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역장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역장교는 외국과의 교류가 많은 대한민국 군대에서 외국군과의 소통을 위해 통역 업무를 수행하는 장교를 의미한다. 한국군과 미군의 지속적인 관계 속에서 영어 통역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6.25 전쟁 이후 현대적인 통역장교 제도가 확립되었으며, 각 군에서 자체적으로 통역 장교를 선발하고 교육한다. 통역장교는 주로 영어와 한국어 통역을 담당하며, 회의, 고위급 회담, 군사 훈련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모두 통역장교를 선발하며, 영어 능력을 비롯해 다양한 자질을 평가한다. 통역장교 출신들은 전역 후 금융, 법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거나, 유학을 통해 학업을 이어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문사관 - 군법무관
군법무관은 군대 내 법률 사무를 담당하는 장교로, 판사, 검사, 변호사 자격 소지자 또는 군법무관 임용시험 합격자 중에서 선발되어 군판사, 군검사, 국선변호장교 등 다양한 법률 관련 직무를 수행하며, 복무 기간에 따라 단기 및 장기로 나뉘지만 최근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전문사관 - 간호장교
간호장교는 군 의료 체계에서 환자 간호, 장병 건강 관리, 질병 예방 교육, 응급 처치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장교로, 대한민국에서는 군 병원, 사단 의무대 등에서 근무하며 국제 평화 유지 활동과 감염병 대응에도 참여하고, 국군간호사관학교 졸업생 또는 간호사 면허 소지자 중 선발된 간호 전문사관으로 구성되어 국군의무학교에서 교육을 받으며, 헌신, 명예, 전문성을 가치로 삼아 미래 군 의료를 선도한다. - 번역가 - 이봉녕 (1793년)
이봉녕은 1793년에 태어나 1871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청나라 사행단의 수행원으로 두 차례 다녀왔으며 지방관과 형방도사를 역임했고, 저서로 《분서집》과 《분서고》를 남겼다. - 번역가 - 이응준 (조선)
이응준은 조선 후기의 역관으로, 1850년 역과에 급제하여 외교 문서를 처리하고 태극기를 제작했으며, 강화도 조약 및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에 참여했다. - 통역사 - 존 만지로
존 만지로는 14세에 조난당해 미국에서 10년간 생활하며 서양 문물을 습득하고 일본의 개국과 근대화에 기여한 일본 고치현 출신의 어부이다. - 통역사 - 장덕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교육자, 정치인이었던 장덕수는 와세다 대학교 유학 중 조선인 유학생 단체를 이끌고 신한청년당 결성에 참여했으며, 동아일보 주필과 고려공산당 상하이파 국내 지부 조직 등의 활동을 하였고,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했으나 암살당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통역장교 | |
---|---|
개요 | |
직업 종류 | 번역 및 통역 |
관련 직업 | 군인 |
역할 | |
주요 임무 | 다양한 언어로 된 문서를 번역하고 구두 텍스트로 변환 |
추가 임무 | 의사소통 지원 |
분야 | |
관련 분야 | 군사, 외교 |
위험 요소 | |
위험 환경 | 분쟁 지역에서의 활동 |
안전 문제 | 고용주로부터의 공정한 대우 필요 |
참고 | |
중요 역할 | 분쟁 지역에서의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
2. 역사
한국군은 외국과 교섭, 협상 시 통역을 하는 사람이 오래전부터 필요했다. 19세기 러시아 제국은 조선인을 통역장교로 고용하기도 하였다.[6] 해방 후 미군정은 군사영어학교를 통해 영어 통역이 가능한 통역장교를 육성했다.[7] 현대적 의미의 통역장교는 6.25 전쟁 때 미군이 들어오면서 영어 통역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생겼다. 6.25 전쟁 당시 통역장교는 '유엔군 연락장교(단)'으로 불렸으며 유엔군이나 주한 미군에 소속되지 않고 한국군 인사권 아래 있었다. 이들은 국군에 배치된 '미국군사고문관(단)'과 국군 부대(지휘관) 사이의 통역 임무를 주로 담당하였다.[8] 휴전협정 때 중국, 북한, 한국군 간 협상 때 통역장교가 활약하였다.[9] 1970년대 베트남 파병 때에는 통역장교단을 별도로 양성하기도 하였다.[10] 이들은 오랫동안 한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11]
2. 1. 한국전쟁 이전
한국군은 외국과 싸우는 임무를 가지고 있어 외국군과 교섭, 협상 시 통역을 하는 사람이 오래전부터 있었다. 19세기 러시아 제국은 조선인을 통역장교로 고용하기도 하였다.[6] 해방 후 미군정은 군사영어학교를 통해 영어 통역이 가능한 통역장교를 육성했다.[7]2. 2. 한국전쟁과 그 이후
한국군 특성상 외국과 싸우는 임무를 가지고 있어 외국군과 교섭, 협상 시 통역을 하는 사람은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19세기 러시아 제국이 조선인을 통역장교로 고용하기도 하였다.[6] 해방 후 미군정은 군사영어학교를 통해 영어 통역이 가능한 통역장교를 육성했다.[7] 현대적 의미의 통역장교는 6.25 전쟁 때 미군이 들어오면서 영어 통역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생겼다. 6.25 전쟁 당시 통역장교는 '유엔군 연락장교(단)'으로 불렸으며 유엔군이나 주한 미군에 소속되지 않고 한국군 인사권 아래 있었으며 국군에 배치된 '미국군사고문관(단)'과 국군 부대(지휘관) 사이의 통역 임무를 주로 담당하였다.[8] 휴전협상 때 중국, 북한, 한국군 간 협상 때 통역장교가 활약하였다.[9] 1970년대 베트남 파병 때에는 통역장교단을 별도로 양성하기도 하였다.[10] 현재까지 오랫동안 한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11]대한민국은 미국 군대의 지속적인 주둔 역사를 가지고 있다. 양국 군인들은 서로의 언어 구사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역 장교들이 훈련을 받는다. 각 군에는 자체적인 통역 장교 그룹이 있다. 이들은 회의, 고위급 회담 또는 일상적인 비공식적인 대화에 참여하여 통역을 제공하며, 주로 영어와 한국어 사이에서 동시 통역 또는 순차 통역을 수행한다. 키 리졸브 및 을지 자유의 수호와 같은 군사 훈련 동안, 연합사령부의 군대 간 통신에 대한 신속한 번역 수요가 최고조에 달하며, 통역 장교는 훈련의 원활한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통역 장교는 영어-한국어 통역 분야에서 활동한다.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통역 장교도 있지만 영어 통역 장교에 비해 훨씬 적다. 많은 통역 장교들이 (전부는 아니지만) 영어권 국가를 포함하여 해외에서 여러 해를 보냈다. 통역 장교로 복무하는 것은 북미에서 유학하는 한국 국적자들이 21개월로 2년보다 약간 짧은 복무 기간에도 불구하고, 명성과 네트워킹 기회 때문에 의무 군 복무를 하는 인기 있는 방법이다.
통역 장교들 간의 동료 의식은 소규모이고 문화적으로 동질적이기 때문에, 장교 후보생 학교의 동기들에 비해 비교적 강하다. 통역 장교들은 집단적으로 서구 지향적인데, 자격 시험에서 필수 언어인 영어와 한국어에 상당한 수준의 유창함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많은 통역 장교들이 제대 후 금융 서비스 또는 법률 분야에서 경력을 쌓는다.
2. 3. 현재
대한민국은 미국 군대의 지속적인 주둔 역사를 가지고 있다. 양국 군인들은 서로의 언어 구사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역 장교들이 훈련을 받는다.[11] 각 군에는 자체적인 통역 장교 그룹이 있으며, 이들은 회의, 고위급 회담 또는 일상적인 비공식적인 대화에 참여하여 주로 영어와 한국어 사이에서 동시 통역 또는 순차 통역을 제공한다. 키 리졸브 및 을지 자유의 수호와 같은 군사 훈련 동안, 연합사령부의 군대 간 통신에 대한 신속한 번역 수요가 최고조에 달하며, 통역 장교는 훈련의 원활한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대부분의 통역 장교는 영어-한국어 통역 분야에서 활동한다.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통역 장교도 있지만 영어 통역 장교에 비해 훨씬 적다. 많은 통역 장교들이 (전부는 아니지만) 영어권 국가를 포함하여 해외에서 여러 해를 보냈다. 통역 장교로 복무하는 것은 북미에서 유학하는 한국 국적자들이 21개월로 2년보다 약간 짧은 복무 기간에도 불구하고, 명성과 네트워킹 기회 때문에 의무 군 복무를 하는 인기 있는 방법이다.
통역 장교들 간의 동료 의식은 소규모이고 문화적으로 동질적이기 때문에, 장교 후보생 학교의 동기들에 비해 비교적 강하다. 통역 장교들은 집단적으로 서구 지향적인데, 자격 시험에서 필수 언어인 영어와 한국어에 상당한 수준의 유창함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많은 통역 장교들이 제대 후 금융 서비스 또는 법률 분야에서 경력을 쌓는다.
3. 선발 및 교육
통역장교는 각 군별 선발 시험을 거쳐 국방어학원 등에서 교육을 받는다.
육군 통역장교는 육군3사관학교(2011년까지) 또는 육군학생군사학교(2012년부터)에서 7주간 훈련 후 임관하며,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한 국방어학원에서 통번역 교육을 받고 교육 성적에 따라 보직을 받는다.
해군 통역장교는 국방어학원에서 약 10주간 통역 교육을 받는다. 해병대 전문통역장교는 육군정보학교 통역사관반 6주 수료, 해병대사령부 을지훈련 투입, 한미연합사령부 3개월 파견교육, 해병대사령부 수습기간을 거친다. 해병대통역장병은 대한민국 해병대 교육단에서 4주간 교육을 받는다.
공군 통역장교는 임관 직후 국방어학원에서 4~6주간 어학교육을 받은 후, 오산 작전사령부 연합작전협조실에서 별도의 어학장교 직무교육을 받는다.
대한민국은 미국 군대의 지속적인 주둔으로 양국 군인 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통역장교를 훈련시킨다.[12] 이들은 회의, 고위급 회담, 일상 대화 등에서 주로 영어와 한국어 사이의 동시통역 또는 순차통역을 제공한다. 키 리졸브, 을지 자유의 수호와 같은 군사 훈련 동안 통역 수요가 높아져 통역장교는 훈련의 원활한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3]
대부분의 통역장교는 영어-한국어 통역 분야에서 활동하나,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통역장교도 소수 존재한다. 많은 통역장교가 해외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통역장교 복무는 명성과 인맥 형성 기회 때문에 북미 유학 한국 국적자들에게 인기 있는 의무 군 복무 방법이다.[14]
3. 1. 선발
통역장교 선발시험은 육군은 5월과 11월, 해군과 공군은 5월과 10월에 실시된다. 각 군별 선발 과정 및 특징은 아래 표와 같다.
3. 1. 1. 육군
대한민국 육군은 2002년부터 1년에 한 차례 통역사관을 사관후보생 전문사관(특수사관에서 명칭 변경) 중 하나로 선발했으며, 선발 인원은 20명 안팎이었다.[12] 2012년부터는 1년에 2개 기수(기수 별 15명 안팎)를 선발하며, 모집 시기는 각각 4월경 및 10월경으로 변경되었고 선발 인원도 확대되었다. 지원 자격은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로 TOEIC 950점 (TEPS 903점) 이상이 필요하지만, 실제 합격자들의 실력은 그 이상이다. TOEFL이나 SAT 만점 또는 고득점자도 많다. 2013년도 후반기까지는 국방어학원에서 1차 시험을 실시했으나, 2014년도 전반기부터는 육군사관학교에서 시험을 실시한다. 1차 시험 합격자 발표는 보통 1주일 정도 소요되며, 합격자들은 신체검사, 인성검사를 거쳐 충청남도 계룡시에 있는 건양대학교 평생 학습관에서 2차 면접을 본다.[13]통역장교는 원어민 수준의 영어 실력뿐만 아니라 유창한 한국어 구사 능력도 갖춰야 한다. 보통 영어권 국가에서 유학한 인원들이 주를 이루지만, 국내파, 외무고시, CPA, 로스쿨 합격자들도 있다. 육군 통역장교 중에는 장·차관, 대사관, 영사관 자녀나 재벌 2세 등 엘리트들도 많다. 출신 대학은 주로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의 해외 대학 출신들이 많으며, 예일대, 케임브리지대, 옥스퍼드대, 브라운대, 맥길대, 토론토대, 코넬대, 호주국립대, 뉴욕대, UCLA, UC버클리 등 해외 명문대 출신이나, 국내 대학으로는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다양하다.
2011년까지는 육군3사관학교에서 8주간 군사 훈련을 받고 임관하였고, 2012년부터는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7주간 훈련 후 임관한다. 임관 후에는 경기도 이천시에 있는 국방어학원에서 통·번역 교육을 받으며, 교육 성적에 따라 보직을 받아 전원 전문통역장교로 근무한다.
대한민국은 미국 군대의 지속적인 주둔 역사를 가지고 있어, 양국 군인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통역 장교들이 필요하다. 이들은 회의, 고위급 회담, 일상 대화 등에서 통역을 제공하며, 주로 영어와 한국어 사이에서 동시통역 또는 순차통역을 수행한다. 키 리졸브나 을지 자유의 수호와 같은 군사 훈련 동안 통역 수요가 최고조에 달하며, 통역 장교는 훈련의 원활한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통역 장교는 영어-한국어 통역 분야에서 활동하지만,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통역 장교도 소수 존재한다. 많은 통역 장교들이 해외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통역 장교 복무는 명성과 인맥 형성 기회로 인해 북미 유학 한국 국적자들에게 인기 있는 의무 군 복무 방법이다.
통역 장교들은 소규모이고 문화적으로 동질적이어서 동료 의식이 강하며, 서구 지향적인 성향을 보인다. 많은 통역 장교들이 제대 후 금융 서비스나 법률 분야로 진출한다.
3. 1. 2. 해군
해군 통역장교 시험 전형은 필기(영한 번역 및 영역)와 실기(인터뷰 및 영한·한영 순차 통역)로 구분되며, 인성 검사 및 신체 검사도 포함된다. 매년 15명 안팎을 선발하며, 선발 인원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통역장교 시험은 서울 대방동에 있는 해군 재경 근무 지원단에서 실시되며, 매년 10:1 가량의 경쟁률을 보인다. 시험은 응시자의 군사 지식보다는 통역 및 번역 능력 평가에 중점을 두며, 3군 시험 중 가장 균형 잡힌 편이라고 평가받는다. 해군 통역장교 합격자의 출신 대학은 매우 다양한데, 주로 콜롬비아대, 코넬대, 존스홉킨스대, 다트머스대, UC버클리, 워싱턴대, 뉴욕대와 같은 세계 최고 명문대 졸업자를 포함한 외국 우수 대학 출신들이 많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KAIST 출신 등 국내 우수 대학 출신들도 매년 합격하고 있다. 해군 통역장교는 외국어 능력뿐만 아니라 용모, 논리력, 사고력, 태도 등 심층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선발하므로, 사전에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3. 1. 3. 해병대
전문통역장교 과정과 해병대통역장병 교육과정을 통해 통역장교 및 통역병이 배출된다.전문통역장교는 연간 2명 정도를 사관후보생 선발 과정에서 별도의 실기 및 필기 시험을 거쳐 선발한다. 필기 시험은 주로 군사영어 문서 작성 능력을 평가하며, 실기 시험은 통역 테스트를 통해 현재 능력과 잠재력을 평가한다. 해외 대학 출신이 가장 많으며, 국내 대학 중에서는 경희대 출신이 다수를 차지한다. 경쟁률은 기수별로 3:1에서 5:1 사이이다.
해병대 통역장교 및 통역병은 현역 해병대 장병 중 해외 유학 경험자를 지휘관 추천을 통해 선발하여 해병대통역장병 교육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연간 3~4회 선발 및 교육을 실시하며, 기수별 인원은 약 15~20명이다.
3. 1. 4. 공군
공군 학사사관 중 어학장교 특별전형 (특별전형 I)로 선발되어 국방어학원, 공군작전사령부 어학장교 교육을 수료한 인원을 공군통역장교라고 한다. 모집은 대한민국 공군 [http://www.airforce.mil.kr:8081/user/indexSub.action?codyMenuSeq=47207&siteId=rac&menuUIType=top 학사사관후보생] 모집 절차를 통해 진행되며, 특별전형 I, 어학우수자로 분류된다. 아포스티유 서류, 해외대학 졸업자는 성적표 및 졸업장에 대한 번역 및 공증 등을 추가로 제출해야 한다.2002년 전까지는 매 기수 5-7명으로 소수를 선발하였으나, 이후에는 20명 안팎의 인원을 선발하고 있다. 선발 시험은 5월과 11월에 공군작전사령부 연합작전협조실(구 기획조정실) 주관으로 진행된다. 시험 장소는 공군사관학교에서 진행했으나 2014년 하반기부터는 수원 공군기지에서 진행되었다. 공군통역장교는 전 군 통역장교 중 가장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타군이 통역장교를 운용하지 않던 시절부터 활동하여 공군 이외에도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한미연합군사령부와 각종 국방부 직속부대에서 통역 보직을 맡고 있다. 합격자는 주로 영미권에서 최소 4년 이상 거주한 대학 졸업자가 주를 이루지만, 국내파, 외무고시, CPA, 로스쿨 합격자들도 있다. 공군 통역장교가 되는 자원들은 장차관, 대사관, 영사관 자녀나 재벌 2세 등 엘리트들도 많다. 주로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의 해외대학 출신들이 많으며, 하버드대, 예일대, 케임브리지대, 옥스퍼드대, 브라운대, 맥길대학교, 토론토대, 코넬대, 호주국립대, 뉴욕대, UCLA, UC버클리, 존스홉킨스대 등 해외 명문대 출신이나,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카이스트, 포항공대 등 국내 대학 출신들도 있다. 군사외교 관련 학과 출신 합격자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대부분의 지원자 및 합격자들은 연관성 없는 학과 출신인 경우가 많으며, 국방어학원과 공군작전사령부에서 통역자원으로 양성 과정을 거쳐 자대에 배치받게 된다.
선발시험은 한영, 영한 통/번역과 한국어, 영어 면접으로 이루어진다. (제2외국어의 경우 동일한 형식) 통번역 평가는 연합작전협조실 현역 통역장교들이 직접 출제, 진행 및 평가를 맡으며, 객관성을 위해 시험 당일 현장에서 응시생들의 통역 모습을 녹화하고, 녹화 자료를 토대로 여러 평가관들이 응시생 개개인에 대한 평가와 분석을 진행한다. 면접은 실제 한미연합업무를 담당하는 현역 미군 장교가 영어 면접을 진행한다. 전반적인 평가의 핵심은 연합작전협조실 어학장교 직무교육 시스템 안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자원을 선발하는 데 있다.
3. 2. 교육
통역장교는 각 군별로 자체적인 교육 과정을 통해 양성된다. 이들은 주로 영어-한국어 통역을 담당하며, 키 리졸브, 을지 자유의 수호와 같은 한미 연합 군사 훈련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1]3. 2. 1. 육군
2011년까지 통역장교는 기초군사훈련 후 경기도 성남시 육군 종합행정학교 내 육군정보학교 어학처에서 4주간 통역 교육을 받았다. 2012년부터는 육군정보학교 어학처가 이천으로 이전하여 10주간 교육을 받은 후, 을지프리덤가디언 및 키 리졸브 연합연습에 OJT로 참가했다. 2016년 현재 육군통역장교 교육생들은 장호원에 위치한 국방어학원에서 10주 간 교육을 받으며, 1주차에는 합동대에서 육해공 합동작전에 대한 기본 교육을 이수한다. 이후 사령부 급 이상 제대에서 3주간 OJT를 받고 부대에 배치된다.[1]대한민국은 미국 군대의 지속적인 주둔 역사를 가지고 있다. 양국 군인들은 서로의 언어 구사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역 장교들이 훈련을 받는다. 이들은 회의, 고위급 회담 또는 일상적인 비공식적인 대화에 참여하여 통역을 제공하며, 주로 영어와 한국어 사이에서 동시 통역 또는 순차 통역을 수행한다. 키 리졸브 및 을지 자유의 수호와 같은 군사 훈련 동안, 연합사령부의 군대 간 통신에 대한 신속한 번역 수요가 최고조에 달하며, 통역 장교는 훈련의 원활한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대부분의 통역 장교는 영어-한국어 통역 분야에서 활동한다.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통역 장교도 있지만 영어 통역 장교에 비해 훨씬 적다. 많은 통역 장교들이 (전부는 아니지만) 영어권 국가를 포함하여 해외에서 여러 해를 보냈다. 통역 장교로 복무하는 것은 북미에서 유학하는 한국 국적자들이 21개월로 복무 기간이 2년보다 약간 짧음에도 불구하고, 명성과 네트워킹 기회 때문에 의무 군 복무를 하는 인기 있는 방법이다.[1]
통역 장교들 간의 동료 의식은 소규모이고 문화적으로 동질적이기 때문에, 장교 후보생 학교의 동기들에 비해 비교적 강하다. 통역 장교들은 집단적으로 서구 지향적인데, 자격 시험에서 필수 언어인 영어와 한국어에 상당한 수준의 유창함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많은 통역 장교들이 제대 후 금융 서비스 또는 법률 분야에서 경력을 쌓는다.[1]
3. 2. 2. 해군
해군 통역장교는 국방어학원에서 약 10주간 통역 교육을 받는다. 작전 및 의전 통역 경험이 풍부한 현역 통역장교 선배들이 전문 교관(국방어학원 소속)으로 자체 교육 과정과 교재를 통해 교육한다. 교육은 주로 국방어학원에서 진행되지만, 1주차에는 합동대에서 육해공 합동 작전에 대한 기본 교육을 받는다. 이후 장호원에서 해군 통역장교에게 필요한 군사 지식과 통번역 기술 심화 과정을 배운다. 교육 과정에는 한미연합사령부 및 주한미해군사령부 현장 학습이 포함되어 있어, 초임 통역장교가 교육 수료 후 바로 현장 업무에 투입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육을 제공한다. 교육 후반기 3~4주 동안은 KR 또는 UFG 연습에 학생 장교 신분으로 투입되어 현장 학습을 실시하며, 이를 통해 대부분의 통역장교는 실무 배치 전 실제 통번역 업무를 미리 경험한다. 연습 종료 후 장호원으로 복귀하여 수료하면 교육이 완료된다.3. 2. 3. 해병대
전문통역장교 과정은 육군정보학교 통역사관반 6주를 수료하고 해병대사령부에서 을지훈련에 투입된 후, 서울시 용산구 한미연합사령부에 3개월간 파견교육을 실시한다.[14] 이후 해병대사령부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 선배 통역장교의 지도를 받는 수습기간을 거친 후 정식으로 전문통역장교 보직을 부여받게 된다.[14]해병대통역장병 과정은 경험이 풍부한 전문통역장교를 교관으로 선발하여 실무 위주의 교육과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병대 교육단에서 4주간 실시한다.[14] 이수자는 각종 연합 연습 및 훈련에 투입된다.[14]
해병대는 연합-합동 작전수행능력 향상에 있어 통역의 역할에 대한 해병대사령관의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교육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추세이다.[14]
3. 2. 4. 공군
공군은 임관 직후 다른 통역장교들과 마찬가지로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국방어학원에 배치되어 4~6주간의 어학교육을 받는다. 해당 과정에서는 군 용어 및 개념과 통·번역 연습을 병행한다. 하지만 이후 타군과 달리 오산 작전사령부 연합작전협조실 (구 기획조정실)로 배속되어 어학장교 직무교육을 별도로 받는다. 현재까지 수백 명의 통역장교를 배출한 연합작전협조실 어학장교 직무교육 프로그램은 그 체계성을 인정받고 있다.통역장교 교육생들은 오산에서 교육을 이어가며 특히 오산 작전사령부와 미 7공군 간 생기는 실무 협의 등에 점진적으로 투입되어 실전적인 경험을 쌓는다. 특히 매 기수 마다 1~2개월 간의 교육을 진행하고 나면 예전 키리졸브 및 UFG, 동맹연습과 같은 한미 연합 지휘소연습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를 기회삼아 1~3주간 실전투입을 거친다. 이후 수료 시점이 도래하면 당시까지 진행한 평가 점수를 취합하여 순위가 매겨지며, 이 순위와 개인 선호도에 따라 자대를 결정짓게 된다.
주한미군과 교류가 특히 높은 공군의 통역장교이다 보니 자연스레 교육과정과 성과에 대한 관심도 높은 편이다. 특히 최우수 교육생은 공군 작전사령관 표창장이 수여되며, 최근 미 7공군 측에서도 교육생 전원을 초청해 VIP급 기지 견학과 사령관, 주임원사와의 [https://twitter.com/USForcesKorea/status/1095873702422441984 대화 시간]까지 마련하는 등 많은 지원과 관심을 아끼지 않고 있다.
또한 깊은 공군통역장교의 역사 덕분에 교육생 실무교육 도중 전군의 주요 보직에서 근무중인 기성 통역장교들이 방문하여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4. 보직 및 병과
육군 통역장교는 정보병과, 해군 통역장교는 항해병과로 구분되지만, 모두 통번역 업무를 집중적으로 수행한다. 공군 통역장교는 별도의 특기가 없으며, 첫 자대에 따라 특기가 부여되나, 통역장교의 특성상 어학 업무가 아닌 지정된 특기의 고유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해병대 통역장교는 해병대사령관 통역장교나 연습, 군수, 교리 분야 전문 통역장교로 복무하며, 근무 지역은 대부분 경기도 화성의 해병대사령부이다.
4. 1. 육군
육군 통역장교에게는 기본적으로 정보 병과가 부여된다. 청와대 국가안보실, 국방부, 방위사업청, 합동참모본부, 한미연합군사령부, 미8군 사령관 통역, 육군본부, 제1야전군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제3야전군사령부, 육군항공작전사령부, 특수전사령부, 군수사령부, 교육사령부, 국군통신사령부, 국방대학교, 한미 연합사단, 국방어학원 등에 보직이 있다. JSA경비구역에도 1개의 보직이 있다. 특히 최상위 제대인 합동참모본부나 한미연합군사령부에는 육군 통역장교 인원이 타군 통역장교보다 압도적으로 많고, 대부분 준장 이상 지휘관 통역장교로 복무한다. 주요 업무는 각종 한미 군사 토의 및 회의 통역, Key Resolve와 UFG 등 한미 연합 연습 간 통역 지원, 작전계획 번역, 장성 의전 통역, 각종 공식 서신 번역 등이다. 원활한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풍부한 군사 지식 및 작전계획 숙지가 필수이며, 이는 주로 배속 후 선임 통역장교 지도하에 교육받는다. 또한 보직에 따라 정책 및 외교 관련 지식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현재 육군 통역장교가 맡고 있는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즉 THAAD 관련 한미 대화가 좋은 예다. 한미연합군사령부나 육군본부에서는 미군과의 업무뿐 아니라 유엔군사령부 회원국, 중립국 감독위원회, 각국 대사 및 영사 등에 대한 의전 및 기타 국가와의 통역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1]대한민국은 미국 군대의 지속적인 주둔 역사를 가지고 있어, 양국 군인들은 서로의 언어 구사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역 장교들이 훈련을 받는다. 각 군에는 자체적인 통역 장교 그룹이 있으며, 이들은 회의, 고위급 회담 또는 일상적인 비공식적인 대화에 참여하여 통역을 제공하며, 주로 영어와 한국어 사이에서 동시 통역 또는 순차 통역을 수행한다. 키 리졸브 및 을지 자유의 수호와 같은 군사 훈련 동안, 연합사령부의 군대 간 통신에 대한 신속한 번역 수요가 최고조에 달하며, 통역 장교는 훈련의 원활한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대부분의 통역 장교는 영어-한국어 통역 분야에서 활동한다.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통역 장교도 있지만 영어 통역 장교에 비해 훨씬 적다. 많은 통역 장교들이 (전부는 아니지만) 영어권 국가를 포함하여 해외에서 여러 해를 보냈다. 통역 장교로 복무하는 것은 북미에서 유학하는 한국 국적자들이 21개월 복무 기간에도 불구하고, 명성과 네트워킹 기회 때문에 의무 군 복무를 하는 인기 있는 방법이다.[1]
통역 장교들 간의 동료 의식은 소규모이고 문화적으로 동질적이기 때문에, 장교 후보생 학교의 동기들에 비해 비교적 강하다. 통역 장교들은 집단적으로 서구 지향적인데, 자격 시험에서 필수 언어인 영어와 한국어에 상당한 수준의 유창함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많은 통역 장교들이 제대 후 금융 서비스 또는 법률 분야에서 경력을 쌓는다.[1]
4. 2. 해군
해군 통역장교의 주요 근무지는 한미연합사령부, 해군참모총장실, 방위사업청, 군사안보지원사령부, 해군작전사령부 등이며 작전, 의전, 군수, 정책, 획득 등의 분야에 관련된 통역을 주 임무로 한다. 해군 내 주요 전단장(준장)을 제외하고 주로 소장 이상의 지휘관이 지휘하는 규모 있는 상급 부대에 배치되며 의전실 또는 작전 계획과 등 부대별 핵심 부서에 통역장교로 배치된다. 해군 통역장교의 임무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소속 부대 최고 지휘관 (또는 사령관)의 전담 통번역, 즉 각종 군사 외교, 행사 및 연합 회의 석상에서 통역 임무를 수행한다.
# 미군 또는 외국군과 연합 훈련 시 모든 통/번역의 책임이 있다. 또한, KR/FE, UFG와 같이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연합 연습 및 훈련 외에도 해군 작전의 특성상 비교적 많은 국외 훈련과 파병에 통역관으로서 참여하여 해당 부대 전체의 '입'이 된다. 매년 전 세계 10여 개국 이상을 방문하는 사관생도 순항 훈련, 연 3회 아덴만 지역으로 파병되는 청해부대, 연 1~2회 UAE로 파병되는 아크부대의 통역관으로서 활약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며, 그 외에도 코브라 골드 훈련(태국), 림팩(하와이), 서태평양 기뢰 대항전 훈련 등 많은 국외 훈련에 참여하고 있다.[15]
# 자신이 속해 있는 부대의 모든 대외 협조 및 통번역 관련 업무를 지원한다. 해군의 경우 미7함대와 주기적인 교류를 실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방문하는 외국 함정 및 해군 대표단과 협조하는 업무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행사 계획을 위한 연락 장교 임무부터, 상호 간 주요 협조 사항에 대한 합의 각서 및 연합 작전 계획의 수립 등 광범위한 업무에 대한 지원을 실시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개개인의 업무 능력에 많은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추가적으로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삼호쥬얼리호 석해균 선장을 비롯한 우리 선원을 해적의 위협으로부터 구출한 해군 청해부대에도 통역 장교를 매번 파병 시마다 파견하여 부대 내 통역을 담당하고, 연합 해군 사령부와 대 해적 작전 협조 및 협력, 미 5함대 소속 CTF-151 예하 전력으로써 아덴만과 소말리아 해역의 평화 유지에 기여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청해부대 통역장교는 대 해적 작전뿐만이 아니라 각종 군사 외교 활동 시 부대장의 전담 통역을 담당한다.[16] 또한, 최근에는 UAE에 파병된 아크부대에 해상 작전대를 해군 UDT 요원으로 구성하여 17명을 추가 파병하였는데, 통역 장교도 같이 파병되었다. 기본적인 업무는 국내 통역 장교와 동일하지만 해외 파병 부대 전체의 '입'이 되는 만큼 그 책임과 부담도 막중하다.[17]
4. 3. 해병대
해병대사령관 통역장교나 연습, 군수, 교리 분야의 전문통역장교로 복무한다. 근무 지역은 대부분 경기도 화성의 해병대사령부이며 연합사, 합참, 각군 본부 등 연합-합동 부대로 출장이 잦다. 한-미 해병대 사단급 상륙훈련 등 연합-합동 훈련이나, 각종 연합-합동 연습에도 통역을 총괄 책임진다. 해외 출장 지역은 주로 미 해병대 주요 부대가 위치한 일본 요코스카, 오키나와, 괌 등지이다. 전문통역장교는 해병대통역장병교육의 교관으로서 책임을 가지고 있다.4. 4. 공군
첫 자대배치 후 1년, 그리고 1년 반에 각 1회씩 최대 2회 보직 이동 기회를 부여받으며, 공군 내 자리로 이동하는 대내전속과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한미연합사령부 등 공군 외부 부서로 이동하는 대외전속이 있다. 이 과정은 작전사령부 연합작전협조실에서 주관하여 시험을 진행한다. 첫 자대배치 시 공군의 주요 부대에 배치되어 작전, 군수 업무를 수행했다면 전속을 통해 대부분 서울에 위치한 핵심 전략부서로 이동하여 상위본부의 통역을 맡는다. 공군 통역장교 전용으로 지정된 편제(보직)의 수가 많아 근무 1년 내지 1년 반 차의 기수는 80%(희망자 중 90% 이상)가 서울에서 근무한다.첫 자대배치 및 전속과정을 통해 인사명령이 난 통역장교들은 청와대,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한미연합사령부, 공군본부, 국방정보본부, 군사안보지원사령부, 777사령부, 정보사령부, 군수사령부, 방위사업청 및 주요 국직부대에서 통/번역 업무를 수행하며, 오산 공군작전사령부, 대구 군수사령부, 및 전국 각지의 핵심 전투비행단에 배치 받는다.
공군통역장교는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국방부장관, 국방부차관, 합참의장, 합참차장,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공군참모총장, 국방정보본부장, 합참전략기획본부장, 안보지원사령관, 777사령관, 정보사령관 등 국가안보 핵심 수뇌부의 통역을 지원하며, 특히 공군이 타군보다 해외무기체계 운용도 및 한미연합작전 비중이 높은 만큼, 공군 작전사령관, 美7공군사령관(주한미군부사령관/SOFA합동위원장), 공군 군수사령관, 공군사관학교장 및 주요 전투비행단장의 전담 통역장교로 활약하며 한미연합작전 및 군사외교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대한민국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의원들의 해외파병기지 방문, 대사관 및 총영사관 등 재외공관과의 업무협조를 지원하며 국회의원 및 외교관과 교류하기도 한다.
공군통역장교는 한미통합국방협의체(KIDD), 한미안보협의회(SCM), 한미군사위원회회의(MCM), 아세안확대국방장관회의(ADMM-Plus), 아세안국방고위관리회의(ADSOM-Plus),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 서울안보대화(SDD), 서울국제항공우주및방위산업전시회(ADEX), 영국 와딩턴 에어쇼, 싱가포르에어쇼, 공군대공군회의 등 각종 양자 및 다자협의체, 국제회의, 국제 방산전시회 등에서도 활약한다.
방위사업청, 국방부, 군수사령부 소속 통역장교는 록히드마틴, 보잉, 레이시온, 노스롭 등 해외 방산업체를 대상으로 항공기와 유도무기 기술 및 계약 관련 통/번역 업무를 수행하며, 공군사관학교와 국방어학원 소속 통역장교는 교관자격을 부여받아 사관생도, 조종사, 관제사 등 대한민국 공군의 주요 인적자원을 대상으로 영어교육 및 통역장교 직무교육을 담당한다.
5. 통역장교의 역할과 중요성
대한민국은 미국 군대의 지속적인 주둔 역사를 가지고 있다. 양국 군인들은 서로의 언어 구사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역 장교들이 훈련을 받는다. 각 군에는 자체적인 통역 장교 그룹이 있으며, 이들은 회의, 고위급 회담 또는 일상적인 비공식적인 대화에 참여하여 통역을 제공한다. 주로 영어와 한국어 사이에서 동시 통역 또는 순차 통역을 수행한다.[1] 키 리졸브 및 을지 자유의 수호와 같은 군사 훈련 동안, 연합사령부의 군대 간 통신에 대한 신속한 번역 수요가 최고조에 달하며, 통역 장교는 훈련의 원활한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대부분의 통역 장교는 영어-한국어 통역 분야에서 활동한다.[1]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통역 장교도 있지만 영어 통역 장교에 비해 훨씬 적다.[1] 많은 통역 장교들이 (전부는 아니지만) 영어권 국가를 포함하여 해외에서 여러 해를 보냈다.[1] 통역 장교로 복무하는 것은 북미에서 유학하는 한국 국적자들이 21개월로 2년보다 약간 짧은 복무 기간에도 불구하고, 명성과 네트워킹 기회 때문에 의무 군 복무를 하는 인기 있는 방법이다.[1]
통역 장교들 간의 동료 의식은 소규모이고 문화적으로 동질적이기 때문에, 장교 후보생 학교의 동기들에 비해 비교적 강하다.[1] 통역 장교들은 집단적으로 서구 지향적인데, 자격 시험에서 필수 언어인 영어와 한국어에 상당한 수준의 유창함을 요구하기 때문이다.[1] 많은 통역 장교들이 제대 후 금융 서비스 또는 법률 분야에서 경력을 쌓는다.[1]
6. 전역 후 진로
통역장교는 대부분 3년 의무 복무 기간만 채우고 전역하여 취업하거나 유학을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외국계 투자은행, 사모펀드[18]나 국내 금융기관[19]에 취직하는 경우가 많으며,[20] 전문 통역사로 활동하기도 한다.[21] 미국에서 MBA[22]나 로스쿨[23] 혹은 전문 석박사[24] 과정을 밟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국내 법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외국에 취업하는 경우도 흔하다.[25][26] 외무고시에 합격하거나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변호사로 활동하는 경우도 있다. 군 경험을 살려 하버드, 스탠퍼드, 예일, 컬럼비아 등 해외 명문 대학원으로 입학하는 경우도 있다.[27]
7. 저명한 통역장교 출신 인사
통역장교 출신 인사 |
---|
통역장교 출신 인사 |
참조
[1]
웹사이트
Want To Be An Army Translator... or Interpreter?
https://usmilitary.c[...]
USMillitary
2008-03-27
[2]
웹사이트
AIIC Forum on Interpreters in Conflict Areas
https://aiic.org/doc[...]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ference Interpreters
2010-03-15
[3]
웹사이트
AIIC, Red T and FIT introduce the first Conflict Zone Field Guide
https://aiic.net/pag[...]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ference Interpreters
2012-03-14
[4]
뉴스
공군 프랑스어 통역 장교이자 남동생과 함께 조국의 하늘을 수호하게 된 박서현 소위 연합뉴스
https://m.yna.co.kr/[...]
[5]
뉴스
3사관학교 임관식 화제의 인물/ 5개국어 능통 '글로벌 장교' 통역장교 임관 최환주 소위 영남일보 2005년 6월 25일
http://www.yeongnam.[...]
2005-06-25
[6]
서적
귀신이 되어서라도 팔아라
밀리언하우스
[7]
문서
최영희 중장
http://ki.warmemo.co[...]
[8]
서적
국군- 통역장교 -미국군사고문
창비
[9]
문서
비무장지대 남북경계선 획정을 위한 판문점 참모장교회의, 1951. 12. 10
http://www.knowledge[...]
1951-12-10
[10]
문서
국방뉴스 284호
http://www.knowledge[...]
[11]
서적
개인만 있고 국가는 없다
한국경제신문사
[12]
문서
08년 특수사관 모집/선발과정 추가(수정) 공고
http://www.army.mil.[...]
[13]
웹인용
육군 전문사관 모집
http://www.goarmy.mi[...]
2012-05-18
[14]
뉴스
동아일보 -귀신 잡는 해병 ‘군글리시’도 잡는다
http://www.donga.com[...]
[1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roknavios[...]
2016-03-21
[16]
문서
청해부대 메신저, 통역장교 이현찬 중위
http://bluepaper-tes[...]
[17]
문서
아크부대 2진 해상작전대 파병
http://www.navy.mil.[...]
[18]
웹인용
이슈좌담 - JP모건 주니어 사원들이 말하는 ‘입사, 그 후’
http://blog.joins.co[...]
2008-08-02
[19]
웹인용
KoreanRe 2006 신입사원
http://www.koreanre.[...]
2008-08-02
[20]
뉴스
박종원 사장 "이번 신입사원들은 소나무야" 2007년 12월 9일
http://kr.news.yahoo[...]
2007-12-09
[21]
뉴스
서울신문 외교부 통역전문가들의 세상 2007-11-02
http://www.seoul.co.[...]
2007-11-02
[22]
문서
http://www.injaejeil.co.kr/guide/ja_search_view.jsp?uid=1524&se=&search=&hosu=&page=20 인재제일 2007.07 세계를 무대로 뛴다 콜롬비아대학 MBA 정종우 씨
http://www.injaejeil[...]
[23]
뉴스
매일경제신문 2010.05.23. 外信도 놀란 예일대 장학생 실력
http://news.mk.co.kr[...]
2010-05-23
[24]
문서
매일경제 북다이제스트 하버드 케네디스쿨의 리더십 수업
http://digest.mk.co.[...]
[25]
문서
안녕하세요, 공군통역장교 110기 추연진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http://club.cyworld.[...]
[26]
웹인용
Republic of Korea Air Force OTS Commission, Jun Won Lee Kents Hill School
http://www.kentshill[...]
2009-08-26
[27]
문서
김앤장 박준기 변호사
http://www.kimchang.[...]
[28]
웹인용
서울대 동창회 회보
http://www.snua.or.k[...]
2008-09-19
[29]
문서
브리타니카 백과사전 최인훈
preview.britannic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