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실정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실정치(Realpolitik)는 19세기 독일 작가 루트비히 폰 로하우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국가의 힘과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정치적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국제 관계에서 정치 현실주의는 국가가 자국의 이익을 위해 힘의 균형을 추구하며 행동한다는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 손자, 투키디데스, 마키아벨리 등 고대 및 근대의 사상가들이 현실 정치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비스마르크, 키신저 등도 현실 정치의 대표적인 실천가로 평가받는다. 현실정치는 중국, 독일, 싱가포르, 미국, 파키스탄 등 다양한 국가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실용적인 선택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적 현실주의 - 세력균형
    세력균형은 국제 관계에서 국가들이 패권국 출현을 막고 안보와 이익을 위해 동맹을 형성하거나 군사력을 증강하는 등 힘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역학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례가 존재하지만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다.
  • 정치적 현실주의 - 국가 간의 정치
    국가 간의 정치는 한스 모겐소가 국제 정치를 권력 투쟁으로 규정하고 국가 권력의 요소와 제한 방법, 세계 평화 실현 방안 등을 제시하며 국제 관계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하는 저서이다.
  • 외교 독트린 - 비동맹 운동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특정 강대국 블록에 가담하지 않고 독립적인 국가들의 모임이며,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에 반대하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목표로 한다.
  • 외교 독트린 - 트루먼 독트린
    트루먼 독트린은 1947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외교 정책으로,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 그리스와 터키를 지원하며 미국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세계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 독일어 낱말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고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인 비세포성 감염체이며,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독일어 낱말 - 존더베크
    존더베크 이론은 독일 근대화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늦은 산업화, 반민주적 엘리트, 바이마르 공화국 불안정, 나치즘 등장 등의 특수성을 보이며 전개되었다는 이론으로, 초기에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나치즘 이후 부정적 의미를 갖게 되었고, 현재는 독일 역사 복잡성을 단순화한다는 비판과 유럽 근대화 과정에서 독일 경험의 특수성에 대한 반박이 제기되고 있다.
현실정치
어원
어원독일어 "Realpolitik"(현실 정치)에서 유래
어원 설명"Real"(실제적인)과 "Politik"(정치)의 합성어
최초 사용루드비히 폰 로하우가 1853년에 처음 사용
개요
정의이상이나 도덕률보다는 실제적인 고려 사항에 기초한 정치
특징특정 상황에 대한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평가에 기반하여 결정을 내림
목표이상적인 목표보다는 현실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둠
특징
핵심권력, 실용주의, 국가 이익 중심
강조점이상주의적, 도덕적 고려보다 현실적 제약과 기회를 중시
외교타협과 힘의 균형을 통해 국익 추구
국내 정치이상보다는 현실적인 필요에 따라 정책 결정
역사
등장 배경19세기 유럽, 특히 독일 통일 과정에서 부상
주요 인물오토 폰 비스마르크 (프로이센의 재상)
비스마르크의 역할현실 정치의 대표적인 사례로, 독일 통일을 이룸
영향이후 국제 관계와 외교 정책에 큰 영향
평가
긍정적 평가현실적인 문제 해결, 국가 이익 보호
부정적 평가도덕 무시, 비판적 시각 존재
관련 개념
관련 개념힘의 정치, 세력 균형, 국가 이익

2. 어원

"현실정치"(Realpolitik|레알폴리티크de)라는 용어는 19세기의 독일 작가이자 정치인인 루트비히 폰 로하우가 만들었다.[7] 그는 1853년 저서 『독일의 국가적 상황에 적용된 현실정치의 원리』("Grundsätze der ''Realpolitik'' angewendet auf die staatlichen Zustände Deutschlands")에서 이 용어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8]

역사학자 존 뷰는 오늘날 현대 "현실정치"를 대변하는 많은 부분이 이 용어의 원래 의미에서 벗어난다고 주장한다. "현실정치"는 19세기 중반 유럽에서 계몽주의와 국가 형성 및 권력 정치의 충돌로부터 등장했으며, 뷰는 이 개념이 자유주의적인 계몽주의적 목표가 자유주의적 계몽주의적 규칙을 따르지 않는 세상에서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난제에 답하려는 초기 시도였다고 주장한다.

로하우는 1853년에 이 용어를 만들었고, 1869년에 그의 이전 주장을 더욱 다듬은 두 번째 권을 추가했다. 1848년 봉기까지 파리에서 망명 생활을 했던 로하우는 혁명 기간 동안 돌아와 국민자유당에서 유명 인사가 되었다. 뷰에 따르면, 1848년 혁명의 자유주의적 성과가 강압적인 정부에 희생되거나 계급, 종교, 민족주의와 같은 강력한 사회 세력에 의해 잠식되면서, 로하우는 그렇게 열정적으로 시작했던 일이 지속적인 결과를 낳지 못한 이유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는 계몽주의의 가장 큰 업적은 강함이 반드시 옳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자유주의자들이 저지른 실수는 강자의 법칙이 단지 부당하다는 것이 드러났기 때문에 갑자기 사라졌다고 추정한 것이었다. 로하우는 "예리코 성벽을 무너뜨리기 위해서는 가장 강력한 나팔보다 간단한 곡괭이가 더 유용하다"고 썼다. 로하우의 개념은 19세기 중후반 독일 사상가들에 의해 받아들여졌고, 독일 통일을 추진한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정치술과 연관되었다. 1890년까지 "현실정치"라는 단어의 사용은 널리 퍼졌지만, 원래 의미에서 점점 더 벗어났다.[9]

3. 국제 관계에서의 정치 현실주의

정치적 현실주의는 정치적 실천인 ''Realpolitik''을 지칭하는 반면, 국제 관계에서 정치적 현실주의의 개념은 국제 관계 영역의 사건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론적 틀을 지칭한다. 정치적 현실주의 이론은 국제 무대에서 행위자인 국가가 ''Realpolitik''을 실천함으로써 자국의 이익을 추구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반대로, ''Realpolitik''은 정치적 현실주의의 인정된 이론에 부합하는 정책의 실행으로 묘사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정책은 주로 권력의 추구, 소유 및 적용에 기반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가설이다(권력 정치 참조). 그러나 케네스 왈츠와 같은 일부 국제 관계 현실주의자들은 국가 정책을 권력 추구보다는 생존이나 안보의 추구라는 관점에서 보았다.

4. 역사와 분파

정치적 현실주의는 정치적 실천인 ''현실정치''를 지칭한다. 국제 관계에서 정치적 현실주의는 국제 관계 영역의 사건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론적 틀이다. 정치적 현실주의 이론은 국제 무대에서 행위자인 국가가 ''현실정치''를 실천함으로써 자국의 이익을 추구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반대로, ''현실정치''는 정치적 현실주의의 인정된 이론에 부합하는 정책 실행으로 묘사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정책은 주로 권력의 추구, 소유 및 적용에 기반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가설이다(권력 정치 참조). 그러나 케네스 왈츠와 같은 일부 국제 관계 현실주의자들은 국가 정책을 자력으로 권력을 추구하기보다는 생존이나 안보 추구의 관점에서 보았다.

4. 1. 현실정치의 선구자

"현실정치"라는 용어는 19세기 독일 작가이자 정치인인 루트비히 폰 로하우가 만들었다.[7] 그는 1853년 저서 『독일의 국가적 상황에 적용된 현실정치의 원리』에서 이 용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8]

Grundsätze der ''Realpolitik'' angewendet auf die staatlichen Zustände Deutschlandsde

국가를 형성하고 유지하며 변화시키는 힘에 대한 연구는 모든 정치적 통찰의 기초이며, 이는 힘의 법칙이 중력의 법칙이 물리적 세계를 지배하는 것처럼 국가의 세계를 지배한다는 이해로 이어진다. 이전의 정치학은 이 진실을 충분히 인식했지만, 잘못되고 해로운 결론을 내렸다. 즉, 더 강한 자의 권리였다. 현대 시대는 이 비윤리적인 오류를 수정했지만, 더 강한 자의 주장에 따른 권리를 깨뜨리는 동안 현대 시대는 더 강한 자의 진정한 힘과 그의 정치적 영향력의 불가피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너무 컸다.


역사학자 존 뷰는 오늘날 현대 "현실정치"를 대변하는 많은 부분이 이 용어의 원래 의미에서 벗어난다고 주장한다. "현실정치"는 19세기 중반 유럽에서 계몽주의와 국가 형성 및 권력 정치의 충돌로부터 등장했다. 뷰는 이 개념이 자유주의적인 계몽주의적 목표가 자유주의적 계몽주의적 규칙을 따르지 않는 세상에서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난제에 답하려는 초기 시도였다고 주장한다.

로하우는 1853년에 이 용어를 만들었고, 1869년에 그의 이전 주장을 더욱 다듬은 두 번째 책을 추가했다. 1848년 봉기까지 파리에서 망명 생활을 했던 로하우는 혁명 기간 동안 돌아와 국민자유당에서 유명 인사가 되었다. 뷰에 따르면, 1848년 혁명의 자유주의적 성과는 강압적인 정부에 희생되거나 계급, 종교, 민족주의와 같은 강력한 사회 세력에 의해 잠식되면서, 로하우는 그렇게 열정적으로 시작했던 일이 지속적인 결과를 낳지 못한 이유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는 계몽주의의 가장 큰 업적은 강함이 반드시 옳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자유주의자들이 저지른 실수는 강자의 법칙이 단지 부당하다는 것이 드러났기 때문에 갑자기 사라졌다고 추정한 것이었다. 로하우는 "예리코 성벽을 무너뜨리기 위해서는 가장 강력한 나팔보다 간단한 곡괭이가 더 유용하다"고 썼다. 로하우의 개념은 19세기 중후반 독일 사상가들에 의해 받아들여졌고, 독일 통일을 추진한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정치술과 연관되었다. 1890년까지 "현실정치"라는 단어의 사용은 널리 퍼졌지만, 원래 의미에서 점점 더 벗어났다.[9]

현대 외교 및 특정 현대 국제 관계 패러다임과 더 관련이 있는 분파 및 선구자는 다음과 같다.

  • 손자: ''손자병법''을 저술한 중국의 군사 전략가로, ''현실 정치''의 요소를 예견했다.
  •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를 저술한 그리스 역사가로, ''현실 정치''의 지적 선구자로 인용된다.
  • 찬드라굽타 마우리아 (또는 카우틸리야): 초기 인도 정치가이자 ''아르타샤스트라''의 저술가.
  • 이븐 할둔: 아랍의 역사학자이자 역사가이며 현대 역사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시간의 보편적인 역사인 무카디마의 저자.
  • 한비: 법가를 이론화하고 전국 시대를 끝내고 중국을 통일한 진나라의 왕을 섬긴 중국 학자. 그의 이론은 통치의 도구로서 형벌과 보상에 대한 두 가지 손잡이에 중점을 둔다. 그는 비밀리에 장관을 통해 행정부를 통제하면서 국가 원수로 활동할 중립적이고 조종적인 통치자에 대한 이론을 세웠으며, 장관들은 모든 정책에 대한 실제 책임을 져야 했다.
  • 니콜로 마키아벨리: 군주의 유일한 목표는 도덕적 고려와 상관없이 자신과 권위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한 ''일 프린치페(Il Principe)''를 저술한 이탈리아 정치 철학자.[10]
  • 리슐리외 추기경: 국내 파벌주의를 극복하고 프랑스를 외교에서 지배적인 위치로 이끈 프랑스 정치가.
  • 토머스 홉스: 자연 상태가 "만인의 만인에 대한 전쟁"에 취약하다고 말한 ''리바이어던''을 저술한 영국 철학자.
  • 프리드리히 대왕: 전쟁과 외교를 통해 프로이센을 유럽의 강대국으로 변모시킨 프로이센 군주.
  • 샤를 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다양한 정치 체제를 통해 프랑스와 유럽을 이끈 프랑스 외교관.
  • 클레멘스 벤젤 폰 메테르니히 공: 정치 혁명에 반대하는 코블렌츠 출신의 오스트리아 정치가.
  •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전쟁론''(''Vom Kriege'')을 저술한 18~19세기 프로이센 장군이자 군사 전략가.
  • 카밀로 벤소 디 카보우르: 외교적으로 사르데냐 왕국을 유럽의 새로운 강대국으로 만들고, 카보우르가 권력을 잡기 전 사르데냐 왕국보다 5배나 큰 거의 통일된 이탈리아를 통치한 이탈리아 정치가.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세력 균형이라는 용어를 만든 프로이센 정치가. 세력 균형은 평화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신중한 ''현실 정치'' 실천가들은 군비 경쟁을 피하려고 노력한다.
  • 20세기 정치 현실주의 지지자: 한스 모겐소, 헨리 키신저, 조지 F. 케넌과 샤를 드골, 리콴유와 같은 정치인들.
  • 마오쩌둥의 세 개의 세계 이론은 엔베르 호자를 포함한 비평가들에 의해 ''현실 정치''로 묘사되며, 이는 강력한 이념적 근거에 기반하지 않고 서방과의 관계를 정당화하는 데에만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

4. 2. 20세기와 그 이후


  • 손자는 ''손자병법''을 저술한 중국의 군사 전략가로, 이는 ''현실 정치''의 요소를 예견했다.[10]
  • 투키디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를 저술한 그리스 역사가로, ''현실 정치''의 지적 선구자로 인용된다.[10]
  • 찬드라굽타 마우리아 (또는 카우틸리야)는 초기 인도 정치가이자 ''아르타샤스트라''의 저술가이다.[10]
  • 이븐 할둔은 아랍의 역사학자이자 역사가이며 현대 역사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시간의 보편적인 역사인 무카디마의 저자이다.[10]
  • 한비법가를 이론화하고 전국 시대를 끝내고 중국을 통일한 진나라의 왕을 섬긴 중국 학자이다. 그의 이론은 통치의 도구로서 형벌과 보상에 대한 두 가지 손잡이에 중점을 둔다. 그는 비밀리에 장관을 통해 행정부를 통제하면서 국가 원수로 활동할 중립적이고 조종적인 통치자에 대한 이론을 세웠으며, 장관들은 모든 정책에 대한 실제 책임을 져야 했다.[10]
  •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군주의 유일한 목표는 도덕적 고려와 상관없이 자신과 권위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한 ''일 프린치페(Il Principe)''를 저술한 이탈리아 정치 철학자이다.[10]
  • 리슐리외 추기경은 국내 파벌주의를 극복하고 프랑스를 외교에서 지배적인 위치로 이끈 프랑스 정치가이다.[10]
  • 토머스 홉스는 자연 상태가 "만인의 만인에 대한 전쟁"에 취약하다고 말한 ''리바이어던''을 저술한 영국 철학자이다.[10]
  • 프리드리히 대왕은 전쟁과 외교를 통해 프로이센을 유럽의 강대국으로 변모시킨 프로이센 군주이다.[10]
  • 샤를 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는 다양한 정치 체제를 통해 프랑스와 유럽을 이끈 프랑스 외교관이다.[10]
  • 클레멘스 벤젤 폰 메테르니히 공은 정치 혁명에 반대하는 코블렌츠 출신의 오스트리아 정치가이다.[10]
  •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전쟁론''(''Vom Kriege'')을 저술한 18~19세기 프로이센 장군이자 군사 전략가이다.[10]
  • 카밀로 벤소 디 카보우르는 외교적으로 사르데냐 왕국을 유럽의 새로운 강대국으로 만들고, 카보우르가 권력을 잡기 전 사르데냐 왕국보다 5배나 큰 거의 통일된 이탈리아를 통치한 이탈리아 정치가이다.[10]
  •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세력 균형이라는 용어를 만든 프로이센 정치가이다. 세력 균형은 평화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신중한 ''현실 정치'' 실천가들은 군비 경쟁을 피하려고 노력한다.[10]
  • 20세기 정치 현실주의 지지자로는 한스 모겐소, 헨리 키신저, 조지 F. 케넌과 샤를 드골, 리콴유와 같은 정치인들이 있다.[10]
  • 마오쩌둥의 세 개의 세계 이론은 엔베르 호자를 포함한 비평가들에 의해 ''현실 정치''로 묘사되며, 이는 강력한 이념적 근거에 기반하지 않고 서방과의 관계를 정당화하는 데에만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10]

4. 3. 지역별 현실정치

오토 폰 비스마르크


리콴유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무하마드 지아울하크


각 국가별 현실정치는 다음과 같다.

국가내용
중국춘추 시대 (기원전 771~476/403년)부터 각 국가의 물질적 이익을 증진하기 위해 "현실적인" 개혁가들이 등장했으며, 진나라는 기원전 221년에 최초의 중화 제국인 진나라를 건국하여 중국의 전국 시대를 종식시켰다.[11] 이 시대에 발전된 정치 이론(유교 포함)은 그 이후 모든 왕조에 영향을 미쳤다. 법가는 유교와 비교하여 더 순수한 "현실 정치적"인[17] 경향을 보이며, 통치자가 사실을 판단하기 위해 수동적 관찰을 하도록 하는 정치 기술을 포함한다. 춘추 시대에는 당시 지배적인 철학이 전쟁을 신사의 활동으로 규정했기에, 군 지휘관들은 전투에서 하늘의 법이라고 인식하는 것을 존중하도록 지시받았다.[18] 예를 들어, 송 양공[19]은 전국 시대에 초나라와 전쟁을 벌였을 때, 적군이 강을 건너는 동안 공격할 기회를 거절했다. 중국의 행정 조직은 12세기 이전에 다른 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서구의 행정 관행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과거[12]를 사용하여 문관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현대 국가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3][14][15][16]
독일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정치는 가능한 것의 예술이다."라고 표현했으며, [20] 프로이센 왕국의 빌헬름 1세 재상(1862–1890)이었다. 비스마르크는 독일에서 프로이센의 지배를 달성하기 위해 현실정치를 사용했다. 그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와 같은 정치적 쟁점들을 조작하여 다른 국가들을 적으로 만들고, 필요하다면 전쟁을 일으켰다. 이러한 정책은 비스마르크의 특징이며, "현실" 정치 세계에 대한 실용적인 관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직원 보험과 연금과 같은 사회주의자들의 일부 사회 정책을 채택하여, 하향식으로 작은 변화를 주어 상향식으로 큰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을 피했다. 패배한 오스트리아 제국으로부터 영토를 요구하지 않은 프로이센의 겉으로는 비논리적인 움직임은 이후 독일 통일로 이어진 현실정치의 예시이다.[20] 미국에서는 현실정치라는 용어가 종종 강력 정치와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독일에서는 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며, 이상주의적 정치와 반대되는 현실적인 정치를 의미한다. 현실정치 정책은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에 실패한 1848년 혁명에 대한 대응으로 국가를 강화하고 사회 질서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싱가포르리콴유는 싱가포르 초대 총리를 지낸 인물로, 그의 통치에서 보여준 해박한 정책으로 인해 많은 정치 분석가들에게 실용주의자로 여겨져 왔다. 그는 싱가포르가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능력주의 체제 하에서 효과적이고 부패하지 않은 정부와 공무원을 구축하여 주변국과 차별화하는 것이라고 믿었다.[21][22] 또한 싱가포르가 중립을 유지하면서도 강력한 군사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믿었으며, 이는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국가의 독립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아시아적 가치의 옹호자인 그는 아시아 사회가 서구 세계와 다른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가치를 실천하는 것이 집단주의와 공동체주의를 포함하는 아시아 국가로서 성공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23] 리콴유는 싱가포르의 유일한 천연자원은 국민의 끈기와 강한 직업 윤리이며, 이러한 사고방식을 국가의 모든 민족 집단으로 확산시켰다고 설명했다.[24][25] 그는 청년기에 좌익 정치 사상을 지지했지만, 지도자로서는 보수주의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광범위한 국가 복지와 보조금이 개인의 성공에 대한 의지를 약화시킨다고 결론지었다.[24] 그의 정부는 중등학교까지의 무상 공교육, 국가 주택, 강제적 종합 저축 및 연금 계획, 보편적 의료 보장, 시민적 민족주의 입장을 포함하는 사회 정책을 제정했다.[26] 1975년, 찬헹치는 싱가포르를 탈정치화된 "행정 국가"로 묘사했으며, 이념과 정치가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공공 행정 방식"으로 대체되었다고 말했다. 싱가포르 정부가 실용주의를 자처하지만, 실제로는 이념과 정치의 부재를 주장하여 이념적 작업과 정치적 본질을 위장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7] 추아벵홧는 1995년에 싱가포르의 실용주의 수사가 인민행동당 정부에 의해 공론장에서 채택 및 확산되고 모든 행정, 계획 및 정책 결정 기능에서 국가 전체에 제도화된 본질적으로 이념적이고 헤게모니적이라고 주장했다.[28] 많은 세계 지도자들이 리콴유의 정치적 지식을 실용적이고 "통찰력"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29][30]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개인적으로 [리콴유의] 지혜에 감사했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는 리콴유를 "아시아가 배출한 현대의 가장 위대한 지도자 중 한 명"이자 "오늘날 싱가포르의 번영의 기초를 놓은 위대한 아시아 지도자"라고 말했다.[31] 토니 애보트 전 오스트레일리아 총리는 리콴유를 "우리 지역의 거인"이라고 언급하며 "그의 비전과 결단력 덕분에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국가 중 하나"라고 말했다.[32] 헨리 키신저는 리콴유를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실용주의자" 중 한 명이라고 묘사했다.[33]
영국E. H. 카는 현실주의적 자유주의자이자 좌익 성향의 영국의 역사가이자 국제 관계 이론가로서 유토피아적 정책보다는 현실적인 국제 정책을 옹호했다. 카는 현실주의를 존재하는 것이 옳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묘사했다. 그는 정치에서 현실주의는 도덕적 차원이 없으며 성공적인 것은 옳고 실패한 것은 그르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카는 볼셰비키러시아 내전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확신했으며, 현실 정치를 근거로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영국 총리가 반볼셰비키 백군에 대한 군사 지원을 지지하는 윈스턴 처칠 국방부 장관에 반대하는 것을 지지했다.[34] 카의 견해에 따르면, 처칠의 반볼셰비키 지원은 어리석은 짓이었는데, 볼셰비키의 지도 아래 러시아는 다시 한번 강대국이 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미국미국의 현실정치는 1960년대 즈비그뉴 브레진스키의 영향으로 시작되었으며, 그는 이후 지미 카터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을 역임했다.[35] 매카시즘 시대의 적대감과 존 포스터 덜레스의 군사적 "해방" 발언과는 반대로, 브레진스키는 존 F. 케네디린든 B. 존슨 대통령에게 소련과의 "평화적 관여"를 제안했다. 그는 공산주의 통치하의 정권 및 사람들과의 빈번한 교류를 통해 미국이 더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동구권 사람들의 고된 경제 현실을 알고 있었으며, 그들이 소련에 묶여 있는 것은 공통된 이념이라기보다는 역사적 필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았다. 브레진스키는 경제적, 교육적, 문화적 교류를 통해 이들 국가를 유인하고, 자유화의 조짐을 보이거나 모스크바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 정권에 대한 특혜를 제공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공허한 정치적 수사에 대한 현실적이고 진화적인 대안을 제시"했다.[35] 헨리 키신저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국무장관으로서 백악관에 공식적으로 현실정치 정책을 도입한 것으로 평가받는다.[36] 이 정책은 공산주의에 대한 미국의 반대와 이전의 봉쇄 정책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닉슨 외교와 같이 정치적 교리나 윤리가 아닌 실질적인 방식으로 다른 강대국과 거래하는 것을 의미했다.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이후 키신저의 셔틀 외교는 석유 위기로 인해 발생한 정치적 현실에 따라 이스라엘이 시나이 반도에서 부분적으로 철수하도록 설득했다. 키신저 본인은 자신이 현실정치라는 용어를 사용한 적이 없다고 말했으며, 자유주의적, 현실주의적 외교 정책 사상가 모두가 이 용어를 사용한다고 밝혔다.[37] 그는 국무장관이자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재직하면서 시행한 정책들을 정치인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이러한 정치적 사고방식은 키신저의 저서 세계의 회복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존 뷰는 자신의 저서 현실정치에서 이를 지적했다. 키신저는 정치인의 역할은 "실제의 세력 관계를 인식하고 이 지식을 자신의 목적에 봉사하도록 하는 능력"이라고 말했다.[38][39] 현실정치 원칙이 미국의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표준 정책은 아니다. 현실정치의 범위와 영향력은 상황의 필요에 따라 변화하는 실용적이고 유연한 정책에서 발견된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도 이러한 정책 결정을 볼 수 있었다. 뷰는 오바마 행정부에서 이러한 방향성을 언급했는데, 오바마의 비서실장인 럼 이매뉴얼은 뉴욕 타임스 기사에서 "만약 그를 한 범주로 넣어야 한다면, 그는 부시 41세와 같은 현실정치에 더 가깝다 [...] 당신은 당신 국가의 자국 이익에 대해 냉철해야 한다"고 언급했다.[40] 현실정치는 고정된 규칙에 의해 지배되지 않고 목표 지향적이며 실제적인 필요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국익을 확보하는 가장 실용적인 수단을 지향하기 때문에 종종 이념적 원칙에 대한 타협을 수반할 수 있다. 냉전 기간 동안 미국은 지역 안보라는 더 큰 국익을 확보하기 위해 인권 침해를 저지르는 권위주의 정권을 지원했다.[41][42][43][44] 냉전 종식 이후에도 이러한 관행은 계속되었다.[45][46][47][48] 데니스 로스 전 대사는 2007년 저서 국가 통치에서 이러한 외교 정책 접근 방식을 옹호했다. 정치적 이념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고려 사항보다 원칙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들의 이상을 포기하는 것으로 보이는 타협을 거부하고, 장기적인 목표를 구성한다고 믿는 원칙을 고수하기 위해 정치적 이득을 희생할 수 있다.
파키스탄1970년대 파키스탄과 미국의 관계는 파키스탄의 핵 프로그램[14]줄피카르 알리 부토 대통령의 처형으로 인해 악화되었다.[49] 이란 혁명의 맥락에서 지미 카터 대통령은 파키스탄과의 관계 개선을 원했다. 1977년 파키스탄 군사 쿠데타로 인해 정치적 혼란이 발생하여 1977년 무하마드 지아울하크 장군이 권력을 잡았다.[31] 지아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속에서 미국과 협력함으로써 파키스탄이 얻을 수 있는 즉각적인 전략적 이익을 인지했다.[20] 파키스탄은 전략적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미국의 중대한 관심사가 되었으며, 미국은 군사 및 재정 지원을 제공했다.[26] 지아는 처음에 미국(카터 행정부)이 제공한 4억달러 규모의 원조를 "땅콩"이라며 거절했다. 그러나 로널드 레이건 취임 후 미국과 파키스탄은 32억달러 규모의 군사 및 경제 원조 패키지에 합의했다.[6][25] 지아의 지도력 아래 파키스탄은 아프간 무자헤딘을 훈련시키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28] 파키스탄은 미국과 협력했지만 아프간 전쟁 동안 소련과의 외교 관계를 유지했는데, 이는 실용적인 외교에 기반을 두었다. 지아 대통령의 주요한 현실 정치 결정 중 하나는 파키스탄 핵 프로그램에서의 그의 역할이었다. 국제적 압력 속에서 그는 제재 위협[29]을 무시하고 핵 확산 방지 국제 규범보다 국가 이익을 우선시했다. 핵무기 개발은 1974년에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실시한 인도에 대한 억제력으로 간주되었다.[30]


4. 3. 1. 중국

춘추 시대 (기원전 771~476/403년)부터, 각자의 국가의 물질적 이익을 증진하기 위해 "현실적인" 개혁가들이 등장했으며, 진나라는 기원전 221년에 최초의 중화 제국인 진나라를 건국하여 중국의 전국 시대를 종식시켰다.[11] 이 시대에 발전된 정치 이론(유교를 포함)은 그 이후 모든 왕조에 영향을 미쳤다.

법가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유교와 비교하여 더 순수한 "현실 정치적"인[17] 경향을 보이며, 통치자가 너무 많은 것을 스스로 처리하기보다는 사실을 판단하기 위해 수동적 관찰을 하도록 하는 법가가 아닌 신불해에서 파생된 정치 기술을 포함한다. 중국학자 허를리 G. 크릴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만약 과장하고 싶다면, (근본적인 현실주의자) 신불해의 용어인 術(술) 또는 기술을 '과학'으로 번역하고, 부해가 최초의 정치학자라고 주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크릴은 "이렇게까지 하고 싶지는 않다."[13]

춘추 시대에는 당시 지배적인 철학이 전쟁을 신사의 활동으로 규정했기에, 군 지휘관들은 전투에서 하늘의 법이라고 인식하는 것을 존중하도록 지시받았다.[18] 예를 들어, 송 양공[19]은 전국 시대에 초나라와 전쟁을 벌였을 때, 적군(주가 지휘)이 강을 건너는 동안 공격할 기회를 거절했다.

중국의 행정 조직은 12세기 이전에 다른 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서구의 행정 관행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과거[12]를 사용하여 문관에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현대 국가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3][14][15][16]

4. 3. 2. 독일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현실정치''와 연관되는 독일의 정치인으로, "정치는 가능한 것의 예술이다."라고 표현했다.[20] 그는 프로이센 왕국의 빌헬름 1세 재상(1862–1890)이었다. 비스마르크는 독일에서 프로이센의 지배를 달성하기 위해 ''현실정치''를 사용했다. 그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와 호엔촐레른 후보와 같은 정치적 쟁점들을 조작하여 다른 국가들을 적으로 만들고,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전쟁을 일으켰다. 이러한 정책은 비스마르크의 특징이며, "현실" 정치 세계에 대한 실용적인 관점을 보여주었다.

비스마르크는 또한 직원 보험과 연금과 같은 사회주의자들의 일부 사회 정책을 채택하여, 하향식으로 작은 변화를 주어 상향식으로 큰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을 피했다. 패배한 오스트리아 제국으로부터 영토를 요구하지 않은 프로이센의 겉으로는 비논리적인 움직임은 이후 독일 통일로 이어진 ''현실정치''의 예시이다.[20]

미국에서는 현실정치라는 용어가 종종 강력 정치와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독일에서는 다소 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며, 이상주의적 (또는 비현실적인) 정치와 반대되는 현실적인 정치를 의미한다. 특히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와 관련이 깊으며, ''현실정치'' 정책은 실패한 1848년 혁명에 대한 대응으로 국가를 강화하고 사회 질서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4. 3. 3. 싱가포르



싱가포르의 초대 총리를 지낸 리콴유는 많은 정치 분석가들에게 싱가포르 통치에서 보여준 그의 해박한 정책으로 실용주의자로 여겨져 왔다. 그는 싱가포르가 주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국가로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능력주의 체제 하에서 고도로 효과적이고 부패하지 않은 정부와 공무원을 구축함으로써 주변국과 차별화하는 것이라고 믿었다.[21][22] 그는 또한 싱가포르가 중립을 유지하면서도 강력한 군사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믿었으며, 이는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국가의 독립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아시아적 가치의 강력한 옹호자인 그는 아시아 사회가 서구 세계와 다른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가치를 실천하는 것이 국가, 특히 집단주의와 공동체주의를 포함하는 아시아 국가로서 성공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23]

리콴유는 싱가포르의 유일한 천연자원은 국민의 끈기와 강한 직업 윤리이며, 이러한 사고방식을 국가의 모든 민족 집단으로 확산시켰다고 설명했다.[24][25] 그는 청년기에 좌익 정치 사상을 지지했지만, 지도자로서 보수주의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광범위한 국가 복지와 보조금이 개인의 성공에 대한 의지를 약화시킨다고 결론지었다.[24]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부는 최소한 중등학교까지의 무상 공교육, 국가 주택, 강제적 종합 저축 및 연금 계획, 보편적 의료 보장, 시민적 민족주의 입장을 포함하는 사회 정책을 제정했다.[26]

1975년, 찬헹치는 싱가포르를 탈정치화된 "행정 국가"로 묘사했으며, 이념과 정치가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공공 행정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대체되었다고 말했다. 싱가포르 정부가 실용주의를 완강하게 자처함으로써, 실제로 이념과 정치의 부재를 주장하여 이념적 작업과 정치적 본질을 위장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7] 추아벵홧는 1995년에 싱가포르의 실용주의 수사가 인민행동당 정부에 의해 공론장에서 채택 및 확산되고 모든 행정, 계획 및 정책 결정 기능에서 국가 전체에 제도화된 본질적으로 이념적이고 헤게모니적이라고 주장했다.[28]

많은 세계 지도자들이 리콴유의 정치적 지식을 실용적이고 "통찰력"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29][30] 전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개인적으로 [리콴유의] 지혜에 감사했다"고 말했다. 아시아적 가치를 옹호한 전 일본 총리 아베 신조는 리콴유를 "아시아가 배출한 현대의 가장 위대한 지도자 중 한 명"이자 "오늘날 싱가포르의 번영의 기초를 놓은 위대한 아시아 지도자"라고 말했다.[31] 전 오스트레일리아 총리 토니 애보트는 리콴유를 "우리 지역의 거인"이라고 언급하며 "그의 비전과 결단력 덕분에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국가 중 하나"라고 말했다.[32] 헨리 키신저는 리콴유를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실용주의자" 중 한 명이라고 묘사했다.[33]

4. 3. 4. 영국

E. H. 카는 현실주의적 자유주의자이자 좌익 성향의 영국의 역사가이자 국제 관계 이론가로서 유토피아적 정책보다는 현실적인 국제 정책을 옹호했다. 카는 현실주의를 존재하는 것이 옳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묘사했다. 따라서 그는 정치에서 현실주의는 도덕적 차원이 없으며 성공적인 것은 옳고 실패한 것은 그르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카는 볼셰비키러시아 내전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확신했으며, ''현실 정치''를 근거로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영국 총리가 반볼셰비키 백군에 대한 군사 지원을 지지하는 윈스턴 처칠 국방부 장관에 반대하는 것을 지지했다.[34] 카의 견해에 따르면, 처칠의 반볼셰비키 지원은 어리석은 짓이었는데, 볼셰비키의 지도 아래 러시아는 다시 한번 강대국이 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4. 3. 5. 미국

미국의 ''현실정치''는 1960년대 폴란드계 미국인 즈비그뉴 브레진스키의 영향으로 시작되었으며, 그는 이후 지미 카터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을 역임했다.[35] 매카시즘 시대의 적대감과 존 포스터 덜레스의 군사적 "해방" 발언과는 반대로, 브레진스키는 존 F. 케네디린든 B. 존슨 대통령에게 조언하면서 소련과의 "평화적 관여"를 제안했다. 그는 미국을 위한 반소련 선전을 하는 데 관심이 없었으며, 공산주의 통치하의 정권 및 사람들과의 빈번한 교류를 통해 미국이 더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상품 부족이 만성화된 동구권 사람들의 고된 경제 현실을 알고 있었으며, 그들이 소련에 묶여 있는 것은 공통된 이념이라기보다는 역사적 필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았다. 브레진스키는 지식인들에게 호소할 수 있는 경제적, 교육적, 문화적 교류를 통해 이들 국가를 유인하고, 자유화의 조짐을 보이거나 모스크바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 정권에 대한 특혜를 제공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공허한 정치적 수사에 대한 현실적이고 진화적인 대안을 제시"했다.[35]

헨리 키신저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국무장관으로서 백악관에 공식적으로 ''현실정치'' 정책을 도입한 것으로 평가받는다.[36] 이러한 맥락에서 이 정책은 공산주의에 대한 미국의 반대와 이전의 봉쇄 정책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닉슨 외교와 같이 정치적 교리나 윤리가 아닌 실질적인 방식으로 다른 강대국과 거래하는 것을 의미했다. 또 다른 예는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이후 키신저의 셔틀 외교로, 그는 석유 위기로 인해 발생한 정치적 현실에 따라 이스라엘이 시나이 반도에서 부분적으로 철수하도록 설득했다.

키신저 본인은 자신이 ''현실정치''라는 용어를 사용한 적이 없다고 말했으며, 자유주의적, 현실주의적 외교 정책 사상가 모두가 편을 선택하고 비판하고 촉진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한다고 밝혔다.[37] 그는 국무장관이자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재직하면서 시행한 정책들을 ''현실정치''를 표준 정책으로 만드는 틀 안에서가 아니라, 정치인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이러한 정치적 사고방식은 키신저의 저서 ''세계의 회복''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역사학자 존 뷰는 자신의 저서 ''현실정치''에서 이를 지적했다. 키신저는 정치인의 역할은 "실제의 세력 관계를 인식하고 이 지식을 자신의 목적에 봉사하도록 하는 능력"이라고 말했다.[38][39]

이러한 맥락에서 ''현실정치'' 원칙이 미국의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표준 정책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실정치''의 범위와 영향력은 대신 상황의 필요에 따라 변화하는 실용적이고 유연한 정책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유형의 정책 결정은 최근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도 볼 수 있었다. 뷰는 오바마 행정부에서 이러한 방향성을 언급했는데, 오바마의 비서실장인 럼 이매뉴얼은 ''뉴욕 타임스'' 기사에서 모든 사람이 이상주의자와 현실주의자의 대조로 나누고 싶어했지만, "만약 그를 한 범주로 넣어야 한다면, 그는 부시 41세와 같은 현실정치에 더 가깝다 [...] 당신은 당신 국가의 자국 이익에 대해 냉철해야 한다"고 언급했다.[40]

''현실정치''는 고정된 일련의 규칙에 의해 지배되지 않고 대신 목표 지향적인 경향이 있으며 실제적인 필요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점에서 이념적 정치와 구별된다. 국익을 확보하는 가장 실용적인 수단을 지향하기 때문에 종종 이념적 원칙에 대한 타협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전 기간 동안 미국은 종종 지역 안보라는 더 큰 국익을 확보하기 위해 인권 침해를 저지르는 권위주의 정권을 지원했다.[41][42][43][44] 냉전 종식 이후에도 이러한 관행은 계속되었다.[45][46][47][48]

가장 최근에는 전 대사 데니스 로스가 2007년 저서 ''국가 통치: 그리고 어떻게 미국의 위상을 회복할 것인가''에서 이러한 외교 정책 접근 방식을 옹호했다. 이상형에 비추어 볼 때, 정치적 이념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고려 사항보다 원칙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개인이나 집단은 자신들의 이상을 포기하는 것으로 보이는 타협을 거부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목표를 구성한다고 믿는 원칙을 고수하기 위해 정치적 이득을 희생할 수 있다.

4. 3. 6. 파키스탄



1970년대 파키스탄과 미국의 관계는 파키스탄의 핵 프로그램[14]줄피카르 알리 부토 대통령의 논란이 많은 처형으로 인해 악화되었다.[49]

이란 혁명의 맥락에서 지미 카터 대통령은 파키스탄과의 관계 개선을 원했다. 1977년 파키스탄 군사 쿠데타로 인해 정치적 혼란이 발생하여 1977년 무하마드 지아울하크 장군이 권력을 잡았다.[31] 지아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속에서 미국과 협력함으로써 파키스탄이 얻을 수 있는 즉각적인 전략적 이익을 인지했다.[20]

파키스탄은 전략적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미국의 중대한 관심사가 되었으며, 미국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동안 제너럴 다이내믹스 F-16 파이팅 팔콘을 포함한 군사 및 재정 지원을 제공했다.[26]

지아는 처음에 미국(카터 행정부)이 제공한 4억달러 규모의 원조를 "땅콩"이라며 거절했다. 그러나 로널드 레이건이 취임하여 사이클론 작전과 파키스탄에 대한 지원을 늘리려고 하자 미국과 파키스탄은 32억달러 규모의 군사 및 경제 원조 패키지에 합의했다.[6][25]

지아의 지도력 아래 파키스탄은 아프가니스탄의 소련 지원 정부에 반대하기 위한 사이클론 작전과 함께 아프간 무자헤딘을 훈련시키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28]

파키스탄은 미국과 협력했지만 아프간 전쟁 동안 소련과의 외교 관계를 유지했는데, 이는 진정한 파트너십보다는 실용적인 외교에 기반을 두었다.

지아 대통령의 주요한 ''현실 정치'' 결정 중 하나는 파키스탄 핵 프로그램에서의 그의 역할이었다. 국제적 압력 속에서 그는 제재 위협[29]을 무시하고 핵 확산 방지 국제 규범보다 국가 이익을 우선시했다. 핵무기 개발은 1974년에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실시한 파키스탄의 역사적 라이벌 인도에 대한 억제력으로 간주되었다.[30]

참조

[1] 뉴스 Realpolitik: A History https://www.foreigna[...] 2024-11-21
[2] 웹사이트 realpolitik {{!}} Etymology of realpolitik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4-11-21
[3] 서적 Realpolitik: A History 2016
[4] 웹사이트 Realpolitik {{!}} Power, Pragmatism, Realism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1-21
[5] 서적 Realpolitik John Wiley & Sons, Ltd 2014
[6] 웹사이트 Hans-Dietrich Genscher: A Life of Longing for Stability https://www.handelsb[...] 2022-02-02
[7] 서적 No Virtue Like Necessity: Realist Thought in International Relations since Machiavelli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Grundsätze der Realpolitik angewendet auf die staatlichen Zustände Deutschlands https://books.google[...]
[9] 서적 Real Realpolitik: A History https://www.loc.gov/[...] The Library of Congress
[10] 서적 History of Political Philosoph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06-15
[11] 문서 Wealth and Power
[12] 문서 Known as the [[imperial examination]] ({{zh|t={{linktext|科舉}}|s={{linktext|科举}}}}) in China
[13] 간행물 Shen Pu-Hai: A Secular Philosopher of Administration 1974-03
[14] 문서
[15] 문서 Origins of Statecraft in China
[16] 웹사이트 Legalism and the Legalists of Ancient China http://www.sjsu.edu/[...]
[17] 문서 ''Civilization and Realpolitik'', by Prasenjit Duara, India International Centre Quarterly, Vol. 36, No. 3/4, INDIACHINA Neighbours Strangers (WINTER 2009 SPRING 2010), pp. 20-33
[18] 문서 Morton 1995, p. 26
[19] 문서 Not to be confused with any Duke of the [[Song dynasty]] of a later period
[20] 간행물 Bismarck's "Realpolitik" https://www.jstor.or[...] 1958
[21] 웹사이트 Lee Kuan Yew's Troubling Legacy for Americans https://www.theatlan[...] 2020-11-14
[22] 웹사이트 Lee Kuan Yew's hard truths https://www.opendemo[...] 2020-11-14
[23] 간행물 Asian Values Debate https://doi.org/10.1[...] 2020-12-30
[24] 서적 Southeast Asian Personalities of Chinese Descent, Vol. 1: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5-07-28
[25] 웹사이트 Optimism for the New Millennium. http://www.nzbr.org.[...] Rotary Club of Wellington North 2006-05-10
[26] 서적 The Singapore Story: Memoirs of Lee Kuan Yew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2012-09-15
[27] 간행물 The Ideology of Pragmatism: Neo-liberal Globalisation and Political Authoritarianism in Singapore 2012-02
[28] 서적 Communitarian ideology and democracy in Singapore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5
[29] 웹사이트 Lee Kuan Yew: Singapore's great pragmatist https://www.abc.net.[...] 2015-03-23
[30] 웹사이트 Lee Kuan Yew: A Tribute to a Visionary Pragmatist https://thediplomat.[...] 2015-03-27
[31] 웹사이트 Tributes from around the world pour in for Mr Lee Kuan Yew https://www.todayonl[...] 2020-11-14
[32] 웹사이트 Lee Kuan Yew - Message from PM Tony Abbott https://singapore.em[...] Government of Australia 2020-12-30
[33] 뉴스 Kissinger: The world will miss Lee Kuan Yew https://www.washingt[...] 2015-03-23
[34] 문서 "Edward Hallett Carr, 1892–1982"
[35] 서적 Zbig: The Strategy and Statecraft of Zbigniew Brzezinski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17-06-01
[36] 간행물 Time to Rethink Realpolitik http://www.newstates[...] 2011-06-25
[37] 논문 The Limits of Universalism 2012-06
[38] 서적 A World Restored: Metternich, Castlereagh and the Problems of Peace, 1812–1822 Weidenfeld & Nicolson
[39] 서적 Realpolitik: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40] 서적 Realpolitik: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Foreign Policy, Volume 1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42] 서적 Deepening democracy: global governance and political reform in Latin Americ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43] 서적 The limits of empire: the United States and Southeast Asia sinc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44] 서적 A Century of Revolution Duke University Press
[45] 뉴스 US resumes arms sales to Bahrain. Activists feel abandoned http://www.csmonitor[...] 2012-05-14
[46] 뉴스 America's Allies Are Funding ISIS http://www.thedailyb[...] 2014-06-14
[47] 웹사이트 US support for human rights abroad: The case of Saudi Arabia http://www.csmonitor[...] CSMonitor.com 2014-01-28
[48] 간행물 5 dictators the U.S. still supports http://theweek.com/a[...] 2011-02-03
[49] 뉴스 Pakistan's Zulfikar Ali Bhutto executed - archive https://www.theguard[...] 2016-04-05
[50] 논문 トライチュケとビスマルクの「現実政治」(Realpolitik) : トライチュケ研究のための一つの試みとして https://cir.nii.ac.j[...]
[51] 웹사이트 realpolitik | political philosophy | Britannica.com http://global.britan[...]
[52] 문서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Relations: M-R
[53] 웹사이트 Real Realpolitik | Insights: Scholarly Work at the John W. Kluge Center http://blogs.loc.gov[...] 2014-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