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 지하철 7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지하철 7호선은 장암역에서 시작하여 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를 잇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가 공동으로 운영하며, 일부 지상 구간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하로 운행된다.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9호선, 신림선,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7호선은 부천 및 인천 구간 연장과 운영권 이원화를 거쳤으며, 도봉산 ~ 옥정 ~ 포천 구간, 석남 ~ 청라국제도시 구간 등 노선 연장이 추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지하철 7호선 - 청담대교
    청담대교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과 광진구 능동을 잇는 한강의 다리로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동부간선도로가 복층 구조로 통과하는 병행교량이며, 서울 동부 지역 교통난 해소에 기여하고 뚝섬 한강공원과 인접해 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 - 도봉차량사업소
    도봉차량사업소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기지로, 일부 6000호대, 7000호대 전동차와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 및 입출고 검수를 담당하며, 폐차된 6, 7호선 전동차 관리, 복잡한 배선 시스템 운영, 그리고 경기도 의정부시의 이전 요청과 관련되어 있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199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8호선
    수도권 전철 8호선은 서울 강동구 암사동에서 경기 성남시 수정구 모란동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철도 노선으로, 1996년 개통 이후 2024년 별내선 개통으로 구리시와 남양주시까지 확장되었으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된다.
  • 199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강동구, 경기도 성남시에 걸쳐 있으며, 1996년 잠실~모란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24년 암사~별내 구간 개통을 앞두고 있고, 모란역에서 판교역, 별내별가람역에서 별내역까지 연장 계획이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노선 정보
노선색
노선명7호선
한국어 명칭7호선(七號線) 칠 호선
영어 명칭Line 7
노선 종류급행 철도
운영 체계서울 지하철
상태운영 중
기점장암역
종점석남역
역 수53
개통일1996년 10월 11일
소유자서울 특별시, 부천시, 인천 광역시
운영자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노선 길이61.3 km
선로 수2
궤간1,435 mm (표준궤)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선집전방식
신호 장치ATC / ATO
지도 정보
이미지
7000계 전동차 (2017년)
7000계 전동차 (2017년)
개통 정보
개통1996년 10월 11일 (장암역 ~ 건대입구역)
연장 개통2000년 2월 29일 (온수역 ~ 신풍역)
추가 개통2000년 8월 1일 (신풍역 ~ 건대입구역)
서쪽 연장2012년 10월 27일 (온수역 ~ 부평구청역)
북쪽 연장2021년 5월 22일 (부평구청역 ~ 석남역)
수송 통계
서울시 지하철 수송 통계서울시 지하철수송 통계
기타
CCTV 설치서울 지하철 열차에 CCTV 설치
연장 구간 착공[수도권]지하철7호선 연장구간 착공
인천 도시철도 건설본부사업소개

2. 운영

서울 지하철 7호선은 일부 지상 구간(장암 - 도봉산 - 수락산(지하), 건대입구(지하) - 자양 - 청담(지하))을 제외하면 대부분 지하 구간이다. 전 구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열차 승무, 역무, 열차 통제, 역사 시설물 관리 등은 서울교통공사인천교통공사가 공동 협의하여 운영한다.[6]

온수역 - 석남역 구간은 인천교통공사 7호선 운영사업단 승무원이 담당하며, 온수역에서 승무 교대가 이루어진다. 까치울역과 부평구청역 사이 구간은 인천 도시철도로 분류되나, 전체 노선은 하나로 운영되며, 인천교통공사 운영 구간의 모든 열차는 서울교통공사 운영 구간까지 계속 운행된다.[7]

2. 1. 연결선

도봉산역 인근에 경원선과, 태릉입구역 인근에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이어지는 연결선이 존재한다. 도봉산역 인근의 연결선은 1996년 10월 11일 장암역 - 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당시 7호선 차량 반입에, 태릉입구역의 연결선은 6호선 차량 반입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태릉입구역 인근의 연결선은 6호선 차량이 중검수를 위하여 도봉차량사업소까지 오가는 데에 사용된다.

2000년 2월 29일 7호선 신풍역 - 온수(성공회대입구) 구간 개통 당시는 중간의 건대입구역 ~ 신풍역 구간이 개통되지 않아 도봉산역의 연결선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경인선 오류동역에서 천왕차량사업소까지 임시 선로를 부설하여 이를 통하여 차량을 반입하였다. 이 선로는 같은 해 8월 1일 신풍역 - 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이후에 철거되었다.

3. 차량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6호선에서 차출된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7000호대 1차분

4. 주요 사건 사고와 논쟁

7호선은 여러 차례 사건 사고를 겪었다. 1998년에는 집중호우태릉입구역도봉산역 등 여러 역이 침수되었다. 특히 태릉입구역중랑천 범람으로 인해 주변 11개 역과 함께 침수되어 건대입구역~도봉산역 구간 운행이 중지되기도 했다. 2005년에는 철산역에서 방화 사건이 발생하여 전동차 3량이 전소되고 승객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34] 2019년에는 수락산역에서 도봉산역으로 향하던 열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

이 외에도 2001년 고속터미널역 침수,[32][33] 2020년 보라매역-신풍역 운행 중단,[36] 2023년 온수역-석남역 운행 중단 위기[39] 등 다양한 사건 사고와 논쟁이 있었다.

4. 1. 건대입구역 강북 구간 침수

1998년 5월과 8월, 서울 지하철 7호선은 집중호우로 인해 태릉입구역도봉산역 등 여러 역이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 특히 태릉입구역은 1998년 5월 2일 중랑천 범람으로 인해 주변 11개 역과 함께 침수되어 건대입구역 ~ 도봉산역 구간 운행이 중지되기도 했다.

4. 1. 1. 태릉입구역과 주변 11개 역 침수 (1998년 5월)

1998년 5월 2일 오전 7시 40분쯤, 전날인 5월 1일부터 수도권 지역에 내린 집중호우중랑천이 범람하였다. 당시 중랑천에서는 개착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이 공사로 인해 하천의 폭이 절반으로 줄어든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집중호우로 불어난 물이 둑을 덮치면서 서울 지하철 6호선 공사장으로 밀려들었고, 이 물은 높이 4m의 물막이벽을 넘어 환승 통로를 통해 태릉입구역을 침수시켰다.[12][13][14][15]

태릉입구역이 물에 잠기면서 주변의 마들역,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공릉역, 먹골역, 중화역, 상봉역, 면목역, 사가정역 등 11개 역이 침수되었다. 이로 인해 건대입구역 ~ 도봉산역 구간의 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 태릉입구역은 승강장이 있는 지하 4층부터 대합실이 있는 지하 1층까지 물이 가득 찼다. 변전소 1곳, 역사 전기실 7곳, 신호기계실 5곳, 통신기계실 7곳 등 지하철 운행에 필수적인 설비들이 모두 물에 잠겼다.[12][13][14][15]

침수는 북쪽 수락산역과 남쪽 용마산역에서 멈추었다. 도봉산역 ~ 건대입구역 구간에서 태릉입구역이 해발 고도가 가장 낮았고, 북쪽 수락산역태릉입구역보다 21m, 남쪽 용마산역은 11m가 높았기 때문이다. 만약 남쪽으로 물이 더 유입되었다면 연결된 환승 통로를 통해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었다.[12][13][14][15]

4. 1. 2. 도봉산역 침수 (1998년 8월)

1998년 8월 3일, 집중호우로 도봉산역이 침수되어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는 1998년 5월 태릉입구역 침수 복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한 사고였다. 결국 도봉산역의 주요 설비를 2층으로 옮기게 되었다.[31]

4. 1. 3. 침수 피해 복구

1998년 5월 2일에 첫 번째 침수가 발생한 이후 복구 작업을 진행하던 중, 같은 해 8월 6일 새벽에 경기 북부 지역에 다시 집중호우가 내렸다. 이로 인해 지상 구간인 도봉산역 선로에 물이 차올라 오전 5시 첫차부터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다. 이는 같은 해 5월 태릉입구역 침수 복구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1개 역이라도 침수되면 전 구간 운행을 중단해야 했기 때문이다.[30]

도봉산역은 고가 철로보다 역사가 낮아 침수 피해가 자주 발생했다. 이 사고 역시 경원선 도봉산역을 침수시킨 물이 7호선 환승 통로로 흘러들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도봉산역 - 건대입구역 구간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다. 같은 해 5월 침수 사고를 겪었던 7호선 태릉입구역은 다시 지하 2층부터 4층까지 모두 물에 잠겼다. 사고 발생 나흘 뒤인 8월 9일에 임시로 복구되었다.[30]

7호선은 다음 해인 1999년 1월 4일, 상봉변전소와 도봉산역의 전기 및 설비 분야 복구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완전히 복구되어 정상 운행을 시작했다. 피해 금액은 시설 복구비 3790억, 영업 손실 1000억 등 총 4800억에 달했다. 그러나 같은 해 8월 3일 도봉산역이 다시 침수되면서, 결국 도봉산역의 주요 설비를 2층으로 옮기게 되었다.[31]

4. 2. 고속터미널역 침수 (2001년)

2001년 7월 15일 37년 만의 집중호우반포천이 범람하여 고속터미널역이 침수되었다. 이로 인해 고속터미널역-강남구청역 간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32][33] 침수는 범람한 반포천의 빗물이 인근 센트럴시티 건물 지하 2층 주차장을 통해 승강장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했으며, 선로는 2~3m, 승강장은 완전히 물에 잠겼다. 7월 17일 복구가 완료되어 운행이 재개되었다.[32][33]

4. 3. 철산역 방화 사건 (2005년)

2005년 1월 3일 오전 7시 10분경 철산역에서 방화 사건이 발생하였다. 목격자는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탄 50대 중반의 남성이 신문지에 불을 붙인 뒤 김치통에서 인화 물질을 꺼내 불을 질렀다고 증언하였다. 전동차 안에서 연기가 나면서 승객 100여 명이 철산역, 광명사거리역에서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일어났으며, 기관사가 긴급 소화작업을 벌였고 승객이 많지 않아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34] 경찰은 불을 지른 용의자인 강모 씨가 ‘생활고에 시달리다 자살을 결심하였고, 내 시체가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불을 질렀다’고 자백했다고 밝혔다. 이 사고로 3량이 전소되었고 65세 여성이 손에 1도 화상을 입었다.[34] 이 사건으로 부족해진 차량은 서울 지하철 8호선에 사용되던 차량 중 일부를 차출하여, 기존의 차량과 재조합하여 충당하였다. 이후 가산디지털단지역은 당시 승강장 내장으로 사용되었던 가연성 소재의 인공암벽을 철거하였다.

4. 4. 수락산역 - 도봉산역 탈선 사건 (2019년)

2019년 5월 5일 오후 7시 20분께 7호선 1차분 717편성수락산역에서 도봉산역으로 향하던 중 탈선되어 승객들이 대피하는 소동을 빚었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이날 수락산역에서 출발한 장암행 열차가 도봉산역 도착 전 탈선하였다.[1]

4. 5. 보라매역 - 신풍역 운행 중단 (2020년)

2020년 1월 22일 보라매역을 출발해 신풍역으로 가던 열차가 원인 불명의 고장으로 멈춰, 신풍역에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켰다.[36]

4. 6.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의 연계

7호선은 상봉역 인근에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 교차했으나, 환승역은 존재하지 않았다. 2003년 9월에 중앙선 상에 환승역을 설치하기로 결정되었고, 2010년 12월 21일 중앙선 상봉역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함께 개통되면서 환승이 가능해졌다.[35]

4. 7. 부천 및 인천 구간 연장 및 운영권 이원화

1990년대 초반부터 진행된 1기 신도시 개발 이후, 경기도 부천시 중동, 상동 신도시 입주민들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는 경인선 구간의 수요를 분산시키고자 7호선을 온수역부터 부평구청역까지 연장하는 공사가 2005년 3월 착공되었으며[37], 2012년 10월 27일에 개통되었다. 연장 구간의 총 연장은 10.2km이며, 부천시 구간에 6개, 인천광역시 구간에 3개로 총 9개 역이 있다. 부천시의 재정난으로 공사가 약간 지연된 적이 있다.

2013년 2월 부천시는 온수 ~ 부평구청 구간의 2012년 이용객 수는 하루 평균 8만 5629명이고, 2013년 2월 한 달간 총 이용객은 248만 5933명, 하루 평균 이용객은 8만 8784명으로 7호선 연장선의 이용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38] 2014년 10월 30일에는 부평구청역까지 연장된 7호선을 석남역까지 3.94km 연장하는 사업이 착공되었다. 이 사업은 지역 주민들의 청원에 따라, 2016년 7월 30일에 개통되어 현재 운행 중인 인천 도시철도 2호선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2개 정거장을 추가 신설한 사업이다. 2021년 5월 22일에 7호선 부평구청-석남 구간이 개통되었는데, 원적산터널을 관통하는 것이 특징이며, 7호선 부천 및 인천 구간의 운영권이 2022년부터 인천교통공사 소속으로 이원화된 배경으로 꼽힌다.

7호선 부천 및 인천 구간의 운영을 인천교통공사가 별도로 전담하게 된 것은, 2021년 5월 22일에 개통된 석남 연장 구간을 비롯한 청라국제도시 구간에 대한 건설 및 운영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인천 도시철도로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4. 8. 온수역 - 석남역 운행 중단 위기 (2023년)

2023년 2월 9일 경기도와 부천시,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간의 법적 분쟁으로 온수역 - 석남역 구간 운행이 중지될 위기에 처했다.[39] 그러나 서울교통공사와의 소송이 종결되고, 운영사 변경 시까지 인천교통공사가 한시적으로 운행을 맡기로 합의하면서 일단락되었다.

5. 연혁

6. 노선 연장

경기도 북부 지역의 택지 개발로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서울 지하철 7호선 연장이 추진되었다.[43] 2010년 7월 6일 안병용 의정부시장, 현삼식 양주시장, 서장원 포천시장 등은 7호선 북부 구간 연장과 조기 착공에 관한 공동 건의문에 서명하였다.[43] 그러나 2010년 10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낮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44]

이에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는 노선과 역 개수를 축소하는 수정안을 국토해양부에 다시 제출하였다.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쳐 2018년 1월 4일, 총 4개 역으로 구성된 도봉산~양주 광역철도가 확정되었고,[45] 2019년 12월 12일 착공하여[46] 2027년 개통될 예정이다.[46] 2019년 1월 29일에는 고읍역(가칭, 양주시 고읍동)에서 포천시까지 이어지는 2차 연장 구간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되어 사업 추진이 확정되었다.[47]

2019년 12월 12일 장암역 ~ 옥정역 구간이 착공되었고,[46] 2024년 12월에는 옥정 ~ 포천 구간이 착공될 예정이다. 2027년에는 도봉산역 ~ 옥정 구간이, 2029년 12월에는 옥정 ~ 포천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2022년 3월 23일에는 석남(거북시장)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역까지 연장하는 구간이 착공되었으며, 2029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51][52] 이 구간은 석남(거북시장)에서 청라국제도시역까지 10.7km에 9개의 역사가 신설될 예정이며,[50] 총사업비는 1.2조 규모이다. 역사 운영은 인천교통공사에서 관리할 예정이다.[51][52]

6. 1. 도봉산 ~ 옥정 ~ 포천 구간

경기도 북부 지역 택지지구 개발로 교통량 증가에 대비해 7호선 연장이 추진되었다.[43] 2010년 7월 6일 안병용 의정부시장, 현삼식 양주시장, 서장원 포천시장 등이 의정부시청에서 7호선 북부 구간 연장과 조기 착공에 관한 공동 건의문에 서명하였다.[43] 그러나 2010년 10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중간 결과, 경제성이 낮은 노선이라는 분석이 나왔다.[44]

이에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등은 노선 길이와 역 개수를 축소하는 수정안을 국토해양부에 다시 건의하였다. 계속된 수정 끝에, 총 4개 역으로 구성된 도봉산~양주 광역철도가 2018년 1월 4일 확정되었고,[45] 2019년 12월 12일 착공하여[46] 2027년 개통될 예정이다.[46]

한편, 고읍역(가칭, 양주시 고읍동)에서 포천시까지 이어지는 2차 연장 구간은 2019년 1월 29일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되어 추진이 확정되었다.[47] 의정부시에서는 이 노선이 민락동을 경유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무산되었다.[48]

이후 옥정중앙역(가칭)에서 포천역(가칭) 구간의 옥정포천선 연장도 논의되었으나, 서울 도시철도 연장 및 광역철도 추진 원칙에 따라 서울시는 서울 시외 구간에 대해 원칙적으로 직결 대신 평면 환승으로 추진 중이다.

2019년 12월 12일 장암역 ~ 옥정역 구간이 착공되었고,[46] 2024년 12월에는 옥정 ~ 포천 구간이 착공될 예정이다. 2027년에는 도봉산역 ~ 옥정 구간이, 2029년 12월에는 옥정 ~ 포천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당초 2022년 1월에 착공할 예정이었지만,[49] 2024년 2월 현재 공사를 하지 않는 일부 구간이 존재하여 개통 시기는 불투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7호선은 장암역 북쪽으로 양주와 포천까지 2단계로 연장될 예정이며, 2019년 말 착공하여 2025년 개통을 목표로 하는 1단계에는 2개의 역이 신설되며 그 중 하나는 탑석역으로 의정부 경전철 환승이 가능하다. 현재 계획 단계인 2단계에는 4개의 역이 추가 신설될 예정이며, 2단계는 셔틀 서비스로 운영될 수도 있다.[5]

2029년 12월 도봉산포천선 2단계 구간 (옥정포천선)인 옥정중앙역~포천역 구간 16.7km가 개통될 예정이다. 도봉산포천선은 7호선과 직결 운행을 예정하고 있으나, 수송력 관계상 옥정중앙역 이북 구간에는 직결되지 않고, 2020년에 설립된 경기도철도공사 소속 4량 편성 열차로 셔틀 운영될 예정이다.[10] 또한, 옥정중앙역에서 경원선 덕정역까지 연장 계획이 있다.[11]

6. 2. 석남 ~ 청라국제도시 구간

2022년 3월 23일 석남역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역까지 연장하는 구간이 착공되었으며, 2029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51][52] 이 구간은 석남(거북시장)에서 청라국제도시역까지 10.7km에 9개의 역사가 신설될 예정이며,[50] 총사업비는 1조 2000억원 규모이다. 역사 운영은 인천교통공사에서 관리할 예정이다.[51][52]

2021년 5월 22일 개통된 석남 연장 구간을 포함하여 청라국제도시 구간의 건설 및 운영에 대비하기 위해 7호선 부천 및 인천 구간은 인천 도시철도로 지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인천교통공사가 운영을 전담하게 되었다.

이 연장선은 공항철도(A'REX)와의 환승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7. 역 목록

(Seoul Nat'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孔陵(서울科學技術大)1.39.0717태릉입구Taereung泰陵入口6호선0.89.8718먹골Meokgol0.910.7중랑구719중화Junghwa中和0.911.6720상봉 (한국열린사이버대)Sangbong上鳳경춘선
중앙선1.012.6721면목(서일대입구)Myeonmok
(Seoil Univ.)面牧0.813.4722사가정(녹색병원)Sagajeong
(Green Hospital)四佳亭(綠色病院)0.914.3723용마산(용마폭포공원)Yongmasan
(Yongma Falls Park)龍馬山(龍馬瀑布公園)0.815.1724중곡Junggok中谷0.916.0광진구725군자(능동)Gunja(Neung-dong)君子(陵洞)5호선1.117.1726어린이대공원(세종대)Children's Grand Park
(Sejong Univ.)어린이大公園(世宗大)1.118.2727건대입구Konkuk Univ.建大入口2호선0.819.0728자양(뚝섬한강공원)Jayang
(Ttukseom Hangang Park)紫陽(뚝섬漢江公園)1.020.0729청담(제일정형외과병원)Cheongdam
(Cheil Orthopedic Hospital)淸潭2.022.0강남구730강남구청Gangnam-gu Office江南區廳수인분당선1.123.1731학동(나누리병원)Hak-dong
(Nanoori Hospital)鶴洞0.924.0732논현Nonhyeon論峴신분당선1.025.0733반포Banpo盤浦0.925.9서초구734고속터미널Express Bus Terminal高速터미널3호선
9호선0.926.8735내방(유중아트센터)Naebang
(uJung Art Center)內方2.229.0736이수(총신대입구)Isu(Chongsin Univ.)梨水(總神大入口)4호선1.030.0동작구737남성Namseong南城1.031.0738숭실대입구(살피재)Soongsil Univ.
(Salpijae)崇實大入口2.033.0739상도Sangdo上道0.933.9740장승배기Jangseungbaegi0.934.8741신대방삼거리Sindaebangsamgeori新大方삼거리1.236.0742보라매Boramae신림선0.836.8영등포구743신풍Sinpung新豊style="text-align: left;"|0.937.7744대림(구로구청)Daerim(Guro-gu Office)大林(九老區廳)2호선1.439.1745남구로Namguro南九老1.140.2구로구746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Gasan Digital Complex
(Mario Outlet)加山디지털團地1호선0.841.0금천구747철산Cheolsan鐵山1.442.4경기도광명시748광명사거리Gwangmyeongsageori光明사거리1.343.7749천왕Cheonwang天旺1.745.4서울특별시구로구750온수(성공회대입구)Onsu
(Sungkonghoe Univ.)溫水(聖公會大入口)1호선1.546.9751까치울Kkachiul2.249.1경기도부천시752부천종합운동장Bucheon Stadium富川綜合運動場서해선1.250.3753춘의Chunui春衣0.951.2754신중동Sinjung-dong新中洞1.052.2755부천시청(부천아트센터)Bucheon City Hall
(Bucheon Arts Center)富川市廳1.153.3756상동Sang-dong上洞0.954.2757삼산체육관
(한국만화박물관·웹툰융합센터)Samsan Gymnasium
(Korea Manhwa Museum)三山體育館1.155.3인천광역시부평구758굴포천Gulpocheon掘浦川0.956.2759부평구청(세림병원)Bupyeong-gu Office
(Serim General Hospital)富平區廳(世林病院)인천 1호선0.957.1760산곡Sangok山谷1.658.7761석남(거북시장)Seongnam(Geobuk Market)石南(거북市場)인천 2호선2.361.0서구



{| class="wikitable"

|-

! 역 번호

! 역 이름

! 역 이름

! 역 이름

! 환승

! 거리

! 총 거리

! colspan="2" | 위치

|-

| bgcolor="lightgrey"| ''''

| bgcolor="lightgrey"| ''Pocheon (2028)''

| bgcolor="lightgrey"| 포천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ay"|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ey"|

|-

| bgcolor="lightgrey"| ''''

| bgcolor="lightgrey"| ''Daejin Univ. (2028)''

| bgcolor="lightgrey"| 대진대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ay"|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ey"|

|-

| bgcolor="lightgrey"| ''''

| bgcolor="lightgrey"| ''Soheul (2028)''

| bgcolor="lightgrey"| 소흘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ay"|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ey"|

|-

| bgcolor="lightgrey"| ''''

| bgcolor="lightgrey"| ''Okjeong Jungang (2028)''

| bgcolor="lightgrey"| 옥정중앙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ay"|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ey"|

|-

| bgcolor="lightgrey"| ''''

| bgcolor="lightgrey"| ''Goeup (2025)''

| bgcolor="lightgrey"| 고읍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ay"|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ey"|

|-

| bgcolor="lightgrey"| ''''

| bgcolor="lightgrey"| ''Tapseok (2025)''

| bgcolor="lightgrey"| 탑석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ey"| 의정부경전철

| bgcolor="lightgrey"|

| bgcolor="lightgrey"|

|-

|

| Jangam

| 장암한국어 ||

|

|

|

|

|

|-

|

| Dobongsan

| 도봉산한국어 ||

| 서울 지하철 1호선

|

|

| rowspan="37" |

|

|-

|

| Suraksan

| 수락산한국어 ||

|

|

|

| rowspan="7" |

|-

|

| Madeul

| 마들한국어 || —

|

|

|

|-

|

| Nowon

| 노원한국어 ||

| 서울 지하철 4호선

|

|

|-

|

| Junggye
(한국성서대학교)

| 중계
(한국성서대)한국어 ||

|

|

|

|-

|

| Hagye
(을지대학교 서울병원)

| 하계
(을지대 을지병원)한국어 ||

|

|

|

|-

|

| Gongneun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공릉
(서울과학기술대)한국어 ||

|

|

|

|-

|

| Taereung

| 태릉입구한국어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

|

| Meokgol

| 먹골한국어 || —

|

|

|

| rowspan="6" |

|-

|

| Junghwa

| 중화한국어 ||

|

|

|

|-

|

| Sangbong
(시외버스터미널)

| 상봉
(시외버스터미널)한국어 ||

| 경춘선 중앙선

|

|

|-

|

| Myeonmok
(서일대학교)

| 면목
(서일대입구)한국어 ||

|

|

|

|-

|

| Sagajeong
(녹색병원)

| 사가정한국어
(녹색병원) ||

|

|

|

|-

|

| Yongmasan
(용마폭포공원)

| 용마산한국어
(용마폭포공원)||

|

|

|

|-

|

| Junggok

| 중곡한국어 ||

|

|

|

| rowspan="5" |

|-

|

| Gunja
(능동)

| 군자
(능동)한국어 ||

| 서울 지하철 5호선

|

|

|-

|

| Children's Grand Park
(세종대학교)

| 어린이대공원
(세종대)한국어 || 어린이

|

|

|

|-

|

| Konkuk Univ.

| 건대입구한국어 ||

| 서울 지하철 2호선

|

|

|-

|

| Jayang
(뚝섬한강공원)

| 자양
(뚝섬한강공원한국어 ||

|

|

|

|-

|

| Cheongdam
(제일정형외과병원)

| 청담
(제일정형외과병원)한국어 ||

|

|

|

| rowspan="4" |

|-

|

| Gangnam-gu Office

| 강남구청한국어 ||

| 수인분당선

|

|

|-

|

| Hak-dong
(나누리병원)

| 학동
(나누리병원)한국어 ||

|

|

|

|-

|

| Nonhyeon
(강남브랜드안과)

| 논현
(강남브랜드안과)한국어 ||

| 서울 지하철 신분당선

|

|

|-

|

| Banpo

| 반포한국어 ||

|

|

|

| rowspan="3" |

|-

|

| Express Bus Terminal

| 고속터미널한국어 || 터미널

|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

|

|-

|

| Naebang
(유정아트센터)

| 내방
(유정아트센터)한국어 ||

|

|

|

|-

|

| Isu
(총신대학교)

| 이수
(총신대입구)한국어 ||

| 서울 지하철 4호선 총신대입구(이수)역

|

|

| rowspan="6" |

|-

|

| Namseong

| 남성한국어 ||

|

|

|

|-

|

| Soongsil University
(살피재)

| 숭실대입구
(살피재)한국어||

|

|

| {{center|33

8. 이용객 변동



구분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승차379,779494,695538,815561,716569,203580,129584,310586,622594,605597,680[54]
하차367,202474,128517,082540,988543,353562,401565,224568,511578,046582,540
승하차746,980968,8231,055,8971,102,7041,112,5571,142,5291,149,5351,155,1331,172,6511,180,220
구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승차621,672643,539658,789726,596740,387732,528722,768709,145710,023717,784
하차607,916629,371645,634709,726723,878716,732707,896696,626698,646706,260
승하차1,229,5881,272,9111,304,4231,436,3221,464,2651,449,2601,430,6641,405,7711,408,6691,424,044
구분2020년
승차550,274
하차541,950
승하차1.092,224



7호선은 개통 이후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해왔다. 특히 2012년 부천시를 지나 인천광역시 부평구청역까지 연장되면서 인천 동부 지역에서 강남구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어 이용객이 더욱 늘어났다.[54]

참조

[1] 웹사이트 서울시 지하철수송 통계 http://data.seoul.go[...] 2021-05-21
[2] 뉴스 Seoul Subway Trains Fitted with CCTVs http://english.chosu[...] 2012-07-29
[3] 웹사이트 [수도권]지하철7호선 연장구간 착공 https://www.donga.co[...] 2005-03-04
[4] 웹사이트 사업소개 http://www.incheon.g[...] 도시철도건설본부
[5] 웹사이트 경기도, '예타면제 7호선 포천연장' 규모 축소…포천시민 뿔났다 https://m.edaily.co.[...] 2020-12-09
[6] 웹사이트 Operation Overview https://www.ictr.or.[...] 2024-08-07
[7] 웹사이트 Line 7 Timetable http://www.seoulmetr[...]
[8] 웹사이트 https://www.yna.co.k[...]
[9] 웹사이트 인천교통공사, 7호선 인천·부천 연장구간 운영권 조정 협약 체결 https://www.ictr.or.[...] 2021-03-31
[10] 웹사이트 7호선 경기북부 연장사업 ‘난항’…포천 공청회 무산 https://www.donga.co[...] 2024-06-28
[11] 웹사이트 경기도, 35년까지 42개 철도노선에 40조 투입…반도체노선 신설 등 https://www.asiae.co[...] 2024-06-28
[12] 뉴스 서울지하철 7호선, 범람한 중랑천 물에 침수돼 전면중단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8-05-02
[13] 뉴스 서울지하철 복구작업 난항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8-05-02
[14] 뉴스 기습폭우로 인한 지하철 피해 천억원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8-05-02
[15] 뉴스 지하철 침수사고, 뻥뚫린 제방관리가 원인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8-05-02
[16] 뉴스 '지하철 7호선 침수사고' 전쟁터 방불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8-05-03
[17] 뉴스 '지하철 7호선 침수사고' 양수기 동원 철야 작업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8-05-03
[18] 뉴스 '지하철 7호선 침수사고' 정상운행 한달 이상 걸릴 듯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8-05-03
[19] 뉴스 임시운행 안전한가?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8-05-09
[20] 뉴스 지하철 7호선 내일부터 임시운행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8-05-10
[21] 뉴스 지하철 7호선 임시운행, 불편.불안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8-05-11
[22] 뉴스 폭우로 중랑천이 넘쳐 지하철 7호선 8개 역 침수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8-05-02
[23] 뉴스 침수된 지하철 7호선 태릉입구역 복구 오래 갈듯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8-05-02
[24] 뉴스 비 70mm에 서울 주택가 공사현장 지하철 등 침수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8-05-02
[25] 뉴스 침수된 지하철 7호선 복구작업 지연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8-05-03
[26] 뉴스 침수된 지하철 7호선 완전 복구에 한달 이상 소요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8-05-03
[27] 뉴스 아직 침수된 지하철 7호선, 서울시는 운행 강행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8-05-07
[28] 뉴스 지하철 7호선 시운전 결과 문제점이 발견돼 임시운행 연기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8-05-10
[29] 뉴스 개통 된 7호선에 많은 승객들 몰려, 아직은 복구 할 곳 많아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8-05-11
[30] 뉴스 '수도권 수해 피해' 7호선 또 잠겨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8-08-06
[31] 뉴스인용 (서울)7호선 4일부터 정상운행 세계일보 2009-02-22
[32] 뉴스 물바다 지하철역 http://news.kbs.co.k[...] KBS 뉴스 9 2001-07-15
[33] 뉴스 고속터미널역 등 지하철 7호선 전철역 물바다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2001-07-15
[34] 뉴스인용 7호선 지하철 화재 "제보에 가장 의존할 수 밖에 없다"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05-01-05
[35] 뉴스인용 [서울] 7호선 상봉역에서 중앙선 갈아탄다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3-09-18
[36] 뉴스 지하철 7호선 열차 고장…보라매-부평구청 93분간 운행중단 https://www.yna.co.k[...] 연합뉴스
[37] 뉴스인용 [수도권]지하철7호선 연장구간 착공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5-03-04
[38] 뉴스인용 서울지하철7호선 부천연장선 이용객 꾸준히 증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3-18
[39] 뉴스 7호선 온수∼석남 운행 중단되나?...부천시·서울교통공사 '법적 공방' https://biz.sbs.co.k[...] SBS 비즈
[40]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08-317호 http://event.seoul.g[...] 2008-09-18
[41]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10-360호 http://event.seoul.g[...] 2010-10-21
[42]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19-430호 http://event.seoul.g[...] 2019-12-26
[43] 뉴스인용 지하철 7호선 경기북부 연장.조기 착공 '건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7-06
[44] 뉴스인용 지하철 7호선 연장에 목타는 경기 중북부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0-09-23
[45]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936호 http://gwanbo.mois.g[...] 2018-01-04
[46] 뉴스인용 지하철 7호선 경기북부 연장 18년 만에 '첫 삽'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7-13
[47] 뉴스인용 7호선 서울 도봉산역-포천 구간 2026년 개통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19-01-29
[48] 뉴스 지하철 7호선, 의정부시 민락역 신설 및 노선변경 사실상 좌초 http://www.newstown.[...]
[49] 뉴스 지하철 7호선 연장 ‘옥정∼포천 광역철도사업’, 내년 초 설계 착수 본격화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50] 인용 서울도시철도 7호선 타고 인천 청라국제도시까지 바로 간다. https://www.molit.go[...] 2022-03-24
[51] 뉴스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내년 2월 착공·2027년 개통 https://n.news.naver[...]
[52] 뉴스 “7호선 석남 연장 3월 개통 준비 안전운행·서비스 품질향상 최선” https://news.naver.c[...]
[53] 뉴스인용 7호선 청라 연장선 일부 구간 공사 중단 장기화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5-29
[54]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55]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