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루나이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루나이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보르네오 섬 북부 지역은 중국 상인들과의 교역을 통해 번영했다. 977년에는 브루나이의 통치자가 중국 황제에게 서한을 보냈고, 15세기 초에는 정화 제독이 브루나이를 방문하여 무역항을 발견했다. 브루나이는 15세기 이슬람으로 개종하며 브루나이 제국으로 발전했고, 16세기에는 보르네오 북서부 해안 지역을 지배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19세기에는 영국과의 관계가 강화되어, 1888년 영국과 보호 조약을 체결하면서 외교가 영국에 귀속되었고, 1906년에는 영국이 브루나이에 거주지를 설치했다. 1928년 석유가 발견되면서 경제적 부흥을 맞이했고, 1984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아세안에 가입했다. 이후 석유와 천연가스 분야의 경제 성장을 통해 산업화되었으며, 2014년에는 샤리아 형법을 제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루나이의 역사 - 톤도 왕국
    톤도 정치체는 파시그 강 남쪽과 마닐라 만 서쪽 해안에 위치한 정착지로, 라칸이라는 지도자 아래 여러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16세기 마닐라 만 지역 동맹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활발한 무역을 통해 번성했으나, 1570년 스페인에 정복당했다.
  • 브루나이의 역사 - 브루나이 술탄국
  • 아시아 -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슬람 술탄국으로 독립하여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기반으로 높은 국민 소득을 유지하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입헌 군주국이다.
  • 아시아 -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의 역사, 그리고 지정학적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토번
    토번은 7세기 초에 건국되어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한 티베트의 고대 왕국으로, 당나라와 빈번한 외교 및 전쟁을 벌였으며, 8세기 후반에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종교적 갈등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멸망했다.
브루나이의 역사
지도 정보
브루나이 역사
국가 명칭브루나이 다루살람
역사적 명칭브루나이 제국
어원산스크리트어 "바루나이"(Varunai) 또는 "바루나"(Barunah)에서 유래
브루나이 제국 시대
주요 인물루파르 수그
관련 국가술루 술탄국
마닐라 왕국
톤도 왕국
주요 전쟁브루나이-이간 전쟁
브루나이-톤도 전쟁
카스티야 전쟁
내부 분쟁브루나이 내전
식민지 시대
통치 기구국가평의회
관련 국가사라왁 왕국
사라왁 왕령식민지
라부안 왕령식민지
북보르네오
전쟁 및 점령일본령 보르네오
보르네오 전역 (1945년)
군정보르네오 군정
정치 조직브루나이 청년 전선
브루나이 인민당
주요 사건브루나이 반란
북보르네오 연방
독립브루나이의 독립
독립 이후
국가브루나이 다루살람 (1984년~현재)
이미지 정보
브루나이 문장

2. 선사 시대

브루나이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4만 년경 사라왁 주 미리 지역 니아 국립공원의 니아 동굴에서 발견된 오스트로-멜라네시아인의 존재로 거슬러 올라간다.[31] 이곳에서 발견된 유해는 최종 빙하기에 발견된 것들과 관련이 있다.

약 1만 년 전 해수면 상승 후, 동남아시아 지역은 두 지역으로 나뉘었다. 그곳의 인구는 여러 이유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호아빈 문화(Hoabinhian) 사람들 또는 원멜라네시아인들은 보르네오로 이동하여 기원전 8000년경까지 니아 동굴에 살았다.[31]

양쯔강에서 시작된 이동은 타이완을 거쳐 팔라완을 경유하여 필리핀에 도달했다. 팔라완에 도달한 후, 최소 세 개의 집단이 독립적인 공동체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한 집단은 보르네오로, 다른 집단은 술라웨시로, 마지막 집단은 자바로 이동했다. 이러한 사건은 기원전 4000년에서 3000년 사이 약 천 년 동안 지속되었다.[31] 기원전 2500년경 필리핀을 통해 오스트로네시아인들에게 토기 사용과 벼농사가 전파되었고, 기원전 2300년경 보르네오에 도착하여 인도네시아 제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32]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거석문화를 중심으로 신앙이나 우주론을 발전시키기 시작했고, 사람들이 정착하여 토지를 경작하면서 사회 구조와 농업을 발전시켰다. 이 청동기 시대 문화 복합체는 기원전 600년경 동손 마을을 중심으로 절정에 달했으며, 동손 문화라고 불린다. 기원전 500년에서 200년 사이 철과 청동의 도입은 신석기 시대 종교의 종말과 동남아시아에서 인도와의 접촉의 시작을 알렸다. 인도와의 무역은 보르네오에 유리나 돌 구슬을 가져왔다.[33]

브루나이 주변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유적지는 현재 브루나이에서 남서쪽으로 약 100km 떨어진 말레이시아 사라왁 주에 위치한 석회암 동굴인 '''니아 동굴'''과 보르네오 북단 말레이시아 사바 주에 있는 틴카유 유적, 마다이 동굴, 그리고 필리핀 본토에서 보르네오 섬으로 이어지는 팔라완 섬 중앙부의 타본 동굴이다.

니아 동굴에서는 기원전 4만 년 전부터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과 소형 석편석기, 찍개, 뼈로 만든 첨두기가 발견되었고, 기원전 3만 년 전부터는 뼈로 만든 첨두기가 대량으로 출토되었다. 기원전 1만 5000년 전에는 다양한 형태의 매장 유적이, 기원전 1만 3000년~1만 년 전 지층에서는 마제석부가, 기원전 6000년~4000년 전에는 원통형 석부가 발견되었다. 기원전 2500년 전에는 토기와 목관, 방향석부가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250년에는 청동기, 서기 700년에는 철기가 발견되었다. 이때 동시에 중국산 유리구슬과 도자기도 출토되었다.

틴카유 유적은 기원전 2만 8000년경, 화산 폭발로 생긴 호수인 틴카유 호 호숫가나 호수 내 섬에 형성된 유적으로, 1만 2000년 전까지의 유물이 발견된다. 마다이 동굴 유적에서는 식물을 자른 흔적이 남은 광택이 있는 석기가 등장한다. 타본 동굴에서는 3만 년 전부터 9000년 전까지의 부정형 석편석기가 주로 출토되며, 시대가 내려갈수록 소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2. 1. 고대 해상 무역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배가 1519년에서 1522년 사이에 도착하기 전의 브루나이 역사는 고고학에서 증명되지 않는 한, 추측, 중국 사료 해석, 지역 전설에 기반한다. 고고학 연구에 의해 확인되었듯이, 현재의 브루나이 지역은 해상 옥도 무역망에 참여하였다. 이 무역망은 기원전 2000년부터 서기 1000년까지 3,000년 동안 존재했으며, 타이완필리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35][36][37][38] 브루나이의 수도인 반다르스리브가완에서 약 22km 떨어진 '''순가이 리마우 만'''에서 발굴된 유물로 보아, 중국인들은 서기 835년에 이 지역에서 무역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9]

장뇌와 후추는 무역의 귀중품이었다. 브루나이 경질 장뇌는 은으로 된 자신의 무게와 동등한 도매가를 가지고 있었다. 명나라의 기록은 14세기 말에서 15세기 초에 걸쳐 포니 통치자들의 방문과 조공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들의 이름과 직함은 힌두교 또는 불교의 영향을 암시한다. 이 문서는 이 나라가 힌두교 자와족 마자파힛 제국의 속국이었음을 확인시켜주지만, 1408년에 중국의 보호를 받으려고 했다.

고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어느 시대에 있어서도 경공업 제품을 자국에서 생산하는 것보다 수입하는 쪽이 더 저렴했다. 연안 무역의 중심지는 말레이 반도와 수마트라섬, 말라카 해협 주변이었다. 브루나이는 말라카 해협과 중국 사이에 위치해 중계점이 되기는 했지만, 산물의 성질, 규모로 볼 때 중심지는 되지 못했다. 몰루카 제도(말루쿠 제도)는 보르네오섬 자체를 사이에 두고 정반대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몰루카 제도 획득의 쟁탈과 거의 무관했다.

서기 60년에서 70년경에 기록된 『에리트레아해 항해기』에는 로마인이 후추의 산지로 매우 관심을 가졌던 남인도를 중심으로 묘사되어 있다. 알렉산드리아-홍해-페르시아만-인도라는 항로는 기원전 1세기부터 이용되었다. 인도 남부에서 왼쪽으로 육지를 바라보며 나아가면 "강게스"(갠지스강)에 이르고, 더 나아가면 크뤼세(말레이 반도)라고 불리는 섬이 있으며, 더 북쪽으로 나아가면 티나(중국)에 도달한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그리스 측에서는 인도와 중국을 잇는 항로가 인식되고 있었다.

중국 측에서는 후한반고, 반소가 기록한 전한에 대한 『한서』의 「지리지」에 중국과 인도의 무역에 대한 기록이 있다. 무역 품목에는 인도, 중국 어느 쪽에서도 생산되지 않는 「코뿔소」 등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기원전에는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가 무역에 참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무역로는 양 끝에서는 로마와 을 잇고 있었지만, 양자의 직접적인 무역 교섭은 거의 없었다. 무역의 중심지는 인도였으며, 인도의 산물을 서쪽의 로마와 동쪽의 한이 수입하고, 대신 을 수출했다.

3. 이슬람 이전의 힌두-불교 인도화 왕국

대인도의 역사적 인도권 문화 영향권. 인도 문화 요소, 예를 들어 존칭, 인명, 지명, 단체 및 교육 기관의 모토, 그리고 힌두교, 불교, 인도 건축, 무술, 인도 음악과 춤, 전통 인도 의복, 인도 요리의 채택 등이 전파된 지역.


브루나이는 동남아시아 지역이라는 지리적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조건설명
열대우림농업의 토지생산성이 온대 지역에 비해 낮았다. 열대우림의 토양은 영양염류의 용탈이 심해 농지로는 부적합하며, 화전농업 등이 농업의 기반이었다.
세계 최대의 다도해넓게 펼쳐지는 일원적인 영토를 가지지 않은 국가군, 격리된 연안끼리 상호 교류 없이 별개로 문화, 물질을 교환하는 지역 사회의 모습을 촉진했다.
대문명의 교통로(협로)다른 지역과의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고대부터 경공업 제품을 자국에서 생산하는 것보다 수입하는 쪽이 더 저렴했다.



브루나이는 다른 동남아시아 섬 지역 국가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보인다.

차이점설명
무역의 중심지에 위치하지 않음말라카 해협과 중국 사이에 위치해 중계점이 되기는 했지만, 중심지는 되지 못했다.
주변에 다른 도시 국가(항구 도시 국가)가 없음항구 도시 국가 간의 항쟁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유럽인의 착취의 대상이 되는 자원을 생산할 수 없었음광업이나 플랜테이션 농장을 위해 많은 외국인이 도입되지 않아, 민족 화합 문제도 없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브루나이는 동남아시아 섬 지역 국가 중에서도 안정되고 평온한 시간을 보냈으며, 브루나이 왕조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왕조 중 하나로 여겨진다.

브루나이 역사의 주요 분기점은 16세기포르투갈·에스파냐와의 관계, 19세기의 영국인 제임스 브룩과의 교섭과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말레이시아와의 관계이다.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인도 상인들이 동남아시아의 여러 섬으로 항해하기 시작했고, 항구를 중심으로 도시 국가가 성립되었다. 4세기에서 5세기경, 굽타 왕조의 영향으로 산스크리트어, 데바나가리 문자, 브라만교 등이 동남아시아에 전파되었다. 브루나이에서도 높은 지위를 나타내는 칭호나 비석에 새기는 글자에 산스크리트어가 사용되고 있다.

3. 1. 전설과 초기 역사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배가 1519년에서 1522년 사이에 도착하기 전의 브루나이 역사는 고고학적 증거가 없는 한, 추측, 중국 사료 해석, 지역 전설에 기반한다.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현재의 브루나이 지역은 해상 비취길에 참여했다. 이 무역망은 기원전 2000년부터 서기 1000년까지 3000년 동안 존재했으며, 타이완필리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35][36][37][38] 브루나이의 수도인 반다르스리브가완에서 약 22km 떨어진 '''순가이 리마우 만'''에서 발굴된 유물은 중국인들이 서기 835년에 이 지역에서 무역을 했을 것으로 추정하게 한다.[39]

장뇌와 후추는 당시 귀중한 무역품이었다. 브루나이 경질 장뇌는 은과 같은 무게로 도매가가 매겨질 정도였다. 명나라 기록은 14세기 말에서 15세기 초에 걸쳐 포니(브루나이의 옛 지명) 통치자들의 방문과 조공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들의 이름과 직함은 힌두교 또는 불교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이 문서는 브루나이가 힌두교 자와족 마자파힛 제국의 속국이었지만, 1408년에 중국의 보호를 받으려 했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다투 푸티(Datu Puti)는 보르네오 출신의 반란을 일으킨 다투(Datu)들을 이끌고 다투 마카투나우(Datu Makatunaw)에 맞서 싸웠다는 전설이 있다. 반란군과 그 수행원들은 파나이 섬에 마드야스라는 새로운 나라를 건설했다. 10명의 다투가 파나이와 루손 남부에 많은 마을을 세운 후, 다투 푸티의 친척인 다투 마카투나우는 다투들의 재산과 부를 빼앗았다. 라바우 둥곤과 파이바리라는 전사들은 장인 파이부롱으로부터 이러한 부정을 듣고 보르네오의 우두탄으로 항해했는데, 그곳은 마카투나우가 통치하는 곳이었다. 전사들은 마을을 약탈하고, 마카투나우와 그의 가족을 죽였으며, 10명의 다투들이 빼앗긴 재산을 되찾았고, 우두탄의 남은 주민들을 노예로 삼아 파나이로 돌아왔다. 라바우 둥곤과 그의 아내 우하이타나욘은 나중에 무루부로라는 곳에 정착했다.[6]

4. 초기 중국의 영향

명나라 초기, 중국은 브루나이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황제는 왕공(Wang Kong)과 옹섬핑(Ong Sum Ping)이라는 두 관리를 보내 키나발루 산(중국 발루)에 사는 용의 젬말라(빛나는 구체)를 얻도록 했다. 이 산의 이름은 용에게 잡아먹힌 많은 중국인들의 희생을 나타낸다.[11]

키나바탕간 강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강으로, 초기 중국 정착민들이 새 둥지, 해삼, 상어 지느러미, 보르네오 장뇌, 진주, 진주 조개 등을 채취하여 중국으로 수출하는 공장을 세웠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부터 북부 및 북동부 보르네오의 생산물은 중국 상인들의 상당한 관심을 끌었다.[7]

977년 보니(Boni) 통치자가 중국 황제에게 보낸 서한은 보르네오에 독립 왕국이 존재했다는 가장 초기의 중국 기록 중 하나로 여겨지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브루나이를 가리킨다고 믿는다.[8] 브루나이는 자바-수마트라 전쟁으로 스리비자야로부터 독립했다.[9] 1225년, 중국 관리인 저우루거(Zhao Rukuo)는 보니가 무역을 보호하기 위해 군함 100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왕국에 막대한 부가 있다고 보고했다.

15세기 초, 정화 제독이 브루나이를 방문했을 때, 중국과 활발하게 무역하는 중국인들을 포함한 주요 무역항을 발견했다.[13]

4. 1. 14세기 브루나이

명나라 초기, 중국 황제는 왕공과 황삼병이라는 두 명의 장교를 보내 중국 발루에 사는 용의 보석(빛나는 구)을 얻도록 했다. 그 산 이름 자체가 용에게 먹혀 죽은 많은 중국인들의 생명을 의미한다.[40]

브루나이 역사관은 황삼병이 나중에 브루나이 술탄 무함마드 샤의 딸인 라트나 드위 공주와 결혼했다는 다소 믿기 힘든 이야기를 보여준다. 그 공로로 그는 펑기란 마하라자 렐라라는 귀족 칭호를 받았고 키나바탄간구의 추장으로 선출되었다.[41]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강인 시나바탕간은 중국 대륙으로 수출하기 위해 보르네오 장뇌, 상어 지느러미, 진주조개, 새 둥지를 모으는 공장을 가지고 있던 초기 중국 정착민들에 의해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믿어졌다. 북보르네오와 북동 보르네오의 초기 작품들은 이미 중국인들의 상당한 관심을 끌었다.[42]

1519년에서 1522년 사이에 마젤란의 배가 도착하기 이전 브루나이의 역사는 고고학적 증거가 없는 한 추측, 중국 자료 해석, 그리고 지역 전설에 기반한다. 현재 브루나이를 구성하는 지역은 고고학 연구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해상 비취길에 참여했다. 이 무역 네트워크는 기원전 2000년부터 서기 1000년까지 3000년 동안 존재했으며, 타이완과 필리핀을 중심으로 했다.[2][3][4][5]

장뇌와 후추가 귀중한 무역품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브루나이의 장뇌는 도매가가 은의 무게와 같았다. 명나라 기록은 14세기 후반과 15세기 초에 ''포니''(현대 중국어 발음) 통치자들의 방문과 조공 사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들의 이름과 칭호는 힌두교 또는 불교의 영향을 시사한다. 이 기록들은 그 국가가 자바의 힌두교 국가인 마자파힛 제국에 조공을 바쳤지만 1408년에는 중국의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마르코 폴로는 자신의 기록에서 몽골 제국의 지배자인 대칸이 브루나이가 지배하던 보르네오(유럽에서 부르던 이름은 "그레이트 자바")를 여러 차례 침략하려 했으나 실패했다고 적었다.[10]

왕전평(王振平)에 따르면, 1300년대의 『원대 대덕 남해지(元代 大德 南海志)』("원나라 대덕 연간 남해 기록")에는 브루나이가 사라왁과 사바뿐만 아니라 필리핀의 왕국들인 부투안, 술루, 마이(Ma-i)(민도로), 말리루(마닐라), 샤후총(Shahuchong)(시오콘 또는 잠보앙가), 야천(오톤(옛 마자아스 케다투안의 일부)), 그리고 웬듈링(민다나오)을 지배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4] 이 왕국들은 나중에 독립을 되찾았다.[15] 결국 이 지역은 폰-이(Pon-i)로 불리게 되었고 자바 중심의 마자파히트 제국의 속국이 되었다.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의 최대 교역 상대국은 중국이었다. 중국의 왕조와 무역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황제의 권위를 인정하는 조공이 필요했다. 브루나이의 조공에 대해서는 971년 당시 송나라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당시 브루나이의 상황은 남송대의 책 『諸蕃志(제번지)』에 "渤泥国(볼니국)"으로 기록되어 있다. 『제번지』 자체는 13세기 조(趙)씨가 저술했지만, 조씨 자신이 여러 나라를 여행한 것이 아니라, 전세기부터 모아온 기록을 이용한 것이다.

5. 이슬람화와 술탄국의 성립

공식 기록과 국가 서사시 ''샤이르 아왕 세마운(Syair Awang Semaun)''에 따르면, 브루나이는 14명의 사우다라(형제와 사촌 형제) 무리에 의해 건국되었다. 이들은 브루나이 강에 정착하여 그들 중 한 명을 첫 통치자로 선택했다. 서사시의 일부에서는 이들이 모두 카야안(Kayangan)의 데와 아마스(Dewa Amas)의 아들들이라고 하며, 데와 아마스는 울루림방(Ulu Limbang)에서 알에서 태어난 초자연적인 존재였다고 전해진다. 많은 룬다예/룬바왕 사람들은 텔루르 아코(Telur Aco) 때문에 아왕 세마운(Awang Semaun)이 그들의 조상이라고 믿는다.

상 아지(Sang Aji)는 길조의 소를 찾아 13개 정착지를 여행하며 각 마을에서 현지 펭훌루(penghulu)의 딸과 결혼하여 13명의 아들을 낳았다.

새로 건국된 국가의 통치자로 선택된 아왕 알락 베타타르(Awang Alak Betatar)는 조호르(Johor)로 가서 이슬람을 받아들이고 조호르 술탄의 딸과 결혼하여 술탄 무하마드 샤(Sultan Muhammad Shah)라는 칭호를 받았다.

14세기, 자바어 사본 『나가라크레타가마』에는 바루네(Barune)가 힌두교 왕조 마자파히트의 속국으로 매년 40카티(kati)의 장뇌조공해야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6] 1369년, 마자파히트의 일부였던 술루(Sulu)가 반란을 일으켜 보니(Boni)를 공격하고 보르네오 북동부 해안을 침략하여 보물과 금을 약탈했다.[17] 마자파히트 함대가 술루를 몰아냈지만, 보니는 공격 이후 약화되었다. 1371년 중국 보고서에는 보니가 가난하고 마자파히트의 완전한 지배를 받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5. 1. 브루나이 제국의 확장

15세기 무렵, 브루나이 국왕이 마자파히트로부터 독립을 선포하고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브루나이 제국은 이슬람 국가가 되었다. 이슬람으로의 개종은 동남아시아 해양 국가의 다른 지역에서 무역과 이슬람 전파를 위해 온 인도와 아랍 상인들에 의해 이루어졌다.[19] 다섯 번째 술탄인 볼키아의 통치 기간 동안 제국은 보르네오 북서부 해안 지역(현재의 브루나이, 사라왁, 사바)을 지배했고, 술루에 있는 필리핀까지 세력을 미쳤다.[20][21][22][23][24][25][26][27] 16세기에는 브루나이 제국의 영향력이 서칼리만탄의 카푸아스 강 삼각주까지 미쳤다.

이 지역의 다른 술탄국들은 브루나이 왕가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어떤 경우에는 브루나이 지배 가문의 패권 아래 있었다. 여기에는 폰티아낙, 사마린다, 반자르마신의 말레이 술탄들이 포함된다. 현재 서칼리만탄에 있는 말레이 삼바스 술탄국, 술루 술탄국, 그리고 루손 왕국은 브루나이 왕가와 혈연 관계를 맺었다. 사라왁 술탄국(현재의 쿠칭을 포함하며, 포르투갈의 지도 제작자들에게 '세라바'로 알려진 보르네오 섬의 5대 항구 중 하나)은 브루나이의 영향 아래 있었지만, 술탄 텅가 치하에서 자치를 누렸다가 1641년 텅가 사후 브루나이 제국에 완전히 통합되었다.[18][28][29]

6. 유럽과의 관계

브루나이는 지역 내 여러 유럽 강대국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었다. 16세기에는 포르투갈, 스페인과의 관계, 19세기에는 영국제임스 브룩과의 교섭과 전투를 통해 브루나이의 세력권과 영토는 축소되었지만, 국가 자체는 멸망하지 않았다.

1596년에는 네덜란드인이 자바에 도착했다. 네덜란드인들은 재배지까지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향신료를 생산하는 나무가 반출되지 않도록 감시했다. 1605년 암보이나를 점령하고, 1619년 자바 최대 항구 도시에 총독을 두고 바타비아를 건설했다. 1641년에는 포르투갈로부터 말라카를 빼앗았고, 1624년부터 1661년까지 타이완을 점령하여, 필리핀을 장악한 스페인과 동쪽으로 밀려난 포르투갈을 제외하고는 네덜란드 이외의 세력이 확장할 가능성이 사라졌다.

179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해산되고 식민지 정부가 수립되면서, 식민지 자체에서 재정을 흑자화하도록 요구받았다. 네덜란드는 이익이 나는 지역부터 수장 간의 분쟁이나 계승 분쟁을 이용하여 점차 세력 범위를 넓혀갔다. 그러나 네덜란드는 이익과 연결되지 않는 점령에는 관심이 없었고, 다른 경쟁하는 유럽 국가도 없었기 때문에 보르네오섬의 점령, 개발에는 나서지 않았다.

6. 1. 포르투갈과의 관계

브루나이는 이 지역의 다른 유럽 강대국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었다. 포르투갈은 대부분 지역 강대국과의 경제 및 무역 관계에 더 관심이 많았고, 브루나이의 발전에 개입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그렇다고 관계가 항상 우호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1536년 포르투갈이 몰루카 제도의 무슬림들을 공격했을 때, 술탄의 적대감으로 인해 브루나이 궁정의 대사가 떠나야 했던 사례가 있다.[18][19][20] 포르투갈인들은 또한 브루나이 술탄국이 지역 정치와 전쟁에 깊이 관여하고 있으며, 브루나이 상인들이 리골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차렸다.

6. 2. 스페인 제국과의 갈등

15세기 무렵, 브루나이 국왕이 마자파히트로부터 독립을 선포하고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브루나이 제국은 이슬람 국가가 되었다. 이슬람으로의 개종은 동남아시아 해양 국가의 다른 지역에서 무역과 이슬람 전파를 위해 온 인도와 아랍 상인들에 의해 이루어졌다.[21][22] 다섯 번째 술탄인 볼키아의 통치 기간 동안 제국은 보르네오 북서부 해안 지역(현재의 브루나이, 사라왁, 사바)을 지배했고, 술루에 있는 필리핀까지 세력을 미쳤다.[23] 16세기에는 브루나이 제국의 영향력이 서칼리만탄의 카푸아스 강 삼각주까지 미쳤다.

브루나이는 지역 내 서로 다른 유럽 열강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었다. 스페인과의 관계는 훨씬 더 적대적이었다. 1565년부터 스페인과 브루나이의 함대는 여러 차례 해전을 벌였고, 1571년 멕시코에서 원정대를 파견했던 스페인은 마닐라에 세워진 브루나이 귀족들을 몰아내고 마닐라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브루나이는 도시를 탈환하기 위해 여러 대의 대규모 함대를 건조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작전이 개시되지 않았다. 1578년 스페인은 술루를 점령했고, 4월에는 브루나이를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스페인은 술탄에게 필리핀에서의 선교 활동을 중단하고 대신 자신의 왕국에서 기독교 선교사들의 활동을 허용할 것을 요구했다. 스페인군은 콜레라 또는 이질 발생으로 인해 큰 손실을 입고 철수했다.[21][22] 질병으로 인해 심각하게 약화된 스페인군은 1578년 6월 26일, 단 72일 만에 마닐라로 돌아가기 위해 브루나이를 버리기로 결정했다.[23] 술루가 곧 독립을 되찾으면서 술탄국에 대한 단기적 피해는 최소화되었다. 그러나 브루나이는 루손(Luzon)에 대한 발판을 다시 확보하지 못했고, 이 섬은 확고하게 스페인의 손에 들어갔다.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브루나이는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았다.

스페인은 브루나이에 대한 오스만의 지원에 대응하기 위해 필리핀에 파견된 스페인 군대를 보충하기 위해 페루멕시코의 속국에서 병사들을 모집했다.[24] 그러나 브루나이-스페인 간의 갈등은 결국 수그러들었다.

6. 3. 영국과 사라왁과의 관계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사라왁주에서 소요가 발생했다. 1839년 영국의 모험가 제임스 브룩보르네오섬에 도착하여 술탄이 반란을 진압하는 것을 도왔다.[18]

그 보상으로 그는 사라왁주의 총독이 되었고, 이후 사라왁의 "브룩 왕조"가 되었고, 점차 그의 지배 아래 영토를 확장했다.[18] 브룩은 브루나이의 지배권을 얻으려고 시도했지만, 결코 얻지 못했다.[18] 그는 영국인들에게 브루나이를 자신의 소유라고 주장하는 것이 받아들여질지 여부를 확인하라고 요청했지만, 영국은 브루나이가 잘 통치되지 않았지만 분명한 국가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브룩에 의해 흡수될 수 없다고 말했다.[18]

1843년 브룩과 술탄 사이의 공개적인 갈등은 후자의 패배로 끝났다. 술탄은 사라왁의 독립을 인정했다. 1846년, 브루나이 시(Brunei Town)가 영국에 의해 공격당하고 함락되었고, 사이푸딘 2세 술탄은 브루나이 시 점령을 종식시키는 조약에 서명하도록 강요받았다. 같은 해, 사이푸딘 2세 술탄은 라부안 조약에 따라 라부안 영토를 영국에 할양했다. 1847년 그는 영국과 우호 통상 조약에 서명했고, 1850년에는 미국과 유사한 조약에 서명했는데, 일련의 사건 끝에 미국의 초대 영사인 찰스 리 모세스(Charles Lee Moses)가 그의 영사관을 불태우는 결과를 낳았다. 수년에 걸쳐 브루나이 술탄들은 사라왁에 더 많은 영토를 할양했고, 1877년에는 수도 동쪽 지역이 영국 북보르네오 특허회사(북보르네오(North Borneo))에 임대(나중에 할양)되었다. 결국 이러한 영토 몰수로 인해 술탄은 연간 임대료를 받고 이를 수용했고, 영국은 브루나이의 해안 대부분을 점령하게 되었다. 사라왁 왕국림방을 요구했을 때 술탄은 영토를 더 이상 넘겨주지 않았다. 술탄의 의사에 반하여 사라왁은 그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했다.[18]

7. 영국의 보호령 브루나이

19세기 후반, 독일 제국미국의 지정학적 우려에 대한 반응으로 영국브루나이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브루나이 역사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다. 1888년 9월 17일, 하심 자릴룰 알람 아카마딘 술탄과 영국 정부는 휴 로우 경을 통해 보호 조약을 체결했고, 이는 솔즈베리 경으로부터 안보 보장을 얻고자 함이었다. 이 조약으로 브루나이의 외교는 영국에 넘어갔고, 술탄은 북보르네오와 사라왁과 직접 대화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1890년 3월, 사라왁의 찰스 브룩이 림방병합하면서 조약의 결점이 드러났고, 브루나이의 주권은 크게 약화되었다. 보호를 약속받았음에도 영국은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했고, 브루나이는 더 많은 영토 확장과 내부적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1902년, 하심 술탄은 에드워드 7세에게 편지를 보내 조약 이후 영국으로부터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했다는 불만을 토로했다.

1905년-1906년 추가 조약으로 영국 거주민 제도가 만들어졌다. 이슬람 관련 사항을 제외하고는 거주민의 조언을 의무적으로 따라야 했기에, 거주민은 술탄국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진 인물이 되었다. 대법원장과 멘테리 베사르의 권한을 합친 것과 같은 상당한 행정 권한을 행사했고, 4명의 지구 행정관을 임명하여 직접 보고를 받고 모든 행정 업무를 감독하게 했으며, ''펜굴루''와 ''케투아 캄퐁''과 같은 전통적인 권위자들을 임명할 권한도 가졌다.

이후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종교 및 관습 문제를 제외한 행정권은 영국 거주민에게 이양되었다.[26] 그는 경제적 재능을 가진 중국인 정착을 장려하였고, 1913년 결혼 및 이혼법과 1912년 무함마드 법령을 통해 브루나이에 샤리아법을 채택하여 브루나이 카눈을 대체하였다.[26]

1912년 브루나이 강에 위치한 캄퐁 아예르


아마드 타주딘 술탄은 제라드 맥브라이언과 같은 지역 지도자들보다 국제 컨설턴트에게 자주 의존했다. 1931년부터 1950년까지 주 의회 회의에 자주 불참하여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그는 통치를 돕기 위해 유능한 개인 비서를 선택했으며, 1931년 18세의 나이로 완전한 주권을 얻었지만, 이후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영국으로 갔다.

1942~1945년 술탄과 마에다 요시노리의 군대


1945년 일본 점령하에 있던 브루나이 타운에 대한 연합군 폭격


일본 점령 기간 동안, 술탄의 지위는 상징적인 것이 되었고, 일본 도지사가 실질적인 권한을 갖게 되었다. 그럼에도 그는 브루나이가 이전에 잃었던 여러 지역을 되찾을 수 있었다. 점령 기간 동안 술탄은 실질적인 영향력이 거의 없었지만, 일본은 현지인들을 포섭하기 위해 그의 지위를 유지했다. 1945년 6월 호주군이 브루나이를 해방했을 때 그는 영웅으로 환영받았지만, 1946년 7월 민정이 복귀될 때까지 군사 통치하에 있었다.

7. 1. 보호 조약과 쇠퇴

1888년 9월 17일, 브루나이의 술탄 하심 자릴룰 알람 아카마딘은 영국의 휴 로우 경과 보호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독일 제국미국의 지정학적 위협에 대응하여 영국이 브루나이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 조약으로 브루나이의 외교는 영국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고, 술탄은 이웃 국가인 북보르네오와 사라왁과 직접 소통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1890년 3월, 사라왁의 찰스 브룩이 림방병합하면서 조약의 문제점이 드러났고, 브루나이의 주권은 크게 약화되었다. 보호를 약속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했고, 그 결과 브루나이는 영토 상실과 내부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1902년, 하심 술탄은 에드워드 7세에게 편지를 보내 조약 이후 영국으로부터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했다는 불만을 토로했다.

1901년 초, 투통 지구(Tutong District)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하면서 영국 외무부는 브루나이에 대한 정책을 재검토하게 되었다. 많은 영국 관리들은 하심 술탄의 통치 능력을 비판했고, 지역 여론은 더 나은 세금 제도와 행정을 제공할 것으로 여겨지는 사라왁 정부를 선호하기 시작했다. 중국 상인들 역시 브루나이의 경제적 취약성과 불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하심 술탄은 재정난 속에서도 브루나이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1901년, 하심 술탄은 재정 상황이 악화되어 브룩에게 10000USD를 빌려야 했다. 그는 정치적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손자의 호화로운 결혼식을 주최하기도 했다. 그러나 술탄은 벨라이트 지구(Belait District)와 투통 지구를 할양하라는 브룩과 휴잇의 제안을 단호히 거부했는데, 이는 자신의 볼키아 왕가(House of Bolkiah)의 미래를 걱정했기 때문이다. 영국 행정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하심 술탄은 1903년 이슬람 억압과 영토 손실을 이유로 브루나이를 오스만 제국에 넘길 의향을 밝히기도 했다. 1904년, 천연두 전염병으로 신혼 부부가 사망하면서 브루나이를 사라왁에 넘기려는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1905년-1906년 추가 조약은 영국 거주민 제도를 만들었는데, 이들의 조언은 이슬람 관련 사항을 제외하고는 술탄에게 의무적이었다. 이로 인해 거주민은 술탄국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진 인물이 되었고, 대법원장과 멘테리 베사르의 권한을 합친 것과 같은 상당한 행정 권한을 행사하게 되었다. 거주민은 4명의 지구 행정관을 임명하여 직접 보고를 받고 모든 행정 업무를 감독하게 했으며, ''펜굴루''와 ''케투아 캄퐁''과 같은 전통적인 권위자들을 임명할 권한도 가졌다.

7. 2. 맥아더 보고서와 영향

1904년 브루나이 탐험 이후 말콤 맥아더(Malcolm McArthur)가 작성한 보고서는 영국이 브루나이 술탄국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전 평가들과 달리, 맥아더의 보고서는 하심 술탄(Sultan Hashim)의 존엄성과 그가 직면한 어려움을 인정하며 더욱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했다.[25] 보고서는 술탄의 버려짐과 절망감을 강조하여 그의 상황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제공했다. 맥아더의 조사 결과는 브루나이의 미래 상호 작용과 통치 방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5]

하심 술탄은 브루나이에 영국 거주지(Residency) 시스템을 설립하자는 맥아더의 제안에 동의했다. 술탄과 그의 와지르(Wazirs)들은 1905~1906년 보충 조약에 서명했고, 이 조약은 존 앤더슨 경(Sir John Anderson)의 방문 중 1906년 초에 공식화되었다. 앤더슨은 맥아서의 신뢰할 수 있는 리더십을 칭찬하며 브루나이의 미래를 위해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심 술탄은 안도감을 표하며 브루나이의 이슬람 지위에 대한 앤더슨의 확약에 감사를 표했는데, 이는 외교적 합의를 통해 브루나이를 보호하려는 술탄의 노력을 반영한다.[25]

영국 통치 기간 동안 와지르들의 중요성은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그들의 생존 수단과 관습적 권위에 영향을 미친 토지 개혁 때문이었다. 1906년 이후 하심 술탄의 국가 원수로서의 지위는 더욱 상징적인 것이 되었고, 실질적인 권력은 상당히 변화했다.[25] 영국 거주지의 설립은 영국 거주민이 통치의 역할을 맡게 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25] 하심 술탄은 중요 지역의 상실과 심각한 빈곤으로 인한 지속적인 어려움에 직면했고, 이는 궁궐과 일반 대중 모두에게 영향을 미쳤다.[25]

7. 3. 상징적 권위와 일본 점령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종교 및 관습 문제를 제외한 행정권은 영국 거주민에게 이양되었다.[26] 그는 경제적 재능을 가진 중국인 정착을 장려하였고, 1913년 결혼 및 이혼법과 1912년 무함마드 법령을 통해 브루나이에 샤리아법을 채택하여 브루나이 카눈을 대체하였다.[26]

1909년, 그는 최초로 궁궐을 캄퐁 아예르에서 육지로 옮겼다.[27][28] 같은 해 브루나이에서 최초로 원유가 발견되었으나, 1927년까지는 대규모 유전이 발견되지 않았다.[29] 그는 1922년 말레이시아 및 보르네오 문화 축제에 참가하여 전통 음악가들과 함께 싱가포르를 방문한 최초의 술탄이 되었다. 또한 1922년 5월 18일, 웨일스 왕자를 맞이하여 왕실 전통을 보여주었다.

아버지의 사망 후 즉위한 술탄 아마드 타주딘은 전임자보다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제라드 맥브라이언과 같은 지역 지도자들보다 국제 컨설턴트에게 자주 의존했다. 1931년부터 1950년까지 주 의회 회의에 자주 불참하여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그는 통치를 돕기 위해 유능한 개인 비서를 선택했으며, 1931년 18세의 나이로 완전한 주권을 얻었지만, 이후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영국으로 갔다.

술탄 아마드 타주딘은 석유 수출로 인한 소득 분배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브루나이 주민들을 위한 재정 규칙을 강화하고자 했다. 그는 고위 관리들에게 친절한 것으로 유명했다. 그는 셀랑고르 술탄의 딸인 텐쿠 라이하니와의 결혼을 통해 두 왕실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등 여러 관계를 구축하려 했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 영국과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지방 통치를 촉진하기 위해, 술탄 아마드 타주딘은 브루나이 행정 서비스(BAS) 고위직에 25명의 브루나이인을 채용하도록 추진하여 1941년 정부 관료 조직에 임명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는 1940년 사립 아랍어 학교를 설립하여 이슬람 교육을 발전시키려 했으나, 일본 점령으로 인해 1942년 폐쇄되었다.

일본과의 긴장이 고조되자, 술탄은 영국이 일본의 침략을 격퇴하도록 돕기 위해 브루나이 자원봉사대와 같은 지역 방위 부대 창설을 지원했다. 그러나 점령이 진행되면서 그의 지위는 상징적인 것이 되었고, 일본 도지사가 실질적인 권한을 갖게 되었다. 그럼에도 그는 브루나이가 이전에 잃었던 여러 지역을 되찾을 수 있었다.

점령 기간 동안 술탄은 실질적인 영향력이 거의 없었지만, 일본은 현지인들을 포섭하기 위해 그의 지위를 유지했다. 1941년 12월 일본군에 항복했을 때 훈장과 봉급을 받았지만, 주요 역할은 의례적인 사령관이었다. 식량 부족이 심화되자 현지인들은 일본 행정부에 대한 반대를 늘려갔다. 지역 당국은 술탄과 그의 가족을 증가하는 폭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그를 은닉했다. 1945년 6월 호주군이 브루나이를 해방했을 때 그는 영웅으로 환영받았지만, 1946년 7월 민정이 복귀될 때까지 군사 통치하에 있었다. 영국이 이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 하자, 술탄은 영국 군정과의 행정 감독 및 통치에 대한 갈등으로 인해 전후 시대에 완전한 권한을 되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8. 독립 투쟁

브루나이의 술탄은 말라야 연방, 사라왁 왕령식민지, 북보르네오 왕령식민지, 싱가포르 식민지와 함께 말레이시아 연방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에 참여했다. 그러나 석유 수익 분배 문제와 국민들의 반대 여론 때문에 결국 말레이시아 연방에 가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30]

이러한 술탄의 결정은 브루나이 인민당(PRB)의 쿠데타로 이어졌으나, 조직이 허술했고 지도자인 A.M. 아자하리가 당시 브루나이에 없었기 때문에 실패했다. 북보르네오, 사라왁주, 브루나이를 통합하는 연방 국가 수립도 고려되었으나, 석유 수입 배분 문제와 술탄의 권한 제한 문제로 인해 무산되었다.[30]

1971년 11월 14일, 술탄 하사날 볼키아는 1959년 헌법 개정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런던으로 갔다. 1971년 11월 23일, 앤서니 로일과 새로운 협정이 체결되었다.

8. 1. 전후 상황

브루나이의 술탄은 말라야 연방, 사라왁 왕령식민지, 북보르네오 왕령식민지, 싱가포르 식민지와 함께 말레이시아 연방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에 참여했지만, 석유 수익 문제와 이에 반대하는 대중들의 대규모 여론 때문에 결국 그렇게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술탄의 이러한 바람은 브루나이 인민당(PRB)의 쿠데타로 이어졌지만, 빈약한 조직과 지도자 A.M. 아자하리의 부재로 실패했다. 북보르네오, 사라왁주, 브루나이의 연방도 고려되었지만, 석유 수입과 술탄의 권력 제한 문제로 거부되었다.

1947년 말콤 맥도널드의 브루나이 도착을 환영하는 술탄


1946년 7월, 영국 특사 말콤 맥도널드는 술탄 아마드 타주딘을 나약하고 방종한 군주로 묘사했다. 브루나이 타운에서는 맥도널드 방문 기간 동안 "평화와 정의의 회복자"라는 글귀가 적힌 영국 국기 아래 환영 아치가 세워졌는데, 술탄은 영국의 지시에도 불구하고 현지 여론을 지지했다.

1947년 브루나이 강을 사이에 두고 있는 브루나이 타운과 캄퐁 아예르(Kampong Ayer)


맥도널드가 브루나이의 독립 유지를 제안하여 식민지 장관의 지지를 받으면서, 술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통제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술탄은 브루나이가 영토 변화로부터 이익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영국 왕실의 사라왁 처리 방식에 불만을 표했다. 브루나이는 정치 운동 지지의 일환으로 국가 "알라 펠리하라칸 술탄(Allah Peliharakan Sultan)"을 개발하고, ''바리산 푸무다(Barisan Pemuda)''(BARIP)의 깃발을 채택했다. 1948년 8월, 관계 개선을 위해 술탄과 영국 당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자 에릭 프리티 거주관이 재임명되었다.

1950년, 술탄 아마드 타주딘은 원유 수입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국 정부가 궁궐을 돌려주지 않은 것에 좌절하여 정치적으로 변했다. 그는 브루나이와 영국의 헌법적 관계 재협상과 영국 말레이시아 석유회사로부터 원유 로열티 증액을 촉구했다. 정치 비서관 맥브라이언은 브루나이의 전후 행정에 북부 보르네오와 필리핀 남부의 무슬림들을 포함시킬 것을 주장했는데, 이는 영국의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1950년 브루나이 타운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즉위 후 브루나이의 이슬람 신앙 지도자가 되었으며, 교육 제도 개선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1950년 브루나이는 싱가포르의 알-주니드 아랍 학교에 학생들을 파견하기 시작했고, 1963년에는 최초의 브루나이 학생이 이집트의 알 아즈하르 대학교를 졸업했다. 술탄 정부는 1954년 교육에 1065만브루나이 달러를 배정하여 30개의 학교 건설과 무료 급식을 지원했다. 술탄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중학교(Sultan Muhammad Jamalul Alam Secondary School)와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대학과 같은 중등 학교가 건립되었다. 1954년 종교부가 설립되었고, 1956년까지 7개의 종교 학교가 개교하여 브루나이의 이슬람 교육이 크게 향상되었다.

브루나이의 석유 부문은 1950년부터 급성장하여 1952년 세리아(Seria)에 최초의 유전 시추 플랫폼이 건설되었다. 1955년에는 1400만달러 규모의 가스 파이프라인이 설치되었고, 1956년에는 세리아 유전이 하루 114,700배럴의 원유를 생산했다. 1957년 설립 이후 브루나이 쉘 석유 회사(Brunei Shell Petroleum)는 원유 70만 5,000톤과 천연 가솔린 3,950만 톤을 생산했다. 1953년에 시작된 제1차 국가 개발 계획은 공중 보건과 기반 시설을 우선순위로 삼았으며, 무아라 항(Muara Port) 건설과 교통, 통신, 에너지, 상수도 개발에 1억브루나이 달러의 예산이 배정되었다. 이 계획은 말라리아 환자 수를 크게 줄였다. 1958년까지 교육에 400만브루나이 달러가 지출되었고, 브루나이 공항이 1954년에 개보수되어 통신과 교통이 크게 증가했다.

1959년 초, 메르데카 회담(Merdeka Talks) 이후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브루나이 헌법을 확정하기 위해 런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1959년 3월 23일부터 4월 6일까지 영국 관리들과의 협상에서 의회 회의, 선거, 멘테리 베사르(Menteri Besar)의 역할을 포함한 주요 헌법 문제가 논의되었다. 1959년 4월 6일 합의가 이루어져 헌법의 단계적 시행이 이루어졌다. 1959년 9월 29일 술탄은 브루나이의 최초 서면 헌법에 서명하고 선포했다. 이는 1888년과 1905~06년 조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영국의 통제를 종식시키고 브루나이의 내정에 대한 주권을 회복한 것이다.

브루나이는 1984년 1월 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획득하였고, 같은 해 아세안(ASEAN)에 가입했다.[30] 1990년대와 2000년대 동안 광범위한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으로 인한 경제 성장으로 1999년부터 2008년까지 GDP가 56% 증가하면서 브루나이는 산업화된 국가로 변모했다. 브루나이는 싱가포르 다음으로 동남아시아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은 인간개발지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선진국"으로 분류된다. 2014년, 술탄은 이슬람 샤리아 형법을 제정했다.[30]

8. 2. 헌법 제정 노력

브루나이의 술탄은 말라야 연방, 사라왁 왕령식민지, 북보르네오 왕령식민지, 싱가포르 식민지와 함께 말레이시아 연방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에 참여했지만, 석유 수익 문제와 이에 반대하는 대중들의 대규모 여론 때문에 결국 그렇게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술탄의 이러한 바람은 브루나이 인민당(PRB)의 쿠데타로 이어졌지만, 빈약한 조직과 지도자 A.M. 아자하리가 쿠데타 당시 국내에 없었기 때문에 실패했다. 북보르네오, 사라왁주, 브루나이의 연방도 고려되었지만, 석유 수입과 술탄의 권력 제한 문제로 인해 거부되었다.[30]

1959년 초, 메르데카 회담(Merdeka Talks) 이후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브루나이 헌법을 확정하기 위해 런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1959년 3월 23일부터 4월 6일까지 영국 관리들과의 협상에서 의회 회의, 선거, 멘테리 베사르(Menteri Besar)의 역할을 포함한 주요 헌법 문제가 논의되었다. 1959년 4월 6일 합의가 이루어져 헌법의 단계적 시행이 이루어졌다. 1959년 9월 29일 술탄은 브루나이의 최초 서면 헌법에 서명하고 선포했다. 이는 1888년과 1905~06년 조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영국의 통제를 종식시키고 브루나이의 내정에 대한 주권을 회복한 것이다.

9. 독립 이후

브루나이는 1984년 1월 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같은 해 아세안에 가입하였다.[43]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석유와 천연가스 분야의 발전으로 경제가 크게 성장하면서 산업화된 국가로 변모했다. 브루나이는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 다음으로 인간 개발 지수가 높으며, "선진국"으로 분류된다.[43] 2014년에는 하사날 볼키아 국왕이 이슬람 샤리아 형법을 제정하기도 했다.[43]

브루나이의 역사는 동남아시아 섬 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성에 큰 영향을 받았다. 열대우림, 다도해, 대문명 교통로라는 조건은 농업 생산성을 낮추는 요인이 되었지만, 동시에 천연자원 채취와 교역을 기반으로 한 왕조와 문화 발전을 이끌었다.

브루나이는 다른 동남아시아 섬 지역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무역 중심지에 위치하지 않았고, 주변에 경쟁 도시 국가가 없었으며, 19세기까지 유럽인의 착취 대상이 되는 자원이 없었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브루나이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평온한 역사를 유지할 수 있었다.

브루나이 역사에서 중요한 분기점은 16세기 포르투갈·에스파냐와의 관계, 19세기 영국인 제임스 브룩과의 교섭과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말레이시아와의 관계이다. 이러한 사건들은 브루나이의 영토를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했지만, 국가 자체의 멸망은 피할 수 있었다.

19세기 중반, 제임스 브룩이 사라왁에 등장하면서 브루나이는 영토의 상당 부분을 잃게 된다. 브룩은 사라왁 왕국을 건설하고 영토 확장을 추진했고, 브루나이는 반복되는 전투로 국토 대부분을 상실했다. 1867년 제임스 브룩이 사망한 후, 그의 조카 찰스 브룩이 사라왁 왕국의 두 번째 통치자가 되었다.

9. 1. 경제 발전

브루나이는 1984년 1월 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고, 같은 해에 아세안에 가입하였다.[43] 1990년대와 2000년대 사이에 광범위한 석유와 천연가스 분야에서 경제성장이 이루어지면서 1999년부터 2008년까지 국내총생산(GDP)이 56% 증가하여 브루나이는 산업화된 국가로 탈바꿈했다. 브루나이는 동남아시아 국가 중 싱가포르 다음으로 인간 개발 지수가 높으며, "선진국"으로 분류된다.[43]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중, 1942년부터 일본의 전시 통치 기간 동안 브루나이 현 지사로 부임한 키무라 쓰요시는[33] 군부의 반대를 무릅쓰고 많은 사회 기반 시설 및 공공 시설에 대한 투자를 단행하여, 후일 브루나이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두개골 채집 부족으로 브루나이에서 두려움의 대상이었고 일본군에도 저항했으며, 브루나이 국왕 하사날 볼키아도 섬멸을 고려했던 이반족을 필사적으로 설득하여 협력을 얻어내 브루나이의 발전에 기여하게 했다.[34]

9. 2. 샤리아 형법 도입

2014년 하사날 볼키아는 이슬람 샤리아 형법을 제정했다.[43]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India Routledge 2004
[2]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Iron Age archaeology of Taiwan 2000
[3] 뉴스 Notes from central Taiwan: Our brother to the south. Taiwan's relations with the Philippines date back millennia, so it's a mystery that it's not the jewel in the crown of the New Southbound Policy. Taiwan Times 2021
[4] 뉴스 Birthplace of Austronesians is Taiwan, capital was Taitung: Scholar Taiwan News 2017
[5] 논문 Taiwan Jade in the Philippines: 3,000 Years of Trade and Long-distance Interaction Semantic Scholar 2011
[6] 논문 Mga Maragtas ng Panay: Comparative Analysis of Documents about the Bornean Settlement Tradition https://www.academia[...] 2022-07
[7] 간행물 SĔLĔSÎLAH (BOOK OF THE DESCENT) OF THE RAJAS OF BRUNI https://www.jstor.or[...] 1880-06
[8] 서적 Adventure Guides: East Malaysia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00
[9] 간행물 Indianized States
[10] 간행물 Journal of Southeast Asian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03
[11] 간행물 Journal of the Straits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www.sabrizain[...] 1880-06
[12] 웹사이트 Pusat Sejarah Brunei: Sultan-Sultan Brunei http://www.pusat-sej[...]
[13] 서적 A Short History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7
[14] 논문 Reading Song-Ming Records on the Pre-colonial History of the Philippines https://core.ac.uk/d[...]
[15] 논문 From Quanzhou to the Sulu Zone and beyond: Questions Related to the Early Four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16] 웹사이트 Naskah Nagarakretagama http://kelembagaan.p[...] Perpustakaan Nasional Republik Indonesia 2014-10-13
[17] 서적 Ming shi
[18] 논문 Place Names in 16th and 17th Century Borneo 1962
[19]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Volume I: The Century of Discovery, Book 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6-03-21
[20] 뉴스 Sultan Tengah – Sarawak's first Sultan http://www.bt.com.bn[...] 2008-12-28
[21] 서적 2008
[22] 서적 2002
[23] 서적 2002
[24] 웹사이트 SECOND BOOK OF THE SECOND PART OF THE CONQUESTS OF THE FILIPINAS ISLANDS, AND CHRONICLE OF THE RELIGIOUS OF OUR FATHER, ST. AUGUSTINE http://www.zamboanga[...]
[25] 웹사이트 Brunei https://www.cia.gov/[...] CIA World Factbook 2011-01-13
[26] 웹사이트 Brunei (Negara Brunei Darussalam) https://scholarblogs[...]
[27] 서적 Indonesia, Malaysia & Singapore Handbook Trade & Trade & Travel Publications 1996
[28] 웹사이트 Sultan-Sultan Brunei http://www.history-c[...]
[29]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Eastern and Southern Asia Marshall Cavendish 2007
[30] 웹사이트 Brunei Time Line Chronological Timetable of Events - Worldatlas.com https://www.worldatl[...]
[31] 기타 베트남, 호아빈성의 동굴, 암음유적에서 명명된 문화
[32] 기타 력의 편면만을 가공하여 타원형으로 완성한 석기
[33] 뉴스 ブルネイ王に招かれて http://kansai.me/tdy[...] 2014-11-30
[34] 방송 奇跡体験アンビリバボー http://www.fujitv.co[...] 2016-01-02
[35]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Iron Age archaeology of Taiwan 2000
[36] 간행물 Notes from central Taiwan: Our brother to the south. Taiwan's relations with the Philippines date back millennia, so it's a mystery that it's not the jewel in the crown of the New Southbound Policy Taiwan Times 2021
[37] 간행물 Birthplace of Austronesians is Taiwan, capital was Taitung: Scholar Taiwan News 2017
[38] 논문 Taiwan Jade in the Philippines: 3,000 Years of Trade and Long-distance Interaction Semantic Scholar 2011
[39] 웹사이트 Brunei Gallery, SOAS University of London https://www.soas.ac.[...]
[40] 웹사이트 Journal of the Straits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www.sabrizain[...] 1880-06-01
[41] 웹사이트 Pusat Sejarah Brunei: Sultan-Sultan Brunei http://www.pusat-sej[...]
[42] 웹사이트 SĔLĔSÎLAH (BOOK OF THE DESCENT) OF THE RAJAS OF BRUNI https://www.jstor.or[...] 1880-06-01
[43] 웹인용 Brunei Time Line Chronological Timetable of Events - Worldatlas.com https://www.worldatl[...] 2019-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