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사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명사문자는 히브리어로 "יהוה" (YHWH)로 표기되며, 네 개의 자음(요드, 헤, 바브, 헤)으로 구성된 단어이다. 이는 유대교에서 하나님의 고유한 이름을 지칭하며, 정확한 발음과 사용에 대한 다양한 논쟁이 존재한다. 고대 히브리인들은 이 이름을 직접 발음하는 것을 꺼려 '아도나이'(나의 주)로 대체했으며, 칠십인역에서는 '퀴리오스'(주)로 번역되었다. 현대에는 '야훼' 또는 '여호와'로 발음되며, 한국어 성경에서도 번역에 따라 다르게 표기된다.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종교적 의미를 가지며, 예술 작품에도 신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테트라그라마톤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 네 개의 히브리어 자음(י ,ה ,ו ,ה)으로 구성된다. 각 자음의 이름과 발음은 다음과 같다.
2. 어원 및 발음
히브리어 성경은 אֶהְיֶה אֲשֶׁר אֶהְיֶה|에헤예 아셰르 에헤예|he라는 공식으로 이를 설명하는데, 이는 출애굽기 3:14에서 모세에게 계시된 하나님의 이름이다.[7] Y-H-W-H는 "있다, 존재하다, 발생하다"를 뜻하는 히브리어 삼자 어근 היה|h-y-h|he에서 파생되었으며, 영어의 "he"에 해당하는 3인칭 남성 י|y-|he 접두사가 붙어[8][9] "존재하게 하는 자",[10] "그는 존재한다"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테트라그라마톤이 הוה|h-w-h|he라는 삼자 어근에서 유래했다고 제안하는데,[11] 이 어근은 היה|h-y-h|he의 고대 중복형이며, 이 또한 동일한 번역을 유도한다. 현대 학자들은 YHWH가 동사 형태를 나타낸다고 보며, 'y-' 접두사는 히브리어 성경에 나타난 것처럼 동사 'hyh' ("있다")의 3인칭 남성 동사 접두사를 나타낸다.[12]
2. 1. 히브리어 표기
정확히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히브리어 성경으로) 읽고 쓰는 4개의 문자는 위와 같다.
2. 2. 발음의 역사
고대 히브리인들은 신명사문자를 직접 발음하는 것을 꺼려 아도나이(אֲדֹנׇי|나의 주he)로 대체했다. 아도나이 뒤에 신명사문자가 나올 때는 "아도나이 아도나이"라고 부르지 않고, "아도나이 엘로힘"(אֲדֹנׇי אֱלֹהִים|나의 주 하나님he)이라고 불렀다.[13][14]그리스어 성경, 특히 신약에서는 Κύριος|퀴리오스grc(주)로, 라틴어에서는 도미누스(Dominus, 주)로 번역한다. 영어에서는 로드(Lord)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다. 한국어 공동번역에서는 야훼로, 개역한글판, 개역개정판, 신세계역 등에는 여호와로 번역한다.

히브리어 문자의 모든 문자처럼, YHWH의 문자들은 원래 자음을 나타냈다. 무성 성경 히브리어에서는 대부분의 모음이 쓰이지 않지만, 일부는 모음을 나타내는 이차적인 기능을 갖게 되면서 모호하게 표시되었다. 모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히브리어 문자는 (matres lectionis, "읽기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단어의 철자를 보고 발음을 추론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테트라그라마톤의 네 글자 각각은 개별적으로 ''mater lectionis'' 역할을 할 수 있다.
서기 5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마소라 학자들은 히브리 성경의 자음 텍스트에 읽기를 돕기 위해 모음 부호를 추가했다. 읽을 단어(''qere'')가 쓰여진 텍스트의 자음(''ketiv'')과 다른 경우, 여백에 ''qere''를 쓰고 ''qere''의 모음 부호를 ''ketiv''에 썼다. 몇몇 빈번한 단어는 여백 주석을 생략했는데, 이를 qere perpetuum이라고 한다.
테트라그라마톤은 빈번한 경우 중 하나였는데, 후기 랍비 유대교 관습에 따르면 발음하지 않고 (, 단수형으로 취급되는 Pluralis majestatis)로 읽거나, 이전 단어나 다음 단어가 이미 Adonai인 경우, "Elohim"(/"하나님")으로 읽어야 했다. 이 두 단어의 모음 구두점을 자음 YHVH에 쓰면 각각 와 가 생성되며, 각각 "Yehovah"와 "Yehovih"로 철자가 될 유령 단어가 된다.
마소라 본문의 가장 오래된 사본인 ''알레포 코덱스''와 ''레닌그라드 코덱스''(10~11세기)는 대부분 (''yəhwā'')를 쓰고 첫 번째 ''h''에는 구두점이 없다. 이는 ''o'' 구두점이 ''Adonai''와 ''Elohim''을 구별하는 데 유용하지 않아 중복되거나, ''qere''가 (''šmâ''), 즉 "이름"에 해당하는 아람어이기 때문일 수 있다.

칠십인역 구약성경 판본(4세기 필사본 바티칸 사본, 시나이 사본, 알렉산드리아 사본)은 마소라 본문에 테트라그라마톤이 히브리어로 있는 곳에 일관되게 Κ[ύριο]ς, 즉 "주"를 사용한다. 이는 히브리어 단어를 읽을 때 테트라그라마톤을 "아도나이"로 대체하는 유대교 관행과 일치한다.[83][84]
그러나 가장 오래된 필사본 중 5개(단편)는 테트라그라마톤을 다른 방식으로 그리스어로 번역한다.[85]
- 기원전 1세기: 푸아드 파피루스 266 (그리스어 텍스트 중간에 일반적인 히브리어 문자로 사용), 4Q120 (그리스어 음역 ΙΑΩ 사용).
- 후대 필사본: 나할 헤베르의 그리스어 소 예언서, 옥시링쿠스 파피루스 3522, 옥시링쿠스 파피루스 5101 (팔레오-히브리어 문자로 사용).[86]
칠십인역 또는 고대 그리스어 필사본의 다른 고대 단편들은 히브리어 텍스트의 테트라그라마톤에 대응하여 테트라그라마톤, Κύριος 또는 ΙΑΩ 사용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지 않는다. (라이랜드 파피루스 458 포함)[87]
학자들은 칠십인역 번역에서 테트라그라마톤이 Κύριος,[88][89] ΙΑΩ,[90] 일반 또는 팔레오-히브리어 형태의 테트라그라마톤으로 표현되었는지, 아니면 번역자마다 다른 형태를 사용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
프랭크 쇼는 테트라그라마톤이 서기 2~3세기까지 발음되었으며, Ιαω의 사용이 푸아드 파피루스 266과 같은 맥락에서도 정상적이었다고 주장한다. 칠십인역에서 신성한 이름의 단일한 원래 형태를 가정하는 이론은 "선험적인" 가정이라고 비판하며, 칠십인역 번역 초기 단계가 다양성으로 특징지어졌고, 특정 신성한 이름의 선택은 맥락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창 4:26; 출 3:15; 8:22; 28:32; 32:5; 33:19 참조). 칠십인역 필사본의 빈칸과 4Q120, 푸아드 파피루스 266b에서 신성한 이름 주변 여백을 언급하며, "하나의 '원래' 형태가 아니라 번역자들이 서로 다른 감정, 신학적 신념, 동기, 관행을 가지고 있었다"고 반복한다. 그의 견해는 앤서니 R. 마이어,[91] 밥 베킹,[92] D.T. 루니아의 지지를 받았다.[93]
모겐스 뮐러는 칠십인역 유대교 필사본에서 Κύριος가 테트라그라마톤을 나타내는 것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당시 다른 유대교 저작물은 유대인들이 신을 위해 Κύριος라는 용어를 사용했음을 보여주며, 그리스도인들이 칠십인역에서 그것을 발견했기 때문에 그리스도에게 적용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94] 칠십인역 외경(지혜, 마카베오기 2서와 3서)은 신을 Κύριος로 언급하며, "를 나타내는 수단으로서의 κύριος의 사용은 기독교 이전의 기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95]
유진 J. 펜티우크는 테트라그라마톤을 나타내는 일관된 ''Κύριος''의 사용을 "모든 기독교 칠십인역 필사본의 특징"이라고 불렀지만, "결정적인 결론은 아직 도출되지 않았다."고 말한다.[96] 션 맥도너는 Κύριος가 기독교 시대 이전에 칠십인역에 나타나지 않았다는 생각을 비난한다.[97]
나할 헤베르의 그리스어 소 예언서는 칠십인역 카이게 개정본으로, "기원전 2~1세기경 성경 히브리어 텍스트에 더 가깝게 하기 위한 고대 그리스어 텍스트 개정본"이다. 크리스틴 드 트로이어는 "개정본 문제는 원래 형태와 개정본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팔레오-히브리어 테트라그라마톤은 부차적인 것인가, 개정본의 일부인가, 고대 그리스어 텍스트의 증거인가? 이 논쟁은 해결되지 않았다."고 말한다.
일부는 푸아드 파피루스 266이 원래 텍스트에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이전 번역인 κύριος의 고대화 및 히브리화 개정본"으로 본다.[98] 드 트로이어는 이 파피루스에 대해 "개정본인가 아닌가?"라고 묻는다. 에마누엘 토브는 두 번째 필사자가 첫 번째 필사자가 Κύριος에 충분한 공간을 남겨둔 곳에 테트라그라마톤을 삽입했다고 언급하고, 피터스마와 한하르트는 "이미 히브리어 텍스트(테트라그라마톤이 있었을)를 향한 일부 [헥사플라] 이전 교정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한다. 히브리어 텍스트에 테트라그라마톤이 있는 곳에 Θεός와 παντοκράτωρ가 있는 칠십인역 필사본도 언급하며, "오래된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증인에서 하나님은 많은 이름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 기원전 2세기까지 발음되었다. 발음하지 않는 전통이 발전하면서 테트라그라마톤 대안이 나타났다. ''아도나이''를 읽는 것이 그 중 하나였다. ''Kurios''가 표준 렌더링이 되기 전에 ''Adonai'', 하나님의 이름은 ''Theos''로 렌더링되었다."고 결론짓는다. 출애굽기에서만 Θεός는 테트라그라마톤을 41번 나타낸다.
로버트 J. 윌킨슨은 나할 헤베르의 그리스어 소 예언서 또한 카이게 개정본이므로 칠십인역 텍스트가 아니라고 말한다.[99]
오리겐(''시편 주해'' 2.2)은 가장 정확한 필사본에서 이름이 사각형이 아닌 팔레오-히브리어 문자인 히브리어의 더 오래된 형태로 기록되었다고 말했다. "더 정확한 사본에서는 (신성한) 이름이 히브리어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의 문자가 아니라 가장 고대적인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 피터스마는 이 진술을 칠십인역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만, 윌킨슨은 오리겐이 히브리어 텍스트를 매우 밀접하게 따르는 아킬라의 시노페 버전을 특별히 언급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지만, 아마도 일반적으로 그리스어 버전을 언급할 수도 있다고 말한다.[100]
테트라그라마톤은 이스라엘 민족 사이에서 사용되었다는 것 외에는 확증이 없고, 그럴듯한 어원이 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학자들은 그 이름이 출애굽기 3:14에서 모세에게 드러난 하나님의 이름 "אֶהְיֶה אֲשֶׁר אֶהְיֶה / 에헤예 아셰르 에헤예"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다. YHWH는 "있다, 된다, 실현한다"의 히브리어 3자음 어근 היה에서 파생된 변형(h-w-h)에, 3인칭 남성형 접두사 "y-"가 붙은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성사문자는 "존재하게 하는 그(he who causes to exist)"나 "있는 그(he who is)" 등으로 번역될 수 있는 구절로 여겨진다.
그러나 현대 학계에서는 |אֶהְיֶה אֲשֶׁר אֶהְיֶהhe가 민간 어원(유래에 언어학적 근거 없음)으로, 테트라그라마톤 본래의 의미가 잊혀진 시대에 생겨난 신학 용어라고 생각한다.
히브리 문자도 모두 그렇지만, YHWH의 문자는 처음부터 자음만으로 표기되었다. 니쿠드가 찍히지 않은 성서 히브리어에는 모음의 대부분이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특정 문자가 모음을 나타내는 부차적인 기능을 하므로 일부는 모호하게 표시되어 있다. 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히브리 문자는 준모음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어떤 단어가 어떻게 발음되는지를 그 철자에서 추측하기는 어려우며, 테트라그라마톤에 있는 4개의 문자 각각이 준모음으로 개별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수 세기 후, 히브리어 성서(타나크)원래의 자음 문자에는 읽기를 보조하는 모음 부호가 마소라 학자들에 의해 첨가되었다. 낭독되는 단어(케레)가, 기재된 문장(케티브)의 자음으로 표시된 것과 다른 부분에서는, 읽는 법을 나타내는 주석으로 그들은 여백에 케레를 기록했다. 그런 경우, 케레의 모음 부호가 케티브 위에 기록되었다. 몇 개의 빈출 단어에 관해서는 이 덧붙인 주석이 생략되었다.
이 빈출어 중 하나가 테트라그라마톤이며, 후대의 유대교 랍비의 관습에 따르면 그것을 발음해서는 안 되며 "아도나이(אֲדֹנָי/나의 주님)"라고 읽거나, 전후 단어에 아도나이가 이미 있는 경우에는 "엘로힘(אֱלֹהִים/신)"이라고 읽어야 했다. 성사 문자에 이들 2단어의 모음의 발음 구별 부호를 넣어 쓰면, 각각יְהֹוָה 및 יֱהֹוִה가 생성되어, 각각 "Yehovah" 및 "Yehovih"로 표기되는 유령어가 만들어진다.
10세기 또는 11세기의 알레포 사본이나 레닌그라드 사본과 같은, 티베리아어 발성에 의한 마소라 본문의 가장 오래된 완전(또는 거의 완전)한 사본에서는, 대부분이 (yhwah)라고 적혀 있으며, 첫 번째 h에는 니쿠드가 전혀 붙어 있지 않다. 이것은 발음 부호가 아도나이와 엘로힘을 구별하는 데 유용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무의미하기 때문이거나, 케레가 아람어의 "그 이름"인 (šəmâ)임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2. 3. 현대의 발음
학자들은 테트라그라마톤의 원래 발음이 '야훼'(יַהְוֶה|야훼he)였을 것으로 추정한다.[15][16] R. R. Reno는 1천년 후반에 유대교 학자들이 히브리어 성경에 모음을 삽입했을 때 그들이 발음한 것이 "아도나이"(주님)였다는 것을 암시했으며, 비유대인들이 나중에 아도나이의 모음을 테트라그라마톤의 자음과 결합하여 "여호와"라는 이름을 만들었다는 것에 동의한다.[17] 폴 주옹과 무라오카 다카미츠는 "케레는 '주님'이고, 케티브는 아마도 (고대 증언에 따르면)"라고 말하며, "참고 1: 우리의 번역에서 우리는 학자들이 널리 받아들이는 형태인 '야훼'를 전통적인 '여호와' 대신 사용했다."라고 덧붙였다.[18] 1869년, 당시 저명한 학자들의 공동 저작물인 ''스미스 성경 사전''은 "그러므로 단어의 정확한 발음이 무엇이든, 그것이 '여호와'가 아니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거의 없다."라고 선언했다.[19] 마크 P. 아놀드는 '야훼'로 발음하는 것에서 도출된 특정 결론은 학자들의 합의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유효할 것이라고 언급한다.[20] 토마스 뢰머는 "Yhwh의 원래 발음은 '야호' 또는 '야후'"라고 주장한다.[21]한국어 성경에서는 공동번역은 '야훼'로, 개신교의 개역한글판, 개역개정판, 신세계역 등은 '여호와'로 번역한다.
3. 역사적 배경
테트라그라마톤(신명사문자)의 원래 발음은 "야훼(''Yahweh'')"였다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이다.[187] 6-10세기경 유대인 학자들이 히브리어 성경 타나크에 모음 부호를 추가하면서, 테트라그라마톤의 발음을 "아도나이"로 지시했다.[184] 이후 비유대인들이 아도나이의 모음을 테트라그라마톤의 자음과 결합하여 "여호와(''Jehovah'')"라는 이름을 만들었다.[171] 그러나 현대 학계에서는 "야훼(''Yahweh'')"로 발음되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한다.[188] 폴 주에옹과 무라오카 다카미츠는 "케레(읽는 방식)가 יְהֹוָהhe/주이며, 케팁(쓰는 방식)은 고대 증거에 따르면 아마도 יַהְוֶהhe이다"라고 주장했다.[189]
1869년 스미스 성경 사전은 "그 단어의 진정한 발음이 여호와(''Jehovah'')가 아님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라고 언급했다.[190] 토마스 뢰머는 Yhwh의 원래 발음이 "야호(''Yahô'')" 또는 "야후(''Yahû'')"였다고 주장한다.[192]
종교 개혁 시기에 개신교 번역 성경에서 테트라그라마톤 대신 "여호와(Jehovah)"를 채택하면서 정확성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다. 1711년 에이드리언 릴랜드는 여호와 채택에 대한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는 내용을 담은 서적을 출판했다.
19세기 빌헬름 게제니우스는 테트라그라마톤의 원래 발음을 יַהְוֹהhe/야[w]오(''Yah[w]oh'')" 또는 יַהְוֶהhe/야훼(''Yahweh'')"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근거를 제시하고, יְהֹוָהhe/예호바(''Yehovah'')를 지지하는 17세기의 작가들의 주장을 인용했다.[193]
3. 1. 성경 외 문헌


기원전 840년경에 만들어진 모압 비석은 이스라엘 신 ''야훼''를 언급한다.[35]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쿤틸레트 아지루드의 도기 조각과 석고 비문에는 "사마리아의 야훼와 그의 아세라", "테만의 야훼와 그의 아세라"라는 구절이 있다.[36] 키르벳 엘-콤의 무덤 비문에도 야훼가 언급되어 있다.[37][38]
기원전 7세기경 케테프 히놈에서 발견된 두 개의 작은 은 부적 두루마리에도 야훼가 언급되어 있으며,[40] 기원전 6세기 말 키르벳 베이트 레이의 무덤 벽 비문에서도 야훼에 대한 언급이 발견되었다.[41]
야훼는 라키스 서신(기원전 587년)과 그보다 약간 앞선 텔 아라드 파편, 그리고 게리짐 산에서 발견된 돌(기원전 3세기 또는 2세기 초)에서도 언급된다.[42]
3. 2. 성경 속 등장
창세기 2장 4절에 처음 등장하며, 전도서, 에스더기, 아가에는 등장하지 않는다.[62][63] 마소라 본문에는 총 6,828회 등장한다.[57] 키텔의 ''히브리어 성경''과 ''슈투트가르트 히브리어 성경''에서 확인할 수 있다.사해 문서에서는 고대 히브리어 문자로 쓰거나, 정사각형 문자 또는 네 개의 점이나 대시(''tetrapuncta'')로 대체되었다.[80] 필사자들은 하느님의 이름을 발음하는 것을 경고하기 위해 'tetrapuncta'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81]
4. 종교적 의미와 해석
제2성전 시대부터 야훼를 발음하는 대신 '아도나이(나의 주)' 또는 '하쉠(그 이름)'으로 대체하는 전통이 생겼다.[13] 랍비 문헌들은 테트라그라마톤의 신성함을 강조하며 함부로 발음하거나 쓰는 것을 엄격히 금지했다.[14]
마소라 학자들은 히브리 성경에 모음 부호를 추가하면서, 테트라그라마톤에 '아도나이' 또는 '엘로힘'의 모음을 붙여 '예호와'(Yehovah) 또는 '예호위'(Yehovih)와 같은 형태를 만들었다. 이는 읽을 때 대체어를 사용해야 함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했다.[13][14]
탈무드는 테트라그라마톤 발음을 엄격히 금지하며, "자신의 글자로 이름을 발음하는 자는 내세에 참여할 수 없다!"라고 경고한다.[133] 할라카에서는 '아도나이' 또는 '엘로헤이누'(우리 하나님) 등으로만 발음해야 한다고 규정한다.[134][135]
카발라 전통에서는 테트라그라마톤에 특별한 신비적 의미를 부여했다. 13세기 스페인 카발라 학파들은 테트라그라마톤의 글자 조합과 발음을 통해 신의 속성과 우주의 비밀을 탐구했다. 이들은 올바른 발음이 극소수에게만 전해진다고 믿었으며, 이를 통해 신과 소통하고 영적인 힘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유대교 전통에 따라 테트라그라마톤을 '주'(그리스어: Κύριος|퀴리오스grc, 라틴어: Dominus|도미누스la)로 번역했다.[146] 종교 개혁 이후 일부 개신교 번역에서 '여호와'라는 음역을 사용했다. 가톨릭 교회는 전통적으로 '주'로 번역했으나, 최근 일부 번역에서 '야훼'를 사용하기도 한다.[155][156][157] 2008년 교황청은 전례에서 테트라그라마톤 발음을 금지하는 지침을 발표했다.[161]
기독교 성경 번역본은 대부분 테트라그라마톤을 ''아도나이''에 해당하는 단어로 사용해 왔다. 16세기 초에 ''아도나이''의 모음을 테트라그라마톤 자음과 결합한 번역본이 나타났다.[126][127]
القرآنar은 테트라그라마톤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초기 랍비 전통의 해석과 유사하게 그 의미에 대한 지식을 반영하여 이 이름을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166] القرآنar이 테트라그라마톤을 포함하는 히브리 성경 구절을 재해석할 때 때때로 테트라그라마톤을 "주"로 대체하기 때문에, 테트라그라마톤이 언급되지 않은 것은 القرآنar의 구두 전달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القرآنar은 후기 고대 시대에 대화했던 유대교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테트라그라마톤의 발음을 피하는 것으로 보인다.[166]
4. 1. 유대교
제2성전 시대부터 야훼를 발음하는 대신 '아도나이(나의 주)' 또는 '하쉠(그 이름)'으로 대체하는 전통이 생겼다.[13] 이 관습은 후기 랍비 유대교에서 더욱 강조되었는데, 랍비 문헌들은 테트라그라마톤의 신성함을 강조하며 함부로 발음하거나 쓰는 것을 엄격히 금지했다.[14]마소라 학자들은 히브리 성경의 자음 본문에 모음 부호를 추가하면서, 테트라그라마톤에 '아도나이' 또는 '엘로힘'의 모음을 붙여 '예호와'(Yehovah) 또는 '예호위'(Yehovih)와 같은 형태를 만들었다. 이는 실제 발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읽을 때 대체어를 사용해야 함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했다.[13][14]
탈무드를 비롯한 랍비 자료들은 테트라그라마톤을 발음하는 것을 엄격히 금지하며, "자신의 글자로 이름을 발음하는 자는 내세에 참여할 수 없다!"라고까지 경고한다.[133]
할라카에서는 테트라그라마톤이 쓰여진 형태와는 달리, '아도나이' 또는 '엘로헤이누'(우리 하나님) 등으로만 발음해야 한다고 규정한다.[134][135]
카발라 전통에서는 테트라그라마톤에 특별한 신비적 의미를 부여했다. 13세기 스페인에서 발전한 카발라 학파들은 테트라그라마톤의 글자 조합과 발음을 통해 신의 속성과 우주의 비밀을 탐구했다. 이들은 테트라그라마톤의 올바른 발음이 극소수에게만 전해진다고 믿었으며, 이를 통해 신과 소통하고 영적인 힘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4. 2. 기독교
초기 기독교인들은 유대교의 전통에 따라 테트라그라마톤을 '주'(그리스어: Κύριος|퀴리오스grc, 라틴어: Dominus|도미누스la)로 번역했다.[146] 종교 개혁 이후 일부 개신교 번역에서 '여호와'라는 음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가톨릭 교회는 전통적으로 '주'로 번역해 왔으나, 최근 일부 번역에서 '야훼'를 사용하기도 한다.[155][156][157] 2008년 교황청은 전례에서 테트라그라마톤의 발음을 금지하는 지침을 발표했다.[161]기독교 성경 번역본은 대부분의 역사 동안 테트라그라마톤을 나타내기 위해 ''아도나이''에 해당하는 단어를 사용해 왔다. 16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아도나이''의 모음을 테트라그라마톤의 자음과 결합한 기독교 성경 번역본이 나타났다.[126][127]
4. 3. 이슬람교
القرآنar은 테트라그라마톤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초기 랍비 전통의 해석과 유사하게 그 의미에 대한 지식을 반영하여 이 이름을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166] 테트라그라마톤이 언급되지 않은 것은 القرآنar의 구두 전달 방식을 나타낼 수 있는데, 특히 القرآنar이 테트라그라마톤을 포함하는 히브리 성경 구절을 재해석할 때 때때로 테트라그라마톤을 "주"로 대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القرآنar은 후기 고대 시대에 대화했던 유대교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테트라그라마톤의 발음을 피하는 것으로 보인다.[166]5. 한국 사회와 테트라그라마톤
레닌그라드 사본에서는 테트라그라마톤(YHWH)에 אֲדֹנָיhe/아도나이(Adonai) 또는 אֱלֹהִיםhe/엘로힘(Elohim)의 모음 부호를 붙인 6가지 표기가 발견된다.[227][228][229][230][231][232]
장과 절 | 마소라 본문 표기 | 근사 음역 표기 | 설명 |
---|---|---|---|
창세기 2:4 | Yǝhwāh | 히브리어 성경에 처음 나타나는 테트라그라마톤이며, 마소라 본문에서 사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모음 표기이다. | |
창세기 3:14 | Yǝhōwāh | 마소라 본문에서 드물게 사용되는 모음으로, 아도나이의 모음과 본질적으로 같다. | |
사사기 16:28 | Yĕhōwih | 테트라그라마톤이 아도나이로 먼저 (모음을) 부여받은 경우, 대신 엘로힘의 모음을 받았다. | |
창세기 15:2 | Yĕhwih | 엘로힘의 모음을 사용한다. | |
열왕기상 2:26 | Yǝhōwih | 첫 번째 h/헤 위에 호람이 있다. | |
에제키엘서 24:24 | Yǝhwih | 첫 번째 h/헤 위에 있는 호람이 생략되었다. |
- '''ĕ'''는 하타프 세골이다.
- '''ǝ'''는 슈와의 쉬운 발음 형태이다.
5. 1. 한국 개신교
개역한글판, 개역개정판 등 한국 개신교 성경 번역본에는 '여호와'라는 번역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는 찬송가, 기도, 설교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163] '여호와'라는 명칭은 일제강점기 기독교 탄압에 맞서는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5. 2. 한국 가톨릭
가톨릭교회에서는 전통적으로 불가타 성경의 번역을 따라 하느님의 이름을 '도미누스'(Dominus, 주)로 번역해왔다.[125] 1979년 초판 노바 불가타에서는 세 곳에서 '야훼'(Iahveh) 형태를 사용하기도 했으나,[155][156][157] 1986년 제2판에서는 다시 '도미누스'로 대체되었다.[158][159][160]2008년, 교황청은 전례에서 '야훼'(Yahweh)나 '여호와'(Yehovah)와 같은 발음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초기 기독교 전통을 따라 하느님의 이름을 '주님'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지시했다.[161] 미국 가톨릭 주교회의는 이를 환영하며, 신자들이 하느님 이름에 대한 경건함을 보일 기회라고 덧붙였다.[162]
이러한 지침에도 불구하고, 한국 가톨릭에서는 '야훼'라는 번역을 공식적으로 사용한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성경 번역에서 '야훼'를 사용하며, 미사와 기도문에서도 이를 따른다. 이는 하느님의 이름을 올바르게 부르고 그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가톨릭 교회의 노력을 반영한다.
5. 3. 사회적 논쟁
'여호와'와 '야훼'라는 번역을 둘러싼 논쟁은 한국에서 종교적 신념과 학문적 연구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는 한 사례이다.히브리어 문자 YHWH는 원래 자음만을 나타냈으나, 후대에 모음 표기가 추가되면서 다양한 발음이 가능해졌다. 특히 마소라 학자들이 추가한 모음 부호에 따라 '여호와' 또는 '야훼'와 같은 형태가 나타났다. 레닌그라드 사본에서는 테트라그라마톤(YHWH)에 아도나이(Adonai) 또는 엘로힘(Elohim)의 모음 부호를 붙인 6가지 표기가 발견된다.[227][228][229][230][231][232]
성경 구절 | 마소라 본문 표기 | 근사 음역 표기 | 설명 |
---|---|---|---|
창세기 2:4 | Yǝhwāh | 히브리어 성경에 처음 나타나는 테트라그라마톤. 가장 보편적인 모음 표기. | |
창세기 3:14 | Yǝhōwāh | 아도나이의 모음과 유사. | |
사사기 16:28 | Yĕhōwih | 엘로힘의 모음을 사용. | |
창세기 15:2 | Yĕhwih | 엘로힘의 모음을 사용. | |
열왕기상 2:26 | Yǝhōwih | 첫 번째 h/헤 위에 호람이 있지만, 하타프 세골은 슈와로 돌아감. | |
에제키엘서 24:24 | Yǝhwih | 첫 번째 h/헤 위에 있는 호람이 생략되었으며, 하타프 세골은 슈와로 돌아감. |
사해 문서에서는 테트라그라마톤이 고대 히브리 문자나 사각형 문자로 표기되거나, 4개의 점이나 가로선(테트라푼크타)으로 대체되기도 했다.[237] 이는 신의 이름을 함부로 발음하지 않기 위한 조치였다.
칠십인역 성경의 초기 사본들에서는 테트라그라마톤을 그리스어 '주'(Κύριος)로 번역하지 않고, ΙΑΩ(4Q120[86]) 등으로 음역하거나 히브리 문자(푸아드 파피루스 266[86])를 그대로 사용했다.
일부 종교 단체(특히 여호와의 증인)는 '여호와'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이는 때때로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6. 현대적 해석과 의의
테트라그라마톤(יהוה)은 하느님의 초월성과 내재성, 유일성과 보편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신학적 개념이다. 마소라 학자들은 히브리 성경의 자음 텍스트에 모음 부호를 추가하여 읽기를 도왔다.[13][14] 랍비 유대교 전통에 따라 테트라그라마톤은 발음하지 않고 אֲדֹנָי|아도나이he(나의 주님) 또는 אֱלֹהִים|엘로힘he(하나님)으로 읽도록 지시했으며, 이 두 단어의 모음 부호를 테트라그라마톤 자음에 쓰면 "Yehovah"와 "Yehovih"와 같은 유령 단어가 생성되었다.[13][14]
칠십인역 구약성경은 테트라그라마톤을 Κύριος(주)로 번역하여, 히브리어를 읽을 때 테트라그라마톤을 "아도나이"로 대체하는 유대교 관행과 일치시켰다.[83][84] 그러나 가장 오래된 칠십인역 필사본 중 일부는 그리스어로 다르게 번역했는데, 푸아드 파피루스 266은 그리스어 텍스트 중간에 일반적인 히브리어 문자로 יהוה를 사용했고, 4Q120은 그리스어 음역인 ΙΑΩ를 사용했다.[85] 나할 헤베르의 그리스어 소 예언서, 옥시링쿠스 파피루스 3522, 옥시링쿠스 파피루스 5101과 같은 후대 필사본은 팔레오-히브리어 문자로 יהוה를 사용했다.[86]
현대 신학은 테트라그라마톤을 통해 하느님과 인간, 세계와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16세기부터 예술가들은 신을 상징하거나[167] 신성한 영감을 나타내기 위해 신명사문자를 사용해 왔다.[168] 개신교 예술가들은 인간의 모습으로 신을 의인화하는 것을 피하고, 대신 하나님의 히브리어 이름을 썼는데, 이는 1530년부터 서적 삽화에 사용되었으며, 이후 동전과 메달에도 사용되었다.[169] 17세기부터 개신교와 가톨릭 예술가들은 교회 장식, 제단 위, 또는 프레스코화 중앙에 신명사문자를 사용했으며, 종종 빛줄기나 삼각형 안에 표현되었다.[170]
6. 1. 학문적 연구
테트라그라마톤은 고대 근동 언어학, 종교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현대 학자들은 YHWH가 동사 형태를 나타낸다고 본다. 여기서 ''y-'' 접두사는 히브리어 성경에서 나타난 것처럼 동사 ''hyh'' "있다"의 3인칭 남성 동사 접두사를 나타낸다.[12] 히브리어 성경에는 테트라그라마톤이 6,828번[201] 나타나며, 키텔의 『비블리아 헤브라이카』와 『비블리아 헤브라이카 슈투트가르텐시아』에서도 볼 수 있다. 유대 백과사전에 따르면, 히브리어 성경에는 5,410번[218] 나타난다. 여백 주석 또는 마소라는 134곳을 더 가리키고 있으며, 그곳은 기존의 문장에서는 아도나이/주라는 단어이지만, 이전 문장에는 테트라그라마톤이 있었음을 나타낸다[219][220]。 이것은 최대 142번 더 나타난다. 사해 문서에서도 테트라그라마톤의 사용에 관해 다양한 실천이 있었다[221]。 게제니우스의 어휘 목록 『Brown-Driver-Briggs』에 따르면, 마소라 본문에 (케레가 )는 6,518번, (케레가 )는 305번 나타난다.테트라그라마톤이 처음 나오는 것은 창세기 2:4절이다[222]。 테트라그라마톤이 나타나지 않는 책은 『전도서』, 『에스더기』, 『아가』뿐이다[201][223]。
축약형 디그라마톤인 /Yah는, 정형구 "할렐루야/hallellu-Yah"까지 포함하는 경우 50번 나타난다[224][225]。 내역으로는, 시편에 43번, 출애굽기에 2번, 이사야서에 4번이다.
다른 축약형은 성경의 신비로운 히브리어 이름의 구성 요소로 발견된다. 구체적으로는 jô- 또는 jehô-로 시작하는 29개의 이름, 그리고 -jāhû 또는 -jāh로 끝나는 127개의 이름이다. 이러한 형태는 엘리에나이(Elj(eh)oenai)라는 이름에도 나타난다.
가톨릭 백과사전(1910) 및 B.D. 에르드만스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기원전 1세기)는 Ἰαῶ|이아오grc라고 기록했다[265]。
- 이레나이우스(서기 202년 사망)는 영지주의가 사바오의 마지막 음절을 가진 복합어 Ἰαωθ|이아오트grc를 만들었다고 보고했다[266]。그는 또한 발렌티누스 학파의 이단자들이 Ἰαῶ|이아오grc를 사용한다고 보고했다[267]。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202년경 사망)는 "성소에 출입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만 전해지는 4글자의 신비로운 이름은 Ἰαοὺ|이아오우grc라고 불린다"고 보고했다. 사본의 변형으로는 ἰαοῦε|이아오우에grc나 ἰὰ οὐὲ|이아 오우에grc와 같은 형태도 있다[268]。
- 오리게네스(254년경 사망)는 Ἰαώ|이아오grc[269]。
- 티로의 포르피리오스(305년 사망)는 에우세비우스(339년 사망)[270]에 따르면 Ἰευώ|이에우오grc
- 에피파니우스(404년 사망)는 Ἰά|이아grc와 Ἰάβε|이아베grc(당시 야훼/ja'vε/로 발음)를 제시하고, Ἰάβε|이아베grc를 과거에도 지금도 항상 존재하는 그를 의미한다고 설명한다[271]。
- 히에로니무스(420년 사망)는 히브리어 문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음)를 그리스어 문자 ΠΙΠΙ(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음)라고 오해하여 YHWH를 pipi로 바꾼 그리스 작가에 대해 이야기한다[272]。
- 테오도레토스(457년경 사망)는 Ἰαώ|이아오grc라고 기록했다[273]。그는 또한 사마리아인이 Ἰαβέ|이아베grc 또는 Ἰαβαί|이아바이grc(둘 다 당시 야훼/ja'vε/로 발음)라고 하고, 유대인은 Ἀϊά|아이아grc라고 한다고 보고했다[274]。
- (가짜) 히에로니무스(4세기/5세기 또는 9세기)[275]는 IAHO. 이 저술은 전통적으로 히에로니무스의 것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일반적으로 9세기 작품으로 여겨지며[276], 진짜가 아니다[277][278]。
2세기경[279]의 페쉬타 역본(시리아어로 번역된 성경)은 테트라그라마톤에 "주"에 해당하는 시리아어 ܡܳܪܝܳܐ|몰요syr를 사용했다.[280]
6. 2. 신학적 의미
테트라그라마톤(יהוה)은 하느님의 초월성과 내재성, 유일성과 보편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신학적 개념이다.마소라 학자들은 히브리 성경의 자음 텍스트에 모음 부호를 추가하여 읽기를 도왔다. 테트라그라마톤의 경우, 랍비 유대교 전통에 따라 발음하지 않고 אֲדֹנָי|아도나이he(나의 주님) 또는 אֱלֹהִים|엘로힘he(하나님)으로 읽도록 지시했다. 이 두 단어의 모음 부호를 테트라그라마톤 자음에 쓰면 "Yehovah"와 "Yehovih"와 같은 유령 단어가 생성되었다.[13][14]
칠십인역 구약성경은 테트라그라마톤을 Κύριος(주)로 번역하여, 히브리어를 읽을 때 테트라그라마톤을 "아도나이"로 대체하는 유대교 관행과 일치시켰다.[83][84] 그러나 가장 오래된 칠십인역 필사본 중 일부는 테트라그라마톤을 그리스어로 다르게 번역했다. 푸아드 파피루스 266은 그리스어 텍스트 중간에 일반적인 히브리어 문자로 יהוה를 사용했고, 4Q120은 그리스어 음역인 ΙΑΩ를 사용했다.[85] 나할 헤베르의 그리스어 소 예언서, 옥시링쿠스 파피루스 3522, 옥시링쿠스 파피루스 5101과 같은 후대 필사본은 팔레오-히브리어 문자로 יהוה를 사용했다.[86]
칠십인역 번역에서 테트라그라마톤의 원래 표기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다. Κύριος, ΙΑΩ, 일반 또는 팔레오-히브리어 형태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프랭크 쇼는 테트라그라마톤이 서기 2세기 또는 3세기까지 계속 발음되었으며, Ιαω의 사용이 더 고상한 맥락에서도 정상적이었다고 주장한다.[90]
현대 신학은 테트라그라마톤을 통해 하느님과 인간, 세계와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6. 3. 문화적 영향
16세기부터 예술가들은 신을 상징하거나[167] 신성한 영감을 나타내기 위해 신명사문자를 사용해 왔다.[168] 개신교 예술가들은 인간의 모습으로 신을 의인화하는 것을 피하고, 대신 하나님의 히브리어 이름을 썼다. 이것은 1530년부터 서적 삽화에 사용되었으며, 이후 동전과 메달에도 사용되었다.[169] 17세기부터 개신교와 가톨릭 예술가들은 교회 장식, 제단 위, 또는 프레스코화 중앙에 신명사문자를 사용했으며, 종종 빛줄기나 삼각형 안에 표현되었다.[170]참조
[1]
문서
Pronounced {{IPAc-en|ˌ|t|ɛ|t|r|ə|ˈ|ɡ|r|æ|m|ə|t|ɒ|n}} {{respell|TET|rə|GRAM|ə|ton}}; {{etymology|grc|{{wikt-lang|grc|τετραγράμματον}}|[consisting of] four letters}}. Also known as the '''Tetragram'''.
[2]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07-12-23
[3]
논문
The Verb *yahway
https://doi.org/10.1[...]
[4]
문서
The form ''Yahweh'' is also dominant in Christianity, but is not used in Islam or Judaism.
[5]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20-05-19
[6]
서적
Theological Cartographies: Mapping the Encounter with God, Humanity, and Christ
Westminster John Knox Press
[7]
문서
"{{bibleverse||Exodus|3:14|HE}}"
[8]
웹사이트
Translation notes for Genesis Chapter 1 (KJV)
http://www.bluelette[...]
[9]
문서
It thus probably means "he causes to be, to become, etc." It has {{script|Hebr|הוה}} (''h-w-h'') as a variant form, ''The New [[Brown–Driver–Briggs]]-Gesenius Hebrew and English Lexicon With an Appendix Containing the Biblical Aramaic'' by Frances Brown, with the cooperation of S. R. Driver and Charles Briggs (1907), p. 217ff (entry {{script|Hebr|יהוה}} listed under root {{script|Hebr|הוה}}).
[10]
서적
From the Stone Age to Christianity: Monotheism and the Historical Process
Doubleday
[11]
웹사이트
NAS Exhaustive Concordance: 3068. Yhvh
https://biblehub.com[...]
[12]
서적
The Origin and Character of God: Ancient Israelite Religion through the Lens of Divin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Volume 3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6-10-29
[14]
서적
Jewish Philosophy: An Histor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6-10-29
[15]
서적
The Hebrew Bible: A Translation with Commentary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20-05-19
[16]
서적
Genesis
https://books.google[...]
Brazos Press
2020-05-19
[17]
서적
Genesis
https://books.google[...]
Brazos Press
2020-05-19
[18]
서적
A Grammar of Biblical Hebrew (Subsidia Biblica) - Part One: Orthography and Phonetics
Editrice Pontificio Istituto Biblio
[19]
서적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2020-07-04
[20]
학위논문
Revealing the Name: An Investigation of the Divine Character through a Conversation Analysis of the Dialogues between God and Moses in the Book of Exodus
http://eprints.glos.[...]
University of Gloucestershire
2020-02-08
[21]
서적
The Invention of Go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07-27
[22]
서적
The Mysterious Name of YHWH
Brill
[23]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Eerdmans
[24]
논문
Was Yahweh Originally a Creator Deity?
https://www.jstor.or[...]
[25]
서적
Understanding YHWH: The Name of God in Biblical, Rabbinic, and Medieval Jewish Thought
https://link.springe[...]
Palgrave Macmillan
[26]
서적
Decas exercitationum philologicarum de vera pronuntiatione nominis Jehova, quarum quinque priores lectionem Jehova impugnant, posteriores tuentur. Cum praefatione Adriani Relandi
https://books.google[...]
Johannis Coster
2020-11-10
[27]
서적
Thesaurus Philologicus Criticus Linguae Hebraeae et Chaldaeae veteris testamenti
https://books.google[...]
2020-11-17
[28]
서적
History of the Old Covenant
https://books.google[...]
[29]
서적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Including the Biblical Chaldee
https://books.google[...]
Crocker and Brewster
[30]
서적
Yahweh before Israel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서적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
https://books.google[...]
Eerdmans
2020-07-27
[3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Biblical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19
[33]
서적
The Origins of Biblical Monotheism: Israel's Polytheistic Background and the Ugaritic Tex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19
[34]
논문
The First Documented {{as written|Occu|rrence [sic]}} of the God Yahweh? (Book of the Dead Princeton 'Roll 5')
[35]
논문
"House of David" Restored in Moabite Inscription
http://www.cojs.org/[...]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36]
서적
Archaeology and Fertility Cult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Papers Presented at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chaeology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University of Malta, 2–5 September 1985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2020-05-19
[37]
서적
Gods, Goddesses, And Images of Go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998
[38]
서적
Only One God?: Monotheism in Ancient Israel and the Veneration of the Goddess Asherah
https://books.google[...]
A&C Black
2020-05-19
[39]
서적
Ancient Aramaic and Hebrew Letter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40]
서적
The Meaning of the Bible: What the Jewish Scriptures and Christian Old Testament Can Teach Us
HarperOne
[41]
간행물
Old Hebrew Inscriptions in a Burial Cave
[42]
서적
Ancient Hebrew inscriptions: Corpus and Concordance
Cambridge
[43]
서적
La religion des judéo-araméens d'Éléphantine
Geuthner
[44]
서적
Archives from Elephantine, The Life of an Ancient Jewish Military Colon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5]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Eerdmans
[46]
간행물
The Names of God. Their Pronunciation and Their Translation: A Digital Tour of Some of the Main Witnesses
http://www.lectio.un[...]
Theological Facility of Bern University
2009-12-09
[47]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Foreign Media Group
2020-07-29
[48]
서적
Patrologiae cursus completus, series graeca
https://books.google[...]
2020-07-28
[49]
백과사전
Tetragrammaton
https://www.jewishen[...]
[50]
서적
Patrologiae cursus completus, series graeca
https://books.google[...]
2016-03-03
[51]
문서
B. Alfrink, La prononciation 'Jehova' du tétragramme
[52]
백과사전
[53]
서적
The Greek Magical Papyri in Translation
https://fewarethemy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10-11
[54]
서적
Recipes for Love: A Semiotic Analysis of the Tools in the Erotic Magical Papyri
http://etheses.dur.a[...]
Durham University
2020-10-11
[55]
문서
K. Preisendanz, Papyri Graecae Magicae
[56]
웹사이트
AnsonLetter.htm
http://members.fortu[...]
Members.fortunecity.com
2011-11-18
[57]
백과사전
Tetragrammaton
http://www.jewishenc[...]
2021-02-02
[58]
문서
masora parva (small) or masora marginalis
[59]
서적
The Massorah. Translated into English with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https://archive.org/[...]
[60]
문서
C. D. Ginsburg in The Massorah. Compiled from manuscripts
[61]
서적
Pronunciation of the Tetragrammaton: A Historico-Linguistic Approach
https://books.google[...]
Lulu.com
2016-11-29
[62]
서적
The Bible translator
United Bible Societies
[63]
백과사전
Yahweh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20-02-24
[64]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96:11 תהילים – The Westminster Leningrad Codex
http://www.biblegate[...]
2015-02-25
[65]
웹사이트
The Name of Jehovah in the Book of Esther.
http://www.therain.o[...]
2016
[66]
서적
Yahweh: The Divine Name in the Bible
https://books.google[...]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2020-05-19
[67]
문서
G. Lisowsky, Konkordanz zum hebräischen Alten Testament
[68]
서적
Manual Greek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69]
문서
E. Jenni, C. Westermann, Theological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70]
웹사이트
Genesis 2:4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www.tanach.us[...]
Tanach.us
2011-11-18
[71]
웹사이트
Genesis 3:14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s://www.tanach.u[...]
Tanach.us
2024-03-30
[72]
웹사이트
Judges 16:28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www.tanach.us[...]
Tanach.us
2011-11-18
[73]
웹사이트
Genesis 15:2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www.tanach.us[...]
Tanach.us
2011-11-18
[74]
웹사이트
1 Kings 2:26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www.tanach.us[...]
Tanach.us
2011-11-18
[75]
웹사이트
Ezekiel 24:24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www.tanach.us[...]
Tanach.us
2011-11-18
[76]
서적
Archives from Elephantine: The life of an ancient Jewish military colon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7]
문서
Stern M., Greek and Latin Authors on Jews and Judaism (1974–84) 1:172; Schafer P., Judeophobia: Attitudes toward the Jews in the Ancient World (1997) 232; Cowley A., Aramaic Papyri of the 5th century (1923); Kraeling E.G., The Brooklyn Museum Aramaic Papyri: New Documents of the 5th century BCE from the Jewish Colony at Elephantine (1953)
[78]
문서
Sufficient examination of the subject is available at Sean McDonough's YHWH at Patmos (1999), pp. 116 to 122 and George van Kooten's The Revelation of the Name YHWH to Moses (2006), pp. 114, 115, 126–136. It is worth mentioning a fundamental, though aged, source about the subject: Adolf Deissmann's Bible studies: Contributions chiefly from papyri and inscriptions to the history of the language, the literature, and the religion of Hellenistic Judaism and primitive Christianity (1909), at chapter "Greek transcriptions of the Tetragrammaton".
https://archive.org/[...]
[79]
문서
Translated by: P. Muchowski, Rękopisy znad Morza Martwego. Qumran – Wadi Murabba'at – Masada, Kraków 1996, pp. 31.
[80]
문서
In some manuscripts the Tetragrammaton was replaced by the word 'El or 'Elohim written in Paleo-Hebrew script, they are: 1QpMic (1Q14) 12 3; 1QMyst (1Q27) II 11; 1QHa I (Suk. = Puech IX) 26; II (X) 34; VII (XV) 5; XV (VII) 25; 1QH{{sup|b}} (1Q35) 1 5; 3QUnclassified fragments (3Q14) 18 2; 4QpPs{{sup|b}} (4Q173) 5 4; 4QAges of Creation A (4Q180) 1 1; 4QMidrEschate?(4Q183) 2 1; 3 1; fr. 1 kol. II 3; 4QS{{sup|d}} (4Q258) IX 8; 4QD{{sup|b}} (4Q267) fr. 9 kol. i 2; kol. iv 4; kol. v 4; 4QD{{sup|c}} (4Q268) 1 9; 4QComposition Concerning Divine Providence (4Q413) fr. 1–2 2, 4; 6QD (6Q15) 3 5; 6QpapHymn (6Q18) 6 5; 8 5; 10 3. W 4QShirShabbg (4Q406) 1 2; 3 2 występuje 'Elohim'.
[81]
서적
Scribal Practices and Approaches Reflected in the Texts Found in the Judean Desert
https://books.google[...]
Brill
2020-08-06
[82]
문서
A complete list: A. Sanders, The Psalms Scroll of Qumran Cave 11 (11QPsa), serie Discoveries of the Judaean Desert of Jordan IV, pp. 9.
[83]
서적
A Greek-Hebrew/Aramaic Two-way Index to the Septuagint
Peeters Publishers
[84]
서적
A Concordance to the Septuagint: And the Other Greek Versions of the Old Testament (Including the Apocryphal Books)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85]
서적
Lord
Zondervan
[86]
서적
Manuscripts of the Greek Bible: An Introduction to Palae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19
[87]
서적
The Old Greek Psalter: Studies in Honour of Albert Pietersm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20-08-06
[88]
웹사이트
"ΚΥΡΙΟΣ – Articulation and Non-articulation in Greek Exodus" in Bulletin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eptuagint and Cognate Studies, volume 41 (2008), p. 23
http://ccat.sas.upen[...]
2020-08-06
[89]
웹사이트
Larry Perkins, "ΚΥΡΙΟΣ – Proper Name or Title in Greek Exodus", p. 6
https://nbseminary.c[...]
2020-08-06
[90]
서적
Qumran and the History of the Biblical Tex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08-06
[91]
웹사이트
The Earliest Non-Mystical Jewish Use of Ιαω
http://www.jhsonline[...]
2018-12-02
[92]
뉴스
ThLZ – 2016 Nr. 11 / Shaw, Frank / The Earliest Non-Mystical Jewish Use of IAO. / Bob Becking
http://www.thlz.com/[...]
Theologische Literaturzeitung, 241 (2016), pp. 1203–1205.
2018
[93]
서적
Philo of Alexandria: An Annotated Bibliography 1997-2006
https://books.google[...]
Brill
2020-05-19
[94]
간행물
The First Bible of the Church: A Plea for the Septuagint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6-03-03
[95]
간행물
The Reading and Translation of the Divine Name in the Masoretic Tradition and the Greek Pentateuch
http://journals.sage[...]
2020-08-25
[96]
서적
Septuagint Manuscripts and Printed E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6-03-03
[97]
서적
YHWH at Patmos: Rev. 1:4 in Its Hellenistic and Early Jewish Setting,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Mohr Siebeck
2016-03-03
[98]
서적
The Text of the Old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Biblia Hebraica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2020-08-06
[99]
서적
Tetragrammaton: Western Christians and the Hebrew Name of God – From the Beginnings to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2020-08-06
[100]
웹사이트
The Septuagint
http://orthodoxengla[...]
Orthodox England (journal)
2014-09-13
[101]
문서
Z. Aly, L. Koenen, Three Rolls of the Early Septuagint: Genesis and Deuteronomy, Bonn 1980, s. 5, 6.
[102]
서적
Sources and Interpretation in Ancient Judaism: Studies for Tal Ilan at Sixty
https://books.google[...]
Brill
2020-05-19
[103]
문서
Recently Discovered Greek Papyri and Parchment of the Psalter from the Oxford Oxyrhynchus Manuscripts: Implications for Scribal Practice and Textual Transmission
http://www.mst.edu.a[...]
[104]
서적
Ad Fontes: Original Manuscripts and Their Significance for Studying Early Christianity: Selected Essays
https://books.google[...]
Brill
2020-05-19
[105]
서적
The Earliest Christian Artifacts: Manuscripts and Christian Origins
https://books.google[...]
Eerdmans
2020-05-19
[106]
서적
Studien zur Palaeographie und Papyruskunde
H. Hassel-Verlag
[107]
서적
Manuscripts of the Greek Bible: An Introduction to Palae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1-09-17
[108]
간행물
Bibliotheca Historica
[109]
간행물
On the Detection and Overthrow of the So-Called Gnosis|Against Heresies
[110]
간행물
On the Detection and Overthrow of the So-Called Gnosis|Against Heresies
[111]
서적
Clementis Alexandrini Opera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12]
간행물
In Joh.
https://books.google[...]
[113]
간행물
Praeparatio evangelica
[114]
간행물
Panarion
https://archive.org/[...]
[115]
간행물
Ep. xxv ad Marcell.
[116]
간행물
Quaest. in I Paral.
https://archive.org/[...]
[117]
간행물
Ex. quaest.
[118]
간행물
Haeret. Fab.
https://books.google[...]
[119]
간행물
Zeitschrift für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
W. de Gruyter
[120]
웹사이트
British Library
http://www.bl.uk/man[...]
2020-09-23
[121]
서적
The Psalms in the Early Irish Church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22]
웹사이트
Manuscrits de Cîteaux
http://patrimoine.bm[...]
2020-09-23
[123]
문서
The Bible in the Syriac Tradition
https://archive.org/[...]
St. Ephrem Ecumenical Research Institute
[124]
논문
The Authorship of the Peshitta
[125]
서적
Jerome, Greek Scholarship, and the Hebrew Bible: A Study of the Quaestiones Hebraicae in Genesim
Clarendon Press, Oxford
[126]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of the New English Bible
http://www.bible-res[...]
[127]
웹사이트
Clifford Hubert Durousseau, "Yah: A Name of God" in ''Jewish Bible Quarterly'', Vol. 42, No. 1, January–March 2014
http://jbq.jewishbib[...]
2014-09-13
[128]
웹사이트
Names Of God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2011-11-18
[129]
서적
The Religion of Ancient Israel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16-03-03
[130]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A Reader's Introduction
Mayfield
[131]
문서
Yoma; [[Tosefta]] Sotah
[13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The Late Roman-Rabbinic Period
[133]
서적
Insights of Rabbi Joseph B. Soloveitchik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0-05-19
[134]
문서
Mishneh Torah
[135]
문서
Kiddushin
[136]
문서
HaShem: Uses through the Ages
Rabbinical Society Seminar, Los Angeles, California
[137]
문서
[138]
문서
[139]
문서
[140]
문서
[141]
웹사이트
Why do some Jews write "G-d" instead of "God"?
https://reformjudais[...]
2018-12-09
[142]
Webarchive
In קל"ח פתחי חכמה by Rabbi Moshe Chaim Luzzato, Opening #31; English translation in book "138 Openings of Wisdom" by Rabbi Avraham Greenbaum, 2008, also viewable at http://www.breslev.co.il/articles/spirituality_and_faith/kabbalah_and_mysticism/the_name_of_havayah.aspx?id=10847&language=english
https://web.archive.[...]
2012-03-12
[143]
문서
The Mystical Qabalah
[144]
서적
The Talmud Yerushalmi and Graeco-Roman culture: Volume 3 – Page 152
[145]
Citation
Samaritans Through the Ages
De Gruyter
2024-08-06
[146]
서적
The Annotated Luther, Volume 6: The Interpretation of Scripture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147]
웹사이트
The Name of God in the Liturgy
http://www.usccb.org[...]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148]
서적
The Bible in Cross Cultural Perspective
William Carey Publishing
[149]
웹사이트
BibliaHebraica.org, "The Septuagint"
https://web.archive.[...]
[150]
웹사이트
HTC: An Orthodox Critique of Bible Translations
http://www.holy-trin[...]
2014-09-15
[151]
웹사이트
orthodoxresearchinstitute.org
http://www.orthodoxr[...]
2014-09-15
[152]
서적
Eastern Orthodoxy through Western Eyes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20-05-19
[153]
서적
The Old Testament in Eastern Orthodox Tra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54]
서적
The Encyclopedia of Eastern Orthodox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55]
문서
[156]
문서
[157]
문서
[158]
문서
[159]
문서
[160]
문서
[161]
웹사이트
Letter of the Congregation for Divine Worship and the Discipline of the Sacraments (PDF)
http://www.liturgyof[...]
2016-05-17
[162]
웹사이트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Committee on Divine Worship (PDF)
https://web.archive.[...]
2014-05-15
[163]
서적
Commentary on the Lutheran Book of Worship: Lutheran Liturgy in Its Ecumenical Context
Augsburg Fortress
[164]
문서
"Sacred Name Bibles" p. 721, in Noss, Philip A., and Charles S. Houser, eds. ''A Guide to Bible Translation: People, Languages, and Topics.'' Maitland, FL: Xulon Press; and Swindon, UK: United Bible Societies
[165]
간행물
Sacred Name Bible Translations in English: A Fast-Growing Phenomenon
[166]
journal
Qur'anic Understandings of the Divine Name Yhwh
2024-03-04
[167]
서적
Barocke Sakristeien in Süddeutschland
Imhof
[168]
서적
Geography and Enlighten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9]
서적
The Paths of Daniel. Studies in Judaism and Jewish Culture in Honor of Rabbi Professor Daniel Sperber
Bar-Ilan University Press
[170]
서적
Zeitschrift für Kirchengeschichte (vol. 67)
University of Michigan
[171]
웹사이트
"テトラグラマトン"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172]
웹사이트
"ヤハウェ"
https://kotobank.jp/[...]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173]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07-12-23
[174]
웹사이트
"Yahwehの発音の仕方"
https://ja.howtopron[...]
[175]
문서
主(しゅ)
[176]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6
[177]
웹사이트
Genesis Chapter 1 (KJV)
http://www.bluelette[...]
2022-09-23
[178]
문서
" タナハ"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179]
문서
新世界訳聖書,1985年,参照資料1ホ・1へ
[180]
문서
出エジプト記3章14節について
http://meigata-bokus[...]
牧師の書斎
2022-09-22
[181]
문서
. It thus probably means "he causes to be, to become," etc. It has היה (''h-w-h'') as a variant form, ''The New Brown-Driver-Briggs-Gesenius Hebrew and English Lexicon With an Appendix Containing the Biblical Aramaic'' by Frances Brown, with the cooperation of S.R. Driver and Charles Briggs (1907), p. 217ff (entry יהוה listed under root היה).
[182]
서적
The Meaning of the Divine Name YHWH, in Vital Old Testament Issues
Zondervan
1996
[183]
서적
From the Stone Age to Christianity: Monotheism and the Historical Process
Doubleday
1957
[184]
문서
マソラ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185]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Volume 3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6-10-29
[186]
서적
Jewish Philosophy: An Histor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6-10-29
[187]
서적
The Hebrew Bible: A Translation with Commentary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18
[188]
서적
Genesis
https://books.google[...]
Brazos Press
2010
[189]
서적
A Grammar of Biblical Hebrew (Subsidia Biblica). Part One: Orthography and Phonetics
Rome : Editrice Pontificio Istituto Biblio
1996
[190]
서적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2020-07-04
[191]
학위논문
Revealing the Name: An Investigation of the Divine Character through a Conversation Analysis of the Dialogues between God and Moses in the Book of Exodus
http://eprints.glos.[...]
University of Gloucestershire
[192]
서적
The Invention of Go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07-27
[193]
서적
Thesaurus Philologicus Criticus Linguae Hebraeae et Chaldaeae veteris testamenti
https://books.google[...]
2020-11-17
[194]
문서
History of the Old Covenant, tr., annotated and prefaced by a condensed abstract of Kurtz's 'Bible and astronomy', by A. Edersheim
https://books.google[...]
1859
[195]
문서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Including the Biblical Chaldee
https://books.google[...]
Crocker and Brewster
1844
[196]
간행물
"House of David" Restored in Moabite Inscription
http://www.cojs.org/[...]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1994-05
[197]
서적
Archaeology and Fertility Cult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Papers Presented at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chaeology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University of Malta, 2-5 September 1985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1986-02-23
[198]
서적
Gods, Goddesses, And Images of Go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998
[199]
서적
Only One God?: Monotheism in Ancient Israel and the Veneration of the Goddess Asherah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1-01-01
[200]
서적
Ancient Aramaic and Hebrew Letters
Atlanta
[201]
서적
The Meaning of the Bible: What the Jewish Scriptures and Christian Old Testament Can Teach Us
HarperOne
[202]
간행물
Old Hebrew Inscriptions in a Burial Cave
[203]
서적
Ancient Hebrew inscriptions: corpus and concordance
Cambridge
[204]
서적
La religion des judéo-araméens d'Éléphantine
[205]
서적
Archives from Elephantine, The Life of an Ancient Jewish Military Colon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6]
서적
YHWH
Eerdmans
[207]
서적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20-07-27
[208]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Biblical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02-23
[209]
서적
The Origins of Biblical Monotheism: Israel's Polytheistic Background and the Ugaritic Tex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08-09
[210]
백과사전
Tetragrammaton
https://www.jewishen[...]
[211]
서적
Patrologiae cursus completus, series graeca
https://books.google[...]
2020-07-28
[212]
서적
Patrologiae cursus completus, series graeca
https://books.google[...]
2016-03-03
[213]
간행물
"La prononciation 'Jehova' du t?tragramme"
[214]
백과사전
[215]
웹사이트
"Hans Dieter Betz (editor), ''The Greek Magical Papyri in Transl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p. 335"
https://fewarethemys[...]
2020-10-11
[216]
웹사이트
'Evans, Luke, Aaron, Ralph, "Recipes for Love: A Semiotic Analysis of the Tools in the Erotic Magical Papyri" (Durham University 2015), p. 26'
http://etheses.dur.a[...]
2020-10-11
[217]
문서
Papyri Graecae Magicae
Leipzig-Berlin
[218]
웹사이트
Tetragrammaton
http://www.jewishenc[...]
2021-02-02
[219]
서적
"The Massorah. Translated into English with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https://archive.org/[...]
[220]
문서
The Massorah. Compiled from manuscripts
https://archive.org/[...]
London
[221]
서적
Pronunciation of the Tetragrammaton: A Historico-Linguistic Approach
https://books.google[...]
2016-11-29
[222]
서적
The Bible translator
United Bible Societies
[222]
서적
Nelson's expository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Merrill Frederick Unger, William White
[223]
백과사전
Yahweh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 [[Brill Publishers|Brill]]"
2020-02-24
[224]
서적
Yahweh: The Divine Name in the Bible
https://books.google[...]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2020-05-19
[225]
문서
Konkordanz zum hebräischen Alten Testament
Stuttgart
[226]
문서
Theological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Hendrickson Publishers
[227]
웹사이트
Genesis 2:4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www.tanach.us[...]
Tanach.us
2011-11-18
[228]
웹사이트
Genesis 3:14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www.tanach.us[...]
Tanach.us
2011-11-18
[229]
웹사이트
Judges 16:28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www.tanach.us[...]
Tanach.us
2011-11-18
[230]
웹사이트
Genesis 15:2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www.tanach.us[...]
Tanach.us
2011-11-18
[231]
웹사이트
1 Kings 2:26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www.tanach.us[...]
Tanach.us
2011-11-18
[232]
웹사이트
Ezekiel 24:24 in the Unicode/XML Leningrad Codex
http://www.tanach.us[...]
Tanach.us
2011-11-18
[233]
문서
Archives from Elephantine: The life of an ancient Jewish military colon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4]
문서
De Mensibus IV 53
[235]
문서
Greek and Latin Authors on Jews and Judaism
[235]
문서
Judeophobia: Attitudes toward the Jews in the Ancient World
[235]
문서
Aramaic Papyri of the 5th century
[235]
문서
"The Brooklyn Museum Aramaic Papyri: New Documents of the 5th century BCE from the Jewish Colony at Elephantine"
[236]
문서
YHWH at Patmos
[236]
문서
The Revelation of the Name YHWH to Moses
[236]
문서
"Bible studies: Contributions chiefly from papyri and inscriptions to the history of the language, the literature, and the religion of Hellenistic Judaism and primitive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237]
문서
Rękopisy znad Morza Martwego. Qumran – Wadi Murabba‘at – Masada
Kraków
[238]
문서
"The Psalms Scroll of Qumran Cave 11 (11QPsa)"
[239]
서적
A Greek-Hebrew/Aramaic Two-way Index to the Septuagint
Peeters Publishers 2010
[240]
서적
A Greek-Hebrew/Aramaic Two-way Index to the Septuagint
" Peeters Publishers 2010"
[241]
서적
"A Concordance to the Septuagint: And the Other Greek Versions of the Old Testament (Including the Apocryphal Books)"
[242]
문서
Lord
Grand Rapids, MI: Zondervan
[243]
문서
新世界訳聖書
[244]
서적
Manuscripts of the Greek Bible: An Introduction to Palae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19
[245]
간행물
The Reading and Translation of the Divine Name in the Masoretic Tradition and the Greek Pentateuch
http://journals.sage[...]
2020-08-25
[246]
웹사이트
Larry Perkins, "ΚΥΡΙΟΣ ? Articulation and Non-articulation in Greek Exodus" in Bulletin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eptuagint and Cognate Studies, volume 41 (2008), p. 23
http://ccat.sas.upen[...]
2020-08-06
[247]
웹사이트
Larry Perkins, "ΚΥΡΙΟΣ ? Proper Name or Title in Greek Exodus", p. 6
https://nbseminary.c[...]
2020-08-06
[248]
웹사이트
F. Shaw, The Earliest Non-Mystical Jewish Use of Ιαω
http://www.jhsonline[...]
2018-12-02
[249]
Webarchive
ThLZ - 2016 Nr. 11 / Shaw, Frank / The Earliest Non-Mystical Jewish Use of IAO. / Bob Becking
http://www.thlz.com/[...]
Theologische Literaturzeitung, 241 (2016), 1203-1205
2018-12-02
[250]
서적
Philo of Alexandria: An Annotated Bibliography 1997-2006
https://books.google[...]
BRILL
2011-10-28
[251]
서적
The First Bible of the Church
https://books.google[...]
A&C Black
[252]
간행물
The Reading and Translation of the Divine Name in the Masoretic Tradition and the Greek Pentateuch
http://journals.sage[...]
2007-06
[253]
서적
Septuagint Manuscripts and Printed Editio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54]
서적
The Use of the Name YHWH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255]
웹사이트
The Septuagint
http://orthodoxengla[...]
Orthodox England (journal)
2014-09-13
[256]
문서
新世界訳聖書,1985年,参照資料1ハ
[257]
문서
Z. Aly, L. Koenen, Three Rolls of the Early Septuagint: Genesis and Deuteronomy, Bonn 1980, s. 5, 6.
[258]
서적
1C The Divine Name in Ancient Greek Versions
https://wol.jw.org/e[...]
Watchtower Bible and Track Society
[259]
서적
https://books.google[...]
BRILL
[260]
Webarchive
Recently Discovered Greek Papyri and Parchment of the Psalter from the Oxford Oxyrhynchus Manuscripts: Implications for Scribal Practice and Textual Transmission
http://www.mst.edu.a[...]
Michael P. Theophilos. 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
2019-03-14
[261]
서적
Ad Fontes: Original Manuscripts and Their Significance for Studying Early Christianity: Selected Essays
https://books.google[...]
BRILL
[262]
서적
The Earliest Christian Artifacts: Manuscripts and Christian Origin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63]
서적
Studien zur Palaeographie und Papyruskunde
[264]
Webarchive
Manuscripts of the Greek Bible: An Introduction to Palae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8-12
[265]
문서
"Among the Jews Moses referred his laws to the god who is invoked as Iao (Gr. Ιαῶ)."
Bibliotheca Historica I, 94:2
[266]
문서
On the Detection and Overthrow of the So-Called Gnosis|Against Heresies
P. G., VII, col. 840
[267]
문서
On the Detection and Overthrow of the So-Called Gnosis|Against Heresies
P.G., VII, col. 481
[268]
서적
Clementis Alexandrini Opera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269]
Webarchive
In Joh.
https://books.google[...]
P.G., XIV, col. 105
2017-01-16
[270]
문서
Praeparatio evangelica
P.G., XXI, col. 72 A
[271]
문서
Panarion
P.G., XLI, col. 685
[272]
문서
Ep. xxv ad Marcell.
P. L., XXII, col. 429
[273]
문서
"the word Nethinim means in Hebrew 'gift of Iao', that is of the God who is"
"Quaest. in I Paral.", cap. ix, in P. G., LXXX, col. 805 C
[274]
Webarchive
Ex. quaest.
https://books.google[...]
P. G., LXXXIII, col. 460
2021-12-11
[275]
문서
"nomen Domini apud Hebraeos quatuor litterarum est, ''jod, he, vau, he'': quod proprie Dei vocabulum sonat: et legi potest JAHO, et Hebraei {{lang|grc||ἄῤῥητον}}, id est, ineffabile opinatur."
"Breviarium in Psalmos. Psalm. viii.", in P.L., XXVI, col. 838 A
[276]
웹사이트
British Library
http://www.bl.uk/man[...]
2020-09-23
[277]
Webarchive
The Psalms in the Early Irish Church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2-02-26
[278]
웹사이트
Manuscrits de C?teaux
http://patrimoine.bm[...]
2020-09-23
[279]
문서
The Bible in the Syriac Tradition
https://archive.org/[...]
St. Ephrem Ecumenical Research Institute, 1988
[280]
Webarchive
The Authorship of the Peshitta
https://www.jstor.or[...]
The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Vol. 35, No. 4, July 1919
2017-01-16
[281]
서적
Jerome, Greek Scholarship, and the Hebrew Bible: A Study of the Quaestiones Hebraicae in Genesim
Clarendon Press, Oxford
[282]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of the New English Bible
http://www.bible-res[...]
2006-04-26
[283]
웹사이트
Clifford Hubert Durousseau, "Yah: A Name of God" in ''Jewish Bible Quarterly'', Vol. 42, No. 1, January-March 2014
http://jbq.jewishbib[...]
2014-09-13
[284]
웹사이트
Names Of God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2011-11-18
[285]
서적
The Religion of Ancient Israel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16-03-03
[286]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A Reader's Introduction
Mayfield
1985
[287]
문서
Yoma; Tosef. Sotah, 13
[28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The Late Roman-Rabbinic Period
[289]
웹사이트
Judaism 101 on the Name of God
http://www.jewfaq.or[...]
jewfaq.org
2009-12-14
[290]
서적
Insights of Rabbi Joseph B. Soloveitchik
https://books.google[...]
2005-02
[290]
서적
Jewish Identity and Society in the 17th century
https://books.google[...]
[291]
간행물
The Reading and Translation of the Divine Name in the Masoretic Tradition and the Greek Pentateuch
http://journals.sage[...]
2007-06
[292]
문서
Mishneh Torah
[293]
문서
Kiddushin
[294]
문서
"HaShem: Uses through the Ages."
[295]
문서
[296]
문서
[297]
문서
[298]
문서
[299]
웹사이트
Judaism 101: The Name of G-d
http://www.jewfaq.or[...]
2009-12-14
[300]
웹사이트
Why do some Jews write "G-d" instead of "God"?
https://reformjudais[...]
2014-02-19
[301]
서적
The Talmud Yerushalmi and Graeco-Roman culture: Volume 3 - Page 152
[302]
서적
The Annotated Luther, Volume 6: The Interpretation of Scripture
https://books.google[...]
2019-04-01
[303]
웹사이트
BibliaHebraica.org, "The Septuagint"
https://web.archive.[...]
2022-09-22
[304]
웹사이트
HTC: An Orthodox Critique of Bible Translations
http://www.holy-trin[...]
2014-09-15
[305]
웹사이트
orthodoxresearchinstitute.org
http://www.orthodoxr[...]
2014-09-15
[306]
서적
Eastern Orthodoxy through Western Eyes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20-05-19
[307]
서적
The Old Testament in Eastern Orthodox Tra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2-06
[308]
서적
"Fatherhood of God" in The Encyclopedia of Eastern Orthodox Christianity
Wiley
[309]
문서
[310]
문서
[311]
문서
[312]
문서
[313]
문서
[314]
문서
[315]
웹사이트
Letter of the Congregation for Divine Worship and the Discipline of the Sacraments (PDF)
http://www.liturgyof[...]
2016-05-17
[316]
웹사이트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Committee on Divine Worship (PDF)
http://www.ewtn.com/[...]
2014-05-15
[317]
서적
Barocke Sakristeien in Süddeutschland
Imhof
2009
[318]
서적
Geography and Enlighten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319]
서적
The Paths of Daniel. Studies in Judaism and Jewish Culture in Honor of Rabbi Professor Daniel Sperber
Bar-Ilan University Press
2017
[320]
서적
Zeitschrift für Kirchengeschichte (vol. 67)
19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