫스팟을 추가했다.
다음은 닌텐도 DS 사용자에게 무료 접속을 제공했던 주요 핫스팟 제공업체 목록이다.
국가 | 업체명 |
---|---|
호주 | 텔스트라 무선 (Telstra Wireless) |
EB 게임즈 (EB Games) | |
MW게임즈 (MWgames) | |
캐나다 | 팻포트 (FatPort) |
프랑스 | 메테오 네트워크 (Meteor Networks) |
독일 | T-Com |
그리스 | 포스넷 (ForthNet) |
OTE | |
이탈리아 | 링켐 (Linkem) |
네덜란드 | T-모바일 네덜란드 (T-Mobile Netherlands) |
포르투갈 | PT-와이파이 (PT-WiFi) |
스페인 | 텔레포니카 존 ADSL (Telefónica Zonas ADSL) |
영국 (아일랜드 포함) | 더 클라우드 (The Cloud) |
BT 오픈존 (BT Openzone) | |
미국 | 지와이어 (JiWire) |
가정에서는 무선 BB 라우터를 통해 접속할 수 있었는데, 이 경우 설정이 필요했다. 다만, 일본 내수용 버팔로나 NEC 액세스테크니카 제품의 경우, AOSS나 간편 무선 시작 기능을 이용해 버튼 하나로 쉽게 설정을 완료할 수 있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었다. Windows XP나 Windows Vista가 설치된 PC의 USB 포트에 닌텐도 Wi-Fi USB 커넥터나 게임기 전용 무선 랜 USB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를 연결하면 무선 랜 환경이 없어도 접속이 가능했다.[69][70] 그 외에도 스마트폰의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었다.
5. 시스템 기능
닌텐도 Wi-Fi 커넥션은 각 시스템별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했다.
시스템 | Wii | 닌텐도 DSi/DSi XL | 닌텐도 DS/라이트 |
---|---|---|---|
계정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게임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커뮤니케이션 | |||
온라인 상점 | Wii 숍 채널 | 닌텐도 DSi 숍 | 지원 안 함 |
엔터테인먼트 | 지원 안 함 | ||
상업 | 닌텐도 채널 | 닌텐도 존 | 지원 안 함 |
인터넷 탐색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DS 브라우저는 별도로 판매되었으며 DSi에서는 지원되지 않음 | |
로열티 프로그램 | 클럽 닌텐도 | ||
기타 유틸리티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
시스템 업데이트 | Wii 시스템 업데이트 | 닌텐도 DSi 시스템 업데이트 | 지원 안 함 |
'''서비스 종료'''
닌텐도 Wi-Fi 커넥션의 주요 서비스는 2014년 5월 20일에 종료되었으나, 일부 서비스 및 앱은 그 이전부터 순차적으로 중단되었다. 주요 종료 사례는 다음과 같다.
- ''Wii no Ma'': 2012년 4월 30일 운영 종료.[2]
- ''커비 TV 채널'': 2012년 10월 운영 종료.[3]
- WiiConnect24 서비스: 2013년 6월 28일 전 세계적으로 종료됨에 따라[4] 닌텐도 채널, 날씨 채널, 뉴스 채널, Mii 채널 보기, 모두의 투표 채널, ''디지캠 프린트 채널'' 등 다수의 Wii 채널이 함께 종료되었다.
- ''플립노트 스튜디오'': 2013년 6월 1일 플립노트 스튜디오 3D로 대체되었으며, 이후 하테나 주식회사의 철수로 온라인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포켓몬 글로벌 링크'' (5세대 포켓몬 게임용): 2013년 10월 1일부터 2014년 1월 14일 사이에 단계적으로 폐지되었다.
5. 1. Pay & Play
Wii 숍 채널의 버추얼 콘솔 섹션은 과거의 게임기용으로 제작 및 출시된 소프트웨어를 최신 플랫폼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게임들은 과거 게임기의 에뮬레이션을 통해 Wii에서 실행되었다. 지원 대상 게임기로는 NES/패미컴, SNES/슈퍼 패미컴, 닌텐도 64, 세가 제네시스/메가 드라이브, 세가 마스터 시스템/마크 III, 네오지오, 터보그래픽스-16/PC 엔진, 코모도어 64 등이 있었으며, 일부 아케이드 게임(버추얼 콘솔 아케이드 브랜드)도 포함되었다. 게임 가격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동일했으며, 주로 소프트웨어의 원본 플랫폼에 따라 결정되었다. 이 서비스의 Wii 버전은 Wii 숍 채널이 2019년 1월 31일에 종료되면서 함께 중단되었다.Wii 숍 채널의 WiiWare 섹션은 Wii 전용으로 설계된 다운로드 가능한 소프트웨어, 특히 저예산 게임을 전문적으로 다루었다. 첫 WiiWare 게임은 2008년 3월 25일 일본에서 출시되었다.[16] WiiWare 플랫폼은 이후 2008년 5월 12일 북미,[17] 2008년 5월 20일 유럽과 호주에서 각각 서비스를 시작했다.[18][19]
WiiWare 섹션은 소규모 개발자들이 소매 유통에 따르는 투자 부담이나 위험 없이 게임을 출시할 수 있는 장으로 홍보되었다(이는 Xbox Live 아케이드나 PlayStation Store와 유사한 방식이다). WiiWare 게임 출시는 초기부터 계획되었으나, 닌텐도가 2007년 6월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2008년 중 첫 게임 출시를 공식 확인하기 전까지 구체적인 시기는 발표되지 않았다. 닌텐도는 "획기적인 모션 컨트롤이 기존 장르에 대한 신선한 해석뿐만 아니라, 현재 개발자들의 구상 속에만 존재하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탄생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5. 2. WiiConnect24
Wii의 온라인 기능 중 하나로, 게임 플레이 및 커뮤니케이션에 활용되었다.닌텐도는 2013년 6월 28일 전 세계적으로 WiiConnect24 서비스를 종료하였다.[4] 이로 인해 다음 Wii 채널들의 운영이 중단되었다.
- 닌텐도 채널
- 날씨 채널
- 뉴스 채널
- Mii 채널 보기
- 모두의 투표 채널
- 디지캠 프린트 채널
5. 3. Wii 숍 채널
Wii 숍 채널의 버추얼 콘솔 기능은 과거 게임기용으로 출시되었던 소프트웨어를 Wii에서 쉽게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게임들은 과거 게임기의 에뮬레이션 기술을 통해 Wii에서 구동되었다. 지원 대상 게임기는 다음과 같다.- NES/패미컴
- SNES/슈퍼 패미컴
- 닌텐도 64
- 세가 제네시스/메가 드라이브
- 세가 마스터 시스템/마크 III
- 네오지오
- 터보그래픽스-16/PC 엔진
- 코모도어 64
- 일부 아케이드 게임 (버추얼 콘솔 아케이드)
게임 가격은 대부분 지역에서 동일했으며, 주로 해당 소프트웨어의 원본 게임기에 따라 결정되었다. 버추얼 콘솔 서비스는 Wii 숍 채널이 2019년 1월 31일에 종료되면서 함께 중단되었다.
닌텐도 Wii는 2010년 3월 27일부터 넷플릭스 서비스를 지원했다. 초기에는 미국과 캐나다 사용자만 이용 가능했으며, 별도의 넷플릭스 디스크가 필요했다.[21] 이후 2010년 10월 18일부터는 디스크 없이 채널을 통해 바로 넷플릭스 시청이 가능해졌다.[22] 넷플릭스의 Wii 지원은 2019년 1월 30일에 종료되었다.[23]
Wii 숍 채널을 통해 배포되거나 인터넷 기능을 사용했던 여러 채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주요 채널 및 서비스 종료 일정은 다음과 같다.
채널명 | 서비스 종료일 | 비고 |
---|---|---|
TV 친구 채널 G 가이드 for Wii | 2011년 7월 24일 | 서비스 및 배포 종료 |
Wii의 공간 | 2012년 4월 30일 | 서비스 및 배포 종료 |
날씨 채널, 뉴스 채널, 모두의 투표 채널, Mii 콘테스트 채널, 모두의 닌텐도 채널, 디지털 카메라 프린트 채널, 오늘과 내일의 운세 럭키 채널, Wii 스피크 채널 등 다수 채널 | 2013년 6월 28일 | 인터넷을 이용하는 서비스 및 배포 종료[72] (일부 채널 제외) |
출전 채널 | 2017년 2월 22일 (배포 종료) 2017년 3월 31일 (서비스 종료) | |
훌루 | 2017년 5월 17일 | 서비스 종료 |
유튜브 | 2017년 6월 30일 | 서비스 종료 |
넷플릭스 | 2019년 1월 30일 | 서비스 종료[23] |
Wii 숍 채널 | 2019년 1월 31일 | 서비스 종료 (버추얼 콘솔 포함) |
2013년 6월 28일 이후에도 얼굴 만들기 채널(인터넷 사용 기능 제외), Wii 숍 채널, 인터넷 채널, 유튜브, 훌루, 출전 채널 등 일부 채널은 계속 이용 가능했으나, 이들도 순차적으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72]
5. 4. 닌텐도 DSi 숍
플립노트 하테나는 닌텐도 DSi용 메모/애니메이션 제작 앱인 플립노트 스튜디오의 온라인 부분이었다. 2013년 5월 31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5. 5. 기타 기능
Wii 숍 채널의 버추얼 콘솔 부분은 과거 게임기용으로 출시된 소프트웨어를 에뮬레이션 기술을 통해 Wii에서 즐길 수 있도록 지원했다. 지원 대상 기기로는 NES/패미컴, SNES/슈퍼 패미컴, 닌텐도 64, 세가 제네시스/메가 드라이브, 세가 마스터 시스템/마크 III, 네오지오, 터보그래픽스-16/PC 엔진, 코모도어 64 등이 있었고, 일부 아케이드 게임(버추얼 콘솔 아케이드)도 포함되었다. 게임 가격은 대부분 지역에서 동일했으며, 주로 원본 게임기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었다. 이 서비스는 Wii 숍 채널이 2019년 1월 31일 종료되면서 함께 중단되었다.닌텐도 Wii, DS, DSi는 다운로드 가능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었다. Wii와 DSi 브라우저는 오페라 미니 기반이었고, 닌텐도 3DS 브라우저는 넷프론트 기반이었다. 닌텐도 DS용 웹 브라우저 역시 오페라 기반이었으나, DS 카드와 게임보이 어드밴스 포트를 통한 RAM 확장이 필요했다.
'''날씨 채널'''은 2006년 12월 19일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WiiConnect24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에서 날씨 정보와 예보를 받아 콘솔에 표시했다. 사용자는 NASA가 제공하는 지구본을 돌려 다른 지역의 날씨를 확인할 수 있었고, 확대 시 북두칠성, 오리온자리 등 실제 별자리도 볼 수 있었다. 현재 날씨, 자외선 지수, 당일 및 익일 예보, 5일 예보(자국 한정), 세탁 지수(일본 한정) 등의 기능을 제공했다. ''Madden NFL 07'', ''나이츠: 드림스 저니'', ''마리오와 소닉 at 올림픽 겨울 게임'' 같은 일부 게임은 이 채널과 연동하여 실제 지역 날씨를 게임 내에 반영하기도 했다.[24] 하지만 기반 서비스인 WiiConnect24가 중단되면서 2013년 6월 28일에 종료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이용할 수 없었다.[28]
'''뉴스 채널'''은 2007년 1월 26일 북미, 유럽, 호주에서 출시되어 인터넷을 통해 뉴스 헤드라인과 기사를 제공했다.[25] 날씨 채널처럼 지구본 보기와 슬라이드 쇼 형식으로 뉴스를 볼 수 있었으며,[26] WiiConnect24를 통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고 클릭 가능한 이미지도 지원했다. 2007년 8월 6일 업데이트로 Wii 메뉴에 뉴스 속보 표시 기능이 추가되었고, 2007년 12월 20일 PAL 지역 업데이트로 더 많은 뉴스 매체의 정보가 추가되었다.[27] 이 채널 역시 WiiConnect24 서비스가 필요했기 때문에 2013년 6월 28일에 종료되었으며,[29][30] 대한민국에서는 이용할 수 없었다.[28]
'''모두의 투표 채널'''은 2007년 2월 13일에 출시되어 사용자들이 Mii를 이용해 간단한 여론 조사에 참여하고 그 결과를 다른 사람들과 비교할 수 있게 했다. 투표 후 가장 인기 있는 선택지를 예측하는 기능도 있었으며, 각 Mii의 투표 및 예측 기록이 저장되었다. 하루에 한 번 설문 조사를 제안할 수도 있었다. 이 채널은 Wii 숍 채널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었으며, 다른 여러 채널과 마찬가지로 2013년 6월 28일에 종료되었다.[30]
'''러브필름 채널'''은 영국에서 2012년 12월 4일에 출시된 다운로드 채널로, 2017년 10월 31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유튜브 채널'''은 TV 화면으로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고 기존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다. 북미와 호주에서만 이용 가능했으며, 북미에서는 Wii U 출시 3일 전인 2012년 11월 15일에 출시되었다. 구글이 플래시 기반 유튜브 앱 지원을 중단하면서 2017년 6월 30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Mii 콘테스트 채널'''(또는 ''심사 채널'', ''WatchMii 채널'')은 2007년 11월 11일에 출시되어 사용자들이 자신의 Mii를 공유하고 인기 콘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Wii 숍 채널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Mii를 게시 광장에 올리거나 다른 사람의 Mii를 자신의 퍼레이드로 가져올 수 있었다. 특정 주제(예: 모자 없는 마리오)에 맞춰 Mii를 제출하는 콘테스트가 열렸고, 투표 기간 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콘테스트 참가자는 자신의 Mii를 테마 배경 사진에 넣어 Wii 메시지 보드로 보낼 수도 있었다. 이 채널 역시 WiiConnect24와 함께 2013년 6월 28일에 종료되었다.
'''텔레비전 친구 채널'''은 일본에서 2008년 3월 4일에 출시되어 가이드 플러스(Guide Plus)가 제공하는 TV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했다.[31][32] Mii 테마의 도장으로 관심 프로그램을 표시하고, 등록된 이메일이나 휴대폰으로 방송 30분 전 알림을 받는 기능도 있었다. Wii 리모컨으로 TV 채널과 볼륨을 조작하여 바로 시청할 수도 있었다.[33] 일본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중단으로 인해 2011년 7월 24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으며, 다른 국가에서는 유사 서비스가 보편화되어 출시되지 않았다.[34]
'''디지캠 프린트 채널'''은 후지필름과 협력하여 개발된 채널로, 2008년 7월 23일 일본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용자는 SD 카드 속 사진을 이용해 포토북이나 명함(자신의 Mii 포함)을 디자인하고 온라인으로 후지필름에 주문하여 인쇄된 제품을 배송받을 수 있었다. 개별 사진 인화도 가능했다. 유럽, 호주, 북미 출시가 예정되었으나 이루어지지 않았고, 2013년 6월 28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35]
'''오늘과 내일 채널'''[36]은 미디어 코보(Media Kobo)와 공동 개발하여 2008년 12월 2일 일본, 2009년 9월 9일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37]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최대 6명의 Mii에 대해 사랑, 직장, 학업, 소통, 돈의 5가지 카테고리 운세를 볼 수 있었고, 두 Mii 간의 궁합 테스트와 '행운의 단어' 기능도 제공했다. Mii의 생년월일 데이터를 사용했지만, 생년은 매번 입력해야 했다.[38] 이 채널 역시 2013년 6월 28일에 종료되었다.[72]
'''Wii의 방'''은 2009년 5월 1일 일본에서 시작된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채널로, 닌텐도와 일본 광고 대행사 덴츠(Dentsu)의 합작으로 운영되었다. 가상 거실 인터페이스에 최대 8명의 Mii를 등록하여 상호작용하게 하고, TV를 통해 비디오 목록을 제공했다. 유명인 "컨시어지" Mii가 특별 프로그램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 서비스는 2012년 4월 30일에 종료되었다.
'''출전 채널'''은 닌텐도와 일본 온라인 음식 배달 포털 Demae-can의 합작으로 2009년 5월 26일 일본에서 출시된 음식 배달 서비스 채널이다. 다양한 배달 음식을 채널을 통해 직접 주문하고, 주문 내역은 Wii 메시지 보드로 전송되었다. 음식은 등록된 주소로 배달되었다. 이 채널은 2017년 3월 31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39] (배포는 2017년 2월 22일 종료)
'''닌텐도 채널'''(일본명: '''모두의 닌텐도 채널''')은 2007년 11월 27일 일본,[40] 2008년 5월 7일 북미,[41] 2008년 5월 30일 유럽 및 호주에서 출시된 채널이다.[42] 사용자들은 인터뷰, 트레일러, 광고 등 비디오를 시청하고 닌텐도 DS용 게임 데모를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DS 다운로드 스테이션과 유사 기능). 게임 정보 페이지와 평점 기능, 게임 검색 기능도 제공했으며, Wii 숍 채널로 바로 연결하여 게임을 구매할 수도 있었다. 채널은 매주 새로운 콘텐츠로 업데이트되었으며, 2009년에는 인터페이스 개선 및 기능 추가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북미 버전에서는 '닌텐도 위크', 영국 버전에서는 '닌텐도 TV'라는 주간 쇼가 제공되기도 했다.[44] 이 채널은 2013년 6월 28일에 종료되었다.[72]
'''마리오 카트 Wii 채널'''은 마리오 카트 Wii 게임 디스크를 통해 설치할 수 있는 채널이었다. 디스크 없이도 랭킹 확인, 친구 및 전 세계 플레이어와의 타임 트라이얼 기록 비교, 고스트 데이터 교환, 친구 관리 및 접속 확인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다. 레이스나 타임 트라이얼 참가를 위해서는 디스크가 필요했다. 또한, 닌텐도가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토너먼트에 참여하여 특정 목표를 달성하는 경쟁을 할 수도 있었다.[45] 이 채널의 온라인 기능 역시 닌텐도 Wi-Fi 커넥션 종료와 함께 중단되었다.
'''메시지 보드'''의 온라인 기능은 WiiConnect24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친구, 가족 등 다른 Wii 사용자와 메시지 및 사진을 교환할 수 있게 했다. 각 Wii는 고유한 이메일 주소(wii.com)를 가졌으며, 일반 이메일 계정이나 휴대폰(문자 메시지)과도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었다(단, 사진 첨부는 Wii에서 이메일로는 불가). 메시지 교환을 위해서는 주소록에 상대를 등록하고 승인해야 했다. 닌텐도로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나 게임 관련 소식도 이 보드를 통해 전달받았다.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자신이나 가족을 위한 메모를 캘린더에 남길 수 있었으며, ''타운으로 놀러가요 동물의 숲''과 같은 게임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내용이 업데이트되기도 했다. WiiConnect24 서비스가 종료되면서 온라인 기능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Wii 스피크 채널'''은 별도 판매된 Wii Speak 주변기기 사용자를 위한 채널이었다. 사용자들은 최대 4개의 채팅방 중 하나에 참여하여 온라인 음성 채팅을 할 수 있었으며, 각 사용자는 자신의 Mii로 표시되어 말할 때 입 모양이 움직였다. 다른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남기거나 사진 슬라이드 쇼를 공유하고 댓글을 다는 기능도 있었다. 이 채널은 2008년 12월 5일 북미와 유럽에서 출시되었다. 이 채널 역시 WiiConnect24 서비스 종료와 함께 2013년 6월 28일에 종료되었다.[72]
아래는 각 채널 및 서비스의 종료 현황이다.
채널 이름 | 서비스 종료일 | 비고 |
---|---|---|
TV 친구 채널 G 가이드 for Wii | 2011년 7월 24일 | 일본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Wii의 방 | 2012년 4월 30일 | 일본 전용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
날씨 채널 | 2013년 6월 28일 | WiiConnect24 서비스 종료[72] |
뉴스 채널 | 2013년 6월 28일 | WiiConnect24 서비스 종료[72] |
모두의 투표 채널 | 2013년 6월 28일 | WiiConnect24 서비스 종료[72] |
Mii 콘테스트 채널 | 2013년 6월 28일 | WiiConnect24 서비스 종료[72] |
디지캠 프린트 채널 | 2013년 6월 28일 | 일본 전용 사진 인화 서비스[72] |
오늘과 내일 채널 | 2013년 6월 28일 | [72] |
모두의 닌텐도 채널 | 2013년 6월 28일 | [72] |
Wii 스피크 채널 | 2013년 6월 28일 | WiiConnect24 서비스 종료[72] |
메시지 보드 (온라인 기능) | 2013년 6월 28일 | WiiConnect24 서비스 종료[72] |
출전 채널 | 2017년 3월 31일 | 일본 전용 음식 배달 서비스 (배포는 2017년 2월 22일 종료) |
훌루 채널 | 2017년 5월 17일 | |
유튜브 채널 | 2017년 6월 30일 | 구글의 플래시 기반 앱 지원 중단 |
러브필름 채널 | 2017년 10월 31일 | 영국 전용 |
6. 지원 게임
닌텐도 Wi-Fi 커넥션을 지원하는 게임은 패키지에 표시된 파란색 또는 붉은색 마크로 구별할 수 있다. 파란색 마크는 온라인 플레이 지원을 의미하며, 붉은색 마크는 온라인 플레이 외에 추가 콘텐츠 다운로드 기능까지 제공됨을 나타낸다. 이 서비스는 게임기의 무선랜 기능을 이용해 전 세계 사용자들과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해주었으며, 무선 인터넷 환경이라면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했다.
주요 기능은 온라인 멀티플레이로, 게임에 따라 최대 4명(닌텐도 DS 기준) 또는 그 이상(Wii 기준)의 플레이어가 함께할 수 있었다. 대전 상대는 친구, 같은 국가 사용자, 전 세계 사용자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게임은 대전 플레이를 지원했지만, 일부 게임에서는 채팅이나 음성 대화 기능도 제공했다. 닌텐도는 Wii 사용자를 대상으로 Wi-Fi 커넥션을 이용한 최초의 유료 다운로드 콘텐츠(DLC) 서비스인 '''Pay & Play'''를 도입하기도 했다.
닌텐도 Wi-Fi 커넥션은 2005년 11월 14일, 닌텐도 DS용 게임 ''마리오 카트 DS''의 출시와 함께 시작되었다.[1] 이후 ''토니 호크의 아메리칸 스케이트랜드'', ''놀러오세요 동물의 숲'' 등 초창기 지원 게임들이 출시되며 서비스 기반을 다졌다. Wii에서도 포켓몬 배틀 레볼루션(일본/북미)과 마리오 스트라이커즈 차저드(유럽 등)를 시작으로 Wi-Fi 커넥션 지원 게임이 출시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의 Wii 게임, 25개의 WiiWare 게임, 93개의 닌텐도 DS 게임, 4개의 닌텐도 DSiWare 게임 등 다수의 타이틀이 이 서비스를 지원했다.
그러나 2014년 5월 20일 23시(한국 시간 기준)를 기점으로 닌텐도 Wi-Fi 커넥션 서비스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46] 이로 인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던 모든 게임의 온라인 멀티플레이, 랭킹 확인, 데이터 교환, 추가 콘텐츠 다운로드 등의 기능은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6. 1. 닌텐도 DS
닌텐도 Wi-Fi 커넥션은 닌텐도 DS에서 최대 16명의 플레이어를 지원했으며, 인터넷 플레이를 가능하게 했다. 사용자는 전 세계 플레이어와 매치메이킹을 하거나, 순위를 경쟁하는 리더보드, 토너먼트 등의 기본 기능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다. 친구 코드를 교환한 친구들끼리는 추가적인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었다.최초로 Wi-Fi 커넥션을 지원한 닌텐도 DS 게임은 2005년 11월 14일에 북미에서 출시된 ''마리오 카트 DS''와 11월 16일에 출시된 ''토니 호크의 아메리칸 스케이트랜드''였다. 이후 일본에서는 11월 23일, 북미에서는 12월 5일에 ''놀러오세요 동물의 숲''이 출시되며 Wi-Fi 커넥션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특히 『놀러 오세요 동물의 숲』은 발매 직후부터 꾸준히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며 2006년 3월까지 200만 개 이상 판매되었고, 『마리오 카트 DS』 역시 64 버전 이후 오랜만에 밀리언셀러를 달성하는 등 초기 흥행을 견인했다.
전 세계적으로 총 93개의 닌텐도 DS 게임과 4개의 닌텐도 DSiWare 게임이 닌텐도 Wi-Fi 커넥션을 지원했다. 대한민국에서 이용 가능했던 주요 게임 목록은 다음과 같다.
게임 타이틀 | 비고 |
---|---|
마리오 카트 DS | |
월드 사커 위닝일레븐 DS | |
터치! 봄버맨랜드 | |
테트리스 DS | |
숫자로 찾는 그림퍼즐 피크로스 DS | |
놀러오세요 동물의 숲 | |
메트로이드 프라임 헌터즈 | |
FIFA 08 | |
포켓몬스터 DP 디아루가, 펄기아 | GTS를 사용하면 일본판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와 통신 가능 |
젤다의 전설 몽환의 모래시계 | |
유희왕 WORLD CHAMPIONSHIP 2007 | |
TANK BEAT 2 격돌! 전차 대전 | |
마리오와 소닉 베이징 올림픽 | |
비상구 EXIT DS | |
New International Track & Field | |
닌자가이덴 드래곤소드 | |
레이튼 교수와 이상한 마을 | |
레이튼 교수와 악마의 상자 | |
SPORE Creatures | |
캐슬바니아 오더 오브 에클레시아 | |
FIFA 09 | |
디지몬 챔피언십 |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의 탐험대·어둠의 탐험대 |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 |
엘레비츠 카이와 제로의 신비한 여행 | |
콜오브듀티 월드 앳 워 | |
유희왕 5Ds STARDUST ACCELERATOR -WORLD CHAMPIONSHIP 2009- | |
라그나로크 DS | |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 | |
환상수호전 티어크라스 | |
마리오와 소닉 밴쿠버 동계올림픽 | |
FIFA 10 | |
룬 팩토리 ~신목장이야기~ | |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 |
메탈 베이 블레이드 사이버 패가시스 | |
나만의 컬렉션 Girls Style | |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 |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2014년 5월 20일 오후 10시 30분(동부 표준시)을 기점으로 닌텐도 Wi-Fi 커넥션 서비스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이로 인해 위에 언급된 게임들을 포함한 모든 닌텐도 DS 및 DSiWare 타이틀의 온라인 멀티플레이, 랭킹 확인, 데이터 교환, 추가 콘텐츠 다운로드 기능이 중단되었다.[46]
6. 2. Wii
닌텐도 Wi-Fi 커넥션은 닌텐도 DS뿐만 아니라 Wii의 온라인 기능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했다.[1] Wii에서는 닌텐도 Wi-Fi 커넥션을 통해 최대 32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온라인 플레이를 즐길 수 있었다.최초의 Wii용 닌텐도 Wi-Fi 커넥션 지원 게임은 지역별로 다르게 출시되었다. 일본과 북미에서는 2006년에 출시된 포켓몬 배틀 레볼루션이었고, 유럽,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2007년에 출시된 마리오 스트라이커즈 차저드였다. 전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의 Wii 게임과 25개의 WiiWare 게임이 닌텐도 Wi-Fi 커넥션을 지원했다.
Wii는 닌텐도 Wi-Fi 커넥션을 통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온라인 기능을 제공했다.
- 계정 및 커뮤니티: 프렌드 코드 시스템을 통해 최대 100명의 친구를 등록하고, 개별 Mii 아바타를 최대 100개까지 생성하여 사용했다. WiiConnect24 기능을 활용하여 Wii 메시지 보드(메시지 교환), Wii Speak 채널(음성 채팅), 모두의 투표 채널(설문 참여), Mii 채널 보기(다른 유저 Mii 구경, PAL 지역은 Mii 콘테스트 채널) 등 다양한 소통이 가능했으며, 닌텐도 DS, 닌텐도 DSi, 닌텐도 3DS와도 상호 연결되었다.
- 게임 플레이: 온라인 멀티플레이, 추가 콘텐츠 다운로드(Pay & Play), 온라인 리더보드 경쟁, WiiConnect24를 이용한 게임 데이터 교환, 게임별 전용 채널 등을 지원했다.
- 온라인 상점 및 엔터테인먼트: Wii 숍 채널에서 게임 및 애플리케이션 구매가 가능했다. 지역에 따라 넷플릭스(북미/유럽), 훌루 플러스(미국), 유튜브(북미/유럽), 러브필름(영국),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미국), BBC iPlayer(영국) 등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고, 일본에서는 텔레비전 친구 채널, 디지캠 프린트 채널, 데마에 채널, 오늘과 내일 채널 등 특화된 채널도 제공되었다.
- 기타 기능: 오페라 기반의 인터넷 브라우저(어도비 플래시 지원)로 웹 서핑이 가능했고, 닌텐도 채널을 통해 게임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자녀 보호 기능, 온라인 매뉴얼, 고객 지원, 클럽 닌텐도 로열티 프로그램 연동 및 Wii 시스템 업데이트도 지원했다.
대한민국에서 닌텐도 Wi-Fi 커넥션을 통해 이용 가능했던 주요 Wii 게임은 다음과 같다.
- Wii Sports
- 레이맨 엽기토끼 2
- 마리오와 소닉 베이징 올림픽
- 마리오 파티 8
-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
- 기타 히어로3 : 레전드 오브 락
- 심시티: 나만의 도시
- 모두 함께~ 타코롱
- FIFA 09
- 콜오브듀티 월드 앳 워
- 타이거우즈 PGA 투어 2009
- 마리오 카트 Wii
- 레이맨 엽기토끼 TV 파티
- 타이거우즈 PGA 투어 2010
- 마리오와 소닉 밴쿠버 동계올림픽
- 바이오하자드 다크사이드 크로니클즈
- FIFA 10
- Wii Music
- 타운으로 놀러가요 동물의 숲
- 마리오 파워 사커
-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 발할라 나이츠 엘더 사가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서비스는 운영을 종료했다. ''Wii no Ma''는 2012년 4월 30일에,[2] ''커비 TV 채널''은 2012년 10월에 운영을 종료했다.[3] 닌텐도는 2013년 6월 28일 전 세계적으로 WiiConnect24 서비스를 중단했으며,[4] 이로 인해 다음 Wii 채널들의 온라인 기능이 종료되었다.
- ''닌텐도 채널''
- ''날씨 채널''
- ''뉴스 채널''
- ''Mii 채널 보기''
- ''모두의 투표 채널''
- ''디지캠 프린트 채널''
최종적으로 2014년 5월 20일 오후 10시 30분(동부 표준시)을 기점으로 닌텐도 Wi-Fi 커넥션 서비스가 완전히 종료됨에 따라, Wii를 포함한 모든 관련 기기에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온라인 플레이 및 추가 콘텐츠 다운로드가 불가능하게 되었다.[46]
7. 서비스 종료 및 영향
2014년 5월 20일 23시, Wii 및 DS 게임의 닌텐도 Wi-Fi 커넥션 서비스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이로 인해 해당 게임들의 온라인 플레이 기능은 홈브루 없이는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종료는 2012년 Glu Mobile에 인수된 GameSpy의 멀티플레이어 서비스 종료와 관련이 있다.[57][58]
3DS와 Wii U 게임은 닌텐도 네트워크라는 자체 멀티플레이어 플랫폼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 종료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Wii 숍 채널, 타사 비디오 서비스, Pay & Play 서비스 등은 별도의 일정으로 종료되었다. Wii 숍 채널은 2019년 2월 1일에 종료되었지만, 종료 이후에도 이전에 구매한 콘텐츠 재다운로드, Wii 데이터를 Wii U로 전송하는 도구 사용,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의 저장 데이터 업데이트 채널 다운로드 등 일부 기능은 유지되었다.[57][58]
닌텐도가 출시한 모든 Wii 및 DS 타이틀이 서비스 종료의 영향을 받았지만, 자체 서버를 운영하는 일부 타사 게임은 예외적으로 온라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EA는 자사가 출시한 일부 Wii 및 DS 게임의 온라인 지원을 2014년 6월 30일에 종료한다고 별도로 밝혔다.[59] 또한, 닌텐도 Wi-Fi 커넥션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은 소수의 온라인 지원 Wii 게임(예: 최신 ''FIFA'' 게임, 드래곤 퀘스트 X)은 종료 후에도 온라인 기능을 계속 사용할 수 있었다.
Wi-Fi 커넥션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는 대부분 2012년 말까지 출시되었으며, 2013년 이후에는 신규로 출시되지 않았다.
서비스 종료 이후, Wi-Fi 커넥션 기능을 복원하려는 팬들의 노력으로 여러 사설 서버가 등장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Wiimmfi로, 닌텐도 WFC 종료 10일 전인 2014년 5월 10일에 공개된 무료 사설 서버이다.[60][61][62][63] Wiimmfi는 ''마리오 카트 Wii''의 대체 서버로 시작하여 현재까지 운영 중이며, 해당 게임은 Wiimmfi에서 가장 인기 있는 타이틀 중 하나이다.
다음은 닌텐도 Wi-Fi 커넥션과 관련된 주요 채널 및 서비스의 종료 일정이다.
채널/서비스 | 종료 시점 |
---|---|
TV 친구 채널 G 가이드 for Wii | 2011년 7월 24일 (서비스 및 배포 종료) |
Wii의 공간 | 2012년 4월 30일 (서비스 및 배포 종료) |
얼굴 만들기 채널(인터넷 서비스), 날씨 채널, 뉴스 채널, 모두의 투표 채널, Mii 콘테스트 채널, 모두의 닌텐도 채널, 디지털 카메라 프린트 채널, 오늘과 내일의 운세 럭키 채널, Wii 스피크 채널 | 2013년 6월 28일 (인터넷 이용 서비스 및 배포 종료)[72] |
출전 채널 | 2017년 2월 22일 (배포 종료), 2017년 3월 31일 (서비스 종료) |
훌루 | 2017년 5월 17일 (서비스 종료) |
유튜브 | 2017년 6월 30일 (서비스 종료) |
Wii 숍 채널, Pay & Play 서비스 | 2019년 2월 1일 (서비스 종료)[57][58] |
7. 1. WEP 보안 문제
닌텐도 DS는 IEEE 802.11b 규격의 무선 어댑터를 내장하여 닌텐도 Wi-Fi 커넥션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었으나, 보안 방식으로는 WEP(유선 동등 프라이버시)만을 지원했다. WEP는 암호 해독이 비교적 쉬워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꾸준히 지적되었다. 닌텐도 DS 자체의 보안 업데이트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했기에, 닌텐도는 닌텐도 Wi-Fi 네트워크 어댑터와 같이 여러 보안 방식을 지원하는 공유기 사용을 권장했다.[76]2008년 11월 1일에 발매된 닌텐도 DSi부터는 WEP보다 보안이 강화된 WPA (TKIP) 및 WPA2 (CCMP) 암호화 방식(WPA-PSK/WPA2-PSK)을 지원하기 시작했다.[77] 하지만 닌텐도 DSi에서도 모든 게임이 WPA/WPA2를 지원하는 것은 아니었다. 패키지에 "고속/고 보안 무선 통신 대응"이라고 표시된 소프트웨어(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만이 WPA/WPA2 연결을 사용할 수 있었고, 기존 닌텐도 DS용 소프트웨어로 닌텐도 Wi-Fi 커넥션을 이용할 때는 여전히 WEP 방식만 사용해야 했다.[78][79][80] 이러한 방식은 후속 기종인 닌텐도 3DS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되었다. 3DS 자체는 WPA/WPA2를 지원했지만, 닌텐도 DS 및 닌텐도 DSi 소프트웨어와의 하위 호환성을 위해 Wi-Fi 설정을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에 맞춰야 했다.
참조
[1]
잡지
Wi-Fiコネクションについて講演 『ウイイレ』など40タイトルが開発中 - ファミ通 (archived)
https://www.famitsu.[...]
2006-03-28
[2]
웹사이트
Nintendo to close VoD site
http://www.filmbiz.a[...]
2012-02-22
[3]
웹사이트
The ''Kirby TV Channel'' for Wii is back!
https://www.nintendo[...]
Nintendo
2012-08-23
[4]
웹사이트
Wii Network Service Partial Discontinuation - Nintendo Official Site
https://www.nintendo[...]
[5]
웹사이트
|
https://www.nintendo[...]
Nintendo
[6]
웹사이트
Nintendo chose internet friend codes because using real names was not simple enough
https://www.eurogame[...]
2020-05-04
[7]
웹사이트
IGN: GDC 2008: Pay & Play Your Wii
http://wii.ign.com/a[...]
IGN
2008-02-22
[8]
웹사이트
Nintendo World Report - News Article: WiiWare Service and Games Detailed
http://nintendoworld[...]
Nintendo World Report
2008-03-26
[9]
웹사이트
Rumor: Samba de Amigo for Wii getting downloadables
http://www.joystiq.c[...]
Joystiq
2008-03-07
[10]
뉴스
BBC re-launches iPlayer on Wii to fix problems
http://www.techradar[...]
[11]
뉴스
BBC iPlayer launches Wii channel
http://news.bbc.co.u[...]
BBC
2009-11-13
[12]
웹사이트
The new iPlayer on the Nintendo Wii
https://www.bbc.co.u[...]
BBC
[13]
웹사이트
Can I access BBC iPlayer on my Nintendo Wii game system?
http://iplayerhelp.e[...]
BBC
[14]
웹사이트
Why is BBC iPlayer no longer available on the Wii?
http://iplayerhelp.e[...]
BBC
[15]
웹사이트
Wii Shop Channel closing down in 2019
https://www.polygon.[...]
2017-09-29
[16]
웹사이트
WiiWare launching in Japan March 25
http://www.gamespot.[...]
[17]
뉴스
UPDATE 1-Nintendo rolls out Wii fitness game product
https://www.reuters.[...]
2008-02-20
[18]
웹사이트
Nintendo announces Q2 release schedule
https://www.nintendo[...]
2008-04-24
[19]
웹사이트
WiiWare Launches in Australia
http://www.ign.com/a[...]
IGN
2008-05-19
[20]
웹사이트
Wii U & Nintendo 3DS eShop Discontinuation
https://en-americas-[...]
2022-02-15
[21]
보도자료
Thousands of Movies & TV Episodes from Netflix now available via Nintendo's Wii Console
http://netflix.media[...]
2010-04-12
[22]
웹사이트
Netflix streaming video now disc-free on the Nintendo Wii
https://venturebeat.[...]
Netflix
2010-10-18
[23]
웹사이트
No more Netflix on Wii: Nintendo to end streaming on console in January
https://www.cnet.com[...]
2018-11-12
[24]
웹사이트
Madden NFL 07 (Wii)
http://reviews.cnet.[...]
CNET
2006-11-19
[25]
뉴스
News Channel
http://wii.nintendo.[...]
Nintendo
[26]
뉴스
Wii gamers to get online news service
http://seattletimes.[...]
Nintendo
2007-01-25
[27]
웹사이트
Wii News Channel updated- What are you waiting for?
http://gonintendo.co[...]
[28]
웹사이트
Wii launches in South Korea on April 26 with even cheaper Virtual Console games
http://www.siliconer[...]
2008-04-14
[29]
웹사이트
News Channel
https://www.nintendo[...]
[30]
웹사이트
Nintendo Discontinues Several Online Wii Services
http://www.gameinfor[...]
[31]
웹사이트
TV Schedule and Wii Shop Upgrade for Wii
http://www.cubed3.co[...]
[32]
웹사이트
N-Europe: News: No Wii Price Cut & A New Wii Channel
http://www.n-europe.[...]
2007-10-26
[33]
웹사이트
TV Guide Hits Japanese Wii
http://wii.ign.com/a[...]
IGN
2008-03-02
[34]
웹사이트
Will the Wii be a set-top box?
http://news.cnet.com[...]
CBS Interactive
[35]
웹사이트
뉴스릴리스 : 2008년7월23일
https://www.nintendo[...]
[36]
웹사이트
Free Today and Tomorrow Channel launches for Wii
https://www.nintendo[...]
2015-02-07
[37]
웹사이트
Wii Channels
http://www.nintendo.[...]
Nintendo
2009-09-14
[38]
웹사이트
Hands On Nintendo's Fortune Telling Channel - Siliconera
http://www.siliconer[...]
2015-02-07
[39]
웹사이트
Wii Channels
https://www.nintendo[...]
Nintendo
2009-04-26
[40]
웹사이트
DS demos on your Wii in Japan
http://www.clubskill[...]
Club Skill
2007-11-27
[41]
웹사이트
Nintendic » Nintendo Channel dated for US, WiiWare integrated
http://www.nintendic[...]
[42]
웹사이트
Nintendo announces Q2 release schedule
http://nintendo.co.u[...]
Nintendo
2008-04-24
[43]
웹사이트
みんなのニンテンドーチャンネル - Wii
https://www.nintendo[...]
[44]
웹사이트
News: ONM launches Nintendo TV
http://www.computera[...]
2013-08-23
[45]
웹사이트
Nintendo - News - Going global with Mario Kart Wii
https://www.nintendo[...]
2008-04-03
[46]
웹사이트
Titles with additional downloadable content
https://www.nintendo[...]
Nintendo
2014-05-15
[47]
웹사이트
Nintendo vs. Cisco
http://nostringsatta[...]
The No Strings Attached Show
2014-04-05
[48]
웹사이트
Nintendo Wi-Fi USB Connector available
http://www.n-sider.c[...]
N-Sider
2008-03-04
[49]
웹사이트
Home - Nintendo Online Store
http://store.nintend[...]
2015-02-07
[50]
뉴스
Nintendo Wi-Fi USB dongle discontinued
https://www.engadget[...]
2018-03-17
[51]
웹사이트
Datel USB Wi-Fi Max Adapter
http://us.codejunkie[...]
Datel
2011-01-04
[52]
웹사이트
Nintendo and Wayport Join Forces to Bring Free U.S. Wi-Fi Access To Nintendo DS Users
http://www.gamesindu[...]
2005-10-18
[53]
웹사이트
Nintendo and Fatport Join Forces to Bring Free Wi-Fi Access To Canadian Nintendo DS Users
http://www.nintendo.[...]
2005-10-29
[54]
웹사이트
Nintendo of Europe on DS Chat, Revolution News Story From 1UP.com
http://www.1up.com/d[...]
2019-11-04
[55]
웹사이트
Nintendo Announces Simple, Safe And Free*, Wi-Fi Access At Over 7,500 Locations Nationwide As It Launches Wi-Fi Gaming Service
http://www.qj.net/ni[...]
2005-11-02
[56]
웹사이트
Nintendo - Wayback Machine
http://www.nintendo.[...]
2017-02-09
[57]
웹사이트
Nintendo Terminating Wi-fi Service For DS and Wii
http://ca.ign.com/ar[...]
IGN
2014-04-04
[58]
웹사이트
GameSpy Multiplayer Shutting Down, Hundreds of Games at Risk
http://ca.ign.com/ar[...]
2014-04-04
[59]
웹사이트
EA Releases Lengthy List of Online Services to be Shut Down on DS and Wii
http://www.nintendol[...]
Nintendo Life
2014-05-13
[60]
웹사이트
Wiimmfi Website
https://wiimmfi.de/d[...]
2024-04-23
[61]
웹사이트
Wiimmfi A tool which brings back Nintendo Wi-Fi Connection
https://alternativet[...]
2024-04-23
[62]
뉴스
Is the Mario Kart esports scene on the rise? Recent World Cup success argues it may be.
https://www.washingt[...]
2024-04-23
[63]
웹사이트
Fan project "Wiimmfi" lets you play some games online following Nintendo Wi-Fi Connection shutdown
https://nintendoever[...]
2014-05-14
[64]
문서
Wi-Fi対応
[65]
웹사이트
「ニンテンドーDS」および「Wii」ソフトの「ニンテンドーWi-Fiコネクション」サービス終了のお知らせ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14-02-27
[66]
웹사이트
2012年1月27日(金)経営方針説明会 / 第3四半期決算説明会(4ページ)
http://www.nintendo.[...]
任天堂
2012-01-27
[67]
웹사이트
『マリオカートDS』開発スタッフインタビュー
https://www.nintendo[...]
2024-01-28
[68]
웹사이트
ニンテンドーWi-Fiコネクションとは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06-06
[69]
문서
ニンテンドーWi-Fi USBコネクタ
[70]
웹사이트
「ニンテンドーWi-Fi USBコネクタ」および「ニンテンドーWi-Fiネットワークアダプタ」使用中止のお願い
https://www.nintendo[...]
[71]
문서
[72]
웹사이트
「Wii」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 一部終了のお知らせ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13-04-12
[73]
웹사이트
「ニンテンドーWi-Fiコネクション」、接続2000万回・ユニーク数85万を達成
https://www.inside-g[...]
イード
2006-02-10
[74]
보도자료
「NetFront® Browser」が「ニンテンドーDS®」のゲームソフトウェア開発用ミドルウェアセットに採用
https://www.access-c[...]
ACCESS
2006-10-16
[75]
웹사이트
任天堂岩田氏「ゲーム人口の継続的拡大にはネット接続が重要」
https://bb.watch.imp[...]
Impress Watch
2007-10-10
[76]
웹사이트
WEPは一瞬で解読 ニンテンドーDSはどうなる。
https://www.itmedia.[...]
アイティメディア
2008-10-17
[77]
웹사이트
「ニンテンドーDSi」が発表。カメラやSDカードスロットを搭載
https://bb.watch.imp[...]
BB Watch
2008-10-02
[78]
웹사이트
社長が訊く「ニンテンドーWi-Fiネットワークアダプタ」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08-10-24
[79]
웹사이트
Nintendo DSi 取扱説明書・操作編
https://www.nintendo[...]
任天堂
[80]
웹사이트
WPAや11gに対応。ネット機能を強化した「ニンテンドーDSi」
https://bb.watch.imp[...]
Impress Watch
2008-11-01
[81]
웹인용
Service Discontinuation: Nintendo Wi-Fi Connection Service
https://www.nintendo[...]
Nintendo
2020-01-09
[8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intendo.co.k[...]
2007-07-04
[8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intendo.co.k[...]
2007-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