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키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키미는 일본의 달맞이 풍습으로, 헤이안 시대에 중국 중추절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다. 음력 8월 15일, 즉 중추의 명월 아래에서 시를 읊고, 억새를 장식하며, 쌀 경단, 토란, 에다마메, 밤 등 제철 음식과 술을 달에게 바치며 풍성한 수확을 기원한다. 에도 시대에는 서민들에게까지 확산되었으며, 9월 13일 밤의 달맞이 풍습도 생겨났다. 쓰키미는 한국의 추석, 중국의 중추절과 같이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대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달걀을 활용한 음식 등 관련 음식 문화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추절 - 추석
추석은 음력 8월 15일에 풍년을 감사하고 조상을 기리는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로, 차례, 성묘, 민속놀이, 송편 등의 풍습이 있으며, 다양한 종교와 관련되어 남북한 모두 기념한다. - 가을 축제 - 중추절
중추절은 음력 8월 15일에 열리는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가족들이 모여 추수를 기념하고 달을 감상하며 월병을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고, 한국의 추석, 일본의 츠키미, 베트남의 뗏쭝투 등 각 나라별로 독특한 문화적 풍습과 의미를 지닌다. - 가을 축제 - 옥토버페스트
옥토버페스트는 매년 9월 말에서 10월 초에 독일 뮌헨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민속 축제로, 1810년 루트비히 1세와 테레제 공주의 결혼 기념으로 시작되어 맥주, 전통 의상, 놀이기구,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국제적인 축제로 발전했으며, 뮌헨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행사이다. - 달 관측 - 중추절
중추절은 음력 8월 15일에 열리는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가족들이 모여 추수를 기념하고 달을 감상하며 월병을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고, 한국의 추석, 일본의 츠키미, 베트남의 뗏쭝투 등 각 나라별로 독특한 문화적 풍습과 의미를 지닌다. - 달 관측 - 월식
월식은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으로 놓여 지구가 태양빛을 가려 달이 어둡게 보이는 현상으로, 가려지는 정도에 따라 반영월식, 부분월식, 개기월식 등으로 나뉘며, 개기월식 때 달이 붉게 보이는 현상은 "피의 달"이라고도 불린다.
| 쓰키미 | |
|---|---|
| 개요 | |
| 이름 | 쓰키미 (月見), 오쓰키미 (お月見), 주고요 (十五夜), 주산야 (十三夜) |
| 의미 | 달을 감상하며 수확을 기념하는 일본의 전통 축제 |
| 관련 축제 | 중추절(중국), 추석(한국), Tết Trung Thu(베트남), 우포사타 (캄보디아, 스리랑카, 미얀마, 라오스, 태국) |
| 날짜 | |
| 시기 | 음력 8월 15일 (주고요), 음력 9월 13일 (주산야) |
| 문화적, 종교적 의미 | |
| 종교 | 불교 |
| 기념 | 풍성한 수확 |
| 행사 | |
| 활동 | 사찰에서 향을 피우고 단고를 먹음 |
| 시각 자료 | |
![]() | |
![]() | |
![]() | |
2. 역사
달맞이 풍습은 동아시아 전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때부터 중추절이 성행했으며,[1] 송나라 시대에는 온 백성이 밤새도록 떠들썩하게 즐기는 명절로 자리 잡았다. 명나라 시대에는 월병을 주고받는 풍습이 시작되었다.[1]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에 중국의 중추절 풍습이 전해져 귀족 사회를 중심으로 달맞이가 행해졌다.[3] 당시에는 시를 읊거나 관현을 즐기며 술을 마시는 우아한 행사였으며, 서민들과는 관련이 적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유흥이 간소해지고 달에게 공물을 바치는 풍습이 생겨났다. 에도 시대에는 달맞이가 서민들에게까지 확산되면서, 이모니(토란국)를 먹고 밤놀이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풍습이 되었다. 억새를 장식하는 풍습은 에도 시대에 무사시노・에도에서 도호쿠에 걸쳐 나타났지만, 메이지 시대 이후 전국으로 퍼졌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추석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며, 고려시대에는 9대 명절 중 하나였다. 조선시대에는 추석이 4대 명절 중 하나로 여겨져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풍습이 확립되었다.
2. 1. 한국의 추석
한국의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등 조상 숭배를 중시하는 명절이다. 온 가족이 모여 송편을 빚어 먹고, 햇곡식과 햇과일로 차례상을 차려 조상에게 감사를 드린다.2. 1. 1. 민속놀이
남큐슈의 구마모토, 미야자키, 가고시마에서는 음력 8월 15일에 한 해의 운세를 점치는 행사로 줄다리기나 스모를 한다[13]. 일부 지역에서는 음력 9월 13일에도 줄다리기를 한다[14]. 승패는 크게 중요하지 않으며, 즐겁게 줄다리기를 하면 풍년이 든다고 한다. 다른 지역에서는 줄다리기가 코쇼가츠(작은 정월)나 오본 때 행해진다.가고시마현의 음력 8월 15일 행사 중 "남사쓰마의 15야 행사", "쇼돈 시바이", "요론의 15야 춤"은 국가 중요무형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15][16][17].

2. 2. 일본의 쓰키미
일본의 쓰키미는 음력 8월 15일(주추노메이게쓰)과 음력 9월 13일(주고야)에 달을 보며 풍류를 즐기는 명절이다.음력 8월 15일 당야에 뜨는 달은 주추노메이게쓰(中秋の名月)라고 하며, 가을을 초추(음력 7월), 중추(음력 8월), 만추(음력 9월)로 구분할 때 음력 8월을 의미한다. 이모니(토란찌개)를 먹는다고 해서 이모메이게쓰(芋名月)라고도 한다. 흔히 불멸명월(佛滅名月)이라고도 한다. 구름 등으로 인해 달이 가려 보이지 않는 것을 무게쓰(無月), 비가 오는 것을 우게쓰(雨月)라고 하여 달이 보이지 않아도 풍류를 즐긴다. 하이카이에서는 음력 8월 14일 밤과 16일 밤의 달을 각각 마쓰요이(待宵, 달을 기다리는 밤)와 이자요이(十六夜)라고 부르며 명월 전후의 달을 사랑한다.
음력 9월 13일에서 14일로 넘어가는 밤인 구월십삼야는 우치노 게쓰(後の月)라고 한다. 십삼야는 일본 고유의 풍습이다.[42] 제물로 풋콩이나 밤을 바치기 때문에 음력 9월 13일의 달은 마메메이게쓰(豆名月) 또는 구리메이게쓰(栗名月)라고 칭한다. 에도 시대의 유곽에서는 십삼야와 십오야를 모두 쇠었고, 어느 한쪽의 달맞이만 하는 손님은 가타쓰키미(片月見)라 하여 불길하게 여겼다.
음력 10월 10일 달은 십일야의 달(十日夜の月)이라 하며, 음력 8월 15일의 “중추의 명월”과 음력 9월 13일의 “뒤의 달”에 대하여 셋째 달(三の月)이라고도 한다. 그 해 수확의 끝을 알리는 달이라고 한다.
날씨에 따라 달을 볼 수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지방에 따라 “달 기다리기”(月待) 풍습이 있었다. 십칠야 이후를 “서서 기다리는 달”(立待月: 음력 8월 17일), “앉아 기다리는 달”(居待月: 음력 8월 18일), “누워 기다리는 달”(寝待月: 음력 8월 19일), “다시 기다리는 달”(更待月: 음력 8월 20일)이라고 불렀다.
쓰키미는 헤이안 시대 귀족들 사이에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며, 중국의 중추절 풍습에 영향을 받아[3] 음력 8월의 보름달 아래에서 시를 읊는 풍습이 생겨났다. 보름달이 뜨는 저녁에는 달을 잘 볼 수 있는 장소에 모여 일본 억새를 장식하고, 쓰키미 당고, 토란, 에다마메, 밤 등 제철 음식과 술을 달에게 바치며 풍성한 수확을 기원한다. 이러한 음식들을 통틀어 쓰키미 요리(月見料理)라고 부른다.


thumb
2. 2. 1. 달맞이 명소
일본 3대 달맞이 감상지는 다음과 같다.[45][46]
일본 3대 명월리(名月の里)는 다음과 같다.[46][47]
그 밖의 명소는 다음과 같다.
- 미야기현 미야기군 마쓰시마정 마쓰시마섬
- 도쿄도 지요다구 구단자카
- 미에현 이가시 이가우에노성
- 시가현 히코네시 현궁원
- 교토부 교토시 아라시야마 도게쓰교
- 나라현 나라시 가스가산 미카사산
- 효고현 히메지시 히메지성
-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이와쿠니성과 킷코공원
- 시마네현 마쓰에시 만간사
2. 3. 중국의 중추절
중국에서는 당대(618년-907년)부터 중추절이 번성했다.[1] 송대의 『동경몽화록』(1147년 서문)에는 신분과 관계없이 사람들이 거리를 휩쓸며 밤새도록 떠들썩하게 노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명대(1368년-1644년)에는 연회와 더불어 맑은 달이 뜨는 날에 제물과 월병을 주고받는 풍습이 시작되었다고 전여성의 『희조락사』에 기록되어 있다.중국에서는 중추절(月見) 시기에 월병을 먹는 풍습이 있다. 월견은 중국어로 "상월(賞月)"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으며, "월견"은 일본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3. 관련 음식
쓰키미에는 달을 닮은 둥근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쓰키미 당고(일본), 송편(한국), 월병(중국)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달걀을 올린 음식을 먹기도 하는데, 삶은 소바 또는 우동 면에 김과 날달걀을 올린 다음 육수를 덮은 ''쓰키미 소바'' 또는 ''쓰키미 우동''이 대표적이다.[33] 기타큐슈에서는 야키 우동 위에 계란을 얹은 것을 ''텐마도''라고 부른다. 군칸즈시나 데마키처럼 날달걀을 초밥 위에 올린 것도 쓰키미 스타일이라고 한다.
일부 일본 패스트푸드점에서는 9월과 10월에 계란 프라이 샌드위치인 ''쓰키미 버거''를 특별 가을 메뉴로 선보인다.
대만에서는 빙수의 일종으로 月見冰|월견빙중국어이 있다. 月見冰|월견빙중국어은 빙수에 흑당밀, 연유, 말린 과일 등을 뿌리고 얹은 다음, 움푹하게 만들어 생달걀 노른자를 깨 넣은 것이다.
3. 1. 쓰키미 당고 (일본)
쓰키미 당고는 찹쌀가루로 만든 둥근 경단으로, 추석에 달에게 바치는 제물로 사용된다. 십오야에는 억새나 경단, 제철 수확물 등을 바친다.[12]3. 2. 송편 (한국)
송편은 멥쌀가루를 반죽하여 팥, 콩, 깨 등 소를 넣고 빚은 떡으로, 추석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다.3. 3. 월병 (중국)
중국에서는 월견(月見) 시기에 월병을 먹는 풍습이 있다. 월견은 중국어로 "상월(賞月)"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으며, "월견"은 일본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중국어는 술어- 목적어의 SVO형 어순이며, "월견"과 같은 목적어-술어의 어순은 원래 사용하지 않는다).[28][29]4. 현대의 달맞이
현대에도 동아시아 각국에서 달맞이 풍습은 이어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추석 연휴를 맞아 고향을 방문하고, 가족과 함께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 풍습이 여전하다.
일본에서는 쓰키미 기간 동안 달맞이 행사가 열리고, 쓰키미 당고 등 관련 음식을 판매하는 상점들이 많다. 특히, 일본의 패스트푸드점에서는 9월과 10월에 '쓰키미 버거'와 같은 특별 메뉴를 선보이기도 한다. 이는 일본 맥도날드가 1991년 처음 출시한 이후, 다른 외식업체에서도 비슷한 메뉴를 출시하면서 "쓰키미 상전"이라고 불릴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35][36]
중국에서는 중추절 연휴를 맞아 가족과 함께 월병을 나눠 먹으며 달을 감상하는 풍습이 이어지고 있다.
5. 기타
중국과 일본에서는 특정한 날에 얽매이지 않고 예로부터 달을 감상하는 풍습이 있었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618년-907년) 때부터 중추절이 번성했다.[5] 송나라 시대의 『동경몽화록』(1147년 서문)에는 신분에 관계없이 사람들이 거리를 다니며 밤새도록 떠들썩하게 노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명나라 (1368년-1644년) 시대에는 연회와 더불어 맑은 달이 뜨는 날에 제물과 월병을 주고받는 풍습이 시작되었다고 전여성의 『희조락사』에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중국의 풍습은 헤이안 시대 일본 귀족 사회에 전해졌다. 문헌상으로는 시마다 타다오미의 『전씨가집』에 정관 원년(859년)에 팔월 보름날 연회를 열었다는 기록이 있다.[5] 당시 일본의 달맞이는 시가나 관현을 즐기면서 술을 마시는 우아한 행사였고, 서민들은 관련이 적었다. 당시의 달맞이는 중국과 일본 모두 소원이나 공물 등의 종교적인 요소는 보이지 않고, 달을 바라보며 즐겼다. 또한 일본의 『다케토리 이야기』(헤이안 초,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에 성립)에는 달을 바라보는 카구야히메를 노파가 주의를 주는 장면이 있다.
무로마치 시대에도 맑은 달이 뜨는 날은 계속되었지만 유흥은 간소해졌고, 무로마치 후기에는 맑은 달이 뜨는 날에 달에게 절하고 공물을 바치는 풍습이 생겨났다. 세속의 습속은 궁중에도 미쳐, 16세기 중반의 『연중 항례기』에는 천황이 가지를 먹고, 풋콩, 감, 밤, 참외, 가지, 고구마, 죽 등을 바친다고 기록하고 있다.[5] 『어탕전상일기』에는 고요제이 천황이 가지에 뚫린 구멍으로 달을 보고 기원하는 의식 "맑은 달 축원"의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고미즈노오인 당시 연중 행사』에도 가지 구멍을 들여다보며 소원을 비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6]
경단을 바치는 것도 중국의 풍습을 따른 것이지만, 에도 시대에 보급되었다.[5]
달맞이가 세속화된 에도 시대 전기의 기록에서는, 보름날에는 이모니를 먹고 밤놀이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당시 서민들의 달맞이에는 달맞이 경단 등 공물의 기록은 보이지 않고, 가정에서 공물을 바치는 풍습이 시작된 것은 에도 중기 이후로 보인다. 에도 후기의 풍속 기록인 『수정만고』는, 보름날에는 제단을 만들고, 공물로 에도는 구형, 교토와 오사카는 고구마 모양의 각 달맞이 경단을 바친다고 기록하고 있다.[7]
교토(헤이안쿄)에서는 다이카쿠지의 오사와 연못이 귀족들의 달맞이 명소였고, 그 외 아라시야마의 도게츠교, 우지의 칸게츠교도 명소였다.[8] 이곳은 서민들도 갈 수 있었다. 에도의 달맞이 명소로는 스미다 강이나 오나기 강, 시노바즈 연못, 다카나와(다카나와 오키도) 등의 강가나 바닷가, 또는 유시마 텐진, 구단자카 위, 히구리 스와의 언덕, 아타고 산 등의 고대가 있었다.[9]
억새를 장식하는 것은 에도 시대에는 무사시노・에도에서 도호쿠에 걸친 풍습이었지만, 메이지 이후 전국으로 퍼졌다.[5] 미국에는 달맞이 풍습이 없었기 때문에, 재미 일본인이 달맞이를 하고 있으면 갱단의 집회 같은 것으로 오해받았다는 이야기가 있다.[10]
중국의 달맞이 명소는 다음과 같다.
| 지역 | 명소 |
|---|---|
| 베이징시 | 노구교 |
| 산둥성칭다오시 | 라오산 타이칭궁 |
| 장쑤성양저우시 | 수서호 |
| 장쑤성쑤저우시 | 왕사원 |
| 저장성항저우시 | 서호 |
| 안후이성황산시 | 황산 |
| 장시성지우장시 | 여산 |
| 후난성웨양시 | 둥팅호, 웨양러우 |
| 쓰촨성어메이산시 | 어메이 산 |
| 윈난성다리시 | 얼하이 |
| 광시 좡족 자치구구이린시 | 리강 |
5. 1. 달 기다리기 (일본)
일본에서는 날씨 때문에 달을 볼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달 기다리기"(月待|쓰키마치일본어) 풍습이 있었다.[44] 17일 밤 이후의 달을 입망월(서서 기다리는 달, 立待月|타치마치즈키일본어), 거망월(앉아 기다리는 달, 居待月|이마치즈키일본어), 침망월(누워 기다리는 달, 寝待月|네마치즈키일본어), 경망월(다시 기다리는 달, 更待月|후케마치즈키일본어) 등으로 불렀다.[44] 대개 23일 밤까지 기다리는 지역이 많았으나, 지역에 따라 26일 밤까지 기다리는 곳도 있었다.[44] 달빛에 아미타불, 관음, 세지의 삼존불이 나타난다는 핑계로 심야 2시경까지 유흥을 즐겼다.[44] 이 풍습은 메이지 시대 이후로 급속히 쇠퇴했다.5. 2. 26일 밤 기다림 (일본)
일본에서는 음력 7월 26일과 1월 26일 새벽에 뜨는 가느다란 활 모양의 달을 "26일 밤 기다림(二十六夜待ち)"이라고 칭했다. 특히 정월은 추웠기 때문에 7월 26일이 더 성행했다.[26] 달빛 속에 아미타여래,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의 삼존이 나타나 이것을 예배하면 행운을 얻는다는 월대강 신앙이 있었다.[26] 에도 시대에 전국 각지에서 행해진 행사로, 특히 에도의 다카나와에서 시나가와 부근의 해변 언덕에서 성행했다.[26]참조
[1]
웹사이트
"Tsukimi": The Japanese Tradition of Autumn Moon Viewing
https://www.nippon.c[...]
2018-09-19
[2]
뉴스
Where to view the harvest moon?
http://www.denverpos[...]
The Denver Post
2015-09-25
[3]
웹사이트
Tsukimi: Japan's Mid-Autumn Harvest Moon Festival - Japan Rail Pass
https://www.japan-ex[...]
2019-08-21
[4]
뉴스
This is what some of the weirdest emojis actually mean
https://www.standard[...]
2018-03-26
[5]
웹사이트
🎑 Moon Viewing Ceremony Emoji
https://emojipedia.o[...]
2022-09-11
[6]
서적
史籍集覧
https://dl.ndl.go.jp[...]
近藤出版部
[7]
서적
たべもの史話
小学館ライブラリー
[8]
웹사이트
"京都と月の今むかし"
https://kyotoliving.[...]
[9]
웹사이트
クリナップ、江戸散策「江戸で一番高い山で月見、愛宕山」
https://cleanup.jp/l[...]
[10]
웹사이트
吉川英治 親鸞聖人について
https://www.aozora.g[...]
[11]
문서
竹久夢二の詩歌に『宵待草』があるが、「マツヨイグサ(待宵草)」が一般的だった。黄色い待宵草と違い、白、ピンクの「ツキミソウ(月見草)」などと同種の、群生して可憐な花である。
[12]
서적
年中行事大辞典
吉川弘文館
[13]
서적
年中行事大辞典
吉川弘文館
[14]
서적
十五夜綱引の研究
慶友社
[15]
웹사이트
南薩摩の十五夜行事
https://bunka.nii.ac[...]
[16]
웹사이트
諸鈍芝居
https://bunka.nii.ac[...]
[17]
웹사이트
与論の十五夜踊
https://bunka.nii.ac[...]
[18]
뉴스
月光に祈る十三夜 - 法華寺観月会
https://www.nara-np.[...]
2013-10-18
[19]
서적
日本の歳時記
アーツアンドクラフツ
[20]
서적
史料通覧 中右記 七
https://dl.ndl.go.jp[...]
日本史籍保存会
[21]
서적
日本庶民生活史料集成
三一書房
[22]
서적
三省堂年中行事事典【改訂版】
三省堂
[23]
문서
柳田國男『年中行事覚書』の「年中行事採集百項」(『定本柳田國男集』第13巻p.175)に見える
[24]
웹사이트
null
https://kotto-kotaro[...]
[25]
뉴스
今秋は名月3回 171年ぶり「後の十三夜」出現
中日新聞
2014-09-05
[26]
문서
広辞苑
[27]
웹사이트
京都歳時記-イベント情報
http://kccfl.kufs.ac[...]
京都外国語大学
2017-02-08
[28]
뉴스
【今週のお月様】今年最後のフルムーン
https://weathernews.[...]
2016-12-13
[29]
뉴스
「3」を究める
http://www.asahi.com[...]
2009-05-11
[30]
문서
井上ひさしのひとり芝居『芭蕉通夜舟(ばしょうつやぶね)』に「なぜ月はあんなにも美しいのだろう。なぜだ? たぶん、月に持主がいないからだろう」というセリフがある。
[31]
문서
江戸の狂歌師、大田蜀山人は月を愛した。月を愛した。なにかにつけて、眺めては詩を詠んだ。仲間70人を集めて、5日連続の宴を張ったこともある。のちに、百人一首「月みればちぢに物こそかなしけれ」(大江千里 (歌人)|大江千里)のパロディー「月みればちぢに芋こそ喰いたけれ」も作った(「春秋」 日本経済新聞 2014年9月8日)。
[32]
웹사이트
小町踊
https://www.weblio.j[...]
隠語大辞典/Weblio辞書
2015-06-01
[33]
웹사이트
null
https://www.kinrei.c[...]
[34]
웹사이트
「月見バーガー」のきっかけは“秋だから”ではない…牛丼・ピザなど過熱する“月見商戦”【Nスタ解説】
https://newsdig.tbs.[...]
2024-09-02
[35]
웹사이트
吉野家の月見は「牛とじ」で勝負する! チーズ&ねぎラー油も新登場でどれもおいしそ〜
https://ascii.jp/ele[...]
2024-08-23
[36]
웹사이트
マック、モス、コメダ…びっくりドンキーまで参入「月見商戦」が過熱する理由 「売れる」月見が担う重大ミッション
https://pinzuba.news[...]
双葉社
2024-09-22
[37]
웹사이트
“エッグショック”再び…食卓にかかせないたまごの価格が高騰 要因はニワトリの“夏バテ”と“月見商戦”【news23】
https://newsdig.tbs.[...]
2024-09-25
[38]
웹사이트
外食史に残したいロングセラー探訪(25)ファーストキッチン「ベーコンエッグバーガー」 - 2009.01.05 352号 05面
https://news.nissyok[...]
일본식량신문사
2009-01-04
[39]
웹사이트
『日本人においしい、オリジナルを。』
https://www.first-ki[...]
ファーストキッチン株式会社
2017-05-02
[40]
웹사이트
旅々台北【懐かしの台湾デザート 月見カキ氷】
http://www.tabitabi-[...]
魔法網際股份有限公司
2005-07-06
[41]
서적
たべもの史話
小学館
1999
[42]
뉴스
月光に祈る十三夜 - 法華寺観月会
http://www.nara-np.c[...]
2013-10-18
[43]
뉴스
今秋は名月3回 171年ぶり「後の十三夜」出現
中日新聞
2014-09-05
[44]
문서
広辞苑
[45]
웹인용
京都歳時記-イベント情報
http://kccfl.kufs.ac[...]
京都外国語大学
[46]
뉴스
【今週のお月様】今年最後のフルムーン
http://weathernews.j[...]
2016-12-13
[47]
뉴스
「3」を究める
http://www.asahi.com[...]
2009-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