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언어 사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어 사멸은 특정 언어를 사용하던 사람들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원래 언어의 사용이 줄어드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자발적이거나 강제적인 문화 동화, 자연재해, 집단 학살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점진적, 하향식, 상향식, 급진적, 언어 절멸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언어 사멸은 언어 이동의 결과이며, 언어의 구조 변화, 문법 붕괴, 언어 붕괴 등의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언어 소멸은 정체성 상실, 건강 문제 등 원주민 공동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해 언어 부활 노력과 다양한 언어 활력 측정 방법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 동화 - 외래어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유입되어 특정 언어에 정착한 단어 또는 표현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발음, 의미, 형태 등이 변화하고 외국어, 차용어, 부분 바꿈, 번역 차용, 신조어, 뜻 차용 등의 형태로 수용되면서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기도 하며, 각 언어는 외래어 수용에 대한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외래어 순화 운동을 통해 사용을 제한하기도 한다.
  • 문화 동화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사회언어학 - 지칭어
    지칭어는 특정 대상을 명확히 지칭하는 용어로, 한국어에서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프로젝트 관리에서는 참조 조건의 의미로 프로젝트 목표와 범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사회언어학 - 피진
    피진은 서로 다른 언어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단순화된 언어로, 문법과 어휘가 제한적이며 모어 화자가 없지만, 널리 사용될 경우 크리올어로 발전하기도 한다.
언어 사멸
개요
이름언어 사멸
설명언어가 결국 마지막 모국어 화자를 잃는 과정
세부 사항
원인언어 교체
언어 제국주의
글로토파지
이주
전염병
기근
집단 학살
결과문화적 손실
역사적 손실
지식 손실
정체성 손실
인지적 다양성 손실
관련 개념
관련 개념사어
인위어
소멸위기언어
언어 되살리기
언어 보존
언어 다변성
언어 문서화
기타
시기기원전 1500년경

2. 언어 사멸의 종류와 과정

언어 사멸은 일반적으로 언어 이동의 결과이며, 그 과정에서 언어 구조가 다른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순이 바뀌거나 음운 대립이 없어지는 등 희석되기도 한다.

언어 사멸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종류설명
점진적 언어 사멸해당 언어 사용자들이 더 높은 권위를 가진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면서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인 언어 사멸 방식.
하향식 언어 사멸언어가 일상적인 맥락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종교적, 문학적, 의례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되기 시작할 때 발생.
상향식 언어 사멸언어 이동이 정부와 같은 상위 수준 환경에서 시작되지만 일상적인 맥락에서는 계속 사용될 때 발생.
급진적 언어 사멸위협, 압력, 박해 또는 식민화로 인해 해당 언어의 모든 사용자가 언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발생.
언어 절멸해당 언어의 모든 또는 거의 모든 원어민이 자연 재해, 전쟁 등으로 인해 사망할 때 발생.
언어 소멸개인 수준에서 언어 숙련도가 상실되는 현상.
언어 공동체의 토지 변화언어 공동체의 구성원이 자신들의 전통적인 토지 또는 공동체를 떠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마을로 이주할 때 발생.
문화적 접촉 및 충돌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와의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접촉으로 인해 공동체의 자국어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면서 발생.



중세 한국어처럼 현대 한국어로 변하면서 아무도 쓰지 않는 언어도 ‘사어’라고 부르지만, 이 경우에는 '사멸했다'고 표현하지 않는다. 라틴어 등이 이러한 예시에 해당한다.

작고 지리적으로 고립된 언어 사용자 집단을 가진 언어는 사용자들이 집단 학살, 질병, 자연 재해 등으로 인해 사라질 때 소멸될 수 있다.

2. 1. 점진적 언어 사멸

언어의 사멸은, 원래 언어를 쓰던 사회 구성원들이 다른 언어를 같이 쓰게 되면서 예전 언어를 점차 안 쓰게 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다.[1] 이러한 사회적인 동화는 자발적일 수도 있지만, 강요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언어 구사자들이 좁은 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 자연 재해 등으로 구성원들이 사망하면서 사멸하는 경우도 있다.

점진적 언어 사멸은 언어가 소멸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다.[11] 일반적으로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더 높은 권위를 가진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상호 작용할 때 발생한다. 이 사람들은 처음에는 이중 언어 사용자가 되었다가, 새로운 세대가 등장하면서 숙련도가 감소하고, 마침내 원어민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가장 일반적인 언어 사멸 과정은 한 언어의 사용자들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여 이중 언어 사용자가 되고, 점차적으로 두 번째 언어에 대한 충성을 이동하여 원래의 유산 언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는 자발적이거나 인구에 강요될 수 있는 문화 동화 과정이다. 특히 지역 또는 소수 언어 사용자는 경제적 또는 실용적인 이유로, 더 유용하거나 권위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언어를 선호하여 언어를 포기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2. 2. 하향식 언어 사멸

하향식 언어 사멸은 언어가 일상적인 맥락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종교적, 문학적, 의례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되기 시작할 때 발생한다. 라틴어아베스타어가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11]

2. 3. 상향식 언어 사멸

정부와 같은 상위 수준 환경에서 언어 이동이 시작되지만 일상적인 맥락에서는 계속 사용될 때 상향식 언어 사멸이 발생한다.[12]

2. 4. 급진적 언어 사멸

위협, 압력, 박해 또는 식민화로 인해 해당 언어의 모든 사용자가 언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언어가 사라지는 현상이다. 급진적 사멸의 경우 언어 사멸이 매우 갑작스럽게 발생하므로, 언어 공동체는 언어에 구조적 변화가 시작되는 준 화자 단계를 건너뛴다. 언어는 그냥 사라진다.[12]

2. 5. 언어 절멸

언어 절멸은 해당 언어의 모든 또는 거의 모든 원어민이 자연 재해, 전쟁 등으로 인해 사망할 때 발생한다. 언어 절멸은 일반적으로 동화 또는 특정 집단의 정체성 파괴를 통한 강제적인 언어 상실을 의미한다.[13][14]

2. 6. 언어 소멸

가장 일반적인 언어의 사멸은, 원래 언어를 쓰던 사회의 구성원들이 다른 언어를 같이 쓰게 되면서 예전 언어를 점차 안 쓰게 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사회적인 동화는 자발적일 수도 있지만, 강요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언어 구사자들이 좁은 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 자연재해 등으로 구성원들이 사망하면서 사멸하는 경우도 있다.[13][14]

중세 한국어처럼 현대 한국어로 변하면서 아무도 쓰지 않는 언어도 ‘사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이때에는 중세 한국어가 ‘사멸했다’고 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예로는 라틴어 등이 있다.

언어의 사멸 과정에서, 그 언어의 구조가 구사자들이 쓰는 다른 언어의 것으로 희석되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어순이 바뀌거나, 음운 대립이 없어지는 것 등이 있다. 언어 사멸은 일반적으로 언어 이동의 결과이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 점진적 언어 사멸: 언어가 소멸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다.[11] 일반적으로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더 높은 권위를 가진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상호 작용할 때 발생한다. 이 사람들은 처음에는 이중 언어 사용자가 되었다가, 새로운 세대가 등장하면서 숙련도가 감소하고, 마침내 원어민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 하향식 언어 사멸: 언어가 일상적인 맥락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종교적, 문학적, 의례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되기 시작할 때 발생한다. (예: 라틴어 또는 아베스타어에서와 같이.)
  • 상향식 언어 사멸: 언어 이동이 정부와 같은 상위 수준 환경에서 시작되지만 일상적인 맥락에서는 계속 사용될 때 발생한다.
  • 급진적 언어 사멸: 위협, 압력, 박해 또는 식민화로 인해 해당 언어의 모든 사용자가 언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언어가 사라지는 현상이다. 급진적 사멸의 경우 언어 사멸이 매우 갑작스럽게 발생하므로, 언어 공동체는 언어에 구조적 변화가 시작되는 준 화자 단계를 건너뛴다. 언어는 그냥 사라진다.[12]
  • 언어 절멸 (언어 대량 학살, 물리적 언어 사멸, 생물학적 언어 사멸이라고도 함): 해당 언어의 모든 또는 거의 모든 원어민이 자연 재해, 전쟁 등으로 인해 사망할 때 발생한다. 언어 절멸은 일반적으로 동화 또는 특정 집단의 정체성 파괴를 통한 강제적인 언어 상실을 의미한다.[13][14]
  • 언어 소멸: 개인 수준에서 언어 숙련도의 상실
  • 언어 공동체의 토지 변화: 이는 언어 공동체의 구성원이 자신들의 전통적인 토지 또는 공동체를 떠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마을로 이주할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뉴기니의 작은 고립된 공동체에서, 지역 사회의 젊은이들이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위해 마을로 이주한다.[15] 사람들의 이동은 더 많은 아이들이 이중 언어 사용자가 되면서 모국어를 위협에 빠뜨리고, 이로 인해 언어를 미래 세대에게 전달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 문화적 접촉 및 충돌: 문화적 접촉 및 충돌은 공동체가 모국어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와의 문화적, 경제적 및 정치적 접촉은 공동체의 자국어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15]


언어 사멸을 초래하는 가장 일반적인 과정은 한 언어의 사용자들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여 이중 언어 사용자가 되고, 점차적으로 두 번째 언어에 대한 충성을 이동하여 원래의 유산 언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는 자발적이거나 인구에 강요될 수 있는 문화 동화 과정이다. 특히 지역 또는 소수 언어 사용자는 경제적 또는 실용적인 이유로, 더 유용하거나 권위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언어를 선호하여 언어를 포기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작고, 지리적으로 고립된 언어 사용자 집단을 가진 언어는 사용자들이 집단 학살, 질병 또는 자연 재해로 인해 사라질 때 소멸될 수 있다.

2. 7. 언어 공동체의 토지 변화

언어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전통적인 토지나 공동체를 떠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마을로 이주할 때 언어 사멸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뉴기니의 작은 고립된 공동체에서, 지역 사회의 젊은이들이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위해 마을로 이주한다.[15] 이러한 사람들의 이동은 더 많은 아이들이 이중 언어 사용자가 되면서 모국어를 위협에 빠뜨리고, 이로 인해 언어를 미래 세대에게 전달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2. 8. 문화적 접촉 및 충돌

언어 사멸의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특정 언어를 사용하던 사회 구성원들이 다른 언어를 함께 사용하게 되면서 점차 원래 언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사회적 동화는 자발적일 수도 있지만, 강요될 수도 있다. 또한 언어 사용자들이 좁은 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 자연 재해 등으로 인해 구성원들이 사망하면서 언어가 사멸되기도 한다.[13][14]

문화적 접촉 및 충돌은 공동체가 모국어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와의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접촉은 공동체의 자국어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15]

일반적으로 한 언어의 사용자들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여 이중 언어 사용자가 되고, 점차적으로 두 번째 언어에 대한 충성을 이동하여 원래의 유산 언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는 자발적이거나 강요될 수 있는 문화 동화 과정이다. 특히 지역 또는 소수 언어 사용자는 경제적 또는 실용적인 이유로, 더 유용하거나 권위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언어를 선호하여 자신의 언어를 포기하기도 한다.

3. 언어 사멸의 단계

언어 사멸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 '''차용어 증가:''' 열세 언어가 우세 언어의 영향을 받아 차용어가 늘어나는 단계이다.

# '''기초어휘 전환:''' 열세 언어의 기초어휘와 생활용어가 우세 언어의 어휘로 바뀌는 단계이다.

# '''문법 붕괴:''' 열세 언어 화자가 우세 언어 화자로 전환되면서 문법 체계가 무너지는 단계이다.

# '''언어 소멸:''' 열세 언어 화자 집단이 우세 언어 화자 집단에 흡수되어 열세 언어가 사라지는 단계이다.

이러한 언어 사멸은 갑작스럽게 일어나기보다는, 각 세대가 점점 더 적은 양의 언어를 배우면서 서서히 진행되는 과정이다. 언어 사용이 시, 노래와 같은 전통적인 영역에 국한되고, 어른에서 아이로의 언어 전달이 제한적으로 변하며, 결국에는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성장하게 된다. 달마티아어가 이러한 과정을 거쳐 소멸된 언어의 예시이다.[3]

3. 1. 차용어 증가

열세 언어가 우세 언어에 맞닥뜨렸을 때, 처음 일어나는 현상은 차용어 증가이다. 처음에는 열세 언어에 존재하지 않는 어휘만 차용하지만, 점차 차용어의 수와 빈도가 늘어나게 되며 그 범위도 늘어난다. 고급 어휘, 전문 용어, 학술 용어 등 일상에서 잘 쓰이지 않는 분야가 최초로 잠식당한다.

3. 2. 기초어휘 전환

우세 언어로부터 지속적인 영향을 받으면, 열세 언어의 기초어휘, 생활용어까지 우세 언어의 어휘로 점차 바뀌게 된다. 이 단계에 이르면, 열세 언어의 자체 요소로 언어생활을 감당할 수 없게 되며 사실상 우세 언어에 종속된다. 아르메니아어차모로어는 각각 페르시아어, 스페인어로부터 차용어가 매우 많아 기초어휘의 상당수까지 잠식당하고 있다. (수사 등)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많은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도 한자어 없이는 언어생활 영위가 불가능하다. 한국어의 경우, 기초어휘는 상당히 보존되어 있으나, 가람→강, 뫼→산 등 일부 기초 어휘가 한자어에 잠식당한 경우도 보인다.

3. 3. 문법 붕괴

우세 언어의 영향력이 계속되면, 열세 언어 화자가 우세 언어 화자로 점차 전환되면서 문법이 붕괴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단계에서 열세 언어 화자는 우세 언어의 틀 안에서 열세 언어의 잔존 어휘를 구사하는 정도에 불과하게 된다.

3. 4. 언어 붕괴

열세 언어 화자 집단이 우세 언어 화자의 집단에 흡수되며, 열세 언어는 사어가 된다. 열세 언어의 몇몇 어휘(주로 지명 및 고유명사가 많음)는 화석같이 우세 언어 어휘군에 흡수된다. 속 라틴어가 발전한 프랑스어에 흡수된 켈트어 어휘나 소멸 위기에 놓인 아이누어의 어휘가 프랑스어일본어에 주로 지명이나 고유명사를 중심으로 남아 있는 것이 그 예이다.

언어는 종종 그 언어의 마지막 모국어 화자가 사망하기 전에도 사멸되었다고 선언된다. 만약 그 언어의 화자가 노년층 몇 명만 남았고, 그들이 더 이상 의사소통을 위해 그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 언어는 사실상 사멸된 것이다. 이처럼 사용 빈도가 줄어든 언어는 일반적으로 소멸 직전인 언어로 간주된다.[3] 세계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절반은 새로운 세대의 아이들에게 가르쳐지지 않고 있다.[3] 일단 언어가 더 이상 모국어가 아니게 되면, 즉 어떤 아이도 그 언어를 주요 언어로 사회화되지 않으면, 언어 전달 과정은 끝나고 해당 언어 자체는 현재 세대를 넘어 생존할 수 없게 된다.[29]

언어 소멸은 드물게 갑작스러운 사건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각 세대가 점점 더 적은 양의 언어를 배우면서, 결국 그 사용이 시, 노래와 같은 전통적인 영역에 국한되는 느린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어른에서 아이로의 언어 전달이 점점 더 제한적으로 변하며, 결국 언어를 사용하는 어른들이 유창함을 전혀 습득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키우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결론에 도달한 한 가지 예시는 달마티아어이다.

4. 언어 변화와 사멸 언어

언어학자들은 언어 "사멸"과 언어가 정상적인 언어 변화를 통해 "사멸 언어"가 되는 과정을 구별한다. 언어 변화는 한 언어가 여러 자매 언어로 분화되어 공통 조상 언어를 "사멸"하게 만들기도 한다. 라틴어가 (속 라틴어를 거쳐) 로망스어군으로, 산스크리트어가 (프라크리트어를 거쳐) 신인도아리아어군으로 발전한 것이 그 예시이다.[12] 이러한 과정은 언어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끊임없이 전파되며 미세한 변화만 일어나기 때문에 "언어 소멸"로 묘사되지 않는다.[12]

4. 1. 의사 소멸

언어학자들은 언어 "사멸"과 언어가 정상적인 언어 변화를 통해 "사멸 언어"가 되는 과정을 구별하며, 이는 의사 소멸과 유사한 언어학적 현상이다. 이는 언어가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별개의 다른 언어로 변모하여 이전 형태가 모국어 화자를 남기지 않을 때 발생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고대 영어중세 영어, 초기 근대 영어, 현대 영어로 변화하고 발전했지만 "사멸 언어"로 간주될 수 있다. 언어의 방언 또한 사멸될 수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언어 사멸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아이누어는 점차 사멸되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는 홋카이도 아이누어를 화자 15명의 심각한 위기 상태로, 사할린과 쿠릴 아이누어를 사멸된 언어로 분류하고 있다.[30] 아이누어의 언어 생존력은 19세기 말부터 일본어가 교육에서 선호되는 언어가 되면서 약화되었다. 일본어 교육은 강제적인 언어 동화로 인해 아이누어 사용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31][32]

4. 2. 자매 언어 분화

언어 변화 과정은 하나의 언어가 여러 자매 언어의 집합으로 분화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공통 조상 언어를 "사멸"하게 만든다. 이는 라틴어에서 일어났으며, 라틴어는 (속 라틴어를 거쳐) 결국 로망스어군으로 발전했고, 산스크리트어는 (프라크리트어를 거쳐) 신인도아리아어군으로 발전했다.[12] 이러한 과정은 일반적으로 "언어 소멸"로 묘사되지 않는데, 이는 언어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끊임없이 전파되는 과정을 포함하며, 각 단계에서 미세한 변화만 있기 때문이다.[12] 따라서 라틴어의 경우, 라틴어가 "사멸"된 시점은 없으며, 다양한 지리적 영역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진화했으며, 현재 형태는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과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식별된다.[12] 언어 변동은 라틴어가 다양한 현대 형태로 진화하는 것을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2] 언어 소멸로 이어질 수 있는 언어 변동은 특정 언어 공동체의 언어 사용 행동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12] 다른 언어 및 문화와의 접촉은 원래 언어의 행동 변화를 유발하여 언어 변동을 초래한다.[12]

5. 언어 사멸의 결과

언어 소멸은 단순히 언어 상실에 그치지 않고, 해당 언어를 사용하던 개인과 공동체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원주민 공동체의 경우, 언어는 정체성 및 웰빙과 깊이 연결되어 있어 언어 소멸이 건강 문제로 이어지기도 한다.[18]

언어 소멸에 따른 문법 변화와 원주민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

5. 1. 문법 변화

언어 소멸(언어학 문헌에서는 때때로 "진부화"라고도 함) 과정에서 소멸되는 언어는 일반적으로 화자들이 자신들의 언어를 옮겨가는 언어와 더 유사하게 만들면서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변화 과정은 Appel(1983)에 의해 두 가지 범주로 설명되었지만, 이 둘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종종 화자들은 자신들의 언어 요소를 그들이 옮겨가는 언어의 요소로 대체한다. 또한, 그들의 고유 언어에 새로운 언어에는 없는 요소가 있다면 화자들은 이를 생략할 수 있다.

변화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과잉 일반화
  • 과소 일반화
  • 음운론적 대립의 상실
  • 변동성
  • 어순 변화
  • 형태론적 손실 (예: 스코틀랜드 동부 서덜랜드의 스코틀랜드 게일어(Dorian: 1978)에서 유창한 화자들은 여전히 역사적인 복수 형태를 사용했지만, 준 화자들은 단순한 접미사를 사용하거나 아예 복수 형태를 사용하지 않았다.)
  • 합성어 형태통사론이 점차 분석적으로 변화
  • 통사론적 손실 (예: 어휘 범주, 복잡한 구문)
  • 재어휘화
  • 단어 형성 생산성 상실
  • 스타일 손실 (예: 의례적 언어의 상실)[16]
  • 형태론적 평준화[17]
  • 유사 평준화

5. 2. 원주민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원주민 공동체 내에서 언어 소멸은 개인과 공동체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언어 소멸과 그들의 건강(신체적, 정신적) 사이에는 연관성이 존재한다. 언어는 그들의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이며, 그들의 웰빙과도 연결된다.[18]

캐나다 원주민 청소년 자살률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구성원 대다수가 전통 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 공동체는 자살률이 낮았다. 반면 구성원의 절반 미만이 조상 언어로 소통하는 집단에서는 자살률이 6배 더 높았다.[19]

캐나다 앨버타의 원주민에 대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전통 언어 지식과 당뇨병 유병률 사이의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전통 언어에 대한 지식이 클수록, 공동체 내 당뇨병 유병률은 낮았다.[20]

6. 언어 부활

언어 부활은 언어 소멸을 늦추거나 되돌리려는 시도이다.[21] 부활 프로그램은 많은 언어에서 진행 중이며, 성공 정도는 다양하다.

히브리어 부활은 오랫동안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지 않고 종교 의례 언어로만 사용되다가 새로운 모국어 화자를 얻게 된 유일한 사례이다.[22] 히브리어의 경우에도 "순수한 히브리어를 말하려 했던 히브리어 부활 운동가들은 실패했다"는 이론이 있다. 그 결과는 다층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출처를 가진 흥미롭고 다면적인 이스라엘 언어가 되었다. 임상적으로 죽은 언어의 부활은 부활 운동가의 모국어에서 유입되는 교차 수정을 거치지 않고는 이루어질 가능성이 낮다.[23]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다른 언어 부활 사례로는 웨일스어, 바스크어, 하와이어, 나바호어가 있다.[24]

언어 부활의 이유는 다양하다. 언어가 소멸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위험, 천연 자원 착취와 같은 경제적 위험, 대량 학살과 같은 정치적 위험, 또는 문화 동화와 같은 문화적 위험 등이 있다.[25] 지난 세기 동안 2,000개 이상의 언어가 이미 소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 연합(UN)은 오늘날 사용되는 언어의 절반 이상이 10,000명 미만의 화자를 가지고 있으며, 4분의 1이 1,000명 미만의 화자를 가지고 있다고 추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언어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없다면, 향후 100년 동안 이들 대부분이 소멸될 것이다.[26] 이러한 수치는 언어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 언어 부활이 필요한 이유로 자주 인용된다. 언어가 고유한 "문화적 보물"로 인식될 때 문화와 정체성 또한 언어 부활의 이유로 자주 인용된다.[27] 공동체는 종종 언어를 조상 또는 땅과 연결하고, 역사와 자아상에 필수적인 부분을 구성하는 고유한 문화의 일부로 간주한다.[28]

길라드 주커만에 따르면, "언어 재건은 사람들이 문화적 자율성을 회복하고, 정신적, 지적 주권을 강화하며, 웰빙을 개선하려 함에 따라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다. 언어 부활에는 다양한 윤리적, 미학적, 실용적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역사적 정의, 다양성, 취업 가능성이 있다."[1]

7. 언어 사멸 방지 요인

구글(Google)은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를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멸종 위기 언어 프로젝트(Endangered Languages Project)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에 대한 최신 정보를 수집하고 그에 대한 최신 연구를 공유하는 것이다.

인류학자 야마모토 아키라(Akira Yamamoto)는 언어 소멸을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 9가지 요인을 다음과 같이 확인했다:[29]

번호요인
1언어적 다양성을 선호하는 지배적인 문화가 존재해야 한다.
2멸종 위기에 처한 공동체는 언어 보존을 장려할 만큼 강한 민족적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
3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와 문화를 학생들에게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장려해야 한다.
4이중 언어 및 이중 문화 학교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5모국어 화자를 위한 교사 연수를 제공해야 한다.
6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 공동체가 완전히 참여해야 한다.
7사용하기 쉬운 언어 자료를 만들어야 한다.
8언어에는 새롭고 전통적인 내용을 모두 포함하는 문어 자료가 있어야 한다.
9언어는 새로운 환경에서 사용되어야 하며, 언어가 사용되는 지역 (과거와 현재) 모두 강화되어야 한다.


8. 언어 활력 측정

언어는 절멸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갑자기 소멸되지 않으며, 언어 사용 공동체가 점차 다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언어 전환하면서 쇠퇴한다. 화자들이 언어를 전환함에 따라 언어 사용에 미묘하지만 감지할 수 있는 변화가 나타나며, 이는 공동체의 언어 활력 변화로 이어진다. 공동체의 언어 활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가장 초기의 시스템 중 하나는 1991년 조슈아 피시먼이 제안한 GIDS(세대간 파괴 등급 척도)이다.[33] 언어 활력 측정의 주목할 만한 출판 이정표는 민족언어학적 활력 연구에 헌정된 ''다국어 및 다문화 개발 저널''의 통권 32.2호(2011년)로, 여러 저자가 언어 활력 측정을 위한 자체 도구를 제시했다. Arienne Dwyer,[34] Martin Ehala,[35] M. Lynne Landwehr,[36] Mark Karan,[37] András Kornai,[38] 및 Paul Lewis와 Gary Simons[39]를 포함하여 언어 활력 측정에 관한 다른 여러 출판물이 다양한 상황과 적용을 염두에 두고 저술되었다.

8. 1. GIDS (세대간 파괴 등급 척도)

언어는 화자들이 점차 다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언어 전환하면서 쇠퇴하게 된다. 화자들이 언어를 전환함에 따라 언어 사용에 미묘하지만 감지할 수 있는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행동의 변화는 공동체의 언어 활력 변화로 이어진다. 공동체의 언어 활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시스템이 제안되었는데, 가장 초기의 시스템 중 하나는 1991년 조슈아 피시먼이 제안한 GIDS(세대간 파괴 등급 척도)이다.[33]

8. 2. 기타 측정 도구

언어는 갑자기 소멸되지 않고, 언어 사용 공동체가 점차 다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언어 전환하면서 쇠퇴한다. 화자들이 언어를 전환함에 따라 언어 사용에 미묘하지만 감지할 수 있는 변화가 나타나며, 이는 공동체의 언어 활력 변화로 이어진다. 공동체의 언어 활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시스템이 제안되었는데, 가장 초기의 시스템 중 하나는 1991년 조슈아 피시먼이 제안한 GIDS(세대간 파괴 등급 척도)이다.[33] 언어 활력 측정의 주목할 만한 출판 이정표는 민족언어학적 활력 연구에 헌정된 ''다국어 및 다문화 개발 저널''의 통권 32.2호(2011년)로, 여러 저자가 언어 활력 측정을 위한 자체 도구를 제시했다. Arienne Dwyer,[34] Martin Ehala,[35] M. Lynne Landwehr,[36] Mark Karan,[37] András Kornai,[38] 및 Paul Lewis와 Gary Simons[39]를 포함하여 언어 활력 측정에 관한 다른 여러 출판물이 다양한 상황과 적용을 염두에 두고 저술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top, revive and survive http://www.theaustra[...] 2024-11-13
[2] 서적 Linguistique et colonialisme: petit traité de glottophagie https://books.google[...] Payot
[3] 서적 Language Deat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1-06
[4]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6-26
[5] 서적 Living Through Languages: An African Tribute to René Dirven https://books.google[...] SUN PReSS 2007-05-01
[6] 서적 Mapping Applied Linguistics: A Guide for Students and Practition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5-11
[7] 웹사이트 English won't dominate as world language https://www.nbcnews.[...] 2024-11-13
[8] 웹사이트 90% Of World's Languages Extinct In 41 Years https://www.chinasma[...] 2023-05-29
[9] 웹사이트 Ethnologue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2-03-22
[10] 논문 The Future of Language http://dx.doi.org/10[...] 2004-02-27
[11] 간행물 Prefac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7-22
[12] 논문 Language Death in Africa http://journals.sage[...] 1991-03
[13] 논문 Linguistic genocide or linguicide? A discussion of terminology in forced language loss https://apples.journ[...] 2021-12-22
[14] 웹사이트 How the History of Linguicide Threatens Indigenous Peoples in Asia Today https://www.cultural[...] 2024-11-13
[15] 논문 Language Death and Disappearance: Causes and Circumstances http://journals.sage[...] 1991-03
[16] 논문 Linguistic decay in Chontal Mayan: the speech of semi-speakers 1987
[17] 논문 Fate of morphological complexity in language death: Evidence from East Sutherland Gaelic 1978-09
[18] 논문 "Language Breathes Life"-Barngarla Community Perspectives on the Wellbeing Impacts of Reclaiming a Dormant Australian Aboriginal Language 2019-10-15
[19] 논문 Aboriginal language knowledge and youth suicide https://www.scienced[...] 2007-07-01
[20] 논문 Cultural continuity, traditional Indigenous language, and diabetes in Alberta First Nations: a mixed methods study 2014-10-19
[21]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Linguistics http://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3-29
[22] 서적 The Green Book of Language Revitalization in Practice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13
[23] 웹사이트 Aboriginal languages deserve revival http://www.theaustra[...] 2009-08-26
[24] 뉴스 Welsh was saved from extinction. Cantonese might not be so lucky https://www.cnn.com/[...] 2024-06-18
[25] 문서 "Language Planning"
[26]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http://www.unesco.or[...] 2014-04-20
[27] 서적 Saving Languages: An Introduction to Language Revitaliz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Language Endangerment and Language Revitalization: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3-02-06
[29] 서적 Language Deat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1-06
[30] 논문 Northern Voices: Examining Language Attitudes in Recent Surveys on Ainu and Saami https://researchport[...] 2016-10
[31]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Japanese Sociolinguistics Routledge 2023-05-29
[32] 웹사이트 The saga of the Ainu language https://en.unesco.or[...] 2023-06-12
[33] 서적 Reversing Language Shift: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of Assistance to Threatened Languages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34] 논문 Tools and techniques for endangered-language assessment and revitalization http://kuscholarwork[...] 2015-04-22
[35] 서적 Rights, Promotion and Integration Issues for Minority Languages in Europ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9
[36] 논문 Methods of language endangerment research: a perspective from Melanesia https://www.degruyte[...] 2012-03-22
[37] 논문 Understanding and forecasting Ethnolinguistic Vitality http://www.tandfonli[...] 2011-03
[38] 논문 Digital Language Death 2013-10-22
[39] 논문 Assessing endangerment: Expanding Fishman's GIDS https://dspace.bcu-i[...] 2010-04
[40] 서적 Language Dea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1]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6-26
[42] 서적 Living Through Languages: An African Tribute to René Dirven https://books.google[...] AFRICAN SUN MeDIA 2007-05-01
[43] 서적 Mapping Applied Linguistics: A Guide for Students and Practition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5-11
[44] 웹사이트 Ethnologue Ethnologue 2012-03-22
[45] 논문 The Future of Language https://doi.org/10.1[...] 2004-02-27
[46] 문서 정치,경제,문화적으로 열위에 있는 집단이 사용하는 언어. 그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의 물리력을 포함한 정치적 영향력이 주요 척도이며, 언어자체의 우열을 가리는 개념은 아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