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피에르 미클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피에르 미클롱은 캐나다 뉴펀들랜드 남쪽에 위치한 프랑스의 해외 준주로, 생피에르 섬과 미클롱 섬을 포함한 8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를 거치며 프랑스와 영국의 지배권 다툼이 있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자유 프랑스군이 점령했다. 1975년 해외 영토에서 해외주, 2003년 해외 준주로 지위가 변경되었다. 생피에르 미클롱은 200해리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가지고 있으며, 어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었으나, 1992년 캐나다와의 분쟁으로 어획량이 감소했다. 현재는 관광, 수산 양식, 석유 및 가스 개발을 통해 경제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주민들은 프랑스어를 사용하며, 프랑스 본토와 유사한 문화와 전통을 공유하며, 프랑스 정부가 임명하는 주지사가 행정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군도 - 프리울 제도
- 캐나다의 영토 분쟁 - 래브라도
래브라도는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의 본토 지역이자 래브라도 반도 동쪽 부분으로, 다양한 이누족과 이누이트족의 역사적 거주지이며, 20세기에는 자원 개발과 군사 기지 건설로 경제 변화와 원주민 자치 노력 등이 있었다. - 북아메리카의 속령 - 그린란드
그린란드는 북아메리카 북동쪽의 북극해와 대서양 사이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큰 섬이자 덴마크 왕국의 자치령으로, 면적의 대부분이 빙상으로 덮여 있고 이누이트족과 덴마크인을 비롯한 다양한 민족이 남서부 해안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 북아메리카의 속령 - 버뮤다
버뮤다는 북대서양 사르가소 해의 영국 해외 영토인 화산섬 군도로, 1503년 발견 후 영국 식민지가 되었고 해군 기지로서 중요한 전략적 위치를 점하며 관광업과 금융 서비스업 중심으로 높은 1인당 GDP를 기록하고 있다.
생피에르 미클롱 | |
---|---|
개요 | |
공식 명칭 | 생피에르 미클롱 해외 공동체 |
표어 | "A Mare Labor" ('바다로부터, 노동') |
수도 | 생피에르 |
좌표 | 46°47′N 56°11′W |
공용어 | 프랑스어 |
주민 | 생피에르인 미클롱인 피에르인 |
국가 | 라 마르세예즈 |
정치 | |
정치 체제 | 프랑스 공화국 내의 권한 이양된 의회 지방 자치 단체 |
국가 수반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
지사 | 브루노 앙드레 |
영토 평의회 의장 | 베르나르 브리앙 |
의회 | 영토 평의회 |
프랑스 의회 대표 | 프랑스 의회 |
상원 | 1명의 상원 의원 (377명 중) |
하원 | 1석 (577석 중) |
역사 | |
영국으로부터 양도 | 1814년 5월 30일 |
현재 지위 | 2003년 3월 28일 |
지리 | |
면적 | 242 km² |
해발고도 (최고) | 240 m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 6,092명 |
인구 밀도 | 25명/km² |
경제 | |
GDP (명목) (2015년) | 2억 4천만 유로 |
1인당 GDP (명목) | 39,778 유로 |
통화 | 유로 (€) (공식), 캐나다 달러 (C$) (널리 통용) |
기타 정보 | |
표준시 | UTC-3 |
일광 절약 시간 | UTC-2 |
자동차 주행 방향 | 우측 통행 |
국제 전화 코드 | +508 |
INSEE 코드 | 975 |
ISO 코드 | PM FR-PM |
국가 도메인 | .pm |
날짜 형식 | dd/mm/yyyy (AD) |
2. 역사
캐나다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영국과 프랑스가 충돌한 결과, 프랑스가 패배하였고, 북아메리카에서 유일하게 프랑스령으로 남은 섬이 생피에르 미클롱이다. 미국 독립 전쟁을 프랑스가 지원한 데 반감을 품은 영국이 이 섬을 다시 점령했고, 1815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서야 프랑스의 소유임이 다시 확정되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0년 프랑스 본국이 점령되자, 이 섬은 비시 정부의 영역이 되었다가 이듬해 자유 프랑스군이 탈환하였다. 1975년 해외 영토(Territoires d'outre-mer, TOM)에서 해외주(Départements d'outre-mer, DOM)로 승격되었고, 1985년에는 특별 자치체(collectivité territoriale à statut particulier), 2003년에는 해외 준주(海外 準州)가 되었다. 현재는 마르티니크, 마요트, 생바르텔레미, 생마르탱과 같이 프랑스의 데파르트망이다.[27]
생피에르 미클롱 섬의 역사(en: History of Saint Pierre and Miquelon)도 참조
이 섬을 방문한 것은 고대 에스키모인(Paléoesquimaux)이었다.[122] 그들은 그로스워터인(기원전 800년부터 기원전 100년경, 고대 에스키모인), 그리고 도셋인(서기 100년부터 900년경, 도셋 문화를 만들어냄, 신 에스키모인)이었다.[123][124] 1100년부터 1500년 사이에, 베오툭인(Béothuks)의 조상들이 생피에르 섬의 앙스 오 앙리에 거주지를 마련했다.
2. 1. 초기 역사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베오투크족과 같은 원주민들이 생피에르 미클롱을 방문했으나, 섬에 영구적으로 정착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1520년 10월 21일, 포르투갈 탐험가 주앙 알바르스 파군데스는 섬에 상륙하여 성녀 우르술라와 그녀의 동료 성녀들의 축일임을 감안, 생피에르 섬 집단을 '11,000명의 성녀'(ilhas das Onze Mil Virgenspt)라고 명명했다.[14] 1536년 자크 카르티에는 프랑수아 1세 프랑스 국왕을 대신하여 섬을 프랑스령으로 선언했다.[68]
미크마크족과 바스크, 브르타뉴 어부들이 이미 자주 섬을 드나들었지만,[68] 17세기 말까지 영구적인 정착민은 없었다. 1670년에는 4명, 1691년에는 22명의 영구 거주자가 있었다.[68]
1670년, 장 탈롱이 뉴프랑스의 감찰관으로 두 번째 임기를 보내던 중, 프랑스 장교가 그곳에서 프랑스 어부 12명을 발견하고 섬을 생피에르와 미클롱으로 명명하여 합병했다. 윌리엄 왕 전쟁과 앤 여왕 전쟁 동안 잉글랜드 왕국 군대는 섬의 프랑스 식민지 정착촌을 여러 차례 공격했고, 18세기 초까지 식민지 주민들은 생피에르 미클롱을 완전히 버렸다.[15]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끝난 후 위트레흐트 조약에서 프랑스는 섬을 대영 제국에 양도했다.[15] 영국은 생피에르 섬의 이름을 세인트피터로 바꾸고, 그레이트브리튼과 영국령 아메리카의 소수 식민지 주민들이 섬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6][17]
1763년 파리 조약에 따라 프랑스는 뉴 프랑스의 모든 북아메리카 영토를 영국에 양도했지만, 영국은 뉴펀들랜드 해안을 따라 프랑스 어부들에게 어업권을 부여했고, 그 과정에서 생피에르 미클롱을 프랑스의 통제 하에 반환했다.[18]
2. 2. 식민지 시대
캐나다의 지배권을 두고 영국과 프랑스가 충돌한 결과, 프랑스가 패배하였고 북아메리카에서 유일하게 프랑스령으로 남은 섬이 생피에르 미클롱이다. 미국 독립 전쟁을 프랑스가 지원한 것에 반감을 품은 영국이 이 섬을 다시 점령했고, 1815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나서야 프랑스 소유로 다시 확정되었다.[15]1670년, 장 탈롱이 뉴프랑스의 감찰관으로 두 번째 임기를 보내던 중, 프랑스 장교가 그곳에서 프랑스 어부 12명을 발견하고 그 섬을 생피에르와 미클롱으로 명명하여 합병했다. 윌리엄 왕 전쟁과 앤 여왕 전쟁 동안 잉글랜드 왕국 군대는 섬의 프랑스 식민지 정착촌에 여러 차례 공격을 가했고, 18세기 초까지 식민지 주민들은 생피에르 미클롱을 완전히 버렸다.[15] 위트레흐트 조약에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끝났을 때, 프랑스는 섬을 대영 제국에 양도했다.[15] 영국은 생피에르 섬의 이름을 세인트피터로 바꾸고, 그레이트브리튼과 영국령 아메리카의 소수의 식민지 주민들이 섬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6][17]
1763년 파리 조약에 따라 프랑스는 모든 뉴 프랑스 북아메리카 영토를 영국에 양도했지만, 영국은 뉴펀들랜드 해안을 따라 프랑스 어부들에게 어업권을 부여했고, 그 과정에서 생피에르 미클롱을 프랑스의 통제 하에 반환했다.[18]
프랑스가 미국 독립 전쟁에 미국 편으로 참전하고 영국에 선전 포고를 한 후, 영국군은 생피에르 미클롱을 침공하여 잠시 점령하고, 섬의 모든 식민지 정착촌을 파괴하고 2,000명의 식민지 주민을 프랑스로 추방했다.[32] 1793년, 프랑스 혁명 전쟁 동안 또 다른 영국군이 생피에르에 상륙했고, 이듬해 프랑스 식민지 주민을 다시 추방하고 영어를 사용하는 정착민 공동체를 세우려고 했다.[15]
새롭게 생긴 영국 식민지는 1796년 프랑스 해군의 공격을 받았다. 1802년 아미앵 조약에 의해 섬은 프랑스로 반환되었지만, 영국은 다음 해에 적대 행위가 재개되자 다시 점령했다.[15] 1814년 파리 조약은 섬을 프랑스에 반환했고, 영국은 1815년 백일천하 전쟁 동안 다시 점령했다. 프랑스는 그 후 모든 구조물과 건물이 파괴되거나 낡아 없어진, 이제는 사람이 살지 않는 섬을 되찾았다.[15] 1816년에 섬에 다시 정착했다. 정착민들은 대부분 바스크인, 브르타뉴인, 노르망디인이었고, 인근 뉴펀들랜드 섬에서 온 다양한 다른 민족들이 합류했다.[68] 19세기 중반이 되어서야 어업이 증가하면서 작은 식민지에 어느 정도 번영을 가져왔다.[15]
1903년, 식민지는 미국과의 합병을 고려했지만 결국 아무런 결과도 나오지 않았다.[19] 1910년대 초, 식민지는 수익성이 없는 어업으로 심각한 어려움을 겪었고, 많은 사람들이 노바스코샤와 퀘벡으로 이주했다.[20]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징집 연령의 모든 남성 주민에게 부과된 징병은 어획량을 노인, 여성, 어린이들이 처리할 수 없게 되어 어업을 마비시켰다.[20] 식민지 출신 약 400명의 남성이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중 프랑스 군대에서 복무했으며, 이 중 25%가 사망했다.[21] 어업에서 증기 트롤어선의 채택이 증가한 것도 고용 기회 감소에 기여했다.[20]
밀수는 항상 이 섬에서 중요한 경제 활동이었지만, 1920년 1월부터 미국의 금주법이 시행되면서 특히 두드러졌다.[21] 1931년, "뉴욕 타임스"는 이 군도가 12개월 동안 캐나다에서 1815271U.S.gal의 위스키를 수입했으며, 그 대부분은 미국으로 밀수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22][23] 1933년 금주법 폐지로 인해 이 섬은 다시 경제적 불황에 빠졌다.[24]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캐나다, 영국,[25] 및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샤를 드골의 군대는 1941년 12월 현지 행정관이 충성을 맹세한 비시 프랑스로부터 군도를 점령했다. 두 섬의 주민투표에서 인구의 98% 이상이 자유 프랑스의 점령을 지지했다.[25][26]

1713년에 위트레흐트 조약이 비준되어, 코트 프랑세즈 드 테르뇌브로 알려진 뉴펀들랜드 섬 연안에서 독점적으로 어업을 할 권리가 프랑스에 부여되자, 섬은 버려졌다. 그 후 1763년 파리 조약으로, 생피에르 미클롱 섬은 프랑스로 반환되었다. 미국군과 프랑스군에 패배한 후, 노바스코샤에 주둔하고 있던 영국군은 섬들을 공격하여, 1755년에 주민들(아카디아인 추방으로 인해 발생한 난민들을 포함)을 국외 추방했다. 그러나 군도는 1783년 베르사유 조약으로 다시 프랑스령이 되었다.
프랑스 혁명 시기에 아카디아인 공동체는 마들렌 제도로 피난하기 위해 갑자기 미클롱 섬을 떠났다. 그것은 생피에르 섬의 공화파 운동이 1793년의 새로운 영국 공격으로 갑자기 종료되었기 때문이다. 루이 18세의 복고 왕정까지, 프랑스령 생피에르 미클롱 섬에 대한 영국의 공격은 줄어들지 않았다(당시 노바스코샤는 영국령이었다).
2. 3. 19세기와 20세기 초
캐나다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영국과 프랑스가 충돌한 결과, 프랑스가 패배하였고 북아메리카에서 유일하게 프랑스령이 된 섬이 생피에르 미클롱이다. 미국 독립 전쟁을 프랑스가 지원한 데 반감을 품은 영국이 이 섬을 다시 점령했고, 1815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서야 프랑스의 소유임이 다시 확정되었다.[19]1903년, 식민지는 미국과의 합병을 고려했지만 결국 아무런 결과도 나오지 않았다.[19] 1910년대 초, 식민지는 수익성이 없는 어업으로 심각한 어려움을 겪었고, 많은 사람들이 노바스코샤와 퀘벡으로 이주했다.[20]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징집 연령의 모든 남성 주민에게 징병이 부과되어, 어획량을 노인, 여성, 어린이들이 처리할 수 없게 되면서 어업이 마비되었다.[20] 식민지 출신 약 400명의 남성이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중 프랑스 군대에서 복무했으며, 이 중 25%가 사망했다.[21] 어업에서 증기 트롤어선의 채택이 증가한 것도 고용 기회 감소에 기여했다.[20]
밀수는 항상 이 섬에서 중요한 경제 활동이었지만, 1920년 1월부터 미국의 금주법이 시행되면서 특히 두드러졌다.[21] 1931년, "뉴욕 타임스"는 이 군도가 12개월 동안 캐나다에서 1815271U.S.gal의 위스키를 수입했으며, 그 대부분은 미국으로 밀수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22][23] 1933년 금주법 폐지로 인해 이 섬은 다시 경제적 불황에 빠졌다.[24]
19세기 후반, 대구 어업 덕분에 생피에르 및 미클롱은 현저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군도는 프랑스령 식민지였기에 미국의 법률(볼스테드 법)이 적용되지 않았고, 미국의 금주법 시대에 특별한 역할을 했다. 1919년부터 1933년까지, 캐나다 및 미국 해안으로 프랑스산 와인과 위스키를 밀수하는 주류 밀매로 진정한 번영을 누렸다. 캐나다에서 건조되거나, 생피에르 주민들이 조립한 스쿠너선이나 스피드보트(럼 러너라고 불렸다)로 술을 밀수했다. 이것이 부틀레거(fr, 주류 밀수업자) 시대였다.[125]
1933년에 금주법이 해제될 때까지 연간 최대 30만 케이스의 알코올 음료가 군도를 통과했다. 알코올 음료 케이스에 사용된 목재는 섬에 버려져 연료로 사용되거나, 전체가 동명의 술의 나무 상자로 지어진 빌라 카티 서크를 포함한 많은 주택 건설에 사용되었다.[126] 1970년대에는 술 케이스와 프랑스산 샴페인 판자로 덮인 오두막이 생피에르 섬에 아직 있었다.
뉴펀들랜드의 선원들은 나무 상자에 담긴 술을 받았다. 그들은 주트 자루에 술을 옮겨 담고, 목재를 회수했다. 밀수선이 미국의 해안 경비대 선박에 방해받으면, 경비대가 전진해 오는 배의 반대편에서 술이 든 자루를 바다에 던져 넣으면 충분했다. 자루는 곧 가라앉았다. 경비대원이 승선했을 때는, 밀수의 흔적은 심해로 가라앉아 있었다. 화물은 손실되었지만, 범죄자를 감옥에서의 고통에서 구했다. 밀수로 체포될 위험은 운송료의 일부에 더해졌으며, 수취인이 지불하는 과도한 금액을 정당화했다. 이로 인해, 실제로 유럽에서 수입된 술보다, 저렴한 밀주가 널리 퍼지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캐나다, 영국,[25] 및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샤를 드골의 군대는 1941년 12월 현지 행정관이 충성을 맹세한 비시 프랑스로부터 군도를 점령했다. 두 섬의 주민투표에서 인구의 98% 이상이 자유 프랑스의 점령을 지지했다.[25][26]
북아메리카와 뉴펀들랜드의 어업장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단순한 발자취이자, 옛 누벨 프랑스의 마지막 흔적과도 같은 어부들이 사는 작은 프랑스 식민지를 연구한 당시의 저명한 방문자들 중에는 1850년대에 방문한 외교관이자 문필가인 아르튀르 드 고비노, 1888년부터 1890년까지 군도에 체류했던 의사 알베르 칼메트가 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샤를 드골의 군대는 캐나다, 영국,[25]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41년 12월 현지 행정관이 충성을 맹세한 비시 프랑스로부터 군도를 점령했다. 두 섬의 주민투표에서 인구의 98% 이상이 자유 프랑스의 점령을 지지했다.[25][26]1940년 6월 22일 휴전과 독일군의 프랑스 일부 점령 이후, 생피에르 미클롱은 비시 정부의 관리하에 놓였다.
군도의 총독 지르베르 드 브루나는 프랑스의 금 준비금으로 충당된 보조금을 받기 위해 미국 당국과 협상해야 했다. 그는 직속 상관인 조르주 로베르 제독으로부터 위임을 받았다. 제독은 1939년 9월 서대서양 지역 담당 고등 변무관(과들루프, 마르티니크, 생피에르 미클롱, 프랑스령 기아나에 대한 권한을 가짐)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시기에, 인접국 캐나다는 미국 정부의 후원하에, 생피에르 미클롱을 점령하기 위한 상륙 계획을 준비하고 있었다. 비시 정부의 선전 방송을 하는 라디오 방송국이 군도에 소재하는 것을 포함한 몇 가지 구실이 제시되었다[127]。일부 사람들은 이 라디오 방송국이 뉴펀들랜드의 어장에서 활동하는 독일의 유보트를 지원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27]。매켄지 킹 캐나다 총리는 이러한 계획의 실행을 허가하지 않았다.
이 시대에, 지질학자 에드가르 오베르 드 라 뤼에(fr)가 생피에르 섬에 거주했다.
런던의 드골 장군의 명령으로, 에밀 뮈젤리에 해군 중장(fr)은 미국 및 캐나다 양 정부와 의견이 상이했음에도 불구하고 생피에르 미클롱에 상륙했다(fr、자유 프랑스에 의한 생피에르 상륙). 상륙은 미국과 캐나다 당국이 모르게, 그리고 조언에 반하여 이루어졌지만, 처칠로부터 먼저 동의를 얻었다[127]。이 1941년 12월 24일의 사건으로 인해 대단한 논란이 일어났고, 루스벨트 대통령의 드골에 대한 불신감이 강해졌다. 뮈젤리에 해군 중장은 자유 프랑스에 유리한 국민 투표를 조직했다[127]。따라서, 생피에르 미클롱은 자유 프랑스에 참가한 최초의 프랑스 영토가 되었다.
3년 후인 1944년 6월 6일, 키퍼 중령의 지휘하에 노르망디에 상륙한 자유 프랑스 해군 퓨질리어 해병대 제1대대 177명 중에는 르네 오탕 병장이 있었다. 오탕은 생피에르 미클롱이 자유 프랑스에 합류한 후 자유 프랑스군에 가담했다. 오탕은 1921년 10월 27일 군도에서 태어나 1960년 1월 11일 군도에서 사망했다.
2. 5. 현대
캐나다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영국과 프랑스가 충돌하였으나, 프랑스가 패배하면서 북아메리카에서 유일하게 프랑스령으로 남은 섬이다. 미국 독립 전쟁을 프랑스가 지원한 것에 반감을 품은 영국이 이 섬을 다시 점령했으나, 1815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나서야 프랑스 소유로 다시 확정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중 1940년 프랑스 본국이 점령되자, 이 섬은 비시 정부의 영역이 되었다가 이듬해 자유 프랑스군이 탈환하였다. 1975년 해외 영토(Territoires d'outre-mer, TOM)에서 해외주(Départements d'outre-mer, DOM)로 승격되었고, 1985년에는 특별 자치체(collectivité territoriale à statut particulier), 2003년에는 해외 준주(海外 準州)가 되었다. 현재는 마르티니크, 마요트, 생바르텔레미, 생마르탱과 같이 프랑스의 데파르트망이다.[27]
1946년, 이 식민지는 프랑스의 해외 영토가 되었다. 1958년 프랑스 헌법 국민투표 이후, 생피에르 미클롱은 프랑스와 완전히 통합, 프랑스 공동체 내 자치 국가, 해외 영토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고, 결국 영토로 남기로 결정했다.[28] 1976년 7월 19일에는 해외 레지옹이 되었다가,[29] 1985년 6월 11일 영토 공동체 지위를 획득하며 유럽 공동체에서 탈퇴했다.[30][31]
2003년 3월부터 생피에르 미클롱은 특별 지위를 가진 해외 집단으로 지정되었다.[5] 이 군도는 생피에르와 미클롱-랑글라드의 두 코뮌으로 구성된다.[68] 주민들은 프랑스 시민권과 선거권을 가지며,[43] 프랑스 국민 의회에 상원 의원 1명과 하원 의원 1명을 파견하고, 세금, 관세, 소비세와 관련하여 자율성을 누린다.[32][5]
프랑스는 생피에르 미클롱의 주지사를 임명하여 국가 정부를 대표하게 한다.[24] 주지사는 국익, 법 집행, 공공 질서, 행정 통제를 담당한다.[33] 2023년 8월 21일부터 브루노 앙드레가 주지사이다.[34]
지방 입법 기관인 영토 의회(Conseil territorial|프랑스어는 19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미클롱-랑글라드에서 4명, 생피에르에서 15명이 선출된다.[31][5] 영토 의회 의장은 NAFO 및 ICCAT 연례 회의와 같은 국제 행사에서 "생피에르 미클롱을 대표하는 프랑스" 대표단의 수장이다.[31]
2022년 1월 10일, 국회의원 스테판 클레로가 정부의 코로나19 규정에 항의하는 시위대에게 해초와 돌멩이를 맞는 사건이 발생하여 국제 뉴스에 보도되었다.[35]
프랑스는 이 섬들의 방위를 책임진다.[5] 프랑스 해군은 1997년부터 순찰선인, 전직 트롤선 ''풀마르''를 배치해 왔다.[36] 생피에르 미클롱의 법 집행은 프랑스 국립 헌병대의 한 부서가 담당하며, 2개의 경찰서가 있다.[37]
1960년 1월 3일, 생피에르 섬과 미클롱 섬 전체 의회 의원 14명 중 11명과 앙리 클레로 상원 의원은 군도에 새롭게 프랑스 프랑을 도입하면서 발생한 경제 위기를 비난하며 사임했다.
드골 장군은 퀘벡 방문에 앞서 방공 순양함 콜베르에 승선하여 1967년 7월 20일에 섬을 방문, 자유 프랑스에서 생피에르 섬과 미클롱 섬이 수행한 역할에 감사를 표했다. 이는 프랑스 국가 원수의 4번의 생피에르 섬 및 미클롱 섬 방문 중 하나이다(다른 방문은 1987년 미테랑, 1999년 시라크, 2014년 올랑드).
1976년 7월 19일, 해외 영토는 해외 주(département d'outre-mer, DOM)가 되었고,[128] 1985년 6월 11일 특별 지방 자치체 지위를, 2003년 3월 28일 해외 준주(collectivités d'outre-mer, COM)로 변경되었다. 현재 지위는 2007년 2월 21일 기본법 제2007-223에 의해 지방 자치체 일반 규정에 고정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생피에르 섬과 미클롱 섬은 200해리의 배타적 경제 수역에 부속된 어업권 때문에 큰 경제적 관심을 보였다. 1988년 프랑스 트롤선 나포 이후, 1992년 국제 중재를 통해 군도에 동쪽으로 12해리, 서쪽으로 24해리, 폭 10해리의 남북으로 긴, 전체 길이 200해리의 회랑이 배타적 경제 수역으로 할당되었다.
3. 정치
2003년 3월부터 생피에르 미클롱은 특별 지위를 가진 해외 집단이 되었다.[5] 주민들은 프랑스 시민권과 선거권을 가지며,[43] 프랑스 국민 의회에 상원 의원 1명과 하원 의원 1명을 파견한다.[32][5] 프랑스는 생피에르 미클롱의 주지사를 임명하여 국가 정부를 대표하게 한다.[24] 2023년 8월 21일부터 브루노 앙드레가 주지사를 맡고 있다.[34]
지방 입법 기관인 영토 의회는 19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미클롱-랑글라드에서 4명, 생피에르에서 15명이 선출된다.[31][5]
2022년 1월, 생피에르 미클롱은 집권 여당 소속 국회의원 스테판 클레로가 코로나19 규정에 항의하는 시위대에게 공격받는 사건으로 국제 뉴스에 보도되었다.[35]
프랑스는 이 섬들의 방위를 책임지며,[5] 프랑스 해군은 순찰선을 배치해 왔다.[36] 생피에르 미클롱의 법 집행은 프랑스 국립 헌병대가 담당한다.[37]
생피에르 미클롱은 헌법 제74조의 체제 하에 있는 해외 준주이며, '생피에르 에 미클롱 해외 준주'라고 불린다.[132] 자치체는 생피에르와 미클롱-랑글라드의 두 개의 코뮌으로 구성되지만, 해외 준주 전체의 주도는 생피에르에 위치해 있다.
프랑스어는 공공 서비스에 사용되는 유일하게 공인된 의무 언어이다. 행정 권한은 분권화되어 있으며, 주로 해외 준주 평의회 의장에게 이관되어 있다. 이 평의회는 현지에서 특정 입법 권한을 가지며, 관세, 세제, 도시 계획에 대한 완전한 자치권을 갖는다.
생피에르 미클롱은 EU의 불가결한 부분이 아니며, 해외 영토이다. 그러나, 해외 준주의 시민은 프랑스 국적과 프랑스 헌법에 따라 프랑스 여권을 가지며, 모든 프랑스 시민과 마찬가지로 유럽 의회의 프랑스 대표 의원 선거와 그 외 모든 국정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 1999년 이후, 프랑스의 레지옹과 마찬가지로 통화는 유로이다.
해외 준현 평의회는 프랑스 영토 내의 다른 레지옹 평의회나 데파르트망 평의회와 거의 동일한 권한을 행사하며, 자치 단체 전체를 관리한다. 해외 준현 평의회는 2개의 코뮌에 대응하는 2개의 선거구에서 선출된 19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생피에르 선거구 15명, 미클롱-랑글라드 선거구 4명). 이는 헌법 제74조에 해당하지만, 관세, 세제, 도시 계획 및 주택 정책을 포함한 특정 분야를 제외하고는 공화국의 법률이 직접 생피에르 섬 및 미클롱 섬에 적용된다.
또한, 군도에는 해외 준현 평의회의 요청에 따라, 그 능력의 범위 내에서 질문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경제 사회 위원회가 있다.
해외 준주는 다음과 같이 공화국 의회에 대표를 파견한다.
- 직접 선거로 선출된 국민 의회 의원
- 선거인단에 의한 간접 선거로 선출된 상원 의원
- 경제사회환경이사회 의원
해외 준주의 유권자는 유럽 의회 프랑스 대표 의원 선거에도 참여한다.
생피에르 미클롱에는 다음과 같은 국가 행정 서비스의 지방 분국이 설치되어 있다.[134]
기관명 |
---|
국토 식량 해양국 |
사회 통합·직업·고용국 |
지방 후생국[135] |
세무국 |
회계국 |
아카데미 드 칸 부속 국민 교육국 |
국경 경비대 |
국가 헌병대 사령부 |
세관 |
프랑스 해군 |
생피에르-포앵트 블랑슈 비행장의 민간 항공 서비스 |
생피에르에는 해외 준주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지사가 장을 맡는 지사국이 있다. 지사는 대통령이 임명한다. 사법에는 항소 상급 법원, 제1심 법원, 행정 법원이 있다. 해외 준주 회계국은 해외 준주의 재정을 관리한다.
영사관실, 농사무소, 상공 회의소, 수공예 직인 조합은 공공 시설에 통합되어 있다.[136]
생피에르 미클롱 국가헌병대 사령부는 중령 지휘 하에 현역 27명과 예비역 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1816년 이후 국가헌병대가 섬에 주둔하고 있다.
4. 지리
생피에르 미클롱은 8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작은 군도로, 총 면적은 242km2이며, 해발고도가 낮고 침식되어 있다(미클롱 섬의 모른 드 라 그랑드 몽타뉴 240m, 생피에르 210m). 화산암(미클롱 섬과 생피에르 섬), 선캄브리아기 시대부터의 조산 운동과 애팔래치아 산맥의 연장선에서 생성된 다양한 변성암(랑글라드 섬, 르 카프 반도)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관은 거칠고 험하며, 크게 파인 해안이 있으며, 이는 뉴펀들랜드 섬과 세인트로렌스 강 하구까지 빙하로 덮였던 최종 빙기에 모두 형성되었다.
군도는 본질적으로 작은 생피에르 섬과 가장 큰 미클롱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두 섬을 가르는 약 5.5km의 해협은 라 베이(La Baie, 만을 의미)이다.
내륙부는 주로 이탄질 습원, 석호, 침엽수 위주의 희귀한 산림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프랑스 유일의 타이가)[129].
지리학자 앙리 볼리그(fr)는 군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어쨌든 4,000명의 주민이 정착하여 나무로 지어진 주택은 밝은 색으로 칠해져 있고, 낮은 창문은 꽃의 미소로 밝혀진다. 정원은 애정을 담아 가꾸어지고, 나무 신발 소리가 불규칙하게 거리에 들리고, 노르망디와 브르타뉴의 방언이 바스크 지방의 더욱 활기찬 억양과 섞여 들려온다. 생피에르는 바로 아메리카 대륙 연안에 있는 옛 프랑스의 일부이다."
4. 1. 위치와 구성
뉴펀들랜드의 뷔랭 반도 서쪽 끝에 위치한 생피에르 미클롱 제도는 총 242km2에 달하는 8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2개 섬에만 사람이 거주한다.[5][40] 섬은 황량하고 바위가 많으며 가파른 해안을 가지고 있고, 딱딱한 지형을 부드럽게 해주는 얇은 이탄층만 있다.[41] 뉴펀들랜드처럼 이 섬들도 지질학적으로 애팔래치아 산맥의 북동쪽 끝 부분에 속한다.[5]가장 큰 섬인 Miquelon-Langlade|미클롱-랑글라드프랑스어는 사실 두 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클롱 섬(Grande Miquelon|그랑 미클롱프랑스어이라고도 함, 110km2)는 10km 길이의 모래 사주인 Dune de Langlade|뒨 드 랑글라드프랑스어(Isthme de Langlade|이슴 드 랑글라드프랑스어라고도 함)로 랑글라드 섬(Petite Miquelon|프티트 미클롱프랑스어, 91km2)에 연결되어 있다.[30][6] 18세기 폭풍으로 인해 두 섬이 갈라져 수십 년 동안 분리되었지만, 해류가 다시 지협을 재건했다.[68] 영토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240m 높이의 Morne de la Grande Montagne|모른 드 라 그랑드 몽타뉴프랑스어는 그랑 미클롱에 위치해 있다.[5] 랑글라드와 생피에르 사이의 물길은 1800년 이후 그 지점에서 600척 이상의 난파선이 기록되어 약 1900년까지 "지옥의 입" ()이라고 불렸다.[42] 미클롱-랑글라드 마을(710명 거주)은 미클롱 섬 북쪽에 있으며, 랑글라드 섬은 거의 사람이 살지 않는다(1999년 인구 조사에서 1명만 거주).[68]
면적이 더 작은 생피에르 섬(26km2)은 인구가 가장 많고 제도의 상업 및 행정 중심지이다. 생피에르 공항은 1999년부터 운영되어 프랑스에서 장거리 항공편을 수용할 수 있다.[30]
세 번째 섬인 Isle-aux-Marins|일로마랭프랑스어은 1931년까지 Île-aux-Chiens|일로시앵프랑스어으로 알려졌으며 생피에르 항구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었지만, 1963년 이후로 사람이 살지 않는다.[68] 다른 주요 섬으로는 Grand Colombier|그랑 콜롱비에프랑스어, Île aux Vainqueurs|일 오 뱅쾨르프랑스어, Île aux Pigeons|일 오 피종프랑스어가 있다.

생피에르 미클롱은 8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작은 군도로, 총 면적은 242km2이며, 해발고도가 낮고 침식되어 있다(미클롱 섬의 모른 드 라 그랑드 몽타뉴 240m, 생피에르 210m).
군도는 본질적으로 작은 생피에르 섬과 가장 큰 미클롱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두 섬을 가르는 약 5.5km의 해협은 라 베이(La Baie, 만을 의미)라고 불린다. 미클롱 섬은 북서쪽의 르 카프, 북쪽의 그랑 미클롱, 남쪽의 랑글라드라는 3개의 반도로 이루어져 있다. 그랑 미클롱의 남쪽에는 그랑 바라쇼와 석호(라군)가 있다. 그랑 미클롱과 랑글라드는 1793년 이후 해난 사고로 난파된 다수의 선박으로 인해 생긴 모래 지협(이중 톰볼로)으로 연결되었다.
생피에르 항구 남동쪽에 작은 섬과 무인도가 있다. 마랑 섬(구 시앙 섬, 한때 유인도), 피종 섬, 방쿠르 섬, 그리고 생피에르 섬 북쪽에 있는 그랑 콜롬비에 섬이다.
4. 2. 지형
생피에르 미클롱은 8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면적은 242km2이다. 이 중 생피에르섬은 26km2, 미클롱섬은 216km2이며, 해안선의 총 길이는 120km이다.뉴펀들랜드 뷔랭 반도 서쪽 끝에 위치한 생피에르 미클롱 제도는 8개의 섬 중 2개 섬에만 사람이 거주한다.[5][40] 섬들은 황량하고 바위가 많으며 가파른 해안을 가지고 있고, 얇은 이탄층이 딱딱한 지형을 부드럽게 해준다.[41] 지질학적으로 애팔래치아 산맥의 북동쪽 끝 부분에 속한다.[5]
가장 큰 섬인 Miquelon-Langlade|미클롱-랑글라드프랑스어는 두 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클롱 섬(Grande Miquelon|그랑 미클롱프랑스어, 110km2)은 10km 길이의 모래 사주인 Dune de Langlade|뒨 드 랑글라드프랑스어(Isthme de Langlade|이슴 드 랑글라드프랑스어)로 Langlade Island|랑글라드 섬프랑스어(Petite Miquelon|프티트 미클롱프랑스어, 91km2)과 연결되어 있다.[30][6] 18세기 폭풍으로 두 섬이 분리되었으나, 해류가 다시 지협을 재건했다.[68] 영토 최고 지점인 240m 높이의 Morne de la Grande Montagne|모른 드 라 그랑드 몽타뉴프랑스어는 그랑 미클롱에 있다.[5] 랑글라드와 생피에르 사이의 물길은 1800년 이후 600척 이상의 난파선이 기록되어 1900년경까지 "지옥의 입" ()으로 불렸다.[42]
생피에르 섬(26km2)은 인구가 가장 많고 제도의 상업 및 행정 중심지이다. 생피에르 공항은 1999년부터 운영되어 프랑스 장거리 항공편을 수용할 수 있다.[30]
Isle-aux-Marins|일로마랭프랑스어(1931년까지 Île-aux-Chiens|일로시앙프랑스어)은 생피에르 항구 인근에 위치하며 1963년 이후 무인도이다.[68] 기타 주요 섬으로는 Grand Colombier|그랑 콜롱비에프랑스어, Île aux Vainqueurs|일 오 뱅쾨르프랑스어, Île aux Pigeons|일 오 피종프랑스어이 있다.
생피에르 미클롱 군도는 해발고도가 낮고 침식된 지형(미클롱 섬 모른 드 라 그랑드 몽타뉴 240m, 생피에르 210m)이 특징이다. 화산암(미클롱 섬, 생피에르 섬), 선캄브리아기 시대 조산 운동과 애팔래치아 산맥 연장선에서 생성된 변성암(랑글라드 섬, 르 카프 반도)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관은 거칠고 험하며, 크게 파인 해안은 최종 빙기에 빙하로 덮였던 영향이다.
군도는 생피에르 섬과 미클롱 섬으로 구성된다. 두 섬 사이의 약 5.5km 해협은 라 베이(La Baie, 만)라고 불린다. 미클롱 섬은 북서쪽 르 카프, 북쪽 그랑 미클롱, 남쪽 랑글라드 3개 반도로 구성된다. 그랑 미클롱 남쪽에는 그랑 바라쇼와 석호(라군)가 있다. 그랑 미클롱과 랑글라드는 1793년 이후 난파된 선박으로 생긴 모래 지협(이중 톰볼로)으로 연결되었다.
내륙은 이탄질 습원, 석호, 침엽수 위주 희귀 산림 지대(프랑스 유일 타이가)이다.[129] 벨 리비에르 강이 랑글라드 섬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른다.
생피에르 항구 남동쪽에 마랑 섬(구 시앙 섬, 한때 유인도), 피종 섬, 방쿠르 섬, 생피에르 섬 북쪽 그랑 콜롬비에 섬 등 작은 섬과 무인도가 있다. 동쪽 뷰린 반도 방향 베르트 섬은 영해 경계에 있다. 섬 주권은 불투명하며, 캐나다가 등대를 세웠다. 베르트 섬 외에 본섬에서 1300m 남쪽 L'Enfant perdu de l'Île Verte 바위는 프랑스 영토이다.
4. 3. 기후
생피에르 미클롱의 기후는 습하고 바람이 많다. 겨울은 혹독하고 길며, 봄과 초여름에는 안개가 많이 끼고 서늘하다. 늦여름과 초가을에는 대체로 맑은 편이다.비스케이 만과 비슷한 위도에 위치하지만, 극지방 기단과 한랭한 래브라도 해류의 영향으로 춥고 경계가 모호한 습윤 대륙성 기후/아한대 기후가 나타난다.[40] 겨울철은 아극해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온화한 편이며, 세 가지 기후 유형(습윤 대륙성 기후, 아한대 기후, 아극해 해양성 기후)의 특징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2월 평균 기온은 -3°C 등온선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45]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Dfc''에 해당하지만, 겨울철 온화함으로 인해 ''Cfc''에 가깝고, 여름철 기온으로 인해 ''Dfb'' 또는 ''Cfb''에 가깝기도 하다.
계절 지연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 9월이 6월보다 따뜻하고, 3월이 12월보다 춥다. 연평균 기온은 5.3°C이며, 가장 더운 달은 8월(15.7°C)이고 가장 추운 달은 2월(-3.6°C)이다. 연간 기온 범위는 19°C이다.[40] 강수량은 연간 1312mm로 풍부하고 규칙적이며(연간 146일), 눈과 비가 섞여 내린다.[40] 래브라도 해류와 걸프 스트림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여 연간 100일 정도 안개가 발생하며, 특히 6월과 7월에 잦다.[40]
봄부터 초여름까지 바람의 변화가 심하고 연무 현상이 나타나는 것도 주목할 만한 기후 특징이다.[46]
5. 경제
생피에르 미클롱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뉴펀들랜드 섬 연안의 어업과 어선 서비스에 크게 의존해 왔다. 그러나 캐나다와의 어획량 분쟁, 어선 정박 감소 등으로 경제가 쇠퇴하면서, 1992년 중재 재판소는 프랑스가 요구한 것의 25%에 불과한 12348km2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부여했다.[5]
이 섬은 프랑스의 막대한 보조금에 의존하고 있으며, 정부는 관광 확대와 석유 시추를 통한 에너지 부문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와 토지 조건은 농업 및 축산업에 불리하며, 1992년 이후 어획량 감소로 경제는 더욱 어려워졌다.[53] 높은 실업률은 국가 재정 지원으로 상쇄되고 있으며, 양식업, 게잡이 어업, 농업 등이 경제 다변화를 위해 개발되고 있다.[5]
유로가 공식 통화이지만, 캐나다와 가까워 캐나다 달러도 널리 사용된다.[59] 섬의 공급품의 약 70%는 캐나다 또는 노바스코샤를 통해 프랑스의 다른 지역에서 수입된다.[43]
2015년 추정 GDP는 2.613억달러이며, 1인당 GDP는 46,200 달러 (2006년 추정)이다. 2006년 추정 경제 부문별 비중은 농업 2%, 산업 15%, 서비스업 83% 이다. 2015년 추정 인플레이션은 1.5%이며, 실업률은 8.7%이다. 2010년 추정 주요 수출품은 생선 및 생선 가공품, 콩, 동물 사료, 연체동물, 갑각류, 여우 및 밍크 모피 등이며, 수출액은 664.1만달러이다. 2010년 추정 주요 수입품은 육류, 의류, 연료, 전기 장비, 기계, 건축 자재 등이며, 수입액은 9535만달러이다.
2024년 중반을 기준으로, 생피에르에는 6개의 호텔과 여러 B&B 및 에어비앤비 임대 시설이 있다. 또한 13개의 레스토랑과 비스트로가 있으며, 마린 섬에는 1개의 레스토랑이 있다. 생피에르 미클롱 관광청은 이들 레스토랑의 정통 프랑스 요리와 다른 요리도 홍보하고 있다.[58]
생피에르 미클롱의 경제는 프랑스 본토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공적 자금 지원 비율이 높은 편이다. 유로화 대비 달러 약세는 구매력을 지탱하지만, 어업 시장과 관광 등 특정 분야에는 불이익을 주고 있다.
5. 1. 전통 산업: 어업
이 섬들의 경제는 뉴펀들랜드 섬 연안에서 조업하는 어선들의 어업 및 서비스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캐나다와의 과도한 어획 쿼터 분쟁과 섬에 정박하는 선박 수의 감소로 인해 경제는 쇠퇴해 왔다.[51] 1992년 중재 재판부는 캐나다와의 오랜 영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12348km2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섬에 부여했지만, 이는 프랑스가 요구한 것의 25%에 불과하다.[5]대구 어업과 유럽 및 아시아 어선에 대한 지원은 대구가 풍부하게 잡히는 뉴펀들랜드 연안의 그랜드 뱅크스에서 그리 멀지 않은 이 군도의 전통적이고 주요한 경제 활동이었다. 1950년대부터 현대적인 고성능 트롤선이 산업의 특징이 되었다. 그러나 1992년 뉴욕 법원에서 중재가 확정된 후, 군도 주변의 프랑스 배타적 경제 수역이 정해지고, 직후 캐나다가 이 어업을 일시 중단하면서 어업 자원의 대폭적인 감소에 이어 어업 활동 자체가 격감했다.
대구 어획량 할당량 감소 외에 대게, 꼼치과, 바닷가재 등 소규모 단위로 어업 전문가가 어업을 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따라서 어류 수출 덕분에 최성기에는 전체의 약 50%였던 수입·수출 균형은 약 10%로 줄어 지방 경제의 큰 약점을 드러냈다. 국가와 해외 준주로부터의 확실한 재정적 지원 덕분에 어업 전체가 생존하고 있다.
5. 2. 경제 다변화 노력
이 섬들의 경제는 뉴펀들랜드 섬 연안에서 조업하는 어선들의 어업 및 서비스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캐나다와의 과도한 어획 쿼터 분쟁과 섬에 정박하는 선박 수의 감소로 인해 경제는 쇠퇴해 왔다.[51] 1992년 중재 재판부는 캐나다와의 오랜 영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12348km2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섬에 부여했지만, 이는 프랑스가 요구한 것의 25%에 불과하다.이 섬들은 프랑스의 막대한 보조금을 받고 있으며, 이는 생활 수준에 도움이 된다. 정부는 관광 확대를 통해 경제적 전망을 높이고, 석유 시추를 통해 에너지 부문의 개발을 추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1992년 이후, 경제는 과도한 어획, 어업 구역 제한 및 캐나다 정부의 모든 대구 어업 금지로 인한 어획량 고갈로 인해 급격한 감소세를 보였다.[53] 실업률 증가는 기업과 개인의 재교육을 위한 국가 재정 지원으로 상쇄되었다. 1999년 공항 건설은 건설 산업 및 공공 사업 활동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30] 양식업, 게잡이 어업 및 농업은 지역 경제를 다변화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5]
5. 3. 프랑스 의존
유로가 공식 통화이지만, 캐나다와 가까운 지리적 특성 때문에 캐나다 달러도 널리 사용된다.[51]
생피에르 미클롱의 경제는 뉴펀들랜드 섬 연안에서 조업하는 어선들의 어업 및 서비스에 의존해 왔다.[51] 그러나 캐나다와의 과도한 어획 쿼터 분쟁과 섬에 정박하는 선박 수의 감소로 인해 경제가 쇠퇴하였다.[51] 1992년 중재 재판부는 캐나다와의 오랜 영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12348km2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섬에 부여했지만, 이는 프랑스가 요구한 것의 25%에 불과하다.[51] 프랑스의 막대한 보조금은 섬의 생활 수준에 도움이 되고 있다. 생피에르 미클롱 정부는 관광 확대를 통해 경제적 전망을 높이고, 석유 시추를 통해 에너지 부문의 개발을 추진하고자 한다.
19세기 후반, 대구 어업 덕분에 생피에르 미클롱은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미국의 금주법 시대(1919년~1933년)에 군도는 프랑스령 식민지였기에 미국의 볼스테드 법이 적용되지 않아, 캐나다 및 미국 해안으로 프랑스산 와인과 위스키를 밀수하는 주류 밀매로 번영을 누렸다.[125] 이 시기는 부틀레거(fr, 주류 밀수업자) 시대로 불리며, 캐나다에서 건조되거나 생피에르 주민들이 조립한 스쿠너선이나 스피드보트(럼 러너)를 이용해 술을 밀수했다.[125]
금주법이 해제될 때까지 연간 최대 30만 케이스의 알코올 음료가 군도를 통과했다. 알코올 음료 케이스에 사용된 목재는 섬에 버려져 연료로 사용되거나, 동명의 술의 나무 상자로 지어진 빌라 카티 서크를 포함한 많은 주택 건설에 사용되었다.[126] 1970년대에는 술 케이스와 프랑스산 샴페인 판자로 덮인 오두막이 생피에르 섬에 남아있었다.
뉴펀들랜드의 선원들은 나무 상자에 담긴 술을 받아 주트 자루에 옮겨 담고 목재를 회수했다. 밀수선이 미국의 해안 경비대 선박에 방해받으면, 술이 든 자루를 바다에 던져 가라앉혔다. 경비대원이 승선했을 때는 밀수의 흔적이 심해로 사라져 화물은 손실되지만, 범죄자는 체포를 피할 수 있었다. 밀수 위험은 운송료에 더해져 수취인이 지불하는 금액을 정당화했고, 이는 유럽산 술보다 저렴한 밀주의 확산을 불렀다.
생피에르 미클롱은 EU의 불가결한 부분이 아니며, 1997년 암스테르담 조약에서 인정된 프랑스의 최외부 지역(fr)과도 다르다. EU와 관련하여 해외 영토(fr, PTOM) 지위를 가진다. 그러나, 해외 준주의 시민은 프랑스 국적과 프랑스 헌법에 따라 프랑스 여권을 가지며, 모든 프랑스 시민과 마찬가지로 유럽 의회의 프랑스 대표 의원 선거와 그 외 모든 국정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 1999년 이후, 프랑스의 레지옹과 마찬가지로 통화는 유로이다. 1973년까지 통화는 CFA 프랑이었고, 그 후 프랑스 프랑이었다.[133] 생피에르 미클롱은 EU 영역이나 솅겐 조약의 일부도 아니다.
2004년 기준 생피에르 미클롱의 GDP는 주민 1인당 26,073유로였다.[151] 그러나 이 수치는 구매력에 기반한 것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노동 인구의 약 1/3이 공적 자금에서 40%~60%의 지원을 받아 급여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유로화 대비 달러 환율 약세는 주민 구매력을 지탱하지만, 어업 시장(수출)과 관광 등 특정 분야에는 불이익을 주고 있다.
1973년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조약에 따라 국가는 배타적 경제 수역을 200해리(370km) 이상으로 확대하고 주변 대륙붕을 포함할 수 있게 되었다.
1988년 4월, 트롤선 크로와 드 로렌호가 군도 선거 당선자의 선동으로 캐나다 영해를 침범하여 캐나다 해안 경비대에 체포되었다. 승무원, 승선한 4명의 선거 당선자, 군도의 가톨릭 주교는 세인트존스에 이틀간 구금되었지만, 프랑스 국가의 거액 벌금 지불 후 석방되었다.[152] 1992년 국제사법재판소 중재에서 프랑스는 요구했던 47,000km² 대신 12,400km²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얻었다.[153]
캐나다는 생피에르 미클롱의 영해가 뉴펀들랜드 섬 남쪽 캐나다 고유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침해하며 확대되는 것에 반대한다. 오타와 연방 정부는 1992년 뉴욕 중재 판정에서 비롯된 영해를 지키고 있지만, 이 판정은 프랑스-캐나다 양국과 군도 당국자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다. 프랑스-캐나다 간 어업 문제는 캐나다 연해주와 연방 당국 사이에서도 발생했지만, 1990년 이전만큼 심각하지 않다. 어업 자원 감소와 오타와 연방 정부의 대서양 연안 전역에 걸친 유예 부과 때문이다.
생피에르 미클롱 선거 당선자들은 2009년 3월 '대륙붕의 집단'을 결성하여 영해 문제에서 군도 권리 확대를 목표로 2009년 5월 13일까지 파리 유엔 경계 위원회에 동의서를 제출하고자 했다. 캐나다는 프랑스령 군도의 대륙붕 확장 가능성에 반대하는 법률 초안을 작성했다.[154] 2009년 3월 25일, 당시 내무부 장관 미셸 알리오-마리는 유엔에서 군도 어장 확대를 요청하는 취지서를 발표했다.[155] 프랑스는 2009년 5월 8일, 유엔에 생피에르 미클롱,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왈리스 푸투나에서의 프랑스 대륙붕 확장 사전 신청을 했다.[156] 이 사건은 현재 교착 상태에 있다.[157]
6. 사회
생피에르 미클롱 주민 대부분은 바스크인, 브르타뉴인, 노르만인 등 프랑스계 백인 및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후손이며, 프랑스의 다른 해외주 및 해외영토에서 온 사람들의 후손도 있다. 공용어는 프랑스어이며, 가톨릭이 대다수이다.[43]
바닷새가 가장 흔한 동물이다.[43] 물개를 비롯한 다른 야생 동물은 미클롱의 그랑 바라쿠아 라군에서 발견할 수 있다. 매년 봄, 그린란드로 이동하는 고래가 생피에르 미클롱 해안에서 관찰된다. 삼엽충 화석은 랑글라드에서 발견되었다. "L'anse aux Soldats"라고 불리는 섬 해안의 석주는 침식으로 인해 1970년대에 사라졌다.[44] 암석 섬은 관목 주목과 노간주나무, 얇은 화산 토양을 제외하고는 황량하다.[42] 랑글라드의 일부 지역을 제외한 언덕의 산림 덮개는 오래전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제거되었다.[43]
6. 1. 인구
2006년 인구 총조사 결과 생피에르 미클롱의 인구는 6,125명이었다. 이 중 5,509명이 생피에르에, 615명이 미클롱-랑글라드에 거주했다. 랑글라드섬은 여름철 휴양객으로 인해 인구가 1천 명까지 증가하기도 한다.주민 대부분은 바스크인, 브르타뉴인, 노르만인 등 프랑스계 백인 및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후손이다. 프랑스어가 공용어이며, 가톨릭이 주 종교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20세기 말까지 인구가 서서히 증가했으며, 이후 소폭 감소했다. 2013년 1월 1일 기준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에 따르면 생피에르 미클롱의 인구는 6,057명으로, 이 중 주도인 생피에르는 5,430명, 미클롱-랑글라드는 627명이었다.[137] 2016년 3월 인구 조사에서는 섬 전체 인구가 6,008명이었으며, 이 중 5,412명이 생피에르에, 596명이 미클롱-랑글라드에 거주했다.[2] 199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76%가 이 군도에서 태어났고, 16.1%가 프랑스 본토에서 태어났다.[68]
이 군도는 높은 이민율을 보이는데, 특히 젊은 성인들이 학업을 위해 떠났다가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68]
생피에르 미클롱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는 노르망디나 브르타뉴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유사하다. 주민의 대부분은 노르만족, 브르타뉴족, 바스크족 이주민의 후손이다.
영어는 매우 일반적이며, 주민 대다수가 제2 언어로 사용한다.
1816년 | 1820년 | 1831년 | 1847년 | 1848년 | 1860년 | 1870년 |
---|---|---|---|---|---|---|
600 | 800 | 1100 | 1665 | 2130 | 2916 | 4750 |
1880년 | 1882년 | 1887년 | 1892년 | 1897년 | 1902년 | 1907년 |
4916 | 5439 | 5929 | 6247 | 6352 | 6432 | 6768 |
1911년 | 1931년 | 1936년 | 1941년 | 1945년 | 1946년 | 1951년 |
4209 | 4321 | 4175 | 4425 | 4175 | 4354 | 4606 |
1957년 | 1962년 | 1967년 | 1974년 | 1982년 | 1990년 | 1999년 |
4879 | 5025 | 5186 | 5840 | 6041 | 6277 | 6316 |
2006년 | 2011년 | 2013년 | 2016년 | |||
6125 | 6080 | 6057 | 6008 |
6. 2. 종교
생피에르 미클롱의 인구는 압도적으로 기독교인이며,[71] 그중 다수가 가톨릭 신자이다.[43] 생피에르 미클롱 자치교구는 2018년 라 로셸-생트 교구로 통합될 때까지 지역 교회를 관리했다.[72]생피에르 섬과 미클롱 섬의 우세한 종교는 대부분의 주민이 믿는 로마 가톨릭 교회이다.[161] 2018년 3월 1일까지 군도에는 가톨릭 생피에르 및 미클롱 사도좌 대리구가 설치되어 있었다.[162][163] 이후, 사도좌 대리구는 프랑스 본토의 라 로셸 및 생트 교구에 통합되었다. 2018년부터 주교에 의해 섬의 보좌 신부가 임명되고 있다.[164][165]
카푸친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수도사이자 성서 비평학 학자인 시몽 레가스는 생피에르 출신이다. 복음주의에는 예배 장소가 있으며, 여호와의 증인은 2013년 8월에 세워진 자체 기도 장소가 있고, 가톨릭 생피에르 교회도 있다.[166][167]
6. 3. 교육
생피에르 미클롱에는 4개의 초등학교(Sainte Odile, Henriette Bonin, Feu Rouge, les Quatre-Temps), 미클롱에 부속 건물이 있는 중학교(Collège de Miquelon/Collège Saint-Christophe), 1개의 국립 고등학교(에밀 르투르넬 국립 고등학교)와 1개의 직업 고등학교가 있다.[102]
고등학교 졸업 후 더 높은 교육을 받기를 원하는 학생들은 해외 유학 장학금을 받는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프랑스 본토로 가지만, 일부는 주로 뉴브런즈윅을 포함한 캐나다로 간다.[105]
생피에르의 고등 교육 기관은 뉴펀들랜드 기념 대학교와 연계된 프레커 연구소(Institut Frecker)이다.[103] 2000년부터 프레커 연구소는 캐나다 연방 정부와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주 정부의 지원을 받아 생피에르 미클롱 정부가 운영해 왔다.[104]

생피에르 미클롱의 교육 기관은 생피에르 미클롱의 공교육을 대표하는 아카데미 드 캉(fr, 캉 교육 행정구)의 일부이다.[145][146]
학교 시설은 초등학교 4개교, 미클롱에 분교가 있는 콜레주, 국립 리세와 생피에르에 있는 직업 리세로 구성된다. 생피에르 섬・미클롱 섬 최초의 리세 교육이 시작된 것은 1963년 10월이다. 사립 교육은 국가와의 계약하에 초등학교 4개교와 직업 리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2006년 시점에서 1330명이 학교에 다녔다.
바칼로레아 취득 후, 생피에르 미클롱의 학생은 지사의 권한 하에 서류에 부여된 기동성 여권의 혜택을 받아 (대학 교육 과정이 없는) 군도 밖에서 공부를 계속할 수 있다. 특별 지방 자치 단체로서의 생피에르 미클롱도 장기 휴가 중 매년 귀성과 마찬가지로 (대학 교육 초기 3년간) 본토와의 왕래에 드는 경비를 지원한다. 대부분의 학생은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본토행을 선택한다.[147]
6. 4. 의료
생피에르 미클롱의 의료 시스템은 전적으로 공공이며 무료이다.[105] 1994년, 프랑스와 캐나다는 생피에르 미클롱의 주민들이 세인트존스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을 체결했다.[105] 2015년, 생피에르 미클롱은 뉴펀들랜드의 Eastern Health가 최근 요금을 인상하여 (250만달러에서 2014년 330만달러로 증가) 새로운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찾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핼리팩스와 몬턴이 가능한 위치로 거론되었다.[106]1985년부터 프랑수아 뒤낭 병원(Hôpital François Dunan)은 두 섬의 주민들에게 기본적인 치료와 응급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107] 이 섬의 첫 번째 병원은 1904년에 군 병원이었으며, 1905년에 민간 시설이 되었다. L'Hôpital-Hospice-Orphelinat는 1937년에 개원했다.[108] 고급 소아 건강 관리는 세인트존스의 제니웨이 어린이 건강 및 재활 센터를 통해 제공된다.
생피에르에는 59개의 병상과 응급 의료 시설을 갖춘 프랑수아 뒤낭 병원 센터가 있다.[148] 병원 센터는 약 20명의 의료 종사자를 포함하여 약 380명을 고용하고 있다.[149] 전문의 몇 명이 연중 파견된다. 지역 사회 보장 기금은 2007년에 병원과 별도의 보건 위생 센터 설립에 기여했다. 미클롱에는 의사가 있는 진료소가 있다.
군도의 보건 위생 시스템의 특징 중 하나는 높은 비용이며, 국가 예산으로 부분적으로 상쇄된다. 이 비용은 특히 군도의 의료 현장에서 제공할 수 없는 의료가 필요한 환자를 섬 밖으로 이송하는 데서 발생한다. 2016년에는 844명(2015년 730명)이 군도 밖으로 이송되었으며, 그 중 82%가 캐나다(주로 생피에르 보건 위생 센터 및 사회 보장 기금과 삼자 협정을 맺고 있는 뉴펀들랜드 섬 세인트존스의 병원으로), 18%가 프랑스 본토로 향했다.[150][112]
7. 문화
생피에르 미클롱에는 4곳의 FM 라디오 방송국이 있으며, 모두 FM 방송이다(마지막 AM 방송국은 2004년에 FM으로 전환). 전화(電話)와 텔레비전 연결은 북아메리카 및 유럽과의 위성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생피에르 미클롱에서는 3곳의 텔레비전 방송을 볼 수 있다.
거리 이름은 섬에서 흔히 사용되지 않는다. 방향과 위치는 일반적으로 별명과 인근 주민의 이름을 사용하여 알려준다.[75]
북아메리카에서 단두대가 사용된 유일한 사례는 19세기 말 생피에르에서였다.[76] 조셉 네엘은 1888년 12월 30일 일 오 슉에서 쿠파르 씨를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1889년 8월 24일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이 장치는 프랑스령 마르티니크에서 배송되어야 했으며 작동 상태로 도착하지 않았다. 처형을 수행할 사람을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고, 마침내 최근 이민자가 이 일을 하도록 설득되었다. 이 사건은 2000년 영화 ''생피에르의 과부''의 영감이 되었다. 단두대는 현재 생피에르의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76]
축구는 생피에르 미클롱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1976년에 생피에르 미클롱 축구 리그(Ligue de Football de Saint Pierre et Miquelon)가 창설되었다. 생피에르 미클롱 축구 협회에 의해 생피에르 미클롱 축구 국가대표팀이 조직되어 있다. 그러나 국제 축구 연맹(FIFA)과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에 미가맹 상태이므로, FIFA 월드컵 및 CONCACAF 골드컵에는 참가할 수 없다.
7. 1. 언어
생피에르 미클롱 주민들은 프랑스어를 사용하며, 이들의 관습과 전통은 프랑스 본토와 유사하다.[43] 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는 캐나다 프랑스어보다 프랑스 본토 프랑스어에 더 가깝고, 여러 독특한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69] 한때 바스크 조상을 가진 사람들이 사적으로 사용했던 바스크어는 1950년대 후반에 섬에서 사라졌다.[70]7. 2. 축제
매년 여름에는 바스크 축제가 열리는데, 여기에는 하리-하소트자일레악(돌 던지기), 아이즈콜라리차 (벌목 기술), 그리고 바스크 펠로타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프론톤/자이 알라이로 더 널리 알려짐) 시연이 포함된다.[73] 현지 요리는 주로 바다가재, 대게, 홍합, 특히 대구와 같은 해산물을 기반으로 한다.[74]
7. 3. 요리
생피에르 미클롱의 현지 요리는 주로 바다가재, 대게, 홍합, 특히 대구와 같은 해산물을 기반으로 한다.[74]8. 교통
생피에르 미클롱에는 114km의 고속도로와 45km의 비포장 도로가 있다.[80][81] 주요 항구는 생피에르에 있으며, 미클롱에도 작은 항구가 있다. 생피에르 공항의 활주로는 1800m 길이이고, 미클롱 공항은 1000m 길이이다. 페리 서비스는 섬들 간 및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의 포춘과 연결되며, 거리는 45km이다. 항해 시간은 90분이다. 생피에르 미클롱에는 더 이상 운행하는 철도가 없다.[80][81]
과거에는 다른 대부분의 북미 관할 구역에서 사용되는 약 15.24cm 높이, 약 30.48cm 너비 형식의 번호판 대신 표준 프랑스 차량 번호판만을 사용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북미 번호판을 사용하는 미국 차량이 더 흔해지고 있으며, 특히 2021년에 캐나다로 가는 새로운 자동차 페리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더욱 그러하다.[94]
이 섬들은 표준 프랑스식 번호 체계를 따르지 않는다. 1952년까지 자동차는 생피에르 미클롱에서 왔다는 것을 식별하는 코드 없이 단순히 1부터 번호가 매겨졌다. 1952년부터 일련 번호 다음에 SPM이라는 문자가 붙었다. (예: 9287 SPM) 2000년부터는 모든 번호가 SPM 문자로 시작하여 일련 번호와 일련 문자가 붙는다. (예: SPM 1 A)[95]
도로 표지판은 프랑스어로 되어 있으며 유럽의 영향을 받았다.
8. 1. 항공
생피에르 미클롱에는 생피에르 푼트 블랑슈 공항(FSP, LFVP)과 미클롱 공항(MQC, LFVM) 두 개의 공항이 있다.항공 운송은 에어 생피에르(Air Saint-Pierre)가 담당하며, 에어 생피에르는 생피에르 푼트 블랑슈 공항과 다음 지역들을 직항으로 연결한다.
- 미클롱 공항 : 세계에서 거리와 비행 시간 면에서 가장 짧은 정기 항공 노선 중 하나이다.
- 캐나다
- 퀘벡 몬트리올–트뤼도 (YUL)
- 노바스코샤 핼리팩스 (YHZ)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세인트존스 (YYT)
- 퀘벡 마들렌 제도 공항(YGR) : 계절 운항
- 프랑스 본토 파리-샤를 드 골 공항(CDG) : 에어 생피에르는 해당 항공편 운항을 위해 ASL 항공 프랑스(ASL Airlines France)와 계약을 맺고 있다.
2018년 7월 2일 이후 에어 생피에르는 국가의 지원을 받아 공공 서비스의 일환으로 파리-샤를 드 골 공항에서 주 1회 정기편을 운항하고 있다. 이 비행편은 7월부터 8월까지 ASL 항공 프랑스가 운항한다.[1]
8. 2. 해상
생피에르 미클롱에는 114km의 고속도로와 45km의 비포장 도로가 있다. 주요 항구는 생피에르에 있으며, 미클롱에도 작은 항구가 있다. 이 공동체에는 상선이 없지만, 두 개의 공항이 있다. 페리 서비스는 섬들 간 및 캐나다 뉴펀들랜드의 포춘과 연결되며, 거리는 45km이다. 항해 시간은 90분이다. 생피에르 미클롱에는 더 이상 운행하는 철도가 없다.[80][81]페리 터미널 | 페리 터미널 | 페리 회사 | 하계 운항 횟수 (2024) |
---|---|---|---|
포춘 | 생피에르 | SPM 페리 | 하루 1~2회 운항, 월요일 미운항[82] |
미클롱 마을, 미클롱-랑글라드 섬 | 생피에르 | SPM 페리 | 하루 1~2회 운항, 수요일 미운항[82] |
랑글라드, 미클롱-랑글라드 섬 | 생피에르 | SPM 페리 | 하루 1~2회 운항, 화요일 미운항[82] |
마린 섬 | 생피에르 | BPE | 하계 기준, 하루 6회 운항, 주간 30분 간격 운항[83][84] |
SPM 페리[85]가 운영하는 페리 서비스는 생피에르와 미클롱 마을 및 랑글라드를 연결하며, 생피에르와 미클롱 마을 모두 캐나다 뉴펀들랜드의 포춘 항구와 연결된다. 하계에는 생피에르와 랑글라드 사이, 미클롱과 포춘 사이에 추가 운항 서비스가 제공된다.[86] SPM 페리의 노르데(Nordet)와 수로이트(Suroît) 페리는 각각 최대 188명의 승객과 18대의 차량을 수송할 수 있다.[87] ''죈 프헝스(Jeune France)''는 생피에르와 랑글라드 사이의 계절별 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형 페리이다.
여러 크루즈 선사가 생피에르를 방문한다.[89] 크루즈 선박은 시내에서 북동쪽으로 2km 떨어진 해안 도로 끝 부분에 정박한다. 보트는 또한 마린 섬으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애틀랜틱 제트는 SPM 익스프레스 SA(SPM Express SA)가 사적으로 운영하는 캐나다에서 섬으로 가는 페리 서비스를 제공했다.[90] COVID-19 규제로 인해, 2020년 3월[91]부터 2021년 8월[92]까지 포춘으로 가는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해상 수송을 통해 생피에르 항구와 노바스코샤 주의 핼리팩스 항구가 연결되어 있다.
8. 3. 도로
생피에르 미클롱에는 114km의 고속도로와 45km의 비포장 도로가 있다.[80][81] 과거에는 다른 대부분의 북미 관할 구역에서 사용되는 약 15.24cm 높이, 약 30.48cm 너비 형식의 번호판 대신 표준 프랑스 차량 번호판만을 사용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북미 번호판을 사용하는 미국 차량이 더 흔해지고 있으며, 특히 2021년에 캐나다로 가는 새로운 자동차 페리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더욱 그러하다.[94]이 섬들은 표준 프랑스식 번호 체계를 따르지 않는다. 1952년까지 자동차는 생피에르 미클롱에서 왔다는 것을 식별하는 코드 없이 단순히 1부터 번호가 매겨졌다. 1952년부터 일련 번호 다음에 SPM이라는 문자가 붙었다. (예: 9287 SPM) 2000년부터는 모든 번호가 SPM 문자로 시작하여 일련 번호와 일련 문자가 붙는다. (예: SPM 1 A)[95]
도로 표지판은 프랑스어로 되어 있으며 유럽의 영향을 받았다.
9. 통신
생피에르 미클롱에는 4곳의 라디오 방송국이 있으며, 모두 FM 라디오 방송이다 (마지막 AM 방송국은 2004년에 FM으로 전환).[96] 전화(電話)와 텔레비전 연결은 북아메리카 및 유럽과의 위성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96] 생피에르 미클롱에서는 3곳의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SPM Telecom은 이 지역의 주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이며, 인터넷 서비스는 Cheznoo (프랑스어로 "우리 집"을 의미하는 Chez-Nous의 말장난)로 명명되었다.[100] SPM Telecom은 GSM 표준을 준수하는 전화기에 대한 셀룰러 전화 및 이동 전화 서비스도 제공한다. SPM Telecom은 GSM 900 MHz 대역을 사용하며,[97] 이는 북미의 나머지 지역에서 사용되는 GSM 850 MHz 및 1900 MHz 대역과 다르다.[98]
생피에르 미클롱에는 5개의 FM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 (마지막 중파 방송국은 2004년에 FM으로 전환).[96] 3개는 생피에르에, 1개는 미클롱-랑글라드에 있다. 생피에르 미클롱 라 프르미에르는 프랑스 텔레비전(France Télévisions) 산하의 지역 공영 TV 채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On est là pour répondre aux crises" : Christian Pouget dresse le bilan de ses deux ans et demi passées à la préfecture de Saint-Pierre et Miquelon
https://la1ere.franc[...]
2023-07-25
[2]
웹사이트
Populations légales des collectivités d'outre-mer en 2020
https://www.insee.fr[...]
INSEE
null
[3]
웹사이트
RAPPORT ANNUEL ÉCONOMIQUE {{!}} SAINT-PIERRE-ET-MIQUELON 2021
https://www.iedom.fr[...]
null
[4]
MW
Miquelon
[5]
Citation
Saint Pierre and Miquelon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01-10
[6]
웹사이트
Encyclopedia Britannica – St Pierre and Miquelon
https://www.britanni[...]
null
[7]
웹사이트
Les iles Saint-Pierre et Miquelon – Notes de la conférence donnée à l'Institut Canadien, devant la Société Géographique de Québec, le 29 avril 1880, par Son Excellence le comte de Premio-Real, consul-général d'Espagne
https://archive.org/[...]
2005-02-22
[8]
웹사이트
Flight distance from Brest, France to Saint Pierre and Miquelon
http://www.travelmat[...]
Travelmath.com
null
[9]
웹사이트
Patron Saint Index Topic: fishermen, anglers
http://www.catholic-[...]
Catholic Community Forum
null
[10]
문서
Les voyages aventureux du Capitaine Martin de Hoyarsabal, habitant du çubiburu
https://archive.org/[...]
Bordeaux, France
1669
[11]
간행물
Toponymie ancienne et origine des noms Saint-Pierre, Miquelon et Langlade
https://www.cnrs-scr[...]
The Canadian Nautical Research Society
1997
[12]
웹사이트
The Basques of Saint Pierre and Miquelon
http://www.buber.net[...]
Buber's Basque Page
2006-04-30
[13]
웹사이트
Tourism Agencies in Saint Pierre et Miquelon
http://www.st-pierre[...]
St-pierre-et-miquelon.com
null
[14]
서적
Placenames of the world: origins and meanings of the names for 6,600...
[15]
서적
France's Overseas Frontier: Départements Et Territoires D'outre-mer
[16]
웹사이트
The British Period (1714–1764): Newfoundland and Labrador Heritage
http://www.heritage.[...]
null
[17]
웹사이트
CO194-26
http://www.swgc.mun.[...]
null
[18]
서적
Atlantic Canada
[19]
뉴스
WILLING TO BE ANNEXED: St. Pierre and Miquelon Would Like to Join United States.
https://www.nytimes.[...]
1903-11-23
[20]
문서
St. Pierre and Miquelon
[21]
서적
The Fog of War: Censorship of Canada's Media in World War II
[22]
뉴스
St. Pierre and Miquelon Imported 1,815,271 Gallons From Canada in Twelve Months
https://www.nytimes.[...]
1931-10-25
[23]
서적
Last Call: The Rise and Fall of Prohibition
https://books.google[...]
Scribner
[24]
뉴스
St Pierre and Miquelon
http://news.bbc.co.u[...]
BBC News
2011-11-02
[25]
웹사이트
'Over by Christmas.' The Liberation of Saint Pierre and Miquelon
http://worldatwar.ne[...]
The World at War
null
[26]
서적
War, cooperation, and conflict: the European possessions in the Caribbean ...
[27]
뉴스
St Pierre Stays French
https://news.google.[...]
1958-12-18
[28]
웹사이트
Law n ° 76-664 of July 19, 1976 relating to the organization of Saint-Pierre-et-Miquelon
https://www.legifran[...]
1976-07-20
[29]
웹사이트
Law n ° 85-595 of June 11, 1985 relating to the status of the archipelago of Saint-Pierre-et-Miquelon
https://www.legifran[...]
null
[30]
웹사이트
Le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à Saint-Pierre-et-Miquelon en 2006
http://www.insee.fr/[...]
Insee
null
[31]
웹사이트
Saint-Pierre et Miquelon, Statut spécifique
http://www.sodepar.c[...]
Sodepar
null
[32]
서적
The French Atlantic: travels in culture and history
[33]
웹사이트
La préfecture
http://www.saint-pie[...]
Portail internet des services de l'État
2008-12-07
[34]
웹사이트
Pour Bruno André, préfet de Saint-Pierre-et-Miquelon, "il s'agit de poursuivre ce qui a été fait" dans l'archipel
https://la1ere.franc[...]
2023-08-22
[35]
뉴스
Protesters on French island pelt MP with seaweed over Covid pass
https://www.theguard[...]
2022-01-10
[36]
웹사이트
French patrol ship Fulmar: Port visit to Rimouski and Québec
https://ca.ambafranc[...]
2022-09-26
[37]
웹사이트
La Gendarmerie Nationale
https://web.archive.[...]
Portail internet des services de l'Etat
2011-02-24
[38]
서적
Canadian foreign policy: defining the national interest
[39]
뉴스
St Pierre and Miquelon – Squaring off for a seabed scrap
http://www.economist[...]
2009-05-07
[40]
웹사이트
Rapport annuel 2010 IEDOM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iedom.fr/[...]
[41]
웹사이트
St. Pierre et Miquelon
http://www.heritage.[...]
Newfoundland and Labrador Heritage
[42]
백과사전
Saint-Pierre and Miquelon
https://www.thecanad[...]
[43]
문서
Saint-Pierre and Miquelon
[44]
웹사이트
La Géologie des îles Saint-Pierre et Miquelon
http://grandcolombie[...]
Miquelon Conseil
[45]
웹사이트
Saint Pierre Temperature Averages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5-02-03
[46]
웹사이트
Présentation
http://www.outre-mer[...]
L'Outre-Mer
[47]
웹사이트
Normales climatiques 1981-2010 : Saint Pierre and Miquelon
https://www.lameteo.[...]
2022-06-02
[48]
웹사이트
Statistiques: Saint Pierre,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meteospm.[...]
Météo France
2016-10-10
[49]
웹사이트
Records pour la station de Saint Pierre
http://www.meteospm.[...]
Météo France
2016-10-10
[50]
웹사이트
Climate of St-Pierre 1991-2020
https://donneespubli[...]
Météo-France
2022-08-20
[51]
서적
France's Overseas Frontier: Départements Et Territoires D'outre-m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웹사이트
Economie – L'Outre-Mer
http://www.outre-mer[...]
[53]
뉴스
French islands bid for oil-rich sea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3-08
[54]
웹사이트
Rapport annuel 2010 IEDOM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iedom.fr/[...]
[55]
웹사이트
Evaluation du PIB 2004 de Saint-Pierre-et-Miquelon – janvier 2007
https://www.webcitat[...]
[56]
웹사이트
St Pierre and Miquelon profile
https://www.bbc.com/[...]
2012-02-23
[57]
웹사이트
Hotels
https://en.spm-touri[...]
2024-07-25
[58]
웹사이트
Restaurants
https://en.spm-touri[...]
2024-07-25
[59]
웹사이트
Council decision of 31 December 1998 concerning the monetary arrangements in the French territorial communities of Saint-Pierre-et-Miquelon and Mayotte
http://eur-lex.europ[...]
1998-12-31
[60]
웹사이트
L'histoire des billets à Saint-Pierre et Miquelon
https://la1ere.franc[...]
2018-12-30
[61]
웹사이트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iedom.fr/[...]
IEDOM
[62]
웹사이트
Travel tips: Saint-Pierre and Miquelon
https://canadiangeog[...]
2024-07-25
[63]
웹사이트
Top Tips for a Visit to Saint-Pierre and Miquelon
https://www.newfound[...]
2024-07-25
[64]
웹사이트
St. Pierre et Miquelon
https://web.archive.[...]
Stanley Gibbons
2007-12-01
[65]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e au recensement: Saint-Pierre-et-Miquelon (serie historique 1847–1962)
http://www.bdm.insee[...]
Bdm.insee.fr
[66]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e au recensement: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bdm.insee[...]
Bdm.insee.fr
2012-12-31
[67]
웹사이트
Populations légales en vigueur à compter du 1er janvier 2019 – Saint-Pierre-et-Miquelon
https://www.insee.fr[...]
Government of France
2019-08-30
[68]
웹사이트
Le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à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insee.fr/[...]
INSEE
2000-08
[69]
웹사이트
Le français parlé aux îles Saint-Pierre et Miquelon
https://web.archive.[...]
Le GrandColombier.com
2010-04-29
[70]
웹사이트
The Basque colony of Saint-Pierre et Miquelon
http://www.marccormi[...]
[71]
웹사이트
Religions In St. Pierre And Miquelon
http://www.religion-[...]
Religion-facts.com
2017-09-19
[72]
웹사이트
Rinuncia del Vicario Apostolico di Iles Saint-Pierre et Miquelon e accorpamento del Vicariato nella Diocesi di La Rochelle (Francia)
http://press.vatican[...]
2018-03-01
[73]
웹사이트
'Zazpiak Bat' Basque Club
http://www.cheznoo.n[...]
2010-06-28
[74]
웹사이트
Saint-Pierre-et-Miquelon
https://web.archive.[...]
2011, Année des Outre-mer
2011-01-28
[75]
웹사이트
Historique des Rues de Saint-Pierre
http://www.grandcolo[...]
Miquelon Conseil
[76]
서적
St. Pierre & Miquelon Country Study Guide
https://books.google[...]
Lulu.com
2002
[77]
웹사이트
St-Pierre hockey player has come a long way in the game
https://www.saltwire[...]
2017-05-09
[78]
웹사이트
L'équipe de France à Saint-Pierre et Miquelon
https://www.hockeyfr[...]
French Ice Hockey Federation
2023-04-18
[79]
웹사이트
Tiny Islands With Big Plans
https://www.worldsoc[...]
2020-04-17
[80]
웹사이트
Le train de Saint-Pierre, un passage oublié de l'histoire
https://la1ere.franc[...]
2022-02-11
[81]
웹사이트
SPM Ferries-Departure Times
https://www.spm-ferr[...]
2024-09-18
[82]
웹사이트
View schedules online
https://www.spm-ferr[...]
2024-08-01
[83]
웹사이트
BPE desserte Île aux Marins (PDF)
https://www.mairie-s[...]
2024-08-02
[84]
웹사이트
Transports circulation
https://www.mairie-s[...]
2024-08-02
[85]
웹사이트
SPM Ferries
https://www.spm-ferr[...]
2020-12-03
[86]
웹사이트
View schedules online:SPM Ferries
https://www.spm-ferr[...]
2020-02-22
[87]
웹사이트
Our Fleet
https://www.spm-ferr[...]
2024-08-01
[88]
웹사이트
Tours and ocean cruises
https://www.spm-ferr[...]
2024-08-01
[89]
웹사이트
Saint-Pierre & Miquelon - Cruises
http://www.tourisme-[...]
2014-12-17
[90]
서적
Canad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Publications]]"
[91]
웹사이트
Ferry service between Fortune, NL and St. Pierre-Miquelon halted amid coronavirus crisis
https://www.saltwire[...]
2021-07-08
[92]
웹사이트
Smiles and tears of joy as ferry route between Newfoundland and Saint-Pierre reopens
https://www.cbc.ca/n[...]
2021-08-16
[93]
웹사이트
Schedule & Fares to/From Paris, France (CDG Terminal 3)
http://airsaintpierr[...]
2018-05-29
[94]
뉴스
You can now drive from Canada to France, so we took a road trip
https://www.theglobe[...]
2021-12-17
[95]
웹사이트
French overseas possessions registrations
https://web.archive.[...]
2007-12-09
[96]
간행물
History of Satellite Communications
https://doi.org/10.1[...]
Springer
2013
[97]
웹사이트
GSM Coverage Maps – Saint-Pierre and Miquelon
https://web.archive.[...]
2010-07-04
[98]
웹사이트
Mobile Phone Cellular Frequency Bands Explained
https://www.makeuseo[...]
2019-06-28
[99]
서적
Chronological Developments of Wireless Radio Systems befor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Singapore
[100]
웹사이트
Saint-Pierre et Miquelon - Portail Cheznoo.net
https://www.cheznoo.[...]
2020-09-16
[101]
웹사이트
Mathurin.com – Le Magazine de Saint-Pierre et Miquelon – Chroniques, analyses, regard sur une vie locale.
http://www.mathurin.[...]
2020-09-16
[102]
웹사이트
Lycée-Collège d'État Émile Letournel and Related Topics
https://web.archive.[...]
2022-07-20
[103]
뉴스
Department of Modern Languages, Literatures and Cultures
https://www.mun.ca/l[...]
2018-06-01
[104]
웹사이트
Institut Frecker
https://www.mi.mun.c[...]
2022-11-23
[105]
웹사이트
Overview
https://web.archive.[...]
Saint-Pierre and Miquelon Community Profile
2013-02-08
[106]
뉴스
St-Pierre-Miquelon shopping around for a health provider, N.L. prices too steep
http://www.cbc.ca/ne[...]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5-02-18
[107]
웹사이트
Portail internet des services de l'Etat: Le Centre Hospitalier François Dunan
http://www.saint-pie[...]
2010-07-04
[108]
웹사이트
Centre Hospitalier François Dunan
http://www.ch-fdunan[...]
Ch-fdunan.fr
2017-09-19
[109]
웹사이트
Accueil
http://sapeurs-pompi[...]
sapeurs-pompiers975
2017-09-19
[110]
웹사이트
Le Député en visite chez les sapeurs-pompiers de Miquelon » TOUTE L'ACTU
http://depute975.net[...]
Depute975.net
2017-09-19
[111]
웹사이트
Véhicules des pompiers français – Page 1802
http://www.autotitre[...]
Auto titre
2017-09-19
[112]
웹사이트
Saint-Pierre and Miquelon: Territory & Commune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City Population
2022-08-16
[113]
문서
日本国外務省、海外渡航・滞在、在外選挙・登録申請先一覧(北米)
https://www.mofa.go.[...]
[114]
문서
Liste des saints patron des pêcheurs
https://web.archive.[...]
[115]
인용
"Sçaches que le cap de Breton, & les Isles de S.Pierre gisent est ouest quart de noroest & suest, ya 45. lieues. […] Gisent cap de Breton & le pertuis de Micquetö est ouest, ya 42 l. […] Gisent le Colombeire de S.Pierre & le pertuis(4) de ''Micquelle'' nort norroest & su suest, ya 7. lie…es"
http://www.grandcolo[...]
[116]
서적
Les Voyages avantureux du capitaine Martin de Hoyarsabal, habitant de Culiburu
https://gallica.bnf.[...]
Bordeaux
1579
[117]
웹사이트
The Basques of Saint Pierre and Miquelon
http://www.buber.net[...]
Buber's Basque
2006-04-30
[118]
논문
Toponymie ancienne et origine des noms Saint-Pierre, Miquelon et Langlade
Ottawa
1997
[119]
웹사이트
Prénoms basques
http://abarka.free.f[...]
[120]
웹사이트
https://www.wdl.org/[...]
[121]
논문
Toponymie ancienne et origine des noms Saint-Pierre, Miquelon et Langlade, Le Marin du Nord
https://www.cnrs-scr[...]
1997
[122]
웹사이트
« Les Paléoesquimaux : d’où viennent-ils ? »
http://www.arche-mus[...]
2013-09-18
[123]
웹사이트
« Groswater (800 à 100 av. J.-C.) »
http://www.arche-mus[...]
2013-09-18
[124]
웹사이트
« Dorset (100 à 900 ap. J.-C.) »
http://www.arche-mus[...]
2013-09-18
[125]
서적
Les Bootleggers de Saint-Pierre
https://books.google[...]
2002
[126]
서적
Folle Histoire. Les aventuriers des îles
2016
[127]
서적
The Second World War
Plon
1948-1954
[128]
법률
Loi n°76-664 du 19 juillet 1976
http://www.legifranc[...]
[129]
뉴스
Journal télévisé
RFO St Pierre
2008-06-30
[130]
웹사이트
Statistiques: Saint Pierre,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meteospm.[...]
Météo France
2016-10-10
[131]
웹사이트
Records pour la station de Saint Pierre
http://www.meteospm.[...]
Météo France
2016-10-10
[132]
법률
Code général des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133]
웹사이트
Arrivée de l'euro – L'évolution du régime monétaire outre-mer
http://www.finances.[...]
2013-04-25
[134]
웹사이트
Les services de l'Etat
http://www.saint-pie[...]
préfecture de Saint-Pierre-et-Miquelon
2018-08-16
[135]
웹사이트
http://lannuaire.ser[...]
[136]
법률
Ordonnance n°77-1106 du 26 septembre 1977 portant extension et adaptation au département de Saint-Pierre-et-Miquelon de diverses dispositions législatives relatives au domaine industriel, agricole et commercial
http://www.legifranc[...]
Legifrance
[137]
간행물
Populations légales 2013 pour la collectivité de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insee.fr/[...]
Insee
2016
[138]
웹사이트
https://www.insee.fr[...]
[139]
웹사이트
Présentation des Îles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saintpier[...]
[140]
웹사이트
Série historique 1847-1962
http://www.bdm.insee[...]
[141]
웹사이트
Population municipale au recensement : Saint-Pierre-et-Miquelon, 1967-2012
http://www.bdm.insee[...]
[142]
웹사이트
Population légale 2007
http://www.insee.fr/[...]
[143]
웹사이트
Population légale 2012
http://www.insee.fr/[...]
[144]
웹사이트
Populations légales des collectivités d'outre-mer en 2015
https://www.insee.fr[...]
[145]
웹사이트
Académie de Caen
http://www.ac-caen.f[...]
[146]
웹사이트
Service de l’Éducation nationale de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ac-spm.fr[...]
[147]
웹사이트
Académie de Caen
http://www.ac-spm.fr[...]
2019-11-04
[148]
웹사이트
Centre Hospitalier François Dunan
http://www.ch-fdunan[...]
2018-06-26
[149]
논문
Letournel C. Amélioration de la prise en charge médicamenteuse dans un établissement de santé en milieu insulaire. Le Pharmacien hospitalier et clinicien 2017 ; 52 : 332-8.
http://www.sciencedi[...]
[150]
뉴스
"Signature de deux-nouvelles conventions Evasan entre Saint-Pierre-et-Miquelon et Saint-Jean-de-Terre-Neuve"
https://la1ere.franc[...]
la1ere.francetvinfo.fr
2017-08-10
[151]
간행물
Source IEDOM 2006
[152]
웹사이트
Alsacien et Saint-Pierrais
http://www.dna.fr/ar[...]
2009-08-16
[153]
뉴스
« Saint-Pierre-et-Miquelon: les îlots de la discorde »
L'Express
2009-05-07
[154]
웹사이트
A case for the construction of a discontinuous juridical continental shelf?
http://www.gmat.unsw[...]
2006-02-11
[155]
뉴스
Saint-Pierre-et-Miquelon : les îlots de la discorde
L'Express
2009-05-07
[156]
뉴스
D'après le porte-parole adjoint du Quai d'Orsay, Frédéric Desagneaux, dépêche AFP du 13 mai 2009
http://annickgirardi[...]
[157]
웹사이트
Commission des limites du plateau continental
https://www.un.org/p[...]
2019-11-04
[158]
간행물
Insee et IEDOM
http://www.iedom.fr/[...]
[159]
웹사이트
null
https://la1ere.franc[...]
[160]
간행물
L'affaire de la "French baguette"
2014-10
[161]
웹사이트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geo.fr/vo[...]
2016-09-20
[162]
웹사이트
Horaires et intentions à St-Pierre
http://les5clochers.[...]
2016-09-20
[163]
웹사이트
Monseigneur Lucien Fischer, vicaire apostolique de Saint-Pierre et Miquelon
http://www.cheznoo.n[...]
[164]
웹사이트
null
https://www.la-croix[...]
[165]
웹사이트
Le père Bertrand Thébaut est le nouveau vicaire épiscopal de Saint-Pierre et Miquelon
https://la1ere.franc[...]
2019-11-04
[166]
웹사이트
Cathédrale de Saint-Pierre et Miquelon - Le blog de alhemax-au-gre-du-vent.over-blog.com
http://alhemax-au-gr[...]
2016-09-22
[167]
웹사이트
null
http://www.jw.org/fr[...]
[168]
웹사이트
Globaltel Saint Pierre et Miquelon
http://www.globaltel[...]
2016-01-20
[169]
웹인용
Statistiques: Saint Pierre,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meteospm.[...]
Météo France
2016-10-10
[170]
웹인용
Records pour la station de Saint Pierre
http://www.meteospm.[...]
Météo France
2016-10-10
[171]
웹인용
Population totale au recensement: Saint-Pierre-et-Miquelon (serie historique 1847–1962)
http://www.bdm.insee[...]
Bdm.insee.fr
2013-02-08
[172]
웹인용
Population totale au recensement: Saint-Pierre-et-Miquelon
http://www.bdm.insee[...]
Bdm.insee.fr
2012-12-31
[173]
웹인용
Populations légales des collectivités d'outre-mer en 2016
https://www.insee.fr[...]
INSEE
2019-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