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의 외국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외국인 관련 통계는 법무성 출입국재류관리청에서 발표되며, 2008년 말 기준 등록 외국인 수는 221만 7426명이었다. 2023년 12월 기준 재류 외국인은 약 341만 명으로 일본 총인구의 약 2.7%를 차지한다. 주요 출신 국가는 중국, 베트남, 한국, 필리핀 등이다. 일본은 다른 G7 국가에 비해 이민자 수가 적으며, 외국인 관련하여 차별, 인신매매, 불법 체류, 난민 문제 등이 존재한다. 일본의 외국인 관련 법규는 공무, 권리 능력, 사회 보장 등에서 외국인의 권리를 제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인구 -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는 일본의 인구 문제와 사회 보장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인구 추계, 사회 보장 비용 통계 작성, 기본 조사 등을 실시하며 국내외 연구를 수행한다.
  • 일본의 인구 - 넷카페 난민
    넷카페 난민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넷카페에서 장기간 생활하며 주거, 법적 문제, 감염병 위험 등에 직면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며, 일본 정부는 이들을 위한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 일본의 외국인 - 재일 한국인
    재일 한국·조선인은 역사적 배경으로 일본에 거주하게 된 한국 국적자 또는 조선적을 가진 사람들로, 복잡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다양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고령화와 젊은 세대의 정체성 변화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일본의 외국인 - 고베 외국인 거류지
    고베 외국인 거류지는 1868년 개항된 외국인 거주지로, 합리적인 도시계획에 따라 정비되어 외국인 자치로 운영되었으나 불평등 조약 개정으로 일본에 반환, 고베 대공습 피해 이후 문화 관광 자산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 미국-일본 관계 - 일본의 항복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은 이오지마와 오키나와 함락, 본토 침공 위협, 경제 붕괴 직전 상황,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 소련의 대일 참전 등으로 항복을 결정, 1945년 8월 15일 옥음방송을 통해 패전을 선포하고 9월 2일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 미국-일본 관계 - 존 만지로
    존 만지로는 14세에 조난당해 미국에서 10년간 생활하며 서양 문물을 습득하고 일본의 개국과 근대화에 기여한 일본 고치현 출신의 어부이다.
일본의 외국인
지도
일반 정보
대상일본으로의 이민
이민 현황
총 이민자 수 (2022년 6월)2,961,969명
총 이민자 수 대비 비율 (2021년 1월)2.4%
주요 출신 국가중국
베트남
대한민국
필리핀
브라질
인구 변화 요인감소 (출생률 감소 및 고령화)
정부 정책숙련 노동자 유입 장려
이민의 역사
배경노동력 부족, 인구 감소
초기 이민주로 한국, 중국 출신
최근 동향다양한 국적의 노동자 유입 증가
이민 정책
주요 내용숙련 노동자 비자 확대
특정 기능 비자 신설
외국인 연수 제도 개선
과제언어 장벽
문화 적응
사회 통합
사회적 영향
긍정적 영향노동력 보충
경제 활성화
문화 다양성 증진
부정적 영향사회 복지 부담 증가
문화 갈등 발생 가능성
외국인 범죄 증가 우려
관련 법률
주요 법률출입국관리 및 난민인정법
외국인등록법
노동기준법

2. 일본의 외국인 현황

2009년 7월 10일에 발표된 일본 법무성 입국관리국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8년 말 기준 일본 내 외국인 등록자 수는 2,217,426명이었다. 이 중 한국-조선/朝鮮한국어(민단, 총련) 국적자는 589,239명으로 전체의 26.6%를 차지했다. 2010년 이후 일본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는 감소했지만, 중국 국적자는 늘어난 반면 한국-조선 국적자는 줄어들었다.[117]

국적/민족총수 (2008년 말)퍼센트
중국655,37729.6%
한국-조선 (민단, 총련)589,23926.6%
브라질312,58214.1%
필리핀210,6179.5%
페루59,7232.7%
미국52,6832.4%
태국42,6091.9%
베트남41,1361.9%
인도네시아27,2501.2%
인도22,3351.0%
영국17,0110.8%
네팔12,2860.6%
방글라데시11,4140.5%
캐나다11,0160.5%
호주10,7080.5%
기타141,4406.4%
총 (2008년말 기준)2,217,426100%



법무성 출입국재류관리청의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말 외국인 입국자 수는 419만 8,045명[65], 재류 외국인 수는 307만 4,578명이었다.[66] 2023년 12월 시점의 재류 외국인은 341만 992명으로, 일본 총인구의 약 2.7%를 차지한다.[74][75]

출신 국가[76]2023년2022년2021년2020년[77]2019년2018년관련 항목
중국[78]821,838761,563716,606778,112813,675764,720재일 중국인
베트남565,026489,132432,934448,053411,968330,835재일 베트남인
한국[79]410,156411,312409,855426,908446,364449,634재일 한국인
필리핀322,046298,740276,615279,660282,798271,289재일 필리핀인
브라질211,840209,430204,879208,538211,677201,865재일 브라질인
네팔176,336139,39397,10995,98296,82488,951재일 네팔인
인도네시아149,10198,86559,82066,83266,86056,346재일 인도네시아인
미얀마86,54656,23937,24635,04932,04926,456재일 미얀마인
대만[80]64,66357,29454,19155,87264,77360,684재일 대만인
미국(미국)[81]63,40860,80454,16255,76159,17257,500재일 미국인
태국61,77156,70150,32453,37954,80952,323재일 태국인
페루49,11448,91448,29148,25648,66948,362재일 페루인
인도48,83543,88636,05838,55840,20235,419재일 인도인
스리랑카46,94937,25128,98629,29027,36725,410재일 스리랑카인
방글라데시27,96222,72317,53817,46316,63215,476재일 방글라데시인
조선[82]24,30525,35826,31227,21428,09629,559재일 한국・조선인, 조선적
캄보디아23,75019,60414,73616,65915,02012,174재일 캄보디아인
영국영국19,90918,95916,16316,89118,63117,943재일 영국인
몽골19,49016,58012,42513,50412,79710,987재일 몽골인
프랑스15,15314,33911,31912,26414,10613,355재일 프랑스인
오스트레일리아12,12110,8318,9609,75812,02411,406재일 호주인
캐나다11,67010,9269,84810,10311,11810,713재일 캐나다인
러시아[83]11,63410,6819,1189,2499,3788,987재일 러시아인
말레이시아11,47111,0459,65910,31810,86210,368재일 말레이시아인
독일[84]8,3528,2645,5536,1147,7827,370재일 독일인
볼리비아6,5596,4036,2276,1196,0965,907재일 볼리비아인
우즈베키스탄6,5915,5133,6703,6323,6273,746재일 우즈베키스탄인
튀르키예[85]6,4646,0805,9006,2125,4195,244재일 튀르키예인
아프가니스탄5,8925,3063,7823,5093,3503,125재일 아프가니스탄인
이탈리아5,2514,9874,0444,2634,7024,430재일 이탈리아인
이란4,3134,2374,0554,1214,1704,090재일 이란인
우크라이나4,2024,1581,8581,8651,9401,855재일 우크라이나인
나이지리아3,9543,6723,3473,3153,2013,025재일 나이지리아인
스페인3,9023,7083,0173,2403,6203,368재일 스페인인
라오스3,8593,2972,8232,9032,9652,842재일 라오스인
뉴질랜드3,8443,4973,1603,2803,6723,501재일 뉴질랜드인
멕시코3,5043,2322,6562,7142,8892,696재일 멕시코인
싱가포르3,4983,3062,7382,9583,1643,042재일 싱가포르인
아르헨티나3,3503,1512,9032,9663,0772,933재일 아르헨티나인
가나2,8572,6652,5432,5062,4042,341재일 가나인
콜롬비아2,7162,6362,4612,4822,5092,428재일 콜롬비아인
루마니아2,2922,2842,1952,2502,3322,320재일 루마니아인
이집트2,2732,2431,9472,0272,2391,931재일 이집트인
파라과이2,2392,1742,0992,1312,1882,090재일 파라과이인
스웨덴1,8711,8751,3541,5141,7541,757재일 스웨덴인
네덜란드1,8051,6771,1601,2941,5951,459재일 네덜란드인
폴란드1,7661,6891,3771,4081,6051,626재일 폴란드인
남아프리카 공화국1,4191,2709441,0201,035942재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시리아1,3931,1531,027970865733재일 시리아인
스위스1,3431,2801,0001,0761,1891,162재일 스위스인
아일랜드1,3131,2471,0991,1281,2901,210재일 아일랜드인
카메룬1,2541,0961,0471,059857692재일 카메룬인
재일 외국인 총계3,410,9923,075,213style="background:#9DBEC3;" |


2. 1. 외국인 등록자 수

2009년 7월 10일에 발표된 일본 법무성 입국관리국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8년 말 기준 일본 내 외국인 등록자 수는 2,217,426명이었다. 이 중 한국-조선/朝鮮한국어(민단, 총련) 국적자는 589,239명으로 전체의 26.6%를 차지했다. 2010년 이후 일본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는 감소했지만, 중국 국적자는 늘어난 반면 한국-조선 국적자는 줄어들었다.[117]

국적/민족총수 (2008년 말)퍼센트
중국655,37729.6%
한국-조선 (민단, 총련)589,23926.6%
브라질312,58214.1%
필리핀210,6179.5%
페루59,7232.7%
미국52,6832.4%
태국42,6091.9%
베트남41,1361.9%
인도네시아27,2501.2%
인도22,3351.0%
영국17,0110.8%
네팔12,2860.6%
방글라데시11,4140.5%
캐나다11,0160.5%
호주10,7080.5%
기타141,4406.4%
총 (2008년말 기준)2,217,426100%



법무성 출입국재류관리청의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말 외국인 입국자 수는 419만 8,045명[65], 재류 외국인 수는 307만 4,578명이었다.[66] 2023년 12월 시점의 재류 외국인은 341만 992명으로, 일본 총인구의 약 2.7%를 차지한다.[74][75]

출신 국가[76]2023년2022년2021년2020년[77]2019년2018년관련 항목
중국[78]821,838761,563716,606778,112813,675764,720재일 중국인
베트남565,026489,132432,934448,053411,968330,835재일 베트남인
한국[79]410,156411,312409,855426,908446,364449,634재일 한국인
필리핀322,046298,740276,615279,660282,798271,289재일 필리핀인
브라질211,840209,430204,879208,538211,677201,865재일 브라질인
네팔176,336139,39397,10995,98296,82488,951재일 네팔인
인도네시아149,10198,86559,82066,83266,86056,346재일 인도네시아인
미얀마86,54656,23937,24635,04932,04926,456재일 미얀마인
대만[80]64,66357,29454,19155,87264,77360,684재일 대만인
미국(미국)[81]63,40860,80454,16255,76159,17257,500재일 미국인
태국61,77156,70150,32453,37954,80952,323재일 태국인
페루49,11448,91448,29148,25648,66948,362재일 페루인
인도48,83543,88636,05838,55840,20235,419재일 인도인
스리랑카46,94937,25128,98629,29027,36725,410재일 스리랑카인
방글라데시27,96222,72317,53817,46316,63215,476재일 방글라데시인
조선[82]24,30525,35826,31227,21428,09629,559재일 한국・조선인, 조선적
캄보디아23,75019,60414,73616,65915,02012,174재일 캄보디아인
영국영국19,90918,95916,16316,89118,63117,943재일 영국인
몽골19,49016,58012,42513,50412,79710,987재일 몽골인
프랑스15,15314,33911,31912,26414,10613,355재일 프랑스인
오스트레일리아12,12110,8318,9609,75812,02411,406재일 호주인
캐나다11,67010,9269,84810,10311,11810,713재일 캐나다인
러시아[83]11,63410,6819,1189,2499,3788,987재일 러시아인
말레이시아11,47111,0459,65910,31810,86210,368재일 말레이시아인
독일[84]8,3528,2645,5536,1147,7827,370재일 독일인
볼리비아6,5596,4036,2276,1196,0965,907재일 볼리비아인
우즈베키스탄6,5915,5133,6703,6323,6273,746재일 우즈베키스탄인
튀르키예[85]6,4646,0805,9006,2125,4195,244재일 튀르키예인
아프가니스탄5,8925,3063,7823,5093,3503,125재일 아프가니스탄인
이탈리아5,2514,9874,0444,2634,7024,430재일 이탈리아인
이란4,3134,2374,0554,1214,1704,090재일 이란인
우크라이나4,2024,1581,8581,8651,9401,855재일 우크라이나인
나이지리아3,9543,6723,3473,3153,2013,025재일 나이지리아인
스페인3,9023,7083,0173,2403,6203,368재일 스페인인
라오스3,8593,2972,8232,9032,9652,842재일 라오스인
뉴질랜드3,8443,4973,1603,2803,6723,501재일 뉴질랜드인
멕시코3,5043,2322,6562,7142,8892,696재일 멕시코인
싱가포르3,4983,3062,7382,9583,1643,042재일 싱가포르인
아르헨티나3,3503,1512,9032,9663,0772,933재일 아르헨티나인
가나2,8572,6652,5432,5062,4042,341재일 가나인
콜롬비아2,7162,6362,4612,4822,5092,428재일 콜롬비아인
루마니아2,2922,2842,1952,2502,3322,320재일 루마니아인
이집트2,2732,2431,9472,0272,2391,931재일 이집트인
파라과이2,2392,1742,0992,1312,1882,090재일 파라과이인
스웨덴1,8711,8751,3541,5141,7541,757재일 스웨덴인
네덜란드1,8051,6771,1601,2941,5951,459재일 네덜란드인
폴란드1,7661,6891,3771,4081,6051,626재일 폴란드인
남아프리카 공화국1,4191,2709441,0201,035942재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시리아1,3931,1531,027970865733재일 시리아인
스위스1,3431,2801,0001,0761,1891,162재일 스위스인
아일랜드1,3131,2471,0991,1281,2901,210재일 아일랜드인
카메룬1,2541,0961,0471,059857692재일 카메룬인
재일 외국인 총계3,410,9923,075,2132,464,2192,887,1162,933,1372,731,093



일본은 다른 G7 국가에 비해 이민자 수가 적다.[12] 이는 갤럽 데이터와 일치하며, 일본이 잠재적 이민자에게 매우 인기가 없는 이민 대상임을 보여준다.[13] 일부 일본 학자들은 일본의 이민법이 고숙련 이민자에게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비교적 관대하며, 낮은 이민 유입량의 주요 요인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력이 없는 이민 대상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14]

프랑스 여권에 부착된 영주 허가 씰

2. 2. 재류 자격별 외국인 수

일본의 출입국 통계에 포함되는 영주권자 및 중장기 체류자(12개월 이상 체류 비자 발급)는 특별 영주자, 영주권자, 일본 국민의 후손, 일본 국민의 등록된 배우자, 제한된 기간 동안 취업, 유학, 학술 연구, 기술 연수 프로그램 비자를 발급받은 개인, 등록된 난민 및 망명 신청자 등을 포함한다.[11] 2013년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영주권이 부여된 외국인 거주자의 비율은 30%를 넘었으며, 일본계 및 한국계 외국인을 포함하면 60%를 초과한다.[11]

일본은 다른 G7 국가에 비해 이민자 수가 적으며,[12] 잠재적 이민자에게 매우 인기가 없는 이민 대상이다.[13] 일본 학자들은 일본의 이민법이 고숙련 이민자에게는 비교적 관대하며, 낮은 이민 유입량의 주요 요인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력이 없는 이민 대상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14]

장기 체류 비자나 일본인의 배우자와 같은 다른 비자 자격으로 이미 일본에 장기간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은 영주권 자격을 신청할 수 있다. 영주권 부여는 출입국재류관리청의 재량이며, 여러 세부 기준 충족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16] 국제 결혼 이주는 한때 일본으로의 영구 이주 흐름의 25%를 차지했지만, 2006년 이후 감소 추세에 있다.[18] 2013년 일본에서 등록된 국제 결혼의 71.77%가 외국인 신부와 결혼한 경우였다.[19]

2024년 6월 말 현재 일본에는 3,588,956명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었으며,[21] 이 중 1,181,203명은 장기 체류자였지만 영주권자는 아니었다. 이들은 대부분 아시아 출신으로, 중국(844,187명), 베트남(600,348명), 한국(411,043명) 순으로 많았다.[22]

국가외국인 수
844,187
600,348
411,043
332,293
212,325
206,898
173,813
110,306
67,277
64,842



2022년에는 기술 연수 제도 비자가 327,689건을 차지했으며, 베트남, 중국, 인도네시아 순으로 많았다.[1] 2023년 현재 일본에는 279,274명의 유학생이 있으며, 중국, 네팔, 베트남 순이다.[23] 법무성 출입국재류관리청의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말 외국인 입국자 수는 419만 8,045명[65], 재류 외국인 수는 307만 4,578명이었다[66]

일본 재류 외국인의 출신 국가명에는 "왕국", "공화국" 등의 정식 국명 표기는 사용되지 않으며, 법무성 출입국관리국의 약칭 방식을 따른다. "대한민국조선"은 통계에서 사용되지만, 개별 외국인 등록 원표・외국인 등록 증명서에서는 "대한민국" 또는 "조선"으로 표시된다. 중화민국 여권 (대만의 여권) 소지자는 2012년 이후 대만인으로 별도 구분된다.

2020(레이와 2년)년 12월 말 시점의 일본에 있어서의 외국인의 재류 자격[68]
재류 자격인원구성비상위 3개 국가・지역
일반 영주자 807,517 27.9 중국 35%- 필리핀 16%- 브라질 13%
특별 영주자 304,430 10.5 한국 90%-조선 8%- 대만 0.3%
기능 실습(이하 6개의 합계) 378,200 13.0 베트남 50%- 중국 23%- 인도네시아 9%
기능 실습 1호 이 1,205 0.0 22%- 필리핀 20%- 인도네시아 19%
기능 실습 1호 로 74,476 2.5 55%- 중국 14%- 인도네시아 10%
기능 실습 2호 이 4,490 0.1 30%- 중국 26%- 필리핀 21%
기능 실습 2호 로 258,173 8.9 56%- 중국 17%- 인도네시아 8%
기능 실습 3호 이 707 0.0 필리핀 37%- 중국 28%- 25%
기능 실습 3호 로 39,149 1.3 53%- 중국 14%- 필리핀 13%
유학 280,901 9.7 중국 44%- 23%- 네팔 8%
기술・인문 지식・국제 업무 283,380 9.8 중국 31%- 21%- 한국 9%
정주자 201,329 6.9 브라질 35%- 필리핀 17%- 중국 13%
가족 체류 196,662 6.8 중국 38%- 네팔 15%- 13%
일본인의 배우자 등 142,735 4.9 중국 19%- 필리핀 18%- 브라질 12%
특정 활동 103,422 3.5 39%- 중국 16%- 필리핀 7%
영주자의 배우자 등 42,905 1.4 중국 39%- 필리핀 17%- 브라질 10%
기능 40,491 1.4 중국 40%- 네팔 30%- 인도 13%
경영・관리 27,249 0.9 중국 52%- 한국 12%- 네팔 5%
고도 전문직(이하 4개의 합계) 16,554 0.5
고도 전문직 1호 이 1,922 0.0 중국 44%- 한국 8%- 인도 5%
고도 전문직 1호 로 13,167 0.4 중국 68%- 미국 5% - 인도 3%
고도 전문직 1호 하 676 0.0 중국 52%- 미국 13%- 한국 6%
고도 전문직 2호 789 0.0 중국 84%- 한국 2%- 인도 2%
특정 기능(이하 2개의 합계) 15,663 0.5 베트남 60%- 중국 10%- 인도네시아 9%
특정 기능 1호 15,663 0.5 60%- 중국 10%- 인도네시아 9%
특정 기능 2호 0 0.0
기업 내 전근 13,415 0.4 중국 30%- 필리핀 9%- 한국 9%
교육 12,241 0.4 미국 44%- 필리핀 12%- 영국 10%
교수 6,647 0.2 중국 18%- 미국 12%- 한국 11%
종교 3,772 0.1 미국 28%- 한국 21%- 필리핀 7%
의료 2,476 0.0 중국 75%- 인도네시아 6%- 한국 5%
흥행 1,865 0.0 필리핀 20%- 미국 17%- 한국 8%
개호 1,714 0.0 베트남50%- 중국 10%- 인도네시아 9%
연구 1,337 0.0 중국 23%- 인도 12%- 한국 8%
문화 활동 1,280 0.0 중국 36%- 미국 7%- 한국 7%
예술 448 0.0 중국 17%- 미국 15%- 한국 11%
보도 215 0.0 중국 19%- 한국 17%- 미국 10%
연수 174 0.0 22%- 타이 18%- 인도네시아 12%
법률・회계 업무 148 0.0 미국 40%- 영국 14%- 중국 10%
합계 2,887,116 100 중국 27%- 베트남 15%- 한국 14%



"특별 영주자"는 1991년 시행된 입관 특례법에 의해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이전부터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평화 조약 국적 이탈자 (한국・조선인 및 대만인)와 그들의 자손을 대상으로 정해진 재류의 자격이다. 특별 영주자는 활동에 거의 제한이 없으며, 재입국 허가 유효 기간이 길고, 퇴거 강제 사유도 한정되어 있다.

2. 3. 국적별 외국인 수

2008년 말 기준 일본 내 외국인 등록자 수는 중국이 655,377명(29.6%), 한국-조선이 589,239명(26.6%), 브라질이 312,582명(14.1%), 필리핀이 210,617명(9.5%), 페루가 59,723명(2.7%), 미국이 52,683명(2.4%) 순이었다. 2010년부터 일본 거주 외국인 수는 감소했지만, 중국 국적자는 늘고 한국-조선 국적자는 줄었다.[117]

법무성 출입국재류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말 외국인 입국자 수는 419만 8,045명[65], 재류 외국인 수는 307만 4,578명이었다.[66] 2023년 12월 말 기준 재류 외국인은 341만 992명으로, 일본 총인구의 약 2.7%를 차지한다.[74][75]

출신 국가[76]2023년2022년관련 항목
중국[78] 재일 중국인
#REDIRECT 재일 베트남인
한국[79] 재일 한국인
필리핀 재일 필리핀인
브라질 재일 브라질인
#REDIRECT 재일 네팔인
인도네시아 재일 인도네시아인
#REDIRECT 재일 미얀마인
대만[80] 재일 대만인
미국(미국)[81] 재일 미국인
태국 재일 태국인
페루 재일 페루인
인도 재일 인도인
스리랑카 재일 스리랑카인
#REDIRECT 재일 방글라데시인
파키스탄 재일 파키스탄인
조선[82] 재일 한국・조선인, 조선적
#REDIRECT 재일 캄보디아인
영국(영국 재일 영국인
몽골 재일 몽골인
프랑스 재일 프랑스인
오스트레일리아 재일 호주인
캐나다 재일 캐나다인
러시아[83] 재일 러시아인
말레이시아 재일 말레이시아인
#REDIRECT[84] 재일 독일인
볼리비아 재일 볼리비아인
우즈베키스탄 재일 우즈베키스탄인
튀르키예[85] 재일 튀르키예인
아프가니스탄 재일 아프가니스탄인
이탈리아 재일 이탈리아인
이란 재일 이란인
재일 우크라이나인
나이지리아 재일 나이지리아인
스페인 재일 스페인인
라오스 재일 라오스인
뉴질랜드 재일 뉴질랜드인
멕시코 재일 멕시코인
싱가포르 재일 싱가포르인
아르헨티나 재일 아르헨티나인
가나 재일 가나인
재일 콜롬비아인
#REDIRECT 재일 루마니아인
재일 이집트인
#REDIRECT 재일 파라과이인
재일 스웨덴인
#REDIRECT 재일 네덜란드인
폴란드 재일 폴란드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재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시리아 재일 시리아인
스위스 재일 스위스인
아일랜드 재일 아일랜드인
카메룬 재일 카메룬인
재일 외국인 총계style="background:#9DBEC3;" |



일본의 출입국 통계에는 영주권자, 특별영주자, 일본 국민의 배우자, 취업 비자, 유학 비자, 기술 연수 프로그램 비자, 난민 및 망명 신청자 등이 포함된다.[11] 2013년 기준 영주권이 부여된 외국인 거주자는 30%를 넘었으며, 영주권자, 일본 국민의 배우자, 정착 거주자(일본계), 한국계 외국인을 포함하면 60%를 초과한다.[11]

일본은 다른 G7 국가에 비해 이민자 수가 적으며,[12] 잠재적 이민자에게 인기 있는 이민 대상이 아니다.[13] 일본의 이민법은 고숙련 이민자에게 비교적 관대하지만, 매력적인 이민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민 유입량이 적다는 지적이 있다.[14]

3. 일본의 외국인 관련 역사

지리적 원격성과 쇄국 정책으로 인해 외국인의 이민, 문화 동화, 그리고 일본 주류 사회로의 통합은 비교적 제한적이었다. 역사학자 코시로 유키코는 1945년 이전에 세 번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이민 물결을 확인했다. 8세기 한국 예술가와 지식인의 정착, 1600년대 소수의 중국 가족에게 제공된 망명,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최대 67만 명의 한국 및 중국 노동자의 강제 이민이다.[6][7]

1945년 이후, 일본은 산업의 인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내부의 농촌 노동력에 의존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 소규모 사업주들의 요구와 인구 통계 변화로 인해 필리핀과 이란 등 다양한 국가에서 암묵적으로 받아들여진 불법 이민이 제한적으로 증가했다.[8]

1980년대의 생산 아웃소싱은 전자 제품 제조 및 차량 조립과 같은 일부 노동 집약적 산업의 일본 기업이 수입 노동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게 했다. 1990년, 새로운 정부 법안은 일본계 브라질인과 일본계 페루인과 같은 일본계 혈통의 남아메리카인에게 우대 근로 비자 이민 자격을 제공했다. 1998년까지 222,217명의 브라질 국적이 일본에 거주자로 등록되었으며, 페루에서 온 소규모 그룹이 추가로 있었다. 2009년에는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일본 정부는 브라질 및 페루 이민자에게 항공료 3,000달러와 부양 가족당 2,000달러의 장려금을 지급하여 본국으로 돌아가도록 유도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도입했다.[9]

2017년 말 기준 일본의 외국인, 국가별


2015년 하반기 기준으로, 일본의 고령화와 건설, IT 서비스 및 의료와 같은 주요 분야의 인력 부족으로 인해, 일본 정치인들은 단기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임시 외국인 노동력 풀을 확대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다시 논의하고 있다.[10]

4. 일본의 외국인 관련 문제

일본에서는 "일본인 한정"(외국인 사절) 간판을 내건 선술집이나 목욕탕이 존재하거나, 인종이나 출신을 이유로 경찰이 직무 질문을 하는 인종 프로파일링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104]

1998년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의 한 보석점에서 브라질인 여성이 상품을 보던 중, 경영자가 브라질인임을 알고 퇴점을 요구한 사건이 발생했다. 경영자는 외국인 출입 금지라는 취지를 밝혔지만, 항의를 받자 "출점 강도 조심!"이라는 벽보를 보여주었다. 여성은 경영자의 사죄문을 받았지만, 진심 어린 사죄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민법 709조의 불법 행위 및 명예훼손, 모욕으로 손해 배상을 청구했다. 1999년 시즈오카 지법 하마마츠 지부는 경영자 측에 150만 엔의 지급을 명령했다.[104]

1999년에는 일본으로 귀화한 아리미치 이즈히토 홋카이도 정보대학 강사 등이 홋카이도 오타루시의 입욕 시설 "유노하나"에서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입욕을 거부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유노하나"는 오타루항에 입항하는 러시아인 선원의 입욕 매너 문제로 외국인 입욕을 거부해왔으나, 일본인이 된 후에도 입욕을 거절당하자, 인종 차별로 소송을 제기했다. 2002년 삿포로 지방 법원은 "유노하나"에 배상금 지불을 명령했고, 이후 삿포로 고등 법원 항소 및 최고 재판소 상고를 거쳐 "유노하나"에 대한 원고 승소가 확정되었다.[104]

4. 1. 인권 문제

일본에서는 "일본인 한정" (외국인 사절) 간판을 내건 선술집이나 목욕탕이 존재하거나, 인종이나 출신을 이유로 경찰이 직무 질문을 하는 인종 프로파일링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1998년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의 한 보석점에서 브라질인 여성이 상품을 보던 중, 경영자가 브라질인임을 알고 퇴점을 요구한 사건이 발생했다. 경영자는 외국인 출입 금지라는 취지를 밝혔지만, 항의를 받자 "출점 강도 조심!"이라는 벽보를 보여주었다. 여성은 경영자의 사죄문을 받았지만, 진심 어린 사죄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민법 709조의 불법 행위 및 명예훼손, 모욕으로 손해 배상을 청구했다. 1999년 시즈오카 지법 하마마츠 지부는 경영자 측에 150만 엔의 지급을 명령했다.

1999년에는 일본으로 귀화한 아리미치 이즈히토 홋카이도 정보대학 강사 등이 홋카이도 오타루시의 입욕 시설 "유노하나"에서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입욕을 거부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유노하나"는 오타루항에 입항하는 러시아인 선원의 입욕 매너 문제로 외국인 입욕을 거부해왔으나, 일본인이 된 후에도 입욕을 거절당하자, 인종 차별로 소송을 제기했다. 2002년 삿포로 지방 법원은 "유노하나"에 배상금 지불을 명령했고, 이후 삿포로 고등 법원 항소 및 최고 재판소 상고를 거쳐 "유노하나"에 대한 원고 승소가 확정되었다.

4. 2. 범죄 문제

4. 3. 인신매매 문제

미국 국무부가 발표한 [https://web.archive.org/web/20061118174613/http://www.state.gov/g/tip/rls/tiprpt/2005/46614.htm Trafficking in Persons Report(인신매매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많은 수의 여성뿐만 아니라 어린이가 성적 착취를 목적으로 하는 인신매매에 의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동유럽의 모든 나라에서 일본에 끌려오고 있다고 한다. 또한 일본의 야쿠자가 국제적인 인신매매에 관여하고 있다고 한다. 보고서에 의해 일본의 인신매매 문제를 처음으로 지적한 2004년의 시점에서는 인신매매를 금지하는 특별한 법령이 일본에는 없었던 탓에, “정부가 피해자를 제대로 보호하지 않는다.”라고 심하게 비난받았다. 여전히 “인신매매 박멸을 위해 최저한도의 등급을 충분하게 충족하지 않고 있다.”라고 하고 있어, 2005년인신매매를 포함하는 개정 형법이 가결되는 등 일본 정부의 인신매매 문제에 대한 대처가 평가되어, 2005년 주요 감시 대상 목록에서 벗어나 4계단 중 2번째(TIER 2)에 위치하고 있다.

미국 국무부는 2021년[113] 현재 일본을 4단계 중 2번째(TIER 2)인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최소 기준을 충분히 충족하지 못하지만, 충족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실시하고 있다"로 평가하고 있다[114]。2019년에는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기능 실습 제도의 문제로 인해 2020년부터 이 평가를 유지하고 있다[115]

또한 음식점, 유흥업소, 성매매 업소를 중심으로 외국인 경영자 자신이 외국인을 데려와 불법 취업을 조장하여 체포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116]

4. 4. 불법 체류 문제

일본 법무성 추산에 따르면, 일본 내 불법 체류 외국인 수는 1993년 5월 약 30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여 2015년 1월 1일 기준 약 6만 명으로 줄었다.[40] 이는 국경 통제 강화, 직장 감시, 외국인 근로자 프로그램 확대 등의 조치에 따른 결과이다. 외국인 입국 항구에서는 지문 채취, 사진 기록 등 개인 신분 확인 서류 검사를 통해 국경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40] 그 결과, 일본 내 불법 이민자의 상당수는 90일 임시 방문 비자 기간을 초과하여 체류하는 외국인이다.

2003년 말, 법무성 및 경찰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범죄 대책 각료 회의'는 '범죄에 강한 사회 실현을 위한 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입관 프로젝트'를 시행했다.[95][96] 이는 불법 체류자를 '들어오지 못하게', '오지 못하게', '머물지 못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2008년 말까지 불법 체류자를 절반으로 줄이고자 했으나, 실제 감소 폭은 목표에 미치지 못했다.[95][96] 2021년 1월 1일 기준 불법 체류자는 82,868명이었으며, 베트남, 한국, 중국 순으로 많았다.[98]

법무성 입국 관리국은 2006년 '불법 취업 외국인 대책 캠페인 기간'을 실시하여 불법 취업 방지를 위한 홍보 활동과 불법 체류자의 자진 출두를 촉진했다.[99] 또한, 2007년 11월 20일부터 특별 영주자 등을 제외한 16세 이상 외국인은 일본 입국 시 지문 및 얼굴 사진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거부할 경우 입국이 불허된다.[101]

한편, 불법 체류자의 장기 수용 문제는 국내외적으로 비판받고 있다.[104] 특히 수용 기한이 없고, 입관의 판단에 따라 수용 여부가 결정되며, 그 기준이 모호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104] 2021년에는 수용자 쇠약사(衰弱死) 사건이 발생했으며, 2010년 이후 14명이 사망했다.[105]

4. 5. 난민 문제

일본은 UN 1951년 난민 협약 및 1967년 의정서에 서명하여 난민 보호 의무를 지니고 있다.[24] 역사적으로 해외 난민 구호에 적극적으로 기여해 왔으며, 2014년에는 UNHCR 프로그램에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재정적 기여를 했다.[25] 일본 외교관 오가타 사다코는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으로 활동했다.

2015년 12월 기준 일본은 13,831건의 망명 신청을 심사 중이었다.[26] 2016년에는 10,000건 이상의 난민 지위 신청이 접수되었고, 28건이 승인되었다.[27] 2015년에는 7,500명 이상이 난민 지위를 신청했고 27건이 승인되었으며,[28] 2014년에는 5,000건 이상의 신청 중 11건이 승인되었다.[28] 1982년부터 2004년까지 22년 동안 연평균 15건의 망명 신청이 승인되었다.[29]

2012–2018년 일본의 망명 신청 개요[27][30][31][32]
연도접수된 망명 신청 총 건수승인된 망명 신청 총 건수
20122,54518
20133,2606
20145,00011
20157,68627
201610,90128
201719,62820
201810,49342



독일, 캐나다의 망명 신청 승인율이 약 40%인데 반해, 일본의 승인율은 평균 0.2%로 매우 낮다.[33] 일본은 난민 지위 부여를 중단한 경우도 있지만, 제한된 수의 신청자에게 인도적 이유로 체류 허가를 내주기도 한다.[34] 2016년에는 97명이 이러한 허가를 받았다. 난민 지위 결정은 지연되는 경우가 많고, 추방 명령 확인은 공개되지 않는다.[35]

일본의 난민 신청자 수 증가는 기술 연수 제도의 허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28] 2015년에는 개발도상국 출신 192,655명의 직업 연수생들이 일본에서 일하고 있었는데,[36] 2010년 규정 변경 이후 네팔, 터키, 스리랑카 출신 난민 신청자들이 급증했다.[36] 직업 연수생들은 고용주 변경, 고용 학대 및 저임금에서 벗어나기 위해 난민 신청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37] 난민 신청 후 6개월 후 합법적으로 취업할 수 있었던 허가는 2018년 1월 중단되었고, 불법 이민자 추방 단속이 강화되었다.[38]

2024년 6월, 일본은 난민 지위 신청을 세 번 이상 했지만 승인 근거를 제출하지 않은 이민자를 추방할 수 있도록 이민법을 개정했다.[39]

일본은 중동, 발칸 반도, 아프리카전쟁 다발 지역에서 떨어져 있어 오랫동안 난민과 접할 기회가 적었다. 2005년에는 난민 인정을 요구하는 외국인이 384명에 불과했으나, 2013년에는 3,260명, 2014년에는 5,000명을 넘어서는 등 급증했다.[106]

일본의 난민 인정 기준은 매우 엄격하여 2014년에는 5,000명의 신청자 중 11명만 난민으로 인정되었다.[106][107] 난민 인정 신청은 여러 번 가능하며, 신청 중에는 강제 송환되지 않고 재류 자격을 얻으면 취업도 가능하여 '위장 난민' 문제가 지적되기도 한다.[106] 일본의 난민 인정 제도가 매우 엄격하다는 사실은 국내외에서 비판받고 있으며,[106][108] 난민 인정을 요구하는 소송도 제기되고 있다.[109] 2021년에는 난민 인정 기준의 불투명성 비판에 따라 기준 제정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110]

4. 6. 차별 문제

일본에서는 인종, 민족, 국적 정체성을 구분하지 않으며, 많은 사람들이 일본을 "단일 민족 국가"로 인식한다.[47][48][49] 2005년 아소 다로 총리는 일본을 "하나의 인종, 하나의 문명, 하나의 언어, 하나의 문화"를 가진 국가라고 묘사했고,[50] 2012년에는 전 도쿄도지사 이시하라 신타로가 이 주장을 반복했다.[51] 1984년 일본 국적법 개정으로 시민권은 출생지주의가 아닌 혈통주의가 되었고, 일본 시민권은 배타적이다.[47]

"일본인 한정" (외국인 사절) 간판을 내건 선술집이나 목욕탕이 있으며, 인종이나 출신을 이유로 경찰이 직무 질문을 하는 인종 프로파일링 등의 차별 사례가 있다.

1998년 6월 16일,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의 보석점에서 브라질인 여성이 상품을 보던 중 경영자에게 퇴점을 요구받았고, 이는 인종 차별 행위로 민법 709조의 불법 행위에 해당하여 손해 배상 판결이 내려졌다.

1999년 9월, 홋카이도 정보대학 강사 아리미치 이즈히토는 독일인, 미국인과 함께 홋카이도 오타루시의 입욕 시설 "유노하나"를 방문했을 때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입욕을 거부당했다. 이는 러시아인 선원의 입욕 매너 문제 때문이었으나, 일본으로 귀화한 후에도 입욕을 거절당한 것은 인종 차별에 해당하여 소송으로 이어졌고, 최종적으로 "유노하나" 측에 배상 판결이 내려졌다.

5. 일본의 외국인 관련 법규

일본 법률상, 외국인에 대해 다양한 법적 규제가 존재한다.

=== 공무 관련 ===

일정 공무원에의 취임은 제한되어 있으며, 또한 선거권을 포함한 참정권도 갖지 않는다. 국정에의 참정권은 헌법상으로도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외국인 참정권을 참조.

=== 권리 능력 제한 ===

외국인은 일본 국민과 마찬가지로 권리 능력을 가지지만, 이는 법령 또는 조약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민법 3조 2항). 기안자 중 한 명인 우메 겐지로에 따르면, 외국인에게는 헌법상의 권리 보장이 미치지 않기 때문에 명령에 의한 제한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러나 현행 헌법상으로는 외국인도 인권을 보장받고 있어, 그러한 설명이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현행법상으로는 권리 능력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법 규제가 있다.


  • 외국인 토지법에서 외국인에 대해서는 상호주의 하에 토지에 관한 권리 능력을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 특허법에서 상호주의 하에 원칙적으로 외국인은 특허권 및 기타 특허에 관한 권리에 대해 권리 능력을 가지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광업법에서 일본 국민 또는 일본 법인만이 광업권에 대해 권리 능력을 가지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권리 능력 자체의 제한은 아니지만, 항공법에서는 외국인은 자신이 소유하는 항공기의 등록을 받을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등록을 받을 수 없으면 소유권의 득실·변경을 대항할 수 없으므로, 실질적으로는 권리 능력의 제한과 마찬가지이다.

=== 사회 보장 ===

일본 국내에 주소를 가진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자는 국민연금 가입 의무가 발생한다.[93] 상대국과 사회보장협정을 맺고 있는 경우, 일본의 연금 제도에서의 면제 신청이 가능하다.[94] 국민건강보험의 경우 90일 이상의 재류 기간이 결정된 중장기 재류자는 가입 의무가 발생한다.[90] 단, 일본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로서, 주민기본대장법 제30조의 45에 규정하는 외국인 주민(=중장기 재류자) 이외의 자는 피보험자로 하지 않는다.[90] 재류 자격 "특정 활동" 중, 병원 또는 진료소에 입원하여 질병 또는 상해에 대해 의료를 받는 활동 또는 해당 입원 전후에 해당 질병 또는 상해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료를 받는 활동을 하는 자 및 이러한 활동을 하는 자의 일상생활의 간병을 하는 활동을 하는 자는 피보험자로 하지 않는다.[91] 또한, 재류 자격 "특정 활동" 중, 본방에서 1년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 체류하며, 관광, 휴양 기타 이에 유사한 활동을 하는 자는 피보험자로 하지 않는다.[92]

5. 1. 공무 관련

일정 공무원에의 취임은 제한되어 있으며, 또한 선거권을 포함한 참정권도 갖지 않는다. 국정에의 참정권은 헌법상으로도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외국인 참정권을 참조.

5. 2. 권리 능력 제한

외국인은 일본 국민과 마찬가지로 권리 능력을 가지지만, 이는 법령 또는 조약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민법 3조 2항). 기안자 중 한 명인 우메 겐지로에 따르면, 외국인에게는 헌법상의 권리 보장이 미치지 않기 때문에 명령에 의한 제한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러나 현행 헌법상으로는 외국인도 인권을 보장받고 있어, 그러한 설명이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현행법상으로는 권리 능력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법 규제가 있다.

  • 외국인 토지법에서 외국인에 대해서는 상호주의 하에 토지에 관한 권리 능력을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 특허법에서 상호주의 하에 원칙적으로 외국인은 특허권 및 기타 특허에 관한 권리에 대해 권리 능력을 가지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광업법에서 일본 국민 또는 일본 법인만이 광업권에 대해 권리 능력을 가지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권리 능력 자체의 제한은 아니지만, 항공법에서는 외국인은 자신이 소유하는 항공기의 등록을 받을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등록을 받을 수 없으면 소유권의 득실·변경을 대항할 수 없으므로, 실질적으로는 권리 능력의 제한과 마찬가지이다.

5. 3. 사회 보장

일본 국내에 주소를 가진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자는 국민연금 가입 의무가 발생한다.[93] 상대국과 사회보장협정을 맺고 있는 경우, 일본의 연금 제도에서의 면제 신청이 가능하다.[94] 국민건강보험의 경우 90일 이상의 재류 기간이 결정된 중장기 재류자는 가입 의무가 발생한다.[90] 단, 일본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로서, 주민기본대장법 제30조의 45에 규정하는 외국인 주민(=중장기 재류자) 이외의 자는 피보험자로 하지 않는다.[90] 재류 자격 "특정 활동" 중, 병원 또는 진료소에 입원하여 질병 또는 상해에 대해 의료를 받는 활동 또는 해당 입원 전후에 해당 질병 또는 상해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료를 받는 활동을 하는 자 및 이러한 활동을 하는 자의 일상생활의 간병을 하는 활동을 하는 자는 피보험자로 하지 않는다.[91] 또한, 재류 자격 "특정 활동" 중, 본방에서 1년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 체류하며, 관광, 휴양 기타 이에 유사한 활동을 하는 자는 피보험자로 하지 않는다.[92]

참조

[1] 웹사이트 令和4年6月末現在における在留外国人数について https://www.moj.go.j[...] Immigration Services Agency of Japan 2022-10-14
[2] 웹사이트 人口推計 https://www.stat.go.[...] 2021-09-13
[3] 웹사이트 Japan is bringing in more foreign nationals than you think https://www.japantim[...] 2023-08-06
[4] 웹사이트 Is Japan finally embracing immigration? https://www.spectato[...] 2024-01-07
[5] 간행물 Indian Migrants in Tokyo: A Study of Socio-Cultural, Religious, and Working Worlds [review] https://academic.oup[...] 2024-07-20
[6] 웹사이트 STATISTICS OF JAPANESE GENOCIDE AND MASS MURDER http://www.hawaii.ed[...] 2016-02-15
[7] 서적 Opening the Door, Immigration, Ethnicity and Globalization in Japan Routledge 2002
[8] 서적 Opening the Door, Immigration, Ethnicity and Globalization in Japan Routledge 2002
[9] 뉴스 Japan Pays Foreign Workers to Go Home https://www.nytimes.[...] 2009-08-18
[10] 뉴스 Japan Skirts Immigration Debate by Offering 'Internships' to Foreigners https://www.wsj.com/[...] 2015-04-14
[11] 웹사이트 Japan's Immigration Problem http://www.dir.co.jp[...] Daiwa Institute of Research 2015-05-29
[12] 웹사이트 Interactive charts by the OECD https://data.oecd.or[...] OECD Data 2020-03-16
[13] 웹사이트 Number of Potential Migrants Worldwide Tops 700 Million https://news.gallup.[...] Gallup 2020-03-16
[14] 간행물 The Limits of Immigration Policies: The Challenges of Highly Skilled Migration in Japan 2012
[15] 웹사이트 Japan cries 'Help wanted,' but few foreigners heed the call https://asia.nikkei.[...] 2020-03-17
[16] 웹사이트 Permission for Permanent Residence http://www.immi-moj.[...] 2016-09-28
[17] 웹사이트 Permanent Residence {{!}} MIPEX 2015 http://www.mipex.eu/[...] 2020-03-17
[18] 서적 International Migration Outlook 2012 OECD Publishing 2012
[19] 뉴스 A Look at International Marriage in Japan http://www.nippon.co[...] Nippon Foundation 2015-02-19
[20] 웹사이트 平成23年末現在における外国人登録者統計について 法務省 http://www.moj.go.jp[...] Ministry of Justice 2014-03-10
[21] URL https://www.moj.go.j[...]
[22] URL https://www.moj.go.j[...]
[23] URL https://www.studyinj[...]
[24] 뉴스 Japan welcomes Burmese refugees https://www.bbc.com/[...] 2010-09-28
[25] 뉴스 Japan takes no Syrian refugees yet despite giving $200m to help fight Isis https://www.theguard[...] 2015-09-09
[26] 뉴스 Meet the asylum seekers who are building Japan's roads, despite being banned from working https://www.independ[...] 2016-08-15
[27] 뉴스 Japan grants refugee status to 28 out of over 10,000 applicants http://mainichi.jp/e[...] 2017-02-11
[28] 뉴스 Seeking a Loophole http://www3.nhk.or.j[...] NHK World 2015-10-19
[29] 서적 Japan https://archive.org/[...] ABC Clio 2009
[30] 웹사이트 法務省:平成28年における難民認定者数等について(速報値) http://www.moj.go.jp[...] 2017-02-14
[31] 웹사이트 Japan took in 20 asylum seekers in 2017 from nearly 20,000 applications https://japantoday.c[...] 2018-02-18
[32] 웹사이트 No. of asylum seekers in Japan falls for 1st time in 8 years https://japantoday.c[...] 2019-03-03
[33] 뉴스 Seeking asylum in Japan 'like being in prison' https://www.bbc.com/[...] 2016-06-08
[34] 뉴스 No entry https://www.economis[...] 2015-03-14
[35] 뉴스 Japan Accepted 28 Refugees in 2016 https://www.ft.com/c[...] 2017-02-13
[36] 뉴스 Subaru's secret: Marginalized foreign workers power a Japanese export boom https://www.reuters.[...] Reuters 2015-07-28
[37] 뉴스 Abuses rampant in foreign trainee program, Japan labor ministry finds http://asia.nikkei.c[...] 2016-08-18
[38] 뉴스 Japan rounds up 341 in first crackdown on asylum seekers working illegally https://www.japantim[...] 2018-02-27
[39] 웹사이트 Japan's tougher deportation law to take effect Monday https://asia.nikkei.[...] 2024-06-09
[40] 웹사이트 Basic Plan for Immigration Control (5th Edition) http://www.immi-moj.[...] Japan Ministry of Justice 2016-08-29
[41] 뉴스 Inspectors Knock https://www.economis[...] 2016-08-20
[42] 웹사이트 THE NATIONALITY LAW http://www.moj.go.jp[...] 2020-03-16
[43] 웹사이트 How to Apply for U.S. Citizenship https://www.usa.gov/[...] 2020-03-16
[44] 웹사이트 帰化申請の不許可理由と不許可後の対策について https://dsg.or.jp/co[...] 2021-01-08
[45] 뉴스 Many angles to acquiring Japanese citizenship https://www.japantim[...] 2020-03-16
[46] 뉴스 Number of people who became U.S. citizens reached five-year high in fiscal 2018 https://www.washingt[...] 2020-03-16
[47] 웹사이트 United Kingdom population by ethnic group http://www.statistic[...]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9-09-10
[48] 웹사이트 法務省 http://www.moj.go.jp[...] Moj.go.jp 2014-03-10
[49] 서적 Ways of Forgetting, Ways of Remembering The New Press 2012
[50] 뉴스 Aso says Japan is nation of 'one race'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05-10-18
[51] 간행물 Is Shintaro Ishihara the most dangerous man in Japan? http://www.japantime[...] 2013-05-21
[52] 논문 A Comparative Assessment of Public Opinion toward Immigrants and Immigration Policies
[53] 웹사이트 New Index Shows Least, Most Accepting Countries for Migrants https://news.gallup.[...] 2018-10-25
[54] 웹사이트 Nearly 70% of Japanese say more foreigners are 'good': survey https://asia.nikkei.[...] 2020-03-17
[55] 논문 Varieties of Public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Evidence from Survey Experiments in Japan https://pure.rug.nl/[...] 2021-02-22
[56] 웹사이트 Around the World, More Say Immigrants Are a Strength Than a Burden https://www.pewresea[...] 2020-03-16
[57] 웹사이트 Many worldwide oppose more migration – both into and out of their countries https://www.pewresea[...] 2020-03-16
[58] 웹사이트 51% of Japanese support immigration, double from 2010 survey – AJW by The Asahi Shimbun http://www.asahi.com[...] Ajw.asahi.com 2015-09-06
[59] Citation Countering Public Opposition to Immigration: The Impact of Information Campaigns http://ftp.iza.org/d[...]
[60] 뉴스 Asahi readers say foreigners should assimilate, but Japan must try harder http://www.asahi.com[...] 2016-03-06
[61] 논문 Protecting Japan from immigrants? An ethical challenge to security-based justification in immigration policy 2018
[62] 웹사이트 入管法の改正「今国会、必要ない」64% 朝日世論調査 https://www.asahi.co[...] 2018-11-20
[63] 웹사이트 用語の解説 http://www.moj.go.jp[...] 法務省 2021-04-04
[64] 웹사이트 来日外国人犯罪の検挙状況 https://www.npa.go.j[...] 警察庁 2021-04-04
[65] 간행물 令和4年における外国人入国者数及び日本人出国者数等について https://www.moj.go.j[...] 出入国在留管理庁 2023-03-27
[66] 간행물 令和4年末現在における在留外国人数について https://www.moj.go.j[...] 出入国在留管理庁 2023-03-27
[67] 웹사이트 人口推計(平成29年10月1日現在)‐全国:年齢(各歳),男女別人口 ・ 都道府県:年齢(5歳階級),男女別人口‐ https://www.stat.go.[...] 総務省統計局 2018-11-24
[68] 웹사이트 国籍・地域別 在留資格(在留目的)別 在留外国人 https://www.e-stat.g[...] 独立行政法人統計センター 2021-07-18
[69] 뉴스 【高論卓説】外国人労働者の受け入れ拡大の現状、魅力ある制度へ「共生の視点」が必要 https://web.archive.[...] 2018-09-03
[70] 뉴스 「移民流入」日本4位に 15年39万人、5年で12万人増 https://www.nishinip[...] 2018-09-03
[71] 웹사이트 19年末の在留外国人数、最多の293万人 昨年末7.4%増 ベトナム伸びる https://www.nikkei.c[...] 日経新聞 2021-04-04
[72] 웹사이트 2020年の在留外国人、8年ぶり減少 288万人 https://www.nikkei.c[...] 日経新聞 2021-04-04
[73] 웹사이트 人口推計 https://www.stat.go.[...] 統計局 2023-03-27
[74] 웹사이트 人口推計 https://www.stat.go.[...] 総務省 2024-07-14
[75] 웹사이트 令和5年末現在における在留外国人数について {{!}} 出入国在留管理庁 https://www.moj.go.j[...] 2024-07-13
[76] 문서 在留カードまたは特別永住者証明書の「国籍・地域」欄
[77] 웹사이트 第1表 国籍・地域別 在留資格(在留目的)別 在留外国人(令和2年(2020年)12月末日現在) https://www.e-stat.g[...] 出入国在留管理庁 2022-04-18
[78] 문서 2012年(平成24年)に[[中華民国|台湾]]と分離。
[79] 문서 2015年(平成27年)に朝鮮と分離。2010年(平成22年)までは韓国・朝鮮で[[朝鮮]]を含む。過去の複雑な経緯があり韓国政府の旅券及び保護を受けていなくても日本の外国人登録上は「韓国」となっている人がいるので「大韓民国」と書くのは妥当でない。実際の登録証明書上も「韓国」または「朝鮮」となっていて「大韓民国」「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北朝鮮」などの表記は使用されていない。
[80] 문서 2012年(平成24年)に[[中華人民共和国|中国]]から分離。また、「台湾」のうち中長期在留者及び特別永住者については,既に国籍・地域欄に「台湾」の記載のある在留カード又は特別永住者証明書の交付を受けた人の数である。
[81] 문서 [[日米地位協定]]第9条第2項により、[[パトリオット・エクスプレス]]や[[軍港]]を通じて日本に出入境する[[在日米軍]][[軍人]]・[[軍属]]やその[[家族]]は出入国管理・外国人登録の対象外であるため、その数は含まれない。また[https://www.jiji.com/jc/graphics?p=ve_pol_seisaku-anpoboei20160619j-01-w480 米軍関係者の居住数は公開していない]。
[82] 문서 2015年(平成27年)に韓国から分離。
[83] 문서 ロシアの1980年(昭和55年)、1990年(平成2年)は#REDIRECT の数字。旧ソ連構成国15カ国の合計は、2015年(平成27年)で13,908人。
[84] 문서 ドイツの1990年(平成2年)、1980年(昭和55年)は旧東独地域を含む。
[85] 문서 2,000人以上のトルコ国籍の[[在日クルド人|クルド人]]を含む。
[86] 문서 2012年(平成24年)に[[中華民国|台湾]]と分離。2010年(平成22年)までは[[中華民国|台湾]]を含む。
[87] 문서 2015年(平成27年)に朝鮮と分離。2010年(平成22年)までは[[朝鮮]]を含む。
[88] 문서 [[日米地位協定]]第9条第2項により、[[パトリオット・エクスプレス]]や[[軍港]]を通じて日本に出入境する[[在日米軍]][[軍人]]・[[軍属]]やその[[家族]]は出入国管理・外国人登録の対象外であるため、その数は含まれない。外務省の資料「[https://www.mofa.go.jp/ICSFiles/afieldfile/2008/02/22/2.pdf 在日米軍の施設・区域内外居住(人数・基準)]」によると、2008年(平成20年)3月31日時点で、施設内外に居住する在日米軍軍人・軍属・家族の総数は94217人。
[89] 웹사이트 文部科学省 外国人の子どもの公立義務教育諸学校への受入について https://www.mext.go.[...]
[90] 문서 国民健康保険法施行規則 第1条の一
[91] 문서 国民健康保険法 施行規則 第1条の二
[92] 문서 国民健康保険法施行規則 第1条の三
[93] 문서 [[国民年金法]]第7条
[94] 문서 社会保障協定の実施に伴う国民年金法施行規則及び厚生年金保険法施行規則の特例等に関する省令
[95] 웹사이트 第1部 出入国管理をめぐる近年の状況 第2章 外国人の退去強制手続業務の状況 第2節 退去強制手続を執った入管法違反事件の概要 3 違反審判の概況 (4)在留特別許可 http://www.moj.go.jp[...] 法務省入国管理局 2009-10
[96] 뉴스 2007入管白書 急増する中国籍 http://www.onekorean[...] 統一日報 2007-10-03
[97] 웹사이트 本邦における不法残留者数について - 平成23(2011)年1月1日現在 http://www.moj.go.jp[...] 法務省入国管理局 2011-04-05
[98] 웹사이트 国籍・地域別 男女別 不法残留者数の推移 https://www.moj.go.j[...] 出入国在留管理庁 2021-04-04
[99] 웹사이트 「不法就労外国人対策キャンペーン月間」の実施について http://www.moj.go.jp[...] 法務省入国管理局 2006-06
[100] 웹사이트 「情報受付」 https://www.moj.go.j[...] 法務省入国管理局
[101] 웹사이트 新しい入国審査手続(個人識別情報の提供義務化)の概要について http://www.immi-moj.[...] 法務省入国管理局 2007-07
[102] 뉴스 JR西日暮里スプレー噴射事件 密入国ルート http://www.onekorean[...] 統一日報 2006-04-12
[103] 웹사이트 密航事犯について https://www.kaiho.ml[...] 2018-05-20
[104] 웹사이트 「長期収容は人権侵害」入管法改正案に無言の抗議 大阪でデモ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5-06
[105] 웹사이트 SOS聞き入れられず…名古屋入管で亡くなった33歳スリランカ人女性 「助けてあげたかった」支援者の無念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1-05-06
[106] 뉴스 「難民で稼ぐ国」と「難民が稼ぐ国」…日本は「難民を見ない国」 https://www.nikkei.c[...] 2015-03-18
[107] 뉴스 去年の難民申請5000人 認定わずか11人 http://www3.nhk.or.j[...] 2015-03-18
[108] 뉴스 難民に冷たい国でいいのか https://www.nikkei.c[...] 2015-03-18
[109] 뉴스 シリア人男性4人 難民認定求め提訴 http://www3.nhk.or.j[...] 2015-03-18
[110] 웹사이트 難民の認定基準に「ジェンダー」 初の指針で規定へ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05-06
[111] 뉴스 幸福度1位はフィンランド=日本は54位に後退-国連報告書 https://web.archive.[...] 2018-08-26
[112] 웹사이트 World Happiness Report 2018 https://s3.amazonaws[...] 持続可能開発ソリュ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2018-08-26
[113] 웹사이트 2021年人身取引報告書(日本に関する部分) https://jp.usembassy[...] 在日アメリカ大使館 2022-03-25
[114] 웹사이트 2020年人身取引報告書(日本に関する部分) https://jp.usembassy[...] 在日アメリカ大使館 2021-04-04
[115] 웹사이트 人身売買報告で日本格下げ 米国、技能実習生など問題視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04-04
[116] 뉴스 老舗韓国クラブのママを逮捕 入管難民法違反の疑い 警視庁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08-10-29
[117] 뉴스 日 거주 외국인 48년 만에 첫 감소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