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넓이는 평면 도형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다. 넓이는 실수 집합으로 가는 함수로 정의되며, 길이를 제곱한 단위를 사용한다. SI 단위계에서는 제곱미터(m2)를 기본 단위로 사용하며, 제곱센티미터(cm2), 제곱킬로미터(km2) 등 다양한 파생 단위가 존재한다. 넓이는 도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 적분을 사용하여 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도 구할 수 있다.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기하학의 발달과 함께 넓이 측정 기술이 발전했으며, 아르키메데스, 유클리드, 브라마굽타 등 고대 수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넓이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등주 부등식과 같은 최적화 원리를 통해 주어진 조건에서 최대 또는 최소 넓이를 갖는 도형을 찾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넓이 -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변의 제곱의 합이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정리로, a² + b² = c²으로 표현되며,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고, 여러 지역에서 알려졌으나 피타고라스 학파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고 전해진다. - 넓이 - 카발리에리의 원리
카발리에리의 원리는 평행한 두 직선 또는 평면 사이에서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두 평면 도형 또는 입체의 면적이나 부피가 동일하다는 원리이며, 미적분학 발달 이전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개체군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개체군 - 생물
생물은 자기증식, 에너지 변환, 항상성 유지 능력을 갖추고 세포로 구성되며, 물질대사, 자극과 반응, 생식과 유전 등의 특징을 보이며 다양한 종으로 분류된다.
넓이 | |
---|---|
정의 | |
설명 | 2차원 표면의 크기 |
단위 | 제곱미터 (m²) |
차원 | L² |
개요 | |
특징 | 넓이는 평면, 곡면 등 2차원 형상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넓이는 항상 양수 값을 가진다. |
측정 방법 | 기본적인 도형(사각형, 원 등)은 공식으로 계산한다. 복잡한 도형은 더 작은 기본 도형으로 나누어 계산하거나, 적분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실제 물체의 표면적은 다양한 측정 장비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
넓이의 계산 | |
사각형 | 가로 × 세로 |
원 | πr² (π: 원주율, r: 반지름) |
삼각형 | 1/2 × 밑변 × 높이 |
표면적 | 3차원 물체의 겉넓이를 의미하며, 각 면의 넓이의 합으로 계산한다. |
2. 정의
넓이는 공리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넓이는 특별한 종류의 평면 도형(측정 가능한 집합)의 모임 M에서 실수 집합으로 가는 함수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다음 속성을 만족한다.[10]
- 모든 ''S'' in ''M''에 대해, 이다.
- ''S''와 ''T''가 ''M''에 있으면, 와 도 있으며, 또한 이다.
- ''S''와 ''T''가 ''M''에 있고, 이면, 가 ''M''에 있고, 이다.
- 집합 ''S''가 ''M''에 있고, ''S''가 ''T''와 합동이면, ''T''도 ''M''에 있으며, 이다.
- 모든 직사각형 ''R''은 ''M''에 있다. 직사각형의 길이가 ''h''이고, 너비가 ''k''이면, 이다.
- ''Q''를 두 계단 영역 ''S''와 ''T'' 사이에 갇힌 집합이라고 하자. 계단 영역은 공통 밑변에 놓인 인접한 직사각형들의 유한한 합집합으로 형성된다. 즉, 이다. 모든 그러한 계단 영역 ''S''와 ''T''에 대해 를 만족하는 유일한 수 ''c''가 있다면, 이다.
그러한 넓이 함수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11]
평면 도형의 경우, 2차원 공간 내의 부분 집합(도형)의 정의 함수를 적분하여 넓이를 정의한다. 직관적으로는 먼저 직사각형의 넓이를 정의하고, 일반적인 도형에 대해서는 작은 직사각형의 집합으로 해당 도형을 근사한 극한으로써 넓이를 정의한다.
곡면에 대해서는 정의 함수의 면적분 외에도, 곡면을 (3차원 공간 내에서) 작은 평면 도형의 집합으로 해당 도형을 근사한 극한에 의해 넓이를 정의할 수 있다.
3. 단위
넓이는 길이의 제곱과 같은 단위를 가진다. SI 단위계의 기본 단위는 제곱미터(m2)이며, 이로부터 파생된 제곱센티미터(cm2), 제곱킬로미터(km2) 등이 있다.
모든 길이 단위는 해당 면적 단위, 즉 주어진 변의 길이를 가진 정사각형의 면적에 해당한다. 따라서 면적은 제곱미터(m2), 제곱센티미터(cm2), 제곱밀리미터(mm2), 제곱킬로미터(km2)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12] 대수적으로, 이러한 단위는 해당 길이 단위의 제곱으로 생각할 수 있다. SI 면적 단위는 제곱미터이며, SI 유도 단위로 간주된다.[2]
길이와 너비가 1미터인 정사각형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1 미터 × 1 미터 = 1 m2
길이가 3미터, 너비가 2미터인 직사각형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3 미터 × 2 미터 = 6 m2 (6백만 제곱 밀리미터)
유용한 변환은 다음과 같다.
그밖에 다음과 같은 단위가 있다.
3. 1. 한국의 전통 단위
평은 약 3.3058m2로,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넓이 단위이다. 1960년대 이후 법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부동산 거래 등에서 관습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단(段) 또는 반(反)은 약 991.7355m2로, 논밭의 넓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정(町) 또는 정보(町歩)는 약 9917.355m2로, 단의 10배에 해당한다.[34]단위 | 값 (m2) | 설명 |
---|---|---|
작(勺, 샤쿠) | 0.033058m2 | |
합(合, 고) | 0.33058m2 | 10 작 |
평(坪, 츠보)·보(歩, 부) | 3.305785124m2 | 10 합 |
묘(畝, 세) | 99.17355m2 | 30 평 |
단(段)·반(反, 탄) | 991.7355m2 | 10 묘 |
정(町, 쵸)·정보(町歩, 쵸부) | 9917.355m2 | 10 단 |
척평(尺坪, 샤쿠츠보) | 0.09183m2 | |
첩(帖, 죠)·첩(畳, 죠) | 1.6528926m2 | 0.5 평 |
방장(方丈, 호조) | 9.182736453m2 |
3. 2. 기타 단위
- 아르(a): 100m2로, 국제단위계에서 함께 사용 가능한 단위이다.
- 헥타르(ha): 10000m2로, 주로 토지 면적을 나타내는 데 널리 사용된다.[12]
- 에이커: 영미권에서 사용되는 단위로, 약 4046.8564224m2이다. 1에이커는 대략 1헥타르의 40%이다.
- 제곱피트(ft²), 제곱야드(yd²), 제곱마일(mi²) 등도 영미권에서 사용된다.
- 반(b): 100fm2로, 핵물리학에서 상호작용의 단면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12]
남아시아 (주로 인도)에서는 공식적으로 SI 단위를 사용하지만, 여전히 전통 단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3][14][15][16] 각 지역마다 고유한 면적 단위를 가지며, 일부는 이름은 같지만 서로 다른 값을 갖기도 한다.
고정된 값을 갖는 일부 남아시아 전통 단위는 다음과 같다.
4. 공식
여러 가지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도형 | 공식 | 변수 | 그림 |
---|---|---|---|
정사각형 | 는 정사각형의 한 변 | ||
직사각형 | 와 는 각각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 | ||
삼각형 | 와 는 각각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 | ||
삼각형 (헤론의 공식) | |||
이등변삼각형 | |||
정삼각형 | |||
마름모/연 | |||
평행사변형 | |||
사다리꼴 | |||
정육각형 | |||
정팔각형 | |||
정다각형 ( 변) | |||
원 | ( 지름) | 100px | |
부채꼴 | |||
타원 | |||
적분 | |||
겉넓이 | |||
구 | |||
직육면체 | |||
원기둥 (밑면과 윗면 포함) | |||
원뿔 (밑면 포함) | |||
토러스 | |||
회전면 (x축을 중심으로 회전) |
위 표는 여러 가지 도형 및 입체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을 보여준다.
불규칙한 다각형의 넓이는 측량사 공식(신발끈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27]
4. 1. 평면 도형
도형 | 공식 | 변수 |
---|---|---|
정사각형 | 는 정사각형의 한 변 | |
직사각형 | 과 는 각각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 | |
평행사변형 | 와 는 각각 평행사변형의 밑변과 높이 | |
마름모 | 와 는 마름모의 대각선 | |
사다리꼴 | 와 는 각각 사다리꼴의 윗변과 아랫변, 는 사다리꼴의 높이 | |
삼각형 | 와 는 각각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 | |
원 | 은 원의 반지름 | |
타원 | 와 는 각각 타원의 반장축과 반단축 | |
부채꼴 | 또는 | 는 중심각, 는 호 |
가장 기본적인 넓이 공식은 직사각형의 넓이 공식이다. 길이 과 너비 를 가진 직사각형의 넓이 공식은 다음과 같다.[20]
: (직사각형).
즉, 직사각형의 넓이는 길이와 너비를 곱한 값이다. 특별한 경우로, 정사각형의 경우 이므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다음 공식으로 주어진다.[1][20]
: (정사각형).
- 삼각형: (여기서 ''B''는 어떤 변이든 가능하며, ''h''는 ''B''가 놓인 선에서 삼각형의 다른 꼭짓점까지의 거리이다).
4. 2. 입체 도형
아르키메데스는 구의 겉넓이가 같은 반지름을 가진 평평한 원판 면적의 정확히 4배이며, 구로 둘러싸인 부피는 같은 높이와 반지름을 가진 원기둥 부피의 정확히 2/3임을 보였다.[5]겉넓이에 대한 대부분의 기본 공식은 표면을 잘라서 펼쳐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기둥(또는 임의의 각기둥)의 옆면을 세로로 자르면, 그 표면을 직사각형으로 펼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뿔의 옆면을 따라 자르면, 옆면을 원의 부채꼴로 펼칠 수 있으며, 결과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구의 겉넓이 공식은 유도하기가 더 어렵다. 구는 0이 아닌 가우스 곡률을 가지므로 펼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의 겉넓이 공식은 아르키메데스가 그의 저서 ''구와 원기둥에 관하여''에서 처음 얻었다.[5]
입체의 겉넓이, 옆넓이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도형 | 공식 | 변수 |
---|---|---|
정육면체 | s = 한 모서리의 길이[5] | |
직육면체 | = 길이, w = 너비, h = 높이 | |
원기둥 | r = 밑면의 반지름, h = 높이 | |
원뿔 | r = 원형 밑면의 반지름, h = 높이[26] | |
구 | r = 구의 반지름[5] |
4. 3. 일반적인 도형
일반적인 다각형의 넓이는 측량사 공식(신발끈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르네 데카르트가 데카르트 좌표계를 개발하면서 가우스는 꼭짓점의 위치를 아는 모든 다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신발끈 공식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19] 자기 교차하지 않는(단순) 다각형의 경우, ''n''개의 꼭짓점의 데카르트 좌표 (''i''=0, 1, ..., ''n''-1)가 알려져 있으면 넓이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i''=''n''-1일 때, ''i''+1은 모듈로 ''n''으로 표현되며, 따라서 0을 가리킨다.
도형 | 공식 | 비고 |
---|---|---|
정사각형 | 는 정사각형의 한 변이다. | |
직사각형 | 과 는 각각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이다. | |
평행사변형 | 와 는 각각 평행사변형의 밑변과 높이이다. | |
마름모 | 와 는 마름모의 대각선이다. | |
사다리꼴 | 와 는 각각 사다리꼴의 윗변과 아랫변이고 는 사다리꼴의 높이이다. | |
삼각형 | 와 는 각각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이다. | |
원 | 은 원의 반지름이다. | |
타원 | 와 는 각각 타원의 반장축과 반단축이다. | |
부채꼴 | or | θ는 중심각(angle)이고, 는 호이다. |
불규칙한 모양의 도형이나 곡면의 넓이는 적분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적분법이 개발되면서 타원, 곡면의 겉넓이 등 복잡한 넓이를 계산하는데 사용되었다.
- 양의 값을 갖는 곡선과 수평축 사이의 면적은 수평축의 두 값 ''a''와 ''b'' (b는 두 값 중 더 큰 값으로 정의됨) 사이에서 측정되며, 곡선을 나타내는 함수의 ''a''에서 ''b''까지의 적분으로 주어진다.[1]
:
: 여기서 는 y 값이 더 큰 곡선이다.
:
- 끝점이 인 매개변수 곡선 로 둘러싸인 면적은 선적분으로 주어진다.
::
: 또는
::의 ''z''-성분
:(자세한 내용은 참조.) 이것은 플래니미터 기계 장치의 원리이다.
평면 도형의 경우, 2차원 공간 내의 부분 집합(즉, 도형)의 정의 함수를 적분하여 넓이를 정의한다. 직관적으로는 먼저 직사각형의 넓이를 정의하고, 일반적인 도형에 대해서는 작은 직사각형의 집합으로 해당 도형을 근사한 극한으로써 넓이를 정의한다.
곡면에 대해서는 정의 함수의 면적분 외에도, 곡면을 (3차원 공간 내에서) 작은 평면 도형의 집합으로 해당 도형을 근사한 극한에 의해 넓이를 정의할 수 있다.
5. 역사
기원전 5세기에 히포크라테스는 구적법인 히포크라테스의 월형을 통해 원의 넓이가 지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했지만, 비례 상수를 밝히지는 못했다.[17] 같은 시기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 또한 원의 넓이가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8]
이후, 유클리드의 원론 제1권에서는 2차원 도형 간의 넓이의 동일성에 대해 다루었다. 아르키메데스는 유클리드 기하학의 도구를 사용하여 저서 ''원 측량''에서 원 내부의 넓이가 밑변의 길이가 원의 둘레와 같고 높이가 원의 반지름과 같은 직각 삼각형의 넓이와 같다는 것을 증명했다. 아르키메데스는 그의 이중 방법으로 π의 값을 근사했다.
원의 넓이 공식은 원을 원형 부채꼴로 분할하여 구할 수 있다. 각 부채꼴은 모양이 대략 삼각형이며, 부채꼴을 재배열하여 대략적인 평행사변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평행사변형의 높이는 반지름, 너비는 원의 둘레의 절반이므로 원의 총 넓이는 πr2이다.[20]
이 방법은 미적분학의 아이디어를 적용한 것이다. 고대에는 소진법이 유사한 방식으로 원의 넓이를 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정적분을 사용하여 원의 넓이를 계산할 수 있다.
6. 최적화
등주 부등식에 따르면, 길이 ''L''의 닫힌 곡선(둘레의 길이가 ''L'')과 그 곡선이 둘러싸는 영역의 넓이 ''A''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
위 부등식에서 등호는 곡선이 원일 때만 성립한다. 따라서 원은 주어진 둘레를 가진 모든 닫힌 도형 중에서 가장 큰 넓이를 갖는다.[29]
원의 경우, 넓이와 둘레(원의 둘레)의 비율은 반지름 ''r''의 절반과 같다. 이는 넓이 공식 ''πr''2 및 둘레 공식 2''π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어진 와이어 윤곽을 따라 가장 작은 면적을 갖는 표면("채우는" 표면)은 극소 곡면이다. 비눗방울이 그 예시이다.
원은 동일한 둘레를 가진 모든 2차원 물체 중에서 가장 큰 면적을 갖는다.[29]
원 내접 다각형(원 안에 내접하는 다각형)은 동일한 길이의 변을 가진 주어진 수의 변을 가진 모든 다각형 중에서 가장 큰 면적을 갖는다.
삼각형에 대한 등주 부등식에 따르면, 주어진 둘레를 가진 모든 삼각형 중에서 가장 큰 면적을 갖는 삼각형은 정삼각형이다.[32]
주어진 원에 내접하는 모든 삼각형 중에서 가장 큰 면적을 갖는 삼각형은 정삼각형이고, 주어진 원을 외접하는 모든 삼각형 중에서 가장 작은 면적을 갖는 삼각형은 정삼각형이다.[30]
7. 면적 이등분선
삼각형의 면적을 이등분하는 선은 무수히 많다. 그 중 셋은 삼각형의 중선(변의 중점과 반대쪽 꼭짓점을 연결)이며, 이는 삼각형의 무게중심에서 만난다. 이는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유일한 면적 이등분선이다.[1] 삼각형의 면적과 둘레를 모두 반으로 나누는 선은 삼각형의 내심(내접원의 중심)을 통과하며, 주어진 삼각형에 대해 이러한 선은 하나, 둘 또는 세 개가 있다.[1]
평행사변형의 중점을 통과하는 모든 선은 면적을 이등분한다.[1]
원 또는 다른 타원의 모든 면적 이등분선은 중심을 통과하며, 중심을 통과하는 모든 현은 면적을 이등분한다. 원의 경우, 이는 원의 지름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Area
http://mathworld.wol[...]
Wolfram MathWorld
2012-07-03
[2]
웹사이트
Resolution 12 of the 11th meeting of the CGPM (1960)
http://www.bipm.org/[...]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2012-07-15
[3]
서적
Computational Geometry
Springer-Verlag
[4]
서적
A History of the Calculus and Its Conceptual Development
https://archive.org/[...]
Dover
[5]
웹사이트
Surface Area
http://mathworld.wol[...]
Wolfram MathWorld
2012-07-03
[6]
웹사이트
Surface Area
https://www.ck12.org[...]
2018-10-09
[7]
서적
Differential Geometry of Curves and Surfaces
Prentice-Hall
[8]
서적
Real and Complex Analysis
McGraw-Hill
[9]
서적
Real Analysis: modern techniques and their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Inc.
[10]
서적
Calculus
[11]
서적
Elementary Geometry from an Advanced Standpoint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Pub. Co.
2012-07-15
[12]
간행물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ttp://www.bipm.org/[...]
2008-02-13
[13]
웹사이트
Land Measurement Units in India: Standard Measurement Units, Land Conversion Table
https://www.magicbri[...]
2023-09-20
[14]
웹사이트
Land is measured in what units in India: All Types In 2023
https://housing.com/[...]
2023-09-20
[15]
웹사이트
Standard Land Measurement Units in India - Times Property
https://timespropert[...]
2023-09-20
[16]
웹사이트
9 Land Measurement Units in India You Must Know - 2022
https://www.clicbric[...]
2023-09-20
[17]
서적
A Manual of Greek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18]
서적
Single variable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s.
https://archive.org/[...]
Brook/Cole
[19]
웹사이트
Calculating The Area And Centroid Of A Polygon
http://www.seas.upen[...]
2013-02-06
[20]
웹사이트
Area Formulas
http://www.math.com/[...]
Math.com
2012-07-02
[21]
간행물
Problem Solving Through Recreational Mathematics
Dover
[22]
간행물
Calculu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An Analytical Approach
https://books.google[...]
CRC Press
[23]
논문
An elementary proof of Pick's theorem
2007-11
[24]
서적
Matematika
https://books.google[...]
PT Grafindo Media Pratama
[25]
서적
Get Success UN +SPMB Matematika
https://books.google[...]
PT Grafindo Media Pratama
[26]
웹사이트
Cone
http://mathworld.wol[...]
Wolfram MathWorld
2012-07-06
[27]
논문
The Surveyor's Area Formula
http://www.maa.org/p[...]
2012-07-15
[28]
서적
The fractal geometry of nature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2-02-01
[29]
논문
Filling Riemannian manifolds
http://projecteuclid[...]
[30]
문서
100 Great Problems of Elementary Mathematics
Dover Publ.
[31]
논문
Triangles, ellipses, and cubic polynomials
https://www.research[...]
2008-10
[32]
문서
A Distorted View of Geometry.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33]
문서
口頭では平米(へいべい)とも呼ぶ。ただし計量法では認められていない。
[34]
문서
体積の単位とは別
[35]
문서
넓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