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계통에서 운행되는 10량 편성의 전동차로, 1996년부터 현재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도입되었다. 1세대(납작이), 2세대(동글이), 3세대(뱀눈이, 삼눈이), 4세대(주둥이), 5세대(큐브)로 구분되며, 각 세대별로 전두부 형태, 객실 내부 설비, 제어 방식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 전동차는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수도권 전철 1호선 계통의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하며, 개조를 통해 내장재 변경, 전장품 교체 등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1호선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 병점기지선
병점기지선은 경기도 화성시 병점역과 오산시 서동탄역을 잇는 2.2km의 한국철도공사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향후 동탄인덕원선 및 수도권고속철도와의 연결이 추진 중이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노후화된 무궁화호 대체 및 경량화, 제작비용 절감을 위해 히타치 A-Train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된 140km/h급 준고속 전기 동차로, 현재 28량이 강릉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여러 노선에서 운행 중이며 일부는 관광열차로 개조되었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2013년부터 ITX-새마을 특급열차로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이며,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경부선, 호남선 등에서 운행한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 | |
|---|---|
| 기본 정보 | |
![]() | |
| 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
| 운행 시작 | 1996년 ~ 현재 |
| 제작 회사 | 현대 로템 (이전: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로템) |
| 차량 길이 | 19.6 m |
| 차량 폭 | 3.12 m |
| 차량 높이 | 3.8 m |
| 차체 | 강철 |
| 문 | 한쪽 면 당 4개, 차량 당 8개 |
| 최대 속도 | 110 km/h |
| 가속도 | 3.0 km/h/s |
| 감속도 | (상용) 3.5 km/h/s (비상) 4.5 km/h/s |
| 전력 출력 | 4400 kW |
| 전기 시스템 | 25 kV 60 Hz AC/1.5 kV DC 가공 가선 |
| 집전 방식 | 팬터그래프 |
| 제동 방식 | 회생 제동 |
| 안전 장치 | ATC, ATS |
| 연결기 | 시바타식 |
| 궤간 | 표준궤 |
| 편성 | 10량 편성 (TC-M-M'-T-M-T'-T-M-M'-TC) |
| 차량 번호 | |
| 차량 번호 | 311-01~312-00 (구 5-01~5-92) |
| 소속 | 구로, 병점, 이문, 시흥 |
| 제작 및 개조 정보 | |
| 제작 년도 | 1세대: 1996–1999년 2세대: 2002–2004년 3세대: 1차분: 2005–2006년 2차분: 2010, 2012–2014년 3차분: 2015–2016년 4세대: 2019–2022년 5세대: 2023–현재 |
| 개조 년도 | 2004–2006년 319000호대 & 321000호대: 2008년 (5-19, 5-79~5-80, & 5-86~5-92 편성) |
| 제작 수량 | 총 1125량 1세대: 415량 2세대: 240량 3세대: 454량 4세대: 120량 5세대: 410량 |
| 운행 수량 | 1세대: 6량 2세대: 240량 3세대: 452량 4세대: 120량 5세대: 360량 |
| 폐차 수량 | 409량 (1세대 전동차) |
| 일본어 정보 | |
| 차량 이름 | 한국철도공사 311000계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5000계 전동차 |
| 차체 길이 | 21,085 (초두이 선두차) 20,450 (큐브 선두차) 20,350 (신통글이 선두차) 20,250 (통글이 선두차) 20,000 (전 그룹 중간차) |
| 차량 폭 | 3,200 |
| 차량 높이 | 4,500 |
| 차량 무게 | 27.5 - 42.0 t |
| 편성 무게 | 355.0 t |
| 전기 방식 | 직류 1,500V/교류 25,000V(60Hz) |
| 주전동기 | 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 |
| 편성 출력 | 200kW×20=4,000kW |
| 구동 장치 | WN 드라이브 |
| 제어 장치 | GTO소자VVVF 인버터 제어 IGBT 소자 VVVF 인버터 제어 모두 1C4M 제어 |
| 제동 방식 |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브레이크 |
| 보완 장치 | ATS |
| 기어비 | 14:99(7.07) 3세대차까지 |
| 차체 길이 | 20,470 (초두이 선두차) 19,950 (큐브 선두차) 19,850 (신통글이 선두차) 19,750 (통글이 선두차) 19,500 (전 그룹 중간차) |
| 제조 수량 | 1,585량 |
| 한국어 정보 | |
![]() | |
![]() | |
![]() | |
| 전기 방식 | 교직류겸용 AC/DC 교류 25,000V 60Hz, 직류 1,500V 가공가선 방식 |
| 제어 방식 | VVVF-GTO(도시바) VVVF-IGBT(도시바) VVVF-IGBT(현대로템)(미쓰비시 IPM) VVVF-IGBT(우진산전) VVVF-IGBT(도시바 PMSM) |
| 기어비 | 14:99 |
| 기동 가속도 | 3.0 |
| 영업 최고 속도 | ATS 구간 110 |
| 설계 최고 속도 | 110km/h, 120km/h(2016년 도입분 이후) |
| 감속도 | 상용 최대 3.5 km/h/s 비상 4.5 |
| 전동기 출력 | 200 |
| 편성 출력 | 4,000(5800마력) |
| 용도 |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차량 중량 | 369.1 |
| MT비 | 5M 5T |
| 보안 장치 | ATS [수동운전] |
| 제동 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제작사 | 대우중공업, 현대로템, 우진산전, 다원시스 |
| 제작 연도 | 1996년 3월~1998년 8월, 2002년 1월~2004년 8월 2005년 7월~2016년 1월, 2019년 3월~2020년 1월, 2021년 7월~2024년 3월, 2028년~2031년(예정) |
| 운영 회사 | 한국철도공사 |
| 생산량 | 2080량 |
| 사용량 | 1006량 (107개 편성) |
2. 기술적 사양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는 10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각 편성은 동력차(M, M')와 무동력 객차(Tc, T, T1)로 구성된다. M'차는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를 탑재하고, M차는 제어기기와 전동기를 탑재한다. Tc차는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탑재하며, T1차는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를 탑재한다(제어실 없음). T차는 무동력 객차이다.
각 차량의 형식, 구분, 탑재 기기는 다음 표와 같다.
|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구 차량 번호 | 제작 연도 | 차량 형태 |
|---|---|---|---|---|---|---|---|---|---|---|---|---|---|
| 형식 | 311000호대 | 311100호대 | 311200호대 | 311300호대 | 311400호대 | 311500호대 | 311600호대 | 311700호대 | 311800호대 | 311900호대 | |||
| 구 형식 | 5000호대 | 5200호대 | 5300호대 | 5800호대 | 5500호대 | 5400호대 | 5900호대 | 5600호대 | 5700호대 | 5100호대 | |||
| 구분 | Tc | M | M' | T | M' | T1 | T | M | M' | Tc | |||
| 탑재 기기 | SIV,CP,BT | CI | CI,Mtr | CI,Mtr | SIV,CP,BT | CI | CI,Mtr | SIV,CP,BT |
각 객차번호에 설치된 전장품은 아래 표와 같다.
|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 31X0XX (50XX) | Tc (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X1XX (52XX) | M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
| 31X2XX (53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
| 31X3XX (58XX) | T (무동력객차) |
| 31X4XX (55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
| 31X5XX (54XX) | T1 (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X6XX (59XX) | T (무동력객차) |
| 31X7XX (56XX) | M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
| 31X8XX (57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
| 31X9XX (51XX) | Tc (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2. 1. 제어기기
1개의 제어장치가 4개의 모터를 제어하는 1C4M 방식을 채택하였다. 기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에 비해 출력을 높여 전력차의 비율을 줄였으며, 동시에 회생제동을 채용하여 에너지 절약 및 검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도시바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후 우진산전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던 제어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1세대 차량은 신칸센 500계 전동차에서 사용하던 강제 냉각 방식의 MCK01C형 주변환장치를 채택하였고, 1세대 이후의 차량은 히트파이프에 의한 자연 냉각 방식의 COVO52-A0형 주변환장치를 채택하였다. 일부 1세대 차량의 경우 주변환장치는 COVO52-A0로 교체되었으나, 견인전동기는 기존의 것 그대로이므로 스위칭 가청주파수 영역을 벗어난 고속 영역에선 기존 모터 소리가 들린다.
311-01~311-12, 311–14~311–15, 311–17~311–34, 311–36 및 311-42~311-47 편성은 도시바 GTO 기반 VVVF 제어 방식을 사용하며, 능동 냉각 방식을 사용한다. 반면, 311–13, 311–16, 311–35, 311–37~311–41, 311–48~311–65 편성과 3, 4세대 모든 열차는 IGBT 제어 방식을 사용하며, 히트 파이프를 통한 수동 냉각 방식을 사용한다.
2. 2. 차체 및 대차
차체는 경량 고장력 스테인리스 스틸 무도장 차체(STS301L)를 사용한다.[1] 대차는 1차 현가장치에 코니컬 고무스프링, 2차 현가장치에 에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대차 방식을 채택하여 승차감 향상과 경량화를 이루었다.[1] 제동장치는 응답성이 빠르고 전기제동과의 조화가 양호한 HRDA형 전기지령식 제동을 사용하고 있다.[1]
2. 3. 실내 설비
도입 초기에는 아이보리색 계통의 색상과 모켓 롱 시트로 구성되었다. 이후 불연 내장재 교체가 시행되면서 파란색과 흰색 등을 사용한 유리 섬유(그라스울) 시트로 변경되었다. 객실 천장에는 31101~31182편성은 LED 전광판이, 31183~31256편성은 LCD TV를 사용한 승객 안내 장치가 설치되었다. 냉방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보다 냉방 출력이 강화된 준집중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1998년에 도입된 2차 도입분(31128~31141편성)은 1, 10호차 통로문 왼쪽에 휠체어·유모차 공간이 설치되었다. 이에 따라 31107~31127편성은 1, 10호차에 3인석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전용 좌석을 제거하여 휠체어·유모차 공간을 마련했다.[14][15]2. 4. 승무 설비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에서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와 유사하나 ATC 관련 장비는 없다. 정차역을 오인, 통과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차역 자동 통보 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최초 도입부터 TGIS 모니터를 컬러 모니터로 갖추었으며, 2004년 불연 내장재 개조 이후부터는 서비스 기기 조작을 TGIS와 연계하여 자동화했다. 승무기기는 31101~31182편성은 투핸들 방식을, 31183~31256편성은 원핸들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운전 경계 장치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절연구간을 통과할 때 지상 장비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2006년부터는 전 차량의 차장용 출입문 조작장치를 기존의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교체했다.[16]2. 5. 편성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는 10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각 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M'차: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 탑재
-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 탑재
- Tc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 탑재
- T1차: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탑재 (제어실 없음)
- T차: 무동력 객차
|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 31X0XX (50XX) | Tc (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X1XX (52XX) | M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
| 31X2XX (53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
| 31X3XX (58XX) | T (무동력객차) |
| 31X4XX (55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
| 31X5XX (54XX) | T1 (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X6XX (59XX) | T (무동력객차) |
| 31X7XX (56XX) | M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
| 31X8XX (57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견인전동기) |
| 31X9XX (51XX) | Tc (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이문차량기지, 구로차량기지, 병점차량기지에 배속되어 있으며, 중정비는 이문차량기지와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시흥차량기지 또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문산차량기지에서 진행한다.[1]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및 한국철도공사 312000호대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를 기초로 제작되었으며, 이후 여러 설비 변경을 거쳐 총 12차례에 걸쳐 도입되었다. 전두부 형상을 기준으로 크게 5세대로 나뉜다.
3. 배속
배속 차량기지 편성 번호 비고 이문차량기지 31124, 31171~31182, 31216~31229편성 10량 구로차량기지 31132, 31135~31138, 31142~31159, 31183~31190, 31192~31215, 31241~31256편성 10량 병점차량기지 31160~31170, 31230~31240편성 10량
311000호대 전동차는 구로, 병점, 이문 차량기지에 분산 주박하며, 경정비는 주박 차량기지에서, 중정비는 수도권 전철 4호선 오이도역 이후에 위치한 시흥 차량기지에서 실시한다.[2]배속 차량기지 편성 번호 이문차량기지 311-03~311-25, 311-81~311-82 구로차량기지 311-26~311-41, 311-48~311-53, 311-66~311-76, 311-83~311-90, 311-92~312-07 병점차량기지 311-42~311-47, 311-54~311-65, 311-77~311-80
4. 도입 역사
1996년 11월, 1000호대 초도차 대체와 광역전철 구간 확장으로 인한 차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했다. 안산선 · 과천선(4호선)과 분당선에 도입된 2000호대(341000호대 · 351000호대)와 동일한 VVVF 인버터 제어, 스테인리스강 차체의 교직류 전동차이다. VVVF 인버터 제어 장치는 1~3세대 차량은 도시바와 기술 제휴를 맺은 우진산전 및 도시바제이고, 4세대 차량은 미쓰비시의 전장품을 기반으로 한 현대로템제, 5세대 차량은 미쓰비시의 전장품을 기반으로 한 우진산전제이다.
2011년 4월부터 10월까지 311000호대로 개번이 이루어졌으며, 완료 전까지 5000번대와 311000번대가 혼재했다. 본 계열은 1996년부터 현재까지 장기간에 걸쳐 대량으로 제조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제조 시기에 따라 사양이 다르다.
4. 1. 1세대 (납작이)
납작이일본어라고 부르며 31101~31141편성과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중 31906~31907편성(도입 당시 501~542편성)이 해당된다. 1996년 3월부터 1998년 8월까지 '''현대정공 창원공장'''[23]과 '''대우중공업 의왕공장'''[24]에서 제작되어 반입되었다.
1차 도입분은 1997년 6월 25일 경인선 증차분인 31101~31106(당시 501~506)편성이, 2차 도입분은 1999년 1월 29일 부평~구로 복복선 개통분인 31107~31127(당시 507~528)편성과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중 31906~31907(당시 519)편성이 해당된다. 초창기에 반입된 31101~31106(당시 501~506)편성은 오랜 기간 시운전을 거쳐 1997년 5월에야 정식으로 영업운전에 투입되었다. 31101~31106편성은 출입문과 통로문 문양이 이전 차량들[25]과 같은 부식무늬였고, 출입문이 닫힐 때 경고음이 울리지 않았다. 현재 31101~31102편성은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중 일부 편성에 투입되어 운행했고, 2022년 2월을 끝으로 내구 연한 만료로 휴차되어 2022년 11월에 반출이 완료되었다. 2차 도입분부턴 출입문과 통로문 문양이 철도청 로고(역삼각) 무늬로 변경되었으며, 출입문이 닫힐 때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모든 편성이 2014년~2017년에 걸쳐 스피커가 개량되어 1차 도입분은 경고음이 추가되고, 2차 도입분은 경고음이 개선되었다. 반입 당시 도색은 청록색과 노란색 조합(대한민국 철도청 색상)을 사용하였으나, 2004년 불연 내장재 개조와 함께 현재의 빨간색, 군청색 조합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3차 도입분인 31128~31141(당시 기준 529~542)편성은 1974년 4월에 도입됐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폐차를 위하여 도입된 차량으로[26], 1호차와 10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추가되었으며, 객실 안내 전광판의 수가 기존 1개에서 2개로 늘어났다.
당시 519편성(현재 말소)은 2007년 5월 12일에 일어난 경부선 영등포역 추돌사고로 2량 폐차 후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중 31906~319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 31124~31125편성(당시 525~526편성)은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차량 번호가 중복된 관계로 555~556편성으로 도입된 후 해당 기관차의 폐차로 인한 차적 삭제로 정상적인 편성 번호로 변경됐으며[27], 31116, 31135, 31137~31141편성의 주변환장치가 VVVF-GTO에서 VVVF-IGBT로 교체되었다. 31137편성(당시 기준 538편성)은 시범적으로 코모넷 사의 차내방송 시스템이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 31139~31141편성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2세대형 부수객차를 개조한 T차 5량이 편입되어 운행됐으나, 노후화로 인해 341602, 311302, 311602, 341304, 341604호 등으로 바뀌었다.[28]
|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 31101 편성 | 1996년 | 2017년 | |
| 31102 편성 | 2016년 | 노량진역에서 탈선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 | |
| 31103 편성 | 2022년 | ||
| 31104 편성 | |||
| 31105 편성 | |||
| 31106 편성 | |||
| 31107 편성 | 1997년 | ||
| 31108 편성 | |||
| 31109 편성 | 2023년 | ||
| 31110 편성 | |||
| 31111 편성 | |||
| 31112 편성 | 2022년 | ||
| 31113 편성 | 2023년 |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 |
| 31114 편성 | |||
| 31115 편성 | |||
| 31116 편성 |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 ||
| 31117 편성 | |||
| 31118 편성 | |||
| 31119 편성 | |||
| 31120 편성 | |||
| 31121 편성 | |||
| 31122 편성 | |||
| 31123 편성 | |||
| 31124 편성 | 운행 중 | ||
| 31125 편성 | 2023년 | ||
| 31126 편성 | |||
| 31127 편성 | |||
| 31128 편성 | 1998년 | 대한민국 최초의 전동차 대차분이다. | |
| 31129 편성 | |||
| 31130 편성 | |||
| 31131 편성 | |||
| 31132 편성 | 운행 중 | ||
| 31133 편성 | 2023년 | ||
| 31134 편성 | |||
| 31135 편성 | 운행 중 |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 |
| 31136 편성 | 운행 중 | ||
| 31137 편성 | 운행 중 |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 |
| 31138 편성 | 운행 중 | ||
| 31139 편성 | 1999년 | 2023년 |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됐다.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 부수객차가 편성되어 있었다. |
| 31140 편성 | |||
| 31141 편성 |
4. 2. 2세대 (동글이)
2세대 전동차는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어 도입되었다. 31142편성부터 31165편성까지가 해당되며,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동글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13]2세대 전동차는 전두부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어 둥근 형태를 띠고 있다. 객실 측면 창문은 통유리창으로 바뀌었고, 백색을 강조한 실내 설비가 적용되었다. 일부 편성은 주변환장치가 기존의 GTO에서 IGBT로 교체되었다.[13] 31164편성과 31165편성은 도입 당시부터 불연 내장재를 적용하고, LED 열차 번호 표시 장치를 갖추었다.[13]
2세대 열차는 마닐라 경전철의 LRTA 2000 클래스와 거의 동일하며, 해당 열차 역시 현대로템에서 제조되었다.
2세대 전동차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의 수원역-병점역 구간(31142~31147편성), 병점역-천안역 구간(31164~31165편성) 연장 개통을 위해 투입되었다. 또한, 1세대 1000호대 전동차를 대체하는 역할을 했다.
2세대 전동차는 계획된 수명 25년을 다 채우는 2027년에서 2029년에 신형 차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 차호 | 도입 시기 | 비고 |
|---|---|---|
| 31142~31145편성 | 2002년 |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됨. |
| 31146편성 | 2002년 | |
| 31147편성 | 2002년 |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압축식에서 스크류모터 구동식으로 개조됨. |
| 31148편성 | 2003년 |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됨. |
| 31149~31150편성 | 2003년 | |
| 31151~31153편성 | 2003년 |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압축식에서 스크류모터 구동식으로 개조됨. |
| 31154~31156편성 | 2003년 |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됨.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식에서 전기식으로 개조됨. |
| 31157~31158편성 | 2003년 |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될 예정.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압축식에서 전기식으로 개조됨. |
| 31159편성 | 2003년 |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됨.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압축식에서 스크류모터 구동식으로 개조됨. |
| 31160편성 | 2003년 | 코레일 차량 중 최초로 도입 당시부터 도시바 IGBT 적용. 출입문 구동방식이 공기압축식에서 스크류모터 구동식으로 개조됨. |
| 31161~31162편성 | 2003년 | 도입 당시부터 도시바 IGBT 적용. |
| 31163편성 | 2003년 | 일부 차량은 도입 당시부터 도시바 IGBT 적용. 일부 차량은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됨. |
| 31164~31165편성 | 2004년 | 도입 당시부터 도시바 IGBT 적용. 코레일 차량 중 최초로 도입 당시부터 불연 내장재 적용. LED 열차 번호 표시 장치 적용. |
4. 3. 3세대 (뱀눈이, 삼눈이)
3세대 전동차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도입되었으며(31166~31203편성),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다. 전두부 형태가 변경되었고, 현대로템 표준형 전동차 설계 기준을 따랐다. 객실 출입문 구동 방식이 스크류 모터 전기 구동식으로 변경되었다.- 31166~31182편성: 2005년부터 2006년 사이에 도입되었으며, 주로 경인선, 경원선, 중앙선 등 새로운 노선 연장 및 복선 전철화에 투입되었다. 또한, 수명이 다하거나 화재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1000호대 전동차를 대체하였다. 전면 디자인이 뱀의 눈을 닮아 "뱀눈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31178편성부터는 객실 환기용 팬과 1인 승무 기능이 추가되었다. 31180편성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경기도 민원전철 365 및 경북테마열차로 운행된 이력이 있다.
- 31183~31194편성: 2012년부터 2014년 사이에 도입되었으며, 25년 수명이 다한 1000호대 전동차를 대체하였다. 전면에 충격 완화 장치가 추가되었고, LCD 행선 표시기와 개선된 스피커 등 실내 설비가 개선되었다. 31183~31187편성은 2012년 도입 당시 321000호대 차량을 개조하여 사용했으나, 중앙선 승객들의 불만으로 2014년에 신규 제작된 차량으로 재편성되었다. 31192~31194편성은 LED 전조등을 장착한 최초의 차량이다. 31190편성은 361000호대에서 개조된 차량으로, 유일하게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다. 31191편성은 ITX-청춘 운행 개시로 경춘선으로 환원되었고, 신조된 부수객차 2량은 휴차되었다.
- 31195~31203편성: 2015년부터 2016년 사이에 도입되었으며, 노후화된 1000호대 전동차 중저항 열차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삼눈이"라고 불리며, 싱글암 팬터그래프, LED 전조등(삼눈이), CCTV가 추가되었다. 경강선 및 동해선 광역전철 1차분 차량과 동일한 설계를 적용하여 야간 주행 시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LED 전조등이 추가되었다.
|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 31166 편성 | 2005년 | 운행 중 | |
| 31167 편성 | 운행 중 | ||
| 31168 편성 | 운행 중 | ||
| 31169 편성 | 운행 중 | ||
| 31170 편성 | 운행 중 | ||
| 31171 편성 | 운행 중 | 출입문이 격하게 닫힌 적이 있다. | |
| 31172 편성 | 2006년 | 운행 중 | |
| 31173 편성 | 운행 중 | ||
| 31174 편성 | 운행 중 | ||
| 31175 편성 | 운행 중 | ||
| 31176 편성 | 운행 중 | ||
| 31177 편성 | 운행 중 | ||
| 31178 편성 | 운행 중 | ||
| 31179 편성 | 운행 중 | ||
| 31180 편성 | 운행 중 | 2010년 11월 29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경기도 민원전철 365로 운행되었고, 경북테마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다. | |
| 31181 편성 | 운행 중 | ||
| 31182 편성 | 운행 중 | ||
| 31183 편성 | 2012년, 2014년 | 운행 중 | 중간 객차 신조 및 편성 재조성으로 인해 잠시 휴차되었다. 31186편성부터는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분 대체분이며, 이 중 31183~31185편성은 순수 증차분이다. |
| 31184 편성 | 운행 중 | ||
| 31185 편성 | 운행 중 | ||
| 31186 편성 | 운행 중 | ||
| 31187 편성 | 운행 중 | ||
| 31188 편성 | 운행 중 | ||
| 31189 편성 | 운행 중 | ||
| 31190 편성 | 2010년, 2014년 | 운행 중 | 경춘선에서 이적된 차량으로, 1호선 차량 중 유일하게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었고, 유일한 짬뽕 편성이다. |
| 31191 편성 | 2017년 | 경춘선에서 이적된 차량이었으나, 본래 노선으로 재이적하여 36114편성으로 운행 중이며, 나머지 2량은 문산차량기지에 휴차되었다, | |
| 31192 편성 | 2013년 | 운행 중 | |
| 31193 편성 | 운행 중 | ||
| 31194 편성 | 운행 중 | ||
| 31195 편성 | 2016년 | 운행 중 | 31195편성부터 싱글암 팬터그래프가 설치되었고, 열차번호 안내기와 행선지 안내기 사이에 LED 전조등이 하나 더 적용되었다. 객실 내부에 CCTV가 설치되었다. 31200편성은 차량 상부에 검측 장치가 설치되었다. |
| 31196 편성 | 운행 중 | ||
| 31197 편성 | 운행 중 | ||
| 31198 편성 | 운행 중 | ||
| 31199 편성 | 운행 중 | ||
| 31200 편성 | 운행 중 | ||
| 31201 편성 | 운행 중 | ||
| 31202 편성 | 운행 중 | ||
| 31203 편성 | 운행 중 |


4. 4. 4세대 (주둥이)
2019년 7월 26일부터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신저항 차량 노후화의 일환으로 도입된 차량이다. 흔히 '''주둥이'''라고 부른다. 외관은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2차분과 비슷하며, 내부엔 동해선 또는 경강선, 서해선 차량과 동일한 시트가 적용되고 있다. 1~4세대 전동차와 달리 통로문이 제거되었으나, 일부 칸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유사한 통로문이 적용된다. 만약의 비상상황을 대비한 비상사다리와 전동휠체어 탑승객의 편의를 위한 급속충전기가 설치되었으며, 좌석 옆 칸에 부착된 코레일 마크가 반투명하게 나왔다. 그리고 이전에 1호선에 도입됐던 전동차와는 달리 TC 차량의 운전실 쪽 전두부에 우천 시를 대비한 유리창의 와이퍼가 1개에서 2개로 늘어나서 반입되었으며, 이는 앞서 서술한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2차분에 동일한 설계 적용으로 기존 1호선에 도입됐던 전동차와 또 다른 차이점이 된다.출입문 모양이 코레일 마크에서 12차분(31204~31207편성)은 초기형 납작이에 적용되었던 부식 무늬가 적용되었고, 13차분(31208~31215편성)은 조랭이떡과 유사한 모양이 적용되었다. 이 편성부턴 기존의 미쓰비시제 COVO52-A0형 VVVF-IGBT 소자에 현대로템의 자사 IPM 모듈을 추가로 적용하여 도입되었다. 13차 도입분부터는 신도색이 적용되었다.

4세대 311000호대 전동차는 2019년부터 제작되어 인도되었으며, 3세대 341000호대 전동차와 함께 운행된다. 이들은 3세대 1000호대 전동차를 대체했다. 운전실 끝부분이 완전히 바뀌었으며, 이로 인해 철도 동호인들은 이 전동차에 "주둥이"라는 별명을 붙였다.[11]
|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 31204 편성 | 2019년 | 운행 중 | |
| 31205 편성 | 운행 중 | ||
| 31206 편성 | 운행 중 | ||
| 31207 편성 | 운행 중 | ||
| 31208 편성 | 2021년 | 운행 중 | 해당 편성부터 신도색이 적용되었고, 배장기가 제거되었다. 연천역에 처음으로 진입하였다. |
| 31209 편성 | 운행 중 | ||
| 31210 편성 | 운행 중 | ||
| 31211 편성 | 운행 중 | ||
| 31212 편성 | 운행 중 | ||
| 31213 편성 | 운행 중 | ||
| 31214 편성 | 운행 중 | ||
| 31215 편성 | 2022년 | 운행 중 |
4. 5. 5세대 (큐브)

흔히 '''큐브'''라고 불리며, 우진산전 증평공장에서 제작되었다. 1세대 전동차(31101~31141편성)의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제작되었다. 서울교통공사 구간 강체가선 압상력 문제로 인하여 더블암 집전장치가 다시 채용되었다. 외관은 알루미늄으로 되어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13차 도입분과 유사하며, 2022년 8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총 41개 편성(31216~31256편성)이 도입되었다. 미쓰비시의 IGBT 소자가 적용되었으며, 2023년 11월 1일 이후에 추진제어장치 구동음이 변경되었다.
해당 편성들은 알루미늄 차체가 적용되었으며, 더블암 팬터그래프로 회귀되었고, 편성번호가 운전실 측면 앞쪽에 표시된다.
|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 31216 편성 | 2022년 | 운행 중 | |
| 31217 편성 | 운행 중 | ||
| 31218 편성 | 운행 중 | ||
| 31219 편성 | 운행 중 | ||
| 31220 편성 | 운행 중 | ||
| 31221 편성 | 2023년 | 운행 중 | |
| 31222 편성 | 운행 중 | ||
| 31223 편성 | 운행 중 | ||
| 31224 편성 | 운행 중 | ||
| 31225 편성 | 운행 중 | ||
| 31226 편성 | 운행 중 | ||
| 31227 편성 | 운행 중 | ||
| 31228 편성 | 운행 중 | ||
| 31229 편성 | 운행 중 | ||
| 31230 편성 | 운행 중 | ||
| 31231 편성 | 운행 중 | ||
| 31232 편성 | 운행 중 | ||
| 31233 편성 | 운행 중 | ||
| 31234 편성 | 운행 중 | ||
| 31235 편성 | 운행 중 | ||
| 31236 편성 | 운행 중 | ||
| 31237 편성 | 운행 중 | ||
| 31238 편성 | 운행 중 | ||
| 31239 편성 | 운행 중 | ||
| 31240 편성 | 운행 중 | ||
| 31241 편성 | 운행 중 | ||
| 31242 편성 | 운행 중 | ||
| 31243 편성 | 운행 중 | 대한민국 최초의 전동차 대차분이다. | |
| 31244 편성 | 운행 중 | ||
| 31245 편성 | 운행 중 | 금천구청~석수 구간에서 승용차와 추돌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 | |
| 31246 편성 | 운행 중 | ||
| 31247 편성 | 운행 중 | ||
| 31248 편성 | 운행 중 | ||
| 31249 편성 | 운행 중 | ||
| 31250 편성 | 운행 중 | ||
| 31251 편성 | 2024년 | 운행 중 | |
| 31252 편성 | 운행 중 | ||
| 31253 편성 | 운행 중 | ||
| 31254 편성 | 운행 중 | ||
| 31255 편성 | 운행 중 | ||
| 31256 편성 | 운행 중 |
5. 개조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구형 311000호대 열차의 전반적인 개량이 이루어졌다(2002년부터 소규모 개량 시작). 주요 개량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도색 변경''': 초기형 전동차는 청록색과 노란색 조합의 도색을, 2세대 차량 중 일부 편성은 옥색과 청록색 띠를 두른 도색을 사용했다. 2005년부터 불연 내장재 개조와 함께 한국철도공사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 '''전장품 변경''':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철도 차량의 내연 기준이 강화되어, 2006년까지 전 차량이 불연재 기준에 맞추어 개조되었다. 일부 차량의 주변환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2008년 말부터 2013년 말까지 차량 간 통로문이 투명 유리 자동문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부터 일부 차량의 차내 방송 스피커가 교체되었다. 2014년부터 2세대형 일부 차량의 출입문 제어 방식이 변경되었고, 3세대형 차량의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었다.
- '''측면 행선 LED 가동 중단''':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모든 안내기가 소등되었다.
5. 1. 도색 변경
초기형 전동차는 청록색과 노란색 조합의 도색을, 2세대 차량 중 31142~31152편성은 옥색과 청록색 띠를 두른 도색을 사용했다.[13] 2005년부터 불연 내장재 개조와 함께 한국철도공사 도색으로 변경되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 차량은 빨간색과 군청색이 적용되었다.5. 2. 전장품 변경
-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철도 차량의 내연 기준이 강화되어, 31164편성(당시 565편성)부터 불연재 내장을 갖추어 도입되었다. 2003년 연말부터 2006년까지 전 차량이 불연재 기준에 맞추어 개조되었는데, 유리 섬유를 사용한 시트로 교체되었고, 그 외의 재질도 난연화 처리를 했으며, 손잡이도 흰색에서 레드와인색으로 바뀌었다.[37] 이와 동시에 전·측면 행선 표시 장치를 롤지 회전 스크린식에서 LED 표출식으로 교체했다.
- 일부 1~2세대 차량의 주변환장치가 기존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18개 편성이 해당되며, 31165편성부터는 반입 당시부터 IGBT 소자가 기본 사양으로 장착되었다.[38]
- 2010년부터 모든 차량의 창문 노약자석 스티커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졌다.
- 2008년 말부터 2013년 말까지 차량 간 통로문을 기존의 수동, 스테인레스제 통로문에서 투명 유리 자동문으로 변경되었다. 31204편성부터는 통로문이 제거되어 도입되었다.
- 2013년 31124편성의 차내 방송 스피커가 교체되었고, 2014년 말부터는 31107~31182편성 차량들에 대한 방송 장치 및 스피커 교체가 이루어졌다.
- 2014년 10월부터 2세대형 일부 차량의 출입문 제어방식이 기존의 공기 압축식에서 스크류 모터 구동식으로 교체되었고,[39] 3세대형 차량의 전조등이 기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40]
- 2015년 7월, 31139~31141편성에 있는 중저항 부수객차 T칸[41]의 노후한 슈트락을 교체했다.
- 2016년 2월, 311961호 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또한 3세대형 전동차의 전조등이 할로겐에서 LED로 바뀌었다.
5. 3. 측면 행선 LED 가동 중단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모든 안내기가 소등되었다.[1] 다만 12차분 전동차부터는 앞칸과 뒷칸만 측면 안내기가 가동 중이다.[1]6. 운행 노선
7. 사고
- 2001년 11월 18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주안역 구내에서 516편성이 탈선하여 경인선 운행이 4시간가량 중단되었다. 해당 편성은 서울철도차량정비창으로 옮겨져 약 1개월 동안 수리한 후 운행에 복귀하였다.
- 2007년 5월 12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영등포역 구내에서 519편성과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 기관차 4404호가 충돌하는 2007년 영등포역 추돌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519편성 5119호와 5719호가 폐차되고, 남은 차량은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의 06~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
- 2010년 5월 1일, 구로차량기지에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158편성과 575편성(변경 후 574편성)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45] 이 사고로 5075호(현 311074호)의 전면부가 일부 파손되었으며, 1058편성은 중간 프레임이 휘어 결국 폐차 처리되었다. 사고 후 575편성은 문산차량기지 중수선에 입창되어 장기간 복구 작업을 마치고 정상 운행 중이다.
- 2012년 2월 2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에서 청량리역으로 향하던 중 차량 고장으로 멈춰선 31158편성 열차를 뒤따라 오던 31171편성 열차가 구원기로 연결한 후 광운대역으로 밀어낸 과정에서 종로5가역 구내에서 31158편성 열차의 10량 중 9번째 칸이 탈선하였다.[46]
- 2012년 6월 3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천안역에서 운행을 마치고 인입선으로 들어가려던 31147편성 열차의 10량 중 일부가 탈선해 이 일대의 열차 운행이 9시간가량 중단되었다.[47][48]
- 2015년 5월 19일, 인천역 승강장 인근 선로에서 311026호 전동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49]
- 2016년 4월 13일, 오후 6시 5분쯤 봉명역 진입을 앞둔 상황에서 신창역발 청량리역행 K684 열차(31163편성)의 10번째 칸(311063호) 출입문 유리창 1개가 깨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해당 전동차는 천안역에서 승객들을 다른 칸으로 이동시킨 후 병점역까지 운행하였으며, 이후 병점차량기지로 입고하였다.[50]
- 2016년 5월 9일, 오전 8시 51분 구로차량기지를 출발하여 용산역으로 회송되던 31102편성 전동차가 노량진역 인근 선로에서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51]
- 2017년 5월 24일, 서울역에서 천안행 31112편성이 고장 나 1호선 운행이 40분이나 지연되어 구원열차 방식으로 구로차량기지로 입고하였다.
- 2017년 12월 14일, 인천역에서 양주행 31113편성이 온수역에서 오류동역으로 가다가 선로 작업자를 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52]
- 2020년 9월 16일, 오류동역에서 동인천발 용산 급행열차로 운행 중이던 31204편성이 무게 20kg의 화차 발판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2021년 7월 24일, 노량진역에서 용산역으로 가던 31169편성이 한강철교 진입 직전 고장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사고가 난 69편성을 구원하기 위해 뒤따라오던 후속 열차인 95편성이 69편성을 구로차량기지로 회송시켰고, 현재는 수리되어 정상 운행 중이다.
- 2022년 6월 20일, 신도림역에서 용산역급행 31183편성이 전차선 장애로 인하여 팬터그래프를 포함한 일부 부품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2022년 10월 2일 남영역을 출발한 천안발 청량리급행 31203편성이 고장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2023년 12월 15일 용산역을 출발한 청량리발 천안급행 31201편성이 고장으로 2시간 동안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2024년 1월 3일 온수역을 통과해서 역곡역으로 가던 311032편성이 오후 5시 54분쯤 온수역에서 역곡역으로 통과 중이던 동인천급행 열차가 폭발음과 함께 불꽃을 일으켰다. 이 사고로 열차에 타고 있던 승객 500여 명이 10여 분 동안 정차한 채 대기하였으며, 역곡역에서 환승하는 소동이 일어났다.[53]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웹사이트
노량진역 전동차 사고는 '부상(浮上)탈선' 추정
http://www.yonhapnew[...]
2016-05-09
[6]
웹사이트
오 뎅의 BVE, 철도 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7]
웹사이트
맷돌's Bus And Rail Factory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busstory.3310[...]
2022-05-22
[9]
문서
[10]
웹사이트
RES의 취미공간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
[11]
웹사이트
신창행삼눈이의 대.중.교.통 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12]
웹사이트
민석군의 이런저런 철도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Youtube
1호선 열차 종류가 이렇게 많다고?? {{!}}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 총집합
https://www.youtube.[...]
2024-08-04
[17]
문서
[18]
웹사이트
"열흘새 1호선 新車 전기장치 고장 20건 넘어...승무원도 불안"
https://www.redaily.[...]
2024-03-19
[19]
웹사이트
철도노조 우진산전에 대한 공문 -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https://gall.dcinsid[...]
[20]
Youtube
1호선 열차 종류가 이렇게 많다고?? {{!}}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 총집합
https://www.youtube.[...]
2024-08-04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뉴스
大宇重, 서울 지하철 1호선 [[전동차]] 1백35량 수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7-05-28
[27]
문서
[28]
뉴스
311x40편성의 중저항 부수객차가 납작이 부수객차로 대차됐습니다.
https://m.blog.naver[...]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뉴스
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신조 전동차 점검
http://news1.kr/arti[...]
뉴스1
2015-02-23
[37]
문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000호대 2세대형 전기 차량을 개조 편입한 차량은 청록색이였다
[38]
문서
565~566편성도 또한 2세대 전동차에 포함되긴 하나, 이들 2개 편성도 반입 당시부터 도시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소자로 반입되었으며, 불연재로 도입되기도 하였다.
[39]
문서
31147, 31151~31160편성이 이에 해당된다.
[40]
문서
311075호는 전조등이 백열등으로 그대로 있다.
[41]
문서
311639, 311340, 311640, 311341, 311641호에 해당한다.
[42]
문서
1차 로윈: 501~530편성
[43]
문서
2차 로윈: 531~542편성
[44]
문서
SLS중공업: 543~564편성
[45]
뉴스
구로 전동차 차량기지 추돌 사고
http://www.ytn.co.kr[...]
YTN
2016-09-04
[46]
뉴스
서울 지하철 1호선 고장·탈선… 미숙한 사고수습 탓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6-09-04
[47]
뉴스
천안역서 열차 탈선…장항선 열차 운행 중단
http://news.sbs.co.k[...]
SBS
2016-09-04
[48]
뉴스
천안역 탈선사고 9시간만에 복구…항의 빗발쳐
http://news.sbs.co.k[...]
SBS
2016-09-04
[49]
뉴스
안전한국훈련 무색...출근길 '인천행 1호선' 탈선 사고
https://web.archive.[...]
중부일보
2016-09-04
[50]
뉴스
전철 운행중 전동차 출입문 유리창 통째로 빠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9-04
[51]
뉴스
노량진역 전동차 사고는 '부상(浮上)탈선' 추정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9-04
[52]
뉴스
1호선 온수역 사망 사고 발생, 선로 작업 중이던 인부로 추정
https://mobile.busan[...]
부산일보
2017-12-14
[53]
뉴스
경인선 하행선 전동차 고장 승객 500여 명 환승···후속 열차 운행 10여 분 지연
https://m.khan.co.kr[...]
경향신문
2024-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천안역]]에서 출발하는 31228편성](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636c97e_e74b5a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