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스커-드베이키 임상 의학 연구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래스커-드베이키 임상 의학 연구상은 임상 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946년부터 시작되어, 감염병 예방, 진단, 치료법 개발에 기여한 연구자들을 비롯하여, 심혈관 질환, 암, 신경계 질환, 내분비 질환, 생식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한 과학자들이 수상했다. 주요 수상자로는 칼 란트슈타이너, 조너스 소크, 앨버트 세이빈, 뤽 몽타니에, 배리 마셜, 하비 J. 올터, 투유유 등이 있으며, 이들의 연구는 의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학상 - 노벨상
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물리학, 화학, 생리 의학, 문학, 평화, 경제학 6개 분야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기관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 의학상 -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생물학 또는 생화학 분야의 뛰어난 의학 연구 업적을 이룬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수상자 중 다수가 노벨상을 수상했으며 1967년부터 매년 수여되고 있다.
래스커-드베이키 임상 의학 연구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래스커-드베이키 임상 의학 연구상 | |
개요 | |
설명 | 환자에 대한 임상 치료법 개선에 기여한 연구자에게 수여 |
주최 | 라스커 재단 |
국가 | 미국 |
시작 연도 | 1946년 |
최근 수상 연도 | 2024년 |
최근 수상자 | 조엘 하베너 로테 비에르 크누센 스베틀라나 모주조프 |
영어 명칭 | Lasker-DeBakey Clinical Medical Research Award |
2. 역대 주요 수상자 및 업적
래스커상은 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연구자들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1946년부터 시작되었다. 주요 수상자들과 그들의 업적은 다음과 같다.
- 1946년 카를 란트슈타이너, 알렉산더 S. 위너, 필립 레빈: Rh 인자 발견 및 태아에 미치는 영향 규명.[7]
- 1949년 에드워드 C. 켄들, 필립 S. 헨치: 코르티손을 이용한 류마티스성 질환 치료 효과 발견.
- 1963년 찰스 브렌턴 허긴스: 전립선암 호르몬 치료법 개발.
- 1969년 조지 코치아스: 파킨슨병 치료에 L-도파 사용.
- 1986년 로버트 갤로, 뤽 몽타니에: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 원인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발견.
- 1995년 배리 마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위궤양과 위암 유발함을 증명.
- 2000년 하비 J. 올터, 마이클 호턴: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
- 2001년 로버트 에드워즈: 체외 수정 기술 개발.
- 2011년 투유유: 말라리아 치료제 아르테미시닌 발견.
2. 1. 감염병 연구
1946년 존 F. 마호니는 페니실린으로 매독을 치료하는 방법을 처음으로 제시했다.[7] 같은 해 카를 란트슈타이너, 알렉산더 S. 위너, 필립 레빈은 Rh 인자를 발견하고 이것이 태아에게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냈다.1947년 토머스 프랜시스 주니어는 인플루엔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백신 개발에 기여했다. 1949년 맥스 타일러는 황열병 백신 개발, 에드워드 C. 켄들과 필립 S. 헨치는 코르티손을 이용한 류마티스성 질환 치료 효과를 발견했다.
1955년 호프만 라 로슈와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은 결핵 치료제 이소니아지드의 효과를 입증했다.
1986년 마이론 에섹스는 레트로바이러스가 인간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고, 로버트 갤로와 뤽 몽타니에는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의 원인인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를 발견했다.
1995년 배리 마셜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위궤양과 위암을 일으킨다는 것을 밝혀냈다.
2000년 하비 J. 올터와 마이클 호턴은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2011년 투유유는 말라리아 치료제 아르테미시닌을 발견했다.
2. 1. 1. 백신 개발
1956년 조너스 소크는 급성 회백수염(소아마비)에 대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을 개발하여 수상하였다.[9] 1965년에는 앨버트 새빈이 급성 회백수염(소아마비) 예방을 위한 경구 생백신을 개발하여 수상하였다.[10]2. 1. 2.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제 개발
결핵, 매독 등 세균성 감염병과 C형 간염, 에이즈 등 바이러스성 감염병 치료제 개발에 기여한 연구자들이 수상했다.연도 | 수상자 | 국적 | 수상 이유 | |
---|---|---|---|---|
1946년 | -- | 존 F. 마호니(John F. Mahoney) | 미국 | 페니실린을 이용한 매독 치료 |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7] | 미국 ( 출신) | Rh 인자 발견 | ||
알렉산더 위너(Alexander S. Wiener) | 미국 | |||
필립 레빈(Philip Levine) | 미국 | |||
1947년 | -- | 토머스 프랜시스 주니어(Thomas Francis Jr.) | 미국 |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
1949년 | -- | 맥스 타일러(Max Theiler) | 미국 남아프리카 연방 | 황열병 백신 개발 |
-- | 에드워드 캘빈 켄들(Edward Calvin Kendall) | 미국 | 부신 피질 호르몬 연구, 코르티손 발견 | |
-- | 필립 쇼월터 헨치(Philip Showalter Hench) | 미국 | ||
1955년 | ||||
에드워드 H. 로비체크(Edward H. Robitzek) 에드워드 H. 로비체크 | 미국 | 결핵 치료제 이소니아지드 효과 확립 | ||
-- | 어빙 셀리코프(Irving Selikoff) 어빙 셀리코프 | 미국 | ||
월시 맥더모트(Walsh McDermott) 월시 맥더모트 | 미국 | |||
칼 머시나임(Carl Muschenheim) 칼 머시나임 | 미국 | |||
호프만-라 로슈 | ||||
![]() |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 미국 | ||
1956년 | ||||
아르날 파츠(Arnall Patz) 아르날 파츠 | 미국 | 미숙아 망막증 연구 | ||
-- | 조너스 소크(Jonas Salk) 조너스 소크 | 미국 | 소아마비 백신 개발 | |
1986년 | -- | 마이론 에섹스(Myron Essex) | 미국 | 레트로바이러스 연구 |
-- | 로버트 갤로(Robert Gallo) | 미국 | HIV-1 발견 | |
-- | 뤽 몽타니에(Luc Montagnier) | 프랑스 | HIV 발견 | |
2. 2. 암 연구
암 연구 분야는 암 발생 기전 규명,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기여한 연구자들에게 래스커상이 수여되어 왔다.1946년 카를 란트슈타이너는 적혈구의 Rh 인자 및 태아에 대한 중요한 역할 발견으로, 존 F. 마호니는 페니실린을 이용한 매독 치료에 관한 선구적인 업적으로 래스커상을 공동 수상했다.[7]
이후 암 치료제 개발과 관련된 수상으로는 1966년 시드니 파버의 급성 백혈병 치료제 아미노프테린 개발, 2015년 제임스 P. 앨리슨의 면역항암제 개발 기여가 있다. 1998년에는 피터 C. 노엘과 재닛 로울리가 만성 골수성 백혈병 관련 유전자 발견으로 래스커상을 수상했다.[7]
2. 2. 1. 항암제 개발
시드니 파버는 1966년에 급성 백혈병 치료제인 아미노프테린을 개발한 공로로 래스커상을 수상했다.[7] 제임스 P. 앨리슨은 2015년에 면역항암제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상을 받았다.2. 2. 2. 암 유전자 발견
피터 C. 노엘과 재닛 로울리는 1998년에 만성 골수성 백혈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발견한 공로로 래스커상을 받았다.[7]2. 3. 심혈관 질환 연구
1946년 존 프렌드 마호니는 페니실린을 이용한 매독 치료에 관한 선구적인 업적으로 래스커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카를 란트슈타이너(사후 수상), 알렉산더 S. 위너, 필립 레빈은 적혈구의 Rh 인자 및 태아에 대한 중요한 역할 발견으로 공동 수상했다.[7]1947년 토머스 프랜시스 주니어는 인플루엔자에 관한 지식 확대와 효과적인 백신 개발 공로로 수상했다.
1949년 막스 타일러는 황열병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 개발을 이끈 실험적 업적으로, 에드워드 C. 켄들과 필립 S. 헨치는 류마티스성 질환에 대한 코르티손의 치료 효과 발견을 가져온 부신 피질 호르몬에 관한 연구로 공동 수상했다.
2010년 나폴레오네 페라라는 혈관 신생의 주요 조절 인자인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발견, 연령 관련 황반 변성에 대한 항 VEGF 억제제 치료법 개발로 수상했다.
2011년 투유유는 개발 도상국에서 많은 생명을 구한 항말라리아제(항말라리아 약)인 아르테미시닌 발견으로 수상했다.
2018년 존 B. 글렌은 빠른 도입 효과와 각성 작용을 보이며,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마취제가 된 프로포폴 발견 및 개발로 수상했다.
다음은 심혈관 질환 연구 분야의 래스커-드베이키 임상 의학 연구상 수상자 목록이다.
연도 | 수상자 | 국적 | 수상 이유 | ||
---|---|---|---|---|---|
1946년 | -- | 존 F. 마호니(John F. Mahoney) | 미국 | 페니실린을 이용한 매독 치료에 관한 선구적인 업적 | |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7] | 미국 ( 출신) | 적혈구의 Rh 인자 및 태아에 대한 중요한 역할 발견 | |||
알렉산더 위너(Alexander S. Wiener) | 미국 | ||||
필립 레빈(Philip Levine) | 미국 | ||||
1947년 | -- | 토머스 프랜시스 주니어(Thomas Francis Jr.) | 미국 | 인플루엔자에 관한 지식 확대와 효과적인 백신 개발 | |
1949년 | -- | 맥스 타일러(Max Theiler) | 미국 남아프리카 연방 | 황열병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 개발을 이끈 실험적 업적 | |
-- | 에드워드 캘빈 켄들(Edward Calvin Kendall) | 미국 | 류마티스성 질환에 대한 코르티손의 치료 효과 발견을 가져온 부신 피질 호르몬에 관한 연구 | ||
-- | 필립 쇼월터 헨치(Philip Showalter Hench) | 미국 | |||
2010년 | 나폴레오네 페라라(Napoleone Ferrara) | 이탈리아 | 혈관 신생의 주요 조절 인자인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발견, 연령 관련 황반 변성에 대한 항 VEGF 억제제 치료법 개발 | ||
2011년 | -- | 투유유(Tu Youyou) | 중국 | 개발 도상국에서 많은 생명을 구한 항말라리아제(항말라리아 약)인 아르테미시닌 발견 | |
2018년 | 존 B. 글렌(John B. Glen) | 영국 | 빠른 도입 효과와 각성 작용을 보이며,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마취제가 된 프로포폴 발견 및 개발 |
2. 3. 1. 수술 기법 발전
1963년 마이클 E. 드베이키는 심혈관 수술 기법을 개발한 공로로 래스커상을 수상했다.[7]2. 3. 2. 약물 개발
로버트 W. 윌킨스는 1958년에 고혈압 치료제 개발로 상을 받았다.[8] 엔도 아키라는 2008년에 고지혈증 치료제인 스타틴을 발견하여 상을 받았다.[11]2. 4. 기타 질환 연구
1946년 존 프렌드 마호니는 페니실린을 이용한 매독 치료에 관한 선구적인 업적으로 래스커상을 수상했다.[7] 같은 해 카를 란트슈타이너, 알렉산더 S. 위너, 필립 레빈은 적혈구의 Rh 인자 및 태아에 대한 중요한 역할의 발견으로 래스커상을 공동 수상했다. 1949년 막스 타일러는 황열병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 개발을 이끈 실험적 업적으로, 에드워드 C. 켄들과 필립 S. 헨치는 류마티스성 질환에 대한 코르티손의 치료 효과 발견을 가져온, 부신 피질 호르몬에 관한 연구로 래스커상을 공동 수상했다.1963년 찰스 브렌턴 허긴스는 전립선암의 호르몬 치료법을 개발했으며, 1969년 조지 코치아스는 파킨슨병 치료에 L-도파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2001년 로버트 에드워즈는 체외 수정 기술을 개발하여 난관 문제, 남성 불임 등 다양한 원인으로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부부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2. 4. 1. 신경계 질환
1969년 조지 코치아스는 파킨슨병 치료에 L-도파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래스커상을 수상했다.2. 4. 2. 내분비 질환
찰스 브렌턴 허긴스는 1963년에 전립선암의 호르몬 치료법을 개발한 공로로 래스커상을 받았다.[7]2. 4. 3. 생식 의학
로버트 에드워즈는 체외 수정(IVF) 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2001년에 래스커-드베이키 임상 의학 연구상을 수상했다. 체외 수정은 난자와 정자를 체외에서 수정시켜 배아를 형성한 후, 이를 다시 여성의 자궁에 이식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난관 문제, 남성 불임 등 다양한 원인으로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부부들에게 희망을 주었다.3. 시상 부문
래스커상은 다음 세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된다.
- 임상 의학 연구상
- 기초 의학 연구상
- 특별 공로상
3. 1. 임상 의학 연구상 (Clinical Medical Research Award)
1946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수여되고 있는 래스커상의 임상 의학 연구 부문은 환자의 진단, 치료 및 예방에 탁월한 업적을 이룬 연구자에게 수여된다.연도 | 수상자 | 국적 | 수상 이유 | ||
---|---|---|---|---|---|
1946년 | -- | 존 F. 마호니(John F. Mahoney) | 미국 | 페니실린을 이용한 매독 치료에 관한 선구적인 업적 | |
-- |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7] | 미국 ( 출신) | 적혈구의 Rh 인자 및 태아에 대한 중요한 역할의 발견 | ||
-- | 알렉산더 위너(Alexander S. Wiener) | 미국 | |||
-- | 필립 레빈(Philip Levine) | 미국 | |||
1947년 | -- | 토머스 프랜시스 주니어(Thomas Francis Jr.) | 미국 | 인플루엔자에 관한 지식의 확대, 그리고 효과적인 백신 개발 | |
1949년 | -- | 맥스 타이럴(Max Theiler) | 미국 남아프리카 연방 | 황열병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 개발을 이끈 실험적 업적 | |
-- | 에드워드 캘빈 켄들(Edward Calvin Kendall) | 미국 | 류마티스성 질환에 대한 코르티손의 치료 효과 발견을 가져온, 부신 피질 호르몬에 관한 연구 | ||
-- | 필립 쇼월터 헨치(Philip Showalter Hench) | 미국 | |||
1950년 | -- | 게오르기오스 파파니콜라우(Georgios Papanikolaou) 게오르기오스 파파니콜라우 | 미국 그리스 | 세포진단을 통한 암 조기 진단법 개발 | |
1951년 | -- | 엘리제 레스페란스(Elise LEsperance) 엘리제 레스페란스 | 미국 | 조기 암 및 전암성 병변을 발견하기 위한 임상적 기법 개발 | |
-- | 캐서린 맥팔레인(Catharine Macfarlane) 캐서린 맥팔레인 | 미국 | |||
윌리엄 G. 레녹스(William G. Lennox) 윌리엄 G. 레녹스 | 미국 | 간질에 관한 연구 | |||
프레데릭 기브스(Frederic A. Gibbs) 프레데릭 기브스 | 미국 | ||||
1952년 | 콘라드 엘베헴(Conrad Elvehjem) 콘라드 엘베헴 | 미국 | 생화학 및 영양학에 대한 현저한 공헌 | ||
-- | 프레데릭 S. 매케이(Frederick Sumner McKay) 프레데릭 섬너 매케이 | 미국 | 수돗물 불소 첨가 계획의 전개 | ||
-- | H. 트렌들리 딘(H. Trendley Dean) H. 트렌들리 딘 | 미국 | |||
1953년 | 폴 D. 화이트(Paul Dudley White) 폴 D. 화이트 | 미국 | 심장병의 병리학·진단·치료에 대한 뛰어난 공헌 | ||
1954년 | 알프레드 블래락(Alfred Blalock) 알프레드 블래락 | 미국 | 심혈관 외과학에 대한 현저한 공헌 | ||
헬렌 브룩 타우시그(Helen B. Taussig) 헬렌 B. 타우시그 | 미국 | ||||
로버트 E. 그로스(Robert E. Gross) 로버트 E. 그로스 | 미국 | ||||
1955년 | C. 윌턴 릴리헤이(C. Walton Lillehei) C. 윌턴 릴리헤이 | 미국 | 심장 외과학의 발전에 대한 공헌 | ||
모리 코헨(Morley Cohen) 모리 코헨 | 캐나다 | ||||
허버트 워든(Herbert E. Warden) 허버트 E. 워든 | 미국 | ||||
리처드 L. 바르코(Richard L. Varco) 리처드 L. 바르코 | 미국 | ||||
에드워드 H. 로비체크(Edward H. Robitzek) 에드워드 H. 로비체크 | 미국 | 결핵 치료에 대한 이소니아지드 효과의 확립 | |||
-- | 어빙 셀리코프(Irving Selikoff) 어빙 셀리코프 | 미국 | |||
월시 맥더모트(Walsh McDermott) 월시 맥더모트 | 미국 | ||||
칼 머시나임(Carl Muschenheim) 칼 머시나임 | 미국 | ||||
호프만-라 로슈 연구소(Hoffmann-La Roche Research Laboratories) 호프만-라 로슈 연구소 | |||||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Squibb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스퀴브 의학 연구소 | 미국 | ||||
1956년 | 루이스 카츠(Louis N. Katz) 루이스 카츠 | 미국 러시아 출신 | 죽상동맥경화증은 가역적이고 예방 가능한 대사성 질환이라는 이론 제창 | ||
V. 에버렛 킨지(V. Everett Kinsey) V. 에버렛 킨지 | 미국 | 미숙아 망막증에 관한 공동 조사에 대한 공헌 | |||
아르날 파츠(Arnall Patz) 아르날 파츠 | 미국 | 미숙아 망막증의 원인 및 예방에 대한 연구 | |||
-- | 조너스 소크(Jonas Salk) 조너스 소크 | 미국 | 급성 회백수염(소아마비)에 대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개발 | ||
1957년 | 라스텀 바킬(Rustom Jal Vakil) 라스텀 잘 바킬 | 인도 | 고혈압에 대한 Rauwolfia 속 식물 유래 알칼로이드의 효과 연구(바킬), 인도사목(Indian snakeroot) 유래 알칼로이드인 레세르핀에 의한 정신 질환 치료 효과의 실증(클라인), 레세르핀에 관한 연구(노스), 클로르프로마진의 치료 효과 발견을 이끈, 외과적 쇼크 및 수술 후 질환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라보리), 정신 의학 영역으로의 클로르프로마진의 응용(데니케), 및 정신 질환에 대한 클로르프로마진의 치료 효과 실증(리만) | ||
네이선 S. 클라인(Nathan S. Kline) 네이선 S. 클라인 | 미국 | ||||
로버트 H. 노스(Robert H. Noce) 로버트 H. 노스 | 미국 | ||||
-- | 앙리 라보리(Henri Laborit) 앙리 라보리 | 프랑스 | |||
-- | 피에르 데니케르(Pierre Deniker) 피에르 데니케르 | 프랑스 | |||
하인츠 리만(Heinz Lehmann) 하인츠 리만 | 캐나다 (출신) | ||||
-- | 리처드 쇼프(Richard Shope) 리처드 쇼프 | 미국 | 인간과 동물의 감염증에 대한 지식 향상, 그리고 새로운 미생물학적 원리의 발견 | ||
1958년 | 로버트 월리스 윌킨스(Robert Wallace Wilkins) 로버트 월리스 윌킨스 | 미국 | 고혈압의 진단 치료에 관한 연구를 통한, 심혈관 질환의 제어에 대한 기여 | ||
1959년 | 존 딩글(John Holmes Dingle) 존 H. 딩글 | 미국 | 급성 호흡기 질환의 제어에 대한 연구 | ||
길버트 댈돌프(Gilbert Dalldorf) 길버트 댈돌프 | 미국 | 바이러스가 다른 바이러스 감염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짐을 증명, 그리고 콕사키 바이러스의 발견 | |||
로버트 E. 그로스(Robert E. Gross) [8] | 미국 | 선천성 심장 기형의 외과 수술을 통한 치료 성공 | |||
연도 | 수상자 | 국적 | 수상 이유 | ||
---|---|---|---|---|---|
1960년 | 칼 P. 링크(Karl Paul Link) | 미국 | 항응고제 개발 | ||
어빙 라이트(Irving S. Wright) | 미국 | ||||
-- | 에드거 앨런(Edgar Van Nuys Allen) | 미국 | |||
1962년 | 조지프 스마델(Joseph Edward Smadel) | 미국 | 리케차증에서의 클로람페니콜 치료 효과의 실증을 포함한, 바이러스 및 리케차 감염에 대한 이해에 기여 | ||
1963년 | -- | 마이클 드베이키(Michael DeBakey) | 미국 | 심장 혈관 외과학의 발전에 있어서의 리더십 발휘 | |
-- | 찰스 허긴스(Charles Brenton Huggins) | 미국 ( 캐나다 출신) | 인간과 동물의 종양을 제어하는 내분비 기능에 대한 이해에 기여 | ||
1964년 | 네이선 S. 클라인(Nathan S. Kline) | 미국 | 심한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의 이프로니아지드 사용 | ||
1965년 | -- | 앨버트 새빈(Albert Sabin) | 미국 | 급성 회백수염(소아마비)예방을 위한 경구 생백신의 개발 | |
1966년 | -- | 시드니 파버(Sidney Farber) | 미국 | 소아 급성 백혈병에 대한 아미노프테린 및 메토트렉세이트의 사용, 및 항암 물질 탐색에 있어서의 리더십 발휘 | |
1967년 | 로버트 A. 필립스(Robert Allan Phillips) | 미국 | 콜레라에 의한 치사의 기전 해명 및 정맥 내 수액을 사용한 치료법의 개발 | ||
1968년 | -- | 존 헤이샴 기번 주니어(John Heysham Gibbon) | 미국 | 인공 심폐 장치의 개발 | |
1969년 | 조지 코티아스(George Cotzias) | 미국 ( 그리스 출신) | 레보도파(L-dopa)투여에 의한 파킨슨병 치료 효과의 실증 | ||
연도 | 수상자 | 국적 | 수상 이유 | ||
---|---|---|---|---|---|
1970년 | 로버트 A. 굿(Robert A. Good) | 미국 | 면역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독창적인 공헌 | ||
1971년 | 에드워드 프레이스(Edward D. Freis) | 미국 | 중등도 고혈압에 대한 약물 치료의 효과 입증 | ||
1972년 | -- | 리 민치우(Min Chiu Li) | 미국 ( 중화민국 출신) | 임신성 융모암에 대한 화학 요법 확립 | |
-- | 로이 허츠(Roy Hertz) | 미국 | |||
-- | 데니스 버킷(Denis Parsons Burkitt) | 영국 | 버킷 림프종 발견 | ||
조셉 버체날(Joseph H. Burchenal) | 미국 | 모델 질환으로서의 버킷 림프종의 중요성 발견 | |||
빅터 아노마 누구(Victor Anomah Ngu) | 카메룬 | 버킷 림프종에 대한 화학 요법 개발 | |||
존 L. 지글러(John L. Ziegler) | 미국 | 버킷 림프종 화학 요법의 치료율 개선 | |||
-- | 에드먼드 클라인(Edmund Klein) | 미국 | 피부의 악성 종양 및 전암 병변 치료에 대한 기여 | ||
-- | 에밀 프라이(Emil Frei) | 미국 | 림프종 및 성인 급성 백혈병에 대한 복합 화학 요법 적용 | ||
에밀 프레이라이크(Emil J. Freireich) | 미국 | 복합 화학 요법 및 환자에 대한 지원 요법에서의 현저한 공헌 | |||
-- | 제임스 F. 홀랜드(James F. Holland) | 미국 | 소아 급성 백혈병에 대한 복합 요법 적용 | ||
-- | 도널드 핑켈(Donald Pinkel) | 미국 | |||
폴 P. 카본(Paul P. Carbone) | 미국 | 소아 급성 백혈병 복합 요법의 발전에 기여 | |||
-- | 빈센트 데비타(Vincent T. DeVita) | 미국 | 호지킨 림프종에 대한 복합 요법 적용 | ||
유진 스콧(Eugene J. Van Scott) | 미국 | 균상 식육종에 대한 국소 화학 요법 적용 | |||
아이작 제라시(Isaac Djerassi) | 화학 요법 적용 환자에 대한 혈소판 수혈을 통한 지원 요법 개발 | ||||
-- | 고든 주브로드(Gordon Zubrod) | 미국 | (특별상) 암 화학 요법 발전에서의 리더십 발휘 | ||
1973년 | -- | 폴 졸(Paul Zoll) | 미국 | 비개흉식 제세동기 및 심장 박동 조율기 개발 | |
-- | 윌리엄 카우엔호벤(William B. Kouwenhoven) | 미국 | 개흉식 및 비개흉식 제세동기 개발, 체외 심장 마사지 기술 창시 | ||
1974년 | 존 찰리(John Charnley) | 영국 | 관절염 및 관절 장애 치료에 새로운 지평을 연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에 대한 기술적 기여 | ||
1975년 | -- | 고드프리 하운스필드(Godfrey Hounsfield) | 영국 | 방사선 진단학에 혁명을 가져온 컴퓨터 단층 촬영(CT)기술 발견 | |
윌리엄 올덴도르프(William H. Oldendorf) | 미국 | 방사선 진단학에서의 혁명적 발견 | |||
1976년 | 레이몬드 알퀴스트(Raymond Ahlquist) | 미국 | 프로프라놀롤 개발의 길을 연 α 및 β 수용체에 관한 개념 확립 | ||
-- | 제임스 블랙(James W. Black) | 영국 | 심장병 치료에서의 프로프라놀롤 개발 | ||
1977년 | -- | 잉게 에들러(Inge Edler) | 스웨덴 | 비침습적 진단법으로서의 초음파 검사의 임상 응용 | |
-- | 칼 헬무트 헤르츠(Carl Hellmuth Hertz) | 의학 분야에서의 초음파 검사법 개발 | |||
1978년 | 로버트 오스트리안(Robert Austrian) | 미국 | 피막 다당체 백신에 의한 폐렴구균 감염 예방 효과 입증 | ||
에밀 C. 고트슐리히(Emil C. Gotschlich) | 미국 | 수막구균 감염을 예방하는 피막 다당체 백신 개발 및 효과 입증 | |||
-- | 마이클 하이델버거(Michael Heidelberger) | 미국 | 피막 다당체 백신 개발의 기초를 다진 면역 화학적 연구 | ||
연도 | 수상자 | 국적 | 수상 이유 | ||
---|---|---|---|---|---|
1980년 | 시릴 클라크(Cyril Clarke) | 영국 | Rh 인자의 유전학적 분석 및 신생아 용혈성 질환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기초 연구 | ||
로널드 핀(Ronald Finn) | 영국 | 태아가 어머니의 면역계로부터 보호받는 기전, Rh 인자 관련 질환의 발생 기전 해명 | |||
빈센트 프리다(Vincent Freda) | 미국 | 신생아 용혈성 질환을 예방하는 항Rh 백신 개발에 대한 임상 연구 | |||
존 G. 고먼(John G. Gorman) | 미국 ( 호주 출신) | 항Rh 백신 개발에 대한 면역학적 통찰 | |||
윌리엄 폴락(William Pollack) | 미국 ( 영국 출신) | 항Rh 백신 개발에 대한 면역학적 지식 및 약학적 이해에 대한 기여 | |||
1981년 | -- | 루이스 소콜로프(Louis Sokoloff) | 미국 | 중추 신경계 네트워크의 생화학적 활동을 시각화하는 기법(2DG법) 개발 | |
1982년 | -- | 로스코 브래디(Roscoe Brady) | 미국 | 효과적인 유전 상담 기법 개발, 결손 효소의 대체에 의한 치료법 검토 | |
-- | 엘리자베스 F. 뉴펠드(Elizabeth F. Neufeld) | 미국 | 어떤 종류의 유전성 리소좀 축적증의 분자적 기반 해명 및 진단법 확립 | ||
1983년 | -- | F. 메이슨 소네스(F. Mason Sones) | 미국 | 관상 동맥 질환의 진단 치료에 새로운 시대를 연 심장 카테터 검사와 관상 동맥 조영의 복합 기술 개발 | |
1984년 | 폴 로터버(Paul Lauterbur) | 미국 | 핵자기 공명 영상법 (MRI) 개발에 대한 이론적, 기술적 기여 | ||
1985년 | -- | 버나드 피셔(Bernard Fisher) | 미국 | 생존율 향상 및 QOL 향상을 가져온 유방암 치료법 확립 | |
1986년 | -- | 마이론 에섹스(Myron Essex) | 미국 | 인간 면역계에 대한 레트로바이러스 감염의 영향에 대한 연구 | |
-- | 로버트 갤로(Robert Gallo) | 미국 |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AIDS)의 원인이, (현재는 HIV-1로 알려진) 레트로바이러스의 한 종류임을 특정 | ||
-- | 뤽 몽타니에(Luc Montagnier) | 프랑스 | 후에 AIDS의 원인으로 밝혀지는 레트로바이러스 검출 | ||
1987년 | 모겐스 스코(Mogens Schou) | 정신병 치료에 혁신을 가져온, 조울증에 대한 리튬의 예방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 시험 | |||
1988년 | 빈센트 돌(Vincent Dole) | 미국 | 약물 중독의 생리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 헤로인 중독 치료약 메사돈 개발 | ||
1989년 | 에티엔느-에밀 볼리(Étienne-Émile Baulieu) | 프랑스 |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생합성, 대사, 수용체에 대한 폭넓은 연구, 효과적이고 안전한 임신 중절 약물인 미페프리스톤(RU-486) 개발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right:0px;"
! 연도
!colspan=2|수상자
! 국적
! 수상 이유
|-
|1991년||||간위에이(유에 W. 칸)
| 미국
캐나다 (출신)
|인간 유전학의 발전에 대한 현저한 공헌, 특히 재조합 DNA 기술을
참조
[1]
뉴스
Discoverers of Small Regulatory RNAs and Cholesterol-Lowering Drugs to Receive Lasker Awards for Medical Research
http://www.marketwat[...]
MarketWatch
2008-09-16
[2]
웹사이트
The Lasker Foundation – 2012 Clinical Medical Research Award
http://www.laskerfou[...]
[3]
웹사이트
The Lasker Foundation – 2013 Clinical Medical Research Award
http://www.laskerfou[...]
[4]
웹사이트
Lasker Awards 2016
http://www.laskerfou[...]
[5]
웹사이트
Laureates 2019
http://www.laskerfou[...]
[6]
웹사이트
The Lasker Awards Overview
http://www.laskerfou[...]
Lasker Foundation
2011-11-26
[7]
문서
没後の受賞。
[8]
문서
1954年に次ぐ、2度目の受賞。
[9]
문서
1957年に次ぐ、2度目の受賞。
[10]
웹사이트
2015 Lasker Awards
http://www.laskerfou[...]
Lasker Foundation
2016-10-09
[11]
웹사이트
2016 Lasker Awards
http://www.laskerfou[...]
Lasker Foundation
2016-10-09
[12]
웹사이트
2017 Lasker Awards
http://www.laskerfou[...]
Lasker Foundation
2017-09-14
[13]
웹사이트
2018 Lasker Awards
http://www.laskerfou[...]
Lasker Foundation
2018-09-15
[14]
웹사이트
2019 Lasker Awards
http://www.laskerfou[...]
Lasker Foundation
2019-09-12
[15]
웹사이트
Award Description
https://laskerfounda[...]
Lasker Foundation
2022-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