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언어 연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어 연합은 언어 간의 유전적 관계가 아닌 언어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사성을 의미한다.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는 1923년 '언어 연합'이라는 용어를 소개했으며, 구문론, 형태 구조, 문화 어휘, 음운 체계 등에서 유사성을 보이지만, 체계적인 음운 대응, 공유된 기본적인 형태론 또는 공유된 기본 어휘는 없는 언어 그룹을 정의했다. 발칸 언어 연합, 표준 유럽어, 동남아시아 언어 연합 등이 대표적이며, 지리적 근접성뿐만 아니라 음운, 형태, 통사적 특징, 언어 변화의 공유가 언어 연합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 - 어휘
    어휘는 특정 언어에서 개인이 사용하는 단어들의 집합을 지칭하며, 언어학적으로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어휘 습득은 언어 능력 및 인지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언어 - 언어학
    언어학은 인간 언어의 구조, 기능, 획득, 사회문화적 측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공시 및 통시언어학을 포함한 여러 이론 분야로 나뉘어 다양한 방법론과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언어의 본질과 인지 과정, 사회적 영향 등을 탐구하며, 응용언어학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한다.
  • 역사언어학 - 보상적 장음화
    보상적 장음화는 자음 탈락으로 인해 앞선 모음이 장음으로 변하는 음운 현상이다.
  • 역사언어학 - 언어계통론
    언어계통론은 언어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는 언어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비교언어학, 언어유형론, 분자인류학, 고고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협력하여 언어의 계통 분류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언어 연합
개요
언어 그룹언어 연합
다른 이름언어 영역, 언어 동맹
설명지리적으로 인접한 언어들이 언어적 특징을 공유하는 현상
특징
공유 특징음운론적 특징 공유
형태론적 특징 공유
통사론적 특징 공유
어휘적 특징 공유
발생 원인언어 접촉
예시
발칸 언어 연합알바니아어
불가리아어
그리스어
마케도니아어
루마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남아시아 언어 연합힌디어
벵골어
펀자브어
구자라트어
마라티어
오리야어
신드어
로마어
타밀어
텔루구어
칸나다어
말라얄람어
싱할라어
동아시아 언어 연합한국어
일본어
류큐어
아이누어
중국어
베트남어
관련 개념
관련 개념언어 접촉

2. 역사

얀 보두앵 드 쿠르트네는 1904년 논문에서 유전적 관계(''rodstvo'')에서 비롯된 언어 유사성과 언어 접촉으로 인한 언어 수렴( ''srodstvo'')에서 비롯된 언어 유사성을 구별할 필요성을 강조했다.[2][3]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는 1923년 논문에서 языковой союз|yazykovoy soyuz|언어 연합ru이라는 용어를 처음 소개했다.[4] 1928년 제1회 국제 언어학자 회의에서 발표한 논문에서, 트루베츠코이는 이 용어의 독일어 차용어인 ''Sprachbund''를 사용하며, 언어 연합을 구문론, 형태 구조, 문화 어휘 및 음운 체계에서 유사성을 가지지만 체계적인 음운 대응, 공유된 기본적인 형태론 또는 공유된 기본 어휘는 없는 언어 그룹으로 정의했다.[5][3]

이후 로만 야콥슨을 시작으로, 트루베츠코이가 규정한 네 가지 영역 모두에서 유사성을 요구하는 조건은 완화되었다.[6][7][8][9][10]

캠벨, 카우프만, 스미스-스타크는 언어 지역을 설정하는 데 유효한 증거에 대한 엄격한 일련의 원칙을 제시했다.[11] 어족이 동일한 조어에서 갈라져 나온 언어군인 데 반해, 언어 연합은 반드시 계통적으로 관련된 언어끼리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공통어 문화권에 속하거나, 화자가 동일 지역에 혼거하거나, 혹은 공통의 기층 언어의 특징을 잔존시키거나 하는 원인으로, 각 언어언어학적 특징이 현저하게 유사성을 띄게 된 언어군을 말한다.

따라서, 어떤 언어가 여러 어족에 속하는 일은 없지만, 여러 언어 연합에 속하는 일은 있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언어는 아무리 거슬러 올라가도 하나의 어족에 속하지만, 특정 시기 이전에는 해당 언어 연합에 속하지 않았거나, 이전에 어떤 언어 연합에 속해 있던 언어가, 그 후 그러한 특징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언어 연합의 인정은 여러 언어 간의 지리적 근접성만을 근거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언어 연합 내부에서는 일정한 음운적·형태적·통사적 특징 및 언어 변화(음운 변화, 문법화)가 공유되는데, 이러한 지역적 특징은 다음의 관점에 의해 특정된다.


  • 해당 지역의 대부분의 언어가 그것을 가진다.
  • 해당 지역의 인접 지대의 언어는 그것을 가지지 않는다.
  • 어족은 같더라도, 해당 지역 외부에서 사용되는 언어에는, 그것이 보이지 않는다.
  • 세계 대부분의 언어에는, 그것이 보이지 않는다.


"언어 연합"은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에 의한 용어이다.

3. 주요 언어 연합

어족이 동일한 조어에서 갈라져 나온 언어군인 데 반해, 언어 연합은 반드시 계통적으로 관련된 언어끼리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공통어 문화권에 속하거나, 화자가 동일 지역에 혼거하거나, 혹은 공통의 기층 언어의 특징을 잔존시키는 등의 원인으로, 각 언어언어학적 특징이 현저하게 유사성을 띄게 된 언어군을 말한다.

따라서, 어떤 언어가 여러 어족에 속하는 일은 없지만, 여러 언어 연합에 속하는 일은 있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언어는 아무리 거슬러 올라가도 하나의 어족에 속하지만, 특정 시기 이전에는 해당 언어 연합에 속하지 않았거나, 이전에 어떤 언어 연합에 속해 있던 언어가, 그 후 그러한 특징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언어 연합의 인정은 여러 언어 간의 지리적 근접성만을 근거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언어 연합 내부에서는 일정한 음운적·형태적·통사적 특징 및 언어 변화 (음운 변화, 문법화)가 공유되는데, 이러한 지역적 특징은 다음의 관점에 의해 특정된다.


  • 해당 지역의 대부분의 언어가 그것을 가진다.
  • 해당 지역의 인접 지대의 언어는 그것을 가지지 않는다.
  • 어족은 같더라도, 해당 지역 외부에서 사용되는 언어에는, 그것이 보이지 않는다.
  • 세계 대부분의 언어에는, 그것이 보이지 않는다.


주요 언어 연합은 다음과 같다.

  • 발칸 언어 연합
  • 표준 유럽어
  • 인도 아대륙 언어 연합
  • 동남아시아 언어 연합
  • 발트 언어 연합
  • 일본-조선 언어 연합 (가설)
  • 알타이 언어 연합 (가설)
  • 칭하이-간쑤 언어 연합
  • 중앙아메리카 언어권
  • 태평양 북서부 언어권


이 외에도 에티오피아 고원, 뉴기니의 세픽강 유역, 발트해 지역, 코카서스 지역 등에서도 언어 연합이 나타난다.[9][25][26][8] 길라키어와 마잔다라니어는 남캅카스어족 언어와 연관이 있다.[27] 아메리카 언어권에서도 언어 연합이 발견된다.[28]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동부 인도네시아동티모르에서 사용되는 파푸아어족 언어[29][30], 동부 아나톨리아 지역에서도 언어 연합이 제안되었지만 현재는 불확실하다.[31]

3. 1. 발칸 반도

발칸반도는 언어 연합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그리스어, 알바니아어, 루마니아어, 남슬라브어 계통 언어(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슬로베니아어 등)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만, 서로 다른 어군에 속한다. 이들 언어는 부정관사 생략, 미래 시제 형성법, 후치사 등 문법 특징을 공유하며, 이는 같은 어군에 속하는 다른 언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특징이다.[12][13][14][9]

3. 2. 유럽

서유럽의 게르만어나 로망스어는 라틴어그리스어계 어휘를 차용하고 상호 접촉하면서 어휘에서 비슷한 특징을 갖게 되었다. 유럽 대륙의 인도유럽어족 계열 언어는 인도이란의 동계 언어보다 헝가리어, 핀란드어와 같은 우랄어족 언어와 더 많은 공통점을 공유하는데, 이는 헝가리어와 핀란드어가 서유럽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20]

벤자민 워프는 1939년 현대 유럽의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이 공유하는 특징을 묶어 "표준 평균 유럽어(SAE)"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워프는 이들 언어가 통사론, 문법, 어휘와 그 사용법, 대조되는 단어와 그 기원, 관용구, 어순 간의 관계 등에서 많은 유사성을 보이며, 이러한 특징은 전 세계의 다른 많은 언어 그룹과는 구별된다고 주장했다.

워프는 로망스어와 서게르만어군을 SAE의 핵심으로 보았고, 북게르만어군과 발트슬라브어족은 주변적인 구성원으로 간주했다. 알렉산더 고데는 인터링구아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이를 "표준 평균 유럽어"로 특징지었다.[21] 인터링구아의 로망스어, 게르만어족, 슬라브어족 지배 언어는 SAE Sprachbund|슈프라흐분트de에 가장 자주 포함되는 언어 그룹을 반영한다.

표준 평균 유럽어 Sprachbund|슈프라흐분트de는 이동 시대[22]와 그 이후, 중세 시대와 르네상스 시대에 걸쳐 지속된 언어 접촉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현재 재구성된 인도유럽조어에는 SAE 특징의 대부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인도유럽조어로부터 SAE 특징을 물려받았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있다.[23]

3. 3. 아시아

마티아스 카스트렌, G. J. 람스테트, 니콜라스 포페, 펜티 알토 등 일부 언어학자들은 몽골어족, 튀르크어족, 퉁구스어족아시아 (및 유럽의 일부 작은 지역)에서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며, 이를 알타이어족이라고 부른다. 윌리엄 조지 아스톤, 가나자와 쇼사부로, 사무엘 마틴,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등 일부 학자들은 한국어족일본어족이 가설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때때로 알타이어족의 일부로 포함시키기도 한다. 이 가설은 로이 앤드류 밀러, 존 C. 스트리트, 카를 하인리히 멩게스 등이 지지했지만, 제라드 클로슨, 게르하르트 되르퍼, 유하 얀후넨, 슈테판 게오르크 등은 이의를 제기하거나 거부한다. "알타이" 언어 간의 모음조화, 교착어와 같은 유사성은 지역적 확산 때문이라는 설명이 일반적이다.[19]

3. 3. 1. 동아시아

한국어일본어중국어에서 한자 어휘를 빌려와 사용했으며, 특히 한자 차용어로 인해 한국어에서는 많은 고유어가 사라졌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기본 어휘와 문법에서 중국어와 전혀 일치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어족에 속한다. 그러나 한자를 빌려 쓰면서 한자어 발음에서 비슷한 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언어 연합 때문이 아니라 한국어와 일본어가 한자 차용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19]

일부 언어학자들은 몽골어족, 튀르크어족, 퉁구스어족이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며, 이를 알타이어족이라고 부른다. 한국어족일본어족 또한 이 가설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3. 3. 2. 동남아시아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는 단음절 고립어이자 성조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동남아시아 대륙 언어 지역에 속하는 언어들은 시노티베트어족, 흐몽미엔어족, 타이-카다이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등 서로 다른 어족에 속하지만, 성조 체계, 모음 체계, 어순 등에서 유사성을 보인다.[15]

이러한 유사성은 확산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시니트어족(시노티베트어족), 흐몽미엔어족, 타이어(카다이어족), 베트남어(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유사한 성조 체계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들 언어는 대부분 음절에서 세 개의 성조를 가지다가 성조 분열을 겪으며 성조 수가 늘어났다. 앙드레 조르주 오드리쿠르는 베트남어 성조가 몬크메르어족의 다른 언어에서 특정 최종 자음과 일치한다는 것을 밝혀 성조가 불변의 특징이 아님을 제시하였다.[15]

관련 없는 크메르어(몬크메르어족), 참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 라오어(카다이어족)가 거의 동일한 모음 체계를 가진 것도 유사한 사례이다. 이 지역의 많은 언어는 고립어 유형이며, 대부분 단음절 형태소와 굴절이나 접사 사용이 거의 없지만, 일부 몬크메르어족 언어는 파생 형태론을 가진다. 공유된 구문 특징으로는 분류사, 목적어-동사 어순, 화제-논평 구조가 있다.[15]

3. 3. 3. 인도 아대륙

머레이 에머뉴는 1956년 논문 "언어 연합으로서의 인도"에서 인도 아대륙을 언어 연합으로 보는 개념을 제시했다.[16] 에머뉴는 인도아리아어와 드라비다어가 후치음, 반향어,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담화 표지, 인용 표현 등 여러 특징을 공유한다고 보았다.[16] 이러한 특징은 이들 언어가 공통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해 확산된 결과라고 주장했다.

에머뉴는 언어와 문화가 수세기 동안 인도에서 융합되어 인도아리아어, 드라비다어, 문다어, 티베토버마어의 4개 언어족이 구조적으로 수렴하는 통합된 모자이크를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9][17][18]

3. 3. 4. 칭하이-간쑤 지역

칭하이-간쑤 언어 연합은 티베트 고원 북동부에 위치하며 중국 칭하이성간쑤성에 걸쳐 있다. 이곳은 중국 북서부 방언, 암도 티베트어, 몽골어족, 튀르크어족 간의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지역이다.[19]

3. 4. 기타 지역

에티오피아 고원, 뉴기니의 세픽강 유역, 발트해 지역, 코카서스 지역 등에서도 언어 연합이 나타난다.[9][25][26][8] 길라키어와 마잔다라니어는 남캅카스어족 언어와 연관이 있다.[27] 중앙아메리카, 푸에블로, 태평양 북서부 등 아메리카 언어권에서도 언어 연합이 발견된다.[28][9]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동부 인도네시아동티모르에서 사용되는 파푸아어족 언어[29][30], 동부 아나톨리아 지역에서도 언어 연합이 제안되었지만 현재는 불확실하다.[31]

4. 논란이 되는 언어 연합

마티아스 카스트렌, G. J. 람스테트, 니콜라스 포페, 펜티 알토 등 일부 언어학자들은 몽골어족, 튀르크어족, 퉁구스어족이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며, 이 가설상의 어족을 알타이어족이라고 부른다.[19] 윌리엄 조지 아스톤, 가나자와 쇼사부로, 사무엘 마틴, 세르게이 스타로스틴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한국어족일본어족을 알타이어족에 포함하기도 한다. 로이 앤드류 밀러, 존 C. 스트리트, 카를 하인리히 멩게스 등은 이 가설을 지지했지만, 제라드 클로슨, 게르하르트 되르퍼, 유하 얀후넨, 슈테판 게오르크 등은 이의를 제기하거나 거부한다.[19] "알타이" 언어 간의 모음조화, 교착어와 같은 유사성은 지역적 확산 때문이라는 설명이 제시되기도 한다.[19]

5. 한국의 관점

한국어는 주변 언어들과의 접촉을 통해 다양한 언어적 특징을 공유하게 되었다. 특히, 한자 문화권의 영향으로 중국어, 일본어와 한자 어휘를 공유하며, 이는 한국어 고유어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동남아시아 언어들과의 유사성은 덜하지만, 언어 연합의 관점에서 한국어와 주변 언어들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은 한국어의 기원과 발달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언어 연합 현상을 통해 나타나는 언어 간의 상호 작용과 문화 교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를 통해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협력을 증진할 수 있다고 본다.

참조

[1] 서적 Language Typology – Cross-linguistic Studies in Syntax North-Holland
[2] 간행물 Enciklopedičeskij slovarʹ
[3] 간행물 From linguistic areas to areal linguistics John Benjamins
[4] 간행물 Vavilonskaja bašnja i smešenie jazykov
[5] 간행물 Actes du premier congrès international des linguistes à la Haye, du 10–15 avril 1928 A. W. Sijthoff
[6] 간행물 Über die phonologischen Sprachbünde
[7] 간행물 Actes du quatrième congrès international de linguistes tenu à Copenhague du 27 aout au 1er septembre, 1936 Kraus Reprints
[8] 간행물 The myth of the Caucasian Sprachbund: The case of ergativity http://www.mapageweb[...]
[9] 간행물 Languages in Contact Rodopi
[10] 간행물 5th NWCL International Conference: Linguistic Areas, Convergence, and Language Change http://www.linguisti[...] 2010-09-25
[11] 문서 Meso-America as a linguistic area Language 1986
[12] 문서 Albanische, walachische und bulgarische Sprache Wiener Jahrbücher der Literatur 1830
[13] 서적 Papers from the 33rd Regional Meeting of the Chicago Linguistic Society http://humstatic.uch[...] Chicago Linguistic Society
[14] 간행물 After 170 years of Balkan Linguistics: Whither the Millennium? http://humstatic.uch[...]
[15] 간행물 Areal Linguistics and Mainland Southeast Asia http://pubman.mpdl.m[...]
[16] 간행물 India as a Linguistic Area
[17] 서적 Language and Linguistic Area: Essays by Murray B. Emeneau Stan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Language contact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Routledge
[20] 문서 "The Relation of Habitual Thought and Behavior to Language" Sapir Memorial Publication Fund
[21] 웹사이트 Manifesto de Interlingua http://lecorde.com/i[...] 2013-02-10
[22] 웹사이트 "Language Typology and Language Universals" http://www.anglistik[...] 2015-10-13
[23] 문서 "How young is Standard Average European?" Language Sciences
[24] 서적 Syntactic Change in Akkadian: The Evolution of Sentential Complemen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
[25] 간행물 The Ethiopian Language Area
[26] 서적 Language in Ethiopia Oxford University Press
[27] 간행물 Concomitant Replacement of Language and mtDNA in South Caspian Populations of Iran
[28] 간행물 Meso-America as a Linguistic Area
[29] 서적 From Linguistic Areas to Areal Linguistics John Benjamins
[30] 문서 Wallacea, a linguistic area https://journals.ope[...] Archipel. Études interdisciplinaires sur le monde insulindien
[31] 서적 Bamberger Orientstudie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amberg Press
[32] 서적 Areal Diffusion and Genetic Inheritance: Problems in Comparative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