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독교와 불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와 불교는 서로 다른 종교이지만, 초기 기독교 성립에 불교가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과 반론이 존재한다. 일부 학자들은 아소카왕의 선교 활동, 예수와 붓다의 유사한 생애, 도마 복음서와 나그 함마디 문서 등을 근거로 불교의 영향을 주장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영지주의 문서의 특성, 역사적 증거 부족, 두 종교의 근본적인 차이 등을 들어 반박한다. 근대 이후 기독교는 불교의 근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종교 교육, 의식, 학문, 윤리 등에서 기독교적 모델을 모방한 '프로테스탄트 불교'가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기독교는 창조주 신앙, 종말론, 은총, 십자가형 등에서 불교와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며, 불교의 파계 전통과 제의적 요소, 사회 구조, 평등 사상, 예수와 보살의 차이점 등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와 다른 종교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 불교와 다른 종교 - 불교와 힌두교
    불교와 힌두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한 종교 및 철학 체계로, 다르마, 업, 윤회, 해탈 등의 개념을 공유하며, 역사적으로 상호 영향을 주고받았고, 현대에는 상호 존중과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 기독교와 다른 종교 - 바히라
    바히라는 시리아어에서 유래된 수도사를 지칭하는 단어이며 이슬람 전통에서는 무함마드의 예언자적 자질을 알아본 수도승의 이름으로 등장하지만, 역사성과 관련된 논쟁이 존재한다.
  • 기독교와 다른 종교 - 유대교와 기독교
    유대교는 토라와 구전 토라를 통해 하느님과의 언약을 강조하며,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새로운 언약을 제시하고 구원을 믿는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며, 선민사상, 삼위일체, 율법 해석 등 다양한 신학적, 윤리적 관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기독교와 불교
개요
주제불교와 기독교의 비교
관련 종교불교
기독교
교리 및 철학
불교: 무신론 또는 다신론 (맥락에 따라 다름)
기독교: 유일신론
창조불교: 창조주 개념 없음; 윤회와 업
기독교: 신에 의한 창조
구원불교: 개인의 노력과 깨달음을 통한 해탈
기독교: 신의 은총과 믿음을 통한 구원
내세불교: 윤회 (업에 따른 환생)
기독교: 천국 또는 지옥
주요 가르침불교: 사성제, 팔정도, 연기법
기독교: 삼위일체, 사랑, 용서
역사 및 문화
창시자불교: 싯다르타 고타마 (부처)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경전불교: 삼장 (팔리어 경전, 대장경)
기독교: 성경
주요 분파불교: 상좌부 불교, 대승 불교, 티베트 불교
기독교: 가톨릭, 정교회, 개신교
예배 장소불교: 사찰, 정사
기독교: 교회, 성당
상징불교: 법륜, 연꽃
기독교: 십자가
윤리 및 도덕불교: 오계 (살생, 도둑질, 간음, 거짓말, 술 멀리하기 금지)
기독교: 십계명 (하나님 숭배, 우상 숭배 금지, 살인 금지, 간음 금지, 도둑질 금지, 거짓 증언 금지 등)
수행 및 실천
기도불교: 명상, 만트라, 예불
기독교: 기도, 찬양
의례불교: 수계식, 결혼식, 장례식
기독교: 세례, 성찬식, 결혼식, 장례식
명상불교: 마음챙김, 위빠사나, 간화선
기독교: 관상 기도, 묵상
자선 및 봉사불교: 보시, 자비
기독교: 사랑, 구제
사회적 영향
사회 참여불교: 사회 복지, 평화 운동
기독교: 선교, 교육, 의료 봉사
정치적 입장불교: 다양한 입장 (평화주의, 사회 참여)
기독교: 다양한 입장 (보수주의, 진보주의)
관계
역사적 관계불교와 기독교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관계를 맺어왔다.
때로는 경쟁 관계, 때로는 상호 영향 관계를 보이기도 했다.
현대적 관계현대 사회에서는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이 강조되고 있다.
불교와 기독교는 공통의 가치를 추구하며 사회 문제 해결에 협력하기도 한다.

2. 초기 기독교와 불교의 관계

불교사는 기원전 6세기경 현재의 부다가야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는 가장 오래된 종교 중 하나이다.[6] 반면 기독교의 기원은 1세기 초 로마 유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3세기 인도 불교 왕 아쇼카가 작성한 이중 언어 칙령(그리스어 및 아람어). 칸다하르에서 발견되었으며, 아쇼카 칙령 참조. 이 칙령은 그리스어 용어 Eusebeia를 사용하여 "경건함"을 채택할 것을 옹호한다. 카불 박물관 소장.


동방 초기 선교사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의 모자이크


1930년대부터 윌 듀란트와 같은 작가들은 고대 시리아, 이집트, 그리스로 여행한 아쇼카 대왕의 그레코-불교 대표자들이 기독교 가르침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7] 불교는 동부 그리스 세계에서 두드러졌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을 계승한 동부 그리스 왕국(그레코-박트리아 왕국(기원전 250년 – 기원전 125년) 및 인도-그리스 왕국(기원전 180년 – 서기 10년))의 공식 종교가 되었다. 몇몇 저명한 그리스 불교 선교사들(마하 다르마라크시타와 다르마라크시타)이 알려져 있으며, 인도-그리스 왕 메난드로스 1세는 불교로 개종하여 불교의 위대한 후원자 중 한 명이 되었다.(밀린다 왕문 참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의 불교 묘비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달마 차크라의 묘사로 장식되어 발견되었으며, 이는 기독교가 시작될 당시 헬레니즘 이집트에 불교 신자들이 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11] 알렉산드리아에 불교 신자들이 존재했다는 사실은 한 저자가 "나중에 바로 이 장소에서 기독교의 가장 활발한 중심지 중 일부가 설립되었다."라고 언급하게 했다.[9]

초기 기독교 지도자들이 붓다와 일부 불교 이야기를 알고 있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성 제롬(서기 4세기)은 붓다의 탄생에 대해 언급하며 "처녀의 옆구리에서 태어났다"고 말했다. 초기 교회 교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서기 215년 사망)도 붓다를 알고 있었으며, 그의 스트로마타(제1권, 제15장)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인도의 수행자도 그 숫자에 포함되며, 다른 야만인 철학자들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이들 중에는 두 계급이 있는데, 그 중 일부는 사마나라고 불리고 다른 일부는 브라만이라고 불린다. 그리고 '힐로비'라고 불리는 사마나는 도시에 살지도 않고, 그 위에 지붕도 없으며, 나무 껍질을 입고, 견과를 먹고, 손으로 물을 마신다. 오늘날의 엔크라테스와 마찬가지로 그들은 결혼이나 자녀를 낳는 것을 알지 못한다. 또한 일부 인도인들은 그의 특별한 성스러움 때문에 신성한 영예를 부여한 붓다(Βούττα)의 가르침에 순종한다.

19세기에 일부 학자들은 불교와 기독교의 수행 방식 간의 유사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1878년, T.W. 라이스 데이비즈는 티베트에 최초로 파견된 선교사들이 처음으로 알려진 접촉 이후 유사점을 관찰했다고 기록했다.[17] 1880년, 어네스트 드 번센은 예수의 십자가 죽음과 기독교의 속죄 교리를 제외하면, 가장 오래된 불교 기록이 기독교 전통과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는 비슷한 관찰을 했다.[18]

20세기 후반, 역사가 제리 H. 벤틀리는 "불교가 기독교의 초기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고 "붓다와 예수의 탄생, 생애, 교리, 죽음에 관한 많은 유사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 제14대 달라이 라마 텐진 걈초는 2001년 "예수 그리스도 역시 이전 생을 살았다"고 말하며, "보살이나 깨달은 사람으로서 불교 수행이나 그와 비슷한 방식으로 높은 경지에 도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20]

2. 1. 기독교 성립에 대한 불교 영향설

일부 학자들은 불교기독교 성립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아소카왕(260–218 BCE) 때의 불교 전파


유명한 역사학자이자 저술가인 윌 듀란트는 아소카왕이 불교 선교사들을 인도의 모든 지역과 실론, 시리아, 이집트, 그리스까지 보냈으며, 아마도 이들이 기독교 윤리학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이라고 지적한다.[158] 미국의 역사학자 케네스 스콧 라투레트는 예수가 태어난 시기에, "불교는 이미 인도, 실론(스리랑카), 중앙 아시아, 중국에 널리 퍼져있었다."고 한다.[159]

기원전 270년경, 인도에서는 아소카왕이 집권했다. 그는 불교로 개종하여 선교사들을 전 세계에 파견해서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전파했다. 아소카왕은 그의 미션이 서방 국가들에게 우호적으로 수용되었다고 기록하였다.

일부 학자들은 예수가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도마 복음서와 나그 함마디 텍스트(Nag Hammadi texts)는 이러한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고 믿는다. 이러한 이론들은 엘레인 페이글스의 The Gnostic Gospels (1979)와 Beyond Belief (2003), Elmar R. Gruber와 Holger Kersten의 The Original Jesus (1995)와 같은 책들에 의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초기 종교 비교에 있어서 가장 최초이고 가장 유명한 학자 중 한 명인 막스 뮐러1883년 영국에서 출판된 그의 책 "India: What it can teach us"에서 "불교와 기독교 사이에 깜짝 놀랄 만한 일치성이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그리고 불교가 기독교 보다 최소한 4백년 이전에 존재했었다는 점 또한 인정해야만 한다. 만약 어떤 이가 불교가 초기 기독교에 영향을 준 역사적인 경로를 나에게 가르쳐 줄 수 있다면, 나는 매우 감사하게 여길 것이다."라고 서술하고 있다.

독일 라이프치히 대학교의 루돌프 자이델(Rudolf Seydel) 교수는 1882년에 "The Gospel of Jesus in relation to the Buddha Legend"을 출판하였고, 1897년에 "The Buddha Legend and the Life of Jesus"을 출판하였다. 그의 책에서, 그는 불교와 기독교의 내용을 비교해 보니, 최소한 50개의 스토리가 일치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E. Washburn Hopkins 예일 대학교 교수는 그의 책 "History of Religions"에서, "예수의 삶, 유혹(temptation), 기적, 우화(parables), 그리고 제자들(disciples)까지도 불교로부터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라고 서술했다.[160]

역사학자 Jerry H. Bentley는 불교가 기독교의 초기 발달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벤틀리는 학자들이 석가모니와 예수의 탄생, 삶, 교리, 죽음이 많이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했다고 보고 있다.[161]

Buddhism Omnibus의 Iqbal Singh는 초기에 역사적으로 상호교류가 있었다는 점과 초기 기독교 형성에 대한 불교의 영향을 인정한다.[162]

심리학자인 Elmar R. Gruber와 종교역사 전문가인 Holger Kersten는 불교가 예수의 삶과 가르침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163] Gruber와 Kersten은 예수가 상좌부불교(Theravada)의 스승들인 테라페우테(Therapeutae: 치유자들)에 의해 길러졌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예수가 불교도의 삶을 살았고, 제자들에게도 불교 사상을 가르쳤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저서는 1930년대에 "석가모니의 도덕적 가르침은 예수의 산상수훈과 4가지 가르침이 매우 유사하다"고 주장했던 옥스포드의 신약성서 학자 Barnett Hillman Streeter의 뒤를 잇는 것이다.

불교사는 기원전 6세기 경 현재의 부다가야, 인도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도 실행되는 가장 오래된 종교 중 하나이다.[6] 기독교의 기원은 1세기 초 로마 유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네 개의 정경 복음서는 서기 70-90년경에 작성되었으며, 바울 서신은 그 이전에 서기 50-60년경에 쓰여졌다.

1930년대부터 윌 듀란트와 같은 작가들은 고대 시리아, 이집트, 그리스로 여행한 아쇼카 대왕의 그레코-불교 대표자들이 기독교 가르침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7] 불교는 동부 그리스 세계에서 두드러졌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을 계승한 동부 그리스 왕국(그레코-박트리아 왕국(기원전 250년 – 기원전 125년) 및 인도-그리스 왕국(기원전 180년 – 서기 10년))의 공식 종교가 되었다. 몇몇 저명한 그리스 불교 선교사들(마하 다르마라크시타와 다르마라크시타)이 알려져 있으며, 인도-그리스 왕 메난드로스 1세는 불교로 개종하여 불교의 위대한 후원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밀린다 왕문 참조)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 기독교 이전의 이집트 수도회인 테라퓨테가 불교의 한 형태인 팔리어 단어 "테라바다"의 변형일 가능성이 있으며,[8] 이 운동이 "거의 전적으로 불교의 금욕주의의 가르침과 수행에서 (그) 영감을 얻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9] 그들은 심지어 아쇼카가 서방으로 보낸 사절들의 후손일 수도 있다.[10]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의 불교 묘비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달마 차크라의 묘사로 장식되어 발견되었으며, 이는 기독교가 시작될 당시 헬레니즘 이집트에 불교 신자들이 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11] 알렉산드리아에 불교 신자들이 존재했다는 사실은 한 저자가 "나중에 바로 이 장소에서 기독교의 가장 활발한 중심지 중 일부가 설립되었다."라고 언급하게 했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기독교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불교가 기독교에 영향을 미쳤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몇몇 학문적인 신학 저술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는다.[50][51] 그러나 제리 H. 벤틀리와 같은 일부 역사가들은 불교가 기독교의 초기 발전에 실제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19]

초기 기독교 지도자들이 붓다와 일부 불교 이야기를 알고 있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성 제롬(서기 4세기)은 붓다의 탄생에 대해 언급하며 "처녀의 옆구리에서 태어났다"고 말한다. 초기 교회 교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서기 215년 사망)도 붓다를 알고 있었으며, 그의 스트로마타(제1권, 제15장)에서 "인도의 수행자도 그 숫자에 포함되며, 다른 야만인 철학자들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이들 중에는 두 계급이 있는데, 그 중 일부는 사마나라고 불리고 다른 일부는 브라만이라고 불린다. 그리고 '힐로비'라고 불리는 사마나는 도시에 살지도 않고, 그 위에 지붕도 없으며, 나무 껍질을 입고, 견과를 먹고, 손으로 물을 마신다. 오늘날의 엔크라테스와 마찬가지로 그들은 결혼이나 자녀를 낳는 것을 알지 못한다. 또한 일부 인도인들은 그의 특별한 성스러움 때문에 신성한 영예를 부여한 붓다(Βούττα)의 가르침에 순종한다."라고 썼다.[12]

중세 시대에는 서방에서 불교의 흔적이 없었다.[13] 13세기에 조반니 데 피아노 카르피니와 윌리엄 드 루브루크와 같은 국제 여행자들이 서방으로 불교에 대한 보고서를 보내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공동체와 유사점을 언급했다.[14] 실제로 고대와 중세 시대에 걸쳐 실크로드를 따라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와 불교 사이의 혼합주의가 존재했으며,[15][16] 중세 중국 동방 교회에서 특히 두드러졌으며, 이는 예수 경에서 입증되었다.

유럽 기독교인들이 16세기 초에 불교와 더 직접적인 접촉을 했을 때,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와 같은 가톨릭 선교사들이 불교의 수행에 대한 보고서를 보냈다.[14] 18세기 후반 유럽 대학에서 산스크리트어 연구가 시작되고 그에 따른 불교 경전의 이용 가능성은 불교와의 적절한 만남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14]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교는 서방의 추종자들을 모았고, 19세기 말에 최초의 서방인들(에드윈 아놀드 경 및 헨리 올코트)이 불교로 개종했다. 20세기 초에 최초의 서방인들(아난다 메테이야와 냐나틸로카)이 불교 수도 생활에 들어갔다.[14]

19세기에는 일부 학자들이 불교와 기독교의 수행 방식 간의 유사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1878년, T.W. 라이스 데이비즈는 티베트에 최초로 파견된 선교사들이 처음으로 알려진 접촉 이후 유사점을 관찰했다고 기록했다.[17] 1880년, 어네스트 드 번센은 예수의 십자가 죽음과 기독교의 속죄 교리를 제외하면, 가장 오래된 불교 기록이 기독교 전통과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는 비슷한 관찰을 했다.[18]

20세기 후반, 역사가 제리 H. 벤틀리 또한 유사성에 대해 언급하며 "불교가 기독교의 초기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고 "붓다와 예수의 탄생, 생애, 교리, 죽음에 관한 많은 유사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 일부 고위 불교 승려들은 예수와 불교 사이의 비유를 제시했는데, 예를 들어 2001년 제14대 달라이 라마 텐진 걈초는 "예수 그리스도 역시 이전 생을 살았다"고 말하며, "보살이나 깨달은 사람으로서 불교 수행이나 그와 비슷한 방식으로 높은 경지에 도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20] 베트남 불교 승려 틱낫한은 그의 저서 《살아있는 부처, 살아있는 그리스도》에서 삼위일체,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과 같은 기독교의 핵심적인 믿음을 긍정했다. 보킨 김 역시 그리스도를 법신 부처로 보고 있으며, 예수는 역사적 인물일 뿐인 고타마와 초역사적인 부처의 현현과 유사하다고 본다.[21] 《연꽃과 장미: 티베트 불교와 신비주의 기독교의 대화》에서 라마 촘과 매튜 폭스는 불교와 기독교 간의 상호 연결에 대해 논의한다. 폭스는 그 책에서 불성을 존 도미닉 크로산과 브루스 칠턴이 바울의 원래 "우주적" 또는 "초우주적" 그리스도 관점으로 부르는 것과 관련시킨다.[22]

2. 2. 불교 영향설에 대한 반론

인스부르크 대학 박사후 과정을 거친 정일권은 불교가 초기 기독교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는 주장이 주류 인도학과 불교학의 관점이 아니라고 지적한다. 그는 일부 학자들이 근거로 제시하는 토마스 복음서와 나그 함마디 텍스트는 "정통 기독교 문서가 아니라, 초대교회가 이단으로 규정한 영지주의 기독교 문서"라고 설명한다.[164]

정일권은 자신의 저서 《붓다와 희생양》에서 불교와 영지주의의 관련성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164]

  • 몇몇 학자들은 현대 불교 담론에서 나타나는 "영지주의적 유혹"에 대해 경고했다. 이 유혹은 야곱 뵈메에서 니체와 칼 융까지 이어진다.[165]
  • 두 종교는 "불교적 그노시스와 기독교적 아가페"라는 도식으로 비교되기도 한다. 르네 지라르는 영지주의를 신화의 중간 형태 또는 약화된 형태로 간주한다. 불교는 일종의 "영지주의적 구원 종교"이다.[166]
  • 하인리히 뒤물랭은 "불교적 그노시스"라는 개념을 통해 기독교와 근본적으로 다른 불교 내의 "영지주의적 경향들"과 "에소테릭한 모멘트"를 분석하고, "영지주의적 종류의 에소테릭한 유행 현상"의 위험성을 경고한다.[167]


일레인 페이글스는 불교가 영지주의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으나, 예수와 동방 전통 가르침 사이의 유사성은 우연의 일치일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문화적 영향 없이도 다른 문화권에서 유사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168][169] 잭 맥콰이어는 4세기 이집트 기독교 수도원이 불교 수도원과 시간적, 장소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졌다고 주장했다.[170]

니콜라스 노토비치는 1894년 저서에서 어른이 된 예수가 인도를 여행하며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으나, 그의 주장은 논란과 비판을 받았고, 증거 조작 사실을 자백했다.[171][172][173][174]

로버트 반 부어스트에 따르면 현대 기독교 학계는 예수의 인도 여행설이 가치가 없다는 데 "거의 만장일치로" 동의한다.[175] 마커스 보그는 1세기 알렉산드리아에 불제자들이 머물렀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예수의 인도 여행설은 개연성이 없고 부적절하며, 두 종교의 유사성은 문화적 영향으로 논할 수준이 아니라고 주장한다.[176] 레슬리 홀든은 예수와 붓다의 교리적 유사성에 관한 현대 담론은 19세기 선교사 접촉 이후에 나타났으며, 역사적 증거는 없다고 지적한다.[177] 폴라 프레드릭센은 1세기 팔레스타인유대교적 배경을 벗어나서는 학문적 논의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178] 에디와 보이드는 신약 저자들의 자료 외에 영향받았다는 증거는 없으며, 1세기 갈릴리 유대인들이 이교도 가르침을 수용했을 것이라는 가정은 대부분의 학자들이 거부한다고 말한다.[179][180]

3. 근대 불교에 대한 기독교의 영향

근대 이후 기독교불교 근대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있다. 정일권은 기독교 선교사들의 활동 등으로 서구 문화가 동양에 유입되면서, 동양 불교학계에서 기독교를 대상으로 하는 비교 연구가 확산되었다고 보았다.[181]

옥스퍼드 대학의 곰브리치 등 불교학자들은 19세기 이후 동남아 불교인들 사이에서 전개된 서구 기독교적 불교 근대화 시도를 "프로테스탄트 불교"라고 규정했다.[182] 프로테스탄트 불교는 기독교에 대한 저항으로 등장했지만, 동시에 기독교를 반영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183] 남방불교 평신도 지식인들은 개신교적으로 근대화된 불교를 참된 순수 불교로, 기존의 제의적, 마술적 현실 불교를 비불교적인 것으로 여기기 시작했다.[184] 석가모니마틴 루터 같은 사회개혁가로 묘사하는 것은 "아시아 종교들을 서구 기독교의 이미지로 제시하려는 경향"의 산물이다.[185]

18세기와 19세기에 불교에 대한 기독교의 영향은 주로 현대적 형태의 종교 교육을 본받은 것이었다.[52][53] 기독교 선교사들은 정옌과 같은 많은 불교 단체에 영향을 미쳤는데, 그녀는 가톨릭 수녀들의 인도주의적 지원에 영감을 받아 불교도들이 "단순히 사람들의 영혼을 개인적으로 수련하도록 장려하는 것 이상을 해야 한다"고 결심했다. 그녀의 활동은 결국 아시아의 비영리 인도주의 단체인 자제회 창립으로 이어졌다.[54]

19세기에는 유럽 학자들의 아시아 문화와 종교 연구가 시작되면서 불교와 기독교 사이의 유사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폴 렙스는 ''선 육체, 선 뼈''에서 가산의 말을 인용하며, "구하라 그러면 너희에게 주실 것이요, 찾으라 그러면 찾을 것이요, 문을 두드리라 그러면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구하는 자마다 받을 것이요, 찾는 자는 찾아낼 것이요, 두드리는 자에게는 열릴 것이다."라는 성경 구절이 부처의 가르침과 가깝다고 언급했다. 역사학자 조지 스탠리는 예수와 부처 사이에 단순한 우연이라고는 할 수 없는 강한 유사점이 있다고 말했다.[78]

막스 뮐러는 불교와 기독교가 놀랍도록 일치하며, 불교가 기독교보다 최소 400년 이상 먼저 존재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79] 그러나 뮐러는 반기독교적 동기를 가졌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80] 19세기 말, 루돌프 자이델은 불교와 기독교의 우화와 가르침에서 50가지 유사점을 발견했다.[81][82] 20세기 초, 에드워드 워시번 호프킨스는 예수의 생애, 유혹, 기적, 우화, 심지어 제자들까지 불교에서 직접 유래했다고 주장했다.[83]

최근 연구에서도 불교와 기독교 사이에서 발견되는 유사점이 지적되고 있다. 자카리아스 P. 샌디는 기독교가 불교로부터 상당한 양을 차용했다고 결론짓는다. 그는 이솝 우화다니엘서에 부속된 수산나의 이야기가 원래 불교의 자타카였음을 보여준다.[85]

3. 1. 프로테스탄트 불교

19세기 이후 동남아시아 불교인들 사이에서 서구 기독교불교 근대화 시도가 전개되었는데, 곰브리치 등 불교학자들은 이를 "프로테스탄트 불교"라고 규정한다. 프로테스탄트 불교는 기독교에 대한 저항으로 등장했지만, 동시에 기독교를 반영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186][187]

19세기 유럽 학자들의 아시아 문화와 종교 연구가 시작되면서 불교와 기독교 사이의 유사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조지 스탠리는 예수와 부처 사이에 단순한 우연이라고는 할 수 없는 강한 유사점이 있다고 말했다.[78] 막스 뮐러는 불교와 기독교가 놀랍도록 일치하며, 불교가 기독교보다 최소 400년 이상 먼저 존재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79]

20세기에는 토마스 머튼, 틱낫한, 달라이 라마 등 불교와 기독교 수도자들이 종교 간 대화에 참여하여 두 종교 사이의 공통점을 찾고자 노력했다.[55][56][57][58][59]

그러나 현대 불교는 서구 문화의 영향을 깊이 받고 있다. 19세기 서구 식민주의의 부상과 함께 아시아의 문화와 종교는 서구의 담론을 채택하고, 서구의 논쟁 스타일을 토착 전통을 옹호하는 데 적용하는 전략을 개발했다.

3. 1. 1. 의식(儀式)의 모방

윈스턴 L. 킹은 근대 불교가 기독교의 모델을 따라 불교 결혼식을 고안했다고 지적한다.[186] 전통적인 불교 승려들은 결혼식 등 개인의 인생 주기와는 상관이 없었고, 예외적으로 장례식에서만 성례와 비슷한 역할을 했다.[186] 곰브리치의 표현처럼 출가승들은 "자신의 양떼들을 목양하는 목자"가 아니었다.[187]

3. 1. 2. 학문적 모방

그레고리 쇼펜은 불교학 일각의 '학문이론적 모방현상'을 지적하며, 불교학이 문헌 집착에서 벗어나 고고학적 증거에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한다.[189] 그는 불교학자들이 출가승들에 의해 생산된 이상적이고 규범적인 문헌과 경전 이해를 통한 교리 연구에만 집착하는 이유를 불교학의 프로테스탄트적 전제에서 찾으며, 불교를 개신교처럼 탈제의화하고 신학화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프로테스탄트 불교에 내재된 오리엔탈리즘적 정서가 불교에 대한 '의심의 해석학' 적용을 주저하게 만들었다는 지적도 있다.[190] 서구인들은 역사적 예수를 줄기차게 의심하면서도, 불교에 대해서는 낭만적으로만 이해한다는 것이다.[191]

3. 1. 3. 윤리적 모방

정일권은 현대 참여불교 운동이 불교에 내재된 희생제의적 폭력의 위험성을 간과하고, 기독교 사회윤리를 섣불리 모방하려 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불교와 기독교의 규범 체계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며, 불교의 사회윤리 정립에 신중해야 함을 경고한다.[192] 기독교와 달리 불교에는 출가자와 재가자 간의 규범이 서로 통용되기 어렵다고 보며, 이러한 경계 이탈은 실제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193]

4. 기독교와 불교의 문화발생학적 차이

다원주의 종교학은 바람직한 윤리적 동기에도 불구하고 종교 간의 차이보다는 유사성을 밝히는 쪽으로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94] 일부 종교학자들은 개별 종교에 대한 기초 연구를 통해 기독교와 불교 사이에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차이가 드러난다고 본다.

아버지 하느님, 베스트팔렌, 독일, 15세기 말.

  • 유일신과 무신론: 기독교는 일신교로서 창조주로서의 신을 믿는 반면, 불교는 일반적으로 무신론적이며 창조신 개념을 거부한다.[23] 니케아 신경은 "우리는 한 분이신 하느님, 전능하신 아버지, 하늘과 땅, 그리고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의 창조주를 믿습니다"라고 명시한다.[24] 유신론적 창조 개념은 불교 사상과 이질적이며, 신의 존재에 대한 질문은 두 종교 가르침 사이의 근본적인 장벽 중 하나이다.[23][25] 대승 불교에서 보살 신앙을 표현하지만, 이는 기독교의 창조주 신 개념과는 매우 다르다.[25][32] 일부 불교 분파는 비인격적인 영원한 부처 또는 법신을 믿지만, 일반적으로 불교는 빈 공간을 영원하며 창조의 시작점이 없는 것으로 본다.[26][27] 달라이 라마는 창조주에 대한 믿음이 공(空)의 이해와 관련될 수 있지만, "어느 정도의 깨달음에 도달하면 두 길 사이의 선택이 필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28]

  • 종말론: ''옥스퍼드 종말론 핸드북''에 따르면, 기독교와 불교의 종말론에는 본질적인 차이점이 있다.[29] 얀 나티에는 불교가 특정 생명 주기를 지칭하는 "상대적 종말론" 개념은 있지만, "불교 종말론"이 "최후의 것"과 관련이 없거나 세상이 언젠가 끝날 것이라는 의미는 아니라고 말한다. 불교 경전은 시작점이 없는 영원한 생사 윤회인 "무시무종의 윤회"를 반복적으로 언급한다.[30] 그러나 기독교 종말론은 세상이 종결될 최후의 심판 때 "모든 창조의 종말"이라는 개념을 직접적으로 포함한다.[31]

  • 은총과 업: 은총은 기독교 신학의 핵심이지만, 상좌부 불교에서는 어떤 신도 에 간섭할 수 없으므로 은총 개념은 용납될 수 없다.[32] 그러나 대승 불교는 이 문제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진다.[33]

  • 예수의 십자가형: 예수의 십자가형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 요소이지만,[6] 불교 학자 아베 마사오는 불교가 그 중요성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지적했다.[34] 불교 철학자 D. T. 스즈키는 십자가형 장면을 볼 때마다 기독교와 불교 사이에 "깊이 자리 잡은 간극"을 떠올리게 된다고 말했다.[35]

4. 0. 1. 불교의 파계 전통과 제의적 요소들

정일권은 불교의 파계 전통을 고대 종교의 통과제의적 죄악으로 해석하며, 이는 예언자 전통을 중시하는 기독교와 대비되는 불교의 특징이라고 보았다.[203] 불교에는 기독교와 달리 파계 전통과 제의적 요소가 존재하며, 이는 두 종교의 근본적인 차이를 보여주는 증거로 제시된다.

  • 붓다와 출가승들의 나쁜 카르마: 신약 성서가 그리스도의 무죄성을 강조하는 반면, 여러 불교 문헌들은 붓다와 출가승들의 죄업을 상세히 기록한다. 붓다의 나쁜 카르마에 관한 남방불교 기록에 따르면, 붓다는 전생에 다른 붓다나 출가승을 살해하는 등의 범죄를 저질러 6년 동안 혹독한 고행을 했다.[204] 초기 불교 성자들에 관한 기록에도 출가자들의 삶을 전생의 죄과로 묘사하는 내용이 반복된다.[205] 불교는 방편이나 보살들의 교묘한 기술 정도로 이러한 기록들을 탈색, 미화하는 해석학적 전략을 사용했다. 한스 큉은 불교학이 기독교 신학에 비해 경전을 문헌비평적, 역사비평적으로 다루지 않고, 동남아시아에서는 경전비평을 신성모독으로 간주하는 현실을 지적한다.[206]

  • 선불교의 파계 전통: 선불교는 깨달음을 위해 수행 중 부처나 조사를 만나면 죽여야 해탈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208] Bernard Faure는 붓다, 보살, 신화적인 출가승들을 트릭스터(trickster, 도덕, 관습을 무시하고 사회를 어지럽히는 신화 속 인물)로 보았으며,[209] 선불교 명상과 지혜의 "초월의 논리"는 본질적으로 "모든 규칙에 대한 파계"라고 주장했다.[210]

  • 소신공양: 불교 역사에는 출가자들의 제의적 분신 사례가 많다.[212] 대승불교 출가승들은 "무조건 자기 자신이나 적어도 신체 일부를 태워야 했다."[213] 법화경은 이러한 제의적 현상의 주요 근거로 작용했으며,[214] 붓다들은 소신공양을 으뜸의 공양으로 극찬한다. Kleine는 이러한 종교적 자살이 고대 인신제사 전통과 연결되며, "집단을 위한 은폐된 인신제사"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15]

  • 미라 붓다: 일본에서는 스스로 미라가 된 성인들이 숭배되며, 무상철학을 가르치는 불교 고승이 미라로 신성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217] 미라 숭배는 7세기 중국과 한국 불교에서도 발견된다.[218]

  • 제의적 명상: 포르는 불교 명상이 본질적으로 죽음을 제의화한 것이라고 지적한다.[220] 명상을 통해 출가자는 일시적 죽음을 체험하는 살아있는 무덤처럼 된다.[221] 불교 명상의 기원인 요가 명상에서 삼매(Samadhi)는 수행자가 산 채로 묻히는 무덤을 의미하기도 했다.[222] Schlingloff는 불교의 깨달음과 죽음 사이에 본질적 차이가 없다고 보았다.[223]

  • 성적 심볼리즘: 요가 전통에서 연꽃은 여성의 성기를 상징했다. David Gordon은 요가를 남녀 간의 "성관계의 내면화"로 규정했다.[225] 붓다들의 명상 자세인 가부좌도 성관계를 상징하는 자세에서 파생되었다.[226] 탄트라 불교는 붓다가 궁궐을 떠나기 전 섹스의 비밀을 배웠다고 주장하며,[227] 원형적 성행위의 "흔적들"을 발견할 수 있다.[228]

  • 경전과 주술: 불교 경전 자체를 마술적인 부적으로 취급하는 현상이 나타난다.[230] 경전 내용과 무관하게 경전 자체가 액운을 막고 행운을 가져다주는 주문으로 사용된다.[231][232] 반야심경조차 마술적 다라니로 사용되었으며,[234] 경전 말미의 '아제아제(gate gate)' 주문은 힌두교의 만트라 주술 세계를 보여준다. 정일권은 대승불교가 힌두교의 주술적 세계를 벗어나지 못한다고 단언한다.[235]

4. 0. 2. 사회구조적 차이

불교는 무아를 체현하고자 하지만, 역설적으로 사회적 이분법에 더 강력히 의존하며 사회적 차이를 심화시켜왔다는 연구들이 있다. 콜린스(Collins)는 출가자/재가자, 니르바나/삼사라, 무욕/욕망, 정글/마을 등의 이중구조에 불교를 이해하는 핵심이 있다고 보았다.[236] 니르바나와 삼사라의 이분법은 출가자와 재가자 사이에 존재하는 "사회적 이분법"으로부터 파생되었다.[237] 콘즈(Conze)는 출가자와 재가자의 존재영역이 뚜렷이 구별되었다고 지적했으며,[238] 일라나(Ilana), 탐비아(Tambiah) 등은 남방불교에서 두 신분 간의 사회적 구별이 계율의 구별에 의해 뒷받침되는 정황에 주목했다.[239]

정일권은 사성제팔정도가 본래 기독교의 십계명이나 산상수훈처럼 신분을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규범이 아니었다고 말한다.[240] 출가자와 재가자 간의 가치와 규범이 본질상 서로 통용되기 어렵다는 사실은 두 집단 사이의 계율적 구분이 사회적 이분법을 심화, 재생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Max Weber는 힌두교와 불교 문명권의 합리화가 지체된 이유를 재가자들을 향한 사회윤리적 십계명이나 산상수훈의 부재에서 찾는다.[241]

4. 0. 3. 평등사상의 차이

일부 학자들은 불교의 평등사상이 기독교의 평등사상과 다르다고 본다. 제임스 레이들로는 불교에서 카스트 제도를 부인하는 것을 사회해방적인 것으로 오해하는 해석에 대해 비판한다.[242] M. 베버는 붓다가 신들의 존재나 카스트 제도를 거부하기보다는 "전제"했다고 말했다.[243] 뒤몽은 붓다가 "카스트 제도를 공격하지도 개혁하지도 않았다"고 하면서 붓다를 사회개혁가로 평가하는 견해를 거부했다.[244] E. 베버는 이러한 해석들이 서구적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고 했다.[245] 곰브리치, 라모트, 헬무트 등은 이를 "심각한 시대착오"로 평가했다.[246]

반면 많은 학자들은 기독교, 특히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가 서구에서 종교적, 세속적 신분 관념과 그 제도를 허물고 개인에 기초한 인권 사상을 출현시키는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했다는 견해에 동의한다.

4. 0. 4. 예수와 보살의 차이

일부 학자들은 종교현상학적 관점에서 예수와 보살을 무리하게 비교하는 프로테스탄트 불교적 연구들에 대해 비판한다.[247]

Brück과 Lai는 천한 소외계층과 교제했던 그리스도와 창녀, 천민 여자들과 반사회적이고 파계적인 관계를 가지기도 했던 마하싯다들을 무차별적으로 비교한다고 지적한다.[247] 탄트라 불교 전통에서 마하싯다들의 파계는 예수에게서 발견되지 않는다.[248]

Cheng-mei Ku는 "절벽에서 뛰어내리고, 자기 자신을 불태우고, 또 자기 자신을 여러 조각으로 자르는" 보살행의 사례[249]에 주목하였고, David-Néel은 이런 유의 보살행을 "환상적인 영웅의 잔인하고, 비도덕적이며 그리고 건전한 상식에 위배되는 무제한적인 이웃사랑"이라고 표현하였다.[250] Bareau는 "대자비의 영웅"은 도움을 구해야 할 신적인 대상이지 "모방할 만한 모델"이 아니라고 했다.[251] 불교 문헌에 나타난 보살들의 자기희생에 관한 묘사들은 서구인들의 시각에서는 '상식을 벗어난 수준'으로 비춰진다. Shingloff는 "보살들이 어떤 희생에도 준비가 되어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이외에 어떤 목적도 없는 것처럼" 보인다고 했다.[252] Domoulin에 의하면 보살행에 관련된 제의적 서원들 중에는 서구인은 물론이고 20세기 후반 이후 불교의 탈신화화를 주도해온 일본 불교인들이 보기에도 경악할 만한 내용들이 많다.[253]

정일권은 보살 이야기에 신화적 잔재가 남아있는 한 보살과 예수를 동일한 사회윤리적 차원에서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한다. 그러한 비교는 무엇보다 불교 파계 전통의 반사회성으로 인해 결국 보살을 그리스도화하는 방향으로 치우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254]

달라이 라마 14세를 포함한 몇몇 불교 신자들은 예수를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헌신한 보살로 여기기도 한다. 달라이 라마 14세는 "예수 그리스도도 전생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시다시피, 그는 불교 수행을 통해 보살, 즉 깨달은 인간과 같은 경지에 도달했습니다."라고 언급했다.[94]

5. 결론

불교는 서구에서 19세기 문화 및 학문 엘리트들로부터 시작하여, 특히 1960년대 이후 서구 문화에 널리 퍼지면서 인기를 얻고 있다.[55] 20세기에는 토마스 머튼, 웨인 티스데일, 데이비드 슈타인들-라스트와 같은 기독교 수도자와 전직 수녀인 캐런 암스트롱, 그리고 아잔 붓다다사, 틱낫한, 달라이 라마와 같은 불교 수도자들이 불교와 기독교에 대한 종교간 대화에 참여했다.[56] 이 대화는 두 종교 사이의 공통점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57][58][59] DIMMID(수도자 간 종교 대화 - Monastic Interreligious Dialogue)는 겟세마니 성모 수도원에서 달라이 라마도 참석한 겟세마니 만남과 같은 불교 및 가톨릭 수도자 간의 여러 만남을 주최했으며, 불교 수도승과 수녀가 가톨릭 수도원을 방문하는 교환 프로그램도 운영했다.[60][61]

불교에 대한 일반적인 낭만적인 시각은 불교를 진정하고 오래된 수행으로 여기지만, 현대 불교는 서구 문화의 영향을 깊이 받고 있다. 19세기에 서구 식민주의가 부상하면서, 아시아 문화와 종교는 자체 전통을 잃지 않으면서 서구 패권에 적응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했다. 서구의 담론이 채택되었고, 서구의 논쟁 스타일이 토착 전통을 옹호하는 데 적용되었다.

참조

[1]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Our Oriental Heritage: The Story of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1-06-07
[3]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Recent Research
[4] 간행물 The Hidden Story of Jesus 2008-11
[5] 문서 Macmillan Encyclopedia of Buddhism
[6] 서적 Jesus: The Complete Guide 2006-02-08
[7] 서적 The Story of Civilization Simon and Schuster
[8] 문서
[9] 서적 Living Zen Grove Press New York
[10] 서적 The Original Jesus Element Books, Shaftesbury
[11] 서적 The Greeks in Bactria and India South Asia Books
[12] 웹사이트 Clement of Alexandria Stromata. BkI, Ch XV http://www.ccel.org/[...] 2012-12-19
[13] 서적 Indian Buddhism: A Survey with Bibliographical Notes 2007-04-11
[14] 문서 Macmillan Encyclopedia of Buddhism
[15] 웹사이트 Religious Syncretism and Cultural Pluralism along the Central and East Asian Silk Road – New Discoveries and Venues for Research https://eprints.soas[...] 2018
[16] 웹사이트 The Great Silk Road and its impact on Cultural ex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ncient Civilizations https://cyberleninka[...] Наука. Общество. Оборона 12.3 (40) 2024
[17] 문서 Buddhism
[18] 서적 The Angel-Messiah of Buddhists, Essenes, and Christians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 서적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 뉴스 Hollywood's Idol http://www.christian[...] Christianity Today 2001-06-11
[21] 간행물 Christ as the Truth, the Light, the Life, but a Way?
[22] 서적 The Lotus & The Rose
[23] 서적 The Boundaries of Knowledge in Buddhism, Christianity, and Science 2008-12-31
[24] 서적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J 1982-03
[25] 서적 Communicating Christ in the Buddhist World 2006-01-01
[26] 서적 The Concept of the Buddha RoutledgeCurzon, London
[27] 서적 A Raft from the Other Shore : Honen and the Way of Pure Land Buddhism Jodo Shu Press
[28] 웹사이트 Dalai Lama Answers Questions on Various Topics http://hhdl.dharmaka[...]
[2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schatology 2010-04-16
[3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schatology 2010-04-16
[3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hristian Thought 2000-12-21
[32] 서적 Encyclopedia of Reincarnation and Karma 2010-04-01
[33] 서적 Tantric Buddhism in East Asia Wisdom Publications
[34] 서적 Buddhism and Interfaith Dialogue 1995-06-01
[35] 서적 Mysticism, Christian and Buddhist 2002-08-04
[36] 서적 Essential Buddhism Simon and Schuster
[37] 서적 The Gnostic Gospels https://www.pbs.org/[...] Random House, repr. 1989
[38] 서적 The Greeks in Bactria and India
[39] 서적 History of Merchant Shipping and Ancient Commerce Adamant Media Corporation
[40] 서적 Living Zen Allen & Unwin
[41] 서적 Essays and Aphorisms Penguin Classics
[42] 서적 The Unknown Life Of Jesus Christ: By The Discoverer Of The Manuscript Nicolas Notovitch 2007-10-15
[43] 서적 Forged: Writing in the Name of God--Why the Bible's Authors Are Not Who We Think They Are 2012-03-06
[44] 간행물 Jesus in India?
[45] 서적 New Testament Apocrypha, Vol. 1: Gospels and Related Writings 1990-12-01
[46] 서적 Indology, Indomania, and Orientalism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2010-01-01
[47]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Eerdmans Publishing.
[48] 서적 Jesus & Buddha: The parallel sayings Ulysses Press
[49] 서적 Jesus: The Complete Guide Leslie Houlden
[50] 서적 From Jesus to Christ Yale University Press
[51] 서적 The Jesus legend: a case for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the synoptic gospels
[52] 서적 Theravāda Buddhism: A Social History from Ancient Benares to ...
[53] 서적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8
[54] 웹사이트 Biography of Dharma Master Cheng Yen http://tw.tzuchi.org[...] Buddhist Compassion Relief Tzu Chi Foundation 2014-05-22
[55] 문서 Buddhism and Christianity: Some Bridges of Understanding Philadelphia
[56] 웹사이트 Divine Reticence https://www.theatlan[...] 2001-03-21
[57] 서적 South Asia: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Frederick A. Praeger
[58] 서적 The Good Heart: A Buddhist Perspective on the Teachings of Jesus
[59] 서적 Going Home: Jesus and Buddha as Brothers
[60] 서적 The Wiley-Blackwell Companion to Inter-Religious Dialogu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03-13
[61] 간행물 In Memoriam: Bishop Joseph John Gerry, O.S.B. (1928-2023) https://dimmid.org/i[...] DIMMID 2023
[62] 문서 Acta Apostolicae Sedis
[63] 웹사이트 Complete List of Documents - Dicastery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https://www.vatican.[...]
[64] 웹사이트 Letter to the Bishops of the Catholic Church on some aspects of Christian Meditation – Orationis formas https://www.vatican.[...]
[65] 웹사이트 Letter to the Bishops of the Catholic Church on some aspects of Christian meditation http://www.ewtn.com/[...]
[66] 서적 The meeting of religions and the Trinity
[67] 서적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68] 웹사이트 Jesus Christ The Bearer Of The Water Of Life - A Christian reflection on the New Age https://www.vatican.[...]
[69] 뉴스 Los Angeles Times, February 8, 2003 ''New Age Beliefs Aren't Christian, Vatican Finds'' http://articles.lati[...] 2003-02-08
[70] 문서 Macmillan Encyclopedia of Buddhism
[71] 서적 Father and Son, East is West, the Buddhist sources to Christianity and their influence on medieval Christianity self published 2007
[72] 웹사이트 Armstrong on Buddhism & Christianity http://www.theatlant[...]
[73] 서적 Buddhism and Christianity: Some Bridges of Understanding Philadelphia 1963
[74] 서적 South Asia: A Short History Frederick A. Praeger
[75] 서적 The Good Heart: A Buddhist Perspective on the Teachings of Jesus
[76] 서적 Going Home: Jesus and Buddha as Brothers 1999
[77] 서적 American Transcendentalism and Asian Religions 1993
[78] 문서 Origin of Pagan Idolatry Ascertained from Historical Testimony
[79] 문서 India: What it Can Teach Us 1883
[80] 웹사이트 http://faculty.deanz[...]
[81] 문서 The Gospel of Jesus in relation to the Buddha Legend
[82] 서적 The Buddha Legend and the Life of Jesus 1897
[83] 서적 History of Religions Professor of Sanskrit and comparative Philology 1918
[84] 서적 The American Encounter With Buddhism, 1844-1912: Victorian Culture and the Limits of Dissent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85] 서적 Buddha and Christ, Nativity stories from the Indian traditions 1992
[86] 웹사이트 The Secrets about Christian Lindtner-a preliminary response to the CLT http://www.jesusisbu[...] 2012-02-25
[87] 서적 The Bible and the Buddhist Sardini, Bornato 2001
[88] 서적 Geheimnisse um Jesus Christus 2007
[89] 웹사이트 Father and Son, East is West, the Buddhist sources to Christianity and their influence on medieval myths http://Fatherandsone[...] 2007
[90] 문서
[91] 서적 Early Buddhist Narrative Art 2000
[92] 서적 Indien un dus Christentum Tübingen: Mohr-Siebeck 1914
[93] 웹사이트 Jesus' walking on the sea: an investigation of the origin of the narrative https://books.google[...]
[94] 뉴스 Human Idols http://www.christian[...] Christianity Today
[95] 웹사이트 Gospel of Thomas:The Buddhist Jesus? http://buddhistfaith[...] 2007-04-15
[96] 문서 zen Flesh, Zen Bones
[97] 문서 Acta Disputationis cum Manete Haeresiarcha
[98] 문서 Eng. transl. in Clark's Ante-Nicene Library (vol. XX. 272-419) [Am. ed. vol. VI. p. 173 sq.]
[99] 문서 Andre Grabar mentions Buddhist iconography of the birth of the Buddha as a possible source for the Christian depiction of the birth of Jesus Christ
[100] 문서
[101] 문서 The beginnings of Buddhist art
[102] 서적 The Jesus Sutras: Rediscovering the Lost Scrolls of Taoist Christianity New York: Ballantine 2001
[103] 서적 『かくれキリシタン』_歴史と民俗_ 日本放送出版協会
[104] 서적 Buddha and Jesus: Could Solomon Be the Missing Link? Charleston, SC: CreateSpace 2011
[105] 문서 1 Chronicles 22:6-9
[106] 성경 1 Kings 11:4-8
[107] 성경 Ecclesiastes 1:2
[108] 성경 Ecclesiastes 4:1-2 & 5:15-17
[109] 성경 Proverbs 6:20-23 & 7:1-3
[110] 성경 Proverbs 4:5-7
[111] 성경 Proverbs 4:18
[112] 서적 Barlaam and Josaphat. English Lives of Buddha David Nutt 1896
[113] 논문 Did Buddhism influence early Christianity? The Times of India 1997-05-01
[114] 백과사전 Buddhism Encyclopædia Britannica 1878
[115] 서적 Things Indian: Being Discursive Notes on Various Subjects Connected with India https://books.google[...] Charles Scribner's Sons 2007-01-14
[116] 서적 How to Pray http://www.christian[...] Square One
[117] 간행물 Hinduism and Buddhism, An Historical Sketch 1921
[118] 간행물 Hinduism and Buddhism, An Historical Sketch, Vol 3 http://www.arcamax.c[...]
[119] 서적 The Story of Civilization, Part I: Our Oriental Heritage Simon and Schuster 1963
[120] 서적 The Story of Civilization, Part I: Our Oriental Heritage Simon and Schuster 1963
[121] 정보 The Silk Road city of Marv (Grk. Margiana), situated in the eastern part of the Parthian Empire, became a major Buddhist center
[122] 서적 The Story of Civilization: Our Oriental Heritage, Part One Simon and Schuster 1935
[123] 웹사이트 Pliny the Elder, "The Natural History", Chap. 21 http://perseus.mpiwg[...] 2013-07-28
[124] 서적 Buddhism in pre-Christian Britain 1928
[125] 서적 ヘレニズム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126]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127]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28] 서적 The Buddhism Omnibus: Comprising Gautama Buddha, The Dhammapada, and The Philosophy of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6-24
[129] 서적 Essential Buddhism Simon and Schuster
[130] 웹사이트 The Politics of Christianity: A Talk with Elaine Pagels http://www.edge.org/[...] Edge Foundation, Inc. 2003-07-17
[131] 기타 Geography
[132] 기타 Hist
[133] 기타 69,1
[134] 서적 Hinduism and Buddhism: An Historical Sketch vol 1 Curzon Press 1921
[135] 서적 Life After Death in Early Judaism Mohr Siebeck Tilbringen 2006
[136] 기타 Cyril of Jerusalem, Sixth Catechetical Lecture Chapter 22-24
[137] 기타 イェルサリムの総主教キリル全書
[138] 웹사이트 Jerome-Against-Jovinianus http://www.patriarch[...]
[139] 서적 Christian iconography, a study of its origins
[140] 서적 The Judaic Tradition 1982
[141] 웹사이트 The Therapeutae of Philo and the Monks as Therapeutae according to Pseudo-Dionysius http://www.orthodoxr[...] 2012-02-25
[142] 서적 Christianity Two Thousand Years Oxford University Press
[143] 웹사이트 ASCETICISM: http://www.jewishenc[...]
[144] 서적 The Original Jesus Element Books
[145] 문서 'The Nag Hammadi library in English'
[146] 웹사이트 Extract from ''The Gnostic Gospels'' http://www.pbs.org/w[...] pbs.org 2007-04-22
[147] 서적 The Gnostic Gospels Random House
[148] 문서 'Hidden Gospels:How the Search for Jesus Lost Its Way' Oxford University Press
[149] 간행물 How Gnostic Jesus Became the Christ of Scholars
[150] 서적 Buddhism and Gnosis
[151] 서적 Journey into Kashmir and Tibet (the English translation of Kashmiri 0 Tibbate) Ramakrishna Vivekananda Math
[152] 서적 Famous Biblical Hoaxes or, Modern Apocrypha http://www.tentmaker[...] Baker Book House
[153] 서적 The Lost Years of Jesus: Documentary Evidence of Jesus' 17-Year Journey to the East Summit University Press
[154] 웹사이트 聖なる女性原理 宮本神酒男 http://mikiomiyamoto[...]
[155] 서적 'Forged: Writing in the Name of God—Why the Bible’s Authors Are Not Who We Think They Are.' HarperCollins e-books 2011-09-08
[156] 문서 Macmillan Encyclopedia of Buddhism
[157]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buddhisti[...] 2010-09-13
[158] 문서 The Story of Civilization: Our Oriental Heritage, Part One Simon and Schuster
[159]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160] 문서 History of Religions
[161]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62] 서적 The Buddhism Omnibus: Comprising Gautama Buddha, The Dhammapada, and The Philosophy of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163] 서적 The Original Jesus Element Books
[164] 서적 붓다와 희생양-르네 지라르와 불교문화의 기원 SFC
[165] 문서 Asiatische Gottheit –christlicher Gott: Die Spiritualität der beiden Hemisphären Jhannes Verlag
[166] 문서 Christentum und Buddhismus im dialog aus der Mitte ihrer Traditionen Verlag Herder
[167] 문서 Begegnung mit dem Buddhismus: Eine Einführung erlag herder
[168] 서적 The Gnostic Gospels Random House
[169] 서적 The Gnostic Gospels Random House
[170] 서적 Essential Buddhism Simon and Schuster
[171] 서적 The Unknown Life Of Jesus Christ: By The Discoverer Of The Manuscript
[172] 간행물 Jesus in India?
[173] 서적 New Testament Apocrypha, Vol. 1: Gospels and Related Writings
[174] 서적 Indology, Indomania, and Orientalism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75]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Eerdmans Publishing
[176] 서적 Jesus & Buddha: The parallel sayings Ulysses Press 2004
[177] 서적 Jesus: The Complete Guide 2006
[178] 서적 From Jesus to Christ Yale University Press 2000
[179] 간행물 The Hidden Story of Jesus New Blackfriars 2008-11
[180] 서적 The Jesus legend: a case for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the synoptic gospels 2007
[181] 서적 근대 불교의 기독교 모방에 대한 논의
[182] 서적 Der Theravada-Buddhismus: Vom alten Indien bis zum modernen Sri Lanka Kohlhammer 1997
[182] 서적 Buddha in the Grown. Avalokiteśvara in the Buddhist Traditions of Sri Lanka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182] 서적
[183] 서적 Der Theravada-Buddhismus: Vom alten Indien bis zum modernen Sri Lanka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Orientalism and Religion: Postcolonial Theory, India and ‘the Mystic East’
[185] 서적
[186] 서적 “Enleitung: Der Buddhismus als Weltreligion,” in Der Buddhismus: Geschichte und Gegenwart C.H.Beck 1984
[186] 서적 Buddhism Transformed. Religious Change in Sri Lanka
[186] 서적
[187] 서적 Der Theravada-Buddhismus: Vom alten Indien bis zum modernen Sri Lanka
[187] 서적
[188] 서적
[189] 간행물 “Archaeology and Protestant Presuppositions in the Study of Indian Buddhism,” history of Religions 1991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Chan Insights and Oversights: An Epistemological Critique of the Chan trad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Geshichte des Zen-Buddhismus, Band I: Indien und China Reinhardt 1918
[195] 서적
[196] 서적 “Mythologie der singhalesischen Volksreligion,” in Götter und Mythen des indischen subkontinents. Wörterbuch der Mythologie. erste Abteilung Die Alten kulturvölker. Band V Götter und Mythen des indischen Subkontinents Ernst Klett Verlag 1984
[196] 서적
[197] 서적 “Die Heilsgestalten des Buddhismus,” in: Heinz Bechert u.a.:Der Buddhismus I. Der indische Buddhismus und seine Verzweigungen, Die Religionen der Menschheit, 24.1 Kohlhammer 2000
[197] 서적
[198] 서적 Selfless Persons: Imagery and Thought in theravada Buddhism
[198] 서적 Der Theravada-Buddhismus: Vom alten indien bis zum modernen Sri Lanka
[198] 서적 “Der Buddha, Seine Lehre und Seine Gemeinde,” in Der Buddhismus. Geschichte und Gegenwart C.H.Beck 1984
[198] 서적 Die religion des Buddhismus I: Der Heilsweg des Mönchtums
[198] 서적
[199] 서적 The Christ and the Bodhisattva
[199] 서적
[200] 서적 The Origins of Evil in hindu Myth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0
[200] 서적
[201] 서적 “Der indische Buddismus,” in André Baradeau, Walter Shubring, Christoph von Fürer-haimendorf, Die Religion Indiens III: Buddhismus-Jinismus-Primitvvölkert, Die Religionen der Menshheit. Band 13 Schröder 1964
[201] 서적
[202] 서적 Battling to the End: Convversations with Benoit Chantre
[202] 서적
[203] 서적
[204] 간행물 “The Budda’s Bad Karma: A Problem in the History of Theravada Buddism,” in Numen: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history of Religions 1990
[204] 간행물 “The Bad Karma of the Budda,” in Buddhist Studies Review 2002
[204] 서적
[205] 서적 The Buddhist Saints of the forest and the Cult of Amulets
[205] 서적
[206] 서적
[207] 서적 Das Ende der Gewalt: Analyse des Menschheitsverhängnisses
[207] 서적
[208] 서적 Geschichte des Zen-Buddhismus Band I: Indien und China
[208] 서적
[209] 서적 The Rhetoric of Immediacy: A Cultural Critique of Chan/Zen Buddhism Princeton Unversity Press 1991
[209] 서적
[210] 서적 The Red Thread: Buddhist Approaches to Sexuality
[210] 서적
[211] 서적 The Red Thread: Buddhist Approaches to Sexuality
[212] 서적 Der Buddhismus in indien und im Fernen Osten: Schicksale und Lenensformen einer Erlösungsreligion Atlantis Verlag
[213] 논문 “Sterben für den Buddha, Sterben wie der Buddha: Zu Praxis und Begründung ritueller Suizide im ostasiatischen Buddhismus,”
[214] 문서
[215] 논문 “Sterben für den Buddha, Sterben wie der Buddha: Zu Praxis und Begründung ritueller Suizide im ostasiatischen Buddhismus,”
[216] 논문 “’Provoked Suicide’ and the Victim’s Behavior,” in Curing Violence: Essays on René Girard
[217] 서적 The Red Thread: Buddhist Approaches to Sexuality
[218] 논문 “Self-Mummified Buddhas in Japan: An Aspect of the Shugen-Dō (’Moutain Asceticism’) Sect,“
[219] 문서
[220] 서적 The Rhetoric of Immediacy. A Cultural Critique of Chan/Zen Buddhism
[221] 문서
[222] 논문 위의 논문
[223] 서적 Die Religion des Buddhismus. I: Der Heilsweg ded Mönchtums
[224] 서적 Zen im 20. Jahrhundert Fischer-Taschenbuch-Verlag
[225] 서적 “Introduction. Tantra In Practice Mapping a Tradition,” in David Gordon White(ed), Tantra in Practice. Princeton Reading in relig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6] 서적 Der Erleuchtungsweg des Zen im Buddhismus
[227] 서적 Passionate Enlightenment. Women in Tantric Buddhism
[228] 서적 Sādhus: holy men of India
[229] 서적 The Experience of Buddhism: Sources and Interpretations
[230] 서적 Der Buddhismus
[231] 서적 Streben nach Glück: Schicksalsdeutung und Lebensgestaltung in japanischen Religionen
[232] 서적 Monks and Magic: An Analysis of religious Ceremonies in Central Thailand
[233] 서적 Der Buddhismus Scherz Verlag
[234] 서적 Chan Insights and Oversights: An Epistemological Critique of the Chan Trad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5] 문서
[236] 서적 Selfless Persons: Imagery and Thought in theravada Buddhism
[237] 문서
[238] 서적 Buddhistisches Denken: Drei Phasen buddhistischer Philosophie in Indien Insel Verlag
[239] 논문 “Dissent Through holiness: The Case of the Radical renouncer in Theravada Buddhist Commuities,” in Numen: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History of Religions
[240] 문서
[241] 문서
[242] 서적 Riches and Renunciation: Religion, Economy, and Society among the Jains Clarendon Press
[243] 서적 Gesammelte Aufsätze zur Religionssoziologie II/ Hinduismus und Buddhismus
[244] 서적 Gesellschaft in Indien: Die Soziologie des Kastenwesens
[245] 논문 “Bauddah Dharma vs. Hindu Dharma? Studien zum Problem der Differenz und Konvergenz von Buddhismus un Hinduismus,” Journal für Religionskultur 42. 200
[246] 서적 Gombrich, Der Theravada-Buddhismus: Vom alten Indien bis zum modernen Sri Lanka
[247] 서적 Von Brück an Lai, Buddhismus und Christentum: geschichte, Konfrontation, Dialog
[248] 문서 정일권, Ibid.
[249] 간행물 Cheng-mei Ku, “A Ritual of Mahayana Vinaya: Self-Sacrifice,” in David Kalupahana, ed. Buddhist Thought and Ritual Paragon 1991
[250] 서적 Alexandra David-Néel, Der Weg zur Erleuchtung: Geheimlehren, Zeremonien und Riten in Tibet, aus dem Französischen von Erwin Reinisch h.E.Günther 1960
[251] 문서 Bareau, “Der indische Buddhismus,”
[252] 서적 Shlingloff, Die Religion des Buddhismus 2, Der Heilsweg für die Welt
[253] 서적 Heinrich Dumoulin, Degegnung mit dem Buddhismus: Eine Einführung Verlag Herder 1978
[254] 문서 정일권, Ibid, 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