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바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 바트는 밥, 콩 수프, 반찬으로 구성된 네팔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강황, 커민, 고수 등 다양한 향신료를 사용한 카레 맛이 특징이며, 인도 요리보다 덜 맵다. 주요 구성 요소는 콩으로 만든 달, 쌀밥인 바트, 채소 볶음인 타르카리, 푸른 채소 볶음인 사그, 매운 절임인 아차르 등으로, 영양 균형이 잘 잡힌 식사로 평가받는다. 일본에서도 네팔 음식점에서 달 바트를 판매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키스탄의 쌀 요리 - 비리아니
비리아니는 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쌀 요리로, 쌀과 고기, 해산물 또는 채소, 다양한 향신료를 넣어 만들며, 페르시아에서 유래하여 무굴 제국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파키 방식과 카치 방식으로 나뉘며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 파키스탄의 쌀 요리 - 키치리
키치리는 인도 아대륙에서 쌀과 콩류를 함께 조리하여 즐겨 먹는 전통 음식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조리법으로 변형되었으며, 하리아나 주의 주식이자 하이데라바드 무슬림의 아침 식사로 유명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구자라트 요리 - 차파티
차파티는 인도 아대륙의 주식이자 밀빵의 하나로, 밀가루와 물을 반죽하여 얇게 펴 타바에 구워 만들며, 다양한 음식과 함께 즐기는 납작한 빵이다. - 구자라트 요리 - 비리아니
비리아니는 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쌀 요리로, 쌀과 고기, 해산물 또는 채소, 다양한 향신료를 넣어 만들며, 페르시아에서 유래하여 무굴 제국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파키 방식과 카치 방식으로 나뉘며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방글라데시의 쌀 요리 - 비리아니
비리아니는 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쌀 요리로, 쌀과 고기, 해산물 또는 채소, 다양한 향신료를 넣어 만들며, 페르시아에서 유래하여 무굴 제국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파키 방식과 카치 방식으로 나뉘며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방글라데시의 쌀 요리 - 키치리
키치리는 인도 아대륙에서 쌀과 콩류를 함께 조리하여 즐겨 먹는 전통 음식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조리법으로 변형되었으며, 하리아나 주의 주식이자 하이데라바드 무슬림의 아침 식사로 유명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달 바트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달 차왈 달 바트 |
국가 | 인도 방글라데시 네팔 부탄 스리랑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가이아나 수리남 자메이카 모리셔스 피지 |
지역 | 인도 동부 네팔 |
종류 | 식사 |
주 재료 | 쌀 채소 렌즈콩 차트니 또는 아차르 |
언어별 명칭 |
2. 구성
달 바트(l2=hi|दाल भातne)는 렌즈콩 등 콩으로 만든 수프나 커리인 달과 쌀밥인 "바트"를 함께 이르는 말이다. 일본으로 치면 "된장국, 밥, 반찬"과 비슷하며, 네팔에서 "요리"라고 하면 보통 달 바트를 가리킨다. 네팔 요리는 강황, 커민, 고수 등 여러 향신료를 사용한 카레 맛이 기본인데, 인도 요리보다 고추를 덜 써서 순하고 담백한 편이다. 특히 달은 순해서 매운 음식과 잘 어울린다.[1]
달 바트는 달, 바트 외에 타르카리, 사그, 아차르 등으로 구성된다. 타르카리는 반찬, 사그는 푸른 채소 볶음, 아차르는 매운 절임이나 양념을 말한다. 달 바트는 전체적으로 영양 균형이 잘 잡힌 식사이다.[1]
2. 1. 달 (दाल)
달은 콩으로 만든 수프이다. 묽은 편이며, 밥에 곁들여 먹는다. 네팔에서는 300여 종의 콩을 식재료로 사용하며, 렌즈콩, 비둘기콩, 검은콩, 녹두, 팥 등을 흔히 사용한다.[1]2. 2. 바트 (भात)
바트(l2=hi|भातne)는 쌀밥을 뜻한다. 바스마티라고 불리는 인디카 쌀 (장립종 쌀)이며, 가늘고 흩날린다. 네팔에서는 흰쌀밥 외에 주식으로 디도(옥수수나 수수 등의 가루를 뜨거운 물에 반죽한 것)나 로티(빵)도 먹는다.[1]2. 3. 타르카리 (तर्कारी)
타르카리(तर्कारी|tarkaariine)는 반찬이다. 볶음 채소나 카레(채소가 주 재료) 등으로, 감자, 콜리플라워, 여주, 강낭콩 등이 자주 사용된다.[1] 가게에 따라서는 재료를 매일 바꿔 질리지 않도록 궁리한다. 때로는 별도로 고기 요리 등을 만들기도 하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드물고, 일주일에 한 번 정도만 먹는다. 반찬이 없는 경우에는 달과 바트만 조합하기도 한다.[1][2]2. 4. 사그 (साग)
साग|사그sa는 푸른 채소 볶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로 갓을 사용하지만, 계절이나 지역에 따라서는 시금치를 사용하기도 한다.[1]2. 5. 아차르 (अचार)
아차르(अचार)는 매운 맛의 절임 또는 양념이다. 무나 감자 등을 주재료로 사용하며, 건조시킨 완두콩, 틴부르(산초) 및 탄 호로파 등의 풍미를 더한다.[1] 크르사니(खोर्सानी khorsāni, 작고 매운 고추)를 곁들여 매운 맛을 조절하기도 한다.3. 영양
달 바트는 콩, 쌀, 채소, 향신료 등 다양한 식재료를 사용하여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식사로 평가받는다.[1]
4. 향신료
타르카리에는 마살라라고 불리는 다양한 향신료가 사용된다. 자주 사용되는 것은 베사르(강황), 랏슨(마늘), 모리지(흑후추), 아두아(생강), 크루사니(고추) 등이다.[1] 여러 향신료를 미리 배합한 믹스 마살라도 있으며, 가람 마살라가 대표적이다. 그 외에도 "카레 파우더", "치킨 마살라", "야채 마살라" 등도 네팔의 식료품점이나 슈퍼에서 판매되고 있다.[2]
4. 1. 주요 향신료 목록
5. 일본의 네팔 음식점
일본의 인도·네팔 요리점#네팔인이 많은 이유
달 바트는 가정 요리이기 때문에, 인도 요리점에서 일해 온 네팔인 요리사 중에는 그러한 요리를 내놓아도 팔리지 않고 자존심에 상처를 입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다[3]。어느 날, 신오쿠보의 네팔 음식점이 유학생들을 위해 달 바트를 제공하자 호평을 받았다. 당시 어학원이나 전문학교에는 학생 식당이 없었기 때문에 유학생들은 어쩔 수 없이 외식을 해야 했다. 이윽고 500JPY에 달 바트를 제공하는 가게도 나오게 되면서 일본인 손님들의 주목도 받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地球の歩き方 ネパール
[2]
웹사이트
ネパール料理教室 特定非営利活動法人ヒマラヤ保全協会
http://www.tanokura.[...]
[3]
웹사이트
プライドが許さなかった「ガチネパ」の誕生 トレンド最前線は日本に: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9-20
[4]
뉴스
네팔에도 커리가 없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21-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