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의 종교적 관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수의 종교적 관점은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바하이 신앙, 드루즈교 등 다양한 종교와 신앙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기독교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자 메시아로 믿으며, 그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구원을 얻는다고 본다. 이슬람교는 예수를 신의 메신저이자 메시아로 존경하지만, 그의 신성, 십자가형, 부활, 속죄에 대한 기독교의 관점은 거부한다. 유대교는 예수를 메시아로 인정하지 않으며, 그의 신성이나 삼위일체 교리를 거부한다. 바하이 신앙은 예수를 신의 현현 중 하나로, 드루즈교는 중요한 예언자이자 메시아로 간주한다. 불교, 까오다이교, 아흐마디야 이슬람교, 라엘리안 무브먼트, 종교 과학, 힌두교 등 다른 종교와 신앙에서도 예수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교종교학 - 종교에 관한 이론들
종교에 관한 이론들은 종교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포괄하며, 실질적, 기능적, 사회 관계적 이론으로 분류되고 연구 방법론 또한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 예수의 관점 - 역사적 예수 탐구
역사적 예수 탐구는 18세기 이후 역사적 방법론을 통해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을 연구하는 학문적 시도로, 초기에는 예수의 생애 재구성에 집중했으나 방법론적 비판과 자료의 한계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발전해왔다. - 예수의 관점 - 기독교에서의 예수
기독교에서 예수는 신약성경에 근거하여 동정녀 탄생, 신성과 인성의 결합, 무죄한 삶, 십자가 죽음과 부활, 승천, 재림 등의 주요 사건을 통해 이해되는 믿음의 대상이며,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말씀으로 여겨지지만, 모든 기독교인이 삼위일체 교리를 따르는 것은 아니다. - 신앙과 교리 - 믿음
믿음은 정신적 표상에 대한 태도, 기능적 역할, 해석에 따라 다양한 개념으로 이해되며, 표상주의, 기능주의, 성향주의, 해석주의 관점에서 연구되고, 완전/부분적 신념, 신뢰, 'de dicto'/'de re' 구분, 집단 신념, 현재적/소질적 믿음, 내재주의/외재주의, 원자론/분자론/전체론 등 다양한 측면과 종교, 인식론, 심리학과 연관된다. - 신앙과 교리 - 회개
회개는 여러 종교에서 죄를 뉘우치고 잘못된 길에서 돌아서는 중요한 개념으로, 윤리적 자기 변화, 죄의 속죄, 신과의 관계 회복 등 다양한 목적을 강조한다.
예수의 종교적 관점 | |
---|---|
종교적 관점 | |
주제 | 예수 |
관련 |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바하이 신앙, 불교, 힌두교, 신도, 정신과학, 통일교, 드루즈교, 만다야교, 래스터패리어니즘, 에칸카르, 과학기술 철학 |
2. 기독교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메시아(그리스도)로 여기며, 그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인간이 하나님과 화해하고 구원과 영생의 약속을 받는다고 믿는다.
2. 1. 기독교의 예수에 대한 관점
기독교에서 예수에 대한 관점은 정경 복음서, 신약 서신, 기독교 신조 등 특정 교파의 가르침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이 문서들은 예수의 신성, 인성, 지상에서의 삶, 그리고 그가 그리스도이자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점 등 예수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핵심적인 믿음을 설명한다.[10]기독교의 예수에 대한 관점은 다양하지만, 주요 교파들이 교리서 또는 신조적 텍스트에 명시된 주요 믿음을 요약할 수 있다.[11] 일반적으로 기독교 신앙을 따르는 것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며 "메시아" 또는 "그리스도"라는 믿음을 필요로 한다. 예수는 신약성경에서 스스로를 하나님의 아들로 지칭한다.[12]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메시아(그리스도)로 여기며, 그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인간이 하나님과 화해하고, 구원과 영생의 약속을 받는다고 믿는다.[5] 이러한 가르침은 예수가 하나님의 어린 양으로서, 아버지의 뜻에 대한 완전한 순종의 표시로 갈보리에서 고난을 '선택'했으며, "하나님의 대리인과 종"으로서의 역할을 했다는 것을 강조한다.[6][7] 따라서 예수의 선택은 아담의 불순종과 대조적으로 그를 도덕과 순종의 새로운 인간으로 제시한다.[13]
예수 생애에 대한 복음서적 서술의 다섯 가지 주요 이정표는 세례, 변모, 십자가형, 부활, 승천이다.[14][15][16] 이들은 일반적으로 시작 부분의 탄생과 마지막 부분의 보혜사 파견이라는 두 개의 다른 에피소드로 묶인다.[14][16] 예수의 가르침은 종종 "행적과 말씀"을 포함하는 특정 범주, 예를 들어 사역, 비유, 기적의 관점에서 제시된다.[17][18] 예수의 말씀에는 공관 복음서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비유 외에도 여러 설교가 포함되어 있다(요한복음에는 비유가 없다).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행적뿐만 아니라 이름에도 신학적 의미를 부여한다. 예수 성명 축일 신앙은 초기 기독교로 거슬러 올라간다.[19][20] 이러한 신앙과 축일은 동방 기독교와 서방 교회 모두에 존재한다.[20]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예수가 인간이면서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믿는다. 예수 본성에 대한 신학적 논쟁이 있었지만, 삼위일체론 기독교인들은 일반적으로 예수가 성육신한 하나님의 아들이며, "참 하나님이자 참 인간"(또는 완전한 신성과 완전한 인성을 모두 지닌 존재)이라고 믿는다. 예수는 모든 면에서 완전한 인간이 되었고, 필멸의 인간이 겪는 고통과 유혹을 겪었지만 죄를 짓지 않았다. 완전한 하나님으로서 그는 죽음을 이기고 다시 살아났다. 성경에 따르면, 하나님은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셨다.[21] 그는 "하나님의 오른편"으로 승천했으며,[22] 재림하여 최후의 심판과 하나님의 나라를 세울 것이다.[23]
2. 2. 성육신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예수가 인간이면서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믿는다. 예수의 본성에 대한 신학적 논쟁이 있어 왔지만, 삼위일체론 기독교인들은 일반적으로 예수가 성육신한 하나님의 아들이며, "참 하나님이자 참 인간"(또는 완전한 신성과 완전한 인성을 모두 지닌 존재)이라고 믿는다. 예수는 모든 면에서 완전한 인간이 되었고, 필멸의 인간이 겪는 고통과 유혹을 겪었지만 죄를 짓지 않았다. 완전한 하나님으로서 그는 죽음을 이기고 다시 살아났다. 성경에 따르면, 하나님은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셨다.[21] 그는 "하나님의 오른편"으로 승천했으며,[22] 재림하여 최후의 심판과 하나님의 나라를 세울 것이다.[23]3. 이슬람교
이슬람교는 예수를 신의 중요한 선지자 중 한 명으로 존경한다. 이슬람의 경전인 코란에는 예수가 무함마드보다 더 많이 언급될 정도로, 이슬람 신앙에서 예수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26] 무슬림들은 예수가 신의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선택된 인간이라고 믿는다.[27]
이슬람에서 예수는 이사라고 부르며, 알라의 메신저이자 메시아(알마시흐)로 여겨진다. 그는 이스라엘 자손을 인도하기 위해 복음서를 받았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이슬람은 예수를 신의 아들로 보지 않으며, 삼위일체 기독교의 관점, 즉 예수가 성육신한 신이라거나 인류의 죄를 위해 속죄했다는 것을 부정한다.
3. 1. 이슬람의 예수
이슬람에서 예수('이사')는 신('알라')의 메신저이자 메시아(알마시흐)로 여겨지며, 이스라엘의 후손을 인도하기 위해 새로운 성서인 복음서를 받았다.[24][25] 코란은 예수의 이름을 무함마드보다 더 많이 언급하며(25번),[26] 예수는 신의 메시지를 전파하기 위해 신성하게 선택된 필멸의 인간이라고 강조한다.[27]코란은 예수를 신의 아들로 묘사하지 않고, 인류를 인도하기 위해 신이 보낸 주요 인간 메신저 중 한 명으로 묘사한다.[28] 예수는 경건하고 관대한 삶을 살았으며, 돼지고기를 먹는 것을 삼갔다. 무슬림들은 예수가 신으로부터 복음서를 받았다고 믿지만, 그 원본은 손실되거나 변경되었으며, 기독교 신약 성서가 신의 원래 메시지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29]
코란과 신약 성서는 예수의 삶에 대해 일부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 무슬림과 기독교인 모두 예수가 생물학적 아버지 없이 기적적으로 태어났고, 그의 어머니 마리아(마리암)가 가장 성스럽고 경건하며 정숙한 여성 중 하나라고 믿는다.[30] 코란은 또한 예수가 죽은 자를 일으키고, 맹인의 시력을 회복시키며, 나병 환자를 치료하는 등 신의 뜻에 따라 기적을 행할 수 있었다고 명시한다.[31] 코란에만 나오는 예수의 기적은, 그가 갓난아기 때 말을 하여 어머니를 간통 혐의로부터 변호했다는 것이다.[32]
대부분의 무슬림들은 예수가 살해되거나 십자가에 못 박히지 않았고, 신이 그의 적들에게 그렇게 보이도록 했다고 믿는다. 아흐마디 무슬림들은 예수가 십자가 처형에서 살아남았고, 육신으로 하늘로 올라가지 않았다고 믿는다는 점이 다르지만, 대다수는 예수가 육신으로 승천하여 살아 있다고 믿는다. 일부 학자들은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혔지만 죽지 않고 소생하여 승천했다고 주장하고, 다른 학자들은 유다 이스카리옷이 실수로 십자가에 못 박혔다고 말한다. 무슬림들은 예수가 천국에 살아 있으며, 적그리스도를 물리치기 위해 육신으로 세상에 돌아와 남은 삶을 살 것이라고 믿는다.[24]
이슬람은 삼위일체 기독교의 관점, 즉 예수가 성육신한 신이거나 신의 아들이라는 것, 십자가에 못 박히거나 부활했다는 것, 인류의 죄를 위해 속죄했다는 것을 거부한다. 코란은 예수 자신이 신이 그와 마리아를 신으로 여기도록 말했는지 질문했을 때, 이것을 부인할 것이라고 말한다.
3. 2. 코란과 신약성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코란과 신약성서는 예수의 삶에 대해 여러 부분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무슬림과 기독교인 모두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기적적으로 태어났으며, 그의 어머니 마리암(마리아)이 매우 성스럽고 경건한 여성이었다고 믿는다.[30] 또한, 코란은 예수가 죽은 자를 일으키고, 맹인의 시력을 회복시키며, 나병 환자를 치료하는 등 신의 뜻에 따라 여러 기적을 행했다고 기록한다.[31]그러나 코란과 신약성서는 예수에 대한 묘사에서 중요한 차이점도 보인다. 코란은 예수를 신의 아들이 아닌, 신이 보낸 주요 인간 메신저 중 한 명으로 묘사한다.[28] 무슬림들은 예수가 신으로부터 ''Injil''(복음서)을 받았지만, 이 메시지가 시간이 지나면서 손실되거나 변경되었다고 믿는다. 따라서 현재의 기독교 신약성서는 신의 원래 메시지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29]
코란에만 나오는 예수의 기적 중 하나는, 그가 태어난 지 며칠 만에 말을 하여 어머니를 간통 혐의로부터 변호했다는 것이다.[32]
대부분의 무슬림들은 예수가 살해되거나 십자가에 못 박히지 않았고, 신이 그의 적들에게 그렇게 보이도록 했다고 믿는다. 아흐마디 무슬림들을 제외한 대다수는 예수가 육신으로 하늘에 올라갔으며, 천국에 살아있다고 믿는다. 이들은 예수가 세상에 다시 돌아와 적그리스도를 물리치고 남은 생을 살 것이라고 믿는다.[24]
4. 유대교
유대교는 예수가 신이거나 삼위일체의 일부라는 것을 부정한다. 또한 예수가 메시아라는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는데, 그 이유는 예수가 타나크에 나오는 메시아 예언을 성취하지 못했고 메시아의 자격을 갖추지 못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말라키 이후에는 예언자가 없었다.[33]
보수 유대교에서는 예수를 메시아로 믿는 유대인은 유대 공동체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한다.[34] 개혁 유대교는 예수를 구원자로 믿는 사람은 유대인이 아니며 배교자라고 주장한다.[35]
바빌론 탈무드에는 ''예슈''(히브리어: יֵשׁוּ|예슈he)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를 역사적 예수에 대한 자료로 보지 않고, 유대교와 기독교 간의 관계에 대한 논평으로 해석한다.[37][38]
미쉬네 토라는 유대교 율법서로, 예수를 "걸림돌"이자 "세계 대다수가 하느님 외의 신을 섬기도록 잘못 인도"하는 자로 묘사한다.
4. 1. 유대교의 예수에 대한 관점
유대교는 예수가 신이거나 삼위일체의 인물, 또는 신에게 이르는 중재자라는 생각을 거부한다. 유대교는 또한 예수가 메시아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그가 타나크에 나오는 메시아 예언을 성취하지 못했고 메시아의 개인적인 자격을 갖추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예수가 살았던 시기보다 수세기 전에 살면서 기원전 420년경에 자신의 예언을 전한 말라키 이후에는 더 이상 예언자가 없었다.[33]보수 유대교에 따르면, 예수가 메시아라고 믿는 유대인은 "유대 공동체 밖으로 선을 넘은 것"이다.[34] 현대의 진보적인 운동인 개혁 유대교는 "우리 유대 공동체에서 예수가 자신들의 구원자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더 이상 유대인이 아니며 배교자이다."라고 밝힌다.[35]
4. 2. 유대교 문헌 속의 예수
탈무드에 나타난 예수도 참조.바빌론 탈무드에는 ''예슈''(히브리어: יֵשׁוּ|예슈he)에 관한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오늘날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이를 역사적 예수에 대한 자료로 여기지 않는다.[36] 현대 탈무드 학자들은 이를 역사적 예수에 대한 논평이 아닌, 유대교와 기독교 또는 다른 분파 간의 관계에 대한 논평으로 본다.[37][38]
미쉬네 토라는 권위 있는 유대교 율법서로서, 11:10–12절의 ''힐코트 멜라킴''에서 예수를 "걸림돌"로, "세계 대다수가 하느님 외의 신을 섬기도록 잘못 인도"하는 자로 묘사한다.
나자렛 사람 예수도 스스로 메시아가 되리라 생각했으나, 법정에 의해 죽임을 당했으니, 이미 다니엘에 의해 예언된 바이다. "그리고 네 백성의 불법자들이 (환상을) 세우기 위해 끌려가 걸려 넘어지리라"고 말했기 때문이다.[39] 이보다 더 큰 걸림돌이 어디 있겠는가? 모든 예언자들이 메시아가 이스라엘을 구원하고, 그들을 구하며, 추방된 자들을 모으고, 그들의 계명을 강화한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민족들)로 하여금 칼로 이스라엘을 멸망시키고, 그 남은 자들을 흩뜨리며, 그들을 굴욕에 빠뜨리고, 토라를 변경하며, 세계 대다수가 하느님 외의 신을 섬기도록 잘못 인도했다. 그러나 세상 창조주의 생각은 인간의 힘으로는 도달할 수 없으니, 우리의 길은 하느님의 길이 아니며, 우리의 생각은 하느님의 생각이 아니다. 나자렛 사람 예수와 그 뒤를 이은 (무함마드) 이쉬마엘 사람의 모든 일은 왕 메시아를 위한 길을 바로잡고, 온 세상을 하느님을 함께 섬기도록 회복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때 나는 민족들을 향해 (그들에게) 분명한 입술을 돌려 그들 모두가 하느님의 이름으로 부르고 하느님을 (어깨를 나란히 하여) 한 어깨로 섬기게 하리라"고 말했기 때문이다.[40] 보라, 온 세상이 이미 메시아의 일과 토라의 일, 계명의 일로 가득하게 되었으니! 이 일들이 멀리 떨어진 섬과 마음이 할례받지 않은 많은 민족들 사이로 퍼져나가고 있다.[41]
5. 바하이 신앙
바하이 신앙은 예수를 신의 현현으로 간주한다.[42]
5. 1. 바하이 신앙의 예수관
바하이 신앙은 예수를 신의 현현으로 간주한다. 신의 현현은 인류의 도덕과 문명의 진보 및 발전을 위해 신의 속성을 인간 세상에 반영하는 일련의 인물들이다.[42] 바하이 신앙에서 현현들은 인류의 진보를 돕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가르침을 가져오는, 신으로부터의 단일한 점진적 종교의 일부로서 항상 신에 의해 파견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파견될 존재이다.[43] 신의 현현들은 "하나"이며, 서로의 관계에서 통일성의 지위와 구별의 지위를 모두 가지고 있다고 가르쳐진다.[42] 이러한 방식으로 각 신의 현현은 하나님의 말씀을 드러내고 특정 청중의 필요와 문화에 맞게 수정된 동일한 종교를 가르쳤다. 바하올라는 각 신의 현현이 동일한 신성한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은 이전 모든 신의 현현의 영적 "귀환"으로 볼 수 있다고 썼다.[42] 이러한 방식으로 바하이교인들은 바하올라가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예수의 귀환이라고 믿는다.6. 드루즈교
드루즈교에서 예수는 하나님의 중요한 예언자이자 메시아로 여겨진다.[44][45]
6. 1. 드루즈교의 예수관

드루즈교에서 예수는 하나님의 중요한 예언자이자 메시아로 여겨지며,[44][45] 서로 다른 시대에 나타난 일곱 예언자 중 한 명이다.[46][47] 드루즈교는 "요셉과 마리아의 아들"인 예수와 복음을 쓴 그의 네 제자를 숭배한다.[48] 드루즈 전통에서 예수는 진정한 메시아(al-Masih al-Haq), 모든 민족의 메시아(Masih al-Umam), 죄인의 메시아라는 세 가지 칭호로 알려져 있다. 이는 각각 예수가 진정한 복음의 메시지를 전파했다는 믿음, 그가 모든 민족의 구원자였다는 믿음, 그리고 그가 용서를 베푼다는 믿음에 기인한다.[49]
드루즈 문헌에 따르면 예수는 지상에서 궁극적인 이성 (Akl)의 가장 위대한 이맘이자 화신이며, 첫 번째 우주적 원리(Hadd)이다.[48] 예수는 함자 이븐 알리와 함께 그들의 체계를 구성하는 다섯 개의 위대한 천상의 힘 중 하나를 구현한 존재로 여겨진다.[50] 드루즈교는 함자 이븐 알리가 예수의 환생이라고 믿으며,[51] 함자 이븐 알리가 "요셉과 마리아의 아들" 메시아 예수의 행위를 지시한 진정한 메시아라고 믿는다. 그러나 "요셉과 마리아의 아들" 예수가 진정한 메시아의 길에서 벗어났을 때, 함자는 유대인들의 마음에 그에 대한 증오를 채웠고, 그 때문에 유대인들은 드루즈 문헌에 따라 그를 십자가에 못 박았다.[48][52]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자 이븐 알리는 그를 십자가에서 내려 그의 종교를 전파할 사람들을 준비시키기 위해 그의 가족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했다.[48]
드루즈교 창시자 중 한 명인 바하 알딘 알무크타나가 쓴 서한[53] (아마도 서기 1027년에서 서기 1042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에서 유대인들이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았다고 비난했다.[54]
7. 기타 종교 및 신앙
예수는 다른 종교 및 신앙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된다.
- 불교는 전통적으로 예수에 대해 특별한 견해를 가지지 않지만, 일부 학자들은 고타마 붓다와 예수의 가르침 사이에 유사점이 있다고 본다. 이러한 유사점은 기원전 250년경 아소카 황제 시기에 파견된 불교 선교사들이 셀레우코스 왕국 등지에 파견되면서 기인했을 수 있다.[55]
- 베트남의 혼합 종교 까오다이교는 예수를 우주를 다스리는 위대한 영들의 천상 회의에 위치시킨다.[56]
- 아흐마디야 이슬람교에서는 예수를 십자가형에서 살아남아 인도로 가서 유즈 아사프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예언자로 보며,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고 믿는다.
- 라엘리안에서는 예수와 다른 여러 종교적 인물들이 엘로힘이라 불리는 외계 종족에 의해 보내진 예언자로 간주된다.[58]
- 종교 과학 운동은 예수를 "마음의 과학" 교사로 여긴다.[58][59]
7. 1. 불교
전통적으로, 불교는 예수에 대해 특별한 견해를 가지지 않으며, 불교와 기독교는 작은 부분에서만 접점을 갖는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고타마 붓다와 예수의 삶과 가르침 사이에 유사점이 있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유사점은 기원전 250년경 아소카 황제 시기에 파견된 불교 선교사들이 당시 존재했던 여러 그리스 셀레우코스 왕국과 그 후 기독교가 시작된 지역으로 파견되면서 기인했을 수 있다.[55]7. 2. 까오다이교
베트남의 혼합 종교 까오다이교는 예수를 우주를 다스리는 위대한 영들의 천상 회의에 위치시킨다.[56]7. 3. 아흐마디야 이슬람교
아흐마디야 이슬람교에서는 예수를 십자가형에서 살아남아 이후 인도로 가서 유즈 아사프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예언자로 보며,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고 믿는다.7. 4. 라엘리안 무브먼트
라엘리안에서는 예수와 다른 여러 종교적 인물들이 엘로힘이라 불리는 외계 종족에 의해 보내진 예언자로 간주된다.[58]7. 5. 종교 과학
종교 과학 운동은 예수를 "마음의 과학" 교사로 여긴다.[58][59]참조
[1]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Jesus
https://books.google[...]
2010
[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esus
2001
[3]
서적
The historical Christ and the Jesus of faith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4]
서적
Jesu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5]
서적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6]
서적
The Christology of Anselm of Canterbury
2004
[7]
서적
The Christology of the New Testament
1959
[8]
서적
The Origins of the Druze People and Religion: With Extracts from Their Sacred Writings
Library of Alexandria
[9]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Michigan University press
[10]
서적
New Testament Theology: Magnifying God in Christ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11]
서적
Catholic, Lutheran, Protestant: a doctrinal comparison
Christian News
[12]
서적
One teacher: Jesus' teaching role in Matthew's gospel
2004
[13]
서적
Systematic Theology, Volume 2
2004
[14]
서적
Essays in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1982
[15]
서적
The Melody of Faith: Theology in an Orthodox Key
2010
[16]
서적
Scripture in tradition
2001
[17]
서적
The Bible Knowledge Commentary
1983
[18]
서적
The words and works of Jesus Christ
2000
[19]
서적
Outlines of dogmatic theology, Volume 2
2010
[20]
서적
Jesus: the complete guide
2006
[21]
성경
Acts 2:24, Romans 10:9, 1Cor 15:15, Acts 2:31-32, Acts 3:15, Acts 3:26, Acts 4:10, Acts 5:30, Acts 10:40-41, Acts 13:30, Acts 13:34, Acts 13:37, Acts 17:30-31, 1Cor 6:14, 2Cor 4:14, Gal 1:1, Eph 1:20, Col 2:12, 1Thess 1:10, Heb 13:20, 1Pet 1:3, 1Pet 1:21
[22]
성경
Mark 16:19, Luke 22:69, Acts 2:33, Acts 5:31, Acts 7:55-56, Romans 8:34, Eph 1:20, Col 3:1, Hebrews 1:3, Hebrews 1:13, Hebrews 10:12, Hebrews 12:2, 1Peter 3:22
[23]
성경
John 14:1-3, Acts 1:10-11, Luke 21:27, Revelation 1:7
[24]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Militant Islamist Ideology: Understanding the Global Threat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7]
서적
Comparative Religious Ethics: A Narrative Approach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8]
서적
Mystical Dimensions of Islam
https://archive.org/[...]
Chapel Hill: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75
[29]
간행물
Quests for the historical Jes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What Everyone Needs to Know About Islam
University Press
2002
[31]
서적
Essential Islam: A Comprehensive Guide to Belief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ABC-CLIO
[32]
문서
qref 19 27-33 b=y
[33]
웹사이트
Why Jews Do not Believe in Jesus
http://www.aish.com/[...]
[34]
웹사이트
Messianic Jews Are Not Jews
http://www.uscj.org/[...]
United Synagogue of Conservative Judaism
2008-01-15
[35]
웹사이트
Question 18.3.4: Reform's Position On...What is unacceptable practice?
http://www.faqs.org/[...]
[36]
서적
The historical Jesus: a comprehensive guide
Fortress Press
[37]
서적
Dying for God: Martyrdom and the Making of Christianity and Juda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Rabbinic Stories
The Paulist Press
[39]
bibleverse
[40]
bibleverse
[41]
웹사이트
Hilchot Malachim (laws concerning kings) (Hebrew)
http://www.mechon-ma[...]
2007-04-15
[42]
간행물
The Concept of Manifestation in the Baháʼí Writings
http://bahai-library[...]
[43]
encyclopedia
Progressive revelation
https://archive.org/[...]
Oneworld Publications
[44]
서적
The Origins of the Druze People and Religion: With Extracts from Their Sacred Writings
Library of Alexandria
[45]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Michigan University press
[46]
서적
The Origins of the Druze People and Religion: With Extracts from Their Sacred Writings
Library of Alexandria
[47]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Michigan University press
[48]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Michigan University press
[49]
서적
The A to Z of the Druzes
Rowman & Littlefield
[50]
서적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서적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Routledge
[52]
서적
The Passion of Al-Hallaj, Mystic and Martyr of Islam, Volume 1: The Life of Al-Halla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3]
서적
Muslim-Jewish Encounters
Routledge
[54]
서적
The War for Palestine: Rewriting the History of 1948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Caodaism: Vietnamese Traditionalism and Its Leap Into Modernity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2021-03-03
[57]
서적
Charts of Cults, Sects and Religious Movements
https://books.google[...]
Zondervan
[58]
서적
What They Never Taught You in Sunday School: A Fresh Look at Following Jesus
https://books.google[...]
City Boy Enterprises
[59]
웹사이트
What Does Religious Science Teach About Jesus?
http://www.jashow.or[...]
Ankerberg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2013-06-13
[60]
문서
Watching Lacandon Maya Lives
Allyn and Bacon
[61]
웹사이트
A Hindu's Jesus | Reform Magazine
https://www.reform-m[...]
[62]
웹사이트
Who Is Jesus, According to Other Religions? {{!}} Cold Case Christianity
https://coldcasechri[...]
2023-12-03
[63]
웹사이트
Was Jesus a Hindu avatar?
https://catholicismc[...]
2023-12-03
[64]
웹사이트
What do the Hare Krishnas think about Jesus Christ?
https://www.expandth[...]
2023-12-03
[65]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Jesus
http://books.google.[...]
[66]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esus
[67]
서적
The historical Christ and the Jesus of faith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