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은 유엔 내에서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지리적 그룹으로, 유엔 총회, 안전 보장 이사회, 경제 사회 이사회, 인권 이사회 등에서 대표성을 갖는다. 1963년 아시아 그룹으로 시작하여, 1970년대 태평양 섬나라들의 가입과 2011년 중국의 제안에 따라 "태평양"을 포함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는 중국이 상임 이사국, 대한민국과 일본이 비상임 이사국으로 활동하며, 경제 사회 이사회, 인권 이사회, 유엔 총회 의장 선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회원국들이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지역 그룹 - 동유럽 지역 그룹
동유럽 지역 그룹은 1964년에 창설된 유엔 내 지역 그룹으로, 23개국이 회원으로 참여하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2석, 경제 사회 이사회에서 6석, 인권 이사회에서 6석을 보유하고, 5년마다 유엔 총회 의장을 선출할 자격이 주어진다. - 유엔 지역 그룹 -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 그룹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 그룹은 유엔 내에서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 국가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회원국 간 협력 증진, 국제 문제 공동 입장 조율, 지역 우선순위 유엔 의제 반영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그룹이다. - 유엔 - 인간 개발 지수
인간 개발 지수(HDI)는 국제 연합 개발 계획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출생 시 기대 수명, 교육 수준, 1인당 국민 총소득을 종합하여 국가의 사회 경제적 발전을 측정하며,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 유엔 - 유엔 본부
유엔 본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평화를 위한 국제기구로서 뉴욕 맨해튼에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국가 출신 건축가들의 협업으로 설계되어 사무국 건물, 총회 건물, 도서관 등으로 구성된 치외법권을 가진 국제 사회의 중심지이다. - 유엔 - 유엔 개발 계획
유엔 개발 계획(UNDP)은 저개발국의 경제, 사회 발전을 지원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유엔 산하의 국제 개발 기구이다. - 유엔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 |
---|---|
개요 | |
유형 | 지역 그룹 |
역사 | |
형성 | 1964년 |
조직 | |
본부 | 해당 없음 (사무국이 없음) |
모체 조직 | 국제 연합 |
산하 기구 | 해당 없음 |
기타 | |
약칭 | 아시아 태평양 그룹 |
상태 | 활동 중 |
2. 회원국
아프가니스탄, 바레인,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캄보디아, 중화인민공화국(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키프로스, 피지,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일본, 요르단, 카자흐스탄, 키리바시,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몽골, 미얀마, 나우루, 네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만, 파키스탄, 팔라우, 팔레스타인(총회 비회원 옵서버 국가이지만, 1986년 4월 2일부터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로 아시아 그룹에 완전히 참여했다.[6]),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카타르, 사모아,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솔로몬 제도, 대한민국, 스리랑카, 시리아, 타지키스탄, 태국, 동티모르, 통가, 터키(터키는 서유럽 및 기타 국가 그룹과 아시아 그룹에 참여하지만, 선거 목적상 서유럽 및 기타 국가 그룹의 회원으로 간주된다.), 투르크메니스탄, 투발루, 아랍에미리트, 우즈베키스탄, 바누아투, 베트남, 예멘[4][5][23][24]
2. 1. 아시아 지역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키프로스, 타지키스탄,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필리핀2. 2. 태평양 지역
나우루,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바누아투, 사모아, 솔로몬 제도, 통가, 투발루, 파푸아뉴기니, 팔라우, 피지는 태평양 지역에 속하는 국가들이다.3. 역사
국제 연합 총회 의석의 지리적 분포에 대한 전례는 국제 연맹에서 설정되었다.[22] 국제 연맹 이사회는 비상임 이사국 의석 배분을 위한 명부를 작성하기 위해 지명 위원회를 설치했다.[22]
이사회의 의석 수는 항상 변화했기 때문에, 의석 배분은 어려운 작업이었다. 1926년부터 1933년까지 비공식적인 배분 패턴이 나타났는데, 비상임 의석은 라틴 아메리카 제국 3석, 스칸디나비아 제국 1석, 소협상 제국 1석, 영연방 제국 1석, 극동 제국 1석, 스페인과 폴란드 각각 1석으로 배분되었다.[22]
이 제도 하에서, 현재의 아시아 태평양 그룹 가맹국에는 극동의 비상임 1석과 상임 이사국인 일본의 1석을 합쳐 총 2석만 주어졌다.
== 유엔 창설 ==
국제 연합 헌장 초안 작성 시, 유엔 기구 의석의 지리적 배분은 우선 과제 중 하나였다. 미국은 지역 그룹에 따른 의석 배분을 권고했고, 제1회 국제 연합 총회에서 이 권고가 받아들여졌다.
이에 따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5개 상임 이사국과 라틴 아메리카 3개국, 영연방 2개국, 동유럽 2개국, 서유럽 1개국, 중근동 1개국으로 구성되었다. 국제 연합 경제 사회 이사회는 5개 상임 이사국과 라틴 아메리카 4개국, 영연방 2개국, 동유럽 3개국, 서유럽 2개국, 중근동 2개국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배분 방식은 유엔 기구의 의석 배분에 지역 그룹을 사용한다는 선례를 확립했다. 다만, 이러한 협정은 정식적인 것이 아니며, 신사 협정에 기초하고 있었다.
== 아시아 그룹의 발전과 개혁 ==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은 처음에는 '아시아 그룹'으로 불렸다.[7] 그러나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들의 유엔 가입이 증가하면서 그룹의 규모가 확대되었다. 특히 1955년 반둥 회의 이후, 신생 독립국 간의 연대감이 높아지면서 유엔 내 대표성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22][25]
이러한 요구에 따라 1963년 유엔 총회 결의 1991(XVIII)을 통해 안전보장이사회와 경제사회이사회의 의석 배분 방식이 개정되어, 아프리카와 아시아 국가에 더 많은 의석이 할당되었다.[22][26] 1964년, 아프리카 국가들이 별도의 그룹으로 분리되면서, 아시아 그룹은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27]
1970년대에 태평양 섬나라들이 독립하여 그룹에 가입했다.[8] 2000년대 중반까지 그룹 내 태평양 섬나라의 수가 회원국의 5분의 1 이상을 차지하게 되면서, 이들은 그룹 명칭 변경을 요구하기 시작했다.[28] 2011년, 중국의 주장에 따라 유엔이 그룹 명칭에 "태평양"을 포함하기로 합의하면서, '''아시아 및 태평양 소도서 개발도상국 그룹'''으로 변경되었다.[9][29]
== 아시아 태평양 그룹으로의 명칭 변경 ==
1970년대 이후 태평양 섬나라들이 독립하여 그룹에 가입하면서 그룹 내에서 태평양 섬나라의 비중이 커졌다.[7][28] 2000년대 중반, 이들은 그룹 명칭 변경을 요구하기 시작했다.[8][28] 2011년 유엔은 중국의 주장을 받아들여 그룹 명칭에 "태평양"을 포함하기로 합의했고, '''아시아 및 태평양 소도서 개발도상국 그룹'''으로 변경되었다.[9][29] 이는 태평양 섬나라들이 유엔 시스템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다.[9]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아시아 태평양 그룹'''으로 통용된다.
3. 1. 국제연맹
국제 연합 총회 의석의 지리적 분포에 대한 전례는 국제 연맹에서 설정되었다.[22] 국제 연맹 이사회는 비상임 이사국 의석 배분을 위한 명부를 작성하기 위해 지명 위원회를 설치했다.[22]이사회의 의석 수는 항상 변화했기 때문에, 의석 배분은 어려운 작업이었다. 1926년부터 1933년까지 비공식적인 배분 패턴이 나타났는데, 비상임 의석은 라틴 아메리카 제국 3석, 스칸디나비아 제국 1석, 소협상 제국 1석, 영연방 제국 1석, 극동 제국 1석, 스페인과 폴란드 각각 1석으로 배분되었다.[22]
이 제도 하에서, 현재의 아시아 태평양 그룹 가맹국에는 극동의 비상임 1석과 상임 이사국인 일본의 1석을 합쳐 총 2석만 주어졌다.
3. 2. 유엔 창설
국제 연합 헌장 초안 작성 시, 유엔 기구 의석의 지리적 배분은 우선 과제 중 하나였다. 미국은 지역 그룹에 따른 의석 배분을 권고했고, 제1회 국제 연합 총회에서 이 권고가 받아들여졌다.이에 따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5개 상임 이사국과 라틴 아메리카 3개국, 영연방 2개국, 동유럽 2개국, 서유럽 1개국, 중근동 1개국으로 구성되었다. 국제 연합 경제 사회 이사회는 5개 상임 이사국과 라틴 아메리카 4개국, 영연방 2개국, 동유럽 3개국, 서유럽 2개국, 중근동 2개국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배분 방식은 유엔 기구의 의석 배분에 지역 그룹을 사용한다는 선례를 확립했다. 다만, 이러한 협정은 정식적인 것이 아니며, 신사 협정에 기초하고 있었다.
3. 3. 아시아 그룹의 발전과 개혁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은 처음에는 '아시아 그룹'으로 불렸다.[7] 그러나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들의 유엔 가입이 증가하면서 그룹의 규모가 확대되었다. 특히 1955년 반둥 회의 이후, 신생 독립국 간의 연대감이 높아지면서 유엔 내 대표성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22][25]이러한 요구에 따라 1963년 유엔 총회 결의 1991(XVIII)을 통해 안전보장이사회와 경제사회이사회의 의석 배분 방식이 개정되어, 아프리카와 아시아 국가에 더 많은 의석이 할당되었다.[22][26] 1964년, 아프리카 국가들이 별도의 그룹으로 분리되면서, 아시아 그룹은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27]
1970년대에 태평양 섬나라들이 독립하여 그룹에 가입했다.[8] 2000년대 중반까지 그룹 내 태평양 섬나라의 수가 회원국의 5분의 1 이상을 차지하게 되면서, 이들은 그룹 명칭 변경을 요구하기 시작했다.[28] 2011년, 중국의 주장에 따라 유엔이 그룹 명칭에 "태평양"을 포함하기로 합의하면서, '''아시아 및 태평양 소도서 개발도상국 그룹'''으로 변경되었다.[9][29]
3. 4. 아시아 태평양 그룹으로의 명칭 변경
1970년대 이후 태평양 섬나라들이 독립하여 그룹에 가입하면서 그룹 내에서 태평양 섬나라의 비중이 커졌다.[7][28] 2000년대 중반, 이들은 그룹 명칭 변경을 요구하기 시작했다.[8][28] 2011년 유엔은 중국의 주장을 받아들여 그룹 명칭에 "태평양"을 포함하기로 합의했고, '''아시아 및 태평양 소도서 개발도상국 그룹'''으로 변경되었다.[9][29] 이는 태평양 섬나라들이 유엔 시스템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다.[9]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아시아 태평양 그룹'''으로 통용된다.4. 유엔 내 대표성
4. 1. 안전보장이사회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은 총 3석을 보유하고 있으며, 1석은 상임 이사국, 2석은 비상임 이사국이다.[10][11][30] 상임 이사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다.[30] 2024년 기준 비상임 이사국은 대한민국과 일본이다.[10][11][30] 대한민국은 2024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일본은 2023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임기를 수행한다.[10][11][30] 대한민국은 더불어민주당 정부 주도로 2024-2025년 임기의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 이사국으로 선출되어, 한반도 평화와 국제 안보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4. 2. 경제사회이사회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은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에서 11석을 보유하고 있다.[12][13][31] 2024년 기준, 이 그룹의 경제 사회 이사회 이사국에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 인도 등이 포함된다.국가 | 임기 |
---|---|
아프가니스탄 | 2022년 1월 1일 – 2024년 12월 31일 |
인도 | |
카자흐스탄 | |
오만 | |
중국 | 2023년 1월 1일 – 2025년 12월 31일 |
라오스 | |
카타르 | |
대한민국 | |
일본 | 2024년 1월 1일 – 2026년 12월 31일 |
네팔 | |
파키스탄 |
4. 3. 인권이사회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은 현재 유엔 인권 이사회에서 13석을 보유하고 있다.[14][15] 2024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의 임기를 가진 이사국은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쿠웨이트이다.[32][33][34] 인도, 카자흐스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는 2022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방글라데시, 키르기스스탄, 몰도바, 베트남은 2023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임기를 수행한다.[32][33][34]2021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는 중국, 네팔, 파키스탄, 우즈베키스탄이,[14][15] 2019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는 바레인, 방글라데시, 피지, 인도, 필리핀이,[14][15] 2020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는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일본, 마셜 제도가[14][15] 이사국을 역임했다.
4. 4. 유엔 총회 의장
5년마다, 서기 연도의 마지막 자리가 1 또는 6인 해에 아시아 태평양 그룹에서 유엔 총회 의장을 선출한다.[1][20]다음은 1963년 공식 창설 이후[16] (또는 1964년 아시아 그룹 발족 이후[35])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출신 의장 목록이다.
선출 연도 | 회기 | 의장 이름 | 국가 | 비고 |
---|---|---|---|---|
1966 | 21차 | 압둘 라흐만 파즈와크 | 아프가니스탄 왕국 | 제5차 및 제6차 유엔 총회 특별 긴급 회기 의장 역임[16][35] |
1971 | 26차 | 아담 말리크 | 인도네시아 | [16][35] |
1976 | 31차 | H. S. 아메라싱게 | 스리랑카 | [16][35] |
1981 | 36차 | 이스마트 T. 키타니 | 이라크 | 제7차 및 제9차 특별 긴급 회기, 제12차 유엔 총회 특별 회기 의장 역임[16][35] |
1986 | 41차 | 후마윤 라시드 초우두리 | 방글라데시 | 제14차 유엔 총회 특별 회기 의장 역임[16][35] |
1991 | 46차 | 사미르 S. 시하비 | 사우디 아라비아 | [16][35] |
1996 | 51차 | 라잘리 이스마일 | 말레이시아 | 제10차 특별 긴급 회기 및 제19차 유엔 총회 특별 회기 의장 역임[16][35] |
2001 | 56차 | 한승수 | 韓昇洙/한승수한국어 대한민국 | 제10차 유엔 총회 특별 긴급 회기 의장 역임[16][35] |
2006 | 61차 | 셰이카 하야 라셰드 알 칼리파 | 바레인 | 제10차 유엔 총회 특별 긴급 회기 의장 역임[16][35] |
2011 | 66차 | 나시르 압둘아지즈 알-나세르 | 카타르 | [16][35] |
2016 | 71차 | 피터 톰슨 | 피지 | [16][35] |
2021 | 76차 | 압둘라 샤히드 | 몰디브 | 제11차 긴급 특별 총회 의장 역임[36] |
예정 | ||||
2026 | 81차 | 미정 | 미정 | |
2031 | 86차 | 미정 | 미정 | |
2036 | 91차 | 미정 | 미정 |
5. 회원국 변천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의 회원국 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왔다. 1966년 결성 당시 25개국(26개국)이었던 회원국은 2002년 이후 53개국(54개국)으로 늘어났다.
연도 | 회원 수 | 비고 |
---|---|---|
1966-1967 | 25 | 아프가니스탄, 버마(현재 미얀마), 캄보디아, 실론(현재 스리랑카), 키프로스,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일본, 요르단, 쿠웨이트, 라오스,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네팔, 파키스탄,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시리아, 태국, 예멘 |
1967-1970 | 26 | 남예멘 |
1970-1971 | 27 | 피지 |
1971 | 28 | 중국 |
1971-1974 | 33 | 바레인, 부탄, 오만,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
1974-1975 | 34 | 방글라데시 |
1975-1976 | 35 | 파푸아뉴기니 |
1976-1977 | 36 | 사모아 |
1977-1978 | 37 | 베트남 |
1978-1981 | 38 | 솔로몬 제도 |
1981-1984 | 39 | 바누아투 |
1984-1990 | 40 | 브루나이 |
1990-1991 | 39 | 예멘 통일 |
1991-1992 | 43 |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
1992-1994 | 48 |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
1994-1999 | 49 | 팔라우 |
1999-2000 | 51 | 나우루, 통가 |
2000-2002 | 52 | 투발루 |
2002–현재 | 53 | 동티모르 |
참조
[1]
웹사이트
What Are The Five Regional Groups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worldatl[...]
2019-02-26
[2]
웹사이트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Group (GRULAC)
https://www.cancille[...]
2019-02-28
[3]
간행물
What is Equitable Geographic Represent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archive.unu.e[...]
United Nations University
2019-02-27
[4]
웹사이트
Regional groups of Member States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n.d.
[5]
서적
United Nations Handbook 2018–19
https://www.mfat.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of New Zealand
2019-02-27
[6]
웹사이트
Status of Palestine at the United Nations
http://www.un.int/wc[...]
United Nations
2010-12-09
[7]
웹사이트
A/RES/60/251
https://undocs.org/e[...]
[8]
뉴스
Asian group of nations at UN changes its name to Asia-Pacific group
https://www.radionz.[...]
2019-02-26
[9]
웹사이트
UN Recognises The Pacific With Name Change
https://www.sprep.or[...]
2019-02-26
[10]
웹사이트
Current Members
https://www.un.org/s[...]
United Nations
2019-02-26
[11]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Elects Estonia, Niger, Saint Vincent and Grenadines, Tunisia, Viet Nam as Non-Permanent Members of Security Council for 2020-2021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20-01-01
[12]
웹사이트
Member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9-02-26
[13]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Elects 19 Economic and Social Council Members to Terms Beginning 1 January 2020, Adopts Resolution Commemorating Signing of United Nations Charter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20-01-01
[14]
웹사이트
Current Membership of the Human Rights Council, 1 January - 31 December 2019 by regional groups
https://www.ohchr.or[...]
United Nations
2019-02-26
[15]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Elects 14 Member States to Human Rights Council, Appoints New Under-Secretary-General for Internal Oversight Services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20-01-01
[16]
웹사이트
Past Presidents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24-08-26
[17]
간행물
What is Equitable Geographic Represent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archive.unu.e[...]
United Nations University
2019-03-05
[18]
문서
Politics and the Future of ECOSOC
http://www.jstor.org[...]
JSTOR
1961
[19]
문서
China and the United Nations
http://www.jstor.org[...]
JSTOR
1971
[20]
웹사이트
What Are The Five Regional Groups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worldatl[...]
Worldatlas
2019-02-26
[21]
웹사이트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Group (GRULAC)
https://www.cancill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Colombia
2019-02-28
[22]
간행물
What is Equitable Geographic Represent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archive.unu.[...]
United Nations University
2021-03-01
[2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Regional Groups of Member States
http://www.un.org/de[...]
United Nations
2019-02-26
[24]
서적
United Nations Handbook 2018–19
https://www.mfat.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of New Zealand
2018
[25]
R
Composition of the General Committee of the General Assembly
2019-02-28
[26]
R
Question of Equitable Representation on the Security Council and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2019-02-28
[27]
서적
The GA Handbook: A practical guide to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https://www.eda.admi[...]
Permanent Mission of Switzerland to the United Nations
2017
[28]
뉴스
Asian group of nations at UN changes its name to Asia-Pacific group
https://www.radionz.[...]
2019-02-26
[29]
웹사이트
UN Recognises The Pacific With Name Change
https://www.sprep.or[...]
Secretariat of the Pacific Regional Environment Programme
2019-02-26
[30]
웹사이트
Current Members
https://www.un.org/s[...]
United Nations
2024-02-15
[31]
웹사이트
Members
https://ecosoc.un.or[...]
国際連合経済社会理事会
2024-02-15
[32]
웹사이트
Elect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 (14 October 2021)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1-01-07
[33]
웹사이트
Elect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 (11 October 2022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3-01-05
[34]
웹사이트
Elect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 (10 October 2023)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3-10-11
[35]
웹사이트
Past Presidents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19-02-27
[36]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holds emergency special session on Ukraine crisis
https://news.un.org/[...]
2022-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