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성 국가 지도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성 국가 지도자 목록은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 역할을 수행한 여성들을 망라한다. 이 목록은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의 국가 지도자들을 포함하며, 임시직 총독과 총독 대리, 그리고 부통령과 같은 직책을 역임한 여성도 포함한다. 목록에는 세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인 아르헨티나의 이사벨 페론, 아프리카 최초의 민선 여성 대통령인 라이베리아의 엘렌 존슨설리프 등 주요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원수 목록 - 알바니아의 대통령
    알바니아의 대통령은 알바니아의 국가 원수이며, 다양한 정치 체제를 거쳐 현재 바이람 베가이가 대통령으로 재임하고 있다.
  • 여성 정치인 - 박금희
    박금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평양교원대학 학장을 거쳐 현재 총장직을 맡고 있으며 최고인민회의 부의원이다.
  • 여성 정치인 - 카야 칼라스
    카야 칼라스는 1977년 탈린 출생으로, 법학 및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에스토니아 개혁당 대표를 거쳐 유럽 의회 의원을 역임했으며, 2021년 에스토니아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가 2024년 유럽 연합 외교·안보 정책 고위 대표로 지명되었다.
여성 국가 지도자
개요
현재 여성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이 있는 국가 지도. 총독은 포함하되 군주는 제외.
현재 여성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이 있는 국가 지도. 총독은 포함하되 군주는 제외.
독립 이후 여성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을 배출한 국가 지도 (네덜란드의 구성국 포함).
독립 이후 여성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을 배출한 국가 지도 (네덜란드의 구성국 포함).
범례"#ffeda6": 여성 정부 수반
"#cae0ff": 여성 국가 원수
"#b7ebb7": 여성 국가 원수/정부 수반 (병합)
"#BB71BB": 여성 국가 원수 및 여성 정부 수반
"#d4bd5f": 여성 총리/국가 고문,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의 대리 (사실상의 지도자)
비고세 개의 과거 주권 국가는 20세기에 여성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을 가졌음: 동독, 탄누 투바, 유고슬라비아.
주요 정보
최초의 여성 국가 원수케르텍 안치마-토카 (투바 인민 공화국, 1940년)
최초의 여성 정부 수반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스리랑카, 1960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사벨 페론 (아르헨티나, 1974년)
최초의 민선 여성 대통령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 (아이슬란드, 1980년)
최장 기간 재임 여성 정부 수반셰이크 하시나 (방글라데시)
출산 중 재임한 여성 정부 수반베나지르 부토 (파키스탄)과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2. 아시아

케르테크 안치마아-토카는 투바 인민 공화국의 리틀 후랄 간부회의 의장을 1940년 4월 6일부터 1944년 10월 11일까지 역임했다. 탄누 투바는 1921년에서 1944년 사이에 존재했던 부분적으로 인정된 국가였으며, 소련과 몽골만이 독립을 인정했고, 이후 1944년 소련에 합병되었다.

2. 1. 대한민국

박근혜대한민국의 대통령(2013년 ~ 2017년)을 역임했으며, 한명숙대한민국의 국무총리(2006년 ~ 2007년)를 역임했다.

2. 2. 동아시아

쑹칭링은 중화인민공화국 명예주석 겸 부주석(1949년 ~ 1975년)을 역임하였으며, 국가주석 대행(1968년 ~ 1972년, 1976년 ~ 1978년)을 역임하였다. 차이잉원중화민국의 총통(2016년 ~ 2024년)을 역임하였다. 뤼슈롄중화민국의 부총통(2000년 ~ 2008년)을 역임하였고, 샤오메이친은 중화민국의 부총통(2024년 ~ )이다.

2. 3. 동남아시아

할리마 야콥은 2017년부터 싱가포르의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다. 완 아지자흐 완 이스마일은 2018년부터 말레이시아의 부총리를 역임하고 있다.

응우옌티조안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베트남의 국가부주석을 역임했다. 당티응옥틴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베트남의 국가부주석을 역임했으며, 2018년 9월 21일 쩐다이꽝 국가주석의 사망으로 국가주석 권한 대행을 맡았다. 보티안쑤언은 2021년부터 베트남의 국가부주석을 역임하고 있으며, 2023년 1월 18일부터 2023년 3월 2일, 2024년 3월 21일부터 2024년 5월 22일까지 응우옌쑤언푹보반트엉 국가주석의 사퇴로 국가주석 권한 대행을 맡았다.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인도네시아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코라손 아키노는 1986년부터 1992년까지 필리핀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글로리아 아로요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필리핀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잉락 친나왓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태국의 총리를 역임했다. 패통탄 친나왓은 2024년부터 태국의 총리로 재직중이다.

2. 4. 남아시아

인디라 간디인도의 총리를 1966년부터 1977년, 1980년부터 1984년까지 역임했다.[9] 프라티바 파틸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인도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드라우파디 무르무는 2022년부터 현재까지 인도의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베나지르 부토는 1988년부터 1990년, 1993년부터 1996년까지 파키스탄의 총리를 역임했다.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는 1960년부터 1965년, 1970년부터 1977년,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스리랑카의 총리를 역임했으며, 세계 최초의 여성 총리였다.[9] 찬드리카 쿠마라퉁가는 1994년에 스리랑카의 총리를, 1994년부터 2005년까지 스리랑카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칼레다 지아는 1991년부터 1996년까지 방글라데시의 총리를 역임했으며, 셰이크 하시나는 2009년부터 현재까지 방글라데시 총리로 재임 중이다.

인디라 간디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베나지르 부토


찬드리카 쿠마라퉁가


칼레다 지아


셰이크 하시나

2. 5. 중앙아시아

로자 오툰바예바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이 목록은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이 시민에 의해 직접 선출되지 않고, 통치 위원회 또는 의회에서 임명된 여성을 포함하며, 세습 군주가 선택한 여성은 포함하지 않는다.

이름초상화국가직위임기 시작임기 종료임기 기간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
행정부
또는 비행정부
케르테크 안치마아-토카리틀 후랄 간부회의 의장1940년 4월 6일1944년 10월 11일4년국가 원수
실리마보 반다라나이케/
총리1960년 7월 21일1965년 3월 27일4년정부 수반[9]행정부
1970년 5월 29일1977년 7월 23일7년
베나지르 부토총리1988년 12월 2일1990년 7월 6일1년정부 수반행정부
1993년 10월 19일1996년 11월 5일3년
찬드리카 쿠마라퉁가대통령1994년 11월 12일2005년 11월 19일11년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
행정부
로자 오툰바예바대통령국가 원수


3. 유럽

케르테크 안치마아-토카는 1940년 4월 6일부터 1944년 10월 11일까지 투바 인민 공화국의 리틀 후랄 간부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탄누 투바는 1921년부터 1944년까지 존재했던 부분적으로 인정된 국가였으며, 소련과 몽골만이 독립을 인정했고, 이후 1944년 소련에 합병되었다.[9]

실리마보 반다라나이케는 1960년 7월 21일부터 1965년 3월 27일까지, 그리고 1970년 5월 29일부터 1977년 7월 23일까지 두 차례 실론/스리랑카의 총리를 역임했다.

인디라 간디는 1966년 1월 24일부터 1977년 4월 24일까지, 그리고 1980년 1월 15일부터 1984년 10월 31일 (암살)까지 인도의 총리를 역임했다.

골다 메이어

1969년 3월 17일부터 1974년 6월 3일까지 이스라엘의 총리를 역임했다.

이사벨 페론
1974년 7월 1일부터 1976년 3월 24일까지 아르헨티나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엘리자베스 도미티엔은
1975년 1월 2일부터 1976년 4월 7일까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총리를 역임했다.

마거릿 대처
1979년 5월 4일부터 1990년 11월 28일까지 영국의 총리를 역임했다.

마리아 드 로르데스 핀타실고는
1979년 8월 1일부터 1980년 1월 3일까지 포르투갈의 총리를 역임했다.

''리디아 게일러 테하다''는
1979년 11월 16일부터 1980년 7월 17일까지 볼리비아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유제니아 찰스는
1980년 7월 21일부터 1995년 6월 14일까지 도미니카의 총리를 역임했다.

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
1980년 8월 1일부터 1996년 8월 1일까지 아이슬란드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로 할렘 브룬틀란
1981년 2월 4일부터 1981년 10월 14일까지, 1986년 5월 9일부터 1989년 10월 16일까지, 그리고 1990년 11월 3일부터 1996년 10월 25일까지 세 차례 노르웨이의 총리를 역임했다.

''쑹칭링''은
1981년 5월 16일부터 1981년 5월 28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의 ''명예 주석''을 역임했다.

아가사 바바라는
1982년 2월 15일부터 1987년 2월 15일까지 몰타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밀카 플라닌츠
1982년 5월 16일부터 1986년 5월 15일까지 유고슬라비아의 총리를 역임했다.

코라손 아키노
1986년 2월 25일부터 1992년 6월 30일까지 필리핀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스텔라 시그카우는
1987년 10월 5일부터 1987년 12월 30일까지 트란스케이의 총리를 역임했다. 트란스케이는 1976년에서 1994년 사이에 존재했던 부분적으로 인정된 국가였다. 독립을 인정한 유일한 유엔 회원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었으며,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재흡수되었다.

베나지르 부토는 1988년 12월 2일부터 1990년 7월 6일까지, 그리고 1993년 10월 19일부터 1996년 11월 5일까지 두 차례 파키스탄의 총리를 역임했다.

에르타 파스칼-트루일로는
1990년 3월 13일부터 1991년 2월 7일까지 아이티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카지미라 프룬스키에네
1990년 3월 11일부터 1991년 1월 10일까지 리투아니아의 총리를 역임했다.

''사비네 베르크만-포흘''은
1990년 4월 5일부터 1990년 10월 2일까지 동독의 ''인민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비올레타 차모로
1990년 4월 25일부터 1997년 1월 10일까지 니카라과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메리 로빈슨은
1990년 12월 3일부터 1997년 9월 12일까지 아일랜드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칼레다 지아는 1991년 3월 20일부터 1996년 3월 30일까지, 그리고 2001년 10월 10일부터 2006년 10월 29일까지 두 차례 방글라데시의 총리를 역임했다.

에디트 크레송
1991년 5월 15일부터 1992년 4월 2일까지 프랑스의 총리를 역임했다.

한나 수호츠카
1992년 7월 11일부터 1993년 10월 25일까지 폴란드의 총리를 역임했다.

탄수 칠러는
1993년 6월 13일부터 1996년 3월 6일까지 튀르키예의 총리를 역임했다.

킴 캠벨은
1993년 6월 25일부터 1993년 11월 4일까지 캐나다의 총리를 역임했다.

실비 키니기는
1993년 7월 10일부터 1994년 2월 7일까지 부룬디의 총리를 역임했다.

아가테 유윌링기이마나는 1993년 7월 18일부터 1994년 4월 7일(암살)까지 르완다의 총리를 역임했다.

찬드리카 쿠마라퉁가는 1994년 11월 12일부터 2005년 11월 19일까지 스리랑카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클로데트 베르레이는 1995년 11월 7일부터 1996년 2월 27일까지 아이티의 총리를 역임했다.

셰이크 하시나는 1996년 6월 23일부터 2001년 7월 15일까지, 그리고 2009년 1월 6일부터 현재까지 방글라데시의 총리를 역임하고 있다.

''루스 페리''는 1996년 9월 3일부터 1997년 8월 2일까지 라이베리아의 ''국가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로살리아 아르테아가
1997년 2월 9일부터 1997년 2월 11일까지 에콰도르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메리 맥알리스는
1997년 11월 11일부터 2011년 11월 10일까지 아일랜드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제니 시플리
1997년 12월 8일부터 1999년 12월 10일까지 뉴질랜드의 총리를 역임했다.

재닛 재건은
1997년 12월 19일부터 1999년 8월 11일까지 가이아나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바이라이 비케-프레이베르가는
1999년 7월 8일부터 2007년 7월 7일까지 라트비아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미레야 모스코소
1999년 9월 1일부터 2004년 9월 1일까지 파나마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헬렌 클라크
1999년 12월 10일부터 2008년 11월 19일까지 뉴질랜드의 총리를 역임했다.

타르야 할로넨
2000년 3월 1일부터 2012년 3월 1일까지 핀란드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는
2001년 1월 20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필리핀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마메 마디오르 보예는 세네갈의

3. 1. 서유럽

마거릿 대처는 1979년 5월 4일부터 1990년 11월 28일까지 영국의 총리를 역임했으며, 테리사 메이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리즈 트러스는 2022년에 총리직을 수행했다. 그로 할렘 브룬틀란은 1981년, 1986년부터 1989년,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노르웨이의 총리를 역임했고, 에르나 솔베르그는 2013년부터 노르웨이 총리로 재직 중이다. 메테 프레데릭센은 2019년부터 덴마크의 총리를 맡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은 2005년부터 2021년까지 독일의 총리로 재임했다. 프랑스에서는 에디트 크레송이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엘리자베트 보른이 2022년부터 2024년 1월까지 총리직을 수행했다.

3. 2. 남유럽

골다 메이어는 1969년부터 1974년까지 이스라엘의 총리를 역임했다. 마리아 다 루르데스 핀타실구는 1979년부터 1980년까지 포르투갈의 총리를 역임했다. 애거서 바버라는 1982년부터 1987년까지 몰타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탄수 칠레르는 1993년부터 1996년까지 터키의 총리를 역임했다. 조르자 멜로니는 2022년부터 이탈리아의 총리로 재임 중이다. 나타샤 피르크 무사르는 2022년부터 슬로베니아의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다.

3. 3. 북유럽

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는 1980년부터 1996년까지 아이슬란드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요한나 시귀르다르도티르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아이슬란드의 총리를 역임했다. 카트린 야콥스도티르는 2017년부터 2024년 4월까지 아이슬란드의 총리를 역임했고, 할라 토마스도티르는 2024년부터 아이슬란드의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크리스트륀 프로스타도티르는 2024년 부터 아이슬란드의 총리로 재직중이다.

핀란드에서는 타르야 할로넨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핀란드의 대통령을 역임했고, 안넬리 예텐메키는 2003년에, 마리 키비니에미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산나 마린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핀란드의 총리를 역임했다.

리투아니아에서는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리투아니아의 대통령으로 2009년부터 현재까지 재임 중이며, 카지미라 프룬스키에네는 1999년에, 잉그리다 시모니테는 2020년부터 리투아니아의 총리직을 수행하고 있다.

라트비아에서는 바이라 비케프레이베르가가 1999년부터 2007년까지 라트비아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에스토니아에서는 케르스티 칼률라이드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에스토니아의 대통령을 역임했고, 카야 칼라스는 2021년부터 에스토니아의 총리로 재직 중이다.

스웨덴에서는 마그달레나 안데르손이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스웨덴의 총리를 역임했다.

3. 4. 동유럽

마이아 산두는 2020년부터 몰도바의 대통령으로 재직 중이며, 그 이전에는 2019년에 몰도바의 총리를 역임했다. 지나이다 그레체아느이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몰도바의 총리를 역임했으며, 나탈리아 그헤르만은 2015년에 총리 대행을, 나탈리아 가브릴리차는 2021년부터 총리를 역임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율리야 티모셴코가 2005년과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총리를 역임했고, 율리아 스비리덴코는 2021년부터 우크라이나의 부총리를 맡고 있다.

폴란드에서는 한나 수호츠카가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총리로 재직했다.

크로아티아에서는 콜린다 그라바르키타로비치가 2015년부터 대통령으로, 야드란카 코소르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총리로 재직했다.

슬로바키아에서는 주자나 차푸토바가 2019년부터 대통령으로, 이베타 라디초바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총리로 재직했다.

헝가리에서는 노바크 커털린이 2022년부터 대통령으로 재직 중이다.

북마케도니아에서는 고르다나 실리아노프스카다프코바가 2024년부터 대통령으로 재직 중이다.

4. 아메리카

다음은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여성 국가 지도자' 위키 페이지의 '아메리카' 섹션 내용을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한 결과입니다.

```wikitext

북아메리카 지역의 여성 국가 지도자로는 다양한 직책을 역임한 인물들이 있다.

미국에서는 카멀라 해리스가 2021년부터 미국의 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캐나다에서는 킴 캠벨이 1993년에 캐나다의 총리직을 역임했으며, 잔 마틸드 소베(1984~1990), 에이드리엔 클라크슨(1999~2005), 미카엘 장(2005~2010), 쥘리 파예트(2017~2021), 메리 사이먼(2021~)이 캐나다의 총독직을 역임했다.

멕시코에서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이 2024년에 멕시코의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이 목록은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이 시민에 의해 직접 선출되지 않고 통치 위원회나 의회에서 임명된 여성도 포함하며, 세습 군주가 선택한 여성은 포함하지 않는다.

이사벨 페론세계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아르헨티나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2007년부터 2015년까지 아르헨티나의 대통령을, 2019년부터 아르헨티나의 부통령을 역임하고 있다. 로살리아 아르테아가1997년에 3일간 에콰도르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재닛 제이건은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가이아나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미레야 모스코소1999년부터 2004년까지 파나마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지우마 호세프2011년부터 2016년까지 브라질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라우라 친치야2010년부터 2014년까지 코스타리카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비올레타 차모로1990년부터 1997년까지 니카라과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Lidia Gueiler Tejada는 1977년부터 1978년까지 볼리비아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미첼 바첼레트2006년부터 2010년까지, 그리고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칠레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시오마라 카스트로2022년부터 온두라스의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다.

에르타 파스칼트루요는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아이티대통령을 지냈다. 미셸 피에르 루이는 2008년부터 총리를 역임했다. 유지니아 찰스는 1980년부터 1995년까지 도미니카의 총리를 지냈다. 포르티아 심슨-밀러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자메이카총리를 역임했다.

4. 1.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지역의 여성 국가 지도자로는 다양한 직책을 역임한 인물들이 있다.

미국에서는 카멀라 해리스가 2021년부터 미국의 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캐나다에서는 킴 캠벨이 1993년에 캐나다의 총리직을 역임했으며, 잔 마틸드 소베(1984~1990), 에이드리엔 클라크슨(1999~2005), 미카엘 장(2005~2010), 쥘리 파예트(2017~2021), 메리 사이먼(2021~)이 캐나다의 총독직을 역임했다.

멕시코에서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이 2024년에 멕시코의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이 목록은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이 시민에 의해 직접 선출되지 않고 통치 위원회나 의회에서 임명된 여성도 포함하며, 세습 군주가 선택한 여성은 포함하지 않는다.

4. 2. 남아메리카

이사벨 페론세계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아르헨티나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2007년부터 2015년까지 아르헨티나의 대통령을, 2019년부터 아르헨티나의 부통령을 역임하고 있다. 로살리아 아르테아가1997년에 3일간 에콰도르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재닛 제이건은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가이아나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미레야 모스코소1999년부터 2004년까지 파나마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지우마 호세프2011년부터 2016년까지 브라질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라우라 친치야2010년부터 2014년까지 코스타리카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비올레타 차모로1990년부터 1997년까지 니카라과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Lidia Gueiler Tejada는 1977년부터 1978년까지 볼리비아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미첼 바첼레트2006년부터 2010년까지, 그리고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칠레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시오마라 카스트로2022년부터 온두라스의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다.

4. 3. 카리브해

에르타 파스칼트루요는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아이티대통령을 지냈다. 미셸 피에르 루이는 2008년부터 총리를 역임했다. 유지니아 찰스는 1980년부터 1995년까지 도미니카의 총리를 지냈다. 포르티아 심슨-밀러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자메이카총리를 역임했다.

5. 오세아니아

캐서린 티저드는 뉴질랜드의 총독(1990 ~ 1996)을 역임하였다. 시안 엘리아스는 뉴질랜드의 총독 대리(2001, 2006, 2011, 2016)를 역임하였다. 실비아 카트라이트는 뉴질랜드의 총독(2001 ~ 2006)을 역임하였다. 팻시 레디는 뉴질랜드의 총독(2016 ~ 2021)을 역임하였다.

제니 시플리뉴질랜드의 총리(1997 ~ 1999)를 역임하였다. 헬렌 클라크는 뉴질랜드의 총리(1999 ~ 2008)를 역임하였다. 저신다 아던는 뉴질랜드의 총리(2017 ~ 2023)를 역임하였다.

퀜틴 브라이스오스트레일리아의 총독(2008 ~ 2014)을 역임하였다. 줄리아 길라드오스트레일리아의 총리(2010 ~ 2013)을 역임하였다. 피아메 나오미 마타파는 사모아의 총리(2021 ~ )를 역임하고 있다.[16]

6. 아프리카

엘렌 존슨설리프는 2006년부터 라이베리아의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며, 아프리카 최초의 민선 여성 대통령이다. 루이자 디오구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모잠비크의 총리를 역임했다. Maria do Carmo Silveira는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상투메 프린시페의 총리를 역임했다. 나즐라 부덴 롬단은 2021년부터 튀니지의 총리로 재임 중이다. 사미아 술루후 하산은 2021년부터 탄자니아의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다.

7. 기타 지역

아티페테 야햐가는 2011년부터 코소보의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다. 이 목록은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수반이 시민에 의해 직접 선출되지 않고, 통치 위원회 또는 의회에서 임명된 여성을 포함하며, 세습 군주가 선택한 여성은 포함하지 않는다.

8. 총독

엘미이라 미니타 고든은 벨리즈의 총독(1981년 ~ 1993년)으로, 세계 최초의 여성 총독이다. 이후, 여러 국가에서 여성 총독이 임명되었다. 칼리오파 펠레트 루이지는 세인트루시아의 총독(1997년 ~ ), 아이비 뒤몬트는 바하마의 총독(2001년 ~ 2005년), 마거리트 핀들링은 바하마의 총독(2014년 ~ )을 역임했다. 세실 라 그레나다그레나다의 총독(2013년 ~ ), 아그네사 레이크 택은 앤티가 바부다의 총독(2007년 ~ 2014년)을 역임했다.

안도라에서는 엠마뉴엘 미뇽이 총독(2007년 ~ 2008년), 실비 위박이 총독 대리(2012년 ~ 2015년)를 역임했다.

모니카 다콘은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총독 대리(2002년)를, 니타 배로는 바베이도스의 총독(1990년 ~ 1995년)을 역임했다. 산드라 마손은 바베이도스의 총독 대리(2012년) 및 총독(2018년 ~ 2021년)을 역임한 후, 바베이도스의 대통령(2021년 ~ )이 되었다.

이름초상화국가직책재임 시작재임 종료재임 기간
엘미라 미니타 고든총독1981년 9월 21일1993년 11월 17일12년
잔 소베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1984년 5월 14일1990년 1월 29일5년
니타 바로우총독1990년 6월 6일1995년 12월 19일5년
캐서린 티자드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1990년 12월 13일1996년 3월 21일5년
펄레트 루이지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1997년 9월 17일2017년 12월 31일20년
에이드리엔 클락슨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1999년 10월 7일2005년 9월 27일5년
실비아 카트라이트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01년 4월 4일2006년 8월 4일5년
아이비 듀몽총독2001년 11월 13일2005년 11월 30일4년
미셸 장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05년 9월 27일2010년 10월 1일5년
엠마뉴엘 미뇽프랑스 공동 대공 대표2007년 6월 6일2008년 9월 24일1년
루이즈 레이크-택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07년 7월 17일2014년 8월 13일7년
퀜틴 브라이스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08년 9월 5일[15]2014년 3월 28일5년
실비 위바크프랑스 공동 대공 대표2012년 5월 15일2015년 1월 5일2년
세실 라 그레나데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13년 5월 7일현직11년째
마거릿 핀들링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14년 7월 8일2019년 6월 28일5년
패치 레디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16년 9월 28일2021년 9월 28일5년
줄리 파예트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17년 10월 2일2021년 1월 21일3년
샌드라 메이슨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18년 1월 8일2021년 11월 30일
3년
수잔 두건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19년 8월 1일현직4년째
프로일라 치알람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21년 5월 27일현직3년째
메리 사이먼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21년 7월 26일현직2년째
신디 키로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21년 10월 21일현직2년째
마르셀라 리버드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23년 2월 1일현직1년째
신시아 A. 프랫총독2023년 9월 1일현직0년째
샘 모스틴
|frameless|center|upright=0.3]]
총독2024년 7월 1일현직0년째



이 목록은 임시직 자격으로 임명된 여성 부왕 대표를 포함하며, 이들은 일시적으로 공석이 된 직책을 맡았다.

이름초상화국가직책재임 시작재임 종료재임 기간
시안 엘리아스
|frameless|center|upright=0.3]]
정부 관리자
(임시 총독)
2001년 3월 22일2001년 4월 4일13일
2006년 8월 4일2006년 8월 23일19일
2011년 8월 23일2011년 8월 31일8일
2016년 8월 31일2016년 9월 28일28일
모니카 데이컨
|frameless|center|upright=0.3]]
임시 총독2002년 6월 3일2002년 9월 2일91일
샌드라 메이슨임시 총독2012년 5월 30일2012년 6월 1일2일
테니쿠 탈레시 호놀룰루
|frameless|center|upright=0.3]]
임시 총독2019년 8월 22일2021년 1월 15일1년
헬렌 윙클만
|frameless|center|upright=0.3]]
정부 관리자
(임시 총독)
2021년 9월 28일2021년 10월 21일23일


9.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Khertek Anchimaa Toka: the world's first female head of state https://www.thetimes[...] The Times 2008-12-03
[2] 뉴스 6 of the First Women Heads of State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019-05-09
[3] 뉴스 From the archive, 22 July 1960: Sri Lanka elects world's first woman prime minister https://www.theguard[...] 2013-07-22
[4] 뉴스 Isabel Peron turns 90 https://www.dw.com/e[...] 2021-02-05
[5] 간행물 Vigdís Finnbogadóttir's 90th Birthday https://www.icelandr[...] 2020-04-16
[6] 뉴스 Benazir Bhutto, 54, Who Weathered Pakistan's Political Storm for 3 Decades, Dies https://www.nytimes.[...] 2007-12-29
[7] 뉴스 Ardern and Bhutto: Two different pregnancies in power http://news.bbc.co.u[...] 2018-06-22
[8] 뉴스 Survey: Sheikh Hasina tops as longest serving female leader in world https://archive.dhak[...] 2019-09-12
[9] 문서 Since 1978, Prime Ministers of Sri Lanka are no longer heads of government.
[10] 뉴스 No wars, no drama for Matsepe-Casaburri http://www.iol.co.za[...] IOL News 2005-09-26
[11] 웹사이트 Emotional farewell as Mbeki holds last cabinet meeting https://www.nation.c[...] 2019-11-12
[12] 웹사이트 Institucije BiH u periodu 1992-1996: Ko su bili članovi Predsjedništva, premijeri i ministri RBiH https://faktor.ba/vi[...] 2017-05-22
[13] 웹사이트 Woman on Sudan's ruling council quits, saying civilians are being ignored https://www.reuters.[...] 2021-05-22
[14] 뉴스 Sudan coup leader restores restructured Sovereignty Council https://www.dabangas[...] 2021-11-11
[15] 웹사이트 外務省: オーストラリア連邦 https://www.mofa.go.[...] 外務省 2011-10-10
[16] 뉴스 사모아 첫 女총리 탄생..22년 집권 총리 대신 전 女부총리 당선 https://news.v.daum.[...]
[17] 뉴스 '아랍의 봄' 튀니지, 독재 체제 회귀 우려 속 첫 여성 총리 임명 배경은? https://news.v.da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