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1987년 12월 16일에 치러졌으며,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결과로 대통령 직선제가 부활한 후 처음 실시된 선거였다. 선거는 집권 여당인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통일민주당의 김영삼, 평화민주당의 김대중, 신민주공화당의 김종필 등 4명의 주요 후보 간의 경쟁으로 진행되었다. 선거 결과, 노태우 후보가 36.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나, 야권 후보들의 분열과 지역 감정을 이용한 선거 운동으로 인해 공정성 논란이 일었다. 특히, 부정선거 의혹, 정치 폭력, 언론의 불공정 보도 등이 제기되었으며, 칠레 민주화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7년 12월 - 1987년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1987년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1987년 영화를 대상으로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가 수여했으며, 최우수 작품상은 《희망과 영광》, 감독상은 존 부어만이 수상했다.
  • 1987년 12월 - 1987년 알리안사 리마 항공기 참사
    1987년 알리안사 리마 항공기 참사는 페루 축구 클럽 알리안사 리마 선수단을 태운 페루 해군 소속 항공기가 추락하여 탑승자 43명 전원이 사망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팀 재건에 어려움을 겪고 페루 축구계에 큰 슬픔을 안겼다.
  • 6월 항쟁 - 6·29 선언
    6·29 선언은 1987년 6월 민주 항쟁의 결과로 노태우 당시 민주정의당 대표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골자로 발표한 특별 선언으로, 8개 항의 민주화 조치를 통해 4·13 호헌 조치를 철회하고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제9차 개정 헌법을 확정하여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6월 항쟁 - 이한열
    이한열은 1987년 6월 항쟁을 격화시킨 연세대생 민주화 운동가로, 시위 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여 민주국민장으로 장례가 치러졌고 연세대학교 명예 학사 학위가 추서되었으며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 김종필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 김종필 - 5·17 쿠데타
    5·17 쿠데타는 1980년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12·12 군사반란 이후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국회를 해산하여 권력을 장악한 사건이다.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지도
광역시·도별 선거 결과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기본 정보
선거 종류대통령
국가대한민국
이전 선거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81년
다음 선거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92년
선거일1987년 12월 16일
투표율89.2%
후보자
후보 1노태우
정당 1민주정의당
득표수 18,282,738
득표율 136.64%
후보 2김영삼
정당 2통일민주당
득표수 26,337,581
득표율 228.03%
후보 3김대중
정당 3평화민주당
득표수 36,113,375
득표율 327.04%
후보 4김종필
정당 4신민주공화당
득표수 41,823,067
득표율 48.06%
선거 결과
당선자노태우
당선 정당민주정의당
이전 대통령전두환
이전 대통령 정당민주정의당
관련 서적
서적 정보0-19-924959-8

2. 역사적 배경

1987년 초,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계기로 6월 항쟁이 일어나 민주화 요구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6월 10일부터 29일까지 이어진 이 시위는 당시 대통령 전두환과 그의 후계자로 지명된 노태우 정권을 압박하여 주요 요구를 수용하고 헌법을 개정하도록 만들었다.[3]

전두환 대통령 시절, 헌법은 박정희의 유신 헌법보다 다소 권위주의적인 성격이 덜한 것으로 개정되었다. 개정된 헌법은 통신비밀을 보장하고, 고문을 금지하며, 강압에 의해 얻어진 자백을 무효화하였다. 또한 대통령의 임기를 7년 단임으로 제한하고, 임기를 연장하는 개헌은 현직 대통령에게 적용되지 않도록 규정하여 전두환이 1987년에 다시 출마하는 것을 막았다. 그러나 대통령은 의회 해산 권한[5], 비상시 헌법상 자유의 정지 권한, 위기 시 법률 개정 또는 폐지 권한[6] 등 상당히 광범위한 권한을 유지하였다. 이 기간 동안 수백 개의 언론 기관을 폐쇄한 언론기본법과 같은 법안이 통과되었다.[4]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야당인 신한민주당(NKDP)이 승리한 후 헌법 개정 요구가 제기되었다. 1986년 4월 13일, 전두환은 헌법을 옹호하는 연설을 하고, 차기 대통령은 자신의 정당인 민주정의당(DJP) 소속이 될 것이며, 헌법 논쟁은 1988년 올림픽이 끝날 때까지 연기될 것이라고 밝혔다.[4] 민주정의당은 야당이 분열되어 협상 파트너 역할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올림픽 준비와 다가오는 선거에 피해를 줄 것이라고 믿었다.[7]

이러한 상황에서 1987년 6월 10일, 민주정의당 대표 노태우가 전두환의 후계자로 발표되면서 대규모 시위가 다시 발생했다.[3]

2. 1. 대통령 직선제 개헌

1987년 초, 학생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계기로 6월 항쟁에서 민주화 요구 시위가 확산되자, 여당인 민정당 대표 최고위원 노태우6월 29일 '''6·29 민주화 선언'''(이하 “6·29 선언”)을 발표하였다.[3] 이 선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었다.

  • 20세 이상 모든 국민의 직접 대통령 선거 참여
  • 출마 자유와 공정한 경쟁
  • 김대중을 비롯한 정치범 사면
  • 인간 존엄성 보호 및 기본 인권 신장
  • 언론 자유 및 제한적인 언론기본법 폐지
  • 교육 자치 및 지방 자치
  • 대화와 타협을 위한 새로운 정치 풍토 조성
  • 깨끗하고 정직하며 더욱 정의로운 사회 건설을 위한 과감한 사회 개혁 추진


6·29 선언을 받아들여, 같은 해 7월 1일, 전두환 대통령은 선언 수용을 표명했다.[16] 7월 8일에는 김대중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공동의장을 포함한 야권 인사 2000명 이상에 대한 사면·복권을 실현했다.[17]

직접선거제 도입을 위한 대한민국 헌법 개정을 둘러싼 협상은 민정당과 민주당에서 각각 4명의 위원을 내어 구성된 소위 「8인 정치 회담」에서 진행되었고, 8월 1일에 첫 회합이 열렸다.[18]

여야 간에는 대통령 임기, 선거권 취득 연령, 후보자 자격 등을 둘러싸고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최종적으로 선거권 취득 연령에 대해서는 헌법에는 명기하지 않고 법률로 별도로 명기하는 것으로 정해졌고, 여당은 후보자 자격 「국내 거주 5년」을 철회하는 등 대폭 양보하여 「8인 정치 회담」의 협상은 8월 말까지 완전히 타결되었다.[19][20]

「8인 정치 회담」 합의를 받아들여, 9월 21일에 여야 합의 하에 헌법 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되었고, 10월 13일에 헌법 개정을 위한 국민투표가 공시되어, 같은 달 10월 27일 국민투표에서 90% 이상의 찬성으로 승인되었다.[21] 이것이 통칭 「'''제6공화국 헌법'''」이다.

새로운 헌법은 1987년 10월 29일 확정·공포되었으며 '대통령은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한다.'고 국민에 의한 직접선거의 원칙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대통령 임기를 5년으로 단축하고, 1980년 헌법의 대통령 재선 금지 조항을 유지했다.

2. 2. 선거 직전 상황

제5공화국 신군부 정권은 12·12 군사 반란의 동지 노태우를 후계자로 지명했으나, 대통령 선거인단에 의한 형식적인 간접선거를 치르기 전에 6월 항쟁이 발생했다. 연세대학교 학생운동가 이한열 열사가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는 사건이 발생하여 국민들의 분노를 일으켰고, 이는 6월 항쟁으로 표출되었다.

심각한 상황이 계속되자 전두환 대통령과 민정당 노태우 후보는 국민의 직선제 개헌 요구를 수용하였다. 노태우는 특별 선언을 통해 국회에서 야당과 협의하여 헌법개정안을 만들겠다고 발표하였다. 핵심은 대통령 직선제 규정이었다. 1987년 10월 29일 확정·공포된 헌법(현행 헌법)은 '대통령은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한다.'고 직접선거의 원칙을 명시하고 있다.[4]

전두환 정부는 노태우의 당선에 유리한 구도를 만들기 위해 야권 분열을 노리고 김대중을 조기 사면하였다. 그러나 김대중은 출마와 불출마에 대해 모호한 태도를 취하다가 결국 출마를 선언했다. 김영삼과 김대중에 대해 재야인사, 운동권, 일반시민들까지도 후보단일화를 주장했지만, 양김의 의견대립으로 단일화는 결렬되었다.

6월 항쟁[3]으로 알려진,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와 시민의 자유를 요구하는 전국적인 시위가 일련의 과정으로 이어진 후 선거가 치러졌다. 시위대는 당시 대통령 전두환과 그의 후계자로 지명된 노태우 정권을 설득하여 주요 요구를 받아들이고 헌법을 개정하게 만들었다. 헌법 개정은 9차 개헌으로 이어졌다.[4]

전두환 대통령 시절, 헌법은 박정희의 유신헌법보다 다소 권위주의적인 성격이 덜한 것으로 개정되었다. 개정된 헌법은 통신비밀을 보장하고, 고문을 금지하며, 강압에 의해 얻어진 자백을 무효화하였다. 또한 대통령의 임기를 7년 단임으로 제한하고, 임기를 연장하는 개헌은 현직 대통령에게 적용되지 않도록 규정하여 전두환이 1987년에 다시 출마하는 것을 막았다. 동시에 대통령은 의회 해산 권한[5], 비상시 헌법상 자유의 정지 권한, 위기 시 법률 개정 또는 폐지 권한[6] 등 상당히 광범위한 권한을 유지하였다. 이 기간 동안 수백 개의 언론 기관을 폐쇄한 언론기본법과 같은 법안이 통과되었다.[4]

1985년 4월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야당인 신한민주당(NKDP)이 승리한 후 헌법 개정 요구가 제기되었다. 1986년 4월 13일 전두환은 헌법을 옹호하는 연설을 하고, 차기 대통령은 자신의 정당인 민주정의당(DJP) 소속이 될 것이며, 헌법 논쟁은 한국이 개최할 1988년 올림픽이 끝날 때까지 연기될 것이라고 밝혔다.[4] 민주정의당은 야당이 분열되어 협상 파트너 역할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올림픽 준비와 다가오는 선거에 피해를 줄 것이라고 믿었다.[7]

1987년 6월 10일, 민주정의당 대표 노태우가 전두환의 후계자로 발표되면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3] 발표의 공개적인 성격과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한 대학생의 사건(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한국 전역에서 시위를 촉발했다.[3] 6월 29일 노태우는 헌법 개정 요구에 굴복하여 8개 항의 계획을 제안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세 이상 모든 국민의 직접 대통령 선거 참여
  • 출마 자유와 공정한 경쟁
  • 김대중을 비롯한 정치범 사면
  • 인간 존엄성 보호 및 기본 인권 신장
  • 언론 자유 및 제한적인 언론기본법 폐지 (대한민국의 언론)
  • 교육 자치 및 지방 자치
  • 대화와 타협을 위한 새로운 정치 풍토 조성
  • 깨끗하고 정직하며 더욱 정의로운 사회 건설을 위한 과감한 사회 개혁 추진


새로운 헌법 개정안은 10월 12일 국회에서 비준되었고, 10월 27일 국민투표에 부쳐졌다. 투표자의 93%가 개정안에 찬성하여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의 직접 민주적 선거가 가능해졌다.[4] 새로운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5년으로 단축하고, 1980년 헌법의 대통령 재선 금지 조항을 유지했다. 또한 대통령은 헌법상 자유를 정지하고 의회를 해산할 권한을 상실했다. 대통령은 비상 조치를 취할 권한을 유지했지만, 이러한 조치를 국회에 제출해야 했고, 국회의 승인을 받지 못한 조치는 철회될 수 있었다.[6]

3. 주요 후보 및 정당

6·29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가 실시되면서, 여야는 대선 체제 구축에 돌입했다. 여당인 민주정의당1987년 6월 10일 전당대회에서 노태우를 대통령 후보로 확정했다. 그러나 야당인 통일민주당은 후보 지명을 둘러싸고 김영삼김대중 간의 대립이 있었다. 결국 후보 단일화에 실패한 김대중은 1987년 10월 28일 통일민주당을 탈당하고, 1987년 11월 12일 평화민주당을 창당하여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

정계에서 은퇴했던 김종필 전 국무총리도 1987년 7월 15일 대선 출마를 시사하며 1987년 10월 30일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고 대통령 후보로 추대되었다. 이로써 1987년 10월 말, "1노 3김"의 대선 구도가 확립되었다.

1987년 11월 16일 선거 공고 후, 8명의 후보가 등록했지만, 실제로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통일민주당 김영삼, 평화민주당 김대중, 신민주공화당 김종필의 4자 구도로 진행되었다.

주요 후보자 목록
후보자정당명비고
노태우민주정의당TK(대구·경상북도) 지역에서 강한 지지
김영삼통일민주당PK(부산·경상남도) 지역에서 강한 지지
김대중평화민주당전라도(광주·전라북도·전라남도) 지역에서 절대적인 지지
김종필신민주공화당충청남도에서 강한 지지
홍숙자한국사회민주당1987년 12월 5일 김영삼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사퇴
백기완무소속1987년 12월 14일 대통령 후보 사퇴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
김선적일체민주당1987년 12월 12일 노태우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사퇴


3. 1.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은 1987년 6월 10일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노태우 대표위원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26] 잠실체육관에서 열린 이 대회에서 7,378명의 대의원들이 투표용지에 유일한 후보였던 수도방위사령관 출신 노태우 전 장군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8]

3. 2. 통일민주당

김영삼김대중은 후보 단일화에는 합의했으나, 서로 출마를 양보하지 않아 결국 단일화에 실패했다.[22]

3. 3. 평화민주당

1987년 11월 12일, 김대중통일민주당을 탈당한 동교동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평민당을 창당하고, 총재 겸 대통령 후보로 추대되었다.[22] 평민당의 김대중 후보는 전라도(광주·전라북도·전라남도) 지역에서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다.

3. 4. 신민주공화당

정계를 은퇴했던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1987년 7월 15일 대통령 선거 출마를 시사하며, 고향인 대전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했고, 김영삼김대중의 결별이 확실해진 9월 28일에 정계 복귀를 선언했다.[23] 10월 30일에는 국민당 의원 등이 참여한 공화당을 결성하여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 그는 충청남도에서 강한 지지를 얻었다.

3. 5. 군소 후보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부의장 백기완은 1987년 11월 15일 민중대표대통령후보전국추대위원회의 추대로 대통령 후보가 되었으나,[30] 12월 14일 야권 단일화를 촉구하며 후보직을 사퇴하였다.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회장 홍숙자는 1987년 11월 11일 사회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대통령 후보로 추대되었으나,[31] 12월 5일 김영삼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후보직을 사퇴하였다.[32]

신정일은 1987년 11월 4일 한주의통일한국당 창당대회에서 당 총재 및 대통령 후보로 추대되었다.[33]

김선적은 1987년 10월 3일 일체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당 총재 및 대통령 후보로 추대되었으나,[34] 12월 12일 노태우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후보직을 사퇴하였다.[35]

군소 후보자 목록
후보자정당명비고
백기완무소속야권 세력의 독자 후보 옹립파(독후파)가 옹립. 12월 14일 대통령 후보를 사퇴함
홍숙자사회민주당투표일 전인 12월 5일 김영삼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입후보를 사퇴함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
김선적일체민주당투표일 전인 12월 12일 노태우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입후보를 사퇴함


4. 양김 단일화 결렬

선거 전 김대중은 출마와 불출마에 대해 모호한 태도를 취하다가 결국 출마를 선언했다. 당시 전두환 정부가 김대중을 조기 사면한 것은 노태우의 당선에 유리한 구도를 만들기 위해 야권 분열을 노리고 한 조치였다. 김영삼김대중에 대해 재야인사, 운동권은 물론 일반시민들까지도 후보단일화를 주장했지만, 양김의 의견 대립으로 단일화는 결국 결렬되고 말았다. 거기에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등 중대사고가 잇따라 터지면서, 대선은 불안한 결과를 향해 치닫게 되었다.

김영삼김대중통일민주당의 유력한 대통령 후보로서 서로 갈등을 빚었다. 1987년 8월 11일, 김영삼과 김대중은 대통령 후보 단일화 문제를 협의했으나, 김영삼의 조기 후보 단일화 주장과 김대중의 개헌 협상 후 단일화 주장이 맞서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 후 한 달 뒤인 9월 14일의 양김 회동에서 김대중은 김영삼에게 36개 미창당 지구당 결성을 요청했지만, 당내에서 세력 우위를 선점하고 있던 김영삼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총선에서의 조직책 선정이나 다름없는 36개 지구당을 창당하는 것은 적전 분열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김대중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양김은 9월 29일에 다시 만나 후보단일화 회담을 하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하였다. 다음 날인 9월 30일에도 후보단일화 협상이 이어졌지만, 양자 간의 시각 차이만 확인하고 협상은 결렬되었다.[36] 야당 후보 단일화를 촉구하던 재야인사들은 이를 '적전분열'이라며 강도 높게 질타하였다. 10월 10일 김영삼이 대통령 선거 출마를 발표하자, 당내 경선에서 절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었던 김대중은 10월 18일통일민주당을 탈당하였다.[37] 김대중은 11월평화민주당을 창당하고, 본격적으로 대선에 뛰어들었다.

민주세력 후보 단일화에 실패한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은 28%의 득표율로 2위를, 김대중은 27%의 득표율로 3위를 했고, 36.6%의 득표를 한 민주정의당노태우에게 패배하였다.

6·29 선언에 따라 전두환 대통령의 후임을 결정하는 대통령 선거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치러지게 되면서, 여야는 대통령 선거를 위한 체제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여당인 민주정의당6월 10일 전당대회에서 노태우 대표 최고위원을 대통령 후보로 확정했지만, 야당인 통일민주당은 체제 구축이 늦어진 데다 후보 지명을 둘러싸고 김영삼과 김대중, 소위 “양김” 간의 대립이 표면화되었다. 양김 모두 단일화에는 합의했고 여러 차례 논의가 있었지만, 서로 출마를 양보하지 않아 결국 실패로 끝났다.

그리고 10월 28일, 김대중은 자신의 출생지인 전라도의 강력한 지지를 배경으로 대통령 선거 출마와 신당 창당을 선언[22]하며 통일민주당을 탈당함으로써 야당 세력은 사실상 분열되었다. 11월 12일, 통일민주당을 탈당한 동교동계 의원을 중심으로 평화민주당을 결성했고, 김대중은 동당의 총재 겸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

5. 선거 운동

헌정 이후 치러진 첫 선거이자, 1971년 이후 16년 만에 치러지는 직선제였다는 의의가 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자신을 코미디 소재로 다뤄도 좋다고 할 정도로 차별화된 선거 공약을 내세웠다.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12·12 군사 반란 당시 신군부에 의해 강제 전역당했던 정승화 전 육군참모총장을 영입하기도 했으나, 후보 단일화 실패로 국민들의 반감을 샀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자유 민주주의, 사회 복지, 자유 시장 경제를 기치로,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박정희의 경제 개발 유산을 내세워 선거 운동을 펼쳤다. 김대중은 급진적인 인물로 인식되어 중산층 유권자들의 우려를 샀다.

과반수 득표가 필요 없는 과반수제 하에서 후보들은 지역적·당파적 지지를 최대화하여 득표수를 극대화하려 했다.

선거 운동 기간 중이던 1987년 11월 29일,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이 발생했고, 투표 전날 실행범 김현희가 한국으로 송환되었다. 이는 야당 후보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했고,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에게 크게 유리해졌다.[38]

5. 1. 노태우의 선거 운동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대통령 선거 당시 차별화된 선거 공약을 내세우며 자신을 코미디 소재로 다뤄도 좋다고 하였다.[38] 이후 대머리, 주걱턱 등 연예계의 금기 용어가 해금되었다고 한다.[38] 그는 정권 중간 평가와 경인운하 건설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에도 불구하고 광주직할시 지역 유세 당시 '광주 학살의 원흉' 또는 '방조자의 한 사람'이라는 항의 시위대가 나타나서 달걀 세례를 받기도 하였다.

노태우는 극도로 인기가 없었던 전두환과 자신을 분리하기 위해 노력했다. 노태우는 안정을 강조하면서 지속적인 민주화와 경제 개혁을 약속했다. 집권 여당인 민주정의당의 지지 기반은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농촌 지역과 농업 인구였으며, 도시 지역에서는 보수적인 중산층 유권자와 저학력 저소득 노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노태우의 지역 기반은 그의 고향인 대구광역시가 있는 경상북도였다. 대구전두환박정희의 고향이기도 했다. 노태우는 북한과 접경하고 있으며 강력한 반공주의 성향을 가진 강원도, 섬 지역인 제주특별자치도, 그리고 충청북도에서 압승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2]

선거를 불과 며칠 앞두고 일어난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과 선거일 바로 전날 용의자 김현희서울로 압송되면서, 선거 국면은 민정당 노태우 후보에게 크게 유리해졌다.

5. 2. 김영삼의 선거 운동

온건하고 실용적인 정치인이자 타협에 열려 있던 김영삼은 현 정부에 반대하는 고위 퇴역 군인들과 정치 개입 군부의 종식을 원했던, 특히 경제 성장 지속을 위한 안정을 추구하는 도시 백색직 노동자들을 포함한 한국의 성장하는 중산층의 지지를 받았다.[12] 김영삼의 중산층 지지 기반에는 많은 개신교 인구도 포함되어 있었다. 김영삼의 주요 지지 기반은 그의 고향인 경상남도와 부산이었다.[12] 특히 박정희 암살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거짓 혐의를 받았던 정승화 전 육군참모총장은 전두환노태우가 1979년 권력 장악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했던 인물이었는데, 김영삼을 지지하고 나섰다.

5. 3. 김대중의 선거 운동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였던 김대중은 자유 민주주의, 사회 복지, 자유 시장 경제를 기치로 선거 운동을 펼쳤다. 그러나 그는 급진적인 인물로 널리 인식되었고, 군부가 승리할 것을 우려했던 많은 중산층 유권자들은 그에게 우려를 표했다. 그러한 이미지를 완화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는 인권 운동가, 학생, 노동 조합, 저소득 유권자 등 반체제 운동 세력 사이에서 가장 큰 지지를 얻었다. 김대중의 가장 강력한 지지 기반은 그의 고향인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였다. 그는 전라도에서 80~90%의 득표율을 얻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서울경기도에서도 선전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2]

5. 4. 김종필의 선거 운동

전직 대통령이자 독재자였던 박정희의 측근이었던 김종필은 박정희의 경제 개발 유산을 내세워 선거 운동을 펼쳤다. 박정희의 경제 개발은 한국을 주로 농업에 의존하던 국가에서 현대화된 산업 국가이자 주요 무역 강국으로 변모시켰다. 그는 박정희의 정책 기조를 계승할 것을 약속하며 한국 중산층의 보수적인 세력에게 호소했다. 그의 주요 지지 기반은 고향인 충청남도, 특히 주요 도시인 대전에서 나왔다.[12]

6. 선거 결과

1987년 12월 16일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각 후보별로 지역에 따른 지지율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자신의 고향인 대구직할시와 경상북도에서 각각 70.69%, 66.38%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자신의 고향인 부산직할시와 경상남도에서 각각 55.98%, 51.26%의 지지를 얻었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광주직할시(94.41%), 전라남도(90.28%), 전라북도(83.46%)에서 압도적인 몰표를 받았다.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자신의 고향인 충청남도에서 45.03%로 가장 많은 표를 얻었지만, 과반에는 미치지 못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특별시에서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가 32.62%로 가장 많은 표를 얻었고, 경기도와 인천직할시에서는 노태우 후보가 각각 41.44%, 39.35%로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 강원도(59.33%)와 제주도(49.77%)에서도 노태우 후보가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25]

6. 1. 총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사실상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4인의 경쟁으로 치러졌다. 선거 결과, 여당인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후보가 승리했다. 하지만 노태우의 득표율은 36% 정도에 그쳤고, 김영삼(통일민주당), 김대중(평화민주당)의 총 득표율이 55.0%로 과반수를 넘었기 때문에 야당의 분열이 승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25]

또한, 유력 후보들이 지역 감정을 이용한 선거 운동을 펼침으로써 영남(노태우·김영삼), 호남(김대중), 충청도(김종필) 지역에서 유력 후보들의 득표율이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 선거에서는 노태우 측의 부정행위와 삼김(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측에 대한 선거 방해 등이 삼김 측에서 선거 후 지적되는 등, 당시 공정한 선거였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 '''투표율''':89.2% (투표자 수: 23,066,419 / 전체 유권자 수: 25,873,624)


득표수·율 (후보만 기재)
당락후보자정당명득표수득표율
당선노태우민주정의당8,282,73836.64%
김영삼통일민주당6,337,58128.03%
김대중평화민주당6,113,37527.04%
김종필신민주공화당1,823,0678.06%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46,6500.20%



지역별 득표수와 득표율 (상위 4명의 후보만 기재)
시·도노태우
(민주정의당)
김영삼
(통일민주당)
김대중
(평화민주당)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득표수득표율
서울특별시1,682,82429.95%1,637,34729.14%1,833,01032.62%460,9888.20%
부산광역시640,62232.10%1,117,01155.98%182,4099.14%51,6632.58%
대구광역시800,36370.69%274,88024.28%29,8312.63%23,2302.05%
인천광역시326,18639.35%248,60429.99%176,61121.30%76,3339.20%
광주광역시22,9434.81%2,4710.51%449,55494.41%1,1110.23%
경기도1,204,23541.44%800,27427.54%647,93422.30%247,2598.51%
강원도456,59659.33%240,58526.11%81,4788.84%49,9545.42%
충청북도355,22246.89%213,85128.23%83,13210.97%102,45613.52%
충청남도402,49126.22%246,52716.06%190,77212.42%691,21445.03%
전라북도160,76014.13%17,1301.50%948,95583.46%8,6290.75%
전라남도119,2298.16%16,8261.15%1,317,99090.28%4,8310.33%
경상북도1,108,03566.38%470,18928.17%39,7562.38%43,2272.58%
경상남도792,75741.17%987,04251.26%86,8044.50%51,2422.66%
제주도120,50249.77%64,84426.78%45,13918.64%10,9304.51%


6. 2. 지역별 결과

1987년 12월 16일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지역별로 뚜렷한 지지 후보 차이를 보였다.

지역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신정일
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bgcolor="darkred"|
득표수%득표수%득표수%득표수%득표수%
서울1,682,82429.951,637,34729.141,833,01032.62460,9888.204,5600.08
부산640,62232.111,117,01155.98182,4099.1451,6632.593,6120.18
대구800,36370.70274,88024.2829,8312.6423,2302.053,7740.33
인천326,18639.35248,60429.99176,61121.3176,3339.211,1260.14
광주22,9434.822,4710.52449,55494.411,1110.23740.02
경기1,204,23541.45800,27427.55647,93422.30247,2598.515,6210.19
강원546,56959.53240,58526.2081,4788.8746,9545.112,6280.29
충북355,22246.90213,85128.2383,13210.98102,45613.532,7960.37
충남402,49126.22246,52716.06190,77212.43691,21445.033,9020.25
전북160,76014.1417,1301.51948,95583.468,6290.761,5010.13
전남119,2298.1716,8261.151,317,99090.284,8310.339940.07
경북1,108,03566.39470,18928.1739,7562.3843,2272.597,8120.47
경남792,75741.17987,04251.2686,8044.5151,2422.667,5670.39
제주120,50249.7764,84426.7845,13918.6410,9304.516830.28
합계8,282,73836.646,337,58128.046,113,37527.051,823,0678.0746,6500.21
출처: [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7. 부정선거 및 정치폭력 논란

1971년 대통령 선거 이후 16년 만에 직선제로 치러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부정선거 의혹과 정치폭력, 흑색선전 등으로 논란이 되었다.[39]

미국 중앙정보국(CIA) 문서에 따르면, 군부 후원 집권 세력은 노태우 후보가 패배할 것을 우려하여 선거 결과 조작을 위한 상세한 계획을 세웠다. CIA 보고서는 "대대적인 부정행위 계획이 이미 실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정부가 "흑색선전과 불공정한 수법을 고려하고 있으며, 투표용지 조작도 포함된다고 알려졌고, 일부 관리들은 더 나아갈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으며, "여당 측 계획자들은 여론조사 초기 결과가 노태우의 패배를 보여줄 경우, 여당의 부정행위 증거를 조작하여 전두환이 선거 무효를 선언할 기회를 만들 것을 고려했다"고 적었다. 이 문서들은 정부가 투표 후 발생할 수 있는 불안에 대해 강력하게 진압할 준비가 되어 있었음을 시사하며, 정보 보고서에는 야당 후보 김대중이 "선거 결과에 대한 인민봉기를 선동"하려 할 경우 "체포 영장"이 준비되어 있었다고 명시되어 있다.[13]

당시 서울 주재 미국 국무부 외교관이었던 린 터크는 제기된 의혹에 대해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라고 언급했지만, “투표는 공정하게 집계되었고 노태우가 정말로 공정하게 승리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서 “선거 당일 각 당은 각 투표소에 감시인을 두고 수기로 집계된 투표 결과 사본을 받았다. 따라서 그들의 지휘소에 등록된 합계는 공식 집계와 일치했다”고 덧붙였다.[14]

노태우의 처남이자 보좌관이었던 박철언은 1987년 선거에서 “선거 부정은 계획되지 않았고 실행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15]

하지만, 유력 후보들이 지역 감정을 이용한 선거 운동을 펼침으로써 영남(노태우·김영삼), 호남(김대중), 충청(김종필) 지역에서 유력 후보들의 득표율이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7. 1. 부정선거 논란

1971년 대통령 선거 이후 16년 만에 직선제로 치러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12.12 군사반란의 주역 중 하나인 노태우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많은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과는 다른 결과를 낳았다. 이는 6.29 선언과 야권의 분열 등이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선거 기간 중 발생한 여러 부정선거 의혹들과 여야 간의 정치폭력, 흑색선전 등도 큰 논란이 되었다.[39]

민주화 이후 처음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였던 만큼, 여러 부정선거 논란이 제기되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부재자투표함 바꿔치기 의혹: 개표 초반부터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압도적인 득표율을 보이자, 부재자 투표함 개표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 특히 구로구청에서는 부재자 투표함이 봉인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학생과 시민들의 항의가 빗발쳤고, 결국 구청이 점거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44] 29년이 지난 2016년 7월 1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당시 서울 구로을 선거구 부재자 우편투표함을 개봉한 결과, 4,325표 중 노태우 3,133표(72.4%), 김대중 575표(13.3%), 김영삼 404표(9.3%), 김종필 130표(3%)로,[46] 구로구 전체 개표 결과와 큰 차이를 보여 부정선거 의혹이 다시 확산되었다.
  • 군 부재자 투표 부정: 동아일보는 1987년 11월 24일 자 기사에서 군 부재자 투표의 참관인 부재로 인한 부정선거 가능성을 보도했다.[47][48] 또한, 동아일보 부정선거고발센터에는 군부대에서 공개투표를 강요했다는 제보가 20여 건 접수되었다고 1987년 12월 6일 자 기사에서 보도되었다.[49] 1987년 대선 당시 노태우 후보를 찍지 않았다는 이유로 군대에서 구타당해 사망한 사건도 있었으며, 당시 군 간부들이 강제적인 공개투표를 실시하고 야당 지지자들의 투표를 방해하는 등 대대적인 선거 부정이 있었다는 증언도 나왔다.[50]
  • 금권선거 논란: 민주정의당이 선거 집회에서 청중들에게 1만 원씩을 주며 유권자들을 동원한 사실이 동아일보 1987년 12월 4일 자 기사를 통해 보도되면서 금권선거 논란이 일었다.[51]
  • 정보 기관을 통한 흑색선전 및 선거 불복 대비 의혹: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당시 여권이 투표 결과 조작, 노태우 패배 시 선거 무효 선언 등 대대적인 선거 부정을 준비했으며, 정보기관을 동원하여 흑색선전을 계획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54] 전두환 정권이 노태우 후보의 승리를 위해 외교부를 동원하여 유리한 선거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55]


미국 중앙정보국(CIA) 문서에 따르면, 군부 후원 집권 세력은 노태우 후보의 패배를 우려하여 선거 결과 조작을 위한 상세한 계획을 세웠다. CIA 보고서는 "대대적인 부정행위 계획이 이미 실행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정부가 "흑색선전과 불공정한 수법을 고려하고 있으며, 투표용지 조작도 포함된다고 알려졌고, 일부 관리들은 더 나아갈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한 "여당 측 계획자들은 여론조사 초기 결과가 노태우의 패배를 보여줄 경우, 여당의 부정행위 증거를 조작하여 전두환이 선거 무효를 선언할 기회를 만들 것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이 문서들은 정부가 투표 후 발생할 수 있는 불안에 대해 강력하게 진압할 준비가 되어 있었음을 시사하며, 정보 보고서에는 야당 후보 김대중이 "선거 결과에 대한 인민봉기를 선동"하려 할 경우 "체포 영장"이 준비되어 있었다고 명시되어 있다.[13]

선거 직후,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와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부정선거를 주장하며 투쟁을 선언했지만,[52][53] 조사 요청이나 이의 제기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시 서울 주재 미국 국무부 외교관이었던 린 터크는 “투표는 공정하게 집계되었고 노태우가 정말로 공정하게 승리했다”고 말했다.[14] 노태우의 처남이자 보좌관이었던 박철언은 1987년 선거에서 “선거 부정은 계획되지 않았고 실행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15]

7. 2. 정치 폭력 논란

1971년 대통령 선거 이후 16년 만에 직선제로 치러진 선거였지만, 다수 국민들의 바람과는 달리 12.12 군사반란의 주역 중 하나인 노태우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는 6.29 선언과 야권의 분열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한 선거 기간 중 발생한 여러 부정선거 의혹, 여야 간의 정치폭력, 흑색선전 등도 논란이 되었다.[39]

정부가 부정적인 기사를 내보낸 언론사에 압력을 가하거나,[56] 전경을 동원해 야권의 연설이나 집회를 방해하는 등 선거 폭력이 발생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57] 국가 정보기관인 국가안전기획부가 노태우 후보의 당선을 위해 흑색선전을 했다는 의혹도 있다.[58]

민주정의당의 '1만원 일당 지급' 보도와 관련, 해당 사건을 보도한 동아일보에 수백 명의 민정당 지지자들이 난입해 신문 보도를 방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은 "민정당을 비난하는 기사는 참을 수 없다", "이번 기회에 혼을 내줘야 한다"는 등의 발언을 하며 기자들을 폭행했다. 이들은 경찰에 연행되었으나 대부분 훈방 조치되었다. 당시 기자 폭행에 참여한 사람 중에는 민정당 서울도봉구 지구당 위원장 청년부장인 박남수가 포함되어 있었다.[59] 이후 동아일보는 12월 7일 1면 '횡설수설' 칼럼을 통해 "언론의 입을 주먹다짐으로 막을 수 있다는 환상은 언제나 깨질 것인가"라며 민정당의 언론사 난입을 비판했고,[60] 동아일보 70주년 보도에서는 선거 당시 민정당에 비판적인 보도를 막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정부 차원의 압박이 있었다고 밝혔다.[61]

김대중 후보의 마산 유세 현장에서는 대학생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평민당 선거운동용 차량을 불태웠다. 사복 전경으로 추정되는 무리들이 김대중 후보의 연설을 방해했고, 유세장을 빠져나갈 때 돌이나 나무토막 등을 김대중 후보가 탄 차에 던져 차량 10여 대의 유리창이 파손되기도 했다.[62]

국가안전기획부가 노태우 후보 당선을 위해 야권 후보들에 대한 흑색선전, 지역감정 유도 등 탄압을 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한겨레 기사에 따르면, 전직 안기부 직원은 인터뷰에서 "안기부 내 극소수만 아는 선거 관련 임무가 있었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선거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63]

7. 3. 기타 논란

유권자의 64%가 언론 보도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하였고, 22%가 공정하다고 응답하였다.[64] 대부분의 언론들이 공정하게 보도를 하지 않고 노태우 후보에게 우호적인 시각으로 보도하였다는 논란이 있다.

경찰은 1987년 김영삼 후보의 비서를 전대협 의장에게 집회를 위한 자금을 주었다는 혐의로 소환하여 조사하였다.[65] 당시 명확한 증거 없이 무리하게 조사를 하였다는 의혹이 있다. 반면에 민정당의 1인당 10000KRW 지급과 관련된 금권선거 논란이 발생하거나 야당 정치인들에 대한 정치폭력에 대하여는 소극적으로 수사하였다는 논란이 있다.[66]

이 선거에서는 노태우 측의 부정행위와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측에 대한 선거 방해 등이 삼김 측에서 선거 후 지적되는 등, 당시 공정한 선거였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8. 칠레 민주화 운동에 미친 영향

대한민국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나라 중 하나인 칠레에서는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의 과정과 결과를 열심히 연구하여 야당 단일화를 이루어냈으며, 그 결과 칠레의 독재자아우구스토 피노체트를 낙선시키는 데 성공했다.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001
[2] 서적 South Korea : education, culture, and economy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1988-01-01
[3] 서적 Korean society : civil society, democracy, and the state Routledge 2003-01-01
[4] 서적 Democratization and social movements in South Korea : defiant institutionalization Routledge 2016-01-01
[5] 웹사이트 The 1980 Constitution http://countrystudie[...]
[6] 웹사이트 The Government https://countrystudi[...]
[7] 뉴스 South Korea steps up its attacks on opposition https://www.nytimes.[...] 2017-04-29
[8] 웹사이트 [6.10 민정당전당대회]전당대회 및 대통령후보 지명대회[강성구] http://imnews.imbc.c[...] 2018-04-24
[9] 웹사이트 [13대 대선]신민주공화당 중앙당 창당 대회[김형민] http://imnews.imbc.c[...] 2018-04-24
[10] 웹사이트 [13대 대선]민주당 임시전당대회,김영삼총재 후보 공식 추대[박석태] http://imnews.imbc.c[...] 2018-04-24
[11] 웹사이트 평화민주당 창당대회, 대통령후보 추대 전당 대회[정성환] http://imnews.imbc.c[...] 2018-04-24
[12] 웹사이트 A turn toward democracy? South Korea's elections tomorrow are a result of a people's demand for reform https://www.csmonito[...] 2021-11-04
[13] 뉴스 Secret CIA files reveal plans for meddling in South Korea's first democratic election https://www.scmp.com[...] 2019-07-20
[14] 뉴스 South Korean generals 'considered' cheating in 1987 election https://www.asiatime[...] 2019-11-11
[15] 뉴스 In South Korea, No 2 to former president Roh dismisses 'dirty tricks' in CIA files as groundless https://www.scmp.com[...] 2019-11-11
[16] 간행물 「盧선언」실천 措置지시(「盧宣言」実践措置指示)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7-07-01
[17] 간행물 金大中씨등 2,355명 赦免復權(金大中氏など 2,355名赦免復権)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7-07-09
[18] 간행물 改憲爭點別 3일부터 협상(改憲争点別 3日から協商)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7-08-01
[19] 간행물 國政감사권 두기로 확정(国政監査権置くことを確定)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7-08-26
[20] 간행물 抵抗權・軍政治不介入 반영(抵抗権・軍政治不介入反映)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7-08-27
[21] 간행물 直選制憲法확정(直選制憲法確定)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7-10-28
[22] 간행물 金大中씨 出馬・創黨선언(金大中氏出馬・創党宣言)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7-10-28
[23] 간행물 金鍾泌씨 政界복귀 선언(金鍾泌氏政界復帰宣言)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7-09-28
[24] 간행물 野圏새變數-在野운동권版圖(野圏新しい変数-在野運動圏版図)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7-11-26
[25] 서적 新版 比較・選挙政治 21世紀初頭における先進6カ国の選挙 ミネルヴァ書房
[26] 웹인용 [6.10 민정당전당대회]전당대회 및 대통령후보 지명대회(강성구) http://imnews.imbc.c[...] 2013-05-03
[27] 웹인용 [13대 대선]민주당 임시전당대회,김영삼총재 후보 공식 추대[박석태] http://imnews.imbc.c[...] 2019-06-18
[28] 웹인용 평화민주당 창당대회, 대통령후보 추대 전당 대회[정성환] http://imnews.imbc.c[...] 2019-06-18
[29] 웹인용 [13대 대선]신민주공화당 중앙당 창당 대회(김형민) http://imnews.imbc.c[...] 2013-05-03
[30] 웹인용 백기완 씨, 후보 거부 - 추대위 결성대회서 https://newslibrary.[...] 2019-06-18
[31] 뉴스인용 社民黨 대통령후보 洪淑子씨 선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7-11-11
[32] 웹인용 사민 홍숙자 후보 사퇴 "김영삼 후보 당선 위해 협력" https://newslibrary.[...] 2019-06-18
[33] 웹인용 신정일 씨 대통령 후보 한주의당 총재도 겸임 https://newslibrary.[...] 2019-06-18
[34] 웹인용 일체민주당 김선적 씨 대통령 후보 https://newslibrary.[...] 2019-06-18
[35] 웹인용 김선적 후보 사퇴 "노태우 후보 지지" https://newslibrary.[...] 2019-06-18
[36] 방송 KBS 영상실록 20051030 방송분 http://www.kbs.co.kr[...] KBS
[37] 서적 우정이 있는 민주공화국 사군자 2007-11-16
[38] 뉴스 최양락 “노태우 前대통령 덕분에 시사풍자 개그 가능” http://media.daum.ne[...] newsen
[39] 뉴스 https://newslibrary.[...]
[40] 뉴스 구로구청 점거농성 1천5백명 연행조사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2010-06-10
[41] 뉴스 87년대선때 野후보 찍은 상병구타 사망…의문사 인정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04-07-15
[42] 뉴스 https://newslibrary.[...]
[43] 뉴스 https://www.hankooki[...]
[44] 뉴스 구로구청 점거농성 1천5백명 연행조사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2010-06-10
[45] 뉴스 29년 만에 봉인 풀리는 ‘구로을 투표함’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6-09-14
[46] 뉴스 29년 만에 개봉된 구로구청 투표함 미스터리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6-07-22
[47] 뉴스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7-11-24
[48] 뉴스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7-12-10
[49] 뉴스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7-12-06
[50] 뉴스 87년대선때 野후보 찍은 상병구타 사망…의문사 인정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04-07-15
[51] 뉴스 https://newslibrary.[...]
[52] 웹사이트 김영삼 민주당 총재 내외신 기자회견 https://web.archive.[...] 2013-06-21
[53] 웹사이트 김대중 평민당 총재 기자회견 https://web.archive.[...] 2013-06-21
[54] 뉴스 https://www.hankooki[...]
[55] 웹사이트 https://www.newstapa[...]
[56] 뉴스 https://newslibrary.[...]
[57] 뉴스 https://newslibrary.[...]
[58]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s://www.hani.co.[...] 2022-09-07
[59] 뉴스 https://newslibrary.[...]
[60] 뉴스 https://newslibrary.[...]
[61] 뉴스 https://newslibrary.[...]
[62] 뉴스 https://newslibrary.[...]
[63]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s://www.hani.co.[...] 2022-09-07
[64] 뉴스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7-05-15
[65] 뉴스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7-12-05
[66] 뉴스 https://news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