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은 1947년 말레이안 항공으로 설립되어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으로,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등을 허브 공항으로 전 세계 100여 곳에 취항했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정부의 공동 소유를 거쳐, 1972년 말레이시아 항공과 싱가포르 항공으로 분리되었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은 다양한 기종을 운용했으며, 운항 중 6건의 기체 손실 사고가 있었지만 사망자는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IATA 코드 | ML |
ICAO 코드 | MSA |
호출 부호 | MALAYSIAN 말레이시안 |
설립 | 1937년 (말라얀 항공으로 설립)https://www.nlb.gov.sg/main/article-detail?cmsuuid=64aa59aa-7a46-4bd5-a543-e259ffb97666 1963년 (말레이시아 항공) 1966년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 |
해체 | 1972년 9월 30일 (말레이시아 항공 시스템과 싱가포르 항공으로 재편) |
본사 | 로빈슨 로드, 래플즈 플레이스, 싱가포르 |
허브 공항 | 싱가포르-칼랑 (1947–1955) 싱가포르-파야 레바르 (1955–1972) |
2차 허브 공항 | 쿠알라룸푸르-심팡 (1952–1965) 쿠알라룸푸르-수방 (1965–1972) |
자회사 | |
보유 항공기 수 | |
항공기 수 | 13+ |
2. 역사
말레이시아 항공의 역사는 1947년 말레이안 항공(Malayan Airways Limited영어)으로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3] 초기에는 국내선 노선을 운항하다 3개월 만에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취항을 확대했다.[3] 1957년 말레이시아 독립 이후 신규 노선을 확대했으며,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 수립과 함께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정부가 공동 소유하게 되면서 다시 사명이 변경되었다가, 1972년 공동 소유 체제가 끝나면서 말레이시아 항공과 싱가포르 항공으로 분리되었다.[3]
1950년대는 말레이 항공에게 획기적인 시기였다. 새로운 활주로 건설과 공항 업그레이드를 통해 인프라를 강화하고, 동남아시아의 항공 여행 수요 증가에 발맞춰 노선을 확장했다.[3] 영국령 보르네오의 도시를 포함하여 다양한 목적지로 노선을 넓혔다.[5] 1958년에는 주식회사로 전환되어 영국 해외 항공 공사(BOAC), 콴타스(Qantas) 및 말라야, 싱가포르, 보르네오 영토 정부가 주요 주주가 되었다.[6] 홍콩 노선을 추가하며 주요 지역 항공사로 성장했다.[7] 1960년에는 더글러스 DC-3, 브리스톨 브리타니아, 록히드 L-1049 슈퍼 컨스텔레이션, 비커스 바이카운트 등 다양한 기종을 운영하며 서비스 품질과 운영 효율성을 높였다.[13][7]
1960년대 초, 드 하빌랜드 코멧 제트 여객기를 도입하고, 포커 F27 Friendship 터보프롭 항공기로 노후 기종을 대체하며 현대화를 추진했다.[8] 타이 항공, 캐세이퍼시픽 항공과 협력하여 지역 항공 네트워크에서의 입지를 강화했다.[8]
2. 1. 말라얀 항공 (1937-1963)
1937년 싱가포르의 스트레이츠 스팀십 컴퍼니와 영국의 오션 스팀십 컴퍼니, 임페리얼 항공의 협력을 통해 말라얀 항공(Malayan Airways Limited영어)이 설립되었다.[3][9] 지역 항공사 설립이 목표였으며, 1937년 10월 21일 말라얀 항공 주식회사 설립으로 공식화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가능성으로 인해 운항은 지연되었다.[3][9]
말라야의 일본 점령 이후 항공 여행 수요가 증가하자, 말레이안 항공은 운항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항공사는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전후 시대에 이 지역 항공 분야의 핵심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13]
1947년 5월 1일, 싱가포르와 쿠알라룸푸르 간 첫 비행이 에어스피드 콘술 항공기로 운항되었다. 이후 페낭과 이포 등 다른 주요 도시로 정기 국내선 서비스가 확장되었다.[3]
같은 해, 말레이 항공은 더글러스 DC-3를 인수하여 말라야와 인접 지역의 목적지를 연결하는데 활용했다.

2. 2. 말레이시아 항공 (1963-1966)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이 수립되면서, 항공사 이름을 말레이시아 항공(Malaysian Airways)으로 변경했다. 이는 말라야, 싱가포르, 사바, 사라왁을 포함하는 새로운 국가의 정체성을 반영한 것이었다.[9]이 시기 말레이시아 항공은 국내 및 지역 네트워크를 강화하는데 주력했다. 이를 위해 포커 F27 프렌드십 항공기 5대를 추가 도입하여, 국내선 및 지역 노선의 운항 능력과 효율성을 높였다.[9]

1965년에는 보르네오 항공(Borneo Airways영어)을 합병하여, 동말레이시아 지역으로 운항을 확대했다. 이를 통해 사바와 사라왁 주를 포함한 말레이시아 전역에 걸쳐 더 포괄적인 항공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었다.[9][10] 이 합병은 서말레이시아와 동말레이시아 간의 연결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9]
1965년 8월 9일,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분리되었지만, 말레이시아 항공은 이후에도 현대화와 확장을 지속했다. 1966년에는 최신 보잉 항공기를 도입하여, 증가하는 항공 여행 수요에 대응하고 지역 항공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했다.[9]
2. 3.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 (1966-1972)
1966년,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로부터 분리 독립하면서 항공사 이름이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Malaysia-Singapore Airlines, MSA)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정부 간의 합작 투자를 반영한 것이었다.[9][13] 양국 정부는 항공사에 자본을 투자하여 각각 약 42.79%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다.[9][13]MSA는 보잉 707과 보잉 737 항공기를 도입하여 드 하빌랜드 코멧("실버 크리스")을 대체하고 국제선 노선을 확장했다.[9] 1967년에는 타이페이, 퍼스, 시드니로 노선을 확장하며 국제적인 입지를 강화했다.[11] 1972년에는 런던, 로마, 취리히, 프랑크푸르트, 아테네, 도쿄, 오사카 등지로 운항을 확대했다.[12]

그러나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정부 간의 항공 전략 차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했다. 싱가포르는 MSA를 국제 노선에 주력하는 글로벌 항공사로 키우고자 했고, 말레이시아는 국내 연결성 강화에 더 집중했다.[13] 이러한 갈등은 결국 1972년 MSA의 해체로 이어졌다.
MSA는 1972년 10월 1일 운항을 중단하고, 자산은 말레이시아 항공 시스템(MAS, 이후 말레이시아 항공)과 싱가포르 항공(SIA)으로 분리되었다.[13][14] 싱가포르 항공은 보잉 707 및 보잉 737 항공기와 대부분의 국제선 노선을 인수했고, [14] 말레이시아 항공 시스템은 포커 F27 Friendship과 브리튼-노먼 BN-2 아일랜더 항공기, 그리고 말레이시아 내 국내선 운항을 인수했다.[13][14]
3. 운항 노선
말레이 항공은 말라얀 항공 시절부터 다양한 노선을 운항해 왔다. 초기에는 싱가포르와 쿠알라룸푸르 사이를 에어스피드 콘술 항공기로 운항했으며, 곧 페낭과 이포 등 다른 주요 도시로 확장했다.[3] 같은 해 더글러스 DC-3를 도입하여 사이공(호치민), 바타비아(자카르타), 팔렘방, 메단, 방콕 등 동남아시아 국제선 노선을 확장했다.[3] 국내선으로는 쿠안탄과 코타바루 노선을 운항했고, 1950년에는 메르귀(미에이크)와 랑군(양곤)까지 국제선을 확장했다.[4]
1950년대는 말레이 항공의 확장기였다. 활주로 건설과 공항 업그레이드를 통해 노선을 확충하고 동남아시아 항공 여행 수요 증가에 부응했다.[3] 1952년에는 타이핑, 말라카, 알로르 세타르 등의 도시와 영국령 보르네오의 쿠칭, 시부, 라부안, 코타키나발루, 산다칸 등으로 노선을 확장했다.[5] 1958년에는 DC-4 항공기를 도입하여 홍콩 노선을 추가했다.[7]
1960년까지 말레이안 항공은 싱가포르-홍콩, 쿠알라룸푸르-방콕(페낭 경유) 등 주요 노선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더글러스 DC-3, 브리스톨 브리타니아, 록히드 L-1049 슈퍼 컨스텔레이션, 비커스 바이카운트 등 다양한 기종을 운영했다.[13][7] 1963년에는 드 하빌랜드 코멧 제트 여객기를 도입하고, 포커 F27 Friendship 터보프롭 항공기로 노후 기종을 대체했다.[8]
1963년 말레이시아 연방이 설립된 후, 말레이안 항공은 말레이지안 항공으로 사명을 변경했다.[9] 이후 보르네오 항공과 합병하여 동말레이시아의 여러 지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했다.[9][10] 1966년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MSA)으로 재편되면서 보잉 707과 보잉 737 항공기를 도입, 국제 노선을 확장했다.[9] 1967년에는 타이페이, 퍼스, 시드니 노선을, 1972년에는 런던, 로마, 취리히, 프랑크푸르트, 아테네, 도쿄, 오사카 노선을 추가했다.[11][12]
그러나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항공 우선순위 차이로 인해 1971년 MSA는 재편을 거쳐 1972년 10월 1일 운항을 중단하고, 말레이시아 항공 (MAS)과 싱가포르 항공(SIA)으로 분리되었다.[13]
3. 1. 과거의 운항 노선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은 과거 오스트레일리아, 바레인, 그리스,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일본, 필리핀, 싱가포르, 스리랑카, 스위스, 대만, 태국, 영국, 남베트남, 서독 등 다양한 국가에 취항했다. 다음은 과거 운항 노선 목록이다.
3. 2. 1972년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의 운항 노선
1972년 분리 당시,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은 다음 지역에 취항하고 있었다.[12]국가 | 도시 | 공항 | 비고 |
---|---|---|---|
오스트레일리아 | 멜버른 | 멜버른 공항 | |
오스트레일리아 | 퍼스 | 퍼스 공항 | |
오스트레일리아 | 시드니 | 시드니 공항 | |
바레인 | 마나마 | 바레인 공항 | |
브루나이 | 브루나이 타운 | 브루나이 공항 | |
스리랑카 | 콜롬보 | 카투나야케 공항 | |
그리스 | 아테네 | 엘리니콘 공항 | |
영국령 홍콩 | 영국령 홍콩 | 카이탁 공항 | |
인도 | 뭄바이 | 산타크루즈 공항 | |
인도네시아 | 덴파사르 | 투반 공항 |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 | 케마요란 공항 | |
인도네시아 | 메단 | 폴로니아 국제공항 | |
이탈리아 | 로마 | 레오나르도 다 빈치-피우미치노 공항 | |
일본 | 나고야 | 코마키 공항 | |
일본 | 오사카 | 이타미 공항 | |
일본 | 도쿄 | 하네다 공항 | |
말레이시아 | 알로르 세타르 | 알로르 세타르 공항 | |
말레이시아 | 바리오 | 바리오 공항 | |
말레이시아 | 벨라가 | 벨라가 공항 | |
말레이시아 | 빈툴루 | 빈툴루 공항 | |
말레이시아 | 이포 | 이포 공항 | |
말레이시아 | 카피트 | 카피트 공항 | |
말레이시아 | 케닝가우 | 케닝가우 공항 | |
말레이시아 | 코타키나발루 | 코타키나발루 공항 | |
말레이시아 | 코타바루 | 코타바루 공항 |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 | 술탄 압둘 아지즈 샤 공항 | |
말레이시아 | 쿠안탄 | 쿠안탄 공항 | |
말레이시아 | 쿠알라 테렝가누 | 쿠알라 테렝가누 공항 | |
말레이시아 | 쿠칭 | 쿠칭 공항 | |
말레이시아 | 쿠닷 | 쿠닷 공항 | |
말레이시아 | 라와스 | 라와스 공항 | |
말레이시아 | 라부안 | 라부안 공항 | |
말레이시아 | 라하드 다투 | 라하드 다투 공항 | |
말레이시아 | 림방 | 림방 공항 | |
말레이시아 | 롱 세마도 | 롱 세마도 공항 | |
말레이시아 | 롱 세리단 | 롱 세리단 공항 | |
말레이시아 | 말라카 | 바투 베렌담 공항 | |
말레이시아 | 마루디 | 마루디 공항 | |
말레이시아 | 미리 | 미리 공항 | |
말레이시아 | 무카 | 무카 공항 | |
말레이시아 | 파몰 | 파몰 공항 | |
말레이시아 | 페낭 | 페낭 공항 | |
말레이시아 | 산다칸 | 산다칸 공항 | |
말레이시아 | 셈포르나 | 셈포르나 공항 | |
말레이시아 | 세풀롯 | 세풀롯 공항 | |
말레이시아 | 시부 | 시부 공항 | |
말레이시아 | 시망강 | 시망강 공항 | |
말레이시아 | 타와우 | 타와우 공항 | |
말레이시아 | 텔루피드 | 텔루피드 공항 | |
말레이시아 | 토망공 | 토망공 공항 | |
필리핀 | 마닐라 |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싱가포르 공항 | |
스위스 | 취리히 | 취리히 공항 | |
타이완 | 타이베이 | 쑹산 공항 | |
태국 | 방콕 | 돈므앙 국제공항 | |
영국 | 런던 | 히드로 공항 | |
남베트남 | 사이공 | 떤선녓 국제공항 | |
서독 |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공항 |
4. 보유 기종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은 설립 초기부터 다양한 기종을 운영하며 시대적 변화와 항공 수요 증가에 발맞춰 기단을 발전시켰다.
초창기 말라야 항공은 데 하빌랜드 DH.89 드래곤 래피드와 같은 소형 항공기로 영국령 말라야 내 단거리 노선을 운항했다. 이후 더글러스 DC-3를 도입하여 지역 내 연결성을 강화하고, 늘어나는 승객 수요에 대응했다. 1950년대에는 비커스 바이카운트와 더글러스 DC-4를 도입하여 더 많은 승객과 화물을 수송하고 운항 거리를 확장했다.
1962년, '실버 크리스'라는 이름으로 데 하빌랜드 코멧 4를 도입하며 제트 시대를 열었다. 이를 통해 제트 추진 서비스를 시작, 더 빠르고 효율적인 장거리 비행이 가능해졌다.
1966년,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MSA)으로 재편되면서 보잉 707과 보잉 737을 도입하여 국제선 운항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포커 F27 프렌드십은 국내선과 지역 노선에서 계속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9][15]
4. 1. 퇴역 기종
기종 | 도입 년도 | 퇴역 년도 | 비고 |
---|---|---|---|
에어스피드 콘설 | 1947 | 1951 | |
보잉 707-320 | 1967 | 1980-1982 | 싱가포르 항공으로 이전 |
보잉 737-100 | 1969 | 1980 | |
보잉 737-200 | 1971 | 1980 | |
브리튼 노먼 BN-2 아일랜더 | 1968 | 1972 | |
세스나 310F | #넘겨주기 | #넘겨주기 | 1대는 보르네오 항공과 합병 전의 항공기[25] |
드 하빌랜드 캐나다 DHC-2 비버 | 1952 | #넘겨주기 | 말라얀 항공과 합병 전 페데라션 에어 서비스 운항[26] |
드 하빌랜드 DH.89A 드래곤 라피드 | 1949 | 1958 | |
드 하빌랜드 DH.106 코멧 4 | 1962 | 1969 | 보르네오 항공이 말레이시안 항공과 합병 전까지 운항[25][27] |
더글러스 DC-3 | 1947 | 1968 | 보르네오 항공이 말레이시안 항공과 합병 전까지 운항[25] |
더글러스 DC-4 | 1958 | 1960 | |
포커 27 프렌드십 | 1963 | 1972 | 보르네오 항공이 말레이시안 항공과 합병 전까지 운항[25] |
록히드 L-1049 슈퍼 콘스틸레이션 | 1960 | 1960 | |
스코티시 항공 트윈 파오네어 | 1959 | 1962 | 보르네오 항공이 말레이시안 항공과 합병 전까지 운항[25] |
비커스 비스카운트 | 1959 | 1962 |
4. 2.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 역사 기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항공(MSA)은 다음과 같은 기종들을 운용했다.항공기 | 도입 | 퇴역 | 비고 |
---|---|---|---|
에어스피드 콘설 | 1947 | 1951 | |
보잉 707-320 | 1967 | 1980-1982 | 싱가포르 항공으로 이전 |
보잉 737-100 | 1969 | 1980 | |
브리튼-노먼 BN-2 아일랜더 | 1968 | 1972 | 말레이시아 항공 시스템으로 이전 |
데 하빌랜드 캐나다 DHC-2 비버 | 1952 | 1960 | 말라야 항공과 합병되기 전에 연방 항공 서비스에서 운항[16] |
데 하빌랜드 DH.89A 드래곤 래피드 | 1949 | 1958 | |
데 하빌랜드 DH.106 코멧 4 | 1962 | 1969 | 보르네오 항공과 합병되기 전에 말레이시아 항공에서 운항[17][18] |
더글러스 DC-3 | 1947 | 1968 | 합병 전 말레이시아 항공 및 보르네오 항공에서 운항[17] |
더글러스 DC-4 | 1958 | 1960 | |
포커 F27 프렌드십 | 1963 | 1972 | 말레이시아 항공 시스템으로 이전 |
록히드 L-1049 슈퍼 컨스텔레이션 | 1960 | 1960 | |
스코티시 항공 트윈 파이오니어 | 1959 | 1962 | 말레이시아 항공과 합병되기 전에 보르네오 항공에서 운항[17] |
비커스 바이카운트 | 1959 | 1962 |
말라야 항공 시대에는 데 하빌랜드 DH.89 드래곤 래피드와 같은 소형 항공기가 주로 국내선 및 단거리 노선에 투입되었다. 이후 더글러스 DC-3를 도입하여 지역 연결성을 개선하고 늘어나는 승객 수요에 대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비커스 바이카운트, 더글러스 DC-4와 같이 더 큰 기종으로 교체되면서 더 많은 승객을 태우고 더 긴 노선을 운항할 수 있게 되었다.
1962년, '실버 크리스'라는 이름의 데 하빌랜드 코멧 4를 도입하면서 제트 시대를 맞이했다. 이를 통해 제트 추진 서비스를 시작하여 더 빠르고 효율적인 장거리 비행이 가능해졌다.
1966년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MSA)으로 재편되면서 보잉 707, 보잉 737 항공기를 도입하여 국제선 운항을 강화했다. 포커 F27 프렌드십은 국내선 및 지역 노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9][15]
5. 사건 및 사고
말레이시아 항공(MAL)과 말레이시아-싱가포르 항공(MSA)은 운항 중 총 6건의 기체 손실 사고를 겪었으나, 이로 인한 사망자는 없었다.[22][23]
발생일 | 항공기 | 출발지 | 도착지 | 비고 |
---|---|---|---|---|
1964년 3월 22일 | 드 하빌랜드 코멧 4 (G-APDH) | 쿠알라룸푸르 공군기지 | 파야 레바 공항 | 착륙 중 추락. 탑승자 68명 전원 생존. |
1967년 1월 30일 | 더글러스 DC-3 (9M-AMU) | 시부 공항 | 루통 공항 | 착륙 중 추락, 도랑으로 미끄러짐. 탑승자 28명 전원 생존, 항공기 폐기. |
1967년 3월 5일 | 스코티시 항공 트윈 파이어니어 (9M-ANO) | 림방 공항 | 착륙 중 손상. 탑승자 16명 중 1명 부상. | |
1967년 5월 17일 | 스코티시 항공 트윈 파이어니어 (9M-ANC) | 림방 공항 | 이륙 중 추락. 사망자 없음. | |
1969년 12월 5일 | 브리튼-노먼 BN-2 아일랜더 (9M-APE) | 바리오 공항 | 착륙 중 심각하게 손상. | |
1971년 11월 23일 | 포커 F-27 우정기 (9V-BCU) |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 | 훈련 중 사고. 활주로 이탈.[24] |
6. 기업 문제
1960년대에 말레이시아 항공은 싱가포르 래플스 플레이스에 본사를 두었다.[19] 1971년까지 본사는 싱가포르 로빈슨 로드의 MSA 빌딩으로 이전되었으며, 이후 SIA 빌딩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0][21]
참조
[1]
웹사이트
Singapore Airlines is incorporated
https://www.nlb.gov.[...]
2024-12-03
[2]
웹사이트
Singapore Airlines
http://www.iloveindi[...]
2007-04-05
[3]
웹사이트
Malaysian Airlines System Berhad History
http://www.fundingun[...]
2007-04-05
[4]
웹사이트
Malayan Airways January 1, 1950
https://www.timetabl[...]
2024-12-02
[5]
웹사이트
Malayan Airways December 10, 1952
https://www.timetabl[...]
2024-12-02
[6]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malaysiaavia[...]
2024-12-02
[7]
웹사이트
Malayan Airways timetable January 1, 1959
https://www.timetabl[...]
2024-12-02
[8]
웹사이트
Malayan Airways May 1, 1963
https://www.timetabl[...]
2024-12-02
[9]
웹사이트
Past, Present & Moving Forward
http://hq.malaysiaai[...]
2007-04-05
[10]
뉴스
Sarawak Cabinet to discuss airways merger
https://eresources.n[...]
1965-02-06
[11]
웹사이트
Malayan Airways timetable May 1, 1967
https://www.timetabl[...]
2024-12-02
[12]
웹사이트
Malayan Airways timetable August 1, 1972
https://www.timetabl[...]
2024-12-02
[13]
간행물
Singapore Airlines-Singapore Infopedia
https://www.nlb.gov.[...]
2024-12-02
[14]
간행물
A meeting with an avid collector of Malayan aviation memorabilia offers an interesting insight into the origin of our national carrier
https://www.nst.com.[...]
2024-12-02
[15]
웹사이트
Malaysian Airlines System Berhad
http://www.fundingun[...]
2007-04-05
[16]
뉴스
Malayan Airways 1960
1960-01-01
[17]
뉴스
Malaysian-Borneo Merger
1965-04-15
[18]
뉴스
Comet 4 Singapore Incident
1964-05-07
[19]
간행물
Flight International
http://www.flightglo[...]
1964-04-02
[20]
간행물
Flight International
http://www.flightglo[...]
1971-05-06
[21]
웹사이트
Malaysia Singapore Airlines Building at Robinson Road
https://www.nlb.gov.[...]
National Library Board, Singapore
2023-04-17
[22]
웹사이트
Borneo Airways list of accidents and incidents
https://asn.flightsa[...]
Flight Safety Foundation
2018-04-12
[23]
웹사이트
Malaysian Airways list of accidents and incidents
https://asn.flightsa[...]
Flight Safety Foundation
2018-04-12
[24]
웹사이트
aviation-safety.net
https://asn.flightsa[...]
2007-04-16
[25]
뉴스
Malaysian-Borneo Merger
1965-04-15
[26]
뉴스
Malayan Airways 1960
1960-01-01
[27]
뉴스
Comet 4 Singapore Incident
1964-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