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테티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테티아는 기원전 3세기 파리시족이 센 강 유역에 건설한 고대 도시로, 현재의 파리 지역에 해당한다. 켈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로마 시대에는 중요한 상업 및 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로마의 지배를 받으며 격자형 도시 계획과 공공 시설이 건설되었으며, 3세기에는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4세기에는 율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갈리아 지역의 수도로 지정되었으나,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으며 '파리'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루테티아의 유적은 현재까지도 발굴되고 있으며, 특히 원형극장, 목욕탕, 수도교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루테티아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르노 클리오의 일본 내 판매명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켈트족의 성읍 - 아퀸쿰
    아퀸쿰은 켈트족이 건설한 로마 제국의 군사 기지이자 판노니아 인페리오르 속주의 수도였으며, 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여 현재는 고고학 유적지로 남아 있다.
  • 켈트족의 성읍 - 누만티아
    누만티아는 두에로 강 길목을 통제하는 철기 시대 언덕 요새이자 켈트이베리아인 아레바키족의 도시로서, 로마 공화정에 격렬히 저항한 누만티아 전쟁으로 유명하며, 파괴 후 로마 제국과 서고트 왕국 시대를 거쳐 현재 스페인에서 자유와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갈리아 - 갈리아 제국
    갈리아 제국은 3세기 위기 속에서 260년 포스투무스에 의해 선포된 로마 제국에서 분리된 국가로, 로마 제국의 행정 체계를 모방했으나 내분으로 274년 로마 제국에 재통합되었다.
  • 갈리아 - 갈리아 전쟁
    갈리아 전쟁은 카이사르의 정치적 야망, 갈리아의 불안정, 게르만족 침입이 맞물려 기원전 58년부터 50년까지 벌어진 로마의 갈리아 정복 전쟁으로, 카이사르의 권력 강화와 로마 공화정 몰락의 전환점이 되었으나 기록의 신뢰성 및 잔혹성 비판도 존재한다.
  • 프랑스의 유적 - 오툉
    오툉은 기원전 1세기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건설된 프랑스의 역사적인 도시이며, 로마 시대 유적, 로마네스크 양식의 생 라자르 대성당, 롤랭 박물관을 포함하고 스테버니지 등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프랑스의 유적 - 아를
    아를은 프랑스 남부 론 강 삼각주에 위치한 고대 로마 시대의 중요 도시로, 풍부한 로마 유적과 건축물 덕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빈센트 반 고흐가 작품 활동을 했던 곳이자 활발한 문화 예술 도시이다.
루테티아
지도 정보
일반 정보
다른 이름루테티아 파리시오룸 (라틴어)
뤼테스 (프랑스어)
위치파리, 프랑스
지역갈리아 루그두넨시스, 이후 루그두넨시스 세노니아
유형오피둠, 이후 키비타스
면적284 에이커 (115 헥타르)
좌표48° 51′ 17″ N, 2° 20′ 51″ E
역사
건설기원전 3세기 경 오피둠으로 건설, 기원전 52년 키비타스로 재건
폐쇄5세기
시대기원전 1세기 ~ 5세기
문화
발굴 정보
이미지
클뤼니 욕장
클뤼니 욕장

2. 명칭

이 정착지는 고대 그리스어로 스트라보에 의해 ''Λoυκoτοκία|루코토키아grc''로,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Λευκοτεκία|레우코테키아grc''로 기록되어 있다.[7] '루테티아'라는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가장 유력한 설은 켈트어 어근 ''lut-''("늪" 또는 "갯벌"을 의미)에 접미사 ''-ecia''가 붙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5] 이 어원은 오늘날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lòn''("웅덩이, 초원")이나 브르타뉴어의 ''loudour''("더러운") 같은 단어에 그 흔적이 남아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6]

또 다른 기원으로는 켈트어 어근 ''*luco-t-''("쥐"를 의미)와 이중 집합 접미사 ''-ek(t)ia''("쥐들"을 의미)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다. 이는 브르타뉴어 단어 ''logod'', 웨일스어 ''llygod''("쥐"), 아일랜드어 ''luch''(속격 ''luchad'', "쥐")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7][6]

"루테티아"라는 이름은 카이사르가 쓴 『갈리아 전기』(제7권 제57~58장)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일각에서는 이 이름이 라틴어로 "진흙"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으며[24], 로마인들이 피하고자 했던 지형을 반영한다고 보기도 한다.

한편, 볼테르는 그의 저서 『철학 사전』의 바벨 항목에서 "파리가 과거에 루테티아로 불린 것은 여인들의 하얀 다리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라블레의 의견"을 언급하기도 했다.

3. 역사

루테티아의 역사는 갈리아 부족인 파리시족이 기원전 3세기경 센 강 유역에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초기 정착지는 '루테티아'라 불렸으며, 그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시테 섬과 낭테르 등 여러 설이 존재한다.[24][9][8]

기원전 52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끄는 로마 공화국 군대가 갈리아 전쟁 중 루테티아를 점령하면서 로마 시대가 시작되었다.[12][11] 로마 지배 하에서 루테티아는 센 강 좌안을 중심으로 로마식 도시 계획에 따라 발전했으며, 포룸, 목욕탕, 수도교, 아렌 드 뤼테스(원형 경기장) 등 주요 공공 시설들이 건설되었다.[14][13][15] 루테티아는 육상 및 수로 교통의 요지로서 중요한 상업 중심지 역할을 했다.[14]

3세기 중반부터 게르만족의 침입이 잦아지자, 도시 방어를 위해 시테 섬 주변에 성벽이 건설되었고 도시 중심 기능이 섬으로 집중되었다.[13] 이 시기 성 드니 등에 의해 기독교가 전파되기 시작했다. 4세기에는 율리아누스 황제가 잠시 루테티아를 로마 제국 서부의 행정 중심지로 삼았으며[16], 서기 360년경 도시 이름이 파리시족의 이름에서 유래한 '파리'(Paris)로 공식 변경되었다.[25]

5세기 서로마 제국이 쇠퇴하고 메로빙거 왕조가 들어서면서, 클로비스 1세는 파리를 프랑크 왕국의 수도로 정했다. 이로써 루테티아 시대는 막을 내리고 중세 파리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7]

3. 1. 갈리아 시대

파리시족(기원전 1세기)이 주조한 금화


기원전 3세기경, 갈리아의 한 부족인 파리시족이 센 강 유역에 정착하여 '루테티아'라는 이름의 주요 정착지를 건설했다.[24] 이 초기 정착지의 정확한 위치는 역사가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거리이다. 전통적으로는 파리시족의 주요 무역로가 센 강을 건너는 지점에 있는 시테 섬이 그 중심지였을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94년부터 2005년까지 파리 근교의 낭테르에서 대규모 갈리아 시대 유적이 발견되면서 기존의 학설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낭테르 유적은 15ha에 달하는 넓은 지역에 여러 주요 도로와 수백 채의 집터가 발견된 큰 규모의 정착지였다. 또한, 비판적인 학자들은 로마 시대 이전의 고고학적 유물이 시테 섬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9]

반면, 다른 학자들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기록을 근거로 시테 섬이 루테티아의 중심지였다고 주장한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기』[10]에서 자신이 갈리아 부족 지도자들과 협상하기 위해 방문했던 oppidum|오피둠la(요새)이 섬에 있었다고 명확히 기록했다. 그는 로마군이 뤼테티아를 포위했을 때, 주민들이 "자신들의 건물과 섬 요새 주변의 강 두 갈래를 건너는 데 사용했던 나무 다리를 불태웠다"고 썼는데, 이는 시테 섬의 지형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11] 시테 섬 지지자들은 섬에서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한 이유로, 파리시족이 로마군의 점령을 막기 위해 원래의 오피둠과 다리를 불태웠고, 이후 수 세기 동안 섬 전체가 여러 차례 재개발되면서 초기 정착지의 흔적이 거의 남지 않았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또한, 낭테르 유적의 존재가 시테 섬이 오피둠이었을 가능성을 반드시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두 정착지가 동시에 존재했을 수도 있다고 본다. 만약 정착지가 낭테르에서 시테 섬으로 옮겨졌다면 새로운 이름이 붙었을 것이며, 로마인들이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면 갈리아어 이름인 '루테티아' 대신 라틴어 이름을 사용했을 것이라는 점도 시테 섬 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된다.[8]

파리시족은 처음에는 카이사르와 로마에 복종하는 듯했으나, 기원전 52년 갈리아 전쟁 막바지에 베르킨게토릭스가 이끄는 갈리아 부족 연합에 합류하여 로마에 맞서 싸웠다.[12] 뤼테티아 전투에서 파리시족을 포함한 갈리아 연합군은 베르킨게토릭스의 부관이었던 카물로게누스의 지휘 아래 로마군과 격돌했다. 갈리아군은 로마군의 도하를 막기 위해 오피둠과 다리를 불태우는 전술을 사용했다. 그러나 카이사르의 부관 티투스 라비에누스가 이끄는 로마군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멜랑(Melun)에서 강을 건너 우회한 뒤, 다시 북상하여 파리시족을 결정적으로 격파했다. 이 전투의 정확한 위치 역시 센 강변이었는지, 아니면 욘 강변이었는지, 그리고 전투가 벌어진 '큰 늪'이 어디를 가리키는지에 대해 논쟁이 있다. 어느 곳이든 이 전투의 패배로 루테티아는 로마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11]

'루테티아'라는 이름 자체는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기』에서 처음 언급되며, 라틴어로 '진흙' 또는 ''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4] 이는 당시 센 강변 저지대의 지리적 특징을 반영하는 이름으로 보인다.

3. 2. 로마 시대

"선원 기둥"(서기 1세기) 모형, 클뤼니 박물관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 중인 기원전 52년, 루테티아는 로마 공화국에 의해 점령되었다. 루테티아인들은 카이사르 휘하의 로마인에 대항한 베르킨게토릭스의 반란을 지지했으며, 약 8,000명이 반란군에 가담했다고 전해진다. 베르킨게토릭스의 부관 캄로게누스의 군대는 현재 팡테옹이 있는 Mons Lutetiusla에 주둔했으나, 로마군은 Meluneumla 근처에서 이들을 격파하고 루테티아를 장악했다.

로마의 루테티아에 대한 첫 흔적은 아우구스투스 황제 통치 말기인 서기 1세기 초에 나타나며, 이때부터 로마식 도시 건설이 시작되었다. 로마 도시는 센 강 좌안의 생트-주느비에브 산 고지대에 주로 건설되었으며, 남북 방향의 주요 도로인 cardo maximusla를 중심으로 격자형 도시 계획이 적용되었다. 이 도로는 현재의 생 자크 거리를 따라 언덕을 내려가 늪지대를 지나 시테 섬의 다리를 건너 우안까지 이어졌다. 강변 저지대는 농업에 사용되었으나 침수가 잦아 도로는 높게 건설되었다.[14][13] cardo maximusla는 현재의 수플로 거리에 위치했던 동서 방향 주요 도로인 데쿠마누스와 교차했으며, 이곳에는 포룸(공공 광장)과 시민 바실리카(법정 및 신전 포함)가 있었다. 목욕탕 등 다른 공공 시설들도 생트-주느비에브 산 상부에 점차 들어섰다. 로마 시대 루테티아는 규칙적인 격자형 도시였으며, 건물 배치는 300 로마 피트 단위를 기준으로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

루테티아는 로마 속주 Lugdunensis Senonala의 수도는 아니었지만(Agedincumla이 수도였다), 육상 및 수로 무역로의 교차점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초기 로마 시대의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물 중 하나는 현지 강 상인과 선원 조합이 티베리우스 황제에게 헌정한 선원 기둥이다.[14]

18세기에 그려진 루테티아 지도


서기 2세기에는 수도교를 포함한 주요 공공 사업과 기념물 건설이 이루어졌다.[15] 이 수도교는 길이가 26km에 달했으며, 하루 2000m3의 물을 도시에 공급했다. 아르쾨유-카샹의 비에브르 강 계곡을 가로지르는 수도교의 잔해는 현재도 남아 있으며, '아르쾨유'라는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또한 언덕 경사면에 건설된 아렌 드 뤼테스(원형 경기장, amphitheatrela)는 갈리아 지방에서 가장 큰 건축물 중 하나였다.

3세기 성벽(빨간색)과 고대 강둑(파란색)


3세기에는 성 드니와 그의 동료 루스티쿠스, 엘레우테레에 의해 기독교가 전파되었다고 전해진다. 전설에 따르면 약 250년경, 성 드니와 두 동료는 체포되어 당시 Mons Mercuriusla로 불리던 언덕(훗날 '순교자의 언덕'이라는 뜻의 몽마르트르, Mons Martyrumla)에서 참수당했다. 성 드니는 자신의 잘린 머리를 들고 현재의 생 드니 대성당 자리까지 걸어갔다고 하며, 이곳에 성당이 세워졌다.

3세기 중반, 프랑크족과 알레만니족 등 게르만 민족의 침입으로 루테티아는 위협에 직면했다. 당시 도시는 요새화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좌안의 목욕탕과 원형 경기장 등 일부 시설은 급하게 버려졌고, 그 석재들은 시테 섬 주변에 성벽을 쌓는 데 사용되었다. 이로 인해 로마 제국 전성기에 100ha에 달했던 도시 면적은 좌안 10ha~15ha, 시테 섬 10ha 정도로 크게 축소되었다. 새로운 시민 바실리카와 목욕탕이 시테 섬에 건설되었으며, 그 유적은 노트르담 대성당 앞 광장 지하의 고고학적 유적지에서 볼 수 있다.[13]

4세기에 루테티아는 게르만족의 침입을 방어하는 제국의 중요한 요새 역할을 했다. 357년에서 358년 사이, 서부 제국의 Caesarla이자 갈리아 군단 사령관이었던 율리아누스는 로마 갈리아의 행정 중심지를 트리어에서 루테티아로 옮겼다. 그는 357년 스트라스부르 전투에서 알레만니족을 격파하고 북쪽으로부터의 침입을 방어했으며, 360년 루테티아에서 군대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 이후 발렌티니아누스 1세 황제도 짧은 기간(365–366) 동안 루테티아에 머물렀다.[16] 파리의 첫 주교로 기록된 인물은 346년의 빅토리누스이며, 360년에는 갈리아 지역 첫 주교 회의가 이곳에서 열렸다. 성 마르탱이 360년 이곳을 방문했을 당시 노트르담 드 파리 근처에 대성당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서기 360년경, 루테티아는 도시 이름이 '파리'(Paris)로 변경되었다[25]. 이 이름은 갈리아 부족인 파리시족에서 유래했으며, Parisiacusla라는 형용사는 이미 수 세기 전부터 사용되고 있었다.

5세기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메로빙거 왕조가 들어서면서, 클로비스 1세는 파리를 수도로 정했다. 이로써 도시는 새로운 역할과 함께 '파리'라는 이름을 확고히 하게 되었다.[17] 이 시기 센 강 좌안 지구는 공중 목욕탕, 극장, 원형 경기장 등이 점차 버려졌으며, 4세기에는 극장이 해체되기 시작했다. 인구는 요새화된 시테 섬으로 집중되었다.

로마 목욕탕 내부 (클뤼니 호텔)

4. 도시 구조



로마 시대의 루테티아는 규칙적인 격자형 도시 계획이 적용된 갈로-로마 도시였으며, 서기 2년 이후 공공 건물이 건설된 유일한 지역이기도 하다. 도시의 남북 축(남북 대로)은 강변의 늪지를 최단 거리로 건너야 할 필요성 때문에 건설되었으며, 여러 길이 교두보에 모였다. 현재 좌안의 생 자크 거리(Rue St-Jacques프랑스어)와 우안의 생 마르탱 거리(Rue Saint-Martin)는 당시의 주요 남북 도로였던 카르도 막시무스(cardo maximusla)의 경로를 따르고 있다.

주요 로마 공공 시설은 대부분 생트 주느비에브 언덕 북쪽 경사면에 자리 잡았다. 고대 포장 도로, 언덕 위의 포룸(forum), 극장, 공중 목욕탕과 같은 주요 건물의 명확한 경계선과 중세 골목길의 발견을 통해, 이 로마 도시가 정확히 300 로마 피트 단위로 배치되었음이 밝혀졌다.

도시는 길이 26km, 하루 2000m3의 유량을 가진 로마 수도교를 통해 여러 곳에서 모아진 물을 공급받았다. 아르쾨유(Arcueil)-카샹(Cachan)의 비에브르 강 계곡에는 수도교가 놓였는데, 그 잔교와 아치교의 흔적은 현재도 볼 수 있으며, 이는 "아르쾨유"라는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언덕 지역의 경사면 중간에 건설된 아렌 드 뤼테스(Arènes de Lutèce프랑스어)로 알려진 원형극장(amphitheatre|암피테아트룸la, 원형 경기장)은 갈리아 지방에서 가장 큰 건물 중 하나였다.

4. 1. 포룸 (Forum)

루테티아 포룸 모형, 왼쪽에 신전, 오른쪽에 시민 바실리카 (카르나발레 박물관)


루테티아 포룸은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었으며, 서쪽으로는 현대의 생 미셸 대로(Boulevard Saint-Michel), 동쪽으로는 생 자크 거리(Rue Saint-Jacques), 북쪽으로는 퀴자 거리(rue Cujas), 남쪽으로는 G. 뤼삭 거리(Rue G. Lussac)와 말브랑슈 거리(rue Malbranch) 사이에 있었다. 로마식 블록 2개 너비에 1개 블록 길이로, 크기는 177.6m x 88.8m였다. 오늘날에는 옛 포룸의 벽의 작은 부분만이 지상에 남아 있지만, 19세기부터 광범위한 발굴이 이루어졌다.

포룸은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북쪽과 남쪽에 입구가 있었다. 북쪽, 남쪽, 서쪽 외부 벽을 따라 작은 상점들이 아케이드에 줄지어 있었다. 서쪽 끝에는 지하 갤러리 또는 지하 회랑(cryptoporticus)이 있었다.[18]

시민 바실리카, 본질적으로 시청 역할을 하던 곳이 포룸의 동쪽을 차지했다. 이곳에는 정치적, 사회적, 재정적 문제가 논의되고 결정되는 법원이 있었다. 건물 중앙에는 다른 부분보다 높은 중앙 본당이 있었고, 두 개의 낮은 측랑이 열을 지어 늘어선 기둥에 의해 본당과 분리되었다.

서쪽 끝에는 공식 신들에게 헌정된 신전이 있었다. 기둥이 있는 현관과 삼각형 박공이 있는 정면은 로마 신전의 전통에 따라 동쪽을 향하고 있었다.[18]

4. 2. 원형극장 (Arènes de Lutèce)

현재의 아렌 드 뤼테스( 파리5구)


아렌 드 뤼테스(확대 사진)


뤼테티아의 원형극장인 아렌 드 뤼테스(Arènes de Lutèce|아렌 드 뤼테스프랑스어)는 현재의 파리 5구 몽주 거리(Rue Monge)와 나바르 거리(Rue de Navarre) 교차로 근처에 위치해 있다. 크기는 평면상 약 100m × 130m 이며, 갈리아 지역에서 가장 큰 원형극장 중 하나였고 최대 17,0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

이 극장은 연극 공연을 위한 무대와 배경 시설을 갖추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검투사와 동물의 격투 및 기타 대규모 축제를 열 수 있는 더 넓은 경기장(아레나) 공간도 마련되어 있었다. 건설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서기 1세기 말경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4세기 초, 게르만족의 일파인 프랑크족과 알레만니족의 침입 위협이 커지자, 도시 방어를 위해 좌안의 정착지 일부를 포기하고 시테 섬 주변에 성벽을 쌓게 되었다. 이때 원형극장의 석재가 요새 건설에 사용되면서 파괴되었다. 이후 12세기에는 남은 석재 중 상당 부분이 필리프 2세가 건설한 파리 시 성벽에 재사용되었다.

오랜 시간 잊혔던 원형극장의 유적은 1867년~1868년, 나폴레옹 3세 치하의 몽주 거리 건설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 1870년부터 발굴 작업이 시작되었으나,[19] 같은 부지에 버스 차고를 건설하려는 계획이 세워지기도 했다. 이에 빅토르 위고를 포함한 저명한 파리 시민들이 연합하여 유적 보존 운동을 펼쳤고, 그 결과 원형극장은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어 파괴를 면했다. 이후 1915년~1916년에 걸쳐 부분적으로 재건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현재 아렌 드 뤼테스는 카르티에 라탱에 위치한 작은 공원으로 남아 있으며, 고대 로마 시대 파리의 중요한 흔적 중 하나이다.

4. 3. 극장 (Theatre)

루테티아의 로마 극장은 오늘날 생 루이 고등학교가 위치한 생 미셸 대로를 따라 자리 잡고 있었다. 로마 도시의 중심 블록 중 하나를 차지했으며, 각 변의 길이는 300 로마 피트였다. 발견된 동전을 근거로 볼 때 서기 1세기의 후반부에 건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2세기에 개축되었다. 4세기에는 좌안의 다른 많은 건물들과 마찬가지로 극장의 석재가 시테 섬의 성벽과 새로운 건물 건설에 사용되었다. 극장 유적은 1861년부터 1884년까지 테오도르 바케에 의해 발굴 및 복원되었다.

생트-주느비에브 산의 경사면은 극장의 반원형 좌석을 만드는 데 활용되었다. 무대 뒷면은 로마 도로를 향하고 있었으며 아치와 기둥으로 장식되었다. "pulpitum"(앞 무대)와 "parascenum"(뒤 무대)은 시멘트 기단 위에 놓여 있었다. 19세기 발굴 당시 바닥에는 석회 건축가들의 표시가 남아 있었다.

극장은 두 개의 좌석 구역으로 나뉘었다. 높은 곳에 위치한 일반 관람객 좌석인 ''마이니아눔''과 오케스트라 무대 앞에 위치한 귀족들을 위한 "포디움의 마이니아눔"이 있었다. 각 구역에는 별도의 입구가 있었고, 덮인 복도를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 또한 관람객 좌석으로 통하는 여러 개의 ''보미토리움''(지하 통로)도 마련되어 있었다. 아레나에는 비로부터 관람객을 보호하기 위해 좌석 위에 덮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4. 목욕탕 (Baths)

클뤼니 온천은 현재 클뤼니 미술관의 일부로 남아 있는 웅장한 공중 목욕탕 유적이다. 이는 로마 시대 루테티아에서 가장 크고 잘 보존된 유적 중 하나로, 서기 1세기 말 또는 2세기 초에 건설되었다. 이 온천은 불바르 생 미셸, 불바르 생 제르맹, 그리고 에콜 거리 사이의 주요 로마 도로 두 곳이 만나는 교차점에 위치했다.[20] 온천이 차지했던 면적은 원래 약 300 x 400 로마 피트, 즉 약 1ha에 달하는 훨씬 더 넓은 구역이었다.[21]

클뤼니 온천의 칼다리움(온탕)


목욕탕 이용객들은 현대의 에콜 거리 근처에 상점들이 늘어선 큰 안뜰을 통해 입장했다. 안뜰을 지나 목욕탕 입구로 들어가 옷을 갈아입은 후, 먼저 의자와 뜨거운 물이 있는 칼다리움(caldariumla, 온탕)으로 향했다. 이 방은 노예들이 관리하는 용광로에서 데워진 뜨거운 공기가 바닥 아래 터널을 통해 순환하는 히포코스트(hypocaustla) 시스템으로 난방되었다. 일정 시간을 보낸 후, 이용객들은 냉수 풀과 목욕 시설이 있는 프리지다리움(frigidariumla, 냉탕)이나 실온 상태의 테피다리움(tepidariumla, 미온탕)으로 이동했다. 이 목욕탕들은 다른 로마 도시들처럼 루테티아에서도 중요한 사회적, 정치적 역할을 수행했다. 이용료는 무료이거나 매우 저렴했으며, 목욕 시설뿐만 아니라 바, 휴게실, 회의실, 도서관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었다.[21]

원래의 목욕탕은 275년 프랑크족과 알레만니족의 첫 침략 때 파괴되었다가 이후 재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까지 프리지다리움의 아치형 천장이 온전하게 남아 있으며, 칼다리움과 함께 주요 잔존 공간을 이룬다. 원래 내부 벽은 모자이크, 대리석, 또는 프레스코화로 덮여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목욕탕 북쪽에는 두 개의 운동 공간인 김나지움(gymnasiala)이 있었고, 정면 중앙에는 기념비적인 분수가 자리했다. 그 아래에는 아치형 지붕을 가진 여러 개의 낮은 방들이 있다. 프리지다리움의 수영장 물을 빼내기 위한 배수구는 여전히 볼 수 있으며, 이 배수구는 목욕탕을 둘러싸고 불바르 생 미셸 아래에 있는 주요 배수구로 연결되었다.[20]

클뤼니 온천 외에도 다른 목욕탕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가장 잘 보존된 유적은 현재 콜레주 드 프랑스가 위치한 곳에서 19세기에 발견된 것이다. 이 목욕탕은 클뤼니 온천보다 더 큰 약 2ha 규모였으며, 대형 야외 운동장인 팔라이스트라(palaestrala)를 포함하고 있었다. 원형 온수 수영장과 냉수 수영장의 유적, 히포코스트 난방 시스템의 흔적이 남아있다. 또한 대리석 벽 마감재, 프레스코화, 청동 설비의 흔적도 발견되었다.

다른 목욕탕 유적은 게이 뤼삭 거리와 시테 섬에서도 발견되었다. 특히 시테 섬에는 3세기 중반 게르만족의 침입 이후 섬 주변에 성벽이 건설되면서 새로운 목욕탕이 지어졌으며, 그 유적은 노트르담 대성당 앞 광장 지하의 고고학적 묘지에서 일부 확인된다.[13]

4. 5. 도로 (Streets)



로마 시대의 루테티아는 규칙적인 격자형 도시 계획이 적용된 갈로-로마 도시였다. 도시는 센 강에 수직으로 뻗은 주요 남북 도로인 카르도 막시무스를 축으로 배치되었다. 이 도로는 좌안의 생트-주느비에브 산 고지대에서 시작하여, 현대의 생 자크 거리를 따라 언덕을 내려가 시테 섬을 거쳐 우안까지 이어졌다. 좌안의 생 자크 거리와 우안의 생 마르탱 거리는 로마 시대 카르도 막시무스의 경로를 현재까지 따르고 있다. 주요 동서 도로는 데쿠마누스 막시무스로, 현대의 수플로 거리에 위치했으며 이곳에는 포럼과 시민 바실리카 같은 공공 건물이 있었다.

도시의 거리와 광장은 가로세로 300 로마 피트(약 88.8m) 크기의 정사각형 블록("인슐라")을 기준으로 배치되었다. 이 격자 계획에 따라 로마 시대에 건설된 현재의 생 마르탱 거리와 생 드니 거리는 600 로마 피트(약 177.6m)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13] 강변의 저지대는 농업에 적합했지만[14] 쉽게 침수되었기 때문에 도로는 둑 위에 건설되었다.[13]

도로 발굴 조사 결과, 전차와 마차 바퀴 자국이 발견되었다. 또한 도로는 주기적으로 새로운 돌로 보수되었으며, 이로 인해 도로의 높이가 점차 높아져 최대 1m에 이르기도 했다.

4. 6. 주거 (Residences)

루테티아의 주택가는 대로와 달리 불규칙했으며, 도시가 아닌 주택 소유주의 책임이었기에 관리가 잘 되지 않았다. 기원후 1세기 초에 세워진 초기 주거 지역의 흔적이 아베 드 레페 거리, 피에르 퀴리 거리, 국립 광산 학교 정원 등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다.

주택은 일반적으로 흙으로 덮인 나무 골조로 지어졌으며, 바닥은 황토나 다져진 흙으로 덮여 있었다. 발굴을 통해 이 도시에 중요한 석고 산업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석고는 돌을 모방하거나 덮개로 사용되었고, 벽돌이나 타일 형태로도 만들어졌다.[22]

부유한 사람들의 집에는 종종 바닥 난방 시스템과 전용 목욕 시설이 갖춰져 있었다. 실내 벽은 석고로 덮고 프레스코 기법으로 칠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 흔적이 일부 발견되었다. 이들 주택은 보통 1층에 응접실, 계단으로 연결된 2층 침실, 때로는 우물이 있는 지하실을 갖추고 있었고, 여러 채의 집이 공동 안뜰을 중심으로 모여 있는 형태였다.

2006년 5월, 피에르 퀴리 대학교 캠퍼스 확장 공사 중 로마 시대 도로와 함께 개인 주택 유적이 발견되었다. 이 주택은 아우구스투스 황제(기원전 27년 ~ 기원후 14년)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온돌 방식의 바닥 난방 시설과 당시 로마 시민들 사이에서 부의 상징이었던 목욕탕을 갖추고 있었다. 발굴 과정에서 화분, 청동 체인, 도자기, 서랍 손잡이 등 다양한 일상 용품도 함께 출토되었다. 고고학자들은 이곳이 아우구스투스 시대 유적으로는 처음 발견된 장소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4. 7. 수도교 (Aqueduct)

수도교는 서기 2세기에 건설된 주요 공공 사업 중 하나로[15], 주로 클뤼니 목욕탕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수도교의 수원지는 현재 에손주 지역의 랭지Rungisfra와 비스수Wissousfra에 있는 도시 외곽의 언덕에 있었으며, 이곳에서 집수조가 발굴되었다. 이 수도교는 하루에 약 2000 m3의 물을 공급할 수 있었다.

석조 및 시멘트 재질의 도관은 폭 약 0.5미터, 깊이 0.75미터 크기였으며, 도시까지 26km의 거리에 걸쳐 주로 지하에 매설되었다. 수도교 건설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비에브르 강 계곡을 건너는 것이었다. 이 구간에서는 도관을 아치 위에 세워 통과시켰는데, 이 아치교의 일부 잔해가 아르쾨유Arcueilfra-카샹Cachanfra 계곡에 아직 남아 있다. 현재 지명인 "아르쾨유"는 이 아치교에서 유래했다.

수도교의 유적은 퀴리 연구소 아래를 포함한 여러 장소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4. 8. 시테 섬 (Île de la Cité)



3세기 중반, 프랑크족과 알레만니족 등 게르만 민족의 갈리아 침입이 이어지면서 루테티아는 위협에 직면했다. 당시 도시에는 별다른 요새 시설이 없었기 때문에, 주민들은 센 강 좌안에 있던 목욕탕, 원형 경기장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정착지 대부분을 급하게 포기하고 시테 섬으로 이주했다. 이때 버려진 좌안 건물의 석재들은 시테 섬 주변에 방어 성벽을 건설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성벽은 높이가 약 2m에 달했으며 나무로 된 보행 통로를 갖추고 있었다. 이로 인해 로마 제국 전성기에 100헥타르에 달했던 도시의 면적은 좌안의 10~15헥타르와 시테 섬의 10헥타르 정도로 크게 축소되었다.

섬 내부에는 새로운 주요 건물들이 들어섰다. 좌안에서 옮겨온 사법 기능을 수행하는 시민 바실리카가 건설되었는데, 이 건물은 오늘날 꽃 시장이 있는 곳 근처, 현대의 시테 거리(Rue de la Cité)와 파리 상업 법원(Tribunal de commerce de Paris) 사이에 위치했다. 1906년 파리 메트로 공사 중에 발견된 이 바실리카는 중앙 통로를 포함하여 70m x 35m 규모였으며, 입구는 섬을 가로지르는 로마 시대의 중심 도로였던 카르도 막시무스(Cardo Maximus), 즉 현대의 시테 거리를 향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섬에는 새로운 목욕탕도 건설되었는데, 이 로마 시대 목욕탕 유적은 1965년 노트르담 대성당 앞 광장(노트르담 광장 – 장 폴 2세 광장, Parvis Notre-Dame – Place Jean-Paul-II) 지하에서 발견되어 오늘날 고고학적 지하 묘소에서 볼 수 있다.[13]

율리아누스 (360–363)를 묘사한 동전. 그는 루테티아에서 군인들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


섬의 서쪽 끝, 오늘날 법원이 자리한 곳에는 소규모 사령부 또는 "궁전"이 세워졌다. 이곳은 로마 군사 사령관의 거처이자 사령부 역할을 했으며, 군사 작전 중에는 황제들이 임시로 머물기도 했다. 360년에는 율리아누스가 이곳에서 그의 군대에 의해 황제로 선포되기도 했다.[16]

4세기에 들어서도 루테티아는 게르만족의 침입으로부터 제국을 방어하는 중요한 요새로서의 역할을 유지했다.

4. 9. 묘지 (Cemeteries)

고대 또는 전성기 로마 제국 시대에 주요 로마 묘지 또는 공동묘지는 도시 출구 근처의 카르도 막시무스(주요 남북 도로) 주변, 가장 가까운 주거지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 생 자크 묘지는 현대의 생 미셸 가와 덩페르 로슈로 가의 교차로 근처에 있었다. 이 묘지는 약 4ha의 공간을 차지했으며 서기 1세기 초부터 4세기까지 사용되었다. 한때 그곳에 있었던 수많은 무덤 중 약 400개의 무덤이 발굴되었다. 무덤은 종종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일부 유해는 석관에, 다른 유해는 나무 관에 안치되었으며, 또 다른 유해는 단순히 땅에 묻혔다. 죽은 사람을 매장할 때 소지품, 특히 옷가지와 신발, 그리고 꽃병 등을 함께 묻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었다. 때때로 음식과 은제품이 매장 용기에 놓이기도 했다.

제국 말기에는 게르만족의 침략 압력으로 인해 옛 기념물들이 버려지면서, 현대의 고블랭 가와 포르 로열 대로 근처, 이탈리아로 가는 로마의 주요 도로를 따라 생 마르셀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묘지가 세워졌다. 이 묘지의 무덤들은 대부분 이전 생 자크 묘지의 기념물에서 가져온 돌로 만들어졌다. 서기 3세기에 제작된 이 묘지 중 하나는 도시를 "파리"라고 부른 최초의 기록으로 유명하다. 생 마르셀 묘지의 무덤에서는 도시의 작업장에서 제작된 다양한 도자기와 유리 제품들이 고인의 발치에 놓인 채 발견되었다. 5세기에는 기독교 매장의 첫 번째 상징들도 이곳에서 발견되었다.

5. 예술과 장식



루테티아는 수로와 육로를 통해 예술 작품의 거래 중심지였으며, 이후에는 도자기 및 기타 장식품 작업장의 중심지가 되었다. 조각은 기념물, 특히 도시 외곽의 여러 로마묘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선원 기둥은 서기 14년에서 17년 사이에 황제 티베리우스에게 헌정된 유물로, 당시 도시에서 가장 영향력 있던 길드인 선원 길드가 기증한 것이다. 이 기둥은 시테 섬에서 발견되었으며, 여러 개의 블록을 쌓아 만든 기둥 형태로 로마갈리아들을 묘사하고 있다.

클뤼니 박물관에 전시된 선원 기둥 조각들


선원 기둥에 새겨진 번개를 든 유피테르(1세기)


클뤼니 박물관을 장식한 사냥 장면

6. 유산

루테티아의 이름을 딴 여러 과학적 발견이 있다. 71번 원소 루테튬은 파리의 연구소에서 발견된 것을 기념하여 명명되었으며, 파리 시의 특징적인 건축 자재인 루테티안 석회암은 고대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루테티안"은 지질 시대에서 에오세 시기의 단계 또는 절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1852년 헤르만 골트슈미트에 의해 발견된 소행성 21 루테티아는 파리에서 발견되었기에 이 도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과거 프랑스에서는 시인이나 음악가 등이 파리를 대체하는 시적 또는 문학적 표현으로 루테스(Lutèce|루테스프랑스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이는 많은 영국인 작가들이 시적으로 그레이트 브리튼 섬을 지칭하기 위해 알비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유명한 프랑스 혁명 전쟁 샹송인 Te souviens-tu?(Te souviens-tu?|테 수비앵-튀?프랑스어, "기억하십니까?")에서도 파리를 그렇게 지칭한다.

루테티아는 프랑스 만화 시리즈 ''아스테릭스''(Astérix|아스테릭스프랑스어)에 등장하며, 특히 ''아스테릭스와 황금 낫''(Asterix and the Golden Sickle|아스테릭스와 황금 낫영어), ''아스테릭스와 연회'', ''아스테릭스와 월계관''(Asterix and the Laurel Wreath|아스테릭스와 월계관영어) 및 ''아스테릭스와 흰 붓꽃''에 등장한다. 『아스테릭스와 황금 낫』에서는 도시 내 여러 장소가 등장했으며, 『아스테릭스와 월계관』에서는 로마와 함께 세계 최고의 도시 중 하나로 묘사되었다. 만화에서는 거리를 순찰하는 로마 병사와 함께 많은 갈리아 부족이 등장한다.

프랑스 자동차 제조사 르노는 소형차 클리오를 일본 시장에 '루테시아'(Lutécia|루테시아프랑스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는데, 이는 루테티아에서 따온 이름이다. 일본에서는 혼다가 "클리오" 상표를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2006년 여름까지 딜러 계열사 명칭으로 사용) 다른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Seine: The River that Made Paris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 웹사이트 Lutetia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23-02-14
[3] 웹사이트 lutecia https://pleiades.sto[...]
[4] 문서 Musee Carnavalet-Histoire de Paris - Guide de Visite
[5] 서적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s noms de lieux en France éditions Larousse
[6]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éditions errance
[7] 서적 La langue gauloise éditions errance
[8] 웹사이트 The first inhabitants | Paris antique https://archeologie.[...] 2022-11-26
[9] 서적 Nanterre et les Parisii : Une capitale au temps des Gaulois ?
[10] 문서 De Bello Gallico
[11] 문서 History of Paris
[12] 문서 De Bello Gallico, book six
[13] 웹사이트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LUTETIA PARISIORUM later PARISIUS (Paris) France. https://www.perseus.[...] 2022-11-26
[14] 웹사이트 Paris, a Roman city http://www.paris.cul[...]
[15] 기타 2 Roman and Medieval Paris http://www.arch.ttu.[...]
[16] 문서 Lutetia PUF
[17] 웹사이트 The City of Antiquity http://en.parisinfo.[...] 2008-12-12
[18] 웹사이트 The forum | Paris antique https://archeologie.[...] 2022-11-26
[19] 웹사이트 The theatre | Paris antique https://archeologie.[...] 2022-11-26
[20] 간행물 Les Thermes de Cluny
[21] 웹사이트 a Roman city https://archeologie.[...] 2022-11-26
[22] 웹사이트 Plaster production | Paris antique https://archeologie.[...] 2022-11-26
[23] 웹사이트 Roman aqueducts: Paris (country) http://www.romanaque[...]
[24] 서적 世界地名ルーツ辞典 創拓社
[25] 웹사이트 The City of Antiquity http://en.parisinfo.[...] 2008-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