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렵은 야생 동물을 불법적으로 포획하는 행위로, 환경 범죄로 간주되며 야생 동물 개체 수 감소, 종의 고갈, 생태계 기능 저해 등 생물 다양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밀렵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상업적 이익, 식량 확보, 전통적인 사냥 권리 주장 등 다양한 동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밀렵은 야생 동물 개체 수 감소, 멸종 위기 증가, 인수공통감염병 발생 위험 증가 등의 영향을 미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밀렵 방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수 - 도시바-콩스베르그 스캔들
    도시바-콩스베르그 스캔들은 냉전 시대에 도시바와 콩스베르그 그룹이 공작 기계를 불법적으로 소련에 수출하여 코콤의 허점을 드러내고 소련 잠수함 기술 발전에 기여, 미국의 제재와 국제적 비판을 받으며 국제 무역 질서와 기술 안보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사건이다.
  • 밀수 - 장기 매매
    장기 매매는 상업적 거래를 위해 신체에서 장기를 적출하는 행위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이며, 불법 장기 매매는 빈곤, 부패 등으로 인해 발생하고, 합법화 논쟁과 해결책이 제시된다.
  • 환경 범죄 - 남획
    남획은 동식물 자원을 지속 가능한 수준 이상으로 과도하게 포획하여 개체수 감소, 생태계 파괴, 멸종을 초래하는 행위로, 생물 다양성 감소와 어업 생산량 감소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 환경 범죄 - 부시미트
    부시미트는 아프리카에서 식량 및 생계 유지를 위해 사냥되는 야생 동물의 고기를 의미하며, 과도한 상업적 거래는 멸종 위기를 초래하고 동물원성 질병 확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 불법 직업 - 무기 밀매
    무기 밀매는 개인이나 단체가 화기 및 탄약을 불법적으로 거래하는 국제적인 문제로, 분쟁 지역 갈등 심화, 테러 및 범죄 조직 강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국제 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억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불법 직업 - 불법 건축
    불법 건축은 법규를 위반하여 건축물을 짓는 행위로, 환경적 위험을 야기하며, 육안 관찰, 원격 탐사 기술, 시민 제보 등을 통해 적발된다.
밀렵
지도 정보
정의 및 개요
정의야생 동물을 불법적으로 사냥하는 행위.
관련 법률게임법, 환경법, 국제법 등 다양한 법률 위반.
목적식량 공급
스포츠 또는 레저 활동
상업적 이익 추구
전통 문화 또는 종교적 관습
대상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무척추동물
식물
영향멸종 위기 종 증가
생태계 파괴 및 불균형 초래
경제적 손실 발생
지역 사회 갈등 심화
밀렵의 동기
생계형 밀렵빈곤 또는 기아로 인한 식량 확보 목적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
주로 개발 도상국에서 발생
상업적 밀렵이익을 얻기 위한 밀렵 행위
희귀 동물 또는 특정 부위(상아, 뿔 등)를 거래
조직범죄 연루 가능성 높음
스포츠 밀렵레저 또는 오락 목적으로 동물을 사냥
트로피 수집 목적
일부 국가에서는 합법적 사냥 허용
전통적 밀렵전통 문화 또는 종교적 관습으로 인해 시행
원주민 사회에서 일부 인정
지속 가능한 이용 원칙 준수 필요
밀렵의 방법
사냥 도구총기, , , 그물, 독극물 등 다양한 도구 사용
지역 및 대상 동물에 따라 방법 상이
야간 밀렵야행성 동물을 목표로 야간에 밀렵 행위
서치라이트 등을 사용하여 동물 포획
서식지 파괴서식지 파괴를 통한 동물 포획
산림 파괴 또는 습지 파괴 등
동물 생존 기반 파괴
밀렵 방지 노력
법률 제정 및 강화밀렵 행위에 대한 처벌 강화
국제 협약 체결을 통한 국제적 공조
환경보호법 및 야생동물보호법 제정
감시 및 단속 강화산림 감시원 및 공원 관리원 증원
첨단 감시 장비(드론, 카메라 등) 활용
국제 경찰 기구 협력 수사
지역 사회 참여지역 주민의 밀렵 감시 참여 유도
생태 관광 등 지역 경제 활성화 지원
밀렵 예방 교육 및 홍보 활동 강화
기술 개발 및 활용유전자 분석을 통한 밀렵 동물 추적
인공지능을 활용한 밀렵 감지 시스템 개발
위치 추적 기술을 활용한 동물 감시
밀렵 관련 문제점
생물 다양성 감소생물종 감소 및 멸종 위기 종 증가
생태계 파괴 및 생물 다양성 감소
생태계 서비스 기능 약화
경제적 피해관광 산업 및 수산업 등 경제적 손실 발생
농작물 피해 및 가축 피해 발생
자원 고갈 문제 심화
지역 사회 문제지역 사회 갈등 심화
질병 확산 및 전염병 위험 증가
인권 문제 및 사회 정의 문제 발생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SDGs)
목표 15육상 생태계 보호, 복원 및 지속 가능한 이용 증진, 산림의 지속 가능한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 황폐화 중단 및 역전, 생물 다양성 손실 중단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의 중요한 요소
기타
관련 용어사냥, 어업, 수렵, 채집, 야생 동물 보호, 환경 보호
법적 제재밀렵 행위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 행위로 규정.
벌금 또는 징역형 부과
윤리적 문제밀렵은 동물 학대 및 비윤리적 행위로 간주
생명 존중 및 자연 보호 의식 필요

2. 법적 측면

1998년, 매사추세츠대학교 앰허스트캠퍼스의 환경 과학자들은 밀렵을 환경 범죄로 제시하고, 재생 가능한 천연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 및 규정을 위반하는 모든 불법 활동으로 정의했다. 여기에는 소유, 운반, 소비 또는 판매를 목적으로 야생 동물을 불법으로 포획하고, 그 신체 부위를 이용하는 행위도 포함된다.[6] 야생 동물 학자들과 보존론자들은 야생 동물 개체 수 감소, 특정 종의 지역적 고갈, 생태계 기능 저해 등으로 인해 밀렵이 보호 지역 안팎의 생물 다양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10]

토론토 온타리오 미술관 소장, 톰 톰슨(Tom Thomson)의 1916년 스케치 ''The Poacher''

2. 1. 대한민국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의 환경 과학자들은 1998년 밀렵을 환경 범죄로 제안하고, 야생 동물을 불법적으로 포획하는 등 재생 가능한 천연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과 규정을 위반하는 모든 불법 활동을 의미한다고 정의했다. 여기에는 불법적인 운송, 소비, 판매 및 신체 부위 사용 등이 포함된다. 야생생물학자와 환경보호론자들은 밀렵이 야생동물 개체수 감소, 지역적인 종 고갈, 생태계 기능 교란을 야기하여 보호지역 안팎의 생물다양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한다.

2. 2. 국제 협약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의 환경 과학자들은 1998년에 밀렵을 환경 범죄로 제안했다. 이들은 야생 동물을 불법적으로 포획하는 등 재생 가능한 천연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과 규정을 위반하는 모든 불법 활동을 밀렵으로 정의했다. 여기에는 불법적인 운송, 소비, 판매, 신체 부위 사용 등이 포함된다. 야생생물학자와 환경보호론자들은 밀렵이 야생동물 개체수 감소, 지역적 종 고갈, 생태계 기능 교란을 야기하여 생물다양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한다. 과학자들은 밀렵을 식물과 동물 개체군의 생존에 대한 가장 심각한 위협 중 하나로 간주하고 있다.

3. 역사

3. 1. 유럽

오스트리아와 독일에서 밀렵은 단순 절도가 아닌 제3자의 사냥 권리 침해로 간주된다.[12] 고대 게르만 법에서는 농민을 포함한 모든 자유민이 공유지에서 사냥하는 것을 허용했지만, 로마법은 사냥을 지배자에게만 허용했다. 중세 유럽 봉건 영토의 지배자들은 자신이 다스리는 땅에서 귀족의 독점적인 사냥 및 어로 권리를 강화하려 했다. 밀렵은 심각한 범죄로 간주되어 투옥으로 처벌받았지만, 16세기까지는 집행이 비교적 미약했다. 16세기에 귀족의 사냥 권리는 제한되고 토지 소유권으로 이전되었다.

밀렵꾼의 최후, 아우구스트 디펜바허(August Dieffenbacher)의 1894년 그림을 바탕으로 한 삽화


슐리어제(Schliersee)에 있는 밀렵꾼의 무덤. 젠너바인(Jennerwein) 노래의 첫 소절이 새겨져 있다.




총의 품질이 낮았기 때문에 사냥감에 30m 정도로 접근해야 했다. 잘츠부르크 지역의 밀렵꾼들은 30세 전후의 미혼 남성이었고, 대개 혼자서 불법 거래를 했다.[13] 17, 18세기에는 사유지에 대한 사냥 및 사격 권리 제한이 사냥꾼과 산림 관리인에 의해 시행되었다. 그들은 송진 채취 및 목장과 농민의 사냥 및 어업 권리와 같은 숲의 공유 사용을 거부했다. 18세기 말에는 소총을 쉽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농민과 하인들이 밀렵을 더 많이 할 수 있게 되었다.[14] 18세기에는 사냥이 귀족의 토지 지배를 보여주는 행위로 사용되었으며, 토지 이용 패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15] 밀렵은 재산권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상징적으로 귀족의 권력과 충돌했다.

1830년에서 1848년 사이에 바이에른에서 밀렵과 밀렵 관련 사망 사건이 증가했다.[16] 1848-49년 독일 혁명은 바이에른에서 밀렵에 대한 일반적인 허가로 해석되었다. 1849년 사냥법 개혁은 사냥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는 부유한 토지 소유주와 중산층에게만 합법적인 사냥을 제한했는데, 이는 밀렵꾼을 호의적으로 바라보던 일반 대중의 실망으로 이어졌다.[16] 밀수가 중요했던 일부 국경 지역은 그러한 발전에 특히 강한 저항을 보였다. 1849년 바이에른 군대는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에 있는 여러 지방 자치 단체를 점령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Garmisch-Partenkirchen)의 일부가 된 발가우(Wallgau)와 바이에른 숲에 있는 라켄하우저(Lackenhäuser) 모두에서 각 가구는 소요 사태를 진압하기 위한 군사 작전의 일환으로 한 달 동안 한 명의 군인을 먹이고 수용해야 했다. 라켄하우저 주민들은 밀렵한 사슴 때문에 오스트리아 산림 관리인과 군대와 여러 차례 충돌했다. 잘 무장한 주민들은 국가 대표자들에 맞서 싸우는 “대담한 밀렵꾼들”(kecke Wilderer)로 알려졌다.[4]

마티아스 클로스터마이어(1736-1771), 게오르그 젠너바인(1848-1877), 피우스 발더(1952-1982)와 같이 일부 밀렵꾼들과 그들의 폭력적인 죽음은 악명을 얻었고 오늘날까지 지속되는 강력한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13] 밀렵은 모험으로 사용되었다. 프란츠 슈베르트의 사냥꾼의 연가(1828, 슈베르트 주제 목록 909)에서와 같이 특정한 에로틱한 함축이 있었다. 프란츠 폰 쇼버의 가사는 무제한 사냥을 사랑의 추구와 연결했다. 1821년 오페라 자유 사수에서부터 볼프강 프란츠 폰 코벨의 1871년 이야기인 테게른제(Tegernsee)의 자물쇠공이자 밀렵꾼인 브란트너 카스퍼(Brandner Kasper)가 저승사자와 특별한 거래를 한 이야기까지 밀렵 관련 전설과 이야기는 다양했다.[5]

20세기 초까지 밀렵꾼들은 강력한 지역 사회의 지지를 받았지만, 발더의 사건은 태도의 상당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도시 시민들은 여전히 시골뜨기 반군에 대해 어느 정도 동정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지역 사회는 훨씬 더 지지적이었다.[12]

3. 2. 영국

밀렵은 밀거래와 마찬가지로 영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밀렵하다"라는 동사는 중세 영어 단어 "pocchen"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포장된", "자루에 담긴"을 의미하며, "파우치(pouch)"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17][18]

밀렵은 엄격한 앵글로-노르만 삼림법의 위반 사례인 "삼림의 소송(Pleas of the Forest)"에서 영국에 대해 보고되었다.[19] 사냥을 매우 좋아했던 윌리엄 정복자는 삼림법 체계를 수립하고 시행했다. 이 체계는 관습법 밖에서 운영되었으며, 영국의 일반 백성의 사냥으로부터 사냥감 동물과 그들의 삼림 서식지를 보호하는 동시에 새로운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앵글로-노르만 귀족에게 사냥 권리를 보장하는 역할을 했다. 따라서 일반 백성이 왕실 삼림에서 사냥을 하는 것은 교수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 1087년, 피터버러 연대기에 수록된 "윌리엄 왕의 노래(The Rime of King William)"라는 시는 새로운 엄격한 법률에 대한 영국의 분노를 표현했다.

1868년 트레메다 농장 문에 설치된 침입자를 사살한다는 경고가 적힌 놋쇠 명판


밀렵은 로빈 후드의 발라드 시대부터 문학에서 "그린우드(greenwood)" 즉, 메리 잉글랜드(Merry England)의 한 측면으로 낭만화되었다. 한 이야기에서 로빈 후드는 셔우드 숲에서 불법으로 사냥한 사슴의 고기를 사자심왕 리처드 왕에게 바치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왕은 이 사냥이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라는 사실을 간과한다. 흔한 범죄 행위에 대한 광범위한 수용은 기욤 부데(Guillaume Budé)가 그의 저서 "사냥에 관한 논문(Traitte de la vénerie)"에서 언급한 "Non est inquirendum, unde venit venison" ("사슴고기가 어디서 왔는지 조사할 필요는 없다")라는 말에 잘 나타나 있다.[20] 그러나 영국 귀족과 토지 소유자들은 공유지의 울타리 둘러치기(enclosures)와 후대의 하이랜드 청소(Highland Clearances)에서 표현된 것과 같이 장기적으로 재산에 대한 현대적인 개념을 시행하는 데 매우 성공적이었다. 이 두 가지 모두 전통적인 토지 임대와 이전의 공유지에서 사람들을 강제 이주시켰다. 19세기에는 영국에서 1828년 야간 밀렵 금지법(Night Poaching Act 1828)과 1831년 사냥법(Game Act 1831)(1 & 2 Will. 4. c. 32)과 같은 법률이 제정되었고, 다른 곳에서도 다양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3. 3. 미국

북아메리카에서 밀렵꾼들의 법률 무시는 법 집행 당국과의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 여기에는 체서피크 만(Chesapeake Bay)의 굴 전쟁(Oyster Wars)과 1891년 물개 사냥을 둘러싼 미국-영국 합동 베링 해 반밀렵 작전(Bering Sea Anti-Poaching Operations)이 포함된다. 1930년대 체서피크 만(Chesapeake Bay)에서 물새(Anseriformes)에 대한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는 회전포가 장착된 평저선을 사용하는 현지 밀렵꾼들이었는데, 이들은 한 발의 총격으로 전체 떼(Flock (birds))를 죽였다.[21][22][23]

2015년 8월 15일 주노 맹금류 센터의 새장에서 밀렵 시도에서 살아남은 알래스카의 흰머리수리 레이디 볼티모어


1915년 온타리오 호에서 밀렵된 오리


수렵법(hunting laws) 및 야생동물 관리(wildlife management) 관련 규정, 지역 또는 국제 야생동물 보존(wildlife conservation) 계획 위반은 일반적으로 처벌받는 야생동물 범죄(crime)에 해당한다.[24][25] 미국에서 밀렵 행위로 간주되는 위반 및 범죄는 다음과 같다.

  • IUCN이 멸종 위기종(endangered species)으로 지정하고 멸종위기종보호법(Endangered Species Act), 1918년 철새조약법(Migratory Bird Treaty Act of 1918) 및 CITES(CITES)와 같은 국제 조약에 따라 법으로 보호하는 야생 동물의 사냥, 살해 또는 채집.[24]
  • 수렵면허(hunting license) 없이 하는 낚시(Fishing) 및 사냥(hunting).[25][26]
  • 법적으로 허용된 시간 외 및 사냥철(hunting season) 밖에서 야생 동물을 포획하는 행위.
  • 캔드 헌트(Canned hunt)
  • 기관총(machine gun), 독극물(poison), 폭발물(explosive), 올무(snare trap), 그물(Net (device)) 및 함정(pitfall trap))의 금지된 사용.[24]
  • 머즐로더 또는 양궁 사냥철 또는 산탄총 전용 지역에서 카트리지 소총 사용, .22구경 장총탄(.22 Long Rifle)과 같은 충분하지 않은 화력으로 대형 유제류 동물을 사살하는 등 잘못된 무기 사용.
  • 음식, 유인물 또는 녹음된 소리로 미끼(bait (luring substance))를 사용하여 야생 동물 사냥 확률을 높이는 행위.[24]
  • 움직이는 차량(vehicle) 또는 항공기(aircraft)에서의 사냥.[24]
  • 항공기에서 야생 동물을 정찰하는 행위.
  • 스팟라이트(Spotlighting)는 동물 학대(animal abuse)로 간주된다.[27]
  • 다른 사람이 소유하거나 허가받은 제한된 토지에서 야생 동물을 포획하는 행위.
  • 연구원이 동물 또는 식물에 표식을 부착한 경우.

3. 4. 일본

현재 일본에서 널리 행해지는 밀렵으로는 흰눈썹황금새참수리 등이 있다.[99]

메이지 시대 후기, 바보천둥오리를 비롯한 조류 밀렵을 목적으로 한 일본인의 북서하와이 제도 진출은 "'''버드 러시'''"라고 불리는 일본-미국 간의 국제 문제가 되었다.[100] 일본 국내에서도 일본늑대, 해달, 일본물개, 일본수달을 대상으로 한 밀렵이 많았고, 일본수달의 마지막으로 확인된 개체군은 밀렵꾼이 발견한 것이었다.

1970년대에 걸쳐 기후현 도노 지방에서는 카스미 그물을 이용한 직박구리, 녹색비둘기, 울새 등의 밀렵이 성행했다. 그물을 치는 "토야바"(감시초소)가 설치되고, 야생조류 요리와 맥주를 제공하는 곳도 있었다.[101] 1970년 일본조류보호협회가 항공사진으로 기후현 내 토야바를 조사한 결과, 다지미시 내에서 45곳, 에나시 내에서 137곳, 토키시 내에서 89곳 등 총 1000곳을 확인했다.[102]

4. 밀렵의 동기

사회학 및 범죄학 연구에 따르면 북미에서는 상업적 이익, 가정 소비, 사냥 트로피, 즐거움, 야생 동물을 죽이는 스릴, 특정 사냥 규정에 대한 반대, 전통적인 사냥 권리 주장, 법 집행 기관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때문에 밀렵이 발생한다.[6] 미국의 농촌 지역에서는 빈곤이 밀렵의 주요 동기이다.[30] 루이지애나주 아차팔라야 강 유역의 밀렵꾼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는 응답자의 대다수가 자신과 가족의 식량 마련을 위해, 일부는 밀렵이 개인적/문화적 역사의 일부라고 답했으며, 일부는 밀렵한 고기를 판매하여 돈을 벌고, 보호관을 따돌리는 데서 흥분과 스릴을 느낀다고 답했다.[31]

아프리카 농촌 지역에서는 고용 기회 부족과 농업 및 축산업의 잠재력 제한이 밀렵의 주요 동기이다.[10] 빈곤층은 생존을 위해 천연자원에 의존하며, 도시 지역에서 높은 가격에 팔리는 부시미트 판매를 통해 현금 소득을 창출한다.[10] 야생 동물의 신체 부위는 전통 의학과 의식에도 수요가 있다.[10] 국제 밀렵 야생 동물 시장의 존재는 조직적인 전문 밀렵꾼들이 취약한 지역에 들어와 사냥을 하고, 범죄 조직들이 복잡한 상호 연결망을 통해 원산국 외부 시장으로 야생 동물 신체 부위를 밀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32][33] 아프리카의 무력 분쟁은 보호 구역 내 밀렵과 야생 동물 감소의 심화와 관련이 있으며,[34] 이는 전통적인 생계 수단의 붕괴로 인해 사람들이 대체 식량원을 찾게 되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탄자니아 여러 마을에서 실시된 인터뷰 조사에 따르면 밀렵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부시미트 소비 및 판매이다. 생선과 같은 대체 단백질 공급원이 없을 경우 많은 가족이 더 많은 부시미트를 소비한다. 가족이 보호 구역에서 멀어질수록 부시미트를 위해 야생 동물을 불법으로 사냥할 가능성이 줄어들었다. 수확철 직전과 폭우 시기에 부시미트를 사냥할 가능성이 더 높았는데, 수확철 이전에는 농업 활동이 많지 않고, 폭우는 인간의 발자취를 가리고 밀렵꾼들이 범죄를 저지르는 것을 더 쉽게 만들기 때문이다.[35]

빈곤은 사람들이 밀렵을 하도록 만드는 큰 원인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주민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태국에서는 아이들을 위한 더 나은 삶에 대한 욕구가 야생 동물 착취를 싫어하지만 농촌 밀렵꾼들이 밀렵의 위험을 감수하도록 만든다.[36]

밀렵의 또 다른 주요 원인은 상아와 같이 중국에서 지위와 부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야생 동물 제품에 대한 문화적 수요가 높다는 것이다. 조셉 반데그리프트에 따르면, 중국은 21세기에 상아에 대한 수요가 이례적으로 급증했는데, 경제 호황으로 중산층이 더 많아지면서 구매력이 높아졌고, 이는 한나라 시대 이후 희귀 상품이 된 상아를 사용하여 새롭게 얻은 부를 과시하도록 자극했다.[37]

중국에서는 특히 호랑이와 관련하여 야생 동물 보호에 문제가 있다. 중국 베이징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호랑이는 여전히 상류층의 부의 지위 상징이며, 신비로운 약효와 건강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어 불법 거래에서 높은 수요를 보인다.[38]

밀렵의 대상이 되는 동물은 애완동물로서 요구되거나, 엄니 등 일부 부위만을 노리는 경우, 식재료나 한약재로서 요구되는 등 다양한 경우가 있지만,[91], 어느 경우든 표적이 된 동물이 그 지역에서 사라지는 것은 마찬가지다. 특히 멸종이 우려되는 동물이나 수요가 있는 동물은 암시장에서 고가에 거래된다[92]. 따라서 법률로 규제되어 있어도 밀렵이 적발되는 사례는 끊이지 않고, 적발자가 살해되는 사례도 존재한다[93].

멸종이 우려되는 동물은 개체 수 자체가 적기 때문에, 단 한 마리만 채취되더라도 종의 존속에 막대한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다.

밀렵 행위는 엄중히 단속해야 하지만, 밀렵의 표적이 되기 쉬운 귀중한 동물은 특히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 등 국가 재정이 어려운 국가에 분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국가에서는 동물 보호보다 국민 복지가 우선시되며, 관료의 부패가 진행되는 국가에서는 법 집행 기관이 뇌물에 매수되거나, 치안 당국자 자신이 밀렵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94][95]

2000년대 후반이 되면서 대규모 코끼리 밀렵이 두드러지게 되었다.[96] 내전 등 분쟁으로 공급된 AK-47 등 군사용 무기가 밀렵에 전용되는 기술적 배경과, 현대의 상아 소비 중심지인 아시아(특히 중국과 태국)에서의 수요 확대라는 경제적 배경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밀렵 단속 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사냥 도구와 생업 도구 압수, 저항하는 주민에 대한 학대가 보고되고 있다. 사냥 도구를 빼앗긴 결과, 지역 주민이 동물성 단백질을 자급할 수 없는 상태가 우려되며, 생활 실태와 사냥 실태의 괴리를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밀렵 단속과 코끼리에 의한 농업 피해의 이중고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97]

자연 보호 단체에 의한 원주민에 대한 인권 침해도 우려되고 있으며, 국제 비정부기구인 "Survival International"은 세계자연보전기금의 원주민 권리 침해를 고발하는 비디오를 유튜브에 공개하고 있다.[98]

5. 밀렵의 영향

밀렵은 숲의 동물상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포식자, 초식동물, 과일을 먹는 척추동물은 숲에서 제거되는 속도만큼 빠르게 회복되지 못하며, 이는 종자 포식 및 종자 확산 패턴의 변화를 야기한다.[39] 큰 종자를 가진 나무 종이 숲을 지배하게 되고, 작은 종자를 가진 식물 종은 국소 멸종될 수 있다.[39] 또한, 밀렵은 야생 동물 개체 수 감소 및 멸종 가능성을 높인다.[40] 보호 지역의 효과적인 크기가 감소하며,[41] 야생 동물 관광 산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수입 감소 및 고용 기회 축소로 이어진다.[10]

밀렵은 인수공통감염병의 출현 위험을 증가시킨다. 1990년대 콩고 분지가봉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 발생은 영장류 도살 및 섭취와 관련이 있으며,[42] 홍콩에서 발생한 SARS 발생은 마스크드팜시벳, 너구리, 중국족제비 등 야생 동물과의 접촉 및 섭취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43] 중앙 아프리카의 부시미트 사냥꾼들은 인간 림프구성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고,[44] 카메룬의 야생 보노보는 시미안 포미 바이러스에 자연 감염되어 인간의 후천성면역결핍증의 전구체인 HIV-1의 저장소를 구성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45]

밀렵의 대상이 되는 동물은 애완동물, 특정 신체 부위(엄니 등), 식재료, 한약재 등 다양한 이유로 수요가 발생한다.[91] 멸종 위기 동물이나 수요가 많은 동물은 암시장에서 고가에 거래되기 때문에,[92] 법적 규제에도 불구하고 밀렵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밀렵 적발자가 살해되는 경우도 있다.[93]

멸종 위기 동물은 개체 수가 적어 밀렵으로 인한 피해가 더욱 심각하다. 인간의 남획으로 인해 멸종된 동물 사례는 매우 많다. 밀렵 단속은 중요하지만, 밀렵 대상이 되는 동물들은 주로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 등 재정이 어려운 국가에 분포하는 경우가 많아, 동물 보호 정책이 후순위로 밀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관료 부패로 인해 법 집행 기관이 뇌물에 매수되거나, 치안 당국자가 직접 밀렵에 가담하는 경우도 있어,[94][95] 전 세계적으로 밀렵 대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00년대 후반에는 대규모 코끼리 밀렵이 두드러졌는데,[96] 이는 내전 등으로 인한 군사용 무기(AK-47 등)의 밀렵 전용과 아시아(특히 중국태국)의 상아 소비 증가라는 경제적 배경이 작용한 결과이다.

밀렵 단속 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사냥 도구 및 생업 도구가 압수되고, 저항하는 주민에 대한 학대가 보고되기도 한다. 사냥 도구를 빼앗긴 주민들이 동물성 단백질을 자급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 우려되며, 생활 실태와 사냥 실태의 괴리를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밀렵 단속과 코끼리에 의한 농업 피해가 이중으로 발생한다는 지적도 있다.[97]

자연 보호 단체의 원주민 인권 침해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국제 비정부기구(NGO)인 "Survival International영어"은 세계자연보전기금의 원주민 권리 침해를 고발하는 비디오를 유튜브에 공개하기도 했다.[98]

남아프리카 공화국 성 루시아 석호 근처 밀렵꾼들에게 죽임을 당한 코뿔소들을 위한 추모비

6. 밀렵 방지 노력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밀렵 방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노력은 보호 지역 확장보다 밀렵으로 영향을 받는 개체 수 증가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61][62]

밀렵 방지 프로그램은 밀렵 지역과 밀거래 경로를 밝혀내고, 밀렵꾼들이 상아를 아시아 등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운반하는 밀수 경로를 단속하는 데 기여한다.[63] 매년 최대 3만 5천 마리의 아프리카코끼리가 상아를 노린 밀렵으로 희생된다.[64] 상아는 보석, 악기, 장신구 등에 사용된다.

코뿔소 구조 프로젝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코뿔소 뿔에 지워지지 않는 염료와 구충제를 혼합 주입하는 기술을 도입하여 밀렵을 방지하고 있다.[65] 이는 뿔의 추적을 용이하게 하고 구매자의 소비를 막는다. 코뿔소 뿔은 케라틴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 시술은 동물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65]

RhODIS는 압수된 뿔과 불법 거래 물품, 밀렵 현장에서 수집된 DNA 데이터베이스로, DNA 교차 참조를 통해 밀렵꾼 추적에 활용된다.

아프리카 야생동물 신탁은 탄자니아에서 아프리카코끼리 보호를 위해 노력한다. 1989년 상아 사냥이 금지되었지만,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코끼리 밀렵이 계속되고 있다. 국제 밀렵 방지 재단은 군사적 접근 방식을 보존에 적용하여, 무인 항공기 등 군사 장비와 전술을 활용한다.[66][67][68]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밀렵의 근본 원인과 국제적 수요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69]

Chengeta Wildlife는 야생 동물 보호팀을 훈련 및 지원하고, 아프리카 정부의 밀렵 방지 캠페인 채택을 장려하는 단체이다.[70] 짐 냐무의 코끼리 산책은 케냐에서 상아 밀렵 감소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71]

2013년 탄자니아 천연자원 및 관광부 장관은 밀렵꾼 현장 사살을 촉구했다.[72] 2016년 12월부터 나미비아 밀렵 방지 경찰 부대는 발포 시 반격할 수 있다.[73]

보츠와나 정부는 2013년 밀렵꾼 사살 정책을 채택하여 밀렵을 억제했으며, 이웃 국가에도 유사 조치를 권고했다.[74][75]

2018년 5월, 케냐 정부는 밀렵꾼에게 사형을 선고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6] 인권 단체는 반대하지만, 야생 동물 옹호자들은 지지한다. 세이브 더 라이노에 따르면, 2016년과 2017년 사이 케냐에서 밀렵꾼들이 23마리의 코뿔소와 156마리의 코끼리를 죽였다. 2019년 3월 현재, 이 조치는 케냐 입법자들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77]

아시아에서는 상아 밀렵에 대한 항의로 압수한 상아를 파괴하는 "상아 파쇄(ivory crush)"가 이루어지기도 한다.[78] 2013년 필리핀은 압수한 상아를 파괴한 최초의 국가였으며,[79] 2014년 중국도 6톤의 상아를 파쇄하여 밀렵 반대 의지를 표명했다.[80][81]

프레데릭 첸(Frederick Chen)은 밀렵 문제 해결을 위해 공급 측면과 수요 측면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8] 공급 측면에서는 보존 정책 및 법률 강화, 지역 사회에 토지 권리 부여를 통한 야생 동물 보호 장려 등이 있다.[38] 그러나 수요 측면에서는 편승 효과와 스노브 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 공급 제한이 오히려 희귀성과 가격을 높여 밀렵을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한다.[82] 따라서 밀렵 상품에 대한 수요를 줄이는 방법에 집중해야 하며, 이는 밀렵꾼 단속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83]

"세계의 호랑이(Tigers of the World)"에서는 호랑이 밀렵 방지를 위해 다자간 전략을 제안한다.[36] 여러 기관이 협력하여 밀렵을 예방하고, 사회적 인식을 높이며, 보호 및 수사 기술을 강화해야 한다. 보존 단체는 호랑이 밀렵의 심각성을 알리는 표적 광고를 통해 일반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잭키 찬과 같은 유명 인사를 활용하여 보존 운동을 홍보한다.[36]

2019년 7월, 베트남에서 아랍에미리트로 밀수되던 코뿔소 뿔이 압수되었다.[85] 1970년대 이후 거래가 금지되었음에도 코뿔소 뿔 밀렵은 계속 증가하여 코뿔소 개체 수를 위협하고 있다.[85]

밀렵은 아프리카와 중국 모두에서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86] 밀렵 대응은 밀렵꾼의 빈곤, 조직 범죄의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하며,[86][87] 다자간 접근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다.[87]

6. 1. 아프리카의 밀렵 방지 노력

밀렵 방지 프로그램은 밀렵 지역과 밀거래 경로를 밝혀내고, 밀렵꾼들이 상아를 아시아 등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운반하는 밀수 경로를 단속하는 데 기여한다.[63] 매년 최대 3만 5천 마리의 아프리카코끼리가 상아를 노린 밀렵으로 희생된다.[64] 상아는 보석, 악기, 장신구 등에 사용된다.

코뿔소 구조 프로젝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코뿔소 뿔에 지워지지 않는 염료와 구충제를 혼합 주입하는 기술을 도입하여 밀렵을 방지하고 있다.[65] 이는 뿔의 추적을 용이하게 하고 구매자의 소비를 막는다. 코뿔소 뿔은 케라틴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 시술은 동물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65]

RhODIS는 압수된 뿔과 불법 거래 물품, 밀렵 현장에서 수집된 DNA 데이터베이스로, DNA 교차 참조를 통해 밀렵꾼 추적에 활용된다.

아프리카 야생동물 신탁은 탄자니아에서 아프리카코끼리 보호를 위해 노력한다. 1989년 상아 사냥이 금지되었지만,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코끼리 밀렵이 계속되고 있다. 국제 밀렵 방지 재단은 군사적 접근 방식을 보존에 적용하여, 무인 항공기 등 군사 장비와 전술을 활용한다.[66][67][68]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밀렵의 근본 원인과 국제적 수요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69]

Chengeta Wildlife는 야생 동물 보호팀을 훈련 및 지원하고, 아프리카 정부의 밀렵 방지 캠페인 채택을 장려하는 단체이다.[70] 짐 냐무의 코끼리 산책은 케냐에서 상아 밀렵 감소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71]

2013년 탄자니아 천연자원 및 관광부 장관은 밀렵꾼 현장 사살을 촉구했다.[72] 2016년 12월부터 나미비아 밀렵 방지 경찰 부대는 발포 시 반격할 수 있다.[73]

보츠와나 정부는 2013년 밀렵꾼 사살 정책을 채택하여 밀렵을 억제했으며, 이웃 국가에도 유사 조치를 권고했다.[74][75]

2018년 5월, 케냐 정부는 밀렵꾼에게 사형을 선고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6] 인권 단체는 반대하지만, 야생 동물 옹호자들은 지지한다. 세이브 더 라이노에 따르면, 2016년과 2017년 사이 케냐에서 밀렵꾼들이 23마리의 코뿔소와 156마리의 코끼리를 죽였다. 2019년 3월 현재, 이 조치는 케냐 입법자들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77]

6. 2. 아시아의 밀렵 방지 노력

아시아에서는 상아 밀렵에 대한 항의로 압수한 상아를 파괴하는 "상아 파쇄(ivory crush)"가 이루어지기도 한다.[78] 2013년 필리핀은 압수한 상아를 파괴한 최초의 국가였으며,[79] 2014년 중국도 6톤의 상아를 파쇄하여 밀렵 반대 의지를 표명했다.[80][81]

프레데릭 첸(Frederick Chen)은 밀렵 문제 해결을 위해 공급 측면과 수요 측면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8] 공급 측면에서는 보존 정책 및 법률 강화, 지역 사회에 토지 권리 부여를 통한 야생 동물 보호 장려 등이 있다.[38] 그러나 수요 측면에서는 편승 효과와 스노브 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 공급 제한이 오히려 희귀성과 가격을 높여 밀렵을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한다.[82] 따라서 밀렵 상품에 대한 수요를 줄이는 방법에 집중해야 하며, 이는 밀렵꾼 단속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83]

"세계의 호랑이(Tigers of the World)"에서는 호랑이 밀렵 방지를 위해 다자간 전략을 제안한다.[36] 여러 기관이 협력하여 밀렵을 예방하고, 사회적 인식을 높이며, 보호 및 수사 기술을 강화해야 한다. 보존 단체는 호랑이 밀렵의 심각성을 알리는 표적 광고를 통해 일반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잭키 찬과 같은 유명 인사를 활용하여 보존 운동을 홍보한다.[36]

2019년 7월, 베트남에서 아랍에미리트로 밀수되던 코뿔소 뿔이 압수되었다.[85] 1970년대 이후 거래가 금지되었음에도 코뿔소 뿔 밀렵은 계속 증가하여 코뿔소 개체 수를 위협하고 있다.[85]

밀렵은 아프리카와 중국 모두에서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86] 밀렵 대응은 밀렵꾼의 빈곤, 조직 범죄의 이익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하며,[86][87] 다자간 접근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다.[87]

7. 한국의 밀렵 사례와 대응

메이지 시대 후기, 바보천둥오리를 비롯한 조류 밀렵을 목적으로 한 일본인들의 북서하와이 제도 진출은 "'''버드 러시'''"라 불리며 일본과 미국 간의 국제 문제가 되었다.[100] 이는 당시 일본 제국의 팽창주의적 정책과 맞물려 동아시아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일본 국내에서도 일본늑대, 해달, 일본물개, 일본수달을 대상으로 한 밀렵이 성행하였으며, 특히 일본수달의 마지막으로 확인된 개체군은 밀렵꾼에 의해 발견되었다는 점은 당시 일본의 무분별한 자연 파괴 실태를 보여준다.

1970년대에 걸쳐 기후현 도노 지방에서는 카스미 그물을 이용한 직박구리, 녹색비둘기, 울새 등의 밀렵이 성행했다. 밀렵꾼들은 그물을 치는 "토야바"(밀렵장)에 감시초소까지 설치하고, 야생조류 요리와 맥주를 판매하기도 했다.[101] 1970년, 일본조류보호협회가 항공사진으로 기후현 내 토야바를 조사한 결과, 다지미시 내 45곳, 에나시 내 137곳, 토키시 내 89곳 등 총 1000곳을 확인했다.[102] 이는 당시 일본 사회에 만연했던 불법 야생동물 포획 실태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사례이다.

7. 1. 역사적 사례

메이지 시대 후기, 바보천둥오리(アホウドリ)를 비롯한 조류 밀렵을 목적으로 한 일본인의 북서하와이 제도 진출은 "'''버드 러시'''"라 불리며 일본과 미국 간의 국제 문제가 되었다.[100] 일본 국내에서도 일본늑대(ニホンオオカミ), 해달(ラッコ), 일본물개(ニホンアシカ), 일본수달(ニホンカワウソ)을 대상으로 한 밀렵이 많았고, 일본수달의 마지막으로 확인된 개체군은 밀렵꾼이 발견한 것이었다.

1970년대에 걸쳐 기후현 도노(東濃) 지방에서는, 카스미 그물(カスミ網)을 이용한 조류 밀렵이 성행했다. 1970년, 일본조류보호협회(日本野鳥の会)가 항공사진으로 기후현 내 밀렵장(토야바)를 조사한 결과, 다지미시(多治見市) 내 45곳, 에나시(恵那市) 내 137곳, 토키시(土岐市) 내 89곳 등 총 1000곳을 확인했다.[102]

7. 2. 최근 사례

현재 일본에서 널리 행해지는 밀렵으로는 흰눈썹황금새(メジロ)와 참수리(クマタカ) 등이 있다.[99]

메이지 시대 후기, 바보천둥오리(アホウドリ)를 비롯한 조류 밀렵을 목적으로 한 일본인의 북서하와이 제도 진출은 "'''버드 러시'''"라고 불리는 일미 간의 국제 문제가 되었다.[100] 일본 국내에서도 일본늑대(ニホンオオカミ), 해달(ラッコ), 일본물개(ニホンアシカ), 일본수달(ニホンカワウソ)를 대상으로 한 밀렵이 많았고, 일본수달의 마지막으로 확인된 개체군은 밀렵꾼이 발견한 것이었다.

1970년대에 걸쳐 기후현 도노(東濃) 지방에서는, 카스미 그물(カスミ網)을 이용한 직박구리(ツグミ), 녹색비둘기(アオバト), 울새(ルリビタキ) 등의 밀렵이 성행했다. 그물을 치는 "토야바"(トヤ場, 밀렵장)에는 감시초소(番小屋)가 설치되고, 야생조류 요리와 맥주를 제공하는 곳도 있었다.[101] 1970년, 일본조류보호협회(日本野鳥の会)가 항공사진으로 기후현 내 토야바를 조사한 결과, 다지미시(多治見市) 내에서 45곳, 에나시(恵那市) 내에서 137곳, 토키시(土岐市) 내에서 89곳 등 총 1000곳을 확인했다.[102]

7. 3. 대응 노력

8. 결론

참조

[1] 백과사전 Poaching Random House
[2] 백과사전 Poaching Merriam-Webster, Inc.
[3] 백과사전 Poaching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08-18
[4] 서적 Herrschaftspraxis in Bayern und Preussen im 19. Jahrhundert: ein historischer Vergleich Campus Verlag 1997
[5] 학술지 Effects of disturbance by visitors on two woodland orchid species in Great Smoky Mountains National Park, USA
[6] 학술지 Illegal harvest of renewable natural resources in North America: Toward a typology of the motivations for poaching
[7] 서적 Environmental Impacts of Pasture-based Farming Centre for Agriculture and Biosciences International 2016-02-19
[8] 학술지 Cowboys v. Rancheros: The Origins of Western American Livestock Law
[9] 웹사이트 Goal 15 targets https://www.undp.org[...] 2020-09-24
[10] 서적 Illegal hunting and the bush-meat trade in savanna Africa: drivers, impacts and solutions to address the problem Panthera,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Wildlife Conservation Society
[11] 웹사이트 Leonhard Pöttinger {{!}} Berg und Totschlag (Poettinger – mountain and murder) https://bergundtotsc[...] 2016-09-10
[12] 서적 Wilderer: Rebellen in den Bergen https://books.google[...] Böhlau Verlag 1998
[13] 뉴스 Rebellen der Berge http://www.bayerisch[...] 2016-09-10
[14] 서적 Allmende und Allmendaufhebung: vergleichende Studien zum Spätmittelalter bis Zu den Agrarreformen des 18./19. Jahrhunderts https://books.google[...] Lucius & Lucius 2003
[15] 웹사이트 Sehepunkte – Rezension von: Ebersberg oder das Ende der Wildnis – Ausgabe 4 (2004), Nr. 2, review of Rainer Beck: Ebersberg oder das Ende der Wildnis (Ebersberg and the end of wilderness), 2003 http://www.sehepunkt[...] 2016-09-10
[16] 웹사이트 Wilderei –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poaching entry in the Bavarian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www.historis[...] 2016-09-10
[17] 서적 The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8-18
[18] 서적 The Merriam-Webster Unabridged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Inc. 2013-08-18
[19] 학술지 Staffordshire Forest Pleas: Introduction http://www.british-h[...]
[20] 서적 Traitte de la vénerie https://archive.org/[...] Auguste Aubry
[21] 학술지 Poaching Made Big Business by Ruthless Gangs of Killers 1933
[22] 서적 Pirates of the Chesapeake Bay: from the colonial era to the Oyster Wars History Press 2020
[23] 서적 The outlaw gunner: a journey from hunting for survival to a call for waterfowl conservation Schiffer Publishing
[24] 학술지 Status of Poaching in the United States – Are We Protecting Our Wildlife?
[25] 서적 The Trade in Wildlife: Regulation for Conservation Earthscan Publications Ltd.
[26] 학술지 Illegal hunting and angling: The neutralization of wildlife law violations
[27] 학술지 The other criminalities of animal freeze-killers: Support for a generality of deviance
[28] 뉴스 Indigenous Communities and Biodiversity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5-10-01
[29] 뉴스 Tourists urged to boycott Botswana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0-10-01
[30] 서적 Rural Crime and Policing https://www.ncjrs.go[...] U.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Justice Programs: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2013-08-09
[31] 학술지 The game of poaching: Folk crimes in southwest Louisiana
[32] 보고서 Skinning the Cat: Crime and Politics of the Big Cat Skin Trade http://www.wpsi-indi[...] Environmental Investigation Agency, Wildlife Protection Society of India
[33] 보고서 The South Africa – Viet Nam Rhino Horn Trade Nexus: A deadly combination of institutional lapses, corrupt wildlife industry professionals and Asian crime syndicates http://www.traffic.o[...] TRAFFIC
[34] 학술지 Warfare and wildlife declines in Africa's protected areas
[35] 학술지 Local Perspectives on Factors Influencing the Extent of Wildlife Poaching for Bushmeat in a Game Reserve, Western Tanzania 2015
[36] 서적 Tigers of the World Academic Press
[37] 학술지 Elephant Poaching: CITES Failure to Combat the Growth in Chinese Demand for Ivory
[38] 학술지 Public attitude toward tiger farming and tiger conservation in Beijing, China
[39] 학술지 The Empty Forest https://web.archive.[...]
[40] 학술지 Impacts of hunting on tropical forests in Southeast Asia
[41] 학술지 How does poaching affect the size of national parks?
[42] 학술지 Isolation and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Ebola viruses causing different outbreaks in Gabon
[43] 학술지 Animal origins of SARS coronavirus: possible links with the international trade in small carnivores
[44] 학술지 Emergence of unique primate T-lymphotropic viruses among central African bushmeat hunters
[45] 학술지 Chimpanzee reservoirs of pandemic and nonpandemic HIV-1
[46] 웹사이트 Continued Poaching Will Result in the Degradation of Fragile Ecosystems https://web.archive.[...] The International 2013-01-31
[47] 웹사이트 AK-47s, Quack Medicine, and Heaps of Cash: The Gruesome Rhino Horn Trade, Explained https://www.motherjo[...] 2020-07-24
[48] 웹사이트 Quackery and superstition: species pay the cost https://phys.org/new[...] 2020-07-24
[49] 학술지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value of wildlife: A green cultural criminological perspective
[50] 뉴스 Will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ean the end of the wild tiger? http://www.sfgate.co[...] 2007-11-11
[51] 웹사이트 Rhino rescue plan decimates Asian antelopes https://web.archive.[...] Newscientist.com 2010-03-18
[52] 웹사이트 Traffic.org http://www.traffic.o[...] Traffic.org 2014-08-08
[53] 웹사이트 Rhino horn trade triggers extinction threat http://www.cnn.com/2[...] 2014-08-08
[54] 뉴스 article, November 2011 https://www.theguard[...] 2014-08-08
[55] 뉴스 Telegraph article, "Rhinos under 24 hour armed guard, Sept. 2012 https://web.archive.[...] Telegraph.co.uk 2014-08-08
[56] 뉴스 Slaughter of rhinos at record high https://www.independ[...] Independent.co.uk 2014-08-08
[57] 뉴스 Rhino horn: Vietnam's new status symbol heralds conservation nightmare, Guardian September 2012 https://www.theguard[...] 2014-08-08
[58] 뉴스 Elephants Dying in Epic Frenzy as Ivory Fuels Wars and Profits https://www.nytimes.[...] 2012-09-03
[59] 뉴스 In Gabon, Lure of Ivory Is Hard for Many to Resist https://www.nytimes.[...] 2012-12-26
[60] 서적 Randkulturen: Theorie der Unanständigkeit https://books.google[...] Böhlau Verlag 1996
[61] 학술지 Optimizing protected area expansion and enforcement to conserve exploited species 2024-02-01
[62] 학술지 Bigger or better: The relative benefits of protected area network expansion and enforcement for the conservation of an exploited species https://conbio.onlin[...] 2018-05-01
[63] 웹사이트 TRAFFIC {{!}} Wildlife trade specialists https://www.traffic.[...] 2019-01-10
[64] 웹사이트 African elephants https://www.awf.org/[...]
[65] 웹사이트 Dye and Poison Stop Rhino Poachers http://blogs.scienti[...] Scientific American 2013-08-08
[66] 뉴스 Ex-soldier takes on poachers with hi-tech help for wildlife http://www.heraldsun[...]
[67] 학술지 Rise of the drones https://web.archive.[...]
[68] 웹사이트 The Eco-Warrior http://www.australia[...] Australia Unlimited 2013-04-19
[69] 학술지 Waging a war to save biodiversity: the rise of militarized conservation http://eprints.white[...]
[70] 뉴스 African Elephants May Be Extinct By 2020 Because People Keep Eating With Ivory Chopsticks http://www.huffingto[...] huffingtonpost.com 2014-07-30
[71] 뉴스 Strategies for success in the ivory wa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
[72] 뉴스 Execute elephant poachers on the spot, Tanzanian minister urg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12-29
[73] 뉴스 No mercy for poachers https://www.namibian[...] Namibian Sun 2016-12-30
[74] 논문 Live by the gun, die by the gun: An Analysis of Botswana's 'shoot-to-kill' policy as an anti-poaching strategy South African Crime Quarterly 2017
[75] 뉴스 Should rangers be allowed to kill poachers on sight? Yes' researchers say http://www.heraldliv[...] The Herald (South Africa) 2017-07-20
[76] 뉴스 Wildlife poachers in Kenya 'to face death penalty'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9-04-03
[77] 뉴스 Kenya's Poachers To Face Execution For Killing Treasured Species https://www.inquisit[...] Inquisitr 2019-04-03
[78] 웹사이트 U.S. Ivory Crush http://www.fws.gov/i[...] U.S. Fish & Wildlife Service 2014-02-01
[79] 잡지 In Global First, Philippines to Destroy Its Ivory Stock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4-02-01
[80] 잡지 China Crushes Six Tons of Confiscated Elephant Ivory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4-02-01
[81] 뉴스 China crushes six tons of ivo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2-01
[82] 논문 Poachers and Snobs: Demand for Rarity and the Effects of Antipoaching Policies 2016
[83] 논문 Increase anti-poaching law-enforcement or reduce demand for wildlife products? A framework to guide strategic conservation investments 2018
[84] 논문 Characterizing efforts to reduce consumer demand for wildlife products https://ora.ox.ac.uk[...] 2019
[85] 뉴스 Vietnam seizes 125kg of rhino horn worth £6m concealed in plaster shipment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9-07-29
[86] 웹사이트 USAID PROTECT and USAID Wildlife Asia: Combating Illegal Wildlife Trafficking https://www.rti.org/[...] RTI International 2020-04-22
[87] 웹사이트 Partnership against Poaching and Illegal Wildlife Trade in Africa and Asia https://www.giz.de/e[...] Deutsche Gesellschaft für Internationale Zusammenarbeit (GIZ) GmbH 2020-04-22
[88] 뉴스 Animal robots help enforce hunting laws https://news.google.[...] Milwaukee Journal Sentinel 2001
[89] 웹사이트 Poachers are still getting duped into shooting robot Deer http://motherboard.v[...] Vice 2016-04-12
[90] 웹사이트 MPA Protection Mission – Isla de la Plata, Machalilla National Park, Ecuador https://globalconser[...] Global Conservation 2020-03-17
[91] 웹사이트 密猟や違法な取引から、野生生物を守ろう! WWFジャパン https://www.wwf.or.j[...] WWFジャパン 2020-05-09
[92] 웹사이트 アフリカ密猟深刻 象牙・サイの角 アジア富裕層需要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0-05-09
[93] 뉴스 ゾウやサイの密猟と戦った研究者、ケニヤで刺殺 https://www.bbc.com/[...] BBCニュース 2020-05-09
[94] 웹사이트 頭と鼻を切られた牙なしスマトラゾウ 絶滅危惧種の密猟に警察も関与? https://www.newsweek[...] Newsweek日本版 2020-05-09
[95] 웹사이트 ゾウの60%が消えたタンザニア、その原因は https://natgeo.nikke[...] natgeo.nikkeibp.co.jp 2020-05-09
[96] 논문 ゾウの密猟はなぜなくならないか: カメルーンにおける密猟取り締まり作戦と地域住民 https://hdl.handle.n[...] 京都大学地域研究統合情報センター 2016-03
[97] 간행물 象牙密猟は生息地でどう受けとめられているか? : 二重に苦しめられるタンザニアの地域住民 https://doi.org/10.2[...] 「野生生物と社会」学会 2020-05-09
[98] Youtube Baka "Pygmies" abused in the name of conservation https://www.youtube.[...] 2020-05-09
[99] 논문 クマタカの密猟について https://doi.org/10.3[...] 1975
[100] 논문 北西ハワイ諸島における1904年前後の鳥類密猟事件 : バード・ラッシュの一コマ http://ypir.lib.yama[...] 下関市立大学学会 2007-03
[101] 뉴스 カスミ網売らせるな あくどい密猟、焼鳥売る番小屋 野鳥の会、国会に請願へ 朝日新聞 1970-11-04
[102] 뉴스 天を恐れぬカスミ網 密猟王国岐阜県東農地方に見る 番小屋に羽の山 「罰金払えば」居直る老人 朝日新聞 1970-11-23
[103] 백과사전 Poaching Random House 2002
[104] 백과사전 Poaching Merriam-Webster, Inc.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