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헬렌 켈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헬렌 켈러는 1880년 미국에서 태어난 작가, 사회 운동가, 강연가이다. 19개월에 시력과 청력을 잃었지만 앤 설리번의 도움을 받아 교육을 받았고, 래드클리프 대학교를 졸업했다. 장애인 권익, 여성 참정권, 반전 운동, 사회주의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했으며, 헬렌 켈러 인터내셔널을 설립하고 미국 자유 인권 협회 설립을 도왔다. 세 차례 한국을 방문하여 강연과 사회 봉사 활동을 펼쳤으며, 1968년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의 삶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조명되었으며,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청각 장애인 - 조지 3세
    조지 3세는 1738년에 태어나 1760년부터 1820년까지 대영 제국과 아일랜드의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미국 독립 혁명,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전쟁 등 격동의 시대를 겪었고 말년에 정신 질환을 앓았다.
  • 청각 장애 작가 - 샤를 모라스
    샤를 모라스는 프랑스의 정치 이론가이자 작가로, 반근대주의와 민족주의 사상을 주창하며 액시옹 프랑세즈를 통해 오를레앙 왕조 부활, 반유대주의, 대독 강경 노선을 선전하다가 비시 정권에 협력하여 옥중에서 사망했다.
  • 시각 장애 작가 - 타하 후세인
    타하 후세인은 20세기 이집트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시각 장애인 작가, 문학 평론가, 교육자이자 이집트 교육 개혁에 기여한 지식인으로, 아랍 시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한 저서와 자전적 소설로 유명하며, 이집트 민족주의 옹호와 무상 교육 실현에 힘썼다.
  • 시각 장애 작가 - 리지 벨라스케즈
    리지 벨라스케즈는 1989년 텍사스에서 태어난 미국의 동기 부여 연설가이자 학교 폭력 반대 운동가이며, 희귀 질환을 앓고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여자라는 비난을 받은 후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헬렌 켈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검은 머리를 묶고 검은 드레스를 입은 여자가 단순한 나무 의자에 앉아 있다. 그녀의 얼굴은 부분적인 옆모습이다. 그녀의 목에는 가느다란 사슬에 매달린 로켓이 있다. 그녀의 손에는 짙은 잎으로 둘러싸인 크고 흰 꽃인 목련이 있다.
헬렌 켈러, 1920년경
출생명헬렌 애덤스 켈러
출생일1880년 6월 27일
출생지미국 앨라배마주 터스컴비아
사망일1968년 6월 1일 (87세)
사망지미국 코네티컷주 이스턴
안장 장소워싱턴 국립 대성당
국적미국
직업작가
정치 운동가
강연가
교육
학력래드클리프 칼리지 (문학사)
저명한 작품"나의 이야기" (1903년)
기타 정보
서명

2. 어린 시절과 질병

켈러의 출생지인 앨라배마주 터스컴비아


1888년 7월, 앤 설리번과 함께 매사추세츠주 케이프 코드에서 휴가를 보내는 헬렌 켈러(왼쪽).


헬렌 켈러는 1880년 6월 27일 미국 앨라배마주 터스컴비아에 있는 가족 농장 아이비 그린에서 태어났다.[7][16][4][8] 아버지 아서 헨리 켈러(Arthur H. Keller, 1836–1896)는 지역 신문 '노스 앨라배미안'의 편집자로 일했으며,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 군대에서 대위로 복무했다.[145][16][8] 어머니 캐서린 에버렛 "케이트" 애덤스 켈러(Catherine Everett "Kate" Adams Keller, 1856–1921)는 남부 연합 장군이었던 찰스 W. 애덤스의 딸이다.[146][11] 켈러의 가족은 남북 전쟁 이전 노예제를 유지하던 남부 엘리트 계층에 속했으나, 전쟁 이후에는 이전과 같은 지위를 누리지 못했다.[8] 켈러의 부계 혈통은 스위스에서 이주한 캐스퍼 켈러(Casper Keller)까지 거슬러 올라가며,[147][12][13] 그의 조상 중 한 명은 취리히에서 청각 장애인을 가르친 최초의 교사였다고 전해진다.[12] 헬렌에게는 두 명의 동복 형제자매(밀드레드 캠벨, 필립 브룩스)와 두 명의 이복 형제(제임스 맥도널드, 윌리엄 심슨)가 있었다.[9][10]

생후 19개월이던 1882년, 켈러는 의사들이 "위와 뇌의 급성 충혈"이라고 진단한 정체불명의 병을 앓았다.[14] 이 병은 당시 성홍열수막염으로 추정되었으며,[145] 현대 의학계에서는 수막구균성 수막염[15] 또는 인플루엔자균 감염[16][17]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병 자체는 오래가지 않았지만, 이로 인해 켈러는 시력과 청력을 완전히 잃게 되었다.[18]

장애를 갖게 된 후, 어린 켈러는 가정 요리사의 딸인 마사 워싱턴과 어느 정도 소통하며 그녀의 수화를 이해했다.[148][19] 7살이 되었을 무렵에는 가족들과 소통하기 위해 60개가 넘는 자신만의 수화 신호를 사용했고, 발걸음의 진동만으로 사람들을 구별할 수 있었다.[20]

1886년, 켈러의 어머니 케이트는 찰스 디킨스의 《아메리카 노트》에 실린 시청각 장애 여성 로라 브리지먼의 교육 성공 사례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149][21][8] 그녀는 남편과 함께 켈러를 데리고 볼티모어로 가서 눈, 귀, 코, 목 전문의인 J. 줄리언 치솜(J. Julian Chisolm) 박사에게 조언을 구했다.[149][21] 치솜 박사는 당시 청각 장애 아동 교육에 힘쓰고 있던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에게 켈러 가족을 소개했다.[149] 벨은 로라 브리지먼이 교육받았던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의 퍼킨스 맹학교에 연락해 볼 것을 권유했다. 퍼킨스 맹학교의 교장 마이클 아나그노스(Michael Anagnos)는 시각 장애가 있는 20세의 학교 졸업생 앤 설리번에게 켈러의 가정교사가 되어 줄 것을 제안했다.[19] 이는 켈러와 설리번의 49년간 이어질 깊은 인연의 시작이었다.

1887년 3월 5일, 앤 설리번은 켈러의 집에 도착했고, 켈러는 훗날 이 날을 "내 영혼의 생일"이라고 회상했다.[18] 설리번은 즉시 켈러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녀는 켈러에게 선물로 가져온 인형(doll)의 철자 'd-o-l-l'을

3. 교육과 성장

1898년의 헬렌 켈러와 앤 설리번


앤 설리번1887년 3월 5일 켈러의 집에 도착하여 켈러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설리번은 켈러에게 선물로 가져온 인형을 위해 "d-o-l-l"이라는 단어를 손바닥에 써주며 소통하는 법을 가르쳤다.[18] 처음에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한 달 뒤 켈러는 설리번이 손바닥에 써주는 "w-a-t-e-r"라는 글자가 손에 흐르는 차가운 액체, 즉 '물'을 의미한다는 것을 깨닫는 극적인 순간을 맞이했다.[18][24] 이 경험을 통해 켈러는 세상 모든 것에는 이름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고, 이후 빠른 속도로 단어를 익혀나갔다. 켈러는 당시를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나는 가만히 서서 그녀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온 정신을 집중했다. 갑자기 잊혀진 무언가에 대한 흐릿한 의식이 느껴졌고, 생각의 떨림이 되돌아왔다. 그리고 어떻게든 언어의 신비가 내게 드러났다. 나는 w-a-t-e-r가 내 손 위로 흐르는 놀라운 시원한 무언가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았다. 살아있는 단어는 내 영혼을 깨우고, 빛을 주고, 희망을 주고, 자유롭게 했다![18]


1888년 5월, 켈러는 퍼킨스 맹학교에 입학했다.[25] 1894년에는 설리번과 함께 뉴욕으로 이사하여 라이트-휴머슨 농학교와 호러스 만 농학교에서 공부했다.[26] 1896년에는 매사추세츠로 돌아와 케임브리지 여학교에 다녔다.[26]

1900년, 켈러는 하버드 대학교의 여자 대학이었던 래드클리프 칼리지 입학을 허가받았다.[26] 그녀의 열렬한 지지자였던 작가 마크 트웨인은 그녀를 스탠다드 오일의 거물 헨리 H. 로저스에게 소개했고, 로저스와 그의 아내는 켈러의 학비를 지원해주었다. 켈러는 점자타자기를 사용하여 과제물을 제출하는 등 학업에 열중했으며, 장애인으로서 배려받기보다 학문적 능력으로 존중받기 위해 오탈자 없는 글을 쓰려고 노력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한다.

1904년, 24세의 켈러는 파이 베타 카파 회원으로서 래드클리프 칼리지를 졸업하며, 학사 학위를 받은 최초의 시청각 장애인이 되었다.[27] 그녀는 독일어를 비롯해 5개 언어를 구사했다고 한다.

켈러는 다른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소통하기 위해 말하는 법을 배우고자 노력했으며, 평생 동안 강연 활동을 이어갔다. 그녀는 말하는 사람의 입술과 목의 움직임을 손가락으로 읽는 타도마 방식을 익혔고,[29] 점자[30] 사용과 지문자 소통에도 능숙해졌다.[31]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는 죌너 사중주단의 도움으로 공명하는 탁자 위에 손가락을 대고 음악을 느끼는 방법을 발견하기도 했다.[32]

1899년 헬렌 켈러와 평생의 동반자이자 교사인 앤 설리번.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자신의 음성 생리학 및 언어 역학 학교에서 찍은 사진

4. 사회 운동과 정치 활동

헬렌 켈러는 장애를 극복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동시에 사회 운동을 실천한 사회주의 지식인이기도 했다.[154] 그녀는 작가이자 연설가로서 명성을 얻으며, 불리한 조건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한 지지 활동에 힘썼다. 헬렌 켈러는 여성 참정권 운동을 지지했고, 평화주의자였으며,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의 정책에 반대했다. 또한 급진적인 사회주의자로서 여성의 피임 권리를 지지했다.

1909년, 29세의 나이로 미국 사회당(1901년 창당)에 입당했으며, 《나는 어떻게 사회주의자가 되었나》라는 공개 서한 발표와 방송 출연을 통해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했다. 그녀는 1909년부터 1921년까지 노동 계급을 지지하는 글을 쓰고 활동했으며, 미국 사회당의 대통령 후보였던 유진 V. 뎁스의 모든 선거 운동을 지원했다.

헬렌 켈러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전 세계의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독일에 선전포고한다"고 선언하자, 미국 내 흑인 학살 문제를 지적하며 "우리의 지배자는 세계 평화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우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가?"라고 비판했다. 이를 통해 윌슨 대통령의 도덕주의가 가진 위선을 날카롭게 지적하며 미국 사회의 문제점을 고발했다.[158] 그녀는 여성 참정권 운동 외에도 사형 폐지 운동, 아동 노동 반대, 인종차별 반대 운동 등을 실천했다.

이러한 사회 참여 활동에 대해 일부 보수주의 언론은 "헬렌 켈러가 누군가에게 조종당한다"고 비난했다. 이에 헬렌 켈러는 다음과 같이 응수하며 자신의 의지에 따른 활동임을 분명히 했다.[159]

: 나는 노동자를 착취하는 공장, 빈민가에도 방문했다. 볼 수 없을지라도… 냄새는 맡을 수 있었다.

언론인들은 그녀가 사회주의자임을 밝히기 전에는 칭찬했지만, 이후에는 그녀의 신체적 장애를 언급하며 인신공격을 가하기도 했다. 《브루클린 이글》 편집장은 그녀의 "명백한 그녀의 발전의 한계를 깨버린 실수들"에 대해 썼다. 켈러는 그 편집장이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알기 전에 보냈던 과한 칭찬을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반박했다.[161][48]

: 이때는 그가 제게 보내주었던 찬사들이 제가 그때를 떠올리면 얼굴이 붉어질 정도로 저에겐 너무나도 과한 칭찬이었습니다. 그러나 제가 사회주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한 지금 그(편집장)은 저와 대중들에게 내가 장님이고 귀머거리이고 또한 오류를 쉽게 범한다는 걸 상기시켜주고 있습니다... 오, 어리석은 《브루클린 이글》! 사회적으로 눈이 안 보이고 귀가 안 들리는 것은 우리가 예방하고자 노력하는 신체적인 시청각 장애를 일으키는 질서를 옹호합니다.

1912년에는 세계산업노동자(IWW 혹은 워블리)에 가입했으며,[162][49] 의회 중심의 사회주의가 "정치의 수렁에 빠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녀는 1916년부터 1918년까지 IWW를 위해 글을 썼다. 《내가 왜 IWW가 되었나》라는 글에서[163][50] 헬렌 켈러는 시각 장애 문제에 대한 관심이 사회 운동 참여의 동기가 되었음을 설명했다.

: 저는 시각 장애인들의 상태를 조사하라는 임무를 받았습니다. 첫 번째로 시각 장애를 인간의 제어를 벗어난 불행이라고 생각하는 제가 대개 고용주들의 탐욕과 이기적인 행동으로 나타나는 잘못된 노동 환경이 존재하기 쉽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사회악은 그것에 일정부분 기여했습니다. 저는 가난이 여성들을 계속 장님인 상태로 끝나는 수치스러운 삶으로 몰아가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마지막 문장은 생계를 위해 매춘에 내몰린 여성들이 시각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매독에 걸리는 현실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녀는 또한 1912년 로렌스 섬유 파업이 자신의 사회주의 지지를 촉발한 계기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1915년, 헬렌 켈러는 조지 A. 케슬러와 함께 시력, 건강, 영양 연구를 위한 단체인 헬렌 켈러 인터내셔널(HKI)을 설립했다. 1920년에는 미국 자유 인권 협회(ACLU) 설립을 도왔다. 또한 1916년에는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NAACP)에 기부하며, 미국 남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비기독교적인 대우를 부끄럽게 여긴다고 밝혔다.[8]

켈러는 사회주의 운동 내의 문제점에도 직면했다. 1913년 1월, 미국 사회당 내 빌 헤이우드 집행위원 제명 조치에 반발하여 2만 명의 당원이 탈당하는 등 극심한 내분을 겪었다. 켈러는 사회당이 분열되어 싸우는 것을 비판했지만,[160] 결국 분열을 막지는 못했다.

그녀는 빈곤 문제에 대해 "소수는 모든 사람의 생계 수단을 소유하기 때문에 다수를 소유한다... 국가는 가장 부유한 자, 기업, 은행가, 토지 투기꾼, 노동 착취자를 위해 통치된다"고 비판하며,[40]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들도 자신과 같은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43]

켈러는 당시 유행하던 우생학을 지지하기도 했다. 1915년에는 심각한 정신적 장애나 신체적 기형을 가진 영아에 대한 안락사를 옹호하는 입장을 밝히며, "인생에 고결함을 부여하는 것은 행복, 지성, 재능의 가능성이며, 건강하지 않은, 기형의, 마비된, 사고하지 않는 생물체의 경우, 그것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신 장애자는 거의 확실하게 잠재적인 범죄자가 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45][141][142][143] 이 발언은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51] 그녀는 또한 인구 과잉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52][53]

이러한 급진적인 사상과 활동 때문에 헬렌 켈러는 FBI의 요주의 인물로 분류되었고, 일본 방문 시에는 특별고등경찰의 감시를 받기도 했다.[136] 그녀는 토머스 에디슨, 찰리 채플린, 블라디미르 레닌을 20세기 중요 인물로 꼽았다.

5. 저술 활동

헬렌 켈러는 총 12권의 책과 다수의 기사를 집필했다.

그녀의 초기 저술 활동 중 하나는 11살 때 쓴 ''서리왕''(1891)이다. 이 작품은 마가렛 캔비의 ''서리 요정''을 표절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조사 결과, 켈러가 캔비의 이야기를 들었으나 잊어버렸고, 그 내용이 무의식 속에 남아 있었던 암호 기억(잠복기억)의 사례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53][37]

22세가 되던 해인 1903년, 켈러는 앤 설리번과 설리번의 남편 존 메이시의 도움을 받아 자서전 ''나의 삶의 이야기''를 출간했다. 대학 재학 중에 집필한 이 책은 그녀가 21세가 될 때까지의 삶을 담고 있다.

1907년에는 신생아의 눈을 소독액으로 씻으면 많은 시각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는 내용을 알리는 기사를 썼다. 당시에는 소수의 의료진만이 이를 실천하고 있었으나, 켈러의 적극적인 주장 덕분에 이 상식적인 공중 보건 조치가 널리 받아들여지게 되었다.[43][56]

1908년에는 ''내가 사는 세계''를 출판하여 독자들이 그녀가 세상을 어떻게 느끼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164][57] 1913년에는 사회주의에 관한 에세이 모음집인 ''어둠에서 벗어나''를 출간하며 사회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헬렌 켈러, c. 1912년 11월


어린 시절 앤 설리번의 소개로 만난 필립스 브룩스 주교를 통해 기독교를 접하게 된 켈러는 "저는 그분께서 거기에 계셨다는 것을 항상 알고 있었지만, 그분의 이름을 몰랐어요!"라고 말한 것으로 유명하다.[58][59][60]

1927년에는 영적 자서전인 ''나의 종교''를 출판했다. 이 책은 1994년 레이 실버만에 의해 수정되어 ''어둠 속의 빛''이라는 제목으로 재발행되기도 했다. 이 책에서 켈러는 기독교 신학자이자 신비주의자인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의 사상을 지지했는데, 스베덴보리는 성경에 대한 영적인 해석과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이 이미 이루어졌다는 주장을 펼쳤다.[61] 켈러는 자신의 신념의 핵심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그러나 스베덴보리의 가르침에서 그것[신의 섭리]은 하나님의 사랑과 지혜의 통치와 사용의 창조로 나타납니다. 그의 생명이 다른 존재보다 덜할 수 없고, 그의 사랑이 다른 것보다 덜 나타날 수 없으므로, 그의 섭리는 보편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 그는 모든 곳에 어떤 종류의 종교를 제공했으며, 누군가가 어떤 인종이나 신조에 속하든, 올바른 삶에 대한 이상에 충실하다면 중요하지 않습니다.[61]

주요 저서 목록
출판 연도원제비고
1891서리왕11세 때 집필
1903나의 삶의 이야기자서전
1903Optimism: An Essay에세이
1904My Key of Life: Optimism
1908The World I Live In내가 사는 세계
1909The Miracle of Life
1910The Song of the Stone Wall
1913Out of the Dark사회주의 에세이 모음
1917Uncle Sam Is Calling폴린 B. 스토리의 곡 가사[63]
1927나의 종교영적 자서전, 이후 어둠 속의 빛으로 재출간
1929Midstream: My Later Life자서전 (후반생)
1929We Bereaved
1932Peace at Eventide
1933Helen Keller in Scotland: A Personal Record, Written by Herself
1938'Helen Kellers Journal''일기
1940Let Us Have Faith
1955Teacher: Anne Sullivan Macy: A Tribute by the Foster-child of Her Mind앤 설리번 추모록
1957The Open Door
1967Helen Keller: Her Socialist Years, Writings and Speeches사후 출간 (사회주의 관련 저술 및 연설 모음)


  • '''참고''': 위에 나열된 목록 외에도 다수의 기사를 집필했다.

6. 한국과의 인연

헬렌 켈러는 1937년 4월부터 8월까지 일본, 한반도, 만주국을 방문했다[97]. 이 방문 기간 동안 일본에서는 아키타현 방문 시 아키타견을 선물받았으며, 이는 이후 미국에 아키타견을 소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어린 시절 어머니로부터 하나와 호키이치의 이야기를 듣고 그를 본보기로 삼아 공부했으며, 1937년 일본 방문 시 시부야의 온고 학회를 찾아 그의 좌상과 책상을 직접 만져보기도 했다[104]. 켈러는 "선생님(호키이치)의 상에 닿을 수 있었던 것은, 일본 방문에서 가장 유익한 일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7. 말년과 죽음

헬렌 켈러는 1961년에 여러 차례 뇌졸중을 겪었고, 말년은 코네티컷주 이스턴의 자택 아칸 리지(Arcan Ridge)에서 보냈다.[153][37]

1964년 9월 14일, 미국의 대통령린든 B. 존슨은 헬렌 켈러에게 미국 시민에게 수여되는 최고 영예 중 하나인 자유 훈장을 수여했다.[165][37] 1965년, 켈러는 1964년 뉴욕 세계 박람회에서 전미 여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53][37]

켈러는 말년에 미국 시각 장애인 재단을 위한 기금 모금에 헌신했다. 그녀는 1968년 6월 1일, 코네티컷주 이스턴의 자택에서 87세의 나이로 잠자던 중 세상을 떠났다.[68]

장례식은 워싱턴 D.C.에 위치한 성공회 대성당인 워싱턴 국립 대성당에서 거행되었으며, 그녀의 유해는 코네티컷주 브리지포트에서 화장된 후 워싱턴 국립 대성당에 안치되어 영원한 동료이자 선생이었던 앤 설리번과 폴리 톰슨의 옆에 놓였다.[68][69]

8. 사후 평가 및 유산

헬렌 켈러의 삶은 여러 차례 영화, 다큐멘터리, 연극 등으로 재조명되었다. 그녀는 무성 영화인 《구원》(Deliverance, 1919)에 직접 출연하기도 했는데, 이 영화는 그녀의 이야기를 다소 과장되고 상징적인 스타일로 묘사했다.[166][70] 또한, 1954년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다큐멘터리 《헬렌 켈러 이야기》(Helen Keller in Her Story)의 주인공이기도 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그녀의 친구이자 유명 연극 배우인 캐서린 코넬이 내레이션을 맡았다. 허스트 코퍼레이션이 제작한 유명 미국인 시리즈의 일부인 《헬렌 켈러 이야기》에도 그녀의 삶이 소개되었다.

연극과 영화 ''미라클 워커''(1962)에서 켈러를 연기한 패티 듀크와 실제 헬렌 켈러. 1979년 리메이크에서는 패티 듀크가 앤 설리번을 연기했다.


특히 그녀의 자서전 ''나의 삶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미라클 워커》는 여러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 작품들은 앤 설리번 선생이 거의 야생 상태에 가까웠던 헬렌 켈러를 교육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게 하고 사회적으로 저명한 인물로 이끌어낸 과정을 감동적으로 그렸다. 마크 트웨인이 설리번을 "기적을 만드는 사람(Miracle Worker)"이라고 칭한 데서 제목이 유래했다. 1957년 윌리엄 깁슨의 TV 각본(Playhouse 90)으로 처음 제작되었고, 1959년 브로드웨이 연극으로 만들어졌으며, 1962년에는 앤 밴크로프트패티 듀크가 주연한 영화 《미라클 워커》로 제작되어 오스카상을 받았다. 이후 1979년과 2000년에 TV 영화로 리메이크되었다. 2000년 디즈니에서 제작한 버전은 켈러가 사회 평등을 위한 운동가가 되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그녀의 사회주의 활동 경력을 간접적으로 인정했다. 대한민국에서는 교육방송(EBS)의 EBS 가족극장을 통해 소개되기도 했다.

1981년에는 ''헬렌 켈러 이야기: 사랑과 빛의 천사''라는 제목의 애니메이션 영화가 제작되었고,[71] 1984년에는 켈러의 대학 시절과 초기 성인기를 다룬 TV 영화 《기적은 계속된다》가 제작되었다.[167][72] 2005년에는 볼리우드 영화 《블랙》이 켈러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73] 같은 해 스웨덴보그 재단은 다큐멘터리 《빛나는 영혼: 헬렌 켈러의 영적 삶과 유산》을 제작하여 에마누엘 스웨덴보리의 영적 신학이 그녀의 삶에 미친 영향과 삼중고(시각, 청각, 언어 장애) 극복에 영감을 준 방식을 조명했다.[74][168] 2020년에는 존 지안비토 감독의 다큐멘터리 에세이 《그녀의 사회주의 미소》가 공개되어, 1913년부터 시작된 켈러의 진보적 대의를 위한 강연 활동을 다루었다.[81]

사후에도 헬렌 켈러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1999년 갤럽 조사에서 "20세기 가장 널리 존경받는 인물" 18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으며, 1965년에는 전미 여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37]

헬렌 켈러가 그려져 있는 앨라배마주 미국 쿼터 주화


2003년 앨라배마주는 주를 상징하는 미국 쿼터 주화(25센트 주화)에 헬렌 켈러의 모습을 새겨넣었다.[172] 앨라배마주 셰필드에 있는 '헬렌 켈러 병원'은 그녀가 주에 기증한 것이다.[173] 또한 스페인헤타페이스라엘로드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으며,[174] 인도 마이소르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청각 장애 아동 유치원이 있다.

''앤 설리번 – 헬렌 켈러 기념관''—매사추세츠주 턱스베리에 있는 청동 조각상


2009년 10월 7일, 미국 국회의사당 방문객 센터에는 헬렌 켈러의 동상이 세워졌다. 이 동상은 수중 펌프 앞에 서 있는 7살의 헬렌 켈러가 앤 설리번으로부터 '물(W-A-T-E-R)'이라는 단어를 처음 배우는 중요한 순간을 형상화한 것이다. 동상에는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보이거나 만져질 수 없다. 그것들은 오직 마음 속에서 느껴질 것이다."라는 켈러의 말이 일반 글자와 점자로 새겨져 있다.[175] 이 동상은 미국 국회의사당에 전시된 것들 중에서 처음으로 장애인이면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작품이라는 의미를 지닌다.[176][177][178][179] 매사추세츠주 턱스베리에는 앤 설리번과 헬렌 켈러를 기리는 청동 조각 기념관도 있다.

2008년 3월 6일, 뉴잉글랜드 역사 유전자 학회는 1888년에 촬영된 헬렌 켈러와 앤 설리번의 희귀한 사진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사진은 인형을 들고 있는 어린 헬렌 켈러와 함께 있는 앤 설리번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진으로 여겨진다.[169][170][171][75][76] 헬렌 켈러가 직접 말하는 모습을 담은 비디오 영상도 존재한다.[77]

헬렌 켈러는 1915년 조지 A. 케슬러와 함께 시력, 건강, 영양 연구를 위한 헬렌 켈러 국제(HKI)를 설립했으며, 1920년에는 미국 시민 자유 연맹(ACLU) 창립에도 기여했다. 그녀는 장애인 인권 신장뿐만 아니라 여성 참정권, 평화주의, 사회주의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인도 케랄라의 예술가들은 그녀의 삶에 대한 헌정으로 약 3.05m × 약 2.13m 크기의 ''옹호자: 헬렌 켈러에게 바치는 헌사''라는 그림을 제작하기도 했다.[78][79][80]

참조

[1] 뉴스 Deaf, Blind Woman to Get College Degree https://www.nytimes.[...] 2023-04-14
[2] 웹사이트 Speeches, Helen Keller Archive at the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https://www.afb.org/[...]
[3] 잡지 The Helen Keller You Didn't Learn About in School https://time.com/591[...] 2020-12-15
[4] 웹사이트 Helen Keller Birthplace http://www.helenkell[...] Helen Keller Birthplace Foundation, Inc.
[5] 서적 Gems of Wisdom: Quotes on Life, Love, Justice, Karma, Spiritualism https://books.google[...] Notion Press 2018-12-14
[6] 백과사전 Arthur H. Keller http://www.encyclope[...]
[7] 웹사이트 Kate Adams Keller http://www.afb.org/b[...]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8] 학술지 The Southern Ties of Helen Keller https://www.research[...]
[9] 웹사이트 Ask Keller http://braillebug.af[...]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06-10
[10] 웹사이트 Ask Keller http://braillebug.af[...]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05-11
[11] 서적 Civil War High Command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Story of my Life: The Restored Classic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
[13] 웹사이트 Ask Keller http://www.afb.org/b[...]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05-11
[14] 웹사이트 Ask Keller http://braillebug.af[...]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05-02
[15] 웹사이트 What Caused Helen Keller to Be Deaf and Blind? An Expert Has This Theory https://www.livescie[...] 2018-06
[16] 웹사이트 Helen Keller FAQ http://www.perkins.o[...] Perkins School for the Blind
[17] 웹사이트 Helen Keller Biography http://www.afb.org/i[...]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18] 웹사이트 Helen Keller's Moment https://www.theattic[...] 2018-11-29
[19] 웹사이트 The Story of My Life http://digital.libra[...] Doubleday, Page & Co.
[20] 서적 The World I Live In https://books.google[...] New York Review of Books 1904
[21] 서적 A Family Album: Men Who Made the Medical Center http://www.muschealt[...] Reprint Co
[22] 서적 Helen Keller: Handicapped Girl Atheneum
[23] 웹사이트 Helen Keller's Moment https://www.theattic[...] 2018-11-29
[24] 서적 The Story of My Life Cosimo, Inc.
[25] 웹사이트 William Wade House and Finishing School https://digital.libr[...]
[26] 학술지 Helen Keller in College – Blind, Dumb and Deaf Girl Now Studying at Radcliffe http://archives.chic[...] 1900-10-13
[27] 웹사이트 Phi Beta Kappa Members https://www.pbk.org/[...] The Phi Beta Kappa Society (PBK.org) 2020-04-07
[28] 서적 Back from History! – The correspondence of letters between the Austrian-Jewish philosopher Wilhelm Jerusalem and the American deafblind writer Helen Keller Gebärdensache
[29] 뉴스 Helen Keller: why is a TikTok conspiracy theory undermining her story? https://www.theguard[...] 2021-01-07
[30] 문서 American Braille
[31] 웹사이트 Ask Keller – March 2005 https://braillebug.o[...] American Printing House for the Blind
[32] 간행물 First Number Citizens Lecture Course Monday, November Fifth https://web.archive.[...] North Dakota Agricultural College 1917-11-07
[33] 서적 Helen Keller: A Lif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34] 웹사이트 Tragedy to Triumph: An Adventure with Helen Keller http://www.graceprod[...] Graceproducts.com
[35] 뉴스 Helen Keller's Secret Love Life http://www.huffingto[...] 2012-05-14
[36] 서적 Helen Keller: A Lif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11-17
[37] 웹사이트 The life of Helen Keller https://web.archive.[...] Royal National Institute of Blind People 2009-01-22
[38] 서적 Helen Keller: A Lif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11-17
[39] 웹사이트 Helen Keller: An Artificial Eye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15-07-29
[40] 서적 Rebel Lives Ocean Press 2003
[41] 뉴스 From the files: New library is now open to the public http://chippewa.com/[...] 2016-01-19
[42] 웹사이트 Helen Keller http://www.perkins.o[...] 2014-09-12
[43]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Helen Keller https://rethinkingsc[...]
[44] 웹사이트 Examining the American peace movement prior to World War I https://www.americam[...] America Magazine 2017-04-17
[45] 서적 The radical lives of Helen Keller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4
[46] 뉴스 Wonder Woman at Massey Hall http://www.billglads[...] 1914-01
[47] 서적 Progress & Poverty https://books.google[...] Robert Schalkenbach Foundation
[48] 웹사이트 How I Became a Socialist http://www.marxists.[...] Helen Keller Reference Archive 1912-11-03
[49] 서적 Lies My Teacher Told Me: Everything Your American History Textbook Got Wrong https://archive.org/[...] Touchstone Books
[50] 뉴스 Why I Became an IWW https://www.marxists[...] 1916-01-16
[51] 저널 Eugenics and public health in American history. 1997-11
[52] 웹사이트 Quotes https://www.populati[...] Population Matters
[53] 웹사이트 Quotes https://web.archive.[...] World Population Balance
[54] 웹사이트 Helen Keller Biography http://www.afb.org/i[...]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AFB.org) 2020-03-31
[55] 웹사이트 History » Deaf Society of Canterbury – Te Kahui Turi Ki Waitaha http://deafsocietyof[...]
[56] 잡지 Unnecessary Blindness https://www.disabili[...] 1907-01
[57] 서적 The World I Live In https://archive.org/[...] The Century Co
[58] 서적 Willmington's Guide to the Bible https://archive.org/[...] Tyndale House Publishers
[59] 서적 God's Final Answer https://books.google[...] Xulon Press 2004-04-30
[60] 서적 Heaven, Home And Happiness https://archive.org/[...] The Christian Herald
[61] 서적 My Religion https://books.google[...] The Book Tree 2007
[62] 서적 Encyclopedia of Life Writing: Autobiographical and Biographical Form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2-04
[63] 웹사이트 94 Pauline story Images: PICRYL Public Domain Search https://picryl.com/t[...]
[64] 웹사이트 Helen Keller – Our Champion http://www.afb.org/i[...]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15
[65] 뉴스 Helen Keller Archive Lost in World Trade Center Attack http://www.pw.org/co[...] 2001-10-03
[66] 저널 Lives and Treasures Taken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02-11
[67] 뉴스 9/11 anniversary: What was lost in the damage http://www.cbc.ca/ne[...] CBC News 2011-08-21
[68] 서적 Resting Places: The Burial Sites of More Than 14,000 Famous Persons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69] 웹사이트 The life of Helen Keller http://www.rnib.org.[...]
[70] 웹사이트 Deliverance (1919) https://www.imdb.com[...]
[71] 웹사이트 Helen Keller Monogatari: AI to Hikari no Tenshi https://www.imdb.com[...] 2021-12-13
[72] 웹사이트 Helen Keller: The Miracle Continues (1984) (TV) https://www.imdb.com[...] 2006-06-15
[73] 뉴스 Helen Keller story inspires Turkish film http://www.hurriyetd[...] 2013-10-28
[74] 간행물 Shining Soul: Helen Keller's Spiritual Life & Legacy 2006-05-01
[75] 뉴스 Picture of Helen Keller as a child revealed after 120 years https://www.independ[...] 2008-03-07
[76] 웹사이트 Newly Discovered Photograph Features Never Before Seen Image Of Young Helen Keller http://www.americana[...] New England Genealogical Society
[77] 웹사이트 Helen Keller Speaks Out https://www.youtube.[...] 2011-04-11
[78] 뉴스 A tribute to Helen Keller https://www.newindia[...] 2016-07-12
[79] 웹사이트 'Tribute to Helen Keller': Art for raising funds for blind students http://www.artdhope.[...] 2016-07-25
[80] 뉴스 Tribute to Helen Keller http://www.thehindu.[...]
[81] 웹사이트 Her Socialist Smile https://www.filmlinc[...]
[82] 잡지 Time 100 Persons of The Century https://content.time[...] 1999-06-06
[83] 웹사이트 A likeness of Helen Keller is featured on Alabama's quarter http://www.usmint.go[...] United States Mint 2010-03-23
[84] 웹사이트 The Official Alabama State Quarter http://www.theus50.c[...] The US50 2003-03-17
[85] 웹사이트 Helen Keller Hospital website http://www.helenkell[...] Helenkeller.com
[86] 웹사이트 רחוב הלן קלר, לוד https://maps.google.[...] Google Maps 1970-01-01
[87] 웹사이트 Toponymy section of the Lisbon Municipality website https://web.archive.[...] Toponimia.cm-lisboa.pt 1968-01-06
[88] 웹사이트 The World at your Fingertips: Helen Keller's legacy touches deafblind children in India http://www.radioneth[...] Radio Netherlands Archives 2004-02-18
[89] 웹사이트 National Women's Hall of Fame, Helen Keller https://www.womenoft[...]
[90] 웹사이트 Helen Keller http://www.aoc.gov/c[...] Architect of the Capitol
[91] 뉴스 Harper Lee Among Inaugural Inductees Into Alabama Writers Hall of Fame http://www.huffingto[...] 2015-06-08
[92] 웹사이트 Speeches, Helen Keller Archive at the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https://www.afb.org/[...]
[93] 웹사이트 Helen Keller Birthplace http://www.helenkell[...] Helen Keller Birthplace Foundation, Inc.
[94] 뉴스 Harper Lee Among Inaugural Inductees Into Alabama Writers Hall of Fame http://www.huffingto[...] 2015-06-08
[95] 서적 Helen Keller: A Lif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12-15
[96] 웹사이트 Helen Keller: An Artificial Eye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15-07-29
[97] 웹사이트 ケラー女史の來滿 https://hojishinbun.[...]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37-07-17
[98] 잡지 文藝春秋 1952-08
[99] 웹사이트 盲目の岩崎教授 宗教講演行脚 神秘主義哲學も研究する本日平安丸で出帆 https://hojishinbun.[...] Taihoku Nippō 1934-08-15
[100] 웹사이트 盲目の偉人~ケラー女史を日本へ招聘 岩崎教授が交渉 世界的に知られた人 https://hojishinbun.[...] Shin Sekai Nichinichi Shinbun 1934-09-20
[101] 웹사이트 ヘレン、ケラー女史「世界盲人の母」今秋愈よ來朝 米國一流の思想家 岩崎教授等と講演行脚 https://hojishinbun.[...] Kashū Mainichi Shinbun 1935-02-04
[102] 웹사이트 世界盲唖の母 ヘレン、ケラー女史渡日 十月中旬頃の豫定 https://hojishinbun.[...] Nichibei Shinbun 1935-07-10
[103] 웹사이트 ケラー女史 日本へ!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36-01-30
[104] 방송 2012-02-29
[105] 웹사이트 世界盲人の母と仰がれるヘレンケラー女史日本へ…… ★―明春四月滿鮮へも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36-12-01
[106] 웹사이트 聖女ケラー女史へ 岩橋氏からの感謝状 松山氏に托した日米親善の書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38-08-22
[107] 웹사이트 小室篤次氏の快著『ヘレン、ケラー女史』近く日本へ行く超人紹介 https://hojishinbun.[...] Shin Sekai Nichinichi Shinbun 1935-01-30
[108] 웹사이트 上陸第一歩に 財布をスリ取らる ケラー女子の横濱埠頭の難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37-04-17
[109] 웹사이트 サクラの直感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37-04-18
[110] 웹사이트 三重苦の聖女 同情金を不幸な人々に贈る 感激のメッセージ/聖女ケラー女史 大阪に着く "奇績の聲"で語る https://hojishinbun.[...] Chōsen Shinbun 1937-04-20
[111] 웹사이트 ~ケラー女史スリ事件の其後~ 匿名の同情金に 盲聖感激の寄附 そつくり社會事業へ寄附 聲明書をも發表 https://hojishinbun.[...] Nippu Jiji 1937-05-05
[112] 웹사이트 盲目の聖女ケラー女史 高松宮兩殿下に拝謁 妃殿下の厚き御いたわりに…見えぬ目に感激の涙/觀櫻御會 けふ新宿御苑に兩陛下お成り ケラー女史もお召し https://hojishinbun.[...] Nippu Jiji 1937-04-16
[113] 간행물 ◎行幸行啓 天皇 皇后兩陛下ハ本月十六日午後二時三十分御出門新宿御苑ニ於ケル觀櫻會ニ行幸行啓同四時十九分還御アラセラレタリ(以下略) {{NDLDC|2959569/8}}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7-04-19
[114] 서적 昭和天皇実録 第七 {{small|昭和十一年至昭和十四年}} 東京書籍株式会社 2016-03
[115] 서적 光に向かって咲けー斎藤百合の生涯ー 岩波書店 1986-06-20
[116] 웹사이트 早稲田大学百年史 第四巻/第八編 第十四章 https://chronicle100[...]
[117] 웹사이트 筑波大学附属聴覚特別支援学校 https://www.deaf-s.t[...] 2024-10
[118] 웹사이트 Collaborative Reference Database https://crd.ndl.go.j[...]
[119] 웹사이트 ヘレン ケラーが訪れた場所|DADA Journal https://dada-journal[...] 2023-03
[120] 웹사이트 ヴォーリズの社会貢献活動 近江八幡 観光物産協会 https://www.omi8.com[...] 2024-10
[121] 웹사이트 同志社女学校の発展と時代の逆風 - 同志社女子大学 https://www.dwc.dosh[...]
[122] 뉴스 祖父の逸話「新聞にも載った」を探る…“奇跡の人” ヘレン・ケラーに会ったのは本当か? 世界の偉人が金沢を訪れた理由とは 2024年2月10日(土) MRO北陸放送 https://newsdig.tbs.[...] MRO北陸放送 2024-02-10
[123] 웹사이트 ヘレン・ケラーが東北学院で講演 東北学位大学広報誌 https://www.tohoku-g[...] 2024-10
[124] 웹사이트 【敬神愛人】本館前ロータリーの記念撮影(史資料センターWEBコラム) https://www.tohoku-g[...]
[125] 웹사이트 秋田の小笠原警官から聖女へ愛犬の贈り物 「日米親善増進のために」ヘレン・ケラー女史大喜び https://hojishinbun.[...] Nippu Jiji 1937-08-20
[126] 웹사이트 4.天然記念物「秋田犬」を守り育てる歴史的風致 https://www.city.oda[...] 大館市 2020-12-09
[127] 웹사이트 三重苦の聖母 お土産は「秋田犬」 小笠原巡査が贈った「神風號」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37-08-27
[128] 웹사이트 ケラー女史へ・・・・贈る秋田犬 その名も「神風」と名づけて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37-07-10
[129] 웹사이트 三重苦の聖女へ 第二の秋田犬 ・・・・新春の慰めの贈りもの https://hojishinbun.[...] Nichibei Shinbun 1939-01-23
[130] 웹사이트 ロスアンゼルス十七日 三重苦の聖女へ 秋田犬を贈る 霧島丸で着いた「劍山號」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39-06-19
[131] 웹사이트 (ケラーと剣山号の写真) https://hojishinbun.[...] Kashū Mainichi Shinbun 1939-07-14
[132] 웹사이트 ケラー女史と「劍山號」 優れた愛に忽ちなつく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39-08-21
[133] 웹사이트 ヘレン、ケラー女史 神戸を出帆 秩父丸で歸米の途につく https://hojishinbun.[...] Shin Sekai Asahi Shinbun 1937-08-11
[134] 간행물 同盟旬報第1巻第05号(通号005号) {{아시아역사자료센터|M2307000[...] 同盟旬報 1937-08
[135] 서적 村岡花子と赤毛のアンの世界 河出書房新社
[136] 방송 ニッポン大好き!がんばって!〜ヘレン・ケラー 日本との友情物語〜 https://www.nhk.or.j[...] NHK総合テレビ 2012-02-29
[137] 웹사이트 "三重苦"の聖女 ケラー女史來る 花の日本訪問を機會に朝鮮へも立寄る https://hojishinbun.[...] Chōsen Shinbun 1937-03-02
[138] 웹사이트 三重苦の聖母 ヘレン ケラー女史 訪日を前に語る 小室牧師が同伴渡日 四月一日淺間丸乘船 https://hojishinbun.[...] Nichibei Shinbun 1937-03-16
[139] 웹사이트 盲、聾、唖を征服した聖女 樂園の花の光りよ、レイの夢よ…と 指讀法と發音で朗らに語る https://hojishinbun.[...] Nippu Jiji 1937-04-06
[140] 방송 アメリカ魂のふるさと 「伝統と変革のはざまで〜南部」 NHK BS1 2011-11-06
[141] 서적 The Radical Lives of Helen Keller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7-06-16
[142] 학술지 Eugenics and public health in American history. http://ajph.aphapubl[...] 2016-10-12
[143] 간행물 Disability and euthanasia: The case of Helen Keller and the Bollinger baby. http://www.uffl.org/[...] 2006
[144] 웹인용 Helen Keller FAQ https://web.archive.[...] 2009-01-22
[145] 웹인용 Charles W. Adams (1817 - 1878) - Find A Grave Memorial http://www.findagrav[...] 2009-08-11
[146] 웹사이트 헬런 켈러가 태어난 아이비 그린의 실제 장소 http://www.helenkell[...]
[147] 웹인용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https://web.archive.[...] 2010-01-02
[148] 웹인용 Martha Washington https://web.archive.[...] 2010-01-02
[149] 서적 A Family Album: Men Who Made the Medical Center http://www.muschealt[...]
[150] 서적 Helen Keller: A Life Knopf
[151] 웹사이트 The Life of Helen Keller http://www.graceprod[...]
[152] 웹사이트 The life of Helen Keller http://www.rnib.org.[...] 2009-06-17
[153] 웹인용 The life of Helen Keller https://web.archive.[...] 2009-01-22
[154] 서적 청년아 울더라도 뿌려야 한다 홍성사
[155] 문서 헬렌 켈러가 선사받은 개의 이름
[156] 간행물 The Akita Inu: The Voice of Japan http://www.petpublis[...]
[157] 웹사이트 Helen Keller: First Akitas in the USA http://www.natural-a[...]
[158] 뉴스 못듣고 못보고 말못하는 그가 발견한 좋은세상 http://www.redian.or[...] 레디앙 2010-01-02
[159] 뉴스 [인터넷 스타] 투사 헬렌 켈러 http://www.hani.co.k[...] 한겨레 21 2010-01-02
[160] 뉴스 실용주의의 나라, '미국에는 왜 사회주의가 없는가?' http://news.kdlp.org[...] 민주노동당 뉴스 2010-01-02
[161] 웹인용 How I Became a Socialist http://www.marxists.[...] 2007-08-27
[162] 서적 Lies My Teacher Told Me: Everything Your American History Textbook Got Wrong https://archive.org/[...] Touchstone
[163] 웹사이트 Why I Became an IWW http://www.marxists.[...] 1916-01-16
[164] 서적 The World I Live In https://archive.org/[...] NYRB Classics
[165] 웹인용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Helen Keller https://web.archive.[...] 2010-01-02
[166] 웹인용 Deliverance (1919) https://www.imdb.com[...] 2006-06-05
[167] 웹인용 Helen Keller: The Miracle Continues (1984) (TV) https://www.imdb.com[...] 2006-06-15
[168] 뉴스 인도판 헬렌켈러 ‘입소문의 힘’ http://www.heraldbiz[...] 헤럴드경제 2009-09-07
[169] 웹인용 Picture of Helen Keller as a child revealed after 120 years http://www.independe[...]
[170] 웹사이트 Newly Discovered Photograph Features Never Before Seen Image Of Young Helen Keller http://www.newenglan[...] 뉴잉글랜드 역사족보협회 2008-03-06
[171] 뉴스 헬렌켈러와 설리번 선생 사진, 120년 만에 공개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8-03-06
[172] 웹사이트 A likeness of Helen Kelle is featured on Alabama's quarter http://www.usmint.go[...]
[173] 웹사이트 Helen Keller Hospital website http://www.helenkell[...]
[174] 웹사이트 http://maps.google.c[...]
[175] 웹인용 Helen Keller http://www.aoc.gov/c[...] The Architect of The Capitol
[176] 뉴스 Helen Keller Statue Unveiled in Capitol https://web.archive.[...] CBS News 2009-10-07
[177] 뉴스 Helen Keller statue unveiled at Capitol http://www.cnn.com/2[...] CNN 2009-10-07
[178] 뉴스 One Impressive Kid Gets Her Statue at Capitol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Post 2009-10-08
[179] 뉴스 美의사당에 헬렌 켈러 동상 제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0-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