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 관세 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관세 기구(WCO)는 1950년 관세협력위원회(CCC)로 설립되어, 199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국제기구이다. 전 세계 물동량의 98% 이상에 대한 관세 사항을 총괄하며, 관세 분야의 국제적 이슈 개발 및 세관 현대화를 주도한다. WCO는 세입 확보, 국가 안보, 무역 원활화 등을 목표로 하며, 국제통일상품분류(HS) 협약, 세관절차 간소화 및 조화에 관한 국제협약(개정 교토협약) 등 다양한 협약과 활동을 수행한다. 2024년 5월 기준 186개 국가 및 지역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한국은 1968년 가입하여 WCO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총회 옵서버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유엔 총회 옵서버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67년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5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냉전 종식 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현재 10개국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 통합 및 동아시아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역내외 안보 및 인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조약으로 설립된 정부간 기구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조약으로 설립된 정부간 기구 - 5개국 방위 협정
    5개국 방위 협정은 1971년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싱가포르, 영국이 체결한 안보 협정으로, 회원국들은 상호 협의를 통해 공동 대응을 약속하며 군사 협력 및 상호 운용성을 강화하고 사이버 보안 및 우주 안보 등 새로운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능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국제 무역 - 보호무역
    보호무역은 정부가 국내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관세, 수입 할당량, 기술 보호, 외국인 투자 제한 등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고 최근 주요 국가에서 강화되는 추세이다.
  • 국제 무역 - 태평양 동맹
    태평양 동맹은 2011년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대통령들이 결성한 지역 경제 협력체로, 아시아를 지향하며 자유 무역 증진을 목표로 라틴 아메리카 GDP의 약 35%를 차지하는 경제 블록이다.
세계 관세 기구
개요
세계 관세기구 로고
세계 관세기구 로고
약칭WCO
설립일1953년 1월 26일
유형정부간 기구
본부브뤼셀, 벨기에
회원186개 관세 당국
사용 언어영어 및 프랑스어
사무총장이안 사운더스 (2024년 1월 - 현재)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이전 명칭관세 협력 이사회 (CCC)
조직
목적관세 절차의 조화 및 간소화, 국제 무역 촉진, 불법 무역 방지
주요 활동HS 코드 관리
관세 평가 기준 개발
원산지 규정 개발
무역 안전 및 원활화 표준 개발
협력
협력 기관세계 무역 기구(WTO)
주요 협약
주요 협약통일 상품명 및 부호체계에 관한 국제 협약(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관세 평가에 관한 협정(Agreement on Customs Valuation)
원산지 규정에 관한 협정(Agreement on Rules of Origin)

2. 역사

1947년 유럽 13개국은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의 관세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스터디 그룹을 결성했다. 1950년 관세협력위원회(CCC)가 창설되었고, 1953년 1월 26일 17개 회원국이 참여한 가운데 첫 회의가 열렸다.[6] 이후 회원국이 전 세계로 확대되면서 1994년 세계 관세 기구(WCO)로 명칭을 변경했다. 오늘날 WCO는 전 세계 물동량의 98% 이상에 관한 관세 사항을 총괄하고 있다.[6]

2. 1. 설립 배경

1947년 8월 23일, 유럽 경제 협력 위원회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 규칙과 관련된 유럽 국가 간 관세 동맹의 경제적 및 기술적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유럽 관세 동맹 연구 그룹(ECUSG)을 창설했다. 1947년 11월부터 1950년 6월까지 총 6차례의 ECUSG 회의가 개최되었다.[5] 이러한 노력은 1950년 브뤼셀에서 서명된 '''관세 협력 위원회 설립 협약'''(CCC)의 채택으로 이어졌다.

2. 2. 관세협력위원회(CCC) 설립

1947년 유럽 13개국은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중 관세 관련 사항을 논의하기 위한 스터디 그룹을 결성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1950년 브뤼셀에서 '''관세 협력 위원회 설립 협약'''(CCC)이 채택되었다. 1953년 1월 26일, 17개 창립 회원국이 참여한 가운데 CCC 창립 회의가 개최되었다.[6]

2. 3. 세계관세기구(WCO)로 명칭 변경

CCC 회원국이 전 세계로 확대됨에 따라, 1994년 현재의 명칭인 세계관세기구(WCO)를 채택했다.[6]

2. 4. WCO의 확장과 발전

WCO는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회원국을 확장하면서 진정한 글로벌 기구로 성장했다. 특히 많은 신생 국가들이 등장한 탈식민 시대에 세계 각 지역에서 표준화된 관세 절차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이러한 확장이 가속화되었다. WCO는 이러한 국가들이 효율적인 관세 행정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21세기에 WCO는 글로벌 전자 상거래 및 국경 간 무역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화와 관세 시스템의 조화를 강조해 왔다.[8]

3. 비전과 목표

세계 관세 기구(WCO)는 관세 분야의 국제적인 이슈 개발과 전파, 세관 현대화 작업 등을 주도하고 있다. WCO는 회원국과 전략적 환경의 요구에 부응하며, 건전한 관세 행정의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개정된 교토 협약 및 조화 시스템과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180개 이상의 국가에서 관세 절차의 현대화를 지원해 왔다.[4]

세계 관세 기구

3. 1. 주요 목표

세계 관세 기구의 기본 목표는 회원국 세관 행정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여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입 확충, 국가 안전, 무역 원활화, 공동체 보호, 무역 통계 작성 등을 추진한다.

4. 주요 협약 및 활동

세계 관세 기구(WCO)는 국제 무역 원활화와 관세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협약을 운영하고 관련 활동을 전개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상품의 명칭 및 부호체계에 관한 국제 협약 (HS 협약): 1983년 채택, 1988년 발효. 관세율 책정 및 국제 무역 통계 작성의 기초로 사용되며, 약 5,000개의 상품 그룹을 6자리 코드로 식별한다.
  • 관세 절차의 간소화 및 조화에 관한 국제 협약 (개정 교토 협약, RKC): 1974년 채택, 1999년 개정, 2006년 발효. 관세 통제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 상품 신고 및 관련 서류의 표준화 및 간소화 등 핵심 원칙을 포함한다.
  • ATA 협약 및 일시 수입에 관한 협약 (이스탄불 협약): 상품의 일시 수입 관련 WCO 도구. ATA 까르네라는 단일 문서로 처리되는 상품의 국경 간 자유로운 이동과 관세 및 세금 면제를 허용한다.
  • 아루샤 관세 청렴 선언: 1993년 채택, 2003년 개정. 관세 행정 내 청렴성 증진 및 부패 방지를 위한 기본 원칙을 제공한다.
  • 글로벌 무역의 안전과 원활화를 위한 SAFE 표준 프레임워크: 2005년 채택. 국제 거래 상품의 공급망 보안 및 원활화 표준을 포함하며, 고위험 화물 감지 능력 향상을 위한 관세 행정 간 네트워크 구축을 강화한다.
  • 콜럼버스 프로그램: 관세 현대화와 세계 무역의 안전, 원활화를 위한 표준 구현을 촉진하는 관세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다.


WCO의 주요 활동:

  • 상품의 명칭 및 분류에 관한 통일 시스템에 관한 국제 협약(HS 협약), 세관 절차의 간소화 및 조화에 관한 국제 규약(교토 규약) 등 세관 절차 관련 조약 작성·개정 및 통일적 해석 제시.
  • 국제 무역의 안전 확보 및 원활화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 작성·추진.
  • 세계 무역 기구(WTO) 주관 세계 무역 기구를 설립하는 마라케시 협정(WTO 협정)의 관세 평가 및 원산지 규정 관련 협정의 통일적 해석 및 적용을 위한 기술적 검토 실시.
  • 약물, 지적 재산권 침해 물품 등 금수품 감시·단속 국제 협력 및 회원국 지원.
  • 세관 개혁·현대화 및 직원 훈련 등 세관 관리에 관한 회원국 지원.

4. 1. 국제통일상품분류(HS) 협약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영어 (국제통일상품분류 협약)은 1983년 채택되고 1988년부터 발효된 것으로, 체계적인 상품분류를 통해 관세율 책정과 국제 무역 통계 작성에 관한 기반을 제공한다. 이 협약은 5000여 개의 개별상품에 대해 6단위 코드를 체계적으로 부여하여 무역 정책, 원산지 분류, 통제 물자에 대한 모니터링, 내국세 과세, 화물에 대한 관세, 교통 통계, 가격 정보 수집, 국민계정 통계 작성, 경제 조사와 분석 등에 활용된다.

4. 2. 세관절차 간소화 및 조화에 관한 국제협약(개정 교토협약)

세계 관세 기구(WCO)는 세관절차의 간소화 및 조화를 위한 국제협약(개정 교토협약)을 운용하고 있다. 이 협약은 1974년에 채택되었고 1999년에 개정되었으며, 개정된 협약은 2006년에 발효되었다.[1]

개정 교토협약은 세관절차 간소화에 대한 여러 원칙을 규정하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

  • 관세행정의 투명성과 예측성
  • 통관절차 및 서류의 표준화와 간소화
  • 공인된 사업자에 대한 간소화된 절차 적용
  • 정보기술의 최대한 활용
  • 세관 통제의 최소화
  • 위험 관리 및 감사 기능의 활용
  • 여타 국경관리 기관과의 협력
  • 무역부문과의 파트너십


이 협약은 무역 원활화와 효과적인 세관 행정을 위한 기본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참고로, 이 개정 교토협약은 유엔 기후 변화 협약의 교토 의정서와 명칭이 유사하지만 다른 것이다.[1]

4. 3. 물품의 일시수입을 위한 일시수입통관증서에 관한 관세협약 및 이스탐불 협약(ATA 협약)

ATA 협약과 이스탄불 협약은 모두 상품의 일시 수입을 규정하는 WCO 도구이다. 이 두 협약의 핵심은 ATA 시스템으로, 국경을 넘어 상품을 자유롭게 이동시키고 관세 및 세금 면제를 통해 관세 구역으로 일시적으로 수입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 상품들은 국제 보증 시스템으로 보장되는 ATA 까르네라는 단일 문서로 처리된다.

4. 4. 세관의 청렴성에 관한 아루샤 선언

세계 관세 기구가 1993년에 채택하고 2003년에 개정한 선언이다. 회원국에 대한 구속력은 없지만, 세관공무원의 청렴성을 높이고 세관 행정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기본 원칙들을 담고 있다.[4]

4. 5. 무역안전과 원활화를 위한 세이프 프레임워크(SAFE Framework)

9.11 테러 이후 국제 물류 안전이 중요해짐에 따라, 세계 관세 기구는 2005년 무역 안전과 원활화를 위한 세이프 프레임워크(SAFE Framework)를 채택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민간 사업자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세관이 정한 기준을 충족하고 물류 안전에 관한 공인인증을 받은 사업자(AEO)에게는 통관 절차를 간소화하여 공정 무역을 촉진한다. 또한, 위험성이 높은 부문에 대해서는 세관의 감시를 강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4. 6. 기타 활동

세계관세기구(WCO)는 관세 관련 국제 협약의 운영 및 관리 외에도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제 무역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증진하고 회원국의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WTO 협정 관련 기술 검토: 세계 무역 기구(WTO) 협정 중 관세 평가 및 원산지 규정에 관한 협정의 통일적 해석과 적용을 위한 기술적 검토를 수행한다.
  • 금수품 감시 및 단속 지원: 약물, 지적 재산권 침해 물품 등 금수품의 감시 및 단속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회원국을 지원한다.
  • 회원국 세관 관리 지원: 세관 개혁, 현대화, 직원 훈련 등 세관 관리에 관한 회원국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활동을 제공한다.

5. 조직

세계 관세 기구(WCO)는 사무국과 여러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사무국은 사무총장이 총괄하며, 관세·무역국, 감시·수속국, 캐퍼시티 빌딩국 등의 부서가 있다. 최고 의사결정 기구는 연차 총회이며, 전체 회원국이 참가한다. 주요 세부 의제를 논의하는 위원회로는 품목분류위원회, 상임기술위원회, 관세평가위원회, 원산지위원회, 능력배양위원회, 세이프 작업반, 정책위원회, 예산위원회 등이 있다.[1]

5. 1. 사무국

세계 관세 기구(WCO)의 실무는 사무국이 담당하며, 사무총장이 총괄 책임을 맡는다. 사무총장은 회원국의 투표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다.[1] 2009년부터 2023년까지 미쿠리야 쿠니오가 사무총장직을 역임했고, 2024년 1월 1일부터는 미국의 이안 손더스(Ian Saunders)가 사무총장으로 취임하였다.

사무국에는 다음과 같은 부서가 있다.[1]

  • 관세·무역국
  • 감시·수속국
  • 캐퍼시티 빌딩국

5. 2. 총회

세계 관세 기구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는 전체 회원국이 참가하는 연차 총회(연중 1회, 6월에 개최됨)이며 총회 의장은 비상임직으로 회원국에 의해 선출된다.[1] 조약상으로는 연 2회이나 실제로는 2회분을 한 번에 개최하는 형태로 연 1회 개최한다.[3] 총회는 가맹국의 세관 당국 최고 책임자로 구성되어 있다.[3]

5. 3. 위원회

세계관세기구에는 주요 세부 의제를 논의하는 여러 위원회가 있다. 품목분류위원회, 상임기술위원회, 관세평가위원회, 원산지위원회, 능력배양위원회, 세이프 작업반 등이 있다.[1] 정책위원회와 예산위원회도 주요 세부 의제를 논의한다.[1]

6. 회원국

2024년 5월 기준, 186개 국가 및 지역이 세계 관세 기구(WCO) 회원으로 가입해 있다.[10]

지역회원가입일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앤티가 바부다2017년 4월 10일
아르헨티나1968년 7월 1일
바하마1974년 8월 16일
바베이도스1999년 1월 7일
벨리즈2008년 4월 22일
버뮤다1990년 7월 1일
볼리비아1997년 8월 14일
브라질1981년 1월 19일
캐나다1971년 10월 12일
칠레1966년 7월 1일
콜롬비아1993년 7월 11일
코스타리카2001년 8월 29일
쿠바1988년 7월 1일
퀴라소1988년 7월 11일
도미니카 공화국2004년 7월 28일
에콰도르1997년 12월 16일
엘살바도르2005년 7월 7일
과테말라1985년 2월 22일
가이아나1976년 7월 29일
아이티1958년 1월 31일
온두라스2005년 12월 8일
자메이카1963년 3월 29일
멕시코1988년 2월 8일
니카라과1998년 9월 24일
파나마1996년 3월 8일
파라과이1969년 10월 3일
페루1970년 1월 27일
세인트루시아2005년 5월 12일
수리남2018년 11월 26일
트리니다드 토바고1973년 10월 15일
미국1970년 11월 5일
우루과이1977년 9월 16일
베네수엘라1996년 7월 1일
유럽알바니아1992년 8월 31일
안도라1998년 9월 3일
아르메니아1992년 6월 30일
오스트리아1953년 1월 21일
아제르바이잔1992년 6월 17일
벨라루스1993년 12월 16일
벨기에1952년 12월 11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008년 7월 4일
불가리아1973년 8월 1일
크로아티아1993년 7월 1일
키프로스1967년 8월 31일
체코1993년 1월 1일
덴마크1951년 10월 19일
에스토니아1992년 6월 18일
유럽 연합*
핀란드1961년 1월 27일
프랑스1952년 10월 6일
조지아1993년 10월 26일
독일1952년 11월 4일
그리스1951년 12월 10일
헝가리1968년 9월 16일
아이슬란드1971년 2월 15일
아일랜드1952년 9월 23일
이스라엘1958년 5월 23일
이탈리아1952년 11월 20일
카자흐스탄1992년 6월 30일
키르기스스탄2000년 2월 10일
코소보2017년 1월 25일
라트비아1992년 6월 22일
리투아니아1992년 6월 18일
룩셈부르크1953년 1월 23일
몰타1968년 7월 6일
몰도바1994년 10월 28일
몬테네그로2006년 10월 24일
네덜란드1953년 1월 23일
노르웨이1951년 8월 6일
북마케도니아1994년 7월 1일
폴란드1974년 7월 17일
포르투갈1953년 1월 26일
루마니아1969년 1월 15일
러시아1991년 7월 8일
세르비아2001년 3월 27일
슬로바키아1993년 1월 1일
슬로베니아1992년 9월 7일
스페인1952년 7월 13일
스웨덴1952년 10월 17일
스위스1952년 12월 19일
타지키스탄1997년 7월 1일
튀르키예1951년 6월 6일
투르크메니스탄1993년 5월 17일
우크라이나1992년 6월 26일
영국1952년 9월 12일
우즈베키스탄1992년 7월 28일
동아프리카 및 남부 아프리카앙골라1990년 9월 26일
보츠와나1978년 8월 25일
부룬디1964년 10월 20일
코모로1993년 7월 1일
지부티2008년 3월 19일
에리트레아1995년 8월 8일
에스와티니1981년 5월 15일
에티오피아1973년 8월 6일
케냐1965년 5월 24일
레소토1978년 8월 2일
마다가스카르1964년 2월 18일
말라위1966년 6월 6일
모리셔스1973년 3월 29일
모잠비크1987년 7월 1일
나미비아1992년 7월 1일
르완다1964년 3월 3일
세이셸2000년 7월 25일
소말리아2012년 10월 4일
남아프리카 공화국1964년 3월 24일
남수단2012년 7월 18일
탄자니아1964년 11월 7일
우간다1964년 11월 3일
잠비아1978년 9월 27일
짐바브웨1981년 3월 19일
북아프리카, 근동 및 중동알제리1966년 12월 19일
바레인2001년 4월 18일
이집트1956년 10월 26일
이라크1990년 6월 6일
요르단1964년 1월 1일
쿠웨이트1993년 10월 4일
레바논1960년 5월 20일
리비아1983년 1월 11일
모로코1968년 7월 1일
오만2000년 9월 11일
팔레스타인2015년 3월 24일
카타르1992년 5월 4일
사우디 아라비아1973년 5월 8일
수단1960년 6월 8일
시리아1959년 11월 19일
튀니지1966년 7월 20일
아랍에미리트1979년 2월 7일
예멘1993년 7월 1일
서아프리카 및 중앙 아프리카베냉1998년 11월 9일
부르키나파소1966년 9월 16일
카메룬1965년 4월 9일
카보베르데1992년 7월 1일
중앙아프리카 공화국1986년 7월 28일
차드2005년 2월 16일
콩고 공화국1975년 9월 2일
코트디부아르1963년 9월 2일
콩고 민주 공화국1972년 7월 26일
적도 기니2021년 12월 22일
가봉1965년 2월 18일
감비아1987년 10월 14일
가나1968년 8월 1일
기니1991년 10월 30일
기니비사우2010년 8월 19일
라이베리아1975년 1월 7일
말리1987년 8월 7일
모리타니1979년 10월 2일
니제르1981년 7월 1일
나이지리아1963년 8월 21일
상투메 프린시페2009년 9월 23일
세네갈1976년 3월 10일
시에라리온1975년 11월 6일
토고1990년 2월 12일
극동,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아프가니스탄2004년 8월 10일
오스트레일리아1961년 1월 5일
방글라데시1978년 7월 1일
부탄2002년 2월 12일
브루나이1996년 7월 1일
캄보디아2001년 4월 3일
중국1983년 7월 18일
피지1997년 7월 1일
홍콩1987년 7월 1일
인도1971년 2월 15일
인도네시아1957년 4월 30일
이란1959년 10월 16일
일본1964년 6월 15일
대한민국1968년 7월 2일
라오스2007년 1월 16일
마카오1993년 7월 7일
말레이시아1964년 6월 30일
몰디브1995년 9월 8일
몽골1991년 9월 17일
미얀마1991년 3월 25일
네팔1986년 7월 22일
뉴질랜드1963년 5월 16일
파키스탄1955년 11월 16일
팔라우2024년 2월 2일
파푸아뉴기니2002년 3월 18일
필리핀1980년 10월 1일
솔로몬 제도2023년 1월 26일
사모아2001년 10월 1일
싱가포르1975년 7월 9일
스리랑카1967년 5월 29일
태국1972년 2월 4일
동티모르2003년 9월 19일
통가2005년 7월 1일
바누아투2009년 11월 17일
베트남1993년 7월 1일



1950년 12월 15일에 작성된 관세 협력 이사회를 설립하는 조약에 따라, 동 조약이 발효된 1952년 11월 4일에 가맹국 17개국에 의해 설립되었다. 1953년 1월 26일 제1회 총회가 개최되었다(그 때문에 1월 26일은 국제 세관 기념일이 되었다).[11]

7. 한국과의 관계

세계 관세 기구 (WCO)에 한국은 1968년 7월 2일에 가입했다. 현재 WCO에 직원을 파견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12] 미쿠리야 구니오는 2009년부터 2023년까지 WCO 사무총장을 3선 연임하며, 국제 관세 행정 발전에 크게 기여한 한국인이다.[13][14] 이는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조

[1] 뉴스 On the trail of fake medicine smugglers https://www.bbc.co.u[...] 2021-09-16
[2] 웹사이트 La OMC y la Organización Mundial de Aduanas (OMA) https://www.wto.org/[...] Organización Mundial de Comercio 2021-09-16
[3] 웹사이트 Organización Mundial de Aduana (OMA) – Servicio Nacional de Aduana del Ecuador https://www.aduana.g[...] 2020-11-18
[4] 서적 World Customs Organizatio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
[5] 간행물 The European Customs Union Study Group: Drafting the EU Customs Law https://www.research[...] 2018-01-28
[6] 웹사이트 Organización Mundial de Aduanas OMA https://www.aduana.c[...] 2021-09-16
[7] 간행물 The World Customs Organization: A history of 65 years of growth and its legal milestones 2017
[8] 서적 The E-Commerce Revolution & Cross-Border Goods Clearance: Time for Fundamental Change? https://researchoutp[...] Charles Sturt University 2023-10
[9] 웹사이트 World Customs Organization http://www.wcoomd.or[...] 2021-03-24
[10] 웹사이트 List of Members with Membership date https://www.wcoomd.o[...] 2024-05-06
[11] 웹사이트 WORLD CUSTOMS ORGANIZATION - 183 Members – http://www.wcoomd.or[...] WORLD CUSTOMS ORGANIZATION 2019-12-20
[12] 뉴스 WCO(世界税関機構) https://www.mof.go.j[...] 2018-07-03
[13] 뉴스 世界税関機構(WCO)次期事務局長候補の推薦について https://www.mofa.go.[...] 2018-07-03
[14] 뉴스 WCO事務総局長、御厨氏が再選 https://qnew-news.ne[...] 2018-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