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향은 고대부터 종교 의식, 방향, 탈취, 해충 방지, 심리적 안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온 물질이다. 향은 연소 방식에 따라 직접 연소 향과 간접 연소 향으로 나뉘며, 선향, 콘, 코일, 분말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향의 재료와 제조 방식은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양하며, 아랍, 중국, 인도, 일본 등 각 지역에서 특유의 향 문화가 발달했다. 하지만 향 연기는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환기를 충분히 하고 장시간 노출을 피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향 - 모기향
    모기향은 모기를 쫓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으로, 1886년 일본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나선형, 매트형, 액상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피레트린, 알레트린 등의 살충 성분을 포함하며, 연기, 유해 물질, 화재 위험에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 향 - 몰약
    몰약은 Commiphora 속 나무에서 채취하는 수지로, 고대부터 분향료, 향수, 약재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성경에도 언급되고 현대에는 의약품, 향료 등으로 사용된다.
  • 불 문화 - 화전농업
    화전농업은 숲을 개간하여 농사를 짓는 오래된 농업 방식으로, 열대 지방에서 식량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환경 문제로 인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불 문화 - 횃불
    횃불은 나무 막대기에 인화성 물질을 감아 만든 도구로, 고대부터 조명, 신호, 의식, 상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자유, 계몽, 희망과 같은 긍정적인 의미와 죽음, 애도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 가톨릭 전례용품 - 포도주
    포도주는 신석기 시대부터 양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포도를 발효시켜 만든 알코올성 음료로서 고대 문명에서 소비되었고 중세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가 생산되고 있다.
  • 가톨릭 전례용품 -
    물은 산소 원자 하나와 수소 원자 두 개로 이루어진 무기 화합물로, 지구 표면의 약 70%를 차지하며 고체, 액체, 기체 상태로 존재하고 생명체의 필수 구성 요소이자 문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물 부족과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일반 정보
이름
로마자 표기Hyang
영어Incense
일본어こう (Kō)
정의
정의불에 태울 때 향기로운 연기를 내는 물질
용도
종교적 의식종교 의식 및 명상에 사용
향기공간의 향기를 내거나 악취를 가리기 위해 사용
다양한 문화다양한 문화권에서 종교, 사회, 문화적 중요성을 지님
유형
직접 연소형자체적으로 연소되는 형태 (심지 향, 콘 향, 막대 향)
간접 연소형향로 또는 기타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연기를 내는 형태 (가루 향, 수지 향)
성분
일반 성분향기로운 식물 재료 (나무, 수지, 허브, 꽃)
결합제 (점착성을 부여하는 물질)
향유 (선택적으로 추가)
주요 원료백단향 (Santalum album)
몰약 (Commiphora myrrha)
유향 (Boswellia)
침향 (Aquilaria)
계피 (Cinnamomum)
용뇌 (Dryobalanops aromatica)
문화적 의미
불교공양물로 사용되며, 정신 정화와 집중을 돕는다고 여겨짐
힌두교신에게 바치는 제물로 사용되며, 신성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
동아시아 문화제사, 명상, 차 문화 등 다양한 의례에서 중요한 역할
건강 관련 고려 사항
연기 흡입과도한 연기 흡입은 호흡기 건강에 잠재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
환기향을 사용할 때는 적절한 환기가 중요
기타
관련 용어향도 (香道)
향료 (香料)
향수 (香水)

2. 역사

향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고대 문명에서부터 종교 의식과 일상생활에 사용되었다. 분향가톨릭 전례에서 시편 141편 2절과 요한 묵시록 8장 3절에 나타나는 것처럼 공경과 기도를 표현하는 행위이다.

기원전 7세기 이집트 향로


"향"이라는 단어는 "태우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incenderela'에서 유래했다.

베다, 특히 아타르바 베다와 리그 베다는 향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헌 자료이다.[13] 향을 태우는 것은 기분 좋은 향기를 낼 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사용되었다. 아유르베다에서는 향을 치료의 한 방법으로 사용했으며,[14] 이는 종교적 관습에도 영향을 주었다. 힌두교가 발전하고 불교가 인도에서 시작되면서 향은 불교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서기 200년경, 불교 승려들이 중국에 향 제조법을 전파했다.[14]

북아메리카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세이지주니퍼 등 벌레를 쫓거나 인체에 효능을 주는 식물을 사용한 향의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65]

2. 1. 고대 문명

고대 이집트에서는 종교 의식과 미라 제작에 향을 사용했다. 향은 인간 거주지의 악취를 제거하고, 악령을 쫓으며, 신들을 달래는 데 사용되었다.[3] 엘 마하스나의 선사 시대 이집트 무덤에서 수지 덩어리가 발견되었고,[8]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향로는 이집트 제5왕조 시대의 유물이다.[8] 데이르 엘 바하리 신전에는 향을 구하는 원정을 묘사한 조각이 있다.[9]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는 기원전 30세기부터 시더(삼나무)를 향목으로 사용했다.[65] 바빌로니아인들은 신탁을 받을 때 향을 사용했으며,[10][11] 이 풍습은 그리스로마로 전파되었다.

인더스 문명에서도 향로가 발견되었으며,[12] 증거에 따르면 오일이 주로 향을 위해 사용되었다.[18]

2. 2. 동아시아

고대 중국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향을 사용했으며, 하 왕조, 상 왕조, 주 왕조 시대에 더욱 널리 사용되었다.[17] 초기에는 카시아, 계피, 스토락스, 백단과 같은 허브와 식물 제품을 사용한 향이 의식의 구성 요소로 사용되었다.[18] 송나라 시대에는 향 사용이 절정에 달했으며, 향 의식을 위한 건물이 세워지기도 했다.

일본에는 6세기에 한국의 불교 승려들이 향을 전파했으며,[14] 불교 의식에 사용되었다. 헤이안 시대에는 궁중 귀족들의 오락으로 사용되었고, 무로마치 시대에 이르러 고도(香道)라는 향 감상 문화가 상류층과 중산층으로 확산되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에 불교와 함께 향 문화가 전래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 문화가 융성하면서 향 문화도 함께 발전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억제되기도 했지만, 불교와 민간 신앙에서 명맥을 이어왔다.

3. 종류

향은 연소 방식에 따라 직접 연소 향과 간접 연소 향으로 나뉜다. 어느 형태를 선호하는지는 문화, 전통, 개인 취향에 따라 다르다. 직접 연소 향은 불을 붙이면 스스로 타는 반면, 간접 연소 향은 별도의 열원이 필요하다.

타는 향 스틱과 그 연기


동아시아 사찰 천장에 매달린 향 코일

3. 1. 직접 연소 향

가연성 물질과 향료를 혼합하여 만든 향으로, 불을 붙이면 스스로 타들어 간다. 직접 연소 향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7]

직접 연소 향의 종류
종류설명특징주요 사용 지역
선향 (막대향)막대 모양. 심지에 향을 덧칠하거나 향 자체를 막대 모양으로 성형.모래를 담은 접시나 홀더에 세워서 사용.남아시아, 동아시아 (한국 포함)
콘 (원뿔형)원뿔 모양.비교적 빠르게 연소. 도기제 접시 등에 넣어 태움.1800년대 일본에서 발명, 전 세계적으로 보급.[65]
코일 (나선형)심지가 없는 코일 형태.장시간 연소 가능 (몇 시간~며칠).중국 문화권
둡 (고체 막대)대나무 심지가 없는 막대 형태.부분 제어를 위해 쉽게 부러짐.일본, 티베트
분말간접 연소 향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분말을 추가 처리 없이 연소.특수 향로 또는 향 시계에서 태움.
종이향료에서 추출한 수지나 오일을 주입한 종이를 아코디언처럼 접어 점화.아르메니아 카드, 파피에 다르메니
로프향 분말을 종이에 굴린 다음 로프로 꼬아 만듦.운반이 쉽고, 오랫동안 신선하게 유지.티베트, 네팔



한국에서는 주로 선향(막대향)이 사용되며, 불교 사찰이나 가정에서 흔히 볼 수 있다.

3. 2. 간접 연소 향

간접 연소 향은 불연성 향이라고도 불리며,[21] 가연성 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별도의 열원을 통해 향을 내는 방식이다. 향 재료는 굵게 갈거나 덩어리째로 사용하여 표면적을 줄여 천천히 연소시킬 수 있다. 열은 전통적으로 이나 숯불을 통해 공급된다. 서양에서는 프랑킨센스와 몰약 수지가 잘 알려져 있는데,[22][23] 이는 성경에 여러 번 언급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간접 연소 향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덩어리 형태: 향 재료를 숯불 위에 덩어리 형태로 직접 태운다.
  • 분말 또는 과립 형태: 작은 조각으로 부서진 향은 빠르게 타며 짧지만 강렬한 향을 낸다.
  • 페이스트 형태: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향 재료를 말린 과일, 꿀 또는 부드러운 수지와 같은 끈적한 불연성 바인더와 혼합하여 공이나 작은 환약 형태로 만든다. "부쿠르(Bukhoor)" 또는 "바쿠르(Bakhoor)"라고도 불리는 많은 아랍 향이 이러한 유형이며, 일본에는 네리코(nerikō) 또는 아와세코(awasekō)라는 반죽 향이 있다.[24] 동방 정교회에서는 생 프랑킨센스를 고운 가루로 갈아 향기로운 에센셜 오일과 혼합한다.


동방 정교회 수도원에서는 아토스 산에서 유향이나 전나무 수지를 가루로 만들고,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 향을 만든다. 꽃 향기가 가장 흔하며, 레몬과 같은 감귤류도 있다. 향 혼합물은 약 1cm 두께의 덩어리로 굴린 다음 굳혀 작은 큐브로 자르고, 점토 가루를 코팅하여 완전히 굳힌다.[35] 그리스에서는 'Moskolibano'라고 불리며, 분홍색(장미) 또는 녹색(자스민)으로 향을 나타낸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분말 형태의 말향 등을 향로에 넣은 숯불 위에 올려 연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4. 구성

향은 여러 가지 재료를 섞어서 만든다. 향을 만드는 데에는 향료, 가연성 기반 물질, 결합제 등이 사용된다.


  • '''향료''': 향의 냄새를 내는 재료이다.
  • '''가연성 기반 물질''': 향이 잘 타도록 돕는 재료이다.
  • '''결합제''': 향 재료들을 뭉쳐서 형태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향 재료 및 향 제작 재료(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마코 가루(''마키루스 툰베르기''), 보르네올 장뇌 (''드리오발라놉스 아로마티카''), 수마트라 벤조인 (''스라릭스 벤조인''), 오만이 프랑킨센스 (''보스웰리아 사크라''), 구굴 (''커미포라 와이트''), 골든 프랑킨센스 (''보스웰리아 파피리페라''), 신세계 톨루 발삼 (''미로실론 톨루이페라'') (남아메리카), 소말리 몰약 (''커미포라 미르라''), 라다넘 (''시스투스 빌로수스''), 오포파낙스 (''커미포라 오포파낙스''), 백색 인도 백단 가루 (''산탈룸 알붐'')


향의 재료는 역사적으로 각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북미 원주민들은 세이지와 삼나무를 사용했다.[19]

(향 피라미드) – 숯을 기반으로 한 향 콘


직접 연소하는 향(향에 직접 불을 붙여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 가연성 기반 물질은 향기로운 재료들을 묶어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향이 스스로 타도록 돕는 불씨 역할을 한다. 이 물질은 타면서 냄새가 나지 않아야 한다. 상업적으로는 주로 이나 목재 가루, 질산나트륨 혹은 질산칼륨과 같은 산화제가 사용된다.

하노이의 향 생산, 베트남


코어 막대 향 건조, 베트남


원료는 가루로 만든 후 접착제와 섞어 반죽 형태로 만든다. 직접 연소하는 향은 이 반죽을 자르거나 펠릿(작은 알갱이) 형태로 건조시킨다.

원료 숯 향 막대


직접 연소하는 향을 만들 때에는 재료의 비율이 중요하다. 기름이 너무 많으면 향이 잘 타지 않을 수 있고,[19] 검으로 묶인 향의 경우, 산화제가 너무 적으면 불이 붙지 않고, 너무 많으면 향이 너무 빨리 타서 향기로운 연기를 내지 못한다.[19] 마코와 같은 수용성 결합제(물에 녹는 결합제)는 향 반죽이 마르면서 부서지지 않도록 하고, 혼합물을 희석시키는 역할을 한다.[7] 천연 결합제로 만든 향 혼합물은 물을 너무 많이 사용하거나, 너무 세게 눌러 만들면 안 된다. 공기가 제대로 통하지 않거나 밀도가 불균일해져 향이 고르게 타지 않거나, 너무 느리거나 빠르게 탈 수 있다.[19] 향 혼합물은 비슷한 크기의 입자로 곱게 갈아야 한다. 입자가 크고 고르지 않으면 향이 고르게 타지 않고, 향의 품질도 떨어진다.[19]

일부 향 막대는 두께가 불균일합니다.


"담금" 또는 "손으로 담근" 방식의 직접 연소 향은, 향이 없는 가연성 재료로 만든 "향 블랭크"를 에센셜 오일이나 향 오일에 담가서 만든다.

향 반죽은 틀에 넣어 압축하거나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소량의 물을 향과 향 기반 혼합물에 섞어 반죽한 후, 틀에 넣어 원뿔이나 작은 코일 모양의 향을 만들거나, 유압 프레스를 이용해 막대 모양의 향을 만든다. 모양을 만든 향은 자른 후 천천히 말린다. 이렇게 만든 향은 잘못 건조하면 뒤틀리거나 모양이 변할 수 있으므로,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는 방에서 여러 번 돌려가며 건조해야 한다.

전통적으로 코어 막대 향(향의 중심에 막대가 있는 형태)의 대나무 코어는 ''Phyllostachys heterocycla cv. pubescens''라는 종을 사용하여 손으로 만들었다.[28] 이 대나무는 두꺼운 나무를 생산하고, 향 막대에서 재로 쉽게 타기 때문이다. "향 막대 발을 분할"이라고 불리는 과정에서 대나무를 길게 자르고, 담그고, 껍질을 벗기고, 얇은 대나무 막대가 3mm 미만의 정사각형 단면을 가질 때까지 반으로 자른다.[29][30] 현대에는 이 과정이 기계로 대체되었다.[31]

코어 향 막대의 경우, 막대에 향 혼합물을 입히는 방법에는 페이스트 롤링, 분말 코팅, 압축등 여러 가지가 있다.

  • '''페이스트 롤링''': 젖은 향 혼합물 반죽을 먼저 주걱을 사용하여 길고 얇은 코일 형태로 만든다. 그 다음 얇은 막대를 코일 옆에 놓고, 막대와 반죽을 함께 굴려 막대가 혼합물의 중앙에 오도록 하고 원하는 두께를 만든다. 마지막으로 막대를 원하는 길이로 자르고 말린다.[32]
  • '''분말 코팅''': 분말 코팅은 주로 큰 코일 (직경 최대 1m) 또는 코어 막대 형태의 향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얇은 대나무나 백단 나무 조각과 같은 지지 재료를 물이나 얇은 물/접착제 혼합물에 짧은 시간 동안 담근다. 얇은 막대를 균등하게 분리한 다음, 향 재료와 식물성 바인더로 구성된 향 가루가 담긴 쟁반에 담근다. 건조된 향 가루를 막대 위에 뿌리고 쌓는다. 막대를 둥글게 굴리고 포장하면서 막대 위에 더 많은 향 가루를 반복해서 뿌린다. 3~4겹의 분말을 막대에 코팅하여 2mm 두께의 향 재료 층을 형성한다. 코팅된 향은 야외에서 건조시킨다. 각 건조 기간 후에 향 혼합물을 추가로 코팅할 수 있다. 중국 민간 신앙 사찰에서 태우는 향 막대는 이 방식으로 생산되며, 2mm에서 4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33][34]
  • '''압축''': 젖은 가루를 기계를 사용하여 코어 막대 주위에 압축하여 모양을 만든다. 코어가 없는 막대를 만드는 방식과 유사하다. 분말 코팅이나 페이스트 롤링 방식보다 노동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동방 정교회 수도원에서는 유향이나 전나무 수지를 가루로 만들고 에센셜 오일을 섞어 향을 만든다. 꽃 향기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레몬과 같은 감귤류 향도 사용된다. 향 혼합물은 약 1cm 두께의 덩어리로 굴린 다음 굳을 때까지 둔다. 그 후 작은 큐브 모양으로 자르고,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점토 가루를 묻혀 완전히 굳힌 후 건조시킨다.[35] 그리스에서는 이렇게 굴린 향 수지를 'Moskolibano'라고 부르며, 분홍색이나 녹색으로 나오는데, 분홍색은 장미, 녹색은 재스민 향을 나타낸다.

4. 1. 향료

향료의 원료가 되는 향료는 종류가 많으며, 백단, 정향과 같이 수목의 껍질, 잎, 뿌리 등의 분말, 유향, 안식향 등 방향이 있는 수지나 사향, 용연향 등 동물성의 것이 있다. 보통 향목(명향)과 연향(연향, 합향)으로 나뉜다.[19] 향 재료 거래는 실크로드 및 향료 무역로로 알려진 다른 무역로를 따라 상업의 주요 부분을 차지했다.[20]

4. 2. 가연성 기반 물질

또는 목재 가루는 연소를 위한 연료를 제공하며, 질산나트륨 또는 질산칼륨과 같은 산화제는 향의 연소를 유지한다. 향기로운 재료는 가루 향 재료의 경우처럼 성형 전에, 또는 에센셜 오일의 경우처럼 성형 후에 기반 물질에 첨가된다. 숯 기반 향의 공식은 흑색 화약과 유사하지만, 은 포함되지 않는다.[19]

4. 3. 결합제

아라비아고무, 트라가칸스고무, 마코(향 가루[7]), 지기트, 라하 등이 결합제로 사용된다.

5. 사용

향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가장 기본적인 용도로, 향은 인간 거주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거나 가리는 데 사용되었다.[3] 고대 이집트인들은 향을 실용적인 목적과 신비로운 목적 모두에 사용했다.[3] 엘 마하스나의 많은 선사 시대 이집트 무덤에서 수지 덩어리가 발견되었고,[8]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향로 중 하나는 제5왕조에서 유래되었다.[8] 바빌로니아인들은 신탁에 기도할 때 향을 사용했으며, 이는 그리스와 로마로 퍼져나갔다.[11]

인더스 문명에서도 향로가 발견되었으며,[12] 증거에 따르면 오일은 주로 향을 위해 사용되었다.[18] 향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헌 자료는 베다, 특히 아타르바 베다와 리그 베다이다.[13] 불교가 인도에서 창시되면서 향은 불교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서기 200년경, 떠돌아다니는 불교 승려 그룹이 중국에 향 스틱 제조법을 소개했다.[14]

고대 중국에서는 종교적 숭배를 위해 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6] 향은 신석기 시대부터 중국 문화에서 사용되었으며, 하 왕조, 상 왕조, 주 왕조 시대에 더욱 널리 사용되었다.[17] 향 사용은 송나라 시대에 절정에 달했다. 6세기에 한국의 불교 승려들이 일본으로 가져왔으며, 15~16세기의 무로마치 시대에 이르러서야 향 감상(고도)이 일본 사회의 상류층과 중산층으로 확산되었다.

시트로넬라와 같은 재료로 만든 향은 모기 및 기타 해로운 곤충을 쫓아낼 수 있다.[3] 한국에서는 여름철에 모기향을 피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기 기피제는 종종 코일/나선형으로 제조되어 향과 유사한 방식으로 태워진다.


향의 향기는 뇌에서 알파파엔도르핀 등 기분 좋은 물질을 분비하여 힐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많은 사람들은 특별한 의미 없이 단순히 향의 냄새를 즐기기 위해 향을 피우기도 한다.

5. 1. 종교 의식

분향가톨릭 전례에서 시편 141편 2절과 요한 묵시록 8장 3절에 나타난 것처럼 공경과 기도를 표현한다.[1] 미사에서 향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입당 행렬 때
  • 미사 시작 때 십자가와 제대에
  • 복음 행렬과 선포 때
  • 예물 준비 때 예물, 제대, 십자가, 주교, 공동 집전자들과 백성에게
  • 성체 축성 다음 성체와 성작을 받들어 보일 때


성체 공경 예식 등 다른 예식에서도 전례서의 지시에 따라 향을 사용한다.[1]

가톨릭 미사 중 전통적인 향 사용, 향로와 함께


향은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 오리엔트 정교회를 포함한 기독교 교회에서 사용되며, 일부 루터교, 구 가톨릭, 연합 감리교, 개혁, 장로교, 성공회 교회에서도 사용된다.[46] 향로는 타는 향을 담는 데 사용된다.[46] 각 향로는 향로 부분, 잡고 흔들 수 있는 체인, 구멍이 뚫린 뚜껑, 그리고 타는 숯을 놓는 도가니로 구성된다.[46] 향은 숯 위에 직접 놓여 녹으면서 달콤한 냄새가 나는 연기를 낸다.[46] 향은 매우 빨리 타기 때문에 종교 의식 동안 여러 번 이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46] 향로는 체인을 흔들어 숯에 바람을 불어 많은 연기를 내고 연기를 분산시킨다.[46]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는 많은 향목의 산지이며, 혹서의 기후로 인한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향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65] 불교에서는 향을 피우면 부정을 씻어내고 마음을 정화한다고 여겨, 부처님 앞에서 향을 피우고, 꽃과 등불과 함께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을 공양의 기본으로 한다.[65] 불상, 불교 용구의 재료로 향목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으며, 불전 속에도 향에 대한 기술이 많다.[65]

기독교에서는 동방 정교회향로 등을 빈번하게 사용한다.[65]

5. 2. 방향 및 탈취

향은 원치 않는 냄새를 가릴 수 있을 만큼 강한 향기를 낸다. 이러한 실용성 때문에 장례 의식에서 향을 사용하여 부패 냄새를 덮을 수 있었다. 종교적 사용의 예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 천장에 매달려 있는 거대한 보타푸메이로 향로가 있는데, 이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에 모여든 피곤하고 씻지 않은 많은 순례자들의 냄새를 가리기 위해 사용되었다.[54]

향은 실내 흡연 후 냄새가 오래 남는 것을 원치 않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기도 한다.

아르메니아 종이는 원래 살균제와 향료로 판매되었다.

5. 3. 해충 방지

시트로넬라와 같은 재료로 만든 향은 모기 및 기타 해로운 곤충을 쫓아낼 수 있다.[3] 이러한 사용은 선불교 신자들이 종교적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는데, 그들은 수행의 일부인 향이 방해되는 곤충이 수행자를 방해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었다고 주장한다.[3] 한국에서는 여름철에 모기향을 피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5. 4. 심리적 효과

향의 향기를 맡으면 뇌에서 알파파엔도르핀 등 기분 좋은 물질이 분비되어 힐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특별한 의미 없이 단순히 향의 냄새를 즐기기 위해 향을 피우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값비싼 침향과 같은 원료를 격식 있는 자리에서 감상하는 향도(香道)가 있다.

6. 문화

향은 각 지역과 문화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7세기경부터 신을 달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향을 피웠다.[3] 가장 오래된 향로는 이집트 제5왕조 시대의 유물이다.[8] 바빌로니아인들은 신에게 기도할 때 향을 사용했으며, 이 문화는 그리스로마로 전파되었다.[11] 인더스 문명에서도 향로가 발견되어 향 문화의 기원이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12]

베다 문헌에는 향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 남아있으며, 아유르베다에서는 향을 치료 도구로 사용했다.[13] 불교의 발전과 함께 향은 종교 의식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14]

고대 중국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종교 의식에 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6] 하 왕조, 상 왕조, 주 왕조를 거치며 향 문화가 발전했고, 송나라 시대에는 향을 피우는 건물이 세워질 정도로 널리 사용되었다.[17]

6세기에는 한국의 불교 승려들이 일본에 향을 전파했다.[14] 헤이안 시대에는 귀족들이 향을 즐겼으며, 무로마치 시대에는 향도(香道)가 상류층과 중산층 사이에서 유행했다.

향은 종교적 목적 외에도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되었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의 보타푸메이루는 순례자들의 냄새를 가리기 위해 사용되었고,[54] 영국 종교 개혁 이후 잉글랜드 성공회에서는 향을 태워 교회 안의 냄새를 제거했다.

한국에서는 불교의 영향으로 향 문화가 발전했으며, 사찰과 가정에서 향을 피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불교에서는 향을 피우는 것을 부정을 씻고 마음을 정화하는 행위로 여긴다.

6. 1. 아랍

대부분의 아랍 국가에서 향은 바쿠르()라고 불리는 향이 나는 칩이나 블록 형태로 태워진다. 향은 결혼식이나 금요일, 또는 일반적으로 집의 향기를 내기 위해 특별한 경우에 사용된다.[38] 바쿠르는 보통 마브카라()라는 전통적인 향 연소기(향로)에서 태워진다.[38] 많은 아랍 국가에서는 마즐리스(majlis|마즐리스ar, '회중')에 있는 손님들 사이에서 바쿠르를 돌리는 것이 관례이다. 이는 환대의 제스처로 행해진다.[38]

6. 2. 중국

2천 년이 넘는 세월 동안 중국인들은 종교 의식, 중국의 조상 숭배, 중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향을 사용해 왔다. 침향(沉香, chénxiāng)과 백단(檀香, tánxiāng)은 중국 향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재료이다.[39]

중국의 불교가 도입되면서 정해진 시간만큼 타는 향과 향시계가 등장했다.[39] 최초의 기록은 시인 위견무(487–551)의 "향을 태워 밤의 시간을 알고, 눈금 있는 촛불로 경계의 수를 확인한다."라는 글귀이다.[40] 이 향 시간 측정 장치는 불교 사찰에서 중국 세속 사회로 퍼져나갔다.

베이징의 옹화궁에서 피우는 향


향을 피우는 것은 전통적인 중국 민간 신앙에서 일상적인 관습이다. 다양한 목적이나 축제일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향이 있다. 그 중 많은 종류가 길고 가늘다. 향은 주로 노란색, 빨간색, 또는 드물게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다.[41] 두꺼운 향은 장례식과 같은 특별한 의식에 사용된다. 매우 오랜 시간 동안 타는 나선형 향은 종종 사찰 천장에 걸려 있다. 귀신 축제를 기념하는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지에서는 기둥 모양의 큰 용 모양 향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것들은 너무 많은 연기와 열을 발생시켜 야외에서만 태운다.

민간 신앙에서 사용되는 중국 향은 일반적으로 무취이거나 자스민 또는 장미 향이 아주 সামান্য하게 나는 정도이다. 이는 하늘에 신자들의 기도를 전달하는 데 향기가 아닌 연기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향은 캄보디아 원산의 계피 비방향 종의 말린 가루 껍질, ''Cinnamomum cambodianum''으로 구성된다. 300개들이의 저렴한 팩은 종종 중국 슈퍼마켓에서 판매된다. 이 향에는 백단이 들어 있지 않지만, 향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 라벨에 백단을 나타내는 한자가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향이 강한 중국 향은 일부 불교 신자들이 사용한다. 이것들은 백단, 침향, 또는 꽃향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종종 매우 비싸다. 중국 향에 사용되는 백단은 인도 원산이 아니라 중국 영토 내에 심어진 숲에서 나온다. 자제회, 중태산사, 법고산,[42] 행천궁, 만불성에서는 향을 사용하지 않는다.[43][44][45]

6. 3. 인도

인도의 향


향 스틱은 아가르바티()()와 조스 스틱이라고도 불리며, 향 페이스트를 대나무 스틱 주위에 감거나 성형하여 만드는데, 이는 인도에서 향의 주요 형태이다. 대나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인도에서 시작되었으며, 대나무 심이 없이 스틱을 만드는 네팔, 티베트, 일본 방법과는 다르다.[47]

기본 재료는 대나무 스틱, 페이스트(일반적으로 숯 가루와 조스/지기트/검/타부 가루 - 글루티노사 리트세아 껍질 및 기타 나무로 만든 접착제),[47] 및 향료 성분이다. 향료 성분은 스틱을 굴리는 데 사용되는 향신료 가루(향신료 혼합물)이거나, 때로는 합성 성분으로 구성된 액체 향수이며 스틱을 담그는 데 사용된다. 향수는 때때로 코팅된 스틱에 뿌려진다. 스틱 기계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 기계는 스틱에 페이스트와 향수를 코팅하지만, 생산량의 대부분은 가정에서 손으로 굴려서 만들어진다. 인도에는 약 5,000개의 향 회사들이 있는데, 이들은 약 20만 명의 여성들이 파트타임으로 집에서 손으로 굴린 향료가 없는 스틱을 받아서 자체 브랜드의 향수를 바르고 판매를 위해 스틱을 포장한다.[48] 숙련된 가정 작업자는 하루에 4,000개의 생 스틱을 생산할 수 있다.[49] 마이소르에는 시장의 최대 30%를 차지하는 약 50개의 대기업과 Moksh Agarbatti, PremaNature,[50] 및 Cycle Pure를 포함한 약 500개의 회사(주요 회사 다수 포함)가 있다.[51][52][53]

6. 4. 일본

일본의 향 문화는 예술, 문화, 역사, 의식을 포괄하는 민속을 포함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다도에서 때때로 행해지며, 서예, 꽃꽂이, 족자와 마찬가지이다. 香道|Kōdō일본어는 향을 감상하는 예술로, 일반적으로 다도와는 별개의 예술 형식으로, 전통적인 선(Zen) 양식의 다실에서 행해진다.

沈香|jinkō일본어과 白檀|byakudan일본어은 일본 향의 두 가지 가장 중요한 재료이다. 침향의 한자는 나무 속의 수지의 무게 때문에 "물에 가라앉는 향"을 의미한다. 백단은 일본 다도에 사용된다. 가장 가치 있는 백단은 인도 카르나타카 주마이소르에서 생산된다.

일본 향 회사들은 침향을 특성과 산지에 따라 여섯 가지 범주로 나눈다. 伽羅|Kyara일본어는 침향의 한 종류로, 현재 금보다 더 비싼 가치를 지닌다.

6. 5. 한국

불교의 영향을 받아 한국의 향 문화가 발전했으며, 사찰과 가정에서 향을 피우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향로를 사용하여 향을 피웠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향 제품이 사용된다. 불교에서는 향을 피우면 부정을 씻어내고 마음을 정화한다고 여겨, 부처님 앞에서 향을 피우고, 꽃과 등불과 함께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을 공양의 기본으로 한다. 6세기에 한국의 불교 승려들이 일본으로 정화 의식에 사용되는 향을 가져가기도 했다.[14]

7. 건강 문제

향 연기는 일산화 탄소(CO), 질소 산화물(), 황 산화물(),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과 흡착된 유해 오염 물질(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및 유해 금속)과 같은 다양한 오염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고체 입자는 약 사이이다.[58] 향 연기에는 담배와 마찬가지로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질소 산화물 등 유해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눈, 코, 목, 피부 자극, 호흡기 증상, 두통, 심혈관 질환 악화, 폐 세포 구조 변화 등 다수의 건강 장애와 관련되어 있다.[66]

2001년 대만에서 수행된 연구는 환기가 잘 되지 않는 환경에서 향을 태우는 것이 잠재적인 발암 물질의 느린 축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불교 사찰 내의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벤조피렌 포함)의 수준을 측정하여 밝혔으며, 향 연기에서 발암성이 있고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기체 지방족 알데히드를 발견했다.[59]

대만에서 실시된 폐암 위험 요인에 대한 조사에서도 향 연소와 폐 선암종 사이의 역 연관성이 나타났지만, 그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60]

반면에, 홍콩 암 예방 협회, 나고야의 아이치 암 센터 및 몇몇 다른 센터의 역학자들은 "세 집단(초등학생, 비흡연 어머니, 노년층 비흡연 여성 대조군)에서 만성 기침, 만성 가래, 만성 기관지염, 콧물, 천명,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폐렴과 같은 호흡기 증상과 향 연소 노출 사이에는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향 연소는 비흡연자에게서 폐암 위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평생 흡연량에 대한 조정을 거친 후에도 흡연자에게서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연구 대상 집단에서 향 연소가 특정 저암 위험 식습관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여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제한하고, "식이 요법은 대기 오염 및 호흡기 건강에 대한 역학 연구의 중요한 혼란 변수가 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61]

일부 연구에서는 향과 폐암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았지만, 다른 유형의 암은 향을 태우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2008년 의학 저널 ''암''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향 사용은 상부 호흡기 암의 위험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비인두암은 예외였다. 향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은 편평 상피 세포 암종 발병 가능성이 80% 더 높았다. 향 사용과 암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은 연구자들이 흡연, 식단 및 음주 습관을 포함한 다른 요소를 고려했을 때에도 유지되었다. 연구팀은 "이 연관성은 향 연기에서 발암 물질을 확인하는 많은 연구와 일치하며, 향을 태우는 연기에 대한 광범위하고 때로는 비자발적인 노출을 고려할 때 이러한 발견은 중요한 공중 보건적 의미를 갖는다"고 지적했다.[62]

2015년, 화남 이공대학교는 향의 독성이 중국 햄스터의 난소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담배보다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63]

참조

[1] 웹사이트 Incense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19-12-23
[2] 서적 Incense: Rituals, Mystery, Lore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3] 서적 Aromatherapy science: a guid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https://books.google[...] Pharmaceutical Press
[4] 서적 Inclusive Value Chains: A Pathway Out of Poverty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3-08-04
[5] 서적 Incense: Crafting & Use of Magickal Scents https://books.google[...] Llewellyn Worldwide
[6] 서적 Cunningham's Encyclopedia of magical herbs https://books.google[...] Llewellyn Worldwide
[7] 웹사이트 Making Incense by David Oller https://www.baieido-[...] 2018-06-16
[8] 서적 Incense in ancient Israel https://books.google[...] BRILL
[9] 서적 The scented ape: The biology and culture of human odou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Blogger https://accounts.goo[...]
[11] 서적 Foreign trade in the old Babylonian period: as revealed by texts from southern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2] 서적 Mohenjo Daro And The Indus Civilization 3 Vol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3] 학술지 History of Use and Trade of Agarwood https://doi.org/10.1[...] 2018-03-01
[14] 서적 Fragrance and Wellbeing; Plant Aromatics and Their Influence on the Psyche https://books.googl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13-10-21
[15] 학술지 A Review on Ancient Literatures of Anti-insect Incense https://www.koreasci[...] 2006
[16] 서적 Holy Smoke: The Use of Incense in the Catholic Church http://www.smellsbel[...] Tixlini Scriptorium
[17] 웹사이트 官方網站 https://web.archive.[...] 中華東方香學研究會 [Chinese Incense Art Association] 2016-07-20
[18] 서적 The scented ape: The biology and culture of human odou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The Smudging Ceremony https://web.archive.[...] 2007-12-02
[20] 서적 Holy Smoke: The Use of Incense in the Catholic Church www.SmellsBells.com Tixlini Scriptorium
[21] 서적 Springer Handbook of Odo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2-28
[22] 웹사이트 Frankincense https://www.etymonli[...]
[23] 웹사이트 Frankincense https://www.merriam-[...] 2024-01-15
[24] 웹사이트 Incense blending contents http://www.ancientwo[...] 2004-04-28
[25] 웹사이트 Burning joss sticks 'as deadly as traffic fumes or cigarette smoke' https://www.theguard[...] 2008-07-30
[26] 웹사이트 Joss | Define Joss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2016-07-20
[27] 문서 Joss
[28] 문서 Joss Stick Manufacturing: A Study of a Traditional Industry in Hong Kong http://sunzi1.lib.hk[...] sunzi1.lib.hku.hk 2022-12-31
[29] Youtube 雲霄古道/溫蕉厝的剖香腳 https://www.youtube.[...] YouTube 2016-07-20
[30] 뉴스 失落百年 「剖香腳」技藝重現 2010-03-07
[31] Youtube YouTube https://web.archive.[...] YouTube 2016-07-20
[32] Youtube Making Incense https://www.youtube.[...] YouTube 2006-12-18
[33] Youtube 台灣宏觀電視TMACTV 代代相傳 新港香 https://www.youtube.[...] YouTube 2016-07-20
[34] Youtube 製香過程 https://www.youtube.[...] YouTube 2009-07-20
[35] 웹사이트 Incense - United States http://orthodoxincen[...] Orthodox Incense 2013-08-12
[3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37] 웹사이트 Sonae-ko: Buddhist Incense In Japan https://naturalscent[...] 2021-11-02
[38] 웹사이트 Incense Around The World https://viennaimport[...] Vienna Imports 2018-02-02
[39] 논문 The Scent of Time. A Study of the Use of Fire and Incense for Time Measurement in Oriental Countries
[40] 서적 The Golden Peaches of Samarkand, a Study of T'ang Exot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 웹사이트 INCENSE AND INCENSE STICKS: TYPES, COMPONENTS, ORIGIN AND THEIR RELIGIOUS BELIEFS AND IMPORTANCE AMONG DIFFERENT RELIGIONS https://www.research[...] 2021-05-28
[42] 웹사이트 不燒香 法鼓山行之有年 | 生活 | 中央社即時新聞 CNA NEWS http://www.cna.com.t[...] 2016-07-20
[43] 웹사이트 我們都誤會行天宮了 | 即時新聞 | 20140901 | 蘋果日報 http://www.appledail[...] 2016-07-20
[44] 웹사이트 香港宝莲禅寺佛教文化传播网 https://web.archive.[...] 2016-07-20
[45] 웹사이트 全球买家•缅甸 缅甸:谈生意莫选星期二 https://web.archive.[...] 2005-11-14
[46] 웹사이트 Holy Smoke: The Use of Incense in the Catholic Church https://www.scribd.c[...]
[47] 서적 Markets and Rural Poverty: Upgrading in Value Chains https://books.google[...] IDRC 2013-08-05
[48] 서적 Inclusive Value Chains: A Pathway Out of Poverty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3-08-04
[49] 서적 South Indian Factory Workers: Their Life and Their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8-05
[50] 웹사이트 Natural Vedic Incense https://premanature.[...]
[51] 웹사이트 Agarbathies https://www.cycle.in[...]
[52] 웹사이트 Incense Sticks Manufacturers, Suppliers and Exporters | Moksh http://www.mokshagar[...] 2014-06-20
[53] 서적 Urban Energy Systems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13-08-05
[54] 웹사이트 Holy Smoke: The Use of Incense in the Catholic Church https://web.archive.[...] San Luis Obispo: Tixlini Scriptorium 2011
[55] 웹사이트 Time Measurement With Incense in Japan https://naturalscent[...] 2021-11-02
[56] 서적 Religion and Drama in Early Modern England: The Performance of Religion on the Renaissance St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4-16
[57] 웹사이트 10 Physic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Burning Incense https://taodewan.com[...] 2017-11-17
[58] 논문 Physical characteristics of nanoparticles emitted from incense smoke
[59] 논문 Gaseous aliphatic aldehydes in Chinese incense smoke https://web.archive.[...] 1994-09
[60] 논문 Risk factors of lung cancer by histological category in Taiwan
[61] 논문 Is Chinese Incense Smoke Hazardous to Respiratory Health?: Epidemiological Results from Hong Kong 1995-11-01
[62] 뉴스 Burning incense linked to respiratory cancers https://www.reuters.[...] 2008-08-25
[63] 논문 Higher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of burning incense than cigarette
[64] 논문 Incensole acetate, an incense component, elicits psychoactivity by activating TRPV3 channels in the brain 2008-08
[65] 서적 インセンス:薫香料と香を焚く儀式 フレグランスジャーナル社
[66] 웹사이트 世界の健康ニュース : お香が肺細胞炎症を引き起こす https://news.livedoo[...]
[67] 뉴스 大気汚染深刻なバンコク、旧正月入りで中国系住民がお香 https://jp.reuters.c[...] 2019-02-06
[68] 서적 Cunningham's Encyclopedia of magical herbs https://books.google[...] Llewellyn Worldwi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