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길기트발티스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길기트발티스탄은 파키스탄 북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14세기에 나갈 왕국과 훈자 왕국이 건국되었고, 1877년에는 길기트 행정구역이 설치되었다. 이 지역은 카라코람 산맥과 히말라야 산맥에 걸쳐 있으며, K2를 비롯한 세계적인 고봉들이 위치해 있다. 역사적으로는 티베트, 중국, 이슬람 세력의 영향을 받았으며, 1947년 파키스탄 독립 이후 파키스탄의 통치를 받고 있지만, 헌법적으로는 파키스탄의 영토가 아니다. 길기트발티스탄은 다양한 민족, 언어, 종교가 공존하며, 주요 도시로는 길기트, 스카르두, 칠라스, 카리마바드 등이 있다. 경제는 농업, 관광, 그리고 중국과의 무역에 기반하고 있으며, 특히 등산과 트레킹이 활발하다. 2017년 기준 인구는 약 150만 명이며, 우르두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시나어, 발티어, 부르샤스키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키스탄의 주 - 신드주
    신드 주는 파키스탄 남부에 위치하며 인더스 문명의 중심지였고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이슬람화가 진행, 수피즘 문화가 발달했으며 파키스탄 독립 후 파키스탄에 편입되어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지닌 주로서 카라치가 주요 도시이다.
  • 파키스탄의 주 - 발루치스탄주
    발루치스탄주는 파키스탄 남서부에 위치한 가장 넓은 주로,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며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경제 발전은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다.
  • 인도의 영토 분쟁 - 도클람
    도클람은 부탄, 중국, 인도의 국경 지대로, 중국과 부탄 사이에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2017년 중국의 도로 건설로 인해 인도와 군사적 대치 상황이 발생했으나 상호 철수에 합의하며 종식되었다.
  • 인도의 영토 분쟁 - 인도-방글라데시 월경지
    인도-방글라데시 월경지는 쿠치베하르 왕국과 무굴 제국 간의 불분명한 국경에서 비롯된 인도와 방글라데시 내 상대국 영토로, 2015년 토지경계협정을 통해 해결되었으나 사회적 과제가 남았다.
  • 카슈미르 - 카슈미르 분쟁
    카슈미르 분쟁은 인도 아대륙의 카슈미르 지역을 두고 인도, 파키스탄, 중국 간에 벌어지는 영토 분쟁으로,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할 이후 카슈미르 지역 귀속 문제로 시작되어 현재 각국이 일부를 통치하며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
  • 카슈미르 - 아자드 카슈미르
    아자드 카슈미르는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이후 파키스탄의 통제하에 있는 카슈미르 지역의 일부로, 명목상 자치 정부를 수립했으나 파키스탄 정부의 통제를 받으며 무자파라바드, 미르푸르, 라왈라코트 등의 주요 도시가 있고 파하리어, 카슈미르어, 구자리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길기트발티스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인도, 파키스탄, 중국이 통제하는 지역을 보여주는 분쟁 지역 카슈미르 지도
파키스탄이 관리하는 두 지역을 세이지 그린으로 음영 처리한 카슈미르 분쟁 지역 지도.
파키스탄 내 길기트발티스탄 지도
길기트발티스탄 위치 지도
동쪽에 있는 삼각형 지역(시아첸 빙하)은 불확실.
상단: 비아포 빙하
하단: 낭가파르바트 산
기본 정보
별칭
행정
수도길기트
최대 도시스카르두
정부 형태행정 지역
관할 정부길기트발티스탄 정부
총독사이드 메흐디 샤
수석 장관굴바르 칸
최고 서기관아흐메드 알리 미르자 ((BPS 21-PAS))
의회길기트발티스탄 의회
고등 법원길기트발티스탄 대법원
언어발티어, 시나어, 와키어, 부루샤스키어, 코와르어, 도마키어, 푸르기어, 창탕어, 브록스카트어, 라다크어, 우르두어(행정)
지리
면적72496 km²
인구
총 인구 (2017년)1,492,924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파키스탄 표준시(PKT)
UTC 오프셋+05:00
기타 정보
ISO 코드PK-GB
의회 의석수33석
구역3개
14개
테실31개
유니언 카운슬113개
인간 개발 지수 (2019년)0.592 (중간)
공식 웹사이트길기트발티스탄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길기트와 발티스탄은 아자드 카슈미르와 함께 "파키스탄이 실효 지배하는 카슈미르"라고 불린다. 이 지역은 북쪽으로 아프가니스탄, 북동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남쪽으로 아자드 카슈미르, 남동쪽으로 인도의 잠무 카슈미르 연방 직할령 및 라다크 연방 직할령과 접한다.

14세기에는 나갈 번왕국이, 15세기에는 훈자 번왕국이 건국되었다. 1877년에는 길기트 행정구역이 설치되었고, 1891년에는 영국령 인도 제국이 나갈 번왕국과 훈자 번왕국에 침공한 훈자-나갈 전쟁이 발발했다.

1839년 굴랍 싱에게 충성을 맹세한 도그라 사령관 조라와르 싱이 발티스탄 원정을 시작해 1840년 스카르두를 정복했다.[46] 제1차 영국-시크 전쟁 이후, 이 지역은 1846년부터 도그라족의 지배를 받아온 잠무 카슈미르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길기트 지역 주민들은 카슈미르인과 민족적으로 다르다고 인식하여 카슈미르의 지배를 싫어했다.

파키스탄 독립 후, 잠무 카슈미르는 초기에는 독립국으로 남아 있었다. 1947년 10월 푼치 반란과 잠무 무슬림 학살 이후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은 부족 민병대가 침입하자, 하리 싱은 인도에 지원을 요청하고 가입 문서에 서명했다. 윌리엄 브라운 소령은 1947년 11월 총독 간사라 싱을 축출하는 반란을 일으켰고, 이후 파키스탄에 인수를 요청하여 11월 16일 파키스탄의 행정 통치가 시작되었다.[53]

1948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카슈미르 문제에 대한 결의안을 통과시켰지만, 양측의 철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58][59] 1949년 카라치 협정에 따라 길기트발티스탄의 행정권은 파키스탄 연방 정부로 이양되었다.

1970년, 길기트 기관과 발티스탄은 "북부 지역"으로 통합되었다.[62] 1963년 중국-파키스탄 국경 협정으로 파키스탄은 중국에 샤크스감 지구를 할양했다.[63][64] 1974년, 길기트 발티스탄의 주민 신분법이 폐지되어 다른 지역 파키스탄인들의 토지 구입 및 정착이 가능해졌다.[65]

파키스탄 헌법은 길기트발티스탄을 파키스탄의 일부로 다루지 않으며, 법적으로 주가 아니다. 2020년 임란 칸 총리가 준주 격상을 발표했지만, 헌법 개정이 필요하며 2021년 관련 절차가 중단되었다.[139][140][141]

2. 1. 초기 역사

270px


길기트-발티스탄, 특히 훈자파수 마을에서 발견된 암각화는 기원전 2000년부터 인간이 거주했음을 시사한다.[24] 티베트 고원에 인간이 정착한 후 수세기 안에 이 지역은 발티스탄의 발티족보다 먼저 티베트인들이 거주하게 되었다. 오늘날 발티스탄은 지리적 및 문화적으로 (종교는 제외) 라다크와 유사하다. 다르드족은 주로 서부 지역에 거주하며, 길기트, 칠라스, 아스토르, 디아미르에서는 시나어를 사용하고, 훈자와 상부 지역에서는 부루샤스키어코와르어 사용자가 주로 거주한다. 다르드족은 헤로도토스의 저서에 언급된다.[25] 1세기에는 이 지역 사람들이 본교를 믿었고, 2세기에는 불교를 실천했다.

399년에서 414년 사이에 중국 불교 순례자 법현이 길기트-발티스탄을 방문했다.[26] 6세기에는 소마나 팔롤라(길기트-칠라스 대부분)가 알려지지 않은 왕에 의해 통치되었다. 627년에서 645년 사이에는 중국 불교 순례자 현장이 인도로 가는 순례길에서 이 지역을 통과했다.

당나라의 중국 기록에 따르면, 600년대에서 700년대 사이에 이 지역은 '볼뤼'(勃律)라고 불리는 불교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이는 '팔롤라', '파톨라', '발루르'로도 음역된다.[27] 이들은 브라흐미 비문[28]에 언급된 파톨라 샤히 왕조로 여겨지며, 밀교의 독실한 신자였다.[29] 당시 소팔롤라(小勃律)는 길기트를, 대팔롤라(大勃律)는 발티스탄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지만, 기록에서는 두 지역을 일관되게 구분하지 않는다.

780년~790년경 티베트 제국의 영토를 보여주는 지도로 길기트-발티스탄 지역이 제국 영토에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600년대 중반, 서돌궐 칸국이 당나라의 군사 원정으로 멸망한 후 길기트는 중국의 간섭 하에 들어갔다. 600년대 후반에는 떠오르는 티베트 제국이 중국으로부터 이 지역의 지배권을 빼앗았다. 그러나 서쪽의 우마이야 칼리파국과 그 후 압바스 칼리파국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티베트는 이슬람 칼리파국과 동맹을 맺어야 했다. 그 후 700년대 중반까지 중국군과 티베트군, 그리고 각각의 속국들이 이 지역을 다투었다.[30] 길기트의 통치자들은 당나라와 동맹을 맺고 아랍인들을 막았다.[31]

644년에서 655년 사이에 '나바수렌드라디티야-난딘'이 길기트의 팔롤라 샤히 왕조의 왕이 되었다.[32] 다뇨르 암각문을 포함한 수많은 산스크리트 비문이 그의 통치 시대의 것으로 밝혀졌다.[33] 600년대 후반과 700년대 초반에는 자야망갈라비크라마디티야-난딘이 길기트의 왕이었다.[32]

중국 궁정 기록에 따르면, 717년과 719년에 수푸셰리지리니(蘇弗舍利支離泥)라는 대팔롤라(발티스탄) 통치자의 사절단이 중국 황실에 도착했다.[34][35] 적어도 719/720년까지 라다크(마르드)는 티베트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그 당시 발티스탄에서는 불교가 행해졌고, 산스크리트어가 문어였다.

720년에 '수렌드라디티야'(蘇麟陀逸之)의 사절단이 중국 황실에 도착했다. 중국 기록에서는 그를 대팔롤라의 왕으로 언급했지만, 당시 발티스탄이 길기트의 지배하에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36] 중국 황제는 또한 카슈미르의 통치자 찬드라피다("첸포로필리")에게 "카슈미르 왕"이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721/722년까지 발티스탄은 티베트 제국의 영향력 아래에 들어왔다.[37]

721년~722년에 티베트 군대는 길기트나 브루자(야신 계곡)를 점령하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중국 기록에 따르면, 이 무렵 소팔롤라의 왕은 모칭망(沒謹忙)이었다. 그는 티베트인들에 대한 군사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당나라 궁정을 방문했다.[36] 723년에서 728년 사이에 한국 불교 순례자 혜초가 이 지역을 통과했다. 737/738년에 메 아그촘 황제의 장관 벨 퀘상 돈츠압의 지휘 아래 티베트 군대가 소팔롤라를 장악했다. 747년까지 한국계 사령관 고선지의 지휘 아래 중국군이 소팔롤라를 탈환했다.[38] 그 후 753년에 군사 총독 봉창칭의 지휘 아래 중국군이 대팔롤라를 점령했다. 그러나 755년 안사의 난으로 인해 당나라 군대는 철수했고 더 이상 중앙아시아나 길기트-발티스탄 주변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게 되었다.[39] 이 지역의 지배권은 티베트 제국에 넘어갔다. 그들은 이 지역을 브루자라고 불렀는데, 이 지명은 오늘날 사용되는 "부루쇼" 민족명과 일치한다. 티베트의 지배는 800년대 후반까지 지속되었다.[40]

조로아스터교를 실천하는 투르크 부족이 7세기에 길기트에 도착하여 길기트에 트라칸 왕조를 세웠다.[31] 14세기, 페르시아와 중앙아시아 출신의 수피즘 무슬림 설교자들이 발티스탄에 이슬람교를 전파했다. 그중 유명한 인물은 카슈미르를 거쳐 온 미르 사이드 알리 하마다니이다.[41] 길기트 지역에는 같은 세기에 투르크계 타르칸(Tarkhan) 통치자들을 통해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 길기트-발티스탄은 여러 지역 통치자들이 지배했는데, 그중 스카르두의 마크폰 왕조와 훈자의 라자(Raja)들이 유명했다.

2. 2. 중세 역사

1839년 11월, 굴랍 싱에게 충성을 맹세한 도그라 사령관 조라와르 싱이 발티스탄 원정을 시작했다.[46] 1840년까지 그는 스카르두를 정복하고 통치자 아흐마드 샤를 사로잡았다. 아흐마드 샤는 이후 조라와르 싱과 함께 티베트 서부 습격에 동행하도록 강요받았다. 한편 바그완 싱은 스카르두의 관리(타나다르(thanadar))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다음 해 론두의 알리 칸, 시가르의 하이달 칸, 카플루의 다울라트 알리 칸은 발티스탄에서 도그라에 대항하는 성공적인 봉기를 주도하여 스카르두에서 도그라 사령관 바그완 싱을 사로잡았다.[47]

1842년, 카르탁쇼의 알리 셰르 칸 3세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은 도그라 사령관 와지르 라크파트는 두 번째로 발티스탄을 정복했다. 카르포초 요새는 격렬하게 함락되었다. 도그라에 대항한 봉기의 지도자 중 한 명인 시가르 출신의 하이달 칸[48]은 투옥되어 감금 중 사망했다. 고사운이 발티스탄의 관리(타나다르)로 임명되었고, 1860년까지 길기트-발티스탄 전체 지역은 시크족과 그 후 도그라족의 지배하에 있었다.[49][50]

제1차 영국-시크 전쟁에서 시크족이 패배한 후, 이 지역은 1846년부터 도그라족의 지배를 받아온 잠무 카슈미르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길기트 지역 주민들은 자신들이 카슈미르인과는 민족적으로 다르다고 인식하고 카슈미르 국가의 지배를 싫어했다. 이 지역은 1947년 11월 1일까지 일부 지역이 영국에 임시로 임대되는 상태로 공국에 남아 있었다.

14세기에는 나갈 번왕국이, 15세기에는 훈자 번왕국이 건국되었다.

1877년에는 길기트 행정구역이 설치되었다.

1891년에는 영국령 인도 제국이 나갈 번왕국과 훈자 번왕국에 침공한 훈자-나갈 전쟁이 발발했다.

2. 3.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시대

파키스탄 독립 후, 잠무 카슈미르는 초기에는 독립국으로 남아 있었다. 1947년 10월 22일, 푼치 반란과 잠무 무슬림 학살 이후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은 부족 민병대가 잠무와 카슈미르 국경을 넘었다.[51][52] 하리 싱은 인도에 지원을 요청하고 가입 문서에 서명하여 그의 국가를 인도의 일부로 만들었다. 인도는 카슈미르 계곡을 방어하기 위해 공수부대를 투입했고 침입자들은 우리 뒤로 밀려났다.

길기트 주민들은 인도에 대한 주의 가입을 지지하지 않았다. ''프런티어 일라카스''(길기트와 인접한 산악 주)의 무슬림들은 파키스탄에 합류하기를 원했다. 마하라자의 길기트 스카우트 사령관인 윌리엄 브라운 소령은 그들의 불만을 감지하고 1947년 11월 1일 총독 간사라 싱을 축출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이 무혈 쿠데타는 "닷타 켈"이라는 암호명 아래 브라운에 의해 세부적으로 계획되었으며, 잠무 카슈미르 주군의 반란 세력인 미르자 하산 칸도 참여했다. 브라운은 국고가 안전하게 보관되고 소수 민족이 보호되도록 했다. 길기트 주민들은 라자 샤 래이스 칸을 대통령으로, 미르자 하산 칸을 사령관으로 하는 임시 정부(''아부리 하쿠마트'')를 수립했다. 그러나 브라운 소령은 이미 칸 압둘 카유움 칸에게 전보를 보내 파키스탄에 인수를 요청했다. 파키스탄의 정치 대리인인 칸 모하마드 알람 칸은 11월 16일에 도착하여 길기트의 행정을 인수했다.[53]

임시 정부는 16일 동안 지속되었다. 학자 야쿠브 칸 방가쉬에 따르면, 그것은 주민들에게 영향력이 없었다. 길기트 반란에는 민간인의 참여가 없었고, 단지 군 지도자들의 작품이었으며, 그들 모두가 적어도 단기적으로 파키스탄에 합류하는 것을 찬성했던 것은 아니었다. 역사가 아메드 하산 다니는 반란에 대중의 참여가 부족했지만, 친파키스탄 정서는 민간인들 사이에서 강렬했고, 카슈미르 반대 정서도 분명했다고 말한다. 여러 학자들에 따르면, 길기트 주민들뿐만 아니라 칠라스, 코 기즈르, 이슈코만, 야신, 푸니알, 나가르 주민들은 자신의 선택으로 파키스탄에 합류했다.[54][55][56]

길기트를 장악한 후, 길기트 스카우트는 아자드 불규칙군과 함께 발티스탄과 라다크로 이동하여 1948년 5월까지 스카르두를 점령했다. 그들은 스카르두를 구원하기 위해 파견된 인도군의 증원을 성공적으로 차단하고 카르길로 진격했다. 인도군은 1948년 가을에 라다크에서 그들을 몰아내기 위한 공세를 펼쳤지만, 발티스탄은 반군의 영토로 들어왔다.[57]

1948년 1월 1일, 인도는 잠무와 카슈미르 문제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 제기했다. 1948년 4월, 안전 보장 이사회는 파키스탄이 잠무와 카슈미르 전체에서 철수하고 인도가 군대를 최소 수준으로 감축한 다음, 국민의 의사를 확인하기 위한 주민 투표가 실시되어야 한다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58] 그러나 철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인도는 파키스탄이 먼저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파키스탄은 인도가 그 후에 철수할 보장이 없다고 주장했다.[59]

2. 4. 제1차 카슈미르 전쟁

길기트발티스탄 주민들은 마하라자 하리 싱으로부터 독립한 후 파키스탄에 합류하고자 했지만, 파키스탄은 이 지역이 잠무 카슈미르와 관련되어 있었기에 이 지역을 병합하는 것을 거부했다.[143] 파키스탄에 합류한 후 짧은 기간 동안 길기트발티스탄은 아자드 카슈미르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이는 잠무 카슈미르에 대한 대안 정부라는 주장 하에 "이론적으로는 그렇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143] 1949년 아자드 카슈미르 정부는 카라치 협정에 따라 길기트발티스탄의 행정권을 연방 정부에 이양했다. 인도 언론인 폴 사히니는 이를 파키스탄이 길기트발티스탄에 대한 지배를 합법화하려는 시도로 보았다.[143]

파키스탄 분석가 에르샤드 마무드에 따르면, 행정권이 아자드 카슈미르에서 파키스탄으로 이양된 이유는 두 가지이다.[143]

  • 아자드 카슈미르에서 이 지역에 접근하기 어려웠다.
  • 아자드 카슈미르와 파키스탄 정부 모두 이 지역 주민들이 카슈미르의 최종 지위에 대한 잠재적 국민투표에서 파키스탄에 합류하는 것을 지지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국제위기그룹에 따르면, 카라치 협정은 길기트발티스탄에서 매우 인기가 없는데, 그 이유는 길기트발티스탄의 운명이 결정되는 과정에서도 이 협정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43]

2. 5. 파키스탄 내 지위 변천

헌법적으로, 길기트발티스탄은 파키스탄의 영토가 아니다. 이는 카슈미르 전역의 국민투표를 통해 카슈미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함이다.[143] 길기트발티스탄 주민들은 다른 카슈미르와 별개의 주로 파키스탄에 통합되기를 바라고 있다.[144][145] 2015년에는 중국-파키스탄 경제 회랑(CPEC) 관련해서 파키스탄 정부가 길기트발티스탄을 정식으로 자국령으로 편입할 뜻을 밝히기도 했다.[146]

길기트발티스탄 주민들은 마하라자 하리 싱으로부터 독립한 후 파키스탄에 합류하고자 했지만, 파키스탄은 이 지역이 잠무 카슈미르와 관련되어 있었기에 이 지역을 병합하는 것을 거부했다. 파키스탄에 합류한 후 짧은 기간 동안 길기트발티스탄은 아자드 카슈미르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이는 잠무 카슈미르에 대한 대안 정부라는 주장 하에 "이론적으로는 그렇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1949년 아자드 카슈미르 정부는 카라치 협정에 따라 길기트발티스탄의 행정권을 연방 정부에 이양했다. 인도 언론인 폴 사히니에 따르면, 이는 파키스탄이 길기트발티스탄에 대한 지배를 합법화하려는 시도로 여겨진다.

파키스탄 분석가 에르샤드 마무드에 따르면, 행정권이 아자드 카슈미르에서 파키스탄으로 이양된 이유는 두 가지이다.

  • 아자드 카슈미르에서 이 지역에 접근하기 어려웠다.
  • 아자드 카슈미르와 파키스탄 정부 모두 이 지역 주민들이 카슈미르의 최종 지위에 대한 잠재적 국민투표에서 파키스탄에 합류하는 것을 지지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국제위기그룹에 따르면, 카라치 협정은 길기트발티스탄에서 매우 인기가 없는데, 그 이유는 길기트발티스탄의 운명이 결정되는 과정에서도 이 협정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때부터 1990년대까지 길기트발티스탄은 식민 시대의 국경 범죄 규정에 따라 통치되었는데, 이 규정은 원래 북서부 부족 지역을 위해 만들어졌다. 이 규정은 부족민들을 "야만적이고 미개한" 존재로 취급하여 집단 벌금과 처벌을 부과했다.[61] 사람들은 법적 대리인이나 항소권이 없었다.[61] 부족 구성원들은 어디든 이동하기 전에 경찰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했고, 자신의 이동 경로를 경찰에 알려야 했다. 이 기간 동안 민주적인 체제는 없었다. 모든 정치적 및 사법적 권력은 카슈미르 및 북부 지역 담당부(KANA)의 손에 있었다. 길기트발티스탄 주민들은 파키스탄과 아자드 카슈미르 시민들이 누리는 권리를 박탈당했다.

이러한 상황의 주된 이유는 길기트발티스탄의 오지였기 때문이었다. 또 다른 요인은 파키스탄 전체가 민주적 규범과 원칙이 부족했기 때문에 연방 정부가 이 지역의 민주적 발전을 우선시하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또한 활발한 시민 사회가 부족하고 젊은 교육받은 주민들이 대개 이 지역에 머무르는 대신 파키스탄의 도시 중심지에 거주하기를 선택했기 때문에 여론의 압력도 부족했다.

1970년, 길기트 기관과 발티스탄 두 지역이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통합되어 "북부 지역"이라는 이름을 얻었다.[62] 1963년 중국-파키스탄 국경 협정 체결 후, 파키스탄은 중국에 샤크스감 지구를 할양했다.[63][64] 1969년 북부 지역 자문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1974년 북부 지역 위원회로, 1994년에는 북부 지역 입법 위원회로 개명되었다. 그러나 입법권은 없었다. 모든 입법권은 파키스탄 KANA 부처에 집중되어 있었다. 1994년, KANA 부처는 이 지역의 사실상 헌법 역할을 하는 법적 체계 명령을 제정했다.

1974년, 길기트 발티스탄에서 기존의 주민 신분법이 폐지되었고, 다른 지역의 파키스탄인들이 토지를 구입하고 정착할 수 있게 되었다.[65]

1984년 카라코람 고속도로 개통으로 이 지역의 중요성이 파키스탄 내에서 급상승했고, 이 지역 주민들은 파키스탄 본토와 더욱 연결되었다. 연결성 개선으로 지역 주민들은 파키스탄 다른 지역의 교육 기회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파키스탄과 아자드 카슈미르의 정당들이 지역 지부를 설립하고 지역 내 정치적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에르샤드 마흐무드에 따르면, 이러한 파키스탄 정당들은 길기트발티스탄 주민들 사이에서 민주적 권리 운동을 조직하는 데 "칭찬할 만한 역할"을 했다.

파키스탄 헌법에서는 길기트발티스탄을 파키스탄의 일부로 다루지 않으며, 법적으로는 주가 아니다. 2020년 11월 1일 파키스탄의 임란 칸 총리가 지역을 준주로 격상한다고 발표했지만, 헌법 개정이 필요하다.[139] 2021년 지역 의회는 준주 승격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했지만,[140] 칸 총리의 퇴진으로 인해 절차가 중단되었다.[141]

3. 지리

길기트발티스탄은 북서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와한 회랑,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신장 위구르 자치구, 남동쪽으로는 인도의 지배 하에 있는 잠무 카슈미르 주와 국경을 접한다. 또한 파키스탄 국내에서는 동남쪽으로는 파키스탄의 아자드 카슈미르 지역과 서쪽으로는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 지역과 경계를 가진다.

카라코람산맥 영역의 중심과 서부 히말라야산맥을 이루고 있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들이 여럿 존재한다. 북쪽에는 파미르고원이 있으며 서부에는 힌두쿠시 계곡이 자리잡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중에 하나인 K2와 낭가파르바트 등이 이곳에 존재한다.

지역 전체에 카라코람 산맥의 험준한 산들이 펼쳐져 있으며, 그 사이로 인더스강과 그 지류가 흐른다. 지역 중앙부를 남북으로 카라코람 고속도로가 관통한다.

4. 기후

길기트발티스탄의 기후는 주변 산맥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동쪽은 서히말라야산맥의 습윤 지역에 속하지만, 카라코람산맥힌두쿠시산맥 쪽으로 갈수록 건조해진다.[95]

길기트, 칠라스와 같은 도시는 여름철 낮에는 매우 덥지만, 밤에는 쌀쌀하다. 반면 아스토레, 카플루, 야신, 훈자, 나가르 같은 계곡 지역은 여름에도 시원한 날씨를 유지한다.[96]

5. 행정 구역

길기트발티스탄은 행정적으로 발티스탄, 디아메르, 길기트의 세 행정 구역으로 나뉘며,[89] 각 행정 구역은 다시 14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주요 행정 중심지는 길기트스카르두이다.

행정구역구역면적 (km2)행정 중심지인구 (2013)[90]행정구역 중심지
발티스탄간체4052km2카플루108,000스카르두
시가르8500km2시가르-
카르망5500km2카르망-
스카르두8700km2스카르두305,000*
룬두NA담부다스NA
길기트길기트14672km2길기트222,000길기트
기저9635km2가쿠치190,000
훈자7900km2알리아바드70,000 (2015)
나가르5000km2나가르51,387 (1998)[90]
구피스-야신NA판더NA
디아메르디아메르10936km2칠라스214,000칠라스
아스토르5092km2에이드가114,000
다렐NA다렐NA
탕기르NA탕기르NA


  • 스카르두, 시가르, 카르망, 룬두 구의 총 인구. 시가르와 카르망 구는 1998년 이후 스카르두 구에서 분리되었다.


길기트발티스탄은 세 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뉜다.


2019년 기준 14개의 구역.

6. 주요 도시

7. 경제

이 지역의 경제는 주로 역사적인 실크로드와 같은 전통적인 무역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중국 무역기구 포럼을 통해 이 지역 주민들은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이웃 국가인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부터 현대적인 무역 노하우를 배웠다. 이후 상공회의소 설립과 고잘 훈자의 수스트 내륙항은 중요한 이정표이다. 나머지 경제는 주로 농업과 관광에 의존한다. 농산물로는 밀, 옥수수, 보리, 과일 등이 있다.[97][98] 관광은 주로 트레킹과 등산이며, 이 산업은 점점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길기트발티스탄의 명목 국민총생산(GSP)은 25억달러이며, 1인당 명목 GSP는 1748USD이다.[99] 길기트발티스탄의 구매력평가(PPP) 기준 GSP는 100억 달러이며, 1인당 GSP(PPP)는 6028USD이다.[99]

2009년 9월 초 파키스탄중화인민공화국과 길기트발티스탄에서 7000MW 규모의 댐을 훈자 지구의 분지에 건설하는 것을 포함한 대규모 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협정을 체결했다.[1]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은 신장과 파키스탄 내륙을 길기트발티스탄을 통해 연결하며, 파키스탄 정부는 길기트발티스탄 주민들이 CPEC 및 기타 개발 프로젝트의 혜택을 받기를 기대하고 있다.[75][100]

길기트에 있는 Sui Northern Gas Pipelines Limited LPG 혼합 플랜트


길기트는 파키스탄 독립 이후 다른 도시들과 달리 가스관 인프라를 갖추지 못했다. 다른 주에서 가스통을 수입하여 많은 민간 가스업체들이 가스통을 판매하고 있다. Sui Northern Gas Pipelines Limited의 LPG(액화석유가스) 공기 혼합 플랜트 프로젝트는 2020년에 길기트에 가스 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목표로 공개되었다. 이는 주민들이 난방과 조명에 나무를 사용하기 때문에 삼림 벌채를 크게 줄일 것이다. 첫 번째 본사가 길기트 시티에 건설되었다.[103]

스카르두 지구(Skardu District)에서 산출되는 엘바이트.


길기트 지구(Gilgit District)에서 산출되는 아쿠아마린·베릴.


엘바이트와 아쿠아마린·베릴 등이 산출된다.

8. 주민

14세기, 페르시아와 중앙아시아 출신의 수피즘 무슬림 설교자들이 발티스탄에 이슬람교를 전파했다. 그중 유명한 인물은 카슈미르를 거쳐 온 미르 사이드 알리 하마다니이다.[41] 같은 세기에 길기트 지역에는 투르크계 타르칸(Tarkhan) 통치자들을 통해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

길기트발티스탄의 카라코람 고속도로를 따라 5만 개가 넘는 암각화와 비문이 존재하며, 특히 훈자(Hunza (princely state))와 샤티알(Shatial) 사이의 10개 주요 유적지에 집중되어 있다. 이 조각들은 무역로를 따라 이동한 침입자, 상인, 순례자들과 현지인들이 남긴 것이다. 가장 오래된 것들은 기원전 5000년에서 1000년 사이의 것으로 추정되며, 단독 동물, 삼각형 모양의 인물, 그리고 사냥꾼보다 동물이 더 크게 묘사된 사냥 장면 등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석조 조각들은 돌 도구로 바위에 새겨졌으며, 두꺼운 녹청으로 덮여 있어 오랜 세월을 증명한다. 민족학자 카를 젭트마르는 비문을 바탕으로 이 지역의 역사를 재구성하여, "파키스탄 북부 지역의 암각화와 비문"[93]과 "간다라와 실크로드 사이 – 카라코람 고속도로를 따라 있는 암각화"[94]에 그 결과를 기록했다. 계획된 바샤-디아메르 댐 건설과 카라코람 고속도로 확장으로 이러한 많은 조각과 비문들이 물에 잠기거나 파괴될 위기에 처해 있다.

8. 1. 민족

길기트발티스탄의 인구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들로 분리된 많은 고립된 계곡들 때문에 다양한 언어, 민족, 종교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민족 집단으로는 신족(Dard people|달드족영어), 야슈쿤족, 카슈미르인, 카슈가르인, 파미르인, 파슈툰족, 코히스타니족 등이 있다.[111] 상당수의 길기트발티스탄 주민들이 파키스탄의 다른 지역, 주로 펀자브와 카라치에 거주하고 있다. 길기트발티스탄의 문해율은 약 72%이다.

연도인구비고
1998년87만 3천 명[108]
2013년124만 9천 명추산[20][21]
2017년149만 2924명[107]



201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길기트 지역(Gilgit District)의 인구가 33만 명으로 가장 많고, 훈자 지역(Hunza District)의 인구가 5만 명으로 가장 적다.[108] 도시 인구는 약 14%였다.[109] 출산율은 여성 1명당 4.7명으로 파키스탄에서 가장 높다.[110]

8. 2. 언어

길기트발티스탄은 다양한 언어, 민족, 종교 집단으로 구성된 다국어 사용 지역이다. 우르두어는 국가 공용어이자 여러 민족 간 의사소통을 위한 일반어 역할을 한다. 영어는 공용어이며 교육에 사용되고, 아랍어는 종교 목적으로 사용된다.[111]

201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길기트발티스탄의 주요 언어는 다음과 같다.[112][113][114][115][116][117][118][119]

순위언어세부 정보
1시나어길기트, 디아미르/칠라스, 다렐/탕기르, 아스토레, 푸니얄/가쿠치, 론두 등 6개 테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다르드어족 언어이다.
2발티 방언스카르두/시간, 카르망, 굴타리, 카플루, 마샤브룸 등 5개 테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티베트어족 언어이다. 우르두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이 있다.
3부루샤스키어(Burushaski)나가르 1, 훈자/알리아바드, 나가르 II, 야신 등 4개 테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고립어이다. 우르두어 어휘를 많이 차용했다.
4코와르어구피스, 이슈코멘 등 2개 테실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야신과 푸니얄/가쿠치 테실에서도 사용된다. 시나어와 마찬가지로 다르드어족에 속한다.
5와키어훈자의 고잘 테실에서 주로 사용된다. 구피스-야신과 기저 지구의 야신과 이슈코멘 테실에서도 사용된다. 동이란어/파미르어로 분류된다.
순위 없음기타파슈토어, 카슈미르어, 도마아키어(이 지역의 음악가 계층에서 사용), 고즈리어도 상당수의 인구가 사용한다.



주민의 60%는 시나어(방언: 아스투르자어, 카루차어, 칠라시어)를 사용하며, 길기트, 아스토레, 디아미르 대부분 지역과 기잘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발티어, 와키어, 코와르어, 부르샤스키어, 도마어, 파슈토어도 사용된다.[111] 카슈미르어를 사용하는 소수 주민도 있다.

8. 3. 종교

14세기에 페르시아와 중앙아시아 출신의 수피즘 무슬림 설교자들이 발티스탄에 이슬람교를 전파했다. 그중 유명한 인물은 카슈미르를 거쳐 온 미르 사이드 알리 하마다니이다.[41] 길기트 지역에는 같은 세기에 투르크계 타르칸(Tarkhan) 통치자들을 통해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

길기트발티스탄의 종파 분포


길기트발티스탄의 인구는 모두 이슬람교 신자이며, 종파적으로는 파키스탄에서 가장 다양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수니파가 주류인 파키스탄에서 유일하게 시아파가 다수인 지역이기도 하다. 스카르두 지구의 주민들은 대부분 시아파이며, 디아미르와 아스토레 지구는 수니파가 다수이다. 간체 지구에는 누르박시파 인구가 있으며, 기자르 지구에는 이스마일파가 다수이다. 길기트, 훈자, 나가르 지구의 인구는 이러한 모든 종파가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다.[120]

길기트발티스탄의 종파 분포[120]
종파비율
시아파39.85%
수니파30.05%
이스마일파24%
누르박시파6.1%



인도 정부 관계자인 B. 라만에 따르면, 1948년 시아파와 이스마일파가 인구의 약 85%를 차지했다고 한다. 라만은 지아울하크 장군이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시아파의 종파적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다른 주와 연방 직할 부족 지역에서 수니파의 이주를 장려하는 인구 변화를 의도적으로 추진하여 그 비율을 낮추었다고 주장한다.

길기트발티스탄의 종교 집단 (잠무 카슈미르 왕국 시대)
종교
집단
1891[122]1901[123]1911[124]1921[125]1931[126]1941[127]
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
이슬람교
110,16186.68%58,77996.54%77,18998.45%88,64398.82%94,94098.44%115,60199.62%
부족 종교16,61513.07%00.00%20.00%
불교
2390.19%00.00%00.00%00.00%00.00%00.00%
힌두교
770.06%2,0013.29%1,1121.42%9481.06%1,3611.41%2950.25%
기독교
20.00%280.05%220.03%160.02%490.05%280.02%
시크교
00.00%740.12%810.10%900.10%930.10%1210.10%
자이나교
00.00%10.00%00.00%00.00%30.00%00.00%
조로아스터교
00.00%00.00%00.00%00.00%00.00%00.00%
유대교
00.00%
기타00.00%20.00%00.00%00.00%00.00%00.00%
총 인구127,094100.00%60,885100.00%78,404100.00%89,697100.00%96,446100.00%116,047100.00%


9. 문화

길기트발티스탄은 다양한 문화, 민족, 언어적 배경을 가진 지역이다.[128] 주요 문화 행사로는 샨도르 폴로 축제, 바부사르 폴로 축제, 자슈네 바하란(나우루즈) 등이 있다.[128]

''대부분의 건축 양식은 위의 이미지들이 보여주듯이 티베트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23]

2014년 발티트 요새에서 전통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스와티 손님들


굴미트의 와키 음악가들


전통 춤에는 여러 명이 옛 스타일의 옷을 입는 ''노인 춤'', 옛 스타일의 옷과 긴 가죽 신발을 신고 손에 막대기를 든 채 추는 ''카우보이 춤''(파얄루), 참가자들이 오른손에 칼, 왼손에 방패를 들고 추는 ''검무''가 있다. 검무는 1명에서 6명까지 짝을 이루어 출 수 있다.

이 지역의 인기 있는 요리 중 하나인 차프초르. 나가르와 훈자 계곡에서 널리 만들어진다


길기트발티스탄은 파키스탄 관광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길기트발티스탄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중 일부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인 K2를 포함하여 산, 호수, 빙하, 계곡으로 이루어진 풍경을 자랑한다. 길기트발티스탄은 산 뿐만 아니라 랜드마크, 문화, 역사, 사람들로도 유명하다.[104] K2 베이스캠프, 디오사이, 날타르 계곡, 페어리 메도우즈, 바그로트 계곡, 후셰 계곡은 길기트발티스탄에서 흔히 방문하는 곳이다.[105]

카트파나 스카르두의 예상치 못한 눈


루시 호수, 나가르


셰오사르 호수는 디오사이 국립공원 서쪽에 위치해 있다.


길기트발티스탄에는 K2를 포함하여 약 6096.00m가 넘는 봉우리가 20개 이상 있다.[102] 다른 잘 알려진 봉우리로는 마셔브룸(K1), 브로드 피크, 히든 피크, 가셔브룸 II, 가셔브룸 IV, 그리고 초골리사 등이 있으며, 이들은 카플루 계곡에 위치해 있다.

봉우리 이름사진높이초등정위치
K2
약 8610.60m1954년 7월 31일카라코람
낭가 파르밧
약 8125.97m1953년 7월 3일히말라야
가셔브룸 I
약 8034.53m1956년 7월 7일카라코람
브로드 피크
약 8092.44m1957년 6월 9일카라코람
무즈타그 타워
약 7254.24m1956년 8월 6일카라코람
가셔브룸 II약 7961.38m1958년 7월 4일카라코람
히든 피크
약 8068.06m1957년 7월 4일카라코람
쿤양 치시
약 7851.95m1971년 7월 4일카라코람
마셔브룸
약 7820.86m1960년 8월 4일카라코람
살토로 캉그리
약 7741.92m1962년 6월 4일카라코람
초골리사
약 7665.11m1963년 8월 4일카라코람


10. 스포츠

길기트발티스탄은 파키스탄 관광의 중심지이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중 일부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인 K2를 포함하고 있으며, 산, 호수, 빙하, 계곡으로 이루어진 풍경을 자랑한다. 길기트발티스탄은 산 뿐만 아니라 랜드마크, 문화, 역사, 사람들 때문에 방문하는 곳이기도 하다.[104] K2 베이스캠프, 디오사이, 날타르, 페어리 메도우즈, 바그로트 계곡, 후셰 계곡은 길기트발티스탄에서 흔히 방문하는 곳이다.[105]

샨두르 호수를 배경으로 진행 중인 폴로 경기, 샨두르, 구피스-야신 지구.


이 지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가 행해지지만,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폴로이다.[129][130] 거의 모든 큰 계곡에는 폴로 경기장이 있으며, 여름철에는 이곳에서 열리는 폴로 경기가 현지인과 외국인 관광객 모두를 불러 모은다. 매년 샨두르에서는 길기트와 치트랄의 폴로팀이 참가하는 폴로 토너먼트가 열린다.[131] 국제적으로는 인정받지 못했지만, 스카르두 출신의 하산 하스라트와 같은 일부 현지 역사가와 아흐메드 하산 다니와 같은 일부 국가 작가들은 이 스포츠가 이 지역에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132] 이들은 게사르 왕 서사시의 발티 버전을 증거로 제시하며, 게사르 왕이 의붓아들을 죽이고 시체의 머리를 몽둥이로 치면서 폴로 경기를 시작했다고 한다.[133] 또한 현지 폴로 경기의 매우 간단한 규칙이 그 원시성을 증명한다고 주장한다. "폴로"라는 영어 단어는 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발티어에서 유래했으며,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공"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34][135]

다른 인기 스포츠로는 축구, 크리켓, 배구(주로 겨울에 함) 및 기타 소규모 지역 스포츠가 있다. 시설 확충과 특정 지역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등산, 트레킹과 같은 스포츠도 인기를 얻고 있다. 훈자 계곡 출신의 사미나 바이그는 에베레스트산에 오른 유일한 파키스탄 여성이자 세 번째 파키스탄인이며, 21세에 에베레스트산에 오른 최연소 무슬림 여성이기도 하다. 한편 스카르두 계곡 출신의 하산 사드파라는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산(8,848m)을 비롯하여 K2(8,611m), 가셔브룸 1봉(8,080m), 가셔브룸 2봉(8,034m), 낭가파르바트(8,126m), 브로드 피크(8,051m) 등 8,000m 이상의 봉우리 여섯 개에 오른 최초의 파키스탄인이다.

11. 교통

1978년 이전에는 험준한 지형과 도로 부족으로 인해 파키스탄과 세계 다른 지역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었다. 남쪽 도로는 모두 파키스탄이 관리하는 아자드 카슈미르 지역과 현재 인도가 관리하는 잠무 카슈미르 지역 남동쪽으로 이어졌다. 여름에는 사람들이 산길을 따라 라왈핀디로 이동할 수 있었다. 가장 빠른 이동 방법은 항공편이었지만, 지역 주민과 파키스탄 군 및 민간 관리 등 소수의 특권층만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다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파키스탄은 1978년에 카라코람 고속도로(KKH) 건설을 완료했다. 라왈핀디/이슬라마바드에서 길기트까지 이동에는 약 20~24시간이 소요된다.[106]

카라코람 고속도로는 이슬라마바드길기트스카르두와 연결하는데, 이 두 곳은 길기트발티스탄에서 등반 원정의 두 가지 주요 중심지이다. 북부지역교통공사(NATCO)는 이 두 중심지와 지역의 여러 인기 있는 목적지, 호수 및 빙하로 버스 및 지프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라코람 고속도로에서는 산사태가 매우 흔하다. 카라코람 고속도로는 길기트를 타슈쿠르간(Tashkurgan Town), 중국 카슈가르와 연결하는데, 길기트발티스탄 측의 세관 및 보건 검사소인 수스트(Sust)와 세계에서 가장 높은 포장된 국제 국경 통과 지점인 4693m의 쿤제랍 고개(Khunjerab Pass)를 경유한다.[106]

2006년 3월, 해당 정부는 2006년 6월 1일부터 길기트에서 카슈가르까지 주 3회 버스 운행을 시작하고 카라코람 고속도로 600km 구간의 도로 확장 공사를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수스트와 타슈쿠르간 국경 지역 사이에는 양방향으로 매일 한 대의 버스가 운행될 예정이다.[106]

길기트 공항의 ATR 42–500. 2016년 7월 10일 촬영


파키스탄 국제항공(Pakistan International Airlines)은 이전에 길기트 공항베나지르 부토 국제공항 사이를 매일 포커 F27 프렌드십(Fokker F27 Friendship)으로 운항했다. 비행 시간은 약 50분이었고, 항공기의 순항 고도보다 높은 봉우리를 가진 낭가파르밧 산을 지나는 노선이었기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비행 중 하나였다. 그러나 2006년 무탄(Multan)에서 추락 사고 후 포커 F27은 퇴역했다. 현재 PIA는 2006년에 구입한 최신 ATR 42–500으로 길기트로의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새로운 항공기로 인해 결항이 훨씬 줄었다. 파키스탄 국제항공은 스카르두이슬라마바드 사이에도 보잉 737(Boeing 737)을 이용한 정기 항공편을 제공한다. 모든 항공편은 기상 상황에 따라 운항 여부가 결정되며, 겨울에는 항공편이 며칠씩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106]

이 지역을 통과하는 철도가 제안되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쿤제랍 철도(Khunjerab Railway)를 참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kardu http://www.skardu.pk[...] 2015-07-16
[2] 서적 Pakistan's Political Labyrinths: Military, Society and Terror Routledge
[3] 뉴스 Gilgit-Baltistan gets new chief secretary https://www.dawn.com[...] 2024-02-24
[4] 웹사이트 Supreme Appellate Court GB https://sacgb.gov.pk[...] 2020-11-03
[5] 웹사이트 UNPO: Gilgit Baltistan: Impact Of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http://unpo.org/arti[...] 2016-06-20
[6] 간행물 Gilgit Baltistan: New Pakistani Package or Governor Rule https://web.archive.[...] The Unrepresented Nations and Peoples Organization (UNPO) 2009-09-03
[7] 웹사이트 Gilgit-Baltistan at a Glance, 2020 https://portal.pnd.g[...]
[8]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20-03-15
[9] 웹사이트 گلگت بلتستان اسمبلی کادوسرا اجلاس http://gba.gov.pk/%D[...] 2020-12-19
[10] 서적 We Visit Pakistan https://books.google[...] Mitchell Lane Publishers, Inc. 2016-06-20
[11] 웹사이트 Kashmir, region Indian subcontinent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019-08-15
[12] 서적 India since Independence Penguin Books India
[13] 서적 Contested lands: Israel-Palestine, Kashmir, Bosnia, Cyprus and Sri Lanka Harvard University Press
[14] 뉴스 Gilgit-Baltistan: Story of how region 6 times the size of PoK passed on to Pakistan http://indiatoday.in[...] 2018-12-10
[15] 뉴스 In Pakistan-controlled Kashmir, residents see experiment with autonomy as 'illusion' https://web.archive.[...] Christian Science Monitor 2011-11-28
[16] 논문 Constitutional Impasse in Gilgit-Baltistan (Jammu and Kashmir): The Fallout
[17] 웹사이트 Fifth province https://tribune.com.[...] The Express Tribune 2020-11-02
[18] 웹사이트 Pakistani PM says he will upgrade status of part of Kashmir, angering India https://www.reuters.[...] Reuters 2020-11-01
[19] 웹사이트 Gilgit-Baltistan to get provisional provincial status post-election: PM Imran https://www.thenews.[...] The News International 2020-11-02
[20] 웹사이트 Geography & Demography of Gilgit Baltistan https://web.archive.[...] Gilgit Baltistan Scouts 2020-03-30
[21] 뉴스 Under Pakistan Rule, Gilgit-Baltistan Most Neglected, Backward Area in South Asia, Says New Book https://web.archive.[...] News18 2019-08-18
[22] 뉴스 Here is why Pakistan is more diverse than you thought https://www.dawn.com[...] 2023-01-31
[23] 웹사이트 Episode 1: A Window to Gilgit-Baltistan http://windowtogb.bl[...] 2015-09-21
[24] 서적 Alpamayo to Everest: It's Not About the Summit https://books.google[...] Lulu Publishing Services 2015-11-17
[25] 서적 The Kingdom of Ladakh c. 950–1842 A.D. Istituto Italiano per il media ed Estremo Oriente
[26] 서적 The Grandeur of Gandhara: The Ancient Buddhist Civilization of the Swat ... https://books.google[...] Algora
[27] 서적 Buddhism, Diplomacy, and Trade: The Realignment of India–China Relations, 600–1400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7-02-19
[28] 서적 A Grammar of the Shina Language of Indus Kohistan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8-01-23
[29] 서적 Patronage, Devotion and Politics: A Buddhological Study of the Patola Sahi Dynasty's Visual Record https://books.google[...] Ohio State University 2017-02-19
[30] 서적 Ancient Khotan: Detailed Report of Archaeological Explorations in Chinese Turkestan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31] 서적 South Asian Handbook Trade & Travel Publications 1994
[32] 서적 Early Buddhist Transmission and Trade Networks https://web.archive.[...] Brill 2018-02-21
[33] 논문 Archæological Notes form the Hindukush Region https://archive.org/[...]
[34] 웹사이트 Baltistan http://www.tibet-enc[...] 2015-06-10
[35] 위키소스 全唐文
[36] 위키소스 新唐書
[37] 서적 Antiquities of Indian Tibet, Part 1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38] 서적 The Rise and Splendour of the Chinese Empire https://books.google[...]
[39] 서적 Chinese Sculptur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40] 학술지 A Tibetan Toponym from Afghanistan http://himalaya.soca[...] 2013-10-01
[41] 서적 Recent Research on Ladakh 4 & 5: Proceedings of the Fourth and Fifth ...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42] 서적 The last colony: Muzaffarabad-Gilgit-Baltistan https://books.google[...] India Research Press with Centre for Strategic and Regional Studies, University of Jammu 2008-04-01
[43] 서적 Guide to the Sources of Asian History: National archives, Provincial archives, District archives https://books.google[...] National Archives of Pakistan
[44] 서적 Wandering with the Indus https://books.google[...] Ferozsons
[45] 서적 A History of Western Tibet: One of the Unknown Empire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46] 서적 Kashmir: History and People https://archive.org/[...] Sarup & Sons
[47] 서적 Amazing Land Ladakh: Places, Peopl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Indus
[48] 서적 Ladakh Through the Ages, Towards a New Identity https://books.google[...] Indus
[49] 서적 Varieties of Secularism in Asia: Anthropological Explorations of Religion, Politics and the Spiritual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03-12
[50] 서적 The Modern Anthropology of India: Ethnography, Themes and The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6-03
[51] 뉴스 Quick guide: Kashmir dispute http://news.bbc.co.u[...] 2006-06-29
[52] 뉴스 Who changed the face of '47 war? http://timesofindia.[...] 2005-08-14
[53] 서적 Kashmir in Conflict: India, Pakistan and the Unending War https://books.google[...] I.B.Tauris
[54] 뉴스 Gilgit-Baltistan—part of Pakistan by choice http://tribune.com.p[...] 2016-01-09
[55] 서적 Languages of Belonging: Islam, Regional Identity, and the Making of Kashmir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56] 학술지 From Colonialism to Postcolonial Colonialism: Changing Modes of Domination in the Northern Areas of Pakistan https://boris.unibe.[...] 2005-11-01
[57] 서적 From Kutch to Tashkent: The Indo-Pakistan War of 1965 https://books.google[...] Hurst Publishers 2013-01-01
[58] 서적 Peace Studies: An Introduction To the Concept, Scope, and Themes https://books.google[...] Sage
[59] 서적 Perspectives on Kashmir: the roots of conflict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60] 서적 Himalayan Frontiers of India: Historical, Geo-Political and Strategic Perspectives Routledge
[61] 뉴스 From the fringes: Gilgit-Baltistanis silently observe elections http://www.dawn.com/[...] 2013-05-01
[62] 서적 Dragons and Tigers: A Geography of South, East, and Southeast Asia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05-12-02
[63] 서적 Water: Asia's New Battleground Georgetown University Press
[64] 웹사이트 China's Interests in Shaksgam Valley http://www.sharnoffs[...] 2013-10-10
[65] 웹사이트 GB's aspirations https://www.dawn.com[...] 2015-06-16
[66] 서적 Deception
[67] 뉴스 Gilgit-Baltistan: A province or not http://tns.thenews.c[...] 2016-01-24
[68] 웹사이트 UNPO: Gilgit Baltistan https://unpo.org/mem[...] 2017-09-11
[69] 학술지 Mixed Legacies in Contested Borderlands: Skardu and the Kashmir Dispute
[70] 뉴스 Gilgit-Baltistan: A question of autonomy http://archive.india[...] 2010-04-29
[71] 뉴스 Pakistan's disputed Northern Areas go to polls https://www.reuters.[...] 2016-12-27
[72] 뉴스 AJK opposes giving provincial status to GB http://www.dawn.com/[...] 2016-12-27
[73] 웹사이트 Pak desire to integrate Gilgit-Baltistan may help solve Kashmir Tangle; NDT submission https://mail.pakista[...] 2022-02-11
[74] 뉴스 Pakistan to make Gilgit-Baltistan a full-fledged province: report https://www.thehindu[...] 2020-10-01
[75] 뉴스 Pakistan's Gilgit-Baltistan 'province': Will it make the Kashmir dispute irrelevant? https://www.dw.com/e[...] 2021-12-05
[76] 뉴스 GB notifies four more districts, total number of districts now 14 https://www.pakistan[...] 2020-03-16
[77] 뉴스 Dividing governance: Three new districts notified in G-B https://tribune.com.[...] 2017-02-05
[78] 서적 Kashmir in Conflict: India, Pakistan, and the Unending War https://books.google[...] I.B. Tauris
[79] 웹사이트 Those Troubled Peaks https://indianexpres[...] 2019-04-28
[80] 뉴스 GB's aspirations http://www.dawn.com/[...] 2015-06-16
[81] 뉴스 Gilgit-Baltistan: A question of autonomy http://www.indianexp[...] 2013-02-23
[82] 뉴스 Pakistan's disputed Northern Areas go to polls https://www.reuters.[...] 2013-02-23
[83] 뉴스 Pakistani president signs Gilgit-Baltistan autonomy order _English_Xinhua http://news.xinhuane[...] News.xinhuanet.com 2010-06-05
[84] 뉴스 Gilgit-Baltistan autonomy http://www.dawn.com/[...] 2013-02-23
[85] 웹사이트 Gilgit Baltistan Geography, History, Politics and Languages https://www.skardu.p[...] 2019-04-28
[86] 웹사이트 Govt accelerates move to grant GB provincial status https://profit.pakis[...] 2023-05-23
[87] 웹사이트 Plan finalised to give G-B provisional status of province https://www.brecorde[...] 2023-05-23
[88] 뉴스 Gilgit-Baltistan part of Jammu and Kashmir: India https://timesofindia[...] 2006-03-10
[89] 뉴스 Gilgit-Baltistan divided into three divisions http://tribune.com.p[...] 2016-06-20
[90] 웹사이트 Gilgit-Baltistan: Districts & Places – Population Statistics in Maps and Charts http://www.citypopul[...] 2016-06-20
[91] 뉴스 Pak population increased by 46.9% between 1998 and 2011 https://timesofindia[...] 2016-01-27
[92] 웹사이트 Statistical Booklet on Gilgit-Baltistan http://www.gilgitbal[...] 2014-12-11
[93] 웹사이트 Rock Carvings and Inscriptions along the Karakorum Highway (Pakistan) –- a brief introduction http://www.rzuser.un[...] 2007-09-17
[94] 웹사이트 Between gandhara and the silk roads http://www.rzuser.un[...] 2007-09-17
[95] 웹사이트 Climate of Gilgit-Baltistan (formerly Northern Areas) http://www.wwfpak.or[...] WWF Pakistan 2009-06-11
[96] 웹사이트 Weather of Gilgit, Skardu, Chitral, Chilas, Islamabad {{pipe}} Gilgit Baltistan - promoting culture and tourism http://gilgit-baltis[...] Gilgit Baltistan 2018-08-14
[97] 백과사전 Baltistan (region, Northern Areas, Kashmir, Pakistan) https://www.britanni[...] 2010-06-05
[98] 백과사전 Gilgit (Kashmir region, Indian subcontinent) https://www.britanni[...] 2010-06-05
[99] 웹사이트 GDP OF KHYBER PUKHTUNKHWA'S DISTRICTS MEASURING ECONOMIC ACTIVITY USING NIGHTLIGHTS https://kpbos.gov.pk[...] 2023-10-03
[100] 웹사이트 The Economic Benefits of CPEC for Gilgit Baltistan http://www.cpsd.org.[...] Centre For Peace, Security and Developmental Studies 2023-05-23
[101] 웹사이트 Welcome to PAKISTANALPINE.COM http://www.pakistana[...] 2016-06-20
[102] 문서 Baltistan in History
[103] 간행물 The Pride - Official Newsletter of SNGPL https://www.sngpl.co[...] 2022-08-07
[104] 웹사이트 Top 10 Most beautiful plces to visit in Pakistan https://www.skardu.p[...] 2017-02-18
[105] 웹사이트 5 Most Beautiful Places To Visit in Gilgit Baltistan http://www.skardu.pk[...] www.skardu.pk 2020-03-07
[106] 웹사이트 Kashgar-Gilgit bus service planned https://www.dawn.com[...] 2006-03-23
[107] 웹사이트 Gilgit-Baltistan https://www.citypopu[...]
[108] 웹사이트 Census shows patterns the same across LoC https://www.thefrida[...] 2017-09-21
[109] 웹사이트 Population, poverty and environment http://www.northerna[...]
[110] 웹사이트 Exploring the potential for fertility change: A ranking of districts based on socio-demographic conduciveness to family planning https://phkh.nhsrc.p[...]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111] 웹사이트 Pakistan's Fragile Foundations http://www.cfr.org/p[...]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09-03-12
[1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Programs https://www.census.g[...]
[113] 웹사이트 Khowar – South Asia Blog https://southasiablo[...] 2014-06-12
[114] 서적 Muslim diversity: local Islam in global contexts Routledge
[115] 웹사이트 Election : Gilgit-Baltistan – 8 Languages, 10 Ethnic Groups, 6 Districts, 4 Religious sects – 24 National Assembly Seats ! – GILGIT BALTISTAN (GB) http://cutebaltistan[...] 2010-01-22
[116]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7]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118] 서적 The phonology and morphology of Panjabi https://books.google[...]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119] 웹사이트 DARDESTĀN http://www.iranicaon[...]
[120] 뉴스 Sectarian conflict in Gilgit-Baltistan http://www.pildat.or[...] pildat 2011-05
[121] 서적 Reproduction and Biopolitics: Ethnographies of Governance, Rationality and Resistanc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02-05
[122]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891. Volume XXVIII, The Kashmir state : the report on the census and imperial and supplementary tables https://www.jstor.or[...]
[123]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01. Vol. 23A, Kashmir. Pt. 2, Tables. https://www.jstor.or[...]
[124]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11. Vol. 20, Kashmir. Pt. 2, Tables. https://www.jstor.or[...]
[125]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21. Vol. 22, Kashmir. Pt. 2, Tables. https://www.jstor.or[...]
[126]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31. Vol. 24, Jammu & Kashmir State. Pt. 2, Imperial & state tables. https://www.jstor.or[...]
[127]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1941. Vol. 22, Jammu & Kashmir https://www.jstor.or[...]
[128] 웹사이트 Culture and Heritage of Gilgit http://www.visitgilg[...] Gov.Pk
[129] 서적 Gilgit Baltistan, a disputed territory or a fossil of intrigues? https://books.google[...]
[130] 서적 The story of Gilgit, Baltistan and Chitral: a short history of two millenniums AD 7-1999 https://books.google[...]
[131] 서적 Subaltern Sports: Politics and Sport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Anthem
[132] 서적 Karakoram and Western Himalaya 1909 https://archive.org/[...] Dutton
[133] 서적 Transactions of the Ni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Orientalists ..., Volume 2 https://books.google[...]
[134] 서적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Hindu Kush Cultural Confer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5] 서적 Baltistan in History https://books.google[...]
[136] 뉴스 Gilgit-Baltistan: Hidden Tremors http://www.satp.org/[...] South Asia Intelligence Review 2005-10-31
[137] 웹사이트 Gilgit-Baltistan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 2021-08-30
[138] 웹사이트 Provinces of Pakistan http://statoids.com/[...] Statoids 2022-05-13
[139] 뉴스 パキスタン首相、カシミール実効支配地域を準州に格上げの方針 https://web.archive.[...] 2020-11-03
[140] 뉴스 G-B Assembly unanimously adopts joint-resolution for interim province status https://tribune.com.[...] The Express Tribune 2021-03-09
[141] 뉴스 Provincial status for GB won’t affect Kashmir cause: CM https://www.dawn.com[...] Dawn 2023-10-12
[142] 뉴스 Gilgit-Baltistan divided into three divisions http://tribune.com.p[...] 2012-02-01
[143] 웹사이트 https://www.dawn.com[...]
[144] 뉴스 Gilgit-Baltistan: A question of autonomy http://archive.india[...] 2010-04-29
[145] 뉴스 Pakistan's disputed Northern Areas go to polls https://www.reuters.[...] 2009-11-12
[146]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