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고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앙고백은 특정 종교, 특히 기독교에서 신앙의 핵심 내용을 요약하고, 교리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문서를 의미한다. 기독교에서는 성경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이단과 오류를 분별하고 교회를 보호하기 위해 신앙고백을 작성해왔으며, 사도신경, 니케아 신조, 칼케돈 신조 등이 대표적이다. 기독교 외에도 이슬람교, 유대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신앙고백과 유사한 형태의 신앙 표현이 존재한다. 무신조주의는 신조를 거부하는 입장을 말하며, 재세례파, 퀘이커교,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 협회 등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신학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신학 - 신정론
신정론은 전지전능하고 선한 신의 존재 하에 세상의 악과 고통의 존재 이유를 설명하고 신의 선함과 전능함을 정당화하려는 이론으로, 다양한 해석과 비판적 시각, 그리고 대안적 접근 방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신앙고백 |
---|
2. 용어
"크리드"(creed)는 전례의 일부로 암송되는 간결한 형태의 신앙 고백문을 의미하며, 라틴어 'credo'(나는 믿는다)에서 유래했다. 사도신경과 니케아 신조의 라틴어 텍스트 시작 어구가 'credo'이다.[6] 크리드는 때때로 "심볼"(symbol)이라고 불리기도 한다.[6]
기독교에서 신앙고백은 성경에 기록된 사도들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이단과 오류를 분별하고 교회를 보호하기 위해 작성되었다.[52] 초기 기독교의 대표적인 신앙고백으로는 사도신경, 니케아 신조, 칼케돈 신조 등이 있다.
"신앙 고백"(Confession of faith)은 종교 개혁 이후, 개신교에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같이 교리를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문서를 말한다.[52] 복음주의 개신교 내에서는 "교리적 진술" 또는 "교리적 기반"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신조와 신앙 고백을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신조"(Creed: 영·라틴어 "나는 믿는다" 또는 Symbolum: 영·희랍어 = token 증거·나타내는 것)라는 표현은 사도신경,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등에 사용해 왔다. 사도신경은 기독교 중 서방 교회 (가톨릭교회, 성공회, 프로테스탄트)의 기본 신조 중 하나이다.[49]
한국에서는 신도게요서(信徒揭要書)라고 부르기도 한다.[61]
3. 기독교의 신앙고백
기독교는 처음부터 신앙 고백적 종교였으며, 하나님이 계시의 하나님이심에 따라 자신이 배우고 받아들이고 믿은 바를 하나님과 사람에게 고백하는 것은 기독교 고유의 요소였다.[47] 교회는 객관적인 사안인 "대상으로서의 신앙"(fides quae creditur)을 신앙의 실존적 응답인 "태도로서의 신앙"(fides qua creditur)에 우선해 왔다.[48]
개신교와 복음주의 기독교를 포함한 다양한 기독교 교파들은 동일 교파 교회 간의 교제 기초로 신앙고백을 발표했다.[8][9] 많은 기독교 교파는 신앙고백에서 지나치게 포괄적이 되지 않으려 했고, 일부 부차적인 주제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의견을 허용했다.[10] 또한 일부 교회는 필요에 따라 신앙고백을 수정하기도 했다.
3. 1. 역사
기독교에서 가장 초기에 알려진 신조는 "예수는 주님이시다"이며, 이는 사도 바울의 저술에서 유래되었다.[2] 가장 중요하고 널리 사용되는 기독교 신조 중 하나는 니케아 신조인데, 이는 그리스도의 신성을 확언하기 위해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처음으로 작성되었으며,[3] 삼위일체를 전체적으로 확언하기 위해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수정되었다.[4] 이 신조는 431년 칼케돈 신조에 의해 더욱 확언되었으며, 이는 그리스도의 교리를 명확히 했다.[4] 삼위일체를 묘사하는 이 신조의 확언은 많은 기독교 교파에 의해 정통성의 근본적인 시험으로 여겨지며, 역사적으로 아리우스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5] 삼위일체, 동정녀 탄생, 십자가형, 부활을 간결하게 상세히 설명하는 또 다른 초기 신조인 사도신경은 서방 기독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며 기독교 교회 예배에서 널리 사용된다.
신조와 신앙 고백을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신조"(Creed: 영·라틴어 "나는 믿는다" 또는 Symbolum: 영·희랍어 = token 증거·나타내는 것)라는 표현은 정통 기독교 교회에서 고대부터 사도신경,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등에 사용해 왔으며, 현대에도 가톨릭 교회와 프로테스탄트는 이를 사용하고 있다. 사도신경은 기독교 중 서방 교회 (가톨릭 교회, 성공회, 프로테스탄트)의 기본 신조 중 하나[49]이며, 프로테스탄트 고유의 정통성을 보증하는 것은 아니다.[50] 4~5세기에 만들어진 신조에 이 표현이 특히 이용되었으며, 6세기 이후 종교 개혁 시대까지 약 천 년 동안 신조의 작성은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한다.[51]
"'''신앙 고백'''"(Confession of faith)은 종교 개혁 이후의 것을 가리킨다. 프로테스탄트는 종교 개혁 이후, 로마 가톨릭의 오류에 대항하여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 등 신앙 고백을 작성했다.[52] 종교 개혁 시대에 신앙 고백이 집중적으로 작성된 것은 "외부로부터의 압박이, 자립적인 신앙 고백으로 육박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53]라고 한다.[54]
1907년 장로교회는 독노회를 조직하고 장로교회의 신앙적 기준으로 '''《12신조》'''를 공표했다. 《12신조》는 인도 장로교회의 12신조를 서언만 바꾸고 나머지는 그대로 채용한 것이다.[61] 인도 장로교회의 12신조는 1890년에 작성된 영국 장로교회의 24개 신조를 요약한 것이다. 독노회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교회에서 가르치도록 언급했지만 총회적 차원에서 공적으로 채택하지는 않았다. 한국장로교회는 12신조의 미흡함을 극복하기 위해 1960~70년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각 교단마다 총회적으로 채택하였다.
1963년 예장합동 측이 총회를 통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헌법에 공식적으로 채택하였고, 1968년 예장통합 측이, 1972년 예장고신 측이, 1974년에 예장대신이 채택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미국연합장로교회(UPCUSA)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폐기하고 카를 바르트의 입장을 따라 화해신학적 교회론을 구성하는 《1967년 신앙고백서》를 발간하면서 개혁교회 신조들의 교회론은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다. 신학자 박형룡 박사는 《1967년 신앙고백서》가 사회복음을 주장하는 자유주의적 입장임을 제시했고, 또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전통과 전혀 다른 고백임을 밝혀냈다.[62]
3. 2. 주요 기독교 신앙고백
기독교에서 최초로 확립된 신앙 고백은 325년 초대 교회에 의해 만들어진 니케아 신조이다.[7] 이는 기독교 신앙의 기초를 요약하고 신자들을 거짓 교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개신교와 복음주의 기독교를 포함한 다양한 기독교 교파들은 동일 교파의 교회들 간의 교제의 기초로서 신앙 고백을 발표했다.[8][9]
많은 기독교 교파들은 신앙 고백에서 지나치게 포괄적이 되려 하지 않았고, 따라서 일부 부차적인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을 허용했다.[10] 또한, 일부 교회들은 필요에 따라 신앙 고백을 수정하는 데 열려 있었다. 침례교의 "신앙 고백"에는 제1 런던 침례교 신앙 고백(1646년 개정판)의 다음과 같은 조항이 포함되기도 했다.[11]
주요 기독교 신앙고백은 다음과 같다.3. 2. 1. 초기 기독교
사도 바울의 저술에서 유래된 "예수는 주님이시다"라는 신조는 기독교에서 가장 초기에 알려진 신조이다.[2]
기독교의 주요 신조는 다음과 같다.
신조, 신앙 고백이 작성된 것은 성경에 기록된 사도들의 가르침, 즉 사도들의 교리를 통해 거짓 교리, 이단, 오류를 확인하고 교회에서 추방하기 위함이다.[52]
3. 2. 2. 종교개혁 이후
종교 개혁과 그 뒤를 이은 프로테스탄트 정통주의 시대에 많은 신앙 고백이 작성되었다.[54]
복음주의(루터교) 교회가 1577년의 화협 신조로 신앙 고백 작성을 완결한 데 비해, 개혁교회는 그 후에도 신앙 고백을 계속 작성해 왔다. 독일, 오스트리아의 복음주의(루터교) 교회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고백 교회를 재건의 초석으로 재출발한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르멘 선언을 신앙 고백에 추가하기 시작했다.[54]
3. 2. 3. 현대
1907년 장로교회는 독노회를 조직하고 장로교회의 신앙적 기준으로 '''《12신조》'''를 공표했다. 《12신조》는 인도 장로교회의 12신조에서 서언만 바꾸고 나머지는 그대로 채용한 것이다.[61] 인도 장로교회의 12신조는 1890년에 작성된 영국 장로교회의 24개 신조를 요약한 것이다. 독노회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교회에서 가르치도록 언급했지만 총회 차원에서는 공적으로 채택하지 않았다. 한국장로교회는 12신조가 미흡하다고 판단하여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교회론 체계를 가장 완벽하게 정립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각 교단마다 총회에서 채택하였다.
1963년 예장합동 측이 총회를 통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헌법에 공식적으로 채택하였고, 1968년 예장통합, 1972년 예장 고신, 1974년 예장 대신이 채택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미국연합장로교회(UPCUSA)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폐기하고 카를 바르트의 입장을 따라 화해신학적 교회론을 구성하는 《1967년 신앙고백서》를 발간하면서 개혁교회 신조들의 교회론은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다. 신학자 박형룡 박사는 《1967년 신앙고백서》가 사회복음을 주장하는 자유주의적 입장이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전통과 전혀 다른 고백임을 밝혔다.[62]
3. 3. 한국 개신교
1907년 장로교회는 독노회를 조직하고 '''《12신조》'''를 공표했다. 《12신조》는 인도 장로교회의 12신조를 서언만 바꾸고 나머지는 그대로 채용한 것이다.[61] 인도 장로교회의 12신조는 1890년에 작성된 영국 장로교회의 24개 신조를 요약한 것이다. 독노회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교회에서 가르치도록 언급했지만 총회 차원에서 공적으로 채택하지는 않았다. 한국장로교회는 12신조의 미흡함을 극복하기 위해 1960-70년대에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각 교단마다 총회 차원에서 채택하였다.
1963년 예장합동이 총회를 통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헌법에 공식적으로 채택하였고, 1968년 예장통합, 1972년 예장고신, 1974년에 예장대신이 채택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미국연합장로교회(UPCUSA)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폐기하고 카를 바르트의 입장을 따라 화해신학적 교회론을 구성하는 《1967년 신앙고백서》를 발간하면서 개혁교회 신조들의 교회론은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다. 신학자 박형룡 박사는 《1967년 신앙고백서》가 사회복음을 주장하는 자유주의적 입장이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전통과 전혀 다른 고백임을 밝혀냈다.[62]
일본에는 우에무라 마사히사가 선언 혹은 신조 등으로 주장한 간이 신조주의와 공회주의의 영향이 있었다. 연합 교회인 일본 기독교단은 오랫동안 신앙 고백을 갖지 않아 분리되는 교회가 잇따르자 1954년에 제정된 "일본 기독교단 신앙 고백"을 사용하는 교회도 있다. 이 신앙 고백은 찬미 고백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하며, 성경, 하느님, 구원, 교회에 관한 신앙을 고백한 후, 이어서 사도신경을 고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침례교회처럼 교회마다 신앙 고백을 갖는 교파도 있다.
어느 교파에서든 중요한 예배에서는 신앙 고백·신조를 회중 모두가 외우거나 노래하는 것이 통례이다.[59] 유아 세례를 인정하는 일본 기독교단의 많은 교회에서는 유아 세례를 받은 사람이 스스로 신앙을 고백할 수 있는 나이가 된 후에 회중 앞에서 신앙을 고백하는 의식을 거행한다. 이는 가톨릭 등의 견신례와 유사하지만, 이 의식을 신앙고백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60] 성인 세례의 경우에는 세례식 안에서 수세자가 신앙을 고백하기 때문에 별도로 신앙고백식을 거행하지 않는다. 다만, 침례교회의 경우에는 미리 또는 세례식과 동시에 신앙고백식을 거행한다.
4. 이슬람교의 신앙고백
이슬람 신학에서 "신조"에 가장 근접하게 해당하는 용어는 ''아키다''(عقيدةar)이다. ''이만''(الإيمانar)은 신자의 종교적 믿음을 의미한다.[36][37] 가장 단순한 정의는 ''아르칸 알-이만''(arkān al-īmān)으로 알려진 여섯 가지 신앙 조항에 대한 믿음이다.
# 알라에 대한 믿음
# 천사에 대한 믿음
# 신의 책에 대한 믿음
# 예언자에 대한 믿음
# 심판의 날에 대한 믿음
# 신의 예정에 대한 믿음
샤하다 신앙고백은 이슬람교의 다섯 기둥 중 하나이다.
5. 기타 종교의 신앙고백
후기 성도 운동에서 조셉 스미스가 1842년 "롱" 존 웬트워스에게 보낸 웬트워스 서한에 포함된 ''신앙개조''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표준 경전 (킹 제임스 성경, 몰몬경, 교리와 성약, 값진 보배) 중 하나로 정경화되었다.
랍비 밀턴 스타인버그는 저서 《기본 유대교》(1947)에서 "유대교는 본질적으로 사고를 제한하고 억제하는 공식적인 신조를 싫어한다", "유대교는 결코 신조에 도달한 적이 없다"라고 썼다.[38] 1976년 미국 랍비 중앙 회의는 "유대교는 종교적 삶의 주요 표현으로서 신조보다는 행동을 강조한다"라고 밝혔다.[39]
셰마 이스라엘의 첫 구절은 "이스라엘아, 들으라. 주님은 우리의 하나님이시요, 주님은 한 분이시다"(שמע ישראל אדני אלהינו אדני אחד|셰마 이스라엘 아도나이 엘로헤이누 아도나이 에하드he)로, 엄격한 일신교의 신조적 진술로 읽힐 수 있다.[40][41][42]
마이모니데스는 유대교 신앙의 원리에 대한 주목할 만한 진술인 13 신조를 작성했다.[43]
6. 무신조주의
일부 기독교 종파는 신조를 명시적으로 고백하지 않는 무신조주의를 따른다.
재세례파는 16세기 급진 종교개혁에서 시작되어 "신조는 없고, 성경/신약성경만 있다"는 신념을 가진 여러 종파와 교파를 낳았다.[14] 이는 가톨릭 신자들과 개신교 신자들로부터 재세례파가 박해받은 일반적인 이유였다.[15] 오늘날 존재하는 재세례파 그룹에는 아미쉬, 후터라이트, 메노나이트, 슈바르체나우 형제교회(브레thren 교회), 리버 브레thren, 브루더호프, 사도 기독교 교회가 있다.
퀘이커교로 알려진 기독교우애회는 17세기에 창립되었으며, 마찬가지로 무신조적이다. 그들은 그러한 공식적인 구조, "그것이 기록된 단어이든, 뾰족탑이 있는 건물(교회)이든, 성직자 계급이든" 공동체적 관계와 하나님과의 공유된 연결을 대신할 수 없다고 믿는다.[16]
신조 사용에 대한 유사한 유보를 재건 운동과 그 후예인 그리스도교회(그리스도의 제자회), 그리스도의 교회, 그리스도 교회와 그리스도의 교회에서 찾을 수 있다. 재건주의자들은 "그리스도 외에는 어떤 신조도 없다"고 고백한다.[17]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또한 이러한 정서를 공유한다.[18]
여호와의 증인은 "신조를 암기하거나 반복하는 것"과 "예수님이 말씀하신 것을 행하는 것"을 대조한다.[19]
참조
[1]
서적
Theology and Creed in Sunni Islam: The Muslim Brotherhood, Ash'arism, and Political Sunnism
Springer
[2]
서적
Exploring and Proclaiming the Apostles' Creed
A&C Black
2004
[3]
서적
The Search for the Christian Doctrine of God: The Arian Controversy 318-381 AD
A&C Black
[4]
서적
A Global Church History: The Great Tradition through Cultures, Continents and Centuries
Bloomsbury Publishing
[5]
웹사이트
The Nicene Creed.
http://www.spurgeon.[...]
2009-05-17
[6]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ity
Justo L. Gonzalez
[7]
서적
Encyclopedia of Early Christianity
Everett Ferguson
[8]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J. Gordon Melton
[9]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Walter A. Elwell
[10]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Walter A. Elwell
[11]
서적
Pilgrim Pathways: Essays in Baptist History
Barrington Raymond White
[12]
서적
Nelson's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New and Enhanced Edition
Ronald F. Youngblood
[13]
서적
Holm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Chad Brand, Eric Mitchell
[14]
웹사이트
Biblical Inspiration and Authority 1979 Church of the Brethren Statement
https://www.brethren[...]
[15]
웹사이트
Of creeds and confessions
https://anabaptistwo[...]
2019-04-24
[16]
웹사이트
Creeds and Quakers
https://quaker.org/l[...]
2023-03-11
[17]
웹사이트
George A. Klingman
http://www.therestor[...]
Buford Church of Christ
2015-09-19
[18]
웹사이트
Creeds
https://encyclopedia[...]
[19]
간행물
Creeds—Any Place in True Worship?
Awake!
1985-10-08
[20]
서적
Jesus—God and Man
Wolfhart Pannenberg
[21]
웹사이트
The Nicene Creed.
http://www.spurgeon.[...]
2009-05-17
[22]
웹사이트
The Belgic Confession
http://www.reformed.[...]
Reformed.org
2013-01-23
[23]
웹사이트
Guido de Bres
http://www.prca.org/[...]
Prca.org
2013-01-23
[24]
서적
James Ussher: Theology, History, and Politics in Early-Modern Ireland and England
https://oxford.unive[...]
OUP Oxford
2020-11-19
[25]
웹사이트
The Savoy Declaration 1658 – Contents
http://www.reformed.[...]
Reformed.org
2013-01-23
[26]
서적
The Baptist Story: From English Sect to Global Movement
B&H Publishing Group
2015
[27]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Protestant Dissenting Traditions, Volume I: The Post-Reformation Era, 1559-1689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29
[28]
서적
A Short Account of the Life and Writings of Robert Barclay
Tract Association of the Society of Friends
1827
[29]
웹사이트
Confession of Faith of the Calvinistic Methodists or Presbyterians of Wales
http://www.creeds.ne[...]
2013-07-18
[30]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in the South
Mercer University Press
1997
[31]
문서
Apostolikumsstreit
2011-01-27
[32]
서적
The Sins of Scripture: Exposing the Bible's Texts of Hate to Reveal the God of Love
John Shelby Spong
[33]
서적
New Encyclopedia of Islam
Cyril Glasse
[34]
웹사이트
Al- Fiqh Al-Akbar
http://www.aicp.org/[...]
aicp.org
2014-03-14
[35]
웹사이트
Al-Fiqh Al-Akbar II With Commentary by Al-Ninowy
https://www.scribd.c[...]
2017-09-08
[36]
서적
Majmū‘ah Tafāsīr
Faran Foundation
1998
[37]
서적
An Introduction to Islam
[38]
서적
Basic Judaism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1947
[39]
웹사이트
The Tenets of Reform Judaism
https://www.jewishvi[...]
2020-11-19
[40]
웹사이트
Shema - Judaism 101 (JewFAQ)
https://www.jewfaq.o[...]
2023-11-14
[41]
웹사이트
The Shema
https://www.jewishvi[...]
2023-11-14
[42]
웹사이트
The Opening of the Shema Prayer Explained
https://www.brandeis[...]
2023-11-14
[43]
간행물
Maimonides' Principles: The Fundamentals of Jewish Faith
Mesorah Publications
1994
[44]
서적
Our Unitarian Universalist Story: A Six-session Program for Adults
https://books.google[...]
Unitarian Universalist Association
2023-02-23
[45]
웹사이트
Principles
https://www.uua.org/[...]
Unitarian Universalist Association
2023-02-23
[46]
웹사이트
Sources of Our Living Tradition
https://www.uua.org/[...]
Unitarian Universalist Association
2023-02-23
[47]
서적
キリスト教
小峯書店
[48]
서적
福音主義キリスト教と福音派
[49]
서적
ギリシア正教 東方の智
講談社選書メチエ
2012-02-10
[50]
서적
日本プロテスタント教会史
聖恵授産所
[51]
서적
ウェストミンスター信仰告白
新教出版社
[52]
서적
教会とは何か?
いのちのことば社
[53]
서적
改革主義信条の神学
新教出版社
[54]
서적
福音主義キリスト教と福音派
[55]
논문
信仰秘匿の実態とその思想的背景
戎光祥出版
2021
[56]
서적
現代の宗教改革
[57]
서적
キリスト教と自由主義神学
吉岡
[58]
서적
現代の宗教改革
[59]
서적
日本基督教団信仰告白解説
日本基督教団出版局
[60]
웹사이트
鎌倉雪ノ下教会 教会生活の手引き その10-2
http://yukinoshita.o[...]
[61]
서적
개혁교회의 신조
[62]
논문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교회론적 구조와 언약신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