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근대 건축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근대 건축물은 조선 시대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다양한 양식으로 건립되었다. 1888년 대불호텔을 시작으로, 서울 구 러시아 공사관, 약현성당 등 서양식 건축물이 도입되었다. 대한제국 시대에는 독립문, 명동성당, 정동교회 등이 건립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경기도청, 부산역, 조선은행 본관 등이 일제의 식민 통치와 수탈의 상징으로 세워졌다. 1920년대에는 서울역, 경성부청, 서울시립미술관 등이, 1930년대에는 전남도청 본관, 신세계백화점 등이 건립되었다. 이러한 건축물들은 현재까지 보존되어 역사적 가치를 지니며 활용되고 있다.

2. 조선 시대

개항 이후 조선에는 서양식 건축 기술과 양식이 도입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건물들이 세워지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는 주로 외국 공사관, 성당, 호텔 등 서양인들의 활동과 관련된 건물들이 먼저 지어졌다.

2. 1. 주요 건축물

3. 대한제국 시대

대한제국 시기에는 서구 열강과의 교류가 늘어나면서 서양식 건축 기법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었고, 다양한 양식의 건축물이 세워졌다. 이는 개화기에 시작된 서양식 건축 활동이 더욱 활발해진 결과였다.

대표적인 종교 건축물로는 프랑스인 신부 코스트(E. G. Costefra)가 설계한 고딕 양식명동성당(1898년 완공)과 로베르(A. P. Robertfra) 신부가 설계한 계산성당(1902년 완공), 그리고 일본인 건축가 요시자와 도모타로(吉澤友太郞jpn)가 설계한 정동교회(1898년 완공) 등이 있다. 궁궐 건축에서도 서양식 요소가 받아들여져 덕수궁 안에 정관헌(1900년 완공)과 중명전(1901년 완공)이 들어섰으며, 특히 영국인 건축가 하딩(J. R. Hardingeng)이 설계한 신고전주의 양식의 석조전(1909년 완공)은 이 시기 서양식 궁정 건축을 대표하는 건물이다.

정부 기관 건물 역시 서양식으로 지어졌는데, 탁지부 건축소에서 설계한 대한의원(1907년 완공)과 광통관(1909년 완공)이 대표적이다. 외교 공관 건물로는 구 벨기에 영사관(1905년 완공) 등이 세워졌다. 이 외에도 목포구 목포 일본영사관(1900년 완공), 인천광역시 중구공화춘(1905년 완공, 현 짜장면박물관) 등 다양한 용도의 건물이 서양식 또는 절충식으로 지어졌다. 하지만 부산광역시 중구에 있던 부산 우편국(1910년 완공)처럼 현재는 사라진 건물도 있다. 이처럼 대한제국 시대는 전통 건축과 함께 다양한 서양 건축 양식이 공존하며 근대적인 도시 경관을 형성하기 시작한 중요한 시기였다.

3. 1. 주요 건축물

준공년건물명설계자양식소재문화재비고사진
1897년독립문--서울 서대문구사적서재필, 윤치호 등이 중심이 되어 모금 운동을 벌여 건설됨.
독립문
1898년명동성당E. G. Coste|코스트fra고딕서울 중구사적
명동성당
1898년정동교회吉澤友太郞|요시자와 도모타로jpn고딕서울 중구사적
정동교회
1900년목포 일본영사관--목포시사적일제강점기 침략의 상징 중 하나로 여겨짐.
1900년정관헌--서울 중구사적고종이 다과를 들거나 외교 사절을 접견하던 곳.
정관헌
1901년중명전--서울 중구사적을사늑약이 체결된 비극의 현장.
중명전
1902년계산성당A. P. Robert|로베르fra고딕대구 중구사적
계산성당
1905년벨기에 영사관小屋|고다마jpn고전주의서울 관악구사적
구 벨기에 영사관
1907년대한의원탁지부 건축소고전주의서울 종로구사적
대한의원
1909년광통관탁지부 건축소-서울 중구서울시 기념물
광통관
1909년석조전J. R. Harding|하딩eng신고전주의서울 중구사적
석조전


4.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한반도에 서양식 건축 양식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일본의 영향 아래 근대 건축이 자리를 잡아가던 시기이다. 이 시기 건축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 통치라는 특수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통치 목적의 관공서, 금융기관, 교통 시설 건설이 두드러졌다. 동시에 근대 교육의 확산과 도시 발전에 따라 학교, 병원, 백화점, 주택 등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이 세워졌다.

초기(1910년대)에는 조선총독부를 비롯한 식민 통치 기관과 동양척식주식회사, 조선은행(현 한국은행) 등 경제 수탈을 위한 시설들이 주로 건설되었다. 일본인 건축가들이 설계를 주도하며 신고전주의, 르네상스 등 서양의 역사주의 양식을 차용해 권위적인 외관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선총독부 중앙시험소, 조선은행 본점, 진해우체국 등이 이 시기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건축 활동은 더욱 활발해졌다. 경성역, 경성부청, 조선총독부 청사와 같은 대규모 관공서 건축이 계속되었고, 연세대학교의 스팀슨관,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 중앙고등학교 교사, 고려대학교 본관 등 근대 교육 시설들이 캠퍼스 형태로 조성되기 시작했다. 또한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 대성당, 천도교 중앙대교당과 같은 종교 건축물, 미쓰코시 백화점, 명치좌와 같은 상업 및 문화 시설도 등장하여 도시 경관을 다채롭게 만들었다. 이 시기에는 박길룡, 박동진과 같은 한국인 건축가들도 활동을 시작했으며, 건축 양식도 고딕, 로마네스크, 아르데코 등으로 다양화되었다.

1940년대는 태평양 전쟁의 영향으로 건축 활동이 크게 위축되었다.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건물(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산관) 등이 이 시기에 지어졌다.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건축물 중 상당수는 식민 통치의 상징으로 여겨져 해방 이후 철거되거나 용도가 변경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경복궁 앞에 세워졌던 조선총독부 청사는 민족 정기 회복 차원에서 1995년 김영삼 정부에 의해 철거되었다. 그러나 역사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이나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는 건물들도 많다. 이들 건축물은 한국 근대사의 아픔과 변화를 증언하는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있다.

4. 1. 1910년대

(辰野金吾)서울 중구현존사적
1912년동양척식주식회사철거
1912년진해우체국현존사적1914년전동성당로마네스크전주 완산구현존사적1914년진해 방비대사령부현존등록문화재1915년배화학당현존등록문화재1915년경성 우편국철거1918년조선식산은행 본점철거


4. 2. 1920년대

(현 부산근대역사관)부산광역시 중구현존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현 부산근대역사관)
1920년연희전문학교 스팀슨관
(현 연세대학교)헨리 머피
(Henry K. Murphyeng)고딕서울특별시 서대문구현존사적1921년중앙고등보통학교 서관
(현 중앙고등학교)나카무라 요시헤이
(中村與資平|나카무라 요시헤이jpn)고딕서울특별시 종로구현존사적1921년천도교 중앙대교당서울특별시 종로구현존서울시 기념물1922년경성주식현물취인소철거1922년조선은행 군산지점
(현 근대건축관)전라북도 군산시현존등록문화재1923년중앙고등보통학교 동관
(현 중앙고등학교)나카무라 요시헤이
(中村與資平|나카무라 요시헤이jpn)고딕서울특별시 종로구현존사적1923년대구사범학교 본관 및 강당
(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대구광역시 중구현존사적
대구사범학교 본관 및 강당(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1923년인천 우편국
(현 인천중동우체국)인천광역시 중구현존등록문화재1923년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현 목포근대역사관)르네상스전라남도 목포시현존등록문화재1923년평안남도 상품진열소
(현 당창건사적관)평양직할시 중구역현존1924년연희전문학교 아펜젤러관
(현 연세대학교)헨리 머피
(Henry K. Murphyeng)고딕서울특별시 서대문구현존사적1925년구 서울역사쓰카모토 야스시
(塚本靖|쓰카모토 야스시jpn)서울특별시 중구현존사적
구 서울역사
1925년연희전문학교 언더우드관
(현 연세대학교)헨리 머피
(Henry K. Murphyeng)고딕서울특별시 서대문구현존사적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1926년경성부청
(현 서울특별시청)서울특별시 중구현존등록문화재
구 서울특별시청사(구 경성부청)
1926년조선총독부 청사게오르크 데 랄란데네오르네상스서울특별시 종로구철거
구 조선총독부 청사(철거)
1926년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아서 딕슨로마네스크서울특별시 중구현존서울시 유형문화재
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
1927년구 경기고등보통학교
(현 정독도서관)서울특별시 종로구현존등록문화재
구 경기고등학교(현 정독도서관)
1928년경성재판소
(현 서울시립미술관)고딕서울특별시 중구현존등록문화재
구 경성재판소(현 서울시립미술관)
1928년경성전기 사옥
(현 한국전력공사 남대문 별관)서울특별시 중구현존등록문화재
구 경성전기 사옥
1928년용산 철도병원
(현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연구동)서울특별시 용산구현존등록문화재


4. 3. 1930년대

(현 대전근현대사전시관)대전광역시 중구현존등록문화재
충청남도청 본관(현 대전근현대사전시관)
1931년대구 동산병원 구관대구광역시 중구현존등록문화재1934년부산 측후소
(현 부산지방기상청)부산광역시현존1934년미쓰코시 경성지점
(현 신세계백화점 본점)서울특별시 중구현존
미쓰코시 경성지점(현 신세계백화점 본점)
1935년부민관
(현 서울특별시의회)서울특별시 중구현존등록문화재
부민관(현 서울특별시의회)
1935년조선저축은행
(현 SC제일은행 본점)서울특별시 중구현존서울시 유형문화재1936년명치좌
(현 명동예술극장)서울특별시 중구현존
명치좌(현 명동예술극장)
1936년충정아파트서울특별시 서대문구현존1937년중앙고등보통학교 본관
(현 중앙고등학교 본관)서울특별시 종로구현존사적1937년보성전문학교 본관
(현 고려대학교 본관)박동진고딕서울특별시 성북구현존사적
보성전문학교 본관(현 고려대학교 본관)
1937년보성전문학교 도서관
(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도서관)박동진고딕서울특별시 성북구현존사적1937년화신백화점박길룡서울특별시 종로구철거1938년조지야백화점
(현 롯데백화점 영플라자 명동점)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현존
조지야백화점(현 롯데백화점 영플라자 명동점)


4. 4. 1940년대

(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산관)서울특별시 노원구현존등록문화재--


5. 보존 및 활용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건축물들은 단순한 옛날 건물이 아니라, 그 시대의 역사문화를 담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이러한 건축물들은 당시의 사회상과 건축 기술, 그리고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이 건축물들을 잘 보존하는 것은 우리의 역사를 기억하고 성찰하는 중요한 과제이다.

단순히 보존하는 것을 넘어, 이 건축물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여 다음 세대에게 아픈 역사를 제대로 알리고 교훈을 얻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술관, 박물관, 공연장 등 다양한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시켜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역사를 접하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근대 건축물의 보존과 활용은 과거를 기억하고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중요한 노력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