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슐러 K. 르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슐러 K. 르귄은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나 자란 미국의 소설가로, SF와 판타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래드클리프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프랑스에서 역사학자 찰스 르귄과 결혼했다. 1960년대 초부터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으며, 1969년 《어둠의 왼손》으로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수상하며 명성을 얻었다. 그녀는 《어스시》 시리즈, 《하이니시 사이클》, 《빼앗긴 자들》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성, 젠더, 사회, 생태학적 문제 등을 탐구했다. 르귄은 2018년 사망했으며, 그녀의 작품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독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도교 신자 - C. J. 윌슨
    C. J. 윌슨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MLB에서 텍사스 레인저스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투수로 활약한 은퇴한 야구 선수이며, 2017년 은퇴 후 카레이서로 전향하여 활동하고 있다.
  • 미국의 도교 신자 - 레이먼드 스멀리언
    레이먼드 스멀리언은 수학, 논리학, 철학, 마술, 음악 등 다방면에 재능을 보인 미국의 학자이며,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대중에게 알리고 레크리에이션 수학 관련 저서를 집필했으며, 2017년에 사망했다.
  • 프로메테우스상 수상자 - 레이 브래드버리
    레이 브래드버리는 20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공상과학 소설가이자 단편 소설가, 시인, 극작가로서, 『화씨 451도』, 『화성 연대기』, 『민들레 와인』 등의 대표작을 통해 과학 기술, 인간 소외, 사회 문제, 향수와 추억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로메테우스상 수상자 - 테리 프래쳇
    테리 프래쳇은 디스크월드 시리즈로 유명한 영국의 풍자 작가로, 다수의 문학상 수상, 훈장, 기사 작위 수훈, 그리고 알츠하이머병 연구 기여 등의 활동을 펼쳤다.
  • 언어 창작자 -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로 유명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해석기하학 창시 등 수학과 과학에도 기여했고, 방법적 회의와 이원론 철학으로 서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언어 창작자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어슐러 K. 르귄
기본 정보
어슐러 르 귄
어슐러 르 귄
출생명어슐러 크로버
출생일1929년 10월 21일
출생지캘리포니아주 버클리
사망일2018년 1월 22일
사망지오리건주 포틀랜드
직업소설가, SF 작가, 판타지 작가, 페미니스트
활동 기간1959년경–2018년
장르SF
판타지
리얼리즘 소설
문학 비평

에세이
자녀3명
부모앨프리드 크로버
시오도라 크로버
친척칼 크로버 (형제)
웹사이트Ursula K. Le Guin's Web Site
로마자 표기어설라 크로버 러귄
학력
교육래드클리프 칼리지 (BA)
컬럼비아 대학교 (MA)
주요 작품
주요 작품어스시 시리즈 (1964–2018)
어둠의 왼손 (1969)
빼앗긴 자들 (1974)
수상
수상 내역휴고상
네뷸러상
로커스상
영향
영향을 준 인물카를 융
J.R.R. 톨킨
그리스 신화
노장 사상
영향을 받은 인물닐 게이먼
수잔나 클라크
이언 뱅크스
미야자키 하야오
기타
참고공중 나는 고양이
신설 문학상어슐러 K. 르 귄 소설상 (2021년 신설)

2. 생애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서 인류학자 앨프리드 L. 크로버와 작가 시어도라 크로버의 딸로 태어나 성장했다. 어린 시절 문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11살 때 첫 소설을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지에 투고했으나 거절당했다.[7]

1951년 래드클리프 대학교를 졸업하고 1952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풀브라이트 장학금으로 프랑스 유학 중 역사학자 찰스 르귄을 만나 1953년 결혼했다.[5]

초기에는 가상의 국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썼으나, 1960년대 초반부터 과학 소설과 판타지 소설을 본격적으로 발표하기 시작했다. 1969년 출간한 과학 소설 《어둠의 왼손》으로 휴고상네뷸러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생의 마지막은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보냈으며, 세 명의 자녀와 세 명의 손자를 두었다. 2018년 1월 22일 건강 악화로 자택에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어슐러 크뢰버 르귄은 1929년 10월 21일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서 태어났다.[123] 그녀의 아버지 앨프레드 루이스 크뢰버는 독일계 문화인류학자로, 1901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미국 최초의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미국에서 두 번째로 인류학과를 설립한 저명한 학자였다.[4][123] 어머니 시오도라 크뢰버(결혼 전 이름 시오도라 코벨 크라카우 브라운)는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나, 60대에 글쓰기를 시작하여 성공적인 작가가 되었다. 그녀는 남편 앨프레드 크로버가 연구했던 아메리카 원주민 이시(Ishi)에 대한 전기 ''두 세계의 이시''(1961)를 집필했다. 이시는 야히족의 마지막 생존자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부족원들은 백인 정착민들에 의해 살해되었다.[5][124] 르귄의 이름 '어슐러'는 그녀가 태어난 날이 가톨릭교회의 성녀 우르술라 축일이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어슐러의 아버지, 알프레드 루이스 크뢰버와 야히족의 마지막 생존자였던 이시(Ishi)(1911)


르귄에게는 세 명의 오빠가 있었다: 문학 학자가 된 칼 크뢰버, 시어도어, 그리고 클리프턴이다.[6] 가족은 많은 책을 소장하고 있었고, 형제자매들은 어릴 때부터 독서에 몰두했다.[6] 크뢰버 가족의 집에는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같은 저명한 학자들이 자주 방문했으며, 르귄은 훗날 소설 ''빼앗긴 자들''의 물리학자 주인공 셰벡의 모델로 오펜하이머를 참고했다고 밝혔다.[5][6] 가족은 학기 중에는 버클리에서, 여름에는 나파 밸리의 별장에서 시간을 보냈다.[5]

르귄은 아주 어린 나이부터 문학에 관심을 보였다. 그녀는 신화, 전설, 동화를 비롯해 포우릭 콜럼, 아스비에른센 등의 작품을 즐겨 읽었으며, 아버지에게서는 인디언 전설을 들었다. 또한 로드 더니세이니의 작품과 형들과 함께 읽었던 ''스릴링 원더 스토리즈'',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 같은 펄프 잡지를 좋아했으며, 특히 루이스 패짓을 좋아하는 작가로 꼽았다.[6][125][126] 그녀는 9세에 요정이 등장하는 첫 단편 소설을 썼고, 11세에는 SF 소설을 써서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에 투고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10년 동안 다른 작품을 투고하지 않았다.[7]

르귄은 버클리 고등학교를 다녔다.[5] 필립 K. 딕과는 고등학교 동기(1947년 졸업)였지만, 당시에는 서로 알지 못했다.[127][128][129] 1951년 하버드 대학교래드클리프 대학에서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어이탈리아어 문학을 전공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고, 파이 베타 카파 명예 학회 회원으로 선정되었다.[5] 어린 시절에는 생물학에도 관심이 있었으나, 수학에 어려움을 겪어 진로 선택에 제약이 있었다고 한다.[5] 1952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프랑스어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5] 이후 박사 과정을 시작했고, 1953년부터 1954년까지 프랑스에서 유학할 수 있는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았다.[5][5]

1953년, RMS 퀸 메리호를 타고 프랑스로 가던 중 역사학자 찰스 르귄(Charles Le Guin)을 만났고,[5] 같은 해 12월 파리에서 결혼했다.[5] 르귄에 따르면, 결혼은 그녀의 "박사 학위 과정의 끝"을 의미했다.[5]

2. 2. 결혼과 가족

1953년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프랑스 유학 중 역사학자 찰스 A. 르귄(Charles A. Le Guin)을 만났다.[125] 두 사람은 같은 해 1953년에 결혼했다.[125]

미국으로 돌아온 후, 남편이 포틀랜드 주립대학교 교수가 되기 전 박사 학위 과정을 밟는 동안[125] 르귄은 머서 대학교(Mercer University)와 아이다호 대학교 등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쳤다.[125]

1957년 첫째 딸을, 1959년 둘째 딸을 낳았다.[125] 이후 아들을 더 낳아 총 세 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세 명의 손자도 두었다.

가족과 함께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정착하여[125]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2018년 1월 22일 포틀랜드 자택에서 건강 악화로 사망했다.

2. 3. 작가 활동

르귄은 1950년대 후반부터 작가 경력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가상의 국가 오르시니아를 배경으로 한 소설과 시를 썼으며,[130] 1961년 단편 「음악에게 바침」(An Die Musik)을 『웨스턴 휴머니티즈 리뷰』에 발표하며 처음으로 상업지에 작품을 게재했다.[130] 과학 소설에 대한 관심을 되살려, 1962년 『판타스틱』지에 단편 「4월은 파리」(April in Paris)가 실리면서 본격적으로 SF 작가 활동을 시작했고, 1960년대 초반부터 정기적으로 작품을 발표했다.[130] 이후 에이스 북스를 통해 하이니시 시리즈 초기작인 『로카논의 세계』(1966), 『변경의 행성』(1966), 『환영 도시』(1967)를 출판했다.[130]

1968년에는 팔나서스 프레스 출판사의 의뢰로 청소년 판타지 소설 『어스시의 마법사』를 발표하여 큰 호평을 받았다.[130] 1969년 발표한 과학 소설 『어둠의 왼손』은 휴고상네뷸러상을 동시에 수상하며[130] 르귄을 세계적인 작가 반열에 올려놓았다.

1970년대부터는 『사이언스 픽션 스터디즈』와 같은 학술지에 SF와 판타지에 대한 평론 및 서평을 활발히 기고했다.[130] 이 시기에는 페미니즘 비평이나 자먀찐, 스타니스와프 렘, 스트루가츠키 형제 등 동구권 작가들에 대한 논평도 저술했다.[130] 또한 『빼앗긴 자들』(1974), 『세계를 위한 말은 숲이다』(1976) 등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가 강한 작품들을 발표하며 비평적 찬사를 받았다. 1977년에는 미국 과학소설 작가 협회(SFWA)가 스타니스와프 렘의 회원 자격을 박탈한 것에 항의하며, 자신의 단편 「장미의 일기」에 수여된 네뷸러상 수상을 거부하는 등 작가로서의 신념을 드러냈다.[18][19] 1979년에는 『하늘의 로크로』가 TV 영화로 제작되는 등[130] 미디어 작업에도 참여했다.

1980년대에는 실험적인 작품 『항상 집으로 돌아온다』(1985)를 발표했으며, 『날으는 고양이』 시리즈와 같은 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한 작품도 꾸준히 집필했다. 1990년대에는 『테하누』(1990)를 통해 어스시 시리즈를 다시 확장했고, 하이니시 연대기에 속하는 단편들을 묶어 『내해의 어부』(1994) 등을 발표했다. 2000년대에는 『말하는 나무』(2000), 『게드 전기 외전』(2001), 『어스시의 바람』(2001) 등으로 어스시 시리즈를 이어갔으며, 서쪽 끝의 연대기 3부작(2004-2007)을 발표하며 완결지었다.[132]

르귄은 작가로서 사회적 목소리를 내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2009년, 구글 북스의 도서 디지털화 프로젝트에 대한 전미작가협회의 합의에 반대하며 협회를 탈퇴했다. 그녀는 이를 "악마와의 거래"라고 비판하며 저작권 원칙을 기업에 넘겨주는 행위라고 지적했다.[21][22][132] 5년 뒤인 2014년 전미도서상 공로상 수상 연설에서는 아마존의 시장 지배력과 출판 관행을 강하게 비판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23][24][25]

말년까지 소설 창작 외에도 에세이, ,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특히 도교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1997년 『도덕경』을 번역하여 출판하기도 했다.[20] 2016년에는 그녀의 작품들이 라이브러리 오브 아메리카에 수록되었고,[132] 2017년에는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정되는 등[132] 문학계에 남긴 깊은 유산을 인정받았다.

2. 4. 사망

르귄은 삶의 마지막을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보냈으며, 2018년 1월 22일 건강 악화로 사망했다.

3. 작품 세계

르귄의 초기 작품 중 『지구의 마법사(A Wizard of Earthsea)』(1968)는 본래 십대 독자를 대상으로 한 판타지 소설이었으나, 허구의 군도 어스시를 배경으로 한 성장 소설로서 폭넓은 비평적 찬사를 받았다.[2][10][11][22] 이듬해 출간된 『왼손잡이 여자(The Left Hand of Darkness)』(1969)는 고정된 성별이 없는 행성을 무대로 성과 젠더 문제를 탐구한 하이니쉬 사이클 작품이다. 이 소설은 르귄이 처음으로 페미니즘 문제를 다룬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SF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작품으로 르귄은 여성 작가 최초로 휴고상과 네뷸러상 최우수 장편 소설 부문을 동시에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27][54] 비평가 해럴드 블룸(Harold Bloom)은 이 두 작품을 르귄의 걸작으로 꼽았다.[2]

르귄과 하얼런 엘리슨(Harlan Ellison) 오리건주 포틀랜드(Portland, Oregon)의 웨스터콘(Westercon)에서 (1984)


르귄은 이후에도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다. 1973년에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비판 의식을 담아 식민주의군국주의를 탐구한 『세상을 위한 말(The Word for World Is Forest)』로 다시 휴고상을 수상했다.[46] 르귄 자신은 이 작품을 "가장 노골적인 정치적 진술"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46] 어스시 시리즈의 후속작인 『아투안의 무덤(The Tombs of Atuan)』(1971)과 『가장 먼 해안(The Farthest Shore)』(1972)에서는 균형, 성장, 죽음이라는 주제를 심화시켰다.

1974년에 발표한 『소유하지 않은 자(The Dispossessed)』는 무정부주의와 유토피아 사회를 탐구한 작품으로, 다시 한번 휴고상과 네뷸러상 최우수 장편 소설 부문을 동시에 수상하며 르귄을 두 작품으로 두 상을 모두 수상한 최초의 작가로 만들었다.[28] 이 시기 발표된 주요 단편 소설들은 1975년 단편집 『바람의 열두 사분면(The Wind's Twelve Quarters)』에 수록되었는데, 여기에는 휴고상 수상작인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The Ones Who Walk Away From Omelas)"과 네뷸러상 수상작인 "혁명 전날(The Day Before the Revolution)" 등이 포함되어 있다.[94][50][54]

르귄의 SF 작품은 과학기술보다는 사회학, 인류학사회과학적 탐구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종 소프트 SF로 분류되기도 한다.[134] (르귄 자신은 이 분류에 동의하지 않았다.[125]) 그녀의 작품은 의도적으로 주요 등장인물 다수를 유색인종으로 설정하는 등 인종 문제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며,[135] 외계 문화를 통해 인류 사회의 성 정체성, 성차별, 생태학 등의 문제를 성찰한다.[136] 『소유하지 않은 자』, 『왼손잡이 여자』 등 다수의 SF 작품은 '하이니쉬 유니버스'라는 가상의 미래사를 공유하며, 문화 충격이문화 접촉을 중요한 주제로 다룬다. 또한, 초광속 항법 대신 즉각적인 항성간 통신 기술인 안시블이라는 독창적인 설정을 사용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3. 1. 주요 테마

르귄의 SF 작품은 기술이나 하드웨어 중심의 하드 SF보다는 사회학인류학사회과학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으며, 이 때문에 종종 소프트 SF로 분류된다.[134] 그러나 르귄 자신은 이러한 분류에 대해 불쾌감을 표시하며 이의를 제기한 바 있다.[125]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주요 테마는 다음과 같다.

  • 성, 젠더, 페미니즘: 르귄은 『어둠의 왼손』에서 고정된 성별이 없는 양성구유 종족이 사는 행성을 배경으로 성별과 성 정체성 문제를 깊이 탐구했다. 이는 르귄이 처음으로 페미니즘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어스시 세계관에서는 여성이 '마녀'나 '점쟁이'로 취급받으며 '마법사' 칭호를 얻지 못하는 등 성차별적 요소를 묘사하기도 했다.[136] 르귄은 작품을 통해 직접적인 페미니즘 주장을 펼치기보다는, 버지니아 울프의 에세이를 인용하며 평범한 인물(미세스 브라운)을 SF 소설에 등장시키려는 문학적 시도를 했다고 밝힌 바 있다.[137]
  • 인종: 르귄은 의도적으로 주요 등장인물 다수를 유색인종으로 설정했다. 이는 실제 인류의 인구 구성을 반영하려는 의도였으나, 이로 인해 서구권에서는 표지나 삽화에 등장인물이 그려지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135]
  • 정치 및 사회 사상: 『세계를 가리키는 말은 숲』에서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시각이 반영되어 식민주의군국주의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르귄 스스로 이 작품을 "가장 노골적인 정치적 진술"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46]빼앗긴 자들』은 무정부주의와 유토피아 사회를 탐구하며 정치적 사상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보여준다.
  • 성장, 균형, 죽음: 초기 어스시 시리즈인 『어스시의 마법사』는 성장 소설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후 『아투안의 무덤』과 『머나먼 바닷가』에서는 균형과 성장, 그리고 죽음이라는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었다.
  • 생태학: 많은 소설에서 생태학적 문제의식을 드러낸다.[136]
  • 문화 충격과 이문화 접촉: 하이니쉬 사이클에 속하는 소설들(예: 『어둠의 왼손』, 『세계를 가리키는 말은 숲』)은 다른 문화권에서 온 특사가 겪는 컬처 쇼크와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접촉 및 그 결과를 중요한 주제로 다룬다.


르귄은 자신의 미래사 설정에서 대부분의 SF 작가들이 사용하는 초광속 항법 설정을 (무인 탐사선을 제외하고는) 채택하지 않았다. 대신, 최대 120ly 거리까지 즉시 통신이 가능한 안시블이라는 독창적인 기술을 설정하여 사용했는데, 이는 이후 다른 SF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이는 기술 자체보다는 사회와 문화, 인간관계에 더 초점을 맞추는 르귄 작품의 특징을 보여준다.

3. 2. 문체와 스타일

르귄은 SF와 판타지의 경계를 넘나들며 깊이 있는 주제를 탐구하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사회학, 심리학, 철학 등 인문사회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정교한 세계관을 구축하고, 그 안에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27][46]

초기 대표작 『지구의 마법사(A Wizard of Earthsea)』(1968)는 본래 십대 독자를 대상으로 쓰였으나, 성장 소설의 형식을 빌려 정체성과 균형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며 폭넓은 독자층에게 반향을 일으켰다. 이후 『아투안의 무덤(The Tombs of Atuan)』(1971), 『가장 먼 해안(The Farthest Shore)』(1972) 등으로 이어지는 어스시 시리즈를 통해 이러한 주제를 심화시켰다.[10][11] 특히 『가장 먼 해안』에서는 죽음이라는 철학적 주제를 깊이 있게 탐구하여 호평받았다.[14][15]

르귄은 성과 젠더 문제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왼손잡이 여자(The Left Hand of Darkness)』(1969)는 고정된 성별이 없는 외계 사회를 배경으로 성 정체성과 사회 구조의 관계를 탐구하며 페미니즘 문학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는다.[27] 이 작품으로 여성 작가 최초로 휴고상과 네뷸러상 최우수 장편 소설 부문을 동시에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27] 이후 단편 "카라이드에서의 성장(Coming of Age in Karhide)"(1995) 등에서도 성과 관련된 급진적인 탐구를 이어갔다.[30][31]

정치와 사회 체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 역시 르귄 작품의 중요한 축이다. 『세상을 위한 말(The Word for World Is Forest)』(1972)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비판 의식을 바탕으로 식민주의와 군국주의의 폭력성을 고발했다.[46] 르귄 스스로 "가장 노골적인 정치적 진술"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46] 『소유하지 않은 자(The Dispossessed)』(1974)는 아나키즘과 유토피아 사상을 심도 있게 다루며 다시 한번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동시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28] 단편집 『용서의 네 가지 방법(Four Ways to Forgiveness)』(1995)과 연작 이야기 "옛 음악과 노예 여성들(Old Music and the Slave Women)"(1999)에서는 노예제 사회 내에서의 자유와 저항이라는 주제를 다루었다.

르귄은 SF와 판타지 외에도 현실주의 소설(《어디에서도 아주 멀리(Very Far Away from Anywhere Else)》, 《오르시니아 이야기(Orsinian Tales)》, 《말라프레나(Malafrena)》),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작품(《캣윙스(Catwings)》 시리즈, 《시작의 장소(The Beginning Place)》), 시, 에세이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10][11] 문학의 경계를 확장했다. 특히 1990년에 발표된 『테하누(Tehanu)』는 기존 어스시 시리즈의 세계관과 인물에 대한 고정관념에 도전하며 작품에 새로운 깊이를 더했고, 시리즈가 성인 문학으로도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29] 후기에는 소설보다는 에세이, 시, 번역 작업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71]

3. 3. 영향과 유산

르귄의 SF 작품은 과학기술이나 하드웨어보다는 사회학인류학사회과학적 측면에 중점을 두며, 종종 소프트 SF로 분류된다.[134] (르귄 자신은 이 분류에 동의하지 않았다.[125]) 그녀의 작품은 의도적인 인종 묘사가 두드러지는데, 주요 등장인물 대부분을 유색인종으로 설정하여 인류의 다양성을 반영하고자 했다. 이로 인해 유럽과 미국에서는 삽화나 표지에 인물이 잘 그려지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135]

르귄은 외계 생명체의 문화를 통해 인류 사회와 문화를 성찰하는 메시지를 자주 전달했다. 대표적으로 『왼손잡이 여자』에서는 고정된 성별이 없는 양성구유 종족을 등장시켜 성 정체성 문제를 탐구했다. 또한 어스시 시리즈의 마법학교는 여성이 입학할 수 없으며, 여성은 '점쟁이'나 '마녀'로 차별받고 '마법사' 칭호를 얻지 못하는 설정을 통해 성차별 문제를 다루기도 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르귄은 페미니스트 작가로 평가받는다.[136] 하지만 르귄 자신은 작품에서 페미니즘을 직접적으로 주장하기보다는, 버지니아 울프의 에세이를 인용하며 평범한 인물('미세스 브라운')을 SF 소설에 담아내려 했다고 밝혔다.[137] 생태학적 문제 역시 그녀의 작품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 중 하나이다.

『소유하지 않은 자』, 『왼손잡이 여자』 등 많은 SF 작품은 '하이니시 유니버스'라는 가상의 미래사를 배경으로 한다. 이는 '에쿠멘'이라는 조직 아래 느슨하게 연결된 은하 문명으로, 각 행성은 고유한 문화를 유지한다. 르귄은 이를 통해 문화 충격이나 이문화 간의 접촉과 그 결과를 탐구했다.

다른 SF 작가들과 달리, 르귄은 작품 설정에서 초광속 항법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최대 120ly 거리까지 즉시 통신이 가능한 안시블이라는 독창적인 기술을 창조했다. '안시블'이라는 용어와 개념은 이후 다른 SF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어 차용되기도 했다.

르귄은 『왼손잡이 여자』로 여성 최초로 휴고상네뷸러상 최우수 장편소설 부문을 동시에 수상했으며,[27] 『소유하지 않은 자』로 다시 한번 두 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최초로 두 작품으로 두 상을 모두 받은 작가가 되었다.[28] 이러한 수상 경력은 그녀의 문학적 성취와 영향력을 보여준다.

4. 주요 작품

2013년 책에 사인하는 르귄


어슐러 K. 르귄의 전문 작가로서의 경력은 1959년부터 2018년까지 약 60년에 걸쳐 이어졌다. 이 기간 동안 그녀는 20편이 넘는 장편소설, 100편이 넘는 단편소설, 10여 권의 시집, 번역서, 평론집, 어린이 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했다.[4][117] 그녀의 작품은 과학 소설과 판타지 장르를 넘어 현실주의 소설, 수필, , 문학 비평 등 폭넓은 영역을 아우른다.

1962년 단편 '파리의 4월'(April in Pariseng)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작가 활동을 시작했고,[26] 초기에는 에이스 북스에서 '로카논의 세계'(Rocannon's Worldeng, 1966), '변경의 행성'(Planet of Exileeng, 1966), '환영의 도시'(City of Illusionseng, 1967) 등 헤인 연대기에 속하는 소설들을 발표했다. 1968년 출간된 판타지 소설 '어스시의 마법사'(A Wizard of Earthseaeng)는 청소년 문학으로 기획되었으나 성인 독자들에게도 큰 반향을 일으키며 르귄의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듬해 발표된 '어둠의 왼손'(The Left Hand of Darknesseng, 1969)은 성별과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로 SF계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여성 작가 최초로 휴고상네뷸러상 최우수 장편 부문을 동시에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27] 이후 아나키즘유토피아를 다룬 '빼앗긴 자들'(The Dispossessedeng, 1974)로 다시 한번 두 상을 동시에 석권하며, 르귄은 역사상 처음으로 두 작품으로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모두 수상한 작가가 되었다.[28] 이 외에도 베트남 전쟁에 대한 비판 의식을 담은 '세계를 위한 단어는 숲'(The Word for World Is Foresteng, 1976)으로 휴고상을 수상하는 등[46] 다수의 작품이 주요 문학상을 받으며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르귄의 대표작으로는 보통 판타지 소설의 고전으로 꼽히는 어스시 시리즈와, 인류의 다양한 사회 및 문화 형태를 탐구하는 과학 소설인 헤인 연대기가 있다. 그녀의 작품들은 뛰어난 문학적 성취와 더불어 성 역할, 사회 정의, 문화 상대주의, 환경 문제, 도교 철학 등 깊이 있는 주제 의식을 탐구하는 것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4. 1. 어스시 시리즈 (판타지 소설)

어스시 시리즈는 어슐러 K. 르귄의 대표적인 판타지 소설 연작이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어스시의 마법사 (A Wizard of Earthseaeng, 1968년):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젊은 마법사 게드의 성장을 다룬 성장 소설이다. 십대 독자를 염두에 두고 쓰였으나 성인 독자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었다.
  • 아투안의 무덤 (The Tombs of Atuaneng, 1971년): 어둠의 여사제 테나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균형과 성장의 주제를 탐구한다.
  • 머나먼 바닷가 (The Farthest Shoreeng, 1972년): 죽음과 균형이라는 주제를 다루며, 전미 도서상 아동 문학 부문을 수상했다.
  • 테하누 (Tehanu: The Last Book of Earthseaeng, 1990년): 앞선 세 편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 발표되었으며, 네뷸러상 최우수 장편 부문을 수상했다.
  • 어스시의 이야기들 (Tales from Earthseaeng, 2001년): 어스시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단편집으로, 엔데버상을 수상했으며, 수록된 단편 두 편은 로커스상을 받았다.
  • 다른 바람 (The Other Windeng, 2001년): 시리즈의 마지막 장편 소설이다.


어스시 시리즈는 허구의 군도 '어스시'를 배경으로 하며, 도교 사상의 영향을 받아 '균형'이라는 개념을 중요한 주제로 다룬다. 이는 육지와 바다, 인간과 자연, 삶과 죽음 등 다양한 요소 간의 조화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인종 묘사인데, 주인공 게드를 비롯한 주요 인물 대부분이 유색인종(흑갈색 피부)으로 그려지는 반면, 일부 적대적인 인물이나 문화는 백인으로 묘사된다. 이는 전통적인 서양 판타지 문학의 인종적 관습을 뒤집는 시도로 평가받는다. 르귄은 이러한 설정에 대해 "세상 사람 대부분은 백인이 아니다. 미래에도 그들이 백인이라고 가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설명하며 의도를 분명히 했다.[46]

시리즈 초기 작품들은 아동 문학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다루는 주제의 깊이와 복잡성으로 인해 성인 독자들에게도 널리 읽혔다. 르귄 자신은 아동 문학이라는 분류가 작품의 가치를 제한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50]

르귄의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단편집 《어스시의 이야기들》에 수록된 '잠자리' 이야기는 《테하누》와 《다른 바람》 사이의 내용을 연결하며 시리즈 전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이 시리즈가 《게드 전기》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4. 2. 어스시 단편

어스시 단편 목록
제목최초 발표 / 수록 정보비고
해제의 주문1964년 1월 판타스틱지에 최초 발표.
1975년 단편집 《바람의 열두방향》에 수록.
이름의 법칙1975년 단편집 《바람의 열두방향》에 수록.
잠자리2001년 단편 모음집 《어스시의 이야기들》에 수록.로버트 실버버그가 편집한 앤솔러지 《판타지 전설(Legends)》에 먼저 발표된 이야기.
《어스시의 이야기들》은 엔데버 상 수상.


4. 3. 헤인(과학소설)

헤인 주기는 어슐러 K. 르귄의 대표적인 과학 소설 연작으로, 인간이 지구가 아닌 헤인 행성에서 진화하여 여러 행성을 식민지화했지만 교류가 끊기면서 다양한 사회와 문화를 형성했다는 설정을 공유한다.[46] 이 연작에 속하는 주요 장편 소설은 다음과 같다.

헤인 주기 장편 소설 목록
작품명원제발표 연도주요 수상 내역
로케넌의 세계Rocannon's Worldeng1966년
유배 행성Planet of Exileeng1966년
환영의 도시City of Illusionseng1967년
어둠의 왼손The Left Hand of Darknesseng1969년휴고상, 네뷸러상,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상[27]
빼앗긴 자들: 애매모호한 유토피아The Dispossessed: An Ambiguous Utopiaeng1974년휴고상, 네뷸러상[28]
세계는 숲이라는 단어The Word for World Is Foresteng1976년휴고상[46]
유배와 환영의 단어Worlds of Exile and Illusioneng1996년로케넌의 세계환영의 도시 옴니버스 판
더 텔링The Tellingeng2000년엔데버 상, 로커스 리더스 상


4. 3. 1. 헤인 단편

wikitext

헤인 주기 단편 소설 목록
작품명발표 연도최초 수록 단편집 (수록 연도)주요 수상 내역
앤기어의 결혼 지참금 (셈레이의 목걸이)1964년바람의 열두방향 (1975년)
겨울의 왕1969년바람의 열두방향 (1975년)
제국보다 느리고 광대하게1971년바람의 열두방향 (1975년)
혁명 전야1974년바람의 열두방향 (1975년)네뷸러상
쇼비의 이야기1990년내륙바다의 어부 (1994년)
가남의 춤1993년내륙바다의 어부 (1994년)
다른 이야기 혹은 내륙바다의 어부1994년내륙바다의 어부 (1994년)
시그리의 대가1994년세상의 생일 (2002년)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상
선택안된 사랑1994년세상의 생일 (2002년)
고독1994년세상의 생일 (2002년)네뷸러상
용서의 날1995년용서의 4가지 방법아시모프 리더스 상,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상, 시어도어 스터전상
카르하이드의 성년1995년세상의 생일 (2002년)
마운틴 웨이1996년세상의 생일 (2002년)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상
오래된 음악과 노예 여자1999년세상의 생일 (2002년)


4. 4. 그 외 소설


  • 하늘의 물레 (''The Lathe of Heaven'', 1971년): 필립 K. 딕에게 헌정된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실을 바꾸는 꿈을 꾸는 남자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43] 이 작품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두려는 도교적 이상을 탐구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1980년2000년에 TV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 멜라프리나 (''Malafrena'', 1979년): 가상의 중부유럽 국가 올시니아를 무대로 한 비SF 작품군에 속한다. 19세기 초반 올시니아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을 배경으로 젊은 이상주의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 헤론의 눈 (''The Eye of the Heron'', 1978년): 르귄 스스로 여성을 중심으로 한 자신의 첫 작품으로 언급한 소설이다.[62] 평화주의자들의 후손이 사는 마을과 범죄자들의 후손이 사는 도시라는, 상반된 철학을 가진 두 사회 간의 갈등을 통해 인간의 자유와 사회 구조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75]
  • 항상 집으로 돌아온다 (''Always Coming Home'', 1985년): 먼 미래의 캘리포니아를 배경으로, 평화롭고 자연 친화적인 삶을 영위하는 케시(Kesh) 족의 문화와 사회를 상세하게 묘사한다. 소설, 시, 설화, 그림, 음악 등 다양한 형식을 혼합한 독특한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현대 문명과 대비되는 대안적인 삶의 방식을 제시한다.[75] 이 작품은 기술의 역할과 여성주의적 이상을 탐구하는 유토피아 문학으로 평가받는다.

4. 5. 단편 모음집


  • 바람의 열두 방위 (''The Winds Twelve Quarters'') (1975년) - 주로 초기 작품집으로, 일부는 《어스시》와 《하이니시 사이클》에 속한다.[130]
  • 올시니아 국 이야기 (''Orsinian Tales'') (1976년) - 가상의 국가 오르시니아를 무대로 한 비SF 단편집.[130]
  • 나침반 장미 (''The Compas Rose'') (1982년)[130]
  • ''Buffalo Gals and Other Animal Presence'' (1987년) - 휴고상 최우수 중편 부문 수상작 수록.[130]
  • ''Seaload: Chronicles of Klatsand'' (1991년)[130]
  • 내해의 어부 (''A Fisherman of the Inland Sea'') (1994년) - 일부는 《하이니시 사이클》에 속한다.[130]
  • 용서의 네 가지 길 (''Four Ways to Forgiveness'') (1995년) - 《하이니시 사이클》 세계관의 이야기. 로커스상 최우수 단편집 수상.[130]
  • ''Unlocking the Air and Other Stories'' (1996년)[130]
  • 세상의 생일 (''The Birthday of the World'') (2002년) - 총 8편의 단편 수록.[130]
  • 그리운 수수께끼 (''Changing planes'') (2003년) - 연작 단편.[130]
  • ''The Wild Girls'' (2011년)[130]
  • 현상과 환실: 르귄 단편선집 (''The Unreal and the Real: The Selected Short Stories of Ursula K. Le Guin'') (2012년) - 총 11편 수록.[130]

4. 6. 서부 해안 연대기

《서쪽 끝의 연대기》(Annals of the Western Shore영어)는 어슐러 K. 르귄의 판타지 소설 시리즈로, 주로 젊은 독자들을 대상으로 쓰였다. 이 시리즈는 주인공들의 성장 과정과 도덕적 발달을 중요한 주제로 다룬다.

제목원제출판 연도비고
《기프트》Gifts영어2004년
《보이스》Voices영어2006년
《파워》Powers영어2007년네뷸러상 최우수 장편상 수상



각 권은 주인공들이 타고난 '힘'에 얽매이는 상황과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탐구하며,[63][64] 사회가 제시하는 좁은 선택의 폭을 넘어서는 성장의 모습을 그린다. 예를 들어, 《기프트》의 주인공 오렉과 그리는 자신들 부족의 힘을 통제와 지배가 아닌 치유와 양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기존의 삶을 떠나는 새로운 선택을 하게 된다.[65] 이러한 선택에 대한 고민은 르귄의 단편 소설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에서 등장인물들이 마주하는 윤리적 선택의 문제와 비교되기도 한다.[65] 이 시리즈는 또한 노예제, 정의, 그리고 사회 내 여성의 역할과 같은 중요한 사회적 문제들을 탐구한다.[67][68]

5. 한국의 관점과 영향

어슐러 K. 르귄은 SF와 판타지 장르의 경계를 넘어 현대 문학 전반에 걸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작가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작품들은 단순한 서사를 넘어 성 정체성, 사회 구조, 환경 문제, 권위주의와 같은 근본적인 주제들을 탐구하며, 이는 한국의 독자들에게도 깊은 사회적, 철학적 성찰의 계기를 제공해왔다. 특히 르귄이 작품 세계에서 꾸준히 보여준 페미니즘적 통찰이나 아나키즘에 대한 탐구는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에게 더욱 의미 있는 울림을 줄 수 있다. 르귄의 문학이 한국 독자들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해석되는지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내용에서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5. 1. 한국에 미친 영향

어슐러 K. 르귄은 한국의 SF 및 판타지 문학 독자들에게도 잘 알려진 작가이다. 그녀의 대표작인 《어스시 시리즈》, 《빼앗긴 자들》, 《어둠의 왼손》 등 다수의 작품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르귄의 작품은 단순한 장르 소설을 넘어 깊이 있는 주제 의식으로 주목받았다.

  • 어스시의 마법사》와 그 후속작들은 성장 소설의 형태를 빌려 균형, 성장, 죽음과 같은 보편적인 주제를 탐구했다.
  • 《어둠의 왼손》은 고정된 성별이 없는 사회라는 설정을 통해 성 정체성과 페미니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으며,[27] 휴고상네뷸러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문학적 성취를 인정받았다.[27]
  • 빼앗긴 자들》은 아나키즘유토피아 사회를 그리며 정치 철학적 사유를 촉발했고, 이 작품 역시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모두 수상했다.[28]
  • 《세상을 위한 말은 숲》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아 식민주의군국주의의 폭력성을 고발했다.[46]


이처럼 르귄의 작품에 나타난 성 평등, 환경 보호, 비폭력주의, 문화 상대주의, 반권위주의 등의 가치는 한국 사회에서도 유의미한 질문을 던지며 독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사회과학(사회학, 인류학)적 상상력에 기반하여[134] 인류 문화와 사회 구조를 성찰하는 그녀의 방식은 한국 독자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르귄의 문학적 유산은 한국에서도 계속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으로 보인다.

5. 2. 한국 독자를 위한 추가 정보

어슐러 K. 르귄은 공상 과학 소설(SF)과 판타지 문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 작가이다. 그녀의 깊이 있는 작품 세계는 한국 독자들에게도 많은 영감을 주었으며, 그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주요 작품과 세계관르귄의 대표작으로는 흔히 어스시 시리즈와 헤인 연대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 꼽힌다.

  • 어스시 시리즈: 1968년 출간된 『어스시의 마법사』는 판타지 문학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본래 청소년을 대상으로 쓰였지만, 깊이 있는 주제와 성장 소설 구조로 폭넓은 독자층에게 사랑받았다. 이 시리즈는 이후 『아투안의 무덤』(1971), 『머나먼 바닷가』(1972) 등으로 이어지며 균형, 성장, 죽음과 같은 철학적 주제를 탐구했다. 특히 마법학교 설정이나 이름의 힘과 같은 요소는 후대 판타지 작품, 예를 들어 《해리 포터》 시리즈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는다.[96][97][98]
  • 헤인 연대기: 『어둠의 왼손』(1969)과 『빼앗긴 자들』(1974)은 헤인 연대기를 배경으로 한 대표적인 SF 소설이다.
  • 『어둠의 왼손』은 고정된 성별이 없는 양성적인 종족이 사는 행성을 무대로, 젠더와 성 정체성, 문화 충격 등을 깊이 있게 다루었다. 이 작품은 휴고상네뷸러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르귄을 주요 SF 작가 반열에 올려놓았고, 페미니즘 비평에서도 중요한 텍스트로 간주된다.[27] 문학 평론가 해럴드 블룸은 이 작품이 톨킨보다 더 판타지를 고급 문학의 반열에 올려놓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 빼앗긴 자들』은 아나키즘유토피아 사회를 탐구하며 다시 한번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동시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28]
  • 헤인 연대기 작품들에서는 행성 간 즉시 통신 기술인 '안시블'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는데, 이는 이후 오슨 스콧 카드, 닐 게이먼 등 다른 SF 작가들도 차용하였다.[99]

작품의 특징르귄의 작품은 단순한 과학 기술 묘사를 넘어 사회학, 인류학사회과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인간과 사회를 탐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종 소프트 SF로 분류된다.[134] 그녀는 종종 외계 문화를 통해 현실 세계의 인종, 젠더, 문화, 생태주의와 같은 문제들을 성찰하게 만든다.[135][136] 특히 작품 속 주요 인물들을 백인이 아닌 유색인종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인류의 실제 다양성을 반영하려는 의도였다고 한다.[135]
영향력과 평가르귄은 살만 루슈디, 데이비드 미첼, 닐 게이먼 등 수많은 후대 작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75][20][45] 마거릿 애트우드는 『어스시의 마법사』를 현대 판타지의 중요한 원형 중 하나로 꼽았다.[95] 그녀는 휴고상 8회, 네뷸러상 6회, 로커스상 25회 등 장르 문학계의 주요 상을 휩쓸었으며,[76][77][78] 미국 의회도서관 선정 '살아있는 전설', SFWA '그랜드 마스터', 전미도서재단 '미국 문학 공로상' 등 문학 전반에 걸친 공로를 인정받았다.[84][88][91] 2016년에는 생존 작가로서는 드물게 미국 문학의 도서관에서 작품집이 출간되기도 했다.[72]
미디어 각색르귄의 작품 중 일부는 영화나 TV 드라마로 만들어졌으나, 작가 본인은 대부분의 각색 결과에 만족하지 못했다. 특히 스튜디오 지브리에서 제작한 《게드전기 - 어스시의 전설》(2006)에 대해서는, 영상미는 일부 인정하면서도 원작의 메시지를 왜곡하고 폭력성을 강조했다며 공개적으로 비판했다.[109] 르귄은 본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을 높이 평가하여 그가 연출하는 조건으로 각색을 허락했으나, 실제 제작은 그의 아들인 미야자키 고로가 맡게 되어 실망감을 표하기도 했다.[109] 그녀가 긍정적으로 평가한 유일한 영상 각색물은 1979년 제작된 TV 영화 《천국의 선반》이었다.[7] 2004년 Syfy 채널에서 방영된 미니시리즈 《얼스시 전설》에 대해서도 원작의 인종 설정을 무시하고 백인 배우들을 캐스팅한 점 등을 비판했다.[110]

6. 수상 내역

르귄은 휴고상을 5회, 네뷸러상을 6회 수상했으며[138], 로커스상은 소설 부문에서 19회 수상하여 역대 최다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다.[139] 또한 1979년에는 겐다르프상 그랜드 마스터상을, 2003년에는 미국 SF 판타지 작가 협회(SFWA)로부터 데이먼 나이트 기념 그랜드 마스터상을 받았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 휴고상
  • * 장편 부문: 《어둠의 왼손》(1970)[146], 《빼앗긴 자들》(1975)[147]
  • * 중장편(Novella) 부문: 〈세상을 위한 단어는 숲〉(1973)
  • * 중편(Novelette) 부문: 〈버팔로의 딸들, 저녁에 나오렴〉(Buffalo Gals, Won't You Come Out Tonight, 1988)
  • * 단편(Short Story) 부문: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1974)

  • 네뷸러상
  • * 장편 부문: 《어둠의 왼손》(1969)[148], 《빼앗긴 자들》(1974)[149], 《테하누: 어스시의 마지막 책》(1990)[150], 《파워스》(2008)[151]
  • * 중편(Novelette) 부문: 〈고독〉(Solitude, 1995)
  • * 단편(Short Story) 부문: 〈혁명 전날〉(1974)

  • 로커스상
  • * 장편 부문: 《천국의 선반》(1972)[152], 《빼앗긴 자들》(1975)[147]
  • * SF 장편 부문: 《세상의 생일》(The Telling, 2001)[153]
  • * 판타지 장편 부문: 《테하누: 어스시의 마지막 책》(1991)[154], 《라비니아》(2009)[155]
  • * 중장편(Novella) 부문: 〈용서의 날〉(Forgiveness Day, 1995), 〈수달〉(The Finder, 2002)
  • * 중편(Novelette) 부문: 〈새로운 아틀란티스〉(The New Atlantis, 1976), 〈산의 길〉(Mountain Ways, 1997), 〈세상의 생일〉(The Birthday of the World, 2001), 〈야생 여자아이들〉(The Wild Girls, 2003)
  • * 단편(Short Story) 부문: 〈혁명 전날〉(1975), 〈수르〉(Sur, 1983), 〈땅의 뼈〉(The Bones of the Earth, 2002)
  • * 단편집 부문: 《바람의 열두 방향》(1976), 《나침반 장미》(1983), 《용서로 가는 네 가지 길》(1996), 《어스시의 전설》(2002), 《바뀌는 비행기》(2004)
  • * 논픽션/아트북 부문: 《지금 판타지로 할 수 있는 것》(Cheek by Jowl, 2010)

  • 기타 주요 수상 내역
  • * 1969년: 보스턴 글로브-혼 북상 - 《지구의 마법사》
  • * 1972년: 뉴베리 명예상 - 《아투안의 무덤》
  • * 1973년: 전미도서상 아동 문학 부문 - 《가장 먼 해안》
  • * 1975년: 제33회 월드콘 게스트 오브 오너 (멜버른, 호주)
  • * 1979년: 루이스 캐럴 셸프 상 - 《지구의 마법사》
  • * 1991년: 피닉스상 아너상 - 《아투안의 무덤》
  • * 1992년: 퓰리처상 픽션 부문 후보 - 단편집 "Seaload: Chronicles of Klatsand"
  • * 1995년: 시어도어 스터전 기념상 - 〈용서의 날〉(Forgiveness Day)
  • * 1995년: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상 - 〈세그리의 문제〉(The Matter of Seggri)
  • * 1997년: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상 - 〈산의 길〉(Mountain Ways)
  • * 2000년: 미국 의회도서관 리빙 레전드 선정 (작가·아티스트 부문)[141]
  • * 2001년: 태평양 북서부 서점 협회 공로상
  • * 2001년: 엔데버상 - 《세상의 생일》(The Telling)
  • * 2002년: 엔데버상 - 《어스시의 전설》
  • * 2002년: 세계 환상 문학 대상 장편 부문 - 《어스시의 바람》[140]
  • * 2002년: PEN/말라무드 상[143]
  • * 2003년: 아시모프스 사이언스 픽션 독자상 - 〈야생 여자아이들〉(The Wild Girls)
  • * 2004년: 마거릿 A. 에드워즈상 (청소년 문학 공로)[142]
  • * 2004년: 메이 힐 아버스넛 명예 강연상
  • * 2006년: 맥신 커싱 그레이 작가 펠로우십[142]
  • * 2009년: 종교로부터의 자유 재단 "황제는 벌거벗었다" 상[144][145]
  • * 2014년: 전미도서상 미국 문학 공로 훈장

참조

[1] 웹사이트 How to Pronounce Me http://www.ursulakle[...] 2014-03-22
[2] 뉴스 Ursula K. Le Guin, American Novelist http://www.bookslut.[...] 2016-09-13
[3] 웹사이트 Le Guin's Subversive Imagination https://www.theparis[...] 2019-11-20
[4] 뉴스 Ursula K. Le Guin, Acclaimed for Her Fantasy Fiction, Is Dead at 88 https://www.nytimes.[...] 2018-01-23
[5] 논문 Theodora Kroeber. Ishi in Two Worlds: A Biography of the Last Wild Indian in North America 1962
[6] 서적 Alfred Kroeber; a Personal Configura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https://www.vice.com[...] 2008-12-01
[8]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http://womensf.loa.o[...] Library of America
[9] 서적 Ursula K. Le Guin https://books.google[...] Infobase Learning 2013-11-01
[10] 논문 Ursula K. Le Guin (1929–2018) https://locusmag.com[...] 2018-01-23
[11] 논문 I Am a Woman Writer; I Am a Western Writer: An Interview with Ursula Le Guin 1995-06-01
[12] 웹사이트 A Left-Handed Commencement Address https://www.american[...] 1983-05-22
[13] 웹사이트 Top 100 Speeches of the 20th Century by Rank https://www.american[...] 2009-02-13
[14] 서적 Dancing at the Edge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15] 뉴스 U.S. author Ursula K. Le Guin dies at 88: family https://www.reuters.[...] Reuters 2018-01-23
[16] 논문 Ursula K. Le Guin Tribute https://locusmag.com[...] 2018-04-20
[17] 뉴스 Remembering Ursula K. Le Guin https://www.opb.org/[...] Oregon Public Broadcasting 2018-06-09
[18] 웹사이트 The Literary Prize for the Refusal of Literary Prizes https://www.theparis[...] 2017-12-06
[19] 뉴스 How to turn down a prestigious literary prize – a winner's guide to etiquette https://www.theguard[...] 2016-05-21
[20] 논문 Interviews: Ursula K. Le Guin, The Art of Fiction No. 221 http://www.theparisr[...] 2013-09-01
[21] 뉴스 Le Guin accuses Authors Guild of 'deal with the devil' https://www.theguard[...] 2009-12-24
[22] 웹사이트 My letter of resignation from the Authors Guild http://www.ursulakle[...] 2009-12-18
[23] 간행물 Ursula K. Le Guin Burns Down the National Book Awards http://www.portlandm[...] 2014-11-20
[24] 뉴스 Ursula K Le Guin launches broadside on Amazon's 'sell it fast, sell it cheap' policy https://www.theguard[...] 2015-06-03
[25] 뉴스 Writers unite in campaign against 'thuggish' Amazon https://www.theguard[...] 2014-07-25
[26]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The Complete Orsinia https://www.loa.org/[...] Library of America
[27] 웹사이트 Bright the Hawk's Flight on the Empty Sky: Ursula K. Le Guin https://www.tor.com/[...] 2018-01-24
[28] 서적 Conversations with Ursula K. Le Guin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9] 웹사이트 Nebula Awards Winners By Category http://www.sfadb.com[...] Locus Science Fiction Foundation
[30] 논문 The Dance of Nonviolent Subversion in Le Guin's Hainish Cycle http://www.nyrsf.com[...] 2018-01-01
[31] 서적 Science Fiction and Speculative Fiction: Challenging Gen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2] 뉴스 Review: The Works of Ursula K. Le Guin, Sublime World Builder https://www.wsj.com/[...] 2017-11-17
[33] 뉴스 Past Forward https://www.washingt[...] 2002-04-07
[34] 간행물 The Queen of Quinkdom http://www.nybooks.c[...] 2002-09-26
[35] 백과사전 'One Who, Choosing, Accepts the Responsibility of Choice': Ursula K. Le Guin, Anarchism, and Authority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36] 저널 A Definitive Collection that Defies Definition: Le Guin's Hainish Novels & Stories https://www.tor.com/[...] 2018-09-27
[37] 뉴스 The princess with flaming hair https://www.theguard[...] 2018-09-28
[38] 저널 A new island of stability: Ursula Le Guin's Annals of the Western Shore http://www.tor.com/2[...] 2017-04-17
[39] 웹사이트 Nebula Awards 2009 http://www.sfadb.com[...] Locus 2011-12-06
[40] 뉴스 Dreams Must Explain Themselves by Ursula K Le Guin review – writing and the feminist fellowship https://www.theguard[...] 2018-09-28
[41] 웹사이트 So Far So Good: Final Poems 2014–2018 https://www.nyjourna[...] 2019-08-22
[42] 웹사이트 Interview: Ursula K. Le Guin http://scifi.about.c[...]
[43] 웹사이트 A Wizard of Earthsea: Reader's Guide – About the Author http://www.neabigrea[...]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2017-05-25
[44] 잡지 Ursula K. Le Guin: Still Battling the Powers That Be https://www.wired.co[...] 2014-11-11
[45] 뉴스 Ursula K. Le Guin's work still resonates with readers http://www.latimes.c[...] 2012-06-05
[46]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http://www.salon.com[...] 2010-04-22
[47] 저널 Leaves from the Golden Bough 1924-12-13
[48] 뉴스 Chronicles of Earthsea: Edited Transcript of Le Guin's Online Q&A https://www.theguard[...] 2013-11-10
[49] 서적 J G Frazer: His Life and Wor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8-29
[50] 저널 The Good Witch of the West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1] 서적 The Left Hand of Darkness Ace Books 1976
[52] 저널 'Only in Dying, Life': The Dynamics of Old Age in the Fiction of Ursula Le Guin
[53] 서적 Science Fiction After 1900: From the Steam Man to the Star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8-12-22
[54] 저널 NoWhere Man: Towards a Poetics of Post-Utopian Characterization 1994-07
[55] 저널 Ten Authors on the 'Hard' vs. 'Soft' Science Fiction Debate https://www.tor.com/[...] 2018-12-22
[56] 서적 Women in Science Fiction and Fantasy: Entries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57] 백과사전 Modern Children's Fantasy http://eprints.uwe.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9-24
[58] 저널 From Master to Brother: Shifting the Balance of Authority in Ursula K. Le Guin's Farthest Shore and Tehanu 1993
[59] 저널 Gender and glaciers: Ursula Le Guin's The Left Hand of Darkness http://www.tor.com/2[...] 2016-07-13
[60] 서적 Flashes of the Fantastic: Selected Essays from the War of the World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9-08-16
[61] 저널 The Last Dragon of Earthsea 2003-09
[62] 저널 Taking Different Roads to the City: The Development of Ursula K. Le Guin's Young Adult Novels 2006
[63] 저널 Wild Gifts: Anger management and moral development in the fiction of Ursula K. Le Guin and Maurice Sendak
[64] 저널 Hybridity, Third Spaces and Identities in Ursula Le Guin's Voices
[65] 저널 Choosing to be Human: American romantic/pragmatic rhetoric in Ursula K. Le Guin's teaching novel, ''Gifts''
[66] 저널 Postmodern Anarchism in the Novels of Ursula K. Le Guin http://theanarchistl[...] 2013-11-25
[67] 저널 Restorative Justice Scripts in Ursula K. Le Guin's Voices 2011
[68] 저널 Farsickness, Homesickness in The Found and the Lost by Ursula K. Le Guin http://www.tor.com/2[...] 2017-01-02
[69] 서적 Un laboratorio di fantastici libri. Riccardo Valla intellettuale, editore, traduttore. Con un'appendice di lettere inedite a cura di Luca G. Manenti Solfanelli
[70] 서적 Science Fiction: The 100 Best Novels https://books.google[...] Orion Publishing Group 2019-02-27
[71] 뉴스 Ursula K Le Guin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9-02-28
[72] 뉴스 Ursula Le Guin Has Earned a Rare Honor. Just Don't Call Her a Sci-Fi Writer https://www.nytimes.[...] 2016-08-28
[73] 서적 The Science Fiction Handbook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9-03-01
[74] 뉴스 Margaret Atwood: We lost Ursula Le Guin when we needed her most https://www.washingt[...] 2019-03-05
[75] 웹사이트 Fellow writers remember Ursula K. Le Guin, 1929–2018 https://www.loa.org/[...] Library of America 2019-03-05
[76]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http://www.sfadb.com[...] Locus Magazine 2019-02-26
[77] 간행물 Nebula Awards by the Numbers https://amazingstori[...] 2019-08-19
[78] 백과사전 Locus Award http://www.sf-encycl[...] Gollancz 2024-08-27
[79] 웹사이트 Locus Awards Tallies http://www.sfadb.com[...] Locus Magazine 2019-02-26
[80]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1973 http://www.nationalb[...] National Book Foundation 2012-02-21
[81] 웹사이트 Fiction – Finalists http://www.pulitzer.[...] The Pulitzer Prizes 2018-05-15
[82] 웹사이트 Award Winners and Nominees http://www.worldfant[...] World Fantasy Convention 2011-02-04
[83] 웹사이트 2001 Inductees http://www.midameric[...] Mid American Science Fiction and Fantasy Conventions, Inc 2013-04-24
[84] 웹사이트 Damon Knight Memorial Grand Master http://www.sfwa.org/[...] Science Fiction and Fantasy Writers of America (SFWA) 2013-04-24
[85] 뉴스 The Night Ursula K. Le Guin Pranked The Patriarchy https://www.huffingt[...] 2019-02-27
[86] 웹사이트 SFWA Grand Master Award http://www.sfadb.com[...] Locus Magazine 2019-02-27
[87] 백과사전 Eaton Award http://sf-encycloped[...] Gollancz 2019-02-26
[88] 웹사이트 Ursula Leguin – Living Legend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89] 웹사이트 2004 Margaret A. Edwards Award Winner http://www.ala.org/y[...]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90] 웹사이트 The May Hill Arbuthnot Honor Lecture Award http://www.ala.org/a[...]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3-03-18
[91] 웹사이트 The 2014 Medalist for Distinguished Contribution to American Letters http://www.nationalb[...] National Book Foundation
[92] 뉴스 Ursula K. Le Guin wins big honor from National Book Foundation http://www.oregonliv[...] Oregon Live 2014-09-09
[93] 뉴스 Portland literary icon Ursula K. Le Guin gets a Forever stamp https://www.oregonli[...] The Oregonian 2021-07-27
[94] 웹사이트 Le Guin https://planetarynam[...] IAU/USGS/NASA 2024-12-05
[95] 뉴스 Margaret Atwood Chooses 'A Wizard of Earthsea' https://www.wsj.com/[...] 2014-11-10
[96] 뉴스 Classic of the month: A Wizard of Earthsea https://www.theguard[...] 2014-11-10
[97] 뉴스 Harry Potter and the boy wizard tradition http://www.irishtime[...] 2016-09-13
[98] 간행물 Spirited Away: Film of the fantastic and evolving Japanese folk symbols
[99] 백과사전 Ansible http://www.sf-encycl[...] Gollancz 2019-02-26
[100] 서적 The Western Canon Houghton Mifflin Harcourt
[101] 뉴스 The fantasy that inspired David Mitchell https://www.telegrap[...] 2016-09-13
[102] 뉴스 Vonda N McIntyre obituary https://www.theguard[...] 2020-05-07
[103] 뉴스 Ursula K Le Guin documentary maker turns to Kickstarter for funds https://www.theguard[...] 2016-02-01
[104] 웹사이트 The First Annual Ursula K. Le Guin Prize for Fiction will be Awarded in 2022! https://www.tor.com/[...] Macmillan 2021-10-19
[105] 웹사이트 New Le Guin Prize for Fiction https://locusmag.com[...] 2021-10-18
[106] 웹사이트 Winner of the Ursula K. Le Guin Prize Is Revealed https://www.kirkusre[...] 2022-10-25
[107] 웹사이트 Episode 1: The Left Hand of Darkness http://www.bbc.co.uk[...]
[108] 웹사이트 Shadow http://www.bbc.co.uk[...]
[109] 웹사이트 Gedo Senki, A First Response http://www.ursulakle[...]
[110] 웹사이트 A Whitewashed Earthsea: How the Sci Fi Channel wrecked my books http://www.slate.com[...] 2004-12-16
[111] 뉴스 Performing Arts Review: The Left Hand of Darkness http://www.chicagore[...] 1995-02-09
[112] 웹사이트 'Paradises Lost' adapted from the novella by Ursula K Le Guin https://www.playwrig[...] Playwrights Guild of Canada
[113] 웹사이트 Interview: Ursula K. Le Guin http://www.lightspee[...] 2012-10
[114] 웹사이트 Phantoms of the Opera https://www.poetryfo[...] Poetry Foundation
[115] 웹사이트 UI Opera to Premiere New Opera by Stephen Taylor http://www.music.ill[...] University of Illinois School of Music 2012-04-19
[116] 웹사이트 Theater review: 'The Left Hand of Darkness' finds deeply human love on a cold, blue world http://www.oregonliv[...] Oregon Live 2013-05-05
[117] 뉴스 Beloved Fantasy Author Ursula Le Guin Dead at 88 https://www.huffingt[...] 2018-01-01
[118] 서적 The Rough Guide To Cult Fiction Penguin Books Ltd 2005
[119] 논문 The Good Witch of the West https://www.questia.[...] 1974-04-01
[120] 서적 스티븐D.시ンド라 그림 고단샤 문고
[121] 웹사이트 New Le Guin Prize for Fiction https://locusmag.com[...] 2021-10-18
[122] 웹사이트 Announcing the Shortlist for the Inaugural Ursula K. Le Guin Prize for Fiction! https://www.tor.com/[...] 2022-07-28
[123] 웹사이트 Obituary: Alfred Louis Kroeber http://www.americane[...] American Ethnography Quasiweekly 1960
[124] 서적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9
[125]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http://www.viceland.[...] Vice 2008-12
[126] 문서 「モンダスに住む」(A Citizen of Mondath'') 1979
[127] 웹사이트 Interviews: Ursula K. Le Guin, The Art of Fiction No. 221 http://www.theparisr[...]
[128]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Still Battling the Powers That Be http://www.wired.com[...] 2014-07-25
[129]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Encourages Stealing, Went to High School With Philip K. Dick http://www.tor.com/b[...] 2013-10-01
[130] 서적 『夜の言葉』 Iwanami Shoten 1992
[131] 간행물 女王陛下に花束を 2018-08
[132] 뉴스 Le Guin accuses Authors Guild of 'deal with the devil' http://www.guardian.[...] www.guardian.co.uk 2009-12-24
[133] 웹사이트 米作家アーシュラ・K・ル・グウィン氏死去 https://www.bbc.com/[...] BBCニュース 2018-01-24
[134] 논문 "'Only in Dying, Life': The Dynamics of Old Age in the Fiction of Ursula Le Guin" http://links.jstor.o[...] 1984-06
[135]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http://www.salon.com[...] Salon 2001-01-23
[136] 논문 "Gender as It Might Be: A Review Article" http://links.jstor.o[...] 1978-10
[137] 문서 『夜の言葉』
[138] 웹사이트 Locus Index to SF Awards: Ursula Le Guin http://www.locusmag.[...]
[139] 웹사이트 The Locus Index to SF Awards: Locus Awards Records and Tallies http://www.locusmag.[...]
[140] 웹사이트 2002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141] 웹사이트 Living Legends: Ursula LeGuin http://www.loc.gov/a[...]
[142] 뉴스 Library News Release http://www.spl.org/d[...] The Seattle Public Library 2006-10-19
[143] 간행물 People and Publishing: Awards Locus 2003-01
[144] 웹사이트 2009 "Emperor Has No Clothes" Award http://ffrf.org/outr[...]
[145] 웹사이트 "Emperor Has No Clothes" Award http://ffrf.org/outr[...]
[146] 웹사이트 1970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5-04
[147] 웹사이트 1975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5-04
[148] 웹사이트 1969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5-04
[149] 웹사이트 1974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5-04
[150] 웹사이트 1990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5-04
[151] 웹사이트 2008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10-08-13
[152] 웹사이트 1972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10-08-13
[153] 웹사이트 2001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5-04
[154] 웹사이트 1991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10-08-13
[155] 웹사이트 2009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10-08-13
[156] 웹사이트 Gedo Senki, a First Response https://www.ursulakl[...] 2023-10-23
[157] 방송 프로페셔널 仕事の流儀スペシャル 映画を創る 宮崎駿・創作の秘密 NHK総合 2007-03-27
[158] 웹사이트 ジブリ映画「ゲド戦記」に対する原作者のコメント全文 http://hiki.cre.jp/E[...]
[159] 웹사이트 A Whitewashed Earthsea: How the Sci Fi Channel wrecked my books http://www.slate.com[...] Slate 2004-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