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네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네카족은 "위대한 언덕 사람들"을 의미하는 'O-non-dowa-gah' 또는 'Onödowá’ga'라는 이름으로 스스로를 지칭하는, 이로쿼이 연맹의 일원인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이다. 세네카라는 이름은 이들의 마을 이름에서 유래되었거나 비하하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뉴욕주를 중심으로 펜실베이니아주, 오하이오주 등지에 거주했다. 이들은 미국 독립 전쟁에서 영국 편에 섰으며, 이후 미국과의 갈등과 협상을 거쳐 현재 뉴욕주에 세네카 인디언 부족, 토나완다 세네카 인디언 밴드, 오클라호마 세네카-카유가 부족 등으로 존재하며, 캐나다에도 세네카족이 거주한다. 주요 분쟁으로는 킨주아 댐 건설로 인한 이주, 토지 임대 분쟁, 카지노 사업, 세금 분쟁 등이 있으며, 다각화된 경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펜실베이니아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쇼니족
쇼니족은 오하이오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했던 알곤킨 어족의 북미 원주민 부족으로, 여러 전쟁을 거치며 흩어졌으나 현재는 오클라호마를 중심으로 세 개의 부족이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레나페족
레나페족은 "진정한 사람"을 의미하는 알곤킨 어족의 북미 원주민 부족으로, 과거 미국 동부 지역에 거주하며 느슨한 연합체를 이루었으나, 유럽 식민화 과정에서 서쪽으로 이주하여 현재는 미국과 캐나다에 흩어져 살며 모계 사회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 뉴욕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레나페족
레나페족은 "진정한 사람"을 의미하는 알곤킨 어족의 북미 원주민 부족으로, 과거 미국 동부 지역에 거주하며 느슨한 연합체를 이루었으나, 유럽 식민화 과정에서 서쪽으로 이주하여 현재는 미국과 캐나다에 흩어져 살며 모계 사회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 뉴욕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오논다가족
오논다가족은 호데노쇼니 연맹의 일원이며, 뉴욕주에 보호구역을 두고 모계 사회를 이루며 늑대, 거북이 등 9개의 씨족으로 구성되어 전통과 관습을 중시하고, 조상 땅에 대한 권리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 세네카족 | |
|---|---|
| 기본 정보 | |
| 언어 | 세네카어 영어 |
| 종교 | 롱하우스 종교 기독교 교파 |
| 관련 민족 | 온다나가족 오네이다족 투스카로라족 모호크족 카유가족 기타 이로쿼이족 |
| 로마자 표기 | Seneca |
| 다른 이름 | O-non-dowa-gah / Onöndowa'ga: (위대한 언덕의 사람들) |
| 인구 | |
| 총 인구 | 11,000명 |
| 거주 지역 | |
| 국가 | |
| 미국 | |
| 뉴욕 | 캐터로거스 보호구역 토너완다 보호구역 알레가니 보호구역 |
| 캐나다 온타리오 | 식스 네이션스 영토 |
| 기타 영토 | 나이아가라 폭포 영토 (온타리오) 버펄로 크리크 영토 세네카-카유가 영토 세네카 원주민 영토 토디악톤 영토 |
| 캐터로거스 보호구역 인구 | 2,412명 (2000년 인구 조사) |
| 토너완다 보호구역 인구 | 543명 |
| 식스 네이션스 영토 인구 | 1,055명 |
| 알레가니 보호구역 인구 | 1,099명 |
| 이미지 | |
![]() | |
2. 이름의 기원
세네카족이라는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이들의 마을 이름인 'Osininka'(오시니카)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함께, 비하적인 의미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존재한다.[5][6] 세네카족 스스로는 "위대한 언덕 사람들"이라는 뜻의 ''Onödowá’ga''라고 부르며, 외부에서 통용되는 '세네카'라는 명칭은 다른 과정을 통해 정착되었다.[7][8][9]
2. 1. 어원
세네카족 스스로를 부르는 이름은 ''O-non-dowa-gah'' 또는 ''Onödowá’ga''이며, 이는 "위대한 언덕 사람들"이라는 뜻이다.[5][6] '세네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이들의 마을 이름인 'Osininka'(오시니카)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비하하는 의미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존재한다.현재 널리 쓰이는 이칭인 ''Seneca''(세네카)는 원래 오네이다족을 가리키던 모히건족의 이로쿼이어족 명칭을 네덜란드어로 발음한 것을 영어화한 형태이다.[7] 네덜란드인들은 처음에 ''Sennecaas''라는 이름을 오네이다족, 오논다가족, 카유가족, 세네카족 등 서쪽에 위치한 네 부족을 통칭하는 데 사용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교류가 늘어나자 이 이름은 점차 세네카족만을 지칭하게 되었다. 프랑스인들은 세네카족을 ''Sonontouans''라고 불렀다.[7] 네덜란드식 이름은 ''Sinnikins''[8] 또는 ''Sinnekars''[9]로 표기되기도 했으며, 이것이 나중에 ''Senecas''로 변형되었다.[9]
2. 2. 부족 명칭
세네카족 스스로를 부르는 이름은 O-non-dowa-gah 또는 Onödowá’ga이며, 이는 "위대한 언덕 사람들"이라는 뜻이다.[5][6] 다른 이름인 Seneca(세네카)는 원래 오네이다족을 가리키던 모히건족의 이로쿼이 어족 민족 명칭을 네덜란드어로 발음한 것을 영어화한 것이다.[7] 네덜란드인들은 초기에 ''Sennecaas''라는 이름을 오네이다족, 오논다가족, 카유가족, 세네카족 등 서쪽의 네 부족에게 넓게 사용했지만, 교류가 늘면서 점차 세네카족만을 지칭하게 되었다.[7] 네덜란드식 이름은 ''Sinnikins''[8] 또는 ''Sinnekars''[9]로 표기되기도 했으며, 이것이 나중에 Senecas로 변형되었다. 프랑스인들은 세네카족을 ''Sonontouans''라고 불렀다.[7]3. 역사
세네카족의 구전 역사에 따르면 부족의 기원은 캐난다이구아 호수 남쪽 끝 근처 사우스 힐의 '눈다와오'(Nundawao)라는 마을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10] 일식 기록에 대한 구전 전통 연대 측정 결과, 세네카족이 이로쿼이 연맹(하우데노소니)에 합류한 시기는 서기 1142년경으로 추정된다.[14][15]
역사적으로 세네카족은 현재의 뉴욕주, 제네시 강과 캐난다이구아 호수 사이에 주로 거주했다. 17세기에 이르러 이들은 이웃 부족인 웬로흐로논과 이리족을 정복하며 펜실베이니아주 북서부의 앨러게니 강 유역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당시 세네카족의 인구는 약 4천 명으로, 하우데노소니 연맹 내에서 가장 규모가 컸다.[16] 이들의 마을은 뉴욕주 중서부의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했으며,[17] 농경과 함께 광범위한 사냥 및 군사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세네카족은 크게 서부와 동부 두 지파로 나뉘어 활동했다. 서부 세네카족은 제네시 강 유역을 중심으로 서쪽과 남쪽으로 이동하며 펜실베이니아까지 진출했고, 동부 세네카족은 세네카 호수 남쪽을 기반으로 남동쪽으로 세력을 넓혔다.[18] 이들은 와이앤도트족(휴런족), 서스쿼해노크족, 모히칸족, 레나페족 등 주변의 여러 부족과 경쟁하거나 때로는 충돌하며 관계를 맺었다.[19][20][21]
전통적인 세네카족 사회는 농업, 사냥, 채집, 낚시에 기반한 경제 활동을 영위했다. 특히 옥수수, 콩, 호박을 함께 심는 "세 자매" 농법이 중요했다. 여성은 농사와 채집, 가사를 주로 담당했고 토지와 가옥 소유권을 가졌으며, 남성은 마을 개간, 사냥, 낚시, 전쟁을 책임졌다.[23][24] 세네카족 남성은 하우데노소니 연맹 내에서 전쟁 지도자(사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마을 단위로 생활하며 주기적으로 거주지를 옮겼고, 19세기 이후에는 미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통나무집 건축이나 기독교 수용 등 생활 방식에 변화를 겪기도 했다.
3. 1. 부족의 기원과 초기 역사
세네카족의 구전 역사에 따르면, 부족은 캐난다이구아 호수 남쪽 끝 근처 사우스 힐에 있는 '눈다와오'(Nundawao)라는 마을에서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10] 사우스 힐 근처에는 세네카족에게 Genundowa|제눈도와see로 알려진 약 약 263.65m 높이의 베어 힐이 있다.[11] 베어 힐은 1989년부터 주 정부가 매입하기 시작한 베어 힐 유니크 지역의 일부이며,[12] 세네카족 또는 그 조상들의 요새가 있던 곳으로 여겨진다.이 요새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825년 투스카로라족 역사가 데이비드 커식이 남긴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13] 1873년 S. C. 클리블랜드는 그의 저서 '예이츠 카운티의 역사'에서 베어 힐 요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약 1에이커를 덮고 있으며 해자와 한때 강력한 벽으로 둘러싸여 있던 고대 요새의 흔적이 여전히 베어 힐 꼭대기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인디언의 손으로 세운 방어 시설을 나타내거나, 더 정확히는 인디언 점령 이전에 살았던 종족의 노동의 산물이다. 벽은 현재 무너져내렸고, 돌들은 다소 흩어져 있으며, 땅에는 덤불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다.
안타깝게도 1920년대 초, 베어 힐 요새를 이루던 재료는 뉴욕주 미들섹스 타운의 도로 공사 자재로 사용되었다.[13]
세네카족은 역사적으로 현재의 뉴욕주, 제네시 강과 캐난다이구아 호수 사이에 거주했다. 일식 기록에 대한 구전 전통 연대 측정 결과, 세네카족이 이로쿼이 연맹(하우데노소니)에 합류한 시기는 서기 1142년경으로 추정된다.[14][15] 최근의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17세기에 이로쿼이족이 이 지역 원주민이었던 웬로흐로논족과 이리족을 정복한 후, 세네카족의 영토는 현재 펜실베이니아주 북서부의 앨러게니 강까지 확장되었다. 세네카족은 하우데노소니 부족 중 가장 인구가 많았으며, 17세기에는 약 4천 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6]
세네카족의 마을은 동쪽으로는 현재 뉴욕주 스카일러 카운티 (예: 캐서린스타운, 캐나다세이가), 남쪽으로는 현재 티오가 카운티와 체멍 카운티, 북쪽과 동쪽으로는 톰킨스 카운티와 카유가 카운티, 서쪽으로는 제네시 강 계곡까지 넓게 분포했다. 이 마을들은 세네카족의 고향이자 활동 중심지였다. 세네카족은 마을 근처에 영구적인 정착지를 유지하며 농작물을 재배하는 동시에, 광대한 지역에서 사냥 활동을 벌였다. 또한 활발한 군사 작전을 수행했으며, 이러한 활동들은 모두 주요 마을을 중심으로 계획되고 실행되었다. 이는 세네카족이 해당 지역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보여준다.[17]
주요 세네카족 마을은 나무 울타리로 보호되었다. 가논다간 주립 사적지는 17세기에 가장 큰 세네카족 마을로, 약 150개의 롱하우스가 있었다. 18세기의 주요 마을이었던 리틀 비어드 타운에는 약 130개의 롱하우스가 있었다.
세네카족은 크게 서부와 동부 두 지파로 나뉘었다. 각 지파는 이로쿼이 연맹 평의회에서 개별적으로 인정받고 대표되었다. 서부 세네카족은 주로 제네시 강 주변에 거주했으며, 서쪽과 남서쪽으로 이리 호수와 나이아가라 강을 따라 이동한 후, 남쪽으로 앨러게니 강을 따라 펜실베이니아까지 진출했다. 동부 세네카족은 주로 세네카 호수 남쪽에 거주했으며, 남쪽과 동쪽으로 펜실베이니아와 서부 캣스킬 산맥 지역으로 이동했다.[18]
세네카족의 영토는 주변 부족들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었다. 서부와 북부에서는 강력한 이로쿼이계 부족인 와이앤도트족(휴런족)의 끊임없는 공격을 받았다.[19] 남쪽에서는 역시 이로쿼이어족에 속하는 서스쿼해노크족(코네스토가족)이 지속적인 위협이 되었다. 동쪽과 북동쪽에서는 알곤킨족 계열인 모히칸족이 허드슨 강으로의 접근을 막았다. 남동쪽에서는 레나페족(델라웨어족, 미니싱크족, 에소푸스족) 등 알곤킨계 부족들이 동부 펜실베이니아, 뉴저지, 로어 허드슨 지역에서 위협을 가했다.[20][21]
세네카족은 제네시 강과 앨러게니 강, 그리고 '위대한 인디언 전쟁 및 교역로'(세네카 트레일)를 이용하여 온타리오 호수 남부에서 펜실베이니아와 오하이오 지역으로 이동했다. 동부 세네카족은 체멍 강, 서스쿼해나 강, 티오가 강 및 델라웨어 강이 티오가 근처에서 합류하는 지점 바로 북쪽에 영토를 가졌다. 이 강들은 동부 및 서부 펜실베이니아 전역뿐만 아니라 델라웨어 워터 갭과 서부 캣스킬 산맥 지역으로 동쪽과 북동쪽으로 깊숙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했다. 세네카족 남녀는 다른 하우데노소니족과 마찬가지로 말린 옥수수 껍질로 만든 모자를 썼으며, 세네카족은 모자에 깃털 하나를 똑바로 세워 꽂는 것으로 구별되었다.[22]
전통적으로 세네카족의 경제는 사냥, 채집, 낚시와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옥수수, 콩, 호박을 재배하는 농업에 기반을 두었다. 이 세 가지 작물은 하우데노소니족의 주식으로 "세 자매"(työhe'hköh)라고 불렸다. 세네카족 여성들은 주로 '세 자매' 작물을 재배하고 수확했으며, 약초, 뿌리, 열매, 견과류 등을 채집하고 가공하는 역할도 담당했다. 또한 모든 토지와 가옥에 대한 소유권을 가졌으며, 개나 칠면조 같은 가축을 돌보기도 했다.
세네카족 남성들은 주로 마을 부지를 선정하고 개발하는 일을 맡았으며, 여기에는 밭을 만들기 위해 숲을 개간하는 작업도 포함되었다. 남성들은 또한 사냥과 낚시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이 활동을 위해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잘 알려진 사냥터나 낚시터로 장기간 떠나기도 했다. 이러한 사냥터와 낚시터는 단순히 '야생' 상태로 방치된 것이 아니라, 야생 동물의 번성을 위해 관리되고 가꾸어졌다.[23][24] 세네카족 남성들은 하우데노소니 연맹 내에서 전통적인 전쟁 사켐(추장)의 칭호를 유지했으며, 전사들을 모아 전투를 이끄는 역할을 맡았다.
세네카족은 마을 단위로 거주했으며, 고고학적 발굴 결과 일부 마을은 전쟁에 대비해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마을들은 토양의 비옥도 감소, 사냥감 고갈 등의 이유로 보통 10년에서 20년 주기로 이동했다. 19세기 동안 많은 세네카족은 인근 미국 이웃의 관습을 채택하여 통나무집을 짓고, 기독교를 실천하며 지역 농업 경제에 참여했다.
3. 2. 이로쿼이 연맹 가입

세네카족은 미국 독립 혁명 이전 시기에 번성한 사회를 이루었다. 이들은 이로쿼이 연맹의 일원이었는데, 이 연맹은 원래 전쟁 중심의 이로쿼이 부족들 간의 싸움을 끝내고 평화롭게 공존하기 위해 결성되었다.[45] 연맹에는 세네카족 외에도 카유가, 오논다가, 오네이다, 모호크 부족이 속해 있었고, 나중에 투스카로라 부족도 합류했다.[45] 부족 간의 평화에도 불구하고, 이로쿼이 부족들은 모두 뛰어난 전사로 알려져 있었으며, 애팔래치아 산맥을 따라 광대한 영역을 함께 다스렸다.[46] 이들은 내부적으로는 평화를 유지했지만, 외부 세력, 특히 유럽에서 온 방문객들에 대한 습격은 계속했다.[45]
이로쿼이 연맹은 유럽인, 특히 영국과 교류하며 관계를 맺었다. 1677년, 영국은 이로쿼이 연맹과 "코버넌트 체인"이라는 동맹을 맺었다.[47] 이 동맹은 1768년 윌리엄 존슨 경이 서명한 포트 스탠윅스 조약으로 갱신되었다. 이 조약은 영국이 이로쿼이족의 이익을 고려한다는 인상을 주어 영국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이끌어냈다. 반면, 미국인들은 이 조약을 무시하는 경향을 보여 세네카족을 비롯한 이로쿼이족의 반감을 샀다.[48] 특히 미국인들이 오하이오 영토로 진입하는 것에 대해 이로쿼이족은 크게 분노했다.[49] 그럼에도 미국인들은 이로쿼이족의 전투 능력을 인정하여 영국과의 분쟁에서 그들을 배제하려고 시도했다.[50]
미국 독립 혁명이 발발하자, 미국인들은 이 분쟁을 자신들과 영국 간의 문제로 국한시키려 했다. 1775년 8월, 올버니에서 회의가 열렸고, 이로쿼이 연맹은 8월 25일부터 31일까지 혁명에 대한 입장을 논의했다.[49] 이 회의에는 필립 스카일러, 올리버 울코트, 터버트 프랜시스, 볼커트 다우, 새뮤얼 커클랜드, 제임스 딘 등 미국의 주요 인물들도 참석했다.[49] 이로쿼이족 대표들도 모든 부족에서 왔지만, 모호크, 오네이다, 투스카로라족의 참여가 두드러졌다.[49] 논의 끝에 이로쿼이 연맹은 중립을 지키기로 결정했다.[50] 모호크족 추장 리틀 아브라함은 "6개 국가의 결정은 어떤 역할도 하지 않고, 가족 문제이므로 가만히 앉아서 싸우는 것을 지켜보는 것"이라고 선언했다.[50] 이들은 식민지 주민들과 영국 사이의 "가족 싸움"에 휘말리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50]
그러나 이러한 중립은 오래가지 못했다. 미국인들의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적대적인 수사는 이로쿼이족을 영국 편으로 기울게 만들었다.[51] 미국인들은 이로쿼이족을 포함한 원주민들을 "야만인"이나 열등한 존재로 취급하는 인종차별적 메시지를 퍼뜨렸다. 이러한 태도는 미국 독립 선언서에도 나타나는데, 선언서는 원주민을 "자비 없는 인디언 야만인, 그들의 알려진 전쟁 규칙은 모든 연령, 성별 및 상태에 대한 무차별적인 파괴"라고 묘사했다.[51] 이러한 끔찍한 수사에 반발하여 많은 모호크, 카유가, 오논다가, 세네카족이 영국 측에 합류할 준비를 했다.[51] 반면, 오네이다족과 투스카로라족 다수는 미국 선교사 새뮤얼 커클랜드의 설득에 영향을 받았다. 혁명이 진행되면서 이로쿼이 국가는 분열되기 시작했고, 결국 6개 부족을 통합하던 연맹의 회의는 중단되어 사실상 이로쿼이 연맹은 종식되었다.[52] 이로쿼이족은 역사상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에 정치적 통일성을 잃고, 전쟁 중인 두 세력 사이에서 각자의 선택에 따라 편을 갈랐다.
영국 역시 이로쿼이족을 자신들의 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영국은 이로쿼이족에게 호화로운 선물을 제공하며 환심을 사려 했는데, 세네카 부족민인 메리 제미슨과 거버너 블랙스네이크는 당시 영국이 제공한 선물들의 화려함에 대해 증언했다.[52][53] 거버너 블랙스네이크는 영국으로부터 받은 사치스러운 대우를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영국 장교들이 인디언들에게 음식과 럼주를 풍족하게 제공했으며, 원하는 만큼 마시고 물건도 자유롭게 가져가도록 허락했다고 기록했다.[54] 이러한 영국의 관대함은 많은 이로쿼이족이 영국에 충성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55] 영국 편에 설 것인지를 두고 이로쿼이 내부에서는 논쟁이 벌어졌다. 거버너 블랙스네이크의 삼촌인 콘플랜터는 중립 유지를 주장했지만, 조셉 브랜트는 이를 겁쟁이의 태도라며 비판했다.[56] 영국은 이러한 내부 분열을 이용하여 럼주, 종, 타조 깃털, 언약 벨트 등을 선물하며 지지를 유도했다.[57] 미국인들도 투스카로라족과 오네이다족에게 비슷한 방식으로 접근했다.[57] 결국, 모호크, 오논다가, 카유가, 세네카족은 영국 편에 섰고, 투스카로라족과 오네이다족은 미국 편에 서게 되었다.[58] 이로써 한때 단결했던 이로쿼이 연맹은 완전히 분열되었고, 1777년부터는 서로 다른 편에서 싸우게 되는 비극을 맞이했다.
3. 3. 유럽인과의 접촉과 갈등

식민지 시대에 세네카족은 처음에는 네덜란드인, 이후에는 영국인과 모피 무역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는 전통적인 경쟁 부족, 특히 뉴 프랑스 근처에 살던 이로쿼이어족 계열의 휴런족(와이앤도트)과의 적대감을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
1609년, 프랑스는 휴런족과 동맹을 맺고 이로쿼이족을 공격하려 했다. 이로 인해 시작된 이로쿼이-휴런 전쟁은 약 1650년까지 이어졌다. 세네카족이 주도한 이로쿼이 연맹은 가장 강력한 적이었던 휴런족을 물리친 후, 약 35년간 주변 부족들을 차례로 정복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연맹은 1635년 천연두 유행으로 잃은 인구를 보충하기 위해 '애도 전쟁'을 벌여 포로를 잡았다. 특히 젊은 여성과 아이들을 부족에 편입시켜 인구를 유지하려 했다. 1648년 겨울, 세네카족이 이끄는 연맹은 캐나다 깊숙이 진격하여 휴로니아의 수도를 포위했고, 이미 천연두 유행과 전쟁으로 약화된 휴런족은 결국 항복하여 세네카족의 보호 아래 들어갔다. 세네카족은 휴런족 생존자들을 자신들의 고향으로 이주시켜 동화시켰다.
이후 세네카족은 1650년 서쪽의 뉴트럴족, 1653년 남서쪽의 이리족을 차례로 공격하여 복속시켰다. 이들 부족의 생존자들 역시 세네카족 고향으로 이주하여 동화되었다. 세네카족은 이렇게 정복한 부족들의 영토를 차지하며 뉴욕 서부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1675년에는 남쪽과 동남쪽의 안다스테 (서스쿼해녹)족마저 격파했다. 이로써 이로쿼이 연맹의 지배력은 캐나다에서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깊숙한 곳, 동쪽으로는 모호크 계곡을 따라 로어 허드슨까지 확장되었다. 그들은 허드슨 강 유역의 알곤킨어 사용 부족인 모히칸(마히칸)과는 평화를 추구했다. 연맹 내에서 세네카족의 영향력은 캐나다에서 미래의 피츠버그 지역, 동쪽으로는 미래의 라카와나, 그리고 뉴욕/뉴저지 경계의 미니싱크 땅까지 미쳤다.
세네카족은 백인 정착민들의 영토 침입을 막으려 했으며, 이는 북쪽과 서쪽의 프랑스, 남쪽과 동쪽의 영국 및 네덜란드와의 긴장과 갈등을 고조시켰다. 연맹은 정복한 부족들을 완충 지대 삼아 유럽 정착민과 자신들 사이에 재정착시켰는데, 특히 로어 서스쿼해나 지역에 많은 인구를 이주시켰다.
1685년,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는 마르키 드 드농빌을 뉴 프랑스 총독으로 임명했다. 드농빌은 세네카족을 파괴할 목적으로 1687년, 당시 "북미에서 본 적 없는 가장 큰 군대"를 이끌고 아이언디쿼이트 만에 상륙했다. 그는 세네카족의 중심지를 직접 공격하여 가논다간을 포함한 여러 마을을 파괴했다. 세네카족은 공격을 피해 흩어졌지만, 고향 땅이 큰 피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력 자체는 크게 약화되지 않았다. 이 사건을 계기로 연맹과 세네카족은 동쪽의 영국과 더욱 긴밀한 동맹 관계를 맺게 되었다.
세네카족은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에 걸쳐 주변의 다른 원주민 부족들에게도 영향력을 확대했다. 레나페족(델라웨어, 미니싱크, 에소푸스 부족 포함)은 원래 허드슨강 중부에서 델라웨어 워터 갭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살고 있었으나, 서쪽의 서스쿼해녹족과 동쪽의 네덜란드 정착민들 사이에 끼어 있었다. 서스쿼해녹족은 네덜란드와의 모피 거래를 위해 델라웨어족 영토를 통과하려 했고, 이는 1634년 두 부족 간의 전쟁으로 이어져 결국 1638년 델라웨어족이 서스쿼해녹족에게 종속되는 결과를 낳았다. 북쪽에서 세력을 키운 세네카족은 케멍강과 서스쿼해나강을 따라 남하하며 타이오가를 거점으로 문시족(델라웨어족의 일파) 영토 깊숙이 진출했다. 세네카족은 고대 인디언 길을 이용하여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부터 얼스터와 서리번 군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이는 1659-1660년 제1차 에소푸스 전쟁 개입[37], 1675년 서스쿼해녹족 최종 정복, 1694년 미니싱크족으로부터 조공 요구[38] 등의 역사적 기록으로 확인된다. 1720년대부터 1750년대까지 세네카족은 문시족을 자신들의 영토 근처 위성 도시에 재정착시키고 연맹에 동화시키는 정책을 추진했다.[39][40] 1758년 이스턴 평화 회의에서는 세네카족 추장 타가샤타가 문시족과 미니싱크족에게 식민지인들과의 평화를 촉구하며 이들이 이로쿼이 연맹의 보호 아래 있음을 과시하기도 했다.[41] 1759년에는 식민지 기록에 문시족과의 외교를 위해서는 세네카족을 거쳐야 했다는 내용이 나타난다.[42][43]
프랑스의 군사적 압박에도 불구하고, 세네카족의 힘은 18세기 초까지 강력하게 유지되었다. 점차 세네카족은 신세계에서 프랑스의 야망에 맞서 자신들의 무역 파트너인 네덜란드인 및 영국인과 동맹을 맺기 시작했다. 1760년 7년 전쟁 동안, 그들은 영국이 포트 나이아가라를 프랑스인으로부터 점령하는 것을 도왔다. 세네카족은 1760년부터 1775년까지 상대적으로 평화를 누렸다. 1763년, 세네카족의 전쟁 부대는 폰티악 반란 중 데블스 홀 전투, 일명 데블스 홀 학살에서 영국 보급 열차와 군인들을 매복 공격했다.
3. 3. 1. 프랑스와의 전쟁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프랑스와의 전쟁'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 원본 자료는 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세네카족과 이로쿼이 연맹의 활동, 영국 및 미국과의 관계, 설리번 원정 등을 다루고 있다.3. 3. 2. 영국과의 동맹
이로쿼이 연맹은 미국 독립 혁명 이전 시기에 번성한 사회를 이루었으며, 부족 간의 전쟁을 종식시키고 평화를 유지했다.[45] 그러나 이들은 여전히 강력한 전사로 존경받았고, 애팔래치아 산맥을 따라 광대한 영역을 통치했다.[46] 세네카족은 카유가, 오논다가, 오네이다, 모호크, 그리고 나중에 합류한 투스카로라와 함께 연맹의 일원이었다.[45] 내부적인 평화에도 불구하고, 이로쿼이 부족들은 유럽인 방문객들에 대한 습격을 계속했다.[45]
이러한 습격에도 불구하고, 이로쿼이 부족들은 유럽인, 특히 영국과 이익이 되는 관계를 맺었다. 1677년, 영국은 "코버넌트 체인"이라 불리는 동맹을 이로쿼이 연맹과 체결했다.[47] 이 동맹은 1768년 윌리엄 존슨 경이 포트 스탠윅스 조약에 서명하면서 갱신되었다. 이 조약은 영국이 이로쿼이족의 이익을 고려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어 영국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이끌어냈다. 반면, 미국인들은 포트 스탠윅스 조약을 지속적으로 무시하여 세네카족을 포함한 이로쿼이족의 반감을 샀다.[48] 특히 이로쿼이족은 미국인들이 오하이오 영토로 진입하는 것에 분노했다.[49]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인들은 이로쿼이족의 전투 능력을 인정하여 영국과의 분쟁에서 그들을 배제하려고 시도했다.[50] 8월에 열린 올버니 의회(8월 25일-31일)에서 이로쿼이 연맹은 혁명에 대해 논의했다.[49] 이 회의에는 필립 스카일러, 올리버 울코트, 터버트 프랜시스, 볼커트 다우, 새뮤얼 커클랜드, 제임스 딘 등 중요한 인물들이 참석했으며, 이로쿼이족 대표들도 모든 부족에서 참여했다 (특히 모호크, 오네이다, 투스카로라 대표가 많았다).[49] 이로쿼이족은 미국인들의 제안에 동의하여 분쟁에서 중립을 지키기로 결정했다.[50] 모호크 족 추장 리틀 아브라함은 이를 "가족 문제"로 규정하고 관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50]
그러나 이러한 중립은 오래가지 못했다. 미국인들의 공공연한 반-원주민 수사는 이로쿼이족을 영국 편으로 밀어냈다.[51] 미국인들은 이로쿼이족과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야만인"과 열등한 존재로 묘사하는 인종차별적 메시지를 퍼뜨렸다. 이러한 태도는 미국 독립 선언서에도 드러나는데, 선언서는 원주민을 "자비 없는 인디언 야만인, 그들의 알려진 전쟁 규칙은 모든 연령, 성별 및 상태에 대한 무차별적인 파괴이다"라고 묘사했다.[51] 이러한 적대적인 분위기 속에서 많은 모호크, 카유가, 오논다가, 세네카족이 영국에 합류할 준비를 했다.[51] 반면, 오네이다족과 투스카로라족 다수는 미국 선교사 새뮤얼 커클랜드의 설득에 넘어갔다. 결국 혁명이 진행되면서 이로쿼이 연맹은 분열되었고, 6개 부족을 통합했던 의회의 불은 꺼지게 되었다.[52] 이로쿼이족은 역사상 가장 격동적인 시기에 정치적 통일을 잃고, 외부 세력에 의해 분열되어 각자 편을 선택하게 되었다.
미국인들의 편견 어린 수사 외에도, 영국은 이로쿼이족을 자신들의 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세네카 부족민인 메리 제미슨과 거버너 블랙스네이크는 영국이 이로쿼이족에게 제공한 호화로운 선물 공세에 대해 증언했다.[52][53] 거버너 블랙스네이크는 영국 장교들이 인디언들에게 음식과 럼주를 풍족하게 제공했으며, 원하는 만큼 마시고 물건도 가져가도록 허락했다고 상세히 설명했다.[54] 이러한 영국의 관대함은 많은 이로쿼이족이 영국에 충성하게 만들었다.[55] 영국 편에 설 것인지를 두고 이로쿼이 내부에서는 논쟁이 벌어졌다. 거버너 블랙스네이크의 삼촌인 콘플랜터는 중립 유지를 주장했지만, 조셉 브랜트는 이를 겁쟁이의 행동으로 몰아붙였다.[56] 영국은 이러한 분열을 이용하여 럼주, 종, 타조 깃털, 언약 벨트 등을 제공하며 회유를 계속했다.[57] 미국인들도 투스카로라족과 오네이다족에게 비슷한 방식으로 접근했다.[57] 최종적으로 모호크, 오논다가, 카유가, 세네카족은 영국 편에, 투스카로라족과 오네이다족은 미국 편에 서게 되었다.[58] 이로써 이로쿼이족은 미국 독립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지만, 1777년부터는 서로 반대편에서 싸우는 비극을 맞이했다.
영국 편을 선택한 세네카족은 미국 독립 전쟁에서 적극적으로 싸웠다. 1777년 8월 6일 오리스카니 전투는 이로쿼이족이 참여한 초기 주요 전투 중 하나였다.[59] 이 전투에서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미국 반군에게 잔혹한 공격을 가해 "대부분의 애국자 군인들을 죽이거나, 부상을 입히거나, 포로로 잡았다".[59] 세네카족 지도자 블랙스네이크는 이 전투를 "짐승을 죽이는 것 이상을 느끼지 못했고, 대부분의 미국 군대를 죽였다. 우리에게서 탈출한 백인은 소수에 불과했다... 나는 전에 본 적이 없는 가장 많은 시신을 보았다"고 묘사했다.[59] 작가 레이 라파엘은 블랙스네이크와 같은 원주민 전사들이 "살인이 옳고 그른지 영원히 해결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백인 미국 참전 용사들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60] 전쟁이 진행되면서 양측 모두 잔혹한 행위가 증가했으며, 특히 이로쿼이족과 세네카족의 땅을 황폐화시킨 설리번 원정이 대표적이다.

이로쿼이족은 체리 밸리 학살과 미니싱 전투와 같은 주목할 만한 습격은 "서스쿼해나에서 델라웨어 계곡, 그리고 파인 힐을 넘어 에소푸스 지역까지" 이어지는 길에 대한 신중하게 계획된 습격이었다. 1778년 세네카족, 카유가족, 오논다가족, 모호크족 전사들은 상부 서스쿼해나 계곡의 백인 정착지에 습격을 가했다.[61] 이러한 적극적인 참전에도 불구하고, 블랙스네이크와 같은 세네카족 전사들은 전쟁의 잔혹함에 지쳐갔다. 그는 특히 오리스카니에서의 자신의 행동을 "하나님의 눈앞에서 큰 죄"라고 느꼈다고 고백했다.[62]
독립 전쟁 이전의 이로쿼이족에게 전쟁은 보다 개인적인 성격의 것이었으나[60], 이 전쟁 동안 그들은 체리 밸리 학살에서 여성과 어린이를 살해하고, 오리스카니에서 살아남은 미군 병사들을 몽둥이로 때려죽이는 등 잔혹한 행위에 가담하게 되었다.[61] 블랙스네이크와 같은 이들의 슬픔과는 대조적으로, 미국인들은 더욱 냉혹하고 잔혹하게 대응했다. 이러한 보복이 바로 설리번 원정으로 나타났다.
설리번 원정 계획은 이로쿼이족의 승리와 학살에 대한 대응으로 1778년에 시작되었다.[60] 이는 1777년부터 1778년까지 이어진 이로쿼이족의 공세로 고통받던 뉴욕 주민들의 불만에서 비롯되었다.[63] 뉴욕 주민들은 특히 모호크족과 왕당파로 구성된 브란트의 의용군을 이끌며 뉴욕의 정착촌, 특히 트라이온 카운티를 습격한 조셉 브랜트를 두려워했다.[65][63] 브란트는 미국인들의 차별 때문에 영국 편에 서기로 결심한 인물이었다.[65] 브란트의 활동과 이로쿼이족의 공세, 그리고 여러 학살에 대응하여, 1778년 조지 워싱턴은 대륙군 장군 존 설리번에게 3000명에서 4500명의 군대를 주어 이로쿼이족을 공격하도록 명령했다.[66][60][63]
설리번 원정은 이로쿼이족의 땅에 엄청난 파괴를 가져왔다. 미군은 "이로쿼이족의 집뿐만 아니라 식량 비축물도 파괴했다".[67] 세네카족 여성 메리 제미슨은 대륙군 병사들이 "손에 닿는 모든 종류의 음식을 파괴했다"고 회상했다.[68] 설상가상으로 1780년의 혹독한 겨울은 이로쿼이족에게 더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69] 설리번 원정은 미국 독립 전쟁이 총력전의 양상을 띠게 되었음을 보여주었으며, 미국인들은 이로쿼이족을 무력화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동시에 이로쿼이족 전사들에게 깊은 증오심을 심어주었다.
설리번 원정 이후, 회복된 세네카족, 카유가족, 오논다가족, 모호크족은 파괴에 대한 분노로 뉴욕의 미국인 정착지에 대한 습격을 재개했다.[70] 이들은 미국 식민지 주민들을 공격하고 약탈했을 뿐만 아니라, 한때 동족이었던 오네이다와 투스카로라 정착지에도 불을 질렀다.[70] 이로쿼이족은 1781년 콘월리스가 요크타운에서 항복한 이후에도 미국인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다.[70] 그들의 싸움은 1782년, 영국 장군 프레데릭 할디만드가 "파리에서 진행 중인 평화 협상 동안" 그들을 소환했을 때 비로소 멈추었다.[71]
이로쿼이족은 전쟁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서도 인지하고 있었다. 1782년 조지 워싱턴이 존 핸슨에게 보낸 편지에 따르면, 영국군 장교 캠벨이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전쟁이 끝났다고 알리자, 한 세네카족 족장은 영국인들에게 "미국인과 프랑스인들이 영국을 이겼고, 영국은 더 이상 전쟁을 수행할 수 없으며, 인디언들은 그것을 잘 알고 있으며, 이제 희생되거나 미국인에게 복종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한다.[72]
3. 4. 미국 독립 전쟁과 세네카족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기 전, 세네카족을 포함한 이로쿼이 연맹은 영국과 오랜 기간 동맹 관계(코버넌트 체인, 포트 스탠윅스 조약)를 유지해왔다.[47][48] 하지만 서부로 영토를 확장하려는 미국 식민지 주민들과의 마찰은 점차 심화되고 있었다.[48][49]
전쟁이 시작되자 이로쿼이 연맹은 처음에는 양측 사이에서 중립을 지키려 했다.[50] 그러나 미국 측의 공공연한 반(反)원주민 정서와 영국의 적극적인 회유책 속에서 연맹 내부는 분열되기 시작했다.[51][52] 결국 세네카족은 모호크족, 카유가족, 오논다가족과 함께 전통적인 동맹이었던 영국 편에 서기로 결정했다. 반면, 오네이다족과 투스카로라족은 미국 편에 서면서 한때 강력했던 이로쿼이 연맹은 사실상 해체되는 비극을 맞았다.[58]
전쟁 기간 동안 세네카족 전사들은 영국군과 함께 오리스카니 전투[59] 등 여러 전투에서 활약하며 미국에 맞서 싸웠다. 그러나 전쟁은 체리 밸리 학살[61]과 같은 참혹한 사건들을 낳았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은 설리번 원정을 감행하여 세네카족을 비롯한 이로쿼이족의 마을과 농경지를 초토화시켰다. 이로 인해 세네카족은 극심한 피해와 고통을 겪어야 했다.[67][68][69]
미국 독립 전쟁은 이로쿼이 연맹의 종식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세네카족에게 삶의 터전을 파괴당하고 공동체가 와해되는 깊은 상처를 남겼다.[70][71][72]
3. 4. 1. 중립 정책과 분열
미국 독립 혁명 이전, 이로쿼이 연맹은 부족 간 전쟁을 종식시키고 평화를 유지하며 번성했다.[45] 이 연맹에는 세네카족을 비롯해 카유가족, 오논다가족, 오네이다족, 모호크족, 그리고 나중에 합류한 투스카로라족이 속해 있었다.[45] 이들은 내부적으로 평화를 유지했지만, 유럽인 정착민들에 대한 공격은 계속했다.[45]
이러한 충돌에도 불구하고, 이로쿼이족은 영국과 "코버넌트 체인"이라 불리는 동맹(1677년)을 맺는 등 교류를 이어갔다.[47] 1768년, 윌리엄 존슨 경이 주도한 포트 스탠윅스 조약은 이 동맹을 갱신하며 영국에 대한 이로쿼이족의 신뢰를 높였다. 반면, 이 조약을 무시하고 오하이오 영토로 계속 진출하는 미국인들에 대해 이로쿼이족, 특히 세네카족은 반감을 가졌다.[48][49]
미국 독립 혁명이 발발하자, 미국인들은 이로쿼이족의 전쟁 능력을 인정하면서도 영국과의 분쟁에서 중립을 지켜주기를 원했다.[50] 1775년 8월, 올버니에서 열린 회의에서 이로쿼이 연맹 대표단은 필립 스카일러, 새뮤얼 커클랜드 등 미국 측 인사들과 논의 끝에 중립을 지키기로 결정했다.[49][50] 모호크 족 추장 리틀 아브라함은 이를 "가족 문제"로 규정하며 관망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50]
그러나 이 중립 정책은 오래가지 못했다. 미국인들의 공공연한 반(反)원주민 정서와 수사가 이로쿼이족을 자극했다.[51] 독립 선언서에 "자비 없는 인디언 야만인"이라는 표현이 사용된 것은 대표적인 예시다.[51] 이러한 적대적인 분위기는 많은 모호크, 카유가, 오논다가, 세네카족이 영국 편에 서도록 만들었다.[51] 동시에 영국 역시 호화로운 선물 공세를 통해 이로쿼이족의 지지를 얻으려 노력했다. 세네카족인 메리 제미슨과 거버너 블랙스네이크는 영국이 제공한 럼주와 물품들의 풍족함을 증언하기도 했다.[52][53][54]
한편, 미국 선교사 새뮤얼 커클랜드의 영향으로 오네이다족과 투스카로라족 다수는 미국 측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51] 연맹 내부에서도 의견이 갈렸다. 세네카족 지도자 콘플랜터는 신중론을 주장했지만, 조셉 브랜트와 같은 인물들은 이를 비겁함으로 몰아붙이며 영국과의 동맹을 강력히 주장했다.[56] 영국은 이러한 분열을 이용하여 럼주, 선물 등을 제공하며 지지를 유도했고, 미국 역시 오네이다족과 투스카로라족에게 비슷한 방식으로 접근했다.[57]
결국, 이로쿼이 연맹은 분열되었다. 모호크, 오논다가, 카유가, 세네카족은 영국 편에 섰고, 투스카로라족과 오네이다족은 미국 편에 섰다.[58] 이 분열로 인해 6개 부족을 통합했던 연맹의 회의는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되었고, 이로쿼이 연맹은 사실상 종식되었다.[52] 한때 강력한 정치적 통일체를 이루었던 이로쿼이족은 이제 미국 독립 혁명이라는 거대한 소용돌이 속에서 서로 다른 편에 서서 싸우게 되었다. 이 비극적인 분열은 1777년 오리스카니 전투에서 같은 이로쿼이족 전사들이 서로에게 무기를 겨누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3. 4. 2. 전쟁 참여와 결과
미국 독립 혁명이 발발했을 때, 이로쿼이 연맹은 처음에는 중립을 지키기로 결정했다. 1775년 8월 올버니 의회에서 이로쿼이 대표단은 미국과 영국 사이의 분쟁을 "가족 싸움"으로 간주하고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50] 모호크족 추장 리틀 아브라함은 "6개 국가의 결정은 어떤 역할도 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서 싸우는 것을 지켜보는 것"이라고 선언했다.[50] 이는 이전에 영국과 맺었던 '코버넌트 체인'(1677)[47]이나 포트 스탠윅스 조약(1768)[48]에도 불구하고 내려진 결정이었다. 미국인들이 오하이오 영토를 포함한 이로쿼이족의 땅을 계속 침범[48][49]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측은 이로쿼이족의 전쟁 기술을 존중하여 분쟁에서 제외시키려 했다.[50]그러나 미국의 반(反)원주민 수사와 태도는 이로쿼이족의 입장을 바꾸게 만들었다.[51] 미국인들은 독립 선언서에서 원주민을 "자비 없는 인디언 야만인"으로 묘사하는 등, 이들을 야만적이고 열등한 존재로 취급했다.[51] 이러한 적대적인 분위기 속에서 영국은 적극적으로 이로쿼이족을 회유했다. 영국은 세네카족을 포함한 이로쿼이 지도자들에게 럼주, 음식, 옷감, 장신구 등 호화로운 선물을 제공하며 동맹을 제안했다.[52][53][54][57] 세네카족의 거버너 블랙스네이크는 당시 영국이 제공한 관대함에 대해 상세히 기록했다.[54] 결국, 이러한 미국의 적대감과 영국의 회유책 속에서 이로쿼이 연맹은 분열되었다. 콘플랜터와 같은 일부 지도자들은 중립 유지를 주장했지만[56], 조셉 브랜트와 같은 인물들은 영국 편에 서는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56] 최종적으로 모호크족, 오논다가족, 카유가족, 세네카족은 영국 편에, 투스카로라족과 오네이다족은 미국 편에 서기로 결정하면서 오랜 역사의 이로쿼이 연맹은 사실상 해체되었다.[51][52][58]
영국 측에 합류한 세네카족은 미국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777년 8월 6일 벌어진 오리스카니 전투는 이로쿼이족이 참여한 초기 주요 전투 중 하나였다.[59] 이 전투에서 세네카족을 포함한 원주민 전사들은 매복 공격을 통해 미국 반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59] 블랙스네이크는 이 전투를 회상하며 "짐승을 죽이는 것 이상을 느끼지 못했고, 대부분의 미국 군대를 죽였다"고 묘사할 정도로 격렬했다.[59] 이후 세네카족과 다른 영국 동맹 부족들은 1778년 체리 밸리 학살[61]과 미니싱 전투와 같은 주목할 만한 습격을 감행했다. 이러한 습격은 "서스쿼해나에서 델라웨어 계곡, 그리고 파인 힐을 넘어 에소푸스 지역까지" 이어지는 길에 대한 신중하게 계획된 것이었다. 1778년 세네카족, 카유가족, 오논다가족, 모호크족 전사들은 상부 서스쿼해나 계곡의 백인 정착지에 습격을 가했다.[61] 이로쿼이족이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블랙스네이크와 같은 세네카족은 전쟁의 잔혹함에 극도로 지쳐 있었다. 그는 특히 오리스카니에서의 자신의 행동에 대해 언급하며, 자신이 "하나님의 눈앞에서 큰 죄"라고 느꼈다고 말했다.[62]
전쟁이 격화되면서 양측 모두 잔혹 행위가 증가했다. 블랙스네이크와 같은 세네카족 전사들은 오리스카니 전투 등에서 벌인 살상 행위에 대해 "하나님의 눈앞에서 큰 죄"라고 느끼며 정신적인 고통을 겪기도 했다.[62] 이는 개인적인 용맹과 명예를 중시했던 전통적인 이로쿼이 전쟁 방식과는 다른, 대규모 학살과 파괴가 동반된 전쟁의 참혹함을 보여준다.[60]
이로쿼이족의 공세와 조셉 브랜트가 이끄는 브란트의 의용군의 활동[63][65]에 대응하여, 미국 대륙 회의는 대대적인 보복 작전을 계획했다. 1779년, 조지 워싱턴은 존 설리번 (장군)에게 약 3,000명에서 4,500명의 병력을 주어 영국 편에 선 이로쿼이 부족들의 영토를 공격하도록 명령했다.[66][60][63] 이것이 바로 설리번 원정이다. 설리번 원정대는 세네카족을 포함한 이로쿼이족 마을들을 체계적으로 파괴했다. 군인들은 집을 불태우고, 농작물을 베어버렸으며, 저장된 식량을 약탈하거나 파괴했다.[67] 세네카족 여성 메리 제미슨은 당시 미군이 "손에 닿는 모든 종류의 음식을 파괴했다"고 증언했다.[68] 이 파괴 행위는 1780년의 혹독한 겨울과 겹쳐 이로쿼이족에게 극심한 기근과 고통을 안겨주었다.[69] 설리번 원정은 민간인과 비전투 자원을 가리지 않고 파괴하는 총력전의 양상을 띠었으며, 이로쿼이족 사회에 깊은 상처와 미국에 대한 적개심을 남겼다.[67]
설리번 원정의 파괴에도 불구하고, 세네카족을 비롯한 이로쿼이 전사들은 복수를 위해 다시 일어섰다. 그들은 뉴욕의 미국인 정착지를 다시 습격했으며, 미국 편에 섰던 오네이다족과 투스카로라족의 정착지까지 공격했다.[70] 이들의 저항은 1781년 요크타운 전투에서 영국군 주력이 항복한 이후에도 계속되었다.[70] 마침내 1782년, 영국군 사령관 프레데릭 할디만드가 파리에서 진행 중인 평화 협상을 이유로 전투 중단을 명령하자 이로쿼이족은 싸움을 멈췄다.[71] 전쟁이 끝날 무렵, 한 세네카 족장은 영국군 장교에게 미국과 프랑스가 영국을 이겼으며, 이제 원주민들은 "희생되거나 미국인에게 복종해야 한다"는 냉정한 현실 인식을 보여주기도 했다.[72]
3. 5. 미국과의 관계
미국 독립 전쟁 발발 이전, 세네카족을 포함한 이로쿼이 연맹은 영국과 코버넌트 체인이라는 동맹 관계를 맺고 있었다.[47] 1768년 포트 스탠윅스 조약을 통해 이 동맹은 갱신되었고, 이로쿼이족은 영국이 자신들의 이익을 보호해 줄 것이라 믿었다.[48] 반면, 미국 정착민들은 이 조약을 무시하고 오하이오 영토 등으로 계속 진출하여 이로쿼이족의 반감을 샀다.[48][49]독립 전쟁이 시작되자 세네카족과 이로쿼이 연맹은 처음에는 중립을 지키려 했다.[50] 1775년 8월 올버니 의회에서 이들은 미국과 영국 간의 분쟁을 "가족 문제"로 보고 관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50] 그러나 미국 측의 "자비 없는 인디언 야만인"과 같은 반(反)원주민 수사와[51] 영국 측의 적극적인 회유(선물 공세 등)는[53][54] 결국 이로쿼이 연맹을 분열시켰다.[52] 세네카족을 비롯한 모호크족, 카유가족, 오논다가족은 영국 편에 섰고, 오네이다족과 투스카로라족은 미국 편에 가담하면서[58] 한때 강력했던 이로쿼이 연맹은 해체되고 부족 간 서로 싸우는 비극이 시작되었다.[52]
영국과 동맹을 맺은 세네카족 전사들은 오리스카니 전투(1777) 등에서 활약하며 미국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59] 또한 체리 밸리 학살(1778)과 같은 습격에도 참여했다.[61] 그러나 전쟁이 격화되면서 세네카족 내부에서도 전쟁의 잔혹함에 대한 회의감이 생겨났다.[62]
미국 측은 이로쿼이족의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1779년 설리번 원정을 감행했다.[60] 조지 워싱턴의 지시 아래 존 설리번이 이끈 대륙군은 세네카족을 포함한 이로쿼이족 마을을 초토화하고 식량 비축물을 파괴하는 총력전을 벌였다.[67][68] 이 원정은 이로쿼이족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으며, 특히 1780년의 혹독한 겨울과 겹쳐 많은 이들이 굶주림과 추위로 사망했다.[69]
설리번 원정 이후에도 세네카족을 포함한 영국 동맹 이로쿼이 부족들은 미국 정착지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으나,[70] 1781년 요크타운 전투에서 영국군이 항복하고 1782년 평화 협상이 진행되면서 결국 전투를 중단했다.[71] 전쟁 결과 영국은 파리 조약을 통해 13개 식민지에 대한 영유권을 신생 미국에 넘겨주었고, 영국과 동맹했던 세네카족은 졸지에 자신들의 영토 대부분을 미국에 양도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전쟁 후 세네카족은 뉴욕주 서부의 버팔로 크릭, 토나완다 크릭, 카타라우거스 크릭 인근에 새로운 마을을 형성했다. 1784년 스탠윅스 요새 조약을 통해 일부 토지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73], 이후에도 토지 상실은 계속되었다. 1788년 펠프스 앤드 고럼 매입으로 제네시 강 동쪽 땅을[74], 1797년 빅 트리 조약으로 제네시 강 서쪽 땅 대부분을 매각하고 10개의 작은 인디언 보호구역에 만족해야 했다. 1794년 캐난다이구아 조약은 미국과의 평화 관계를 확인하는 의미가 있었지만, 근본적인 토지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했다. 1838년 버팔로 크릭 조약을 통해 미국 정부는 세네카족을 미주리 서쪽으로 이주시키려 했으나, 대부분의 세네카족은 이를 거부하고 뉴욕에 남았다.
뉴욕에 남은 세네카족 다수는 1848년, 전통적인 부족 정부 대신 선출된 대표로 구성된 세네카 인디언 국가를 세웠다. 반면 토나완다 세네카 인디언 밴드는 전통적인 정부 형태를 유지하며 분리되었다. 두 부족 모두 현재 미국 연방 정부의 공식 인정을 받고 있다.
3. 5. 1. 캐난다이구아 조약
미국 독립 혁명 이후 세네카족을 포함한 하우데노사우니 연맹은 스탠윅스 요새 조약(1784)과 펠프스 앤드 고럼 매입(1788) 등을 통해 많은 토지를 양도해야 했다.[73][74] 이러한 배경 속에서 1794년 11월 11일, 세네카족은 다른 하우데노사우니 부족들과 함께 미국 정부와 캐난다이구아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미국과 하우데노사우니 연맹 간의 평화적인 관계 수립을 공식화하고, 이후 양측 관계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비록 이 조약 이후에도 빅 트리 조약(1797)을 통해 세네카족은 제네시 강 서쪽의 토지를 추가로 매각하고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이동해야 했지만, 캐난다이구아 조약 자체는 양측의 공존을 위한 중요한 합의였다.3. 5. 2. 빅 트리 조약
1794년 11월 11일 캐난다이구아 조약을 통해 미국과 평화 관계를 맺은 세네카족은 3년 뒤 또 다른 중요한 조약을 체결하게 된다. 1797년 9월 15일, 세네카족은 빅 트리 조약에 서명하여 제네시 강 서쪽의 광대한 토지를 매각했다.[74] 이 조약으로 세네카족은 자신들의 거주를 위해 10개의 인디언 보호구역만을 남겨두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토지 매각은 뉴욕 서부 지역 대부분을 유럽계 미국인 정착민들에게 개방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 1838년 1월 15일, 미국과 일부 세네카 지도자들은 버팔로 크릭 조약에 서명하여 세네카족이 미주리주 서쪽의 토지로 이주하도록 했지만, 대부분의 세네카족은 이주를 거부했다.3. 5. 3. 버팔로 크릭 조약
미국 독립 전쟁 이후 이로쿼이 연맹이 사실상 해체되면서, 영국과 동맹을 맺었던 세네카족은 전쟁 결과에 따라 많은 토지를 신생 미국에 양도해야 했다. 세네카족은 뉴욕주 서부의 버팔로 크릭, 토나완다 크릭, 카타라우거스 크릭을 따라 새로운 마을을 형성했다. 1784년 스탠윅스 요새 조약을 통해 일부 정착지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73], 이후에도 토지 상실은 계속되었다.1788년에는 펠프스 앤드 고럼 매입을 통해 제네시 강 동쪽의 토지 권리를 매각했고[74], 1794년 캐난다이구아 조약에서는 미국과의 평화 관계를 확인했다. 1797년 빅 트리 조약에서는 제네시 강 서쪽의 토지마저 매각하며 10개의 작은 인디언 보호구역만을 남기게 되었다. 이로 인해 뉴욕 서부 지역은 유럽계 미국인 정착민들에게 완전히 개방되었다.
1838년 1월 15일, 미국 정부는 일부 세네카 지도자들과 버팔로 크릭 조약에 서명하여, 남아있는 세네카족이 미주리주 서쪽의 땅으로 이주하도록 강제하려 했지만, 대다수의 세네카족은 이주를 거부했다.
뉴욕에 남아있던 대다수 세네카족은 1848년, 전통적인 부족 정부 대신 현대적인 선출 정부인 세네카 인디언 국가를 구성했다. 반면, 토나완다 세네카 인디언 밴드는 분리되어 전통적인 부족 정부 형태를 유지하기로 했다. 두 부족 모두 현재 미국 연방 정부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
4. 현대의 세네카족
현대에 세네카족이 정확히 몇 명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미국 연방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세 개의 부족과 캐나다에 거주하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미국 내 부족으로는 뉴욕주에 있는 세네카 인디언 부족과 토나완다 세네카 인디언 밴드, 그리고 오클라호마주에 있는 오클라호마 세네카-카유가 부족이 있다. 네 번째 그룹은 캐나다에 거주하며, 이들 중 다수는 온타리오주의 그랜드 리버 육개국 공동체의 일부를 이룬다.
약 10,000명의 세네카족이 이리호 근처에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부족에 등록된 구성원들은 전통적인 보호구역 외에도 일자리를 찾아 미국 내 다른 지역이나 도시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아가기도 한다.
세네카어는 2007년 기준으로 유창한 화자가 50명 미만으로 남아 "심각한 멸종 위기" 언어로 평가받았다.[76] 현재 언어를 보존하고 되살리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77][78][79] 각 부족의 상세한 현황과 역사, 그리고 언어 보존 노력에 대해서는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4. 1. 세네카 인디언 부족
세네카족의 정확한 인구는 파악되지 않았으나, 미국 연방 정부가 인정한 세 개의 주요 부족이 있다. 이들은 뉴욕주에 기반을 둔 세네카 인디언 부족(Seneca Nation of Indians)과 토나완다 세네카 인디언 밴드(Tonawanda Band of Seneca), 그리고 오클라호마 세네카-카유가 부족(Seneca-Cayuga Nation of Oklahoma)이다. 이 외에도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그랜드 리버 육개국 영토 내에 거주하는 세네카족 그룹이 있다.
약 10,000명의 세네카족이 이리호 근처에 살고 있으며, 이 중 약 7,800명이 세네카 인디언 부족의 시민이다.[75] 이 구성원들은 뉴욕주 내 다섯 개의 보호구역(Reservation)에서 거주하거나 활동한다.
| 보호구역 명칭 | 위치 및 특징 |
|---|---|
| 앨러게니 보호구역 (Allegany Reservation) | 살라망카 시를 포함한다. |
| 카타라우거스 보호구역 (Cattaraugus Reservation) | 고완다 근처에 위치한다. |
| 버팔로 크릭 영토 (Buffalo Creek Territory) | 버팔로 시내에 위치한다. 면적이 작아 거주민은 거의 없으며, 주로 부족이 운영하는 게임 카지노 용도로 사용된다. |
| 나이아가라 폭포 영토 (Niagara Falls Territory) | 나이아가라 폭포 시에 위치한다. 버팔로 크릭 영토와 마찬가지로 면적이 작고 게임 카지노 용도로 활용된다. |
| 오일 스프링스 보호구역 (Oil Springs Reservation) | 쿠바 근처에 위치한다. 면적이 작아 거주민은 거의 없다. |
토나완다 세네카 인디언 밴드는 약 1,200명의 시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뉴욕주 아크론 근처 토나완다 보호구역에 거주한다.
세 번째 연방 정부 인정 부족인 오클라호마 세네카-카유가 부족은 오클라호마주 마이애미 근처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들은 미국 독립 전쟁 이전에 유럽인들의 확장을 피해 뉴욕에서 오하이오로 이주했던 세네카족과 카유가족의 후손으로, 1830년대 인디언 이주법에 따라 미시시피강 서쪽의 인디언 영토로 강제 이주되었다.
많은 세네카족과 다른 이로쿼이족은 미국 독립 전쟁 중과 이후에 캐나다로 이주했으며, 영국 왕실은 그들에게 전통적인 영토 상실에 대한 보상으로 토지를 제공했다. 약 10,000명에서 25,000명 사이의 세네카족은 육개국 보호구역의 시민이며, 온타리오주 브랜트퍼드 근처의 주요 이로쿼이 보호구역인 그랜드 리버 영토에 거주한다.
부족에 등록된 세네카족 구성원 중 일부는 일자리를 찾아 미국 내 다른 지역이나 도시에서 살아가고 있다.
세네카어는 2007년 기준으로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이 50명 미만(주로 노년층)으로 남아 "심각한 멸종 위기" 언어로 평가되었다.[76] 현재 세네카어를 보존하고 다음 세대로 전승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77][78][79]
4. 2. 토나완다 세네카 인디언 밴드
토나완다 세네카 인디언 밴드는 미국 연방 정부가 인정한 세네카족 부족 중 하나이다. 약 1,200명의 시민이 있으며, 뉴욕주 아크론 근처의 토나완다 보호구역에 거주한다.4. 3. 오클라호마 세네카-카유가 부족
미국 연방 정부가 인정한 세 번째 세네카족 부족은 오클라호마 세네카-카유가 부족이다. 이들은 오클라호마주 마이애미 근처에 거주하고 있다. 이 부족은 본래 뉴욕에 살던 세네카족과 카유가족의 후손들로 구성되어 있다. 유럽인들의 침략과 미국 독립 전쟁 이전 시기에 이들은 고향인 뉴욕을 떠나 오하이오로 이주했다. 이후 1830년대 미국 정부의 인디언 이주 정책에 따라 미시시피강 서쪽의 인디언 영토(현재의 오클라호마)로 강제 이주되었다.4. 4. 그랜드 리버 육개국
세네카족의 네 번째 그룹은 캐나다에 거주하며, 이들 중 다수는 온타리오주의 육개국 공동체의 일부를 이룬다. 많은 세네카족과 다른 이로쿼이족은 미국 독립 전쟁 중과 이후에 캐나다로 이주했다. 이는 영국 왕실이 미국 내에서 잃어버린 전통적인 영토에 대한 보상으로 그들에게 토지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약 10,000명에서 25,000명 사이의 세네카족이 육개국 보호구역의 시민으로 등록되어 있다. 이들은 온타리오주 브랜트퍼드 근처에 위치한 주요 이로쿼이 보호구역인 그랜드 리버 영토에 거주한다.
4. 5. 세네카어
세네카어는 2007년에 "심각한 멸종 위기"로 평가되었으며, 유창한 화자가 50명 미만으로 주로 노인이다.[76] 현재 언어를 보존하고 되살리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77][78][79]5. 주요 분쟁 및 문제
세네카족은 역사적으로 여러 분쟁과 문제에 직면해왔다. 대표적으로 미국 연방 정부의 킨주아 댐 건설로 인해 조약으로 보장된 토지가 수몰되고 주민들이 강제 이주당하는 등 미국 원주민 권리 침해 문제가 발생했다.[80][81][82] 또한, 뉴욕주와의 토지 임대 계약 유효성을 둘러싸고 오랜 법적 다툼을 벌였으며, 특히 살라망카 시 관련 분쟁은 미국 의회의 세네카 정착법(Seneca Nation Settlement Acteng) 제정으로 이어지기도 했다.[83][84] 그랜드 아일랜드 등 과거 토지에 대한 반환 소송을 제기했으나, 미국 법원은 해당 토지가 이미 영국에 양도되었다고 판결하여 최종 패소했다.[85][86][87][88] 최근에는 부족 보호구역을 통과하는 주간 고속도로 90호선 구간에 대한 통행권과 통행료 분배를 주장하며 뉴욕주 쓰루웨이 관리국과 분쟁 중이다.[89][90][91][92]
5. 1. 킨주아 댐 건설과 이주
미국 연방 정부는 앨러게니 강의 홍수 조절을 명목으로 킨주아 댐 건설을 추진했다. 이 댐 건설로 인해 1794년 카난다이구아 조약에 따라 세네카족에게 보장되었던 토지 약 10000acre가 수몰되었고, 약 600명의 세네카족 주민들이 고향을 떠나 강제로 이주해야 했다. 세네카족은 댐 건설 계획에 반대하며 소송을 제기하고 존 F. 케네디 대통령에게 건설 중단을 호소했으나,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80][81] 이 사건은 미국 원주민의 권리가 침해된 사례로 기록되었으며, 포크 가수 피터 라파지의 노래 "풀이 자라는 한(As Long as the Grass Shall Groweng)" 등을 통해 알려지기도 했다.[82]5. 1. 1. 댐 건설 배경과 세네카족의 반대
미국 연방 정부는 앨러게니 강의 홍수를 조절하기 위해 공병대를 동원하여 대규모 댐 건설 사업을 추진했다. 이 계획은 펜실베이니아와 뉴욕에 걸쳐 있는 세네카족의 핵심 영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었다. 1960년에 시작된 앨러게니 강의 킨주아 댐 건설로 인해, 1794년 카난다이구아 조약에 따라 세네카족이 보유하고 있던 약 10000acre의 토지가 수몰될 위기에 처했고, 약 600명의 세네카족 주민들이 강제로 이주해야 했다. 이들은 댐 건설로 인해 형성된 앨러게니 저수지 북쪽 호수 인근의 살라망카로 옮겨가야 했다. 세네카족은 이 계획에 강력히 반대하며 소송을 제기했고, 존 F. 케네디 대통령에게 건설 중단을 직접 호소하기도 했다.그러나 세네카족은 소송에서 패소했고, 1961년 케네디 대통령은 긴급한 홍수 조절의 필요성을 내세우며 세네카족의 요청을 거부했다.[80][81] 이러한 세네카족의 권리 침해 사례는 다른 많은 미국 원주민 부족들이 겪었던 권리 침해와 함께, 1960년대 포크 가수 피터 라파지에 의해 "풀이 자라는 한(As Long as the Grass Shall Groweng)"이라는 노래로 만들어져 알려지게 되었다.[82] 이 노래는 이후 밥 딜런과 조니 캐쉬 같은 유명 가수들에 의해서도 불렸다.
5. 1. 2. 이주와 보상
미국 연방 정부는 앨러게니 강의 홍수 조절을 위해 공병대를 통해 대규모 댐 건설 사업을 시작했다. 이 계획은 펜실베이니아와 뉴욕에 걸쳐 있는 세네카족의 주요 영토에 영향을 미치도록 설계되었다. 1960년에 시작된 앨러게니 강의 킨주아 댐 건설은 1794년 카난다이구아 조약에 따라 세네카족이 점유하고 있던 약 10000acre의 토지에서 약 600명의 세네카족을 이주시켜야 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들은 댐 건설로 인해 침수되어 생긴 앨러게니 저수지 북쪽 호수 근처의 살라망카로 이주해야 했다. 세네카족은 이 프로젝트 계획에 반대하며 소송을 제기하고 존 F. 케네디 대통령에게 건설 중단을 호소했다.그러나 세네카족은 소송에서 패했고, 1961년 케네디 대통령은 긴급한 홍수 조절의 필요성을 이유로 들며 그들의 요청을 거부했다.[80][81] 이러한 세네카족의 권리 침해는 다른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의 권리 침해와 함께, 1960년대 민속 가수 피터 라파지에 의해 "풀이 자라는 한(As Long as the Grass Shall Groweng)"이라는 노래로 기록되었다.[82] 이 노래는 이후 밥 딜런과 조니 캐쉬에 의해서도 불렸다.
5. 2. 토지 임대 분쟁
미국 상원은 뉴욕주가 이로쿼이 연맹과 맺은 조약을 비준한 적이 없으며, 조약 체결 권한은 의회에만 있다고 보았다. 이로 인해 20세기 후반, 여러 부족들은 과거 조약의 무효를 주장하며 전통적인 토지를 되찾기 위한 소송을 제기했다. 세네카족 역시 뉴욕주를 상대로 일부 장기 토지 임대차 계약의 유효성에 대해 오랫동안 법적 다툼을 벌여왔다.특히 살라망카 시와 관련된 분쟁이 대표적이다. 1890년, 세네카족은 현재 살라망카 시와 인근 마을이 위치한 토지에 대해 99년짜리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계약 만료 시점이 다가오자, 1990년 미국 의회는 오랜 토지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세네카 정착법(Seneca Nation Settlement Acteng)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뉴욕 주 정부가 세네카족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고 일부 토지를 제공하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세네카족의 토지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은 15가구는 결국 집에서 퇴거 조치되었다.[83] 이후 2000년대 초, 세네카족이 정착 과정에서 확보한 토지를 활용해 카지노 사업을 시작하려 하자 다시 논쟁이 불거졌다. 카지노 사업은 20세기 후반부터 많은 미국 원주민 부족에게 중요한 수입원이 되어왔다.[84]
5. 3. 그랜드 아일랜드 반환 소송
1993년 8월 25일, 세네카족은 미국 지방 법원에 뉴욕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세네카족은 뉴욕주가 미국 상원의 조약 승인 없이 자신들의 토지를 빼앗았다며 반환을 요구했다. 미국 헌법상 아메리카 원주민 국가와의 조약 체결 권한은 오직 미국 정부만이 가지고 있다. 해당 토지는 그랜드 아일랜드와 나이아가라 강의 몇몇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같은 해 11월에는 토나완다 세네카 인디언 부족도 원고 자격으로 소송에 참여했다.1998년에는 미국 정부가 원고 측을 대리하여 소송에 개입했다. 이에 맞서 뉴욕주는 미국 헌법 수정 제11조를 근거로 주 정부가 소송으로부터 면제된다고 주장했다.[85] 광범위한 협상과 재판 전 절차를 거쳐, 소송 당사자들은 법률 쟁점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구했다.
2002년 6월 21일, 법원은 세네카족이 프렌치 인디언 전쟁(7년 전쟁) 이후 체결된 1764년 평화 조약에서 이미 해당 토지를 영국에 양도했다고 판결했다. 따라서 해당 토지는 1794년 캐난다이과 조약 체결 당시 이미 세네카족의 소유가 아니었다고 판단했다. 법원은 뉴욕주가 1815년에 세네카족으로부터 이 토지를 "구매"한 것은 단지 갈등을 피하기 위한 형식적인 조치였으며, 혁명에서 영국이 패배하여 해당 토지를 미국(그리고 해당 토지가 속한 뉴욕주)에 양도함으로써 이미 소유권이 넘어온 상태였다고 보았다.[86]
세네카족은 이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했다. 그러나 미국 제2 순회 항소 법원은 2004년 9월 9일, 1심 법원의 판결을 확정했다.[87] 세네카족은 미국 대법원에 상고했으나, 대법원은 2006년 6월 5일 심리를 거부하여 하급심 판결이 최종 확정되었다.[88]
5. 4. 쓰루웨이 통행권 분쟁
2007년 4월 18일, 세네카족은 캐터로거스 보호구역을 가로지르는 약 약 4.83km 구간의 주간 고속도로 90호선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했다. 이 구간은 이리에서 버팔로까지 호수의 북동쪽을 따라 뻗어 있다. 세네카족은 1954년에 세네카족과 뉴욕주 쓰루웨이 관리국 사이에 맺어진 합의가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당시 합의는 세네카족이 고속도로가 보호구역을 통과하도록 허가하는 대가로 7.5만달러를 받는 조건이었으나, 연방 정부의 승인이 필요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89] 이 소송에서 세네카족은 쓰루웨이 관리국이 해당 3마일 구간의 고속도로 사용에 대해 징수한 통행료의 일부를 지불할 것을 요구했다.[89][90] 2011년, 세네카족 대표 로버트 오다위 포터는 세네카족이 차량 한 대가 해당 고속도로 구간을 지날 때마다 1달러를 받아야 하며, 이는 수천만 달러에 달하는 금액이라고 주장했다.[91] 세네카족은 또한 자신들의 주권 영토 내에서 운영되는 부족 사업체로부터 담배세 및 카지노 수입을 징수하려는 뉴욕주의 시도에도 반대했다.[90] 2020년 기준으로, 쓰루웨이에 대한 소송은 계속 진행 중이었다.[89]세네카족은 이전에도 고속도로 권리에 대해 주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1999년 법원은 주가 세네카족에게 소송을 당할 수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92] 헥만 치안판사의 "보고서 및 권고"에 따르면, 뉴욕주는 세네카족이 제기한 두 건의 소송, 즉 나이아가라강의 그랜드 아일랜드 및 기타 작은 섬들에 대한 주의 소유권 취득에 이의를 제기한 소송과 주의 쓰루웨이 권리에 이의를 제기한 소송 모두에 대해 면책을 주장했다고 언급되었다.
6. 경제
세네카족의 경제는 전통적인 활동을 넘어 현대적인 사업 다각화를 통해 발전해왔다. 주요 경제 활동 분야는 건설, 통신, 레크리에이션, 관광, 소매업 등 다양하며, 특히 카지노 사업과 보호 구역 내 면세점 운영(주로 담배와 휘발유)이 부족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002년 뉴욕주와 게임 협약(Gaming Compact)을 체결한 이후, 세네카족은 나이아가라 폭포의 세네카 나이아가라, 살라망카의 세네카 앨러게니, 버팔로의 세네카 버팔로 크릭 카지노 등 세 곳의 카지노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주요 수입원을 확보했다.[110][84] 또한, 보호 구역 내에서의 면세 판매는 부족에게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었으나, 이는 뉴욕주 정부와의 주권 및 과세 문제를 둘러싼 오랜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95][90]
최근에는 2016년 부족민 투표를 통해 의료용 대마초 사업 진출을 승인하며 새로운 경제 활로를 모색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자체 라디오 방송국(WGWE)을 설립하여 운영한 경험도 있다. 이처럼 세네카족은 다양한 경제 활동을 통해 부족의 자립과 번영을 추구하고 있다.
6. 1. 다각화된 사업
세네카족은 건설, 통신, 레크리에이션, 관광, 소매 판매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다각화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부족이 소유한 카지노와 레크리에이션 단지 두 곳의 운영을 시작하기도 했다.카타라우구스 및 앨러게니 지역에는 여러 대형 건설 회사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많은 소규모 건설 회사들은 세네카족이 직접 소유하고 운영한다. 상당수의 세네카 남성들이 건설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레크리에이션 역시 세네카족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이뱅크 캠프장은 2013년 폐쇄되었다가 2015년 5월에 재개장하여[93] 여름철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있으며, 방문객들은 아름다운 경치와 앨러게니 저수지를 즐긴다. 매년 수천 개의 낚시 면허가 비(非)세네카 낚시꾼들에게 판매되는데, 이들 중 다수는 해당 지역을 찾는 관광객이다. 세네카족 지역과 인접하거나 통과하는 여러 주요 고속도로는 지역 및 전국 교통망과의 편리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특히 가을에는 단풍을 보기 위해 많은 관광객들이 이 지역을 방문한다.
세네카 경제의 상당 부분은 소매 판매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주유소, 담배 가게, 스포츠 의류, 양초, 예술 작품부터 전통 공예품에 이르기까지 세네카족 지역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상품들은 세네카족 시민들의 폭넓은 관심사를 반영한다.
6. 2. 의료용 대마초 사업
뉴욕주 서부에 위치한 세네카족은 2016년 11월 3일에 실시된 국민투표를 통해 부족 영토 내에서 의료용 대마초 사업을 설립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이 안건은 찬성 448표, 반대 364표로 통과되었으며, 이에 따라 세네카족 의회는 의료 목적의 대마초 제조, 사용, 유통을 허용하는 법률과 규정을 제정할 권한을 갖게 되었다.세네카족 대표 모리스 A. 존 시니어는 버팔로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세네카족의 의견을 들었으므로 이제 논의와 실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면서도, "의료용 대마초에 대한 우리 부족의 행동 방침 결정은 아직 멀었다"고 말하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의료용 대마초 관련 산업 진출은 세네카족의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 내 사업체, 판매점 및 기타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6. 3. 면세 담배 및 휘발유 판매
세네카족은 보호 구역 내에서 휘발유와 담배를 면세로 판매하며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이들은 주 고속도로 주변과 인터넷을 통해 면세품을 판매하며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그러나 이러한 면세 판매는 비원주민 사업체 및 뉴욕주 정부와의 갈등을 야기했다. 뉴욕주는 비원주민에게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과세 권한을 주장했으나, 세네카족은 이를 부족의 주권 침해로 간주하고 캐난다이과 조약 등을 근거로 반박하며 맞섰다.[95] 이러한 갈등은 법적 분쟁[96][97], 주 정부의 과세 시도와 세네카족의 저항[100], 그리고 인터넷 판매 차단 시도[101] 등으로 이어졌으며, 현재까지도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세네카족은 자신들의 면세 혜택을 비원주민 사업자에게 확대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98][99]6. 3. 1. 뉴욕주와의 세금 분쟁
세네카족은 뉴욕주 정부와 주간 고속도로 90호선(I-90) 통행권 및 면세 판매 권한을 둘러싸고 오랜 기간 법적, 정치적 분쟁을 겪어왔다.=== 고속도로 통행료 분쟁 ===
2007년 4월, 세네카족은 캐터로거스 보호구역을 가로지르는 I-90의 약 약 4.83km 구간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이 구간은 펜실베이니아주 이리에서 뉴욕주 버팔로 방면으로 이어지는 경로의 일부이다. 세네카족은 1954년 뉴욕주 쓰루웨이 관리국과 맺은 고속도로 통과 허용 합의가 연방 정부의 승인을 받지 않았으므로 무효라고 주장했다. 당시 합의는 통과 허용의 대가로 7.5만달러를 받는 조건이었다.[89] 세네카족은 소송을 통해 쓰루웨이 관리국이 해당 구간에서 징수한 통행료의 일부를 지불할 것을 요구했다.[89][90] 2011년, 세네카족 대표 로버트 오다위 포터는 차량 한 대당 1USD의 통행료를 받아야 하며, 이는 총 수천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91] 2020년 기준으로 이 소송은 여전히 진행 중이었다.[89]
세네카족은 이전에도 고속도로 권리를 두고 주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그러나 1999년 법원은 주 정부가 주권 면제를 이유로 세네카족에게 소송을 당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92] 뉴욕주는 세네카족이 제기한 나이아가라강의 그랜드 아일랜드 및 기타 섬 소유권 관련 소송과 쓰루웨이 통행권 관련 소송 모두에 대해 면책 특권을 주장했다.
=== 면세 판매 및 과세 갈등 ===
세네카족은 보호 구역 내에서 휘발유와 담배를 면세로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통해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이들은 보호 구역을 지나는 주 고속도로를 따라 많은 주유소를 운영했으며, 인터넷을 통한 담배 판매도 활발히 진행했다. 이러한 가격 경쟁력은 인근 비원주민 사업체와 주 정부의 견제를 받았다. 뉴욕주는 세네카족의 인터넷 담배 판매가 불법이며, 보호 구역 내에서 비원주민에게 판매되는 상품에 대해 세금을 부과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세네카족은 이를 자신들의 주권을 침해하는 행위로 간주하고 강하게 반발했다.[90]
세네카족 족장 배리 스나이더는 가격 우위가 주권의 문제라고 강조하며, 캐난다이과 조약과 버펄로 크릭 조약을 근거로 세네카족이 뉴욕주에 담뱃세를 납부할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다.[95] 그러나 1994년 뉴욕주 대법원 제3부는 해당 조약의 면세 조항이 재산세에만 국한된다고 판결했으며,[96] 같은 해 12월 1일 뉴욕주 항소 법원도 이 판결을 확정했다.[97]
세네카족은 자신들의 면세 혜택을 비원주민 사업자에게까지 확대하는 것을 거부했으며, 보호 구역 내에서 세네카족의 가격 우위를 이용하려 한 비원주민을 기소하기도 했다. 리틀 밸리의 사업가 로이드 롱은 세네카족 여성 명의로 유니-마트 두 곳을 운영하다가 위장 회사 운영 혐의로 연방 당국의 조사를 받고 기소되었다. 2011년 법원은 그에게 100만달러 이상의 배상금과 5년의 보호 관찰을 명령했다.[99]
1997년 뉴욕주가 보호 구역에서 비원주민에게 판매되는 휘발유와 담배에 대한 과세를 시도하자, 세네카족은 타이어에 불을 지르고 I-90과 뉴욕주 17호선(현 주간 고속도로 86호선)의 교통을 차단하는 등 격렬하게 항의했다.[100]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엘리엇 스피처는 신용카드 회사, 담배 회사, 배송 서비스 업체 등과 협력하여 세네카족의 인터넷 담배 판매를 차단하려는 금융적 디플랫폼 방식을 시도했다.[101] 2006년 3월 1일로 예정되었던 과세 시도는 주 재무부에 의해 연기되었다.[102]
=== 지속되는 분쟁과 법적 대응 ===
엘리엇 스피처 주지사가 2007년 예산안에 담뱃세 수입으로 2억달러를 포함시키자, 세네카족은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보호 구역을 통과하는 I-90 이용자에게 통행료를 징수하겠다고 발표하고 1954년의 고속도로 관련 합의를 파기했다.[106] 일부에서는 캐난다이과 조약에 따라 미국이 이미 세네카족 영토 통행권을 보장받았으므로 해당 합의 자체가 불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107]
2008년 데이비드 패터슨 주지사 역시 예산안에 관련 세수 6200만달러를 포함시켰고, 담배 제조업체와 도매업체가 뉴욕주 내에서 면세 담배를 판매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하도록 강제하는 법안에 서명했다.[108] 2011년 6월 21일, 뉴욕 내 모든 면세 단체가 면세 담배를 공급받지 못하도록 하는 법이 발효되었다. 세네카족은 이 법의 효력을 정지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항소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109] 다만 뉴욕주는 이 법을 비원주민 회사가 생산한 주요 담배 브랜드에 대해서만 집행했으며, 세네카족이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판매하는 담배 브랜드(주로 저가 브랜드)에 대해서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다.
한편, 뉴욕주가 원주민 보호 구역 내 비원주민 대상 판매에 대한 세법을 집행하도록 강제하려는 소송들도 제기되었다. 세네카 카운티와 뉴욕주 편의점 협회가 각각 소송을 제기했지만 기각되었고,[103][104] 평등을 위한 업스테이트 시민 소속의 다니엘 워렌이 제기한 소송 역시 소송 제기 자격이 없다는 이유로 기각되었다.[105]
6. 4. 카지노 사업
1980년대 뉴욕주 등 일부 주 정부가 재정 확보를 위해 복권과 같은 도박 사업을 허용하자,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도 자신들의 자치 구역 내에서 유사한 사업을 할 권리를 주장했다. 1980년대 후반 미국 연방 대법원의 판결로 연방 정부가 인정한 부족들은 자치 보호 구역 내에서 도박 사업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고, 세네카족 역시 빙고 게임을 시작으로 도박 산업에 참여했다.2002년, 세네카 네이션 오브 인디언스는 뉴욕주와 게임 협약(Gaming Compact)을 맺고 3개의 카지노 설립을 추진했다. 이를 위해 세네카 게이밍 코퍼레이션(Seneca Gaming Corporation)을 설립하여 운영을 맡겼다. 현재 세네카족은 나이아가라 폭포의 세네카 나이아가라, 살라망카의 세네카 앨러게니, 그리고 버팔로의 세네카 버팔로 크릭 카지노 등 세 곳의 카지노를 운영하고 있다.[110][84]
특히 세 번째 카지노인 버팔로 크릭 카지노 설립 과정에서는 일부 시민 단체의 반대와 법적 논란이 있었다. 카지노 부지가 인디언 게이밍 규제법(IGRA) 상 도박이 허용되는 지역인지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고,[84] 2008년에는 법원에서 해당 부지가 도박 가능 토지가 아니라는 판결을 내리기도 했다.[111][112] 이러한 논란과 더불어 2008년 미국 전역의 경기 침체로 인해 버팔로 카지노 건설이 일시 중단되고 기존 카지노 인력이 감축되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114]
6. 4. 1. 카지노 설립과 운영
1980년대 뉴욕주를 비롯한 일부 주 정부는 세수 확보를 위해 주가 운영하는 복권 등 도박 사업을 허용하기 시작했다. 이에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도 자신들의 자치 구역 내에서 유사한 사업을 할 권리를 주장했다. 1980년대 후반 미국 연방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연방 정부가 인정한 부족들은 자치 구역 내에서 도박 사업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고, 세네카족 역시 다른 주나 부족들처럼 빙고 게임을 시작으로 도박 산업에 뛰어들었다.2002년, 세네카 네이션 오브 인디언스는 뉴욕주와 게임 협약(Gaming Compact)을 체결하여 3개의 3급 도박 시설, 즉 카지노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위해 세네카 게이밍 코퍼레이션(Seneca Gaming Corporation)을 설립하여 카지노 운영을 관리하도록 했다. 세네카 네이션 오브 인디언스가 운영하는 주요 카지노는 다음과 같다.
| 카지노 명칭 | 위치 | 비고 |
|---|---|---|
| 세네카 나이아가라 | 나이아가라 폭포 |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온라인 운영 재개[110] |
| 세네카 앨러게니 | 살라망카 | |
| 세네카 버팔로 크릭 카지노 | 버팔로 시내 | 2007년 임시 개장, 2013년 영구 건물 이전. 설립 관련 법적 분쟁 발생.[84] |
세 번째 카지노인 세네카 버팔로 크릭 카지노 건설은 버팔로 시내에서 시작되었다. 2007년, 세네카족은 연방 정부의 승인을 받아 버팔로 내 토지에 임시 카지노를 열어 주와의 합의 조건을 충족시켰으며, 2013년에는 영구 건물로 이전했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모든 인디언 도박, 특히 버팔로 카지노 설립에 반대했다. 세네카족이 관리하는 토지가 인디언 게이밍 규제법(IGRA)에서 정의한 도박 허용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커졌다.[84]
버팔로의 정치, 경제, 문화계 지도자들을 포함한 일부 시민 단체들은 카지노가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시의 경제 및 사회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84] 반대 단체로는 '평등을 위한 업스테이트 시민(Upstate Citizens for Equality)'과 '더 나은 버팔로를 위한 시민(Citizens for a Better Buffalo)' 등이 있었다. 이들은 2008년, 카지노 부지의 법적 상태를 문제 삼아 소송을 제기했고 승소했다.[111] 해당 부지는 세네카족의 원래 보호 구역이 아니었으나, 주와의 합의를 통해 이전된 땅이었다.
2008년 7월 8일, 미국 지방 법원의 윌리엄 M. 스크레트니 판사는 세네카 버팔로 크릭 카지노가 도박이 허용되지 않는 토지에 위치한다고 판결했다.[112] 이에 국립 인디언 게임 위원회는 세네카족의 계획을 검토하고 항소 가능성을 고려했다.[113] 세네카족은 5일 이내에 답변하거나 벌금 및 강제 폐쇄 조치를 당할 위기에 처했지만, 위원회 명령에 불복하고 항소할 것이라고 밝혔다.[113]
한편, 미국 전역의 경기 침체로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2008년 여름, 세네카족은 버팔로의 신규 카지노 건설을 중단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운영 중이던 3개 카지노에서 직원 210명을 해고하기도 했다.[114]
6. 4. 2. 버팔로 카지노 논란
세네카 네이션 오브 인디언스는 2002년 뉴욕주와의 게임 협약에 따라 나이아가라 폭포의 세네카 나이아가라와 살라망카의 세네카 앨러게니 외에 세 번째 카지노인 세네카 버팔로 크릭 카지노를 버팔로 시내에 건설하기 시작했다. 2007년 연방 정부 승인 후 임시 카지노를 열었으며, 2013년 영구 건물로 이전했다.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버팔로 카지노 설립에 반대했다. 특히 카지노 부지가 연방 인디언 게임 규제법(IGRA)에서 정한 도박 가능 지역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법적 문제가 제기되었다.[84] "버팔로의 정치, 비즈니스, 문화 지도자들의 광범위한 연합"을 포함한 시민 단체들은 카지노가 도시의 경제 및 사회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하며 반대 운동을 펼쳤다.[84] '평등을 위한 업스테이트 시민', '더 나은 버팔로를 위한 시민' 등의 단체는 2008년 카지노 부지의 법적 상태를 문제 삼아 소송을 제기했고 승소했다.[111] 해당 부지는 세네카족의 원래 보호 구역의 일부가 아니었지만 주와의 합의로 이전된 땅이었다.
2008년 7월 8일, 미국 지방 법원 판사 윌리엄 M. 스크레트니는 해당 부지가 도박 가능 토지가 아니라고 판결했다.[112] 국립 인디언 게임 위원회는 관련 규정을 검토했으며, 세네카족은 법원 명령에 불복하고 항소 의사를 밝혔다.[113]
이러한 법적 논란과 더불어 전국적인 경기 침체로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2008년 여름, 세네카족은 버팔로의 새로운 카지노 건설을 중단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운영 중인 3개 카지노에서 직원 210명을 해고하기도 했다.[114]
6. 5. 방송 사업
세네카족은 라디오 방송국 면허를 신청하고 구매하기 위해 공식 방송 부서인 "세네카 방송"을 설립했다. "세네카 방송"은 2009년 초 랜디 마이클스로부터 리틀 밸리 마을 외곽에 위치한 상업용 FM 라디오 방송국(105.9MHz)을 인수했다. 이 방송국은 WGWE라는 이름으로 살라망카 시에 스튜디오를 두고 클래식 히트곡 형식으로 2010년 2월 1일에 방송을 시작했으며, 2021년 12월 매각될 때까지 세네카족이 소유하고 운영했다. 이전에 어빙 지역에서 89.3MHz 비상업용 FM 방송국 면허를 신청했으나, 타 지역 종교 방송사와 상호 배타적인 문제에 직면하기도 했다.7. 문화
세네카족의 문화는 이로쿼이 연맹의 다른 부족들과 유사성을 가지면서도 독자적인 특징을 발전시켜 왔다. 이들의 사회는 모계 사회를 기반으로 한 씨족 제도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여러 세대가 함께 장막집에서 생활하는 공동체 문화를 이루었다. 또한, 생존과 밀접하게 관련된 활쏘기와 같은 전통 기술 역시 중요한 문화 요소로 자리 잡았다.
7. 1. 사회 구조
세네카족 사회의 핵심은 모계 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씨족 제도이다. 씨족은 ka'sä:te'|see라 불리며, 각 씨족은 한 명의 여성 조상으로부터 내려온 후손 집단으로 여겨진다. 세네카족은 총 8개의 씨족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다시 '동물'과 '새'라는 두 개의 큰 측면(모이에티)으로 나뉜다.[25][26]| 측면 | 씨족 (세네카어) | |||||||||||||||||||||||||||||||||||||||||||||||||||||||||||||||||||||||||||||||||||||||||||||||||||||||||||||||||||||||||||||||||||||||||||||||
|---|---|---|---|---|---|---|---|---|---|---|---|---|---|---|---|---|---|---|---|---|---|---|---|---|---|---|---|---|---|---|---|---|---|---|---|---|---|---|---|---|---|---|---|---|---|---|---|---|---|---|---|---|---|---|---|---|---|---|---|---|---|---|---|---|---|---|---|---|---|---|---|---|---|---|---|---|---|---|---|---|---|---|---|---|---|---|---|---|---|---|---|---|---|---|---|---|---|---|---|---|---|---|---|---|---|---|---|---|---|---|---|---|---|---|---|---|---|---|---|---|---|---|---|---|---|---|---|---|---|---|---|---|---|---|---|---|---|---|---|---|---|---|---|---|
| 동물 측 | 곰 ({{lang|see|nygawai'|} | })
| 씨족 이름 (한국어) | 씨족 이름 (세네카어) |
|---|---|
| 곰 | nygawai'see |
| 늑대 | aga̓ta:yö:nihsee |
| 거북이 | ha'no:wa:hsee |
| 비버 | nöganya'göhsee |
| 사슴 | neogësee |
| 매 | gaji'da:ssee |
| 물닭 | nödzahgwë'see |
| 백로 | jo̙äshä'see |
이 씨족들은 두 개의 '측면'(모이에티)으로 나뉘는데, 곰, 늑대, 거북이, 비버 씨족은 '동물' 측에 속하고, 사슴, 매, 물닭, 백로 씨족은 '새' 측에 속한다.[26]
이로쿼이족(세네카족 포함)은 모계 사회의 친족 관계를 가지고 있어, 상속과 재산은 어머니 혈통을 따라 이어진다. 여성이 씨족을 관리하며, 아이들은 어머니의 씨족에 속하고 어머니 가족으로부터 사회적 지위를 얻는다. 전통적으로 아이들에게는 생물학적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남자 형제가 더 중요한 인물이었다. 각 씨족의 최고 어른인 여성은 "씨족 어머니"라고 불린다. 이로쿼이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외교에 대한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씨족 어머니"는 족장들의 주요 결정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그들을 자리에서 물러나게 할 권한을 가졌다.
7. 3. 활쏘기
세네카 지역의 화살은 주로 쪼개진 히코리 나무로 만들었으며, 층층나무나 산분꽃나무의 잔가지도 사용되었다. 화살 깃은 동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2개의 깃털을 붙이는 방식을 따랐으나, 3개의 깃털을 방사형으로 붙이는 방식도 사용되었다.[28]미국의 스미스소니언 협회에는 1908년에 기증된 세네카족의 활이 보관되어 있다.[27] 이 활은 다른 재료를 덧대지 않은 히코리 나무로만 만들어졌으며, 길이는 끝에서 끝까지 약 142.88cm에 달한다. 활시위는 남아있지 않지만, 시위를 걸었을 때는 양 끝이 살짝 뒤로 휜 리커브 형태를 띤 좋은 "D"자 모양을 이루었을 것으로 보이며, 큰 사냥감을 잡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활의 끝부분(팁) 모양이 불규칙한데, 이는 이 지역 활의 전형적인 특징이다.[28]
8. 주요 인물
| 이름 | 원주민 이름 | 생몰년/활동 시기 | 주요 업적/직업 | 출처 |
|---|---|---|---|---|
| 가버너 블랙스네이크 | Thë:wö:nya'ssee | [119] | ||
| 가이아수타 | ||||
| 디스트로이 타운 | Onondakaisee | [1] | ||
| 레드 재킷 | Sagoyewathasee | 1750년경 ~ 1830년 | 족장, 웅변가 | [1] |
| 리틀 비어드 | Si-gwa-ah-doh-gwihsee | |||
| 마리스 브라이언트 피어스 | Ha-dya-no-dohsee, 스위프트 러너 | 1811년 ~ 1874년 | 변호사, 토지 권리 운동가, 통역가 | [122] |
| 메리 제미슨 | Deh-he-wä-nissee | |||
| 샌포드 플러머 | Ga-yo-gwa-dokesee | 예술가, 작가 | ||
| 세이엔케라그타 | Kayen?a?kwaahtonhsee | c. 1707년 ~ 1786년 | "올드 킹"으로 알려짐 | |
| 아서 C. 파커 | Gawaso Wannehsee | 인류학자, 작가 | [121] | |
| 앨리스 리 제미슨 | 저널리스트, 활동가 | |||
| 엘리 S. 파커 | Donehogawasee | [1] | ||
| 영 킹 | Koyengquahtahsee | [123] | ||
| 존 모호크 | Sotsisowahsee | |||
| 존 빅 트리 | [116] | |||
| 존 아서 깁슨 | Skanyadai'iyosee | 세네카 족 족장 | [120] | |
| 조지 헤론 | ||||
| 제시 콘플랜터 | Hayonhwonhishsee | 1889년 ~ 1957년 | 전통 예술가 | [118] |
| 캐서린 몬투어 | ||||
| 콘플랜터 | Gaiänt'wakêsee | 1730년대 ~ 1836년 | 군사 지도자 | [117] |
| 트레이너 오라 하프타운 | ||||
| 필리스 바르도 | Gayanögwadsee | 1934년 ~ | 작가, 세네카어 교육자 | [124] |
| 하프 킹 | Tanacharisonsee | |||
| 핸섬 레이크 | Sganyodaiyosee | 1735년 ~ 1815년 | 종교 지도자 | [1] |
참조
[1]
Census
2000 Census
[2]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3]
웹사이트
Culture
https://sni.org/cult[...]
2020-06-11
[4]
웹사이트
The Western Door
https://www.discover[...]
2023-08-24
[5]
웹사이트
History
https://sni.org/cult[...]
2024-04-30
[6]
웹사이트
Seneca Nation of Indians - Official Website
https://sni.org/
2024-08-07
[7]
논문
The Seneca Nation from 1655 to 1687
https://books.google[...]
2024-04-22
[8]
웹사이트
Richmond History: Native American Presence, Honeoye Lake
https://www.owllight[...]
Owl Light News
2024-04-23
[9]
서적
An Anylitical History of the Seneca Indians
https://books.google[...]
New York State Archaeological Association, Lewis Henry Morgan Chapter
2024-04-23
[10]
웹사이트
Saint George, the Serpent
http://www.crookedla[...]
2015-10-10
[11]
웹사이트
Canandaigua Lake, N.Y.: Of Indian Legends and Sylvan Trails
https://www.nytimes.[...]
2006-10-01
[12]
웹사이트
Bare Hill Unique Area
http://www.dec.ny.go[...]
2015-10-10
[13]
웹사이트
Who Built the "Old Fort" on Bare Hill
http://www.crookedla[...]
2015-10-10
[14]
논문
Dating the Iroquois Confederacy
http://www.uunia.org[...]
2010-05-23
[15]
Encyclopedia
Ganondaga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0-05-23
[16]
서적
The Death and Rebirth of the Seneca
New York: Vintage Books
1969
[17]
간행물
"The Migration of the Seneca Nation"
April, 1927
[18]
서적
The History of the Seneca Indians
Ira J. Freidman (1967); Empire State Historical Publications Series, XLIII
[19]
웹사이트
Native American – The Iroquoians of Huronia
https://www.britanni[...]
2021-02-02
[20]
지도
Seneca Nation of Indians v. State of New York
2002
[21]
문서
[22]
서적
The Westward Migration of the Munsee Indians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Challenge: An Algonquian Peoples Seminar. Map 4
Albany: New York State Bulletin No. 506
2005
[23]
서적
Changes in the Land: Indians, Colonists, and the Ecology of New England
New York: Hill and Wang
1983
[24]
서적
American Indians & National Parks
Tucson: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98
[25]
웹사이트
Clan Cards
https://senecalangua[...]
2023-05-10
[26]
서적
Handbook of the Seneca language
https://babel.hathit[...]
University of the State of New York, State Education Dept
1963
[27]
문서
Smithsonian Institution, Department of Anthropology, Catalogue Number E-248722
[28]
간행물
"Treasures of the Smithsonian. Part IV. Archery of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2010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뉴스
Invaders Came from the North
https://www.newspape[...]
1987-07-12
[34]
문서
[35]
서적
" Indian Paths of Pennsylvania. Map 5."
Pennsylvania Historical and Museum Commission
1965
[36]
서적
Documents Relative to the Colonial History of the State of New York
Weed, Parsons
[37]
문서
NYCD 13:114, 121, 124, 177–178, 184; See also The Senecas and the First Esopus War. NYCD, 13: 184–185.) In 1663 after the Second Esopus War, a Minnisink chief reported that the Seneca threatened to attack him (NYCD, 13:361.
[38]
문서
Seneca Power Over the Minnisink Indians
NYCD
[39]
문서
Folts at p. 34
[40]
논문
Incorporation and Colonization: Postcolumbian Iroquois Satellite Communities and Processes of Indigenous Autonomy
[41]
서적
The Lenape: Archaeology, History and Ethnography
New Jersey Historical Society
[42]
서적
The Minnisink Settlements: Native American Identity and Society in the Munsee Heartland, 1650–1778
National Park Service
[43]
문서
Grumet cites the Colonial Records of Pennsylvania, 8: 416)) By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the Munsee who had previously migrated to the upper Susquehanna region were living in Seneca communities.
[44]
문서
Merrill at pp. 90–97
[45]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46]
웹사이트
The League of the Iroquois {{!}} The Gilder Lehrman Institute of American History
https://www.gilderle[...]
2011-11-29
[47]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48]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49]
서적
The Iroquois in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archive.org/[...]
Syracuse University Press
[50]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51]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52]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53]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54]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55]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56]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57]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58]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59]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60]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61]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62]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63]
서적
Whirlwind: The American Revolution and the War That Won It
Bloomsbury Press
[64]
서적
Whirlwind
Bloomsbury Press
[65]
서적
Whirlwind
Bloomsbury Press
[66]
서적
Whirlwind
Bloomsbury Press
[67]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68]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New Review
[69]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70]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71]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How Common People Shaped the Fight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New Press
[72]
웹사이트
Founders Online: From George Washington to John Hanson, 26 September 1782
https://founders.arc[...]
2019-12-24
[73]
문서
[74]
간행물
Historic Aspects of the Phelps and Gorham Treaty of July 4–8, 1788
http://www.rochester[...]
Rochester Public Library
2008-01-05
[75]
웹사이트
Birth of a Nation
https://www.sni.org/[...]
Seneca Nation of Indians
2013-11-18
[76]
웹사이트
Seneca
https://www.endanger[...]
2022-02-18
[77]
웹사이트
Huge Push to Save Endangered Seneca Language
https://nnigovernanc[...]
2022-02-18
[78]
웹사이트
Researchers use AI to preserve Seneca language
https://www.rit.edu/[...]
2022-02-18
[79]
웹사이트
Allegany Seneca Language
https://sni.org/educ[...]
2022-02-18
[80]
서적
The Allegany Senecas and Kinzua Dam: forced relocation through two genera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9-10-19
[81]
웹사이트
Letter to the President of the Seneca Nation of Indians Concerning the Kinzua Dam on the Allegheny River
http://www.presidenc[...]
US Presidency, University of Santa Barbara
1961-08-11
[82]
AV media
As Long as the Grass Shall Grow: Peter La Farge Sings of the Indians
Folkways Records
1963
[83]
뉴스
Smokes cheap, tensions high
http://triblive.com/[...]
2011-06-05
[84]
뉴스
Temporary Seneca Casino Opens in Downtown Buffalo
https://www.nytimes.[...]
2009-03-24
[85]
웹사이트
Seneca Indian Law Suit, Grande Island, NY
http://www.isledegra[...]
isledegrande.com
[8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upstate-c[...]
2016-02-09
[87]
웹사이트
SENECA NATION OF INDIANS v. NEW YORK
http://caselaw.lp.fi[...]
2015-10-10
[88]
웹사이트
2005-06 Term Supreme Court Cases Related to Indian Law
http://narf.org/nill[...]
2024-03-08
[89]
뉴스
Court allows Seneca lawsuit on Thruway to proceed
https://www.observer[...]
2020-09-04
[90]
뉴스
Seneca Nation renews fight with New York over Thruway
https://apnews.com/a[...]
2018-04-12
[91]
뉴스
Seneca Nation sues N.Y., says Thruway illegally built on its territory
https://buffalonews.[...]
2018-04-12
[9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upstate-c[...]
2007-03-18
[93]
웹사이트
Highbanks Campground
http://camphighbanks[...]
2015-10-10
[94]
웹사이트
Seneca Indian Nation Approves Medical Marijuana Initiative
http://www.hightimes[...]
2016-02-25
[95]
웹사이트
Honor Indian Treaties - Learn More
http://www.honorindi[...]
2015-10-10
[96]
웹사이트
Snyder v. Wetzler, 193 A.D.2d 329
http://www.upstate-c[...]
2018-05-05
[97]
웹사이트
'Snyder v. Wetzler'', 84 N.Y.2d 941'
https://www.law.corn[...]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98]
뉴스
Local Man; Business Targets Of Multi Agency Raids
http://www.salamanca[...]
2011-07-10
[99]
뉴스
Cigarette sales scheme gets man 5 years’ probation
http://www.buffalone[...]
2011-07-10
[100]
웹사이트
Frens v State of New York (2006 NY Slip Op 51994(U))
http://www.courts.st[...]
2015-10-10
[101]
웹사이트
Attorneys General And Philip Morris USA Reach Landmark Agreement To Reduce Illegal Internet Cigarette Sales
http://www.oag.state[...]
Office of the NY Attorney General
[102]
웹사이트
www.ag.ny.gov - New York State Attorney General
http://www.oag.state[...]
2015-10-10
[10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upstate-c[...]
2006-12-31
[10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upstate-c[...]
2006-12-31
[105]
웹사이트
Warren v. Spitzer, Billet, Poloncarz and Erie County
http://www.upstate-c[...]
2015-10-10
[106]
뉴스
Senecas start billing state for Thruway use of land
https://buffalonews.[...]
2024-03-08
[107]
웹사이트
Seneca Nation To New York State: Bring It On
http://buffalogeek.w[...]
2009-01-14
[108]
웹사이트
GOV SIGNS INDIAN CIGARETTE TAX BILL
http://www.nypost.co[...]
2008-12-15
[109]
뉴스
Setback spurs Senecas to top N.Y. appeal
http://www.buffalone[...]
2011-06-21
[110]
웹사이트
Seneca Niagara Online
https://senecaniagar[...]
2021-11-02
[11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agnyinf.[...]
2007-01-14
[112]
웹사이트
Citizens Against Casino Gambling, et al. v. Philip Hogen, et al.
http://www.cagnyinf.[...]
[113]
뉴스
Battle for Buffalo Creek: Notice of Violation doesn't change operations
http://www.salamanca[...]
[114]
웹사이트
Unknown Future for Buffalo Creek Casino
https://archive.toda[...]
2009-03
[115]
웹사이트
NorthEast Radio Watch by Scott Fybush
http://www.fybush.co[...]
2015-10-10
[116]
서적
Fascinating Facts, Mysteries and Myths About U.S. Coins
Krause Publications
2009
[117]
웹사이트
Chief Cornplanter
http://www.portal.st[...]
Pennsylvania Historical and Museum Commission
2015-05-02
[118]
서적
The Biographical Directory of Native American Painter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5
[119]
웹사이트
Historic Seneca Leaders
http://sni.org/cultu[...]
2015-05-02
[120]
논문
The Biographical Essay of John A. Gibson (1850–1912), the Seneca Chief of the Six Nations Reserve, Ontario, Canada
https://tsukuba.repo[...]
Journal University of Tsukuba
2015-10-04
[121]
서적
To Be Indian: The Life of Seneca-Iroquois Arthur Caswell Parker, 1881–1955
https://books.google[...]
Oklahoma University Press
[122]
서적
Encyclopedia of the Haudenosaunee (Iroquois Confederac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0
[123]
서적
A history of the treaty of Big Tree : and an account of the celebration of the on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making of the treaty, held at Geneseo, N.Y., September the fifteenth, eighteen hundred ninety-seven
https://archive.org/[...]
Bunnell
1897
[124]
서적
onondowa'ga:' gwae:no'
https://senecalangua[...]
Seneca Nation Education Department
2023-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