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K 월드 재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HK 월드 재팬은 일본방송협회(NHK)가 운영하는 국제 방송 서비스로, 텔레비전 채널인 NHK 월드 TV와 NHK 월드 프리미엄, 라디오 채널인 NHK 월드 라디오 일본을 제공한다. NHK 월드 TV는 24시간 영어 방송 채널로, 전 세계에 무료로 제공되며, NHK 월드 프리미엄은 일본어 방송으로 유료 서비스이다. NHK 월드 라디오 일본은 일본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로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단파 및 인터넷을 통해 청취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케이블 TV, IPTV, 스마트 기기 등을 통해 NHK 월드 TV와 NHK 월드 프리미엄을 시청할 수 있다. 2024년 5월, 상업 광고 도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애니맥스
애니맥스는 소니가 1998년에 설립한 일본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로, 2024년 노지마 그룹 산하로 운영이 이관되었으며, 24시간 방송,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제작, 시나리오 공모전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 1998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데스티네이션 아메리카
데스티네이션 아메리카는 1996년 디스커버리 트래블 앤 리빙으로 개국하여 DIY, 여행 등의 콘텐츠를 방송하다가 디스커버리 홈 채널과 플래닛 그린을 거쳐 2012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미국 관련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2015년에는 프로레슬링 프로그램도 방영했다. - 텔레비전 뉴스 네트워크 - 폭스 뉴스
폭스 뉴스는 루퍼트 머독이 1996년 설립한 보수 성향의 24시간 뉴스 채널로, 공화당 지지 편향 보도 비판과 도미니언 투표 시스템 관련 소송 등 논란에도 불구하고 웹사이트, 라디오, 모바일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뉴스를 제공하고 있다. - 텔레비전 뉴스 네트워크 - 프랑스 24
프랑스 정부 소유의 프랑스 24는 프랑스 메디아 몽드 산하 국제 뉴스 채널로, 프랑스어, 영어, 아랍어, 스페인어로 전 세계에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프랑스의 관점을 반영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NHK - 일본방송협회
일본방송협회(NHK)는 1924년 도쿄방송국으로 설립되어 1926년 사단법인으로 통합된 후, 1950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어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공영 방송을 제공하며 수신료로 운영되지만, 수신료 징수 방식, 정치적 중립성, 내부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NHK - NHK-FM방송
NHK-FM방송은 일본방송협회(NHK)의 공영 FM 라디오 방송 채널로, 1957년 실험 방송을 시작하여 1969년 본방송을 개시, 전국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교양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인터넷 방송도 제공한다.
NHK 월드 재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채널 정보 | |
이름 | NHK 월드 재팬 |
![]() | |
유형 | 뉴스, 토론, 국영 방송 |
개국일 | 1998년 4월 1일 |
소유주 | 일본 정부 |
모회사 | NHK |
국가 | 일본 |
언어 | 일본어, 영어 |
방송 지역 | 전 세계 |
화질 | 1080i 16:9 (HDTV) |
본사 위치 | 도쿄, 일본 |
이전 이름 | NHK 월드 |
자매 채널 | NHK General TV NHK Educational TV NHK BS NHK BS 프리미엄 NHK BS 프리미엄 4K NHK BS8K NHK 월드 프리미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슬로건 | Your Eye on Asia (아시아를 보는 당신의 눈) |
방송 정보 | |
지상파 방송 (미국) | 채널 9.4 유타 (KUEN) 채널 11.2 호놀룰루 (KHET) 채널 12.4 덴버 (KBDI) 채널 22.3 샌프란시스코 (KRCB) 채널 60.3 샌프란시스코 (KPJK) 채널 24.4 올랜도 (WUCF) 채널 28.2 타코마-시애틀 (KBTC) 채널 28.3 로스앤젤레스 (KCET) 채널 30.2 애틀랜타 (WABE-TV) 채널 42.2 샬럿 (WTVI) 채널 56.2 시카고 (WYIN) 채널 57.2 플래츠버그 (WCFE) 채널 x.2 뉴저지 (NJ PBS) 채널 x.4 메릴랜드 (메릴랜드) 채널 8.4 휴스턴 (휴스턴) |
지상파 방송 (케냐) | Zuku TV 채널 570 |
온라인 서비스 | NHK 월드 재팬 |
온라인 채널 | 실시간 시청 (전 세계 시청 가능) |
온라인 라디오 서비스 | NHK 월드 라디오 일본 |
온라인 라디오 채널 | 실시간 청취 (전 세계 청취 가능) |
2. 방송 채널
NHK는 방송법에 따라 국제 방송 및 협회 국제 위성 방송을 실시하고 있으며, 그 재원은 수신료뿐만 아니라 일본국 정부로부터의 교부금으로 운영된다.[17][18]
라디오 방송 (국제 방송)은 일본어 외에 약 20개 언어로 방송하며, 텔레비전 방송 (협회 국제 위성 방송)은 일본어 방송과 영어 방송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다. 2018년 4월부터 명칭을 "NHK 월드 JAPAN"으로 변경했다.
텔레비전 방송은 PAL 및 HD 방식으로 방송된다. 2009년 12월 6일 (JST)까지는 일본 국내 표준 텔레비전 방송과 동일한 NTSC 방식도 있었다. 통신 위성인텔샛(구팬앰샛) 3기의 트랜스폰더를 사용하여 방송하고 있으며, 알래스카, 캐나다, 러시아(대륙 중앙부), 스칸디나비아 제국, 그린란드, 북극권 등을 제외한 지구상의 대부분 지역에서 직접 수신이 가능하다. 논스크램블 방송(무료 방송)이며, 대응 튜너와 파라볼라 안테나로 수신할 수 있다.
개국 초기에는 NHK 종합·BS1 등을 중심으로 한 뉴스·정보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자체 제작으로 영어 뉴스 방송을 했다. 2009년 2월 2일부터 영어 방송·완전 자율 편성이 되었다. 과거에는 NHK의 국내·해외 텔레비전·라디오 방송 전체 채널을 통해 스포츠 중계 방송이 전혀 편성되지 않았으나, 2022년 현재는 스모본 장소 개최 기간 중에 스모 중계의 하이라이트 프로그램 'Grand Sumo Highlight'를 제작하여, 일부 시간대에 방송하고 있다.
국내 체류 외국인의 요청이 많아 2011년 4월 1일부터 국내 일부 케이블 텔레비전, 2013년 10월부터는 '히카리 TV'에서 재전송을 시작했다. 또한, PC에서는 2009년 2월부터, 스마트폰의 아이폰용으로는 2010년 2월부터 인터넷 방송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외 및 일본 국내에서도 일부 프로그램을 스트리밍으로 시청할 수 있다. 인터넷에서는 중국어 텔레비전 방송 NHK 화어시계를 2019년 1월에 시작했다.
2024년 5월 23일, 총무성의 유식자 회의인 공공 방송 워킹 그룹은 해외의 배포 플랫폼 사업자와의 경쟁 등을 배경으로, 상업 광고 (광고) 방송 도입에 관한 논의를 시작했다. NHK는 민영 방송과 공동으로 인터넷 배포 플랫폼을 만들고, 콘텐츠의 해외 발신을 강화하기 위한 비용으로 충당하려 하고 있다.
NHK 월드 프리미엄(약칭: NHK WP)은 케이블 텔레비전이나 위성 방송을 위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배포를 실시하는 서비스의 명칭이다. 프로그램 송출은 NHK 본사에서 실시하지만, 운영은 NHK 월드 TV와 마찬가지로 일본 국제 방송이 담당하고 있다. 일본 국내의 표준 텔레비전 방송과 같은 NTSC로 송출되며, 주로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 재외 일본인과 해외 여행으로 현지를 방문하고 있는 일본인을 위해, 일본 국내 방송의 뉴스나 정보 프로그램 외에, 일본 국내용 종합 텔레비전·교육 텔레비전·BS1·BS 프리미엄에서 방송되는 오락·드라마·스포츠 중계 등 중에서 주요 인기 프로그램을, 일본 국내용 종합 텔레비전·BS 프리미엄 수준으로 혼합한 종합 편성을 통해 배포한다. 영어 방송이 되어버린 'NHK 월드 TV'와는 대조적으로, 국내용 방송 프로그램의 배포라는 성격상, 24시간 일본어 방송이다 (단, 극히 일부에서 영어 방송 프로그램도 있지만, 일본어 주 음성의 2개 국어 방송 또는 일본어 자막이 제공된다).
1998년 개시부터 10년 가까이 종일 스크램블이 걸려 송신되었지만, 2008년 9월 29일 오전 5시 (일본 표준시) 프로그램부터 주로 NHK 뉴스 7(총리 기자 회견 등도 포함) · 정보 프로그램 시간대를 중심으로 1일 5시간 정도가 논스크램블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서비스 대상 외인 일본 국내를 포함하여, 통상의 위성 텔레비전 튜너로 NHK 월드 TV를 직접 수신하고 있던 세대에서도, 논스크램블 시간대에는 NHK 월드 프리미엄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프로그램 내용에 관해서는, 일본 국내에서는 배포 서비스의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논스크램블로 시청 가능한 시간대에 직접 수신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청이 일절 불가능하지만, 국내 텔레비전 전파 및 동시 넷 배포를 시청 가능하다면, 월드 프리미엄까지 시청할 의미는 전혀 없다. 편성상 다른 점은, 수도권의 로컬 뉴스 일부와 각 지방 방송국의 지역 정보 프로그램 일부, 일본어판 월드 웨더 일부 및 자체 프로그램 안내 일부가 방송되지 않는다는 정도이다.
NHK는 2020년 9월에 발표한 "NHK 인터넷 활용 업무 실시 기준" 개정안에서 본 방송의 상시 동시 전달・다시보기 프로그램 전달 서비스를 2021년부터 시작할 방침임을 밝혔다. 주로 노 스크램블로 시청할 수 있는 뉴스・정보 프로그램 일부를 NHK 월드 JAPAN 사이트에서 전달한다. 이 서비스는 2021년 4월 19일부터 시작하였다.
한국, 대만, 중국에서는 케이블 TV, CS위성 방송, 인터넷 TV에서도 방송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본 민영 방송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채널이 별도로 존재한다. 한국과 대만에서는 NHK 월드 프리미엄 시청이 가능한 TV를 갖춘 숙박 시설이 매우 많다.
2. 1. NHK 월드 텔레비전
'''NHK 월드 TV'''는 1995년 북미와 유럽을 대상으로 방송을 시작했다.[5] 1998년 4월 1일, '''NHK 월드 텔레비전'''이라는 이름으로 방송을 시작했으며, 현재의 NHK 월드-재팬은 위성 및 케이블 TV를 통해 국제적으로 방송되는 시사 및 문화 채널이다. 프로그램은 영어로만 제작되며, 2009년 2월 뉴스 채널로 시작되었다. NHK 월드-재팬의 무료 방송은 그 이후로 HD로 위성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5]NHK 월드-재팬 HD는 인텔샛(Intelsat) 19 166°E, 68.5°E, 아스트라(Astra) 19.2°E, 핫 버드(Hot Bird) 13°E, 58°W에서 SES-3 103°W로 방송된다.[5] 일부 프로그램은 JIB TV 스튜디오에서 제작되며, JIB TV는 NHK가 60%,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및 미즈호 등 일본 은행과 사모 투자자가 40%를 소유하고 있다. NHK 월드-재팬 디지털 화면 표시는 JIB TV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이 유료 방송으로 방영될 때는 사용되지 않는다.
NHK 월드 재팬의 TV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6]
- ''비긴 재팬놀로지'' 및 ''Japanology Plus'': 피터 바라칸이 진행하는 일본 문화 및 라이프스타일 프로그램.
- ''비즈 스트림'': 한 주간의 주요 비즈니스 관련 소식을 전문가 분석과 함께 다루는 주간 뉴스 프로그램.
- ''쿨 재팬'': 코카미 쇼지와 리사 슈테그마이어가 진행하며, 외국인들이 "쿨"하다고 여기는 일본의 일부 문화를 조명하는 프로그램. ''쿨 재팬''은 급변하는 일본 문화와 일본을 최근 삶의 터전으로 삼은 국제 사회가 이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보여준다.
- ''J-멜로'': May J.가 진행하는 음악 프로그램으로, 일본 음악의 최신 동향, 히트곡 선정, 팝, 록, 재즈, 클래식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인다.
- ''NHK 뉴스라인'': 매시간 업데이트되는 뉴스 프로그램으로, 세계적인 사건과 비즈니스 관련 뉴스를 다루며, 세계 날씨 정보도 제공한다.
- ''어딘가 길거리'': 각 에피소드마다 다른 도시를 관광객의 시선으로 걸어 다니며 탐험하는 여행 프로그램.
- ''투데이즈 클로즈업'': NHK 국내 네트워크에서 제작하는 시사 프로그램.
최근 NHK 월드 재팬은 자사의 J-드라마 라인업을 ''NHK 드라마 쇼케이스''라는 이름으로 홍보하고 있다.[7]
텔레비전 방송은 PAL 및 HD(일본 시간 2009년 12월 7일 5시부터) 방식으로 방송된다. 2009년 12월 6일 JST까지는 일본 국내 표준 텔레비전 방송과 동일한 NTSC 방식도 있었다.
통신 위성인텔샛(구팬앰샛) 3기의 트랜스폰더를 사용하여 방송하고 있으며, 알래스카, 캐나다, 러시아(대륙 중앙부), 스칸디나비아 제국, 그린란드, 북극권 등을 제외한 지구상의 대부분 지역에서 직접 수신이 가능하다. 논스크램블 방송(무료 방송)이며, 대응 튜너와 파라볼라 안테나로 수신할 수 있다. 주로 일본 국외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다.
개국 초기에는 NHK 종합·BS1 등을 중심으로 한 뉴스·정보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자체 제작으로 영어 뉴스 방송을 했다. 2009년 2월 2일부터 영어 방송·완전 자율 편성이 되었다. 이로 인해 재외 일본인을 위한 국내 방송 프로그램 방송은 영어 방송으로 변경된 일부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NHK 월드 프리미엄으로 통합되었다. NHK 월드 TV에서 방송되던 일본어 뉴스·정보 프로그램은 NHK 월드 프리미엄의 일부 논스크램블 방송으로 대응하고 있다.
과거에는 NHK의 국내·해외 텔레비전·라디오 방송 전체 채널을 통해 스포츠 중계 방송이 편성되지 않았으나,[17] 2022년 현재는 스모본 장소 개최 기간 중에 스모 중계 하이라이트 프로그램 'Grand Sumo Highlight'를 제작하여 일부 시간대에 방송하고 있다.[18]
국내 체류 외국인의 요청이 많아 2011년 4월 1일부터[19] 국내 일부 케이블 텔레비전, 2013년 10월부터는 '히카리 TV'[20]에서 재전송을 시작했다. 또한, PC에서는 2009년 2월부터 (스마트폰의 아이폰용으로는 2010년 2월부터)[21] 인터넷 방송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외 및 일본 국내에서도 일부 프로그램을 스트리밍으로 시청할 수 있다.
NHK 월드 TV와 NHK 월드 프리미엄은 해외 방송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본 국내에서의 수신은 상정되지 않으며, 일본 국내에서는 수신 대상이 아니다. NHK 월드 TV 공식 웹사이트에서는 일본에서의 수신 방법을 게재하지 않고, 일본어 페이지에서 "일본 국내에서 NHK를 보고 싶다-" 버튼에는 NHK 온라인 메인 페이지(https://www.nhk.or.jp/)로의 링크가 걸려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국내에도 전파가 도달하기 때문에 시청은 가능하다.[74] 두 텔레비전과 NHK 월드 라디오 일본(디지털 라디오)의 수신 방법은 공통이며, "위성 방송으로부터의 직접 수신"은 아래와 같다.
통신 위성 방송 수신용 디지털 튜너(DVB-S 방식. 하이비전 방송 수신 시 하이비전 방식 대응 튜너)와 C 밴드에 대응하는 직경 2m~6m 정도의 대형 파라볼라 안테나・LNB(로우 노이즈 블록 컨버터)가 필요하다. 통신 위성 인텔샛(구 팬암샛)을 사용하기 때문에, 방송파(C 밴드)가 일본의 위성 방송・110도 CS 디지털 방송(방송 위성), 스카이 퍼펙트!(JSAT 등의 통신 위성, Ku 밴드를 이용)과는 전혀 다르다. 일본에서 수신하는 경우, 해외 메이커 제품을 전문 업체를 통해 입수하게 된다.
튜너와 안테나 세팅이 완료되면, 일본에서의 위성 방송과 마찬가지로 튜너를 텔레비전의 RCA 단자[75]에 연결함으로써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76]
NHK 월드 라디오 일본(단파 방송)에 비해, 가전 양판점에서는 판매되지 않는 특수한 기기를 필요로 하므로 초기 투자가 높다. 또한, 일본 국외에서도 수신 세대는 다른 해외 방송국에 비해 적다.[77]
NHK 월드 TV는 재일 외국인이나 방일 외국인에게 정보 제공을 위해 일본의 일부 케이블 텔레비전국이나 인터넷에서 재전송 및 동시 방송을 실시하고 있다(후술).[78]
2. 2. NHK 월드 프리미엄
'''NHK 월드 프리미엄'''은 위성 및 케이블 사업자를 통해 전 세계에 뉴스,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일본어로 방송하며, 주로 일본인 해외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유료 서비스이다.[8]
이 채널은 아시아, 오세아니아, 라틴 아메리카, 유럽을 포함한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같은 이름으로 판매된다. 일반적으로 콘텐츠는 영어 자막을 제공하지 않는다.
종합 텔레비전의 정시 뉴스[40], 『NHK 뉴스 오하요 일본』[41], 『열도 뉴스』, 『NHK 뉴스 7』, 『뉴스 워치 9』, 『새터데이 워치 9』, 『주간 마루와카리 뉴스』와 BS1의 『NHK BS 뉴스』 등을 원칙적으로 일본 국내와 일본 표준시에 맞춰 동시 방송하고 있다. 그 외에 BS1의 『국제 보도 20××』 등도 동시 시차 방송을 하고 있다.
2008년 9월 29일부터 종합 텔레비전의 뉴스·정보 프로그램이 일부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논스크램블로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42] 또한 스크램블 배신 시간대에도 방송 시간대가 대폭 확대되는 등, 통상 방송 시간 외에도 재해·지진·정국·황실 관련으로 특별 뉴스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에는 통상 프로그램 도중이라도 임시로 논스크램블 방송이 이루어진다.[43][44]
임시 논스크램블 방송 주요 사례
- 일본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 대규모 지진, 폭우·태풍 등의 재해, 쓰나미 주의보·쓰나미 경보·대쓰나미 경보[45]
- 총리나 도쿄도 지사 등의 기자 회견, 국회 중계,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선거 개표 속보,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민주당 대표 선거 등
- 미국 대통령 선거
- 2008년 11월 28일 특별 뉴스 「인도 동시 테러 일본인 탈출」
- 2009년 1월 21일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 취임식」
- 2009년 4월 5일 「북한 비행체 발사 모습」
- 2009년 5월 11일 「민주당 오자와 대표의 사임 표명」
- 2009년 5월 15일 「민주당 대표 후보 공개 토론회」
- 2010년 10월 4일 「민주당 오자와 전 대표 강제 기소 검찰 심사회의 의결」
- 2011년 6월 2일 「간 내각 불신임 결의안」 표결
- 2011년 12월 19일 「북한 김정일 총서기 사망」
- 2012년 5월 15일 「오키나와 복귀 40주년 기념식」
- 2010년 연말 마지막 뉴스와 2011년 새해 첫 뉴스
올림픽이나 FIFA 월드컵 기간 중에는, 방송권 문제로 경기 영상이 많이 들어있는 부분 등을 방송할 수 없기 때문에, 방송 내용의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56] 경기 영상의 뉴스 소재가 그대로 방송되면 타국의 독점 방송권을 가진 방송국 등에 대한 침해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한국, 대만, 중국에서는 케이블 TV, CS위성 방송, 인터넷 TV에서도 방송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본 민영 방송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채널이 별도로 존재한다. 한국과 대만에서는 NHK 월드 프리미엄 시청이 가능한 TV를 갖춘 숙박 시설이 매우 많다.
2. 3. NHK 월드 라디오 일본
'''NHK 월드 라디오 일본'''(RJ)은 일본방송협회(NHK)의 국제 라디오 방송이다. 일본과 아시아의 뉴스, 시사,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매주 편성하여 하루 총 65시간 방송한다.[9]라디오 일본은 두 가지 주요 방송을 제공한다.
- '''일반 서비스'''는 일본어와 영어로 전 세계에 방송된다.
- '''지역 서비스'''는 아랍어, 벵골어, 버마어,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힌디어, 인도네시아어, 한국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스와힐리어, 태국어, 우르두어, 베트남어 등 17개 언어로 특정 지역에 방송된다.
두 서비스 모두 단파 (SW) 및 인터넷에서 이용할 수 있다.[9]
과거에는 일본어·영어를 중심으로 22개 언어로 방송되었으나, 텔레비전 국제 방송으로의 이행, 위성 디지털 라디오 방송 개시, 인터넷 보급으로 인해 단파 방송은 장기적으로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재외 일본인 대상 일본어 프로그램은 뉴스(일본 시간 낮 시간대만), 해외 안전 정보, 주파수 안내 등으로 자체 제작은 극히 적고, 나머지는 모두 일본 국내용 NHK 라디오 제1방송(일부 NHK 라디오 제2방송), NHK-FM 방송 프로그램의 일본 국내 동시 방송이나 시차·재방송이다.
일부 외국어(영어·중국어·한국어·스페인어·포르투갈어) 뉴스, 영어·중국어·한국어 정보 프로그램은 라디오 제2방송에서 동시 또는 시차 방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3. 논란 및 법적 문제
NHK는 국제 방송을 통해 다양한 뉴스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몇 가지 논란과 법적 문제에 직면해 왔다.
일본 국내에서 방송되는 뉴스는 원칙적으로 일본 국내와 일본 표준시에 맞춰 NHK 월드를 통해 동시 방송된다. 그러나 방송권, 초상권 등의 문제로 인해 일부 내용은 해외에서 시청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올림픽이나 FIFA 월드컵 기간 중에는 경기 영상이 많이 포함된 부분을 방송할 수 없어, '가부세 방송'이라는 거절 화면으로 대체된다.[46] 이는 타국의 독점 방송권을 침해하지 않기 위한 조치이다.
또한, 중국에서는 류샤오보의 노벨 평화상 수여 결정 뉴스나 6·4 천안문 사건 관련 방송 등 중국 당국에 불리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이 예고 없이 차단되기도 한다.[52][53]
과거에는 BS 아날로그 방송을 통해 해외에서도 NHK의 일부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었지만, 2011년 BS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면서 이러한 상황은 변화했다. 현재는 BS 디지털 방송을 통해 시청이 가능하지만, B-CAS 카드의 해외 반출이 금지되어 있어 사실상 일본 국외에서의 시청은 제한된다.
3. 1. 방송법에 따른 명령 논란
2006년 11월 10일, 스가 요시히데 당시 총무대신은 하시모토 모토이치 당시 NHK 회장에게 방송법 제33조[94]에 따라 NHK 월드 라디오 일본이 북한의 일본인 납치 피해자에게 전하는 내용을 방송하도록 명령했다. 이는 NHK의 독립성을 해친다는 비판을 받았고, 저널리스트와 학자들이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94] NHK 본사도 곤혹스러워하는 상황이 보도되었다.당시 정부와 자민당은 '명령'이라는 표현이 문제라고 지적하며 방송법 개정을 통해 다른 문구로 재검토할 의사를 밝혔다. 그 후, 2008년에 해당 조항은 '명령'에서 '요청'으로 개정되었다.[94]
3. 2. 방영권 문제
NHK 월드 프리미엄은 일본 국내 프로그램을 국제 방송으로 송출할 때, 저작권 및 초상권 문제로 일부 영상을 '가부세 방송'(덮어씌우기) 처리한다. 특히 올림픽이나 FIFA 월드컵 기간 중에는 방송권 문제로 경기 영상이 많이 들어있는 부분 등을 방송할 수 없다.[46] 경기 뉴스가 그대로 방송되면 타국의 독점 방송권을 가진 방송국 등에 대한 침해로 이어지기 때문에, 국제 방송에서는 방송이 금지되어 있다.[46]이때, 통상적으로 거절 화면(덮어씌우기 방송)을 표시한다. 거절 화면은 일부 해외의 스포츠 뉴스·영화의 화제·기타 NHK 이외의 권리자로부터 제공받은 소재가 방송될 때마다 이루어진다.[46] 대부분의 정시 뉴스에서 그 부분을 컷(cut)한 후 필러 영상으로 공백 시간을 채운다.[46]
국내 동시 방송 뉴스 및 일반 프로그램(일본어 방송 프로그램)은 내용에 따라 "방송권 사정으로 시청하실 수 없습니다", 2009년 4월 이후에는 "방송권 제약으로 해외에서는 시청하실 수 없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라는 "거부 화면"이 표시된다. 음성 부분은 그대로 방송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음성도 방송되지 않을 수 있다.
정지 화상은 이전에는 계절에 맞는 것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16:9 사이즈로 제작한 NHK 월드 오리지널 디자인을 사용하고 있다. 때로는 선수나 배우 등 인물의 정지 화상(사진 촬영)이나, 축구와 관련된 내용에서는 축구 관련 정지 화상이 들어가는 등 해당 방송 내용에 맞춘 정지 화상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55]
4. 대한민국에서의 수신
대한민국에서는 NHK 월드 라디오 일본의 뉴스가 올림픽 기간 중이라도 라디오 제1방송 단독 중계 및 재팬 컨소시엄에 의한 텔레비전 중계의 실황 음원을 포함하여 일절 교체 없이 그대로 동시 방송된다.
종합 텔레비전의 정시 뉴스[40], 『NHK 뉴스 오하요 일본』[41], 『열도 뉴스』, 『NHK 뉴스 7』, 『뉴스 워치 9』, 『새터데이 워치 9』, 『주간 마루와카리 뉴스』와 BS1의 『NHK BS 뉴스』 등은 원칙적으로 일본 국내와 일본 표준시에 맞춰 동시 방송된다. BS1의 『국제 보도 20××』 등도 동시 시차 방송을 한다.
국내 방송 편성에 맞춰 방송하기 때문에, 시차 방송이나 다른 프로그램으로 교체하는 등 방송 시간 변경은 그때그때 판단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올림픽이나 FIFA 월드컵 기간 중에는 방송권 문제로 경기 영상을 방송할 수 없어 내용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4. 1. NHK 월드 프리미엄
대한민국에서는 케이블TV, 스카이라이프, KT의 올레TV 라이브를 비롯한, SK브로드밴드의 Btv 등 통신 3사 IPTV에서 시청할 수 있다.[8] 한국에서는 NHK 월드 프리미엄 시청이 가능한 TV를 갖춘 숙박 시설이 매우 많다.4. 2. NHK 월드 TV
NHK 월드 TV는 1995년 북미와 유럽을 대상으로 방송을 시작했다. 1998년 4월 1일부터 'NHK 월드 텔레비전'이라는 이름으로 방송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위성 및 케이블 TV를 통해 국제적으로 시사 및 문화 프로그램을 영어로 제공하고 있다. 2009년 2월부터는 뉴스 채널로 운영되고 있으며, HD로 위성을 통해 무료 방송되고 있다.[5]일부 프로그램은 JIB TV에서 제작되며, JIB TV는 NHK가 60%, 마이크로소프트 및 미즈호와 같은 사모 투자자가 40%를 소유하고 있다. NHK 월드-재팬 디지털 화면 표시는 JIB TV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이 유료 방송으로 방영될 때는 사용되지 않는다.
2011년 4월 1일부터 일본 내 일부 케이블 텔레비전,[19] 2013년 10월부터는 '히카리 TV'[20]에서 재전송을 시작했다. 또한, 2009년 2월부터 PC, 2010년 2월부터는 스마트폰(아이폰)으로도[21] 인터넷 방송을 통해 일부 프로그램을 스트리밍으로 시청할 수 있다.
NHK 월드 TV는 해외 방송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본 국내에서의 수신은 공식적으로는 대상이 아니지만,[74] 전파 도달로 인해 시청은 가능하다.
5. 기타
- 2008년까지 NHK 월드의 스테이션 ID 영상은 수면을 이미지화한 것이었다. 현재는 오른쪽에 지구, 왼쪽에 포물선을 그리며 아래로 이동하는 점이 있는 영상이 사용된다. 월드 TV는 빨간색, 월드 프리미엄은 흰색으로 점이 표시된다.[73]
- NHK 월드 텔레비전과 NHK 월드 라디오 일본은 1년에 몇 차례 정기적인 방송 설비 점검을 실시하며, 이로 인해 방송이 중단될 수 있다.[90] 점검은 주로 일본 표준시로 월요일 0시 10분부터 5시까지 진행되며, 이 시간에는 NHK 월드 TV, NHK 월드 프리미엄, NHK 월드 라디오 일본의 위성 라디오 3개 방송이 모두 중단된다.[90] 방송 중단 시에는 일본어와 영어로 방송 중단 안내 방송을 하며, 화면에는 "현재 방송 설비의 보수·정비를 위해 프로그램의 방송·송출을 중단하고 있습니다. 일본 시간 오전 5시부터 방송·송출을 재개합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표시된다.[90]
- 2006년 11월 10일, 스가 요시히데 총무대신은 하시모토 모토이치 NHK 회장에게 NHK 월드 라디오 일본에서 북한의 일본인 납치 피해자를 위한 방송을 하도록 명령했다. 이는 방송법 제33조(당시)에 따른 것이었다.[1] 그러나 이는 NHK의 독립성을 해친다는 이유로 저널리스트와 학자들 사이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왔고, NHK 내부에서도 곤혹스러워하는 반응이 보도되었다.[1] 2008년에는 해당 명령이 "요청"으로 개정되었고, 2011년에는 방송법 전면 개정으로 제65조에 관련 규정이 명시되었다.[1]
5. 1. 스테이션 ID
2008년도까지 NHK 월드의 스테이션 ID 영상은 수면을 이미지한 것이 사용되었다. 현재는 오른쪽에 지구, 왼쪽에 포물선상의 점이 아래로 움직이는 영상이 사용되고 있다. 월드 TV는 빨간색, 월드 프리미엄은 흰색으로 점이 표시된다.[73]5. 2. 유지 보수
NHK 월드 텔레비전과 NHK 월드 라디오 일본은 1년에 몇 차례 정기적인 방송 설비 점검을 실시한다. 이때문에 방송이 중단될 수 있다.[90] 점검은 주로 일본 표준시로 월요일 0시 10분부터 5시까지 진행되며, 이 시간에는 3개 방송(NHK 월드 TV, NHK 월드 프리미엄, NHK 월드 라디오 일본의 위성 라디오)이 모두 중단된다.[90]방송 중단 시에는 일본어와 영어로 방송 중단 안내 방송을 하며, 화면에는 "현재 방송 설비의 보수·정비를 위해 프로그램의 방송·송출을 중단하고 있습니다. 일본 시간 오전 5시부터 방송·송출을 재개합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표시된다.[90]
5. 3. 상업 광고 도입 논의
2006년(헤이세이 18년) 11월 10일, 스가 요시히데 총무대신은 하시모토 모토이치 NHK 회장에게 NHK 월드 라디오 일본에서 북한의 일본인 납치 피해자를 위한 방송을 하도록 명령했다. 이는 방송법 제33조(당시)에 명시된 "총무대신이 NHK에 대해 방송 구역, 방송 사항, 기타 필요한 사항을 지정하여 국제 방송을 해야 한다 (중략)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조항에 따른 것이었다.[1]하지만 이는 NHK의 독립성을 해친다는 이유로 저널리스트와 학자들 사이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왔고, NHK 내부에서도 곤혹스러워하는 반응이 보도되었다.[1] 당시 일본국 정부와 자민당은 '명령'이라는 표현이 문제라는 견해를 밝히며, 방송법 개정을 통해 다른 문구로 변경할 것을 검토했다.[1] 2008년(헤이세이 20년)에는 해당 명령이 "요청"으로 개정되었고, 2011년(헤이세이 23년)에는 방송법 전면 개정으로 제65조에 관련 규정이 명시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NHK World News Live Stream {{!}} Watch Shows Online
https://www.directv.[...]
2022-04-07
[2]
웹사이트
NHK WORLD - JAPAN Live and Programs
https://www3.nhk.or.[...]
NHK World Japan
2021-07-20
[3]
웹사이트
New Chinese service 'NHK Huayu Shijie'
https://www.nhk.or.j[...]
2018-12-19
[4]
웹사이트
New name NHK WORLD-JAPAN
https://web.archive.[...]
2018-02-21
[5]
Youtube
Lyngsat - NHK World Japan
https://www.lyngsat.[...]
2021-07-20
[6]
웹사이트
Programs
https://www3.nhk.or.[...]
2021-07-21
[7]
웹사이트
NHK Drama Showcase
https://www3.nhk.or.[...]
2023-02-22
[8]
웹사이트
Termination of TV JAPAN Service
http://web.archive.o[...]
NHK Cosmomedia America
2024-02-21
[9]
웹사이트
Shortwave, Medium Wave and FM Radio
https://www3.nhk.or.[...]
2021-07-20
[10]
웹사이트
A21 Shortwave Frequency List
http://www1.s2.starc[...]
2021-07-20
[11]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
https://www3.nhk.or.[...]
2021-07-21
[12]
뉴스
日本放送協会に対する平成18年度国際放送実施命令の変更についての総務大臣談話
https://warp.ndl.go.[...]
総務省 報道資料 平成18年11月10日([[国立国会図書館]]のアーカイブ:2009年1月13日収集)
[13]
문서
平成19年法律第136号による改正の平成20年4月1日施行
[14]
문서
平成22年法律第65号による改正の平成23年6月30日施行
[15]
웹사이트
新生「NHKワールド JAPAN」 4月よりスタート!
https://www3.nhk.or.[...]
2021-09-19
[16]
문서
NHKワールド2023年度前半期放送番組時刻表
https://www.nhk.or.j[...]
[17]
문서
2011年4月以降のBSプレミアムも同様。
[18]
웹사이트
2022年度(令和4年度)国際放送番組時刻表
https://www.nhk.or.j[...]
2024-05-05
[19]
문서
ただし、[[東日本大震災]]の生活関連情報を提供する目的でこれより前の3月中旬から一部先行、ないしは期間限定で配信を提供したケーブルテレビもある。
[20]
웹사이트
海外向け英語チャンネル「NHKワールドTV」を放送開始〜独自編成チャンネル「ひかりTVチャンネル3」で24時間365日放送〜
https://web.archive.[...]
NTTぷらら
2013-10-21
[21]
Youtube
NHKは何を伝えてきたか 国際放送の80年 国際放送年代史+サービス概要 1935~2015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NHKの国際放送、広告料収入の導入を検討開始 総務省の有識者会議
https://www.asahi.co[...]
2024-05-23
[23]
문서
海外の事業所やホテル、CATV・衛星放送局などが対象である。日本国内でのNHK受信料とは異なるものである。このサービスを運営している日本国際放送へ支払う料金は月額3000円で、2台目以降は1台ごとに2000円追加。支払いは年4回(3か月分のまとめ払い)となる。海外における利用のため、日本の[[消費税]]は課税されない。
[24]
문서
総合テレビの同時・時差放送をメインに、一部BS1の同時・時差放送もある。
[25]
문서
総合テレビ同時放送で[[大相撲]]、[[日本プロ野球|プロ野球]](BS1同時放送はプロ野球日本シリーズがあるときのみ)のほか、主に日本国内で行われるもの。海外のスポーツ中継は[[放映権]](放送権)の都合で一切放送されない。
[26]
문서
主に平日で6時台〜7時台、12時台、19時台、21時台。土日は6時台〜10時台前半、12時台、19時台、20時台後半。平日・土曜日の平均放送時間は約4時間半で、特に金曜日では12時台が20分間のニュースのみ放送され、19:30開始の番組でも『[[特報首都圏]]』以外の関東地方の地域番組や全国放送の特集番組ではスクランブル配信となるため総放送時間が4時間を下回ることも少なくない。一方、日曜日では総放送時間が約7時間と比較的に多く、特に午前中から12時台にかけての時間帯は11時台以外のほとんどの時間帯を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枠に充てている。定時での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の連続放送時間は日曜日の約5時間5分(5:56〜11:00)が最長となる。これまでの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災害時の緊急報道以外)でもっとも長い連続放送時間は2012年9月9日の9時間4分(5:56-15:00 この日は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対象番組である『明日へ〜支えあおう〜』が10:05-11:54の第1部と13:05-15:00の第2部)が最長である。次いで2009年8月30日-31日にかけて放送された衆議院議員総選挙の開票速報で7時間5分である。もっとも短い時間は1分間で短時間の臨時ニュースがある程度となっている。
[27]
문서
2013年度の改編では平日が7時台、12時台、19時台、21時台、23時台(日跨ぎ編成で翌0:10まで)。土曜日は7時台〜9時台前半、12時台、19時台前半、20時台後半。日曜日は6時台〜10時台、12時台、19時台前半、20時台後半、23時台前半の時間帯で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枠が編成される。
[28]
문서
広範囲に津波の可能性がある情報では画面下のティッカー表示がおこなわれ、海外に在住する日本人に向けて生命にかかわる重要な情報を伝えるため、ティッカー表示が出ている間は通常のスクランブル配信の番組もすべて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に変更される。
[29]
문서
津波警報・注意報の全面解除で津波に関するティッカー表示が終了した時点でスクランブル配信となる番組。
[30]
문서
2011年3月11日に発生した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東日本大震災]])では同日14:47以降、全時間帯を特設ニュースに充てられたため終日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となった(終日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の実施事例はこのときのみ。翌12日から18日はすべての時間帯が特設ニュースとなっていたため24時間終日で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を実施。19日からはニュース・情報番組以外の一般番組で1週間ぶりに一部時間帯でのスクランブル配信を再開したが、それでも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関連の特別編成が4月12日まで続いたため、通常の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の対象番組に加え、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の対象ではないニュース・情報番組についてもすべてが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となっていた)。
[31]
문서
東日本大震災発生から1年を迎えた[[長時間特別番組]]『[[明日へ〜支えあおう〜]] 震災から1年』が組まれた日の総放送時間は2012年3月10日は10時間近く、11日はほぼ半日にあたる12時間近くを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枠に充てられた(主に被災地からの生中継や関連ドキュメンタリーが中心で、内包されるスポーツ中継と音楽番組は対象外。総放送時間は通常のノンスクランブル放送対象番組も含む)。
[32]
문서
NHKワールドTVの完全英語放送化に伴い、日本語放送の番組がほぼ完全に廃止されたため、それを引き継いだ形としての実施である。番組の大半はNHKワールドTVの放送打ち切り以来半年〜1年ぶりの再開となっている。
[33]
문서
インテルサット8、9、10号機のいずれかにパラボラアンテナを向けて受信する。なお、インテルサット8号機は2012年8月14日以降、19号機に変更されるが衛星の位置は同じ東経166度であり、周波数の設定もし直す必要はない。
[34]
문서
チャンネルスキャンで「Premium」と表示されていれば受信されている証拠である。
[35]
문서
ただし、一部番組では放送権の都合で「[[かぶせ放送|蓋かぶせ]]」もしくは一部分がカットされていることもある。
[36]
문서
[37]
문서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7]
문서
[48]
문서
[49]
웹사이트
常時同時配信・見逃し番組配信サービスの開始について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2020年1月15日作成)
2020-03-07
[50]
뉴스
韓国 中立TV局がないためインテリはNHKの英語ニュース見る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14-05-29
[51]
웹사이트
よくあるご質問(FAQ)
https://www3.nhk.or.[...]
[52]
뉴스
中国当局、海外ニュースを遮断=新華社、外務省談話のみ報道
2010-10-08
[53]
문서
[54]
뉴스
中国、NHKニュース遮断の裏側は…「より巧妙になった」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2020-11-18
[55]
문서
[56]
문서
[57]
웹사이트
"「NHKニュース7」のオンデマンド配信につきまして"
https://web.archive.[...]
2022-03-04
[58]
웹사이트
日本語ニュースの海外向けインターネット配信につきまして
https://web.archive.[...]
2021-05-25
[59]
문서
[60]
문서
[61]
문서
[62]
웹사이트
この秋、さらに拡充 日本語番組の海外向けインターネット配信
https://web.archive.[...]
2021-10-06
[63]
웹사이트
日本語ニュース・番組の海外向けインターネット配信拡充について
https://web.archive.[...]
2022-04-04
[64]
웹사이트
日本語ニュース・番組の海外向けインターネット配信拡充について
日本放送協会
2023-03-31
[65]
문서
[66]
웹사이트
日本語ニュース・番組の海外向け無料インターネット配信について
https://www3.nhk.or.[...]
2024-04-01
[67]
문서
[68]
웹사이트
"「NHKインターネット活用業務実施基準(素案)」について"
https://www.nhk.or.j[...]
2020-09-15
[69]
웹사이트
NHK、地方向け番組のネット配信強化などネット業務の改定案
https://av.watch.imp[...]
2020-11-26
[70]
문서
[71]
문서
『NHK年鑑2011』の第3章・第1節の番組技術の項目より
[72]
문서
国際放送独自番組でも2012年ロンドンオリンピックハイライトでは16:9レターボックス放送化
[73]
문서
日本国内では概ね2月下旬〜3月上旬と10月上旬〜下旬のJST9:30頃から10:15頃の間に発生する(インテルサット8号機での衛星受信の場合)。
[74]
문서
他国の放送機関の放送・番組配信も行っているため[[インテルサット]]8号機(2012年8月14日以降は19号機)と10号機の衛星自体、日本国内へのスピルオーバー制限はまったくない。
[75]
문서
チューナーの機種によってはS映像端子を備えているものもある。日本国内で市販されているアナログテレビ、デジタルテレビ(薄型テレビ)ではRCA端子およびS端子のビデオ入力信号がNTSCとなっているためNHKワールド・プレミアムではそのままNTSCの信号で受像できるが、NHKワールドTVのPAL方式による放送ではチューナー側もしくは方式変換機によるNTSCへのカラー方式変換が必要となっている。NHKワールドTVのハイビジョン放送(HD映像)を視聴するときは[[HDMI]]ケーブルまたはチューナー側のコンポーネント端子とテレビ側のD3・D4・D5端子に接続するためのコンポーネント-D端子映像ケーブルと音声ケーブルが必要。
[76]
문서
日本国内の場合、場所にもよるが他の海外衛星放送の受信にこだわらなければ、直径60〜90cm程度のサイズ([[緯度|東経]]166度にあるインテルサット8号機で受信する場合)にCバンドのLNBを取り付ければNHKのみ良好に受信可能。
[77]
문서
主にアパートやマンション、敷地の狭い住宅では大型の[[アンテナ]]がつけられないという現状があるため、耐重量、強風、面積、設置場所などの問題を理由に視聴を断念せざるを得ない世帯も少なくない(Cバンドを使用するため、日本国内の衛星放送で使われている[[Kuバンド]]とは違い大型のアンテナを使わなければ受信不可能である)。ただ、最近では一部の国・地域ではKuバンドによる放送も行われるようになったため前述の問題点は解消される傾向にある。
[78]
웹사이트
NHKの技術 2024
https://www.nhk.or.j[...]
2024-03-00
[79]
웹사이트
テレビジャパン
https://tvjapan.net/
[80]
웹사이트
北米で「テレビジャパン」に代わる新配信サービス 在米邦人も歓迎
https://minpo.online[...]
2024-04-10
[81]
웹사이트
JSTV
https://www.jstv.co.[...]
[82]
웹사이트
NHKワールド・プレミアム
https://nhkworldprem[...]
[83]
뉴스
放送局への出資上限、3分の1未満に緩和 総務省、地方支援容易に
日本経済新聞
2010-01-07
[84]
PDF
『視聴者対応報告(平成21年2月)』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視聴者サービス局視聴者センター
[85]
웹사이트
『会長記者会見要旨 2010/1/7』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010-01-07
[86]
웹사이트
NHKワールド JAPANが視聴できる国内のホテル・旅館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19-07-01
[87]
웹사이트
NHKの技術 2020
https://web.archive.[...]
2020-03-00
[88]
웹사이트
The NHK WORLD-JAPAN app is coming to Android TV!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4-03-29
[89]
웹사이트
Chromecast 対応アプリ
https://store.google[...]
2021-03-11
[90]
뉴스
【訪日外国人向け】情報提供の充実に向けたNHKワールド JAPANとの連携
https://www.westjr.c[...]
JR西日本ニュースリリース
2019-05-08
[91]
웹사이트
NHKラジオ、国際放送のネット配信も必須業務化へ BSは当面見送り 有識者会議
https://www.sankei.c[...]
2024-01-26
[92]
웹사이트
“ネット配信 NHKの必須業務に” 改正放送法が成立
https://www3.nhk.or.[...]
2024-05-17
[93]
웹사이트
NHKネット配信の必須業務化 改正放送法が公布
https://minpo.online[...]
2024-05-27
[94]
문서
NHK에 대해 방송 권역, 방송 내용, 그 외 필요한 사항을 지정해 국제 방송을 실시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