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형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형학은 지구 표면의 형태와 그 형성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19세기 중반 지구 과학의 발전과 함께 성장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지형과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근대 지형학은 19세기 유럽에서 시작되어, 20세기에는 데이비스의 침식 순환 모델과 펭크의 융기-박리 모델 등 다양한 이론이 제시되었다. 현대 지형학은 정량적 분석과 다양한 지형의 특성을 고려하며, 지형 물질, 지형 역력, 시간의 3요소를 중심으로 지형 형성 과정을 연구한다. 주요 지형 형성 과정으로는 풍화, 침식, 운반, 퇴적이 있으며, 내적 작용인 지각 변동과 화산 활동, 외적 작용인 풍성 작용, 강, 빙하 작용, 사면 과정, 해양 과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연지리학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 자연지리학 - 영구동토
    영구동토는 북반구 고위도와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2년 이상 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토양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빙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 증가 및 지반 불안정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 지형학 - 유역
    유역은 분수계를 경계로 빗물이 모여 하천을 이루는 지역으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홍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이다.
  • 지형학 - 영구동토
    영구동토는 북반구 고위도와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2년 이상 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토양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빙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 증가 및 지반 불안정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 지구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지구과학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지형학
개요
학문 분야지리학, 지질학
연구 대상지형
관련 학문기후학, 고기후학, 지질학, 고지리학, 수문학, 생태학, 토양학, 지구물리학, 측지학, 고고학, 공학
세부 분야
기후 지형학기후 조건이 지형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해안 지형학해안 환경의 지형적 과정과 형태 연구
수문 지형학물 순환과 지형 사이의 상호 작용 연구
빙하 지형학빙하와 빙하 작용이 지형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구조 지형학지각 변동과 지형 발달의 관계 연구
행성 지형학다른 행성 및 위성의 지형적 특징 연구
정량적 지형학통계 및 수치 모델을 사용하여 지형 분석
응용 지형학지형학적 지식을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
환경 지형학인간 활동이 지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역사 지형학과거의 지형 변화와 그 원인 연구
주요 과정
풍화암석이 물리적, 화학적으로 분해되는 과정
침식바람, 물, 얼음 등에 의해 지표면 물질이 깎여 나가는 과정
운반침식된 물질이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과정
퇴적운반된 물질이 쌓이는 과정
지각 변동단층, 습곡, 화산 활동 등으로 지형이 변화하는 과정
지형 요소
지표면에서 높이 솟아오른 지형
계곡물이나 빙하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오목한 지형
평야넓고 평탄한 지형
고원주변보다 높고 평탄한 지형
해안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경계 지역
사막강수량이 매우 적어 식생이 희박한 지역
빙하눈이 쌓여 형성된 거대한 얼음 덩어리
연구 방법
지형도 분석지형도를 이용하여 지형의 형태와 특징을 분석
항공 사진 및 위성 영상 분석항공 사진 및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넓은 지역의 지형을 분석
현장 조사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지형의 특성을 관찰하고 자료를 수집
실험실 분석수집된 토양, 암석 등의 시료를 분석하여 지형 형성 과정을 연구
수치 모델링컴퓨터를 이용하여 지형 변화 과정을 시뮬레이션
역사
기원19세기 후반
주요 학자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
발터 펜크
앨리스터 스트라
관련 용어
지형 발달지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
침식 기준면침식 작용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가상적인 면
하천 쟁탈하천이 다른 하천의 유역을 빼앗는 현상
구조 평야지층 구조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평야
충적 평야하천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평야
해안 단구해수면 변화로 인해 해안 지역에 형성된 계단 모양의 지형
빙하 지형빙하의 침식 및 퇴적 작용으로 형성된 지형
카르스트 지형석회암 지대가 빗물이나 지하수에 용해되어 형성된 지형
기타
관련 저널Geomorphology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Earth Surface

2. 역사

몇몇 고대 시대의 주목할 만한 예외를 제외하면, 지형학은 19세기 중반 지구 과학의 다른 측면에 대한 관심과 함께 성장한 비교적 젊은 과학이다. 이 섹션에서는 지형학의 발달에 기여한 주요 인물과 사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슬로바키아 고타트라 산맥의 "벨케 힌초보 플레소" 호수. 이 호수는 한때 이 빙하 계곡을 차지했던 흐르는 얼음에 의해 조각된 "과대 심화"를 차지한다.


각국의 근대적인 지형학은 19세기의 구미에서의 지형학을 효시로 하는 경우가 많다. 신흥국에서는 구 종주국의 지형학의 영향이 강하지만, 국제지형학회의 인적 교류를 배경으로, 최근에는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는 나라도 많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고대 그리스 학자들은 지형과 지구 표면의 진화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기원전 5세기에 헤로도토스나일강 삼각주지중해로 확장되고 있음을 추정했다.[11][12] 기원전 4세기 아리스토텔레스는 퇴적물 이동으로 바다가 채워지고 육지가 낮아지며, 이 과정이 반복될 것이라고 주장했다.[11][20] 10세기 순수 형제 백과사전은 바위가 부서져 바다로 쓸려 들어가 새로운 대륙을 형성하는 육지와 바다의 순환을 논했다.[20] 아부 라이한 비루니는 인도양인도 아대륙 전체를 덮었다고 가설을 세웠다.[13] 1546년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침식과 자연 풍화에 대해 썼다.[14]

송나라심괄태평양에서 멀리 떨어진 산의 지층에서 발견된 바다 화석 조개 껍데기를 보고, 절벽이 선사 시대 해안선의 위치였다고 이론화했다. 그는 태항산과 안탕산에서 침식을 관찰한 후, 산의 토양 침식과 실트 퇴적에 의해 육지가 형성되었다고 추론했다.[15][16][17] 기후 변화 이론을 옹호했다.[16][18][19] 서진 시대 두예는 산비탈에 묻은 비석과 산꼭대기에 세운 비석의 상대적 위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뀔 것이라고 예측했다.[20] 갈홍은 신 마고가 동중국해 영토가 한때 뽕나무 밭이었다고 설명하는 대화를 만들었다.[21]

헤로도토스나일강삼각주와 관련하여 충적 작용에 의한 지형 형성을 기술했고, 하천, 지진, 해면 변동이 지형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스트라본, 세네카 등은 하천이나 지각 변동 등 지형학적인 의의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인식했다. 중세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하천의 침식, 퇴적 작용, 차별 침식 개념을 제시했다. 그러나 15세기부터 17세기는 천변지이설이 널리 퍼져 과학적 이해는 정체되었다.

2. 2. 근대 지형학의 성립

"지형학"이라는 용어는 1858년 독일어로 쓰인 라우만의 저서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22] 존 웨슬리 파월과 W. J. 맥기가 1891년 국제지질학회에서 사용한 이후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22] 존 에드워드 마르는 자신의 저서 《풍경의 과학적 연구》에서[23] 이 책을 '지질학과 지리학의 결합으로 탄생한 지형학에 대한 입문서'로 간주했다.

18세기에는 제임스 허턴이 천변지이설을 뒤엎고 균일설을 주장하며, "현재는 과거를 푸는 열쇠 (The present is the key to the past)"라는 명언을 남겼다. 균일설의 이해자였던 존 플레이페어는 균일설을 널리 알리는 동시에, 하천 지형에 관한 새로운 견해(후에 "플레이페어의 법칙"이라고 불림)를 제시했다. 찰스 라이엘의 저서 『지질학 원리(Principle of Geology)』에 의해, 지형학은 지질학과 함께 근대 과학의 반열에 올랐다.

19세기에는 빙기에 대한 인식이 두드러진 진보로 언급되었고, 산악 빙하대륙 빙상의 지형학적 의의가 인식되었다. 알브레히트 펜크가 다양한 지형을 성인적으로 설명했고, 1894년에 지형학의 첫 번째 정서인 『지표의 형태학(Morphologie der Erdoberfläche)』을 출판했다.

초기의 인기 있는 지형 모델은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가 1884년에서 1899년 사이에 개발한 광범위한 규모의 지형 진화 모델인 ''지리적 순환'' 또는 ''침식 순환'' 모델이었다.[11] 이 모델은 제임스 허턴에 의해 처음 제안된 동일과정설을 발전시킨 것이었다.[24] 데이비스가 이 아이디어를 개발한 이후 수십 년 동안, 많은 지형학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 결과를 "데이비스식"으로 알려진 이 틀에 맞추려고 했다.[11] 데이비스의 아이디어는 역사적으로 중요하지만, 예측력이 부족하고 정성적인 특성 때문에 오늘날에는 대부분 대체되었다.[11]

1920년대에 발터 펭크는 데이비스의 모델에 대한 대안을 개발했다.[11] 펭크는 지형 진화가 융기와 박리의 지속적인 과정의 교대로 더 잘 설명된다고 생각했다.[25] 그는 또한 많은 지형에서 사면 진화가 데이비스식의 표면 하강이 아닌 암석의 후퇴에 의해 발생하며, 그의 과학은 주어진 지역의 표면 역사를 상세히 이해하는 것보다 표면 과정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고 강조했다. 펭크는 독일인이었고, 그의 생애 동안 그의 아이디어는 영어권 지형학계에서 때때로 격렬하게 거부되었다. 그의 이른 죽음, 데이비스의 그의 연구에 대한 반감, 그리고 그의 종종 혼란스러운 문체는 모두 이러한 거부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26]

데이비스와 펭크는 모두 지구 표면의 진화에 대한 연구를 이전보다 더 일반적이고 세계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입장에 두려고 노력했다. 19세기 초, 특히 유럽의 저자들은 지형의 형태가 지역의 기후, 특히 빙하작용과 한랭 기후 과정의 특정 효과에 기인한다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대로, 데이비스와 펭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형의 진화와 다양한 조건에서 다양한 지형에 걸쳐 나타나는 지구 표면 과정의 일반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려고 했다.

1900년대 초, 지역 규모의 지형학 연구는 "지형학"이라고 불렸다.[27] 지형학은 나중에 "물리적"과 "지리학"의 축약어로 간주되어 지리학과 동의어가 되었고, 그 분야의 적절한 관심사를 둘러싼 논쟁에 휩싸였다. 일부 지형학자들은 지형학에 대한 지질학적 기반을 고수하고 지형 지역 개념을 강조했지만, 지리학자들 사이에서는 지형학을 지질학적 유산에서 분리된 "순수 형태학"과 동일시하려는 상반된 경향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과정, 기후, 정량적 연구가 등장하면서 많은 지구 과학자들은 풍경에 대한 기술적인 접근 방식보다는 분석적인 접근 방식을 제안하기 위해 "지형학"이라는 용어를 선호하게 되었다.[28]

2. 3. 현대 지형학의 발전

지형에 대한 과학적 인식의 맹아는 고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를 들어, 헤로도토스나일강삼각주와 관련하여 충적 작용에 의한 지형의 형성 과정을 기술했으며, 하천, 지진, 해면 변동이 지형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 스트라본, 세네카 등은 하천이나 지각 변동 등 지형학적인 의의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세가 되면, 레오나르도 다 빈치에 의해 하천의 침식, 퇴적 작용이나 암석의 경연을 반영한 차별 침식의 개념도 생겨났다. 그러나, 15세기부터 17세기의 시대는 천변지이설이 널리 퍼졌고, 지형과 지질에 대한 과학적 이해는 정체되어 있었다.

18세기가 되면, 제임스 허턴이 천변지이설을 뒤엎고 균일설을 주장하며, "현재는 과거를 푸는 열쇠 (The present is the key to the past)"라는 명언을 남겼다. 균일설의 이해자였던 존 플레이페어는 균일설을 널리 알리는 동시에, 하천 지형에 관한 새로운 견해(후에 "플레이페어의 법칙"이라고 불림)를 제시했다. 플레이페어에 의한 수류의 협화적 합류는 지형이 점차 변화한다는 시스템에 기반한 표현이었다. 그리고, 찰스 라이엘의 저서 『지질학 원리(Principle of Geology)』에 의해, 지형학은 지질학과 함께 근대 과학의 반열에 올랐다. 『지질학 원리』에는 지형의 형성과 변화에 관련된 예가 언급되어 있으며, 라이엘은 현대와 연결되는 지질 연대론의 기초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에는 빙기에 대한 인식이 두드러진 진보로 언급되었고, 산악 빙하대륙 빙상의 지형학적 의의가 인식되었다. 또한, 식민지 확장 시대에 서구인들이 세계 각지를 여행하면서 지질, 지형학적 지식이 급증했고, 이를 바탕으로 알브레히트 펜크가 다양한 지형을 성인적으로 설명했다. 지형학에 관한 중요한 공헌의 대부분이 베를린 대학교 지리학 교실에서 이루어졌고, 펜크는 1894년에 지형학의 첫 번째 정서인 『지표의 형태학(Morphologie der Erdoberfläche)』을 출판했다.

그 후, 지형학은 미국에서 현저하게 진보하여, 존 웨슬리 파월, 그로브 칼 길버트, 클래런스 에드워드 더튼 등이 서부 개척을 위해 북미 각지를 조사하면서 많은 지형학적 지식을 얻었다. 특히 길버트는 하천의 오목한 종단면 형상을 유량과 경사에 관련된 침식력에 대응시키는 등, 후대의 영력론의 원점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지식은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에 의해 "침식 윤회설"로 총괄되었다. 침식 윤회설은 습윤 온대 지역에서의 산지의 하천 침식에 의한 경시적 변화를 윤회라는 형태로 정리한 것으로, 지형 변화는 3변수(작용, 구조, 시기)에 의해 제한된다고 주장한다. 데이비스의 설은 "데이비스 지형학"이라고 불리며 세계적으로 널리 퍼졌고, 근대 지형학의 효시로 칭송받았다. 그러나 그 묘사는 연역적이고 정성적이었기 때문에, 후에 많은 비판이 있었다. 더글라스 존슨의 해안 지형 연구와 찰스 코튼의 지형 일반에 대한 정밀한 묘사로 수정되었다. 당시에는 광역에 걸친 평탄한 지표면의 성인이 육상에서의 침식, 퇴적인지 해역에서의 평탄화 작용인지 하는 문제가 존재했으며, 지각 변동이 짧은 시간 안에 끝난다고 한 데이비스의 생각도 이 무렵에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았다.

한편, 초기의 지형학에서는 지형의 분포와 분류를 주요 문제로 삼았지만, 침식 영력에 의해 고유한 지형이 생긴다는 것은 알려져 있었다. 이 점은 레짐 이론(농업 용수로의 유지에 관한)과도 관련되어, 수류의 특성이나 기후 조건과의 관련에서 1920년대 이후의 유럽에서의 영력론적인 시각을 낳는 토대가 되었고, 1950년대의 프랑스를 중심으로 하는 기후 지형학으로 이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시대에는 실용적인 필요성으로 인해 다방면의 연구자, 기술자에 의해 지형의 정량적 연구가 이루어졌고, 랄프 바그놀드의 비사(飛砂)와 풍성 지형 연구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전후에는 냉전과 관련하여 항공 사진 측량이나 원자력 잠수함 운용을 위한 해저 지형 측량이 진행되었고, 세계적으로 육상과 해저의 지형이 고정밀도의 지형도로 표현되게 되었다. 미국에서는 로버트 호턴을 시조로 하는 유역 지형의 정량적 연구가 아서 스트렐러나 스탠리 샴 등에 의해 진전되었고, 많은 법칙이 확립되었다. 한편, 영국이나 스웨덴에서는 지형 프로세스학이, 다른 유럽 국가에서는 항공 사진 판독에 의한 지형 분류도 작성이 각각 융성했다.

1947년에 미국의 윌라드 리비에 의해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이 개발되어, 지층이나 화산쇄설류 퇴적물의 퇴적 연대가 측정되기 시작했다. 그 후, 각종의 연대 측정법이 개발되어 시간 척도가 정성적인 상대 연대로부터 정량적인 방사 연대로 기술되기 시작했고, 지형 발달사 연구의 정밀도 향상에 기여했다. 한편, 침식 지형의 연구는 지형량 상관론에 머물러 저조했고, 일본에서는 야쓰 에이지의 "암석 제약론" 제창으로 이어졌다.

1960년대부터 고지자기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와 해저 지형 등 지구 물리학의 조사, 연구를 통해 해양저 확장설과 판 구조론이 제창되어, 거대 지형(대륙, 대양 등)을 비롯하여 활성 구조, 화산 활동의 원인이 설명되게 되었고, 변동 지형학이 현저하게 진보했다.

1950년대 이래, 인공 위성의 활용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위성 사진의 해석, GPS 측량을 통해 지구 전체의 지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항공 레이저 측량에 의한 등고선도가 작성되어, 지형의 형태적 특징이 정밀하게 파악되게 되었다. 더욱이, GPS 기술의 진보에 의해 광역적인 지각 변동이나 산사태 이동 등이 연속적으로 관측되게 되면서 "동태 지형학"이 생겨나고 있다.

1970년대 이후의 프로세스 지형학 연구는 영국, 미국, 일본이 중심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이처럼, 지형학은 과학과 기술의 진보에 의해, 정성적인 학문에서 정량적인 학문이 되었고, 지형의 발달사와 형성 프로세스가 실체적으로 해명되게 되었다.

2. 3. 1. 기후 지형학

신제국주의 시대였던 19세기 후반, 유럽의 탐험가와 과학자들은 전 세계를 여행하며 풍경과 지형을 설명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지리적 지식이 증가했고, 이러한 관찰들은 지역적 패턴을 찾기 위해 체계화되었다. 블라디미르 쾨펜, 바실리 도쿠차예프, 안드레아스 쉼퍼의 연구에 의해 기후 지형학의 등장이 예고되었다. 기후는 거대한 규모의 지형 분포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부상했다. 당시 최고의 지형학자였던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는 "정상적인" 온대 기후 침식 주기를 건조 및 빙하 기후로 보완하여 기후의 역할을 인식했다.[29][30]

초기 기후 지형학은 주로 유럽 대륙에서 발전했다. 영어권 세계에서는 L.C. 펠티어의 1950년 주빙하 침식 주기에 대한 출판물이 나올 때까지 명확하지 않았다.[29] 하지만, 기후 지형학에 대한 관심은 20세기 중반까지 혁신적이지 않고 의심스러운 것으로 여겨졌던 데이비시안 지형학에 "반대"하는 반응이기도 했다.[30][31]

1969년, 과정 지형학자 D.R. 스토다트는 논평 기사에서 기후 지형학을 비판했다.[30][32] 이 비판은 "파괴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20세기 후반에 기후 지형학의 인기가 하락하는 결과를 낳았다.[30][32] 스토다트는 기후 지형학이 지형 기후대 간의 지형 차이를 설정하는 데 "사소한" 방법론을 적용하고, 데이비시안 지형학과 연관되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과정을 지배하는 물리 법칙이 동일하다는 사실을 무시한다고 비난했다.[32] 또한, 열대 기후에서 화학적 풍화가 추운 기후보다 더 빠르다는 기후 지형학의 일부 개념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30]

2. 3. 2. 정량적, 과정 지형학



지형학은 20세기 중반에 탄탄한 정량적 기반을 갖추기 시작했다. 20세기 초 그로브 칼 길버트(Grove Karl Gilbert)의 초기 연구를 시작으로,[11][11][11] 윌리엄 월든 루비(William Walden Rubey), 랄프 앨저 배놀드(Ralph Alger Bagnold), 한스 알버트 아인슈타인(Hans Albert Einstein), 프랭크 아너트(Frank Ahnert), 존 틸턴 해크(John Hack), 루나 레오폴드(Luna Leopold), 실즈 파라미터(A. Shields), 토마스 매독(Thomas Maddock), 아서 스트라흘러(Arthur Strahler), 스탠리 슘(Stanley Schumm), 로널드 슈리브(Ronald Shreve)를 포함한 주로 미국인 자연 과학자, 지질학자, 수력 공학자 그룹은 강과 사면 붕괴와 같은 풍경 요소의 형태를 체계적이고 직접적이며 정량적인 측정을 하고 이러한 측정의 스케일링 법칙을 조사함으로써 연구하기 시작했다.[11][11][11][34] 이러한 방법들은 현재의 관찰을 통해 과거와 미래의 풍경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후 지형 문제에 대한 고도로 정량적인 접근 방식의 현대적 추세로 발전하게 되었다. 많은 획기적이고 널리 인용된 초기 지형학 연구는 미국 지질학회 회보(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에 게재되었으며,[35] 2000년 이전에는 거의 인용되지 않았다(이들은 늦게 인정받는 논문의 예이다).[36] 그 후 정량적 지형학 연구가 현저히 증가했다.[37]

정량적 지형학은 유체 역학 및 고체 역학, 지형 계측학, 실험 연구, 현장 측정, 이론적 연구 및 완전한 풍경 진화 모델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풍화 및 토양 생성, 퇴적물 수송, 풍경 변화, 기후, 구조 운동, 침식 및 퇴적 사이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데 사용된다.[38][39]

스웨덴에서는 필리프 율스트룀(Filip Hjulström)의 박사 학위 논문인 "The River Fyris"(1935)가 최초로 발표된 지형학적 과정에 대한 정량적 연구 중 하나를 담고 있었다. 그의 학생들은 동일한 맥락을 따라 질량 수송(안데르스 랍(Anders Rapp)), 하천 수송(오케 순드보르(Åke Sundborg)), 삼각주 퇴적(발터 악셀손(Valter Axelsson)), 해안 과정(존 오. 노르만(John O. Norrman))에 대한 정량적 연구를 수행했다. 이것은 "웁살라 대학교(Uppsala University)의 자연지리학 학파"로 발전했다.[40]

2. 3. 3. 현대 지형학의 주요 인식

오늘날, 지형학 분야는 매우 광범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과 관심사를 포괄한다.[11] 현대 연구자들은 지구 표면 과정을 지배하는 정량적인 "법칙"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동시에 이러한 과정이 작용하는 각 지형과 환경의 독특성을 인식한다. 현대 지형학에서 특히 중요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1) 모든 지형이 "안정적" 또는 "교란된" 상태로 간주될 수 없다는 것, 여기서 교란된 상태는 이상적인 목표 형태로부터의 일시적인 이탈이다. 대신, 지형의 역동적인 변화는 이제 그 본질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겨진다.[41]

:2) 많은 지형 시스템은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과정의 확률성, 즉 사건 규모와 재현 시간의 확률 분포 측면에서 가장 잘 이해된다는 것이다.[42][43] 이는 다시 혼돈적 결정론이 지형에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냈으며, 지형 특성은 통계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을 나타냈다.[44] 동일한 지형에서 동일한 과정이 항상 동일한 최종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카르나 리드마르-베르그스트룀에 따르면, 지역 지리학은 1990년대 이후 주류 학계에서 지형학 연구의 기초로 더 이상 받아들여지지 않는다.[45]

그 중요성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기후 지형학은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 분야로 계속 존재한다. 더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에 대한 우려로 인해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높아졌다.[30]

상당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침식 주기 모델은 지형학의 일부로 남아있다.[47] 이 모델이나 이론이 틀렸다고 증명된 적은 없지만,[47] 그렇다고 증명된 적도 없다.[46] 대신, 이 모델의 내재된 어려움으로 인해 지형학 연구가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47] 지형학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는 지위와는 대조적으로, 침식 주기 모델은 박리 연대기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접근 방식이며, 따라서 역사 지질학 과학에서 중요한 개념이다.[48] 현대 지형학자 앤드루 구디와 카르나 리드마르-베르그스트룀은 그 단점에도 불구하고 각각 그 우아함과 교육적 가치를 칭찬했다.[49][50]

2. 3. 4. 기타

요약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 또한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정보가 없습니다. 따라서 '기타' 섹션에 대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2. 4. 일본의 지형학

근대 과학으로서의 지형학은 메이지 유신 이후 서구 과학의 수입에 따른 지학 관계 용어의 번역에서 시작되었다. 지형학 교육은 1902년 도쿄 대학 지질학과에서 개강된 야마자키 나오카타의 '지리학'을 효시로 하여 1907년 교토 대학 지리학 강좌, 1919년 도쿄 대학 지리학과의 창설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데이비스의 '지형의 설명적 기술(Die erklärende Beschreibung der Landformen)(1912년)'이 도입되어 일본에서의 지형 기술적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그 주요 담당자는 도쿄 대학 지질학과나 도쿄 고등사범학교의 졸업생이었다. 1924년 쓰지무라 타로의 '지형학'이 일본 최초의 지형학 전문서로 출판되면서 지형학이 일본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23년의 관동 대지진에 의해 지각 변동의 지형학적 연구가 진전되었고, 수입 학문으로부터의 탈피가 시작되었다.

1925년에 일본 지리학회가 창설되어 학회지 '지리학 평론'이 지형 연구의 주요 발표의 장이 되었으며, 지리학과 지리 교육의 보급에 도움이 되었다. 1929년 도쿄 문리과 대학에 국립 대학으로서 3번째 지리학 교실이 개설되는 등, 점차 지질학과가 아닌 지리학과를 졸업한 지형학도가 증가했다. 반면, 지질학과에서 지형학이 교육되지 않게 됨에 따라, 이후의 지질학도의 지형학에 관한 지견은 제한적이고 고전적인 것이 되었다. 5만분의 1 지형도의 전국적 정비로 야외 조사와 지형 계측이 진전되었고, 또한 동아시아와 남양 지역에서의 해외 지형 조사도 이루어졌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때문에 연구는 중단되었다.

전후, 1949년에 신제 대학으로서 많은 국공사립 대학이 발족하고, 거기에 지리학과나 지리학 전공이 개설되면서 지형학의 교육·연구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특히 캐슬린 태풍 등 지형 재해에 지형학자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미군 촬영의 항공 사진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도 있어 사진 판독에 의한 지형 분류도가 작성되기 시작했다. 그 성과 중 하나로 이세만 태풍에서의 침수 범위가 삼각주에 거의 일치하여 예측대로 된 사례가 꼽힌다. 이 성과는 건설성 지리 조사소가 국토지리원으로 승격되는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국토지리원은 항공 사진을 촬영하고, 그것을 도면화한 2만 5000분의 1 지형도를 전국적으로 정비함으로써, 이것들은 지형 연구에 활용되었다. 발달사적 연구(저지·단구·화산 지형·활단층 지형·고산 지형·산사태 지형 등)도 항공 사진 판독을 기초로, 테프라연대학과 절대 연대 측정법의 진보와 함께 고정밀도로 진행되었으며, 1956년 창설된 일본 제4기 학회 등에서 활발하게 발표되었다. 그러나 지형 발달사론적 연구의 논거는 지형면과 그것을 구성하는 퇴적물의 인정(지형면학)이었으므로, 지형면을 수반하지 않는 침식 지형의 연구는 늦어지고 있었다. 그래서 1950년대에 도쿄 교육 대학의 지형 영력 담화회를 중심으로 침식 지형을 다루는 프로세스 지형학이 활발하게 시작되었다. 그 때문에 1960년대까지 지형 발달사와 지형 영력론이 일본 지형학의 양륜이라고 불렸다. 전자는 도쿄 대학 계열, 후자는 도쿄 교육 대학 계열의 연구자에 의해 진전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양자의 개념·정의 등 지형학의 체계화에 관한 본질적인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한 학계 사정을 반영하여 야쓰 히데토시는 지형 물질의 암석 물성을 중시해야 한다고 하는 '암석 제약론'을 1966년에 제창했다. 그것을 계기로 1960년대 후반부터 젊은 연구자들은 침식 지형(해안·하곡·사면·구릉·산지 등)과 관련된 암석 물성을 야외나 실내에서 측정하고, 삭박 과정과 풍화의 정량적 연구를 실시하게 된다. 일본의 암석 제약 연구는 세계의 최첨단을 달리게 되었고, 각종 지형의 형성 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지형학 공식의 형태로 실체적이고 정량적으로 논해지게 되었다.

1970년대부터는 젊은 지형학도에 의한 독창적인 연구가 정력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했고, 현재의 지형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모래 해안·해안 사구·토석류 등에서 현지 관측이 진행되었다. 지형 발달사의 분야에서는 변동 지형·해수면 변동·저지·주빙하 지형·화산 지형·해안 사구 등이 정밀하게 검토되기 시작했다.

한편, 자연 재해와 사회 기반 정비와 관련하여 지리학과 이외의 이학·공학·농학 등의 학과를 졸업한 과학자·기술자도 지형에 깊은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러한 관련 분야 간의 교류에 의해 1979년에 지형과 그것과 관련된 여러 현상을 공통의 과제로 하는 일본 지형학 연합 (JGU)이 창설되었다. JGU영어는 "세계에서도 유니크한" 지형 학회로 주목받고, 그 기관지 '지형' 게재 논문도 해외에서 많이 인용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국제 지형 학회의 주최한 2001년의 제5회 국제 지형 학회 회의는 도쿄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세계적으로 활약하는 일본인 지형학자가 증가했고, 21세기에 들어선 일본 지형학은 지형학의 여러 분야의 대부분을 커버하며, 세계에서도 선진적인 지위를 얻어가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지형학의 사회적 보급과 응용 지형학·지형 공학적 관점에서의 사회적 기여가 진전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응용 지형 판정사 자격 검정 제도의 발족 등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3. 주요 지형 형성 과정

지형학적으로 관련된 과정은 일반적으로 (1) 풍화침식에 의한 모재의 생성, (2) 그 물질의 수송, (3) 그리고 그것의 최종적인 퇴적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지형적 특징을 만들어내는 주요 지표 과정에는 바람, 파도, 화학적 용해, 사태, 지하수의 이동, 표면수의 흐름, 빙하의 작용, 구조 운동, 그리고 화산 활동 등이 있다. 다른 좀 더 특이한 지형 과정에는 주빙하 (동결-융해) 과정, 염분 매개 작용, 해류에 의한 해저 변화, 해저를 통한 유체의 침투 또는 외계 충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협곡인더스강에 의해 기반암으로 깎여 들어간 모습, 낭가파르바트 지역, 파키스탄.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깊은 강 협곡이다. 세계 9위의 고봉인 낭가파르바트 산이 배경으로 보인다.


; 지형 물질

: 지표 물질과 동의어로, 토양이나 암석을 의미한다.[2] 지형학적으로는 암석명보다 암석 물성이 중요할 때가 많다.[9] 지형 물질의 특성 및 특성에 따른 지형 형성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법을 '''지형 물질 과학'''이라고 부른다.[3]

; 지형 역력

: 단순히 역력이라고도 한다. 지형 물질을 이동시키는 능력이 있는 자연 현상의 총칭. 내적 역력과 외적 역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중력도 역력에 포함한다.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지형의 형성 · 변화의 메커니즘을 해명하는 연구법을 '''지형 역력론'''이라고 부르지만, 역력만으로는 지형을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본래라면 프로세스 지형학이라고 불러야 한다.

; 시간

: 지형 형성에 필요한 지속 시간 또는 지형 변화에 소요되는 시간.[2] 지질학적 장시간에 중점을 두고 지형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엮는 연구법을 '''발달사 지형학'''이라고 부른다.[3]

이상의 지형 물질 · 지형 역력 · 시간은 지형의 형성 및 변화에 관련된 3요인으로 알려져 있다.[2] 그러나, 지형학의 역사상 처음부터 3요인의 전부를 사용하여 지형의 설명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종래에는 지형 물질 과학 · 지형 역력론 · 발달사 지형학 등과 같이 중점이 두어졌다.[3]

; 지형 프로세스

: 지형 형성 과정, 지형 과정, 지형 형성 작용이라고도 한다. 지형 물질에 지형 역력이 작용하여 일어나는 여러 작용, 또는 지형 형성 및 지형 변화의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외적 역력에 의한 지형 프로세스로 풍화 · 침식 · 운반 · 퇴적 등의 여러 작용을 들 수 있다.[3] 지형 물질의 이동 과정을 정량적 · 실증적으로 해명하는 연구법을 '''프로세스 지형학'''이라고 부르며, 여기에는 지형 물질 과학이 밀접하게 관련된다.[4]

; 지형학 공식

: 지형량과 그것을 제약하는 변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실험식 · 이론식의 총칭으로서 1990년에 스즈키 류스케가 제창한 개념 용어. 지형 물질 · 지형 역력 · 시간의 세 가지 요인을 함수로 나타낸 것으로, 지형학에서의 정량화의 예이다.[4] 일반적으로 Q = f(S, A, R, t)이다. 여기서, Q=문제로 삼는 지형량, S=지형장의 지형량, A=지형 역력, R=지형 물질, t=지형 역력의 지속 시간을 나타내며, Q 이외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물리량으로 나타낸다. 장기간의 지형 변화를 다루는 경우에는, 지질학적 절대 시간을 T라고 하면, t = f (T) 라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Q = f(S, A, R, T)라고 다시 쓸 수 있다. 이러한 변수 중에서 어느 하나가 결여된 공식은 그 변수가 일정하다고 간주할 수 있는 경우에만 성립한다. 또한, 이 공식을 풀기 위해서는 역력 및 지형 물질을 정량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4] 스즈키는 지형학의 최종 목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지형학 공식의 확립이 불가피하다고 한다.

; 지형량

: 지형의 형태 요소를 정량적으로 표현한 것. 지형의 거리, 높이, 경사, 면적, 체적 등. 지형량을 시계열로 분석함으로써 지형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형량은 지형학자가 전통적으로 지형도항공 사진을 활용하여 파악해 왔다.[4]

3. 1. 내적 작용

내적 역력은 지구 내부에서 비롯되는 힘으로, 지표면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내적 역력은 크게 지각 변동과 화산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 지각 변동 ==

지각 변동이 지형에 미치는 영향은 수백만 년에서 수 분 이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지형에 대한 지각 변동의 영향은 지각 변동이 형성할 수 있는 국지적인 지형의 종류를 어느 정도 제어하는 기본 암반 구조의 특성에 크게 의존한다. 지진은 수분 만에 넓은 지역의 땅을 침수시켜 새로운 습지를 형성할 수 있다. 지각 평형은 수백 년에서 수천 년에 걸쳐 상당한 변화를 설명할 수 있으며, 산맥의 침식을 통해 산맥에서 질량이 제거되고 산맥이 융기하면서 추가적인 침식을 촉진할 수 있다. 장기간의 판 구조 운동은 전형적인 수천만 년의 수명을 가진 대규모 산맥인 조산대를 발생시키며, 이는 높은 하천 및 산사면 과정의 초점이 되어 장기간의 퇴적물 생산을 촉진한다.

맨틀 역학의 더 깊은 특징, 예를 들어 맨틀 플룸과 하부 암석권의 박리는 지구의 지형의 장기간(> 백만 년), 대규모(수천 km)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설화되어 왔다(동적 지형 참조). 둘 다 더 뜨겁고 밀도가 낮은 맨틀 암석이 지구 내부에서 더 차갑고 밀도가 높은 맨틀 암석을 대체함에 따라 지각 평형을 통해 표면 융기를 촉진할 수 있다.[60][61]

== 화산 활동 ==

화산 (분출) 및 심성암 (관입)의 두 가지 화성 활동은 지형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화산 활동은 낡은 지표면을 용암테프라로 덮고, 화산쇄설류를 방출하며, 강이 새로운 경로를 따르도록 함으로써 지형을 갱신하는 경향이 있다. 분출로 형성된 원뿔은 또한 상당한 새로운 지형을 형성하며, 이는 다른 표면 과정에 의해 작용할 수 있다. 깊이 관입하여 굳어지는 심성암은 새로운 물질이 대체하는 암석보다 밀도가 높거나 낮음에 따라 표면의 융기 또는 침강을 유발할 수 있다.

3. 1. 1. 지각 변동

지각 변동이 지형에 미치는 영향은 수백만 년에서 수 분 이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지형에 대한 지각 변동의 영향은 지각 변동이 형성할 수 있는 국지적인 지형의 종류를 어느 정도 제어하는 기본 암반 구조의 특성에 크게 의존한다. 지진은 수분 만에 넓은 지역의 땅을 침수시켜 새로운 습지를 형성할 수 있다. 지각 평형은 수백 년에서 수천 년에 걸쳐 상당한 변화를 설명할 수 있으며, 산맥의 침식을 통해 산맥에서 질량이 제거되고 산맥이 융기하면서 추가적인 침식을 촉진할 수 있다. 장기간의 판 구조 운동은 전형적인 수천만 년의 수명을 가진 대규모 산맥인 조산대를 발생시키며, 이는 높은 하천 및 산사면 과정의 초점이 되어 장기간의 퇴적물 생산을 촉진한다.

맨틀 역학의 더 깊은 특징, 예를 들어 맨틀 플룸과 하부 암석권의 박리는 지구의 지형의 장기간(> 백만 년), 대규모(수천 km)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설화되어 왔다(동적 지형 참조). 둘 다 더 뜨겁고 밀도가 낮은 맨틀 암석이 지구 내부에서 더 차갑고 밀도가 높은 맨틀 암석을 대체함에 따라 지각 평형을 통해 표면 융기를 촉진할 수 있다.[60][61]

3. 1. 2. 화산 활동

화산 (분출) 및 심성암 (관입)의 두 가지 화성 활동은 지형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화산 활동은 낡은 지표면을 용암테프라로 덮고, 화산쇄설류를 방출하며, 강이 새로운 경로를 따르도록 함으로써 지형을 갱신하는 경향이 있다. 분출로 형성된 원뿔은 또한 상당한 새로운 지형을 형성하며, 이는 다른 표면 과정에 의해 작용할 수 있다. 깊이 관입하여 굳어지는 심성암은 새로운 물질이 대체하는 암석보다 밀도가 높거나 낮음에 따라 표면의 융기 또는 침강을 유발할 수 있다.

3. 2. 외적 작용

지형 프로세스는 외적 역력에 의해 일어나는 여러 작용으로, 풍화, 침식, 운반, 퇴적 작용을 포함한다.

3. 2. 1. 풍화 작용

(빈 문서)

3. 2. 2. 침식 작용

풍성 작용은 바람의 활동, 특히 바람이 지구 표면을 형성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 바람은 물질을 침식, 운반, 퇴적시킬 수 있으며, 초목이 희박하고 미세하며 굳지 않은 퇴적물이 많은 지역에서 효과적이다. 대부분의 환경에서 물과 대량 흐름이 바람보다 더 많은 물질을 이동시키지만, 풍성 작용은 사막과 같은 건조한 환경에서 중요하다.[51]

모압, 유타 인근의 바람에 의해 침식된 동굴


세이프와 바르한 사구가 헬레스폰투스 지역의 화성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사구는 바람에 의해 대량의 모래가 운반되어 형성되는 이동성 지형이다.


강과 하천은 물의 통로일 뿐만 아니라 퇴적물의 통로이기도 하다. 물은 하천 바닥을 흐르면서 퇴적물을 이동시키고 하상 하중, 부유 하중, 또는 용존 하중으로 하류로 운반할 수 있다. 퇴적물 수송 속도는 퇴적물의 가용성과 강의 유량에 따라 달라진다.[53] 강은 또한 암석을 침식하여 새로운 퇴적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강의 바닥과 주변의 산사면을 연결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강은 비빙하 환경에서 대규모의 지형 발달에 대한 기준면을 설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4][55] 강은 다양한 지형 요소의 연결성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강은 지형을 가로질러 흐르면서 일반적으로 규모가 커지고 다른 강과 합류한다. 따라서 형성된 강 네트워크는 배수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수지상, 방사상, 직사각형 및 격자형의 네 가지 패턴을 나타낸다. 수지상은 기반암이 안정적일 때(단층 작용이 없을 때) 발생하며 가장 일반적이다. 배수 시스템은 유역, 충적 계곡, 삼각주 평원 및 수용 분지의 네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선상 지형의 몇 가지 지형학적 예로는 선상지, 우각호, 선상지가 있다.

빙하는 지리적으로 제한되어 있지만, 지형 변화에 효과적인 요인이다. 계곡을 따라 얼음이 서서히 움직이면서 기반 암석의 마식과 뜯어냄이 발생한다. 마식은 빙하토라고 하는 미세한 퇴적물을 생성한다. 빙하가 운반하는 잔해는 빙하가 후퇴할 때 빙퇴석이라고 불린다. 빙하 침식은 하천에 의해 형성된 V자형 계곡과는 대조적으로 U자형 계곡을 만든다.[56]

빙하 지형의 특징


빙하 과정이 다른 지형 요소, 특히 사면 과정 및 하천 과정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은 많은 고산 환경에서 플리오-플라이스토세 지형 진화와 그 퇴적 기록의 중요한 측면이다. 비교적 최근에 빙하 작용을 겪었지만 더 이상 그렇지 않은 환경은, 한 번도 빙하 작용을 겪지 않은 환경에 비해 여전히 높은 지형 변화율을 보일 수 있다. 과거의 빙하 작용에 의해 조건화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빙하가 아닌 지형 과정은 준빙하 과정이라고 한다. 이 개념은 얼음이나 서리의 생성 또는 용해에 의해 직접적으로 추진되는 주빙하 과정과 대조된다.[57]

토양, 모재, 암석은 중력의 힘에 의해 크리프, 산사태, 흐름, 전도, 낙하를 통해 경사면 아래로 이동한다. 이러한 대규모 삭박은 육지와 해저 사면 모두에서 발생하며, 지구, 화성, 금성, 타이탄, 이아페투스에서 관찰되었다.

너덜 지형은 노르웨이 스발바르의 이스피요르덴 북쪽 해안에 위치하고 있다. 너덜 지형은 물질을 생산하는 경사면 기슭에 거친 산사태 잔해의 축적이다.


thumb는 요세미티 국립공원으로 가는 주요 진입로인 캘리포니아 주도 140번 고속도로의 머세드 강 협곡에서 발생한 활발한 산사태이다.]]

진행 중인 사면 과정은 사면 표면의 지형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해당 과정의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특정 임계값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는 사면은 매우 많은 양의 물질을 매우 빠르게 배출할 수 있으며, 이는 사면 과정을 지각 변동이 활발한 지역의 풍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만든다.[58]

지구에서 굴파기 또는 나무 쓰러짐과 같은 생물학적 과정은 일부 사면 과정의 속도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59]

해양 과정은 파도, 해류 및 해저를 통한 유체의 침투와 관련된 과정이다. 대량 이동과 해저 산사태 역시 해양 지형학의 일부 측면에서 중요한 과정이다.[62]

3. 2. 3. 운반 작용

강과 하천은 물의 통로일 뿐만 아니라 퇴적물의 통로이기도 하다. 물은 하천 바닥을 흐르면서 퇴적물을 이동시키고 하상 하중, 부유 하중, 또는 용존 하중으로 하류로 운반할 수 있다. 퇴적물 수송 속도는 퇴적물의 가용성과 강의 유량에 따라 달라진다.[53] 강은 또한 암석을 침식하여 새로운 퇴적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강의 바닥과 주변의 산사면을 연결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강은 비빙하 환경에서 대규모의 지형 발달에 대한 기준면을 설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4][55] 강은 다양한 지형 요소의 연결성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강은 지형을 가로질러 흐르면서 일반적으로 규모가 커지고 다른 강과 합류한다. 따라서 형성된 강 네트워크는 배수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수지상, 방사상, 직사각형 및 격자형의 네 가지 패턴을 나타낸다. 수지상은 기반암이 안정적일 때(단층 작용이 없을 때) 발생하며 가장 일반적이다. 배수 시스템은 유역, 충적 계곡, 삼각주 평원 및 수용 분지의 네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선상 지형의 몇 가지 지형학적 예로는 선상지, 우각호, 선상지가 있다.

3. 2. 4. 퇴적 작용

강과 하천은 물의 통로일 뿐만 아니라 퇴적물의 통로이기도 하다. 물은 하천 바닥을 흐르면서 퇴적물을 이동시키고 하상 하중, 부유 하중, 또는 용존 하중으로 하류로 운반할 수 있다. 퇴적물 수송 속도는 퇴적물의 가용성과 강의 유량에 따라 달라진다.[53] 강은 또한 암석을 침식하여 새로운 퇴적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강의 바닥과 주변의 산사면을 연결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강은 비빙하 환경에서 대규모의 지형 발달에 대한 기준면을 설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4][55] 강은 다양한 지형 요소의 연결성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강은 지형을 가로질러 흐르면서 일반적으로 규모가 커지고 다른 강과 합류한다. 따라서 형성된 강 네트워크는 배수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수지상, 방사상, 직사각형 및 격자형의 네 가지 패턴을 나타낸다. 수지상은 기반암이 안정적일 때(단층 작용이 없을 때) 발생하며 가장 일반적이다. 배수 시스템은 유역, 충적 계곡, 삼각주 평원 및 수용 분지의 네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선상 지형의 몇 가지 지형학적 예로는 선상지, 우각호, 선상지가 있다.

3. 2. 5. 생물 지형학적 과정

비버 댐, 이 사진의 댐은 티에라델푸에고에 있는데, 생물지형학의 한 유형인 동물지형학의 구체적인 형태를 구성한다.


생물체와 지형의 상호 작용, 즉 생물지형적 과정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육상 지형 시스템 전체에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생물학은 생지화학적 과정에서 화학적 풍화를 조절하는 것부터 굴착 및 나무 쓰러짐과 같은 기계적 과정이 토양 발달에 미치는 영향, 심지어 이산화탄소 균형을 통해 기후를 조절하여 전 지구적인 침식률을 제어하는 것까지 매우 다양한 지형적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표면 과정을 매개하는 데 생물학의 역할을 명확하게 배제할 수 있는 육상 경관은 매우 드물지만, 화성과 같은 다른 행성의 지형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다.[52]

4. 한국의 지형

한국의 지형은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지형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5. 지형학의 응용

지형학은 다른 분야와 상당 부분 중첩된다. 물질의 퇴적은 퇴적학에서 매우 중요하다. 풍화는 대기 또는 지표면 근처의 요인에 노출되어 지구 물질이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파괴되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토양학자와 환경 화학자가 연구하지만, 지형학의 필수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풍화는 처음부터 이동할 수 있는 물질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토목 공학 및 환경 공학 기술자는 침식 및 퇴적물 수송에 관심을 가지며, 특히 운하, 사면 안정성(및 자연 재해), 수질, 해안 환경 관리, 오염 물질 수송, 하천 복원과 관련이 있다. 빙하는 짧은 시간 안에 광범위한 침식과 퇴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고위도에서 빙하를 매우 중요한 존재로 만들고 산에서 발원하는 하천의 수원에서 조건을 설정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빙하학은 지형학에서 중요하다.

지형을 활용하여 지형 이외의 현상의 공간적·시간적 변화를 설명하고 과거 및 미래의 지형 변화를 추론하는 학문을 지형학적 방법이라고 한다. 지각 변동론, 해수면 변동론, 고환경론, 지반 판별론, 수문 환경론, 자연재해 예측론, 항공사진 지질학 등이 그 성과의 예시이다.

6. 결론

지형학 연구에서 중요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3자 언급이 있으며 특필할 만한 것들이 몇 가지 있다.

참조

[1] 서적 Geology of the Henry Mountains, Utah, as recorded in the notebooks of GK Gilbert, 1875–76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88
[2] 서적 Fundamentals Of Geomorphology Routledge 2011
[3] 학술지 On steady states in mountain belts 2002-01
[4] 학술지 Feedbacks among climate, erosion, and tectonics in a critical wedge orogen http://earthweb.ess.[...] 2008-09
[5] 서적 Global Geomorphology Pearson Education 1991
[6] 서적 Cosmogenic Nucleid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7] 웹사이트 What is Digital Terrain Analysis? http://www.geo.hunte[...] Hunter College Department of Geography, New York 1997-05-02
[8] 서적 Encyclopedia of Planetary Landforms Springer New York 2015
[9]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ference of Geomorphology http://www.geomorpho[...] Europa Organization
[10] 웹사이트 Cono de Arita in Argentina http://www.amusingpl[...] 2014-07-16
[11] 서적 Key Concepts in Geomorphology Macmillan Higher Education 2014
[12] 서적 Geological Sciences; Geology: Landforms, Minerals, and Rocks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2
[13] 서적 Ideals and Realities — Selected Essays of Abdus Salam
[14]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3, Mathematics and the Science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9
[15] 서적 Science in Ancient China: Researches and Reflections VARIORUM, Ashgate Publishing 1995
[16]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3, Mathematics and the Science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9
[17] 서적 Geological Sciences; Geology: Landforms, Minerals, and Rocks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2
[18] 서적 Historical Perspectives on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Singapore University Press 2002
[19] 서적 Geological Sciences; Geology: Landforms, Minerals, and Rocks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2
[20] 서적 Geological Sciences; Geology: Landforms, Minerals, and Rocks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2
[21] 학술지 "The 'China Seas' in world history: A general outline of the role of Chinese and East Asian maritime space from its origins to c. 1800" https://doi.org/10.1[...] 2012
[22] 서적 A short history of geomorpholog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985
[23] 서적 The Scientific Study of Scenery https://books.google[...] Methuen 1900
[24] 간행물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geomorphology and Quaternary geology: an introduction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301, 1–17
[25] 서적 Process geomorphology McGraw-Hill 1995
[26] 학술지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landforms: A new review of the work of Walther Penck (1888–1923)" 1962
[27]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Geography, 15 Volume Set: People, the Earth, Environment & Technology Wiley-Blackwell 2019-09-06
[28] 웹사이트 Geomorphology From Space: A Global Overview of Regional Landforms, Introduction http://disc.sci.gsfc[...] NASA 2007-12-19
[29] 학술지 Climatic geomorphology: a critique 1994
[30] 백과사전 Climatic geomorphology
[31] 학술지 The Attack on the Davisian System Of Geomorphology: A Synopsis 1971
[32] 백과사전 Tropical geomorphology
[33] 간행물 "The African erosion surface: a continental-scale synthesis of geomorphology, tectonics, and environmental change over the past 180 million year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Memoirs 201 2008
[34] 웹사이트 Memorial to Stanley A. Schumm (1927–2011) https://www.geosocie[...]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12-12
[35] 학술지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and th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geomorphology 1988-07-01
[36] 논문 Delayed recognition of geomorphology papers in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http://eartharxiv.or[...] 2017-04-17
[37] 논문 The trajectory of geomorphology 2010-06-01
[38] 논문 Bedrock rivers and the geomorphology of active orogens http://revistas.ucm.[...] 2004-04-21
[39] 논문 Landscape response to tectonic forcing: Digital elevation model analysis of stream profiles in the Mendocino triple junction region, northern California 2000-08-01
[40] 서적 The Nature of Physical Geography E. Arnold 1985
[41] 논문 Time scales of tectonic landscapes and their sediment routing systems 2008
[42] 논문 Stochastic forcing of sediment supply to channel networks from landsliding and debris flow 1997-12
[43] 서적 Fluvial forms and processes: a new perspective Routledge 2014
[44] 서적 Prediction in Geomorphology 2003
[45] 논문 The major landforms of the bedrock of Sweden–with a view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geography and geology Swedish Society for Anthropology and Geography 2020
[46] 서적 Contemporary Meanings in Physical Geography: From What to Why?
[47] 간행물 Geomorphic evolution
[48] 간행물 Denudation chronology
[49] 웹사이트 erosionscykel http://www.ne.se/upp[...] Cydonia Development 2016-06-22
[50] 간행물 Cycle of erosion
[51] 서적 Sedimentology and Sedimentary Basins, From Turbulence to Tectonics Wiley-Blackwell 1999
[52] 논문 The search for a topographic signature of life 2006-01-26
[53] 서적 Fluvial Forms & Processes Hodder Arnold 1998
[54] 논문 Equilibrium theory of erosional slopes approached by frequency distribution analysis; Part II 1950-11-01
[55] 논문 Rates of eros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exhumation http://projects.crus[...] 2012-09-29
[56] 서적 Glacial Geology: Ice Sheets and Landforms John Wiley & Sons Ltd 1996
[57] 논문 Paraglacial Sedimentation: A Consideration of Fluvial Processes Conditioned by Glaciation 1972-10
[58] 논문 Evidence for nonlinear, diffusive sediment transport on hillslopes and implications for landscape morphology 1999-03
[59] 논문 The Effects of Bioturbation on Soil Processes and Sediment Transport 2003-05
[60] 논문 Geoid height versus topography for a plume model of the Hawaiian swell 2000-05-15
[61] 논문 Geophysical evidence for lithospheric delamination beneath the Alboran Sea and Rif–Betic mountains http://ecommons.corn[...] 1996-02-29
[62] 서적 Coastal and submarine morphology Methuen 19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