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숟가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숟가락은 액체 또는 작은 고체 음식을 먹는 데 사용되는 식기이며,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사용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청동이나 은으로 만들어졌으며, 2024년 연구에 따르면 로마 시대의 작은 숟가락 모양 물건이 약물 투여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숟가락은 식사, 요리, 계량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테이블 스푼, 수프 스푼, 티스푼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금수저', '은수저'와 같은 표현은 사회경제적 계층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숟가락은 문화적 상징성을 가지기도 한다.

2. 역사

숟가락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스푼(spoon)'이라는 영어 단어는 '조각'을 뜻하는 고대 영어 'spon'에서 유래했다.[1]

2024년 폴란드 루블린의 마리아 퀴리-스클로도프스카 대학교 연구진은 스칸디나비아, 독일, 폴란드 전역 116개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된 로마 제국 시대의 작은 숟가락 모양 유물 241개를 분석했다. 이 유물들은 늪과 무덤에서 주로 발견되었으며, 지름 10~20mm의 작은 원반 형태에 전쟁 관련 물품과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진은 이 유물들이 전투 전 양귀비, , 대마, 독말풀 등 약물, 특히 흥분제를 투여하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6]

십자군 시대의 숟가락 (1017년), 핀란드 피르칼라의 투르시안노트코에서 발굴


초기 이슬람 세계에서는 숟가락을 수프를 먹는 데 사용했다.[7] 중세 시대 가정에서는 주로 소의 뿔이나 나무로 숟가락을 만들었지만, 15세기경에는 황동, 백랍, 래튼 숟가락도 흔히 사용되었다.[2] 왕실과 귀족 가문의 재고 목록에는 숟가락이 특별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기록되었다.[2] 잉글랜드에서는 1259년 유언장에서 처음으로 숟가락이 언급되었고,[2] 1300년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의 옷장 기록에는 백합 문양이 새겨진 금, 은 숟가락이 등장한다.[2] 영국 군주 대관식에 사용되는 12세기 숟가락은 영국 왕실 유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2]

''봉인 꼭대기''가 있는 중세 숟가락


튜더 시대에는 사도 숟가락 세트가 세례 선물로 인기를 끌었다.[2] 초기 영국 숟가락 손잡이는 도토리, 일반적인 손잡이, 다이아몬드 모양이었고, 16세기 말에는 난간과 봉인 끝 모양이 유행했으며, 숟가락 볼은 무화과 모양이었다.[2] 영국 왕정복고 시대에는 손잡이가 넓고 평평해졌으며, 볼은 넓고 타원형, 끝은 암사슴 발 모양으로 제작되었다.[2] 18세기 초에는 숟가락 볼이 좁고 타원형이 되었고, 뒷면에 혀나 쥐 꼬리 모양이 추가되었으며, 손잡이는 끝이 위로 굽어졌다. 1760년경에는 숟가락 볼 끝이 바닥보다 좁고 둥근 손잡이 끝이 아래로 굽어진 현대적인 형태가 나타났다.[2]

중국이나 한반도 등에서는 밥과 국 종류에는 숟가락이나 산련화를 사용하고, 반찬 종류에는 젓가락을 사용한다. 일본과 같이 "국그릇을 직접 입에 대고 국을 마시는" 습관은 없다.[18]

2. 1. 고대

고대 이집트에서는 상아, 부싯돌, 셰일, 나무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숟가락을 만들었으며, 이 중 많은 숟가락에는 종교적 상징이 새겨져 있었다.[2] 기원전 1000년 경에는 숟가락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16] 파라오나 서기 등 신분이 높은 사람들이 숟가락을 사용했다.[16] 고대 이집트에서는 화장품 조제용으로도 숟가락이 사용되었다.

신석기 시대 오지에리 문화가 있던 사르데냐에서는 이미 도자기로 만든 국자와 숟가락이 사용되었다. 상 왕조 시대의 중국에서는 뼈로 숟가락을 만들었다. 초기 중국의 청동 숟가락은 날카로운 모양으로 설계되었으며, 식기로도 사용되었을 수 있다.[3]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의 숟가락은 주로 청동과 은으로 만들어졌으며, 손잡이는 일반적으로 뾰족한 형태를 띠었다.[2] 고대 그리스인들은 숟가락을 ''미스트론''(μύστρον)이라고 불렀으며, 숟가락 모양으로 파낸 빵 조각을 사용하여 ''미스틸레''(μυστίλη)라고 불렀다.[4][5] 대영 박물관에는 다양한 종류의 숟가락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많은 예시가 있으며, 주요 차이점은 숟가락의 볼과 손잡이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견된다.[2]

로마 시대의 다양한 숟가락 (대영 박물관)


고대 로마의 스푼


고대 로마의 :en:Cochlearium

2. 2. 중국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에서 숟가락을 사용했다는 증거가 가장 오래되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5000년 전의 것으로 보이는 숟가락이 출토되었다. 주나라 때에는 국자 모양으로 생긴 숟가락을 사용하였다. 이 숟가락은 솥에서 삶은 고기를 꺼내기 위해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국시대 후기에 국자형 숟가락은 사라지고 입과 손잡이가 분리된 주걱 모양의 숟가락이 사용되었다. 밥 먹는 데 편한 모양으로 개량된 것이다. 그러나 명나라 이후 중국에서는 숟가락은 점차 쇠퇴하고 젓가락 중심의 음식 문화가 자리를 잡았다. 오늘날 중국 북쪽의 사람들은 만둣국을 먹을 때에만 숟가락을 사용한다.

2. 3. 한국

웅기 굴포리 서포항 유적에서 뼈피리와 함께 뼈숟가락이 발견되었다. 또, 라선특별시 유현동 초도유적에서도 짐승 뼈를 갈아서 만든 숟가락이 발견되었다.[26]

한국의 숟가락은 조선 전기까지는 중국의 것과 유사한 형태로 발전해 오다가 조선 중기 이후 독자적인 형태로 발달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숟가락의 자루는 길어지고 두꺼워지며 곧아졌다. 숟가락면은 둥글어지고 아래쪽이 점차 가늘어져서 오늘날의 형태로 되었다.

또한 음식문화가 점점 발달해 밥상에서 국을 먹는 문화가 정착되어, 국을 먹기 편리한 숟가락은 한민족의 밥상에서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다.

2. 4. 일본

일본에서는 야요이 시대에 이미 찰기가 있는 자포니카 계통의 쌀을 재배하였기 때문에 굳이 숟가락을 사용할 이유가 없었다고 주장한다.[25] 12세기 초 고급 관리였던 후지와라 요리나가가 베푼 연회 기록인 유취잡요초에는 숟가락을 사용한 기록이 있지만,[25] 이는 일부 귀족층에 한정된 것이었고, 일반 백성들에게는 숟가락이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

기원전 3세기경의 출토품에 숟가락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것은 의식용으로 생각된다.[19] 정창원 소장품 등에서도 숟가락이 보이며, 유적에서도 젓가락과 함께 출토되거나 그림에 그려지기도 하지만, 시대가 내려갈수록 숟가락은 점점 줄어든다.[20] 8세기 말부터 9세기 초에 상류층에서도 젓가락 식사로 전환된 것으로 추정된다.[21]

숟가락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어서, 상류 사회의 의식이나 접대 등에서는 계속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사원에서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숟가락을 사용했고, 1682년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취임 축하에도 사용된 기록이 있다.[21] 1719년 조선통신사였던 신유한의 『해유록』에도 오다와라 성에서 받은 접대에서 금은 젓가락과 숟가락이 사용되었다는 기술이 보인다.[22]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어,[23] 에도 시대에는 장군가나 다이묘의 시의를 숟가락을 사용하여 약을 계량하는 것에서 "오사지"라고 불렀으며, 의사가 환자를 포기하는 것을 가리켜 "스푼을 던지다"라는 비유 표현도 있다.[23]

메이지 말기에 현재 형태의 숟가락이 수작업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기계에 의한 대량 생산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이다. 현대 일본 가정에서는 숟가락을 양식이나 중화 요리에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고, 된장국 등 전통적인 국물 요리는 젓가락을 사용하고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입을 대고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식을 제공하는 음식점에서도 된장국이나 맑은 국에 숟가락이 함께 나오는 경우는 적다.

2. 5. 서양



유럽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도기나 뼈로 만든 숟가락이 사용되었다. 사르데냐에서는 도자기로 만든 국자와 숟가락이 이미 사용되었다.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에서는 주로 청동과 은으로 숟가락을 만들었으며, 손잡이는 뾰족한 형태였다. 대영 박물관에는 다양한 형태의 숟가락이 전시되어 있는데, 주로 숟가락의 볼과 손잡이 연결 부분에서 차이가 발견된다.[2]

중세 시대에는 소의 뿔이나 나무로 만든 숟가락이 일반적이었으며, 황동, 백랍, 래튼 숟가락도 15세기경부터 흔하게 사용되었다.[2] 왕실과 귀족 가문의 재고 목록에는 숟가락이 특별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 잉글랜드에서는 1259년 유언장에서 처음으로 숟가락이 언급되었으며,[2] 1300년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의 옷장 기록에는 백합 문양이 새겨진 금, 은 숟가락이 등장한다.[2] 영국 군주 대관식에 사용되는 12세기 숟가락은 영국 왕실 유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2]

튜더 시대에는 사도 숟가락 세트가 세례 선물로 인기를 끌었다.[2] 초기 영국 숟가락 손잡이는 도토리, 일반적인 손잡이, 다이아몬드 모양이었고, 16세기 말에는 난간과 봉인 끝 모양이 유행했으며, 숟가락 볼은 무화과 모양이었다.[2] 영국 왕정복고 시대에는 손잡이가 넓고 평평해졌으며, 볼은 넓고 타원형, 끝은 암사슴 발 모양으로 제작되었다.[2]

18세기 초에는 숟가락 볼이 좁고 타원형이 되었고, 뒷면에 혀나 쥐 꼬리 모양이 추가되었으며, 손잡이는 끝이 위로 굽어졌다. 1760년경에는 숟가락 볼 끝이 바닥보다 좁고 둥근 손잡이 끝이 아래로 굽어진 현대적인 형태가 나타났다.[2] 나이프, 포크와 함께 숟가락을 사용하는 식사 방식은 19세기경에 확립되었다.

3. 종류와 용도

숟가락은 그릇(bowl)과 자루로 구성되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재료 또한 스테인리스강, , , 놋쇠, 니켈 등의 금속, 나무, 도기, , , 플라스틱 등 다양하다. 숟가락은 , 설탕, 시럽을 처리하거나, 재료를 젓고, 섞고, 으깨는 등 다양한 조리 과정에도 활용된다. 또한, 약품을 다루거나 화장품을 조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조지아-빅토리아 시대의 잉글랜드 스털링 실버 식기 숟가락 (c. 1790~c. 1850)


다음은 용도에 따른 숟가락의 종류이다.

  • 수프 스푼: 수프를 먹기 위한 크고 둥근 그릇이 있다.
  • 크림 수프 스푼: 둥글고 표준 수프 스푼보다 약간 짧다.
  • 티스푼: 작고, 차나 커피를 저어 마시기에 적합하며, 요리에서 부피를 측정하는 단위로도 쓰인다.
  • 큰 스푼: 가정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30] 아이스크림과 수프에 사용하기도 한다.
  • 국물 스푼: 수프 스푼보다 약간 작은 둥근 모양의 그릇이다.
  • 캐비어 스푼: 일반적으로 자개, 금, 동물 뿔 또는 나무로 만들어지지만 은은 풍미에 영향을 줄 수 있다.[31]
  • 중국 스푼: 깊고 평평한 그릇에서 직접 튀어나온 짧고 두꺼운 손잡이가 있는 수프 스푼의 일종이다.
  • 커피 스푼: 애프터눈 커피 컵에 사용하는 작은 스푼(커피 스푼은 보통 티스푼보다 작음)
  • 디저트 스푼: 티스푼과 큰 스푼 사이의 중간 크기로 디저트를 먹을 때나 수프나 죽을 먹을 때 사용한다.
  • 달걀 스푼: 반숙 달걀을 먹을 때 사용하는 스푼으로, 티스푼보다 손잡이와 그릇이 짧고 끝이 뾰족하지 않고 넓게 둥글며 껍질에서 반숙 달걀을 꺼낼 수 있도록 디자인된 스푼이다.[32]

3. 1. 식사용

숟가락은 주로 수프, 스튜, 아이스크림과 같은 액체 또는 반액체 음식과 , 설탕, 시리얼, 완두콩과 같이 포크로 쉽게 집어 올릴 수 없는 아주 작거나 가루로 된 고체 음식을 먹을 때 사용한다.[27] 동남아시아에서는 숟가락이 식사 시 주로 사용되는 도구이며, 포크는 숟가락에 밥과 같은 음식을 올려놓거나 음식을 찌를 때 사용한다.[28]

식사용 숟가락은 식사 시 음식물을 뜨고, 섞고, 입으로 가져가는 용도로 사용된다.[14]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에서는 '숟가락과 포크' 세트를 식기로 사용하기 때문에 칼처럼 단단한 것을 자르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베트남에서도 고추를 썰 때 등에 칼처럼 사용된다.

숟가락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29]

종류설명
테이블 스푼스튜수프 등의 요리를 큰 접시에서 개인 접시로 덜어낼 때 사용한다.
수프 스푼스튜수프를 먹을 때 사용하며, 앞부분이 둥글다.
디저트 스푼디저트나 과일을 먹을 때 사용하며, 테이블 스푼보다 작다.
티스푼홍차커피를 저을 때 사용하는 작은 숟가락이다.
커피 스푼커피에 설탕을 넣거나 저을 때 사용하며, 티스푼보다 작다.
산렌게중국 요리에 사용되는 숟가락이다.


3. 2. 조리용


  • 계량 스푼: 설탕, 소금, 간장, 식초, 기름 등의 조미료를 계량한다. 테이블 스푼은 15ml, 티스푼은 5ml를 담을 수 있다.[14]
  • Slotted spoon영어: 접시 모양 부분에 구멍이 뚫려 있어, 고형물만 건져 올릴 수 있다.

3. 3. 기타

약시는 약재를 계량하거나 섞는 데 사용한다.[15] 멕시코에서는 숟가락을 뷰러 대용으로 사용하여 속눈썹 손질에 사용하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유아 세례 (명명식) 때 행해지는 돌잡이에 숟가락이 사용되며, 옛날에는 그 아이의 "집안 신분"이나 빈부에 따라 재질이 달랐기 때문에 "은수저"(en)는 부유한 집의 상징이었고, "나무 숟가락"은 빈곤이나 최하위를 상징했다(:en:Wooden spoon (award) 참조). 현재는 명명식에 모두 주변에서 선물받은 은수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골프클럽의 3번 우드는 원래 헤드가 움푹 들어가 있어서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스푼이라고 불린다. 생물학에서 생물의 형태를 형용할 때, 선단부가 타원형 등으로 폭이 넓어진 것을 "숟가락 모양", "숟가락형"이라고 표현한다. 폭이 그렇게 넓어지지 않은 것은 주걱 모양 등이라고 한다. 생물의 국명으로는 사지란, 사지바끈끈이주걱, 사지아재비, 갯사철 등의 예가 있다.

스즈카 서킷에는 식기 숟가락과 닮은 데서 유래된 코너 "스푼 커브"가 있으며, 더 나아가 그 코너를 유래로 한 부품 제조사도 있다. 유리 게라 등, 마술 중 하나로 숟가락을 구부리는 행위가 보인다.

일본 국내에서의 초기 학교 급식에서는 "찌르고 먹는" 것과 "떠서 먹는"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편리함 때문에 1950년대 즈음부터 선단부가 "M"자형으로 된 "포크 스푼"이 사용되었다. 학교 급식에서 한동안 포크 스푼이 널리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개밥"을 유발할 수 있고 "젓가락 사용법을 모르는 아이들이 늘어난 것"의 원인으로 여겨져 폐지되고 있다.

1978년에는 나고야의 라면 체인 "스가키야"에서 면과 수프를 함께 먹을 수 있도록 숟가락과 포크를 합친 "라면 포크"가 개발되었다. 2007년에 여성 디자이너 타카하시 마사미에 의해 디자인이 리뉴얼되었다. 기네스 세계 기록 인정 종목으로는 "몸 위에 깔끔하게 놓인 숟가락의 최다 개수"가 있다.[24]

4. 문화와 언어

"은수저를 물고 태어나다"라는 표현은 부유한 환경에서 태어났음을 의미하며, 이는 세례식 때 은수저를 선물하는 서양의 풍습에서 유래했다.[1] 숟가락은 악기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의사가 환자를 포기하는 것을 가리켜 "스푼을 던지다"라는 비유 표현을 사용하는데[23], 한국어에서는 '숟가락을 놓다'라는 표현이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이는 식사를 마쳤다는 의미 외에, 더 이상 가망이 없다는 비유적인 의미로도 사용된다.

영국에서는 세례식에 숟가락을 선물하는 관습이 있었고, 신분이나 빈부에 따라 재질이 달랐다. 여기서 유래한 "born with a silver spoon in one's mouth(은수저를 물고 태어났다)"라는 표현은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것을 의미한다.

그 외에도 "to have a spoon in every man's dish(남의 밥그릇에 숟가락을 들이대다)"라는 속담도 있다.

5. 한국 사회와 숟가락

한국 사회에서 숟가락은 단순한 식사 도구를 넘어 사회경제적 계층을 상징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른바 '금수저', '은수저', '흙수저'와 같은 표현은 부모의 재산과 사회적 지위에 따라 개인의 삶의 조건이 결정된다는 인식을 반영한다.

과거 학교 급식에서는 찌르고 떠먹는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포크 스푼'이 널리 사용되었다. 1950년대부터 사용된 포크 스푼은 편리함 때문에 인기를 끌었지만, '개밥'을 연상시킨다는 점과 젓가락 사용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다.[24]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숟가락으로 상징되는 사회적 불평등 문제에 주목하고, 이를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참조

[1] OED spoon
[2] EB1911 Spoon
[3]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Fermentations and Food Sci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Cena https://www.perseus.[...]
[5]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Mystile https://www.perseus.[...]
[6] 웹사이트 Barbarian warriors in Roman times used stimulants in battle, findings suggest https://phys.org/new[...] 2024-12-02
[7] 서적 Daily Life in the Medieval Islamic World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8] 웹사이트 South China Seas Culture & Cuisine http://www.satayusa.[...]
[9] 웹사이트 UKTV Food: Recipes: Southeast Asian cuisine http://uktv.co.uk/fo[...]
[10] 서적 Savory Baking: 75 Warm and Inspiring Recipes for Crisp, Savory Baking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2013-05-14
[11] 서적 The School Kitchen Textbook: Lessons in Cooking and Domestic Science for the Use of Elementary Schools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1915
[12] 성경 Bible
[13] 웹사이트 spoon https://www.merriam-[...]
[14] 웹사이트 意匠分類定義カード(C6) https://www.jpo.go.j[...] 특허청 2014-03-08
[15] 웹사이트 メキシコ人は“バッチリメイク” http://www.e384.com/[...] TELE PLANNING INTERNATIONAL INC 2013-02-17
[16] 웹사이트 To Spoon or Not to Spoon: the History of the World's Favorite Utensil https://frozendesser[...]
[17]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뉴스 2020년 4월 12일 중일신문 조간 일요판 1면 중일신문 2020-04-12
[19] 서적 日韓の食事作法 : 作法の相違とその作法形成の原因を中心に https://cir.nii.ac.j[...] 甲南大学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ギネス世界記録 2014 KADOKAWA 2013-09-12
[25] 문서 일본의 민속학자 이시게 나오미즈
[26] 백과사전 두산백과사전
[27] 웹인용 What is spoon use? https://foodly.tn/ti[...] foodly.tn 2023-11-08
[28] 웹인용 South China Seas Culture & Cuisine http://www.satayusa.[...] www.satayusa.com 2023-11-08
[29] 웹인용 61 Different Types of Spoons & Their Uses https://worstroom.co[...] worstroom.com 2023-11-08
[30] 웹인용 Choose the Kind of Spoon That Fits Your Usage Better https://bestkidsmeal[...] bestkidsmeals.com 2023-11-08
[31] 웹인용 The Caviar Spoon: Mother of Pearl Spoon https://spoons.wiki/[...] spoons.wiki 2023-11-08
[32] 웹인용 The 25 Different Types of Spoons, Explained https://rethority.co[...] rethority.com 2023-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