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인시의 시내버스는 용인시 관할 시내버스 외에도 인접한 여러 시, 군의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시내버스 운행 업체로는 경기고속, 경남여객, 대원고속, 대원버스,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 등이 있으며, 요금은 2019년 9월 28일부터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 체계를 따른다. 용인시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하여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용인시에는 마을버스, 도시형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며, 운수업체, 노선, 요금, 안내방송, 환승 할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용인시의 교통 -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을 잇는 총 144.6km의 고속도로로, 구리~포천 구간은 개통되었고 세종~구리 구간은 건설 중이며, 건설 초기 명칭 및 노선 관련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구리~포천 구간은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가, 세종~구리 구간은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한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용인시의 시내버스 | |
---|---|
지역별 버스 교통 정보 | |
지역 | 용인시 |
구분 | 시내버스 |
![]() | |
그림 설명 | 용인시내버스 10-2번 |
관리 기관 | 용인시청 건설교통국 |
서비스 지역 | 경기도 용인시 |
기타 지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성남시 수원시 안성시 오산시 이천시 화성시 광주시 과천시 안양시 의왕시 하남시 |
노선 수 | 107 |
인가 대수 | 368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
사이트 |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
2. 운수업체
2. 1. 시내버스
2021년 1월 기준으로, 용인시 내 시내버스 운행업체는 다음과 같다.[1]
2. 2. 다른 시, 군 운수업체
용인시에는 용인시 관할 버스 외에도 다른 시, 군의 운수업체 버스도 운행되고 있다. 광주의 경기고속, 대원고속, 성남의 대원버스, 수원의 남양여객, 성우운수, 수원여객, 용남고속, 안성의 백성운수, 평택의 협진여객, 가곡여객, 화성의 경진여객(도시형버스 면허), 화성여객 등이 용인시를 경유한다.3. 요금
3. 1. 요금 체계
용인시의 시내버스는 2019년 9월 28일부터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 체계를 따르고 있다. 조조할인 요금이 적용된다.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3. 2. 환승 할인
용인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같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따라서 다른 경기도 지역 시내버스 및 수도권 전철과 환승 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4. 안내방송
직행좌석버스와 용인시내버스 10-2번은 기존부터 이비 안내방송을 사용했으며, 나머지 본시스템을 사용하는 노선들도 순차적으로 이비 안내방송으로 교체가 완료됐다.
5. 용인시 차적의 버스 노선
5. 1. 마을버스
용인시의 마을버스 노선 정보는 용인시의 마을버스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5. 2. 도시형버스
경남여객에서 운행하는 용인시의 도시형버스는 다양한 노선번호로 운행되고 있다. 용인터미널을 중심으로 구성역, 마성리, 이천터미널, 남사, 수원역, 백암터미널 등 여러 지역을 연결한다.- N1번: 용인터미널과 구성역 사이를 1회 운행하며, 신갈역, 강남대역, 삼가역, 시청·용인대역 등을 경유한다.
- 2번: 용인터미널과 마성리를 30~5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처인구청, 운동장송담대역, 둔전역 등을 경유한다.
- 3번: 용인터미널에서 이천터미널까지 30~4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마평, 양지, 제일리 등을 거친다. 1회는 103번 차량으로 운행한다.
- 6번: 용인터미널에서 남사까지 6회 운행하며, 송담대, 천리, 송전 등을 경유한다. 6-1번은 화산리까지 2회 운행한다.
- 7번: 용인터미널과 마성리 사이를 11회 운행하며, 처인구청, 운동장송담대역, 유림동 등을 경유한다.
- 8번: 용인터미널과 둔전역 사이를 40~5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덕영고, 고림동 등을 경유한다.
- 9번: 용인터미널에서 지장실까지 7회(9번), 마성3리까지 6회(9-1번), 마성리까지 1회(9-2번, 07:10) 운행하며, 운동장송담대역, 유림동, 둔전역, 포곡 등을 경유한다.
- 10번: 수원역과 백암터미널 사이를 10~1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성빈센트병원, 아주대입구, 기흥역, 명지대입구, 용인터미널, 양지 등을 경유한다.
- 10-1번: 백암터미널과 죽산터미널 사이를 15~2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백봉, 고안리, 죽주산성 등을 경유한다. 101번은 9회 운행한다.
- 10-2번: 흥덕지구와 수원역 사이를 21~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흥덕중심상가, 수원남부경찰서, 아주대입구 등을 경유한다.
- 10-3번: 용인터미널과 백암터미널 사이를 240~4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운학과학화예비군훈련장, 운학초등학교, 원삼중학교, 백암초.중.고등학교 등을 경유한다.
- 10-4번: 용인터미널과 상산(한택식물원) 사이를 20~5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송담대, 운학, 원삼, 백암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7회는 백암에서 회차한다.
- 10-5번: 용인터미널에서 수원역까지 15~2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명지대입구, 상하동, 상갈역, 아주대입구 등을 경유한다.
- 10-6번: 백암터미널에서 아송까지 3회(10-6번), 원삼까지 1회(10-7번, 13:40) 운행하며, 백봉리, 두창리 등을 경유한다. 10-1번 차량으로 운행한다.
- 11번: 용인터미널과 구봉말 사이를 35~10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마평, 양지, 원삼 등을 경유한다.
- 11-1번: 용인터미널과 둥지박물관 사이를 6회 운행하며, 송담대, 천리, 묵리, 원삼 등을 경유한다.
- 12번: 금어2리와 마성리 사이를 10회 운행하며, 삼정그린뷰, 둔전역, 포곡 등을 경유한다.
- 13번: 명지대학교와 명지대역 사이를 20~4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역북지구를 경유한다.
- 14번: 모현면사무소에서 출발하여 모산마을, 독산마을, 외개일, 내개일, 매산을 순환하는 노선으로, 14번(6회), 14-1번(4회)이 있다.
- 14-3번: 모현면사무소와 오산리 사이를 7회 운행하며, 매산리, 문형리, 동림리, 능원리 등을 경유한다.
- 16번: 용인터미널과 백암터미널 사이를 8회 운행하며, 송담대, 운학, 원삼 등을 경유한다.
- 20번: 용인터미널과 광주축협 사이를 11~17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유림동, 포곡, 모현, 양벌리 등을 경유한다.
- 21번: 시청·용인대와 송전터미널 사이를 30~5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용인등기소, 역삼동 행정복지센터, 명지대, 옥현, 노루실, 천리, 덕성리 등을 경유한다.
- 22번: 용인터미널과 장촌 사이를 30~6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송담대, 천리, 묵리 등을 경유한다.
- 22-1번: 용인터미널과 안성터미널 사이를 25~3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송담대, 천리, 송전, 양성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 24번: 용인터미널과 오산역 사이를 4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송담대, 천리, 송전, 남사, 남동탄, 오산종합운동장 등을 경유한다.
- 24-1번: 용인터미널과 오산역 사이를 8회(24-1번) 운행하고 남사면을 4회(24-2번) 운행하며, 송담대, 천리, 완장리, 남사지구, 남동탄, 오산종합운동장 등을 경유한다.
- 24-3: 남사지구에서 용인시청과 용인대까지 운행한다.
- 25번: 송전터미널과 진목리(진목교회) 사이를 16회 운행하며, 월곡, 남곡초등학교, 처인성, 한숲시티, 창동, 남사, 전궁리사거리 등을 경유한다.
- 55번: 상현역과 강남대역 사이를 12~1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상현중고교, 광교호수공원, 흥덕지구, 신갈오거리, 기흥역 등을 경유한다.
- 65번: 용인터미널과 청덕지구 사이를 45~7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처인구청, 용인시청, 삼가역, 초당역, 동백역, 동백고등학교 등을 경유한다.
- 66번: 에버랜드와 수원역 사이를 6~1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포곡, 용인운동장, 역삼동, 상하동, 기흥역, 아주대입구, 성빈센트병원 등을 경유한다.
- 66-4번: 에버랜드와 수원역 사이를 10~18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포곡, 용인운동장, 역삼동, 동백고교, 기흥역, 아주대입구, 성빈센트병원 등을 경유한다.
- 68번: 용인터미널과 수지구청역 사이를 35~9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처인구청, 용인시청, 삼가역, 초당역, 동백역, 구성역, 보정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 70번: 용인터미널과 금어2리 사이를 12회 운행하며, 고진역, 유림동, 보평역, 삼정그린뷰 등을 경유한다.
- 71번: 용인터미널과 지장실 사이를 11회 운행하며, 유림동 등을 경유한다. 1회는 영문중학교를 경유한다(71-1 용인행, 71-2 지장실 행).
- 72번: 용인터미널과 남사 사이를 5회(72번), 1회(72-1번, 06:45) 운행하며, 송담대, 천리, 완장리, 북리 등을 경유한다.
- 73번: 백암터미널에서 아송까지 6회(73번), 가곡까지 5회(73-1번), 대흥동까지 6회(73-2번, 2회 10-1번 차량), 상촌까지 3회(73-3번), 석실까지 2회(73-4번), 강촌까지 3회(73-5번) 운행하며, 백봉리, 구백암, 수정, 가장리 등을 경유한다.
- 74번: 용인터미널과 온누리요양병원 사이를 11회 운행하며, 덕영고, 고림동, 주북리, 배실 등을 경유한다.
- 75번: 용인터미널과 진목리 사이를 6회 운행하며, 송담대, 천리, 서리, 완장리, 아곡리, 남사 등을 경유한다.
- 76-1번: 원삼에서 가좌리까지 1회(76-1번, 06:50), 승죽까지 1회(76-2번, 07:10), 구봉말까지 3회(76-3번), 좌전까지 1회(76-4번, 08:00), 백암까지 2회(76-5번), 좌전까지 1회(76-6번, 16:10), 승죽까지 3회(76-7번), 가좌리까지 1회(76-8번, 19:20), 아송까지 2회(76-9번), 가좌리까지 1회(76-10번, 11:50), 맹리까지 1회(76-11번, 15:20) 운행하며, 내동, 사암리, 좌전, 맹리, 문촌리, 학일리 등을 경유한다.
- 77번: 상현동과 어정마을 사이를 30~9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상현중고교, 석성로, 구성역, 중일초등학교, 어정중학교 등을 경유한다.
- 78번: 백암터미널에서 좌항리까지 9회 운행하며, 용수동마을, 황토현마을, 독성리, 원삼, 용담저수지, 생안을 경유한다.
- 81번: 용인터미널과 양지 사이를 10회 운행하며, 덕영고, 고림동, 주북리 등을 경유한다.
- 82번: 용인터미널과 대대3리 사이를 60분 간격으로(82번) 2회(82-1번) 운행하며, 덕영고, 고림동, 예원코아루, 대대리, 한터캠프, 양지 등을 경유한다.
- 83번: 용인터미널과 해실리 사이를 6회(83번), 3회(83-1번) 운행하며, 처인구청, 마평, 송담대, 운학, 내어둔, 와우정사 등을 경유한다.
- 84번: 용인터미널에서 용인시청까지 6회(84번), 아시아나CC까지 7회(84-1번), 중간동까지 1회(84-2번, 06:30) 운행하며, 처인구청, 김량장역, 중간동, 마평, 남곡리, 양지 등을 경유한다.
- 85번: 용인터미널과 우림필유 사이를 8.5회 운행하며, 유림동, 둔전역, 포곡, 전대에버랜드역, 삼계리 등을 경유한다.
- 88번: 용인터미널과 삼성반도체 사이를 40~5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처인구청, 용인시청, 삼가역, 소방산업기술원, 한국민속촌, 한보라마을, 공세동, 고매동 등을 경유한다. 88-1번은 7회 운행한다.
- 89번: 용인터미널과 내개일 사이를 12회 운행하며, 유림동, 둔전역, 포곡, 초부리, 자연휴양림, 갈담리, 모현, 매산리 등을 경유한다.
- 90번: 용인터미널과 모현 사이를 13회(90번) 운행하고, 에버랜드와 모현 사이를 80분 간격으로(90-1번) 운행하며, 유림동, 둔전역, 포곡, 에버랜드, 신원리, 매산리 등을 경유한다.
- 91번: 용인터미널과 묘봉리 사이를 9회 운행하며, 송담대, 천리, 화산리, 송전 등을 경유한다.
- 92번: 용인터미널과 창리 사이를 8회(92번), 송전까지 2회(92-1번, 첫차/막차) 운행하며, 송담대, 천리, 송전 등을 경유한다.
- 93번: 용인터미널을 순환하는 노선으로 6회(93번, 93-1번) 운행하며, 송담대, 천리, 서리, 상덕, 용인대, 명지대입구, 처인구청 등을 경유한다.
- 94번: 기흥역과 동탄역 사이를 30~4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상갈역, 한보라마을, 공세동, 고매동 등을 경유한다.
- 95번: 용인터미널과 추곡리 사이를 60분 간격으로(95번) 운행하고 곤지암까지 1회(95-1, 16:30) 운행하며, 덕영고, 고림동, 예원코아루, 대대리, 도척, 상림리, 궁평리 등을 경유한다.
- 97번: 용인터미널과 식금리 사이를 8회 운행하며, 처인구청, 마평, 송문리, 양지, 평창리, 추계리 등을 경유한다.
- 99번: 고매동과 기흥구청 사이를 8회 운행하며, 공세대주피오레, 한국민속촌입구, 상갈역, 신갈오거리, 녹십자 등을 경유한다.
- 102번: 백암터미널과 박곡리 사이를 3회 운행하며, 원터, 범말, 외수곡 등을 경유한다. 10-1번 차량으로 운행한다.
- 103번: 용인터미널과 청강문화산업대학 사이를 8회 운행하며, 마평, 양지, 추계리, 오천, 덕평 등을 경유한다.
- 105번: 지렁골과 MBC 드라미아 사이를 9회 운행하며, 백암, 장평리, 용천리 등을 경유한다.
- 670번: 에버랜드와 광교테크노밸리 사이를 30~4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영문리, 마성리, 동백고등학교, 보정역, 죽전역, 상현역 등을 경유한다.
- 690번: 용인터미널과 수지구청역 사이를 40~5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처인구청, 용인시청, 삼가역, 상하동, 강남대역, 기흥역, 신갈역, 보정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 820번: 명지대학교와 정자역 사이를 10~12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송담대, 용인터미널, 처인구청, 용인시청, 삼가역, 기흥역, 신갈역, 보정역, 오리역, 미금역 등을 경유한다.
- 970번: 용인터미널과 추계리 사이를 7회 운행하며, 용인시청, 처인구청, 마평, 신평리, 양지, 제일리 등을 경유한다.
5. 3. 일반좌석버스
용인시에서는 출퇴근 시간대에 전세버스를 투입하여 일반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Y1201번은 봉무리(남사)에서 출발하여 기흥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남사, 남곡사거리, 송전터미널, 덕성리세라믹, 천리신미주아파트, 에이스카운티를 경유한다. Y1202번은 백암터미널에서 기흥역까지 운행하며 두창리, 원삼면행정복지센터, 사암주유소, 용암, 농업기술센타를 거친다. Y1301번은 둔전역과 동천역 사이를 왕복하며 둔전농협앞, 55사단앞, 삼성쉐르빌아파트, 포곡읍행정복지센터, 재원아파트를 경유한다. Y1302번은 왕신리(모산마을)와 동천역을 연결하며 장전평왕산주유소, 외대사거리, 왕산초등학교, 모현을 지난다. 이 노선들은 모두 하루 3회 운행한다.5. 4. 직행좌석버스
번호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2층버스 운행
직행좌석
2층버스 운행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2층버스 운행
직행좌석
2층버스 운행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한국거래소)
직행좌석
직행좌석
환승센터
직행좌석
직행좌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